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072B1 -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dentur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den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072B1
KR101956072B1 KR1020170118024A KR20170118024A KR101956072B1 KR 101956072 B1 KR101956072 B1 KR 101956072B1 KR 1020170118024 A KR1020170118024 A KR 1020170118024A KR 20170118024 A KR20170118024 A KR 20170118024A KR 101956072 B1 KR101956072 B1 KR 101956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h
denture
temporary
correct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0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병호
정승미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70118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0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0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digital denture to improve convenience and precision in manufacturing, which comprises: a first step of capturing a three dimensional image in which surface information of a target arch and occlusion information of an opposite arch in an oral cavity are displayed wherein a temporary denture having one side occlusion-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arch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engagement-corresponding to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target arch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a second step of installing the produced temporary denture within the oral cavity wherein a corrected scanning image of the temporary denture in which an engagement recess engaged with the target arch and an occlusion surface part occluded with the opposite arch are corrected is acquired; and a third step of designing and producing the digital denture by setting an inner profile of an artificial gum part according to three 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corrected engagement recess and setting the occlusion surface part of an artificial tooth part according to three 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corrected occlusion surface part.

Description

디지털틀니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denture}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denture [

본 발명은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편의성 및 정밀성이 개선되는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den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denture in which manufacturing convenience and precision are improved.

일반적으로, 틀니(denture)는 의치라고도 하며, 자연치아가 빠졌을 때 결손된 치아의 모양과 기능을 인공적으로 회복시켜주는 구강내 인공삽입물이다.In general, dentures, also called dentures, are artificial implants that artificially restore the shape and function of missing teeth when natural teeth are missing.

상세히, 자연치아가 상실된 상태로 방치될 경우 결손된 치아의 인접치아 및 대합치아의 치열 뒤틀림으로 인한 안면형상의 변형이 초래되며, 저작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가중된다. 더욱이, 자연치아의 상실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결손된 치아를 둘러싸고 있던 치조골이 체내로 흡수되어 보철물의 설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detail, when the natural tooth is left in a state of being lost, the facial shape is deformed due to the dental arch distortion of the adjacent tooth and the opposed tooth of the missing tooth, and the chewing function is deteriorated and the inconvenience to daily life is increased. Furthermore, when the loss state of the natural teeth is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alveolar bone surrounding the lost teeth is absorbed into the body, making it difficult to install the prosthesis.

이에, 저작기능과 함께 환자의 심미적 만족도를 고려하여 구강 내부에 상기 틀니가 구비되되, 결손된 치아의 개수에 따라 부분틀니 또는 완전틀니로 구분되며, 상기 틀니의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구강 내부에 고정된다.The denture is provided in the oral cavity in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 satisfaction of the patient along with the masticatory function. The denture is divided into a partial denture or a full dentu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missing teeth. After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enture, Respectively.

이때, 상기 틀니, 특히 완전틀니는 상악 및 하악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치아가 대부분 상실된 무치악 내지 부분무치악 환자의 구강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틀니는 설치대상 잇몸을 감싸 고정되는 인공잇몸부와 결손된 치아를 대신하는 인공치아부를 포함하되, 환자마다 각기 다른 치아의 형태와 높이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제조되며 구강 내부에 대응하여 측정된 모형에 따라 제작된다.At this time, the denture, particularly the complete denture, may be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of a edentulous or partial edentulous patient in which teeth of at least one of the maxillary and mandibles are largely lost. In detail, the denture includes an artificial tooth part to replace a tooth to be installed, and an artificial tooth part to replace a missing tooth, and is manufactured individually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height of teeth different from patient to patient, And is made according to the model.

상세히, 종래의 틀니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조된다. 먼저, 치조골을 따라 치아의 형태에 적합하게 선정된 트레이의 내부에 인체에 무해한 졸 상태의 레진 또는 왁스가 충진된다. 그리고, 상기 레진 또는 왁스가 충진된 트레이를 환자의 구강 내부에 설치하여 인상이 채득되며, 채득된 인상을 기반으로 인공잇몸부에 대한 모형이 제작된다.In detail, a conventional denture is manufactured by the following process. First, a tray or a wax,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is filled in the tray selected to fit the tooth shape along the alveolar bone. Then, a tray filled with the resin or wax is installed inside the patient's mouth to make an impression, and a model for the artificial gum is formed based on the obtained impression.

한편, 상기 인공잇몸부에 대한 모형의 상면 즉, 치아결손부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소정의 두께로 파라핀이 부착되어 환자의 구강 내부에 설치되며, 환자의 저작감도에 따라 상기 파라핀의 두께가 조절되면서 인공치아부의 높이가 설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paraffin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rtificial gum part corresponding to the tooth missing part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installed inside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and the thickness of the paraffi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atient's sensitivity The height of the artificial abdomen is set.

이어서, 상기 인공잇몸부에 대한 모형 및 설정된 인공치아부의 높이에 대응하여 1차 틀니모형이 제작되면 환자의 구강 내부에 재설치하여 저작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높이로 미세조절될 수 있으며, 이렇게 조절된 1차 틀니모형을 기반으로 상기 틀니가 제조된다.Subsequently, when the first denture model corresponding to the model and the height of the artificial abdomen is manufactured corresponding to the artificial gingival section, it can be finely adjusted to a height at which the artificial gingiva can be comfortably felt by being reinstalled inside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he denture is fabricated on the basis of a first denture model.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틀니 제조방법은, 실질적으로 환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측정 및 조절단계는 치과와 같은 시술자측에서 수행되지만 상기 틀니의 직접적인 제조는 치기공소와 같은 제조자측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각 단계에서 제작되는 가공품이 시술자측과 제조자측으로 반복적으로 교차 이동된다. 또한, 상기 가공품 또는 틀니가 구강 내부에 적합하게 제작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환자는 시술자측으로 반복적으로 방문하고 구강 내부에 직접 설치하여 조절되었다. 이로 인해, 상기 틀니를 제조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며 환자가 시술자측으로 자주 방문함에 따른 불편함이 가중되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is practically performed on the side of the manufacturer such as a dental casting, while the measurement and adjustment steps for the inside of the patient's mouth are performed on the side of a practitioner such as a dentist. Thus, the workpieces produced at each step are repeatedly crossed to the operator side and the manufacturer side. Further, in order to judge whether the processed product or the denture was manufactured appropriately in the oral cavity, the patient was repeatedly visited to the practitioner's side and adjusted by installing it directly in the oral cavity. Therefore, it takes a long time to manufacture the denture, and the inconvenience caused by frequent visits of the patient to the practitioner is increased.

이에, 환자의 구강 내부를 구강스캐너로 스캐닝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틀니를 설계 및 제조하는 기술이 일부 개시되었다. 그러나, 구강 내부의 혀 또는 볼점막과 같은 연조직의 유동성에 의해 획득된 스캐닝 이미지에 불필요한 이미지가 포함됨에 따라 구강 내부에 대한 이미지정보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부정확한 이미지정보를 기반으로 설계 및 제조되는 틀니가 환자의 구강 내부에 실질적으로 형합되지 못하여 환자가 불편함을 호소하며 틀니를 다시 제조함에 따라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a technique for designing and manufacturing the denture based on an image obtained by scanning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with an oral scanner has been partially disclosed. However, since unnecessary images are included in the scanning image acquired by the fluidity of the soft tissue such as the tongue or the ball mucous membrane in the oral cavity, the accuracy of the image information about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is reduced. As a result, the denture designed and manufactured on the basis of the incorrect image information is incompatible with the inside of the patient's mouth, complicating the patient's discomfort, and the denture being re-manufactured.

