KR102437738B1 - Various beverage sterilizers that vary the heating time and length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verage - Google Patents

Various beverage sterilizers that vary the heating time and length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ver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738B1
KR102437738B1 KR1020200140307A KR20200140307A KR102437738B1 KR 102437738 B1 KR102437738 B1 KR 102437738B1 KR 1020200140307 A KR1020200140307 A KR 1020200140307A KR 20200140307 A KR20200140307 A KR 20200140307A KR 102437738 B1 KR102437738 B1 KR 102437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sterilizer
coffee
extraction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3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5823A (en
Inventor
한재근
Original Assignee
(주)마나에프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나에프앤비 filed Critical (주)마나에프앤비
Priority to KR1020200140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738B1/en
Priority to KR1020220014258A priority patent/KR102434469B1/en
Publication of KR20220055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8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7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42Preservation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46Preservation of non-alcoholic beverages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 A23L3/1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while they are progressively transported through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종 음료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열에 의한 살균시간이 현저히 차이나는 다른 종류의 음료들을 호환하여 살균 가능하므로 장치의 추가 설치에 따른 설치비용과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열교환용 유체가 수용된 내부공간을 구비한 살균기; 상기 살균기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용 유체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살균기의 내부공간을 경유하여 음료를 이송하는 음료 이송관;을 포함하며, 상기 음료 이송관은 복수 구비되며, 복수의 음료 이송관 각각은 상기 살균기의 내부공간을 경유하는 길이를 달리하여 그 내부에서 이송되는 음료에 대한 가열시간을 차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nd since it is possible to sterilize compatible beverages with different types of beverages having significantly different sterilization times by heating, the installa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according to the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apparatu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rilizer hav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heat exchange fluid is accommodated; a heater installed in the sterilizer to heat the heat exchange fluid; and a beverage transport pipe for transporting a beverage via the internal space of the sterilizer, wherein the beverage transport pipe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everage transport pipes has a different length passing through the internal space of the steriliz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time for the beverage transferred from the inside can be differentiated.

Description

음료의 특성별로 가열시간과 가열관 길이를 달리하는 다종 음료 살균장치{VARIOUS BEVERAGE STERILIZERS THAT VARY THE HEATING TIME AND LENGTH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VERAGE}A multi-beverage sterilizer that varies the heating time and heating tube lengt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열에 의한 살균시간이 현저히 차이나는 다른 종류의 음료들을 호환하여 살균 가능하므로 장치의 추가 설치에 따른 설치비용과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sterilization device, and in particular, since it is possible to sterilize different types of beverages with significantly different sterilization times by heating,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due to the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device. It is about a sterilizer.

일반적으로, 커피는 볶아서 일정크기로 분쇄시킨 후 이를 여과재에 담은 상태에서 그 위에 뜨거운 물을 부어 만드는 드립커피 또는 커피 원두를 곱게 갈아 압축한 원두가루에 뜨거운 물을 고압으로 통과시켜 추출한 에스프레소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최근에는 잘게 분쇄한 원두에 상온의 물 또는 냉수를 7~10시간가량 떨어뜨려 장시간 천천히 추출하는 콜드브루(Cold Brew) 방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In general, coffee is roasted and ground to a certain size, then drip coffee made by pouring hot water over it in a filter medium, or espresso extracted by passing hot water through high-pressure ground coffee beans that are finely ground and compressed. 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cold brew method, in which water or cold water at room temperature is dropped for 7 to 10 hours on finely ground coffee beans, and extracted slowly for a long time, is on the rise.

콜드브루는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장시간에 걸쳐 우려낸 커피로서, 제조 방식은 전용 기구에 분쇄한 원두를 넣고 찬물 또는 상온의 물에 짧게는 4~6시간, 길게는 8~24시간 정도 우려내 커피 원액을 점적식 방식과 침출식 방식으로 추출하며, 점적식은 용기에서 우려낸 커피가 한 방울씩 떨어지게 하는 방식이고, 침출식은 용기에 분쇄한 원두와 물을 넣고 10~12시간 정도 실온에서 숙성시킨 뒤 찌꺼기를 걸러내 원액을 추출하는 방식이다.Cold brew is coffee brewed for a long time using cold or room temperature water. The coffee extract is extracted by the drip method and the leaching method. The drip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brewed coffee drips from the container one by one. It is a method of extracting the undiluted solution by filtering the residue.

이러한 콜드브루는 오랜 시간에 걸쳐 추출하기 때문에 뜨거운 물로 짧은 시간에 추출한 일반 커피에 비하여 쓴맛이 덜하며 순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원두의 분쇄 정도, 물의 맛, 추출 시간이 콜드브루의 품질을 크게 좌우하게 된다. 추출된 커피 원액은 밀봉해서 냉장 보관하는데, 하루 이틀 정도 저온 숙성하면 풍미가 더 살아난다. 원액을 그대로 마시는 것보다는 입맛에 따라 우유나 시럽 또는 물을 타서 희석하거나 얼음을 넣고 마시는 것이 일반적이다.Since this cold brew is extrac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has less bitterness than regular coffee extracted with hot water in a short time,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mild and soft. quality will be greatly affected. The extracted coffee juice is sealed and stored in the refrigerator, and if it is aged at a low temperature for a day or two, the flavor will be more vivid. Rather than drinking the undiluted solution as it is, it is common to dilute it with milk, syrup, or water or add ice to drink according to your taste.

최근에는 이와 같은 더치커피를 추출하여 상품화하기 위한 장치들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98674호는 더치식 커피 추출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11850호는 대용량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Recently, efforts are being made to develop devices for extracting and commercializing such Dutch coffee. 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398674 discloses a Dutc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711850 discloses a large capacity Dutc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하지만, 이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커피를 가열하여 대장균 등의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장치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만 하는데, 추출하는 커피의 종류가 달라지면서 살균시간에 차이가 많은 경우에는 살균장치를 호환하여 사용하지 못하고 새로운 살균장치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is prior art, a sterilization device for sterilizing bacteria such as E. coli by heating coffee must be additionally installe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new sterilizer had to be additionally installed.

