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744A -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이를 위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일회용품 - Google Patents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이를 위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일회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744A
KR20220032744A KR1020200114463A KR20200114463A KR20220032744A KR 20220032744 A KR20220032744 A KR 20220032744A KR 1020200114463 A KR1020200114463 A KR 1020200114463A KR 20200114463 A KR20200114463 A KR 20200114463A KR 20220032744 A KR20220032744 A KR 20220032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o
coffee
vinyl acetate
produ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헌
Original Assignee
이승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헌 filed Critical 이승헌
Priority to KR1020200114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744A/ko
Publication of KR20220032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38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08K11/005Waste materials, e.g. treated or untreated sewage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33Additives activating the degradation of the macromolecular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액상이나 고상의 커피를 추출함에 따라 발생되는 커피 부산물에, 생분해가 가능한 수용성 고분자 수지, 점도 개선제, 방수제, 항균제 및 잔부의 물이 혼합되어 구성된 혼합물로 이루어며, 성분특성에 의해 생분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이를 위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일회용품 {BIO COMPOSITION OF ECO-FRIENDLY, MANUFATURING METHOD THEREFOR AND DISPOSABLE PRODUCTS THEREBY}
본 발명은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이를 위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일회용품에 관한 것으로, 생분해가 가능한 일회용품을 제조하기 위한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이를 위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일회용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화석 자원 및 에너지 고갈 문제, 기후변화협약과 환경규제 강화에 의해 친환경 특성을 지닌 바이오 신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20세기 전반부터 석유화학공업의 진보에 따라 많은 플라스틱이 개발되었으며 각각의 성능을 살려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 생산 및 가공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플라스틱은 공업재료로서의 활용범위도 다양하고 광범위하며, 기능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현대인의 풍요로운 일상생활과 산업발달에 크게 이바지하여 왔다.
반면, 이러한 플라스틱을 사용한 후에 대량으로 발생되는 각종 폐필름, 폼(foam) 제품, 플라스틱 용기 등을 소각하거나 또는 매립해야 하며, 이에 따른 환경호르몬 누출, 맹독성의 다이옥신 함유 폐기물의 불완전연소에 의한 대기오염 발생 등과 같은 심각한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최근들어 카페의 테이크아웃이나 조리식품의 배달이 보편화되면서 빨대나 컵, 그릇이나 접시 및 포장박스 등이 일회용 플라스틱으로 대체됨에 따라 미세플라스틱 등의 환경오염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플라스틱에 의한 환경파괴 우려가 증가됨에 따라서, 화석연료를 베이스로 하는 원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재생자원 중 가장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는 자원인 타피오카, 옥수수, 쌀, 사탕수수 등과 같은 식량자원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제조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20565호(발명의 명칭: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 그를 사용한 플라스틱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에서는 전분, 전분 유도체, 펄프 분말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8177호(발명의 명칭: 생분해성 고분자 및 미세 탄산칼슘을 이용한 생분해성 베이스 레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전분 수지와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베이스 레진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8863호(발명의 명칭: 완전 생분해성 플라스틱 마스터 배치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녹말을 합성하여 형성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마스터 배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일회용품의 원재료는 곡물을 이용한 곡분이나 나무 등을 주재로 하므로 식량자원이 고갈되고, 자연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으며, 제조원가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20565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8177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886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커피를 제조한 후 부산물로 발생되는 커피 부산물을 주재로 하고, 생분해가 가능한 성분이 