한국 등록특허 제10-0403834호Korea Patent No. 10-040383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조편의성 및 정밀성이 개선되는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denture with improved manufacturing convenience and precision.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 내 대상악궁의 표면정보 및 대합악궁과의 교합정보가 표시되는 3차원 작업이미지가 획득되되, 일측이 상기 대합악궁과 교합 대응되고 타측 내면이 상기 대상악궁의 표면정보와 형합 대응되는 임시틀니가 설계 및 제조되는 제1단계; 상기 제조된 임시틀니가 상기 구강 내 설치되되, 상기 대상악궁에 형합되는 형합홈 및 상기 대합악궁과 교합되는 교합면부가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에 대한 보정스캐닝이미지가 획득되는 제2단계; 및 상기 보정된 형합홈의 3차원 표면정보에 따라 인공잇몸부의 내면 프로파일이 설정되고, 상기 보정된 교합면부의 3차원 표면정보에 따라 인공치아부의 교합면부가 설정되어 디지털틀니가 설계 및 제조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임시틀니가 상기 구강 내 설치되고 상기 대합악궁과 교합시 교합 압력에 의해 상기 형합홈 및 상기 교합면부의 표면 프로파일이 상기 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의 표면 프로파일과 대응되도록 보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는 상기 형합홈에 경화성 수지가 도포되어 상기 대상악궁에 설치되되 상기 경화성 수지가 상기 교합 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형성된 형합보정면부의 프로파일 이미지 및 상기 교합면부에 상기 교합 압력에 의해 형성된 상기 대합악궁측 치아의 저작흔을 기준으로 절삭되어 형성된 교합보정면부의 프로파일 이미지를 획득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e-dimensional working image obtained by displaying surface information of an arch in an oral cavity and information of occlusion with an opposed arch, wherein one side corresponds to the occlusion with the opposite arch, A first step of designing and manufacturing a temporary dentur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arch; A second step of obtaining a corrected scanning image for the temporary denture in which the prepared temporary denture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and the occlusal surface portion of the occlusal surface portion occluded with the cervical arch is corrected, And an inner surface profile of the artificial gingival section is set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corrected mold groove and an occlusal surface portion of the artificial abutment is set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corrected occlusal surface portion, Wherein the second dental prosthesis is provided in the oral cavity and the surface profile of the mold cavity and the occlusal surface portion is formed by the occlusal pressure when the dental prosthesis is in engagement with the dental arch, Wherein the corrected scanning image includes a profile image of a mold-overlapping front surface portion formed by applying a curable resin to the mold groove and provided on the target arch, wherein the curable resin is pressurized by the occlusal pressure, And based on the chewing shake of the opposed arch-shaped tooth formed by the occlusal pressure on the occlusal surface portion To obtain a profile image of the cutting bite is correct surface portion formed to provide a digital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by the created.

삭제delet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대상악궁 및 대합악궁에 대한 스캐닝이미지를 기반으로 1차 제조되되 구강 내 설치되어 각 악궁과 정확하게 매칭되도록 보정되는 임시틀니를 통하여 최종 제조되는 디지털틀니의 설계정보가 정확하게 획득되면서도 사용중인 틀니가 없는 경우에도 임시틀니를 임시로뿐만 아니라 실제로 사용 가능하므로 활용성 및 시술과정에서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irst, based on the scanned images of the target arches and the archery arches,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nture that is manufactured first through the temporary denture, which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and corrected to accurately match each arch, is accurately acquired, The temporary dentures can be used not only temporarily but also practically, so that the usability and convenience in the procedur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둘째, 임시틀니가 구강 내 설치된 상태에서 교합되기만 하면 틀니대상자가 직접 인지하는 최적의 저작감도에 따라 대상악궁에 형합되는 형합홈 및 대합악궁과 교합되는 교합면부가 정밀하게 보정되므로 이를 기반으로 설계 및 제조되는 디지털틀니의 구강 내 설치정밀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Second, as long as the temporary denture is occluded in the oral cavity, the occlusal surface portion of the denture fused to the target arch and the occlusal arch occluded to the target dental arch is precisely corrected according to the optimum dental sensitivity that the subject perceives directly, The precision in the oral cavity of the manufactured digital denture can be remarkably improved.

셋째, 임시틀니는 인공잇몸부와 임시치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조비용 및 공수가 감축되며, 교합시 형성되는 저작흔에 대응하여 절삭 가공하거나 도포된 경화성 수지가 가압되어 공극이 충진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보정되므로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틀니의 설계정보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Third, the temporary dentur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artificial gingival portion and the temporary tooth portion,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number of voids are reduced, and in accordance with the chewing formed at the occlusion, the cutting process or the cured resin applied is pressed to fill the cavity So that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nture can be obtained accurately and easily based on the cor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틀니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에서 구강 내 스캐닝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에서 임시틀니의 설계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에서 임시틀니가 보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에서 보정스캐닝이미지를 기반으로 디지털틀니가 설계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디지털틀니가 구강 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manufacturing a digital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raoral scanning process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design process of a temporary denture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rrecting a temporary denture in a digital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designing a digital denture based on a corrected scanning image in a digital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digital den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den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틀니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manufacturing a digital den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은 3차원 작업이미지의 획득 및 임시틀니 설계/제조(s10), 임시틀니가 구강 내 설치되어 보정 및 보정된 임시틀니의 보정스캐닝이미지 획득(s20), 그리고 보정스캐닝이미지를 기반으로 디지털틀니 설계 및 제조(s30)와 같은 과정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digital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cquiring a three-dimensional working image and designing / manufacturing temporary dentures (s10), adjusting the provisional denture Scanning image acquisition (s20), and digital denture design and manufacture based on the corrected scanning image (s30).

그리고, 본 발명의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은 촬상장치(10), 플래닝부(20), 제조장치(30)를 포함하는 디지털틀니 제조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촬상장치(10)는 오랄스캐너 및 CT촬상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래닝부(20)는 상기 촬상장치(10)를 이용하여 획득된 스캐닝이미지가 로딩되고 디지털라이브러리에 기저장된 설계정보를 바탕으로 임시틀니 및 디지털틀니가 설계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조장치(30)는 상기 플래닝부(20)에서 설계된 상기 임시틀니 및 상기 디지털틀니가 3차원 프린팅 또는 밀링가공되어 실물로 제조되는 3차원 프린터 또는 밀링기 등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조장치(30)는 상기 설계된 정보에 대응하여 준비되는 금형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digital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digital denture manufacturing system 100 including the imaging device 10, the planing portion 20, and the manufacturing device 30.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maging apparatus 10 is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n oral scanner and a CT imaging apparatus. The planning unit 20 loads the scanning image acquired using the imaging apparatus 10,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temporary denture and the digital denture are designed based on the design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den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nufacturing apparatus 30 is a three-dimensional printer or a milling machine in which the temporary denture designed in the planning unit 20 and the digital denture are three-dimensionally printed or milled to be fabricated. Of course, the manufacturing apparatus 30 may further include a mold apparatus prepared corresponding to the designed information.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을 상악 또는 하악 중 어느 일측이 무치악이거나 상하악이 모두 무치악인 구강 내부에 설치되는 완전틀니의 제조과정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은 상악 또는 하악의 일부 치아가 결손된 부분무치악에 설치되는 부분틀니 제조과정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denture is shown and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complete denture in which either one of the maxilla or mandible is edentulous or the upper and lower dentitions are both edentulous. Of cours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den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partial denture, which is installed in a partially edentulous part where teeth of a maxilla or mandible are missing.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에서 구강 내 스캐닝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에서 임시틀니의 설계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에서 임시틀니가 보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raoral scanning process in the digital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sign process of the temporary denture in the digital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rrecting temporary denture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den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구강 내 대상악궁(2)의 표면정보 및 대합악궁(3)과의 교합정보가 표시되는 3차원 작업이미지(1d)가 획득된다. 그리고,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를 기반으로 일측이 상기 대합악궁(3)과 교합 대응되고 타측 내면이 상기 대상악궁(2)의 표면정보와 형합 대응되는 임시틀니(4)가 설계 및 제조된다(도 1의 s10).As shown in Figs. 3 to 5, a three-dimensional working image 1d in which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target arch 2 in the oral cavity and the occlusion information with the facing arch 3 are displayed is obtained. The temporary denture 4 having one side of the three-dimensional working image 1d and the other side of the denture 4 is matched with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target arch 2 according to the design and manufacture (S10 in Fig. 1).

