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966A - 식물 생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생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966A
KR20220028966A KR1020200110668A KR20200110668A KR20220028966A KR 20220028966 A KR20220028966 A KR 20220028966A KR 1020200110668 A KR1020200110668 A KR 1020200110668A KR 20200110668 A KR20200110668 A KR 20200110668A KR 20220028966 A KR20220028966 A KR 20220028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illuminance
control
environment
surrounding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을
류혜정
김보나
한리브가
Original Assignee
한을
류혜정
김보나
한리브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을, 류혜정, 김보나, 한리브가 filed Critical 한을
Priority to KR1020200110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8966A/ko
Publication of KR20220028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04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with determina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3/00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 G05D3/12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using feedback
    • G05D3/125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using feedback using discrete position sens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2001/4266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for measuring solar l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otan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식물의 생육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생육 장치는, 복수의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식물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식물을 위한 최적 생육 환경으로 상기 주변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어값을 사용하여 상기 식물이 식재된 화분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분을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물 생육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PLANT}
본 기재는 식물을 생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내 환경 개선 또는 공기 정화 등의 목적으로, 식물이 실내 환경에서 생육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식물의 성장에 있어 빛이 중요하지만, 식물은 통상 처음 배치된 자리에 고정되기 때문에 식물의 배치 위치에 따라 식물의 고사 또는 잎뎀 현상이 문제될 수 있다.
KR 2018-0066072 A
한 실시예는 식물 생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식물 생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의 생육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생육 장치는, 복수의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식물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식물을 위한 최적 생육 환경으로 상기 주변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어값을 사용하여 상기 식물이 식재된 화분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분을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적 생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상기 식물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최적 환경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개별 환경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장치를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구역 내에서 천천히 이동시키며 상기 특정된 구역 내의 각 위치에서 측정된 조도를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조도를 바탕으로 상기 특정된 구역 내의 상기 화분의 최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조도와 태양 광선의 기울기 변화를 바탕으로 상기 최적 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의 생육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생육 방법은, 복수의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식물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식물을 위한 최적 생육 환경으로 상기 주변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값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값을 사용하여 상기 식물이 식재된 화분의 이동을 이동 장치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지능 및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식물의 생육 환경이 최적화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분을 싣고 있는 이동 장치 및 조명 장치의 제어를 통해, 식물 성장에 필수적인 빛이 효율적으로 적절하게 식물에게 공급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육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 표시된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육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육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육 장치(100)는 센서부(110), 제어부(130), 및 조작부(13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식물의 주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주변 환경의 감지 결과를 제어부(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토양 센서,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주변 환경의 온도, 습도, 토양의 수분, 조도 등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제어부(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의 감지 결과를 바탕으로 식물을 위한 최적 생육 환경으로 주변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최적 생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식물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최적 환경 정보 또는 사용자의 개별 설정에 따른 개별 환경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환경의 온도가 해당 식물의 최적 환경 정보에 따른 최적 온도보다 낮을 때, 에어컨디셔너 및 제습 장치의 제어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값을 사용하여 조작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수신된 제어값에 따라 주변 환경을 최적화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조작부(130)는 에어컨디셔너, 제습 장치, 가습 장치, 물 공급 장치, 조명 장치, 차광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30)는 필요한 조도를 확보하기 위해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조작 장치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로부터 온도 제어값이 수신되면, 조작부(130)는 에어컨디셔너를 작동시켜서 식물의 주변 환경의 온도가 온도 제어값으로 되도록 하고, 동시에 온도 변화에 따른 상대 습도 변화를 고려하여 제습 장치 및/또는 가습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센서부(110)는 식물의 주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S110). 사용자가 개별 환경 정보를 설정하였거나 또는 식물의 최적 환경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때, 센서부(110)는 주변 환경의 감지 결과가 개별 환경 정보 또는 최적 환경 정보와 달라질 때 감지 결과를 제어부(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환경 정보 또는 최적 환경 정보('설정된 환경 정보'라고 함)에 의해 설정된 습도가 50%일 때, 센서부(110)는 식물의 주변 환경의 습도가 50%보다 낮아지거나 또는 50%보다 높아질 때 감지 결과를 제어부(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설정된 환경 정보에 따른 온도 범위가 15도 내지 20도일 때, 센서부(110)는 식물의 주변 환경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를 벗어날 때 감지 결과를 제어부(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00)를 통해서 개별 환경 정보를 제어부(120)에 설정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는 원격으로 식물의 생장 상황을 확인하고 식물의 주변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주변 환경의 감지 결과가 개별 환경 정보와 달라지면, 모바일 장치(200)에게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00)의 알림을 통해 개별 환경 정보를 수정하거나 또는 제어부(120)를 통해 조작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주변 환경의 감지 결과를 설정된 환경 정보와 비교하고 (S120), 감지 결과 및 설정된 환경 정보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주변 환경의 최적화를 위한 제어값을 생성할 수 있다(S130).
