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446A - 해외 인플루언서 매칭 및 정산을 통한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외 인플루언서 매칭 및 정산을 통한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446A
KR20220031446A KR1020200113352A KR20200113352A KR20220031446A KR 20220031446 A KR20220031446 A KR 20220031446A KR 1020200113352 A KR1020200113352 A KR 1020200113352A KR 20200113352 A KR20200113352 A KR 20200113352A KR 20220031446 A KR20220031446 A KR 20220031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seas
product
influencer
foreign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고은
Original Assignee
이고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고은 filed Critical 이고은
Priority to KR1020200113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1446A/ko
Publication of KR2022003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외 인플루언서 매칭 및 정산을 통한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 등록된 복수의 업체 정보와 복수의 해외 인플루언서 정보를 기초로 업체 별로 업체의 판매 제품과 연관된 해외 인플루언서를 분석하여 업체와 해외 인플루언서 간을 매칭하는 매칭부와, 해외 인플루언서 측 단말로 해외 인플루언서와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업체의 판매 제품을 목록으로 제공하고 목록 중 선택받은 제품에 대한 제품 판매 링크를 생성하여 안내하는 링크 생성부와, 해외 인플루언서의 SNS 채널 상에 노출된 제품 판매 링크의 접속을 통한 팔로워의 제품 주문이 수신되면, 제품의 오더 확인, 결제 및 배송 처리를 수행하는 오더배송 처리부, 및 제품 판매 링크의 접속을 통한 구매 건에 대해, 업체, 해외 인플루언서, 그리고 시스템 간 수익을 정산하는 수익 정산부를 포함하는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해외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의 제품과 해당 국가의 영향력 있는 인플루언서 간을 매칭하여 해외 인플루언서를 매개로 해당 제품에 대한 원스톱 판매가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해외 인플루언서 매칭 및 정산을 통한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One-stop overseas export platform system using overseas influencer matching and settlement}
본 발명은 해외 인플루언서 매칭 및 정산을 통한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외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의 제품과 해당 국가의 영향력 있는 인플루언서 간을 매칭하여 해외 인플루언서를 매개로 해당 제품에 대한 원스톱 판매가 가능하게 하는 해외 인플루언서 매칭 및 정산을 통한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및 스마트 기기의 등장에 따라 이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비스들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블로그등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가 상용화된 상태이다.
인플루언서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많은 구독자를 보유한 영향력 있는 사람을 뜻한다. 최근 이러한 영향력 있는 인플루언서를 활용하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는 마케팅이 떠오르고 있다.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SNS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요즘 시대에 가장 적합한 마케팅이다. 하지만 허위광고·과대광고의 문제들로 인하여 팔로워가 피해를 입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팔로워 수가 많은 인플루언서를 통한 마케팅 보다는 제품의 컨셉과 잘 맞고 제품을 잘 이해할 수 있으며 타겟 고객과 가장 잘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인플루언서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중소규모 업체의 경우 낮은 자금력과 낮은 브랜드 파워로 인하여 제품의 혁신성에 비하여 해외 진출에는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해외 인플루언서가 가진 영향력을 바탕으로 국내 중소 업체의 해외 판로를 개척해 줄 수 있고 제품의 원스톱 판매까지 지원해 줄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2090822호(2020.03.18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해외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의 제품과 해당 국가의 영향력 있는 인플루언서 간을 매칭하여 해외 인플루언서를 매개로 해당 제품에 대한 원스톱 판매가 가능하게 하는 해외 인플루언서 매칭 및 정산을 통한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 등록된 복수의 업체 정보와 복수의 해외 인플루언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업체 별로 상기 업체의 판매 제품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해외 인플루언서를 분석하여 상기 업체와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 간을 매칭하는 매칭부와,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 측 단말로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와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업체의 판매 제품을 목록으로 제공하고 목록 중 선택받은 제품에 대한 제품 판매 링크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안내하는 링크 생성부와,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의 