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279A - 매장내 유휴 공간을 활용한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매장내 유휴 공간을 활용한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279A
KR20220028279A KR1020200109062A KR20200109062A KR20220028279A KR 20220028279 A KR20220028279 A KR 20220028279A KR 1020200109062 A KR1020200109062 A KR 1020200109062A KR 20200109062 A KR20200109062 A KR 20200109062A KR 20220028279 A KR20220028279 A KR 20220028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information
shared space
shar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희
임정현
윤영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9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8279A/ko
Publication of KR20220028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장내 유휴 공간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수익 창출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매장 내 유휴공간을 공유 공간으로 제공하는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공간 제공자 단말과 통신하며 공유 공간의 제공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공간 보유자 서비스 제공부 및 공간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며 공간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공유 공간을 추천해주는 공간 사용자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공간 보유자 서비스 제공부는, 공간 지리 정보(GIS), 데이터 기술(DT) 또는 증강현실(AR)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촬영만으로 공유 공간의 3D 사진을 생성하여 자동으로 공유 공간을 등록하는 공유 공간 등록부, 영위하는 업종, 공유 공간의 크기, 지역 또는 위치를 기초로 입점 시 예상되는 수익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예상 수익 정보 제공부 및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주변의 시세 또는 공유 공간 정보를 기초로 적정 임대료를 산출하는 적정 임대료 연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장내 유휴 공간을 활용한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Space sharing service device and method using idle space in store}
본 발명은 매장내 유휴 공간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수익 창출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주변 시세, 보유 공간의 매력도 등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적정 가격을 결정하고, 사용자들의 니즈를 분석하여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공간 보유자와 공간 사용자를 매칭하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주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판매 공간에서 지속적인 영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자투리 공간을 방치하여 공간 활용의 비효율성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임대료 지출이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점주는 매장내 유휴 공간을 활용한 추가적인 수익 창출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그러나 유휴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정보 및 노하우가 부족하고, 공유 공간 사용자와 공간이나 설비의 훼손, 사용료 정산, 보험, 매장 관리 등의 운영상의 어려움을 갖고 있다.
공유 공간을 활용하고자 하는 사업자나 소상공인은 주요 상권이 밀집한 지역에 진출하고자 하나 높은 임대료로 인해 진입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기존 매장을 여러 사업자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 공유 공간 사용자 입장에서도 창업에 대한 부담감 및 초기 창업비용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공유 공간 제공자가 구축한 브랜드 가치까지 공유할 수 있어 다방면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간 지리 정보(GIS), 데이터 기술(DT) 등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공유 공간이 등록될 수 있게 하고, 스마트폰 촬영만으로 공유 공간의 3D 사진, 실측 평면도를 자동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공유 공간의 등록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주변 시세, 보유 공간의 매력도 등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적정한 임대 가격을 결정함으로써, 공간 보유자와 사용자가 합리적인 임대료를 책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간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공유 공간을 검색하고, 최적의 공유 공간을 공간 사용자에게 추천해주어, 간편하게 원하는 공유 공간을 찾을 있도록 하는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매장내 유휴 공간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수익 창출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매장 내 유휴공간을 공유 공간으로 제공하는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공간 제공자 단말과 통신하며 공유 공간의 제공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공간 보유자 서비스 제공부 및 공간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며 공간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공유 공간을 추천해주는 공간 사용자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공간 보유자 서비스 제공부는, 공간 지리 정보(GIS), 데이터 기술(DT) 또는 증강현실(AR)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촬영만으로 공유 공간의 3D 사진을 생성하여 자동으로 공유 공간을 등록하는 공유 공간 등록부, 영위하는 업종, 공유 공간의 크기, 지역 또는 위치를 기초로 입점 시 예상되는 수익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예상 수익 정보 제공부 및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주변의 시세 또는 공유 공간 정보를 기초로 적정 임대료를 산출하는 적정 임대료 연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공간 지리 정보(GIS), 데이터 기술(DT) 등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공유 공간이 등록될 수 있게 하고, 스마트폰 촬영만으로 공유 공간의 3D 사진, 실측 평면도를 자동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공유 공간의 