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513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513A
KR20220028513A KR1020200109606A KR20200109606A KR20220028513A KR 20220028513 A KR20220028513 A KR 20220028513A KR 1020200109606 A KR1020200109606 A KR 1020200109606A KR 20200109606 A KR20200109606 A KR 20200109606A KR 20220028513 A KR20220028513 A KR 20220028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correction coefficient
display
region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혜
박지용
조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9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8513A/ko
Priority to PCT/KR2020/011667 priority patent/WO2022045421A1/ko
Publication of KR20220028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513A/ko
Priority to US18/115,480 priority patent/US1195504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신부, 메모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고,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통신부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일 영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픽셀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일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식별하고, 수신된 보정 픽셀값 및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의 출력 픽셀값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고, 획득된 보정 계수 및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성하는 나머지 픽셀들 각각과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간 거리에 기초하여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을 처리하고, 처리된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결합하여 대형 스크린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형 스크린을 통해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모듈의 생산 과정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성하는 LED 소자의 특성이 모두 동일할 수는 없으므로 영상 출력 시에 모듈 간에 편차, 불균일성(Non-uniformity)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구동 환경에 따라 LED 소자들 각각의 특성이 상이하게 변화하므로 영상 출력 시에 모듈 간의 편차, 불균일성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모듈 단위로 인접 모듈 간의 편차를 줄여 균일성을 향상시켰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모든 모듈을 조정할 필요가 발생하는 문제, 불편함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개시의 목적은 LED 소자의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모듈 간의 불균일을 보상하기 위한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부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되며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촬영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복수의 제1 모듈을 촬영한 제1 서브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복수의 제2 모듈을 촬영한 제2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서브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1 서브 픽셀들 각각의 픽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브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보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서브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2 서브 픽셀들 각각의 픽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브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보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보정 계수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컨트롤러 중 제1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컨트롤러 중 제2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서브 픽셀들 각각의 픽셀값에 기초하여 제1 타겟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타겟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브 픽셀들 각각의 보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서브 픽셀들 각각의 픽셀값에 기초하여 제2 타겟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타겟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브 픽셀들 각각의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서브 픽셀들 중 상기 제1 타겟값과 임계 범위 이상의 픽셀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의 위치 정보 및 보정 계수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서브 픽셀들 중 상기 제2 타겟값과 임계 범위 이상의 픽셀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의 위치 정보 및 보정 계수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계조 별 임계 범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이미지는 특정 계조의 이미지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계조에 대응되는 제1 임계 범위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서브 픽셀들 중 상기 제1 타겟값과 상기 제1 임계 범위 이상의 픽셀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식별하고, 상기 제2 서브 픽셀들 중 상기 제2 타겟값과 상기 제1 임계 범위 이상의 픽셀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 별 임계 범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임계 휘도 이상의 고휘도 디스플레이 모드 및 상기 임계 휘도 미만의 저휘도 디스플레이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테스트 이미지는 특정 휘도의 테스트 이미지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휘도에 대응되는 제2 임계 범위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서브 픽셀들 중 상기 제1 타겟값과 상기 제2 임계 범위 이상의 픽셀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식별하고, 상기 제2 서브 픽셀들 중 상기 제2 타겟값과 상기 제2 임계 범위 이상의 픽셀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서브 픽셀들 중 상기 제1 타겟값과 임계 범위 이상의 픽셀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과 동일한 채널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의 위치 정보 및 보정 계수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의 위치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 각각에 대응되는 채널 정보 및 대응되는 채널 내에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제1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픽셀에 복수의 채널 단위로 구분된 영상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제2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픽셀에 복수의 채널 단위로 구분된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서브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보정 계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 픽셀에 대응되는 채널과 인접한 채널 간 간섭으로 발생되는 노이즈를 보상하기 위한 계수이고, 상기 제2 서브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보정 계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 픽셀에 대응되는 채널과 인접한 채널 간 간섭으로 발생되는 노이즈를 보상하기 위한 계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서브 픽셀로 구성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보정 계수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복수의 제1 모듈을 제어하는 제1 컨트롤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복수의 