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5402A -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5402A
KR20220025402A KR1020200106070A KR20200106070A KR20220025402A KR 20220025402 A KR20220025402 A KR 20220025402A KR 1020200106070 A KR1020200106070 A KR 1020200106070A KR 20200106070 A KR20200106070 A KR 20200106070A KR 20220025402 A KR20220025402 A KR 20220025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lime
guide member
soft tissu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3887B1 (ko
Inventor
김기욱
고명환
서정환
한갑수
강승록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00106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88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5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0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 A61B17/2201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echanical vibrations, e.g. ultrasonic shock waves in direct contact with, or very close to, the obstruction or con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61B17/320758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with a rotating cutting instrument, e.g. motor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79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suction of debr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61B17/320758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with a rotating cutting instrument, e.g. motor driven
    • A61B2017/320775Morcellators, impeller or propeller like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견관절 등에 발생하는 석회화 건염의 질병에 대하여 석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는, 석회화 건염의 석회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석회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왕복 직선 이동하는 파쇄부재와; 상기 파쇄부재를 왕복 직선 이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부재에 의한 상기 파쇄부재의 왕복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고정된 상기 석회에 충격을 가하여 파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 Removal Device of soft tissue calcification }
본 발명은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견관절 등에 발생하는 석회화 건염의 질병에 대하여 석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부 조직 석회화는 연부 조직에 석회질이 침착되는 것으로서, 대표적인 것으로는 석회화 건염이 있다.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은 회전근개에 석회질이 침착하여 어깨 주위의 급성 및 만성 통증을 유발하는 질병이다.
보존적 치료로는 대표적으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의 투여 및 견봉 하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이 있으나, 이는 일시적 통증 완화를 기대할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 침착된 석회를 제거할 수는 없어 그 치료 효과에 제한점이 있다.
침착된 석회를 제거하기 위한 비수술적 방법으로는 다발성 천공술 및 세척 흡인술과 체외 충격파 치료 등이 있다.
다발성 천공술 및 세척 흡인술은 증가된 건(힘줄)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켜 급성 통증을 완화시키고, 석회화 결절의 배출과 흡수를 촉진시키는 유용한 방법으로 평가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정확한 석회 침착의 부위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정확한 주사침의 삽입을 위해 영상투시장치(fluoroscopy)를 사용하거나, 초음파를 이용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초음파 검사를 통해 석회 침착의 위치와 형태를 확인하고 시술부위의 소독을 실시한 후 주사 바늘이 삽입될 위치에 1% Lidocaine 5 ml를 사용하여 피부, 피하조직 및 견봉하 점액낭에 국소마취를 시행한다.
마취 후 20 게이지 주사바늘로 석회 침착 부위에 다발성 천공술을 시행하며, 이후 천공술을 시행한 부위를 피하여 견봉하 점액낭에 1% 1ml Lidocaine과 1 ml 스테로이드(Triamcinolone acetonide, 40 mg/ml)를 혼합한 주사액을 주입한다.
체외 충격파 치료는 높은 치료 효과와 비침습적 방법이라는 면에서 부각되고 있으며, 초음파를 사용하여 석회의 위치를 표시한 후 충격파 치료를 시행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74884, 공개특허 10-2019-0079155 등에는, 충격파를 이용하여 치료를 하는 기술들이 나타나 있다.
현재 임상적으로 석회화 건염의 치료로 다발성 천공술과 체외 충격파 치료를 사용하고 있지만, 위의 시술로는 생성된 석회화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공개특허 10-2014-0074884 공개특허 10-2019-007915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체의 내부 특히 건(힘줄) 조직에 침착된 석회를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석회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작동하는 파쇄부재와; 상기 파쇄부재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부재에 의한 상기 파쇄부재의 작동에 의해 석회를 작게 파쇄시킨다.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왕복 직선 이동하되, 상기 구동부재에 의한 상기 파쇄부재의 왕복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면서 일단이 상기 석회에 충격을 가하여 파쇄시킨다.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되, 상기 구동부재에 의한 상기 파쇄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파쇄부재는 회전하면서 일단이 상기 석회를 파쇄시킨다.