더욱이 커피가 아니고 양파즙과 같이 살균시간이 배 이상 요구되는 즙 종류의 음료의 경우에는 더 오랜 시간 가열하기 위하여 살균장치를 새로 마련해야만 하였다. 그러다보니 살균장치 추가 설치에 따른 비용과 유지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Moreover, in the case of juice-type beverages that require more than double the sterilization time, such as onion juice, not coffee, a new sterilization device had to be provided to heat i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s a result, the cost of installing additional sterilizers and maintenance costs were inevitably excessive.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614812호(2016.04.1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614812 (2016.04.1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에 의한 살균시간이 현저히 차이나는 다른 종류의 음료들을 호환하여 살균 가능하므로 장치의 추가 설치에 따른 설치비용과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erilize different types of beverages having significantly different sterilization times by heating, so that the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device is possib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beverage sterilizer capable of significantly reducing cost and maintenance cos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로서, 열교환용 유체가 수용된 내부공간을 구비한 살균기; 상기 살균기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용 유체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살균기의 내부공간을 경유하여 음료를 이송하는 음료 이송관;을 포함하며, 상기 음료 이송관은 복수 구비되며, 복수의 음료 이송관 각각은 상기 살균기의 내부공간을 경유하는 길이를 달리하여 그 내부에서 이송되는 음료에 대한 가열시간을 차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ulti-beverage sterilizer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beverage sterilizer capable of sterilizing different types of beverages, comprising: a sterilizer hav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heat exchange fluid is accommodated; a heater installed in the sterilizer to heat the heat exchange fluid; and a beverage transport pipe for transporting a beverage via the internal space of the sterilizer, wherein the beverage transport pipe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everage transport pipes has a different length passing through the internal space of the sterilizer. It is characterized in its technical configuration to be able to differentiate the heating time for the beverage transported from the inside.

여기서, 상기 복수의 음료 이송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음료를 이송시키면서 가열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heat sterilization is performed while transferring the beverage by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또한, 상기 복수의 음료 이송관을 통해 서로 다른 음료를 동시에 이송시키면서 가열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heat sterilization while simultaneously transferring different beverages through the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또한, 상기 복수의 음료 이송관은 상기 살균기 내부공간에서 코일링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살균기 내부공간을 경유하는 길이가 긴 것에서 짧은 것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좌우 폭과 높이가 작은 원통형이 되면서 내측으로 포개어진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are formed in a coiled cylindrical shape in the sterilizer inner space, and as the length passing through the sterilizer inner space becomes short from long to short, the left and right width and height are relatively small cylindrically and overlapped insid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gin.

또한, 상기 살균기의 유입측과 유출측에는 복수의 음료 이송관들이 연결되는 분배기가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음료 이송관에 의한 음료의 이송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dispenser to which a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are connected is installed on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of the sterilizer so that a transport path of the beverage by the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tubes can be selected.

또한, 상기 살균기는 일렬로 복수 배치되고, 각 살균기마다 복수의 음료 이송관들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 경유하도록 하여, 각각의 살균기 유입측과 유출측에 설치된 분배기들에 의해 음료의 이송 경로를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sterilizers are arranged in a line, and a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for each sterilizer have different lengths and pass through, so that a beverage transfer path is selected by the distributors installed on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of each sterilize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mbined.

또한, 상기 살균기를 우회하여 상기 분배기와 냉각기를 직접 연결하는 우회배관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bypass pipe that bypasses the sterilizer and directly connects the distributor and the cooler is further installed.

한편, 본 발명의 커피 제조시스템은, 분말 상태의 커피원두로부터 액상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추출장치와, 상기 커피 추출장치에서 추출된 액상커피를 살균의 대상이 되는 음료로 하여 살균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종 음료 살균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커피 추출장치는, 하면이 액상커피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메시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상면을 통해 분쇄된 분말 상태의 커피원두를 받아서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추출 카트리지; 상기 추출 카트리지에 분말 상태의 커피원두를 공급하는 커피 공급부; 상기 추출 카트리지에 커피원두가 공급되면 상기 추출 카트리지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하여 상기 추출 카트리지에 수용된 커피원두를 가압하여 다져주는 다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다짐부재는 상기 커피원두에 대한 접촉면이 하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추출 카트리지에 수용된 커피원두를 다져주는 동시에 커피원두 상면에 오목한 반구형 홈을 형성시켜주는 커피 다짐부; 커피원두를 수용하고 있는 추출 카트리지의 상면을 기밀하게 덮어주는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를 통해 물과 공기압을 가하여서 상기 추출 카트리지에 수용된 커피원두로부터 액상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추출부; 커피원두 찌꺼기가 배출된 상기 추출 카트리지의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커피 공급부와 상기 커피 추출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추출 카트리지를 상기 커피 공급부에서 상기 커피 추출부로 운반하고 액상커피 추출 후 회수하는 추출 카트리지 운반부; 및 상기 추출 카트리지를 로봇아암의 그리퍼에 의해 그립핑하여 상기 커피 추출부로 운반하기 위해 상기 추출 카트리지 운반부에 장착시켜주고 상기 추출 카트리지 운반부가 회수한 추출 카트리지에 대해서는 거꾸로 뒤집어서 사용된 커피원두의 배출을 유도하고, 이후 상기 세척부로 운반하여 세척되도록 해주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ffee pro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ffee extraction device for extracting liquid coffee from coffee beans in a powder state, and claim 1 to sterilize the liquid coffee extracted from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as a beverage to be sterilized A multi-beverage ster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0, wherein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is made of a mesh so that liquid coffee can pass therethrough and receives and accommodates ground coffee beans through an open top surface. One extraction cartridge to allow; a coffee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dered coffee beans to the extraction cartridge; When coffee beans are supplied to the extraction cartridge, it descends from the upper side of the extraction cartridge and includes a compaction member for pressing and compacting the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 extraction cartridge, wherein the compaction member has a curved surface in which a contact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offee beans is convex downward. a coffee compactor for compacting the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 extraction cartridge and at the same time forming a concave hemispherical groove on the top surface of the coffee beans; a coffee extracting unit having a cover that airtightly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extraction cartridge containing the coffee beans, and extracting liquid coffee from the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 extraction cartridge by applying water and air pressure through the cover; a washing unit for washing by spraying washing water into the extraction cartridge from which coffee bean residues are discharged; an extraction cartridge transport unit installed between the coffee supply unit and the coffee extraction unit to transport the extraction cartridge from the coffee supply unit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and recover after extracting liquid coffee; and the extraction cartridge is gripped by the gripper of the robot arm and mounted on the extraction cartridge transport unit for transport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and the extraction cartridge recovered by the extraction cartridge transport unit is turned upside down to discharge the used coffee beans It is characterized in its technical configuration to include; a grip unit for inducing and then transporting it to the washing unit to be washed.

여기서, 상기 커피 추출부의 커버는 상기 추출 카트리지의 개방된 상면을 기밀하게 덮을 수 있도록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커버의 하측으로 여러 줄기의 물을 넓게 분산해서 뿌려줄 수 있는 샤워헤드와, 고압의 공기압을 공급하는 공압호스가 설치되어 저온의 물과 고압의 공기압을 가하여 커피원두로부터 액상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cover of the coffee extraction unit is installed so as to be liftable so as to cover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extraction cartridge airtightly, and a showerhead capable of widely dispersing and spraying several stems of water to the lower side of the cover, and a high pressure A pneumatic hose for supplying air pressure is installed so that liquid coffee can be extracted from coffee beans by applying low-temperature water and high-pressure air pressure.