제2 모듈을 제어하는 제2 컨트롤러 및 입력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에 상기 보정 계수를 적용하여 출력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출력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계수는, 상기 복수의 제1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서브 픽셀들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1 보정 계수 및 상기 복수의 제2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서브 픽셀들에 기초하여 획득된 제2 보정 계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제1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픽셀에 복수의 채널 단위로 구분된 영상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제2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픽셀에 복수의 채널 단위로 구분된 영상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위치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서브 픽셀에 대응되는 채널 정보 및 대응되는 채널 내에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되며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촬영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복수의 제1 모듈을 촬영한 제1 서브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복수의 제2 모듈을 촬영한 제2 서브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브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1 서브 픽셀들 각각의 픽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브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보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서브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2 서브 픽셀들 각각의 픽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브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보정 계수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컨트롤러 중 제1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컨트롤러 중 제2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브 픽셀들 각각의 픽셀값에 기초하여 제1 타겟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타겟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서브 픽셀들 각각의 보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서브 픽셀들 각각의 픽셀값에 기초하여 제2 타겟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타겟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서브 픽셀들 각각의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브 픽셀들 중 상기 제1 타겟값과 임계 범위 이상의 픽셀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서브 픽셀들 중 상기 제2 타겟값과 임계 범위 이상의 픽셀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의 위치 정보 및 보정 계수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 장치는, 복수의 계조 별 임계 범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이미지는 특정 계조의 이미지이며, 상기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계조에 대응되는 제1 임계 범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브 픽셀들 중 상기 제1 타겟값과 상기 제1 임계 범위 이상의 픽셀값을 가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서브 픽셀들 중 상기 제2 타겟값과 상기 제1 임계 범위 이상의 픽셀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 별 임계 범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임계 휘도 이상의 고휘도 디스플레이 모드 및 상기 임계 휘도 미만의 저휘도 디스플레이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테스트 이미지는 특정 휘도의 테스트 이미지이며, 상기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휘도에 대응되는 제2 임계 범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브 픽셀들 중 상기 제1 타겟값과 상기 제2 임계 범위 이상의 픽셀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서브 픽셀들 중 상기 제2 타겟값과 상기 제2 임계 범위 이상의 픽셀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브 픽셀들 중 상기 제1 타겟값과 임계 범위 이상의 픽셀값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픽셀과 동일한 채널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서브 픽셀의 위치 정보 및 보정 계수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의 위치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 각각에 대응되는 채널 정보 및 대응되는 채널 내에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제1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픽셀에 복수의 채널 단위로 구분된 영상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제2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픽셀에 복수의 채널 단위로 구분된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서브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보정 계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 픽셀에 대응되는 채널과 인접한 채널 간 간섭으로 발생되는 노이즈를 보상하기 위한 계수이고, 상기 제2 서브 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보정 계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 픽셀에 대응되는 채널과 인접한 채널 간 간섭으로 발생되는 노이즈를 보상하기 위한 계수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듈 간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전체를 조정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모든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것이 아닌, 일부 모듈에 한하여 조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일부 픽셀들에 한하여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균일성(Uniform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보정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불균일성(Non-unifomity)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및 보정 픽셀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영역 및 그라데이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픽셀에 대한 보정 계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보정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보정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전자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이미지는 특정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이미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 각각의 픽셀값을 설정하기 위한 Full Color의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 또는 하얀(White) 이미지일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또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은 무기 발광 소자(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하는 LED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현될 수 있고, R(Red) 서브 픽셀, G(Green) 서브 픽셀, B(Blue) 서브 픽셀로 구성된 픽셀을 복수 개 포함하는 LED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에이징(aging)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에이징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구동 시간 또는 사용 시간에 따라 생성되는 열화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에이징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전류가 흐르고, 발광 소자가 발광함에 따라 모듈의 수명 또는 내구 연한(persisting period)의 변화 정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동일한 