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624A -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 Google Patents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0624A KR20220030624A KR1020200112209A KR20200112209A KR20220030624A KR 20220030624 A KR20220030624 A KR 20220030624A KR 1020200112209 A KR1020200112209 A KR 1020200112209A KR 20200112209 A KR20200112209 A KR 20200112209A KR 20220030624 A KR20220030624 A KR 202200306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 power
- voltage
- inverter
- gri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abstract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Substances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93 encapsu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63 phase shif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20 polyvinyl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BMJWWWQQXIZIP-UHFFFAOYSA-N silicon carbide Chemical compound [Si+]#[C-] HBMJWWWQQXI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271 silicon carb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613 Cd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MASRVWKEDWRBT-UHFFFAOYSA-N Gallium nitride Chemical compound [Ga]#N JMASRVWKEDWRB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은, 발전 전력에 의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레벨을 가변하는 컨버터와,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외부의 부하 또는 계통으로 변환된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인버터와, 컨버터와 인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인버터는,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의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1 출력 전압과 제1 출력 전류를 출력하며,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2 출력 전압과 제1 출력 전류 보다 작은 제2 출력 전류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는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전력변환장치는, 입력되는 전원의 레벨 변환하거나,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이다.
최근, 태양광, 풍력, 조력 등의 재생 에너지에서 생성된 발전 전력을 이용하여,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전력변환장치는 입력 전원을 변환하여 변환된 교류 전원을 계통 등에 출력하는데, 계통과 연결되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계통과 연결이 오프되는 오프 그리드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출력 교류 전원의 레벨 등이 급격히 변화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력전자학회 학술대회 논문집(2010.7)(이하, 선행 문헌이라 함)에는, 계통연계형 연료전지 PCS의 Seamless Transfer를 위한 개선된 3상 간접전류제어 기법이 개시된다.
선행 문헌은, 온 그리드에서 출력 전압과 계통 전압의 위상과 크기 차이를 제어하여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방식을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 문헌에 따른 간접 전류 제어 기법은, 인버터의 출력단에, LCL 필터가 배치되어야 하며, L 필터, LC 필터 또는 필터가 없는 방식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 문헌에 따르면, LCL 필터의 인버터 측 전류가 아닌, 계통 측 전류를 간접적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전류 제어기의 차수가 높아, 제어기 설계가 어려워 제어기 대역폭을 넓게 설계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 문헌에 따르면, 빠른 응답성을 요구하는 오프 그리드시의 단독 운전에는 적합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seamless) 구동을 수행할 수 있는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버터의 출력단에 필터가 없는 경우에,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는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신속하게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는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은, 발전 전력에 의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레벨을 가변하는 컨버터와,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외부의 부하 또는 계통으로 변환된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인버터와, 컨버터와 인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인버터는,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의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1 출력 전압과 제1 출력 전류를 출력하며,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2 출력 전압과 제1 출력 전류 보다 작은 제2 출력 전류를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는,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의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1 출력 전압과 제1 출력 전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2 출력 전압과 제1 출력 전류 보다 작은 제2 출력 전류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 출력 전압의 최대치는 제1 출력 전압의 최대치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는, 인버터에서, 제1 출력 전압이 출력되는 중에, 제1 출력 전압의 최대치의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오프 그리드로 판단하고,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2 출력 전압과 제2 출력 전류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컨버터가 전압 제어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컨버터가 전류 제어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과 동일한 경우, 제1 출력 전압과 제1 출력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작은 경우, 제1 출력 전압 보다 작은 제3 출력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오프 그리드 상태이며,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작은 상태에서, 제3 출력 전압의 최대 레벨이 기준치 보다 작은 경우, 인버터가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의, 오프 그리드의 판단 시점부터 컨버터의 전류 제어 시작 시점 사이의 제1 기간 보다,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과 동일한 경우의, 오프 그리드의 판단 시점부터 컨버터의 전류 제어 시작 시점 사이의 제2 기간이 더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의, 오프 그리드의 판단 시점부터 컨버터의 전압 제어 종료 시점 사이의 제1 기간 보다,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과 동일한 경우의, 오프 그리드의 판단 시점부터 컨버터의 전압 제어 종료 시점 사이의 제2 기간이 더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의 출력단에 커패시터 소자가 배치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은,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 전압 검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출력 전압 검출부에서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계통의 온 그리드 상태 또는 오프 그리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인버터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컨버터 제어를 위한 전류 지령치를 생성하며, 전류 지령치에 기초하여, 컨버터 제어를 위한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인버터의 출력 전압과, 전압 지령치에 기초하여,온 컨버터 제어를 위한 전류 지령치를 생*는 전압 제어기와, 전류 지령치에 기초하여, 컨버터 제어를 위한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컨버터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압 제어기는, 인버터의 재기동시, 인버터 오프 이전의 제1 게인 보다 높은 제2 게인에 기초하여, 컨버터 제어를 위한 전류 지령치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컨버터는,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제1 레그와,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3 스위칭 소자와 제4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제2 레그를 구비하며, 입력되는 직류 전압을 변환하는 풀 브릿지 스위칭부와, 풀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입력측이 접속되는 트랜스포머와, 트랜스포머의 출력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5 스위칭 소자와 제6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제3 레그를 구비하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컨버터는, 트랜스포머와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 사이에 접속되는 공진 인덕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는, 제5 스위칭 소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1 커패시터와, 제6 스위칭 소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트랜스포머의 출력측의 제1 노드는, 공진 인덕터에 접속되며, 트랜스포머의 출력측의 제2 노드는, 제1 커패시터와 제2 커패시터의 사이의 노드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인버터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7 스위칭 소자와 제8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제4 레그와,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9 스위칭 소자와 제10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제5 레그를 구비하며,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전압을 변환하여 교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는, 제1 기간 동안, 제7 스위칭 소자와 제10 스위칭 소자의 턴 온에 의해, 정극성의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전압을 정극성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제2 기간 동안, 제8 스위칭 소자와 제9 스위칭 소자의 턴 온에 의해, 정극성의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전압을 부극성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은, 발전 전력에 의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레벨을 가변하는 컨버터와,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외부의 부하 또는 계통으로 변환된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인버터와, 컨버터와 인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인버터는,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의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1 출력 전압과 제1 출력 전류를 출력하며,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2 출력 전압과 제1 출력 전류 보다 작은 제2 출력 전류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인버터의 출력단에 필터가 없는 경우에도,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신속하게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의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1 출력 전압과 제1 출력 전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2 출력 전압과 제1 출력 전류 보다 작은 제2 출력 전류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인버터에서, 제1 출력 전압이 출력되는 중에, 제1 출력 전압의 최대치의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오프 그리드로 판단하고,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2 출력 전압과 제2 출력 전류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컨버터가 전압 제어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컨버터가 전류 제어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버터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과 동일한 경우, 제1 출력 전압과 제1 출력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버터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작은 경우, 제1 출력 전압 보다 작은 제3 출력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오프 그리드 상태이며,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작은 상태에서, 제3 출력 전압의 최대 레벨이 기준치 보다 작은 경우, 인버터가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 이후, 신속하게 인버터를 오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의, 오프 그리드의 판단 시점부터 컨버터의 전류 제어 시작 시점 사이의 제1 기간 보다,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과 동일한 경우의, 오프 그리드의 판단 시점부터 컨버터의 전류 제어 시작 시점 사이의 제2 기간이 더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에, 신속하게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의, 오프 그리드의 판단 시점부터 컨버터의 전압 제어 종료 시점 사이의 제1 기간 보다,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과 동일한 경우의, 오프 그리드의 판단 시점부터 컨버터의 전압 제어 종료 시점 사이의 제2 기간이 더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에, 신속하게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버터의 출력단에 커패시터 소자가 배치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인버터의 출력단에 필터가 없는 경우에,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은,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 전압 검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인버터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컨버터 제어를 위한 전류 지령치를 생성하며, 전류 지령치에 기초하여, 컨버터 제어를 위한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전력변환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인버터의 출력 전압과, 전압 지령치에 기초하여,온 컨버터 제어를 위한 전류 지령치를 생*는 전압 제어기와, 전류 지령치에 기초하여, 컨버터 제어를 위한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컨버터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전력변환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압 제어기는, 인버터의 재기동시, 인버터 오프 이전의 제1 게인 보다 높은 제2 게인에 기초하여, 컨버터 제어를 위한 전류 지령치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컨버터는,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제1 레그와,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3 스위칭 소자와 제4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제2 레그를 구비하며, 입력되는 직류 전압을 변환하는 풀 브릿지 스위칭부와, 풀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입력측이 접속되는 트랜스포머와, 트랜스포머의 출력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5 스위칭 소자와 제6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제3 레그를 구비하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전력 변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컨버터는, 트랜스포머와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 사이에 접속되는 공진 인덕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진 인덕터 양단의 전압 차이에 따라 인덕터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인덕터 양단의 위상차 제어로 변환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는, 제5 스위칭 소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1 커패시터와, 제6 스위칭 소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반파 전압 또는 맥동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트랜스포머의 출력측의 제1 노드는, 공진 인덕터에 접속되며, 트랜스포머의 출력측의 제2 노드는, 제1 커패시터와 제2 커패시터의 사이의 노드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전력 변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버터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7 스위칭 소자와 제8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제4 레그와,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9 스위칭 소자와 제10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제5 레그를 구비하며,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전압을 변환하여 교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언폴딩 스위칭에 의해, 계통 전압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교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버터는, 제1 기간 동안, 제7 스위칭 소자와 제10 스위칭 소자의 턴 온에 의해, 정극성의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전압을 정극성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제2 기간 동안, 제8 스위칭 소자와 제9 스위칭 소자의 턴 온에 의해, 정극성의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전압을 부극성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언폴딩 스위칭에 의해, 계통 전압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교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a 또는 도 1b의 태양광 모듈 내의 정션 박스 내부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력변환장치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회로도의 일 예이다.
도 5는 도 4의 전력변환장치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도 6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4의 전력변환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1c는 도 9a 또는 도 9b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5c는 도 12의 전력변환장치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6은 벅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7은 부스트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a 또는 도 1b의 태양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a 또는 도 1b의 태양광 모듈 내의 정션 박스 내부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력변환장치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회로도의 일 예이다.
