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5977A -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5977A
KR20220025977A KR1020200106074A KR20200106074A KR20220025977A KR 20220025977 A KR20220025977 A KR 20220025977A KR 1020200106074 A KR1020200106074 A KR 1020200106074A KR 20200106074 A KR20200106074 A KR 20200106074A KR 20220025977 A KR20220025977 A KR 20220025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ollection
subject
unit
swab
robo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6234B1 (ko
Inventor
김남희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6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234B1/ko
Priority to PCT/KR2021/008022 priority patent/WO2022025445A1/ko
Publication of KR20220025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19End effectors other tha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6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6Safety devices
    • B25J19/061Safety devices with audible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Abstract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설치되며, 피검자의 얼굴이 소정 지점에 위치하도록 지지해주는 얼굴지지대; 상기 얼굴지지대와 대향되게 이격 설치되며, 피검자의 상기도에 면봉을 삽입하여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상기 면봉을 파지해주는 파지부가 구비되는 다관절 로봇암; 상기 얼굴지지대에 지지된 피검자의 얼굴 위치나, 상기 로봇암을 통해 피검자의 상기도에 삽입되는 면봉에 가해지는 압력을 포함한 정보를 검출해줄 수 있도록 복수의 센서가 구비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와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얼굴지지대의 위치 및 상기 면봉 도달 위치에 이르는 경로를 계산해주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의 연산결과에 따라 상기 얼굴지지대와 상기 로봇암을 제어해주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피검자로부터 필요한 상기도 검체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채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REMOTE AUTOMATIC UPPER RESPIRATORY SAMPLE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여 검체 채취 장치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피검자로부터 필요한 상기도 검체를 정확하게 채취할 수 있는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호흡기 질환 여부의 판정을 위해서는 피검자의 비강에 면봉을 삽입하여 검체를 채취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는 의료진이 호흡기 감염병에 걸린 것으로 의심되는 피검자와 대면하여 피검자의 상기도에서 검체를 채취하여야 하므로, 의료진이 피검자와의 접촉에 의해 감염에 노출될 우려가 크다. 또한, 대규모 감염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수많은 의료진이 검체를 채취하는 작업에 투입되어야 하므로, 의료진의 업무가 과중하게 된다.
특히, 검체 채취 시 의료진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의료인은 보호 장구를 착용해야 하므로, 보호 장구 탈착 시의 감염 우려 및 착용에 따른 산소 부족이나 체온 상승의 문제가 있고, 일회용 보호 장구 사용에 따른 비용이 문제가 된다.
또한, 검체 채취 작업을 위해서는 사람의 비강 구조에 대한 이해와 검체 채취 작업의 숙련도가 요구된다. 만약 비숙련 의료인이 검체를 채취할 경우에는 검체 채취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아 검사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비숙련자에 의한 검체 채취 시에 면봉에 과도한 압력을 가하거나 적절하지 않은 부위에 면봉을 접촉시킴으로써 피검자의 불편함이 초래되거나 비강에 손상을 입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와 직접 대면하지 않고 환자를 자동으로 검진할 수 있는 검진 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감염병 등의 검체 채취를 위한 자동 검진 장치에 대한 기술의 개발은 미흡한 상황이며, 원격으로 진료나 진단 또는 수술을 수행하는 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은 다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4588호에서와 같이, 의료진이 원격으로 진단장치를 제어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대하여 초음파 진단을 수행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초음파 진단을 위한 장치는 초음파 진단을 위해 특화된 장치인 것으로, 이를 감염병 등의 검체 채취가 가능한 검진 장치로 직접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458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진과 피검자가 대면하지 않고 자동 제어 시스템에 의하여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함으로써 의료진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다자유도 구동을 통해 피검자로부터 필요한 검체를 보다 정확하게 채취할 수 있는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설치되며, 피검자의 얼굴이 소정 지점에 위치하도록 지지해주는 얼굴지지대; 상기 얼굴지지대와 대향되게 이격 설치되며, 피검자의 상기도에 면봉을 삽입하여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상기 면봉을 파지해주는 파지부가 구비되는 다관절 로봇암; 상기 얼굴지지대에 지지된 피검자의 얼굴 위치나, 상기 로봇암을 통해 피검자의 상기도에 삽입되는 면봉에 가해지는 압력을 포함한 정보를 검출해줄 수 있도록 복수의 센서가 구비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와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얼굴지지대 및 로봇암을 자동으로 제어해주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연산부는, 상기 피검자의 콧구멍 또는 구강을 통하여 상기 면봉의 도달 위치에 이르는 경로를 계산해주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센싱부의 센서는, 상기 검체 채취용 면봉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상기 면봉을 이용한 검체 채취 시 상기 면봉의 접촉 여부를 감지해주는 가압센서; 및 상기 본체부 상에 위치되는 피검자의 얼굴을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얼굴지지대는,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소정 