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983A - 빔 장애 복구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빔 장애 복구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983A
KR20220024983A KR1020227002679A KR20227002679A KR20220024983A KR 20220024983 A KR20220024983 A KR 20220024983A KR 1020227002679 A KR1020227002679 A KR 1020227002679A KR 20227002679 A KR20227002679 A KR 20227002679A KR 20220024983 A KR20220024983 A KR 20220024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resource
failure detection
beam failure
resourc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 판
펑 관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4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5Handover due to radio link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적시에 빔 장애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빔 장애 복구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해결책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및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을 결정하고, M 및 N은 양의 정수들이고, M 및 N 양자 모두는 1이 아니고;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중 임의의 것에서의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을 때,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되는 그리고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에 있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으로부터,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를 결정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고, 제1 표시 정보는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에서의 후보 빔 리소스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Description

빔 장애 복구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본 출원은 2019년 8월 9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BEAM FAILURE RECOVERY METHOD, DEVICE, AND SYSTEM"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0735784.5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원용된다.
<기술 분야>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특히, 빔 장애 복구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관련된다.
5세대(5th generation, 5G) 모바일 통신 시스템은 아날로그 빔에 기초하는 고주파 통신을 사용한다. 아날로그 빔은 비교적 좁은 신호 커버리지를 갖고, 장애물에 의해 쉽게 차단되어, 빔 장애(beam failure)를 초래한다.
전술한 문제를 고려하여, 빔 장애 복구(beam failure recovery, BFR) 프로시저가 5G 시스템의 릴리스(Release, Rel) 15에서 제공된다. 이러한 프로시저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빔 장애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의 그룹 및 현재 빔의 후보 빔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후보 빔 리소스들의 그룹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의 그룹에서의 각각의 리소스의 품질이 임계값 1보다 낮은 것을 검출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후보 빔 리소스들의 대응하는 그룹에 품질이 임계값 2보다 높은 리소스가 존재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 복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의 후보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후보 빔은 품질이 임계값 2보다 높은 후보 빔 리소스에 대응하는 그리고 후보 빔 리소스들의 그룹에 있는 빔이다.
그러나,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로컬 빔 장애 검출 및 복구를 위해 하나의 셀에 복수의 그룹들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 및 복수의 그룹들의 후보 빔 리소스들이 구성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셀이 복수의 송신 수신 포인트들(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를 포함할 때, 각각의 TRP에 대해 빔 장애 검출 및 복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빔 장애 복구를 수행하기 위해 전술한 방법이 사용되면,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모든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의 품질이 임계값 1보다 낮을 때에만 빔 장애 복구를 수행하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적시에 빔 장애 복구를 수행할 수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적시에 빔 장애 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빔 장애 복구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기술적 해결책들이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빔 장애 복구 방법 및 대응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해결책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및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을 결정하고, M 및 N은 양의 정수들이고, M 및 N 양자 모두는 1이 아니다.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을 때, 또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모든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의 평균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을 때, 또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 있는 그리고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은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많을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으로부터,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를 결정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한다. 제1 표시 정보는 제1 후보 빔 리소스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후보 빔 리소스는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에서의 후보 빔 리소스이고,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이고,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은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되는 그리고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에 있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이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으로부터,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를 결정한다"는 것은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가 존재한다"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고, 이러한 2개의 표현들은 상호교환가능하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러한 해결책에 기초하여, 하나의 양태에서, 임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 빔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후보 빔 리소스 그룹으로부터,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후보 빔 리소스를 결정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여 빔 장애 복구를 수행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 복구를 수행하기 위해 셀의 모든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에서 빔 장애들이 발생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 다른 양태에서,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각각이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 중 하나와 연관되기 때문에,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의 각각의 그룹에 대해 복구가 수행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빔 장애 복구 방법에 기초하여, 장애 빔이 적시에 복구될 수 있다.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이 TRP를 입도로서 사용할 때, TRP 입도로 빔 장애 복구가 구현될 수 있어서, 멀티-TRP 송신 성능이 개선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구성 정보는 M개의 제어 리소스 세트 CORESET 그룹들을 포함하고, 단말 디바이스가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을 결정한다는 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빔 장애 검출 리소스를 구성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가 M개의 CORESET 그룹들에 기초하여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을 결정하는 것- M개의 CORESET 그룹들 각각은 하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됨 -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PUCCH를 전송하는 것- 제1 PUCCH는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됨 -;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MAC-CE를 전송하는 것- 제1 MAC-CE는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됨 -; 또는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PRACH를 전송하는 것- 제1 PRACH는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됨 -을 포함한다. 제1 표시 정보는 다음: 제1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대응하는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또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임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인덱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빔 장애 복구 방법은 추가로,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을 때,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품질을 갖는 후보 빔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2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표시 정보는 다음: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임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인덱스,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대응하는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후보 빔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TRP의 인덱스, CORESET의 인덱스, CORESET 그룹의 인덱스, TAG의 인덱스, DMRS 포트의 인덱스, DMRS 포트 그룹의 인덱스, CORESET 그룹화를 위한 인덱스, HARQ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한 인덱스, 스크램블링 인덱스, PUCCH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SRS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슬롯 인덱스, 또는 서브-슬롯 인덱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빔 장애 복구 방법 및 대응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해결책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구성 정보를 전송하고, 이러한 구성 정보는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및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M 및 N은 양의 정수들이고, M 및 N 양자 모두는 1이 아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표시 정보는 제1 후보 빔 리소스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후보 빔 리소스는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그리고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있는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에서의 후보 빔 리소스이고,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은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되는 그리고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에 있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이고,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이다. 제2 양태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에 대해서는, 제1 양태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를 참조한다. 상세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가능한 설계에서, 구성 정보는 M개의 제어 리소스 세트 CORESET 그룹들을 포함하고, M개의 CORESET 그룹들 각각은 하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PUCCH를 수신하는 것- 제1 PUCCH는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됨 -;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MAC-CE를 수신하는 것- 제1 MAC-CE는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됨 -;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PRACH를 수신하는 것- 제1 PRACH는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됨 -을 포함한다. 제1 표시 정보는 다음: 제1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대응하는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또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임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인덱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빔 장애 복구 방법은 추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표시 정보는 다음: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임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인덱스,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대응하는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후보 빔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TRP의 인덱스, CORESET의 인덱스, CORESET 그룹의 인덱스, TAG의 인덱스, DMRS 포트의 인덱스, DMRS 포트 그룹의 인덱스, CORESET 그룹화를 위한 인덱스, HARQ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한 인덱스, 스크램블링 인덱스, PUCCH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SRS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슬롯 인덱스, 또는 서브-슬롯 인덱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설계에서, 구성 정보는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을 포함하고,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설계에서, 구성 정보는 X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을 포함하고, X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 각각은 제1 인덱스와 연관되고, X는 M 이상의 양의 정수이다. 동일한 제1 인덱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는 동일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 속하고, 제1 인덱스는 다음: 송신 수신 포인트 TRP의 인덱스, 제어 리소스 세트 CORESET의 인덱스, CORESET 그룹의 인덱스,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 TAG의 인덱스,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의 인덱스, DMRS 포트 그룹의 인덱스, CORESET 그룹화를 위한 인덱스,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한 인덱스, 스크램블링 인덱스,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SRS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슬롯 인덱스, 또는 서브-슬롯 인덱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설계에서, 구성 정보가 M개의 CORESET 그룹들을 포함할 때, M개의 CORESET 그룹들 각각이 하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은, 각각의 CORESET 그룹에서의 모든 CORESET들에 대해 현재 활성화된 송신 구성 인덱스 상태들 TCI-states에서의 제1 참조 신호 리소스들이 하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 속하는 것을 포함하고, TCI-state가 복수의 참조 신호 리소스들을 포함하면, 제1 참조 신호 리소스는 TCI-state에 있는 그리고 타입이 타입 D인 준 공동-위치 정보 (QCL-Info)에서의 참조 신호 리소스이거나; 또는 TCI-state가 단지 하나의 참조 신호 리소스를 포함하면, 제1 참조 신호 리소스는 참조 신호 리소스이다.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설계에서, M개의 CORESET 그룹들 각각은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 중 하나 이상과 연관된다.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설계에서, 구성 정보는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을 포함하고,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설계에서, 구성 정보는 Y개의 후보 빔 리소스들을 포함하고, Y개의 후보 빔 리소스들 각각은 제2 인덱스와 연관되고, Y는 N 이상의 양의 정수이다. 동일한 제2 인덱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는 동일한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속하고, 제2 인덱스는 다음: TRP의 인덱스, CORESET의 인덱스, CORESET 그룹의 인덱스, TAG의 인덱스, DMRS 포트의 인덱스, DMRS 포트 그룹의 인덱스, CORESET 그룹화를 위한 인덱스, HARQ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한 인덱스, 스크램블링 인덱스,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SRS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슬롯 인덱스, 또는 서브-슬롯 인덱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를 참조하면, 가능한 설계에서,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이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다는 것은,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 및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이 동일한 제3 인덱스와 연관되는 것- 제3 인덱스는 다음: TRP의 인덱스, CORESET의 인덱스, CORESET 그룹의 인덱스, TAG의 인덱스, DMRS 포트의 인덱스, DMRS 포트 그룹의 인덱스, CORESET 그룹화를 위한 인덱스, HARQ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한 인덱스, 스크램블링 인덱스,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PUCCH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SRS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슬롯 인덱스, 또는 서브-슬롯 인덱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함 -을 포함하거나; 또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이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다는 것은,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이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과 직접 연관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이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과 직접 연관된다는 것은,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가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와 연관되는 것;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가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와 연관되는 것; 또는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가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와 연관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양태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되고, 전술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통신 장치는 제1 양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이러한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이러한 단말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장치, 예를 들어, 칩일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통신 장치는 제2 양태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이러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장치는 전술한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대응하는 모듈, 유닛, 또는 수단(means)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 유닛, 또는 수단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기능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되고, 이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모리는 컴퓨터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가 이러한 명령어들을 실행할 때, 통신 장치는 전술한 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통신 장치는 제1 양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이러한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이러한 단말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장치, 예를 들어, 칩일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통신 장치는 제2 양태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이러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장치일 수 있다.
