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459A -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459A
KR20220027459A KR1020200108346A KR20200108346A KR20220027459A KR 20220027459 A KR20220027459 A KR 20220027459A KR 1020200108346 A KR1020200108346 A KR 1020200108346A KR 20200108346 A KR20200108346 A KR 20200108346A KR 20220027459 A KR20220027459 A KR 20220027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s
assembly
square
centra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춘
Original Assignee
신종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춘 filed Critical 신종춘
Priority to KR1020200108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7459A/ko
Publication of KR20220027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06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spherical, semispherical or polyhedral connect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12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cubical connecting element
    • E04B2001/1915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cubical connecting element with strut engaging means at the edges of the cub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24Stru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1936Winged profiles, e.g. with a L-, T-, U- or X-shaped cross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구조와 정육면체로 이루어진 조립블록 사이에 사각기둥을 수평 및 수직으로 직육면체가 유지되도록 조립하고, 조립유지부재로서 조립이 유지되도록 하며, 조립블록과 사각기둥 사이에 수평 및 수직으로 마감부재를 마감하여 간편하게 구조물을 조립 및 해제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구조와 정육면체로 이루어진 조립블록 사이에 수평으로 상부수평이동받침대 및 하부수평고정받침대를 조립하고, 조립블록의 수직 사이에 수직사각이동기둥을 연결하고, 높이조절수단으로서 수직사각이동기둥을 상부로 이동시켜 천장역할을 하는 상부수평이동받침대 높이를 조절하여 공간활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Structure assembly device using standardized assembly blocks and columns}
본 발명은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동일한 구조와 정육면체로 이루어진 조립블록 사이에 사각기둥을 수평 및 수직으로 직육면체가 유지되도록 조립하고, 조립유지부재로서 조립이 유지되도록 하며, 조립블록과 사각기둥 사이에 수평 및 수직으로 마감부재를 마감하여 간편하게 구조물을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이나 시멘트를 주재료로 하는 건축물은 건축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사용후 철거가 곤란하므로 영구적인 주거 이외의 임시 용도에는 경제성이 없으며, 천막(텐트)은 설치와 철거가 용이한 반면, 견고하지 못하고 보안성이 취약하여, 비교적 오래 머물기에 비교적 적합하지 않아, 임시주거를 위한 가건물로서, 조립식 건축물이나 주거용으로 개량된 콘테이너를 주로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조립식 건물은 형강이나 H빔 또는 파이프등의 철강구조물로서 축조된다.
그러나, 조립식 건축물은 이동이 편리한 반면, 조립과 철거에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고, 대부분 한번 조립후 영구사용의 목적을 위한 것이므로, 철거 및 재사용이 완전하지 못한 실정이다. 한편, 개량 콘테이너는 현재에 건설현장 사무실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무겁고 부피가 커서 운반 및 설치시 대형 트레일러와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동원해야 하고, 보관에도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10-2008-0096085호(발명의 명칭 : 조립식 주택의 골조)가 제공되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조립식 주택의 골조는 바닥, 벽면 및 지붕을 형성하는 판넬을 지지하는 골조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판넬이 확실하게 지지되어 강한 내구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닥판, 측벽판, 천정판 및 지붕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서로 연결된 바닥골조와, 상기 바닥골조가 연결된 모서리 위치 각각에서 연직으로 세워져 하단이 상기 바닥골조에 연결된 기둥골조와, 상기 바닥골조가 형성하는 사각형에 대응되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서로 연결되며 그 연결된 모서리 위치 각각이 상기 기둥골조 각각에 연결되는 천정골조, 및 천정골조에 연결되어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골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조립식 