등록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주변 시세, 보유 공간의 매력도 등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적정한 임대 가격을 결정함으로써, 공간 보유자와 사용자가 합리적인 임대료를 책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은, 공간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공유 공간을 검색하고 최적의 공유 공간을 공간 사용자에게 추천해주어, 간편하게 원하는 공유 공간을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보유자 서비스 제공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보유자 서비스 제공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공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 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며,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모든 조합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식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단수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단수 표현에 대한 언급은 또한 복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예시적 실시 예들을 설명할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한정할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적 표현들은 또한, 해당 문장에서 명확하게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용어 "및/또는," "그리고/또는"은 그 관련되어 나열되는 항목들의 모든 조합들 및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포함하고 있는", "구비하는", "갖는", "가지고 있는" 등은 내포적 의미를 갖는 바, 이에 따라 이러한 용어들은 그 기재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컴포넌트를 특정하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컴포넌트,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혹은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의 단계들, 프로세스들, 동작들은, 구체적으로 그 수행 순서가 확정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들의 수행을 논의된 혹은 예시된 그러한 특정 순서로 반드시 해야 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추가적인 혹은 대안적인 단계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는 각각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위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위 구성요소들이 서로 조합되어 복수 개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30)는 공간 보유자 단말(10)로부터 공유 공간을 등록 받고, 공유 공간에 관한 정보와 공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요구조건을 기초로, 공유 공간을 추천해줄 수 있다.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30)는 공간 보유자 서비스 제공부(100) 및 공간 사용자 서비스 제공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 보유자 서비스 제공부(100)는 공간 제공자 단말(100)과 통신하며 공유 공간 제공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공간 보유자 서비스 제공부(100)의 동작은 도 2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보유자 서비스 제공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공간 보우자 서비스 제공부(100)는 공유 공간 등록부(110), 예상 수익 정보 제공부(120), 적정 임대료 연산부(130) 및 매칭 결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유 공간 등록부(110)는 공간 보유자가 제공하는 공유 공간을 등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공유 공간은 공간 지리 정보(GIS), 데이터 기술(DT), 증강현실 기술(AR) 등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등록될 수 있다.
공유 공간 등록부(110)는 공간 지리 정보(GIS)를 통해 공유 공간과 인접한 주변의 편의 시설(교통, 편의점 등)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공유 공간 등록부(110)는 기 분석된 상권 분석 데이터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공유 공간의 상권 분석 데이터가 자동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상권 분석 데이터에는 상권 내에 있는 점포별 특성 및 현황, 인구 분포, 교통 상태, 통행량 등의 요소를 조사한 데이터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공유 공간 등록부(110)는 스마트폰 촬영만으로 공유 공간의 3D 사진, 실측 평면도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공간 제공자는 생성된 공유 공간의 3D 사진과 실측 평면도를 기초로 공유 공간의 등록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예상 수익 정보 제공부(120)는 공유 공간의 정보를 통해 입점시 예상되는 수익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공유 공간의 정보는 영위하는 업종, 공유 공간의 크기, 지역, 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상 수익 정보 제공부(120)는 예상 수익 정보 산출시 유사한 업종의 공유 공간 사례를 참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위하고자 하는 업종이 커피점인 경우, 인근 지역에서 공유 공간을 활용하여 운영 중인 커피점의 월간 수익을 참고하여 예상 수익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공간 사용자는 예상 수익 정보를 기초로 투자 금액 대비 예상 수익을 확인할 수 있어 사업에서 실패할 확률을 크게 줄일 수 있음, 효율적인 자금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적정 임대료 연산부(130)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주변의 시세 또는 공유 공간 정보를 기초로 적정한 임대료를 연산할 수 있다. 적정 임대료 연산부(130)는 주변 시세, 편의 시설, 수요의 증감, 대규모 단지 입점과 같은 대규모 이벤트 등을 고려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들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거나 다양한 웹사이트로부터 자동적으로 크롤링 되어 수집될 수 있다.
적정 임대료 연산부(130)는 공간 사용자의 입점 단계에 따라 공유 공간 정보에 가중치를 상이하게 부여하여 임대료를 산출할 수 있다.
적정 임대료 연산부(130)는 공유공간 입점 초기에는 주변 시세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임대료를 연산할 수 있다. 입점 초기에는 공간 사용자의 서비스가 아직 안정적으로 운영되지 않아 적정 임대료 산출을 위한 공유 공간 정보가 부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정 임대료 연산부(130)는 적정 임대료 산출을 위해 월간 수익, 조회수, 후기와 같은 공유 공간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데, 입점 초기에는 이러한 정보가 충분히 수집되지 않았으므로 주변 시세에 높은 비중을 두어 적정 임대료를 연산할 수 있는 것이다.