SNS 채널 상에 노출된 상기 제품 판매 링크의 접속을 통한 팔로워의 제품 주문이 수신되면, 제품의 오더 확인, 결제 및 배송 처리를 수행하는 오더배송 처리부, 및 상기 제품 판매 링크의 접속을 통한 구매 건에 대해, 상기 업체,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 그리고 상기 시스템 간 수익을 정산하는 수익 정산부를 포함하는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링크 생성부는, 상기 목록 중 제품 하나가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되면, URL 및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해당 제품에 대응된 상기 제품 판매 링크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의 화면에 제공하고, 상기 URL 및 QR 코드 생성 시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의 식별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기 등록된 정보로부터 상기 업체의 해당 판매 제품이 매칭 기준에 부합되는지 여부 및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의 팔로워수가 매칭 기준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매칭 승인을 진행하는 승인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인 판단부는, 진출 대상 해외 국가의 대표 쇼핑몰에 등록된 제품들 중 상기 업체의 판매 제품과 연관된 복수의 연관 키워드를 설정 개수 이상 포함한 제품이 검색되는지 여부에 따른 혁신성 점수, 판매 제품의 국내외 인증실적 점수, 국내외 수상실적 점수, 국내 쇼핑몰의 종합후기 점수, 수출 국가 수에 따른 수출실적 점수를 조합하여 종합 점수를 연산하고, 상기 종합 점수가 기준 점수 이상인 경우 매칭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인 판단부는,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 정보에 포함된 해외 인플루언서가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SNS 채널에 대응한 URL을 기초로 각 SNS 채널의 팔로워 수를 확인하여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의 총 팔로워 수를 연산하고, 상기 총 팔로워 수가 기준 수 이상이면 매칭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등록된 복수의 업체 정보와 복수의 해외 인플루언서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를 해당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는 번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부는, 상기 번역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업체와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 간을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부는,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의 SNS 채널 상의 제품 판매 링크를 통한 판매 제품의 특징 정보 및 판매 실적을 고려하여 상기 판매 실적이 우수한 제품의 특징을 학습하여, 해당 특징을 포함한 판매 제품 군을 등록한 업체와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 간을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익 정산부는,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의 SNS 채널 상의 제품 판매 링크를 통해 제품을 구매한 2차 구매자의 결제대금의 일부를 기 설정된 수수료율에 맞추어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에게 정산하고, 상기 2차 구매자의 SNS 채널 상에 재전파된 제품 판매 링크를 통해 제품을 구매한 3차 구매자의 결제대금의 일부를 기 설정 비율로 나누어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 및 상기 2차 구매자에게 분배하되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에게 더 높은 비율을 적용하여 정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외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의 제품과 해당 국가의 영향력 있는 인플루언서 간을 매칭하여 해외 인플루언서를 매개로 해당 제품에 대한 원스톱 판매가 가능하게 하여, 입점 업체에게는 해외 판매 개척의 기회를 주고 인플루언서에게는 SNS 채널을 통한 제품의 홍보 및 판매를 통한 수익 창출과 신규 구독자 유입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 인플루언서 매칭 및 정산을 통한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랫폼 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학습 기반의 매칭 알고리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해외 인플루언서 매칭 및 정산을 통한 원스톱 해외 수출 프로세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 인플루언서 매칭 및 정산을 통한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은 플랫폼 서버(100), 해외 인플루언서 측 단말(이하, 인플루언서 단말)(200) 및 업체 측 단말(이하, 업체 단말)(300)을 포함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인플루언서 단말(200) 및 업체 단말(300)과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혹은 유선과 무선이 결합된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상호 통신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네트워크 접속된 각 단말(200,300)로부터 정보를 등록받고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버(100)는 각종 정보의 등록 및 조회, 회원 가입 등이 이루어지는 모바일 앱(Application) 또는 웹(Web)으로 구현된 서비스 플랫폼(platform)을 네트워크 접속된 사용자 단말(200,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플랫폼은 모바일 앱(App) 또는 웹(Web) 환경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응용 프로그램은 플랫폼 서버(100)에서 운용 또는 제공할 수 있다.
