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5411A -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implanting of dental restoration - Google Patents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implanting of dental resto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5411A
KR20220025411A KR1020200106085A KR20200106085A KR20220025411A KR 20220025411 A KR20220025411 A KR 20220025411A KR 1020200106085 A KR1020200106085 A KR 1020200106085A KR 20200106085 A KR20200106085 A KR 20200106085A KR 20220025411 A KR20220025411 A KR 20220025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guide
information
implant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0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5930B1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200106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930B1/en
Priority to US17/095,840 priority patent/US11612462B2/en
Priority to CN202080103954.9A priority patent/CN116056660A/en
Priority to PCT/KR2020/015812 priority patent/WO2022045453A1/en
Publication of KR20220025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4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9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18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us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52Implant; Prosthe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implanting dental restoration to increase dental restoration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es: a first step of overlapping and matching a scanning image including 3D external shape information of the gum to be restored with a CT image including alveolar bone information on the basis of a preset occlusal plane; a second step of virtually arranging a plurality of virtual implants selected and extracted from a digital library along the dental arch so that each upper end thereof is aligned with a first reference plane spaced apart from the occlusal plan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vertical dimension; a third step of extracting one erasing model matching the gum part to be restored among a plurality of erasing models standardiz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anatomical dentition and stored in the digital library; a fourth step of virtually arranging the extracted removal model to allow one side to match the occlusal plane and allow the other side to match the first reference plane, and erasing an overlapping part of the 3D external shape information of the gum part to be restored and the removal model to swap and correct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3D external shape information of the gum part with a virtual flat surface; and a fifth step of setting design information of a flattening guide and surgical guide, which guide a tool for alveolar bone flattening and implant placement on the basis of the 3D external shape information of the gum part to be restored, and the dental restoration.

Description

치아수복물 임플란팅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implanting of dental restoration}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implanting of dental restoration

본 발명은 치아수복물 임플란팅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수복 신뢰도가 개선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implant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implantation in which dental restoration reliability is improved.

일반적으로, 틀니(denture) 또는 보철(dental prosthesis)은 결손된 자연치아를 대체하여 외형과 기능을 인공적으로 회복시켜주는 치아수복물(dental restoration)이다. 이때, 상기 틀니 또는 보철은 구강 내부에 설치되어 저작기능을 회복시키고 치주조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손된 치아의 개수에 따라 부분/완전틀니, 부분/완전보철로 구분될 수 있다.In general, a denture or a prosthesis is a dental restoration that artificially restores an appearance and function by replacing a missing natural tooth. At this time, the dentures or prostheses can be installed inside the oral cavity to restore the masticatory function and prevent periodontal tissue deformation, and can be divided into partial/complete dentures and partial/complete prosthe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missing teeth.

한편, 상기 틀니는 내면측 형합홈에 치과용 접착제가 도포되어 잇몸의 표면에 접착되어 설치된다. 이로 인해, 잇몸에 직접적인 교합압력이 가해지므로 인해 이물감 및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상기 보철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고정되어 교합압력으로 인한 잇몸의 이물감 및 통증이 감소된다. 그러나, 상기 보철이 실질적으로 영구 고정되어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틀니와 상기 보철의 단점을 보완해주는 오버덴쳐가 개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nture is installed by applying a dental adhesive to the inner surface-side mold groove to b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gum. For this reason, there was a problem of causing a foreign body feeling and pain because direct occlus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gums. On the other hand, the prosthesis is fixed to a fixture to b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thereby reducing the feeling of foreign body and pain in the gums due to occlusal pressur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sthesis is substantially permanently fixed and difficult to manage. Accordingly, an overdenture that compensates for the shortcomings of the denture and the prosthesis has been disclosed.

상세히, 상기 오버덴쳐는 상기 보철처럼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고정되면서도 상기 틀니처럼 구강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므로 세척 등의 관리가 용이하다. 이때, 상기 오버덴쳐에는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포함된다.In detail, since the overdenture is detachable from the oral cavity like the denture while being fixed to a fixture to be placed on the alveolar bone like the prosthesis, it is easy to manage such as cleaning. In this case, the overdenture includes a coupling means selectively coupled to the abutment fixed to the fixture.

여기서, 종래의 결합수단은 상기 치조골의 치열궁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되어 식립 및 고정되는 식립물에 개별 매칭되는 볼타입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식립물을 경유하는 바타입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식립물이라 함은 픽스츄어 및 어태치먼트/어버트먼트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ventional coupling means is provided as a ball type that is individually matched to the implanted and fixed implants spaced apart along the dental arch of the alveolar bone, or is provided as a bar type passing through the implant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implantation includes a fixture and an attachment/abutment.

이때, 볼타입의 결합수단은 각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되는 어태치먼트의 상단부가 상기 오버덴쳐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부에 개별 결합되는 구조이며, 따라서 각 어태치먼트와 각 고정부 간의 위치 정밀성이 요구된다. 즉, 상기 결합수단 중 어느 하나라도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지 못하면 상기 오버덴쳐가 정확하게 설치되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the ball-type coupling means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attachment fastened to each of the fixtures is individual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verdenture, and thus the positional precision between each attachment and each fixing part is required. That is, if any one of the coupling means is not aligned at the correct pos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verdenture cannot be installed accurately.

그리고, 바타입의 결합수단은 각 상기 픽스츄어에 체결되는 어버트먼트를 따라 고정바가 경유되어 고정되며, 상기 틀니의 내면에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부 및 상기 고정바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볼타입의 결합수단보다 상기 바타입의 결합수단이 상기 오버덴쳐를 구강에 장착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And, the bar-type coupling means is fixed via a fixing bar along the abutment fastened to each of the fixtures,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and the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bar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nture.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ar-type coupling means is easier to mount the overdenture in the oral cavity than the ball-type coupling means.

이때, 상기 고정바는 상기 치조골에 기식립된 복수개의 상기 식립물을 경유하도록 상기 식립물의 식립위치에 대응하여 절곡되어 구비되되, 절곡 후 저작압력 등의 외력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강성의 금속재질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가 각 상기 식립물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각 상기 식립물의 식립높이가 일정하게 정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치조골의 평탄화작업이 요구된다. 더욱이, 치아수복이 요구되는 피시술자마다 수직고경이 상이한데, 이러한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치조골의 절삭량이 결정된다.At this time, the fixing bar is provided bent corresponding to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implant to pass through a plurality of the implants previously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nd after bending, deformation due to external forces such as masticatory pressure can be minimized. It is made of metal material. Therefore, in order for the fixing bar to be firmly fixed to each of the implants, the height of each of the implants must be uniformly aligned, and for this purpose, a flattening operation of the alveolar bone is required. Moreover, the vertical diameter is different for each recipient who requires dental restoration, and the amount of cutting of the alveolar bone is determined in response to the vertical diameter.

