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496A -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496A
KR20220031496A KR1020210110814A KR20210110814A KR20220031496A KR 20220031496 A KR20220031496 A KR 20220031496A KR 1020210110814 A KR1020210110814 A KR 1020210110814A KR 20210110814 A KR20210110814 A KR 20210110814A KR 20220031496 A KR20220031496 A KR 20220031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question
expertise
dat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팁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팁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팁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031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4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문가로 활동할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제1 사용자에 대한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제2 사용자로부터 특정 질문이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매칭되는 전문가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Description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Method, device and program for providing Question and Answer service}
본 발명은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정보의 양도 급증하고 있으며, 인터넷을 검색하면 기초적인 정보부터 전문적인 지식까지 방대한 양의 정보가 검색 결과로 출력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터넷 상의 정보들은 작성자의 출처가 불분명하여 정보의 신뢰도가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였을 때, 사용자가 지식, 답변을 원하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실시간으로 연결해줄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현재로서는 이러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3577호, (2019.03.25)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제1 사용자에 대한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제2 사용자로부터 특정 질문이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매칭되는 제1 사용자를 사용자에게 추천해주는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질문 내 키워드들을 분석하여 질문에 대한 제2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사용자들의 제1 전문성 데이터와 매칭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질문에 매칭되는 전문가를 추천해주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사용자가 전문분야 지정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제2 사용자가 직접 질문에 대한 전문분야를 선택하여 답변 대상 제1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전문 분야, 학위, 자격증, 재직 분야 및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제2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질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질문 내에서 전문성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기반으로, 상기 질문에 대한 제2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상기 제2 전문성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의 제1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선택된 제1 사용자(이하, '답변자')를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결하고, 상기 질문을 상기 답변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상위 전문분야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세부 전문분야가 트리 구조로 구성된 전문성 테이블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전문성 테이블 내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각 위치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전문성 포인트를 산출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키워드 각각에 대하여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전문분야가 태그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는,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각각에 대하여 태그된 적어도 하나의 전문분야를 기반으로, 상기 질문에 대한 상위 전문분야 및 적어도 하나의 세부 전문분야를 결정하여 상기 제2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제2 전문성 데이터의 상기 전문성 테이블 내 위치에서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에 대한 제1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답변 대상 답변자를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질문에 대한 상위 전문분야 및 적어도 하나의 세부 전문분야를 결정한 결과, 상기 질문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전문분야 지식이 필요한 융합분야 질문인 경우, 상기 제2 전문성 데이터의 상기 전문성 테이블 내 복수의 위치 각각에서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선택하고, 서로 다른 위치의 상기 제1 전문성 데이터를 갖는 제1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를 융합분야 답변자로 선택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단계 다음에, 상기 제2 사용자와 상기 답변자 단말의 연결을 기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시키며, 상기 질문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여 상기 커뮤니케이션과 상기 질문의 매칭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도가 기 설정된 수준 이하로 산출되는 경우, 상기 답변자의 단말 및 제2 사용자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질문을 출력하거나, 상기 질문에 대한 이벤트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전문분야 지정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질문에 대한 전문분야 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전문분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질문의 상기 전문성 테이블 내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에서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답변 대상을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이 시작하기 이전 또는 답변이 종료된 후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에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질문의 답변에 대한 리워드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및 상기 답변자로부터 답변 공유 동의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답변을 외부 콘텐츠 플랫폼에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1 사용자의 전문 분야, 학위, 자격증, 재직 분야 및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입력 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전문가 관리모듈; 및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질문 내에서 전문성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기반으로 상기 질문에 대한 제2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상기 제2 전문성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의 제1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제1 사용자를 제2 사용자와 연결하고, 상기 질문을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제1 사용자에 대한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제2 사용자로부터 특정 질문이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매칭되는 제1 사용자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질문 내 키워드들을 분석하여 질문에 대한 제2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사용자들의 제1 전문성 데이터와 매칭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질문에 매칭되는 전문가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사용자가 전문분야 지정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제2 사용자가 직접 질문에 대한 전문분야를 선택하여 답변 대상 제1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프로세서가 제2 사용자와 답변자의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문성 테이블의 일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는 제2 사용자의 질문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2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를 영상 통화로 연결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개략도이다.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정보의 양도 급증하고 있으며, 인터넷을 검색하면 기초적인 정보부터 전문적인 지식까지 방대한 양의 정보가 검색 결과로 출력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인터넷 상에서 찾는 정보 대부분은 작성자의 출처가 불분명하여 정보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전문성 또한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아닌 사람이 전문가인척 정보들을 제공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혼란을 일으키는 사건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질문자의 질문에 적합한 전문가를 맞춤형으로 매칭시키고, 질문자와 전문가를 연결해주어 질문자가 질문에 대하여 전문성 있는 답변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아래 실시예에서는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이러한 서비스를 어떻게 제공하는지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명시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로 본인의 전문 분야, 학위, 자격증, 재직 분야 및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전문가로서 등록한 사용자를 의미한다.