위치로 이동되면서 피검자의 얼굴을 지지해주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얼굴지지대는, 상기 피검자의 머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머리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얼굴지지대는,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소정 위치로 이동되면서 피검자의 구강을 개방된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강개방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로봇암은, 검체 채취가 완료된 상기 파지부를 소독해주는 소독액 분사장치; 및 소독된 상기 파지부를 살균 및 건조시켜주는 자외선 살균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파지부는, 상기 피검자의 검체 채취 시 상기 파지된 면봉을 진동이나 회전 동작시켜주는 제1구동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파지부는, 상기 면봉이 끼워지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 내에는 상기 면봉을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수축 또는 확장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는, 상기 얼굴지지대 및 로봇암과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로봇암을 원격 상태에서 수동으로 제어해주는 핸들부가 구비된 마스터 콘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마스터 콘솔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면봉의 압력이나 접촉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정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알람을 발생시켜주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면봉의 압력이나 접촉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정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핸들부에 구비된 제2구동발생부를 제어하여 진동이나 반발력을 발생시켜주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로봇암의 선단에는, 상기 파지부의 전, 후 길이를 조절해줄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이송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로봇암은, 상기 로봇암의 구동 시 상기 파지부의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제공해주는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에는, 피검자와 검사자 간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오디오 신호의 입, 출력을 위한 오디오신호부;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는, 검체 채취 전 면봉이 수납되는 면봉수납함; 및 검체 채취 후 면봉이 수납되는 면봉수거함;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면봉수거함에는, 상기 검체 채취용 면봉을 보존하기 위한 다수 개의 검체용기;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은 의료진이 피검자와 접촉 대면하는 일이 없고 자동 제어 시스템으로 검체 채취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의료진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자동 채취에 의해 의료진이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의료 취약 지역에서의 검체 채취도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의료 접근성이 개선된다.
또한, 의료진은 별도의 방호복을 착용할 필요가 없어 일회용 보호 장구 사용에 따른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검체의 채취가 보다 정확한 위치에서 이루어지며, 삽입 길이 및 접촉 압력이 측정되므로 의료진의 숙련도에 따른 검체 채취 과정에서의 부정확한 검체 채취의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사용전 검체 채취용 면봉을 파지하고, 사용 후에는 검체용기에 삽입하고 밀봉하는 작업까지 전 과정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하여, 검체 검사의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의 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제어를 구성하는 기능블록의 예시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 상에 설치된 얼굴지지대의 작동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c 및 3d는 또 다른 실시 예의 얼굴지지대의 작동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면봉을, (b)는 검체용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암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지부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b 및 6c는 파지부에 검체 채취용 면봉이 삽입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6d는 피검자를 통해 검체 검사가 이루어지는 사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a)는 로봇암에 구비된 소독액 분사장치를, (b)는 자외선 살균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독액 분사장치 및 자외선 살균장치가 본체부 상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집이 완료된 면봉이 검체용기에 수용되어 밀봉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1)의 구성은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 상에 설치되며, 피검자(H)의 얼굴이 소정 지점에 위치하도록 지지해주는 얼굴지지대(200) 상기 얼굴지지대(200)와 대향되게 이격 설치되며, 피검자(H)의 상기도에 검체 채취용 면봉(600)을 삽입하여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상기 면봉을 파지해주는 파지부(110)가 구비되는 다관절 로봇암(100) 상기 얼굴지지대(200)에 지지된 피검자(H)의 얼굴 위치나, 상기 로봇암(100)을 통해 피검자(H)의 상기도에 삽입되는 면봉에 가해지는 압력을 포함한 정보를 검출해줄 수 있도록 복수의 센서가 구비되는 센싱부(30) 및 상기 센싱부(30)와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센싱부(3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얼굴지지대(200)의 위치 및 상기 면봉 도달 위치에 이르는 경로를 계산해주는 연산부(40); 및 상기 연산부(40)의 연산결과에 따라 상기 얼굴지지대(200)와 로봇암(100)을 제어해주는 제어부(50)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분되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제어를 구성하는 기능블록의 예시도면이다.