그러나, 종래에는 시술자가 경험치를 토대로 치조골을 절삭/평탄화하였으며, 이로 인해 절삭량이 너무 많거나 혹은 적은 경우 대합치아와 오버덴쳐 간의 교합이 바람직하지 못하여 불편감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치조골의 평탄화된 외면이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높이에 대응하여 정밀하게 형성되지 못하여 상기 고정바를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 operator cut / flattened the alveolar bone based on the experience value, and for this reason, when the amount of cutting is too large or small, the occlusion between the opposing tooth and the overdenture is undesirab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comfort is increased.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flattened out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ould not be precise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at which the fixture was placed, so that the fixing bar could not be firmly fixed.

한편, 종래에는 상기 식립물의 식립위치 및 상기 오버덴쳐의 설계를 포함하는 전반적인 치아수복 계획이 피시술자의 치조골 외면 및 밀도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CT이미지를 기반으로 설계된다. Meanwhile, in the prior art, the overall dental restoration plan including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implant and the design of the overdenture is designed based on the CT image including information such as the outer surface and density of the alveolar bone of the recipient.

이때, CT이미지의 경우 치조골에 대한 정보는 획득이 용이하나 연조직인 잇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어렵다. 또한, CT이미지 데이터를 실제 오버덴쳐 및 임플란팅을 가이드하는 각 장치의 설계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CT이미지를 상기 오버덴쳐 및 각종 가이드장치를 3차원 프린팅하거나 밀링하기 용이한 STL파일로 변환시 과도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각종 가이드장치의 제조시간 및 제조된 각종 가이드장치를 이용한 일련의 임플란팅 과정, 즉 치조골 절삭 및 픽스츄어 식립 등과 같은 과정에 장시간이 소요되면서 치아수복의 전반적인 기간이 증가하여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a CT image, it is easy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alveolar bone, but it is difficult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gum, which is a soft tissue.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use the CT image data in the design of each device for guiding the actual overdenture and implantation. That is, it takes too much time to convert the CT image into an STL file that is easy to 3D print or mill the overdenture and various guide devices. In addition, as the manufacturing time of various guide devices and a series of implanting processes using the manufactured guide devices, that is, processes such as alveolar bone cutting and fixture placement, take a long time, the overall period of dental restoration increases, increasing inconvenience There was a problem being

한국 등록특허 제10-1694475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9447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아수복 신뢰도가 개선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implanting in which dental restoration reliability is improv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를 포함하는 스캐닝이미지가 치조골정보를 포함하는 CT이미지와 기설정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중첩되어 정합되는 제1단계; 상기 교합평면으로부터 기설정된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이격된 제1기준면에 각 상단부가 정렬되도록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 추출된 복수개의 가상 임플란트가 치열궁을 따라 가상 배치되는 제2단계;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해부학적 치열에 대응하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규격화되어 복수개로 저장된 소거모델 중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와 매칭되는 하나의 소거모델이 추출되는 제3단계; 추출된 상기 소거모델의 일면이 상기 교합평면과 매칭되고 타면이 상기 제1기준면과 매칭되도록 가상 배치되되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와 상기 소거모델의 중첩부분이 소거되어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 상면측이 가상 평탄면으로 스왑 보정되는 제4단계; 및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 및 상기 가상 평탄면을 기반으로 치조골 평탄화 및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기구를 가이드하는 평탄화 가이드 및 서지컬 가이드와, 치아수복물의 설계정보가 설정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step in which the scanning image including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gum part to be restored is overlapped and matched with the CT image including the alveolar bone information based on a preset occlusal plane; a second step of placing a plurality of virtual implants selected and extracted from a digital library along the dental arch so that their upper ends are aligned on a first reference plane spaced apart from the occlusal plane in correspondence to a predetermined vertical height; a third step of extracting one erased model matching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from among the plurality of erased models standardized into a semi-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anatomical dentition in the digital library; One surface of the extracted model to be erased matches the occlusal plane and the other surface is virtually arranged to match the first reference plane, and the overlapping part of the three-dimensional appearance information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art and the erase model is erased, so that the restoration target gum part a fourth step of swap-correcting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three-dimensional appearance information to a virtual flat surface; And a flattening guide and surgical guide for guiding an instrument for alveolar bone planarization and implant placemen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virtual flat surface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and a fifth step of setting design information of the dental restoration It provides a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implantation.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구강의 횡단면이 표시되는 CT이미지를 기반으로 식립정보가 정확하게 설정되되 실제 설계를 위한 이미지데이터는 표면정보(surface data)인 스캐닝이미지 및 가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의 3차원 프린팅이 가능한 STL파일로 전환이 용이하므로 이미지조작 및 설계공정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다.First,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is accurately set based on the CT image showing the cross-section of the oral cavity, but the image data for the actual design is the 3D of the implanting guide device based on the scanning image and virtual data, which are surface data. Since it is easy to convert to a printable STL file, the image manipulation and design process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둘째, 환자의 교합평면 및 수직고경이 고려된 가상 임플란트 및 가상 슬리브장치의 위치가 먼저 고려된 후 가상평탄면이 설정됨에 따라 대합치와의 교합정밀성이 향상된 치아수복물 및 그의 임플란팅을 정확하게 가이드하는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의 설계정보에 대한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Second, the position of the virtual implant and virtual sleeve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occlusal plane and vertical diameter is first considered, and then the virtual flat surface is set to accurately guide the dental restoration and its implantation with improved occlusal precision with the opposing teeth. The precision of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implanting guide devic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셋째, 치조골의 평탄 및 절삭시 기준이 되는 가상평탄면 위치가 서지컬 가이드을 장착시 치조골과의 간섭에 대한 여유간격이 고려되어 보정 설정됨에 따라 실제 서지컬 가이드가 임플란트를 기설정된 식립정보에 대응하여 가이드하도록 설계되므로 임플란팅 정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Third, as the position of the virtual flat surface, which is the standard for flatness and cutting of the alveolar bone, is corrected by considering the clearance gap for interference with the alveolar bone when the surgical guide is installed, the actual surgical guide responds to the preset implantation information. Since it is designed to guide, implantation precision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수복물 임플란팅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3차원 플래닝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상 슬리브장치가 가상 배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상 평탄면이 설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의 설계정보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상 평탄면이 설정되는 과정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 flowchart of a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implan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virtual sleeve device is virtually disp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of setting a virtual fla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design information of an implanting guide devic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process for setting a virtual fla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수복물 임플란팅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implant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한편, 임플란팅이라 함은 치조골에 임플란트(이하, 픽스츄어)를 식립하는 것 뿐만 아니라 최종 치아수복물의 제조 및 식립된 상기 픽스츄어의 상측에 장착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으로 설계 및 제조되는 치아수복물은 홀더 어버트먼트와 고정바를 포함하여 상기 픽스츄어의 상측에 고정되는 홀더장치를 통해 구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능하게 장착되는 오버덴쳐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mplanting is understood to encompass a series of processes for not only placing an impla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xture) in the alveolar bone, but also manufacturing the final dental restoration and mounting it on the upper side of the implanted fixture. desirable. At this time, the dental restoration designed and manufactured by the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verdenture that is detachably mounted from the oral cavity through the holder device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ture, including the holder abutment and the fixing bar.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될 수복대상잇몸부는 상기 오버덴쳐를 통한 치아수복이 요구되는 치악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구치가 잔존하는 하악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대합악궁 또는 대합측은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와 교합되는 치악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유치악인 상악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은 상악 및/또는 하악이 무치악이나 부분무치악일 수 있으며, 상악 및/또는 하악이 유치악이되 발치 후 수복이 요구되는 경우의 오버덴쳐 설계과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And,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restoration target gum part to be described below is a jaw that requires dental restoration through the overdentur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a mandible in which the molars remain. In addition, the opposing arch or the opposing side,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preferably understood as the jaw that occludes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the maxilla, which is the deciduous jaw. Of course, in some case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edentulous or partially edentulous maxilla and/or a partially edentulous jaw, and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overdenture design process when the maxilla and/or mandible become deciduous jaws but require restoration after tooth extraction. .