제5 양태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되고, 이는 프로세서 및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회로는 코드/데이터 판독/기입 인터페이스 회로일 수 있고, 이러한 인터페이스 회로는,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메모리로부터 직접 판독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컴포넌트를 통과할 수 있음), 그리고 이러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프로세서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이러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전술한 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되고, 이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연결되도록, 그리고 이러한 메모리에서의 명령어들을 판독한 후에, 이러한 명령어들에 따라 전술한 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통신 장치는 제1 양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이러한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이러한 단말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장치, 예를 들어, 칩일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통신 장치는 제2 양태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이러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장치일 수 있다.
제7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이러한 명령어들이 통신 장치에서 실행될 때, 통신 장치는 전술한 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통신 장치는 제1 양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이러한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이러한 단말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장치, 예를 들어, 칩일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통신 장치는 제2 양태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이러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장치일 수 있다.
제8 양태에 따르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통신 장치에서 실행될 때, 통신 장치는 전술한 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통신 장치는 제1 양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이러한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이러한 단말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장치, 예를 들어, 칩일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통신 장치는 제2 양태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이러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장치일 수 있다.
제9 양태에 따르면, 통신 장치(예를 들어, 이러한 통신 장치는 칩 또는 칩 시스템일 수 있음)가 제공된다. 이러한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전술한 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통신 장치는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러한 메모리는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통신 장치가 칩 시스템일 때, 이러한 통신 장치는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칩 및 다른 개별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양태 내지 제9 양태의 설계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들에 대해서는,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상이한 설계들에 의해 야기되는 기술적 효과들을 참조한다. 상세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은 제1 양태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 및 제2 양태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통신 시스템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조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단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빔 장애 복구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다른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다른 구조의 개략도이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출원의 설명들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는 연관된 대상들 사이의 "또는(or)" 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A/B는 A 또는 B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및/또는(and/or)"은 연관된 대상들을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만을 설명하고 3개의 관계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 3개의의 사례들: A만 존재함, A 및 B 양자 모두 존재함, 및 B만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고, A 또는 B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설명들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고, "복수의(a plurality of)"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 "다음의 항목들(단편들)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tems(pieces))" 또는 그 유사한 표현은, 이러한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고, 이는 단수 항목들(단편들) 또는 복수의 항목들(단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를 표시할 수 있고, a, b, 및 c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능들 또는 목적들을 제공하는 동일한 항목들 또는 유사한 항목들 사이를 구별하기 위해 "제1(first)" 및 "제2(second)"와 같은 용어들이 사용된다. 해당 분야에서의 기술자는 "제1(first)" 및 "제2(second)"와 같은 용어들이 수량 또는 실행 시퀀스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제1(first)" 및 "제2(second)"와 같은 용어들이 명확한 차이를 표시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을 도시한다. 통신 시스템(1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30) 및 이러한 네트워크 디바이스(30)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 디바이스(4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이한 단말 디바이스들(40)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30)는 임의의 단말 디바이스(40)와 상호작용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30)는 단말 디바이스(40)에 구성 정보를 전송하고, 단말 디바이스(4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및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을 결정하고;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을 때, 단말 디바이스(40)는,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으로부터,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를 결정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30)에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한다. M 및 N은 양의 정수들이고, M 및 N 양자 모두는 1이 아니고, 제1 표시 정보는 제1 후보 빔 리소스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후보 빔 리소스는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이고,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이고,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은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되는 그리고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에 있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이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하나의 셀에 대해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을 구성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임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 빔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후보 빔 리소스 그룹으로부터,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후보 빔 리소스를 결정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여 빔 장애 복구를 수행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 복구를 수행하기 위해 셀의 모든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에서 빔 장애들이 발생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 다른 양태에서,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각각이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 중 하나와 연관되기 때문에,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의 각각의 그룹에 대해 복구가 수행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빔 장애 복구 방법에 기초하여, 장애 빔이 적시에 복구될 수 있다.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이 TRP를 입도로서 사용할 때, TRP의 입도로 빔 장애 복구가 구현될 수 있어서, 멀티-TRP 송신 성능이 개선된다.
대안적으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20)을 추가로 제공한다. 통신 시스템(20)은 단말 디바이스(40) 및 이러한 단말 디바이스(40)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3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빔 장애 복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임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30)와 상호작용하는 단말 디바이스(40)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도 1에 도시되는 시스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상세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30)는 단말 디바이스(40)를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디바이스이고,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에서의 진화된 NodeB(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 있거나; 또는 5G 네트워크 또는 미래의 진화된 공용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광대역 네트워크 서비스 게이트웨이(broadband network gateway, BNG), 집성 스위치, 또는 비-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액세스 디바이스에서의 기지국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30)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에서의 무선 제어기일 수 있거나; 또는 송신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TRP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것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기지국은 다양한 형태들의 기지국들, 예를 들어,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스몰 셀이라고 또한 지칭됨), 중계국, 및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단말 디바이스(40)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단말에서 사용될 수 있는 칩 또는 단말과 같은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은 5G 네트워크 또는 미래의 진화된 PLMN에서의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 단말 유닛, 단말 스테이션, 이동국, 모바일 콘솔,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단말 에이전트, 단말 장치 등일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폰, 코드리스(cordless) 폰, 세션 착수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처리 디바이스, 차량-장착형 디바이스,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단말 디바이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단말 디바이스, 산업 제어(industrial control)에서의 무선 단말, 자율 주행(self driving)에서의 무선 단말, 원격 의료(remote medical)에서의 무선 단말,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에서의 무선 단말, 교통 안전(transportation safety)에서의 무선 단말, 스마트 시티(smart city)에서의 무선 단말, 스마트 홈(smart home)에서의 무선 단말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은 이동형 또는 고정형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30) 및 단말 디바이스(40)는 통신 장치들이라고 또한 지칭될 수 있고, 각각은 범용 디바이스 또는 전용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것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도 3은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30) 및 단말 디바이스(40)의 구조들의 개략도이다.
단말 디바이스(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하나의 프로세서(401)가 포함되는 예가 도 3에서 설명을 위해 사용됨) 및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하나의 송수신기(403)가 포함되는 예가 도 3에서 설명을 위해 사용됨)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40)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하나의 메모리(402)가 포함되는 예가 도 3에서 설명을 위해 사용됨),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하나의 출력 디바이스(404)가 포함되는 예가 도 3에서 설명을 위해 사용됨), 및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하나의 입력 디바이스(405)가 포함되는 예가 도 3에서 설명을 위해 사용됨)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01), 메모리(402), 및 송수신기(403)는 통신 라인을 통해 접속된다. 이러한 통신 라인은 전술한 컴포넌트들 사이에 정보를 송신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01)는, 범용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본 출원에서의 해결책들의 프로그램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동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01)는 복수의 CPU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401)는 단일-코어(single-CPU) 프로세서 또는 멀티-코어(multi-CPU) 프로세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프로세서는 데이터(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회로, 또는 처리 코어일 수 있다.
메모리(402)는 저장 기능을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02)는 판독-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정적 정보 및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정적 저장 디바이스,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또는 정보 및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동적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전기적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콤팩트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또는 다른 콤팩트 디스크 스토리지, 광 디스크 스토리지(콤팩트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등을 포함함),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명령어들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예상된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 또는 저장할 수 있는 그리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402)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고, 통신 라인을 통해 프로세서(401)에 접속된다. 대안적으로, 메모리(402)는 프로세서(401)와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402)는 본 출원에서의 해결책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401)는 이러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의 실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401)는 메모리(402)에 저장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빔 장애 복구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라고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송수신기(403)는 송수신기와 같은 임의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Ethernet,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또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403)는 송신기(transmitter, Tx) 및 수신기(receiver, Rx)를 포함한다.