먼저, 검사자는 로봇암(100)과 얼굴지지대(200)의 운전모드를, 동작시퀀스정보(미도시)에 기초해서 동작시키는 자동모드로 할 것인지, 마스터 콘솔부(500)의 핸들부(510)를 통해서 입력된 조작지시에 기초해서 원격으로 동작시키는 수동모드로 할 것인지 판정한다. 그리고, 판정한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로봇암(100)과 얼굴지지대(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로봇암(100)을 자동모드에 의해 동작시킨다고 판정한 경우, 센싱부(30)로부터 전달받은 동작시퀀스정보를 읽어내어, 이 동작시퀀스정보에 규정된 동작을 실시하도록 로봇암(100)을 제어한다. 한편, 로봇암(100)을 수동모드에 의해 동작시킨다고 판정한 경우, 검사자는 센싱부(30) 및 디스플레이부(5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핸들부(510)를 조종할 수 있으며, 마스터 콘솔부(500)로부터 전달받은 조작지시 신호에 기초해서 동작하도록 로봇암(100)을 제어한다.
통신부(20)는,
로봇암(100)과 통신 모듈을 구비한 장치 사이 또는 마스터 콘솔부(50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 모듈은 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 통신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20)를 통해 외부 장치들과 센서 정보, 사용자 입력, 제어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음에 따라 후술되는 센싱부(3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50)에 전달하고, 제어부(50)는 로봇암(100) 및 얼굴지지대(200)를 자동으로 제어해주는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30)는,
상기 검체 채취용 면봉(600)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상기 면봉을 이용한 검체 채취 시 상기 면봉의 접촉 여부를 감지해주는 가압센서(114) 및 상기 본체부(10) 상에 위치되는 피검자(H)의 얼굴을 감지해주는 감지센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센싱부(30)는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photo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1)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검출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연산부(40)는,
상기 센싱부(30)에서 검출된 정보들을 취합하여, 검사하기에 용이한 방향으로 피검자(H)의 얼굴이 위치될 수 있도록 얼굴지지대(200)의 위치를 계산하고, 최종적으로 면봉이 도달할 위치와 그 위치에 이르는 정보를 계산한다. 다시 말해, 피검자(H)의 콧구멍 또는 구강을 통하여 상기 면봉의 도달 위치에 이르는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마이크로 콘트롤러, MPU,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논리회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로의 계산은 이 발명 출원 시에 통상의 당업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제어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상기 연산부(40)에서 계산된 정보들을 취합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후술되는 로봇암(20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출력제어부(32)는, 제어부(50)로부터 수신받은 정보를 토대로 디스플레이부(520)를 제어하고 검사자에게 통지해야 하는 정보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자동제어에 대한 구성을 간략하게 언급하였으나, 이는 당업자로부터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본체부(10)에는,
피검자(H)가 의자에 착석하여 편안하고 안전한 자세로 검체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피검자(H)의 얼굴을 지지해주는 얼굴지지대(200)의 설치 공간이 제공된다. 피검자(H)의 얼굴과 대면하는 위치에는 로봇암(100)이 마련될 수 있고, 피검자(H)와 검사자 간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오디오 신호의 입, 출력을 위한 오디오신호부(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10) 일측에는 검체 채취 전 면봉이 수납되는 면봉수납함(300) 및 검체 채취 후 면봉이 수납되는 면봉수거함(40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a 내지 3b는 본체부 상에 설치된 얼굴지지대의 작동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3c 및 3d는 얼굴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얼굴지지대(200)는,
상기 센싱부(30)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소정 위치로 이동되면서 피검자(H)의 얼굴을 지지해 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체부(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지지베이스(210), 턱 지지부(220), 측면 지지부(230), 이마 지지부(240), 를 포함한다.