여기서, 상기 대상악궁은 틀니가 필요한 틀니대상자의 상악 및 하악 중 틀니가 실질적으로 설치되는 치악을 의미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대상악궁이 하악인 경우를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한다.Herein, the target arch is the dental arch where the upper and lower mandibular dentures of the subject of the denture requiring the denture are substantially installed.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target arch is the mandible is described and shown as an example.

상세히,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는 구강 내 대상악궁 및 이와 교합되는 대합악궁에 대한 잇몸/치아 등의 치주조직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는 오랄스캐너를 통해 획득된 상기 대상악궁(2)의 표면정보를 포함하는 대상악궁측 스캐닝이미지(2d)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합악궁을 스캐닝하여 획득된 상기 대합악궁의 표면정보를 포함하는 대합악궁측 스캐닝이미지(3d)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대합악궁측에 잔존치아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합악궁측 스캐닝이미지(3d)에는 잇몸부 및 대합치아의 표면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대합악궁측 역시 무치악일 경우 잇몸부의 표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CT촬상장치를 통해 획득된 치조골 형상 및 밀도, 정확한 치열궁정보에 대한 이미지데이터가 더 획득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각 이미지데이터는 상기 플래닝부(도 2의 20)에서 정합 또는 매칭되어 구강 내 표면정보 및 내부조직정보가 통합 획득될 수도 있다.In detail, the 3D working image 1d refers to image data representing periodontal tissues such as gums / teeth for an arch in the oral cavity and an arch arch occluded in the arch. At this time, the 3D working image 1d includes the target arch-side scanning image 2d including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target arch 2 obtained through the ORAL scanner. Further, it includes an opposed arch-side scanning image (3d) including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confrontation arch obtained by scanning the confrontation arch. At this time, when there is a remaining tooth on the side of the confrontation arch, the information on the surface of the gingival portion and the confrontation tooth may be included in the confrontation arch image 3d, and when the confrontation arch is also edentulous,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gingival portion is included . In addition, image data of the alveolar bone shape and density obtained through the CT imaging device and accurate dental arch information may be obtained, and each such image data may be matched or matched in the planning portion (20 in FIG. 2) Information and internal organizational information may be integrated.

그리고,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는 상기 대상악궁측 스캐닝이미지(2d) 및 상기 대합악궁측 스캐닝이미지(3d)가 상기 교합정보를 기반으로 정렬 배치되어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합정보는 상기 틀니대상자에게 최적화된 저작감도를 제공하는 상기 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 간 수직고경(occulusal vertical dimension,VD)을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교합정보는 상기 대합악궁측에 포함된 치아의 저작면 정보 및 치아배열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operation image 1d may be obtained by arranging and arranging the subject arch-side scanning image 2d and the facing arch-side scanning image 3d on the basis of the occlusion information. Here, the occlusion information includes occlusal vertical dimension (VD) between the object arch and the confrontational arch, which provides the author's sensitivity to the denture target. In addition, the occlusion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chewing surface information and tooth arrangement information of teeth included in the side of the confrontation arch.

상세히, 상기 각 스캐닝이미지(2d,3d)는 구강 내에 상기 촬상장치(도 2의 10)가 각 악궁의 치열궁라인을 따라 이동되면서 획득되며, 상기 각 악궁의 표면정보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외부요소에 의한 연조직이 실질적으로 배제된 상태의 상기 각 악궁에 대한 스캐닝이미지(2d,3d)를 기반으로 임시틀니의 설계정보(4d)가 획득되며, 제조된 상기 임시틀니(4)를 보정하여 획득된 보정스캐닝이미지(도 6의 1f)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틀니(도 7의 400)의 설계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Specifically, each of the scanning images 2d and 3d is obtained by moving the imaging device 10 (Fig. 2) along the dental arch line of each arch in the oral cavity, and includes surface information of each arch.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 information 4d of the temporary denture is obtained based on the scanning images 2d and 3d for the respective arches in a state where the soft tissues by the external elements are substantially excluded, 4),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nture (400 in Fig. 7) can be obtained through the corrected scanning image (1f in Fig. 6).

이때, 상기 임시틀니(4)는 최종 제조되는 상기 디지털틀니(도 7의 400)에 대한 정밀한 설계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1차 제조되는 틀니이며, 상기 디지털틀니(도 7의 400)는 틀니대상자가 실질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인공치주조직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임시틀니(4)는 상기 디지털틀니(도 7의 400)의 설계정보를 제공하면서도 상기 디지털틀니(도 7의 400)의 제조기간 중 틀니대상자가 임시로뿐만 아니라 실제로 사용 가능하므로 활용성 및 시술과정에서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mporary dentifrice 4 is a dentifrice firstly manufactured to obtain precise design information on the digital dentifrice (400 of FIG. 7) to be finally manufactured, and the digital dentifrice (400 of FIG. 7)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it is an artificial periodontal tissue for practical use. Furthermore, since the temporary dentifrice 4 provides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nture 400 (FIG. 7), the denture target can be used not only temporarily but also during the manufacturing period of the digital denture 400 And convenience in the procedur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상기 각 스캐닝이미지(2d,3d)를 획득시 상기 대상악궁(2) 또는 상기 대합악궁의 전체적인 외면이 명확히 노출되도록 혀(a), 입술(b) 및 볼점막과 같은 구강 내 연조직을 가압 견인하는 치과용 견인장치(60)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When the scanning images 2d and 3d are acquired, the oral soft tissues such as the tongue (a), the lip (b) and the ball mucosa are pressed so that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target arch (2) It is preferable to use a dental towing device 60 for towing.

이때,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60)는 각 악궁의 잇몸부 내외측부 중 적어도 일측부와 인접한 상기 연조직 및 상기 잇몸부 사이에 삽입되되 상기 연조직이 상기 잇몸부로부터 이격되도록 구강 내 배치된다. 여기서, 각 잇몸부의 외측부는 구강의 순측(labial) 및 협측(buccal)에 대응되는 부분이고, 상기 각 잇몸부의 내측부는 설측(lingual)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ental traction apparatus 60 is inserted between the soft tissue and the gum adjacent to at least one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gum of each arch, and the soft tissue is disposed in the oral cavity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gum.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portion of each gum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labial and buccal portions of the oral cavity, and the inner portion of each of the gum portions corresponds to a lingual.

상세히, 상기 치과용 견인장치(60)는 상기 각 잇몸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각 악궁의 치열궁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탄발 변형되는 견인베이스부(61) 및 상기 견인베이스부(61)의 일측에 구비된 그립부(62)를 포함한다. 이때, 하악측에 적용되는 견인장치는 상기 견인베이스부(61)가 하악 잇몸부의 내외측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되어 견인방향이 다른 혀(a) 및 입술(b), 볼점막이 동시에 가압 견인될 수 있다. 또는, 상악측에 적용되는 견인장치는 상기 견인베이스부가 상악 잇몸부의 외측부를 감싸도록 구비됨에 따라 입술(b) 및 볼점막은 가압 견인되면서도 입천장의 외면형상까지 명확하게 스캐닝될 수 있다.In detail, the dental pulling apparatus 60 includes a pulling base portion 61 having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gingival portions are received, the pulling base portion 61 being elastically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dental arch profile of each arch, And a grip portion 62 provided at one side. At this time, the traction device applied to the mandibular side is provided such that the pulling base portion 61 covers the inner and outer side portions of the mandibular gingiva so that the tongue (a) and the lips (b) . Alternatively, the traction device applied to the maxillary side can be clearly scanned to the outer shape of the palate while the lips b and the mucosa of the ball are being pulled by the pushing base, because the pulling base portion surrounds the outer portion of the maxillary gingiva.

