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512A -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512A
KR20220028512A KR1020200109605A KR20200109605A KR20220028512A KR 20220028512 A KR20220028512 A KR 20220028512A KR 1020200109605 A KR1020200109605 A KR 1020200109605A KR 20200109605 A KR20200109605 A KR 20200109605A KR 20220028512 A KR20220028512 A KR 20220028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screening
air
sterilization
treatment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8637B1 (ko
Inventor
차형철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차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형철 filed Critical 차형철
Priority to KR1020200109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63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7Shelters for de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61L2/0047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61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particular arrangement of habitable rooms or their component parts; modular co-ord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스,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등의 감염증 증상을 선별하고 바이러스를 포집 및 살균할 수 있으며, 시공 및 조립과 철거가 간편하도록 선별장치를 모듈화시킨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10)와, 몸체(10)의 입구측 근접한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 천정과 하부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부에서 강한 에어가 수직하게 방사되어 이물질과 바이러스를 털어내도록 설치되는 에어커튼과 중앙 상부 천정과 하부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어 몸체 내부에서 순환되면서 에어가 공급되어 이물질과 바이러스를 털어내어 외기로 방출하는 에어샤워기가 설치된 진료시설(102)과; UV살균램프가 몸체의 내측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각각 설치되어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살균시설(104)과; 선별시설 몸체의 내측 천정 모서리부에 고정 설치된 열화상카메라를 구비하는 선별시설(106)과; 의료진이 투입되어 감염증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선별진료소(108)가 이동바퀴에 의해 구름 이동하여 상기 선별시설(106)의 측면부에 결합 설치되되, 상기 진료시설(102)은 진료시설 몸체의 상측변부에 형성된 결합구(28)와, 상기 살균시설(104)의 상측변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결합홈(26)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결합부(1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Modular disinfec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사스,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등의 감염증 증상을 선별하고 바이러스를 포집 및 살균할 수 있으며, 시공 및 조립과 철거가 간편하도록 선별장치를 모듈화시킨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염증 환자는 초기 증세가 위급하지 않아 활동에 지장이 없기 때문에 초기에 감염증을 선별하지 못하면 외출을 자유롭게 하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전염시킬 수 있어서 초기에 체온 감지를 통해 감염증세를 판단하여 격리 후 진료가 이루어지도록 선별진료를 진행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감염증의 초기 진단은 체온의 감지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신체 온도 이상으로 열을 지닌 사람들을 진료하여 선별해야 하므로 체온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대부분은 의료진이 직접 체온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렇게 의료진이 직접 체온을 측정할 경우, 의료진이 감염될 위험이 있어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측정을 실시하고 있으나 의료진이 계속적인 모니터링을 하면서 일정 체온 이상의 감염 의심자를 선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진료를 마친 후 선별된 감염증 의심환자의 경우에는 감염을 방지하는 격리진료공간(음압병실)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감염에 대비한 준비가 미미하여 감염증이 확산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로 인하여 감염증 환자의 발생시 신속하게 진료를 하고 선별하며 진료를 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하게 필요하였다.
한편, 종래의 감염증 환자 진료 시설 및 살균시설들은 연막소독, 광촉매 램프, 자외선 소독 등의 수단을 이용하거나 사람이 터널 형태의 소독실을 통과하는 동안 분무 노즐에서 분무되는 소독 약품을 이용하여 사람을 소독하거나 또는 오존을 발생하여 소독을 진행하게 된다.