도 5는 도 4의 전력변환장치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도 6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4의 전력변환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1c는 도 9a 또는 도 9b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5c는 도 12의 전력변환장치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6은 벅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7은 부스트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a 또는 도 1b의 태양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태양광 모듈 내의 컨버터에 입력되는 입력 전류의 리플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시스템(10a)은, 태양광 모듈(50)과, 부하(900)와, 게이트웨이(80)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모듈(50)은, 태양전지 모듈(100), 및 태양전지 모듈에서의 직류 전원을 전력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력변환장치(도 2의 500)를 포함하는 정션 박스(200)를 일체로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정션 박스(200)가, 태양전지 모듈(100)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정션 박스(200)가, 태양전지 모듈(100)과 이격되어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정션 박스(20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부하(900) 또는 게통(90)에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oln)이, 정션 박스(200)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게이트웨이(gateway)(80)는, 정션 박스(200)와 그리드(grid)(9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웨이(80)는, 케이블(oln)을 통해 흐르는, 태양광 모듈(5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류(io) 및 교류 전압(vo)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웨이(80)는, 태양광 모듈(5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류(io) 및 교류 전압(vo)의 위상 차이에 기초하여, 역률 조정을 위한 역률 조정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80)와 태양광 모듈(50)은, 케이블(323)을 이용하여, 전력선 통신(PLC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태양광 모듈(50) 내의 전력변환장치(도 2의 500)는, 태양전지 모듈(100)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태양광 모듈(50) 내의 전력변환장치(도 2의 500) 내에, 컨버터(도 2의 530), 인버터(도 2의 54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력변환장치(도 2의 500)를 마이크로 인버터라 명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인버터는, 컨버터(도 2의 530), 인버터(도 2의 54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력변환장치(500)의 출력단에, 인덕터와 커패시터 등으를 포함하는 필터가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계통과 연결되는 온 그리드에서 계통과 연결되지 않는 오프 그리드로 전환되는 경우, 심리스 구동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500)는, 발전 전력에 의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레벨을 가변하는 컨버터(530)와, 컨버터(53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외부의 부하 또는 계통으로 변환된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인버터(540)와, 컨버터(530)와 인버터(540)를 제어하는 제어부(550)를 구비하고, 인버터(540)는,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의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1 출력 전압(Vaca1)과 제1 출력 전류(Iaca1)를 출력하며,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2 출력 전압(Vaca2)과 제1 출력 전류(Iaca1) 보다 작은 제2 출력 전류(Iaca2)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인버터(540)의 출력단에 필터가 없는 경우에도,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태양광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시스템(10b)은, 복수의 태양광 모듈(50a, 50b, ..., 50n)과, 부하(900)와, 게이트웨이(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의 태양광 시스템(10b)은, 도 1a의 태양광 시스템(10a)과 달리, 복수의 태양광 모듈(50a, 50b, ..., 50n)이 서로 직렬 접속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복수의 태양광 모듈(50a, 50b, ..., 50n) 각각은, 각 태양전지 모듈(100a, 100b, ..., 100n), 및 태양전지 모듈에서의 직류 전원을 전력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로소자를 포함하는 정션 박스(200a, 200b, ..., 200n)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각 정션 박스(200a, 200b, ..., 200n)가, 각 태양전지 모듈(100a, 100b, ..., 100n)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 정션 박스(200a, 200b, ..., 200n)가, 각 태양전지 모듈(100a, 100b, ..., 100n)과 이격되어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각 정션 박스(200a, 200b, ..., 200n)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부하(900) 또는 게통(90)에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31a, 31b, ..., oln)이, 각 정션 박스(200a, 200b, ..., 200n)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도 1b의 복수의 태양광 모듈(50a, 50b, ..., 50n) 내의 각 전력변환장치(500)는, 발전 전력에 의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레벨을 가변하는 컨버터(530)와, 컨버터(53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외부의 부하 또는 계통으로 변환된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인버터(540)와, 컨버터(530)와 인버터(540)를 제어하는 제어부(550)를 구비하고, 인버터(540)는,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의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1 출력 전압(Vaca1)과 제1 출력 전류(Iaca1)를 출력하며,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2 출력 전압(Vaca2)과 제1 출력 전류(Iaca1) 보다 작은 제2 출력 전류(Iaca2)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인버터(540)의 출력단에 필터가 없는 경우에도,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a 또는 도 1b의 태양광 모듈 내의 정션 박스 내부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정션 박스(200)는, 태양전지 모듈(10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변환하여 변환된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정션 박스(200)는, 교류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전력변환장치(5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변환장치(500)는, 컨버터(530), 인버터(540),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변환장치(500)는, 바이패스를 위한 바이패스 다이오드부(510), 직류 전원 저장을 위한, 커패시터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력변환장치(500)는, 외부의 게이트웨이(80)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5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력변환장치(500)는, 입력 전류 검출부(A), 입력 전압 검출부(B), 컨버터 출력전류 검출부(C), 컨버터 출력 전압 검출부(D), 인버터 출력 전류 검출부(E), 인버터 출력 전압 검출부(F)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컨버터(530), 인버터(540), 및 통신부(580)를 제어할 수 있다.
바이패스 다이오드부(510)는, 태양전지 모듈(100) 의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미도시)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들(Dc,Db,Da)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개수는, 1개 이상이며, 도전성 라인의 개수 보다 1개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패스 다이오드들(Dc,Db,Da)은, 태양전지 모듈(100)로부터, 특히, 태양전지 모듈(100) 내의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미도시)으로부터 태양광 직류 전원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바이패스 다이오드들(Dc,Db,Da)은, 제1 내지 제4 도전성 라인(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직류 전원에서 역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바이패스 시킬 수 있다.
한편, 바이패스 다이오드부(510)를 거친 직류 전원은, 커패시터부(520)로 입력될 수 있다.
커패시터부(520)는, 태양전지 모듈(100), 및 바이패스 다이오드부(510)를 거쳐 입력되는 입력 직류 전원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커패시터부(520)가 서로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커패시터(Ca,Cb,Cc)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나, 이와 달리, 복수의 커패시터가, 직병렬 혼합으로 접속되거나, 직렬로 접지단에 접속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커패시터부(520)가 하나의 커패시터만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컨버터(530)는, 바이패스 다이오드부(510)와, 커패시터부(520)를 거친, 태양전지 모듈(100)로부터의 입력 전압의 레벨을 변환할 수 있다.
특히, 컨버터(530)는, 커패시터부(520)에 저장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전력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컨버터(530) 내의 스위칭 소자들은, 제어부(550)로부터의 컨버터 스위칭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턴 온/오프 동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이 출력될 수 있다.
인버터(540)는, 컨버터(530)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내부 전력망 또는 계통으로 변환된 교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인버터(540)의 출력단에는 인덕터, 커패시터 등으로 이루어진 필터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540)는, 풀 브릿지 인버터(full-bridge inverter)일 수 있다.
즉, 인버터(540) 내에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W1,SW3) 및 하암 스위칭 소자(SW2,SW4)가 한 쌍이 되며, 총 두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SW1,SW2, SW3,SW4)로 연결된다. 각 스위칭 소자(SW1~SW4)에는 다이오드(D1~D4)가 역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인버터(540) 내의 스위칭 소자들(SW1~SW4)은, 제어부(550)로부터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턴 온/오프 동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정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원이 출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계통(grid) 전압의 교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대략 60Hz 또는 50Hz)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패시터(C)는, 컨버터(530)와 인버터(5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커패시터(C)는, 컨버터(530)의 레벨 변환된 직류 전원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커패시터(C)의 양단을 dc 단이라 명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패시터(C)는 dc 단 커패시터라 명명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커패시터를 예시하나, 복수의 커패시터가, dc 단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입력 전류 검출부(A)는, 태양전지 모듈(100)에서 커패시터부(520)로 공급되는 입력 전류(ic1)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입력 전압 검출부(B)는, 태양전지 모듈(100)에서 커패시터부(520)로 공급되는 입력 전압(Vc1)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전압(Vc1)은, 커패시터부(520) 양단에 저장된 전압과 동일할 수 있다.
검출된 입력 전류(ic1)와 입력 전압(vc1)은, 제어부(550)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컨버터 출력전류 검출부(C)는, 컨버터(530)에서 출력되는 출력전류(ic2), 즉 dc 단 전류를 검출하며, 컨버터 출력 전압 검출부(D)는, 컨버터(53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vc2), 즉 dc 단 전압을 검출한다. 검출된 출력전류(ic2)와 출력 전압(vc2)은, 제어부(550)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출력 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류(ic3)를 검출하며, 인버터 출력 전압 검출부(F)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압(vc3)을 검출한다. 검출된 전류(ic3)와 전압(vc3)은, 제어부(550)에 입력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컨버터(530)의 스위칭 소자들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550)는, 검출된 입력전류(ic1), 입력 전압(vc1), 출력전류(ic2), 출력 전압(vc2), 출력전류(ic3), 또는 출력 전압(vc3)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버터(530) 내의 스위칭 소자들의 턴 온 타이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의 각 스위칭 소자(SW1~SW4)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 신호 또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550)는, 검출된 입력전류(ic1), 입력 전압(vc1), 출력전류(ic2), 출력 전압(vc2), 출력전류(ic3), 또는 출력 전압(vc3)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인버터(540)의 각 스위칭 소자(SW1~SW4)의 턴 온 타이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태양전지 모듈(100)에 대한, 최대 전력 지점을 연산하고, 그에 따라, 최대 전력에 해당하는 직류 전원을 출력하도록, 컨버터(5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를 MPPT 제어라 명명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580)는, 게이트웨이(8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580)는, 전력선 통신에 의해, 게이트웨이(8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580)는, 게이트웨이(80)로, 태양광 모듈(50)의 전류 정보, 전압 정보, 전력 정보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력변환장치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력변환장치(500x)의 회로도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3a의 전력변환장치(500x)는, 인버터(540)와, 인버터(540)를 제어하는 제어부(550)와, 인버터(540)이 출력단에 배치되며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 필터링을 위한 필터부(570)를 구비할 수 있다.
인버터(540)는,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7 스위칭 소자(SW1)와 제8 스위칭 소자(SW2)를 포함하는 제4 레그(legd)와,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9 스위칭 소자(SW9)와 제10 스위칭 소자(SW4)를 포함하는 제5 레그(lege)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4 레그(legd)와, 제5 레그(lege)는 서로 병렬 접속된다.
한편, 필터부(570)가 배치되는 경우,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필터링하나, 필터부(570) 내의 회로 소자로 인하여, 전력변환장치(500x)의 사이즈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필터부(570)가 배치되는 경우, 빠른 응답성을 요구하는 오프 그리드시의 단독 운전에는 적합하지 않게 된다. 또한, 필터부(570)로 인하여, 출력 전력이 소모될 수 있게 된다.