주택의 골조를 구성하는 바닥골조, 기둥골조, 천정골조 및 지붕골조의 조립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지 않아 작업성이 저하되고, 또한 높이가 정해져 있어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공간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구조와 정육면체로 이루어진 조립블록 사이에 사각기둥을 수평 및 수직으로 직육면체가 유지되도록 조립하고, 조립유지부재로서 조립이 유지되도록 하며, 조립블록과 사각기둥 사이에 수평 및 수직으로 마감부재를 마감하여 간편하게 구조물을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구조와 정육면체로 이루어진 조립블록 사이에 수평으로 상부수평이동받침대 및 하부수평고정받침대를 조립하고, 조립블록의 수직 사이에 수직사각이동기둥을 연결하고, 높이조절수단으로서 수직사각이동기둥을 상부로 이동시켜 천장역할을 하는 상부수평이동받침대 높이를 조절하여 공간활용을 할 수 있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 해결 수단은 정육면체로 이루어진 다수의 조립블록과; 상기 조립블록 사이에 직육면체가 유지되도록 수평 및 수직으로 조립되어 조립유지부재에 의해 조립이 유지되는 다수의 사각기둥과; 상기 조립블록과 사각기둥 사이에 수평 및 수직으로 마감되는 마감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구조와 정육면체로 이루어진 조립블록 사이에 사각기둥을 수평 및 수직으로 직육면체가 유지되도록 조립하고, 조립유지부재로서 조립이 유지되도록 하며, 조립블록과 사각기둥 사이에 수평 및 수직으로 마감부재를 마감하여 간편하게 구조물을 조립 및 해제할 수 있으며, 또한 동일한 구조와 정육면체로 이루어진 조립블록 사이에 수평으로 상부수평이동받침대 및 하부수평고정받침대를 조립하고, 조립블록의 수직 사이에 수직사각이동기둥을 연결하고, 높이조절수단으로서 수직사각이동기둥을 상부로 이동시켜 천장역할을 하는 상부수평이동받침대 높이를 조절하여 공간활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조립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조립블록에 대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각기둥에 대한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단면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마감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한 조립 구성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조립블록에 대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각기둥에 대한 구성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단면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한 동작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의 제1실시예는
동일한 구조와 정육면체로 이루어진 다수의 조립블록(10)과;
조립블록(10) 사이에 직육면체가 유지되도록 수평 및 수직으로 조립되어 조립유지부재(50)로서 조립 유지되는 다수의 사각기둥(30)과;
조립블록(10)과 사각기둥(30) 사이에 수평 및 수직으로 마감되는 마감부재(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립블록(10)은
정육면체로 이루어진 제1-8블록(11-18)과;
제1-8블록(11-18)의 6면중 3면 모서리와 중앙 영역에 일체로 형성되고, 모서리가 절개된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와;
중앙사각돌기(21)의 중앙 영역과 제1-8블록(11-18)의 3면 중앙 영역에 단차지게 관통 형성되는 중앙단차관통공(22)과;
외곽사각돌기(20) 사이의 제1-8블록(11-18) 3면에 형성되는 블록요홈(2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중앙단차관통공(22)에 이동바퀴(1)가 장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 사각기둥(30)은
조립블록(10)의 제1-4블록(11-14)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1-4상부수평사각기둥(31-34)과;
조립블록(10)의 제5-8블록(15-18)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1-4하부수평사각기둥(35-38)과;
제1,5블록(11)(15), 제2,6블록(12)(16), 제3,7블록(13)(17) 및 제4,8블록(14)(18)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4수직사각기둥(39-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4상부수평사각기둥(31-34), 제1-4하부수평사각기둥(35-38) 및 제1-4수직사각기둥(39-42)은
제1-8블록(11-18)의 3면에 형성되는 외곽사각돌기(20) 사이에 결합되도록 모서리 영역에 결합공(43a)이 관통 형성된 다수의 결합사각기둥(44)과;
결합사각기둥(44)의 중앙 영역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1-8블록(11-18)의 3면에 형성되는 중앙사각돌기(21)에 결합되도록 양단 내부에 결합요홈(45a)이 형성되는 중앙사각기둥(46)과;
제1-8블록(11-18)의 블록요홈(24)과 일치되도록 결합사각기둥(44)과 중앙사각기둥(46) 사이에 수평 및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조립요홈(4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립유지부재(50)는
중앙사각기둥(46)의 결합요홈(45a)에 형성되는 나사공(52)과;
중앙사각돌기(21)의 중앙단차관통공(22)을 통하여 나사공(52)에 체결되어 조립블록(10) 사이에 사각기둥(30)을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하는 체결장볼트(54)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부재(60)는