하지만 소독액이 사람의 신체 부위에 노출되기 때문에 유해할 뿐 아니라 사람들이 소독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감염증 환자를 진료하고 살균하고 치료하는 모든 시설들이 각각 이루어졌으며 각각의 시설들은 하나의 건물을 지정하여 지정된 장소에서만 진료와 선별이 가능하였고, 별도의 바이러스 진료시설과 선별시설과 살균시설 들을 설치하기에는 너무 많은 비용과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이유로 감염증 환자의 진료, 선별 및 치료를 자동으로 일괄해서 처리할 수 있도록 언택트 방식을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8106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197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진료시설, 살균시설 및 선별시설을 각각 모듈화하여 필요한 장소에 필요한 시설을 조립하여 설치함으로써 신속하게 감염증 환자의 진료, 선별, 살균 및 치료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살균 소독액을 사용하지 않고 인체에 해롭지 않은 긴 파장의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할 수 있는 살균시설을 구비하는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감염증 의심환자의 접촉을 최대한 회피하여 음성 안내를 통해서 감염증 의심환자가 의료진이나 타인과의 접촉없이 문진, 열체크, 진료, 선별, 살균 및 치료과정을 모두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인과 타인의 접촉을 완전 차단할 수 있는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감염증 의심환자들이 예상되는 경우, 진료, 선별, 살균 및 치료 시설들을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성을 부여하고 각 시설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결합이 용이하도록 모듈화시켜서, 진료시설을 이동하여 선별시설에 밀어서 결합하고, 선별시설을 이동하여 살균시설과 결합하거나 다양한 조합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모듈화시킨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시설들을 설치한 후, 감염증 환자로 판별되는 경우, 감염증 환자가 별도의 이동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연결 설치된 선별치료소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연결설치되는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몸체(10)와, 몸체(10)의 입구측 근접한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 천정과 하부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부에서 강한 에어가 수직하게 방사되어 이물질과 바이러스를 털어내도록 설치되는 에어커튼과 중앙 상부 천정과 하부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어 몸체 내부에서 순환되면서 에어가 공급되어 이물질과 바이러스를 털어내어 외기로 방출하는 에어샤워기가 설치된 진료시설(102)과; UV살균램프가 몸체의 내측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각각 설치되어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살균시설(104)과; 선별시설 몸체의 내측 천정 모서리부에 고정 설치된 열화상카메라를 구비하는 선별시설(106)과; 의료진이 투입되어 감염증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선별진료소(108)가 이동바퀴에 의해 구름 이동하여 상기 선별시설(106)의 측면부에 결합 설치되되, 상기 진료시설(102)은 진료시설 몸체의 상측변부에 형성된 결합구(28)와, 상기 살균시설(104)의 상측변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결합홈(26)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결합부(1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114)는, 직사각형상의 철(凸)부로 형성되는 결합구(28)와, 직사각형상의 요(凹)부로 형성되는 결합홈(26)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료시설(102)의 일측면에서 에어커튼 및 에어 샤워기를 통해 떨어지는 먼지 및 바이러스를 에어 배기구를 통해서 포집하기 위한 포집시설(11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진료자를 진료하기 위한 진료시설을 준비하는 단계와; 진료자의 신체와 신체 외부를 자외선으로 살균소독하기 위해 상기 진료시설의 후부에 살균시설을 결합 설치하는 단계와; 진료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감염증 환자임을 체크하고 판단하기 위해 상기 살균시설의 후부에 선별시설을 결합 설치하는 단계와; 선별시설에 의해 선별된 감염증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상기 선별시설의 측면부에 선별진료소를 결합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료시설(10)의 일측면부에는 음성안내장치가 구비된 제어부(200)를 더 결합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은, 진료시설, 살균시설, 치료시설 및 선별시설들 각각을 별도로 사용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각각의 시설들을 모두 연결 결합하여 진료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고, 각각의 시설들을 필요한 장소에 필요한 시설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시공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음성안내를 통해 감염증 환자와의 접촉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전 차단하여 방지함으로써 의료진 및 타인으로의 전염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감염증 의심환자를 에어세척 및 자외선 살균을 통하여 바이러스를 포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감염증 의심환자의 인체에 부착된 바이러스를 효율적으로 살균하여 전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시공방법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결합부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 상세도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으로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10)와, 몸체(10)의 입구측 근접한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 천정과 하부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부에서 강한 에어가 수직하게 방사되어 이물질과 바이러스를 털어내도록 설치되는 에어커튼과 중앙 상부 천정과 하부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어 몸체 내부에서 순환되면서 에어가 공급되어 이물질과 바이러스를 털어내어 외기로 방출하는 에어샤워기가 설치된 진료시설(102)과; UV살균램프가 몸체의 내측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각각 설치되어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살균시설(104)과; 선별시설 몸체의 내측 천정 모서리부에 고정 설치된 열화상카메라를 구비하는 선별시설(106)과; 의료진이 투입되어 감염증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선별진료소(108)가 이동바퀴에 의해 구름 이동하여 상기 선별시설(106)의 측면부에 결합 설치되되, 상기 진료시설(102)은 진료시설 몸체의 상측변부에 형성된 결합구(28)와, 상기 살균시설(104)의 상측변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결합홈(26)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결합부(11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시공방법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결합부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설명하여 보면,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모듈러 방역시스템(100)은 감염증 의심환자를 진료하기 위한 진료시설(102), 감염증 의심환자에게 존재하는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살균시설(104), 그리고 감염증 의심환자의 전염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신체 온도를 측정하여 선별하는 선별시설(106) 및 감염증 의심환자의 신체 온도를 측정 후, 감염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치료를 위한 의료진에게 보내기 위한 선별 진료소(10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진료시설(102)로부터 감염증 환자에 존재할 수 있는 바이러스를 외부로 배출하여 포집하기 위한 포집시설(11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료시설(102), 살균시설(104), 선별시설(106) 및 선별진료소(108)는 감염증 의심환자가 있는 곳 -즉, 병원, 빌딩, 관공서, 학교, 종교단체 등이 요구하는 장소에 신속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이동바퀴(112)를 구비하고, 각각의 시설들은 상호 결합이 용이하도록 모듈화되고 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해체가 가능하며, 진료시설(102)의 측부에는 제어부(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료시설(102),살균시설(104),진료시설(106) 및 선별진료소(108)는 모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모듈화로 형성되어 있고, 시설 상호간에 이동바퀴(112)를 이용하여 구름 이동시킴으로써 탈부착 결합시켜서 결합부(114)를 형성한다.
