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431A - 의료용 그림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그림 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그림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그림 변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431A
KR20220027431A KR1020200108295A KR20200108295A KR20220027431A KR 20220027431 A KR20220027431 A KR 20220027431A KR 1020200108295 A KR1020200108295 A KR 1020200108295A KR 20200108295 A KR20200108295 A KR 20200108295A KR 20220027431 A KR20220027431 A KR 20220027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unit
picture
medical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757B1 (ko
Inventor
최병관
Original Assignee
(주)비주얼터미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주얼터미놀로지 filed Critical (주)비주얼터미놀로지
Priority to KR1020200108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75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7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25Displaying combinations of multiple images regardless of image source, e.g. displaying a reference anatomical image with a live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G06T3/006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14Transformations for image registration, e.g. adjusting or mapping for alignment of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95Operational features adapted for recording user messages or annot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체화 및 표준화된 그림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동 생성된 그림을 환자의 특성에 맞게 수정된 그림으로 변환할 수 있는 의료용 그림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그림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그림 변환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입력모형을 호출하는 모형호출부(100); 상기 입력모형호출부(100)에 의해 생성된 입력모형을 신체 부위를 나타내는 기본모형(210)과 질병을 나타내는 질병모형(220)으로 제공하는 모형제공부(200); 상기 표시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을 확인하고, 상기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의 시점(view)을 편집하고, 상기 기본모형(210)에 상기 질병모형(220)을 삽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그림수정부(300); 상기 그림수정부(300)에서 수정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은 섹터(sector)로 분리되어 구획을 설정할 수 있는 섹터설정부(400); 상기 섹터설정부(400)에서 구획이 설정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을 의료인용과 환자용으로 분리하여 의료용 그림을 제공하는 의료그림제공부(500); 및 상기 입력모형호출부(100), 모형제공부(200), 그림수정부(300), 섹터설정부(400) 및 의료그림제공부(500)에서 실시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기본모형(210)과 질병모형(220)은 2D 또는 3D로 생성되고 2D에서 3D로 상호 변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그림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그림 변환 방법{MEDICAL IMAGE CONVERSION SYSTEM AND MEDICAL IMAGE CONVERSION METHOD}
본 발명은 구체화 및 표준화된 그림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동 생성된 그림을 환자의 특성에 맞게 수정된 그림으로 변환할 수 있는 의료용 그림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그림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료용 그림은 의료인이 간단한 모양의 신체가 그려져 있는 그림 위에 발병 부위를 펜으로 표시하는 방법으로 제공되었다. 이러한 의료용 그림이 현대에는 저자 차트 시스템에 그려진 기본 인체 그림 위에 의료인이 마우스로 발병 부위를 표시하고, 색깔을 입히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종이와 펜으로 그린 의료용 그림은 보관이 용이하지 않으며, 모니터를 보며 EMR에 마우스로 그림을 그리는 것은 비효율적이었다. 의료인은 환자를 진료함과 동시에 한정된 시간 안에 의료용 그림을 그려내야 했으므로 자세한 정보를 표시하기 힘들며, 부정확하게 그려질 가능성도 높았다. 뿐만 아니라 의료용 그림은 동일한 의료 정보에 대하여서도 의료진에 따라 다르게 그려질 가능성이 있었고, 신체부위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그려질 가능성도 컸다. 또한 진료과의 관습이나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사용하는 그림이 달랐다. 그렇기 때문에 의료용 그림 위에 질병의 종류나 신체 부위를 표현하는 방법을 구체화 · 정량화 할 수 있다면 그림을 다른 의료기관과 공유하거나, 환자에게 병변의 위치나 크기를 설명할 때 의료인이 전달하고 싶은 정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경과 기록지나 판독지에서 환자 상태를 알 수 있는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것은 매우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의료용 그림과는 다른, 구체화 및 표준화된 그림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의료진이 관찰하는 시점(VIEW), 환자의 연령, 성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환될 수 있는 기본모형(210)을 제공한다. 