도 3b는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 파형(Vgx)이 정극성에서 부극성으로 변하는 제로 크로싱 지점(Zcx)에 대응하는 Tzcx 시점 이전의 Pd4 구간 동안, 제4 레그(legd)의 제7 스위칭 소자(SW1)와 제8 스위칭 소자(SW2)는, 고속 스위칭을 수행하며, 제5 레그(lege)의 제9 스위칭 소자(SW3)와 제10 스위칭 소자(SW4)는 저속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로 크로싱 지점(Zcx)에 대응하는 Tzcx 시점 이후의 Pd3 구간 동안, 제4 레그(legd)의 제7 스위칭 소자(SW1)와 제8 스위칭 소자(SW2)는, 고속 스위칭을 수행하며, 제5 레그(lege)의 제9 스위칭 소자(SW3)와 제10 스위칭 소자(SW4)는 저속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b에 의하면, 제로 크로싱 지점(Zcx)을 포함하는 Pdx 구간 동안, 인버터(540) 내의 제7 스위칭 소자 내지 제10 스위칭 소자(SW1~SW4)가 모두 스위칭 되지 않고, 턴 오프된다. 이러한 Pdx 구간을 데드 타임(dead time) 구간이라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Pdx 구간은, 제7 스위칭 소자 내지 제10 스위칭 소자(SW1~SW4)의 스위칭 손실 등을 저감하기 위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도 3c와 같이,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류(Igxa)가, 출력되는 전압(Vgxa) 보다 뒤쳐지는, 지상인 경우, 도 3b의 Pdx 구간의 데드 타임 구간으로 인하여,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압(Vgxa)의 제로 크로싱 지점 부근에서, 전류 불연속 등에 의한 전류 피크(Pka)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 3d와 같이,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류(Igxb)가, 출력되는 전압(Vgxb) 보다 앞서는, 진상인 경우, 도 3b의 Pdx 구간의 데드 타임 구간으로 인하여,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압(Vgxb)의 제로 크로싱 지점 부근에서, 전류 불연속 등에 의한 전류 피크(Pkb)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버터(540)의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시, 발생할 수 있는, 전류 피크 등을 저감하여, 전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내의 전력변환장치의 회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전력변환장치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500)는, 컨버터(530), 인버터(540), 제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50)는,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이 상승하여, 제1 범위(Vrar)를 벗어난 경우, 인버터(540)를 오프시킨 후 재기동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인버터(540)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부하의 변동에 따라 발생하는 과전압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버터(540)의 출력단에 필터가 없는 경우에 회로 소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의 재기동시, 인버터(540) 오프 이전의 제1 게인 보다 높은 제2 게인에 기초하여, 인버터(54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하 급변에 따른 재기동시, 인버터(540)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의 재기동 이후, 제2 게인에 기초하여 인버터(540)를 구동하다가,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이 제1 범위(Vrar) 이내인 경우, 제1 게인에 기초하여 인버터(54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하 급변에 따른 재기동시, 인버터(540)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500)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Vac)을 검출하는 출력 전압 검출부(F)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출력 전압 검출부(F)에서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계통의 온 그리드 상태 또는 오프 그리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의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1 출력 전압(Vaca1)과 제1 출력 전류(Iaca1)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2 출력 전압(Vaca2)과 제1 출력 전류(Iaca1) 보다 작은 제2 출력 전류(Iaca2)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버터(540)의 출력단에 커패시터 소자가 배치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인버터(540)의 출력단에 필터가 없는 경우에,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출력 전압 검출부에서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이 상승하여, 제1 범위(Vrar)를 벗어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하 급변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출력 전압 검출부(F)에서의 출력 전압(Vac)에 기초하여, 인버터(540)의 출력단의 부하 파워를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500)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Vac)을 검출하는 출력 전압 검출부(F)와,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전압(Vpv)을 검출하는 입력 전압 검출부(A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출력 전압 검출부(F)에서 검출되는 출력 전압(Vac)과, 입력 전압 검출부(A1)에서 검출되는 입력 전압(Vpv)에 기초하여, 컨버터(530)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500)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Vac)을 검출하는 출력 전압 검출부(F)와,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전류(Ipv)를 검출하는 입력 전류 검출부(A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출력 전압 검출부(F)에서 검출되는 출력 전압(Vac)과, 입력 전류 검출부(A2)에서 검출되는 입력 전류(Ipv)에 기초하여, 컨버터(530) 제어를 위한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cc)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전력변환장치(500)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과, 전압 지령치에 기초하여, 컨버터(530) 제어를 위한 전류 지령치를 생성하며, 전류 지령치에 기초하여, 컨버터(530) 제어를 위한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cc)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전력변환장치(500)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530)는, 입력되는 직류 전압(Vpv)을 변환하는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와,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의 출력단에 입력측이 접속되며, 변환된 전압을 출력하는 트랜스포머(536)와, 트랜스포머(536)의 출력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넓은 전압 게인 출력 및 영전압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낮은 실효치(RMS) 전류 및 피크(peak) 전류로 넓은 전압 범위에서도 고효율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반파 정류 제어를 통한 1 스테이지 전력 변환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530)는, 트랜스포머(536)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와, 트랜스포머(536)와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 사이에 접속되는, 공진 인덕터(Lk)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진 인덕터(Lk) 양단의 전압 차이에 따라 인덕터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인덕터 양단의 위상차 제어로 변환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공진 인덕터(Lk), 및 트랜스포머(536)에 의한 공진에 의해, 입력 전류의 리플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공진 인덕터(Lk) 등에 의해,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 내의 각 스위칭 소자(Q1 ~Q4)는, 영전압 스위칭(ZVS), 영전류 스위칭(ZCS)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는, 제5 스위칭 소자(S1)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1 커패시터(C1)와, 제6 스위칭 소자(S2)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커패시터(C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의 출력단에 반파 전압 또는 맥동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트랜스포머(536)의 출력측의 제1 노드(nb1)는, 공진 인덕터(Lk)에 접속되며, 트랜스포머(536)의 출력측의 제2 노드(nb2)는, 제1 커패시터(C1)와 제2 커패시터(C2)의 사이의 노드(n4)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반파 전압 또는 맥동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530)는,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의 입력단의 양단에 접속되는 제3 커패시터(C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측의 제1 노드(na1)는, 제1 스위칭 소자(Q1)와 제2 스위칭 소자(Q2)의 사이의 노드(n1)에 접속되고, 입력측의 제2 노드(na2)는, 제3 스위칭 소자(Q3)와 제4 스위칭 소자(Q4)의 사이의 노드(n2)에 접속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는,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1 내지 제2 스위칭 소자(Q1,Q2)를 구비하는 제1 레그(lega)와,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3 내지 제4 스위칭 소자(Q3,Q4)를 구비하는 제2 레그(leg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레그(lega)와 제2 레그(legb)는 서로 병렬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위칭 소자(Q1)와 제2 스위칭 소자(Q2)의 사이인 제1 노드(n1)와, 제3 스위칭 소자(Q3)와 제4 스위칭 소자(Q4))의 사이인 제2 노드(n2) 사이에, 트랜스포머(536)의 입력측(na1,na2)이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인버터(540)는,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제7 및 제8 스위칭 소자(SW1, SW2)를 구비하는 제4 레그(legd)와,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제9 및 제10 스위칭 소자(SW3, SW4)를 구비하는 제5 레그(lege)를 포함할 수 있다.
제7 스위칭 소자(SW1)와 제8 스위칭 소자(SW2) 사이인 제5 노드(n5)와, 제9 스위칭 소자(SW9)와 제10 스위칭 소자(SW4) 사이인 제6 노드(n6)를 통해, 교류 전원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와 같이,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는,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5 스위칭 소자(S1), 및 제6 스위칭 소자(S2)를 구비하는 제3 레그(leg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는,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1 커패시터(C1) 및 제2 커패시터(C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는, 제5 스위칭 소자(S1)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1 커패시터(C1)와, 제6 스위칭 소자(S2)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커패시터(C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5 스위칭 소자(S1), 제6 스위칭 소자(S2)와, 제1 커패시터(C1), 제2 커패시터(C2)는, 서로 병렬 접속될 수 있다.
제5 스위칭 소자(S1)와 제6 스위칭 소자(S2) 사이인 제3 노드(n3)와, 제1 커패시터(C1)와 제2 커패시터(C2)의 사이인 제4 노드(n4) 사이에, 트랜스포머(536)의 출력측(nb1,nb2)이 접속될 수 있다.