상기 이동바퀴(112)는 스크류 타입으로 형성되고, 이동바퀴(112)를 회전시켜서 높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모듈화된 진료시설(102), 살균시설(104), 선별시설(106) 및 선별진료소(108)를 각각 결합하는 경우, 지면의 고저에 따라 후술되는 결합부(114)의 결합홈(16)과 결합구(28)가 수평하게 일치하지 않게 되는데 이때, 전후좌우에 설치된 이동바퀴(112)의 높이를 회전시켜서 조절함으로써 결합홈(26)과 결합구(28)의 결합시 수평을 유기적으로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동바퀴(112)의 구성은 각 시설들의 결합홈(26)과 결합구(28)간의 정밀한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상호관계가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포집시설(110) 및 제어부(200)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각각의 필요한 시설에 탈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모듈화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모듈러 방역 시스템(100)은 시공설치가 매우 빠르고 어느 장소에서도 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과 시공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고, 선별진료소(108)와 연결 설치되어 감염증 환자로 판별되는 경우, 신속하게 치료가 가능하여 전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염증 의심환자는 접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도록 음성안내를 받으면서 지정된 시설들을 다니면서 설치된 시설들의 범위 내에서 진료, 살균, 선별, 치료를 모두 실시할 수 있으므로 전염병을 방지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염증 의심환자가 진료를 하기 위해 출입하는 진료시설(102)이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진료시설(102)은 사각 박스형태의 부스 형태로 이루어진 진료시설 몸체(10)와, 상기 진료시설 몸체(10)의 입구 전부에는 자동도어(12)가 설치되고, 상기 자동도어(12)의 상단부에는 출입문 센서(14)가 설치되며, 진료시설 몸체(10)의 측벽부에는 에어 배기구(16,17)가 형성된다.
상기 출입문 센서는(14) 적외선 근접센서로서 출입자를 감지하여 자동도어(12)를 열고 닫는 기능을 한다.
진료시설 몸체(10)의 내측 앞쪽 상면부와 하면부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에어를 쏴서 자동도어(12)를 통해 들어오는 출입자에게 에어를 직선적으로 분사하여 신체에 묻어 있는 먼지, 이물질과 바이러스 등을 허브향과 공기를 불어서 1차적으로 털어주는 하부 에어커튼(18)과 상부 에어커튼(19)이 대향하여 설치된다.
즉, 인체에 무해하고 유익한 허브향을 공기와 함께 제공하여 의류와 인체의 외부에 묻은 바이러스를 털어내고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출입자의 손이 닿지 않도록 근접센서를 이용한 자동도어를 사용하였으나 더 나아가서는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한 에어 실린더를 이용한 버스형 폴딩도어를 사용하여 안쪽으로 접히도록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에어커튼(18,19)을 통과한 후, 에어샤워를 하게 된다.
상기 진료시설 몸체(10)의 내측부 중앙 하부에는 하부 에어샤워기(20)가 설치되어 있고, 중앙 상부에는 상부 에어샤워기(22)가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출입자 또는 감염증 진료자는 하부 에어샤워기(20)의 상부에 서서 2차적으로 음이온을 공급하여 에어샤워를 하게된다.
상기 하부 에어샤워기(20) 및 상부 에어샤워기(22)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팬(24)이 각각 내재되어 설치되고 상하부 에어 샤워기(20,22)는 에어와 함께 음이온을 공급한다.
상기 송풍팬(24)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는 유선형으로 흐르면서 출입자 또는 감염증 진료자의 몸 전체를 감싸면서 음이온 소독이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부 에어커튼(18,19)이 상하방향에서 수직하게 직선적인 공기를 강하게 분사하여 바이러스를 털어내기 위한 것이라면 상하부 에어샤워기(20,22)는 진료시설 내부를 회오리치듯이 와류를 일으켜서 회전하면서 공기를 불어넣어서 진료자의 몸 전체를 감싸면서 의류와 인체에 묻어 있는 바이러스를 털어내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상하부 에어커튼(18,19)과 상하부 에어샤워기(20,22)가 뿜어내는 공기에 의해 입고 있는 의류와 인체에서 떨어지는 먼지, 이물질 및 바이러스들은 상기 에어 배기구(16,17)를 통해 배출된다.