혼합된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전술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일회용품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전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생분해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일회용품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은, 액상이나 고상의 커피를 추출함에 따라 생성되는 커피 부산물에, 생분해가 가능한 수용성 고분자 수지, 점도 개선제, 방수제, 항균제 및 잔부의 물이 혼합되어 구성된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혼합물은, 커피 부산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 내지 50 중량부의 수용성 고분자 수지, 15 내지 20 중량부의 점도 개선제(전분, 당밀), 3 내지 15 중량부의 방수제, 5 내지 7 중량부의 항균제 및 잔부의 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 수지는 히드록시, 아민, 아미드, 카복실리산, 카복실리산염 및 니트로기를 함유한 고분자로 구성되거나, 이들 고분자들 사이 또는 다른 고분자와의 공중합체 수용성 고분자로 구성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프로필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산), 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메타크릴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메틸메타크릴산염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및 비닐아세테이트-2-에틸헥실메타크릴산염 공중합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도 개선제는 덱스트린, 산화전분, 산소처리전분, 가교전분 및 당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제는 실리콘, 알킬피리디늄할로겐화물, 지르코늄 화합물 및 카르바미드 중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항균제는 산화아연, 은, 황화아연 및 천연 항균 물질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커피 부산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 내지 7 중량부로 혼합되는 상기 산화촉진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산화촉진제는 지방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품 제조방법은, 분말형 커피 부산물에 액상의 수용성 고분자 수지를 혼합하여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수지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수지 혼합물에 분말형 점도 개선제, 방수제 및 항균제를 혼합하는 첨가물 혼합단계; 상기 첨가물이 첨가된 상기 수지 혼합물에 잔부의 물을 혼합하여 혼련하는 혼련단계; 상기 물이 혼합된 상기 수지 혼합물을 가열하여 유동성을 조절하는 가열단계; 상기 가열에 의해 용융된 수지 혼합물을 금형의 캐비티에 주입하는 혼합물 주입단계; 상기 수지 혼합물이 경화되도록 상기 금형을 냉각시켜서 일회용 제품을 성형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된 일회용 제품을 상기 금형에서 취출하는 취출단계; 상기 취출된 일회용 제품을 냉각시키는 냉각단계; 및 상기 냉각된 취출물을 마감처리하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지 혼합물 제조단계 이전에 실시되고, 상기 커피 부산물을 건조하여 130 내지 140 메쉬의 분말로 분쇄하는 커피 부산물 분쇄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첨가물 혼합단계 이전에 실시되며, 점도 개선제와 방수제 및 항균제를 320 내지 350 메쉬로 분쇄하는 첨가제 분쇄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열단계는 상기 수지 혼합물을 47℃ 내지 84℃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단계는 상온에서 서냉으로 상기 금형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취출물을 수냉으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품은 전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됨에 따라 생분해가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액상이나 고상의 커피를 추출함에 따라 발생되는 커피 부산물에, 생분해가 가능한 수용성 고분자 수지, 점도 개선제, 방수제, 항균제 및 잔부의 물이 혼합되어 구성되므로 자연적인 생분해가 가능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조성물로 제조되는 제품들은 사용 후 폐기되어도 생분해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피를 추출한 후 발생되는 커피 부산물이 주재료로 사용되므로 대량으로 발생되는 커피 부산물을 자원으로 다시 재활용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조성물을 용융시켜서 금형을 통해 성형한 후 냉각 및 후처리하여 일회용품을 제조하므로 커피 부산물로 생분해가 가능한 일회용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일회용 젓가락, 숫가락, 접시, 컵, 컵홀더, 빨대 및 포장박스 등 다양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의해 일회용품이 제조되므로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일회용품을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대량으로 소비된 후 폐기되는 일회용품을 친환경 제품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럭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되는 일회용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이를 위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일회용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은, 액상이나 고상의 커피를 추출함에 따라 발생되는 커피 부산물에, 생분해가 가능한 수용성 고분자 수지, 점도 개선제, 방수제, 항균제 및 잔부의 물이 혼합되어 구성된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혼합물은 예컨대, 커피 부산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 내지 50 중량부의 수용성 고분자 수지, 15 내지 20 중량부의 점도 개선제(전분, 당밀), 3 내지 15 중량부의 방수제, 5 내지 7 중량부의 항균제 및 잔부의 물로 구성될 수 있다.
커피 부산물은 커피를 제조한 후 수득되는 부산물로써, 생분해가 가능한 재질이지만 통상 폐기물로 분류되어 폐기되는 물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폐기물을 일회용품으로 재활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커피 부산물은 함수량이 대략 5% 내지 15%의 범위로 건조된 후 130 내지 140 메쉬로 분쇄되어 분말로 제조된다.