여기서의 “변환”이란, 기본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 생성된 그림을 환자의 특성에 맞게 수정된 그림으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자동 생성된 그림은 X-Ray, CT영상, 초음파영상 등의 의료 이미지에서 추출될 수 있으며, 의료코드나 병명 등과 같은 텍스트(text)에서 추출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기본모형(210) 위에 마우스 등의 인터페이스로 그린 그림에서 추출될 수도 있다. 이는 머신러닝에 의해 그려질 수도 있으며 서버에 저장된 질병모형(220) 데이터를 불러오는 형식으로 그려질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그릴 수도 있다. 상기 자동 생성된 그림을 환자의 특성에 맞게 수정하는 것을 변환이라고 하며, 환자의 성별이나 나이 등의 특성에 따라 변환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8-009886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VIEW)이거나,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진료 그림으로 제공되는 의료인의 필요나,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형 등 환자의 특징에 알맞은 의료용 그림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그림 변환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입력모형을 호출하는 모형호출부(100);
상기 입력모형호출부(100)에 의해 생성된 입력모형을 신체 부위를 나타내는 기본모형(210)과 질병을 나타내는 질병모형(220)으로 제공하는 모형제공부(200);
상기 표시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을 확인하고, 상기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의 시점(view)을 편집하고, 상기 기본모형(210)에 상기 질병모형(220)을 삽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그림수정부(300);
상기 그림수정부(300)에서 수정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은 섹터(sector)로 분리되어 구획을 설정할 수 있는 섹터설정부(400);
상기 섹터설정부(400)에서 구획이 설정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을 의료인용과 환자용으로 분리하여 의료용 그림을 제공하는 의료그림제공부(500); 및
상기 입력모형호출부(100), 모형제공부(200), 그림수정부(300), 섹터설정부(400) 및 의료그림제공부(500)에서 실시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기본모형(210)과 질병모형(220)은 2D 또는 3D로 생성되고 2D에서 3D로 상호 변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VIEW)이거나,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진료 그림으로 제공되는 의료인의 필요나,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형 등 환자의 특징에 알맞은 의료용 그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의 섹터에 의해 질병의 범위, 정확 등 특성에 따라 질병을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고, 섹터가 표준화되어 있어 개인의 발병 위치 및 치료 위치를 섹터로 명확하게 확인 가능하며, 통계화하여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의료그림은 하나의 각도에서 사용자가 수정 및 변환한 그림은 다른 각도의 그림에서도 자동으로 수정될 수 있다.
또한, 진료과마다 주로 사용하는 그림이 다르고, 집중적으로 관찰 및 진료하는 부위가 다르므로 이에 따라 의료 그림이 변환되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모형들의 변환을 통해서 보다 신뢰도 높은 의료용 그림의 작성이 가능해지므로, 환자는 자신의 질병에 대해 더 구체적이고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므로 치료에 있어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의료용 그림 변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의료용 그림 변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텍스트 입력으로 그림이 자동 생성되는 일실시예이다.
도 4는 의료 이미지를 통해 의료용 그림이 자동 생성되는 일실시예이다.
도 5는 사용자가 기본모형(210) 위에 그림을 그려 자동으로 기본 모형이 추가 생성되는 일실시예이다.
도 6은 2D 기본모형(210)이 3D 기본모형(210)으로 변환되는 일실시예이다.
도 7은 2D 기본모형(210)이 3D 기본모형(210)으로 변환되는 또 다른 일실시예이다.
도 8은 2D 상반신 골격 기본모형(210)을 다양한 각도로 제공하는 일실시예이다.
도 9는 3D 골격 기본모형(210)을 다양한 각도로 제공하는 일실시예이다.
도 10은 시점에 따라 달리한 3D 입체 기본모형(210)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 11은 3차원으로 제공되는 전신 기본모형(210)(A)과 전신 기본모형(210)에 간 기본모형(210)이 추가(B)된 일실시예이다.
도 12는 연령에 따라 변환되는 3D 기본모형(210)을 나타내는 일실시예이다.
도 13은 체형에 따라 변환되는 섹터가 설정된 3D 기본모형(210)을 나타내는 일실시예이다.
도 14는 섹터가 작게 나누어진 간의 2D 기본모형(210)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 15는 섹터가 작게 나누어진 간의 2D 기본모형(210)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 16은 표준화된 섹터로 나누어진 아기 간(baby’s liver) 및 성인 간(man’s liver)를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 17은 의료인이 기본모형(210) 위에 마우스로 병변의 크기를 그릴 때 섹터가 지정되는 것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 18은 작은 섹터를 가지는 간의 기본모형(210) 위에 섹터가 지정된 일실시예이다.