한편,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는, 입력 전압을 2배로 증폭하여 출력하므로, 전압 더블러(voltage doubler)라 명명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컨버터(530)와 인버터(540)를 함께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550)는, 최대 전력 지점 추종 제어를 위해, 컨버터(530) 내의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에 제어 신호(Sfb)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의 제어를 위해,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에 제어 신호(Shb)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의 제어를 위해, 인버터(540)에 제어 신호(Sic)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인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기간 동안, 인버터(540) 내의 제7 스위칭 소자(SW1)와 제10 스위칭 소자(SW10)의 턴 온에 의해, 정극성의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전압(Vdc)을 정극성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제2 기간 동안, 인버터(540) 내의 제8 스위칭 소자(SW2)와 제9 스위칭 소자(SW3)의 턴 온에 의해, 정극성의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전압(Vdc)을 부극성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언폴딩 스위칭에 의해, dc 단의 양단의 반파 전압 또는 맥동 전압(Vdcm)을, 계통 전압(Vac)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교류 전압(Vacm)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4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과, 전압 지령치에 기초하여, 컨버터(530) 제어를 위한 전류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압 제어기(920)와, 전류 지령치에 기초하여, 컨버터(530) 제어를 위한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cc)를 생성하는 컨버터 제어기(9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전력변환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컨버터(530) 동작에 의해, 부하에 대응하는 부하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압 제어기(920)는, 인버터(540)의 재기동시, 인버터(540) 오프 이전의 제1 게인 보다 높은 제2 게인에 기초하여, 컨버터(530) 제어를 위한 전류 지령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버터(540)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부하의 변동에 따라 발생하는 과전압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버터(540)의 출력단에 필터가 없는 경우에 회로 소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출력 전압 검출부(F)로부터의 출력 전압(Vac)에 기초하여 위상(θg)을 검출하는 위상 검출기(9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상 검출기(905)에서 검출된 위상(θg)은, 전압 제어기(920)에 입력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태양전지 모듈(100)에 대한, 최대 전력 지점을 연산하고, 그에 따라, 최대 전력에 해당하는 직류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전압 지령치(Vref)를 생성하는 MPPT 제어기(9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MPPT 제어기(910)는, 입력 전압 검출부(A1) 또는 입력 전류 검출부(A2)로부터의 입력 전압(Vpv) 또는 입력 전류(Ipv)에 기초하여, 최대 전력 지점을 연산하고, 그에 따라, 최대 전력에 해당하는 직류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전압 지령치(Vref)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MPPT 제어기(910)는, 부하 전압(Vload)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의, 부하 전압(Vload)은, 출력 전압 검출부(F)에서 검출되는 출력 전압(Vac)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컨버터 제어기(920)는, 부하 전압(Vload)과 전압 지령치(Vref)를 비교하고, 그 차이에 기초하여, d축 전류 지령치(Ide,ref), q축 전류 지령치(Iqe,ref)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컨버터 제어기(940)는, 입력되는 전류 지령치(Ide,ref,Iqe,ref) 에 기초하여,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cc)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의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cc)는, 도 4의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를 위한 풀 브릿지 스위칭제어 신호(Sfb),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를 위한 하프 브릿지 스위칭 제어 신호(Sh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을 위한 가변 주파수 제어기(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주파수 제어기(930)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이 목표 전압 이상인 경우,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가 벅 모드로 동작하고,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가 제1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이 목표 전압 미만인 경우,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인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가 부스트 모드로 동작하고,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와,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가 제1 스위칭 주파수 보다 낮은 제2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의 언폴딩 스위칭 제어를 위한 언폴딩 제어기(9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언폴딩 제어기(950)는, 도 5과 같이, 제1 기간 동안, 제7 스위칭 소자(SW1)와 제10 스위칭 소자(SW10)의 턴 온에 의해, 정극성의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전압(Vdc)을 정극성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제2 기간 동안, 제8 스위칭 소자(SW2)와 제9 스위칭 소자(SW3)의 턴 온에 의해, 정극성의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전압(Vdc)을 부극성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언폴딩 스위칭에 의해, dc 단의 양단의 반파 전압 또는 맥동 전압(Vdcm)을, 계통 전압(Vac)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교류 전압(Vacm)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7a는 인버터(540)의 출력단의 부하가, 제1 파워인 경우의 부하 전압(Vacm), 부하 전류(Iacm), dc단 전압(Vdcm)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파워가 대략 300W인 경우, 부하 전압(Vacm), 부하 전류(Iacm)는 각각 교류 파형에 대응하며, dc단 전압(Vdcm)은 반파 형태의 맥동하는 파형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b는 인버터(540)의 출력단의 부하가, 무부하인 경우의 부하 전압(Vacm2), 부하 전류(Iacm2)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인버터(540)의 출력단인 계통(90)이 정전되어, 무부하인 경우, 인버터(540)의 출력단에 흐르는 전류를 소비할 부하가 없으므로, 제로 레벨의 직류 전류에 대응하는 부하 전류(Iacm2)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부하 전압(Vacm2)은 교류 전압 파형이나, 부하 전류(Iacm2)는 대략 제로 레벨의 직류 전류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5500는, 컨버터 제어기(920)를 통해, 컨버터(530)를 제어하여, 부하 대응 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부하에 대응하는 부하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하 대응 운전에 따라,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인버터(540)의 출력단인 계통(90)이 정전되어, 무부하인 경우에도,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의 제어부(550)는, 컨버터(530)의 입력 전압 또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에 기초하여,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50)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 레벨에 따라,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가 벅 모드 또는 부스트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이 목표 전압 이상인 경우,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가, 벅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이 목표 전압 미만인 경우,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인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가 부스트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이 목표 전압 이상인 경우,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가 벅 모드로 동작하고,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가 제1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이 목표 전압 미만인 경우,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인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가 부스트 모드로 동작하고,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와,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가 제1 스위칭 주파수 보다 낮은 제2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의 스위칭 주파수는, 계통 주파수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칭 주파수는 135kHz일 수 있으나, 제2 스위칭 주파수는 90Khz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고속 스위칭을 수행하므로, 컨버터(530) 내의 회로 소자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트랜스포머(536)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벅 모드 또는 부스트 모드를 통해, 결국,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의 리플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인버터(540) 내의 복수의 스위칭 소자(SW1~SW4) 중 일부는 제3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스위칭을 수행하고, 다른 일부는, 제3 스위칭 주파수 보다 높은 제4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에 대해,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3 스위칭 주파수가, 계통 주파수에 대응하며, 제4 스위칭 주파수가, 계통 주파수 보다 높으므로, 인버터(540)가 고속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변환장치 내의 회로 소자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전력변환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제7 및 제8 스위칭 소자(SW1,SW2)에 대해, 제4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9 및 제10 스위칭 소자(SW3,SW4)에 대해, 제3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제9 스위칭 소자(SW3)의 온 동안, 제7 스위칭 소자(SW1)와 제8 스위칭 소자(SW2)가, 펄스폭 가변 제어에 의한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제10 스위칭 소자(SW4)의 온 동안, 제8 스위칭 소자(SW2)와 제7 스위칭 소자(SW1)가, 펄스폭 가변 제어에 의한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540) 내의 복수의 스위칭 소자(SW1~SW4) 중 일부(SW3,SW4)와, 복수의 스위칭 소자(SW1~SW4) 중 다른 일부(SW1,SW2)는, 서로 다른 타입의 스위칭 소자일 수 있다.
한편, 인버터(540) 내의 복수의 스위칭 소자(SW1~SW4) 중 다른 일부(SW1,SW2)는, 예를 들어, 고속 스위칭을 수행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로서, 갈륨나이트라이드(GaN) 트랜지스터 또는 실리콘카바이드(SiC)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속 스위칭시의 역회복 손실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버터(540) 내의 복수의 스위칭 소자(SW1~SW4) 중 일부(SW3,SW4)는, 예를 들어, 저속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칭 소자는, 금속산화물반도체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4의 전력변환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500)가 계통에 연결된 온 그리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500)는, 도 4와 같이, 발전 전력에 의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레벨을 가변하는 컨버터(530)와, 컨버터(53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외부의 부하(900) 또는 계통(90)으로 변환된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인버터(540)와, 컨버터(530)와 인버터(540)를 제어하는 제어부(5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인버터(540)의 출력단에는,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 등을 포함하는 필터가 구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전력변환장치(500)의 사이즈가 단축되며, 출력 전력의 불필요한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컨버터(530)는, 입력되는 직류 전압(Vpv)을 변환하는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와,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의 출력단에 입력측이 접속되며, 변환된 전압을 출력하는 트랜스포머(536)와, 트랜스포머(536)의 출력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를 포함할 수 있다.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는,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1 내지 제2 스위칭 소자(Q1,Q2)를 구비하는 제1 레그(lega)와,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3 내지 제4 스위칭 소자(Q3,Q4)를 구비하는 제2 레그(legb)를 구비할 수 있다.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는,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5 스위칭 소자(S1), 및 제6 스위칭 소자(S2)를 구비하는 제3 레그(leg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컨버터(530)는, 트랜스포머(536)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와, 트랜스포머(536)와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 사이에 접속되는, 공진 인덕터(Lk)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버터(530)는, 입력되는 직류 전압(Vpv)의 레벨을 변환하여, dc 단에 반파 전압 또는 맥동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인버터(540)는,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제7 및 제8 스위칭 소자(SW1, SW2)를 구비하는 제4 레그(legd)와,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제9 및 제10 스위칭 소자(SW3, SW4)를 구비하는 제5 레그(lege)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540)는, 언폴딩 스위칭에 의해, dc 단의 양단의 반파 전압 또는 맥동 전압(Vdcm)을, 계통 전압(Vac)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교류 전압(Vacm)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인버터(540)의 출력단은, 내부 전력망 및 계통(9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은, 내부 전력망 내의 부하(900), 또는 계통(90)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온 그리드 상태이므로, 내부 전력망 내의 부하(900)에는, 인버터(540)의 출력단으로부터의 교류 전압 및 계통(90)의 교류 전압이 각각 공급될 수 있다.
다음,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500)가 계통에 연결되지 않은 오프 그리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과 같이, 계통(90)이, 정전 등에 의해, 내부 전력망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 전력변환장치(500)와 계통(9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게 된다.
결국, 오프 그리드 상태이므로, 내부 전력망 내의 부하(900)에는, 인버터(540)의 출력단으로부터의 교류 전압만 공급되며, 계통(90)의 교류 전압은 공급되지 않게 된다.
도 8c는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의 파형(Vacm)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Pax 기간 동안,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은, LVP와 -LVP 사이인 제1 범위(Vrar) 이내를 유지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의, 제1 범위(Vrar)는, 온 그리드 상태에 대응하는 범위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Tm1a 시점에,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 전환되는 경우, 인버터(540)의 출력단에 필터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Tm1a 시점의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의 레벨이, 제1 범위(Vrar)를 벗어나, Lv2인 것을 예시한다. 특히, Ar 영역에서,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의 레벨이, 제1 범위(Vrar)를 벗어나, Lv2인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Pbx 기간 동안,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의 레벨이, 제1 범위(Vrar)를 벗어날 수 있다.
한편, Pbx 기간이 길어질수록, 즉,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의 레벨이, 제1 범위(Vrar)를 벗어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인버터(540)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500) 내의 각 회로 소자 등의 소손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인버터(540)의 출력단에 필터가 배치되지 않는 상태에서, 오프 그리드에서 온 그리드로 전환되는 경우,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의 레벨이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며, 온 그리드와 오프 그리드 사이에 심리스한 구동이 수행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9a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500) 내의 제어부(550)는, 온 그리드 상태인 지 여부를 판단한다(S910).
예를 들어, 전력변환장치(500) 내의 제어부(550)는, 출력 전압 검출부(F)에서의 출력 전압의 최대치의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 미만인 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하는 경우, 그리드(90)가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력변환장치(500) 내의 제어부(550)는, 출력 전압 검출부(F)에서의 출력 전압의 최대치가 허용 범위(Vrar) 이내인 경우, 그리드(90)가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력변환장치(500) 내의 제어부(550)는, 통신부(580)로부터 그리드 온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그리드(90)가 온 상태인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500) 내의 제어부(550)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단 큰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915).
예를 들어, 제어부(550)는, 입력 전압 검출부(A)로부터의 입력 전압에 기초하여 발전 전력을 연산하며, 통신부(580)로부터 부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부하 전력을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50)는, 발전 전력과 부하 전력을 비교하여,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단 큰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50)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단 큰 상태인 경우, 제1 출력 전압(Vaca1)과 제1 출력 전류(Iaca1)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20).
이에 따라, 인버터(540)는,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의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1 출력 전압(Vaca1)과 제1 출력 전류(Iaca1)를 출력한다.
다음, 제어부(550)는, 오프 그리드 상태인 지 여부를 판단한다(S930).
예를 들어, 전력변환장치(500) 내의 제어부(550)는, 출력 전압 검출부(F)에서의 출력 전압의 최대치의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 이상인 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하는 경우, 그리드(90)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력변환장치(500) 내의 제어부(550)는, 출력 전압 검출부(F)에서의 출력 전압의 최대치가 허용 범위(Vrar)를 벗어난 경우, 그리드(90)가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력변환장치(500) 내의 제어부(550)는, 통신부(580)로부터 그리드 오프 정보 또는 정전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그리드(90)가 오프 상태인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550)는,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2 출력 전압(Vaca2)과 제1 출력 전류(Iaca1) 보다 작은 제2 출력 전류(Iaca2)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40).