이하에서 설명될 임플란팅 가이드장치는 평탄화 가이드와 서지컬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탄화 가이드는 상기 오버덴쳐와 상기 대합치 간의 수직고경, 상기 오버덴쳐가 장착되는 상기 홀더장치의 높이가 고려된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높이에 맞게 상기 치조골의 상단부를 절삭 및 평탄화하도록 가이드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지컬 가이드는 절삭 및 평탄화 된 상기 치조골에 상기 픽스츄어가 정확한 식립위치 및 방향으로 식립되도록 가이드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implanting guide device to be described below includes a planarization guide and a surgical guide. The flattening guide is a device for cutting and flattening the upper end of the alveolar bone in accordance with the implantation height of the fixture in consideration of the vertical height between the overdenture and the opposing tooth, and the height of the holder device to which the overdenture is mounted.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In addition, the surgical guide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device for guiding the fixture to be implanted in the correct placement position and direction in the cut and flattened alveolar b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수복물 임플란팅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3차원 플래닝이미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 flowchart of a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implan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아수복물 임플란팅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은 스캐닝이미지 및 CT이미지 정합(s110), 가상 임플란트 가상 배치(s120), 소거모델 추출(s130), 가상 평탄면 스왑 보정(s140) 및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와 치아수복물의 설계정보 설정(s150)과 같은 일련의 단계를 포함한다.1, the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implan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canning image and CT image registration (s110), virtual implant virtual placement (s120), erasing model extraction (s130), virtual flat surface It includes a series of steps such as swap correction (s140) and design information setting (s150) of the implanting guide device and the dental restora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는 적어도 일측이 수복대상잇몸부인 상하악의 3차원 외형정보를 포함하여 획득된 스캐닝이미지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M includes a scanned image obtained by including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upper and lower jaws of which at least one side is a restoration target.

상세히, 상기 스캐닝이미지는 구강 또는 인상모형의 표면을 스캐닝하여 획득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캐닝이미지는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를 포함하는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와 대합측의 3차원 외형정보를 포함하는 대합측 이미지(m3)를 포함하며,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와 상기 대합측 이미지(m3)가 각각 획득되되 기설정된 교합평면(op)을 기준으로 가상 교합 정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하악 이미지가 환자의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가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CT이미지(m1)는 환자의 두부를 CT촬상장치를 이용하여 획득되며, 잇몸조직에 의해 가려진 내부조직정보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scanning image is preferably obtained by scanning the surface of the oral cavity or impression model. The scanning image includes an image (m2)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art including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art and an occlusal side image (m3) including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n the opposing side, and the restoration target gum part The image m2 and the occlusal side image m3 may be acquired, respectively, and virtual occlusal alignment may be performed based on a preset occlusal plane op. Through this, the upper and lower jaw images may be virtually arranged in correspondence to the patient's vertical height. And, the CT image m1 is obtained by using the CT imaging device of the patient's head, an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internal tissue covered by the gum tissue.

상기 스캐닝이미지와 상기 CT이미지(m1)는 상호 공통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정합되며, 이를 통해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호 공통되는 부분이라 함은 잔존치아의 외면 또는 치간과 같이 잇몸조직에 가려지지 않으면서도 유동이 최소화되는 견조직의 외면일 수 있다.The scanning image and the CT image m1 are matched based on a common part, and through this, the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M can be generated. Here, the mutually common part may be the outer surface of the remaining teeth or the outer surface of the silk tissue in which the flow is minimized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gum tissue, such as between the teeth.

또는, 적어도 일측이 무치악인 경우 레퍼런스 마커를 부착한 후 상기 스캐닝이미지와 상기 CT이미지(m1)를 획득하고, 각 이미지의 동일한 부분에 표시되는 레퍼런스 마커 이미지를 공통되는 부분으로 설정하여 정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치조골의 삭제높이를 고려하여 상기 레퍼런스 마커는 상기 치조골의 상단부와 최대한 이격되는 하부측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when at least one side is edentulous, the scanning image and the CT image m1 are acquired after attaching a reference marker, and the reference marker image displayed in the same part of each image can be set as a common part to match.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erence marker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alveolar bone as much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alveolar bone preparation.

따라서,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는 상기 스캐닝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및 상기 대합측의 3차원 외형정보, 상기 CT이미지(m1)에 포함된 상하악측 치조골 및 잔존치, 하치조신경(K)과 같은 내부조직정보가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 상기 대합측 이미지(m3) 및 상기 CT이미지(m1)는 상기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정합되어 중첩 표시되되 각 이미지를 개별 수정 가능하며, 각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표시되거나 점멸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M includes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and the opposing side included in the scanning image, upper and lower jaw bone and residual teeth, and lower teeth included in the CT image m1. Internal tissue information such as the manic nerve (K) can be displayed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the restoration target gum image (m2), the opposing side image (m3), and the CT image (m1) are matched and displayed overlaid on the basis of the common part, but each image can be individually modified, and each image is optional It can be manipulated to be displayed as or blink.