도 19는 큰 섹터를 가지는 간의 기본모형(210) 위에 섹터가 지정된 일실시예이다.
도 20은 전면에 섹터를 지정한 경우 후면의 섹터가 함께 지정되는 일실시예이다.
도 21은 3D 간 기본모형(210)이 여러 가지 섹터로 나누어질 수 있는 일실시예이다.
도 22는 섹터 위에 텍스쳐(texture)를 설정한 간 기본모형(210)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 23은 의료인 시점(doctor’s view)의 의료용 그림과 환자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환자용 시점(patient’s view)의 의료그림을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도 24는 의료인이 환자의 증상에 대한 설명을 추가할 수 있는 일실시예이다.
도 25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병원 간 정보 공유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장기별 통계를 나타낼 수 있는 일실시예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의료용 그림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그림 변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형호출부(100), 모형제공부(200), 그림수정부(300), 섹터설정부(400), 의료그림제공부(500) 및 저장부(6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입력모형호출부(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입력모형을 호출한다.
그림을 변환하기 위해서는 이미 작성이 완료된 진료 그림이 필요하다. 진료 그림은 기본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 생성되는 그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 생성된 그림을 입력모형이라고 칭한다. 도 3, 4 및 5는 입력모형이 생성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일실시예이다.
상기 입력모형호출부(100)는 텍스트 입력하거나, 의료이미지를 이용하거나, 사용자가 그림을 그려 입력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
먼저, 도 3은 텍스트 입력을 통하여 상기 입력모형이 생성되는 예시이다. 상기 텍스트는 각국의 언어로 된 증상이나 병명에 대한 문장, 단어, 의료용어 및 의료코드 등이 될 수 있으며, 해당 증상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든 문자데이터를 말한다. 텍스트 입력을 통해 상기 입력모형이 자동 생성되는 경우는 기본모형(210)과 질병모형(220)이 모두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간농양을 표시한 것인데, 텍스트로는 농양의 위치까지 정확하게 표시하기 힘들다. 따라서 간 기본모형(210)과 농양 질병모형(220)이 따로 제시되어 사용자가 마우스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질병모형(220)의 위치나 크기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의료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모형을 호출하는 일실시예로, 상기 의료이미지는 CT, MRI, X-RAY 등의 의료 데이터가 될 수도 있으며, 의료인이 EMR에 그려놓은 이미지가 될 수도 있다. 이 이미지를 시스템이 인식하여 그와 최대한 비슷하게 입력모형이 생성된다.
또한, 도 5는 사용자가 그림을 그려 상기 입력모형을 호출하는 일실시예로, 사용자는 마우스 등의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간농양을 표시하고 싶은 경우, 간 기본모형(210) 위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와 범위를 그리면 오른쪽의 질병모형(220)이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모형제공부(200)는 상기 입력모형호출부(100)에 의해 생성된 입력모형을 신체 부위를 나타내는 기본모형(210)과 질병을 나타내는 질병모형(220)을 제공하고, 상기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의 시점(view)을 편집한다.