즉, 하부 에어커튼(18)과 하부 에어샤워기(20)에 의해 떨어지는 먼지, 이물질 및 바이러스 들은 에어 배기구(16)을 통과하여 외부로 설치된 포집시설(110)로 배출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배기구(17)를 통해서 배출되어 포집시설(110)로 배출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진료시설 몸체(10)의 외측면 상부 좌측에는 결합홈(26)이 형성되고, 상부 후측부에는 결합구(28)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6)과 결합구(28)는 직사각형상의 요홈형태로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서는 파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삼각형상의 쐐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호 결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다양한 형상의 변경은 본원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이어서, 상기 진료시설(102)의 후부에는 상기 진료시설(102)의 결합구(28)에 결합 고정되는 살균시설(104)가 연결 설치되는바, 상기 살균시설(104)은,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스형태로서 살균시설 몸체(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살균시설 몸체(30)의 전면부에는 자동도어(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자동도어(12)의 전면 중앙 상단부에는 출입문센서(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시설 몸체(30)의 내측부에는 다수의 살균램프(32)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살균시설 몸체(30)의 내측 좌우측면부에 각각 2-4개의 살균램프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1-2개의 살균램프로는 바이러스를 모두 살균하기에는 모자르고 4개 이상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인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살균램프(32)는 UV-C자외선을 사용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UV-C LED램프로서 자외선 중 파장이 200-280 나노미터(nm)로 짧은 자외선을 방출하는 범위의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5-10초 동안 살균한다. 이때, 자외선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효모, 곰팡이 등의 세균의 DNA를 파괴시키고, 99.4% 이상의 살균효과를 발휘한다. 자외선 파장은 280나노미터(nm)보다 긴 파장을 사용할 경우, 광출력이 높을수록 더 강력한 살균장치를 만들수 있지만 발열등 안정적이지 못하고 인체에 해롭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는 살균시설(104) 내부에 플라즈마 이온기를 설치하여 몸에 붙은 세균과 바이러스를 털어내고 자외선이 비추지 않는 곳의 세균을 플라즈마 이온이 찾아서 살균을 할 수 있도록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료시설(102)에는 제어부(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감염증 의심환자 또는 진료자가 출입하는 것을 확인하고, 인식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한 후, 음성으로 안내하고 감염증 의심환자 또는 진료자의 상태를 물어보고 문진하거나 몸 상태를 확인하여 영상으로 보여주며, 손소독기를 자동으로 손을 소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기 제어부(200)에는 제어부 몸체(20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 몸체(202)에는 인식장치(204), 디스플레이(206), 손소독기(208) 및 음성안내장치(21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모듈화가 되어 있다.
상기 진료시설 몸체(10)의 일측면부에는 사각형상의 제어부 설치공(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듈화된 제어부(200)를 제어부 설치공(21)에 삽입 설치한다.
상기 인식장치(204)는 얼굴인식, 홍채인식 및 QR코드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06)는 상기 인식장치(204)로부터 인식된 진료자를 인식하고, 진료자의 정보를 보여주고, 기본적인 몸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문진표를 보여주며,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키, 몸무게 등 신체의 정보와 지방량 및 근육량등을 보여준다.
그리고, 상기 손소독기(208)는 진료자의 손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소독약을 분사하고 진료자의 손에 묻은 바이러스를 살균 소독한다.
상기 제어부(200)에 설치된 음성안내장치(210)는 출입문센서(14)를 통해 들어오는 감염증 의심환자 및 진료자를 감지하고 진료 및 살균,소독 그리고 체온 측정등을 받기 위해 앞으로 행동해야 할 행동을 음성으로 안내해준다. 즉, 진료시설에서는 첫째로 인식장치(204)를 통해 어떤 방법으로 인식시켜서 사용할 것인지 음성으로 안내하고, 손소독을 실시하도록 안내하며, 각각의 순서를 디스플레이(206)를 통해 보여주고, 상기 진료시설(102)을 통과한 감염증 의심환자 또는 진료자가 살균시설(104)과 선별시설(106) 그리 선별진료소(108)를 출입하는 경우에도 각 시설들에 적합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진료자가 무엇을 해야 할지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계속해서,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살균시설(104)의 후부에는 선별시설(106)이 설치되는바, 상기 선별시설(106)은 살균시설(104)로부터 살균이 끝난 상태의 진료자 또는 감염증 의심환자의 체온을 확인하여 감염증 환자와 의심환자로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먼저, 직사각형상의 부스로 이루어진 선별시설 몸체(3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선별시설 몸체(34)의 전면부에는 자동도어(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자동도어(12)의 전면 상단부에는 출입문센서(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출입문센서(14)는 전술된 살균시설(104)을 통과한 감염증 의심환자의 진출입을 제어한다.