상기 파쇄부재의 일단에는 분쇄날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일단이 상기 석회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고정된 상기 석회를 파쇄시킨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일단이 상기 석회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에는 드릴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이 상기 석회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에는 화살촉 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전진시켜 화살촉 모양의 상기 가이드부재 일단이 상기 석회의 내부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은 상기 석회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작동되면서 상기 석회를 파쇄시킨다.
상기 파쇄부재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상기 가이드부재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석회에 충격을 가한다.
상기 파쇄부재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상기 가이드부재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일단이 상기 석회를 파쇄시킨다.
상기 파쇄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흡입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흡입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파쇄부재에 의해 파쇄된 석회 조각은 상기 파쇄부재의 내부를 통해 상기 흡입부재로 이동된다.
중공형상로 이루어진 중공배출부재와; 상기 중공배출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흡입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공배출부재의 내경은 상기 파쇄부재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중공배출부재는 상기 파쇄부재와 가이드부재를 제거한 이후에 파쇄된 석회 조각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흡입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파쇄부재에 의해 파쇄된 석회 조각은 상기 중공배출부재의 내부를 통해 상기 흡입부재로 이동된다.
개방된 상기 중공배출부재의 일단은 휘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파쇄부재에서 제거한 이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석회를 파쇄시키는 드릴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신체 내부의 연부 조직 특히 건(힘줄) 조직 등에 침착된 석회를 효과적으로 파쇄한 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의 단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를 석회화 건염 부위에 배치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서 가이드부재를 석회에 고정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서 파쇄부재로 석회를 파쇄하는 과정의 측면과정도,
도 6는 도 5에서 가이드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도 6에서 파쇄부재 및 흡입부재를 이용하여 파쇄된 석회를 흡입 제거하는 상태의 측면과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의 가이드부재와 파쇄부재의 단면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 파쇄부재 및 드릴부재의 사용과정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중공배출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중공배출부재의 사용과정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를 석회화 건염 부위에 배치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가이드부재를 석회에 고정시킨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파쇄부재로 석회를 파쇄하는 과정의 측면과정도이고, 도 6는 도 5에서 가이드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파쇄부재 및 흡입부재를 이용하여 파쇄된 석회를 흡입 제거하는 상태의 측면과정도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0)와, 파쇄부재(20)와, 구동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10)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석회(50)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0)의 일단은 상기 석회(50)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본 제1실시예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0)의 일단이 상기 석회(5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부재(10)의 일단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날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촉 모양이 형성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10)의 일단은 상기 석회(50)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0)의 일단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아드부재(10)에 의해 상기 석회(50)가 파쇄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0)는 수동으로 상기 석회(50) 내부에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도 있고, 본 제1실시예처럼 상기 구동부재(30)를 이용하여 전동으로 상기 석회(50) 내부에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석회(10)가 매우 단단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0)가 상기 석회(5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0)는 일단이 상기 석회(5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파쇄부재(20)는 상기 가이드부재(10)를 따라 작동하면서 상기 석회(50)를 작게 파쇄시킨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상기 파쇄부재(2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0)를 따라 왕복 직선 이동하게 하면서, 일단이 상기 석회(50)에 충격을 가하여 상기 석회(50)를 작게 파쇄시키도록 하였다..
상기 구동부재(30)는 상기 파쇄부재(20)가 상기 가이드부재(10)를 따라 왕복 직선이동하도록 상기 파쇄부재(20)에 동력을 가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재(30)에 의한 상기 파쇄부재(20)의 왕복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석회(50)에는 지속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면서 작게 파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30)는 상기 파쇄부재(20)가 왕복 직선 이동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부재(10)가 상기 석회(50)에 삽입 고정되도록 작동시킨다.