상기 모형제공부(200)는 상기 기본모형(210)과 질병모형(220)이 2D 또는 3D로 생성되고 2D에서 3D로 상호 변환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기본모형(210)은 2D 또는 3D로 제공될 수 있고,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나의 기본모형(210)은 2D에서 3D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2D 기본모형(210)의 시점(view)로는 관찰하기 힘든 부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모형제공부(2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view)에 따라 다르게 변환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 및 측면으로 시점(view)을 달리하여 상기 기본모형(210)을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환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는 상기 저장부(600)에 저장된 여러 시점의 기본모형(210) 들 중 원하는 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2D 평면 그림 기본모형(210)을 수정할 경우 하나의 시점(view)에서 기본모형(210)을 수정하면 자동으로 다른 시점의 기본모형(210)까지 수정할 수 있다. 도 8은 청년 남성의 골격을 나타낸 뼈 기본모형(210)의 일실시예이며, 환자의 연령이나 성별에 따라 다른 기본모형(210)을 선택하고 변환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도 9 및 도 10은 3D로 나타낸 성인의 골격 기본모형(210)의 시점(view) 변화를 나타낸 도면으로, 3D 기본모형(210)은 상기 저장부(600)에 저장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찰 거리나 시야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기본모형(210)의 여러 시점(VIEW)들 중 하나의 시점을 선택 해야 하는 2D 평면 그림모형과는 달리, 3D 입체모형의 경우에는 마우스나 키보드 방향키 등을 사용해 모형을 회전시켜 시점을 전환할 수 있다. 전신모형 전체를 조망할 수도 있으며 장기모형 일부만을 관찰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시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시점의 거리 또한 조절 가능하다. 이러한 3D 기본모형(210)은 필요에 따라 2D 기본모형(210)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그림수정부(300)는 상기 표시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을 확인하고, 상기 기본모형(210)에 상기 질병모형(220)을 삽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그림수정부(300)는 전신 기본모형(210)에 장기 질병모형(220)을 삽입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 질병모형(220)을 삽입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여러 가지 장기의 질병모형(220)을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여러 부위에 질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장기들을 하나의 전신 기본모형(210) 안에 다양한 질병모형(220)을 삽입하여 한 번에 모아서 관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실시예로,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기본모형(210)은 연령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어 전신 기본모형(210)에 간 질병모형(220)을 삽입했을 경우 영유아의 간이 신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과 성인 남성 간이 신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다르다. 연령에 따라 질병의 양상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장기의 크기도 다르기 때문에 상기 기본모형(210)은 연령에 따라 달리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환자가 진료를 받는 기간 동안 성장할 수 있으므로 이에 맞게 변환되어야 하는 것이기도 한다. 즉,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에 질병이 있던 유아가 장기적으로는 의료기간에서 진료를 받으며 성인이 된 경우 유아 기본모형(210)에서 성인 기본모형(210)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섹터설정부(400)는 상기 그림수정부(300)에서 수정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은 섹터(sector)로 분리되어 구획을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섹터설정부(400)는 섹터확인부 및 섹터적용부로 구성된다.
상기 섹터확인부는 상기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에 상기 구획의 너비 및 길이 지정을 설정하고, 2D 또는 3D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섹터를 생성한다. 상기 섹터확인부는 환자의 성별, 연령 및 체형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섹터적용부는 상기 섹터확인부에서 생성한 섹터 중 사용자가 텍스쳐(texture)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즉, 종괴성 병변이나, 환부의 병변이 초점화 되는 경우와 같이 범위를 가지는 질병을 표시할 때 상기 섹터 표시는 필수적이다.
상기 섹터가 존재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위치와 넓이를 가지는 질병의 표현을 용이하게 하게 위해서이고, 둘째는 동일한 위치나 넓이의 섹터를 모아 통계로 나타내기 위함이다. 즉, 상기 섹터는 남성, 여성, 유아, 노인 등 모든 사람의 기본모형(210)에 표준화되어있기 때문에 개개인의 발병한 위치의 섹터 및 치료된 위치의 섹터 등의 통계를 하나의 기본모형(210)에 모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질병모형(220)이란 환자의 질병을 표시하는 모형이다. 이는 종양이나 혹 등 실제의 형체를 가지는 질병모형(220)이 될 수도 있으며, 화상이나 염증 등과 같이 범위를 넓게 가지는 질병모형(220)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암이나 장기의 염증, 피부의 화상 등과 같이 넓이와 위치를 가지는 질병의 경우는 기본모형(210)의 구역, 즉 그 범위를 비교적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이처럼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구역을 본 발명에서는 섹터(SECTOR)라고 칭한다.
