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345A -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345A
KR20220030345A KR1020200108559A KR20200108559A KR20220030345A KR 20220030345 A KR20220030345 A KR 20220030345A KR 1020200108559 A KR1020200108559 A KR 1020200108559A KR 20200108559 A KR20200108559 A KR 20200108559A KR 20220030345 A KR20220030345 A KR 20220030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ack pressure
inlet hole
chamber
scroll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인회
Original Assignee
두원중공업(주)
주식회사 두원전자
학교법인 두원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원중공업(주), 주식회사 두원전자, 학교법인 두원학원 filed Critical 두원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200108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0345A/ko
Publication of KR20220030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60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50/00Geometry
    • F04C2250/10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60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구동력에 의하여 선회운동을 하고 나선형상의 선회랩을 구비하는 선회스크롤과, 상기 선회스크롤의 선회운동 시 흡입실을 통해 흡입된 유체를 상기 선회랩과의 사이에서 압축하도록 압축실을 한정하고 상기 선회랩과 대응하여 맞물리는 나선형상의 고정랩을 구비하는 고정스크롤과, 상기 압축실과 연통되어 압축된 가스를 토출실로 토출하는 토출부와, 상기 선회스크롤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압실을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에 구비되어, 상기 선회스크롤 및 상기 고정스크롤에 작용하는 배압력을 조절하는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배압실과 상기 흡입실이 연통하는 공간에 구비되어 연통하는 공간을 조절하며, 상기 배압실의 압력이 유입되는 제1유입홀 및 제2유입홀이 대응되게 구비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공간 내부로 공급된 상기 배압실의 압력을 상기 흡입실로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밸브몸체부; 상기 밸브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몸체부로 유입되는 상기 배압실의 압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1유입홀 및 제2유입홀을 개폐하는 제1밸브 및 제2밸브; 및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와 밀착되며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상기 제1유입홀 및 제2유입홀에 밀착시키며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에 작용하는 압력에 대응하여 탄성변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몸체부로 유입되는 배압실이 압력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보다 크면 제1밸브가 개방되고, 유입되는 배압실의 압력이 증가되면 제1밸브가 개방된 후 제2밸브가 순차적으로 개방되는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를 제공한다.
따라서, 토출실과 흡입실의 압력차가 작은 스크롤 압축기의 저부하 조건에서 배압실과 흡입실의 차압이 과소한 경우에도 밸브가 열리도록 하여 오일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고 원활한 급유가 가능하도록 하여 스크롤 압축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스크롤 압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Valve for back pressure control in scroll compressor}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롤 압축기에 구비되어 압축기의 배압을 제어하는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롤 압축기는, 공조기 냉동기, 자동차의 에어컨 등에 구비되어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이다. 스크롤 압축기는 고정스크롤과 회전스크롤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스크롤과 회전스크롤의 사이에 압축실이 형성된다. 또한, 스크롤 압축기에 유입된 냉매가스는 흡입실을 통해 흡입되며, 흡입된 냉매는 상기 고정스크롤과 회전스크롤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축실로 이동되어, 회전스크롤의 회전에 의하여 냉매가스를 압축한다.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는 중앙의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실로 고압가스를 내보낸다.