또한, 상기 추출 카트리지 운반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된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상단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며 양단부에 각각 상기 추출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된 양팔 회전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양팔 회전부재의 180도 회전에 의해 상기 커피 공급부에서 상기 커피 추출부로, 상기 커피 추출부에서 상기 커피 공급부로 추출 카트리지를 신속히 동시 운반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raction cartridge carrying unit, a base, a lifting body supported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on the base, a rotating body rot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body,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and rot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both ends Each of the two arm rotating members having a mounting groove for mounting the extraction cartridge is provided in each of the arms, and the extraction cartridge is transferred from the coffee supply unit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and from the coffee extraction unit to the coffee supply unit by rotating the arm rotation member by 180 degree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transported at the same time quickly.

본 발명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는, 가열에 의한 살균시간이 현저히 차이나는 다른 종류의 음료들을 호환하여 살균 가능하므로 장치의 추가 설치에 따른 설치비용과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erilize different types of beverages with significantly different sterilization times by heating, so that the installa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according to the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apparatus can be greatly reduced. It's about th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에서 살균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에서 살균기 내부공간에 인입된 음료 이송관들의 형태 및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에서 살균기 내부공간에 인입된 음료 이송관들의 형태 및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에서 살균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에서 살균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종 음료 살균장치가 커피 추출장치의 후측으로 연결되어 커피 제조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피 제조시스템에서 커피 추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피 제조시스템에서 커피 추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피 제조시스템에서 커피 추출장치의 동작 및 작용을 추출 카트리지를 중심으로 살펴본 일련의 참조도
1 is a state diagram of a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erilization unit in the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beverage transfer pipes introduced into the sterilizer internal space in the multi-beverage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beverage transfer pipes introduced into the sterilizer internal space in the multi-beverage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of a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erilization unit in the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ate diagram of a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rilization unit in a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ate diagram of a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implementing a coffee production system in which the multi-beverage steriliz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11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offee extraction device in a coffe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offee extraction device in a coffe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7 are a series of reference views looking at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in the coffe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ing on the extraction cartridge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the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or shown reduced than the actu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schematic configuration.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Meanwhile,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에서 살균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에서 살균기 내부공간에 인입된 음료 이송관들의 형태 및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에서 살균기 내부공간에 인입된 음료 이송관들의 형태 및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1 is a state diagram of a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rilization unit in the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this view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beverage transfer pipes introduced into the sterilizer inner space in the multi-beverage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beverage transfer pipes introduced into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는 살균기(210), 히터(220), 상기 살균기(210)를 서로 다른 길이로 경유하는 복수의 음료 이송관(230A,230B,230C), 분배기(240) 및 냉각기(250)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요구되는 살균시간에 큰 차이가 있는 음료들의 경우에도 호환하여 살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처럼 살균시간에서 큰 차이가 있는 음료들을 하나의 장치에서 살균할 수 있도록 하여 살균장치의 추가 설치에 따른 설치비용과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As shown, the multi-beverage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rilizer 210, a heater 220, a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230A, 230B, 230C passing through the sterilizer 210 at different lengths. ), the dispenser 240 and the cooler 250 as main components are configured to be compatible and sterilizable even in the case of beverages having a large difference in the required sterilization time. The present invention can sterilize beverages having a large difference in sterilization time in one device, so that the installation cost and maintenance cost according to the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sterilize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ach of the components.

상기 살균기(210)는 열교환용 유체(물, 기름 또는 증기 등)를 수용하면서 음료 이송관(230A,230B,230C)을 경유시키는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살균기(210)는 원통 형상의 용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다른 형상을 갖는 것으로 구비되는데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The sterilizer 210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through the beverage transfer pipe (230A, 230B, 230C) while accommodating the heat exchange fluid (water, oil or steam, etc.). The sterilizer 210 is preferably provided as a cylindrical contain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being provided to have a different shape.

상기 히터(220)는 살균기(210) 내부에 설치되어 발열하면서 열교환용 유체를 매체로 하여 음료 이송관(230A,230B,230C) 내부에서 이송되는 음료를 가열한다. The heater 220 is installed inside the sterilizer 210 to heat the beverage transferred inside the beverage transfer pipes 230A, 230B, and 230C by using a heat exchange fluid as a medium while generating heat.

상기 음료 이송관(230A,230B,230C)은 복수 구비되며 복수의 음료 이송관(230A,230B,230C)은 살균기(210)의 내부공간을 경유하는 길이를 달리하여 그 내부에서 이송되는 음료에 대한 가열시간을 차별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에는 음료 이송관(230A,230B,230C)이 살균기(210)의 내부공간에서 어떻게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 경유하는지 구체적인 형태를 보여준다. 상기 음료 이송관(230A,230B,230C)은 살균기(210) 내부공간에서 코일링된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살균기(210) 내부공간을 경유하는 길이가 긴 것에서 짧은 것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좌우 폭과 높이가 작은 원통형이 되면서 내측으로 포개어진 형태로 배치된다. 첨부된 도면의 경우 하나의 예시로서 음료 이송관(230A,230B,230C)이 30M의 길이를 갖는 가장 긴 제1음료 이송관(230A)과, 20M의 길이를 갖는 제2음료 이송관(230B), 10M의 길이를 갖는 가장 짧은 제3음료 이송관(230C)의 3가지 길이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 경우 제1음료 이송관(230A)을 통해 이송되는 음료가 가장 긴 시간 가열 살균되며, 제3음료 이송관(230C)을 통해 이송되는 음료가 가장 짧은 시간 가열 살균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짧은 살균시간이 요구되는 액상 커피와 같은 음료는 10M 길이의 제3음료 이송관(230C)을 통해 이송시켜 살균처리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긴 살균시간이 요구되는 양파즙과 같은 음료는 30M 길이의 제1음료 이송관(230A)을 통해 이송시켜 보다 긴 시간동안 살균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The beverage conveying pipe (230A, 230B, 230C)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beverage conveying pipes (230A, 230B, 230C) are different lengths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sterilizer 210 for beverages transferred therein. Differentiate the heating time. 2 to 4 show a specific form of how the beverage transfer pipes 230A, 230B, and 230C pass through with different lengths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rilizer 210 . The beverage transfer pipes (230A, 230B, 230C) are provided in a coiled cylindrical shape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rilizer 210, and the length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sterilizer 210 is relatively short from long to short. It becomes a small cylindrical shape and is arranged in a form overlapping inside. As an example in the cas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beverage transport pipe (230A, 230B, 230C) is the longest first beverage transport pipe (230A) having a length of 30M, and a second beverage transport pipe (230B) having a length of 20M , was shown to have three lengths of the shortest third beverage transfer pipe (230C) having a length of 10M. In this case, the beverage transferred through the first beverage transfer pipe (230A) is heat-sterilized for the longest time, and the beverage transferred through the third beverage transfer pipe (230C) is heat-sterilized for the shortest time. Therefore, beverages such as liquid coffee requiring a relatively short sterilization time can be sterilized by transferring them through the third beverage transfer pipe 230C of 10M length, and beverages such as onion juice requiring a relatively long sterilization time are It is possible to sterilize for a longer time by transferring it through the first beverage transfer pipe 230A of 30M length.