상기 선별시설 몸체(10)의 상단부 천정 외측부에는 결합홈(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26)과 대응되도록 후부 상변에는 결합구(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26)은 요홈(凹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28)는 철(凸)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응하여 요철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철형상 외의 다른 형태로서 기역자(ㄱ)형상의 결합구(28)와 니은자(ㄴ) 형상의 결합홈(26)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선별시설 몸체(34)에는 전술된 살균시설 몸체(30)가 결합되는 바, 상기 살균시설 몸체(30)를 밀어서 이동바퀴(112)로 이동시켜서 상기 살균시설 몸체(30)의 결합구(28)를 선별시설 몸체(34)의 결합홈(26)에 끼워서 고정함으로써 좌우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선별시설 몸체(34)의 상부 우측변부에는 결합홈(26)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결합홈(26)은 선별시설 몸체(34)의 상변 어느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구(28)와 결합 설치되도록 대응되는 위치면 모두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선별시설 몸체(34)의 내측부에는 열화상 카메라(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36)는 감염증 의심환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열화상 카메라(36)의 앞에 서게되면 체온을 측정하여 알려준다.
그리고, 상기 선별시설 몸체(34)의 내측부에는 디스플레이(3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38)에 감염증 의심환자의 체온상태, 비만상태, 근육량 상태 및 질환상태 등 각종 신체상태가 보여진다.
이상과 같이 선별시설(106)내에서 열화상 카메라(36)에 의해 정상체온으로 감지된 감염증 의심환자는 정상인으로 인식되어 출구로 나가게 되고, 정상체온이 아니고 바이러스 감염 체온인 37.5도 이상으로 측정되면 감염증 환자로 인식되어 선별진료소(108)로 가게 된다.
상기 선별진료소(108)는 상기 선별시설(106)의 측면부에 결합 설치되어 있으므로 감염증 환자로 선별된 환자는 선별진료소(108)로 진입하여 의료진의 치료를 받게 된다.
상기 선별진료소(108)는 직사각형상의 부스 형태로 이루어진 선별진료소 몸체(5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선별진료소 몸체(52)의 우측면부에는 자동도어(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자동도어(12)의 상변부에는 출입문 센서(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별진료소 몸체(52)의 전면부에는 에어배기구(1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 배기구(17)에는 포집시설(110)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선별진료소 몸체(52)의 외측부에는 포집시설(1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포집시설(110)은 내부필터(40), 외부필터(42), 덕트(46), 흡입팬(48) 및 포집구(50)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시설(110)은 선별진료서 몸체(52)에 형성된 에어배기구(17)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내부필터(40)와, 상기 선별진료소 몸체(52)의 외측부에서 에어 배기구(17)를 막아서 외부로 배출되는 바이러스를 포집하기 위해 공기를 여과시키는 외부필터(42)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필터(40) 및 외부필터(42)는 광촉매 제올라이트 필터를 사용한다.
상기 광촉매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배출되는 에어에 잔류하는 세균을 살균시키게 된다.
상기 내부필터(40)와 외부필터(42)의 외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필터(40)와 외부필터(42)는 플랜지부(41)의 고정공(43)에 볼트, 너트 등의 고정수단(미도시됨)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외부필터(42)의 후부에는 포집시설(110)의 고정판넬(44)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포집시설(110)에는 바이러스를 포집하는 포집구(50)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포집구(50)는 사각형상의 몸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면부에는 사각형상의 덕트(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덕트(46)의 중앙에는 흡입팬(4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입팬(48)이 회전 동작함에 따라 에어 배기구(17)를 통해서 선별진료소(108)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여서 바이러스를 흡입한다.
그리고, 상기 덕트(46)의 전부에는 고정판넬(44)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포집구(50)는 상기 고정판넬(44)에 의해 고정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넬(44)은 외부필터(42)를 개재하여 선별진료소 몸체(52)의 외면부에 장착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발명은 먼저, 감염증 의심환자 또는 진료자(이하, '진료자"라 함)가 진료시설(102)로 다가서면 출입문 센서(14)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자동도어(12)를 동작시켜서 자동도어(12)를 열어서 출입시킨다.
진료자가 진료시설(102)로 들어서면 상부 및 하부 에어커튼(18,19)이 동작하여 진료자의 상방향과 하방향에서 에어를 직선적으로 내뿜어서 신체에 묻어있는 먼지, 이물질 및 바이러스를 털어준다.
이때, 신체로부터 떨어지는 먼지, 이물질 및 바이러스는 하부 및 측면부에 형성된 에어 배기구(16,17)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외부에 설치된 포집시설(110)로 배출되어 포집된다.
이후, 에어커튼을 통과한 진료자는 제어부(200)에 설치된 인식장치(204)를 통해 진료자의 얼굴, 홍채, QR코드 등을 이용하여 인식시켜서 신체의 정보를 입력시킨다.
진료자의 정보가 입력된 후 제어부(200)가 진료자를 확인하면 이후 음성안내장치(210)가 음성으로 손소독기(208)을 이용하여 손을 소독하도록 음성으로 안내하고 상기 하부 에어 샤워기(20) 위에 위치하도록 음성 안내를 하고, 상기 하부 및 상부 에어 샤워기(20,22)를 동작시켜서 진료자의 신체를 음이온을 배출하면서 에어로 샤워시킨다.