상기와 같은 스크롤 압축기는 토출실과 압축실의 배압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운전압력비가 낮거나 높은 경우가 발생하여 효율저하 및 수명저하를 초래한다. 이러한 스크롤압축기의 배압을 조절하기 위한 스크롤압축기의 배압장치에 관한 특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44241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장치는 스크롤 압축기의 저압비 조건인 난방제습조건에서 배압실 압력이 흡입압력과의 차압이 과소하면 배압제어밸브가 열리지 않아 오일의 흐름이 차단되고, 오일이 배압실에 차 있으면 기타 압축부 등에 급유가 되지 않아 압축기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스크롤 압축기의 저압비 운전조건에서도 급유가 가능하여 난방제습조건의 운전에서도 원활한 급유가 가능하여 스크롤 압축기의 신뢰성을 개선시킨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구동력에 의하여 선회운동을 하고 나선형상의 선회랩을 구비하는 선회스크롤과, 상기 선회스크롤의 선회운동 시 흡입실을 통해 흡입된 유체를 상기 선회랩과의 사이에서 압축하도록 압축실을 한정하고 상기 선회랩과 대응하여 맞물리는 나선형상의 고정랩을 구비하는 고정스크롤과, 상기 압축실과 연통되어 압축된 가스를 토출실로 토출하는 토출부와, 상기 선회스크롤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압실을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에 구비되어, 상기 선회스크롤 및 상기 고정스크롤에 작용하는 배압력을 조절하는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배압실과 상기 흡입실이 연통하는 공간에 구비되어 연통하는 공간을 조절하며, 상기 배압실의 압력이 유입되는 제1유입홀 및 제2유입홀이 대응되게 구비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공간 내부로 공급된 상기 배압실의 압력을 상기 흡입실로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밸브몸체부; 상기 밸브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몸체부로 유입되는 상기 배압실의 압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1유입홀 및 제2유입홀을 개폐하는 제1밸브 및 제2밸브; 및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와 밀착되며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상기 제1유입홀 및 제2유입홀에 밀착시키며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에 작용하는 압력에 대응하여 탄성변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몸체부로 유입되는 배압실이 압력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보다 크면 제1밸브가 개방되고, 유입되는 배압실의 압력이 증가되면 제1밸브가 개방된 후 제2밸브가 순차적으로 개방되는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는 볼 밸브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유입홀은 상기 제2유입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유로부는 상기 제1유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밸브가 이동하는 제1유로와, 상기 제2유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밸브가 이동하는 제2유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제2유로 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제1밸브가 안착되는 제1안착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밸브가 상기 제1안착단에 안착 시 상기 제1밸브에 의해 상기 제1밸브유로는 닫힐 수 있다.
상기 제2유로에는 상기 제2유입홀과 연통되며 상기 제2밸브가 안착되는 제2안착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밸브가 상기 제2안착단에 안착 시 상기 제2유입홀이 닫힐 수 있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배출홀과 상시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는 상기 제1유입홀 및 제2유입홀과 연결되어 상기 배압실과 연통되는 배압실유로와, 상기 배출홀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실과 연통되는 흡입실유로를 포함하는 유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몸체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밸브몸체부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밸브몸체부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는 토출실과 흡입실의 압력차가 작은 스크롤 압축기의 저부하 조건에서 배압실과 흡입실의 차압이 과소한 경우에도 밸브가 열리도록 하여 오일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고 원활한 급유가 가능하도록 하여 스크롤 압축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스크롤 압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압제어 밸브가 구비된 스크롤 압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압제어 밸브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배압실의 압력의 크기에 따라 밸브가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10)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스크롤 압축기(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롤 압축기(1)는 메인프레임(20)과, 구동축(30)과, 선회스크롤(40)과, 고정스크롤(60)과, 토출부(70)와, 배압실(8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축(30)은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내부에 구비되어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하며, 상기 선회스크롤(40)은 상기 구동축(30)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30)의 구동력에 의해 선회운동을 하고, 상기 선회스크롤(40)은 나선형상의 선회랩(41)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스크롤(60)은 상기 선회스크롤(40)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선회스크롤(40)이 선회운동 시, 상기 고정스크롤(60)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스크롤(60)은 상기 선회랩(41)과의 사이에 압축실(61)을 형성하도록 상기 선회랩(41)과 대응하여 맞물리는 나선형상의 고정랩(62)을 구비한다. 즉, 흡입실(50)을 통해서 흡입된 유체가 상기 선회랩(41)과 상기 고정랩(62) 사이의 상기 압축실(61)로 유입되고, 상기 선회랩(4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압축실(61)의 공간이 줄어들고 그로 인해 압축된다.