이에 따라, 인버터(540)는,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2 출력 전압(Vaca2)과 제1 출력 전류(Iaca1) 보다 작은 제2 출력 전류(Iaca2)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인버터(540)의 출력단에 필터가 없는 경우에도,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신속하게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9b의 동작방법 중 제910단계(S910), 제920단계(S920), 제930단계(S930), 제940단계(S940)는, 도 9a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930단계(S930) 이후, 제어부(550)는,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단 큰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932).
제어부(550)는,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단 큰 경우, 제940 단계(S940)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550)는, 제2 출력 전압(Vaca2)과 제1 출력 전류(Iaca1) 보다 작은 제2 출력 전류(Iaca2)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940).
한편, 제932 단계(S932)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단 크지 않은 경우, 제어부(550)는,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과 동일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S934), 해당하는 경우, 제1 출력 전압과 제1 출력 전류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945).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934 단계(S934)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550)는,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작은 지 여부를 판단하고(S936), 해당하는 경우, 제3 출력 전압과 제3 출력 전류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952).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3 출력 전압의 최대치는, 제1 출력 전압의 최대치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출력 전압의 최대치는, 제2 출력 전압의 최대치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제어부(550)는, 제3 출력 전압이 기준치 보다 작은 지 여부를 판단하고(S954), 해당하는 경우, 인버터(540)를 오프하도록 제어한다(S956).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 이후, 신속하게 인버터(540)를 오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1c는 도 9a 또는 도 9b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0a는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의 파형과 출력 전류의 파형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Tga 시점 전까지 온 그리드 상태로,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Vaca1)은, LVP와 -LVP 사이인 제1 범위(Vrar) 이내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Vaca1)의 최대치는 LVa1일 수 있으며, 인버터(540)의 출력 전류(Iaca1)의 최대치는 LIa1일 수 있다.
한편, Tga 시점 이전까지,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의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어부(550)는, 제1 출력 전압(Vaca1)과 제1 출력 전류(Iaca1)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버터(540)는, Tga 시점 이전까지,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의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1 출력 전압(Vaca1)과 제1 출력 전류(Iaca1)를 출력힐 수 있다.
한편, Tga 시점 이후부터, 오프 그리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Tga 시점 이후부터,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어부(550)는, 제2 출력 전압(Vaca2)과 제1 출력 전류(Iaca1) 보다 작은 제2 출력 전류(Iaca2)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인버터(540)는, Tga 시점 이후부터,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2 출력 전압(Vaca2)과 제1 출력 전류(Iaca1) 보다 작은 제2 출력 전류(Iaca2)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인버터(540)의 출력단에 필터가 없는 경우에도,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출력 전압(Vaca2)의 최대치는 제1 출력 전압(Vaca1)의 최대치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오프 그리드 이후,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제2 출력 전압(Vaca2)의 최대치(LVa2)가, 제1 출력 전압(Vaca1)의 최대치(Lva1) 보다 더 큰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어부(550)는, 오프 그리드 상태인 Tga 시점 이후,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되는 전압의 최대치가 순차적으로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제2 출력 전압(Vaca2)의 최대치(LVa2) 보다, 낮은 LVa2의 레벨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버터(540) 등을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컨버터(530)가 전압 제어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컨버터(530)가 전류 제어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0a는 도 1a의 태양광 시스템(10a)과 같이, 하나의 태양광 모듈(50)이, 계통(90)에 연결되는 것에 대응한다.
한편, 도 1b의 태양광 시스템(10b)와 같이, 복수의 태양광 모듈이 계통에 연결되는 경우의 각 전력변환장치의 출력 파형은 도 10b와 같이 예시될 수 있다.
다음, 도 10b는 복수의 전력변환장치의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의 파형과 복수의 출력 전류의 파형의 예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Tgb 시점 전까지 온 그리드 상태로, 복수의 전력변환장치의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Vacb1)은, LVP와 -LVP 사이인 제1 범위(Vrar) 이내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Vacb1)의 최대치는 LVb1일 수 있다.
한편, Tgb 시점 이전까지,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의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어부(550)는, 제1 출력 전압(Vacb1)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력변환장치(미도시)는, 도 10b의 (b)와 같이, 제1 출력 전류(Iacb1)를 출력하며, 도 10b의 (c)와 같이, 제1 출력 전류(Iacc1)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Tgb 시점 이후부터, 오프 그리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Tgb 시점 이후부터,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어부(550)는, 제2 출력 전압(Vacb2)를 출력하며, 제1 출력 전류 보다 낮은 레벨의 제2 출력 전류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전력변환장치(미도시)는, 도 10b의 (b)와 같이, Tgb 시점 이후부터 제1 출력 전류(Iacb1) 보다 작은 레벨의 제2 출력 전류(Iacb2)를 출력하며, 도 10b의 (c)와 같이, 제1 출력 전류(Iacc1) 보다 작은 레벨의 제2 출력 전류(Iacc2)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인버터(540)의 출력단에 필터가 없는 경우에도,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0c는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의 파형의 또 다른 예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Tgc 시점 전까지 온 그리드 상태로,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Vacc1)은, LVP와 -LVP 사이인 제1 범위(Vrar) 이내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Vacc1)의 최대치는 LVa1일 수 있다.
즉, Tgc 시점 이전까지,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의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어부(550)는, 제1 출력 전압(Vacc1)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오프 그리드 시점인, Tgc 이후에,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작은 경우, 인버터(540)는, 제1 출력 전압(Vacc1) 보다 작은 제3 출력 전압(Vacc2)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시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오프 그리드 상태이며,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작은 상태에서, 제3 출력 전압(Vacc2)의 최대 레벨이 기준치(refp) 보다 작은 경우, 인버터(540)가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Tgg 시점 이후, 인버터(540)가 오프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의 전환 이후, 신속하게 인버터(540)를 오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a는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의 오프 그리드의 판단 시점(Tgca)부터 컨버터(530)의 전류 제어 시작 시점(Tgd) 사이의 제1 기간(DFd)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1a의 (a)의 파형은 오프 그리드 플래그 파형으로서, 로우 레벨인 경우 온 그리드 상태이며, 하이 레벨인 경우, 오프 그리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1a의 (b)의 파형은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 파형이며, 도 11a의 (c)의 파형은 출력 전류 파형을 나타낼 수 있다.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상태에서,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 전환하는 경우, Tgd 시점부터, 출력 전압 파형과 출력 전류 파형이 가변되게 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Tgd 시점 이전에는, 제1 출력 전압(Vacd1)과, 제1 출력 전류(Iacd1)가 출력되며, Tgd 시점 이후에는, 제2 출력 전압(Vacd2)과, 제1 출력 전류(Iacd1) 보다 작은 레벨의 제2 출력 전류(Iacd2)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1b는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과 동일한 경우의 오프 그리드의 판단 시점(Tgcd)부터 컨버터(530)의 전류 제어 시작 시점(Tge) 사이의 제2 기간(DFe)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1b의 (a)의 파형은 오프 그리드 플래그 파형으로서, 로우 레벨인 경우 온 그리드 상태이며, 하이 레벨인 경우, 오프 그리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1b의 (b)의 파형은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 파형이며, 도 11b의 (c)의 파형은 출력 전류 파형을 나타낼 수 있다.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과 동일한 상태에서,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 전환하는 경우, Tge 시점부터, 출력 전압 파형과 출력 전류 파형이 가변되게 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Tge 시점 이전에는, 제1 출력 전압(Vace1)과, 제1 출력 전류(Iace1)가 출력되며, Tge 시점 이후에는, 제2 출력 전압(Vace2)과, 제1 출력 전류(Iace1) 보다 작은 레벨의 제2 출력 전류(Iace2)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 11a와 도 11b를 비교하면, 제어부(550)는,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의, 오프 그리드의 판단 시점(Tgca)부터 컨버터(530)의 전류 제어 시작 시점(Tgd) 사이의 제1 기간(DFd) 보다,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과 동일한 경우의, 오프 그리드의 판단 시점(Tgcd)부터 컨버터(530)의 전류 제어 시작 시점(Tge) 사이의 제2 기간(DFe)이 더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에, 신속하게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의, 오프 그리드의 판단 시점(Tgca)부터 컨버터(530)의 전압 제어 종료 시점(Tgd) 사이의 제1 기간(DFd) 보다,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과 동일한 경우의, 오프 그리드의 판단 시점(Tgcd)부터 컨버터(530)의 전압 제어 종료 시점(Tge) 사이의 제2 기간(DFe)이 더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전 전력이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에, 신속하게 심리스 구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50)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550)는, 무효 전력 제어기(1110), MPPT 제어기(910), 제1 전압 제어기(1120), 제2 전압 제어기(1160), 제1 가산부(1130), 제2 가산부(11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가산부(1130)는, 무효 전력 제어기(1110)의 출력값(Io,d,ref)과 제1 전압 제어기(1120)의 출력값(ΔId1+ΔId2)을 합산하고, 합산한 값인 무효 전류 지령에 기초하여 전력변환장치(500) 내의 컨버터(5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버터(530) 내의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와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2 가산부(1150)는, MPPT 제어기(910)의 출력값(IMPPT,ref)과 제2 전압 제어기(1160)의 출력값(ΔIq1+ΔIq2)을 합산하고, 합산한 값인 유효 전류 지령에 기초하여 전력변환장치(500) 내의 컨버터(5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버터(530) 내의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와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전압 제어기(1120)의 지령은, VL,d,ref 와 ΔV 이며, 제2 전압 제어기(1160)의 지령은 VL,q,ref 와 ΔV 이다.
컨버터(530)또는 인버터(540)의 출력 전압의 범위가, VL,d,ref +ΔV 에서 VL,d,ref -ΔV 이며, VL,q,ref + ΔV 에서 VL,q,ref -ΔV 사이에 있는 경우, 제1 전압 제어기(1120)와, 제2 전압 제어기(1160)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변환장치(500)가 온 그리드이거나, 출력 전압의 범위가 정상 범위인 경우, 제1 전압 제어기(1120)의 출력값(ΔId1+ΔId2)은 제로(0)이며, 제2 전압 제어기(1160)의 출력값(ΔIq1+ΔIq2)은 제로(0)일 수 있다.
즉, 전력변환장치(500)가 온 그리드이거나, 출력 전압의 범위가 정상 범위인 경우, 제1 전압 제어기(1120) 및 제2 전압 제어기(1160)에서는 지령이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전력변환장치(500)가 오프 그리드이거나, 출력 전압의 범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1 전압 제어기(1120)의 출력값(ΔId1+ΔId2)은 제로(0) 가 아닌 값을 가지며, 제2 전압 제어기(1160)의 출력값(ΔIq1+ΔIq2)은 제로(0)가 아닌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전력변환장치(500)가 오프 그리드이거나, 출력 전압의 범위가 정상 범위가 아닌 경우, 제1 전압 제어기(1120) 및 제2 전압 제어기(1160)가 동작하여, 각각의 지령을 출력할 수 있다.