상기 가이드부재(10)의 일단에 드릴날이 형성된 경우에, 상기 구동부재(30)는 상기 가이드부재(10)를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부재(10)의 일단이 상기 석회(5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10)의 일단에 화살촉 모양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재(30)는 상기 가이드부재(10)를 전진시켜 화살촉 모양의 상기 가이드부재(10) 일단이 상기 석회(50)의 내부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30)는 상기 파쇄부재(20)만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부재(10)가 상기 석회(5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은 별도의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파쇄부재(20)는 상기 가이드부재(10)를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파쇄부재(20)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상기 가이드부재(10)가 삽입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쇄부재(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30)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1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석회(50)에 충격을 가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0) 및 파쇄부재(20)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재(30)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본 제1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재(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모터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10)를 회전시키거나 볼스크류 구조 등을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0)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고, 모터 및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파쇄부재(20)가 전후방향으로 신속하게 왕복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재(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입부재(40)는 상기 파쇄부재(20)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구동부재(30)를 상기 파쇄부재(20)의 타단에서 분리시키고 상기 흡입부재(40)를 상기 파쇄부재(20)의 타단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재(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파쇄부재(20)에 의해 파쇄된 석회(50) 조각은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파쇄부재(20)의 내부를 통해 상기 흡입부재(40)로 이동하여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부재(40)의 결합 및 작동 이전에 상기 파쇄부재(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가이드부재(10)를 상기 파쇄부재(20)에서 분리하여 제거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재(4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되는 펌프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0)의 일단을 상기 석회(50)의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10)는 상기 구동부재(30)를 이용하거나 수동으로 작동시켜 상기 석회(50)에 고정시킨다.
그 후 상기 구동부재(30)를 상기 가이드부재(10)의 타단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파쇄부재(20)를 상기 구동부재(30)에 장착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0)의 둘레에 끼우거나, 상기 파쇄부재(20)를 상기 가이드부재(10)에 끼운 후 상기 구동부재(30)에 장착한다.
본 제1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0)와 파쇄부재(20)가 모두 상기 구동부재(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재(10)만을 작동시켜 상기 가이드부재(10)의 일단이 상기 석회(50)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상기 가이드부재(10)의 일단이 상기 석회(50)에 고정된 후에는, 상기 구동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파쇄부재(20)를 작동시킨다.
상기 파쇄부재(20)는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10)에 의해 고정된 상기 석회(50)에 충격을 가하여 상기 석회(50)를 작게 파쇄시키게 된다.
상기 석회(50)가 파쇄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30)를 상기 파쇄부재(20)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가이드부재(10)를 상기 파쇄부재(20)로부터 빼 낸다.
그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부재(20)의 타단에 상기 흡입부재(40)를 장착하고, 상기 흡입부재(4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파쇄부재(20)에 의해 파쇄된 석회(50)들은, 상기 파쇄부재(20)를 통해 상기 흡입부재(40)로 이동하여 배출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신체의 내부 특히 건(힘줄) 조직에 침착된 석회(50)를 효과적으로 파쇄한 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의 가이드부재와 파쇄부재의 단면구조도이다.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파쇄부재(20)의 작동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파쇄부재(20)는 상기 가이드부재(1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구동부재(30)에 의한 상기 파쇄부재(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파쇄부재(20)는 회전하면서 일단이 상기 석회(50)를 갈아 파쇄시키게 된다.
상기 파쇄부재(20)를 회전시키는 상기 구동부재(30)의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구조를 이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파쇄부재(20)의 일단에는 분쇄날이 형성되어, 상기 파쇄부재(20)의 회전시 분쇄날이 형성된 일단이 상기 석회(50)를 보다 잘 갈아 파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제1실시예처럼 상기 파쇄부재(20)가 왕복 직선이동만 할 수도 있고, 제2실시예처럼 상기 패쇄부재가 회전운동만 할 수도 있도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파쇄부재(20)가 왕복 직선이동하면서 동시에 회전운동을 할 수도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 파쇄부재 및 드릴부재의 사용과정도,
제3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드릴부재(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릴부재(60)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파쇄부재(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파쇄부재(20)에 의해 파쇄되지 않은 단단한 석회(50)를 파쇄하는데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파쇄부재(20)에 의해 석회(50)가 잘 파쇄되지 않을 경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0)를 상기 파쇄부재(20)에서 제거한 이후에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0)의 내부에 상기 드릴부재(60)를 삽입하여 작동시킴으로서 상기 석회(50)를 파쇄시키도록 한다.