상기 교합평면(op)으로부터 기설정된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이격된 제1기준면(L1)이 설정된다. 그리고, 치아수복 설계를 위한 이미지데이터들의 저장소인 디지털라이브러리에 기저장된 가상 임플란트(mf)가 선택 추출되어 치열궁을 따라 가상 배치된다. A first reference plane L1 spaced apart from the occlusal plane op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vertical height is set. Then, the virtual implant (mf) previously stored in the digital library, which is a storage of image data for designing a dental restoration, is selectively extracted and virtually placed along the dental arch.

상세히,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는 상기 스캐닝이미지, 상기 CT이미지(m1)가 로딩되어 표시되고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의 생성 및 각 설계정보가 설정되는 플래닝부와 유무선통신으로 연결된다. 즉, 스캐너 또는 CT촬상장치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데이터와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이미지데이터가 상기 플래닝부로 로딩되어 치아수복의 전반적인 계획이 수립되며, 각 임플란팅 가이드장치 및 상기 오버덴쳐의 설계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In detail, the digital library is connected to a planning unit in which the scanning image and the CT image m1 are loaded and displayed, and the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M is generated and each design information is set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That is, image data acquired through a scanner or CT imaging device and image data stored in the digital library are loaded into the planning unit to establish an overall plan for dental restoration, and design information of each implanting guide device and the overdenture is provided. can be obtained.

더욱이, 상기 가상 임플란트(mf)는 각 상단부 위치가 상기 제1기준면(L2)에 매칭되도록 가상 정렬되되 기설정된 식립정보(A)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립정보(A)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최종 치아수복물이 안정적으로 장착 지지되도록 전치측 4개소 또는, 전치측 2개소 및 구치측 2개소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식립정보(A)는 상기 CT이미지(m1)에 포함된 치조골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Moreover, the virtual implant mf is preferably virtually arrang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upper end is matched to the first reference plane L2, and is virtually arrang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et placement information A.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A) is preferably set to at least one or more plural, and preferably set to 4 anterior teeth or 2 anterior and 2 posterior so that the final dental restoration is stably mounted and supported.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A) is preferably set based on the alveolar bon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T image (m1).

더불어, 상기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에 가상치아(m61)가 가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상치아(m61)는 상기 오버덴쳐의 인공치아부에 대한 3차원 외형정보이며, 성별 및 연령별 해부학적 편차를 고려하여 산출된 각 치아의 평균값을 기반으로 표준화된 3차원 벡터데이터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치아(m61)는 성별 및 연령별 해부학적 편차를 고려하여 산출된 각 치아의 평균값을 기반으로 표준화된 3차원 벡터데이터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상치아(m61)는 단일 사이즈로 표준화되어 기저장되거나 대/중/소로 구분되어 기저장될 수도 있다. 더불어, 각 치아에 대응되는 각 인공치에 대한 3차원 외형정보가 개별 설정되되 상기 치열궁을 따라 세트화되어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상치아(m61)는 상하악 중 어느 악궁에 대한 복수개의 치아이미지가 상기 치열궁을 따라 배열된 상태로 동시에 선택되어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에 가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치아(m61)는 각 치아이미지 중 불필요한 치아이미지가 선택적으로 삭제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tooth m61 may be virtually disposed on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image m2 in response to the vertical height. The virtual tooth m61 is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about the artificial tooth part of the overdenture, and it is preferable to set standardized three-dimensional vector data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each tooth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natomical deviations by gender and age. Do. The virtual tooth m61 is preferably set as standardized three-dimensional vector data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each tooth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anatomical deviations by gender and age. In addition, the virtual tooth m61 may be pre-stored as standardized as a single size, or may be pre-stored as divided into large/medium/small.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for each artificial tooth corresponding to each tooth is individually set and stored as set along the dental arch. That is, the virtual teeth m61 may be simultaneously select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ooth images for any of the upper and lower jaws are arranged along the dental arch, and may be virtually placed on the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M. In this case, the virtual tooth m61 may be manipulated to selectively delete unnecessary tooth images from among each tooth imag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상 슬리브장치가 가상 배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상기 가상 슬리브장치라 함은 후술되는 가상 식립안내슬리브와 가상 고정안내슬리브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virtual sleeve device is virtually disp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virtual sleeve device includes a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and a virtual fixed guide sleeve to be described later.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CT이미지(m1)에 포함된 상기 치조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된 가상 임플란트(mf)가 상기 식립정보(A)에 대응하여 가상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상 임플란트(mf)의 상단부 상측으로 이격되어 동심으로 가상 배치되는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가 상기 스캐닝이미지에 중첩되어 통합 저장된다.2 to 3 , a virtual implant mf selected from the digital library based on the alveolar bon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T image m1 is virtually disposed in response to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A. In addition,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virtual implant mf and virtually arranged concentrically, is superimposed on the scanning image and stored.

상기 가상 임플란트(mf)는 실물의 픽스츄어에 대한 3차원 외형정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는 후술되는 서지컬 가이드(50)에 결합되어 실제 픽스츄어의 식립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리브의 3차원 외형정보이며,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상기 가상 임플란트(mf)와 세트로 기저장될 수 있다.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는 상기 가상 임플란트의 규격에 따라 오프셋(offset) 거리(도 6의 w3)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오프셋 거리(도 6의 w3)가 함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과 상기 가이드 슬리브 상단 사이의 이격된 거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프셋 거리(도 6의 w3)는 인접한 잔존치 또는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와의 간섭을 고려하여 설정된다.The virtual implant mf is preferably understood as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about a real fixture. In addition,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is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a guide sleeve coupled to a surgical guide 50 to be described later to guide the actual placement of the fixture, and the virtual implant mf and It can be pre-stored as a set. It is preferable that an offset distance (w3 in FIG. 6 ) of the virtual implant guide sleeve m51 is set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virtual implant.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ffset distance (w3 in FIG. 6) be understood as a spaced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and the upper end of the guide sleeve. The offset distance (w3 in FIG. 6 ) is set in consideration of an adjacent residual value or interference with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이때,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는 상기 서지컬 가이드에 포함된 결합부의 3차원 외형정보인 가상 결합부(m50a)와 세트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 결합부(m50a)는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가 가상 결합되는 가상 결합홀(m53)을 포함한다. 상기 가상 결합홀(m53)은 실물의 가이드 슬리브가 결합되는 결합홀 및 상기 결합홀 내에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돌기가 회전 결합되는 결속홈에 대한 3차원 외형정보를 포함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is set as a set with the virtual coupling part m50a, which is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coupling part included in the surgical guide. The virtual coupling part m50a includes a virtual coupling hole m53 to which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is virtually coupled. The virtual coupling hole m53 includes a coupling hole to which an actual guide sleeve is coupled, and 3D external information about a coupling groove in which a protrusion of the guide sleeve is rotationally coupled in the coupling hole.