상기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에 설정된 섹터(sector)는 상기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의 크기와 관계없이 개수가 일정하게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자가 장기간 지료를 받으며 진료를 받는 기간 동안 살이 찌거나 빠져 체형이 변화한 경우 상기 기본모형(210)은 상기 섹터설정부(400)에 의해 상기 기본모형(210)의 섹터 크기는 변화할 수 있으나 개수가 일정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질병의 위치를 나타낸 섹터의 확인이 용이하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본모형(210)이 가지는 상기 섹터의 크기를 다를 수 있다. 도 14와 같이 상기 섹터가 작고 세밀하게 나누어질 수도 있으며, 도 15와 같이 크게 나누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섹터는 A1, A2, A3, B1, C3, … 등과 같은 일련번호를 생성하여 표준화할 수 있다. 마우스나 키보드 방향키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섹터를 선택하고 범위를 지정하여 상기 일련번호를 지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증상의 위치와 모양 및 크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본모형(210)의 섹터는 표준화되어 존재한다. 상기 섹터의 표준화란 섹터의 개수를 일치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아 간(baby’s liver)의 기본모형(210)과 성인 간(man’s liver)의 기본모형(210)이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기본모형(210)의 섹터는 표준화되어 있으므로 상기 두 간의 크기가 다르므로 상기 섹터의 크기는 다르지만 상기 섹터의 개수는 8개로 일치한다.
사용자는 상기 섹터의 추가 지정을 통해 병변의 크기나 위치 등을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인이 감염을 표시해야 하는 경우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2D 간 기본모형(210) 위에 GUI인터페이스, 즉 마우스 등을 이용해 염증의 위치와 너비를 표시하면 그 범위에 맞추어 병변섹터가 지정된다. 이렇게 지정된 병변섹터는 필요에 따라 위치의 변환이 가능하다.
도 18 및 도 19는 도 14 및 도 15의 간 기본모형(210)의 섹터에 병변섹터를 지정한 일실시예이다. A1, A2, A3 등의 일련번호는 앞, 뒤 및 측면 기본모형(210)의 시점에서 모두 지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2D 기본모형(210)에서 상기 병변섹터를 지정하거나 수정할 때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시점에서만 수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 기본모형(210)의 정면 시점에서 병변섹터를 지정하면 간 기본모형(210)의 후면과 측면을 포함한 여러 각도의 2D 평면 기본모형(210) 전체에서 함께 수정된다. 여러 시점에서 수정된 기본모형(21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제시한 2D 기본모형(210)의 섹터 크기가 다양하게 나누어질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3D 기본 모형의 섹터 또한 그 크기와 너비를 다양하게 나눌 수 있다.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필요한 질병의 범위, 정확도 등의 특성에 따라 다른 기본모형(210)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섹터적용부에 의해 상기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의 섹터에 텍스쳐(TEXTURE)를 지정할 수 있다. 염증, 화상, 암 등과 같이 병변의 위치와 넓이를 가지를 질병의 경우 섹터를 지정하여 표시하는 것이 진료에 있어 효율적이다. 그러나, 단지 기본모형(210)의 섹터만 지정하는 경우 어떤 병을 표시했는지 알아차리기 힘들다. 따라서 상기 섹터가 지정된 후 텍스쳐를 적용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도 2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텍스쳐 지정은 질병에 따라 다른 질감이나 무늬를 적용하는 단계로, 상기 텍스쳐는 바둑판 무늬일 수 있으며, 사선 무늬일 수도 있으며, 색을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텍스쳐는 제시한 실시례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에 따라 여러 무늬와 여러 색깔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섹터 지정과 텍스쳐 설정까지 모두 끝났다면 하나의 의료그림이 완성된다.
상기 의료그림제공부(500)는 상기 섹터설정부(400)에서 구획이 설정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을 의료인용과 환자용으로 분리하여 의료용 그림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환자들은 장기들의 모양이 어떻게 생겼으며, 증상이 어디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전문 의료인에 비해 비교적 낮은 이해도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의료인이 선호하거나 진료하는 시점의 의료그림과, 환자가 이해하기 쉬운 의료그림이 따로 제공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의료진이 간의 후면부를 진료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일반 사람들은 간을 전문적으로 진료하는 의료진들에 비해 간에 대한 지식이 많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간의 후면부를 진료하는 의료진들이 자신이 진료하는 시점(VIEW)의 사진으로 일반 환자들에게 설명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그러나 도 23와 같이, 환자용 그림을 따로 제공할 수 있다면 환자에게 증상이 발병한 위치와 병변의 크기 등을 훨씬 자세하고 쉽게 설명할 수 있다.