수용성 고분자 수지는 예컨대, 히드록시, 아민, 아미드, 카복실리산, 카복실리산염 및 니트로기를 함유한 고분자로 구성되거나, 이들 고분자들 사이 또는 다른 고분자와의 공중합체 수용성 고분자로 구성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프로필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산), 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메타크릴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메틸메타크릴산염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및 비닐아세테이트-2-에틸헥실메타크릴산염 공중합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수용성 고분자 수지는 용해도 및 가교결합성을 위해 분자량이 86,000 내지 185,000이며, 가수분해도가 80% 내지 95%인 물에 잘 녹는 고분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용성 고분자 수지는 예컨대, 물에 잘 녹고, 환경 중에서 분해가 잘되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의 부분 가수분해로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 개선제는 예컨대, 덱스트린, 산화전분, 산소처리전분, 가교전분 및 당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점도 개선제는 접착ㆍ안정성ㆍ점도를 개선한 덱스트린이나 산화전분, 산소처리전분, 가교전분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점도가 높은 가교전분을 제외하고 점도가 낮은 덱스트린이나 산화전분, 산소처리전분은 소량의 접착제를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밀은 조당으로부터 정제당을 제조할 때 부산물로 생기는 것으로, 투명한 담황색을 띠는 점조성의 당액, 폐당밀과는 구별된다. 일반 성분은 수분 20~30%, 당분 60~70%, 회분 5~10%, 기타 5%이다. 주로, 과자나 잼 등의 식용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당밀은 전술한 덱스트린, 산화전분, 산소처리전분 및 가교전분 등의 전분에 소량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 내지 2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제는 예컨대, 실리콘, 알킬피리디늄할로겐화물, 지르코늄 화합물 및 카르바미드 중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수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피 부산물에 혼합되는 다양한 물질에 소수성을 부가할 수 있다.
항균제는 예컨대, 산화아연, 은, 황화아연 및 천연 항균 물질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산화아연과 은 및 황화아연은 물질특성에 의해 항균성을 갖는다, 천연 항균 물질은 피톤치드, 키토산, 프로폴리스, 코코넛유, 종려나무기름, 유채씨유, 피마자유, 땅콩기름, 팜커널유, 옥수수기름, 포도씨유, 헤이즐넛유, 아마씨유, 쌀겨유, 홍화유, 식물 유래 방향유, 계피유, 겨자유 및 정향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커피 부산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 내지 7 중량부로 산화촉진제가 더 혼합될 수 있다. 산화촉진제는 플라스틱 수지 등과 같은 고분자 물질의 분해를 가속화하고 열분해, 광분해 및 자동산화분해를 촉진하도록 지방산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을 이용하여 일회용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분말형 커피 부산물에 액상의 수용성 고분자 수지를 혼합하여 수지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커피 부산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쇄된 분말을 사용한다.(도 1의 S1: 커피 부산물 분쇄단계) 그리고, 고분자 수지는 분말형 커피 부산물을 미도시된 통상의 교반기에 먼저 투입한 후, 커피 부산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 내지 50 중량부가 되도록 투입한 다음, 교반기를 작동시켜서 교반함으로서 수지 혼합물을 제조한다. (도 1의 S11: 수지 혼합물 제조단계)
이어서, 전술한 수지 혼합물에 점도 개선제, 방수제 및 항균제로 이루어진 첨가물을 순차적으로 첨가한 후 교반기로 혼합한다(도 1의 S12: 첨가물 혼합단계) 이때, 첨가물은 320 내지 350 메쉬로 분쇄되어 밀가루보다 입도가 고운 분말로 제조한 후 첨가한다(도 1의 S2: 첨가제 분쇄단계) 첨가물은 혼합 후 분산성을 위해 전수한 메쉬로 분쇄된다. 따라서, 첨가물은 입도 특성으로 인하여 교반시 골고루 분산되며, 수지 혼합물에 침전이 방지된다.
다음, 전술한 바와 가티 첨가물이 첨가된 수지 혼합물에 잔부의 물을 혼합하여 혼련한다.(도 1의 S13: 혼련단계) 이때, 물은 전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8 중량부만 혼합된다. 물은 전체 혼합물의 유동성과 가교성을 조금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투입되는 것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범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이 혼합된 수지 혼합물을 가열하여 유동성을 조절한다.(도 1의 S14: 가열단계) 즉, 수지 혼합물은 가열에 의해 실질적으로 용융된다. 이때, 수지 혼합물은 증발이나 경화 내지 소성변형되지 않도록 47℃ 내지 84℃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용융된 수지 혼합물을 금형의 캐비티에 주입한다.(도 1의 S15: 혼합물 주입단계) 금형은 설정된 일회용품의 형태로 캐비티가 형성된다. 즉, 금형은 예를 들어 캐비티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빨대(1)나 컵(10) 또는 컵홀더(12)나 접시(20), 또는 젓가락이나 포장박스 등의 형상을 갖는다. 수지 혼합물은 캐비티의 내부에 과밀상태로 충전된다.