출력 디바이스(404)는 프로세서(401)와 통신하고, 복수의 방식들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디바이스(404)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프로젝터(projector) 등일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405)는 프로세서(401)와 통신하고, 복수의 방식들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405)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디바이스, 감지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하나의 프로세서(301)가 포함되는 예가 도 3에서 설명을 위해 사용됨),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하나의 송수신기(303)가 포함되는 예가 도 3에서 설명을 위해 사용됨), 및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4)가 포함되는 예가 도 3에서 설명을 위해 사용됨)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30)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하나의 메모리(302)가 포함되는 예가 도 3에서의 설명을 위해 사용됨). 프로세서(301), 메모리(302), 송수신기(303),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4)는 통신 라인을 통해 접속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4)는 링크(예를 들어,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접속하도록, 또는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유선 또는 무선 링크(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것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서(301), 메모리(302), 및 송수신기(303)에 관한 설명들에 대해서는, 단말 디바이스(40)에서의 프로세서(401), 메모리(402), 및 송수신기(403)에 관한 설명들을 참조한다. 상세사항들이 본 명세서이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도 3에 도시되는 단말 디바이스(40)의 구조의 개략도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40)의 구조의 구체적인 형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에서의 프로세서(401)의 기능은 도 4에서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에서의 송수신기(403)의 기능은 도 4에서의 안테나 1, 안테나 2, 모바일 통신 모듈(150), 무선 통신 모듈(160)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안테나 1 및 안테나 2는 전자기파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디바이스(40)에서의 각각의 안테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활용을 개선하기 위해 상이한 안테나들이 추가로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1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서의 다이버시티 안테나로서 공유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안테나는 튜닝 스위치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모듈(150)은 단말 디바이스(40)에서 2G, 3G, 4G, 5G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모듈(150)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 스위치, 전력 증폭기, 저 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모듈(150)은 안테나 1을 통해 전자기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기파에 대해 필터링 또는 증폭과 같은 처리를 수행하고, 복조를 위해 모뎀 프로세서에 전자기파를 송신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모듈(150)은 모뎀 프로세서에 의해 변조되는 신호를 추가로 증폭하고, 이러한 신호를 안테나 1을 통한 방사를 위해 전자기파로 변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통신 모듈(150)에서의 적어도 일부 기능 모듈들은 프로세서(110)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통신 모듈(150)에서의 적어도 일부 기능 모듈들은 프로세서(110)에서의 적어도 일부 모듈들과 동일한 컴포넌트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60)은 단말 디바이스(40)에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예를 들어, Wi-Fi 네트워크), Bluetooth(blue tooth, BT),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ion, FM), 근접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적외선(infrared, IR) 기술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60)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처리 모듈을 통합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60)은 안테나 2를 통해 전자기파를 수신하고, 전자기파 신호에 대해 주파수 변조 및 필터링 처리를 수행하고, 처리된 신호를 프로세서(110)에 전송한다. 무선 통신 모듈(160)은 프로세서(110)로부터 전송될 신호를 추가로 수신하고, 이러한 신호에 대해 주파수 변조 및 증폭을 수행하고, 처리된 신호를 방사를 위해 안테나 2를 통해 전자기파로 변환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40)가 제1 디바이스일 때, 무선 통신 모듈(160)이 단말 디바이스(40)에서 NFC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제1 디바이스가 NFC 칩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NFC 칩은 NFC 무선 통신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40)가 제2 디바이스일 때, 무선 통신 모듈(160)이 단말 디바이스(40)에서 NFC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제1 디바이스가 (무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라벨과 같은) 전자 라벨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디바이스의 NFC 칩이 이러한 전자 라벨에 가까우면, 다른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와 NFC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40)의 안테나 1은 모바일 통신 모듈(150)에 연결되고, 안테나 2는 무선 통신 모듈(160)에 연결되어, 단말 디바이스(40)는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및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기술은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간-분할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ime-divisi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SCDMA),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BT, GNSS, WLAN, NFC, FM, IR 기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LONASS), BeiDou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DS), 준-천정 위성 시스템(quasi-zenith satellite system, QZSS), 또는 위성 기반 증강 시스템(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s, SBAS)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에서의 메모리(402)의 기능은 내부 메모리(121), 도 4에서의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120)에 접속되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SD 카드와 같은) 외부 메모리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에서의 출력 디바이스(404)의 기능은 도 4에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94)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94)은 이미지, 비디오 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94)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에서의 입력 디바이스(405)의 기능은 도 4에서의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디바이스, 또는 센서 모듈(180)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센서 모듈(180)은, 예를 들어, 압력 센서(180A), 자이로스코프 센서(180B), 기압 센서(180C), 자기 센서(180D), 가속도 센서(180E), 거리 센서(180F), 광 근접 센서(180G), 지문 센서(180H), 온도 센서(180J), 터치 센서(180K), 주변 광 센서(180L), 및 골 전도 센서(180M)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40)는 오디오 모듈(170), 카메라(193), 표시기(192), 모터(191), 키(190),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 USB 인터페이스(130), 충전 관리 모듈(140), 전력 관리 모듈(141), 및 배터리(142)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스피커(170A)("호른(horn)"이라고 또한 지칭됨), 수신기(170B)("이어피스"이라고 또한 지칭됨), 마이크로폰(170C)("마이크(mike)" 또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이라고 또한 지칭됨), 헤드셋 잭(170D) 등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되는 구조가 단말 디바이스(40)에 대한 구체적인 제한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40)는 도면에 도시되는 것들보다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일부 컴포넌트들을 분할하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 배열들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는 컴포넌트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다음은 네트워크 디바이스(30)가 도 1에 도시되는 임의의 단말 디바이스(40)와 상호작용하는 예를 사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빔 장애 복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의 다음의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사이의 메시지들의 명칭들, 이러한 메시지들에서의 파라미터들의 명칭들 등은 단지 예이고, 구체적인 구현 동안 다른 명칭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러한 것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빔 장애 복구 방법을 도시한다. 이러한 빔 장애 복구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50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 구성 정보를 전송함.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구성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빔 장애 복구에 관련된 구성을 표시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고, 빔 장애 검출 리소스 및 후보 빔 리소스의 구성들을 주로 포함한다. 빔 장애 검출 리소스는 빔 장애 검출을 위해 사용되고, 후보 빔 리소스는 새로운 이용가능한 빔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빔 장애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리소스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라고 지칭되고, 새로운 이용가능한 빔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소스는 후보 빔 리소스라고 지칭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빔 장애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리소스 및/또는 새로운 이용가능한 빔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소스는 구체적인 구현 동안 다른 명칭들을 또한 가질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타입들의 리소스들의 명칭들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일 셀에 대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및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을 구성할 수 있고,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은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각각과 연관된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을 포함하고, M 및 N은 양의 정수들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중 어느 하나는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 중 하나와 연관될 수 있거나, 즉,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는 일-대-일 관계이거나; 하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복수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과 연관될 수 있거나, 즉,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는 일-대-다 관계이거나; 또는 복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은 동일한 후보 빔 리소스 그룹과 연관될 수 있다, 즉,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는 다-대-일 관계이다. 이러한 것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가 일-대-일 관계일 때, M 및 N 양자 모두는 1보다 크고;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가 일-대-다 관계 또는 다-대-일 관계일 때, M 및 N 중 적어도 하나는 1보다 크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M 및 N 양자 모두는 1이 아니다. 예를 들어, M 및 N 양자 모두는 2 이상의 양의 정수들일 수 있다.
S502: 단말 디바이스가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및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을 결정함.
선택적으로,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 및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를 결정한다.
S503: 단말 디바이스가 빔 장애 복구 조건 결정을 수행함.
선택적으로,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을 결정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각각을 측정하여, 빔 장애 복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는지를 추가로 결정한다.
전술한 단계 S501에서: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은 TRP의 입도로 그룹화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하나의 TRP에 대응한다. 대안적으로, 다른 표준에서의 입도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RP보다 미세한 입도가 그룹화를 위해 사용되고, 예를 들어, 복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이 하나의 TRP에 대응한다. 이러한 것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의 구성 방식,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의 구성 방식, 및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를 수립하는 방식을 개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입도가 TRP인 예가 아래에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음의 3개의 방식들로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빔 장애 검출 리소스를 구성할 수 있다.
방식 1: 구성 정보가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을 포함하고,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각각이 하나 이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를 포함함.
방식 1에서, 예를 들어, 구성 정보에서의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다음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예를 들어, RadioLinkMonitoringRSSet) {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예를 들어, RadioLinkMonitoringRSSetID),
빔 장애 검출 리소스 리스트(예를 들어, RadioLinkMonitoringRSList)
}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식별하기 위해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가 사용되고, 빔 장애 검출 리소스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를 포함한다.
방식 2: 구성 정보가 X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을 포함하고, X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 각각이 제1 인덱스와 연관되고, X가 M 이상의 양의 정수임.
X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은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을 구성하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이다. 구체적으로, X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에서, 동일한 제1 인덱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는 동일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 속한다. 이러한 사례에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이 제1 인덱스와 연관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인덱스는 다음: TRP의 인덱스, 제어 리소스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의 인덱스, CORESET 그룹의 인덱스,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timing advance group, TAG)의 인덱스,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포트의 인덱스, DMRS 포트 그룹의 인덱스, CORESET 그룹화를 위한 인덱스,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한 인덱스, 스크램블링 인덱스(scrambling ID),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슬롯 인덱스, 또는 서브-슬롯(sub-slot) 인덱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스크램블링 인덱스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PUC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의 스크램블링 인덱스일 수 있다.
하나의 TRP를 식별하기 위해 TRP의 인덱스가 사용되고, X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에서, TRP의 동일한 인덱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는 TRP에 대응하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구성한다.
CORESET의 인덱스, CORESET 그룹의 인덱스, TAG의 인덱스, DMRS 포트의 인덱스, DMRS 포트 그룹의 인덱스, CORESET 그룹화를 위한 인덱스, HARQ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한 인덱스, PUCCH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SRS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슬롯 인덱스, 서브-슬롯(sub-slot) 인덱스, 및 스크램블링 인덱스는 모두 TRP와 연관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이한 TRP들에 대해 상이한 인덱스들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TRP에 대응하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인덱스들과 연관되도록 빔 장애 검출 리소스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또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덱스는 CORESET 그룹의 인덱스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TRP 1에 대해 CORESET 그룹 인덱스 1을 구성하고, TRP 2에 대해 CORESET 그룹 인덱스 2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례에서, X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에서, CORESET 그룹 인덱스 1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는 TRP 1에 대응하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구성하고, CORESET 그룹 인덱스 2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는 TRP 2에 대응하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구성한다.
빔 장애 복구 구성을 식별하기 위해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가 사용되고, 빔 장애 복구 구성은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구성을 포함한다.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 중 하나를 식별하기 위해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가 사용된다.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에서 후보 빔 리소스를 식별하기 위해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가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방식 2에서, 제1 인덱스가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파라미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정보에서의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는 다음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빔 장애 검출 리소스(예를 들어, RadioLinkMonitoringRS) {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인덱스(예를 들어, RadioLinkMonitoringRS-Id),
제1 인덱스
}
전술한 2개의 방식들이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을 직접 구성하는 방식들로서 고려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은 다음의 방식 3으로 또한 간접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방식 3: 구성 정보가 M개의 CORESET 그룹들 또는 M개의 CORESET 그룹들을 구성하는 K개의 CORESET들을 포함하고, K가 M 이상의 양의 정수임.
하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M개의 CORESET 그룹들 각각이 사용된다. 각각의 CORESET 그룹은 상이한 TRP와 연관될 수 있다. CORESET 그룹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CORESET 그룹과 연관된 TRP에 대응하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이라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CORESET 그룹이 사용된다는 것은, 각각의 CORESET 그룹에서의 모든 CORESET들에 대해 현재 활성화된 송신 구성 인덱스 상태들(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ex, TCI-state)에서의 제1 참조 신호 리소스들이 하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 속하는 것을 포함한다. CORESET에 대해 현재 활성화된 TCI-state가 단지 하나의 참조 신호 리소스를 포함하면, 제1 참조 신호 리소스는 참조 신호 리소스이다. CORESET에 대해 현재 활성화된 TCI-state가 복수의 참조 정보 리소스들을 포함하면, 제1 참조 신호는 TCI-state에 있는 그리고 타입이 타입 D인 준 공동-위치 정보(quasi collocation information, QCL-Info)에서의 참조 신호 리소스이다.