지지베이스(210)는 얼굴지지대(200)의 베이스를 형성하고, 지지베이스(210) 상부에는 피검자(H)의 턱이 지지될 수 있도록 턱 지지부(220)가 형성된다. 턱 지지부(220) 내부에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되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아울러, 턱 지지부(22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230)가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으며, 그러한 측면 지지부(230) 하단에는 지지베이스(210)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11)에 결합되어 좌, 우 슬라이딩 이동되는 힌지부(231)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힌지부(231) 내부에는 회전모터 및/또는 리니어 모터(미도시)를 구비하여 전동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힌지부(231)를 기준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피검자(H)의 얼굴 각도를 검체 검사에 용이하도록 도출해 낼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측면 지지부(230)의 상측으로는 이마 지지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측면 지지부(230)는 이마 지지부(240)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좌, 우 폭이 조절되도록 한다.
또한, 얼굴지지대(200)에는 피검자(H)의 얼굴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지센서(250)는 모션감지센서, 적외선 인체 감지 센서, 적외선 카메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얼굴지지대(200)의 전면에 피검자(H)의 얼굴을 위치시키면, 감지센서(250)는 피검자(H)의 얼굴 위치를 감지하고 얼굴지지대(200)는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소정 위치로 이동되면서 피검자(H)의 얼굴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얼굴지지대(200)는 자동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핸들부(510)를 조작하는 검사자(H)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만약 피검자(H)의 얼굴 위치가 얼굴지지대(200)의 이동 범위에서 벗어난 경우에는 안내 음성을 전달해주는 오디오신호부(150)를 통해 피검자(H)에게 바른 위치와 자세를 요구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피검자(H)에게 보다 편안한 자세를 제공함과 아울러 검체 검사의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c는 상기 얼굴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얼굴지지대(200)에는 상기 피검자(H)의 머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머리고정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머리고정부(260)는 띠 형태로 형성되어 피검자(H)의 머리 측부 즉, 관자놀이에서부터 뒤통수 일부분을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피검자(H)의 머리 크기에 맞춰 좌, 우 폭이 조절되는 측면 지지부(230)에 의하여, 상기 머리고정부(260) 또한 좌, 우 폭이 조절됨에 따라 피검자(H)의 머리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검체 검사 도중에 피검자(H)가 머리를 움직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d는 상기 얼굴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얼굴지지대(200)에는 피검자(H)의 구강이 개방된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강개방유지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강개방유지부(270)는 상악지지대(271)와 하악지지대(27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피검자(H)의 얼굴 전면 즉, 구강과 대면하는 곳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구강개방유지부(270)는 내부에 전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전, 후 또는 상, 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검자(H)의 얼굴을 얼굴지지대(200)에 거치하면 상기 구강개방유지부(270)가 피검자(H)의 구강 내측으로 진입 가능하게 되고 상악, 하악지지대(271, 272)의 상, 하 높이를 조절하여 피검자의 구강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로봇암(100)에 의한 검체 검사가 용이한 환경을 도출해 낼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상기 구강개방유지부(270)는 피검자(H)의 분비물이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이므로, 겉면에 교체가 가능한 1회용 교체비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교체비닐은 본체부(10)에 다량으로 비치되어 검체 검사 전에 검사자가 미리 장착해놓을 수도 있고, 피검자(H) 스스로가 안내음성을 듣고 교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피검자(H)는 얼굴지지대(200)에 얼굴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후술되는 검체 채취용 면봉(600)이 파지된 로봇암(100)의 동작에 따라 검체가 채취된다.
도 4의 (a)는 검체 채취용 면봉을, (b)는 검체용기를 예시한 도면이다.
검체 채취용 면봉(600)은,
대략 15~20cm의 길이를 갖는 동일한 직경의 몸체부(610)와, 몸체부(610)의 한쪽 끝부분에 동글게 감겨진 상태로 결합되며, 감촉이 부드럽고 비강이나 구강내부의 분비물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솜이나 천으로 이루어진 검체 채취부(6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검체 채취용 면봉(600)은 피검자(H)의 상기도 내측으로 삽입한 후 비강이나 구강내벽의 점막으로부터 분비물을 채취하게 된다. 채취가 완료된 면봉은 세균을 포함한 미생물을 검사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검체의 채집 후 바로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신속한 검사가 불가능하다면, 채집된 검체는 적당한 환경에서 보존된 상태로 미생물 검사가 실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채집된 검체를 보존하기 위한 보존액(730)을 담은 검체용기(700)가 구비될 수 있다.