제1-8블록(11-18)의 3면에 형성되는 블록요홈(24)과 제1-4상부수평사각기둥(31-34), 제1-4하부수평사각기둥(35-38) 및 제1-4수직사각기둥(39-42)의 기둥조립요홈(47) 사이에 수평 및 수직으로 결합되는 상,하부수평판(62)(63) 및 수직마감판(6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기둥조립요홈(47)에는 조립통공(47a)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체결부재(47b)를 결합하여 상,하부수평판(62)(63) 및 수직마감판(64)을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도 내지 도 ?은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의 제2실시예로서, 도 및 도 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 및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의 제2실시예는
제1-8블록(11-18)의 6면중 3면 모서리와 중앙 영역에 일체로 형성되고, 모서리가 절개된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와,
중앙사각돌기(21)의 중앙 영역과 제1-8블록(11-18)의 3면 중앙 영역에 단차지게 관통 형성되는 중앙단차관통공(22)과,
외곽사각돌기(20)의 중앙 영역과 제1-8블록(11-18)의 1면 모서리 영역에 단차지게 관통 형성되는 외곽단차통공(23)으로 이루어진 조립블록(10)과;
제1-4블록(11-14) 및 제5-8블록(15-18)의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 사이에 수평으로 조립되어 조립유지부재(90)로서 조립 유지되는 제1-4상부수평사각기둥(71-74)과 제1-4하부수평사각기둥(81-84)으로 이루어진 상부수평이동받침대(70) 및 하부수평고정받침대(80)와;
제1,5블록(11)(15), 제3,7블록(13)(17) 및 제2,6블록(12)(16), 제4,8블록(14)(18)의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 사이에 결합되어 높이조절수단(110)에 의해 상부수평이동받침대(70)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직사각이동기둥(1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4상부수평사각기둥(71-74) 및 제1-4하부수평사각기둥(81-84)은
제1-8블록(11-18)의 3면에 형성되는 외곽사각돌기(20) 사이에 결합되도록 모서리 영역에 결합공(76a)이 관통 형성된 다수의 결합사각기둥(77)과;
결합사각기둥(77)의 중앙 영역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1-8블록(11-18)의 3면에 형성되는 중앙사각돌기(21)에 결합되도록 양단 내부에 결합요홈(79a)이 형성되는 중앙사각기둥(7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립유지부재(90)는
중앙사각기둥(79)결합요홈(79a)에 형성되는 나사공(92)과;
중앙사각돌기(21)의 중앙단차관통공(22)을 통하여 나사공(92)에 체결되어 조립블록(10) 사이에 상부수평이동받침대(70) 및 하부수평고정받침대(80)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체결장볼트(94)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사각이동기둥(100)은
제5-8블록(15-18)의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에 수직으로 결합 고정되는 중공의 하부고정사각기둥(101)과;
제1-4블록(11-14)의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 하부에 수평으로 상기 외곽단차통공(23)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통공(103b)을 통하여 볼트(102a)로서 체결 고정되는 상부고정판(103)과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에 삽입 고정되어 하부고정사각기둥(10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상부이동사각기둥(10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10)은
하부고정사각기둥(102) 내부의 제5-8블록(15-18)의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 상부에 하부가 장착되는 에어실린더(112)와;
에어실린더(11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가 상부고정판(103) 중앙의 통공(103a)을 통하고 제1-4블록(11-14)의 중앙사각돌기(21)에 형성되는 중앙단차관통공(22)에 결합되어 너트(114)로서 체결 고정되는 피스톤(116)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에서와 같이,
조립블록(10)을 구성하는 제1-4블록(11-14)에 형성되는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 사이에, 제1-4상부수평사각기둥(31-34)의 결합사각기둥(44)에 형성되는 결합공(43a)과 중앙사각기둥(46)의 결합요홈(45a)을 순차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조립블록(10)을 구성하는 제5-8블록(15-18)에 형성되는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 사이에, 제1-4하부수평사각기둥(31-34)의 결합사각기둥(44)에 형성되는 결합공(43a)과 중앙사각기둥(46)의 결합요홈(45a)을 순차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립블록(10)을 구성하는 제1,5블록(11)(15). 제2,6블록(12)(16), 제3,7블록(13)(17) 및 제4,8블록(14)(18)에 형성되는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 사이에,
제1-4하부수평사각기둥(31-34)의 결합사각기둥(44)에 형성되는 결합공(43a)과 중앙사각기둥(46)의 결합요홈(45a)을 순차적으로 결합한 다음, 조립유지부재(50)로서 직육면체로 조립을 유지시키게 된다.