더불어, 상기 식립정보(A) 및 하치조신경(K)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앵커핀정보(D)에 대응하여 상기 가상 고정안내슬리브(m55)가 가상 배치된다. 상기 가상 고정안내슬리브(m55)는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와 함께 상기 스캐닝이미지, 바람직하게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에 통합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상 고정안내슬리브(m55)는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와 크기 및 위치 외의 실질적인 구성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response to the anchor pin information (D) set in consideration of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A) and the lower alveolar nerve (K), the virtual fixed guide sleeve (m55) is virtually arranged. The virtual fixed guide sleeve m55 is preferably integrated and stored in the scanning image, preferably the restoration target gum image m2, together with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At this time, since the virtual fixed guide sleeve m55 has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except for size and loc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와 상기 가상 고정안내슬리브(m55)는 상기 스캐닝이미지에 중첩되어 통합 저장된 후 일련의 과정을 통해 후술되는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의 설계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와 상기 가상 고정안내슬리브(m55)가 상기 가상 결합부(m50a)와 세트화되어 기저장되므로 상기 서지컬 가이드(50)의 설계과정이 신속하면서도 단순화되므로 제조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and the virtual fixed guide sleeve m55 are superimposed on the scanning image and integrated and stored, and then can be used as design information of the implanting guide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At this time, since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and the virtual fixed guide sleeve (m55) are set and stored in advance with the virtual coupling part (m50a), the design process of the surgical guide 50 is quick and simplified, so manufacturing Convenienc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여기서,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에 기설정된 임시삭제라인(m2a)의 내측 이미지를 삭제 보정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에 다량의 잔존치아 형상이 포함되거나 상기 가상 슬리브장치가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에 의해 과도하게 가려지는 경우 이러한 이미지 삭제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와 상기 가상 고정안내슬리브(m55)가 상기 스캐닝이미지에 중첩된 상태가 가시적으로 명확하게 인지되도록 표시될 수 있으므로 설계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Here, the process of erasing and correcting the inner image of the temporary deletion line m2a preset in the restoration target gum image m2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when a large amount of the shape of the remaining teeth is included in the restoration target image m2 or the virtual sleeve device is excessively obscured by the restoration target gum image m2, such image deletion correction may be performed. . Through this,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and the virtual fixed guide sleeve m55 can be displayed so that the superimposed state on the scanning image can be visually and clearly recognized, so that design convenience can be further improved.

이처럼 본 발명은 구강의 횡단면 이미지가 전체적으로 표시되는 상기 CT이미지(m1)를 기반으로 상기 식립정보(A)가 정확하게 설정되면서도 실질적으로 설계에 필요한 이미지데이터는 각 대상의 표면정보(surface data)만을 포함하는 상기 스캐닝이미지 및 가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된다. 즉, 이에 따라, 후술되는 상기 임플란팅 가이드장치 등을 신속하게 3차원 프린팅하여 제조할 수 있는 STL파일로의 전환이 용이하며 전반적인 설계 및 제조공정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A) is accurately set based on the CT image (m1) in which the cross-sectional image of the oral cavity is displayed as a whole, and the image data required for design includes only the surface data of each object. is set based on the scanning image and virtual data. That is, according to this, it is easy to convert the implanting guide devi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to an STL file that can be manufactured by rapid 3D printing, and the overall design and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performed quickly.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상 평탄면이 설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임플란팅 가이드장치의 설계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이하에서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는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번호로 설명 및 도시한다.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virtual fla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design information of an implanting guide devic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this case,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gum part to be restored is preferably understoo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the image m2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art, and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the same number.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와 매칭되는 하나의 소거모델(m30)이 추출된다. 상기 소거모델(m30)은 해부학적 치열에 대응하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규격화되어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기저장된다. 이때, 상기 소거모델(m30)의 라운드진 부분이 구강의 근심면(mesial)에 대응되며 수직면측이 구강의 원심면(distal)에 대응된다.Referring to FIG. 4 , a single erasing model m30 matching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is extracted from the digital library. The erasure model m30 is standardized into a semi-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anatomical dentition and stored in the digital library. At this time, the rounded portion of the erasing model m30 corresponds to the mesial surface of the oral cavity, and the vertical surface side corresponds to the distal surface of the oral cavity.

상기 소거모델(m30)은 상기 교합평면(op)과 매칭되는 수평기준면(m31)이 중앙부를 가로지르거나 타면(도면에서의 상면)에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하악의 치아수복이 동시에 진행되면 상기 수평기준면(m31)이 상기 소거모델(m30)의 중심을 따라 설정되며, 상하악 중 일측의 치아수복이 진행되면 상기 수평기준면(m31)이 상기 소거모델(m30)의 타면에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 측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면(m33)이 상기 가상 임플란트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제1기준면(L1)으로부터 기설정된 여유간격(w1)으로 하향 이격된 제2기준면(L2)과 대응되도록 가상 조절된다. 상기 수평기준면(m31)과 상기 일면(m33) 사이 간격(h)은 환자의 수직고경과 치아수복계획이 고려되어 가상 조절될 수 있다.In the erasure model m30, a horizontal reference plane m31 matching the occlusal plane op may cross the central portion or may be set on the other surface (upper surface in the drawing). For example, when the upper and lower teeth are restored at the same time, the horizontal reference plane m31 is set along the center of the erasing model m30. It can be set on the other surface of (m30). In addition, at least one surface m33 corresponding to the restoration target image m2 side is a second reference plane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reference plane L1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virtual implant by a preset clearance w1. Virtually adjusted to correspond to (L2). The distance h between the horizontal reference plane m31 and the one surface m33 may be virtual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vertical height and tooth restoration plan.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된 상기 소거모델(m30)의 타면, 즉 상기 수평기준면(m31)이 상기 교합평면(op)과 매칭되고 상기 일면(m33)이 상기 제1기준면(L1)과 매칭되도록 가상 배치된다. 이때,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와 상기 소거모델(m30)의 중첩부분이 소거되어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의 상단부가 상기 가상 평탄면(E)으로 스왑 보정된다. 이러한 가상 평탄면(E)은 후술되는 상기 평탄화 가이드의 설계정보로 활용되며, 이를 통해 상기 치조골의 상단부의 골삭제 높이가 상기 환자의 수직고경 및 이를 기반으로 설계되는 상기 오버덴쳐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Virtual arrangement so that the other surface of the erasing model m30 extracted from the digital library, that is, the horizontal reference plane m31 matches the occlusal plane op, and the one surface m33 matches the first reference plane L1 do. In this case,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restoration target image m2 and the erasing model m30 is erased, and the upper end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image m2 is swapped to the virtual flat surface E. This virtual flat surface (E) is used as design information of the flattening guide to be described later, and through this, the height of the bone preparation of the upper end of the alveolar bone is set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height of the patient and the overdenture designed based on it. can

한편,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m50)를 기반으로 제조되는 실물의 서지컬 가이드와 평탄화된 상기 치조골의 외면 사이가 기설정된 여유간격(w1)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소거모델(m30)의 타면(m33)이 상기 제1기준면(L1)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제2기준면(L2)과 대응하여 가상 조절된다. 이를 통해, 상기 가상 평탄면(E)이 상기 제2기준면(L2)과 대응하여 가상 보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surface of the erasing model (m30) so that the actual surgical guide manufactured based on the design information (m50) of the surgical guide and the flattened out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are spaced apart by a preset clearance gap (w1) (m33) is virtually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reference plane L2 that is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reference plane L1. Through this, the virtual flat surface E is virtually correct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reference surface L2.