여기서 살균처리하고자 하는 음료를 복수의 음료 이송관(230A,230B,230C) 중 어느 것을 통해 흐르도록 할 것인지 선택 및 변경하는 역할은 살균기(210) 유입측에 설치되어 음료 이송관(230A,230B,230C)의 유입부(231a,232a,233a)와 연결된 분배기(240)가 한다. 상기 분배기(240)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 살균기(210)를 경유하고 있는 복수의 음료 이송관(230A,230B,230C)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음료가 흐르도록 허용한다. 선택된 음료 이송관(230A,230B,230C)은 개폐밸브(V1,V2)에 의해 음료의 흐름이 허용되고, 선택되지 않는 나머지 음료 이송관(230A,230B,230C)들은 음료의 흐름이 차단된다. Here, the role of selecting and changing which of the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230A, 230B, and 230C will flow the beverage to be sterilized is installed on the inlet side of the sterilizer 210, and the beverage transfer pipes 230A, 230B, The distributor 240 is connected to the inlets 231a, 232a, 233a of 230C). The dispenser 240 has a different length and allows the beverage to flow by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230A, 230B, and 230C passing through the sterilizer 210 . The selected beverage transfer pipe (230A, 230B, 230C) is the flow of the beverage is allowed by the on/off valve (V1, V2), the remaining beverage transfer pipe (230A, 230B, 230C) is not selected, the flow of the beverage is blocked.

한편, 살균기(210) 유출측에 설치된 분배기(240)는 살균기(210)로부터 인출되는 음료 이송관(230A,230B,230C)의 유출부(231b,232b,233b) 중에 어느 것을 통해 음료가 흐르더라도 냉각기(250)에 인입되는 하나의 배관으로 연결하여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ispenser 240 installed on the outlet side of the sterilizer 210 may flow through any of the outlets 231b, 232b, and 233b of the beverage transfer pipes 230A, 230B, and 230C drawn out from the sterilizer 210 . It serves to guide the connection through one pipe introduced into the cooler 250 .

상기 냉각기(250)는 살균기(210)를 경유하면서 가열 살균된 음료를 신속히 냉각시켜 음료 고유의 맛과 향이 보존되도록 해주며, 상기 포장기(260)에서 상품화 작업을 신속히 진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The cooler 250 rapidly cools the heat-sterilized beverage while passing through the sterilizer 210 to preserve the unique taste and flavor of the beverage, and allows the packaging machine 260 to quickly proceed with commercialization.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는 살균기(210)를 다른 길이로 경유하는 복수의 음료 이송관(230A,230B,230C)에 의해 살균시간이 다른 음료들을 살균하기 위한 장치로서 얼마든지 호환 가능하므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생산하는데 따른 추가 설비 부담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As such, the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sterilizing beverages having different sterilization times by a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230A, 230B, 230C) passing through the sterilizer 210 at different lengths. Because it is compatibl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burden of additional equipment for producing different types of beverages.

계속해서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들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Continuing below, a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modifi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에서 살균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5 is a state diagram of a multi-beverag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rilizing unit in a multi-type beverag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는 변형 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분배기(240) 유입측에 연결된 음료 공급관(LP)이 하나만 연결되지 않고 복수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the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verage supply pipe (LP) connected to the inlet side of the dispenser 240 is not connected to one, but a plurality of them are connected compared to the previous embodiment do.

이같은 제1변형실시예는 복수의 음료 공급관(LP)을 통해 서로 다른 음료를 생산하는 복수의 음료 공급처와 각각 연결되도록 한 구성을 가진다. 이처럼 복수의 음료 공급관(LP)에 의해 각각의 음료 공급처와 연결된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음료 공급처 중에서 어느 한 곳으로부터 음료를 공급받은 후 분배기(240)에 의해 살균시간에 적합한 길이를 갖는 음료 이송관(230A,230B,230C)을 선택하여 음료를 흐르도록 허용한다. This first modified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such that it is connec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beverage supply sources for producing different beverages through a plurality of beverage supply pipes (LP).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connected to each beverage supply source by a plurality of beverage supply pipes (LP) as described above, after receiving a beverage from any one of a plurality of beverage supply sources, a beverage transfer pipe having a length suitable for sterilization time by the distributor 240 ( 230A, 230B, 230C) to allow the beverage to flow.

참고로 제1변형실시예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구성들의 경우 변형 전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For reference, in the case of other components not mentioned in the first modified embodiment, since they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in the previous modified embodiment,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에서 살균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7 is a state diagram of a multi-beverag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rilizing unit in the multi-type beverage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는 제2변형 실시예와 비교하여 분배기(240)를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the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enser 240 is removed as compared with the second modified embodiment.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 살균기(210)를 경유하는 복수의 음료 이송관(230A,230B,230C)을 통해 살균시간이 서로 다른 음료를 동시에 이송시키면서 가열 살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heat-sterilized while simultaneously transferring beverages having different lengths and having different sterilization times through a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230A, 230B, and 230C passing through the sterilizer 210 .

도 9는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9 is a state diagram of a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는 변형 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살균기(210)가 일렬로 복수 배치되어, 복수의 음료 이송관(230A,230B,230C)들이 일렬 배치된 각각의 살균기(210)들을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 경유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살균기(210)와 상기 살균기(210)를 서로 다른 길이로 경유하는 복수의 음료 이송관(230A,230B,230C)으로 이루어진 살균유닛이 분배기(240)에 의해 일렬로 연결된 것이라 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terilizers 210 are arranged in a line, compared to the previous embodiment, a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230A, 230B, 230C) Each of the sterilizers 210 arranged in a line have different lengths and pass through them. This can be said that the sterilizer 210 and the sterilizer 210, the sterilization uni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230A, 230B, 230C) passing through the different lengths are connected in series by the distributor (240).