적정 임대료 연산부(130)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주변 시세를 제외한 다른 공유 공간 정보의 비중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적정 임대료를 연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적정 임대료 연산부(130)는 적정 임대료 산출 시, 입점 초기에는 주변 시세에 가장 높은 비중을 두고, 이후에는 주변 편의시설, 성/비수기 여부, 대규모 이벤트와 같은 공유 공간의 입지 정보에 점점 높은 비중을 두며, 공간 사용자가 안정적인 매출을 실현하기 시작하면 온라인 조회수, 후기, 월간 수익 등 공간 사용자의 영업 정보에 높은 비중을 두어 적정 임대료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적정 임대료는 실제 공간 보유자와 사용자와의 협의를 거쳐 최종적인 임대료 산출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적정 임대료는 일/월/년 단위로 산출되어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실시간으로 적정 임대료를 확인할 수 있어 영업 전략에 활용할 수 있고, 빈번히 발생하는 임대인과 임차인 간의 갈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매칭 결정부(140)는 등록된 공간 사용자들의 정보를 기초로, 조건에 부합하는 공간 사용자를 추천해주거나, 매칭된 공간 사용자와 보유자를 연결해주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매칭 결정부(140)는 프로필, 업종, 아이템, 과거 검색 리스트와 같이 사전에 등록된 공간 사용자 정보를 공간 보유자에게 제공하고, 공간 보유자는 공간 사용자 정보를 활용하여 원하는 공간 사용자를 검색하고 계약을 진행할 수 있다.
매칭 결정부(140)를 통해 공간 사용자와 보유자는 실시간으로 채팅 또는 전화를 통해 소통할 수 있으며, 계약에 필요한 세부사항들을 확인 및 조율할 수 있다.
공간 사용자 서비스 제공부(200)는 공간 사용자 단말(20)과 통신하며 공간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공유 공간을 추천해 줄 수 있다. 공간 사용자 서비스 제공부(200)의 동작은 도 3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보유자 서비스 제공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유 사용자 서비스 제공부(200)는 공유 공간 추천 수행부(210), 공간 정보 제공부(220) 및 부가 서비스 제공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유 공간 추천 수행부(210)는 공간 사용자의 이용 목적, 예산 등에 따른 최적 공간을 추천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크 아웃 커피점 오픈 시, 인근 커피점의 수, 평균 매출, 유동인구, 보유 예산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복수의 공유 공간에 대한 적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적합도는 공유 공간 정보와 함께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며, 사용자는 적합도를 기초로 자신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공유 공간을 선택할 수 있다.
공유 공간 추천 수행부(210)는 적합도를 산출할 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특정 요소에 가중치를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푸드트럭을 운영하고자 하는 공간 사용자의 경우, 주차장의 이용가능 여부, 유동인구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공유 공간을 추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공간 정보 제공부(220)는 추천 공유 공간과 관련된 평가 정보, 계약 정보 및 매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평가 정보는 이전 공간 사용자의 공간 평가 정보일 수 있다. 평가 정보는 공간 제공 편의 시설, 노후 정도, 청결도를 포함하며, 공간 제공자의 친절도(갑질 유무, 주차시설 이용 제한 여부 등), 고장시설 수리 수용도, 계약 전 시설 설치 등의 약속 이행도를 포함할 수 있다.
계약 정보는 공간 제공자의 임대료 인상 횟수, 주기, 금액에 관한 정보, 원 소유자와의 잔여 임대차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매물 정보는 허위매물을 방지하기 위해 인증절차를 통과한 공간 제공자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매물 정보는 공간 등록 이후 특정 시간 경과 시 주기적으로 체크될 수 있다. 또는, 매물 정보는 공간 제공자가 공유 공간 정보를 수정할 때마다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제공부(230)는 공간 관리, 사업 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의 제공은 제휴된 부가 서비스 사업자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공간 기획, 인테리어, 법률, 재무, 배송, 구인, 물품 구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제공부(230)는 부가 서비스 사업자에 대한 이용후기, 평점을 통해 서비스의 질을 관리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제공부(230)는 사전에 심사를 통해 부가 서비스 사업자들의 등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심사를 통과한 부가 서비스 사업자들은 자유롭게 입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부가 서비스 제공부(230)는 단 한 번의 심사만 통과하면 부가 서비스 사업자들이 자유롭게 입점 또는 퇴점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 형태로 부가 서비스 사업자들을 관리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사업자들은 필요에 따라 입점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부가 서비스 제공과 무관하게 공유 공간 플랫폼을 통한 지속적인 광고도 가능하므로 자신의 부가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30)는 계약 진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약 진행부는 전자 계약을 통해 공간 사용자와 보유자 간의 임대차 계약을 진행할 수 있다. 전자 계약은 국토부 부동산 전자계약 시스템을 도입하여 간편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이때 공유 매장을 전담으로 하는 공인 중개사를 두어 전문성을 재고할 수 있을 것이다.