이와 같이 진료자의 신체를 에어를 이용하여 신체를 샤워시키는 경우, 음이온을 충분히 공급하여 진료자의 기분과 상태를 안정화시키면서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음이온 소독이 이루어진 내부의 에어는 내부필터(40)에 의해 여과되고, 에어 배기구(16,17)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는 외부필터(42)에 의해 여과되면서 전술된 포집시설(110)로 배출되어 포집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 샤워를 끝마친 진료자는 음성안내장치(210)에서 안내하는 음성 안내에 따라 살균시설(104)로 이동하고, 출입문 센서(14)가 인식하면서 자동도어(12)를 열어서 살균시설(104)로 들어갈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어서, 살균시설(104)로 진입한 진료자는 음성안내를 따라 중앙부에 위치하고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를 인식한 후, UV-살균램프(32)를 동작시켜서 진료자의 신체 외부에 묻어 있는 바이러스들을 5-10초간 살균 처리한다.
상기와 같이 진료자의 신체 외부를 UV살균램프(32)를 이용하여 살균시킨 후, 진료자를 선별시설(106)로 들어가도록 안내한다.
이때, 선별시설(106)에 설치된 출입문 센서(14)가 인식을 하여 자동도어(12)를 열어주고 진료자는 선별시설(106)로 들어간다.
선별시설(106)로 들어간 진료자는 음성안내장치(210)의 음성안내에 따라 열화상 카메라(36)의 앞에 위치하여 열화상 카메라(36)를 이용하여 체온을 측정하게 된다.
진료자의 체온을 열화상 카메라(36)로 측정한 후, 선별시설 몸체(34)에 설치된 디스플레이(38)에 진료자의 신체 상태를 보여주고 체온이 정상인 경우에는 출입문을 통해 나갈 수 있도록 출입문을 개방하고, 진료자의 체온이 바이러스가 감염된 상태인 감염온도 이상이 측정되면, 선별시설(106)의 일측부에 연결 설치된 선별진료소(108)의 출입문을 개방하여 선별진료소(108)로 들어가도록 음성으로 안내한다.
상기와 같이 선별진료소(108)로 들어간 진료자는 감염증 환자로 선별되고 최종 준비된 의료진들에 의해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절차를 받게 되는 것이다.
싱기 열화상 카메라(36)는 비접촉식 얼굴형 체온계(Tovis AT-100)로서 체온측정센서, 거리측정센서를 구비하고, 정면에는 정보 표시창이 형성되고, 후면에도 정보표시창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면에는 모드전환키, 설정키, 측정키, 상하이동 조절키 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36)은 적어도 200만-500만 화소를 구비하고, 온도 오차범위 0.3도의 차이를 판별할 수 있는 정도의 정밀성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드로이드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출입자의 페이스를 인식하거나 직원을 인식하거나 의료진을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 또는 출입자의 마스크 착용 여부를 확인하여 음성안내장치와 연동설치되어 안내를 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진료하고자 하는 진료자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는지 그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진료시설(102)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위치시킨다(진료시설 준비단계).
그리고, 상기 진료시설(102)의 후부에 진료자의 신체에 묻어 있는 각종 세균들을 UV살균램프(32)에서 나오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 소독하기 위한 살균시설(104)을 이동시켜서 결합 설치한다. 이때, 상기 진료시설(102)의 몸체(10)에 형성된 결합구(28)에 살균시설(104)의 몸체(30)에 형성된 결합홈(26)을 끼워서 결합 설치한다(살균시설 설치단계).
상기 진료시설(102)의 후부에 살균시설(104)을 설치한 후, 진료자가 사스, 메르스, 코로나 등의 감염증에 전염되어 있는지 그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선별시설(106)을 상기 살균시설(104)의 후부에 결합 설치한다.
즉, 살균시설(104)의 몸체(30)에 형성된 결합구(28)에 선별시설(106)의 몸체(34)에 형성된 결합홈(26)을 끼워서 결합 설치한다(선별시설 설치단계).
이후, 선별시설(106)의 몸체(34) 일측 상변부에 형성된 결합홈(26)에 선별진료소(108)의 몸체(52)에 형성된 결합구(28)를 끼움 결합하여 설치한다(선별진료소 설치단계).