또한, 기본모형(210) 또는 질병모형(220)의 수정이 끝난 뒤, 의료그림제공부(500)는 환자의 증상에 대한 설명의 기입이 따로 필요한 경우 설명란에 환자 질병의 증상이나 빈도 등을 별도로 기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저장부(600)는 상기 입력모형호출부(100), 모형제공부(200), 그림수정부(300), 섹터설정부(400) 및 의료그림제공부(500)에서 실시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입력모형호출부(100), 모형제공부(200), 그림수정부(300), 섹터설정부(400) 및 의료그림제공부(500)를 이용하여 모든 입력이 끝났다면, 도 2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의료진은 이를 시스템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의료그림의 제목을 설정할 수 있으며, 환자의 이름이나 증상, 특성, 진료 날짜 등을 기입할 수 있다. 이처럼 구체적으로 그림을 저장했다면 훗날 같은 환자를 진료할 때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해당 의료그림을 찾아낼 수 있다.
의료그림은 의료기관 간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다른 의료진에 전달될 때 변환될 수도 있다. 도 2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완성된 의료그림은 A병원에서 B병원으로 모형의 전달이 가능함을 볼 수 있다. 또한 B병원의 의료진이 2D 모형을 3D모형으로 보기를 원할 경우 변환이 가능하며, 의료진이 원하는 종류의 그림으로 변환하여 관찰할 수 있다. 이렇게 의료그림을 상이한 의료기관이나 의료진끼리 공유가 가능하게 하여 환자 증상에 대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도 2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만들어진 의료그림이 저장되면 증상들의 통계를 낼 수도 있다. 성별 또는 연령에 따라서 통계를 낼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기본모형(210)에 모아서 관찰할 수 있다.
아래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의료용 그림 변환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용 그림 변환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제1단계(S100)는 모형호출단계이다. 상기 모형호출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모형호출부(100)가 입력모형을 호출한다.
다음으로, 제2단계(S200)는 모형제공단계이다. 상기 모형제공단계는 상기 입력모형호출부(100)에 의해 생성된 입력모형을, 상기 모형제공부(200)가 신체 부위를 나타내는 기본모형(210)과 질병을 나타내는 질병모형(220)으로 제공하고, 상기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의 시점(view)을 편집한다.
다음으로 제3단계(S300)는 그림수정단계이다. 상기 그림수정단계는 상기 그림수정부(300)가 상기 표시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을 확인하고, 상기 기본모형(210)에 상기 질병모형(220)을 삽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다음으로, 제4단계(S400)는 섹터설정단계이다. 상기 섹터설정단계는 상기 그림수정부(300)에서 수정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을, 섹터설정부(400)가 섹터(sector)로 분리하여 구획을 설정하도록 제공한다.
상기 섹터설정단계(S400)는 제4-1단계(S410)인 섹터확인단계 및 제4-2단계(S420)인 섹터적용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4-1단계(S410)는 섹터확인단계이다. 상기 섹터확인단계는 섹터확인부가 상기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에 상기 구획의 너비 및 길이 지정을 설정하고, 2D 또는 3D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섹터를 생성한다.
상기 제4-2단계(S420)는 섹터적용단계이다. 상기 섹터적용단계는 섹터적용부가 상기 섹터확인부에서 생성한 섹터 중 사용자가 텍스쳐(texture)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제5단계(S500)는 의료그림제공단계이다. 상기 의료그림제공단계는 상기 섹터설정부(400)에서 구획이 설정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을, 의료그림제공부(500)가 의료인용과 환자용으로 분리하여 의료용 그림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제6단계(S600)는 저장단계이다. 상기 저장단계는 저장부(600)가 상기 입력모형호출부(100), 모형제공부(200), 그림수정부(300), 섹터설정부(400) 및 의료그림제공부(500)에서 실시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VIEW)이거나,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진료 그림으로 제공되는 의료인의 필요나,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형 등 환자의 특징에 알맞은 의료용 그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의 섹터에 의해 질병의 범위, 정확 등 특성에 따라 질병을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고, 섹터가 표준화되어 있어 개인의 발병 위치 및 치료 위치를 섹터로 명확하게 확인 가능하며, 통계화하여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의료그림은 하나의 각도에서 사용자가 수정 및 변환한 그림은 다른 각도의 그림에서도 자동으로 수정될 수 있다.