검체용기(700)는,
보존액(730)을 담은 튜브(710)와 튜브(710) 상단 주입구에 결합하여 밀봉시키는 뚜껑(7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710)는 검체 채취용 면봉(600)보다 길이가 짧은, 대략 10~15cm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면봉을 튜브(710)에 수용하기 위해서는 채집이 완료된 검체 채취용 면봉(600)의 몸체부(610) 일부를 절단할 수 있다. 이어서 면봉을 수용한 검체용기(700)의 상단에 뚜껑(720)을 결합하여 채집된 검체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게 한다. 즉, 이러한 검체 채취용 면봉(600)은 후술되는 로봇암(100)의 파지부(110)에 파지되고, 이동 및 분리되어 자동으로 검체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로봇암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로봇암(100)은,
앞서 설명한 본체부(10)상에 설치되며, 검체 채취용 면봉(600)을 파지하여 피검자(H)의 검체를 채취해주는 다관절형 로봇암(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피검자(H)의 얼굴과 대면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피검자(H)의 상기도 내측으로 정확하게 진입하도록 위치 및 자세가 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봇 암은 인간의 팔, 손목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손목 부위에 소정의 도구를 부착시킬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로봇암이란 상박, 하박, 팔꿈치 등의 구성 요소 및 손목 부위에 결합되는 파지부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봇암(100)은 힌지 회전 및 원주방향 회전이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관절로 구성되어 다자유도를 가지며 구동될 수 있다. 로봇암(100)은 피검자(H)의 상기도에 삽입되는 검체 채취용 면봉(600) 및 검체용기(700)의 뚜껑(720)이 탈착 가능하도록 파지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a는 파지부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b 및 6c는 파지부에 검체 채취용 면봉이 삽입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6d는 피검자를 통해 검체 검사가 이루어지는 사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설명해보면,
파지부(110)는,
상기 검체 채취용 면봉(600)의 몸체부(610) 및 검체용기(700)의 뚜껑(720)이 끼워지도록 내부에 중공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111) 내에는 상기 면봉 및 뚜껑(720)을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수축 또는 확장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착부(11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압착부(111a)는 전동모터 또는 공기팽창을 이용하여 확장 및 축소 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로봇암(100)의 선단에는 파지부(110)와 연결되어 파지부(110)의 전, 후 길이를 조절해줄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이송 구동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파지부(110)에 파지된 검체 채취용 면봉(600)을 전, 후 작동시켜 상기도의 내측으로 진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때, 이송 구동부(112)는 정밀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리니어 모터 또는 실린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정밀한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관하다.