제조 과정, 공정에 따라 생성되었더라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동일한 내구성, 내구 연한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내구성에 오차 범위 내의 편차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구동 시간이 동일하더라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에이징 정도가 동일한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 환경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에이징(aging) 정도 또는 소자 특성의 변화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최외곽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센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서로 다른 온도와 습도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외곽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에이징 정도와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의 에이징 정도는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구비된 전원공급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 빈번하게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공급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에이징 정도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의 에이징 정도 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즉, 전원공급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잔여 수명은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의 잔여 수명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치 환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등)이 배치된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 시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금속과 인접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금속이 쿨러(cooler)로 동작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속과 인접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에이징 정도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의 에이징 정도 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에이징 정도의 차이가 점차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불균일(non-uniformity)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Full color의 White 이미지를 출력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 장시간 노출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 보다 상대적으로 붉은(red) 색온도 또는 저 휘도로 White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Full color의 White 이미지를 출력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 장시간 노출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 보다 상대적으로 푸른(blue) 색온도 또는 고 휘도로 White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에이징 정도가 상이함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통일된 색온도, 휘도로 White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대적으로 붉은 색온도의 White 이미지를 출력하고 있으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대적으로 파란 색온도의 White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으로 느낄 수 있다. 즉,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에 불균일성(non-uniformity)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전자 장치(200)를 이용하여 불균일성(non-uniformity)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보정 계수 획득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픽셀값을 보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일 영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픽셀값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일 영역을 식별하고, 보정 픽셀값에 기초하여 식별된 일 영역에 포함된 픽셀의 픽셀값 및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나머지 영역에 포함된 픽셀들 각각의 픽셀값을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하도록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디스플레이 패널(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디오 월(video wall), LFD(large format display), Digital Signage(디지털 간판),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장치라면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패널,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μLED(Micro light-emitting diodes), Mini LED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물리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듈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가 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외부 전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110)는 AP 기반의 Wi-Fi(와이파이, Wireless LAN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 IEEE 1394,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AES/EBU(Audio Engineering Society/ European Broadcasting Union), 옵티컬(Optical), 코액셜(Coaxial)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200)(예를 들어, 연산 장치, 소스 장치), 외부 저장 매체(예를 들어, USB 메모리), 외부 서버(예를 들어 웹 하드) 등으로부터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특히,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일 영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픽셀값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20)는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ex. NOR 또는 NAND형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120)는 별도의 구성 요소가 아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의 내부에 구비된 일 저장 공간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각각에 대응되는 기본 보정 계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을 구성하는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기본 보정 계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픽셀이 자발광 픽셀(예를 들어, LED 픽셀)로 구현되는 경우, 메모리(120)는 균일성(uniformity)을 위해 복수의 LED 픽셀들이 최대한 동일한 특성(색좌표, 휘도 등)을 가지도록 복수의 LED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기본 보정 계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보정 계수는 R/G/B 요소 각각에 3*3 매트릭스 형태가 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는 각 픽셀에 서로 다른 보정 계수를 적용하여 복수의 픽셀들 간에 균일성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 간에 균일성(uniformity)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비자발광 소자 및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s), 마이크로 LED(micro LED), Mini LED, PDP(Plasma Display Panel),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구현될 수도 있고, 제1 디스플레이 모듈(131-1) 내지 제n 디스플레이 모듈(131-n)이 물리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GPU(Graphics Processing Unit), AI(Artificial Intelligence) 프로세서, NPU (Neural Processing Unit),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40)에 연결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입력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에 