예를 들어, 제1 CORESET 그룹이 CORESET#1 및 CORESET#2를 포함하고, CORESET#1 및 CORESET#2에 대해 현재 활성화된 TCI-states가 단지 하나의 참조 신호 리소스를 각각 포함하는 예가 사용된다. 제1 CORESET 그룹에 의해 결정되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CORESET#1에 대해 현재 활성화된 TCI-state에 포함되는 참조 신호 리소스 및 CORESET#2에 대해 현재 활성화된 TCI-state에 포함되는 참조 신호 리소스를 포함한다. 제1 CORESET 그룹은 M개의 CORESET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구성 정보가 M개의 CORESET 그룹들을 포함할 때, M개의 CORESET 그룹들 각각이 상이한 TRP와 연관된다는 것은, 각각의 CORESET 그룹이 상이한 TRP 연관 인덱스와 연관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TRP 연관 인덱스는 다음: TRP의 인덱스, CORESET의 인덱스, CORESET 그룹의 인덱스, TAG의 인덱스, DMRS 포트의 인덱스, DMRS 포트 그룹의 인덱스, CORESET 그룹화를 위한 인덱스, HARQ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한 인덱스, 스크램블링 인덱스,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SRS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슬롯 인덱스, 또는 서브-슬롯(sub-slot) 인덱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인덱스들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제1 인덱스에서의 인덱스들의 설명들을 참조한다. 상세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이한 CORESET 그룹들에 대해 상이한 TRP 연관 인덱스들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CORESET 그룹들을 사용하여 결정되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은 상이한 TRP들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구성 정보가 M개의 CORESET 그룹들을 구성하는 K개의 CORESET들을 포함할 때, K개의 CORESET들 각각은 하나의 TRP 연관 인덱스와 연관될 수 있고, 동일한 TRP 연관 인덱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CORESET는 하나의 CORESET 그룹에 속한다.
대안적으로, 선택적으로, 구성 정보가 M개의 CORESET 그룹들을 구성하는 K개의 CORESET들을 포함할 때, K개의 CORESET들 각각은 하나의 CORESET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CORESET 인덱스들이 홀수들인 하나 이상의 CORESET는 하나의 CORESET 그룹에 속하고, CORESET 인덱스들이 짝수들인 하나 이상의 CORESET는 하나의 CORESET 그룹에 속하거나; CORESET 인덱스 모듈로 M의 결과들이 동일한 CORESET들은 하나의 CORESET 그룹에 속하거나; 또는 K개의 CORESET들의 인덱스들이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정렬된 후에, M개의 CORESET 인덱스들에 의해 나누어지는 모든 K에 대응하는 CORESET들은 하나의 CORESET 그룹에 속하고, K가 M에 의해 정확히 나누어질 수 없을 때, K를 M에 의해 나눈 결과가 반올림 또는 반내림된 후에 그룹화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K가 5이고 M이 2일 때, 5개의 CORESET들은 2개의 그룹들로 그룹화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사례에서, 그룹화가 반올림의 방식으로 수행되면, 정렬을 통해 획득되는 처음 3개의 CORESET 인덱스들에 대응하는 3개의 CORESET들이 하나의 그룹에 속하고, 마지막 2개의 CORESET 인덱스들에 대응하는 2개의 CORESET들이 하나의 그룹에 속한다; 그룹화가 반내림의 방식으로 수행되면, 정렬을 통해 획득되는 처음 2개의 CORESET 인덱스들에 대응하는 2개의 CORESET들이 하나의 그룹에 속하고, 마지막 3개의 CORESET 인덱스들에 대응하는 3개의 CORESET들이 하나의 그룹에 속한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규칙은, K개의 CORESET들의 인덱스들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것; K개의 CORESET들의 인덱스들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는 것;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K개의 CORESET들을 구성하는 시퀀스에 따라 K개의 CORESET들을 정렬하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인덱스가 0인 CORESET가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s, SIB) 1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복수의 TRP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기 때문에, K개의 CORESET들은 인덱스가 0인 CORESET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음의 2개의 방식들로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후보 빔 리소스를 구성할 수 있다.
방식 1: 구성 정보가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을 포함하고,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 각각이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를 포함함.
방식 1에서, 예를 들어, 구성 정보에서의 각각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은 다음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후보 빔 리소스 그룹(예를 들어, candidateBeamRSSet) {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예를 들어, candidateBeamRSSetID),
후보 빔 리소스 리스트(예를 들어, candidateBeamRSlist)
}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을 식별하기 위해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가 사용되고, 후보 빔 리소스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를 포함한다.
방식 2: 구성 정보가 Y개의 후보 빔 리소스들을 포함하고, Y개의 후보 빔 리소스들 각각이 제2 인덱스와 연관되고, Y가 N 이상의 양의 정수임.
Y개의 후보 빔 리소스들은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을 구성하는 리소스들이다. 구체적으로, Y개의 후보 빔 리소스들에서, 동일한 제2 인덱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는 동일한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속한다. 이러한 사례에서,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이 제2 인덱스와 연관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인덱스는 다음: TRP의 인덱스, CORESET의 인덱스, CORESET 그룹의 인덱스, TAG의 인덱스, DMRS 포트의 인덱스, DMRS 포트 그룹의 인덱스, CORESET 그룹화를 위한 인덱스, HARQ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한 인덱스, 스크램블링 인덱스,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SRS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슬롯 인덱스, 또는 서브-슬롯(sub-slot) 인덱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술한 인덱스들 중 어느 하나의 인덱스의 관련 설명들에 대해서는,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의 구성 방식들에서의 동일한 인덱스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상세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Y개의 후보 빔 리소스들이 구성 정보에서의 빔 장애 복구 구성에 포함될 수 있고, 제2 인덱스가 후보 빔 리소스의 파라미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장애 복구 구성은 다음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빔 장애 복구 구성(예를 들어, BeamFailureRecoveryConfig) {
후보 빔 리소스 리스트(예를 들어, candidateBeamRSList)
}
후보 빔 리소스 리스트는 Y개의 후보 빔 리소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빔 장애 복구 구성에 포함되는 후보 빔 리소스는 다음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후보 빔 리소스(예를 들어, candidateBeamRS) {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예를 들어, candidateBeamRSID),
제2 인덱스
}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Y개의 후보 빔 리소스들이 구성 정보에서의 복수의 빔 장애 복구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 및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구성 방식들이 설명된다. 다음은 전술한 구성 방식들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들의 구성들을 설명한다. 선택적으로, 다음의 사례들이 존재할 수 있다.
사례 1: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이 방식 1로 구성되고,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이 방식 1로 또한 구성됨.
선택적으로, 사례 1에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는 다음의 2개의 방식들로 수립될 수 있다.
방식 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가 직접 구성됨.
가능한 구현에서,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이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되되는 것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를 포함한다. 즉,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다음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예를 들어, RadioLinkMonitoringRSSet) {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예를 들어, RadioLinkMonitoringRSSetID),
빔 장애 검출 리소스 리스트(예를 들어, RadioLinkMonitoringRSList),
후보 빔 리소스 그룹(예를 들어, candidateBeamRSList)의 인덱스
}
이러한 사례에서, 선택적으로,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하나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만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사례에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대응관계는 일-대-일 대응관계이거나;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복수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의 인덱스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사례에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대응관계는 일-대-다 대응관계이거나; 또는 복수의 상이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에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의 인덱스들은 동일할 수 있고, 이러한 사례에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대응관계는 다-대-일 대응관계이다. 이러한 것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이 빔 장애 복구 구성과 연관된다는 것을 표시한다. 후보 빔 리소스가 빔 장애 복구 구성에 포함되기 때문에,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빔 장애 복구 구성 사이의 연관은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이 빔 장애 복구 구성에 포함되는 후보 빔 리소스들로 구성되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과 연관되는 것으로서 또한 이해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방식으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이 후보 빔 리소스 그룹과 연관되는 것을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은 하나 이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상이한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에 포함되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의 인덱스들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방식으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는 빔 장애 복구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이 빔 장애 복구 구성과 연관된다는 것을 표시한다. 후보 빔 리소스가 빔 장애 복구 구성에 포함되기 때문에,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빔 장애 복구 구성 사이의 연관은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이 빔 장애 복구 구성에 포함되는 후보 빔 리소스들로 구성되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과 연관되는 것으로서 또한 이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빔 장애 복구 구성은 하나 이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상이한 빔 장애 복구 구성들에 포함되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의 인덱스들은 동일할 수 있다.
방식 2: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 및 후보 빔 리소스 그룹 각각에서 제3 인덱스가 구성됨.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 및 후보 빔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제3 인덱스들이 동일할 때, 빔 장애 검출 리소스는 후보 빔 리소스와 연관된다.
선택적으로, 제3 인덱스는 다음: TRP의 인덱스, CORESET의 인덱스, CORESET 그룹의 인덱스, TAG의 인덱스, DMRS 포트의 인덱스, DMRS 포트 그룹의 인덱스, CORESET 그룹화를 위한 인덱스, HARQ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한 인덱스, 스크램블링 인덱스,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PUCCH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SRS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슬롯 인덱스, 또는 서브-슬롯(sub-slot) 인덱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하나의 제3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다음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예를 들어, RadioLinkMonitoringRSSet) {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예를 들어, RadioLinkMonitoringRSSetID),
빔 장애 검출 리소스 리스트(예를 들어, RadioLinkMonitoringRSList),
제3 인덱스
}
선택적으로, 각각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은 하나의 제3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은 다음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후보 빔 리소스 그룹(예를 들어, candidateBeamRSSet) {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예를 들어, candidateBeamRSSetID),
후보 빔 리소스 리스트(예를 들어, candidateBeamRSlist),
제3 인덱스
}
사례 2: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이 방식 1로 구성되고,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이 방식 2로 구성됨.
선택적으로, 사례 2에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는 다음의 2개의 방식들로 수립될 수 있다:
방식 1: 후보 빔 리소스와 연관된 제2 인덱스가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일 때,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이 제2 인덱스에 기초하여 결정될 때,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가 수립되었음, 즉,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동일한 인덱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가 하나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을 구성하고, 후보 빔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이 제2 인덱스에 대응하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임. 이러한 사례에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이 후보 빔 리소스 그룹과 직접 연관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방식 2: 후보 빔 리소스와 연관된 제2 인덱스가 TRP의 인덱스일 때, TRP의 인덱스가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 또한 구성될 수 있음.
이러한 사례에서, 선택적으로, TRP의 동일한 인덱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는 하나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을 구성하고, 후보 빔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TRP의 동일한 인덱스로 구성되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이다. 이러한 사례에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 및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양자 모두가 동일한 제3 인덱스와 연관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고, 이러한 사례에서, 제3 인덱스가 TRP의 인덱스이다.