그리고, 상기 그립부(62)가 그립된 상태에서 구강 내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견인베이스부(61)에 의해 상기 각 잇몸부와 인접한 연조직이 가압 견인됨에 따라 상기 연조직의 유동이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촬상장치(10)가 바람직한 스캐닝경로로부터 이탈됨이 방지되어 스캐닝작업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되며 획득된 각 스캐닝이미지(2d,3d)의 왜곡이 최소화될 수 있다.When the grip portion 62 is gripped, the soft tissue adjacent to the respective gum portions is pulled by the pulling base portion 61 so that the flow of the soft tissue can be restrained. Thus, the imaging device 10 is prevented from being deviated from the preferable scanning path, so that the scann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stably and the distortion of each of the obtained scanning images 2d and 3d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연조직이 상기 각 잇몸부와 이격되면서 각 잇몸부의 전체적인 외면이 노출되므로 상기 각 스캐닝이미지(2d,3d)에 포함되는 표면정보의 명확도 및 정밀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스캐닝이미지(2d,3d)에 포함된 표면정보를 기반으로 설계 및 제조되는 상기 임시틀니(4)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임시틀니(4)를 기반으로 제조되는 상기 디지털틀니(도 7의 400)의 정확도 역시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soft tissues are spaced apart from the respective gingival portions and the entire outer surface of each gingival portion is exposed, the clarity and accuracy of the surface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of the scanning images 2d and 3d can be remarkably improved. Therefore, the accuracy of the temporary dentifrice 4 designed and manufactured based on the surface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scanning image 2d and 3d can be improved, and the accuracy of the digital dentifrice 4 manufactured based on the temporary dentifrice 4 can be improved. The accuracy of the denture (400 in Fig. 7) can also be significantly improved.

이때, 상기 각 스캐닝이미지(2d,3d)는 상기 수직고경(VD)을 포함하는 상기 교합정보에 대응하여 이격되도록 정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직고경(VD)은 상기 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 사이에 배치되는 교합정렬베이스(미도시)의 두께를 저작감도에 따라 조절하여 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canning images 2d and 3d are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occlus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vertical height VD. Here, the vertical height VD may be calculate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occlusion alignment base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subject arch and the confrontation arch depending on the mache sensitivity.

상세히, 상기 교합정렬베이스(미도시)는 왁스 등과 같이 절삭가공이 용이하고 교합시 상기 대합치아 단부의 저작흔이 형성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면 또는 타면에는 가압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치과용 레진이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구강 내 상하악 사이에 형성되는 교합공간에 상기 교합정렬베이스(미도시)가 구비되되 저작감도에 따라 가압 변형되거나 절삭 가공되면서 틀니대상자에게 최적화된 수직고경(VD)에 대응하여 두께가 조절된다. 이러한 저작감도는 틀니대상자의 직접적인 의사표현에 의해 판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턱관절 주변 및 턱근육의 전기적, 화학적 신호를 측정하여 판단될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the occlusion alignment base (not shown)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wax which is easy to cut and can form a chewing streak at the end of the opposed tooth at the time of occlusion. On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The dental resin can be applied. The occlusal alignment base (not shown) is provided in an occlusion space formed between the in-mouth and upper-and-lower oral cavity, and the thickness is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height (VD) optimized for the denture subject while being press- do. Such writing sensitivity can be judged by direct expression of the subject of the denture, and may be judged by measuring electrical and chemical signals of the jaw joint and jaw muscles in some cases.

그리고, 틀니대상자에게 최적화된 값으로 산출되는 수직고경(VD)이 상기 임시틀니(4)의 설계 과정에서 고려된다. 따라서, 제조된 임시틀니(4) 및 상기 임시틀니(4)에 대한 스캐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설계 및 제조되는 상기 디지털틀니(도 7의 400)를 구강 내 설치하여 교합 및 저작시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The vertical height VD calculated as a value optimized for the subject of denture is considered in the designing process of the temporary denture 4. Therefore, the digital denture (400 of FIG. 7) designed and manufactured on the basis of the prepared temporary denture 4 and the scanning image of the temporary denture 4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to minimize inconvenience in occlusion and mending The height can be set to be as high as possible.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는 상기 대상악궁측 스캐닝이미지(2d)와 상기 대합악궁측 스캐닝이미지(3d)가 상기 수직고경(VD)에 대응하여 정렬 배치되되, 상기 각 스캐닝이미지(2d,3d) 사이에 상기 임시틀니의 설계정보(4d)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시틀니(4)는 일측이 상기 대합악궁과 교합 대응되고 타측 내면이 상기 대상악궁(2)에 형합 대응되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하에서 4d,5d,6d,7d 및 8d로 표시되어 설명하는 임시틀니, 임시잇몸부, 임시치아부, 형합홈 및 교합면부는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에 표시되는 이미지데이터 즉, 표면정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4,5,6,7 및 8로 표시되어 설명하는 임시틀니 및 임시잇몸부, 임시치아부, 형합홈 및 교합면부는 실제로 제조된 임시틀니 및 그의 각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4 and 5, the three-dimensional working image 1d is formed by arranging the target arch-side scanning image 2d and the arch-arch scanning side image 3d in correspondence with the vertical height VD , And the design information 4d of the temporary denture may be displayed between the respective scanning images 2d and 3d. The temporary dentifrice 4 is preferably designed such that one side thereof is mated with the confronting arch and the other side is matched to the target arch 2. [ On the other hand, the temporary dentures, temporary teeth, temporary teeth, mold recesses, and occlusal surface portion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4d, 5d, 6d, 7d and 8d ar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three-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it as surface information.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temporary dentures and temporary gingiva, temporary teeth, mold joints, and occlusal surface portions described in 4, 5, 6, 7 and 8 are understood to be actually manufactured temporary dentures and respective portions thereof.

상세히,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에 상기 임시틀니의 설계정보(4d)가 표시되되, 상기 임시틀니(4d)의 일측에는 상기 대합악궁(3d)측에 잔존하는 대합치아와 대응되는 교합면부(8d)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교합면부(8d)는 상기 대합치아와 안정적으로 교합되도록 상기 대합치아의 배열 및 3차원 저작면 표면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detail, design information (4d) of the temporary denture is displayed on the three-dimensional working image (1d), and one side of the temporary dentifrice (4d) is provided with an occlusal surface (8d) is preferably set. Such an occlusal surface portion 8d may be set ba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opposed teeth and the three-dimensional manipulation surface information so as to be stably engaged with the opposed tooth.

그리고, 상기 임시틀니(4d)의 타측 내면은 상기 대상악궁(2d)의 표면정보와 형합 대응되도록 형합홈(7d)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합홈(7d)은 상기 대상악궁(2d)의 표면 프로파일과 실질적으로 형합되도록 상기 대상악궁(2d)의 3차원 표면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old groove 7d is set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temporary denture 4d is matched with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target arch 2d. The mold groove 7d may be se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target arch 2d so as to substantially conform to the surface profile of the target arch 2d.