메모리(120)에 저장된 기본 보정 계수를 적용하여 출력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획득된 출력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1, …, 131-n) 각각의 에이징 정도가 상이함에 따라 불균일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불균일성(Non-unifomity)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테스트 이미지로서 White 이미지를 출력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1, …, 131-n) 각각이 서로 다른 온도 또는 습도 환경에서 장시간 구동됨에 따라 에이징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1, …, 131-n) 각각의 에이징 정도가 상이함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1, …, 131-n) 각각이 통일된 색온도, 휘도로 White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대적으로 붉은 색온도의 White 이미지를 출력하고 있으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대적으로 파란 색온도의 White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심(seam) 영역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모서리 영역에서 색상 또는 휘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31-1)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 센터에 배치된 일부 LED 픽셀이 출력하는 White는 상대적으로 붉은 색온도가 강조된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디스플레이 모듈(131-2)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중 우측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 일부 LED 픽셀이 출력하는 White는 상대적으로 푸른 색온도가 강조된 상태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픽셀 각각은 R(red) 서브 픽셀, G(Green) 서브 픽셀 및 B(Blue)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일 예시이며, 다른 예로 복수의 픽셀 각각은 W(White) 서브 픽셀 또는 Y(Yellow) 서브 픽셀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1, …, 131-n)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4 x 3 배열인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1, …, 131-n)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1, …, 131-n)은 매트릭스 형태 (예를 들어, M x N, 여기서 M, N은 자연수)로 배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트릭스는 사각 배열(예를 들어, M = N, 여기서 M, N은 자연수, 16 x 16 배열, 24 x 24 배열 등)형태가 될 수 있음은 물론, 이와는 상이한 배열(예를 들어, M ≠ N, 여기서 M, N은 자연수)형태가 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120 x 180 형태로 배치된 21,600 개의 픽셀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240 x 180 형태로 배치된 43,200 개의 픽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크기, 비율은 디스플레이 모듈(131)에 포함된 픽셀의 개수, 픽셀 간 거리(예를 들어, 픽셀 피치(pixel pitch))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1, …, 131-n)의 개수는 제조사의 제조 목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해상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120 x 180 형태로 배치된 21,600 개의 픽셀을 포함하는 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12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31)로 구성된 서브 캐비닛(sub cabinet)을 8개 구비하여 FHD 해상도(1920 X 1080)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도 있고, 캐비닛(sub cabinet)을 128개 구비하여 8K 해상도(7680 X 4320)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240 x 180 형태로 배치된 43,200 개의 픽셀을 포함하는 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12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31)로 구성된 캐비닛(sub cabinet)을 4개 구비하여 FHD 해상도(1920 X 1080)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도 있고, 64개 구비하여 8K 해상도(7680 X 4320)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31) 내의 일 영역에 열화, 왜곡이 발생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열화, 왜곡은 일 영역에 포함된 LED 픽셀의 소모 정도, 잔존 수명 또는 에이징 정도에 따라 해당 LED 픽셀이 나머지 LED 픽셀과는 상이한 픽셀값(예를 들어, 휘도값 또는 색상값)을 출력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31) 내의 우측 및 하측 모서리 영역에 포함된 LED 픽셀이 나머지 영역에 포함된 LED 픽셀 보다 상대적으로 고온에 장시간 노출됨에 따라 White 출력 시에 붉은 색온도가 강조된 픽셀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1, …, 131-n) 간에 불균일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도 5는 이러한 불균일성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양한 예시 또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테스트 이미지로서 White를 출력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누적 사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31)에 포함된 복수의 LED 픽셀의 특성이 변화함에도 불구하고(즉, 에이징 정도가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복수의 LED 픽셀 각각이 초기 단계(또는, 제조 단계)에서 설정된 기본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White 이미지를 출력한다면 의도치 않게 열화 및 왜곡된 색상(도 5에서 붉은 색)을 출력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열화 및 왜곡된 색상은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색상으로 통칭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색상이 출력되는 영역과 출력되지 않는 영역 간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누적 사용 시간에 비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31)에서 LED 픽셀의 특성 변화가 많이 발생한 일 영역이 제1 색상을 고 강도로 출력하고, 특성 변화가 많이 발생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이 제1 색상을 저 강도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White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안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흡사 제1 색상에 기초한 그라데이션 효과를 출력하는 열화 및 왜곡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출력하는 제1 색상과 보색 관계에 있는 색상을 일 영역에서 고 강도로 출력하고, 나머지 영역에서 저 강도로 출력하기 위한 그라데이션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보색 관계에 있는 색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색상으로 통칭하도록 한다. 한편, 제1 색상과 제2 색상의 관계가 보색 관계에 해당하는 것은 일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30)이 White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 중이면, 제2 색상은 제1 색상과 믹싱(Mixing)되면 White 가 생성되는 색상 또는 제1 색상을 상쇄시켜 타 디스플레이 모듈(131’)와 동일한 색상 및 휘도로 White를 출력하도록 하는 색상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제1 색상에 기초한 그라데이션 효과와 제2 색상에 기초한 그라데이션 효과의 믹싱(Mixing)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모든 영역에서 White 이미지가 동일한 색상 및 동일한 휘도로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3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제1 색상을 고 강도로 출력하는 일 영역에 대응되는 픽셀이 제1 색상과 보색 관계에 있는 제2 색상을 고 강도로 출력하도록 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제1 색상을 저 강도로 출력하는 나머지 영역에 대응되는 픽셀이 제2 색상을 저 강도로 출력하도록 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제2 색상에 기초한 그라데이션 효과를 출력하면, 제1 색상에 기초한 그라데이션 효과를 상쇄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모든 영역에서 동일한 색상 및 동일한 휘도로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고, 타 디스플레이 모듈(131’)과의 균일성(Uniformity)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그라데이션 