이같은 제3변형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각각의 살균기(210)를 경유하는 복수의 음료 이송관(230A,230B,230C)들을 분배기(240)가 어떻게 선택적으로 연결하느냐에 따라 음료의 이송 경로를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는 다양한 경우 수가 생겨난다. 예컨대 도 9와 같이 각각의 살균기(210)에 대하여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 경유하는 음료 이송관(230A,230B,230C)의 수가 3개라면 분배기(240)에 의해 27가지 경로(3ㅧ3ㅧ3=27)의 조합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is third modified embodiment, a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230A, 230B, and 230C via each sterilizer 210 are selectively connected by the distributor 240 to select and combine the transport path of the beverage. There are a number of different cases that can be done.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beverage transfer pipes 230A, 230B, and 230C passing through each sterilizer 210 with different lengths for each sterilizer 210 as shown in FIG. =27) can be created.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종 음료 살균장치(200)가 커피 추출장치(100)의 후측으로 연결되어 커피 제조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때 다종 음료 살균장치(200)가 살균하는 음료는 상기 커피 추출장치(100)에서 추출된 액상커피를 대상으로 한다. 상기 다종 음료 살균장치(200)는 상기 커피 추출장치(100)에서 추출된 액상커피를 복수의 음료 이송관(230A,230B,230C)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송시키면서 적정 시간동안 살균처리하여 준다. On the other hand, 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implementing a coffee production system by connecting the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rear side of the coffee extraction apparatus 100 . At this time, the beverage sterilized by the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200 is targeted to the liquid coffee extracted by the coffee extraction apparatus 100 . The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200 sterilizes the liquid coffee extracted from the coffee extraction apparatus 100 for an appropriate time while transferring it throug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230A, 230B, and 230C.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피 제조시스템에 대해 상기 커피 추출장치(1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ffee extracting device 100 will be mainly described for the coffe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피 제조시스템에서 커피 추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피 제조시스템에서 커피 추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피 제조시스템에서 커피 추출장치의 동작 및 작용을 추출 카트리지를 중심으로 살펴본 일련의 참조도이다. 11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offee extraction device in a coffe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offee extraction device in the coffe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nd Figure 13 to Figure 17 is a series of reference views looking at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ffee extraction apparatus in the coffe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ing on the extraction cartridg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피 추출장치(100)는 추출 카트리지(180)를 비롯하여, 카트리지 운반부(110), 커피 공급부(120), 커피 추출부(130), 액상커피 이송부(140), 카트리지 그립부(150), 배출부(160), 세척부(170), 커피 다짐부(190)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커피 고유의 맛과 향을 살리면서도 신속한 추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As shown,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100 includes an extraction cartridge 180, a cartridge transport unit 110, a coffee supply unit 120, a coffee extraction unit 130, a liquid coffee transfer unit 140, and a cartridge grip unit. 150, the discharge unit 160, the washing unit 170, and the coffee compactor 190 are included as main components to enable rapid extraction while preserving the unique taste and aroma of coffee.

이같은 커피 추출장치(100)는 커피의 맛과 향을 살리기 위한 콜드브루의 저온추출 방식과 신속한 추출이 가능한 에스프레소 방식의 장점들만을 조합한 새로운 방식의 추출방식을 구현하였다는 점고, 한정적인 좁은 공간에서 액상커피 추출을 비롯하여 추출 카트리지(180)의 세척과 커피원두 찌꺼기의 처리까지 자동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수 있다. This coffee extraction device 100 is that it implements a new extraction method that combines only the advantages of the cold brew cold brew method to preserve the taste and aroma of coffee and the espresso method that enables rapid extraction, and has a limited narrow space. It can be not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utomate the extraction of liquid coffee, washing of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and processing of coffee bean residues.

상기 추출 카트리지(180)는, 도 13의 단면도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하면이 액상커피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메시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상면을 통해 분쇄된 분말 상태의 커피원두를 받아서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원통형 용기 형상을 갖는 부재이다. 상기 추출 카트리지(180)의 본체(181) 상단부 둘레에는 카트리지 운반부(110)의 양팔 회전부재(114) 장착홈(114a,114b)에 장착된 상태로 걸쳐질 수 있도록 돌기라인(182)이 형성된다.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as can be seen through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3, is made of a mesh so that the liquid coffee can pass through, and can receive and accommodate the ground coffee beans through the open upper surface. A member having a cylindrical container shape. A protrusion line 182 is form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81 of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so that it can be hung while being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s 114a and 114b of the rotating member 114 of both arms of the cartridge carrying unit 110 . do.

상기 카트리지 운반부(110)는 커피 공급부(120)와 커피 추출부(130) 사이에 설치되어 추출 카트리지(180)를 커피 공급부(120)에서 커피 추출부(130)로 운반하고 다시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카트리지 운반부(110)는, 베이스(111)와, 상기 베이스(111)에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된 승강체(112)와, 상기 승강체(112)의 상단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113)와, 상기 회전체(113)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며 양단부에 각각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장착홈(114a,114b)이 형성된 양팔 회전부재(114)를 구비한다. The cartridge transport unit 110 is installed between the coffee supply unit 120 and the coffee extraction unit 130 to transport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from the coffee supply unit 120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30 and to recover it again. do. The cartridge carrying unit 110 includes a base 111, an elevating body 112 supported so as to be elevated on the base 111, and a rotating body rot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body 112 ( 113) and a rotating member 114 for both arm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113, rot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having mounting grooves 114a and 114b in which the cartridges are mounted, respectively, at both ends.

이같은 카트리지 운반부(110)에서 양팔 회전부재(114)의 구성에 주목할 수 있는데, 상기 양팔 회전부재(114)는 180도 회전에 의해 커피 공급부(120)에서 커피 추출부(130)로, 커피 추출부(130)에서 커피 공급부(120)로 두 개의 추출 카트리지(180)를 동시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양팔 회전부재(114)를 구비한 구성에 따르면 커피 추출부(130)에서 추출 카트리지(180)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는 동안 반대편에서는 사용된 추출 카트리지(180)를 세척하고 새로운 커피원두를 공급하는 준비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It can be noted the configuration of the arm rotating member 114 in the cartridge carrier 110, the arm rotating member 114 is rotated 180 degrees from the coffee supply unit 120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30, coffee extraction This is to enable the simultaneous transport of the two extraction cartridges 180 from the unit 130 to the coffee supply unit 120 .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provided with the rotating member 114 for both arms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coffee is extracted by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in the coffee extraction unit 130, the opposite side washes the used extraction cartridge 180 and supplies new coffee beans.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preparatory work at the same time.

상기 커피 공급부(120)는, 추출 카트리지(180)에 분말 상태의 커피원두를 공급한다. 상기 커피 공급부(120)는 도 11에서는 생략되었고, 도 12에는 은선으로 간단히 도시되었다. 상기 커피 공급부(120)는 분말 상태의 커피원두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용기(121)와, 공급부 레일(123)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추출 카트리지(180)의 상측에서 추출 카트리지(180)로 커피원두를 공급하는 커피원두 공급기(122), 상기 저장용기(121)와 공급기(122)를 연결하여 커피원두를 이송시켜주는 플렉시블한 이송호스(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같은 커피 공급부(120)의 구성은 추출 카트리지(180)에 분말 상태의 커피원두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The coffee supply unit 120 supplies coffee beans in a powder state to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 The coffee supply unit 120 is omitted in FIG. 11 , and is simply illustrated by a hidden line in FIG. 12 . The coffee supply unit 120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storage container 121 storing the coffee beans in the powder state and the supply unit rail 123, so that the coffee is transferr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to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A coffee bean supply unit 122 for supplying coffee beans, and a flexible transfer hose 124 for transferring coffee beans by connecting the storage container 121 and the supply unit 122 are included. The configuration of the coffee supply unit 120 can be changed as long as it can smoothly supply powdered coffee beans to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