결국, 제1 전압 제어기(1120) 및 제2 전압 제어기(1160)는, 서로 병렬 연결되어 구동되며, 계통 연계 상태에서는 동작하지 않다가, 계통과 연결되지 않거나, 출력 전압이 변동되는 경우에,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전류 제어와, MPPT 제어를 이용하여, 태양 전지 모듈(100)에서의 발전 전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게통이 분리되어, 오프 그리드된 경우, 제어부(550)는, 단독 운전(standalone)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며, 전류 제어가 아닌 전압 제어를 통해, 부하(9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550)는, 온 그리드에서 오프 그리드로 전환될 때 부하(900)에 끊김 없는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심리스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의 출력단이 없거나, 인버터(540)의 출력단에 어떠한 필터가 있더라도, 출력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제1 전압 제어기(1120), 제2 전압 제어기(1160)가 병렬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병렬로 구성된 제1 전압 제어기(1120), 제2 전압 제어기(1160)는, 계통 전압 또는 출력 전압이 정상 범위인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정상 범위의 설정은 V△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압 제어기(1120), 제2 전압 제어기(1160)는, 각각 2개의 PI 제어기를 포함하며, 각 PI 제어기의 지령은 VL,d,ref±V△과 VL,q,ref±V△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전압 제어기(1120)는, 2개의 지령과 연산된 값을 각각 합산하는 합산기(1122,1132), 각 합산된 값을 PI 제어하는 PI 제어기(1123,1133), 각 PI 제어기(1123,1133)의 출력을 리미팅하는 리미터(1124,1134), PI 제어기(1123,1133)의 출력과 리미터(1124,1134)의 출력을 이용하여, Anti-Windup 과 같은 세팅을 수행하는 세팅부(1125,1135)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전압 제어기(1160)는, 2개의 지령과 연산된 값을 각각 합산하는 합산기(1142,1152), 각 합산된 값을 PI 제어하는 PI 제어기(1143,1153), 각 PI 제어기(1143,1153)의 출력을 리미팅하는 리미터(1144,1154), PI 제어기(1143,1153)의 출력과 리미터(1144,1154)의 출력을 이용하여, Anti-Windup 과 같은 세팅을 수행하는 세팅부(1145,1155)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출력 전압의 범위가 VL,d,ref+V△에서 VL,d,ref-V△, VL,q,ref+V△에서 VL,q,ref-V△ 사이에 있는 경우, 리미터와 세팅부에 의해, 제1 전압 제어기(1120)와 제2 전압 제어기(1160)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회로도이고, 도 13a 내지 도 15c는 도 12의 전력변환장치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500)는, 인버터(540)와, 인버터(540)를 제어하는 제어부(550), 필터부(570)를 구비할 수 있다.
인버터(540)는,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7 스위칭 소자(SW1)와 제8 스위칭 소자(SW2)를 포함하는 제4 레그(legd)와,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9 스위칭 소자(SW3)와 제10 스위칭 소자(SW4)를 포함하는 제5 레그(lege)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4 레그(legd)와, 제5 레그(lege)는 서로 병렬 접속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의 제4 레그(legd)와 제5 레그(lege)의 스위칭 주파수가 다른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며, 인버터 출력 전압의 제로 크로싱 시점에, 제5 레그(lege) 내의 스위칭 소자(SW3,SW4)는 오프되고, 제7 스위칭 소자(SW1) 또는 제8 스위칭 소자(SW2)가 스위칭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550)는, 제5 레그(lege) 내의 제9 스위칭 소자(SW3)와 제10 스위칭 소자(SW4)의 스위칭 주파수 보다 제4 레그(legd) 내의 제7 스위칭 소자(SW1)와 제8 스위칭 소자(SW2)의 스위칭 주파수가 더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제5 레그(lege) 내의 제9 스위칭 소자(SW3)와 제10 스위칭 소자(SW4)의 스위칭 주파수가, 게통 주파수와 동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레그(legd)의 스위칭 주파수는 고속 스위칭 주파수로서, 계통 주파수인 50Hz 또는 60Hz 보다 높은 수KHz 내지 수백 KHz일 수 있다.
한편, 제5 레그(lege)의 스위칭 주파수는, 자속 스위칭 주파수로서, 계통 주파수인 50Hz 또는 60Hz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인버터 출력 전압의 제로 크로싱 시점 부근에서, 인버터(540)의 스위칭 소자(SW1~SW4)의 턴 오프에 따른 피크 전류 발생 등을 방지를 위해, 제5 레그(lege) 내의 스위칭 소자(SW3,SW4)는 오프되고, 제7 스위칭 소자(SW1) 또는 제8 스위칭 소자(SW2)가 스위칭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류 왜곡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역률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의 제4 레그(legd)와 제5 레그(lege)의 스위칭 주파수가 다른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며, 인버터 출력 전압이 정극성에서 부극성으로 변하는 제로 크로싱 시점(도 13a, 도 13b의 Tzca 또는 도 14a, 도 14b의 Tzcb)에, 제5 레그(lege) 내의 스위칭 소자(SW3,SW4)는 오프되고, 제7 스위칭 소자(SW1) 또는 제8 스위칭 소자(SW2)가 스위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류 왜곡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제10 스위칭 소자(SW4)가 오프된 제1 시점부터 제9 스위칭 소자(SW3)가 온 되는 제2 시점 사이의 구간 중에, 인버터(540)에서 환류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류 왜곡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제10 스위칭 소자(SW4)가 오프된 제1 시점부터 제9 스위칭 소자(SW3)가 온 되는 제2 시점 사이의 구간 중에, 제7 스위칭 소자(SW1) 또는 제8 스위칭 소자(SW2)가 스위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류 왜곡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3a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류(Igxa)가 전압(Vgxa) 보다 느린 지상인 경우를 예시한다.
한편, 도면에서와 같이,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Vgxa)은, Zca에서 제로 크로싱될 수 있다. 특히, Zca 지점은,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Vgxa)이 정극성의 전압을 가지다가, 부극성의 전압으로 변화되는 시점에 대응한다.
인버터 출력 전압 검출부(F)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압(vc3)을 검출할 수 있으며,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압(vc3) 중 특히 제로 크로싱 지점(Zca)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3b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지상인 경우, 인버터(540)의 스위칭 소자들의 스위칭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지상인 경우, 도 13b와 같이, 제10 스위칭 소자(SW4)가 오프된 제1 시점(Taa)부터, 제9 스위칭 소자(SW3)가 온 되는 제2 시점(Tbb) 사이의 구간(Pda) 중에, 제7 스위칭 소자(SW1)가 턴 온되어 스위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시점(Taa)부터, 제9 스위칭 소자(SW3)가 온 되는 제2 시점(Tbb) 사이의 구간(Pda) 중의 Ta1 시점에, 제7 스위칭 소자(SW1)가 턴 온되어 스위칭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하면, 도 3b와 비교하여, 인버터(540) 내의 스위칭이 수행되지 않았던, Pda 구간 동안, 제7 스위칭 소자(SW1)가 턴 온되어 스위칭하게 된다.
한편, 외부로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전력 공급 모드에 대응하는, Pd4a, Pd3a 구간 동안,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따라, 턴 온되는 스위칭 소자를 통해, 전류 패쓰가 형성된다.
그리고, Pda 구간 동안, 환류 모드가 수행되어, 도 13c 또는 도 13d와 같이, 제7 스위칭 소자(SW1)와, 제9 스위칭 소자(SW3)에 병렬 접속되는 다이오드 소자(D3)를 통해, 제1 전류 패쓰(path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550)는, 도 13a와 같이,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지상인 경우, 제7 스위칭 소자(SW1)와, 제9 스위칭 소자(SW3)에 병렬 접속되는 다이오드 소자(D3)를 통해, 제1 전류 패쓰(path1)가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역률 제어를 수행하여, 도 13e와 같이,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류 왜곡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Pda 구간 동안의 출력 교류 전원의 전류 왜곡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3e는 지상 전류(Iga)의 파형과 전압 파형(Vga)에 피크 전류가 제거되어 전류 품질과 전압 품질이 개선된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지상인 경우, 제1 시점(Taa)에, 제8 스위칭 소자(SW2)가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역률 제어를 수행하여,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류 왜곡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제10 스위칭 소자(SW4)가 오프된 제1 시점(Taa)부터 제9 스위칭 소자(SW3)가 온 되는 제2 시점(Tbb) 사이의 구간(Pda) 중에, 제7 스위칭 소자(SW1) 또는 제8 스위칭 소자(SW2)의 스위칭 주파수가, 제5 레그(lege) 내의 제9 스위칭 소자(SW3)와 제10 스위칭 소자(SW4)의 스위칭 주파수 보다, 더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류 왜곡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Vc3)을 검출하는 출력 전압 검출부(F)와,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Ic3)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역률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역률을 연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역률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550)는, Pd4a, Pd3a 구간 동안,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전류 사이의 역률을 조정하기 위한 역률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d4a 구간 동안, 제10 스위칭 소자(SW4)는 온, 제9 스위칭 소자(SW3)는 오프되며, 제7 스위칭 소자(SW1)와 제8 스위칭 소자(SW2)는 교호하게 스위칭된다.
한편, Pd3a 구간 동안, 제10 스위칭 소자(SW4)는 오프, 제9 스위칭 소자(SW3)는 온되며, 제7 스위칭 소자(SW1)와 제8 스위칭 소자(SW2)는 교호하게 스위칭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Pda 구간 동안,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전류 사이의 역률을 조정하기 위한 역률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연산된 역률에 따라, 제4 레그(legd) 내의 제7 스위칭 소자(SW1)와 제8 스위칭 소자(SW2)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역률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연산된 역률에 따라, 제10 스위칭 소자(SW4)가 오프된 제1 시점(Taa)부터 제9 스위칭 소자(SW3)가 온 되는 제2 시점(Tbb) 사이의 구간(Pda) 중의, 제7 스위칭 소자(SW1) 또는 제8 스위칭 소자(SW2)의 스위칭 타이밍을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50)는, 연산된 역률이 작을수록, 제7 스위칭 소자(SW1) 또는 제8 스위칭 소자(SW2)의 스위칭 타이밍인 Ta1이, Taa에 더 가까워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역률 제어를 수행하여,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류 왜곡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4a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류(Igba)가 전압(Vgba) 보다 앞서는 진상인 경우를 예시한다.
한편, 도면에서와 같이,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Vgba)은, Zcb에서 제로 크로싱될 수 있다. 특히, Zcb 지점은,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Vgba)이 정극성의 전압을 가지다가, 부극성의 전압으로 변화되는 시점에 대응한다.
