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526A -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27526A KR20220027526A KR1020200108492A KR20200108492A KR20220027526A KR 20220027526 A KR20220027526 A KR 20220027526A KR 1020200108492 A KR1020200108492 A KR 1020200108492A KR 20200108492 A KR20200108492 A KR 20200108492A KR 20220027526 A KR20220027526 A KR 202200275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vitation
- reducing
- propeller
- hull
- shi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18—Propellers with means for diminishing cavitation, e.g. supercavi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26—Blad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은, 선체; 및 선체의 후미에 탑재되며, 캐비테이션(cavitation)을 감소시키면서 선체의 운항을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포함하며,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는, 선체와 연결되고 모터(motor)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로테이팅 샤프트(rotating shaft); 로테이팅 샤프트에 결합하며, 로테이팅 샤프트에 의해 회전하면서 선체의 운항을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되 복수 개의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프로펠러; 및 회전날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회전날개의 단부 영역에서 발생 가능한 캐비테이션(cavitation)을 감소시키는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펠러의 회전 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cavitation)이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음은 물론 프로펠러에 요구되는 강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A ship)에는 그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러더(rudder, 방향타)와, 추진력을 제공하는 프로펠러(propeller)가 채용된다.
이들에 대해 간략하게 부연 설명하면, 우선 러더는 물의 흐름에 따른 받음각을 가질 때 여기에 작용하는 양력의 수직 성분을 회두력으로 이용하여 선박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원리로 동작한다.
러더에 요구되는 성능 중에는, 큰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을 것, 받음각을 크게 하더라도 실속(失速)이 잘 안 될 것, 받음각을 크게 변화시키더라도 양력의 착력점 위치 변화가 작을 것 등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초 선박에 적용된 러더는 한 장의 판 형상으로 된 키판을 선미에 장착하는 간단한 구성의 단판형 러더였다.
다만, 이러한 단판형 러더는 그 후면에서의 유체 박리로 인하여 방향 조정의 효과가 상실될 뿐만 아니라 실속각이 작고, 또한 저항이 매우 커지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생시켜 왔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러더의 성능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러더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프로펠러는 선박의 추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추진체라고도 한다. 러더의 주변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모터(motor)로 프로펠러가 회전하면서 선박에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프로펠러의 동작으로 선박이 운항할 때, 선박에서 프로펠러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캐비테이션(cavitation)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참고로, 캐비테이션이란 유수 중 어느 부분의 정압이 물의 온도에 해당하는 증기압 이하로 되어 물이 증발하고 수중에 용입되어 있던 공기가 낮은 압력으로 인하여 기포가 발생하는 현상으로 공동 현상이라고도 한다.
이처럼 프로펠러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캐비테이션은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한편, 프로펠러에 대한 침식(손상)을 유발한다.
따라서, 조선사들은 캐비테이션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는 실정이다. 예컨대,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프로펠러의 소재를 유연 복합소재로 바꿀 경우, 기존의 금속 프로펠러보다 캐비테이션 성능이 우수하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다만, 프로펠러 전체를 유연 복합소재로 적용할 경우에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강성이 부족할 수 있는데, 그렇다고 해서 탄소섬유와 같이 고가의 재료를 사용하면 금속보다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볼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프로펠러의 회전 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cavitation)이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음은 물론 프로펠러에 요구되는 강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및 상기 선체의 후미에 탑재되며, 캐비테이션(cavitation)을 감소시키면서 상기 선체의 운항을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는, 상기 선체와 연결되고 모터(motor)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로테이팅 샤프트(rotating shaft); 상기 로테이팅 샤프트에 결합하며, 상기 로테이팅 샤프트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선체의 운항을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되 복수 개의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프로펠러; 및 상기 회전날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회전날개의 단부 영역에서 발생 가능한 캐비테이션(cavitation)을 감소시키는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을 포함하는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은, 상기 회전날개의 단부 영역을 감싸도록 상기 회전날개의 단부 영역에 배치되되 복수 개의 통공을 구비하는 캐비테이션 감소커버; 및 상기 통공들로 삽입되어 상기 캐비테이션 감소커버를 상기 회전날개에 체결하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은, 상기 통공에 결합하며, 상기 체결부재를 은닉시켜 마감하는 마감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날개는 금속이고, 상기 캐비테이션 감소커버가 유연(Flexible) 복합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펠러의 회전 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cavitation)이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음은 물론 프로펠러에 요구되는 강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 영역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어느 한 체결부재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에 적용되는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에 적용되는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 영역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어느 한 체결부재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에 적용되는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에 적용되는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 영역의 확대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어느 한 체결부재를 분해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프로펠러(170)의 회전 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cavitation)이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음은 물론 프로펠러(170)에 요구되는 강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의 선박(100)은 선체(110)와, 선체(110)의 후미에 탑재되며, 캐비테이션(cavitation)을 감소시키면서 선체(110)의 운항을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선박은 상선, 군함, 어선, 운반선, 드릴쉽, 쇄빙선 및 특수 작업선 등 어떠한 것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선체(110)의 갑판 일측에는 거주구(111)가 마련된다. 그리고, 선체(110)의 타측면에는 스러스터(112, thruster)가 마련된다.