상기와 같이 설치된 진료시설(102)에는 제어부(200)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진료시설(102), 살균시설(104), 선별시설(106) 및 선별진료소(108)에 들어가는 진료자에게 자동으로 인식하여 음성으로 안내하기 위한 음성 안내장치(21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진료자가 시설 내부에서 사람간의 접촉을 최대한 갖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써 감염증 바이러스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 진료시설 몸체(10)의 일측면부에 직사각형상의 에어배기구(17)를 형성하고, 상기 에어배기구(17)의 내측부에 내부필터(40)를 설치하며, 상기 에어배기구(17)의 외측부에 외부필터(42)를 설치하며, 상기 외부필터(42)의 외측에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판넬(44)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판넬(44)의 후부에는 덕트(46)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상기 덕트(44)의 내부에는 흡입팬(48)을 설치하고, 상기 흡입팬(48)이 설치된 덕트(46)의 후부에는 포집구(50)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한편, 상기 진료시설(102)의 몸체(10)의 우측면부에는 사각형상의 결합공(도면부호 도시안함)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합공에 제어부(200)를 끼워서 결합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한편, 상기 내부필터(40)의 외측부에는 플랜지부(41)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플랜지부(41)에 고정공(43)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필터(42)의 외측부엔 플랜지부(41)를 형성하고, 플랜지부(41)에 고정공(43)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치고 상기 플랜지부(41)를 진료시설 몸체(10)의 에어배기구(17)에 결합고정하는 경우, 상기 에어배기구(17)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고정공(15)을 형성한 후, 상기 고정공(15)과 고정공(43)이 일치하도록 하고, 상기 일치된 고정공(15)과 고정공(43)에 볼트,너트 등의 고정수단(101)을 고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로서, 바람직하기로는 각각의 모듈러화 된 시설들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개별적으로 필요한 시설, 즉 진료시설(102)과 살균시설(104)을 결합하거나 진료시설(102)과 선별시설(106)을 결합하거나 살균시설(104)과 선별진료소(108)만을 결합하여 이용하거나 하는 등 자유로운 결합을 통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더 나아가서는 각각의 진료시설(102), 살균시설(104), 선별시설(106)을 하나의 몸체(10)로 형성한 후, 에어 샤워기(20,22), 살균램프(32) 및 열화상카메라(36)를 몸체(10) 내부에 모두 설치한 토탈진료소(116)를 설치하고 음성안내장치(210)에 따라 순차적으로 동작시켜서 진료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선별진료소(108)를 일체로 된 토탈진료소(116)의 시설 측면부에 연결 설치함으로써 이용할 수 있다.
도 5와 같은 이러한 실시예는 본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할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결합부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각 시설들의 몸체(10,30,34,52)의 상변부에 기역자 또는 역기역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구(2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0,30,34,52)에 대응하는 반대측 몸체(10,30,34,52)에는 니은자 또는 역니은자 형상의 결합홈(2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29)의 하부에는 단턱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구(27)가 단턱부(31)의 상부에 얹혀지면서 결합홈(29)에 밀려 들어가면서 미끄럼이동하며 안착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시설들의 몸체(10,30,34,52)의 상변부에 파형형상의 결합구(33)을 형성하고, 타측의 몸체(10,30,34,52)의 상변부에는 상기 결합구(33)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파형형상의 결합홈(35)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결합구(33)에 결합홈(35)이 결합됨으로써 모듈화된 진료시설(102), 살균시설(104), 선별시설(106) 및 선별진료소(108)들로 이루어진 시설들을 신속하게 연결이 가능하고 필요한 장소에 필요한 시간에 맞춰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발명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10 : 진료시설 몸체 12 : 자동도어
14 : 출입문 센서 16 : 에어 배기구
18 : 하부 에어커튼 19 : 상부 에어커튼
20 : 하부 에어샤워기 22 : 상부 에어샤워기
24 : 송풍팬 26 : 결합홈
28 : 결합구 30 : 살균부스 몸체
32 : 살균램프 34 : 선별부스 몸체
36 : 열화상 카메라 38 : 디스플레이
40 : 내부필터 42 : 외부필터
44 : 고정판넬 46 : 덕트
48 : 흡입팬 50 : 포집구
52 : 진료소 몸체
100 :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102 : 진료시설 104 : 살균시설
106 : 선별시설 108 : 선별진료소
110 : 포집시설 112 : 이동바퀴
114 : 결합부
200 : 제어부 202 : 제어부 몸체
204 : 인식장치 206 : 디스플레이
208 : 손소독기 210 : 음성안내장치

Claims (4)

  1. 몸체(10)와, 몸체(10)의 입구측 근접한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부 천정과 하부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부에서 강한 에어가 수직하게 방사되어 이물질과 바이러스를 털어내도록 설치되는 에어커튼과 중앙 상부 천정과 하부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어 몸체 내부에서 순환되면서 에어가 공급되어 이물질과 바이러스를 털어내어 외기로 방출하는 에어샤워기가 설치된 진료시설(102)과;
    UV살균램프가 몸체의 내측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각각 설치되어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살균시설(104)과;
    선별시설 몸체의 내측 천정 모서리부에 고정 설치된 열화상카메라를 구비하는 선별시설(106)과;
    의료진이 투입되어 감염증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선별진료소(108)가 이동바퀴에 의해 구름 이동하여 상기 선별시설(106)의 측면부에 결합 설치되되,
    상기 진료시설(102)은 진료시설 몸체의 상측변부에 형성된 결합구(28)와, 상기 살균시설(104)의 상측변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결합홈(26)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결합부(1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14)는,
    직사각형상의 철(凸)부로 형성되는 결합구(28)와,
    직사각형상의 요(凹)부로 형성되는 결합홈(2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시설(102)의 일측면에서 에어커튼 및 에어 샤워기를 통해 떨어지는 먼지 및 바이러스를 에어 배기구를 통해서 포집하기 위한 포집시설(11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4. 진료자를 진료하기 위한 진료시설을 준비하는 단계와;
    진료자의 신체와 신체 외부를 자외선으로 살균소독하기 위해 상기 진료시설의 후부에 살균시설을 결합 설치하는 단계와;
    진료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감염증 환자임을 체크하고 판단하기 위해 상기 살균시설의 후부에 선별시설을 결합 설치하는 단계와;
    선별시설에 의해 선별된 감염증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상기 선별시설의 측면부에 선별진료소를 결합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료시설(10)의 일측면부에는 음성안내장치가 구비된 제어부(200)를 더 결합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시공방법.