그리고 파지부(110) 내부에는 피검자(H)의 검체 채취 시 파지된 면봉을 진동이나 회전 동작 시켜주는 제1구동발생부(113)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도의 채취부위를 보다 광범위하고 면밀하게 접촉시킬 수 있고, 회전 및 진동을 동시에 행함으로써 단시간에 검체 검사가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검체 검사의 오진율은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파지부(110)는 검체 채취용 면봉(600)이 상기도 채취부위에 접촉될 때의 압력을 감지하는 가압센서(11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압센서(114)를 통해 측정된 상기 면봉의 압력이나 접근 위치, 접촉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정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이상 감지 신호를 제어부(50)에 전달하고, 제어부(50)는 상기 가압센서(114)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후술되는 마스터 콘솔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마스터 콘솔부(500)는,
원격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검사자의 감독 하에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5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나아가 검사자로 하여금 로봇암(100)을 자동제어 상태에서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핸들부(51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20)는,
앞서 설명한 하나 이상의 센싱부(30)와 후술되는 카메라모듈(140)의 식별 정보 또는 형상 정보를 유무선 통신모듈에 의해 로봇암(1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로봇암(100)의 식별 정보는 로봇암(100)을 고유하게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며, 형상 정보는 로봇암(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가압센서(114)로부터 수신된 이상 감지 신호를 검사자에게 안내하도록 경고성 알람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핸들부(5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봇암(100)을 수동모드에 의해 동작시킬 경우 검사자로 하여금 수동으로 조종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핸들부(510)는, 조이스틱 또는 다관절 로봇 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센싱부(30)로부터 수신된 로봇암(100)의 위치 정보, 후술되는 카메라모듈(140)로부터 수집되는 영상 정보 등에 기초하여 검사자가 로봇암(100)을 조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핸들부(510)는 앞서 언급한 다관절 로봇 손으로 이루어져 로봇암(100)의 조종을 위한 무구속의 3차원 손동작 모션 인식 시스템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손동작을 로봇에 전달하는 일련의 센싱제어전달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은 공지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음에 따라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핸들부(510)에는 앞서 설명한 가압센서(114)를 통해 측정된 상기 면봉의 압력이나 접근 위치, 접촉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정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진동이나 반발력을 발생시켜주는 제2구동발생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압센서(114)를 통해 이상 감지 신호를 전달받은 핸들부(510)에 진동 또는 반발력을 발생시켜 검사자에게 이상 동작을 인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0) 또는 상기 로봇암(100)에는 상기 파지부(110)를 소독해주는 소독액 분사장치(120) 및 소독된 상기 파지부(110)를 살균 및 건조시켜주는 자외선 살균장치(13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a)는 로봇암에 구비된 소독액 분사장치를, (b)는 자외선 살균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해보면, 검체 검사를 실시한 후 파지부(110)에는 피검자(H)의 분비물이나 세균이 묻을 수 있고, 이러한 이유로 2차 감염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하여 1차로 소독액 분사장치(120)를 통해 소독액을 분사하여 파지부(110)를 세척하고, 2차로 자외선 살균장치(130)를 통해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파지부(110)를 살균 및 건조시켜줄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로, 소독액 분사장치 및 자외선 살균장치가 본체부 상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소독액 분사장치(120)와 자외선 살균장치(130)는 본체부(10) 상에 하나의 몸체로 설치되되, 로봇암(100)의 선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로봇암(100)의 파지부(110)를 홈부(121)에 삽입하여 소독액을 분사시키고 이어서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파지부(110)를 보다 세밀하게 소독 및 살균할 수 있다.
한편, 로봇암(100)의 선단에는 로봇암(100)의 구동에 의해 검체 부위를 이동하면서 그 전방을 촬영하고, 디스플레이부(520)를 통해 영상정보를 제공해주는 카메라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로봇암(100)의 구성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러한 예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면봉수납함(300)은,
앞서 설명한 본체부(10)상에 설치되며, 검체 검사 전의 멸균 처리된 일회용 검체 채취용 면봉(600) 다수 개가 나란히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검체 채취용 면봉(600)은 로봇암(100)의 파지부(110)에 의해 하나씩 끼워져 인출될 수 있으며, 검체 채취용 면봉(600)은 외부 환경에 의해 오염 및 이염이 되지 않도록 낱개로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봉수거함(400)은,
앞서 설명한 본체부(10) 상에 설치되며, 검체 채집이 완료된 면봉이 수거되어 안전하게 보존될 수 있도록 내부에는 다수 개의 검체용기(700)가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검체용기(700)는 튜브(710)에 뚜껑(720)이 결합된 상태 또는 분리된 상태로 비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뚜껑(720)을 파지한 채로 회전 및 가압시킬 수 있는 파지부(110)에 의하여 튜브(710)로부터 뚜껑(720)을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다. 뚜껑(720)이 분리된 상태인 경우, 다수 개의 뚜껑(720)들은 어느 한 곳에 적층되어 보관될 수 있다.
도 9은 검체 채집이 완료된 면봉이 검체용기에 수용되어 밀봉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a)에서와 같이 파지부(110)에 파지되어 피검자(H)로부터 검체 채집이 완료된 검체 채취용 면봉(600)을 튜브(710)의 주입구로 진입시켜 검체 채취부(620)가 보존액(730)에 잠기도록 한다.