상기 토출부(70)는 상기 압축실(61)과 연통되어 상기 압축실(61)에서 압축된 냉매가스가 토출실(71)로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압실(80)은 상기 선회스크롤(4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압실(80)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선회스크롤(40) 및 상기 고정스크롤(60)에 작용하는 배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압축기(1)는 베어링(Bearing), 슬라이딩 부시(Sliding bush) 및 급유시스템 등 냉매가스를 압축시키기 위한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크롤 압축기로서, 추가 구성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10)는 상기 메인프레임(20) 및 고정스크롤(6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롤 압축기(1)의 배압제어 밸브(10)는 밸브몸체부(100), 제1밸브(200), 제2밸브(300), 및 탄성부재(400)를 포함하며, 유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밸브몸체부(100)는 상기 흡입실(50)과 상기 배압실(80)이 연통하는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실(50)과 상기 배압실(80)이 연통하는 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밸브몸체부(100)에는 제1유입홀(100a), 제2유입홀(100b), 배출홀(100c)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몸체부(100)의 내부에는 제1밸브(200)와, 제2밸브(300)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밸브(200)와 제2밸브(300)가 상기 밸브몸체부(100)의 내부에서 상기 배압실(80)의 압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밸브몸체부(100)의 내부를 개폐함에 따라 상기 흡입실(50)과 상기 배압실(80)이 연통하는 공간이 개폐된다.
상기 제1유입홀(100a)과 상기 제2유입홀(100b)은 상기 밸브몸체부(100)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유입홀(100a)과 상기 제2유입홀(100b)은 상기 배압실(80)과 연통된다.
상기 배압실(80)과 연통되는 상기 제1유입홀(100a)과 상기 제2유입홀(100b)은 각각 제1밸브(200)와 제2밸브(300)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제1밸브(200)와 상기 제2밸브(300)로는 볼 밸브가 사용된다.
상기 밸브몸체부(100)의 내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기 제1밸브(200)와 제2밸브(30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400)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400)의 양단이 상기 제1밸브(200)와 상기 제2밸브(300)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밸브(200)와 상기 제2밸브(300)가 상기 제1유입홀(100a)과 상기 제2유입홀(100b)을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체로서, 상기 제1밸브(200) 및 제2밸브(300)에 작용하는 압력에 대응하여 탄성변형된다.
상기 밸브몸체부(100)는 제1밸브유로(110)와, 제2밸브유로(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밸브유로(110)에는 제1유입홀(10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밸브유로(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밸브(20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밸브유로(120)에는 제2유입홀(100b)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밸브유로(120)의 내부에는 상기 제2밸브(300)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밸브(200)와 상기 제2밸브(300)는 상기 탄성부재(40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1유입홀(100a)과 상기 제2유입홀(100b)을 밀폐하고, 상기 밸브몸체부(100)를 통해 상기 배압실(80)에서 상기 흡입실(50)로 이동되는 냉매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밸브(200)와 상기 제2밸브(300)가 상기 제1유입홀(100a)과 상기 제2유입홀(100b)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게 된다.
상기 제1밸브유로(110)와 상기 제2밸브유로(120)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밸브유로(110)의 직경은 상기 제2밸브유로(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밸브유로(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1밸브(200) 역시 상기 제2밸브유로(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밸브(300) 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1유입홀(100a) 역시 상기 제2유입홀(100b)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밸브유로(110)와 상기 제2밸브유로(120)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제1안착단(110a)이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단(110a)에 상기 제1밸브(200)가 안착되면 상기 제1유입홀(100a)을 통해 상기 제1밸브유로(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가스가 상기 제2밸브유로(120)로 유동되는 것이 차단되게 된다. 상기 제1밸브(200)의 안착면적을 넓히기 위해 상기 제1안착단(110a)은 상기 제2밸브유로(12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밸브유로(120)의 일단은 상기 제1밸브유로(110)와 연통되고, 타단에는 제2유입홀(100b)이 형성되며, 상기 제2밸브유로(120)와 상기 제2유입홀(100b)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제2밸브(300)가 안착되는 제2안착단(120a)이 형성된다. 상기 제2안착단(120a)에 상기 제2밸브(300)가 안착되면 상기 제2유입홀(100b)이 밀폐되어 상기 제2유입홀(100b)을 통해 상기 제2밸브유로(120)의 내부로 냉매가스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냉매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2밸브(300)가 상기 제1밸브유로(1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유입홀(100b)을 통해 상기 제2밸브유로(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가스는 상기 제2밸브유로(120)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홀(100c)을 통해 흡입실(50)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제2밸브(300)의 안착면적을 넓히기 위해 상기 제2안착단(110a)은 제2유입홀(100b)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유로부(500)는 상기 흡입실(50) 및 상기 배압실(80)과 연통되는 구간으로 압축될 냉매가스가 이동 가능한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유로부(500)는 배압실유로(510)와, 흡입실유로(520)를 포함한다.