계약 진행부는 임대차 계약 시 계약 기간, 계약 형태, 공간의 종류, 이용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옵션의 계약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기 계약(일/시간/월 단위 계약)의 경우 통상의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장기간 사용이 불필요한 연습실, 이벤트 룸, 작업실, 스튜디오, 세미나실의 경우 단기 계약의 옵션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30)에 따르면, 공간 사용자와 공간 보유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주거, 오피스와 달리 상가에 대한 체계화된 데이터베이스가 부족하여 신뢰할 만한 공간 정보의 획득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30)는, 공유 공간 정보를 기초로 예상 수익을 산출하거나 인공지능 기반 적정 임대료를 산출해줌으로써, 임대료의 적정성 판단의 어려움으로 부동산 중개인에 맹목적으로 의지할 수밖에 없거나 오프라인 탐색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30)는, 공유 공간 계약뿐만 아니라 이에 수반되는 다양한 부수 서비스들을 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공간 설비 훼손, 사용료 정산, 보험, 매장관리, 법률 문제 등 사용자들이 일일이 관리하기 어려운 분야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401 단계에서, 사용자는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를 통해 공유 공간을 등록할 수 있다. 공유 공간의 등록은 스마트폰으로 공간을 사진촬영 하는 것 만으로도 등록될 수 있으며, 이때 고객이 촬영한 사진을 기반으로 3D 입체 공간이 생성될 수 있다. 공유 공간의 인근 상권 정보는 공간 지리 정보(GIS)를 통해 공간 보유자가 일일이 등록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등록될 수 있다. 공유 공간 등록 시 업종, 주차 가능 여부, 관리비 등 기본적인 정보를 단계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는 공유 공간의 정보를 기초로 적정 임대료를 연산할 수 있다. 적정 임대료 연산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주변 시세, 공간 정보를 기초로 연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적정 임대료 연산 시 초기에는 주변 시세에 비중을 두어 연산하나, 이후 인근의 상권 정보나 공간 사용자의 매출 정보 등에 가중치를 두어 적정 임대료를 연산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는 책정된 적정 임대료와 공유 공간 정보를 기초로 예상 수익을 연산할 수 있다. 예상 수익을 통해 공간 사용자는 입점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사업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S407 단계에서,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는 공간 사용자의 정보를 기초로 공유 공간을 사용할 것으로 판단되는 공간 사용자를 매칭해줄 수 있다. 이를 위해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는 공간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공유 공간을 추천해 줄 수 있다. 추천 공유 공간은 업종, 유동인구, 보유 예산, 평균 매출 등을 통해 산정된 적합도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S409 단계에서,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는 공유 공간 제공자와 공간 사용자 간에 임대차 계약을 진행할 수 있다. 임대차 계약은 전자 계약 기반의 간편 임대차 계약 서비스를 통해 일원화된 온라인 환경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기간 별 중개 수수료를 차등 적용할 수 있으며(3개월: 0.7%, 6개월: 0.5%, 1년 이상: 0.3%), 계약 기간, 계약 형태, 공간의 종류, 이용 형태 등에 따라 계약 조건을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공간 보유자 서비스 제공부
110: 공유 공간 등록부
120: 예상 수익 정보 제공부
130: 적정 임대료 연산부
140: 매칭 결정부
200: 공간 사용자 서비스 제공부
210: 공유 공간 추천 수행부
220: 공간 정보 제공부
230: 부가 서비스 제공부

Claims (7)

  1. 매장 내 유휴공간을 공유 공간으로 제공하는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공간 제공자 단말과 통신하며 공유 공간의 제공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공간 보유자 서비스 제공부; 및
    공간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며 공간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공유 공간을 추천해주는 공간 사용자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보유자 서비스 제공부는,
    공간 지리 정보(GIS), 데이터 기술(DT) 또는 증강현실(AR)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촬영만으로 공유 공간의 3D 사진을 생성하여 자동으로 공유 공간을 등록하는 공유 공간 등록부;
    영위하는 업종, 공유 공간의 크기, 지역 또는 위치를 기초로 입점 시 예상되는 수익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예상 수익 정보 제공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주변의 시세 또는 공유 공간 정보를 기초로 적정 임대료를 산출하는 적정 임대료 연산부;를 포함하는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사용자 서비스 제공부는,
    공간 사용자의 이용 목적 또는 예산에 따라 최적의 공간을 추천해주는 공유 공간 추천 수행부;
    상기 추천 공유 공간과 관련된 평가 정보, 계약 정보 및 매물 정보를 제공하는 공간 정보 제공부; 및
    제휴된 부가 서비스 사업자를 통해 공간 관리 및 사업 운영에 필요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 임대료 연산부는,
    공유 공간의 입점 단계에 따라 공유 공간 정보에 가중치를 상이하게 부여하여 임대료를 산출하고,