즉, 조립블록(10)을 구성하는 중앙사각돌기(21)의 중앙단차관통공(22)을 통하고 사각기둥(30)을 구성하는 중앙사각기둥(46)의 결합요홈(45a)에 형성되는 나사공(52)을 통해, 체결장볼트(54)를 수평 및 수직으로 체결하면, 조립블록(10) 사이에 사각기둥(30)이 고정되어 직육면체를 유지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제1-8블록(11-18)의 3면에 형성되는 블록요홈(24)과 제1-4상부수평사각기둥(31-34), 제1-4하부수평사각기둥(35-38) 및 제1-4수직사각기둥(39-42)의 기둥조립요홈(47) 사이에 상,하부수평판(62)(63) 및 수직마감판(64)으로 이루어진 마감부재(60)를 조립하게 된다.
사각기둥(30)의 기둥조립요홈(47)에 형성되는 조립통공(47a)을 통해 체결부재(47b)를 체결하여 사각기둥(30) 사이에 마감부재(60)를 체결 고정하게 된다.
그러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직육면체를 유지하는 구조물이 조립이 유지되는데, 이러한 구조물은 상하부 및 수직으로 벽면이 마감되어 컨테이너박스 및 수족관 등으로 여러가지로 활용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조립블록(10)의 중앙단차관통공(22)에 이동바퀴(1)를 장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도 내지 도 ?에 도시된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에서와 같이,
조립블록(10)을 구성하는 제1-4블록(11-14)에 형성되는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 사이에, 제1-4상부수평사각기둥(71-74)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상부수평이동받침대(70)를 조립한 다음, 제1-4상부수평사각기둥(71-74)의 결합사각기둥(77)에 형성되는 결합공(76a)과 중앙사각기둥(79)의 결합요홈(79a)을 순차적으로 결합한 다음, 조립유지부재(90)로서 직사각으로 조립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립블록(10)을 구성하는 제5-8블록(15-18)에 형성되는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 사이에, 제1-4하부수평사각기둥(81-84)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하부수평고정받침대(80)를 조립한 다음, 제1-4하부수평사각기둥(81-84)의 결합사각기둥(77)에 형성되는 결합공(76a)과 중앙사각기둥(79)의 결합요홈(79a)을 순차적으로 결합한 다음, 조립유지부재(90)로서 직사각으로 조립 유지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제5-8블록(15-18)의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 상부에 에어실린더(112)를 순차적으로 장착한 다음,
조립블록(10)을 구성하는 제5-8블록(15-18)의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에 중공의 하부고정사각기둥(101)을 순차적으로 결합 고정하여 에어실린더(112)를 은폐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4블록(11-14)의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 하부에, 외관단차관통공(23)을 통하여 볼트(102a)로서 상부고정판(103)을 순차적으로 체결 고정하여 마감한 다음,
상부고정판(103)이 고정된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에 중공의 상부이동사각기둥(104)을 결합하여 고정시키고, 하부고정사각기둥(101)에 이동 가능하게 상부이동사각기둥(104)을 결합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상부고정판(103) 중앙의 통공(103a)과 제1-4블록(11-14)의 중앙사각돌기(21)에 형성되는 중앙단차관통공(22)을 통하여 상부를 결합한 다음, 너트(114)를 체결하여 피스톤(116)을 순차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면, 직육면체를 유지하여 구조물이 조립이 유지되는데, 이러한 구조물을 이용하여 건축물 등 여러가지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천장역할을 하는 상부수평이동받침대(70)를 높이조절수단(110)으로서 상부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을 개략적으로 하면, 높이조절수단(110)을 구성하는 에어실린더(112)에 에어를 공급하면, 피스톤(116)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5-8블록(15-18)의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에 수직으로 결합 고정되는 하부고정사각기둥(101)을 따라 상부이동사각기둥(104)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부수평이동받침대(70)가 피스톤(116)의 이동거리 만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수직으로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는 상기 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조립블록 11-18 : 제1-8블록
20 : 외곽사각돌기 21 : 중앙사각돌기
22 : 중앙단차관통공 23 : 외곽단차통공
24 : 블록요홈 30 : 사각기둥
31-34 : 제1-4상부수평사각기둥 35-38 : 제1-4하부수평사각기둥
39-42 : 제1-4수직사각기둥 43a : 결합공