제2 사용자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서버/장치로 특정 질문을 업로드하여 답변을 요청하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를 분리하였지만, 제1 사용자 또한 본인이 모르는 분야에 대해서는 질문을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제2 사용자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프로세서(110)가 제2 사용자와 답변자의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전문성 테이블의 일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는 제2 사용자의 질문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2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를 영상 통화로 연결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통신부(120), 데이터베이스(130), 전문가 관리모듈(140), 모니터링 모듈(150)을 포함한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제1 사용자의 단말, 제2 사용자의 단말(30)과 통신하며, 질의응답을 위해서 제1 사용자의 단말과 제2 사용자의 단말(30)을 음성, 영상 또는 채팅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제1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1 사용자의 전문 분야, 학위, 자격증, 재직 분야 및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전문성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30)는 다수의 상위 전문분야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세부 전문분야가 트리 구조로 구성된 전문성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이외에도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명령어, 알고리즘 등이 저장되어 있다.
전문가 관리모듈(140)은 서버에 전문가로 등록한 제1 사용자에 대한 관리를 수행한다.
모니터링 모듈(150)은 질문자(제2 사용자)와 답변자(제2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사용자)가 연결되어 질문에 대하여 토론하는 것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전문가 관리모듈(140)과 모니터링 모듈(150)에 대한 보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10)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서버, 장치 내 구성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컴퓨터, 정보처리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들의 단말(예: 스마트폰,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PC 등)과 유/무선 통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서버로 실시될 수 있다.
이때,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자체적으로 제작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프로세서(110)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전문 분야, 학위, 자격증, 재직 분야 및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S110)
프로세서(110)는 S110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S120)
이때, 전문가 관리모듈(140)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대한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로 입력된 정보에 따라서 제1 사용자의 학위 증명서, 자격증 이미지, 명함 이미지 등을 요청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130)는 다수의 상위 전문분야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세부 전문분야가 트리 구조로 구성된 전문성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프로세서(110)는 S110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의 전문성 테이블 내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각 위치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전문성 포인트를 산출하여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세부 전문분야는 제1 세부 전문분야, 제2 세부 전문분야, 제3 세부 전문분야 등과 같이 더 세부적인 분야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소화기 내과의 전문의인 경우, 프로세서(110)는 제1 사용자의 제1 상위 전문분야를 의료분야로 선택하고, 제1 세부 전문분야를 내과, 제2 세부 전문분야를 소화기 내과로 결정하고, 제1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서 세부 전문분야를 더 선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의 전문분야가 여러 개의 세부 전문분야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110)는 제1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서 복수 개의 세부 전문분야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의 경력, 학위 등을 분석하여 선택된 세부 전문분야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전문성 포인트를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세부 전문분야에 저장된 전문성 포인트는 제1 사용자가 해당 세부 전문분야에 얼마나 전문성이 있는지를 의미할 수 있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2 사용자의 단말(30)로부터 질문을 수신한다. (S130)
S130에서 수신된 질문 내에서 전문성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한다. (S140)
S140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기반으로, 질문에 대한 제2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S150)
데이터베이스(130) 내에서 제2 전문성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를 검색한다. (S160)
제2 사용자의 단말(30)로 S160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의 제1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S170)
일 실시예로,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과 같은 형태로 질문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다수의 키워드 각각에 대하여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전문분야가 태그되어 저장되어 있다.