선택적으로, TRP의 동일한 인덱스가 상이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에서 구성되어,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다-대-일 연관 관계를 수립할 수 있다.
후보 빔 리소스와 연관된 제2 인덱스가 CORESET의 인덱스, CORESET 그룹의 인덱스, TAG의 인덱스, DMRS 포트의 인덱스, DMRS 포트 그룹의 인덱스, CORESET 그룹화를 위한 인덱스, HARQ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한 인덱스, 스크램블링 인덱스,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의 인덱스, 슬롯 인덱스, 또는 서브-슬롯(sub-slot) 인덱스 중 어느 하나일 때,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의 수립 방식은 사례 2에서의 방식 2와 동일하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상세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사례 3: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이 방식 2로 구성되고,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이 방식 1로 구성됨.
선택적으로, 사례 3에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는 다음의 2개의 방식들로 수립될 수 있다:
방식 1: 빔 장애 검출 리소스와 연관된 제1 인덱스가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일 때,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이 제1 인덱스에 기초하여 결정될 때,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가 수립되었음, 즉,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동일한 인덱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가 하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구성하고,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후보 빔 리소스가 제1 인덱스에 대응하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임. 이러한 사례에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이 후보 빔 리소스 그룹과 직접 연관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방식 2: 빔 장애 검출 리소스와 연관된 제1 인덱스가 TRP의 인덱스일 때, TRP의 인덱스가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서 또한 구성될 수 있음.
이러한 사례에서, 선택적으로, TRP의 동일한 인덱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는 하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구성하고,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은 TRP의 동일한 인덱스로 구성되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이다. 이러한 사례에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 및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양자 모두가 동일한 제3 인덱스와 연관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고, 이러한 사례에서, 제3 인덱스가 TRP의 인덱스이다.
선택적으로, TRP의 동일한 인덱스가 상이한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에서 구성되어,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에 일-대-다 연관 관계를 수립할 수 있다.
빔 장애 검출 리소스와 연관된 제1 인덱스가 CORESET의 인덱스, CORESET 그룹의 인덱스, TAG의 인덱스, DMRS 포트의 인덱스, DMRS 포트 그룹의 인덱스, CORESET 그룹화를 위한 인덱스, HARQ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한 인덱스, 스크램블링 인덱스,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SRS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슬롯 인덱스, 또는 서브-슬롯(sub-slot) 인덱스 중 어느 하나일 때,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의 수립 방식은 사례 3에서의 방식 2와 동일하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상세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사례 4: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이 방식 2로 구성되고,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이 방식 2로 구성됨.
선택적으로, 사례 4에서, 동일한 제1 인덱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는 하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구성하고, 동일한 제2 인덱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는 하나의 후보 빔 리소스를 구성한다. 동일한 제1 인덱스 및 동일한 제2 인덱스가 동일할 때, 빔 장애 검출 리소스는 후보 빔 리소스와 연관된다. 이러한 사례에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 및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양자 모두가 동일한 제3 인덱스와 연관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고, 이러한 사례에서, 제3 인덱스가 제1 인덱스 및 제2 인덱스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제1 인덱스 및 제2 인덱스 양자 모두는 TRP 연관 인덱스들이다. X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에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1 및 빔 장애 검출 리소스 2 양자 모두가 TRP 연관 인덱스 1과 연관되면, 빔 장애 검출 리소스 1 및 빔 장애 검출 리소스 2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 1을 구성하고, 이러한 사례에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 1이 TRP 연관 인덱스 1과 연관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후보 빔 리소스 1 및 후보 빔 리소스 2 양자 모두가 TRP 연관 인덱스 1과 연관되면, 후보 빔 리소스 1 및 후보 빔 리소스 2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 1을 구성하고, 이러한 사례에서, 후보 빔 리소스 그룹 1이 TRP 연관 인덱스 1과 연관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 1 및 후보 빔 리소스 그룹 1 양자 모두가 TRP 연관 인덱스 1과 연관되기 때문에,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 1이 후보 빔 리소스 그룹 1과 연관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사례 5: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이 방식 3으로 결정됨.
선택적으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이 CORESET 그룹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구성될 때, M개의 CORESET 그룹들 각각은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 중 하나 이상과 연관된다. 즉,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는 CORESET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를 수립하는 것에 의해 수립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구성 정보가 M개의 CORESET 그룹들을 포함할 때,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에서,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또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대응하는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가 M개의 CORESET 그룹들 각각에서 구성되어, CORESET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수립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CORESET 그룹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상이한 CORESET 그룹들에 포함되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의 인덱스들은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구성 정보가 M개의 CORESET 그룹들을 포함할 때, CORESET 그룹의 인덱스가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서 추가로 구성되어, CORESET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수립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은 하나 이상의 CORESET 그룹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상이한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에 포함되는 CORESET 그룹들의 인덱스들은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구성 정보가 M개의 CORESET 그룹들을 구성하는 K개의 CORESET들을 포함할 때,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또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대응하는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가 K개의 CORESET들 각각에서 구성되어, CORESET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수립할 수 있다.
전술한 단계 S502에서: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 및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를 결정하는 방식은 단계 S501에 있는 각각의 리소스 그룹의 구성 방식 및 연관 관계의 수립 방식에 대응한다.
전술한 단계 S503에서:
빔 장애 복구 조건 결정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측정하는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이고,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되는 그리고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에 있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이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이고, 이러한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01에서 제공되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의 구성 방식으로부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은,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 양자 모두가 동일한 제3 인덱스와 연관되는 것; 또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이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과 직접 연관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관련 설명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단계 S501을 참조한다. 상세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를 측정할 수 있고,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을 때,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모든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의 평균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을 때,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 있는 그리고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은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많을 때,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빔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의 제1 프로토콜 레이어 엔티티는 빔 장애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의 제2 프로토콜 레이어 엔티티에 보고하고, 빔 장애 표시 정보는 다음: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제1 인덱스,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또는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대응하는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프로토콜 레이어 엔티티로부터 빔 장애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의 제2 프로토콜 레이어 엔티티는 제1 프로토콜 레이어 엔티티에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요청 메시지는 제1 프로토콜 레이어 엔티티에게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 대응하는 후보 빔에 관한 정보를 보고하라고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후보 빔에 관한 정보는 제1 후보 빔 리소스에 있는 그리고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에 관한 정보일 수 있고, 요청 메시지는 다음: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제1 인덱스,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또는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대응하는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제1 프로토콜 레이어 엔티티는,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으로부터,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를 결정하고, 후보 빔 표시 정보를 제2 프로토콜 레이어 엔티티에 보고할 수 있고, 이러한 후보 빔 표시 정보는 다음: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대응하는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제1 후보 빔 리소스와 연관된 제2 인덱스,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또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임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인덱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보 빔 표시 정보가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를 포함할 때, 제2 프로토콜 레이어 엔티티는 후보 빔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빔을 직접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선택적으로,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품질을 갖는 후보 빔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때, 단말 디바이스의 제1 프로토콜 레이어 엔티티는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서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품질을 갖는 후보 빔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제2 프로토콜 레이어 엔티티에, 보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술한 단계 S503에서, 제2 프로토콜 레이어 엔티티가 제1 프로토콜 레이어 엔티티로부터 후보 빔 표시 정보를 수신할 때, 빔 장애 복구를 착수하기 위해 다음의 단계 S504가 수행되거나; 또는 전술한 단계 S503에서, 제2 프로토콜 레이어 엔티티가, 제1 프로토콜 레이어 엔티티로부터,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서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품질을 갖는 후보 빔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수신할 때, 다음의 단계 S505가 수행된다.
선택적으로, 제1 프로토콜 레이어 엔티티는, 예를 들어, 물리(physical, PHY) 레이어 엔티티일 수 있고, 제2 프로토콜 레이어 엔티티는, 예를 들어,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레이어 엔티티일 수 있다.