인버터 출력 전압 검출부(F)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압(vc3)을 검출할 수 있으며,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압(vc3) 중 특히 제로 크로싱 지점(Zcb)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4b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진상인 경우, 인버터(540)의 스위칭 소자들의 스위칭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진상인 경우, 도 14b와 같이, 제10 스위칭 소자(SW4)가 오프된 제1 시점(Tba)부터, 제9 스위칭 소자(SW3)가 온 되는 제2 시점(Tbb) 사이의 구간(Pdb) 중에, 제8 스위칭 소자(SW2)가 턴 온되어 스위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시점(Tba)부터, 제9 스위칭 소자(SW3)가 온 되는 제2 시점(Tbb) 사이의 구간(Pdb) 중의 Tb1 시점까지, 제8 스위칭 소자(SW2)가 계속 스위칭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하면, 종래의 3b와 비교하여, 인버터(540) 내의 스위칭이 수행되지 않았던, Pdb 구간 동안, 제8 스위칭 소자(SW2)가 스위칭하게 된다.
한편, 외부로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전력 공급 모드에 대응하는, Pd4b, Pd3b 구간 동안,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따라, 턴 온되는 스위칭 소자를 통해, 전류 패쓰가 형성된다.
그리고, Pdb 구간 동안, 환류 모드가 수행되어, 도 14c 또는 도 14d와 같이, 제8 스위칭 소자(SW2)와, 제10 스위칭 소자(SW4)에 병렬 접속되는 다이오드 소자(D4)를 통해, 제2 전류 패쓰(path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550)는, 도 14a와 같이,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진상인 경우, 제8 스위칭 소자(SW2)와, 제10 스위칭 소자(SW4)에 병렬 접속되는 다이오드 소자(D4)를 통해, 제2 전류 패쓰(path2)가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역률 제어를 수행하여, 도 14e와 같이,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류 왜곡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Pdb 구간 동안의 출력 교류 전원의 전류 왜곡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4e는 진상 전류(Igb)의 파형과 전압 파형(Vgb)에 피크 전류가 제거되어 전류 품질과 전압 품질이 개선된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진상인 경우, 제2 시점(Tbb)에, 제7 스위칭 소자(SW1)가 턴 온되되어 스위칭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역률 제어를 수행하여,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류 왜곡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제10 스위칭 소자(SW4)가 오프된 제1 시점(Tba)부터 제9 스위칭 소자(SW3)가 온 되는 제2 시점(Tbb) 사이의 구간(Pdb) 중에, 제7 스위칭 소자(SW1) 또는 제8 스위칭 소자(SW2)의 스위칭 주파수가, 제5 레그(lege) 내의 제9 스위칭 소자(SW3)와 제10 스위칭 소자(SW4)의 스위칭 주파수 보다, 더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류 왜곡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출력 전압 검출부(F)로부터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 검출부(E)로부터의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역률을 연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역률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550)는, Pd4b, Pd3b 구간 동안,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전류 사이의 역률을 조정하기 위한 역률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d4b 구간 동안, 제10 스위칭 소자(SW4)는 온, 제9 스위칭 소자(SW3)는 오프되며, 제7 스위칭 소자(SW1)와 제8 스위칭 소자(SW2)는 교호하게 스위칭된다.
한편, Pd3b 구간 동안, 제10 스위칭 소자(SW4)는 오프, 제9 스위칭 소자(SW3)는 온되며, 제7 스위칭 소자(SW1)와 제8 스위칭 소자(SW2)는 교호하게 스위칭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Pdb 구간 동안,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전류 사이의 역률을 조정하기 위한 역률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연산된 역률에 따라, 제1 레그(legb) 내의 제7 스위칭 소자(SW1)와 제8 스위칭 소자(SW2)의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역률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연산된 역률에 따라, 제10 스위칭 소자(SW4)가 오프된 제1 시점(Tba)부터 제9 스위칭 소자(SW3)가 온 되는 제2 시점(Tbb) 사이의 구간(Pdb) 중의, 제7 스위칭 소자(SW1) 또는 제8 스위칭 소자(SW2)의 스위칭 타이밍을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50)는, 연산된 역률이 작을수록, 제7 스위칭 소자(SW1) 또는 제8 스위칭 소자(SW2)의 턴 오프 타이밍인 Tb1이, Tbb에 더 가까워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면서 역률 제어를 수행하여,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류 왜곡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500)는, 인버터(5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류 및 전압은, 외부의 그리드 또는 내부 전력망에 연결된 부하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5b는 인버터(540)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제로 크로싱 지점(Zc)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제어부(550)는, 인버터 출력 전압의 제로 크로싱 지점(Zc)을 포함하는 구간(Pdc)에서 역률 제어가 수행되며, 인버터 출력 전압의 제로 크로싱 부근(Zc)에서 고속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의 제4 레그(legd)와 제5 레그(lege)의 스위칭 주파수가 다른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를 수행하며, 제10 스위칭 소자(SW4)가 오프된 제1 시점((도 13a의 Taa)부터 제9 스위칭 소자(SW3)가 온 되는 제2 시점(Tab) 사이의 구간 중에, 제5 레그(lege)의 스위칭 주파수는, 제1 시점(Taa) 이전의 제5 레그(lege)의 스위칭 주파수 보다 높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15c와 같이, 제1 시점(Taa) 이전의 Pma 구간, 제2 시점(Tab) 이후의 Pmb 구간 동안, 제어부(550)는, 인버터(540)의 제4 레그(legd)와 제5 레그(lege)의 스위칭 주파수가 다른 비동기 펄스폭 가변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4 레그(legd)의 스위칭 주파수는 수 KHz 내지 수 백 KHz 사이일 수 있으며, 제5 레그(lege)의 스위칭 주파수는 계통 주파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제로 크로싱 시점(Tzc)을 포함하는 구간(Po1) 동안, 역률 제어를 수행하면서, 제5 레그(lege)의 스위칭 주파수가, 제1 시점(Taa) 이전의 Pma 구간, 제2 시점(Tab) 이후의 Pmb 구간 동안의 스위칭 주파수 보다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50)는, 제로 크로싱 시점(Tzc)을 포함하는 구간(Po1) 동안, 제5 레그(lege)의 스위칭 주파수가 수 KHz 내지 수 백 KHz 사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류 왜곡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로 크로싱 시점(Tzc)을 포함하는 구간(Po1) 동안, 계통 방향은 물론, 인버터 방향으로의 양방향 전류 패쓰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도 16은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가 벅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6의 (a)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 파형(Vdca)을 나타낸다.
도 16의 (b)는, 제1 스위칭 소자(Q1)와 제4 스위칭 소자(Q4)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SQ1,SQ4)를 예시한다.
도 16의 (c)는, 제2 스위칭 소자(Q2)와 제3 스위칭 소자(Q3)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SQ2,SQ3)를 예시한다.
도 16의 (d)는, 제4 스위칭 소자(Q4)의 양단 전압 파형(VQ4), 및 전류 파형(IQ4)을 예시한다.
벅 모드의 경우,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 내의 제1 스위칭 소자(Q1)와 제4 스위칭 소자(Q4), 제2 스위칭 소자(Q2)와 제3 스위칭 소자(Q3)가, 교번하여 턴 온되지 않고, 도면과 같이, 위상 시프트(phase shift)에 의해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즉, 제1 스위칭 소자(Q1)와 제4 스위칭 소자(Q4)의 위상 차이가 180도로 고정되는 것이 아닌, 위상 시프트에 의해 위상 또는 턴 온 타이밍이 가변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스위칭 소자(Q1)와 제4 스위칭 소자(Q4)의 위상 차이가, DLa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어부(550)는, 벅 모드의 경우,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를 최대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시키고,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 내의 스위칭 소자의 위상 차이(DLa)를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이 목표 전압 이상이며,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클수록,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 내의 스위칭 소자의 위상 차이(DLa)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550)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클수록, 제1 스위칭 소자(Q1)와 제4 스위칭 소자(Q4)의 위상 차이(DLa)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벅 모드의 경우,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 내의 제4 및 제3 스위칭 소자(Q4,Q3)의 턴 온 타이밍이,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Q1,Q2)의 턴 온 타이밍 보다 지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dc 단 전압(Vdc)을 가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4 스위칭 소자(Q1,Q4)가, 턴 온 되는 경우, 전류가 흐를러, 공진 커패시터(Cr), 공진 인덕터(Lr)가 공진하게 된다.
그 후, 제4 스위칭 소자(Q4)가 턴 오프되고, 제3 스위칭 소자(Q3)가 턴 온되는 경우, 트랜스포머(536)에 흐르는 전류는 그라운드(GND) 또는 제로(zero)까지 하강하며, 컨버터(530)는, 컨버터는 불연속 모드(DCM Dis Continue Mode)로 동작하면서 2차측 스위치는 영전류 스위칭 (ZCS Zero Current Switching)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 내의 스위칭 소자(Q9,Q10)는,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 내의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Q1,Q2) 등에 동기되어 스위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이 목표 전압 이상이며,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클수록, 턴온 타이밍 지연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이 목표 전압과의 차이를 저감할 수 있으며, 결국, 도 16의 (a)와 같은, 리플이 적은 전압 파형(Vdca)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Ta 시점과 Tb 시점 등에서,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 내의 스위칭 소자의 영전압 턴 온 스위칭(705a,705b)이 수행되고, 영전압 턴 오프 스위칭(705a,705b)이 수행된다. 따라서, 고효율, 및 고승압의 전력 변환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벅 모드의 경우,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 내의 제4 및 제3 스위칭 소자(Q4,Q3)의 턴 온 타이밍이,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Q1,Q2)의 턴 온 타이밍 보다 지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dc 단 전압(Vdc)을 가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4 스위칭 소자(Q1,Q4)가, 턴 온 되는 경우, 전류가 흐를러, 공진 커패시터(Cr), 공진 인덕터(Lr)가 공진하게 된다.
그 후, 제4 스위칭 소자(Q4)가 턴 오프되고, 제3 스위칭 소자(Q3)가 턴 온되는 경우, 트랜스포머(536)에 흐르는 전류는 그라운드(GND) 또는 제로(zero)까지 하강하며, 컨버터(530)는, 컨버터는 불연속 모드(DCM Dis Continue Mode)로 동작하면서 2차측 스위치는 영전류 스위칭 (ZCS Zero Current Switching)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 내의 스위칭 소자(S1,S2)는,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 내의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Q1,Q2) 등에 동기되어 스위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이 목표 전압 이상이며,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클수록, 턴온 타이밍 지연이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이 목표 전압과의 차이를 저감할 수 있으며, 결국, 도 16의 (a)와 같은, 리플이 적은 전압 파형(Vdca)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Ta 시점과 Tb 시점 등에서,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 내의 스위칭 소자의 영전압 턴 온 스위칭(705a,705b)이 수행되고, 영전압 턴 오프 스위칭(705a,705b)이 수행된다. 따라서, 고효율, 및 고승압의 전력 변환이 가능하게 된다.