프로세서(110)는 S140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각각에 대하여 태그된 적어도 하나의 전문분야를 기반으로, 질문에 대한 상위 전문분야 및 적어도 하나의 세부 전문분야를 결정하여 제2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생성된 제2 전문성 데이터를 전문성 테이블에 매칭하여 기 설정된 일치도 이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선택된 제1 전문성 데이터의 제1 사용자를 추천 전문가로 선택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제2 전문성 데이터의 전문성 테이블 내 위치에서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정보를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답변 대상을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제2 전문성 데이터와 제1 전문성 데이터의 세부 전문분야에 대한 일치도와 세부 전문분야의 전문성 포인트를 기반으로 전문가 추천도를 산출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천도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경우,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의 질문과 적합한 제1 사용자가 누구인지 제2 사용자에게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제2 사용자는 전문가 추천도가 제공된 경우 이를 참고하여 제1 사용자를 선택할 수도 있지만, 단말로 제공된 제1 사용자의 각종 정보들을 고려하여 추천된 제1 사용자 중에서 답변 대상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질문에 대한 상위 전문분야 및 적어도 하나의 세부 전문분야를 결정한 결과, 해당 질문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전문분야 지식이 필요한 융합분야 질문인 경우, 제2 전문성 데이터의 복수의 세부 전문분야와 각각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질문에 대한 상위 전문분야 및 적어도 하나의 세부 전문분야를 결정한 결과, 해당 질문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전문분야 지식이 필요한 융합분야 질문인 경우, 제2 전문성 데이터의 전문성 테이블 내 복수의 위치 각각에서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서로 다른 위치의 제1 전문성 데이터를 갖는 제1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사용자를 융합분야 전문가로 선택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로 추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서로 다른 위치의 제1 전문성 데이터를 갖는 제1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서로 다른 위치 각각에서 제1 전문성 데이터를 갖는 복수의 제1 사용자를 전문가로 선택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로 추천하고, 복수의 제1 사용자에게 답변을 얻도록 추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와 동시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사용자는 단말로 제공된 추천된 제1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그 중에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진행할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용자를 답변자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는 프로세서(110)가 산출한 전문가 추천도를 참고하여 질문에 대한 답변자를 선택할 수도 있고, 본인이 직접 추천된 제1 사용자들의 정보를 확인한 후에 질문에 대한 답변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가 제2 사용자의 단말(30)로 제공하는 제1 사용자의 정보는 제1 사용자의 전문 분야, 학위, 자격증, 재직 분야, 이력, 답변 성공 횟수, Thanks의 개수, MBTI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제2 전문성 데이터와 매칭되는 제1 전문성 데이터를 검색한 다음, 매칭되는 제1 전문성 데이터의 답변자의 단말(50)로 질문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2 사용자의 단말(30)로 제2 사용자가 업로드한 질문에 실시간 답변이 가능하다고 수락한 제1 사용자의 리스트를 제2 사용자의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사용자는 제공된 제1 사용자의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용자를 답변자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의 리스트 중에서 답변자를 선택하는 것은 실시간으로 질문에 대한 답변을 받기를 원하는 경우가 해당될 수 있으며, 본인이 원하는 전문가가 제1 사용자의 리스트에 없는 경우에는 프로세서(110)가 S170에서 제공한 추천 전문가의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용자를 답변자로 예약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제2 사용자의 단말(30)로부터 선택된 제1 사용자를 제2 사용자와 연결하고, 질문을 답변자의 단말(50)로 제공한다. (S180)