위와 같은 상기 드릴부재(60)에 의해 단단한 석회(50)를 작게 파쇄하여 제거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중공배출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중공배출부재의 사용과정도이다.
제4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공배출부재(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파쇄부재(20)를 이용하여 작게 파쇄된 석회(50) 조각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파쇄된 석회(50) 조각이 큰 경우에는 상기 파쇄부재(20)의 내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가 어렵다.
이럴 경우, 본 실시예에의 중공배출부재(70)를 장착한다.
상기 중공배출부재(70)는 중공형상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배출부재(70)의 타단에는 진공펌프 등으로 이루어진 흡입부재(40)가 장착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쇄부재(20) 및 가이드부재(10)로 석회(50)를 파쇄하고 상기 파쇄부재(20) 및 가이드부재(10)를 제거한 이후에,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배출부재(70)를 파쇄된 석회(50) 조각에 인접하게 삽입 배치한다.
이때, 상기 중공배출부재(70)의 내경은 상기 파쇄부재(2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 후 상기 흡입부재(40)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중공배출부재(70)의 직경이 상기 파쇄부재(20)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된 석회(50) 조각의 크기가 크더라도, 상기 흡입부재(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파쇄부재(20)에 의해 파쇄된 석회(50) 조각은 상기 중공배출부재(70)의 내부를 통해 상기 흡입부재(40)로 이동되어 배출되게 된다.
또한, 석회(50) 조각을 내부로 흡입하는 상기 중공배출부재(70)의 일단은 일반 주사기 바늘처럼 경사진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배출부재(70)의 개방된 일단은 상기 중공배출부재(70)의 길이방향의 측방향으로 휘어져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상기 중공배출부재(70)의 개방된 일단이 휘어져 형성됨으로서, 석회(50) 조각들에 의해 상기 중공배출부재(70)의 일단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가이드부재, 20 : 파쇄부재, 30 : 구동부재, 40 : 흡입부재, 50 : 석회, 60 : 드릴부재, 70 : 중공배출부재.

Claims (15)

  1.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석회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작동하는 파쇄부재와;
    상기 파쇄부재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부재에 의한 상기 파쇄부재의 작동에 의해 석회를 작게 파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왕복 직선 이동하되,
    상기 구동부재에 의한 상기 파쇄부재의 왕복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면서 일단이 상기 석회에 충격을 가하여 파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되,
    상기 구동부재에 의한 상기 파쇄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파쇄부재는 회전하면서 일단이 상기 석회를 파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재의 일단에는 분쇄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일단이 상기 석회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고정된 상기 석회를 파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일단이 상기 석회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에는 드릴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이 상기 석회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8.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에는 화살촉 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전진시켜 화살촉 모양의 상기 가이드부재 일단이 상기 석회의 내부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은 상기 석회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작동되면서 상기 석회를 파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10.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재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상기 가이드부재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석회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11.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재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상기 가이드부재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일단이 상기 석회를 파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12. 청구항10 또는 청구항11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흡입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흡입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파쇄부재에 의해 파쇄된 석회 조각은 상기 파쇄부재의 내부를 통해 상기 흡입부재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13. 청구항10 또는 청구항11에 있어서,
    중공형상로 이루어진 중공배출부재와;
    상기 중공배출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흡입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공배출부재의 내경은 상기 파쇄부재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중공배출부재는 상기 파쇄부재와 가이드부재를 제거한 이후에 파쇄된 석회 조각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흡입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파쇄부재에 의해 파쇄된 석회 조각은 상기 중공배출부재의 내부를 통해 상기 흡입부재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14. 청구항13에 있어서,