S504: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함.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후보 빔 리소스를 표시하기 위해 제1 표시 정보가 사용되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후보 빔 리소스에 기초하여 후보 빔을 결정하고, 제1 후보 빔 리소스는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그리고 단계 S503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는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있는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에서의 후보 빔 리소스이다. 즉,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있는 그리고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모든 후보 빔 리소스를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있는 그리고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후보 빔 리소스들의 일부 또는 하나의 후보 빔 리소스를 표시할 수 있고, 후보 빔 리소스들의 일부 또는 하나의 후보 빔 리소스는, 예를 들어,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서 최고 품질을 갖는 후보 빔 리소스 또는 후보 빔 리소스들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표시 정보는 다음: 제1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대응하는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제1 후보 빔 리소스와 연관된 제2 인덱스,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또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임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인덱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다음의 3개의 방식들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방식 1: 단말 디바이스가 PUCCH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함.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PUCCH를 전송하고, 제1 PUCCH에서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제1 PUCCH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PUCCH에서 운반되는, 제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식별되는 후보 빔, 및 빔 장애가 발생하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TRP 연관 인덱스를 결정하고, 이러한 후보 빔을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응답 메시지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에서 운반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BFR 응답 메시지의 전용 검색 공간(복구 검색 공간)에서 DCI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가 DCI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빔 장애 복구가 성공한다. TRP 연관 인덱스의 설명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단계 S501에서의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의 구성 방식 3에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상세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빔 장애가 발생하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 및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 빔 장애가 발생함" 양자 모두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 대응하는 빔에서 빔 장애가 발생함"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러한 것은 본 명세서에서 통합된 방식으로 설명된다. 상세사항들이 다음의 실시예들에서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정보가 제1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일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제1 후보 빔 리소스에 대응하는 후보 빔을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후보 빔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식별되는 후보 빔이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을 결정하고, 다음으로, 후보 빔 리소스 그룹과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사용하여, 빔 장애가 발생하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결정하고, 마지막으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TRP 연관 인덱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사용하여, 빔 장애가 발생하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TRP 연관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PUCCH에서 제1 표시 정보를 직접 운반하지 않고, 제1 PUCCH와 제1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사용하여 제1 표시 정보를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복수의 PUCCH들을 구성할 수 있고, 각각의 PUCCH는 다음: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또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인덱스 중 하나 이상과 연관된다. 제1 표시 정보를 결정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제1 표시 정보와 제1 PUCCH 사이의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제1 PUCCH를 결정하고,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PUCCH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PUCCH를 수신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PUCCH와 제1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제1 표시 정보를 결정하여, 후보 빔을 사용하여 제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PUCCH와 제1 TRP 연관 인덱스 사이의 연관 관계, 및 제1 TRP 연관 인덱스와 제1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사용하여 제1 표시 정보를 추가로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고, 제1 TRP 연관 인덱스는 빔 장애가 발생하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PUCCH를 제1 TRP 연관 인덱스와 연관되도록 구성하고, 제1 TRP 연관 인덱스를 제1 표시 정보와 연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 표시 정보를 결정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제1 TRP 연관 인덱스와 제1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제1 TRP 연관 인덱스를 결정하고, 다음으로 제1 TRP 연관 인덱스와 제1 PUCCH 사이의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제1 PUCCH를 결정하고,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PUCCH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PUCCH를 수신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PUCCH와 제1 TRP 연관 인덱스 사이의 연관 관계 및 제1 TRP 연관 인덱스와 제1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제1 표시 정보를 결정하여, 후보 빔을 사용하여 제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PUCCH를 전송하고, 제1 PUCCH에서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고, 제1 PUCCH와 제1 TRP 연관 인덱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사용하여, 빔 장애가 발생하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제1 TRP 연관 인덱스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PUCCH를 수신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식별되는 후보 빔을 결정할 수 있고, 제1 PUCCH와 제1 TRP 연관 인덱스 사이의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제1 TRP 연관 인덱스와 연관된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 빔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RP 연관 인덱스는 CORESET 그룹의 인덱스이고, 2개의 CORESET 그룹들이 하나의 셀에서 구성되고, 제1 CORESET 그룹의 인덱스는 제1 PUCCH와 연관되고, 제2 CORESET 그룹의 인덱스는 제2 PUCCH와 연관된다. 제1 CORESET 그룹과 연관된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 빔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PUCCH를 전송하고, 제1 PUCCH에서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제1 PUCCH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PUCCH와 연관된 제1 CORESET 그룹과 연관된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 빔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후보 빔을 사용하여 제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PUCCH와 TRP 연관 인덱스 사이에 연관 관계가 존재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TRP 연관 인덱스와 연관된 PUCCH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빔 장애가 발생하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제1 TRP 연관 인덱스를 표시하고, PUCCH에서 제1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RP 연관 인덱스는 CORESET 그룹의 인덱스이고, 2개의 CORESET 그룹들이 하나의 셀에서 구성되고, 제1 CORESET 그룹의 인덱스는 제1 PUCCH와 연관되고, 제2 CORESET 그룹의 인덱스는 제2 PUCCH와 연관된다. 제1 CORESET 그룹과 연관된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 빔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2 PUCCH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PUCCH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PUCCH와 연관된 제1 CORESET 그룹과 연관된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 빔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후보 빔을 사용하여 제1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방식 2: 단말 디바이스가 매체 액세스 제어-제어 엘리먼트(medium access control-control element, MAC-CE)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함.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MAC-CE를 전송하고, 제1 MAC-CE에서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는 제1 MAC-CE에서 제1 표시 정보를 직접 운반하지 않고, 제1 MAC-CE와 제1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사용하여 제1 표시 정보를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는 제1 MAC-CE와 제1 TRP 연관 인덱스 사이의 연관 관계, 및 제1 TRP 연관 인덱스와 제1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사용하여 제1 표시 정보를 추가로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는 제1 MAC-CE에서 제1 표시 정보를 추가로 운반하고, 제1 MAC-CE와 제1 TRP 연관 인덱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사용하여, 빔 장애가 발생하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제1 TRP 연관 인덱스를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TRP 연관 인덱스와 연관된 MAC-CE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빔 장애가 발생하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제1 TRP 연관 인덱스를 추가로 표시하고, MAC-CE에서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관련 설명들 및 액션들에 대해서는, 방식 1에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상세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방식 3: 단말 디바이스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함.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PRACH를 전송하고, 제1 PRACH에서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는 제1 PRACH에서 제1 표시 정보를 직접 운반하지 않고, 제1 PRACH와 제1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사용하여 제1 표시 정보를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는 제1 PRACH와 제1 TRP 연관 인덱스 사이의 연관 관계 및 제1 TRP 연관 인덱스와 제1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사용하여 제1 표시 정보를 추가로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는 제1 PRACH에서 제1 표시 정보를 추가로 운반하고, 제1 PRACH와 제1 TRP 연관 인덱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사용하여, 빔 장애가 발생하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제1 TRP 연관 인덱스를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TRP 연관 인덱스와 연관된 PRACH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빔 장애가 발생하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제1 TRP 연관 인덱스를 추가로 표시하고, PRACH에서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관련 설명들 및 액션들에 대해서는, 방식 1에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상세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단계 S504에 있는 제1 PUCCH와 제1 표시 정보 사이의, 제1 MAC-CE와 제1 표시 정보 사이의, 그리고 제1 PRACH와 제1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토콜에서 미리 정의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러한 것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 디바이스가 전술한 방식들 중 단지 하나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전술한 복수의 방식들의 조합으로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방식 3에서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할 때, 빔 장애 복구가 성공하지 않으면,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구체적인 주기의 시간 내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가 PRACH 메시지 1이 최대 횟수 동안 재송신될 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방식 1 또는 방식 2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표시 정보를 계속 전송할 수 있다.
S505: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2 표시 정보를 전송함.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에서의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은 것, 또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모든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의 평균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은 것, 또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 있는 그리고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은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고,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서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후보 빔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2 표시 정보를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제2 표시 정보는 다음: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임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인덱스,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대응하는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후보 빔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TRP의 인덱스, CORESET의 인덱스, CORESET 그룹의 인덱스, TAG의 인덱스, DMRS 포트의 인덱스, DMRS 포트 그룹의 인덱스, CORESET 그룹화를 위한 인덱스, HARQ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한 인덱스, 스크램블링 인덱스, PUCCH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SRS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슬롯 인덱스, 또는 서브-슬롯(sub-slot) 인덱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다음의 3개의 방식들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2 표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방식 1: 단말 디바이스가 PUCCH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2 표시 정보를 전송함.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3 PUCCH를 전송하고, 제3 PUCCH에서 제2 표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제3 PUCCH를 수신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빔 장애가 발생하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 및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TRP 연관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표시 정보가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를 포함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빔 장애가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TRP 연관 인덱스 사이의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제1 TRP 연관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3 PUCCH에서 제2 표시 정보를 직접 운반하지 않고, 제3 PUCCH와 제2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사용하여 제2 표시 정보를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표시 정보와 연관되도록 제3 PUCCH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표시 정보를 결정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제2 표시 정보와 제3 PUCCH 사이의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제3 PUCCH를 결정하고,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3 PUCCH를 전송할 수 있다. 제3 PUCCH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3 PUCCH와 제2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제2 표시 정보를 결정하여, 빔 장애가 발생하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 및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TRP 연관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은 제3 PUCCH와 제1 TRP 연관 인덱스 사이의 연관 관계, 및 제1 TRP 연관 인덱스와 제2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사용하여 제2 표시 정보를 추가로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TRP 연관 인덱스와 연관되도록 제3 PUCCH를 구성하고, 제2 표시 정보와 연관되도록 제1 TRP 연관 인덱스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표시 정보를 결정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제1 TRP 연관 인덱스와 제2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제1 TRP 연관 인덱스를 결정하고, 다음으로 제1 TRP 연관 인덱스와 제3 PUCCH 사이의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제3 PUCCH를 결정하고,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3 PUCCH를 전송할 수 있다. 제3 PUCCH를 수신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3 PUCCH와 제1 TRP 연관 인덱스 사이의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제1 TRP 연관 인덱스를 결정하고, 제1 TRP 연관 인덱스와 제2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제2 표시 정보를 결정하여, 제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빔 장애가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PUCCH와 TRP 연관 인덱스 사이에 연관 관계가 존재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TRP 연관 인덱스와 연관된 PUCCH를 사용하여, 빔 장애가 발생하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제1 TRP 연관 인덱스를 표시하고, PUCCH에서 제2 표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RP 연관 인덱스는 CORESET 그룹의 인덱스이고, 2개의 CORESET 그룹들이 하나의 셀에서 구성되고, 제3 CORESET 그룹의 인덱스는 제3 PUCCH와 연관되고, 제4 CORESET 그룹의 인덱스는 제4 PUCCH와 연관된다. 제3 CORESET 그룹과 연관된 제3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 빔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4 PUCCH를 전송할 수 있다. 제4 PUCCH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3 PUCCH와 연관된 제1 TRP 연관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고, 제2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빔 장애가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방식 2: 단말 디바이스가 MAC-CE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2 표시 정보를 전송함.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2 MAC-CE를 전송하고, 제2 MAC-CE에서 제2 표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는 제2 MAC-CE에서 제2 표시 정보를 직접 운반하지 않고, 제2 MAC-CE와 제2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사용하여 제2 표시 정보를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는 제2 MAC-CE와 제1 TRP 연관 인덱스 사이의 연관 관계, 및 제1 TRP 연관 인덱스와 제2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사용하여 제2 표시 정보를 추가로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TRP 연관 인덱스와 연관된 MAC-CE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빔 장애가 발생하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제1 TRP 연관 인덱스를 추가로 표시하고, MAC-CE에서 제2 표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관련 설명들 및 액션들에 대해서는, 방식 1에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상세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방식 3: 단말 디바이스가 PRACH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2 표시 정보를 전송함.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2 PRACH를 전송하고, 제2 PRACH에서 제2 표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는 제2 PRACH에서 제2 표시 정보를 직접 운반하지 않고, 제2 PRACH와 제2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사용하여 제2 표시 정보를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는 제2 PRACH와 제1 TRP 연관 인덱스 사이의 연관 관계, 및 제1 TRP 연관 인덱스와 제2 표시 정보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사용하여 제2 표시 정보를 추가로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TRP 연관 인덱스와 연관된 PRACH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빔 장애가 발생하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제1 TRP 연관 인덱스를 추가로 표시하고, PRACH에서 제2 표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관련 설명들 및 액션들에 대해서는, 방식 1에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상세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TRP 연관 인덱스를 결정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MAC-CE 시그널링, 또는 DCI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제1 TRP 연관 인덱스에 대응하는 TRP의 관련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TRP의 관련 파라미터는 다음: 보고 구성(reportConfig), 리소스(resource), 리소스 세트(resourceSet), 리소스 설정(resourceSetting), 트리거 상태(triggerState), TCI 상태,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리소스(SRS resource), SRS 리소스 세트(SRS resourceSet), 공간 관계(spatialRelation), 타이밍 어드밴스(timingadvance, TA), TAG, PRACH-관련 리소스,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 PUCCH 리소스, 업링크 구성 승인(configured UL grant), 반-영구적 PUSCH 리소스, HARQ 프로세스, 및 전력 제어-관련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한 TRP에 대응하는 관련 파라미터의 조정은 관련 파라미터에 대한 재구성, 해제, 활성화, 비활성화, 소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하나의 셀에 대해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을 구성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임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 빔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 후보 빔 리소스 그룹으로부터,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후보 빔 리소스를 결정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여 빔 장애 복구를 수행한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는 빔 장애 복구를 수행하기 위해 셀의 모든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에서 빔 장애들이 발생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 다른 양태에서,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각각이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 중 하나와 연관되기 때문에,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의 각각의 그룹에 대해 복구가 수행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빔 장애 복구 방법에 기초하여, 장애 빔이 적시에 복구될 수 있다.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이 TRP를 입도로서 사용할 때, TRP의 입도로 빔 장애 복구가 구현될 수 있어서, 멀티-TRP 송신 성능이 개선된다.