제2 사용자가 답변자로 선택한 제1 사용자를 아래에서는 답변자로 통칭하도록 한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제2 사용자의 단말(30)로부터 선택된 연결 모드에 따라서 제2 사용자의 단말(30)과 답변자의 단말(50)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영상 통화, 음성 통화, DM(Direct Message) 등과 같은 형태로 제2 사용자의 단말(30)과 답변자의 단말(5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incoming call이 통화 UI 그대로 적용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카메라 스위치, 단말의 화면을 꺼도 연결 상태가 끊어지지 않도록 연결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제2 사용자의 질문을 제2 사용자의 단말(30)과 답변자의 단말(50) 화면에 (일 예로, 화면 상단 영역)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제2 사용자의 단말(30)과 답변자의 단말(50)의 연결 상태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타이머를 세팅하여 제2 사용자의 단말(30)과 답변자의 단말(50) 화면으로 연결 상태의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질문을 단말의 화면으로 표시하고, 연결 상태의 남은 시간을 표시해줌으로써 제2 사용자와 답변자가 질문에 집중하여 토론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연결 단계(S180) 다음에 아래와 같은 프로세스를 더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2 사용자와 답변자 단말(50)의 연결을 기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시키며, 질문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여 커뮤니케이션과 질문의 매칭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S200)
프로세서(110)는 S200에서 산출된 매칭도가 기 설정된 수준 이하인 경우, 답변자의 단말(50) 및 제2 사용자의 단말(30) 중 적어도 하나로 질문을 출력하거나, 질문에 대한 이벤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질문이 일회적으로 출력된 후에 사라진 경우, 프로세서(110)는 질문이 다시 단말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질문이 지속적으로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매칭도가 떨어지는 경우, 질문에 대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이벤트 효과를 제공하여 제2 사용자와 답변자가 다시 질문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S110 내지 S170에서 프로세서(110)가 질문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질문에 대한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한 이후에 자동으로 전문분야를 선택하여 질문에 적합한 제1 사용자를 추천해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로,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전문분야 지정모드를 지원하여 제2 사용자가 직접 질문에 대한 전문분야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2 사용자가 전문분야 지정모드를 선택하면, 재2 사용자의 단말로 질문에 대한 전문분야 정보 입력을 요청한다.
프로세서(110)는 제2 사용자 단말(30)로 입력된 전문분야 정보에 기초하여 질문의 전문성 테이블 내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서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정보를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답변 대상을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문분야 지정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제2 사용자는 질문이 어떠한 전문분야에 속하는지 직접 선택하여 질문에 대한 답변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시작하기 이전 또는 답변이 종료된 후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에 제2 사용자로부터 질문의 답변에 대한 리워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입력 받은 리워드를 질문에 대한 답변의 대가로 답변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질문의 답변에 대한 대가 중의 하나로 제2 사용자가 답변자에게 Thanks를 제공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는 DM 내에서도 Thanks를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질문의 답변에 대한 대가 중의 하나로 제2 사용자가 답변자에게 팁(보상)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서버, 플랫폼에서 자체적으로 운용하는 코인, 포인트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것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위해서 최소 요청 팁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최소 요청 팁이 설정되어 있는 제1 사용자의 경우에는 제2 사용자가 최소 요청 팁을 제공해야지만 해당 제1 사용자를 답변자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고, 제2 사용자 및 답변자로부터 답변 공유 동의가 수신되면, 저장된 답변을 외부 콘텐츠 플랫폼에 공유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진행되는 상태를 녹음하거나 녹화함으로써 답변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답변 공유 동의가 수신되면 제2 사용자 단말(30) 및 답변자 단말(50)로 소유권 설정을 요청하고, 소유권 설정이 완료되면 해당하는 외부 콘텐츠 플랫폼에 답변을 공유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제2 사용자는 답변자와 연결되어 질문에 대한 답변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한 후에 해당 답변자에 대한 평점을 입력할 수도 있고, MBTI와 같은 성격, 성향 후기를 남길 수도 있다.