수지 혼합물의 충전이 완료된 후 금형을 냉각시켜서 일회용 제품을 성형한다.(도 1의 S16: 성형단계) 이때, 금형은 제품의 조직이 치밀하면서 수축동공이나 기포동공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상온에서 서냉으로 냉각시킨다.
그리고, 금형의 냉각이 완료된 후 금형을 개방하여 성형된 일회용품을 취출한다.(도 1의 S17: 취출단계) 이때, 일회용품은 상온에 방치된 저수통으로 취출된다. 따라서, 일회용품은 수냉으로 냉각된다.(도 1의 S18: 냉각단계)
이후, 저수통에서 약 5 내지 10분 후 냉각이 완료되면, 일회용품을 저수통에서 꺼낸 후 파팅라인에 형성된 버(Burr) 등을 제거하거나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하는 등의 후가공을 실시하여 완제품을 완성한다(도 1의 S19: 후처리단계)
이상과 같이 제조된 일회용품은 전술한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로 제조됨에 따라 생분해가 가능한 재질로 제조된다. 이러한 일회용품은 예컨대, 전술한 일회용 젓가락, 숫가락, 빨대(1), 컵(10), 컵홀더(12), 접시(20) 및 포장박스 등 일회용이 가능한 여러 다양한 제품으로 제조되며, 사용 후 폐기될 경우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자연적으로 생분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품은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일회용품은 친환경 성분으로 제조됨에 따라 농작물의 퇴비로 사용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다시 분말로 재가공되어 다시 일회용품으로 재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빨대
10: 컵
12: 컵홀더
20: 접시

Claims (10)

  1. 액상이나 고상의 커피를 추출함에 따라 발생되는 커피 부산물에, 생분해가 가능한 수용성 고분자 수지, 점도 개선제, 방수제 및 항균제가 혼합되어 구성된 혼합물로 이루어진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커피 부산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 내지 50 중량부의 상기 수용성 고분자 수지, 15 내지 20 중량부의 상기 점도 개선제, 3 내지 15 중량부의 상기 방수제, 5 내지 7 중량부의 상기 항균제 및 잔부의 상기 물로 구성된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수지는 히드록시, 아민, 아미드, 카복실리산, 카복실리산염 및 니트로기를 함유한 고분자로 구성되거나, 이들 고분자들 사이 또는 다른 고분자와의 공중합체 수용성 고분자로 구성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프로필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산), 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메타크릴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메틸메타크릴산염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및 비닐아세테이트-2-에틸헥실메타크릴산염 공중합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 개선제는 덱스트린, 산화전분, 산소처리전분, 가교전분 및 당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제는 실리콘, 알킬피리디늄할로겐화물, 지르코늄 화합물 및 카르바미드 중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산화아연, 은, 황화아연 및 천연 항균 물질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부산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 내지 7 중량부로 혼합되는 상기 산화촉진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화촉진제는 지방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8. 분말형 커피 부산물에 액상의 수용성 고분자 수지를 혼합하여 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수지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수지 혼합물에 분말형 점도 개선제, 방수제 및 항균제를 혼합하는 첨가물 혼합단계;
    상기 첨가물이 첨가된 상기 수지 혼합물에 잔부의 물을 혼합하여 혼련하는 혼련단계;
    상기 물이 혼합된 상기 수지 혼합물을 가열하여 유동성을 조절하는 가열단계;
    상기 가열에 의해 용융된 수지 혼합물을 금형의 캐비티에 주입하는 혼합물 주입단계;
    상기 수지 혼합물이 경화되도록 상기 금형을 냉각시켜서 일회용 제품을 성형하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된 일회용 제품을 상기 금형에서 취출하는 취출단계;
    상기 취출된 일회용 제품을 냉각시키는 냉각단계; 및
    상기 냉각된 취출물을 마감처리하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에 의한 일회용품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혼합물 제조단계 이전에 실시되고, 상기 커피 부산물을 건조하여 130 내지 140 메쉬의 분말로 분쇄하는 커피 부산물 분쇄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첨가물 혼합단계 이전에 실시되며, 점도 개선제와 방수제 및 항균제를 320 내지 350 메쉬로 분쇄하는 첨가제 분쇄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열단계는 상기 수지 혼합물을 47℃ 내지 84℃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성형단계는 상온에서 서냉으로 상기 금형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냉각단계는 상기 취출물을 수냉으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에 의한 일회용품 제조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해 생분해가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는 일회용품.