상기 배압실유로(510)는 일단이 배압실(8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몸체부(100)와 연결된다. 냉매가스는 상기 배압실(80)에서 상기 배압실유로(51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밸브몸체부(100)로 이동한 후, 상기 밸브몸체부(100)의 배출홀(100c)를 통해 상기 흡입실유로(520)로 유입된 후 상기 흡입실(5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배압실유로(510)는 상기 제1유입홀(100a) 및 제2유입홀(100b)와 연결되어 상기 배압실(80)에서 공급되는 냉매가스를 상기 밸브몸체부(100)의 내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흡입실유로(520)는 상기 배출홀(100c)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흡입실(50)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홀(100c)로 배출되는 냉매가스를 상기 흡입실(50)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압실(80)에서 공급되는 냉매가스는 상기 배압실유로(510)를 통해 상기 제1유입홀(100a)과 상기 제2유입홀(100b)로 이동된다. 상기 배압실(80)에서 공급되는 냉매가스의 압력이 탄성부재(400)의 탄성력보다 크면 상기 제1밸브(200)가 냉매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400)를 압축시켜 상기 제2밸브(300)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유입홀(100a)을 개방하고, 개방된 제1유입홀(100a)을 통해 상기 제1밸브유로(110)로 유입된 냉매가스는 제2밸브유로(120)의 일측면에 형성된 배출홀(100c)로 배출되어 상기 배출홀(100c)과 연결되는 흡입실유로(520)를 통해 흡입실(50)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배압실(80)에서 공급되는 냉매가스의 압력이 커지게 되면 상기 제1밸브(200)는 상기 제1안착단(110a)에 안착되어 상기 제1밸브유로(110)는 밀폐되고, 상기 제1밸브유로(110)가 밀폐되면 상기 밸브몸체부(100)로 이동되는 냉매가스는 제2유입홀(100b)를 밀폐시킨 제2밸브(300)를 상기 제1밸브(200)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유입홀(100b)를 개방하고, 개방된 제2유입홀(100b)을 통해 상기 제2밸브유로(120)로 유입된 냉매가스는 제2밸브유로(120)의 일측면에 형성된 배출홀(100c)로 배출되어 상기 배출홀(100c)과 연결되는 흡입실유로(520)를 통해 흡입실(50)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토출실(71)의 압력과 흡입실(50)의 압력이 낮은 스크롤 압축기(1)의 저부하 조건에서 배압실(80) 압력이 토출압보다 낮을 경우에도 밸브가 열리도록 하여 오일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고 원활한 급유가 가능하도록 하여 스크롤 압축기(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스크롤 압축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10)는 상기 토출실(71)에서 상기 배압실(80)로 공급되는 유로에 형성되는 오리피스(Orifice)(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500)는 상기 스크롤 압축기(1)의 급유공에 구비되어 상기 오리피스(500)를 기준으로 상기 오리피스(500)의 전후의 압력차를 발생시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10)는 상기 압축실(61)과 연결되어, 상기 배압실(80)로 공급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몸체부(100)는 상기 메인프레임(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메인프레임(20)에 밸브몸체부(100)이 장착되는 장착홈(미도시)가 형성되고, 장착홈(미도시)에 밸브몸체부(100)가 삽입되어 밸브몸체부(100)가 메인프레임(2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수단(10)에 의하면, 제1밸브(200) 및 제2밸브(300)가 배압실(80)의 압력에 대응하여 이동함으로써 탄성부재(400)의 복원력이 변형되고, 탄성부재(400)의 복원력에 의하여 흡입실(50)과 배압실(80)을 연통하는 제1밸브(200)와 제2밸브(300)의 이동이 제어되어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력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스크롤 압축기 10 :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
20 : 메인프레임 30 : 구동축
40 : 선회스크롤 41 : 선회랩
50 : 흡입실 60 : 고정스크롤
61 : 압축실 62 : 고정랩
70 : 토출부 71 : 토출실
80 : 배압실 100 : 밸브몸체부
110 : 제1밸브유로 120 : 제2밸브유로
200 : 제1밸브 300 : 제2밸브
400 : 탄성부재

Claims (8)

  1.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의 구동력에 의하여 선회운동을 하고 나선형상의 선회랩을 구비하는 선회스크롤과, 상기 선회스크롤의 선회운동 시 흡입실을 통해 흡입된 유체를 상기 선회랩과의 사이에서 압축하도록 압축실을 한정하고 상기 선회랩과 대응하여 맞물리는 나선형상의 고정랩을 구비하는 고정스크롤과, 상기 압축실과 연통되어 압축된 가스를 토출실로 토출하는 토출부와, 상기 선회스크롤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압실을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에 구비되어, 상기 선회스크롤 및 상기 고정스크롤에 작용하는 배압력을 조절하는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배압실과 상기 흡입실이 연통하는 공간에 구비되어 연통하는 공간을 조절하며, 상기 배압실의 압력이 유입되는 제1유입홀 및 제2유입홀이 대응되게 구비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공간 내부로 공급된 상기 배압실의 압력을 상기 흡입실로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밸브몸체부;
    상기 밸브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몸체부로 유입되는 상기 배압실의 압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1유입홀 및 제2유입홀을 개폐하는 제1밸브 및 제2밸브; 및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와 밀착되며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상기 제1유입홀 및 제2유입홀에 밀착시키며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에 작용하는 압력에 대응하여 탄성변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몸체부로 유입되는 배압실이 압력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보다 크면 제1밸브가 개방되고, 유입되는 배압실의 압력이 증가되면 제1밸브가 개방된 후 제2밸브가 순차적으로 개방되는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는 볼 밸브이며,