인플루언서 단말(200)은 해외 인플루언서(예: 중국 인플루언서) 측의 단말이고 업체 단말(300)은 해외(예: 중국) 진출하고자 하는 업체(예: 국내 업체) 측 단말을 나타낸다. 각 단말(200,300)은 PC, 데스크탑(Desktop),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노트북(Notebook) 등과 같이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랫폼 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100)는 등록부(110), 승인 판단부(120), 번역부(130), 매칭부(140), 링크 생성부(150), 오더배송 처리부(160), 수익 정산부(170)를 포함한다. 각 부(110~170)의 동작 및 데이터 흐름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등록부(110)는 해외 진출을 희망한 복수의 업체 별로 판매 제품을 포함한 업체 정보를 등록받고, 복수의 해외 인플루언서 별로 인플루언서 단말(200)로부터 SNS 채널 내 주력 홍보 제품을 포함한 해외 인플루언서 정보를 등록받는다.
이러한 등록부(110)는 네트워크 접속된 업체 단말(300) 및 인플루언서 단말(200)로부터 각각 업체 정보와 해외 인플루언서 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업체 단말(300)은 앱 또는 웹을 통하여 플랫폼 서버(100)에 접속하여 업체 정보(예: 업체 기본 정보, 판매 제품 정보 등)을 등록받을 수 있다. 업체 기본 정보로는 상호, 사업장, 사업자 정보, 대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판매 제품 정보로는 예를 들어 제품 코드, 제품명, 제품 카테고리, 제품 이미지, 규격, 설명, 기능, 국내외 인증 실적, 수출 실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플루언서 단말(200)은 앱 또는 웹을 통하여 플랫폼 서버(100)에 접속하여 인플루언서 정보(예: 개인 정보, 운영 중인 적어도 하나의 SNS 채널의 종류 및 채널 링크(URL 주소) 등)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SNS 채널은 개인 채널로서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튜브, 각종 블로그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등록부(110)는 인플루언서 단말(200)로부터 SNS 채널의 주소가 등록되면 해당 SNS 주소의 오픈 API에 연동되어 인플루언서 관련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이때, 해당 인플루언서의 팔로워수, 좋아요나 댓글이 높았던 컨텐츠 종류, 컨텐츠를 통한 홍보 제품 관련 정보 등을 함께 가져올 수 있다.
이렇게 등록된 정보는 추후 매칭 자격을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승인 판단부(120)는 등록부(110)에 등록된 정보로부터 업체의 해당 판매 제품이 매칭 기준에 부합되는지 여부 및 해외 인플루언서의 팔로워수가 매칭 기준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매칭 승인 또는 승인 거부를 진행한다. 즉, 승인 판단부(120)는 등록된 복수의 업체 및 복수의 인플루언서 중에서 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매칭 자격을 가진 업체 및 인플루언서를 판별해 낸다.
승인 판단부(120)는 업체의 해당 판매 제품에 대한 혁신성 점수, 판매 제품의 국내외 인증실적 점수, 국내외 수상실적 점수, 국내 쇼핑몰의 종합후기 점수, 수출 국가 수에 따른 수출실적 점수를 조합하여 종합 점수를 환산하며, 종합 점수가 기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이면 해당 업체의 매칭을 허용할 수 있다.
승인 판단부(120)는 진출 대상이 되는 해외 국가의 대표 쇼핑몰에 기 등록되어 있는 제품들 중에서 업체의 판매 제품과 연관된 복수의 연관 키워드를 설정 개수 이상 포함한 제품이 실제로 검색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혁신성 점수를 연산한다. 즉, 검색되지 않을수록 혁신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혁신성 점수는 해당 제품과 유사한 컨셉의 제품이 해당 국가에 판매되고 있는지 여부와 관련되는 점수로서 키워드를 기반으로 분석되며, 해당 국가에 유사 제품이 없을수록 높은 점수를 갖는다.
여기서, 키워드란 해당 제품에 대한 명칭 또는 제품 기능 설명에 포함된 핵심 키워드 단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명이 인공지능 기저귀라면, 해당 제품의 키워드는 인공지능, 기저귀를 포함할 수 있다.
승인 판단부(120)는 대표 쇼핑몰과 연동하여 키워드를 분석한다. 만일, 해당 제품의 관련 키워드가 3개인 경우, 대표 쇼핑몰에서 3개의 키워드가 모두 포함된 제품이 전혀 검색되지 않았다면, 해당 제품에 대한 혁신성 점수를 기 설정된 최대치로 줄 수 있다. 물론, 키워드 개수가 많을수록 혁신성 점수는 낮아지며, 3개의 키워드를 모두 가진 제품이 검색되었다면 혁신성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제품의 혁신성을 기본 점수(예: 10점) 또는 0점으로 부가할 수 있다.
