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347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347A
KR20220030347A KR1020200108561A KR20200108561A KR20220030347A KR 20220030347 A KR20220030347 A KR 20220030347A KR 1020200108561 A KR1020200108561 A KR 1020200108561A KR 20200108561 A KR20200108561 A KR 20200108561A KR 20220030347 A KR20220030347 A KR 20220030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door
air
flo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식
박영재
성시찬
강원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200108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0347A/ko
Publication of KR20220030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64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ir streams of different temperatures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전석으로 토출되는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풋벤트와 후석으로 토출되는 플로어벤트와 콘솔벤트가 형성된 공조케이스;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풋벤트, 플로어벤트 및 콘솔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도어, 페이스도어, 풋도어, 후석도어;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통로 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 및 히터코어;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는 템프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공조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플로어벤트와 상기 콘솔벤트가 좌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독립온도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후석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플로어벤트와 콘솔벤트가 좌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결합형 후석도어로 플로어벤트와 콘솔벤트의 개도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차량 실내의 전석 또는 운전석 집중 공조 제어가 가능하며, 중량을 저감시키고 차량의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독립온도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내부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중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차량용 공조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의 온도, 습도를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킴에 따라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독립온도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좌/우 또는 차량 실내의 전석(운전석과 조수석)과 후석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후석으로 배출되는 후석 유로가 차량 전후 방향의 수직구조로 배치되어 한 개의 일체형의 후석 도어를 통해 개폐가 결정된다.
종래의 독립온도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는 후석으로 배출되는 후석벤트가 차량 전후 방향의 수직구조로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차량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현저하게 낮게 된다.
또한, 공간 활용도가 현저하게 낮다보니 다른 부품을 차량 내부에 설치 할 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며, 차량의 내부에 차량용 공조장치 이외에 별도의 부품 조립 시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가 되는 불편함이 있다.
이로 인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차량의 내부에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독립온도 제어하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며, 중량을 저감시키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전석으로 토출되는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풋벤트와 후석으로 토출되는 플로어벤트와 콘솔벤트가 형성된 공조케이스;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풋벤트, 플로어벤트 및 콘솔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도어, 페이스도어, 풋도어, 후석도어;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통로 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 및 히터코어;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는 템프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공조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플로어벤트와 상기 콘솔벤트가 좌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후석도어는, 상기 콘솔벤트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콘솔도어와 상기 플로어벤트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플로어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콘솔도어는, 상기 플로어도어의 수평방향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후석도어는, 개방 시 상기 콘솔도어와 상기 플로어도어가 동시에 개방되며, 유동되는 공기가 전후 방향의 상기 콘솔벤트와 상기 플로어벤트로 배출된다.
상기 후석도어는, 상기 콘솔도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플로어도어가 한 쌍으로 결합된다.
상기 후석도어는, 폐쇄 시 상기 플로어 도어도 같이 닫히게 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상기 페이스도어를 통해서 상기 전석으로 배출되는 페이스 벤트 모드가 되도록 한다.
상기 후석도어는, 폐쇄 시 상기 플로어 도어도 같이 닫히게 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상기 풋도어를 통해서 상기 전석으로 배출되는 풋벤트 모드가 되도록 한다.
상기 후석도어는, 폐쇄 시 상기 플로어 도어도 같이 닫히게 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상기 페이스도어와 상기 풋도어를 통해서 상기 전석의 상기 페이스벤트와 상기 풋벤트로 동시에 배출되는 바이레벨 모드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독립온도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후석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플로어벤트와 콘솔벤트가 좌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결합형 후석도어로 플로어벤트와 콘솔벤트의 개도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차량 실내의 전석 또는 운전석 집중 공조 제어가 가능하며, 중량을 저감시키고 차량의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독립온도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내부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중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차량용 공조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절단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 내지 도 3의 플로어도어와 콘솔도어가 결합된 후석도어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후석도어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 독립제어용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공조케이스(110), 디프로스트도어(120), 페이스도어(130) 및 후석도어(140), 증발기(150) 및 히터코어(160), 템프도어(170), 풋도어(180)를 포함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공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차량의 전석으로 토출되는 디프로스트벤트(112), 페이스벤트(113), 풋벤트(116)와 차량의 후석으로 토출되는 플로어벤트(114)와 콘솔벤트(11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차량의 후석으로 토출되는 상기 플로어벤트(114)와 상기 콘솔벤트(115)는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을 축소시키기 위한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에 하기로 한다.
상기 디프로스트도어(120), 페이스도어(130) 및 후석도어(14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프로스트벤트(112), 페이스벤트(113), 플로어벤트(114) 및 콘솔벤트(115)의 개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후석도어(140)는 상기 콘솔벤트(115)의 개도를 조절하는 콘솔도어(142)와 상기 플로어벤트(114)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로어도어(141)가 결합된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에 하기로 한다.
상기 증발기(150) 및 히터코어(16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통로 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템프도어(170)는 상기 증발기(150)와 히터코어(160)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 유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증발기(15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조절한다.
상기 풋도어(180)는 공기유입구(111)를 통해 상기 공조케이스(110)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풋벤트(116)의 개도를 조절한다.
여기서부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좌우 독립제어용 차량용 공조장치(100)에서 차량의 후석으로 배출되는 상기 플로어벤트(114)와 상기 콘솔벤트(115)의 방향을 축소시키기 위한 형상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상기 플로어벤트(114)와 상기 콘솔벤트(115)는 차량의 내부에 좌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석도어(140)는 상기 플로어벤트(114)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플로어도어(141)와 상기 콘솔벤트(115)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콘솔도어(1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콘솔도어(142)는 상기 플로어도어(141)의 수평방향 일측에 결합되기에 상기 후석도어(140)는 상기 콘솔도어(142)와 상기 플로어도어(141)가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석도어(140)가 개방 시 상기 콘솔도어(142)와 상기 플로어도어(141)가 동시에 개방되며,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전후 방향의 상기 플로어벤트(114)와 상기 콘솔벤트(115)로 배출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플로어벤트(114)와 상기 콘솔벤트(115)의 방향을 축소시켜 중량을 저감시키고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의 내부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후석도어(140)는 상기 풋도어(180)가 공기가 유동되는 풋벤트(116)의 개도를 조절하기에 좌측에만 플로어 도어(141)가 배치가 되는 형상으로 공기를 차단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풋도어(180)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후석도어(140)를 닫으면 상기 플로어 도어(141)도 같이 닫히게 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풋도어(180)를 통해서 상기 전석으로 배출되는 풋벤트 모드와 상기 페이스도어(130)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상기 후석도어(140)를 닫으면 상기 플로워 도어(141)도 같이 닫히게 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상기 페이스도어(130)를 통해서 상기 전석으로 배출되는 페이스벤트 모드, 상기 후석도어(140)를 닫으면 공기가 유동되는 풋도어(180)를 통해서 상기 전석의 상기 풋벤트(116)와 상기 페이스벤트(113)가 동시에 배출되어 전석으로 배출되는 바이레벨 모드로 형성이 가능하게 하기에 따라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에서 후석도어(140) 제조 시에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이하부터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후석도어(240)는 상기 플로어도어(241)가 한 쌍으로 상기 콘솔도어(242)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다.
즉, 상기 후석도어(240)는 본 발명과 또 다른 차량에 적용 시에 무리없이 적용이 가능하기에 상기 후석도어(240)가 개방 시에 상기 콘솔도어(242)와 상기 플로어도어(241)가 동시에 개방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플로어벤트(114)와 상기 콘솔벤트(115)로 배출이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독립온도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는 후석으로 배출되는 후석벤트가 차량 전후 방향의 수직구조로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현저하게 낮게 되었다.
또한, 공간 활용도가 현저하게 낮다보니 다른 부품을 차량용 공조장치 내부에 설치 할 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며, 차량용 공조장치 내부에 별도의 부품 조립 시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가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차량용 공조장치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독립온도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후석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플로어벤트와 콘솔벤트가 좌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결합형 후석도어로 플로어벤트와 콘솔벤트의 개도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차량 실내의 전석 또는 운전석 집중 공조 제어가 가능하며, 중량을 저감시키고 차량의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독립온도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내부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중량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차량용 공조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100 : 차량용 공조장치 110 : 공조케이스
111 : 공기유입구 112 : 디프로스트벤트
113 : 페이스벤트 114 : 플로어벤트
115 : 콘솔벤트 116 : 풋벤트
120 : 디프로스트도어 130 : 페이스도어
140,240 : 후석도어 141,241 : 플로어도어
142,242 : 콘솔도어 150 : 증발기
160 : 히터코어 170 : 템프도어
180 : 풋도어