또한, 진료과마다 주로 사용하는 그림이 다르고, 집중적으로 관찰 및 진료하는 부위가 다르므로 이에 따라 의료 그림이 변환되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모형들의 변환을 통해서 보다 신뢰도 높은 의료용 그림의 작성이 가능해지므로, 환자는 자신의 질병에 대해 더 구체적이고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므로 치료에 있어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모형호출부(100)
200. 모형제공부(200)
210. 기본모형(210)
220. 질병모형(220)
300. 그림수정부(300)
400. 섹터설정부(400)
500. 의료그림제공부(500)
600. 저장부(600)
S100.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모형호출부(100)가 입력모형을 호출하는 모형호출단계
S200. 상기 입력모형호출부(100)에 의해 생성된 입력모형을, 모형제공부(200)가 신체 부위를 나타내는 기본모형(210)과 질병을 나타내는 질병모형(220)으로 제공하는 모형제공단계
S300. 그림수정부(300)가 상기 표시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을 확인하고, 상기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의 시점(view)을 편집하고, 상기 기본모형(210)에 상기 질병모형(220)을 삽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그림수정단계
S400. 상기 그림수정부(300)에서 수정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을, 섹터설정부(400)가 섹터(sector)로 분리하여 구획을 설정하도록 제공하는 섹터설정단계
S410. 섹터확인부가 상기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에 상기 구획의 너비 및 길이 지정을 설정하고, 2D 또는 3D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섹터를 생성하는 섹터확인단계
S420. 섹터적용부가 상기 섹터확인부에서 생성한 섹터 중 사용자가 텍스쳐(texture)를 설정하는 섹터적용단계
S500. 상기 섹터설정부(400)에서 구획이 설정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을, 의료그림제공부(500)가 의료인용과 환자용으로 분리하여 의료용 그림을 제공하는 의료그림제공단계
S600. 저장부(600)가 상기 입력모형호출부(100), 모형제공부(200), 그림수정부(300), 섹터설정부(400) 및 의료그림제공부(500)에서 실시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단계

Claims (2)

  1.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입력모형을 호출하는 모형호출부(100);
    상기 입력모형호출부(100)에 의해 생성된 입력모형을 신체 부위를 나타내는 기본모형(210)과 질병을 나타내는 질병모형(220)으로 제공하고, 상기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의 시점(view)을 편집하는 모형제공부(200);
    상기 표시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을 확인하고, 상기 기본모형(210)에 상기 질병모형(220)을 삽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그림수정부(300);
    상기 그림수정부(300)에서 수정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은 섹터(sector)로 분리되어 구획을 설정할 수 있는 섹터설정부(400);
    상기 섹터설정부(400)에서 구획이 설정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을 의료인용과 환자용으로 분리하여 의료용 그림을 제공하는 의료그림제공부(500); 및
    상기 입력모형호출부(100), 모형제공부(200), 그림수정부(300), 섹터설정부(400) 및 의료그림제공부(500)에서 실시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기본모형(210)과 질병모형(220)은 2D 또는 3D로 생성되고 2D에서 3D로 상호 변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그림 변환 시스템.
  2.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모형호출부(100)가 입력모형을 호출하는 모형호출단계;
    상기 입력모형호출부(100)에 의해 생성된 입력모형을, 모형제공부(200)가 신체 부위를 나타내는 기본모형(210)과 질병을 나타내는 질병모형(220)으로 제공하는 모형제공단계;
    그림수정부(300)가 상기 표시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을 확인하고, 상기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의 시점(view)을 편집하고, 상기 기본모형(210)에 상기 질병모형(220)을 삽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그림수정단계;
    상기 그림수정부(300)에서 수정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을, 섹터설정부(400)가 섹터(sector)로 분리하여 구획을 설정하도록 제공하는 섹터설정단계;
    상기 섹터설정부(400)에서 구획이 설정된 기본모형(210) 및 질병모형(220)을, 의료그림제공부(500)가 의료인용과 환자용으로 분리하여 의료용 그림을 제공하는 의료그림제공단계; 및
    저장부(600)가 상기 입력모형호출부(100), 모형제공부(200), 그림수정부(300), 섹터설정부(400) 및 의료그림제공부(500)에서 실시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본모형(210)과 질병모형(220)은 2D 또는 3D로 생성되고 2D에서 3D로 상호 변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그림 변환 방법.