판매 제품의 국내외 인증(certification) 실적 점수, 국내외 수상 실적 점수, 그리고 수출실적 점수는, 해당 제품에 대한 각종 인증서 획득 수, 수상(예: 발명상, 소비자상 등) 수, 그리고 수출 국가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개수가 기 설정된 기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그 이상부터는 해당 항목에 부가 가능한 최대 점수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상 수가 기준 개수인 5개 이상이면 해당 제품에 대한 수상실적 점수를 최대치로 줄 수 있다.
국내 쇼핑몰의 종합후기 점수는 국내 쇼핑몰의 종합 후기 평점에 비례하여 산정될 수 있다. 종합 후기 평점이 5점 만점에 4점인 경우 종합후기 점수의 최대치의 4/5에 해당하는 점수가 부가될 수 있다. 제품 정보 등록시 국내 쇼핑몰의 판매 링크 정보를 함께 제공할 경우 평점을 자동으로 불러와 점수 환산에 사용할 수 있다.
제품의 혁신성 항목은 나머지 4가지 항목 보다 중요한 척도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점수 환산 시에 혁신성 점수의 비중을 50%로 두고 나머지 4개 항목의 합산 비중을 50%로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혁신성 점수를 100점, 나머지 4개 항목을 각각 25점으로 구성하는 경우, 승인 판단부(120)는 5가지 항목의 점수를 모두 합산 후 2로 나눈 점수(100점 만점)를 기준 점수(80점)와 비교하여, 80점 이상이면 해당 제품이 매칭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업체에 대해 매칭을 승인할 수 있다.
물론, 5가지 항목을 모두 균등한 20점 만점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역시 전체 점수를 합산한 결과(100점 만점)가 80점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매칭의 승인 및 거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승인 판단부(120)는 해외 인플루언서 정보에 포함된 해외 인플루언서가 운영 중인 적어도 하나의 SNS 채널에 대응한 URL을 기초로 각 SNS 채널의 팔로워 수를 확인함으로써, 해외 인플루언서의 총 팔로워 수를 연산하고, 총 팔로워 수가 기준 수 이상이면 해당하는 해외 인플루언서의 매칭을 허용한다. 여기서 팔로워 수란 팔로워 수, 구독자 수, 이웃 수 등을 포괄하는 개념에 해당함은 물론이다.
인플루언서의 매칭 승인 기준을 팔로워 수라고 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플루언서가 가입 시 등록한 본인 SNS 플랫폼의 URL을 기반으로 팔로워 수의 총합이 가입 기준의 팔로워 수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인플루언서에 대한 매칭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번역부(130)는 등록부(110)에 등록된 복수의 업체 정보와 복수의 해외 인플루언서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를 해당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여 각 부에 제공할 수 있다. 번역부(130)는 기존의 번역 플랫폼과 연동할 수 있고 번역기를 내장할 수도 있다. 매칭부(140)는 번역된 정보를 이용하여 업체와 해외 인플루언서 간을 매칭할 수 있다. 물론 번역된 정보는 승인 판단부(120)에도 제공될 수 있다.
매칭부(140)는 등록된 복수의 업체 정보와 복수의 해외 인플루언서 정보를 기초로 각 업체 별로 해당 업체의 판매 제품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해외 인플루언서를 분석하여 업체와 해외 인플루언서 간을 매칭한다. 여기서 물론, 매칭부(140)는 매칭이 승인된 업체와 인플루언서를 대상으로 정보를 분석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영유아 제품은 아기 월령에 따라 제품이 확연히 구분된다. 예를 들어 업체의 판매 제품이 6개월 월령의 영아 제품이라면, 매칭부(140)는 복수의 해외 인플루언서 중 카테고리가 영유아 제품이고 아기 월령대가 일치하는 제품을 주력 홍보 제품으로 등록한 적어도 하나의 인플루언서를 탐색하여 매칭할 수 있다.