그리고, 상기 임시틀니의 설계정보(4d)를 기반으로 제조된 상기 임시틀니(4)는 형합홈(7)을 포함하는 임시잇몸부(5)와 교합면부(8)를 포함하는 임시치아부(6)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임시틀니(4)는 구강 내 적용 가능하되 저작시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절삭가공이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기 임시틀니(4)의 보정과정에서 실제 구강 내부와의 형합 및 교합정밀도가 최대화되도록 절삭 보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시틀니(4)는 3차원 프린터를 통하여 상기 임시잇몸부(5)와 상기 임시치아부(6)가 일체로 3차원 프린팅되어 제조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밀링기 또는 금형을 준비하여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The temporary denture 4 manufactured on the basis of the design information 4d of the temporary denture 4 is inserted into the temporary tooth portion 5 including the temporary gingival portion 5 including the mold recess 7 and the occlusal surface portion 8 6) are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orary denture 4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ich can be applied in the oral cavity but can be cut with a cutting tool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so as to minimize deformation during mastication. Therefore, in the correction process of the temporary denture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utting correction can be performed so as to maximize the coupling and occlusion accuracy with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At this time, the temporary dentifrice 4 can be manufactured by three-dimensionally printing the temporary tooth portion 5 and the temporary tooth portion 6 integrally through a three-dimensional printer. In some cases, a milling machine or a mold is prepared Or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즉, 본 발명은 상기 촬상장치(도 2의 10)를 이용하여 구강 내 각 악궁의 표면정보에 대한 각 스캐닝이미지(2d,3d)가 획득된다. 그리고, 획득된 상기 각 스캐닝이미지(2d,3d)가 상기 플래닝부(도 2의 20)로 전송되되 상기 플래닝부(도 2의 20)에서 상기 수직고경(VD)에 대응하도록 정렬 배치되어 상기 3차원 작업이미지(1d)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3차원 작업이미지(1d)를 기반으로 상기 임시틀니의 3차원 설계정보(4d)가 획득된 후 상기 제조장치(도 2의 30)를 통하여 실제로 구강 내 설치될 수 있는 임시틀니(4)로 제조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scanning image (2d, 3d) is acquir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information of each arch in the oral cavity using the imaging device (10 in FIG. 2). The acquired scanning images 2d and 3d are transmitted to the planning unit 20 in FIG. 2 and are aligned and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vertical height VD in the planning unit 20 (FIG. 2) Dimensional work image 1d. Then, based on the obtained three-dimensional working image 1d, the three-dimensional design information 4d of the temporary denture is acquired, and then a temporary denture (not shown) which can be actually installed in the mouth through the manufacturing apparatus 30 4).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임시틀니(4)가 상기 구강 내 설치되되, 상기 대상악궁(2)에 형합되는 형합홈(7) 및 상기 대합악궁(3)측 대합치아와 교합되는 교합면부(8)가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4)에 대한 보정스캐닝이미지(도 6의 1f)가 획득된다(도 1의 s20).5, the temporary dentifrice 4 is provided in the oral cavity, and a mold recess 7 formed in the subject arch 2 and an occlusal surface portion 3 engaged with the opposed tooth on the cervical arch 3, A correction scanning image (1f in Fig. 6) for the temporary denture 4 with the correction 8 corrected is obtained (s20 in Fig. 1).

상세히, 상기 임시틀니(4)가 상기 구강 내 설치되고 상기 대합악궁(3)과 교합되면 교합 압력에 의해 상기 형합홈(7) 및 교합면부(8)의 표면 프로파일이 각각 상기 대상악궁(2) 및 상기 대합악궁(3)의 표면 프로파일과 대응되도록 보정된다.In detail, when the temporary dentifrice 4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and is engaged with the mating arch 3, the surface profile of the mating groove 7 and the occlusal surface portion 8 is changed by the occlusal pressure, And the surface profile of the confrontation arch (3).

이때, 상기 형합홈(7)에는 경화성 수지가 도포되어 상기 대상악궁(2)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화성 수지가 상기 교합 압력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형합홈(7)과 상기 대상악궁(2) 표면 사이의 공극부가 상기 경화성 수지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화성 수지가 경화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형합홈(7)의 내면 프로파일이 상기 경화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 형합보정면부(r1)를 포함하는 프로파일로 보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ld recess 7 may be coated with a curable resin and installed in the target arch 2. [ Then, when the curable resin is pressed by the occlusion pressure, a gap portion between the mold groove 7 and the surface of the subject arch 2 can be corrected by the curable resin. As the curable resin is cured and fixed, the inner surface profile of the mold recess 7 can be corrected to a profile including the mold overlap surface portion r1 formed by the curable resin.

또한, 상기 교합면부(8)는 상기 교합 압력에 의해 형성된 상기 대합악궁(3)측 대합치아의 저작흔을 기준으로 절삭되어 틀니대상자의 저작감도에 따라 최적화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교합면부(8)의 표면 프로파일이 상기 대합치아와 매칭되는 교합보정면부(r2)를 포함하는 프로파일로 보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cclusal surface portion 8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chewing shake of the opposed tooth on the side of the confrontation arch 3 formed by the occlusion pressure and optimized according to the dental sensitivity of the denture target. Whereby the surface profile of the occlusal surface portion 8 can be corrected to a profile including an occlusal correction surface portion r2 that matches the opposing tooth.

그리고, 상기 촬상장치(도 2의 10)를 이용하여 상기 형합홈(7) 및 상기 교합면부(8)가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4)의 전체적인 외면을 스캐닝함에 따라 상기 형합보정면부(r1)의 프로파일 이미지(도 6의 rp1) 및 상기 교합보정면부(r2)의 프로파일 이미지(도 6의 rp2)가 획득되어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도 6의 1f)가 생성될 수 있다.Then, as a result of scanning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temporary denture 4 in which the die groove 7 and the occlusal surface portion 8 are corrected by using the imaging device 10 shown in Fig. 2, (Rp1 in Fig. 6) and the profile image (rp2 in Fig. 6) of the occlusion correcting surface portion r2 may be obtained to generate the corrected scanning image (1f in Fig. 6).

즉, 본 발명은 상기 대상악궁(2) 및 상기 대합악궁(3)에 대한 스캐닝이미지(2d,3d)를 기반으로 1차 제조되는 상기 임시틀니(4)가 구강 내 실체로 설치되어 상기 각 악궁과 정확하게 매칭되도록 보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보정된 임시틀니(4)에 대한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도 6의 1f)를 기반으로 최종 제조되는 상기 디지털틀니(도 7의 400)의 설계정보가 정확하게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중인 틀니가 없는 경우에도 상기 임시틀니(4)를 상기 디지털틀니(도 7의 400)의 제조기간 중에 실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임시틀니(4)를 통하여 정보획득 기능 및 임시사용 기능의 이중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활용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orary denture 4, which is firstly manufactured based on the scanning images 2d and 3d for the object arch 2 and the confrontation arch 3, is installed as an intraoral substance,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nture (400 in FIG. 7) finally manufactured based on the corrected scanning image (1f in FIG. 6) for the temporary denture 4 correc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accurately obtained.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no denture in use, the temporary denture 4 can be actually used during the manufacturing period of the digital denture (400 in Fig. 7). Therefore, the dual function of the information acquiring function and the temporary use function is provided through one temporary dentifrice 4, so that the us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상기 임시틀니(4)는 상기 형합홈(7)에 상기 경화성 수지가 도포된 상태에서 구강 내에 설치하여 교합되기만 하면 틀니대상자가 직접 인지하는 최적의 저작감도에 따라 상기 형합홈(7) 및 상기 교합면부(8)가 정밀하게 보정된다. 따라서, 이렇게 보정된 임시틀니(4)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를 기반으로 설계 및 제조되는 상기 디지털틀니(도 7의 400)의 구강 내 설치정밀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visional denture 4 may be provided in the cavity 7 in a state where the curable resin is applied to the cavity 7, The occlusal surface portion 8 is precisely corrected. Therefore, the intraoral placement accuracy of the digital denture (400 of FIG. 7) designed and manufactured on the basis of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corrected temporary denture 4 can be remarkably improved.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틀니 제조방법에서 보정스캐닝이미지를 기반으로 디지털틀니가 설계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디지털틀니가 구강 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6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designing a digital denture based on a corrected scanning image in a digital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ntures are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도 6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정된 형합홈의 3차원 표면정보(7f)에 따라 인공잇몸부(410)의 내면 프로파일이 설정되고, 상기 보정된 교합면부의 3차원 표면정보(8f)에 따라 인공치아부(420)의 교합면부가 설정되어 상기 디지털틀니(400)가 설계 및 제조된다(도 1의 s30).6 to 7, the inner surface profile of the artificial gingiva 410 is set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7f of the corrected mold groove, and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8f The digital dent 400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by setting the occlusal surface of the artificial abutment 420 (s30 in FIG. 1).