모든 종류의 선박에 스러스터(112)가 마련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예처럼 스러스터(112)가 마련되면 선박(100)의 정지 또는 항해 시 조정 성능을 향상시키고 선박(100)의 오퍼레이션(operation)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처럼 선체(110)의 일측, 특히 선수부(113)에 마련되는 스러스터(112)를 바우 스러스터(bow thruster)라 부르기도 한다. 물론, 스러스터(112)가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스러스터(112)가 없는 선박에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적용될 수 있다.
선체(110)의 후미에는 벌브형 러더 조립체(120)가 마련된다. 벌브형 러더 조립체(120)는 선체(110)의 후미에서 프로펠러(170)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프로펠러(170)의 동작으로 선체(110)가 운항할 때, 선체(110)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벌브형 러더 조립체(120)는 러더 본체(130)와 러더 벌브(140, rudder bulb)를 포함할 수 있다.
러더 본체(130)는 선체(110)의 진행 방향을 실질적으로 조정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러더 본체(130)는 러더 샤프트(133)에 러더 혼(131)이 고정되고, 고정된 러더 혼(131)에 대하여 회전 타(132)가 회전되면서 선박(100)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소위, 혼(horn) 타로 적용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혼 타는 구조적으로 안정될 뿐만 아니라 강한 특성을 갖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수 없으며,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는 일체형 타의 일종인 풀 스페이드 러더(full spade rudder)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도면에는 러더 본체(130)가 상하의 중심 축선에 대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비대칭 구조의 러더에도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일 뿐 도면의 형상에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는 없다.
러더 벌브(140)는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150)의 프로펠러(170) 후류에서 발생하는 축 방향 손실을 줄여 선체(110)의 추진 효율을 높이기 위해 프로펠러(170)와 러더 본체(130) 사이에서 러더 본체(13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러더 벌브(140)는 프로펠러(170)의 정 중앙에 배치되는 프로펠러 헤드(170a)에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인접되게 배치되어 프로펠러(170) 후방의 유체 흐름을 정류시킴으로써 프로펠러(170) 후류에서 발생하는 축 방향 손실을 줄여 선체(110)의 추진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것처럼 러더 벌브(140)의 전체적인 외관 형상은 물방울 형태의 유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러더 본체(130)의 제작 시 러더 벌브(140)가 일체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혹은 러더 벌브(140)를 만들어 러더 본체(130)에 용접할 수도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러더 벌브(140)가 적용된 벌브형 러더 조립체(120)를 개시하였으나, 러더 벌브(140)가 없는 단순 판상체의 러더(rudder)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선박(100)에서 프로펠러(170)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캐비테이션(cavitation)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인데, 이러한 캐비테이션은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한편, 프로펠러(170)에 대한 침식(손상)을 유발한다.
물론, 캐비테이션을 완전하게 억제할 수는 없는 바, 캐비테이션으로 인해 침식, 변형이 발생한 프로펠러(미도시)는 교체해야 한다. 그런데, 금속으로 된 프로펠러를 교체하려면 해당 선박을 도크에 입거한 후, 해당 선박에 적합한 새로운 프로펠러를 설계해서 제작해야 하고, 제작이 완료되면 기존 프로펠러를 제거한 후,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작업에 막대한 비용 및 시간적인 로스(loss)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막대한 로스(loss) 발생을 없애기 위해,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150)를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150)는 선체(110)의 후미에 탑재되며, 캐비테이션을 감소시키면서 선체(110)의 운항을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150)에 포함되는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180)만을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종전처럼 프로펠러(170)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로스(loss) 발생을 없앨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150)는 로테이팅 샤프트(160, rotating shaft), 프로펠러(170) 및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180)을 포함할 수 있다.
로테이팅 샤프트(160)는 선체(110)와 연결되고 선체(110) 내에 마련되는 모터(motor, 미도시)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축이다. 프로펠러(1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프로펠러(170)는 로테이팅 샤프트(160)에 결합하며, 로테이팅 샤프트(160)에 의해 회전하면서 선체(110)의 운항을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물이다. 프로펠러(170)에는 복수 개의 회전날개(17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4개의 회전날개(171)가 개시되어 있지만, 회전날개(171)의 개수는 도시된 것보다 적을 수도 있고 혹은 많을 수도 있다.