KR1020200109605A 2020-08-28 2020-08-28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428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605A KR102428637B1 (ko) 2020-08-28 2020-08-28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605A KR102428637B1 (ko) 2020-08-28 2020-08-28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512A true KR20220028512A (ko) 2022-03-08
KR102428637B1 KR102428637B1 (ko) 2022-08-02

Family

ID=80812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605A KR102428637B1 (ko) 2020-08-28 2020-08-28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63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060B1 (ko) 2004-10-13 2005-04-07 (주) 건축사 사무소 도시건축 송풍기를 이용한 건물 출입용 무균 소독 시설
KR101523946B1 (ko) * 2015-01-12 2015-06-01 주식회사 에스컴텍 조립식 확장형 모듈하우스
KR101671972B1 (ko) 2015-03-13 2016-11-03 (주)아성온 건물 출입구 설치용 방역장치
KR101828942B1 (ko) * 2017-08-23 2018-02-13 주식회사 동양 다용도 클린부스
KR101988486B1 (ko) * 2018-10-29 2019-06-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상시 검역 및 방역 기능의 스마트 터널
KR102139341B1 (ko) * 2020-04-14 2020-07-30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060B1 (ko) 2004-10-13 2005-04-07 (주) 건축사 사무소 도시건축 송풍기를 이용한 건물 출입용 무균 소독 시설
KR101523946B1 (ko) * 2015-01-12 2015-06-01 주식회사 에스컴텍 조립식 확장형 모듈하우스
KR101671972B1 (ko) 2015-03-13 2016-11-03 (주)아성온 건물 출입구 설치용 방역장치
KR101828942B1 (ko) * 2017-08-23 2018-02-13 주식회사 동양 다용도 클린부스
KR101988486B1 (ko) * 2018-10-29 2019-06-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상시 검역 및 방역 기능의 스마트 터널
KR102139341B1 (ko) * 2020-04-14 2020-07-30 주식회사 중원인더스트리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637B1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233B1 (ko) 감염증 환자 선별 통제 시스템
CN111265683A (zh) 一种具备检测消毒功能的通道及检测消毒方法
KR20120113324A (ko) 이동형 방역 소독장치
JP5559653B2 (ja) オゾン滅菌装置およびオゾン滅菌処理の管理方法
WO2021075496A1 (ja) 紫外線照射装置・紫外線照射システム・紫外線照射方法及び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KR102204113B1 (ko) 에어샤워 공기청정기
KR102303659B1 (ko) 방역게이트
KR102182543B1 (ko) 인공지능 방역 시스템
KR102270838B1 (ko) 에어샤워 살균 게이트
CN210895592U (zh) 身份识别、体温测量、消毒灭菌去除气溶胶装置
KR102428637B1 (ko) 언택트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러 방역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432145B1 (ko) 조립식 복합 방역 게이트
KR102495943B1 (ko) 언택트 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 방역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20012036A (ko)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KR101917360B1 (ko) 고온 건조식 대인 소독장치
KR102464985B1 (ko) 이동식 방역기
KR20220043503A (ko) 출입구 스마트 소독장치
KR20220084964A (ko) 출입구용 위생관리장치
KR102339743B1 (ko) 터널식 방역장치
KR20230097007A (ko) 물리적 소독이 가능한 출입 통제 장치
JP3230337U (ja) 防護服殺菌装置
KR102341585B1 (ko) 복합 공간방역기
JP7381675B2 (ja) 消毒システム
KR102346394B1 (ko) 출입구용 멀티 방역장치
KR102658848B1 (ko) 공기 청정 음압기능과 살균장치를 구비한 자가격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