제어부(120)는 주변 환경의 온도가 설정된 환경 정보보다 낮거나 높으면 에어컨디셔너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주변 환경의 습도가 설정된 환경 정보보다 낮거나 높으면 제습장치/가습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식물의 토양의 함수율(또는 수분율)이 설정된 환경 정보보다 낮으면 물 공급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을 생성할 수 있고, 토양의 함수율이 설정된 환경 정보보다 높으면 토양에 함유된 물이 신속히 배출될 수 있도록 화분의 물빠짐 구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식물이 증산작용을 통해 토양에서 수분을 끌어올림으로써 토양의 함수율이 낮아질 수 있도록 제습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식물 생장용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을 생성하거나, 또는 화분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을 생성할 수 있다. 조명 장치는 식물 생장에 적합한 파장을 갖는 광원(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장치는 식물의 잎을 두껍게 할 수 있는 파장, 광합성을 촉진시키는 파장을 갖는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장치는 제어부(120)의 제어값에 따라 햇빛의 세기가 더 강한 위치 또는 약한 위치로 화분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주변 환경의 구성 요소 중 하나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주변 환경의 온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에어컨디셔너 및 제습 장치/가습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주변 환경의 복수의 구성 요소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조작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값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온도, 습도, 조도, 토양의 함수율 등 주변 환경의 구성 요소 사이의 상호 관계는 제어부(120)에 포함된 기계 학습 모델에 의해 트레이닝될 수 있고, 제어부(120)는 트레이닝된 기계 학습 모델의 추론을 통해 주변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는 복수의 조작 장치의 제어값을 동시에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제어값을 사용하여 조작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S140). 조작부(130)의 제어 현황은 모바일 장치(200)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00)를 통한 조작을 통해 식물의 생육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대로,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지능 및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식물의 생육 환경이 최적화될 수 있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에 표시된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장치(131)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구역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구역이 특정되면, 제어부(120)는 특정된 구역 내에서 햇빛이 가장 잘 드는 위치로 화분을 싣고 있는 이동 장치(1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특정된 구역 내에서 햇빛이 가장 잘 드는 위치는, 현재 시간, 날짜, 창문이 향하는 방향, 화분의 위치 정보(GPS 좌표 등) 등을 바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짜와 현재 시간을 바탕으로 태양의 고도가 결정될 수 있고, 제어부(120)는 태양의 고도, 창문이 향하는 방향, 및 화분의 위치 정보에 따라 특정된 구역 내의 최적 위치로 화분을 싣고 있는 이동 장치(1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이동 장치(131)를 특정된 구역 내에서 천천히 이동시키며 특정된 구역 내의 각 위치에서 측정된 조도를 조도 센서로부터 수신하고, 측정된 조도를 바탕으로 특정된 구역 내의 최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식물이 식재된 화분의 위치 주변의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앞으로 '주변 지도'라 함)(210)가 모바일 장치(200)를 통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주변 지도(210) 내에서 화분이 이동할 수 있는 구역(220)을 특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이동되는 이동 장치(130)의 이동 경로(230)가 모바일 장치(200) 내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이동 장치(131)가 최적 위치에 위치된 후 지속적으로 측정된 조도를 수신하고 태양 광선의 기울기 변화와 측정된 조도를 바탕으로 최적 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조명 장치(미도시)는 일조량이 충분하지 않을 때 식물에게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기 위한 보조적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된 구역 내의 모든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임계 조도보다 낮은 조도가 측정될 때 또는 최적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임계 조도보다 낮은 조도가 측정될 때, 제어부(120)는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식물에게 필요한 광량을 보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대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분을 싣고 있는 이동 장치 및 조명 장치의 제어를 통해, 식물 성장에 필수적인 빛이 효율적으로 적절하게 식물에게 공급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육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육 장치(300)는 조작부(330), 및 차광막(3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육 장치(300)는 화분 또는 토양을 수용할 수 있도록 위쪽이 오목한 용기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육 장치(300)의 용기 형상은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안정적으로 감싸거나 또는 그 자체로 화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식물-장치 간 일체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는 센서부 및 제어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육 장치(300)는 센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식물 생육 장치(300)의 센서부 및 제어부는 도 1의 센서부 및 제어부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조작부(33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식물 생육 장치(3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차광막(340)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높이 및 차광 면적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 생육 장치(300)가 조작부(330)에 의해 특정된 구역 내에서 가장 