여기서, 상기 여유간격(w1)은 상기 제1기준면(L1)을 기준으로 하향 돌출되는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의 하단부 위치 및 배치각도가 고려되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기준면(L1)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 또는 상기 가상 결합부(m50a)의 3차원 외형정보가 고려되어 상기 여유간격(w1)이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물의 서지컬 가이드가 구강에 장착되어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이 가이드될 때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내면 구조와 평탄화된 상기 치조골의 상면부 간의 간섭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가 상기 3차원 플래닝이미지(M)를 기반으로 설정된 상기 식립정보(A)에 대응하여 정확하게 식립되므로 임플란팅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learance distance w1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and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lower end of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protruding downward based on the first reference plane L1. That is,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or the virtual coupling part m50a protruding below the first reference plane L1 is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e clearance distance w1 may be set. Through this, interference between the inner structure of the surgical guide and the flattened upp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when the actual surgical guide is mounted in the oral cavity and the implantation of the fixture is guided. Through this, since the fixture is accurately placed in response to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A) se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planning image (M), implanting precis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상세히, 도 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m50)는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를 기반으로 내면부 윤곽이 형성되되,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의 외주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결합홀(m53)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m50)가 3차원 프린터 등의 제조장치로 전송됨에 따라 실물의 서지컬 가이드가 제조된다.In detail, referring to FIG. 5 (a), the design information (m50) of the surgical guide is the inner contour is formed based on the image (m2)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It is set including the step of forming the virtual coupling hole (m53)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And, as the design information m50 of the surgical guide is transmitted to a manufacturing apparatus such as a 3D printer, the actual surgical guide is manufactured.

상세히,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로부터 기설정된 두께 또는 간격으로 돌출 또는 이격되어 가상 몸체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상 몸체부의 상측으로 상기 스캐닝이미지에 통합 저장된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 및 상기 가상 결합부(m50a)가 가상 배치된다. 더불어, 상기 스캐닝이미지에 중첩 저장된 상기 가상 고정안내슬리브(m55)를 기반으로 앵커핀이 고정될 수 있는 피스고정부의 설계정보가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m50)에 포함될 수 있다.In detail, the virtual body part is formed by protruding or spaced apart from the restoration target gum image m2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or interval. In addition,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and the virtual coupling part m50a integrated and stored in the scanning image are virtually disposed above the virtual body part. In addition, design information of a piece fixing part to which an anchor pin can be fixed based on the virtual fixing guide sleeve m55 superimposed on the scanning image and stored may be included in the design information m50 of the surgical guide.

여기서, 상기 가상 결합홀(m53)은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와 세트로 기저장된 상기 가상 결합부(m50a)에 포함된다. 따라서, 별도의 복잡한 설계과정 없이도 상기 가상 결합홀(m53)가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m50) 내에 즉각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virtual coupling hole m53 is included in the virtual coupling part m50a pre-stored as a set with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Accordingly, the virtual coupling hole m53 can be immediately set in the design information m50 of the surgical guide without a separate complicated design process.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평탄화 가이드의 설계정보(m40)는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m2)를 기반으로 내면부 윤곽이 형성되는 단계와, 상기 가상 평탄면(E)과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되는 테두리를 따라 평탄가이드면의 설계정보(m41)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평탄화 가이드의 설계정보(m40)가 3차원 프린터 등의 제조장치로 전송됨에 따라 실물의 평탄화 가이드가 제조된다.Referring to Figure 5 (b), the design information (m40) of the flattening guide is the step of forming an inner contour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m2)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and the virtual flat surface (E) ) and the design information m41 of the flat guide surface is set along the rim that is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rming step. And, as the design information m40 of the planarization guide is transmitted to a manufacturing apparatus such as a 3D printer, a real planarization guide is manufactured.

상세히,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에서 상기 가상 평탄면(E)을 기준으로 하측에 대응하는 잇몸의 내외측면 표면정보로부터 기설정된 두께 또는 간격으로 돌출 또는 이격되어 가상 몸체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상 몸체부에서 상기 가상 평탄면(E)을 기준으로 상측은 개구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상 평탄면(E)의 외곽과 매칭되는 상기 가상 몸체부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상기 평탄가이드면의 설계정보(m41)가 설정된다. 더불어, 상기 스캐닝이미지에 중첩 저장된 상기 가상 고정안내슬리브(m55)를 기반으로 앵커핀이 고정될 수 있는 피스고정부의 설계정보가 상기 평탄화 가이드의 설계정보(m40)에 포함될 수 있다.In detail, the virtual body portion is formed by protruding o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and outer surface surface information of the gum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based on the virtual flat surface E in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image m2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or interval. At this time, the upper side of the virtual body portion based on the virtual flat surface (E) is set to be opened. Then, the design information m41 of the flat guide surface is set along the upper edge of the virtual body that matches the outer edge of the virtual flat surface E. As shown in FIG. In addition, based on the virtual fixed guide sleeve m55 superimposed on the scanning image, design information of a piece fixing part to which an anchor pin can be fixed may be included in the design information m40 of the flattening guide.