상세히,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1f)는 상기 임시치아부가 상기 교합보정면부의 프로파일 이미지(rp2)에 대응하여 보정되고 상기 임시잇몸부가 상기 형합보정면부의 프로파일 이미지(rp1)에 대응하여 보정된 임시틀니(도 5의 4)를 상기 촬상장치(도 2의 20)로 스캐닝하여 획득된다. 따라서,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1f)에는 상기 형합보정면부의 프로파일 이미지(rp1)가 대체 보정된 상기 형합홈의 3차원 표면정보(7f)와 상기 교합보정면부의 프로파일 이미지(rp2)가 대체 보정된 상기 교합면부의 3차원 표면정보(8f)가 포함되어 생성된다.6, the corrected scanned image 1f is corrected so that the temporary tooth portion corresponds to the profile image rp2 of the occlusal correction surface portion, and the temporary ging is added to the profile image rp1 of the combined- (4 in Fig. 5) to the imaging device (20 in Fig. 2). Therefore, in the corrected scanning image 1f,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7f of the mold groove in which the profile image rp1 of the mold-type merging face portion has been alternately corrected and the profile image rp2 of the occlusion correcting surface portion are substituted- 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8f of the occlusal surface portion.

이때,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1f)는 먼저 상기 보정된 임시틀니를 스캐닝하여 획득된 3차원 표면정보 내에서 상기 형합홈의 외곽측 및 임시치아부와 임시잇몸부의 연결부를 따라 선택입력된 경계영역(x)을 기반으로 형합영역부(m1) 및 교합영역부(m2)가 설정된다. 이때, 상기 형합영역부(m1)는 상기 보정된 형합홈의 3차원 표면정보(7f)를 포함하고 상기 교합영역부(m2)는 상기 보정된 교합면부의 3차원 표면정보(8f)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corrected scanning image (1f) is obtained by first scans the corrected temporary dentition, and then, in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btained by scanning the corrected temporary dentition, x), the fusion region m1 and the occlusion region m2 are set. At this time, the merging area m1 includes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7f of the corrected mold groove, and the occlusion area m2 includes the corrected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8f of the occlusal surface .

그리고, 상기 형합영역부(m1) 및 상기 교합영역부(m2)를 제외한 상기 보정된 임시틀니의 3차원 표면정보가 소거되면 상기 형합영역부(m1)의 내면측 표면정보가 노출되어 상기 인공잇몸부(410)의 내면 프로파일로 대체될 수 있다.When the corrected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temporary denture other than the fusion region m1 and the occlusion region m2 is deleted, the inner surface information of the fusion region m1 is exposed, The inner surface profile of the portion 410 can be replaced.

이때, 상기 임시틀니의 3차원 표면정보는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1f)에 포함된 상기 임시틀니의 외형정보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좌표값을 갖는 복수개의 점이 상호 연결되어 저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temporary denture may be stored by mutu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points having predetermined coordinat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information of the temporary denture included in the corrected scanning image 1f.

예컨대, 상기 임시틀니의 3차원 표면정보는 STL파일(StereoLithography file)로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임시틀니의 외면형상에 따라 복수개의 점 및 이를 연결하는 선에 의해 복수개의 삼각형의 면을 갖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임시틀니의 보정스캐닝이미지(1f)는 내부가 실질적으로 중공인 3차원 표면모델로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temporary denture may be stored in a STL file (StereoLithography file), and is set to have a plurality of triangular surfaces by a plurality of points and a line connecting them accor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temporary denture . Thus, the corrected scanning image 1f of the temporary denture may be stored as a three-dimensional surface model with the interior substantially hollow.

여기서, 상기 임시틀니의 3차원 표면정보는 표면이 실질적으로 상측으로 볼록하게 표시되는 임시치아부 및 상기 임시치아부의 하단부를 감싸면서 볼록하게 표시되는 임시잇몸부의 외면부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경계영역(x)이 상기 형합홈의 외곽측 테두리 및 상기 임시치아부와 임시잇몸부의 연결부를 따라 설정되면 각 경계영역(x) 사이가 소거영역(d)으로 설정 및 삭제되면서 상기 형합영역부(m1)의 내면측 표면정보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Here,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temporary denture includes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about the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provisional tooth portion where the surface is substantially convexly displayed, and the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provisional gum portion which is convexly displayed so as to surrou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rovisional tooth portion. do. When the boundary region (x) is set along the border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mold groove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emporary tooth portion and the temporary gum portion, the space between the boundary regions (x) is set and deleted as an erased region (d) The inner surface side surface information of the region m1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임시틀니의 3차원 표면정보는 실질적으로 두께가 없는 면정보로 저장되므로 상기 형합영역부(m1)의 내면측 프로파일에 대한 좌표값과 외면측 프로파일에 대한 좌표값이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소거영역(d)이 삭제되어 노출된 상기 형합홈의 3차원 표면정보(7f)를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틀니(400)의 형합홈(411) 설계정보가 정밀하게 획득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temporary denture is stored as surface information having substantially no thickness, the coordinate values for the inner surface side profile and the outer surface side profile of the fusion region m1 are the same. Therefore,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mold groove 411 of the digital dent 400 can be precisely obtaine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7f of the mold groove in which the erasure area d is deleted and exposed.

즉, 본 발명은 상기 구강 내 정확하게 교합 및 형합되도록 보정된 임시틀니(4)를 스캐닝하여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디지털틀니(400)의 형합홈(411) 및 교합면부(422)에 대한 3차원 표면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에 정밀하게 대응되는 설계정보가 명확하게 노출되어 획득되므로 상기 디지털틀니(400)의 정밀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1f)에 표시된 상기 형합홈 및 상기 교합면부의 3차원 표면정보(7f,8f)에는 상기 형합보정면부의 프로파일 이미지(rp1) 및 상기 교합보정면부의 프로파일 이미지(rp2)가 각각 대체 보정된다. 따라서, 상기 형합홈 및 상기 교합면부의 3차원 표면정보(7f,8f)가 상기 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과 실질적으로 매칭되므로, 이를 기반으로 설계 및 제조되는 디지털틀니(400)의 설치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method for scanning the temporary denture 4 corrected for correct occlusion and fusion in the oral cavity and deleting an unnecessary portion from the obtained image, thereby forming the mold groove 411 and the occlusal surface 411 of the digital denture 400,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about the surface 422 can be obtained. Therefore, the precision of the digital dent 400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since the design information precisely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rch and the archival arch is clearly obtained. At this time, the profile image rp1 of the mold side merging surface portion and the profile image rp2 of the occlusion correcting surface portion are displayed on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7f, 8f of the mold groove and the occlusal surface portion indicated in the corrected scanning image 1f, Respectively. Therefore, since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7f and 8f of the mold groove and the occlusal surface substantially match with the object arch and the confrontation arch, the installation precision of the digital dent 400 designed and manufactured based thereon is remarkably high Can be improved.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1f)에 표시된 상기 임시틀니의 3차원 표면정보에서 오목하게 표시되는 상기 형합홈 이미지가 볼록하게 입체화되도록 반전되어 상기 디지털틀니(400)의 형합홈(411) 설계정보로 활용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mold recess 411 of the digital dent 400 may be reversed so that the mold recess image displayed concavely in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temporary denture shown in the corrected scanning image 1f is convexly solidified, It can be used as design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교합영역부(m2)에 포함된 상기 보정된 교합면부의 3차원 표면정보(8f)를 기반으로 상기 인공치아부(420)의 교합면부(422)가 설정될 수 있다.The occlusal surface portion 422 of the artificial abdomen 420 may be se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8f of the corrected occlusal surface portion included in the occlusion region m2.