매칭부(140)는 제품의 종류나 속성 별로 반드시 매칭되어야 하는 항목과 그렇지 않은 항목을 구분할 수 있으며, 반드시 매칭되어야 하는 항목이 아기 월령이라고 하면, 아기 월령이 매칭되는 업체 제품과 인플루언서 그룹이 생성되고 다시 이 그룹안에서 세부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세부 매칭 시에는 인플루언서의 관련 제품 판매 실적이나 인플루언서가 올린 제품 관련 컨텐츠의 반응도가 반영될 수 있다.
한편, 육아 인플루언서라 하더라도 다양한 카테고리 제품을 홍보할 수 있으며 업로드하는 컨텐츠의 카테고리는 매우 다양할 수 있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관련 제품을 육아 카테고리로 반드시 한정짓지 않는다.
링크 생성부(150)는 매칭부(140)의 매칭 결과를 기초로 해외 인플루언서와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업체의 판매 제품의 목록을 해당하는 인플루언서 단말(200)로 추천 제공하며, 제공된 목록 중 단말(200)로부터 선택받은 제품에 대한 제품 판매 링크를 생성하여 단말(200) 상에 안내한다. 인플루언서는 추천 목록으로부터 관심 있는 제품을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제품을 직접 현물로 무상 제공받거나 정가 혹은 할인가로 구매하여 자신의 SNS 채널을 통해 홍보할 수 있다.
이때, 링크 생성부(150)는 추천 목록 중 제품 하나가 단말(200)에 의해 선택되면, 해당 제품에 대응된 제품 판매 링크를 URL 및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생성하여 단말(200)의 화면에 제공한다.
이때, URL 정보 또는 QR 코드 생성 시에 해외 인플루언서의 고유 식별 정보가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URL 정보와 QR 코드에 삽입되어 생성된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 제품에 대하여 각 인플루언서 별로 서로 다른 QR 코드나 서로 다른 URL이 생성되지만, 해당 링크(QR 코드, ULR) 클릭 시에 실제 이동하는 목적지 사이트(판매 플랫폼 사이트)는 동일하다.
하지만, 링크 정보 내에 해외 인플루언서 식별 정보가 담겨져 있기 때문에, 방문자가 해당 링크의 클릭 및 접속을 통하여 제품을 구매할 경우, 클릭한 링크 정보에 포함된 해외 인플루언서 식별 코드를 바탕으로 해당 방문자가 어떠한 해외 인플루언서를 매개로 제품을 구매하였는지에 관한 제품 구매 경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는 수익 정산 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된다.
해외 인플루언서는 링크 생성부(150)에 의해 제공된 URL 정보 또는 QR 코드를 복사 또는 캡쳐의 방법으로 획득한 후에, 운영 SNS 채널 상에 해당 제품의 홍보 컨텐츠(영상, 텍스트, 이미지 등)를 업로드할 때 붙여넣기 또는 삽입함으로써 제품 판매 링크로 함께 노출시킬 수 있다.
이때, 노출 방법은 해당 SNS 채널의 홍보 영상, 이미지, 후기 블로그 등의 내용 설명 란에 URL 링크의 텍스트, 혹은 QR 코드의 이미지로 제공될 수도 있고, 실시간 영상 혹은 녹화 영상이나 홍보 이미지 상에 직접 삽입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제품 홍보 시에 실시간 채팅을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이후에, 오더배송 처리부(160)는 해외 인플루언서의 SNS 채널 상에 노출된 제품 판매 링크의 접속을 통한 팔로워의 제품 주문이 수신되면, 제품의 오더 확인, 결제 및 배송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오더 확인, 결제, 배송 처리는 팔로워의 유저 단말로부터 입력된 주문 수량, 결제 수단, 금액, 배송지 정보 등을 기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당 URL 정보를 통해 팔로워가 해외로부터의 제품의 오더 및 구매가 가능해진다.
제품 판매 링크의 클릭 시 접속되는 제품 판매 페이지 또는 주문 페이지는 플랫폼 서버(100)에서 제공할 수도 있고 서버(100)와 연동된 별도의 운영 서버 등에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오더배송 처리부(160)는 오더 및 배송 처리 내용을 실제 업체 측 단말(300)로 알릴 수 있다.