도 3에 도시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30)에서의 프로세서(301)는 메모리(302)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단계들 S501 내지 S504 또는 S501 내지 S505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액션들을 수행하라고 명령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단말 디바이스(40)에서의 프로세서(401)는 메모리(402)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단계들 S501 내지 S504 또는 S501 내지 S505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액션들을 수행하라고 명령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이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들 및/또는 단계들은 단말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컴포넌트(예를 들어, 칩 또는 회로)에 의해 또한 구현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들 및/또는 단계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컴포넌트에 의해 또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사이의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해결책들을 주로 설명한다. 대응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장치를 추가로 제공하고, 이러한 통신 장치는 전술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장치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이러한 단말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컴포넌트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 장치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컴포넌트일 수 있다. 전술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통신 장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대응하는 하드웨어 구조들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한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해당 분야에서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예들에서의 유닛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본 출원에서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기능이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기술적 해결책들의 특정 적용들 및 설계 제약 조건들에 의존한다. 해당 분야에서의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 적용에 대해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통신 장치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기능 모듈들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기능 모듈은 각각의 대응하는 기능에 기초하는 분할을 통해 획득될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기능들이 하나의 처리 모듈에 통합될 수 있다. 통합 모듈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듈들로의 분할은 일 예이며, 단지 논리 기능 분할이라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실제 구현에서, 다른 분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이다. 도 6은 단말 디바이스(60)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단말 디바이스(60)는 처리 모듈(601) 및 송수신기 모듈(602)을 포함한다. 송수신기 모듈(602)은 전송 및/또는 수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 유닛이라고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 모듈(602)은 송수신기 회로, 송수신기 머신, 송수신기,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송수신기 모듈(602)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수신 및 전송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수신 모듈 및 전송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모듈(601)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수신 및 전송 단계들 이외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 모듈(602)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모듈(601)은 이러한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및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M 및 N은 양의 정수들이고, M 및 N 양자 모두는 1이 아니다.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을 때, 또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모든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의 평균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을 때, 또는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 있는 그리고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은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의 수량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많을 때, 처리 모듈(601)은,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으로부터,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송수신기 모듈(602)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표시 정보는 제1 후보 빔 리소스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후보 빔 리소스는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에서의 후보 빔 리소스이고,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이고,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은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되는 그리고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에 있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이다.
선택적으로, 처리 모듈(601)이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빔 장애 검출 리소스를 구성하지 않으면, 처리 모듈(601)이 M개의 CORESET 그룹들에 기초하여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M개의 CORESET 그룹들 각각은 하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모듈(602)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는 것은, 송수신기 모듈(602)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PUCCH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 제1 PUCCH는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됨 -; 송수신기 모듈(602)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MAC-CE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 제1 MAC-CE는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됨 -; 또는 송수신기 모듈(602)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PRACH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 제1 PRACH는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됨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을 때,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품질을 갖는 후보 빔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송수신기 모듈(602)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2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단계들의 모든 관련된 내용은 대응하는 기능 모듈들의 기능 설명들에서 인용될 수 있다. 상세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60)는 통합된 방식으로 분할을 통해 획득되는 기능 모듈들의 형태로 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module)"은 구체적인 ASIC, 회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메모리, 통합 논리 회로, 및/또는 전술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컴포넌트일 수 있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해당 분야에서의 기술자는 단말 디바이스(60)가 도 3에 도시되는 단말 디바이스(40)의 형태일 수 있다는 점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되는 단말 디바이스(40)에서의 프로세서(401)는 메모리(402)에 저장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호출하여, 단말 디바이스(40)가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빔 장애 복구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되는 단말 디바이스(40)에서의 프로세서(401)는 메모리(402)에 저장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호출하여, 도 6에서의 처리 모듈(601) 및 송수신기 모듈(602)의 기능들/구현 프로세스들을 구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3에 도시되는 단말 디바이스(40)에서의 프로세서(401)는 메모리(402)에 저장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를 호출하여, 도 6에서의 처리 모듈(601)의 기능들/구현 프로세스들을 구현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되는 단말 디바이스(40)에서의 송수신기(403)는 도 6에서의 송수신기 모듈(602)의 기능들/구현 프로세스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단말 디바이스(60)는 빔 장애 복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6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상세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도 7은 네트워크 디바이스(70)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70)는 처리 모듈(701) 및 송수신기 모듈(702)을 포함한다. 송수신기 모듈(702)은 전송 및/또는 수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 유닛이라고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 모듈(702)은 송수신기 회로, 송수신기 머신, 송수신기,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송수신기 모듈(702)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수신 및 전송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각각 구성되는 수신 모듈 및 전송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모듈(701)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수신 및 전송 단계들 이외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모듈(701)은 구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구성 정보는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및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M 및 N은 양의 정수들이고, M 및 N 양자 모두는 1이 아니고; 송수신기 모듈(702)은, 단말 디바이스에 구성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송수신기 모듈(702)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이러한 제1 표시 정보는 제1 후보 빔 리소스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후보 빔 리소스는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그리고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있는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에서의 후보 빔 리소스이고,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은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되는 그리고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에 있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이고,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모듈(702)이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는 것은, 송수신기 모듈(702)이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PUCCH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 제1 PUCCH는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됨 -; 송수신기 모듈(702)이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MAC-CE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 제1 MAC-CE는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됨 -; 또는 송수신기 모듈(702)이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PRACH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 제1 PRACH는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됨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모듈(702)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단계들의 모든 관련된 내용은 대응하는 기능 모듈들의 기능 설명들에서 인용될 수 있다. 상세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70)는 통합된 방식으로 분할을 통해 획득되는 기능 모듈들의 형태로 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module)"은 구체적인 ASIC, 회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메모리, 통합 논리 회로, 및/또는 전술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컴포넌트일 수 있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해당 분야에서의 기술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70)가 도 3에 도시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30)의 형태일 수 있다는 점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30)에서의 프로세서(301)는 메모리(302)에 저장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호출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30)가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빔 장애 복구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30)에서의 프로세서(301)는 메모리(302)에 저장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호출하여, 도 7에서의 처리 모듈(701) 및 송수신기 모듈(702)의 기능들/구현 프로세스들을 구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3에 도시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30)에서의 프로세서(301)는 메모리(302)에 저장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를 호출하여, 도 7에서의 처리 모듈(701)의 기능들/구현 프로세스들을 구현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30)에서의 송수신기(303)는 도 7에서의 송수신기 모듈(702)의 기능들/구현 프로세스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70)는 빔 장애 복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7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상세사항들이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되지는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예를 들어, 이러한 통신 장치는 칩 또는 칩 시스템일 수 있음). 이러한 통신 장치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러한 통신 장치는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한다. 메모리는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통신 장치에게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라고 명령할 수 있다. 물론, 메모리는 통신 장치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통신 장치는 인터페이스 회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회로는 코드/데이터 판독/기입 인터페이스 회로일 수 있고, 이러한 인터페이스 회로는,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메모리로부터 직접 판독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컴포넌트를 통과할 수 있음), 그리고 이러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프로세서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통신 장치가 칩 시스템일 때, 이러한 통신 장치는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칩 및 다른 개별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이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사용될 때, 이러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컴퓨터에서 로딩되고 실행될 때,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시저들 또는 기능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생성된다. 이러한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명령어들은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명령어들은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 섬유 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방식으로,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사용가능 매체를 통합하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컴퓨터 또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사용가능 매체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가능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컴퓨터는 전술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이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더라도, 보호를 청구하는 본 출원을 구현하는 프로세스에서, 해당 분야에서의 기술자는 첨부 도면들, 개시된 내용, 및 첨부된 청구항들을 검토하는 것에 의해 개시된 실시예들의 다른 변형을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다. 청구항들에서, "포함"(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다른 컴포넌트 또는 다른 단계를 배제하지 않으며, 단수 표현("a" 또는 "one")은 복수의 의미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일 프로세서 또는 다른 유닛이 청구항들에서 나열되는 몇몇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조치들이 서로 상이한 종속 청구항들에 기록되지만, 더 많은 효과를 산출하기 위해 이러한 조치들이 조합될 수 없다는 점을 이러한 것이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이 구체적인 특징들 및 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더라도, 본 출원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들 및 조합들이 행해질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하다. 대응하여, 명세서 및 첨부 도면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출원의 단지 예시적인 설명들이고, 본 출원의 범위를 커버하는 모든 수정들, 변형들, 조합들, 또는 등가물들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으로서 고려된다. 해당 분야에서의 기술자는 본 출원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출원에 다양한 수정들 및 변형들을 행할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출원은 본 출원의 청구항들 및 그 등가의 기술들의 범위 내에 있다면 본 출원의 이러한 수정들 및 변형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빔 장애 복구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및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을 결정하는 단계- M 및 N은 양의 정수들이고, M 및 N 양자 모두는 1이 아님 -; 및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을 때,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으로부터,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를 결정하고,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제1 후보 빔 리소스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에서의 후보 빔 리소스이고,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상기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은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되는 그리고 상기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에 있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을 포함하고, 상기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정보는 X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X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들 각각은 제1 인덱스와 연관되고, X는 M 이상의 양의 정수이고,