    개방된 상기 중공배출부재의 일단은 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15. 청구항10 또는 청구항1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파쇄부재에서 제거한 이후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석회를 파쇄시키는 드릴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KR1020200106070A 2020-08-24 2020-08-24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KR102463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070A KR102463887B1 (ko) 2020-08-24 2020-08-24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070A KR102463887B1 (ko) 2020-08-24 2020-08-24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402A true KR20220025402A (ko) 2022-03-03
KR102463887B1 KR102463887B1 (ko) 2022-11-07

Family

ID=8081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070A KR102463887B1 (ko) 2020-08-24 2020-08-24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302A1 (ko) * 2021-09-23 2023-03-30 전북대학교병원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7925A1 (en) * 2002-12-30 2004-07-01 Shu Du Dual probe
US20080249553A1 (en) * 2007-04-06 2008-10-09 William Harwick Gruber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tissue removal
KR20130055025A (ko) * 2010-10-28 2013-05-27 코비디엔 엘피 물질 제거 장치 및 사용 방법
KR20140074884A (ko) 2011-07-15 2014-06-18 보드 오브 리전츠,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치료용 충격파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및 그 응용들
KR101651816B1 (ko) * 2016-06-17 2016-08-29 주식회사 알로텍 드릴로 교체가 가능한 액체분사 및 석션 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
KR20190079155A (ko)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리메드 이중 구조의 충격파 전달부를 구비한 체외 치료기
KR20200053881A (ko) * 2018-11-09 2020-05-19 아이메디컴(주) 전극 흡인 드릴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7925A1 (en) * 2002-12-30 2004-07-01 Shu Du Dual probe
US20080249553A1 (en) * 2007-04-06 2008-10-09 William Harwick Gruber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tissue removal
KR20130055025A (ko) * 2010-10-28 2013-05-27 코비디엔 엘피 물질 제거 장치 및 사용 방법
KR20140074884A (ko) 2011-07-15 2014-06-18 보드 오브 리전츠,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치료용 충격파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및 그 응용들
KR101651816B1 (ko) * 2016-06-17 2016-08-29 주식회사 알로텍 드릴로 교체가 가능한 액체분사 및 석션 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핸드피스
KR20190079155A (ko)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리메드 이중 구조의 충격파 전달부를 구비한 체외 치료기
KR20200053881A (ko) * 2018-11-09 2020-05-19 아이메디컴(주) 전극 흡인 드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8302A1 (ko) * 2021-09-23 2023-03-30 전북대학교병원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887B1 (ko)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52699B1 (de) Medizinisches instrument zur abtragung von gewebe, knochenzement oder dergleichen im menschlichen oder tierischen körper
US20200315647A1 (en) Tissue Resectors with Cutting Wires, Hand Operated Tissue Resecting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US6638238B1 (en) Liposuction cannula device and method
US73188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irrigated nose and throat surgery
Chen et al.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scopic lithotripsy
US2014033028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moving Obstructing Material From the Human Body
US2020033011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intracranial hemorrhage
JP2002514460A (ja) 体組織からレフューズを排出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AU20072566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tissue with ultrasound energy by direct contact
US10123786B2 (en) Bone marrow harvesting device
KR102463887B1 (ko)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KR102088837B1 (ko) 셀룰라이트 개선용 시술장치 및 시술방법
CN116549064A (zh) 一种旋切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518523B1 (ko) 경피적 석회 침작물 제거장치
CN115153750A (zh) 一种机械式血栓切除装置及使用方法
CN114041850A (zh) 一种机械血栓清除装置
US20070213681A1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peyronie's disease
CN110051893B (zh) 一种用于包虫病治疗的枪式抽吸器
EP0984725B1 (de) Hämorrhoidenresektionsinstrument
RU233932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акции опухоли
CN117084749B (zh) 一种安全快速的取骨器
WO2023048302A1 (ko) 연부 조직 석회화 병변에 따른 석회 제거 장치
CN215228130U (zh) 分列式锯齿状碎栓球囊导管
CN115154686A (zh) 一种用于清除胸腔积液中纤维组织成分的旋切抽吸引流装置
RU7011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акции тканей паренхиматозных органов при эндовидеохирургических операция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