햇빛이 안 드는 위치로 이동하였음에도 현재 조도가 너무 높다면, 제어부는 차광막(340)을 조작하여 현재 조도를 최적 환경 정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육 장치(300)는 입력부(350) 및 디스플레이(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50)는 사용자가 식물의 주변 환경에 관한 개별 환경 정보를 설정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360)에 표시된 주변 환경의 현재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입력부(35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개별 환경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60)는 식물의 기본 정보, 주변 환경 정보, 생육 상황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60)는 사용자가 입력하고 있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식물 생육 장치 등일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식물의 생육 장치로서,
    복수의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식물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식물을 위한 최적 생육 환경으로 상기 주변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어값을 사용하여 상기 식물이 식재된 화분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분을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
    를 포함하는 생육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적 생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상기 식물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최적 환경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개별 환경 정보를 고려하는, 생육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장치를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구역 내에서 천천히 이동시키며 상기 특정된 구역 내의 각 위치에서 측정된 조도를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조도를 바탕으로 상기 특정된 구역 내의 상기 화분의 최적 위치를 결정하는, 생육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조도와 태양 광선의 기울기 변화를 바탕으로 상기 최적 위치를 갱신하는, 생육 장치.
  5. 식물의 생육 방법으로서,
    복수의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식물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식물을 위한 최적 생육 환경으로 상기 주변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값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값을 사용하여 상기 식물이 식재된 화분의 이동을 이동 장치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생육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장치를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구역 내에서 천천히 이동시키며 상기 특정된 구역 내의 각 위치에서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조도를 바탕으로 결정된 상기 특정된 구역 내의 상기 화분의 최적 위치로 상기 화분을 이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생육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조도와 태양 광선의 기울기 변화를 바탕으로 상기 최적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생육 방법.
KR1020200110668A 2020-08-31 2020-08-31 식물 생육 장치 및 방법 KR20220028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668A KR20220028966A (ko) 2020-08-31 2020-08-31 식물 생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668A KR20220028966A (ko) 2020-08-31 2020-08-31 식물 생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966A true KR20220028966A (ko) 2022-03-08

Family

ID=80813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668A KR20220028966A (ko) 2020-08-31 2020-08-31 식물 생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896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072A (ko) 2015-10-08 2018-06-18 매시비아 그로우 홀딩스 엘엘씨 성장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072A (ko) 2015-10-08 2018-06-18 매시비아 그로우 홀딩스 엘엘씨 성장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0065B2 (ja) 水耕栽培装置
KR101696611B1 (ko) 온실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835320B1 (ko)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기능을 가진 실내환경조절장치
KR20160130589A (ko) 식물재배장치 및 방법
CN112667007A (zh) 植物生长环境控制方法、装置和系统
KR20150007668A (ko) 식물공장의 자동화를 위한 맞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49687A (ko) 식물 재배시스템
KR101752542B1 (ko) 스마트폰 기반 화분관리시스템
US20130317632A1 (en) Platform apparatus for agricultural environment control system
KR20220028966A (ko) 식물 생육 장치 및 방법
CN113197000B (zh) 用于温室补光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TWM536779U (zh) 農作監控系統
KR20160147437A (ko)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식물 센서
KR102380989B1 (ko) 스마트팜에서 재배되는 작물에 대한 생육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팜 제어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JP2015133971A (ja) 植物栽培プラント
KR102297932B1 (ko) 수경 재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60147612A (ko)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식물 센서
US20150239125A1 (en) Mobile object control system, mobile object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KR20190066273A (ko) 반응형 스마트 화분 동작 방법 및 반응형 스마트 화분
KR100980439B1 (ko) 노지 식물용 이슬방지장치
KR102011597B1 (ko) 스마트 농장 시스템
KR101590996B1 (ko) 도시형 식물 공장의 통합 제어 시스템
JP2021126082A (ja) 環境制御装置、環境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104779B1 (ko) 가온 장치의 이산화탄소 재활용 시스템
KR20130061533A (ko) 이동 가능한 온실 환경 제어 장치 및 그 이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