이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비틀어서 몸체부(610) 일부를 부러뜨리고, 파지부(110)에 파지되어 있던 몸체부(610)의 잔재물은 탈락시킨다. 마지막으로, (c)와 같이, 파지부(110)는 뚜껑(720)을 파지하고 검체용기(700)의 주입구에 가압 또는 회전 방식으로 결합하여 검체 채취용 면봉(600)을 밀봉시키게 된다. 피검자(H)의 검체를 채취하고 밀봉까지 마친 검체용기(700)는 비로소 외부로 운반되어 PCR검사(Polymerase Chain Reaction)등 다양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H: 피검자 1: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10: 본체부 20: 통신부
30: 센싱부 40:연산부
50: 제어부 60: 출력제어부
100: 로봇암 110: 파지부
111: 중공부 111a: 압착부
112: 이송 구동부 113: 제1구동발생부
114: 가압센서 120: 소독액 분사장치
130: 자외선 살균장치 121: 홈부
140: 카메라 모듈 150: 오디오신호부
200: 얼굴지지대 210: 지지베이스
211: 가이드레일 220: 턱 지지부
230: 측면 지지부 231: 힌지부
240: 이마 지지부 250: 감지센서
260: 머리고정부 270: 구강개방유지부
271: 상항지지대 272: 하악지지대
300: 면봉수납함 400: 면봉수거함
500: 마스터 콘솔부 510: 핸들부
520: 디스플레이부 600: 검체 채취용 면봉
610: 몸체부 620: 검체 채취부
700: 검체용기 710: 튜브
720:뚜껑 730:보존액

Claims (18)

  1.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설치되며, 피검자의 얼굴이 소정 지점에 위치하도록 지지해주는 얼굴지지대;
    상기 얼굴지지대와 대향되게 이격 설치되며, 피검자의 상기도에 면봉을 삽입하여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상기 면봉을 파지해주는 파지부가 구비되는 다관절 로봇암;
    상기 얼굴지지대에 지지된 피검자의 얼굴 위치나, 상기 로봇암을 통해 피검자의 상기도에 삽입되는 면봉에 가해지는 압력을 포함한 정보를 검출해줄 수 있도록 복수의 센서가 구비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와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얼굴지지대의 위치 및 상기 면봉 도달 위치에 이르는 경로를 계산해주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의 연산결과에 따라 상기 얼굴지지대와 상기 로봇암을 제어해주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피검자의 콧구멍 또는 구강을 통하여 상기 면봉의 도달 위치에 이르는 경로를 계산해주는 것인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의 센서는,
    상기 검체 채취용 면봉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상기 면봉을 이용한 검체 채취 시 상기 면봉의 접촉 여부를 감지해주는 가압센서; 및
    상기 본체부 상에 위치되는 피검자의 얼굴을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지지대는,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소정 위치로 이동되면서 피검자의 얼굴을 지지해주는 것인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지지대는,
    상기 피검자의 머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머리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지지대는,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소정 위치로 이동되면서 피검자의 구강을 개방된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강개방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로봇암은,
    검체 채취가 완료된 상기 파지부를 소독해주는 소독액 분사장치; 및
    소독된 상기 파지부를 살균 및 건조시켜주는 자외선 살균장치;를 더 포함하는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피검자의 검체 채취 시 상기 파지된 면봉을 진동이나 회전 동작시켜주는 제1구동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면봉이 끼워지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 내에는 상기 면봉을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수축 또는 확장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착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는,
    상기 얼굴지지대 및 로봇암과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로봇암을 원격 상태에서 수동으로 제어해주는 핸들부가 구비된 마스터 콘솔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콘솔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면봉의 압력이나 접촉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정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알람을 발생시켜주는 것인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면봉의 압력이나 접촉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정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핸들부에 구비된 제2구동발생부를 제어하여 진동이나 반발력을 발생시켜주는 것인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암의 선단에는,
    상기 파지부의 전, 후 길이를 조절해줄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이송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암은,
    상기 로봇암의 구동 시 상기 파지부의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제공해주는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는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피검자와 검사자 간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오디오 신호의 입, 출력을 위한 오디오신호부;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는,