44 : 결합사각기둥 45a,45b : 결합요홈
46 : 중앙사각기둥 47 : 조립기둥요홈
48a : 나사공 48b : 체결장볼트
49 : 조립유지부재 50 : 마감부재
52,53 : 상,하부수평판 54 : 수직마감판
70 : 상부수평이동받침대 71-74 : 제1-4상부수평사각기둥
80 : 하부수평고정받침대 81-84 : 제1-4하부수평사각기둥
90 : 조립유지부재 100 : 수직사각이동기둥
102 : 하부고정사각기둥 103 : 상부고정판
104 : 하부고정사각기둥 110 : 높이조절수단
112 : 에어실린더 114 : 너트
116 : 피스톤

Claims (8)

  1. 정육면체로 이루어진 다수의 조립블록(10)과;
    상기 조립블록(10) 사이에 직육면체가 유지되도록 수평 및 수직으로 조립되어 조립유지부재(50)로서 조립 유지되는 다수의 사각기둥(30)과;
    상기 조립블록(10)과 사각기둥(30) 사이에 수평 및 수직으로 마감되는 마감부재(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블록(10)은
    정육면체로 이루어진 제1-8블록(11-18)과;
    상기 제1-8블록(11-18)의 3면 모서리와 중앙 영역에 일체로 형성되는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와;
    상기 중앙사각돌기(21)의 중앙 영역과 제1-8블록(11-18)의 3면 중앙 영역에 단차지게 관통 형성되는 중앙단차관통공(22)과;
    상기 외곽사각돌기(20) 사이의 제1-8블록(11-18) 3면에 형성되는 블록요홈(2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기둥(30)은
    상기 조립블록(10)의 제1-4블록(11-14)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1-4상부수평사각기둥(31-34)과;
    상기 조립블록(10)의 제5-8블록(15-18)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1-4하부수평사각기둥(35-38)과;
    상기 제1,5블록(11)(15), 제2,6블록(12)(16), 제3,7블록(13)(17) 및 제4,8블록(14)(18)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4수직사각기둥(39-4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4상부수평사각기둥(31-34), 제1-4하부수평사각기둥(35-38) 및 제1-4수직사각기둥(39-42)은
    상기 제1-8블록(11-18)의 3면에 형성되는 외곽사각돌기(20) 사이에 결합되도록 모서리 영역에 결합공(43a)이 관통 형성된 다수의 결합사각기둥(44)과;
    상기 결합사각기둥(44)의 중앙 영역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1-8블록(11-18)의 3면에 형성되는 중앙사각돌기(21)에 결합되도록 양단 내부에 결합요홈(45a)(45b)이 형성되는 중앙사각기둥(46)과;
    상기 제1-8블록(11-18)의 블록요홈(24)과 일치되도록 결합사각기둥(44)과 중앙사각기둥(46) 사이에 수평 및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조립요홈(47)과;
    상기 중앙사각기둥(46)의 결합요홈(45a)(45b)에 형성되는 나사공(52)과, 중앙사각돌기(21)의 중앙단차관통공(22)을 통하여 나사공(52)에 체결되어 조립블록(10) 사이에 사각기둥(30)을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하는 체결장볼트(54)로 이루어진 조립유지부재(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60)는
    상기 제1-8블록(11-18)의 3면에 형성되는 블록요홈(24)과 제1-4상부수평사각기둥(31-34), 제1-4하부수평사각기둥(35-38) 및 제1-4수직사각기둥(39-42)의 기둥조립요홈(47) 사이에 수평 및 수직으로 결합되는 상,하부수평판(62)(63) 및 수직마감판(6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
  6. 정육면체로 이루어진 제1-8블록(11-18)과, 제1-8블록(11-18)의 6면중 3면 모서리와 중앙 영역에 일체로 형성되는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와, 중앙사각돌기(21)의 중앙 영역과 제1-8블록(11-18)의 3면 중앙 영역에 단차지게 관통 형성되는 중앙단차관통공(22)과, 외곽사각돌기(21)의 중앙 영역과 제1-8블록(11-18)의 1면 모서리 영역에 단차지게 관통 형성되는 외곽단차통공(23)으로 이루어진 조립블록(10)과;
    상기 제1-4블록(11-14) 및 제5-8블록(15-18)의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 사이에 수평으로 조립되어 조립유지부재(90)로서 조립 유지되는 제1-4상부수평사각기둥(71-74)과 제1-4하부수평사각기둥(81-84)으로 이루어진 상부수평이동받침대(70) 및 하부수평고정받침대(80)와;
    상기 제1,5블록(11)(15), 제3,7블록(13)(17) 및 제2,6블록(12)(16), 제4,8블록(14)(18)의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 사이에 결합되어 높이조절수단(110)에 의해 상부수평이동받침대(70)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직사각이동기둥(1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사각이동기둥(100)은
    상기 제5-8블록(15-18)의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에 수직으로 결합 고정되는 중공의 하부고정사각기둥(102)과;