    상기 제1유입홀은 상기 제2유입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부는,
    상기 제1유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밸브가 이동하는 제1밸브유로와,
    상기 제2유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밸브가 이동하는 제2밸브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밸브유로와 제2밸브유로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밸브유로는 상기 제2밸브유로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유로와 상기 제2밸브유로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제1밸브가 안착되는 제1안착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밸브가 상기 제1안착단에 안착 시 상기 제1밸브에 의해 상기 제1밸브유로는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유로에는 상기 제2유입홀과 연통되며 상기 제2밸브가 안착되는 제2안착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2밸브가 상기 제2안착단에 안착 시 상기 제2유입홀이 닫히고,
    상기 제2밸브유로는 상기 배출홀과 상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홀 및 제2유입홀과 연결되어 상기 배압실과 연통되는 배압실유로와, 상기 배출홀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실과 연통되는 흡입실유로를 포함하는 유로부를 더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밸브몸체부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밸브몸체부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
KR1020200108559A 2020-08-27 2020-08-27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 KR20220030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559A KR20220030345A (ko) 2020-08-27 2020-08-27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559A KR20220030345A (ko) 2020-08-27 2020-08-27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345A true KR20220030345A (ko) 2022-03-11

Family

ID=80814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559A KR20220030345A (ko) 2020-08-27 2020-08-27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03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0395A (en) Scroll type compressor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US7255542B2 (en) Compressor with check valve orientated at angle relative to discharge tube
AU664066B2 (en) Scroll type compressor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KR100291408B1 (ko) 용량 조절식 스크롤 머신
KR101253137B1 (ko) 용량 조절 어셈블리를 가진 압축기
US5088905A (en) Check valve for scroll compressor
KR101900034B1 (ko) 용량 조절 스크롤 압축기
JP4611763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の容量可変装置
JP4680616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の容量可変装置
US7195470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a supply passage connecting the back pressure chamber to discharge pressure region and passing a clearance at a sliding portion
US20100158710A1 (en) Scroll compressor
US20030063983A1 (en) Variable-capacity scroll-type compressor
KR20190072436A (ko) 가변 체적비 압축기
KR100608664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JPH09264250A (ja) 強制リデュース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圧縮機
AU645397B2 (en) Scroll type compressor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US8915724B2 (en) Scroll compressor with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cooling capacity based on speed and centrifugal force
KR101892803B1 (ko)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수단
US5860791A (en) Scroll compressor with end-plate valve having a conical passage and a free sphere
KR20220030345A (ko)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
KR20220030346A (ko)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밸브
EP0715080B1 (en)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KR20050073143A (ko) 스크롤 압축기
JP2000297770A (ja) クラッチレス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KR102486465B1 (ko)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제어 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