상기 커피 추출부(130)는 Z축 스테이지(131)를 따라 승강하면서 커피원두를 수용하고 있는 추출 카트리지(180)의 상면을 기밀하게 덮어주는 커버(132)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132)를 통해 물과 공기압을 가하여서 상기 추출 카트리지(180)에 수용된 커피원두로부터 액상커피를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132)는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하측으로 여러 줄기의 물을 넓게 분산해서 뿌려줄 수 있는 샤워헤드(136)와, 고압의 공기압을 공급하는 공압호스(135)가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저온의 물과 고압의 공기압을 추출 카트리지(180) 내부에 수용된 커피원두에 가하면서 액상커피가 추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샤워헤드(136)는 중간에 가압펌프(133)가 설치된 물공급호스(134)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샤워헤드(136)를 통해 분사되는 물의 온도는 1 내지 25℃의 저온이며, 공압호스(135)에 의해 가해지는 공기압은 10bar에서 최대 20bar 정도의 고압이다. 이는 단순히 저온의 물을 뿌리면서 시간을 두고 침출시키는 콜드브루의 저온추출 방식이나 고온의 증기를 고압으로 가하는 에스프레소 방식과 달리 저온추출에 의해 커피 고유의 맛과 향을 살리면서도 액상커피를 신속히 추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분명한 장점이 있다. The coffee extraction unit 130 includes a cover 132 that airtightly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accommodating coffee beans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Z-axis stage 131, It serves to extract liquid coffee from the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by applying water and air pressure through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 To this end, the cover 132 is a shower head 136 that can widely disperse and spray several stems of water downward as shown in FIG. 15, and a pneumatic hose 135 for supplying high-pressure air pressure passes through it. It can be installed as a liquid coffee to be extracted while applying low-temperature water and high-pressure air pressure to the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The shower head 136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hose 134 in which a pressure pump 133 is installed in the middle to receive water and spray it. Her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prayed through the showerhead 136 is a low temperature of 1 to 25° C., and the air pressure applied by the pneumatic hose 135 is a high pressure of 10 bar to a maximum of 20 bar. Unlike the low-temperature extraction method of cold brew, which leaches over time while simply spraying low-temperature water, or the espresso method, which applies high-temperature steam at high pressure, it is possible to quickly extract liquid coffee while preserving the unique taste and aroma of coffee by low-temperature extraction. There are clear advantages to being able to

상기 액상커피 이송부(140)는 커피 추출부(130)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커피 추출부(130)에 의해 추출 카트리지(180)에서 추출되는 액상커피를 받아내는 커피 리저브(141))(reservoir)와 상기 커피 리저브(141)의 하측으로 연결된 액상커피 이송관(143) 및 이송펌프(142)를 구비한다. The liquid coffee transfer unit 140 is installed below the coffee extractor 130, and receives the liquid coffee extracted from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by the coffee extractor 130. Coffee reserve 141) (reservoir) and a liquid coffee transfer pipe 143 and a transfer pump 142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ffee reserve 141 .

상기 카트리지 그립부(150)는 추출 카트리지(180)를 로봇아암의 그리퍼(155)에 의해 그립핑할 수 있으며, 추출 카트리지(180)를 양팔 회전부재(114)에 장착시켜주고 양팔 회전부재(114)가 회수해온 추출 카트리지(180)에 대해서는 거꾸로 뒤집어서 사용된 커피원두의 배출을 유도한다. 이후 추출 카트리지(180)를 세척부(170)로 운반하여 세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카트리지 그립부(15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레일(151)을 따라 이동하면서 추출 카트리지(180)에 대한 그리핑, 수직이동 및 수평이동, 상하회전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로봇아암을 구비하는데, 상기 로봇아암은 가이드레일(15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이동체(153), 상기 전후이동체(153)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며 좌우 간격을 좁히고 넓힐 수 있도록 설치된 한 쌍의 아암(154), 상기 아암(154)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추출 카트리지(180)를 그립핑할 수 있도록 한 한 쌍의 그리퍼(155)와 상기 아암(154)의 선단부에서 그리퍼(155)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해주는 회전체(1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체(156)에 의해 그리퍼(155)가 회전하면 그리퍼(155)가 그립핑하고 있는 추출 카트리지(180)를 뒤집을 수 있다. The cartridge grip part 150 can grip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by the gripper 155 of the robot arm, and mounts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to the arm rotation member 114 and the arm rotation member 114.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that has been recovered is turned upside down to induce discharge of the used coffee beans. Thereafter,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is transported to the washing unit 170 to be washed. To this end, the cartridge grip unit 150 is moved along the guide rail 151 as shown in FIGS. 11 and 12 to enable gripping,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and vertical rotation operation for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A robot arm is provided, wherein the robot arm is a front-rear moving body 153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151, and a pair of movable bodies 153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movable body 153 and are installed so as to narrow and widen the left and right intervals. Arm 154, a pair of grippers 155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arm 154 to grip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and the gripper 155 can be rotated at the distal end of the arm 154 It comprises a rotating body 156 for supporting so as to do so. When the gripper 155 is rotated by the rotating body 156,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gripped by the gripper 155 can be turned over.

상기 배출부(160)는 상기 카트리지 그립부(150)에 의해 추출 카트리지(180)가 뒤집어지면 그 하측에서 커피원두 찌꺼기 덩어리를 받아내는 바스켓으로 간단히 구비된다. 그리고 여기에 더해 바스켓으로부터 커피원두 찌꺼기를 자동으로 배출하기 위한 추가적인 설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160 is simply provided as a basket that receives the coffee bean grounds from the lower side when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is turned over by the cartridge grip unit 150 . And in addition to this, an additional facility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coffee bean grounds from the basket may be made.

상기 세척부(170)는 커피원두 찌꺼기가 배출된 추출 카트리지(180)의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남아 있는 찌꺼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척부(170)에는 카트리지 그립부(150)에 의해 뒤집어진 추출 카트리지(180)에 세척수를 분산된 형태로 고압 분사하는 스프링클러 타입의 세척수 분사노즐(173)이 구비된다.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173)은 수직레일(171)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승강체(172)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처음에는 하강한 상태에 있다가 추출 카트리지(180)가 뒤집어진 상태로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승한 후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추출 카트리지(180)의 내부를 세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추출 카트리지(180) 내부에 남아 있던 커피원두 찌꺼기 잔존물(RC4)이 깨끗하게 제거된다. 상기 세척수 분사노즐(173)은 세척수를 분사하는 기능에 더해 송풍 기능까지 겸하도록 하여 세척수 분사 후 송풍하여 추출 카트리지(180)를 신속히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washing unit 170 serves to remove the remaining residues by spraying washing water into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from which the coffee bean residues are discharged. The washing unit 170 is provided with a sprinkler-type washing water spray nozzle 173 that high-pressure sprays the washing water in a dispersed form to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turned over by the cartridge grip unit 150 . 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 173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elevating body 172 installed so as to be elevated along the vertical rail 171, is initially in a lowered state, and then is in a position where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is turned upside down. When positioned, the inside of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is washed while spraying washing water after rising. In this process, as shown in FIG. 6 , the coffee bean residues RC4 remaining inside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are cleanly removed. 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 173 serves as a blowing function in addition to the washing water spraying function, so that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can be dried quickly by blowing the washing water after spraying.