    검체 채취 전 면봉이 수납되는 면봉수납함; 및
    검체 채취 후 면봉이 수납되는 면봉수거함;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면봉수거함에는,
    상기 검체 채취용 면봉을 보존하기 위한 다수 개의 검체용기;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KR1020200106074A 2020-07-31 2020-08-24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KR102526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074A KR102526234B1 (ko) 2020-08-24 2020-08-24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PCT/KR2021/008022 WO2022025445A1 (ko) 2020-07-31 2021-06-25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074A KR102526234B1 (ko) 2020-08-24 2020-08-24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977A true KR20220025977A (ko) 2022-03-04
KR102526234B1 KR102526234B1 (ko) 2023-04-28

Family

ID=8003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074A KR102526234B1 (ko) 2020-07-31 2020-08-24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6234B1 (ko)
WO (1) WO20220254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786A (ko) * 2022-03-15 2023-09-22 한국기계연구원 최적 구동메커니즘을 가지는 검체 채취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42517A (zh) * 2022-04-11 2022-08-02 五邑大学 手持可视核酸采样系统、采样显示终端及采样控制方法
CN115177294B (zh) * 2022-06-08 2023-04-14 香港大学深圳医院 一种基于自动夹取的核酸试样收集装置
CN114983487B (zh) * 2022-08-02 2022-11-08 浙大城市学院 核酸检测咽拭子保存辅助装置
CN116327256B (zh) * 2023-02-23 2024-04-16 北京理工大学 咽拭子采集机器人及采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684A (ko) * 2010-05-14 2011-11-22 김선미 면봉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귀이개
KR101634588B1 (ko) 2015-02-11 2016-06-29 한국기계연구원 원격 초음파 진단장치
US20190239969A1 (en) * 2018-02-02 2019-08-08 Brachium, Inc. Medical robotic work station
CN111227874A (zh) * 2020-03-13 2020-06-05 苏州点合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呼吸道标本采集的自动装填密封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2458A (en) * 1996-02-20 1998-06-09 Computer Mo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inimally invasive cardiac procedures
CN111438697B (zh) * 2020-03-31 2021-10-08 华中科技大学 用于核酸检测采样的软体操作头、刚性基座及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684A (ko) * 2010-05-14 2011-11-22 김선미 면봉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귀이개
KR101634588B1 (ko) 2015-02-11 2016-06-29 한국기계연구원 원격 초음파 진단장치
US20190239969A1 (en) * 2018-02-02 2019-08-08 Brachium, Inc. Medical robotic work station
CN111227874A (zh) * 2020-03-13 2020-06-05 苏州点合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呼吸道标本采集的自动装填密封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786A (ko) * 2022-03-15 2023-09-22 한국기계연구원 최적 구동메커니즘을 가지는 검체 채취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234B1 (ko) 2023-04-28
WO2022025445A1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6234B1 (ko) 원격 자동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KR102619022B1 (ko) 상기도 검체 채취 장치
CN110123454A (zh) 医疗机器人工作站
TWI804847B (zh) 機器人系統及機器人系統的控制方法
WO2022021963A1 (zh) 一种便携式咽拭子采集智能装置
CN111843974A (zh) 一种用于核酸检测采样的机器人
JP7459234B2 (ja) 医療用移動体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CN205215174U (zh) 一种医用口腔固定撑开装置
CN112206008A (zh) 一种非接触式鼻咽检测机器人
TWI821650B (zh) 診斷/治療支援機器人、診斷/治療支援機器人系統、以及診斷/治療支援方法
JP6920575B1 (ja) ロボットシステム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212287621U (zh) 一种用于核酸检测采样的机器人
CN115151384A (zh) 用于检测人员医学状况的设备和方法
Silberman Non-inflatable sterile sheath for introduction of the flexible nasopharyngolaryngoscope
KR20220043384A (ko) 검체채취면봉 그리퍼
CN213551938U (zh) 咽拭子
CN209059282U (zh) 一种具有可调节副手柄的内镜取样钳
JP2022168669A (ja) 検体採取ロボットシステム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JP2022168691A (ja) 検体採取ロボットシステム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CN114533137A (zh) 一种医用多用途采样拭子、采样器、采样系统及控制方法
KR100994215B1 (ko) 내시경 시스템
CN114469190A (zh) 一种口腔咽拭子采样机器人
JPH01129861A (ja) サンプリングチュ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