Claims (8)

  1.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전석으로 토출되는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풋벤트와 후석으로 토출되는 플로어벤트와 콘솔벤트가 형성된 공조케이스;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풋벤트, 플로어벤트 및 콘솔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로스트도어, 페이스도어, 풋도어, 후석도어;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통로 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 및 히터코어;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는 템프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공조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플로어벤트와 상기 콘솔벤트가 좌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석도어는, 상기 콘솔벤트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콘솔도어와 상기 플로어벤트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플로어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콘솔도어는, 상기 플로어도어의 수평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석도어는, 개방 시 상기 콘솔도어와 상기 플로어도어가 동시에 개방되며, 유동되는 공기가 전후 방향의 상기 콘솔벤트와 상기 플로어벤트로 배출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석도어는, 상기 콘솔도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플로어도어가 한 쌍으로 결합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석도어는, 폐쇄 시 상기 플로어 도어도 같이 닫히게 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상기 페이스도어를 통해서 상기 전석으로 배출되는 페이스 벤트 모드가 되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석도어는, 폐쇄 시 상기 플로어 도어도 같이 닫히게 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상기 풋도어를 통해서 상기 전석으로 배출되는 풋벤트 모드가 되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석도어는, 폐쇄 시 상기 플로어 도어도 같이 닫히게 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상기 페이스도어와 상기 풋도어를 통해서 상기 전석의 상기 페이스벤트와 상기 풋벤트로 동시에 배출되는 바이레벨 모드가 되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200108561A 2020-08-27 2020-08-27 차량용 공조장치 KR20220030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561A KR20220030347A (ko) 2020-08-27 2020-08-27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561A KR20220030347A (ko) 2020-08-27 2020-08-27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347A true KR20220030347A (ko) 2022-03-11

Family

ID=8081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561A KR20220030347A (ko) 2020-08-27 2020-08-27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03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8719B2 (en)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574335B1 (ko) 좌우 독립 제어식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US8141622B2 (en) Consol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9981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80067761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US20120238197A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1350897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2019004489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47931A (ko)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3034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947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 커튼 시스템
KR2007006856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덕트 분지 구조
KR101767038B1 (ko)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
KR10116671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345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92151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1501291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094848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21001548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036390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20060010171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21010558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6002822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40078887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11254945A (ja) 車両用空調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