    동일한 제1 인덱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는 동일한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 속하고, 상기 제1 인덱스는 다음: 송신 수신 포인트 TRP의 인덱스, 제어 리소스 세트 CORESET의 인덱스, CORESET 그룹의 인덱스, 타이밍 어드밴스 그룹 TAG의 인덱스,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의 인덱스, DMRS 포트 그룹의 인덱스, CORESET 그룹화를 위한 인덱스,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한 인덱스, 스크램블링 인덱스,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사운딩 참조 신호 SRS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슬롯 인덱스, 또는 서브-슬롯 인덱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M개의 제어 리소스 세트 CORESET 그룹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빔 장애 검출 리소스가 구성되지 않으면, 상기 M개의 CORESET 그룹들에 기초하여 상기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M개의 CORESET 그룹들 각각은 하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됨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CORESET 그룹이 하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은,
    각각의 CORESET 그룹에서의 모든 CORESET들에 대해 현재 활성화된 송신 구성 인덱스 상태들 TCI-states에서의 제1 참조 신호 리소스들이 하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 속하는 것을 포함하고,
    TCI-state가 복수의 참조 신호 리소스들을 포함하면, 상기 제1 참조 신호 리소스는 TCI-state에 있는 그리고 타입이 타입 D인 준 공동-위치 정보 QCL-Info에서의 참조 신호 리소스이거나; 또는 TCI-state가 단지 하나의 참조 신호 리소스를 포함하면, 상기 제1 참조 신호 리소스는 참조 신호 리소스인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CORESET 그룹들 각각은 상기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 중 하나 이상과 연관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을 포함하고, 상기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구성 정보는 Y개의 후보 빔 리소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Y개의 후보 빔 리소스들 각각은 제2 인덱스와 연관되고, Y는 N 이상의 양의 정수이고,
    동일한 제2 인덱스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는 동일한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속하고, 상기 제2 인덱스는 다음: TRP의 인덱스, CORESET의 인덱스, CORESET 그룹의 인덱스, TAG의 인덱스, DMRS 포트의 인덱스, DMRS 포트 그룹의 인덱스, CORESET 그룹화를 위한 인덱스, HARQ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한 인덱스, 스크램블링 인덱스,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SRS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슬롯 인덱스, 또는 서브-슬롯 인덱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이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과 연관된다는 것은,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 및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이 동일한 제3 인덱스와 연관되는 것- 상기 제3 인덱스는 다음: TRP의 인덱스, CORESET의 인덱스, CORESET 그룹의 인덱스, TAG의 인덱스, DMRS 포트의 인덱스, DMRS 포트 그룹의 인덱스, CORESET 그룹화를 위한 인덱스, HARQ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한 인덱스, 스크램블링 인덱스,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PUCCH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SRS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슬롯 인덱스, 또는 서브-슬롯 인덱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함 -; 또는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이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과 직접 연관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PUCCH는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됨 -;
    제1 매체 액세스 제어-제어 엘리먼트 MAC-CE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MAC-CE는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됨 -; 또는
    제1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PRACH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PRACH는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됨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다음: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대응하는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또는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임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인덱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추가로,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을 때,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후보 빔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2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다음: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임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인덱스,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대응하는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후보 빔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TRP의 인덱스, CORESET의 인덱스, CORESET 그룹의 인덱스, TAG의 인덱스, DMRS 포트의 인덱스, DMRS 포트 그룹의 인덱스, CORESET 그룹화를 위한 인덱스, HARQ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한 인덱스, 스크램블링 인덱스, PUCCH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SRS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슬롯 인덱스, 또는 서브-슬롯 인덱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10.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처리 모듈 및 송수신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기 모듈은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및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M 및 N은 양의 정수들이고, M 및 N 양자 모두는 1이 아님 -;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을 때, 상기 처리 모듈은,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으로부터,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송수신기 모듈은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제1 후보 빔 리소스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에서의 후보 빔 리소스이고,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상기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은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되는 그리고 상기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에 있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인 통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M개의 제어 리소스 세트 CORESET 그룹들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통신 장치에 대해 빔 장애 검출 리소스가 구성되지 않으면,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M개의 CORESET 그룹들에 기초하여 상기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 상기 M개의 CORESET 그룹들 각각은 하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됨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 모듈이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송수신기 모듈이 제1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 상기 제1 PUCCH는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됨 -;
    상기 송수신기 모듈이 제1 매체 액세스 제어-제어 엘리먼트 MAC-CE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 상기 제1 MAC-CE는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됨 -; 또는
    상기 송수신기 모듈이 제1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PRACH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 상기 제1 PRACH는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운반하거나 또는 이와 연관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다음: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의 인덱스,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대응하는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또는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임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인덱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을 때,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후보 빔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송수신기 모듈은 제2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다음: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임의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인덱스,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에 대응하는 빔 장애 복구 구성의 인덱스, 품질이 상기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후보 빔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TRP의 인덱스, CORESET의 인덱스, CORESET 그룹의 인덱스, TAG의 인덱스, DMRS 포트의 인덱스, DMRS 포트 그룹의 인덱스, CORESET 그룹화를 위한 인덱스, HARQ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한 인덱스, 스크램블링 인덱스, PUCCH 리소스의 인덱스, PUCCH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SRS 리소스 그룹의 인덱스, 슬롯 인덱스, 또는 서브-슬롯 인덱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4.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 및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는,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상기 프로세서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통신 장치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5.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이 통신 장치에서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장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장치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 장치에 구성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및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M 및 N은 양의 정수들이고, M 및 N은 양자 모두 1이 아님 -;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에서의 각각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의 품질이 제1 임계값보다 낮을 때, 상기 통신 장치는,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으로부터,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표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제1 후보 빔 리소스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후보 빔 리소스에서의 후보 빔 리소스이고,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은 상기 M개의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들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1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은 상기 제1 빔 장애 검출 리소스 그룹과 연관되는 그리고 상기 N개의 후보 빔 리소스 그룹들에 있는 후보 빔 리소스 그룹인 통신 시스템.
  17.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판독하도록, 그리고 상기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통신 장치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8.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할 때, 상기 통신 장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통신 장치.
  19.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통신 장치에서 실행될 때, 상기 통신 장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0. 칩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서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칩이 설치되는 디바이스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
KR1020227002679A 2019-08-09 2020-06-29 빔 장애 복구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202200249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735784.5 2019-08-09
CN201910735784.5A CN112351450B (zh) 2019-08-09 2019-08-09 波束失败恢复方法、设备及系统
PCT/CN2020/099000 WO2021027413A1 (zh) 2019-08-09 2020-06-29 波束失败恢复方法、设备及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983A true KR20220024983A (ko) 2022-03-03

Family

ID=7436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679A KR20220024983A (ko) 2019-08-09 2020-06-29 빔 장애 복구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41814A1 (ko)
EP (1) EP3989470A4 (ko)
KR (1) KR20220024983A (ko)
CN (2) CN115209455A (ko)
WO (1) WO20210274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32517A1 (en) * 2020-10-23 2022-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 beam failure re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240147273A1 (en) * 2021-03-05 2024-05-0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Beam failure detection method, beam failure detec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4319257A4 (en) * 2021-03-31 2024-05-01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BEAM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USER EQUIPMENT, NETWORK SIDE DEVICE AND STORAGE MEDIUM
BR112023020016A2 (pt) * 2021-04-02 2023-11-14 Huawei Tech Co Ltd Método e aparelho de recuperação de falha de feixe
KR20240018656A (ko) * 2021-06-11 2024-02-13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빔 실패 회복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CN115843104A (zh) * 2021-09-20 2023-03-24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通信节点中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5862B2 (en) * 2016-04-13 2020-04-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adjustment request
US10542545B2 (en) * 2017-02-06 2020-01-21 Mediatek Inc. Beam failure recovery mechanism for multi-beam operation
US10555307B2 (en) * 2017-06-16 2020-02-0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reporting
CN109391405B (zh) * 2017-08-10 2021-01-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波束失败的恢复方法、装置、终端及网络设备
CN109391988B (zh) * 2017-08-11 2021-11-09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指示的方法和装置
CN113747585A (zh) * 2017-11-27 2021-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链路恢复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CN111869127B (zh) * 2018-01-12 2023-09-01 诺基亚技术有限公司 在波束恢复过程中利用干扰测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9470A4 (en) 2022-08-10
WO2021027413A1 (zh) 2021-02-18
CN112351450B (zh) 2022-06-14
US20220141814A1 (en) 2022-05-05
EP3989470A1 (en) 2022-04-27
CN115209455A (zh) 2022-10-18
CN112351450A (zh)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1751B2 (en) Signaling for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y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network
EP3989470A1 (en) Beam failure recovery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210121235A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20038331A1 (zh) 确定上行资源的方法与装置
US20210036757A1 (en) Method of transmitting secondary cell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information and related device
CN109417778B (zh)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
KR102460473B1 (ko) 전자 디바이스,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CN111386741B (zh) 一种链路恢复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US10904896B2 (en)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EP4192124A1 (en) Antenna panel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220132530A1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20230063450A1 (en) Positioning Capabilities of Reduced Capability New Radio Devices
CN115039501A (zh) 针对面板和/或波束的集合的lbt过程
US20230095844A1 (en) Beam failure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WO2020221310A1 (zh) 随机接入方法、装置及系统
US20240032093A1 (en) Methods and systems of lbt adaptation and beam operation with interference handling for supporting nr above 52.6 ghz
CN107615794B (zh) 用户装置
EP3968704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230041065A (ko) 보조 정보 전송 방법,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
CN112118633A (zh) 调度请求信息的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20230180221A1 (en) Prioritization for scheduling request an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without logical channel association
WO2023151391A1 (zh) 波束训练方法及通信装置
CN115734265A (zh) 通信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20160101A (ko)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관련된 장치 및 디바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