효과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31)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각각의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외부 전자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31) 내의 일 영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픽셀값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영역의 위치 정보는 디스플레이 모듈(131) 내에서 기 설정된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31) 내의 4개의 영역(10-1 내지 10-4)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4개의 영역(10-1 내지 10-4) 중 일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로세서(140)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4개의 영역(10-1 내지 10-4) 중 제1 영역(10-1)을 식별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보정 픽셀값 및 제1 영역(10-1)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의 출력 픽셀값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제1 영역(10-1)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 보정 픽셀값을 출력하도록 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 픽셀값은 제2 색상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4 영역(10-2, 10-4)에 대응되는 픽셀이 제1 색상을 고 강도로 출력하고 있다면, 프로세서(140)는 제2 및 제4 영역(10-2, 10-4)에 대응되는 픽셀이 제2 색상을 고 강도로 출력하도록 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및 제4 영역(10-2, 10-4)에 대응되는 픽셀이 제2 색상을 고 강도로 출력하면, 제2 및 제4 영역(10-2, 10-4)에 대응되는 픽셀의 에이징 정도 또는 특성으로 인하여 의도치 않게 출력되는 제1 색상의 강도를 상쇄시킬 수 있고, White 이미지를 나머지 영역과 동일한 색상 및 동일한 휘도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31) 내의 복수의 픽셀 중 하나의 영역(예를 들어, 제1 영역(10-1))에 대응되는 픽셀을 제외한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도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을 구성하는 나머지 픽셀들 각각과 제1 영역(10-1)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 간 거리에 기초하여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을 구성하는 나머지 픽셀들 각각과 제1 영역(10-1)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 간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게인(gain)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기본 보정 계수에 획득된 게인값을 적용하여 나머지 픽셀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나머지 픽셀들 각각이 제1 영역(10-1)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제2 색상을 저 강도로 출력하도록 하는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제1 내지 제4 영역(10-1 내지 10-4) 중 적어도 두 개의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픽셀값에 그라데이션 효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31) 내의 일 영역 외에 타 영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픽셀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31) 내의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식별하고,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일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 및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31)을 구성하는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1 영역(10-1)에 대응되는 픽셀의 보정 픽셀값으로 A 색상이 수신되고, 제3 영역(10-3)에 대응되는 픽셀의 보정 픽셀값으로 B 색상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제1 영역에 대응되는 픽셀이 A 색상을 고 강도로 출력하도록 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고, 제3 영역(10-3)에 대응되는 픽셀이 B 색상을 고 강도로 출력하도록 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나머지 픽셀들 각각이 제1 영역(10-1)과의 떨어진 거리와 제3 영역(10-3)과의 떨어진 거리의 비율에 기초하여 A 색상과 B 색상을 믹싱한 C 색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픽셀의 보정 픽셀값으로 A 색상이 수신되고, 제2 내지 제4 영역(10-2 내지 10-4) 각각에 대응되는 픽셀의 보정 픽셀값이 별도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제1 영역에 대응되는 픽셀이 A 색상을 고 강도로 출력하도록 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고, 나머지 픽셀들 각각이 제1 영역(10-1)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A 색상을 저 강도로 출력하고, 제2 내지 제4 영역(10-2 내지 10-4) 각각에 대응되는 픽셀이 테스트 이미지에 대응되는 색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30)이 White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안, 제2 내지 제4 영역(10-2 내지 10-4) 각각에 대응되는 픽셀은 기본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White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일 예시이며, 프로세서(140)는 종래의 다양한 그라데이션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31)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31) 내에서 기 설정된 복수의 영역이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4개의 꼭지점 영역 즉, 제1 내지 제4 영역(10-1 내지 10-4)에 해당함을 상정하여 도시하였으며, 일 영역이 디스플레이 모듈(131) 내의 일 꼭지점 영역이고 타 영역이 디스플레이 모듈(131) 내의 나머지 꼭지점 영역임을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복수의 영역은 디스플레이 모듈(131) 내의 복수의 서브 영역의 개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31) 내의 일 영역 및 보정 픽셀값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및 보정 픽셀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1, …, 131-n)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1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8K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포함된 총 64개 Cabinet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가이드 UI 및 선택된 Cabinet에 포함된 6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3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가이드 UI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 내의 일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제2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총 6개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전자 장치(200)가 기 설정된 12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2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도시하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8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크기가 120 X 180 이고,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40 X 90 단위로 구분된 총 6개의 가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영역(10-1), 제2 영역(10-2), 제5 영역(10-5), 제6 영역(10-6) 각각은 6개의 서브 영역 중 첫번째 서브 영역의 꼭지점 영역에 대응된다. 또한, 제2 영역(10-2), 제3 영역(10-3), 제6 영역(10-6), 제7 영역(10-7) 각각은 6개의 서브 영역 중 두번째 서브 영역의 꼭지점 영역에 대응된다. 제3 영역(10-3), 제4 영역(10-4), 제7 영역(10-7), 제8 영역(10-8) 각각은 6개의 서브 영역 중 세번째 서브 영역의 꼭지점 영역에 대응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6개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면, 서브 영역 각각의 꼭지점 영역이 선택 가능한 영역이며, 총 12 개의 영역이 선택 가능한 영역일 수 있다.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다양한 개수의 서브 영역 및 다양한 개수의 선택 가능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내지 제12 영역(10-1 내지 10-12) 중 제3 영역이 선택된 경우를 상정하여 도시하였다.