여기서 판매 링크 접속들 통한 제품의 주문자는 반드시 해당 해외 인플루언서의 팔로워로 국한되지 않으며, 팔로워가 아닌 상태에서 해당 인플루언서의 SNS 채널을 방문한 자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주문자는 플랫폼 서버(100)에 회원 가입된 상태 또는 비회원 자격으로 플랫폼 상에 접속되어 선택 제품에 대한 주문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플랫폼 서버(100)는 네이버 스토어와 같이 다양한 입점 업체와 계약된 상태로 운영될 수 있다.
수익 정산부(170)는 위와 같이 링크 생성부(150)에 위해 만들어진 제품 판매 링크의 접속을 통한 구매 건 각각에 대해, 업체, 해외 인플루언서, 그리고 시스템(플랫폼 업체) 간 수익을 정산한다. 이를 통헤, 제품 판매에 개입한 업체, 해외 인플루언서, 본 시스템의 서버(플랫폼 업체) 간에 수익 배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수익 정산부(170)는 기존에 계약했던 판매 정산 수수료율과 제품계약 금액에 따라 해외 인플루언서와 업체에게 정산이 되고 남은 차액을 플랫폼 업체(관리 업체)에 정산해줄 수 있다.
수익 정산부(170)는 해외 인플루언서의 SNS 채널 상의 제품 판매 링크를 통해 제품을 구매한 사람인 2차 구매자의 결제대금의 일부를 기 설정된 수수료율에 맞추어 해외 인플루언서에게 정산해주며, 인플루언서의 보다 적극적인 가담을 유도하도록, 2차 구매자의 SNS 채널 상에 재전파된 제품 판매 링크를 통해 제품을 구매한 3차 구매자의 결제대금의 일부를 설정 비율로 나누어 해외 인플루언서 및 2차 구매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이때 해외 인플루언서에게 더 높은 비율을 적용하여 정산할 수 있다.
물론 결제대름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제품 판매 업체, 플랫폼 업체에 분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차 구매자의 재전파를 통해 3차 구매자에게 판매가 성사된 경우에 3차 구매자의 판매 수수료율의 일부가 2차 구매자와 1차 구매자(인플루언서) 모두에게 가도록 세팅됨으로써 판매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매칭부(140)는 데이터 학습을 기반으로 업체와 인플루언서 간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입점 초기에는 인플루언서의 SNS 채널 상의 주력 홍보 제품의 정보를 기반으로 매칭이 수행될 수 있고 이후 업체와 인플루언서 간 매칭을 통하여 실제 제품의 홍보 및 판매가 진행될수록 주력 홍보 제품에 관한 정보는 계속하여 업데이트되고 관련 빅데이터가 누적될 수 있다.
매칭부(140)는 해외 인플루언서의 SNS 채널 상의 제품 판매 링크를 통한 실제 판매 제품의 특징 정보 및 판매 실적을 기초로 판매 실적이 우수한 제품의 특징을 학습하여, 해당 특징을 포함한 판매 제품 군을 등록한 업체와 해당 해외 인플루언서 간을 매칭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인플루언서가 그동안 많이 판매한 제품의 특징을 학습하여 이와 매칭된 업체의 제품의 인플루언서에게 추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학습 기반의 매칭 알고리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빅데이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데이어 수집, 전처리 및 탐색을 수행하고, 인공 지능 플랫폼을 기반으로 데이터 학습, 학습 정확도 테스트 및 학습 기반의 제품 매칭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매칭된 제품의 인플루언서의 판매 실적이 분석되어 실제 판매된 제품데이터가 최신 반영되며, 인플루언서 별 판매 실적이 우수한 제품의 특징(제품 카테고리, 가격대, 국내 후기 평점, 국내외 인증 수, 수출 국가 수, 플랫폼 내 평점)이 실시간 학습되어 매칭 알고리즘에 반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플랫폼 서버(100)는 각 단말(200,30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고 인플루언서와 업체 간 매칭을 수행하여, 매칭된 제품 목록을 인플루언서에게 제공하고 선택된 제품에 대응한 판매 링크 정보를 생성하여 인플루언서에게 안내한다.