또한, 회전날개(171)의 모양이나 입체적인 배치 형태 등이 도면과 다를 수 있는데, 이는 선박(100)의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180)은 회전날개(171)의 단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회전날개(171)의 단부 영역에서 발생 가능한 캐비테이션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프로펠러(170)에 형성되는 캐비테이션이 주로 회전날개(171)의 단부 영역에서 발생한다는 점에서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180)은 회전날개(171)의 단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180)은 회전날개(171)의 단부 영역에서 착탈될 수 있기 때문에, 캐비테이션에 의해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180)이 손상되면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180)만을 새것으로 교체하면 된다. 즉 기존처럼 프로펠러(170)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180)만을 새것으로 교체하면 된다. 따라서, 종전처럼 프로펠러(170) 전체를 교체하는 데 따른 여러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180)은 회전날개(171)들에 모두 적용된다. 모든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180)의 구조는 같다.
이러한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180)은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 체결부재(183) 및 마감캡(184)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는 회전날개(171)의 단부 영역을 감싸도록 회전날개(171)의 단부 영역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는 회전날개(171)의 단부 영역을 감싸도록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에 홈(181a)이 형성되며, 회전날개(171)의 일측이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의 홈(181a)에 끼워지는 형태로 1차 결합한다. 이후에는 후술할 체결부재(183)로 2차 완전 결합이 이루어진다.
프로펠러(170)의 회전날개(171)가 통상 금속으로 제작되는 반면,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는 금속이 아닌 유연(Flexible) 복합소재로 적용된다. 따라서, 캐비테이션 감소에 유리하다.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는 회전날개(171)의 단부 영역 형상에 맞게 제작될 수 있다. 특히, 회전날개(171)의 단부 영역에서 캐비테이션이 주로 발생하는 부분을 덮는 형태로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가 제작될 수 있으므로 그 형상은 도시된 것을 벗어나 얼마든지 다양할 수 있다.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에는 복수 개의 통공(182)이 형성된다. 통공(182)은 체결부재(183)의 체결 통로를 이룬다.
체결부재(183)는 통공(182)들로 삽입되어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를 회전날개(171)에 체결하는 부재이다. 통상의 나사로 적용될 수 있다.
마감캡(184)은 통공(182)에 결합하며, 체결부재(183)를 은닉시켜 마감하는 역할을 한다. 마감캡(184)으로 인해 통공(182) 영역에서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체결부재(183)가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체결부재(183)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선체(110)의 운항을 위해 프로펠러(170)가 회전한다. 이처럼 프로펠러(170)가 회전하면 프로펠러(170)에 의한 추진력이 발생하면서 선체(110)가 운항한다.
이때, 프로펠러(170) 주변에는 즉, 프로펠러(170)를 이루는 회전날개(171)의 단부 영역에는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는데, 이 영역에 유연(Flexible) 복합소재로 된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캐비테이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회전날개(171)의 단부 영역에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가 배치되어 있더라도 캐비테이션을 완전하게 억제할 수는 없다.
만약,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캐비테이션으로 인해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에 침식, 변형이 발생하면, 간단하게 손상된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를 제거하고 새것으로 교체하면 된다. 이러한 작업은 잠수부에 의해 현장에서 진행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종전처럼 프로펠러(170) 전체를 교체하는 작업에 따른 로스(loss)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펠러(170)의 회전 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이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음은 물론 프로펠러(170)에 요구되는 강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에 적용되는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280) 역시, 회전날개(171)의 단부 영역을 감싸도록 회전날개(171)의 단부 영역에 배치되되 유연(Flexible) 복합소재로 적용되는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를 포함한다.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는 체결부재(183)를 통해 회전날개(171)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가 유연(Flexible) 복합소재로 적용되기는 하는데, 이러한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 내에 재료의 보강을 위한 보강부재(285)가 일체로 인서트(insert)되어 마련된다.