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 설정된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픽셀의 보정 픽셀값을 선택할 수 있는 컬러 팔레트(Color Palette)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일 영역 및 일 영역에 대응되는 제1 보정 픽셀값, 타 영역 및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제2 보정 픽셀값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 영역의 제1 보정 픽셀값 및 타 영역의 제2 보정 픽셀값이 수신되면, 일 영역에 대응되는 제1 픽셀과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제2 픽셀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제1 보정 픽셀값과 제2 보정 픽셀값에 기초하여 제1 픽셀에 대응되는 제1 보정 계수 및 제2 픽셀에 대응되는 제2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제1 보정 계수 및 제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서브 영역에 포함된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영역 및 그라데이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영역(10-3)의 위치 정보 및 보정 픽셀값이 수신된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3 영역(10-3)에 대응되는 두번째 서브 영역과 세번째 서브 영역 각각에서 제3 영역(10-3)에 대응되는 픽셀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픽셀이 보정 픽셀값을 출력하도록 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영역(10-3)에 대응되는 픽셀은 보정 픽셀값을 고 강도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제3 영역(10-3)에 대응되는 픽셀의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두번째 서브 영역 내에 포함된 나머지 픽셀들 각각의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번째 서브 영역 내에 포함된 나머지 픽셀들은 보정 픽셀값을 저 강도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보정 픽셀값은 제3 영역(10-3)에 대응되는 픽셀의 에이징 정도 또는 특성의 변화에 따라 의도치 않게 출력하는 열화 및 왜곡된 색상과 보색 관계에 있는 색상에 대응되는 픽셀값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제3 영역(10-3)에 대응되는 픽셀의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세번째 서브 영역 내에 포함된 나머지 픽셀들 각각의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일 영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픽셀값이 수신되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그라데이션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31)에 포함된 복수의 LED 픽셀 중 일부 LED 픽셀의 특성 변화에 따라 의도치 않게 출력되는 열화 및 왜곡된 색상을 상쇄시켜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동일한 색상을 동일한 휘도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타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균일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픽셀에 대한 보정 계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31) 내에 복수의 서브 영역의 개수를 6개로 상정하고, 기 설정된 복수의 영역을 12개로 상정하여 도시하였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6개의 서브 영역과 선택 가능한 제1 영역(10-1) 내지 제12 영역(10-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31) 내의 복수의 서브 영역 중 하나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일 영역의 제1 보정 픽셀값 및 타 영역의 제2 보정 픽셀값이 수신되면, 일 영역에 대응되는 제1 픽셀 및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제2 픽셀을 식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제2 서브 영역에 포함된 제2 영역(10-2) 및 제3 영역(10-3) 각각에 대응되는 픽셀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제1 보정 픽셀값에 기초하여 일 영역에 대응되는 제1 픽셀의 제1 보정 계수를 식별하고, 제2 보정 픽셀값에 기초하여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제2 픽셀의 제2 보정 계수를 식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제2 영역(10-2)의 보정 픽셀값에 기초하여 제2 영역(10-2)에 대응되는 픽셀의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고, 제3 영역(10-3)에 대응되는 보정 픽셀값에 기초하여 제3 영역(10-3)에 대응되는 픽셀의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제1 및 제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하나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일 영역에 대응되는 제1 픽셀 및 하나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나머지 픽셀 각각의 거리 및,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제2 픽셀 및 하나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나머지 픽셀 각각의 거리에 기초하여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게인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기본 보정 계수에 게인값을 적용하여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을 참조하여 하나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나머지 픽셀들 각각의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제2 서브 영역 내의 특정 픽셀(Pixel (j, i))과 제2 영역(10-2) 간의 거리, 특정 픽셀과 제3 영역(10-3) 간의 거리, 특정 픽셀과 제6 영역(10-6) 간의 거리 및 특정 픽셀과 제7 영역(10-7) 간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복수의 거리에 기초하여 비율을 획득하고, 제2 영역(10-2)의 보정 픽셀값, 제3 영역(10-3)의 보정 픽셀값, 제6 영역(10-6)의 보정 픽셀값 및 제7 영역(10-7)의 보정 픽셀값을 획득된 비율에 기초하여 믹싱(Mixing)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타 영역의 보정 픽셀값은 테스트 이미지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10-2) 및 제3 영역(10-3)의 보정 픽셀값이 수신되고, 제6 영역(10-6) 및 제7 영역(10-7)의 보정 픽셀값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130)이 White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 중이면, 프로세서(140)는 제6 영역(10-6) 및 제7 영역(10-7)의 보정 픽셀값은 White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40)는 제6 영역(10-6) 및 제7 영역(10-7) 각각에 대응되는 픽셀의 보정 계수는 기본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보정 픽셀값은 색상값, 색상의 투명도(또는, 강도), 휘도값 등 다양한 값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학식에 기초하여 하나의 서브 영역 내의 복수의 픽셀들 각각의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좌측 최상단에 위치한 픽셀의 좌표를 (p, q)로 상정하고, 프로세서(140)가 보정 계수를 획득하고자 하는 특정 픽셀의 좌표를 (j, i)로 상정하도록 한다. 이어서, 6개의 서브 영역이 3 X 2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을 형성하는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즉, 서브 영역의 사이즈가 m X n이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이즈는 3m X 2n 이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특정 픽셀(Pixel (j, i))의 게인값을 하기의 수학식 1 내지 3에 기초하여 획득할 수 있다.
[수학식 1]
cv1 = {(i - q) * C(n+5) + (q + n - i) * C(n+1)} / n
[수학식 2]
cv2 = {(i - q) * C(n+6) + (q + n - i) * C(n+2)} / n
[수학식 3]
Gain = {(j - (p + m)) * cv2 + ((p + (2*m) - j) * cv1} / m
여기서, C(n+1)은 제2 영역(10-2)의 보정 픽셀값, C(n+2)은 제3 영역(10-3)의 보정 픽셀값, C(n+5)은 제6 영역(10-6)의 보정 픽셀값 및 C(n+6)은 제7 영역의 보정 픽셀값일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서브 영역 내의 특정 픽셀(Pixel(j, i))의 게인값을 획득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기본 보정 계수에 획득된 게인값을 적용하여 특정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보정 계수를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가 기본 보정 계수에 획득된 게인값을 적용하여 특정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방법은 하기의 수학식 4로 표현될 수도 있다.