이를 통해, 해외 인플루언서의 SNS 채널 상에서 해당 제품의 홍보 활동 및 판매 링크를 제공하도록 하고 채널 방문자들의 판매 링크 접속을 통해 제품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해외 인플루언서 매칭 및 정산을 통한 원스톱 해외 수출 프로세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플랫폼 서버(100)는 각 단말(200,300)을 통하여 인플루언서 및 업체 정보를 등록받고(S1),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각 업체와 인플루언서에 대한 매칭 승인 또는 거부를 심사한다(S2). 이후, 매칭이 승인된 복수의 인플루언서와 복수의 업체를 대상으로 각각의 기 등록된 정보를 분석하여 인플루언서와 업체 간 매칭을 수행한다(S3~S5). 이때, 해당국 언어로의 번역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인플루언서별로 제품의 판매 URL을 생성하여 제공하며(S6), 이를 기반으로 해당 인플루언서의 SNS 채널 상에서 제품의 홍보, 오더 및 배송이 가능하게 한다(S7,S8). 마지막으로 업체, 인플루언서 및 플랫폼 관리 업체 간 수익 배분과 정산이 이루어진다(S9).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단말을 통해 등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해외 진출하고자 하는 업체와 해외 인플루언서 간 매칭을 수행하여 제품과 연관성이 있는 영향력 있는 해외 인플루언서를 통한 제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업체에게는 해외 판매 개척의 기회를 주고 인플루언서에게는 개인에게 맞는 제품을 추천받아 홍보하고 판매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수익 창출 및 신규 팔로워 유입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해외 진출이 어려운 국내 중소기업들의 우수한 혁신 제품들에 대한 해외 판로를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제품과 연관된 해외 인플루언서를 매개로 제품 판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스톱 해외 판매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플랫폼 서버 110: 등록부
120: 승인 판단부 130: 번역부
140: 매칭부 150: 링크 생성부
160: 오더배송 처리부 170: 수익 정산부
200: 인플루언서 단말 300: 업체 단말

Claims (8)

  1. 기 등록된 복수의 업체 정보와 복수의 해외 인플루언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업체 별로 상기 업체의 판매 제품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해외 인플루언서를 분석하여 상기 업체와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 간을 매칭하는 매칭부;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 측 단말로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와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업체의 판매 제품을 목록으로 제공하고 목록 중 선택받은 제품에 대한 제품 판매 링크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안내하는 링크 생성부;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의 SNS 채널 상에 노출된 상기 제품 판매 링크의 접속을 통한 팔로워의 제품 주문이 수신되면, 제품의 오더 확인, 결제 및 배송 처리를 수행하는 오더배송 처리부; 및
    상기 제품 판매 링크의 접속을 통한 구매 건에 대해, 상기 업체,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 그리고 상기 시스템 간 수익을 정산하는 수익 정산부를 포함하는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 생성부는,
    상기 목록 중 제품 하나가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되면, URL 및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해당 제품에 대응된 상기 제품 판매 링크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의 화면에 제공하고,
    상기 URL 및 QR 코드 생성 시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의 식별 정보를 삽입하는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 등록된 정보로부터 상기 업체의 해당 판매 제품이 매칭 기준에 부합되는지 여부 및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의 팔로워수가 매칭 기준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매칭 승인을 진행하는 승인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승인 판단부는,
    진출 대상 해외 국가의 대표 쇼핑몰에 등록된 제품들 중 상기 업체의 판매 제품과 연관된 복수의 연관 키워드를 설정 개수 이상 포함한 제품이 검색되는지 여부에 따른 혁신성 점수, 판매 제품의 국내외 인증실적 점수, 국내외 수상실적 점수, 국내 쇼핑몰의 종합후기 점수, 수출 국가 수에 따른 수출실적 점수를 조합하여 종합 점수를 연산하고,
    상기 종합 점수가 기준 점수 이상인 경우 매칭을 허용하는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승인 판단부는,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 정보에 포함된 해외 인플루언서가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SNS 채널에 대응한 URL을 기초로 각 SNS 채널의 팔로워 수를 확인하여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의 총 팔로워 수를 연산하고,
    상기 총 팔로워 수가 기준 수 이상이면 매칭을 허용하는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 등록된 복수의 업체 정보와 복수의 해외 인플루언서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를 해당 국가의 언어로 번역하는 번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부는,
    상기 번역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업체와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 간을 매칭하는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의 SNS 채널 상의 제품 판매 링크를 통한 판매 제품의 특징 정보 및 판매 실적을 고려하여 상기 판매 실적이 우수한 제품의 특징을 학습하여, 해당 특징을 포함한 판매 제품 군을 등록한 업체와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 간을 매칭시키는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익 정산부는,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의 SNS 채널 상의 제품 판매 링크를 통해 제품을 구매한 2차 구매자의 결제대금의 일부를 기 설정된 수수료율에 맞추어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에게 정산하고,