KR1020200108295A 2020-08-27 2020-08-27 의료용 그림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그림 변환 방법 KR102417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295A KR102417757B1 (ko) 2020-08-27 2020-08-27 의료용 그림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그림 변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295A KR102417757B1 (ko) 2020-08-27 2020-08-27 의료용 그림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그림 변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431A true KR20220027431A (ko) 2022-03-08
KR102417757B1 KR102417757B1 (ko) 2022-07-06

Family

ID=80812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295A KR102417757B1 (ko) 2020-08-27 2020-08-27 의료용 그림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그림 변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7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8816A (ja) * 2005-09-08 2007-03-22 Toshiba Corp 説明システム
KR20110038204A (ko) * 2009-10-08 2011-04-14 의료법인 우리들의료재단 의학 실습용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40047268A (ko) * 2012-10-12 2014-04-22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98869A (ko) 2017-02-27 2018-09-0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의료영상 내 정보처리방법
KR20190131281A (ko) * 2018-05-16 2019-11-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상태 조회 화면 제공 방법 및 환자 상태 조회 화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8816A (ja) * 2005-09-08 2007-03-22 Toshiba Corp 説明システム
KR20110038204A (ko) * 2009-10-08 2011-04-14 의료법인 우리들의료재단 의학 실습용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40047268A (ko) * 2012-10-12 2014-04-22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가상 환자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98869A (ko) 2017-02-27 2018-09-0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의료영상 내 정보처리방법
KR20190131281A (ko) * 2018-05-16 2019-11-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상태 조회 화면 제공 방법 및 환자 상태 조회 화면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757B1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33741B2 (en) Aligning image data of a patient with actual views of the patient using an optical code affixed to the patient
Philo The birth of the clinic: an unknown work of medical geography
Fang Visualizing the structure and the evolving of digital medicine: a scientometrics review
Shaw The birth of the clinic and the advent of reproduction: Pregnancy, pathology and the medical gaze in modernity
Han et al. A comparison of voxel-and surface-base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mandibular superimposition in adult orthodontic patients
Hayes Faces in the museum: revising the methods of facial reconstructions
Sandamini et al. Facial soft tissue thickness trends for selected age groups of Sri Lankan adult population
Kim Easy facial analysis using the facial golden mask
Lee et al. Augmented reality to localize individual organ in surgical procedure
Erolin et al. What did Avicenna (Ibn Sina, 980–1037 AD) look like?
Bloom et al. Early preclinical experience of a mixed reality ultrasound system with active GUIDance for NEedle-based interventions: The GUIDE study
KR102417757B1 (ko) 의료용 그림 변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그림 변환 방법
Marks Medical technologies: Social contexts and consequences
US20190247121A1 (en) Interactive placement of a 3d digital representation of a surgical device or anatomic feature into a 3d radiologic image for pre-operative planning
Chen et al. A new three-dimensional template for the fabrication and localization of an autogenous cartilage framework during microtia reconstruction
Morishita et al. Evaluating GPT-4V’s performance in the Japanese national dental examination: A challenge explored
Gharieb Computed-Tomography (CT) Scan
KR102500378B1 (ko) 자동 의료그림 생성시스템, 이를 이용한 자동 의료그림 생성 방법 및 머신 러닝 기반의 자동 의료그림 생성 시스템
Andersson et al. Digital 3D Facial Reconstruction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JP2001229170A (ja) 医療データベースの構築方法及び医療データベースが格納された記憶媒体
KR102481236B1 (ko) 진료용 그림 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료용 그림 편집 방법
Ursuleanu et al. Diagnosis of the Medical Images Using a Three-Dimensional MRI and CT Reconstruction Algorithm: A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P7381051B2 (ja) 鍼灸あん摩マッサージ指圧用電子カルテ作成装置、電子カルテ作成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電子カルテ作成システム
CN115880439A (zh) 一种内窥镜下膀胱病变部位精准定位模型及系统
Salander Communication training in oncology needs a theoretical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