[수학식 3]
Output = ( Input * Gain ) / (16384)
여기서, 게인값(Gain)은 15bit로서 0 내지 32767 범위의 값인 경우를 상정한 것이나,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Input은 특정 픽셀에 대응되는 기본 보정 계수이며, Output은 특정 픽셀에 대응되는 새롭게 획득한 보정 계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정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1, …, 131-n)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에 그라데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타 디스플레이 모듈(131’)과 동일한 색상 및 휘도로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1, …, 131-n)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후면에 배치된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누적 사용 시간에 비례하여 전원 공급부의 발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특성이 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전원 공급부의 발열로 인한 색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들 각각의 픽셀값의 색온도를 보정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 내의 일 영역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임계 시간 동안 가이드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일 영역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1, …, 131-n) 중 일 영역을 포함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가이드 영상을 임계 시간 동안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영상은 특정 색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31) 내의 전체 픽셀이 2 내지 3회 깜빡이는 영상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1, …, 131-n)이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현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1, …, 131-n) 중 보정 계수를 획득하고자 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을 식별하기가 다소 어려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0)로부터 위치 정보 및 보정 픽셀값이 수신됨에 따라 보정 계수를 획득하고자 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가이드 영상을 출력한다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1, …, 131-n)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위치를 보다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한다(S1010).
이어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일 영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픽셀값을 수신한다(S1020).
이어서,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일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식별한다(S1030).
이어서, 수신된 보정 픽셀값 및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의 출력 픽셀값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한다(S1040).
이어서, 획득된 보정 계수 및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성하는 나머지 픽셀들 각각과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간 거리에 기초하여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여 저장한다(S1050).
이어서, 저장된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을 처리하고, 처리된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1060).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픽셀 각각에 대응되는 기본 보정 계수를 포함하며,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S1050 단계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성하는 나머지 픽셀들 각각과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간 거리에 기초하여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게인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기본 보정 계수에 게인값을 적용하여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인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성하는 나머지 픽셀들 각각과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간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게인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하는 S1020 단계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일 영역 외에 타 영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픽셀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S1040 단계 및 S1050 단계는,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식별하는 단계,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일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 및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영역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일 꼭지점 영역이고, 타 영역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나머지 꼭지점 영역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고,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S1040 단계 및 S1050 단계는, 복수의 서브 영역 중 하나에 포함된 일 영역의 제1 보정 픽셀값 및 타 영역의 제2 보정 픽셀값이 수신되면, 일 영역에 대응되는 제1 픽셀 및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제2 픽셀을 식별하는 단계, 제1 보정 픽셀값 및 제2 보정 픽셀값에 기초하여 제1 픽셀에 대응되는 제1 보정 계수 및 제2 픽셀에 대응되는 제2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보정 계수 및 제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하나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각각에 대응되는 기본 보정 계수를 포함하며,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S1040 단계 및 S1050 단계는, 제1 픽셀 및 하나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나머지 픽셀 각각의 거리 및, 제2 픽셀 및 하나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나머지 픽셀 각각의 거리에 기초하여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게인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기본 보정 계수에 게인값을 적용하여 나머지 픽셀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전원 공급부가 배치되며, 보정 계수는, 전원 공급부의 발열로 인한 색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들 각각의 픽셀값의 색온도를 보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일 영역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임계 시간 동안 가이드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각각의 배치 상태를 도식화한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며, 가이드 UI 상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일 영역의 픽셀값을 보정하기 위한 컬러 팔레트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모든 유형의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200: 전자 장치

Claims (20)

  1. 통신부;
    메모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고,
    상기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일 영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픽셀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상기 일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식별하고,
    상기 수신된 보정 픽셀값 및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의 출력 픽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보정 계수 및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성하는 나머지 픽셀들 각각과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간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을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의 픽셀 각각에 대응되는 기본 보정 계수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성하는 나머지 픽셀들 각각과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간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게인값을 획득하고,
    상기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기본 보정 계수에 상기 게인값을 적용하여 상기 나머지 픽셀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성하는 나머지 픽셀들 각각과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간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게인값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상기 일 영역 외에 타 영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픽셀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상기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식별하고, 상기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일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 및 상기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 영역은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일 꼭지점 영역이고,
    상기 타 영역은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나머지 꼭지점 영역인,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하나에 포함된 상기 일 영역의 제1 보정 픽셀값 및 타 영역의 제2 보정 픽셀값이 수신되면, 상기 일 영역에 대응되는 제1 픽셀 및 상기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제2 픽셀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보정 픽셀값 및 상기 제2 보정 픽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픽셀에 대응되는 제1 보정 계수 및 상기 제2 픽셀에 대응되는 제2 보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보정 계수 및 상기 제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하나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각각에 대응되는 기본 보정 계수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픽셀 및 상기 하나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나머지 픽셀 각각의 거리 및, 상기 제2 픽셀 및 상기 하나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나머지 픽셀 각각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게인값을 획득하고,