    상기 2차 구매자의 SNS 채널 상에 재전파된 제품 판매 링크를 통해 제품을 구매한 3차 구매자의 결제대금의 일부를 기 설정 비율로 나누어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 및 상기 2차 구매자에게 분배하되 상기 해외 인플루언서에게 더 높은 비율을 적용하여 정산하는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
KR1020200113352A 2020-09-04 2020-09-04 해외 인플루언서 매칭 및 정산을 통한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 KR20220031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352A KR20220031446A (ko) 2020-09-04 2020-09-04 해외 인플루언서 매칭 및 정산을 통한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352A KR20220031446A (ko) 2020-09-04 2020-09-04 해외 인플루언서 매칭 및 정산을 통한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446A true KR20220031446A (ko) 2022-03-11

Family

ID=80814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352A KR20220031446A (ko) 2020-09-04 2020-09-04 해외 인플루언서 매칭 및 정산을 통한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14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009B1 (ko) * 2022-07-18 2023-01-18 주식회사 대원물산 인공지능 기반 인플루언서 연계 제품 구매 및 판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93777B1 (ko) * 2022-08-03 2023-01-31 주식회사 넘버제로 인공지능 기반 장례식 예약 및 주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05447B1 (ko) * 2023-08-09 2023-11-24 주식회사 브랜즈리퍼블릭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해외 인플루언서 단말에게링크샵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009B1 (ko) * 2022-07-18 2023-01-18 주식회사 대원물산 인공지능 기반 인플루언서 연계 제품 구매 및 판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93777B1 (ko) * 2022-08-03 2023-01-31 주식회사 넘버제로 인공지능 기반 장례식 예약 및 주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05447B1 (ko) * 2023-08-09 2023-11-24 주식회사 브랜즈리퍼블릭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해외 인플루언서 단말에게링크샵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i et al. Assessing and managing e-commerce service convenience
US93428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price setting and facilitation of commercial transactions
TWI549079B (zh) 用於導引內容至一社群網路引擎之使用者的系統及方法
KR20220031446A (ko) 해외 인플루언서 매칭 및 정산을 통한 원스톱 해외 수출 플랫폼 시스템
US20070043583A1 (en) Reward driven online system utilizing user-generated tags as a bridge to suggested links
KR102297669B1 (ko) 제조사 및 유통사 간 연결을 위한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0300934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price setting and facilitation of commercial transactions
KR102006900B1 (ko) 온라인 쇼핑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통합 서버
KR102221227B1 (ko) 공급자 연동과 다국어 지원 기능을 구비한 쇼핑몰 플랫폼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84019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price setting and facilitation of commercial transactions
KR20220115110A (ko) 온라인 프랜차이즈 판매대행 커머스 셀러 시스템
AU2010292908B2 (en) Monetization of interactive networked-based information objects
Xu et al. Determinants of Chinese travellers’ use of mobile payment applications when staying at an overseas hotel
Keikha et al. Design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business-to-consumer models’ map by Fuzzy Delphi Panel
Tarkang et al. Antecedents of customer loyalty in mobil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in Cameroon
KR102499689B1 (ko) 검색 키워드 자동 선별 방법
KR102398338B1 (ko) Ux기반의 중소기업 포털 서비스 시스템
KR20210096936A (ko) 검색 키워드를 이용한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243387B1 (ko)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이사 정보 제공 방법
KR20160040339A (ko)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00097184A (ko) 오픈마켓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패션웹콜렉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Rungvithu et al. A New Study of Conversational Commerce in Thai Urban Office Employees
Berning Alibaba's International Digital Marketing Practices and Strategies
KR102488252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프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35118B1 (ko) 글로벌 온라인 도매 상품 판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