즉, 상기 서지컬 가이드와 상기 평탄화 가이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데이터인 상기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m2) 및 상기 앵커핀정보(D)를 기반으로 설계되되, 상기 가상 평탄면(E)을 기준으로 상기 평탄가이드면의 설계정보(m41) 또는 상기 가상 결합홀(m53)의 위치가 설정된다. 따라서, 최종 제조된 상기 평탄화 가이드와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내면부 윤곽 및 상기 피스고정부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평탄화 가이드를 분리 후 상기 서지컬 가이드(50)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호 간의 장착위치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므로 임플란팅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at is, the surgical guide and the planarization guide are designed based on the substantially identical image data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image (m2) and the anchor pin information (D), and based on the virtual flat surface (E) The design information m41 of the flat guide surface or the location of the virtual coupling hole m53 is set. Accordingly, the contou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nally manufactured flattening guide and the surgical guide and the position of the piece fixing part may be set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Through this, since the mounting positions are substantially identical to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surgical guide 50 after separating the planarization guide, implanting precis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더욱이, 상기 평탄화 가이드는 절삭 및 평탄화된 상기 치조골의 상단부와 실물의 서지컬 가이드 사이의 간섭에 대한 여유간격이 고려되도록 상기 평탄가이드면의 설계정보(m41)가 상기 제2기준면(L2)를 기반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실물의 서지컬 가이드가 상기 치조골에 장착된 상태에서 내측면은 치조골 측면부를 따라 형합 고정되되 상기 가이드 슬리브가 결합되는 내면부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서지컬 가이드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지 못하면서 발생하는 식립오차를 미연에 방지하므로 임플란팅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planarization guide, the design information m41 of the flattening guide surface is based on the second reference surface L2 so that the clearance gap for interference between the cut and flattened upper end of the alveolar bone and the actual surgical guide is taken into account. is set to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actual surgical guide is mounted on the alveolar bone, the inner surface portion to which the guide sleeve is couple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being molded and fix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Through this, the implantation precision can be remarkably improved because an implantation error that occurs when the surgical guide is not mounted in an accurate position is prevented in advanc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상 평탄면이 설정되는 과정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본 변형예에서 가상 어버트먼트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a process for setting a virtual fla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virtual abutment in the present modificatio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소거모델(m30)은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의 오프셋 거리(w3)에 대응하여 매칭되는 가상 어버트먼트(m14)를 기반으로 가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m14)는 상기 오프셋 거리(w3)가 고려되어 이격된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와 상기 가상 임플란트 사이에 가상 배치된다.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m14)는 하면부가 상기 가상 임플란트의 상단부와 매칭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오프셋 거리(w3)에 따라 높이(w2)가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오프셋 거리가 9mm인 경우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의 길이는 4.5mm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오프셋 거리가 10.5mm인 경우 6mm, 12mm인 경우 7.5로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removal model m30 may be virtually disposed based on a matching virtual abutment m14 corresponding to the offset distance w3 of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 The virtual abutment m14 is virtually disposed between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and the virtual implant spaced apart in consideration of the offset distance w3. Preferably, the lower surface of the virtual abutment m14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at matches the upper end of the virtual implant, and the height w2 may be set according to the offset distance w3. For example, when the offset distance is 9 mm, the length of the virtual abutment may be set to 4.5 mm, if the offset distance is 10.5 mm, it may be set to 6 mm, and when the offset distance is 12 mm, it may be set to 7.5.

그리고, 상기 소거모델(m30)의 일면(m33)이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m14)의 하면부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상기 제2기준면(L2)에 대응하여 가상 보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소거모델(m30)은 실제 픽스츄어의 상단에 결합되는 홀더 어버트먼트의 상단부 위치까지 고려되어 가상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치조골의 절삭 및 평탄화 높이가 더욱 바람직하게 설정되므로, 후술되는 임플란팅 과정에서 구강 대 장치 또는 장치 대 장치 간의 간섭으로 인한 정밀도 저하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surface m33 of the erasing model m30 is virtually correct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reference surface L2 se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virtual abutment m14. That is, the erasing model m30 is virtually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upper end of the holder abutmen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actual fixture. Through this, since the cutting and flattening height of the alveolar bone is more preferably set,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e problem of a decrease in precision due to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oral-to-device or device-to-device in the implanting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더욱이, 상기 치조골의 절삭 및 평탄화 범위/위치가 상기 가상 임플란트 및 이와 세트로 가상 배치되는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m51)를 기반으로 설정된다. 즉, 상기 치조골의 절삭 및 평탄화 높이는 상기 홀더장치 및 상기 홀더장치를 통해 장착되는 상기 오버덴쳐의 높이가 먼저 고려된 후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종 제조 및 구강에 장착되는 상기 오버덴쳐와 대합치 간의 교합정밀성이 향상되며 저작시 불편함이 최소화되므로 치아수복 만족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cutting and flattening range/position of the alveolar bone is set based on the virtual implant and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m51 that is virtually placed as a set. That is, the cutting and flattening height of the alveolar bone may be set after first considering the height of the overdenture mounted through the holder device and the holder device. Through this, the occlusal precision between the overdenture and the opposing tooth to be finally manufactured and mounted in the oral cavity is improved, and the discomfort during mastication is minimized, so that the satisfaction of dental restorat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provid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It should be construed as not excluding compon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can be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 플래닝이미지 m2: 수복대상잇몸부 이미지
m3: 대합측 이미지 m14: 가상 어버트먼트
m30: 소거모델 m40: 가상 홀더장치
m51: 가상 식립안내슬리브 E: 가상 평탄면
M: Planning image m2: Gum image to be restored
m3: contralateral image m14: virtual abutment
m30: erasing model m40: virtual holder device
m51: virtual placement guide sleeve E: virtual flat surface