    상기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기본 보정 계수에 상기 게인값을 적용하여 상기 나머지 픽셀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전원 공급부가 배치되며,
    상기 보정 계수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발열로 인한 색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들 각각의 픽셀값의 색온도를 보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상기 일 영역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임계 시간 동안 가이드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각각의 배치 상태를 도식화한 가이드 UI를 디스플레하며,
    상기 가이드 UI 상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일 영역의 픽셀값을 보정하기 위한 컬러 팔레트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일 영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픽셀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상기 일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보정 픽셀값 및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의 출력 픽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보정 계수 및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성하는 나머지 픽셀들 각각과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간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을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픽셀 각각에 대응되는 기본 보정 계수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성하는 나머지 픽셀들 각각과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간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게인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기본 보정 계수에 상기 게인값을 적용하여 상기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성하는 나머지 픽셀들 각각과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픽셀 간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게인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상기 일 영역 외에 타 영역의 위치 정보 및 보정 픽셀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상기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일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 및 상기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일 영역은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일 꼭지점 영역이고,
    상기 타 영역은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나머지 꼭지점 영역인,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영역 중 하나에 포함된 상기 일 영역의 제1 보정 픽셀값 및 타 영역의 제2 보정 픽셀값이 수신되면, 상기 일 영역에 대응되는 제1 픽셀 및 상기 타 영역에 대응되는 제2 픽셀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보정 픽셀값 및 상기 제2 보정 픽셀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픽셀에 대응되는 제1 보정 계수 및 상기 제2 픽셀에 대응되는 제2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보정 계수 및 상기 제2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하나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각각에 대응되는 기본 보정 계수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픽셀 및 상기 하나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나머지 픽셀 각각의 거리 및, 상기 제2 픽셀 및 상기 하나의 서브 영역에 포함된 나머지 픽셀 각각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게인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나머지 픽셀들 각각에 대응되는 기본 보정 계수에 상기 게인값을 적용하여 상기 나머지 픽셀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보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전원 공급부가 배치되며,
    상기 보정 계수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발열로 인한 색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들 각각의 픽셀값의 색온도를 보정하는,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상기 일 영역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임계 시간 동안 가이드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각각의 배치 상태를 도식화한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가이드 UI 상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 내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일 영역의 픽셀값을 보정하기 위한 컬러 팔레트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방법.
KR1020200109606A 2020-08-28 2020-08-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28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606A KR20220028513A (ko) 2020-08-28 2020-08-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0/011667 WO2022045421A1 (ko) 2020-08-28 2020-09-0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8/115,480 US11955045B2 (en) 2020-08-28 2023-02-28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606A KR20220028513A (ko) 2020-08-28 2020-08-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513A true KR20220028513A (ko) 2022-03-08

Family

ID=8035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606A KR20220028513A (ko) 2020-08-28 2020-08-2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55045B2 (ko)
KR (1) KR20220028513A (ko)
WO (1) WO20220454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287A1 (ko) * 2022-09-21 2024-03-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513A (ko) * 2020-08-28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5986B2 (ja) 2003-01-10 2012-02-01 グローバル・オーエルイーディー・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有機el表示装置
JP5326788B2 (ja) 2009-05-12 2013-10-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555689B2 (ja) 2010-04-05 2014-07-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358615B2 (ja) 2014-06-25 2018-07-18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60267834A1 (en) 2015-03-12 2016-09-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diode relative age
KR102468270B1 (ko) * 2015-09-23 2022-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의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 보정 방법 및 보정 시스템
KR102402051B1 (ko) * 2015-10-12 2022-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의 디스플레이 장치 보정 방법 및 보정 시스템
KR102443579B1 (ko) * 2015-12-04 2022-09-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얼룩 보정 방법
KR101884233B1 (ko) * 2016-08-26 201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555953B1 (ko) 2016-11-04 2023-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지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80058048A (ko) * 2016-11-23 2018-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367215B1 (en) * 2017-02-27 2019-09-18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
JP2018180423A (ja) 2017-04-20 2018-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Led表示システムおよびled表示装置
US11183101B2 (en) 2017-11-16 2021-11-23 Synaptics Incorporated Compensation technology for display panel
KR101928426B1 (ko) 2018-06-28 2018-12-12 주식회사 사피엔반도체 표시장치 및 그의 휘도 제어 방법
KR20220028513A (ko) * 2020-08-28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287A1 (ko) * 2022-09-21 2024-03-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45421A1 (ko) 2022-03-03
US11955045B2 (en) 2024-04-09
US20230206810A1 (en)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44152B (zh) 光学补偿方法及装置、显示装置、显示方法及存储介质
KR10211310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7978273B (zh) 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US11955045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324283B2 (en)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32211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thereof
US10943520B2 (en) Display method of display panel, drive circuit, display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9384714B2 (en) Display device
KR2020007464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82631B1 (ko)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3795879B (zh) 用于确定显示面板中灰度映射相关性的方法及系统
US10650750B2 (en) Sub-pixel compensation
CN111429839A (zh) 校正显示面板电压和灰度值之间的相关性的方法
KR20150140514A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 보상 방법
KR2015011262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853020B2 (en) Image shar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130117105A (ko) 유기 전계 표시 장치 및 유기 전계 표시 장치의 감마 세트 설정 방법
US20240046874A1 (en) Compensating for Voltage Losses in OLED Displays
KR2020003915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US11049442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837161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079616B1 (ko) 자발광 어레이 표시 제어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KR102098199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21712A (ko)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10201743A1 (en) Display device and rende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