한편, 상기 인공잇몸부(410)와 상기 인공치아부(420)는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 및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1f)에 가상 배치되는 가상잇몸부 및 가상치아부의 3차원 형상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artificial gingiva 410 and the artificial abdomen 420 may be set based on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of a virtual gingival portion and a virtual tooth portion which are extracted from a digital library and are virtually arranged in the correction scanning image 1f have.

상세히, 상기 가상잇몸부 및 상기 가상치아부는 각각 표준화된 3차원 형상정보로 상기 디지털라이브러리에 기저장되되 상기 플래닝부(도 2의 20)로 로딩되어 상기 대상악궁의 치열궁라인 및 상기 수직고경(VD)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잇몸부의 내면 프로파일은 상기 형합보정면부의 프로파일 이미지(rp1)로 대체 보정됨에 따라 상기 대상악궁과의 형합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치아부의 교합면부 프로파일은 상기 교합보정면부의 프로파일 이미지(rp2)로 대체 보정됨에 따라 상기 대합악궁과의 교합정밀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e virtual gingival section and the virtual tooth section are respectively stored in the digital library as standardized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The virtual gingival section and the virtual tooth section are loaded into the planning section (20 in FIG. 2) VD). At this time, as the inner surface profile of the virtual gingival section is replaced with the profile image rp1 of the mold overlapping surface portion, the accuracy of the molding with the target arch may be improved. In addition, as the occlusal surface profile of the virtual tooth portion is replaced with the profile image rp2 of the occlusal correction surface portion, the occlusion accuracy with the confrontation arch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욱이, 상기 디지털틀니(400)는 상기 인공치아부(420)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부(421)에 내삽되도록 상기 인공잇몸부(410)로부터 돌출된 결합돌출부(412)가 더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digital dent 400 may further include an engaging protrusion 412 protruding from the artificial gum 41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421 formed inside the artificial abdomen 420 .

상세히, 상기 디지털틀니(400)는 상기 인공잇몸부(410)와 상기 인공치아부(420)가 개별 제조되되, 상기 인공잇몸부(410)에 돌출 형성된 상기 결합돌출부(412)가 상기 인공치아부(420)에 형성된 삽입홈부(421)에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돌출부(412)와 상기 삽입홈부(421)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됨에 따라 상기 인공잇몸부(410)와 상기 잇공치아부(42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In detail, the digital denture 400 is manufactured by separately manufacturing the artificial gum 410 and the artificial abdomen 420, and the engaging protrusion 412 protruding from the artificial gum 410 is inserted into the artificial abdomen 420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421 formed in the base portion 421. [ At this time, as the adhesive is applied between the engaging protrusion 412 and the insertion groove 421, the artificial gum 410 and the tooth cavity 420 can be firmly fixed.

여기서, 상기 인공치아부(420)는 자연치아와 유사한 강도, 색상을 갖는 지르코니아 내지 세라믹 재질로 제조되되 상기 인공잇몸부(410)는 가벼우면서도 구강 내 설치시 이물감 및 압박감이 최소화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된다. 이때, 상기 인공치아부(420)는 각각의 인공치아가 개별 제조되어 상기 인공잇몸부(4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인공치아의 개별적인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하므로 상기 디지털틀니(400)의 전체적인 교체주기가 연장될 수 있으며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e artificial abdomen 420 is made of a zirconia or ceramic material having strength and color similar to that of a natural tooth, and the artificial gum 41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ich is light and minimizes the feeling of foreign body and pressure upon installation in the oral cavity . At this time, the artificial teeth 420 may be individually manufactured and fixed to the artificial gingiva 410. As a result, the entire replacement period of the digital dent 400 can be prolonged and the maintain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because individual artificial teeth can be individually replaced and repaired easily.

여기서, 상기 인공잇몸부(410)에는 상기 인공치아부(420)의 하단부측 외면을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는 형합돌출부(4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공치아부(420)는 상기 결합돌출부(412)와 상기 형합돌출부(413) 사이의 내면에 형성되는 결합지지홈부(416)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력이 개선되면서도 외적으로 실제 자연치아 및 잇몸과 유사한 심미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치아부(420)의 상면부는 상기 대합악궁측 치아의 저작면 형상을 기반으로 교합면부(422)가 형성됨에 따라 교합 또는 저작시 턱관절이나 잇몸에 가해지는 부담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Here, the artificial gingiva 410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413 that can support the lower end side outer surface of the artificial tooth 420. Since the artificial abdomen 42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and supporting groove 416 formed on the inner surface between the engaging protrusion 412 and the engaging protrusion 413, the fixing force is improved, Similar aesthetics can be provided. In addition, since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artificial abutment 420 forms the occlusal surface portion 422 on the basis of the shape of the masticated tooth surface of the opposed arch-tooth side tooth, the burden imposed on the jaw joint or gums during occlusion or chewing can be minimized.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인공잇몸부(410)의 형합홈(411) 및 상기 인공치아부(420)의 교합면부(422)가 각각 상기 형합보정면부의 프로파일 이미지(rp1) 및 상기 교합보정면부의 프로파일 이미지(rp2)로 대체 보정된다. 따라서, 제조된 상기 디지털틀니(400)가 구강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대합악궁과의 교합신뢰도가 현저히 향상되면서도 교합시 상기 대상악궁의 잇몸에 가해지는 압박감 및 통증이 최소화되므로 틀니대상자의 기능적, 심미적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 recesses 411 of the artificial gingiva 410 and the occlusal surface portions 422 of the artificial abutment portion 420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the profile image rp1 of the mold- Image rp2. Accordingly, when the manufactured digital denture 400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the reliability of occlusion with the confrontation arch is remarkably improved, and the pressure feeling and pain applied to the gingiva of the subject arch is minimized at the time of occlusion, Satisfaction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더불어, 상기 형합홈(411)에는 상기 디지털틀니(4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보강부(미도시)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보강홈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보강부(미도시)는 상기 인공잇몸부(410)보다 고강도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되 레진접착제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상기 디지털틀니(400)가 경량이면서도 충격 및 교합 압력에 대한 지지강도가 향상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old recess 411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groove portion (not shown) to which a reinforcing portion (not shown) capable of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digital denture 400 can be fitted. The reinforcing portion (not shown)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higher strength than the artificial gum 410 and is fixed by a resin adhesive, so that the digital dent 400 is lightweight and has a high support strength against impact and occlusal pressure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디지털틀니 제조시스템 10: 촬상장치
20: 플래닝부 30: 제조장치
4 : 임시틀니 300: 디지털틀니
1d : 3차원 작업이미지 1f : 보정스캐닝이미지
100: Digital denture manufacturing system 10: Imaging device
20: Planning part 30: Manufacturing device
4: temporary dentures 300: digital dentures
1d: 3D working image 1f: Correction scanning image

Claims (6)