상기 커피 다짐부(190)는 추출 카트리지(180)에 커피원두가 공급되면 추출 카트리지(180)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하여 추출 카트리지(180)에 수용된 커피원두를 가압하여 다져주는 다짐부재(193)를 구비한다. 상기 다짐부재(193)는 커피원두에 대한 접촉면이 하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도 14 및 도 1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추출 카트리지(180)에 수용된 커피원두를 다져주는 동시에 다져진 커피원두 상면에 오목한 반구형 홈(RH1)을 형성시켜 준다. 이처럼 다져진 커피원두 상면에 오목한 반구형 홈(RH1)이 형성되면 액상커피 추출을 위해 물을 내리고 공기압을 가했을 때 내려진 물이 공기압에 의해 곧바로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고 오목한 반구형 홈(RH1)에 의해 커피원두 중앙부로부터 균일하게 침투하면서 커피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다짐부재(193)는 좌우방향으로 설치된 레일(194)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실린더(191) 하단부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로써 추출 카트리지(180)에 수용된 커피원두를 상면에서부터 하강하여 다질 때 회전동작에 의해 반구형의 홈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When coffee beans are supplied to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the coffee compactor 190 descends from the upper side of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and presses and compacts the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A compacting member 193 is provided. do. The compaction member 193 has a downwardly convex curv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ffee beans to compact the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as seen in FIGS. A groove (RH1) is formed. When a concave hemispherical groove (RH1)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chopped coffee beans, when water is poured down and air pressure is applied to extract liquid coffee, the water is not spread directly to the surroundings by the air pressure, but the central part of the coffee bean by the concave hemispherical groove (RH1) It can be said that it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allows the coffee components to be extracted more effectively while uniformly penetrating from the The compaction member 193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191 installed to move along the rails 194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ly, when the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are descended from the upper surface and compacted, a hemispherical groove can be easily formed by the rotational opera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커피 추출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카트리지 그립부(150)의 로봇아암이 세척 완료된 추출 카트리지(180)를 그립핑하여 카트리지 운반부(110)의 양팔 회전부재(114)에 장착하여 준다. First, the robot arm of the cartridge grip unit 150 grips the cleaning cartridge 180 and mounts it on the rotating member 114 of both arms of the cartridge transport unit 110 .

이후, 커피 공급부(120)가 분말 상태의 커피원두(RC1)를 추출 카트리지(180)에 공급한다. 그러면 도 13과 같이 추출 카트리지(180)에 커피원두(RC1)가 수용된 상태가 된다. Thereafter, the coffee supply unit 120 supplies the coffee beans RC1 in a powder state to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 Then, as shown in FIG. 13 , the coffee beans RC1 are accommodated in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

이후, 커피 다짐부(190)의 다짐부재(193)가 도 14와 같이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커피원두(RC1)를 다져주고 그 상면에 오목한 홈(RH1)을 형성시킨다. Thereafter, the compaction member 193 of the coffee compactor 190 rotates and descends as shown in FIG. 14 to compact the coffee beans RC1 and form a concave groove RH1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이후, 커피원두(RC1)가 다져진 상태에서 카트리지 운반부(110)의 양팔 회전부재(114)가 180도 회전하여 추출 카트리지(180)를 커피 추출부(130)로 이동시켜준다. Thereafter, in the state in which the coffee beans RC1 are minced, the rotating members 114 of both arms of the cartridge carrying unit 110 rotate 180 degrees to move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30 .

그러면 커피 추출부(130)는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132)를 하강시켜 추출 카트리지(180)의 상면을 기밀하게 덮어주고, 샤워헤드(136)에 의해 저온의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공압호스(135)에 의해 공기압을 가하여 액상커피를 신속히 추출한다. 이때 1차적으로 사워헤드(136)를 통해 물을 공급하여 커피원두를 적셔주고 나서, 본격적인 추출을 위한 준비가 마쳐지면 여러 차례에 걸쳐 물과 공기압을 가하면서 충분한 정도로 액상커피(RC2)를 추출한다. Then, the coffee extractor 130 lowers the cover 132 as shown in FIG. 15 to airtightl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and supply low-temperature water by the showerhead 136 while simultaneously supplying a pneumatic hose. (135) by applying air pressure to quickly extract liquid coffee. At this time, water is primarily supplied through the sour head 136 to wet the coffee beans, and then, when preparation for full-scale extraction is completed, water and air pressure are applied several times to extract the liquid coffee (RC2) to a sufficient extent. .

이후, 액상커피(RC2) 추출이 완료되면 카트리지 운반부(110)의 양팔 회전부재(114)를 180도 회전하여 사용된 커피원두(RC1)를 담고 있는 추출 카트리지(180)를 간단히 회수한다. 이때 양팔 회전부재(114)의 반대편에는 세척 후 새로운 커피원두를 담고 있는 추출 카트리지(180)가 장착되어 커피 추출부(130)로 운반된다. After that, when extraction of the liquid coffee (RC2) is completed,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containing the used coffee beans (RC1) is simply recovered by rotating the rotating members 114 of both arms of the cartridge carrying unit 110 by 180 degrees. At this time, an extraction cartridge 180 containing new coffee beans after washing is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rm rotating member 114 and transported to the coffee extraction unit 130 .

이후, 카트리지 그립부(150)의 로봇아암이 회수된 추출 카트리지(180)를 그립핑하여 배출부(160)로 이동한 후 도 16과 같이 거꾸로 뒤집어서 사용된 커피원두 덩어리(RC3)를 배출한다. Thereafter, the robot arm of the cartridge grip unit 150 grips the recovered extraction cartridge 180 and moves to the discharge unit 160, and then turns it upside down as shown in FIG. 16 to discharge the used coffee bean mass RC3.

이후 카트리지 그립부(150)의 로봇아암이 거꾸로 뒤집어진 추출 카트리지(180)를 그립핑한 상태로 그대로 세척부(170)로 이동하면 도 17과 같이 세척부(170)의 세척수 분사노즐(173)이 추출 카트리지(180) 내부를 향해 세척수를 고압 분사함으로써 추출 카트리지(180)를 깨끗이 세척한다. 이로써 추출 카트리지(180) 내부에 남아 있던 커피원두 찌꺼기 잔존물(RC4)이 완전히 제거된다.After that, when the robot arm of the cartridge grip unit 150 moves to the washing unit 170 as it is while gripping the upside-down extraction cartridge 180, the washing water spray nozzle 173 of the washing unit 170 moves as shown in FIG.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is cleaned by high-pressure spraying of washing water toward the inside of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 As a result, the coffee bean residues RC4 remaining inside the extraction cartridge 180 are completely remov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s of the following claims.