KR1020200114463A 2020-09-08 2020-09-08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이를 위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일회용품 KR202200327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463A KR20220032744A (ko) 2020-09-08 2020-09-08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이를 위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일회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463A KR20220032744A (ko) 2020-09-08 2020-09-08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이를 위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일회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744A true KR20220032744A (ko) 2022-03-15

Family

ID=8081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463A KR20220032744A (ko) 2020-09-08 2020-09-08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이를 위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일회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27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139B1 (ko) * 2023-03-07 2023-08-11 김관수 커피 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565A (ko) 2001-09-01 2003-03-10 드림라이프테크(주)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 그를 사용한 플라스틱 용기 및그의 제조방법
KR20060008863A (ko) 2003-02-25 2006-01-27 사오장 딩 완전 생분해성 플라스틱 마스터 배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8177A (ko) 2006-05-09 2009-01-21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알루미늄-탄화규소질 복합체 및 그 가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565A (ko) 2001-09-01 2003-03-10 드림라이프테크(주)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 그를 사용한 플라스틱 용기 및그의 제조방법
KR20060008863A (ko) 2003-02-25 2006-01-27 사오장 딩 완전 생분해성 플라스틱 마스터 배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8177A (ko) 2006-05-09 2009-01-21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알루미늄-탄화규소질 복합체 및 그 가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139B1 (ko) * 2023-03-07 2023-08-11 김관수 커피 찌꺼기를 이용한 친환경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3158A (ko)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
KR100624914B1 (ko) 천연 미분 재료의 결합제로 사용되는 천연 바인더 및 그 제조방법
KR102111285B1 (ko)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의 제조 방법
CN109485998A (zh) 一种新型可降解的复合塑料及其制备方法
CN104672944A (zh) 秸塑复合型板材的制备方法
KR20220032744A (ko)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이를 위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일회용품
CN101914222A (zh) 生物淀粉基(片材)降解母粒
JP3634937B2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
FR2782999A1 (fr) Materiau biodegradable a base de polymere et de farine cerealiere,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es utilisations
CN102093682A (zh) 一种轻质聚乳酸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054720B1 (ko) 곡물과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즈를 이용한 생분해성 용기 제조용 조성물
AU2021270978A1 (en) Granulate of only natural constitutions; granulate for the manufacture of composable produc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granulate and the products obtained therefrom
KR20050017586A (ko) 플라스틱 분해 촉진용 첨가제 조성물
JP2000273800A (ja) 紙を用いた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566690B (zh) 一种淀粉基可降解生物塑料及其制备方法
CN102241845A (zh) 一种利用废弃物制备的复合材料及制备方法
CN100999608A (zh) 可热塑性加工的小麦麸质蛋白材料的制备方法
CN102153785A (zh) 淀粉基生物降解环保塑料
US20230189861A1 (en) Granulate of only natural constitutions; granulate for the manufacture of composable produc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granulate and the products obtained therefrom
KR101613500B1 (ko) 분해성 바이오 실리콘 원료 조성물, 및 이의 압출성형품
CN109401021B (zh) 一种离子液体改性的生物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743220B1 (ko) 폐펄프를 함유한 합성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819739A (zh) 一种可降解环保购物袋的制备方法
CN113930056A (zh) 一种可降解塑料及其制备方法
KR101245689B1 (ko) 밀기울을 함유하는 식품용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출용기, 일회용품, 시트 및 열성형 트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