도 17은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가 부스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7의 (a)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 파형(Vdcb)을 나타낸다.
도 17의 (b)는, 제1 스위칭 소자(Q1)와 제4 스위칭 소자(Q4)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SQ1,SQ4)를 예시한다.
도 17의 (c)는, 제2 스위칭 소자(Q2)와 제3 스위칭 소자(Q3)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SQ2,SQ3)를 예시한다.
도 17의 (d)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 내의 제5 스위칭 소자(S1)와 제6 스위칭 소자(S10)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 신호(SS1,SS2)를 예시한다.
도 17의 (e)는, 제4 스위칭 소자(Q4)의 양단 전압 파형(VQ4), 및 전류 파형(IQ4)을 예시한다.
한편, 제어부(550)는, 부스트 모드의 경우, 도 17의 (b), 도 17의 (c)와 같이,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 내의 제1 스위칭 소자(Q1)와 제4 스위칭 소자(Q4), 제2 스위칭 소자(Q2)와 제3 스위칭 소자(Q3)가, 교번하여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부스트 모드의 경우,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를 최소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시키고,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 내의 스위칭 소자의 턴 온 듀티를 가변할 수 있다. 도 17의 (d)에서는, 턴 온 듀티로 DLb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칭 소자(Q1)와 제4 스위칭 소자(Q4), 제2 스위칭 소자(Q2)와 제3 스위칭 소자(Q3)가, 교번하여 턴 온되는 동안,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 내의 제5 스위칭 소자(S1), 및 제10 스위칭 소자(S2)의 듀티가 가변되면서, 턴 온된다.
한편,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 내의 제5 스위칭 소자(S1), 및 제10 스위칭 소자(S2)가 온 되는 동안, 공진 인덕터(Lr)에 에너지가 충전된다. 이에 의해, 승압이 수행되게 된다.
한편, 제어부(550)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이 목표 전압 미만이며,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클수록,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 내의 제5 스위칭 소자(S1), 및 제10 스위칭 소자(S2)의 턴 온 듀티(DLb)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50)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이 목표 전압 미만이며,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과 목표 전압과의 차이가 클수록,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538) 내의 스위칭 소자의 턴 온 듀티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양단 전압이 목표 전압과의 차이를 저감할 수 있으며, 결국, 도 17의 (a)와 같은, 리플이 적은 전압 파형(Vdca)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T1 시점과 T2 시점 등에서, 풀 브릿지 스위칭부(532) 내의 스위칭 소자의 영전압 턴 온 스위칭(715a,715b)이 수행되고, 영전압 턴 오프 스위칭(715a,715b)이 수행된다. 따라서, 고효율, 및 고승압의 전력 변환이 가능하게 된다.
도 18은 도 1a 또는 도 1b의 태양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 2의 태양전지 모듈(100)은, 복수의 태양 전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복수의 태양전지(130)의 하면과 상면에 위치하는 제1 밀봉재(120)와 제2 밀봉재(150), 제1 밀봉재(120)의 하면에 위치하는 후면 기판(110) 및 제2 밀봉재(150)의 상면에 위치하는 전면 기판(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태양전지(130)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화하는 반도체 소자로써, 실리콘 태양전지(silicon solar cell),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compound semiconductor solar cell) 및 적층형 태양전지(tandem solar cell), 염료감응형 또는 CdTe, CIGS형 태양전지, 박막 태양전지 등일 수 있다.
태양전지(130)는 태양광이 입사하는 수광면과 수광면의 반대측인 이면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130)는, 제1 도전형의 실리콘 기판과, 실리콘 기판상에 형성되며 제1 도전형과 반대 도전형을 가지는 제2 도전형 반도체층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면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제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는 반사방지막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부면에 접촉하는 전면전극과, 상기 실리콘 기판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태양전지(130)는,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태양 전지(130)는, 리본(13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리본(133)은, 태양전지(130)의 수광면 상에 형성된 전면 전극과, 인접한 다른 태양전지(130)의 이면 상에 형성된 후면 전극집전 전극에 접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리본(133)이 2줄로 형성되고, 이 리본(133)에 의해, 태양전지(130)가 일렬로 연결되어, 태양전지 스트링(140)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6개의 스트링(140a,140b,140c,140d,140e,140f)이 형성되고, 각 스트링은 10개의 태양전지를 구비할 수 있다.
후면 기판(110)은, 백시트로서, 방수, 절연 및 자외선 차단 기능을 하며, TPT(Tedlar/PET/Tedlar) 타입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4에서는 후면 기판(110)이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태양전지 모듈(100)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원형, 반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후면 기판(110) 상에는 제1 밀봉재(120)가 후면 기판(110)과 동일한 크기로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 밀봉재(120) 상에는 복수의 태양전지(130)가 수 개의 열을 이루도록 서로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밀봉재(150)는, 태양전지(130) 상에 위치하여 제1 밀봉재(120)와 라미네이션(Lamination)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밀봉재(120)와, 제2 밀봉재(150)는, 태양전지의 각 요소들이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 밀봉재(120)와 제2 밀봉재(150)는, 에틸렌 초산 비닐 수지 (Ethylene Vinyl Acetate;EVA) 필름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한편, 전면 기판(160)은, 태양광을 투과하도록 제2 밀봉재(150) 상에 위치하며,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태양전지(130)를 보호하기 위해 강화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태양광의 반사를 방지하고 태양광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 철분이 적게 들어간 저철분 강화유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 발전 전력에 의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레벨을 가변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외부의 부하 또는 계통으로 변환된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인버터;
상기 컨버터와 인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는,
상기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상기 발전 전력이, 상기 부하의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1 출력 전압과 제1 출력 전류를 출력하며,
상기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상기 발전 전력이 상기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2 출력 전압과 상기 제1 출력 전류 보다 작은 제2 출력 전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온 그리드 상태에서, 상기 발전 전력이, 상기 부하의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제1 출력 전압과 제1 출력 전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계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상기 발전 전력이 상기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출력 전압과 상기 제1 출력 전류 보다 작은 제2 출력 전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전압의 최대치는 상기 제1 출력 전압의 최대치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에서, 상기 제1 출력 전압이 출력되는 중에, 상기 제1 출력 전압의 최대치의 변화율이 기준 변화율 이상인 경우, 상기 오프 그리드로 판단하고, 상기 발전 전력이 상기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출력 전압과 상기 제2 출력 전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 그리드 상태에서, 상기 컨버터가 전압 제어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상기 컨버터가 전류 제어에 기초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상기 발전 전력이, 상기 부하 전력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출력 전압과 상기 제1 출력 전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오프 그리드 상태에서, 상기 발전 전력이, 상기 부하 전력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출력 전압 보다 작은 제3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프 그리드 상태이며, 상기 발전 전력이, 상기 부하 전력 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제3 출력 전압의 최대 레벨이 기준치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인버터가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전 전력이, 상기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의, 상기 오프 그리드의 판단 시점부터 상기 컨버터의 전류 제어 시작 시점 사이의 제1 기간 보다, 상기 발전 전력이, 상기 부하 전력과 동일한 경우의, 상기 오프 그리드의 판단 시점부터 상기 컨버터의 전류 제어 시작 시점 사이의 제2 기간이 더 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전 전력이, 상기 부하 전력 보다 큰 경우의, 상기 오프 그리드의 판단 시점부터 상기 컨버터의 전압 제어 종료 시점 사이의 제1 기간 보다, 상기 발전 전력이, 상기 부하 전력과 동일한 경우의, 상기 오프 그리드의 판단 시점부터 상기 컨버터의 전압 제어 종료 시점 사이의 제2 기간이 더 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커패시터 소자가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 전압 검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전압 검출부에서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계통의 상기 온 그리드 상태 또는 상기 오프 그리드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컨버터 제어를 위한 전류 지령치를 생성하며,
상기 전류 지령치에 기초하여, 상기 컨버터 제어를 위한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제1 레그와,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3 스위칭 소자와 제4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제2 레그를 구비하며, 입력되는 직류 전압을 변환하는 풀 브릿지 스위칭부;
상기 풀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입력측이 접속되는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의 출력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5 스위칭 소자와 제6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제3 레그를 구비하는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상기 트랜스포머와 상기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 사이에 접속되는 공진 인덕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는,
상기 제5 스위칭 소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1 커패시터;
상기 제6 스위칭 소자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출력측의 제1 노드는, 공진 인덕터에 접속되며,
상기 트랜스포머의 출력측의 제2 노드는,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사이의 노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7 스위칭 소자와 제8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제4 레그와,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9 스위칭 소자와 제10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제5 레그를 구비하며, 상기 dc 단의 전압을 변환하여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7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10 스위칭 소자의 턴 온에 의해, 정극성의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전압을 정극성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8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9 스위칭 소자의 턴 온에 의해, 정극성의 하프 브릿지 스위칭부의 출력단의 전압을 부극성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력변환장치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2209A KR20220030624A (ko) | 2020-09-03 | 2020-09-03 |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2209A KR20220030624A (ko) | 2020-09-03 | 2020-09-03 |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0624A true KR20220030624A (ko) | 2022-03-11 |
Family
ID=8081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2209A KR20220030624A (ko) | 2020-09-03 | 2020-09-03 |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30624A (ko) |
-
2020
- 2020-09-03 KR KR1020200112209A patent/KR20220030624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22348B2 (ja) | 太陽光モジュール | |
US10027114B2 (en) | Master slave architecture for distributed DC to AC power conversion | |
US20220077818A1 (en) | Photovoltaic module | |
US20140153303A1 (en) | Solar module having a back plane integrated inverter | |
KR102317140B1 (ko) | 전력변환장치 및 태양광 모듈 | |
US9379641B2 (en) | Energy recovery circuit for distributed power converters in solar cells | |
US20220263428A1 (en) |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photovoltaic module including the same | |
EP3657652B1 (en) | Photovoltaic module | |
US9356537B2 (en) | Slave circuit for distributed power converters in a solar module | |
KR20210069439A (ko) |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 |
KR102272675B1 (ko) | 태양광 모듈 | |
KR102279789B1 (ko) | 전력변환장치 및 태양광 모듈 | |
EP2897267B1 (en) |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photovoltaic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20210115783A (ko) |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 |
KR20220030624A (ko) |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 |
US10868476B2 (en) |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photovoltaic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20210130477A (ko) |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 |
CN113708408A (zh) | 自适应光照条件的多输出模式单相光伏逆变器及控制方法 | |
KR20190129466A (ko) |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 |
KR20190055734A (ko) | 태양광 모듈 | |
Pandya et al. | Diagonal PV micro-inverter with isolated output | |
KR20200141836A (ko) |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 |
Kollati et al. | Improved InC MPPT Controlled Self Lift Luo Converter for Grid Tied PV System Under Partial Shading Conditio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