    상기 제1-4블록(11-14)의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 하부에 수평으로 상기 외곽단차통공(23)과 통공(103a)을 통하여 볼트(102a)로서 체결 고정되는 상부고정판(103)이 체결 고정되어 하부고정사각기둥(10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상부이동사각기둥(10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110)은
    상기 하부고정사각기둥(101) 내부의 제5-8블록(15-18)의 외곽사각돌기(20) 및 중앙사각돌기(21) 상부에 하부가 고정되는 에어실린더(112)와;
    상기 에어실린더(11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가 상부고정판(103) 중앙의 통공(103a)을 통하고 제1-4블록(11-14)의 중앙사각돌기(21)에 형성되는 중앙단차관통공(22)에 결합되어 너트(114)로서 체결 고정되는 피스톤(11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
KR1020200108346A 2020-08-27 2020-08-27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 KR202200274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346A KR20220027459A (ko) 2020-08-27 2020-08-27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346A KR20220027459A (ko) 2020-08-27 2020-08-27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459A true KR20220027459A (ko) 2022-03-08

Family

ID=8081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346A KR20220027459A (ko) 2020-08-27 2020-08-27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74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75571A (zh) * 2023-06-14 2023-08-11 深圳新科特智慧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模块化的手术室龙骨拼装结构
GB2616910A (en) * 2022-03-25 2023-09-27 Ocado Innovation Ltd Inventory handling station assembl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6910A (en) * 2022-03-25 2023-09-27 Ocado Innovation Ltd Inventory handling station assembly
WO2023180164A1 (en) * 2022-03-25 2023-09-28 Ocado Innovation Limited Inventory handling station assembly
GB2616910B (en) * 2022-03-25 2024-04-17 Ocado Innovation Ltd Inventory handling station assembly
CN116575571A (zh) * 2023-06-14 2023-08-11 深圳新科特智慧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模块化的手术室龙骨拼装结构
CN116575571B (zh) * 2023-06-14 2023-11-17 深圳新科特智慧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模块化的手术室龙骨拼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06559T3 (es) Sistema estructural de paneles para construcción de edificios
KR20220027459A (ko) 규격화된 조립블록과 기둥을 이용한 구조물 조립장치
CN103541427B (zh) 箱形结构建筑体系及方法
US20160319534A1 (en) Reversible module co-ordination system for buildings
KR102136077B1 (ko) 모듈을 이용한 이동가능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210149237A (ko) 조립식 체적 건축 모듈의 연결 시스템 및 연결 방법
CN112681808B (zh) 适用于抗震救灾的快速建造蜂巢建筑
CN114411978A (zh) 一种燕尾榫混凝土装配式围墙建筑
CN106894504B (zh) 一种轻型装配式钢结构房屋及其建造方法
US11136739B2 (en) Modular building for civil use
CN103866859A (zh) 一种多层移动组合房屋
GB2334045A (en) Modular building unit
WO2013014305A1 (es) Sistema de construcción modular
CN208347268U (zh) 组装式模板搭设装置
CN203066239U (zh) 一种多层移动组合房屋
CN212104691U (zh) 机电一体化的模块化隔墙
CN212200780U (zh) 快速可拆再建的组装合成建筑
CN206941822U (zh) 组合式房屋单元及房屋
CN211816935U (zh) 一种便于安装的装配式轻钢建筑结构
CN104948004A (zh) 一种现场安全管理周转性围墙
JP4676610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0694702B1 (ko) 모듈러 주택용 바닥 시스템
KR101639256B1 (ko) 공학용 목재를 이용한 복합모듈러 및 그 시공방법
CN219355253U (zh) 一种用于可拆卸装配式飞行影院的长方体式建筑
CN110318460B (zh) 一种倒阶梯状异型钢结构的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