또한, 제2 사용자는 본인이 답변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한 답변자를 Block 하거나 Report할 수 있고, 반대로 답변자 또한 본인이 답변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한 제2 사용자를 Block 또는 Report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2 사용자가 특정 제1 사용자를 선택하여 DM을 통해 직접 질문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전문가 관리모듈(140)은 기 설정된 시간마다 제1 사용자에게 전문성과 관련된 정보가 업데이트 되었거나 변경된 것이 있는지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문가 관리모듈(140)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제1사용자의 이력이 늘어나는 것을 계산하여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문가 관리모듈(140)은 제1 사용자의 정보 중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전문성이 상승할 수 있는 정보를 체크하고, 기 설정된 시간마다 제1 사용자의 정보를 체크하여 전문성 변동이 예상되는 경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정보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전문성이 상승할 수 있는 정보는 예를 들어, 학위를 수료하였거나 졸업하는 경우, 전문가 관리모듈(140)은 제1 사용자의 전문성이 상승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문가 관리모듈(140)은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입력되는 정보의 업데이트 현황을 분석하여 제1 사용자의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모니터링 모듈(150)은 제2 사용자의 단말(30)과 답변자의 단말(50)이 연결되면, 질문을 위한 제2 사용자와 답변자의 커뮤니케이션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모니터링 모듈(150)의 모니터링 결과, 질문에서 벗어나는 커뮤니케이션이 제1 임계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제2 사용자의 단말(30)과 답변자의 단말(50)로 질문을 다시 출력해주거나, 출력 중인 답변에 특수효과,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10)는 모니터링 모듈(150)의 모니터링 결과, 질문에서 벗어나는 커뮤니케이션이 제1 임계시간보다 긴 제2 임계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연결을 종료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서, 모니터링 모듈(150)은 STT(Speech to text) 기술을 적용하여 질문자와 전문가의 대화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제2 사용자(질문자)가 검증된 전문가에게 질문에 대한 답변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등록되어 있는 제1 사용자는 각자의 정보에 따라 상위 전문분야는 물론 세부적인 전문분야까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10)는 제2 사용자로부터 특정 질문이 수신되면 질문을 분석하여 해당 질문에 최적화되어 있는 전문가를 매칭해주기 때문에, 제2 사용자는 질문의 답변으로 최고의 만족도를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100), 서버의 프로세서(110)는 질문자가 질문 내용을 업로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질문자와 질문 내용에 기반하여 예상 Thanks의 수를 표시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 답변자들로부터 클릭된 좋아요의 개수, 댓글 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질문에 대하여 질문자와 답변자 이외에 해당 질문의 답변이 궁금한 다른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다. (도 8의 "같이 대화해요")
몇몇 실시예에서, 질문자는 다른 사용자의 참여를 수락할 수도 있고, 거절하여 비공개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질문자가 질문 내용을 업로드 하면, 답변자(전문가)가 답변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과 같이 서로 다른 복수의 사용자가 해당 질문의 쓰레드(Thread)에 참여하여 댓글을 작성하고, 질문 내용에 대한 토론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시스템
30: 제2 사용자 단말
50: 답변자 단말
100: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
110: 프로세서
120: 통신부
130: 데이터베이스
140: 전문가 관리모듈
150: 모니터링 모듈

Claims (10)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
    제1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전문 분야, 학위, 자격증, 재직 분야 및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제2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질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질문 내에서 전문성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기반으로, 상기 질문에 대한 제2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상기 제2 전문성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의 제1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선택된 제1 사용자(이하, '답변자')를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결하고, 상기 질문을 상기 답변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상위 전문분야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세부 전문분야가 트리 구조로 구성된 전문성 테이블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전문성 테이블 내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각 위치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전문성 포인트를 산출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키워드 각각에 대하여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전문분야가 태그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는,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각각에 대하여 태그된 적어도 하나의 전문분야를 기반으로, 상기 질문에 대한 상위 전문분야 및 적어도 하나의 세부 전문분야를 결정하여 상기 제2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2 전문성 데이터의 상기 전문성 테이블 내 위치에서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에 대한 제1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답변 대상 답변자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질문에 대한 상위 전문분야 및 적어도 하나의 세부 전문분야를 결정한 결과, 상기 질문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전문분야 지식이 필요한 융합분야 질문인 경우,
    상기 제2 전문성 데이터의 상기 전문성 테이블 내 복수의 위치 각각에서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선택하고,