즉 유연(Flexible) 복합소재로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를 제작할 때, 금속 성분의 보강부재(285)가 일체로 인서트되게 한다. 이럴 경우, 합성수지로 된 캐비테이션 감소커버(181)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는데 좀 더 유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펠러(170)의 회전 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이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음은 물론 프로펠러(170)에 요구되는 강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에 적용되는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 영역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380)의 캐비테이션 감소커버(381)가 프로펠러(370)의 회전날개(371) 단부 영역에 결합한 후, 체결부재(183)로 체결되는 형태를 취한다. 캐비테이션 감소커버(381)의 형상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지만, 작용 효과는 동일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캐비테이션 감소커버(381)의 돌기(381a)가 형성되어 회전날개(371)의 단부 영역에 끼워지는 형태로 1차 결합한다. 이후에는 체결부재(183)로 2차 완전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결합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선박 110 : 선체
120 : 벌브형 러더 조립체 130 : 러더 본체
140 : 러더 벌브 150 :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
160 : 로테이팅 샤프트 170 : 프로펠러
171 : 회전날개 180 :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
181 : 캐비테이션 감소커버 182 : 통공
183 : 체결부재 184 : 마감캡
120 : 벌브형 러더 조립체 130 : 러더 본체
140 : 러더 벌브 150 :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
160 : 로테이팅 샤프트 170 : 프로펠러
171 : 회전날개 180 :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
181 : 캐비테이션 감소커버 182 : 통공
183 : 체결부재 184 : 마감캡
Claims (4)
- 선체; 및
상기 선체의 후미에 탑재되며, 캐비테이션(cavitation)을 감소시키면서 상기 선체의 운항을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는,
상기 선체와 연결되고 모터(motor)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로테이팅 샤프트(rotating shaft);
상기 로테이팅 샤프트에 결합하며, 상기 로테이팅 샤프트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선체의 운항을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되 복수 개의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프로펠러; 및
상기 회전날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회전날개의 단부 영역에서 발생 가능한 캐비테이션(cavitation)을 감소시키는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은,
상기 회전날개의 단부 영역을 감싸도록 상기 회전날개의 단부 영역에 배치되되 복수 개의 통공을 구비하는 캐비테이션 감소커버; 및
상기 통공들로 삽입되어 상기 캐비테이션 감소커버를 상기 회전날개에 체결하는 복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선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캐비테이션 감소유닛은,
상기 통공에 결합하며, 상기 체결부재를 은닉시켜 마감하는 마감캡을 더 포함하는 선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금속이고, 상기 캐비테이션 감소커버가 유연(Flexible) 복합소재인 선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8492A KR20220027526A (ko) | 2020-08-27 | 2020-08-27 |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8492A KR20220027526A (ko) | 2020-08-27 | 2020-08-27 |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7526A true KR20220027526A (ko) | 2022-03-08 |
Family
ID=80812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8492A KR20220027526A (ko) | 2020-08-27 | 2020-08-27 |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27526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20959U (ko) | 1989-05-15 | 1990-12-14 | 주식회사새한정기 | 더블데크의 더빙장치 |
-
2020
- 2020-08-27 KR KR1020200108492A patent/KR20220027526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20959U (ko) | 1989-05-15 | 1990-12-14 | 주식회사새한정기 | 더블데크의 더빙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89953B2 (ja) | 船舶用推進システム | |
US8435089B2 (en) | Marine engine assembly including a pod mountable under a ship's hull | |
WO2014030697A1 (ja) | 二重反転プロペラ推進方式の船舶 | |
US10703453B2 (en) | Marine vessel | |
CN114026020A (zh) | 一种舵叶装置和船舶 | |
KR20220027526A (ko) | 캐비테이션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 | |
KR20220047011A (ko) | 수중 방사소음 감소용 추진체를 구비하는 선박 | |
KR101291176B1 (ko) | 선박용 러더 | |
JP2010095239A (ja) | 船舶用の舵装置 | |
JP5244341B2 (ja) | 船舶用推進装置及び船舶用推進装置の設計方法 | |
KR100648367B1 (ko) | 침식방지용 압력평형 구조의 선박용 방향타 | |
KR20130037280A (ko) | 러더 및 이를 갖춘 선박 | |
US20160325810A1 (en) | Propulsion device for proximity twin-screw vessel having shaft bracket and ship | |
JP6493691B2 (ja) | 船舶 | |
US11981410B2 (en) | Stern bulbs | |
KR101323797B1 (ko) | 선박 | |
JP2014169017A (ja) | プロペラ | |
JP2007230509A (ja) | ポッド推進器及びそれを備えた船舶 | |
RU2747323C2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азимутального крутящего момента, действующего на тяговую винторулевую колонку или азимутальное подрул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 |
KR20220031437A (ko) | 러더 벌브를 구비하는 선박 | |
KR101346167B1 (ko) | 선박용 벌브 러더 | |
KR101334333B1 (ko) | 선박 | |
JP2012116329A (ja) | 船舶推進装置 | |
KR200390914Y1 (ko) | 선박용 추력 날개 | |
KR20100000495U (ko) | 선박용 추력날개가 구비된 빌지킬 구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