    상기 공유 공간 정보는,
    공유 공간의 주변 시세, 편의시설, 성/비수기 여부, 대규모 이벤트와 같은 공유 공간의 입지 정보, 온라인 조회수, 후기, 월간 수익과 같은 영업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보유자 서비스 제공부는,
    등록된 공간 사용자들의 정보를 기초로, 조건에 부합하는 공간 사용자를 추천해주거나, 매칭된 공간 사용자와 보유자를 연결해주는 매칭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공간 추천 수행부는,
    공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특정 요소에 가중치가 부여되어 적합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적합도에 따라 결정된 추천 공유 공간을 공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정보는 이전 공간 사용자의 공간 평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계약 정보는 공간 제공자의 임대료 인상 횟수, 주기, 금액에 관한 정보 및 원 소유자와의 잔여 임대차 기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매물 정보는 허위매물을 방지하기 위해 인증절차를 통과한 공간 제공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매물 정보는,
    공간 등록 이후 특정 시간 경과 시 주기적으로 체크되거나, 또는 공간 제공자가 공유 공간 정보를 수정할 때마다 업데이트 되는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전자 계약을 통해 공간 사용자와 보유자 간의 임대차 계약을 진행하는 계약 진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약 진행부는,
    임대차 계약 기간, 계약 형태, 공간의 종류, 이용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조건의 계약 옵션을 제공하는 공유 공간 서비스 장치.
KR1020200109062A 2020-08-28 2020-08-28 매장내 유휴 공간을 활용한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220028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062A KR20220028279A (ko) 2020-08-28 2020-08-28 매장내 유휴 공간을 활용한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062A KR20220028279A (ko) 2020-08-28 2020-08-28 매장내 유휴 공간을 활용한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279A true KR20220028279A (ko) 2022-03-08

Family

ID=80812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062A KR20220028279A (ko) 2020-08-28 2020-08-28 매장내 유휴 공간을 활용한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82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299B1 (ko) * 2022-11-25 2023-11-06 주식회사 웹코넛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299B1 (ko) * 2022-11-25 2023-11-06 주식회사 웹코넛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lish A new product adoption model with price, advertising, and uncertainty
CN106570716B (zh) 提供商品对象信息的方法及装置
CN104182919A (zh) 一种智慧人居信息化服务平台
US2014028898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vel-based interactions
CN107111851B (zh) 不动产与动产相联系而具有融合型收益结构的资产管理系统
KR20120078837A (ko) 코디네이션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및 경영관리시스템
KR20130085010A (ko) 위치기반 광고 제공 방법 및 광고 제공 시스템
Ahmadinia et al. Primary analysis of information distribution at walkbase Company: Developing an information strategy
KR102428084B1 (ko) Ai를 활용하여 상점에게 최적화된 연계할인율 및 광고 수익모델 추천 시스템 그리고 방법
KR20220028279A (ko) 매장내 유휴 공간을 활용한 공간 공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876808B1 (ko) 인터넷 쇼핑몰 관리 방법
KR20210019906A (ko) 부동산 통합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거래 서비스 제공방법
KR101106159B1 (ko) 상품 판매 종합 운영 시스템
Heitkoetter et al. Mobile platforms as two-sided markets
JP7152907B2 (ja) 顧客間レンタル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CN112055080A (zh) 区域数字经济的物联网服务方法、装置和终端
KR101243387B1 (ko)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이사 정보 제공 방법
KR102515539B1 (ko) 여행지 공유 기반 연계할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439510B1 (ko) 고객 맞춤형 상점 연계할인율 및 상점 추천 시스템 그리고 방법
KR20200048401A (ko) 광고 트래픽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14429371B (zh) 基于无人车的商品营销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476451B1 (ko) 사업주, 디자이너 및 사용자를 이어주는 토탈 미용중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77197B1 (ko) 게임 형식 이벤트를 이용한 연계할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514471B1 (ko) 분양 대행 서비스 관리 시스템
KR102535256B1 (ko) 온라인 쇼핑몰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