110: 카트리지 운반부 120: 커피 공급부
130: 커피 추출부 140: 액상커피 이송부
150: 카트리지 그립부 160: 배출부
170: 세척부 180: 추출 카트리지
190: 커피 다짐부 210: 살균기
220: 히터 230: 음료 이송관
240: 분배기 250: 냉각기
110: cartridge carrier 120: coffee supply
130: coffee extraction unit 140: liquid coffee transfer unit
150: cartridge grip unit 160: discharge unit
170: washing unit 180: extraction cartridge
190: coffee compactor 210: sterilizer
220: heater 230: beverage transfer pipe
240: distributor 250: cooler

Claims (10)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한 다종 음료 살균장치로서,
열교환용 유체가 수용된 내부공간을 구비한 살균기; 상기 살균기에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용 유체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살균기의 내부공간을 경유하여 음료를 이송하는 음료 이송관;을 포함하며, 상기 음료 이송관은 복수 구비되며, 복수의 음료 이송관 각각은 상기 살균기의 내부공간을 경유하는 길이를 달리하여 그 내부에서 이송되는 음료에 대한 가열시간을 차별화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음료 이송관은 상기 살균기 내부공간에서 코일링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살균기 내부공간을 경유하는 길이가 긴 것에서 짧은 것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좌우 폭과 높이가 작은 원통형이 되면서 내측으로 포개어진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음료 살균장치.
As a multi-beverage sterilizer capable of sterilizing different types of beverages,
a sterilizer hav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a heat exchange fluid is accommodated; a heater installed in the sterilizer to heat the heat exchange fluid; and a beverage transport pipe for transporting a beverage via the internal space of the sterilizer, wherein the beverage transport pipe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everage transport pipes has a different length passing through the internal space of the sterilizer. To differentiate the heating time for beverages transported from inside,
The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are formed in a coiled cylindrical shap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terilizer, and form a cylindrical shape with relatively small left and right widths and heights as the length passing through the sterilizer internal space becomes shorter from longer to shorter. A multi-beverage steril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a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료 이송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음료를 이송시키면서 가열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음료 살균장치.
The method of claim 1,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heat sterilization while transferring the beverage by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료 이송관을 통해 서로 다른 음료를 동시에 이송시키면서 가열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음료 살균장치.
The method of claim 1,
Multi-beverage steriliz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heat sterilization while simultaneously transferring different beverages through the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기의 유입측과 유출측에는 복수의 음료 이송관들이 연결되는 분배기가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음료 이송관에 의한 음료의 이송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음료 살균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multi-beverage sterilizer, characterized in that a dispenser to which a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are connected is installed on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of the sterilizer to select a transport path of the beverage by the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tub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기는 일렬로 복수 배치되고, 각 살균기마다 복수의 음료 이송관들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 경유하도록 하여,
각각의 살균기 유입측과 유출측에 설치된 분배기들에 의해 음료의 이송 경로를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음료 살균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plurality of the sterilizers are arranged in a line, and a plurality of beverage transfer pipes for each sterilizer have different lengths and pass through,
A multi-beverage steriliz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combine the transport path of the beverage by the distributors installed on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of each steriliz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기를 우회하여 상기 분배기와 냉각기를 직접 연결하는 우회배관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음료 살균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A multi-beverage steriliz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ypass pipe is further installed to bypass the sterilizer and directly connect the dispenser and the cool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40307A 2020-10-27 2020-10-27 Various beverage sterilizers that vary the heating time and length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verage KR1024377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307A KR102437738B1 (en) 2020-10-27 2020-10-27 Various beverage sterilizers that vary the heating time and length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verage
KR1020220014258A KR102434469B1 (en) 2020-10-27 2022-02-03 Coffee manufacturing system with various beverage sterilizers that vary the heating time and length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ver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307A KR102437738B1 (en) 2020-10-27 2020-10-27 Various beverage sterilizers that vary the heating time and length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verag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258A Division KR102434469B1 (en) 2020-10-27 2022-02-03 Coffee manufacturing system with various beverage sterilizers that vary the heating time and length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ve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823A KR20220055823A (en) 2022-05-04
KR102437738B1 true KR102437738B1 (en) 2022-08-30

Family

ID=815837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307A KR102437738B1 (en) 2020-10-27 2020-10-27 Various beverage sterilizers that vary the heating time and length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verage
KR1020220014258A KR102434469B1 (en) 2020-10-27 2022-02-03 Coffee manufacturing system with various beverage sterilizers that vary the heating time and length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verag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258A KR102434469B1 (en) 2020-10-27 2022-02-03 Coffee manufacturing system with various beverage sterilizers that vary the heating time and length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ver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3773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3678B2 (en) * 1989-03-31 1998-10-22 株式会社日阪製作所 Fluid continuous heating steriliz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812B1 (en) 2015-09-30 2016-04-22 드림식품기계공업 주식회사 Coffee steriliz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3678B2 (en) * 1989-03-31 1998-10-22 株式会社日阪製作所 Fluid continuous heating steril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823A (en) 2022-05-04
KR20220056158A (en) 2022-05-04
KR102434469B1 (en) 202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4979B2 (en) Equipment and methods for producing hot or cold liquid and semi-liquid products
KR101963652B1 (en) Espresso and various coffe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790083B1 (en) Water pressure type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coffee
CN102083344B (en) The piston compression soaking object type brewing system of band active brewing mechanism and temporary reservoir
KR200487655Y1 (en) Apparatus for making freshly squeezed orange juice
EP0303135B1 (en) Method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ids in an aseptic or sterile way,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CN101683238B (en) Multifunctional drink extraction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JP4975267B2 (en) Steam extraction equipment
KR101711850B1 (en) Dutc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CN108746125A (en) A kind of empty bottle cleaning and sterilization drying integral machine
KR102437738B1 (en) Various beverage sterilizers that vary the heating time and length of the heating pi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verage
CN102905586B (en) Storable hot water or steam delivery device
KR102437739B1 (en) Hybrid type coffee brewing device for high-volume production
JP2023504704A (en) Cleaning equipment for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KR20130028945A (en) Sterilisation and cleaning method for container
US2475407A (en) Method of sterilizing containers
WO2022002219A1 (en) Extract liqui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container-packaged beverage containing same
JP2007068493A (en) Method and device for extracting palatable raw material
JP2007513652A (en) Beverage production device having an extraction chamber for containing a pad
CN110141114A (en) A kind of device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of auto extractive tea
CN110014010A (en) A kind of bottle washing apparatus for plant tissue culture bottle
KR100668624B1 (en) Medicine herb of extract system
CN109984603A (en) Multi-functional infusing machine
JP2019038571A (en) Heat treatment device for pouch container and conveying device
CN206949468U (en) Orchard Fresh Juice packaging process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