구강 내 대상악궁의 표면정보 및 대합악궁과의 교합정보가 표시되는 3차원 작업이미지가 획득되되, 일측이 상기 대합악궁과 교합 대응되고 타측 내면이 상기 대상악궁의 표면정보와 형합 대응되는 임시틀니가 설계 및 제조되는 제1단계;
상기 제조된 임시틀니가 상기 구강 내 설치되되, 상기 대상악궁에 형합되는 형합홈 및 상기 대합악궁과 교합되는 교합면부가 보정된 상기 임시틀니에 대한 보정스캐닝이미지가 획득되는 제2단계; 및
상기 보정된 형합홈의 3차원 표면정보에 따라 인공잇몸부의 내면 프로파일이 설정되고, 상기 보정된 교합면부의 3차원 표면정보에 따라 인공치아부의 교합면부가 설정되어 디지털틀니가 설계 및 제조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임시틀니가 상기 구강 내 설치되고 상기 대합악궁과 교합시 교합 압력에 의해 상기 형합홈 및 상기 교합면부의 표면 프로파일이 상기 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의 표면 프로파일과 대응되도록 보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정스캐닝이미지는 상기 형합홈에 경화성 수지가 도포되어 상기 대상악궁에 설치되되 상기 경화성 수지가 상기 교합 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형성된 형합보정면부의 프로파일 이미지 및 상기 교합면부에 상기 교합 압력에 의해 형성된 상기 대합악궁측 치아의 저작흔을 기준으로 절삭되어 형성된 교합보정면부의 프로파일 이미지를 획득하여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틀니 제조방법.
A temporary dentur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work image in which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subject's arch in the oral cavity and the occlusion information with the confrontation arch are displayed, one side of which corresponds to the occlusion with the confronting arch and the other side of which corresponds to the surface information of the target arch, A first step of designing and manufacturing;
A second step of obtaining a corrected scanning image for the temporary denture in which the prepared temporary denture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and the occlusal surface portion of the occlusal surface portion occluded with the cervical arch is corrected, And
An inner surface profile of the artificial gingival section is set according to the corrected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mold groove, and an occlusal surface portion of the artificial abutment is set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nformation of the corrected occlusal surface portion, ≪ / RTI >
Wherein the second step comprises correcting the surface profile of the mold cavity and the occlusal surface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surface profile of the object arch and the archax arch by the occlusal pressure when the temporary denture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and is occluded with the confrontation arch ≪ / RTI >
Wherein the correction scanning image includes a profile image of a mold overlapping front surface portion formed by applying a curable resin to the mold groove and provided on the target arch, the curable resin being pressurized by the occlusal pressure, And a profile image of an occlusal correction surface portion formed by cutting on the basis of a chewing gum of a tooth on the side of the opposed arch arch is obtai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대상악궁에 대한 스캐닝이미지가 획득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교합정보는 상기 대상악궁 및 상기 대합악궁의 교합시 최적화된 저작감도에 따라 산출되는 수직고경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틀니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tep includes obtaining a scanning image of the target arch, wherein the occlusion information includes a vertical diameter calculated according to an optimized grip sensitivity at the occlusion of the target arch and the arch arch,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gital den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임시틀니는 상기 형합홈을 포함하는 임시잇몸부와 상기 교합면부를 포함하는 임시치아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틀니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orary denture is integrally formed with a temporary tooth portion including the mold recess and a temporary tooth portion including the occlusal surface portion in the first step.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임시잇몸부 및 상기 임시치아부에 대응하는 가상잇몸부 및 가상치아부가 디지털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되어 가상 배치되되, 상기 가상잇몸부에 상기 형합보정면부의 프로파일 이미지가 대체 보정된 상기 인공잇몸부와 상기 가상치아부에 상기 교합보정면부의 프로파일 이미지가 대체 보정된 상기 인공치아부를 포함하는 가상 디지털틀니가 가상 배치되어 설계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틀니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third step, the virtual gingival section and the virtual tooth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temporary gingival section and the temporary tooth section are extracted from the digital library and fictitiously arranged, and the profile image of the mold- And designing a virtual digital denture including the artificial tooth portion in which the artificial tooth portion and the virtual tooth portion are alternately corrected in profile image of the occlusal correction surface portion.
삭제delete
KR1020170118024A 2017-09-14 2017-09-14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denture KR1019560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024A KR101956072B1 (en) 2017-09-14 2017-09-14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den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024A KR101956072B1 (en) 2017-09-14 2017-09-14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den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072B1 true KR101956072B1 (en) 2019-03-12

Family

ID=6580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024A KR101956072B1 (en) 2017-09-14 2017-09-14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den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072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852B1 (en) * 2019-08-14 2020-12-22 주식회사 디오 occlusal vertical dimension measuring device
KR102209806B1 (en) * 2019-09-23 2021-01-29 주식회사 디오 general purpose dentur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210020230A (en)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디오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 u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measuring device
KR20210062840A (en)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디오 crown for deciduous too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073400A (en)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디오 implant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implant and bone reduction guide applied to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834B1 (en) 2000-10-19 2003-11-01 권칠수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device of denture using tray
WO2010058822A1 (en) * 2008-11-20 2010-05-27 国立大学法人東京医科歯科大学 Plate dentur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20130218532A1 (en) * 2010-11-03 2013-08-22 Global Dental Science, LLC System and process for optimization of dentures
KR20130097216A (en) * 2010-10-01 2013-09-02 쓰리세이프 에이/에스 Modeling and manufacturing of dentures
US20140255873A1 (en) * 2013-03-08 2014-09-11 James R. Glidewell Dental Ceramics, Inc. Simplified Protocol for Fixed Implant Restorations Using Intra-Oral Scanning and Dental CAD/CA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834B1 (en) 2000-10-19 2003-11-01 권칠수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device of denture using tray
WO2010058822A1 (en) * 2008-11-20 2010-05-27 国立大学法人東京医科歯科大学 Plate dentur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20130097216A (en) * 2010-10-01 2013-09-02 쓰리세이프 에이/에스 Modeling and manufacturing of dentures
US20130218532A1 (en) * 2010-11-03 2013-08-22 Global Dental Science, LLC System and process for optimization of dentures
US20140255873A1 (en) * 2013-03-08 2014-09-11 James R. Glidewell Dental Ceramics, Inc. Simplified Protocol for Fixed Implant Restorations Using Intra-Oral Scanning and Dental CAD/CAM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852B1 (en) * 2019-08-14 2020-12-22 주식회사 디오 occlusal vertical dimension measuring device
KR20210020230A (en)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디오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 u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measuring device
KR102255021B1 (en) 2019-08-14 2021-05-24 주식회사 디오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 u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measuring device
KR102209806B1 (en) * 2019-09-23 2021-01-29 주식회사 디오 general purpose dentur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210062840A (en)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디오 crown for deciduous too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80258B1 (en) 2019-11-22 2021-07-21 주식회사 디오 crown for deciduous tooth
KR20220073400A (en)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디오 implant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implant and bone reduction guide applied to thereof
KR102454329B1 (en) * 2020-11-26 2022-10-14 주식회사 디오 bone reduction guide applied to implant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impl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635B1 (en)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dental prosthesis
KR101940743B1 (en)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dental prosthesis
KR101956072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denture
KR10185795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ure and system thereof
JP57916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first and second dental restorations
US201203220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KR101999372B1 (en) digital dental prosthesi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87244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ure and system thereof
US89986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denture
CN11065236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emporary immediate prosthesis for edentulous jaw implantation
CN113412098B (en) Digit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dental system
JP2017538480A (en) Occlusal acquisition tool, occlusal acquisition tool set, and occlusal acquisition method suitable for them
KR102091571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 and general purpose wax-bite applied to thereof
EP3928738A1 (en) Wax bite for scanning, and dental restoration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KR102541583B1 (en) provisional prosthesis set for dental resto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ovisional prosthesis using thereof
KR101999375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igital denture
US11992376B2 (en) Dental restoratio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system, and general-purpose wax bite applied thereto
KR102193852B1 (en) occlusal vertical dimension measuring device
KR102158362B1 (en) scanning purpose wax-bite
KR1021219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
KR102080245B1 (e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KR102172860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dental implant in mouth
KR10186282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ure
KR10227564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gital dental prosthesis
KR102226745B1 (en) scanning purpose wax-bite and motion scanning method using thereof applying to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