Claims (5)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를 포함하는 스캐닝이미지가 치조골정보를 포함하는 CT이미지와 기설정된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중첩되어 정합되는 제1단계;
상기 교합평면으로부터 기설정된 수직고경에 대응하여 이격된 제1기준면에 각 상단부가 정렬되도록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 추출된 복수개의 가상 임플란트가 치열궁을 따라 가상 배치되는 제2단계;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해부학적 치열에 대응하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규격화되어 복수개로 저장된 소거모델 중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와 매칭되는 하나의 소거모델이 추출되는 제3단계;
추출된 상기 소거모델의 일면이 상기 교합평면과 매칭되고 타면이 상기 제1기준면과 매칭되도록 가상 배치되되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와 상기 소거모델의 중첩부분이 소거되어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 상면측이 가상 평탄면으로 스왑 보정되는 제4단계; 및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 및 상기 가상 평탄면을 기반으로 치조골 평탄화 및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기구를 가이드하는 평탄화 가이드 및 서지컬 가이드와, 치아수복물의 설계정보가 설정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a first step of overlapping and matching a scanning image including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n the restoration target gum part with a CT image including alveolar bone information based on a preset occlusal plane;
a second step of arranging a plurality of virtual implants selected and extracted from a digital library along the dental arch so that their upper ends are aligned on a first reference plane spaced apart from the occlusal plane in correspondence to a predetermined vertical height;
a third step of extracting one erased model matching the restoration target gum portion from among the plurality of erased models standardized into a semi-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anatomical dentition in the digital library;
One surface of the extracted model to be erased matches the occlusal plane and the other surface is virtually arranged to match the first reference plane, and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erasure model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art is erased, so that the restoration target gum part a fourth step of swap-correcting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three-dimensional appearance information to a virtual flat surface; and
A flattening guide and a surgical guide for guiding an instrument for alveolar bone planarization and implant placemen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virtual flat surface of the restoration target gum part, and a fifth step of setting design information of the dental restoratio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implan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가상 임플란트의 상단부 상측에 동심으로 가상 배치되는 가상 식립안내슬리브가 상기 스캐닝이미지에 통합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를 기반으로 내면부 윤곽이 형성되되,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의 외주에 대응하는 가상 결합홀이 형성된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tep includes the step of integrating and storing a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which is virtually arranged concentrically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virtual implant, in the scanning image,
In the fifth step, the inner contour is forme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gum part to be restored, and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surgical guide in which a virtual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is formed is generated.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implantation comprising the step.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서지컬 가이드의 설계정보를 기반으로 제조되는 서지컬 가이드의 내면이 평탄화된 상기 치조골 외면이 기설정된 여유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소거모델의 타면이 상기 제1기준면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제2기준면과 대응되도록 가상 조절되는 단계와,
상기 가상 평탄면이 상기 제2기준면과 대응하여 가상 보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ourth step is
The other surface of the erasing model is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reference surface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the inner surface of which is flattened, is spaced apart by a preset clearance interval of the surgical guide, which is manufactured based on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surgical guide. Virtually adjusted to correspond, and
The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implant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virtual correc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reference plane of the virtual flat surfa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수복대상잇몸부의 3차원 외형정보를 기반으로 내면부 윤곽이 형성되되, 상기 소거모델의 중첩부분이 소거되어 가상 보정된 상기 가상 평탄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되는 테두리를 따라 평탄가이드면이 형성되는 평탄화 가이드의 설계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fifth step, an inner contour is forme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of the gum part to be restored, and an overlapping portion of the erased model is erased and an rim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orrected virtual flat surface.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implan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generating design information of the planarization guide on which the flattening guide surface is form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가상 식립안내슬리브의 오프셋 거리에 대응하여 매칭되는 가상 어버트먼트가 가상 배치되는 단계와,
상기 소거모델의 타면이 상기 가상 어버트먼트의 하면부 위치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상기 제2기준면에 대응하여 가상 보정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수복물 임플란팅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처리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ourth step is
Virtually arranging a matching virtual abutment corresponding to the offset distance of the virtual implantation guide sleeve;
The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implanting a dental restoration, comprising the step of virtual cor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ference plane set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virtual abutment the other surface of the erase model.
KR1020200106085A 2020-08-24 2020-08-24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implanting of dental restoration KR1024359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085A KR102435930B1 (en) 2020-08-24 2020-08-24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implanting of dental restoration
US17/095,840 US11612462B2 (en) 2020-08-24 2020-11-12 Method of implanting dental restoration
CN202080103954.9A CN116056660A (en) 2020-08-24 2020-11-13 Method for implanting dental restoration
PCT/KR2020/015812 WO2022045453A1 (en) 2020-08-24 2020-11-13 Dental restoration implan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085A KR102435930B1 (en) 2020-08-24 2020-08-24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implanting of dental resto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411A true KR20220025411A (en) 2022-03-03
KR102435930B1 KR102435930B1 (en) 2022-08-24

Family

ID=80818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085A KR102435930B1 (en) 2020-08-24 2020-08-24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implanting of dental resto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930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4000A1 (en) * 2009-11-16 2012-11-08 Nobel Biocare Services Ag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and/or producing a dental prosthesis
KR101694475B1 (en) 2015-10-08 2017-01-10 (주)카이노스메덴텍 Manufacturing method of overdenture applied with ball and socket type attachments
KR20180098230A (en) * 2015-10-23 2018-09-03 내셔널 덴텍스 엘엘씨 Bone base guide system and method
KR20200000704A (en) * 2018-06-25 2020-01-0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for designing a dental surgical guid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067614B1 (en) * 2019-08-02 2020-01-17 주식회사 임솔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lates for planning implant surgery
KR102091571B1 (en) * 2018-11-19 2020-03-23 주식회사 디오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 and general purpose wax-bite applied to thereof
EP3685797A1 (en) * 2017-09-20 2020-07-29 Obschestvo S Ogranichennoi Otvetstvennostyu "Avantis3d" Method for using a dynamic virtual articulator for simulating occlusion when designing a dental prosthesis for a patient, and data carri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4000A1 (en) * 2009-11-16 2012-11-08 Nobel Biocare Services Ag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and/or producing a dental prosthesis
KR101694475B1 (en) 2015-10-08 2017-01-10 (주)카이노스메덴텍 Manufacturing method of overdenture applied with ball and socket type attachments
KR20180098230A (en) * 2015-10-23 2018-09-03 내셔널 덴텍스 엘엘씨 Bone base guide system and method
EP3685797A1 (en) * 2017-09-20 2020-07-29 Obschestvo S Ogranichennoi Otvetstvennostyu "Avantis3d" Method for using a dynamic virtual articulator for simulating occlusion when designing a dental prosthesis for a patient, and data carrier
KR20200000704A (en) * 2018-06-25 2020-01-0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for designing a dental surgical guid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091571B1 (en) * 2018-11-19 2020-03-23 주식회사 디오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 and general purpose wax-bite applied to thereof
KR102067614B1 (en) * 2019-08-02 2020-01-17 주식회사 임솔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lates for planning implant surg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930B1 (en)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743B1 (en)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dental prosthesis
KR10163125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in mouth for dental implant using tray
JP6867047B2 (en) How to make a dental implant drill guide
KR10153809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in mouth for dental implant
KR10155036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in mouth for dental implant
KR10159449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u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marker in mouth for dental implant
KR102296246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overdenture
KR102246985B1 (en) dental implant insertion set
KR101956072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denture
US11612462B2 (en) Method of implanting dental restoration
KR102054901B1 (e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KR102459365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dental prosthesis
KR102091571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 and general purpose wax-bite applied to thereof
KR101452718B1 (en) bite tray for image matching
KR102296249B1 (en) digital overdenture manufacturing method
KR102172860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dental implant in mouth
US11992376B2 (en) Dental restoratio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system, and general-purpose wax bite applied thereto
KR1021219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
KR102080245B1 (e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KR102438919B1 (en) implant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KR101675503B1 (en) reference wire attached in mou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using thereof for dental implant
EP3375401A1 (en) Template and method for planning the surgery of dental implants and/or guided placement of a prosthesis on implants
KR102435930B1 (e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implanting of dental restoration
KR10154477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ual guide and crown, abutment in mouth for dental implant
KR20230033134A (en) manufacturing method of digital overden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