    서로 다른 위치의 상기 제1 전문성 데이터를 갖는 제1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를 융합분야 답변자로 선택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계 다음에,
    상기 제2 사용자와 상기 답변자 단말의 연결을 기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시키며, 상기 질문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여 상기 커뮤니케이션과 상기 질문의 매칭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매칭도가 기 설정된 수준 이하로 산출되는 경우, 상기 답변자의 단말 및 제2 사용자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질문을 출력하거나, 상기 질문에 대한 이벤트 효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전문분야 지정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질문에 대한 전문분야 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전문분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질문의 상기 전문성 테이블 내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에서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답변 대상을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이 시작하기 이전 또는 답변이 종료된 후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에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질문의 답변에 대한 리워드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및 상기 답변자로부터 답변 공유 동의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답변을 외부 콘텐츠 플랫폼에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1 사용자의 전문 분야, 학위, 자격증, 재직 분야 및 이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입력 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제1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전문가 관리모듈;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질문 내에서 전문성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기반으로 상기 질문에 대한 제2 전문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상기 제2 전문성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문성 데이터의 제1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제1 사용자를 제2 사용자와 연결하고, 상기 질문을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장치.
  10.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0110814A 2020-09-04 2021-08-23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200314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122 2020-09-04
KR20200113122 2020-09-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496A true KR20220031496A (ko) 2022-03-11

Family

ID=8081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814A KR20220031496A (ko) 2020-09-04 2021-08-23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149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577B1 (ko) 2017-09-05 2019-03-29 이재학 질문답변 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577B1 (ko) 2017-09-05 2019-03-29 이재학 질문답변 처리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14321A1 (en) Auto tele-interview solution
CA3163508A1 (en) Pre-chat intent prediction for dialogue generation
US11043136B2 (en) Personality-type training system and methods
KR20220004259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08838A (ko) 가상 면접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Jaeger et al. Automated classification of demographics from face images: A tutorial and validation
US20170212917A1 (en) Online Social Networking System
US11023663B2 (en) Persisting annotations applied to an electronic hosted whiteboard
KR20220031496A (ko) 질의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WO2019227633A1 (zh) 建立用户画像和建立状态信息分析模型的方法和装置
US20220215969A1 (en) Method for recommending continuing education to health professionals based on patient outcomes
KR101890399B1 (ko) 인공지능 로봇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CN114727119B (zh) 直播连麦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10173823A1 (en) Network-based content submission and contest management
US11356393B2 (en) Sharing personalized data in an electronic online group user session
US11630865B2 (en) User reaction based information options
KR102154287B1 (ko) 서비스 인력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
KR20220026378A (ko) 심리 상담사 추천 시스템 및 심리 상담사 추천 방법
KR20220027513A (ko) 심리프로필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3837B1 (ko) 온/오프라인 메디칼 심포지엄 개최 및 운영을 위한 서버의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31279B1 (ko)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
US20230401973A1 (en) Methods, system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evaluation of user knowledge using multiple-choice questions
JP7297355B1 (ja) パーソナライゼーション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パーソナライゼーションシステム
US202103986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intake of patient data
US11989680B1 (en) Systems and methods of facilitating modeling expertise of individu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