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902A - 전기수술용-강화 천자를 구비한 eus 접근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수술용-강화 천자를 구비한 eus 접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902A
KR20220024902A KR1020227002394A KR20227002394A KR20220024902A KR 20220024902 A KR20220024902 A KR 20220024902A KR 1020227002394 A KR1020227002394 A KR 1020227002394A KR 20227002394 A KR20227002394 A KR 20227002394A KR 20220024902 A KR20220024902 A KR 20220024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distal end
puncture
electrosurgical
target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레나 스콧
크리스토퍼 에이. 베닝
데이비드 칼라한
카트리나 한센
Original Assignee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4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61B2017/341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guided by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71Electrical conductivity
    • A61B2018/00077Electrical conductivity high, i.e. electrically condu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71Electrical conductivity
    • A61B2018/00083Electrical conductivity low, i.e. electrically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72Connectors and adapters therefor
    • A61B2018/00178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61B2018/00202Moving parts rot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29Liver
    • A61B2018/00535Biliary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 A61B2018/1432Needle curv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장치는 관통 연장하는 루멘을 포함하고, 카테터는 내시경 샤프트를 통해 생체 내의 표적 조직까지 연장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진다. 장치는 또한, 카테터의 루멘을 통해 연장하고 카테터의 원위 단부 밖으로 원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천공 장치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카테터 및 그 위에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천공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천공 장치가 카테터의 원위 단부 밖으로 원위 방향으로 연장될 때, 장치가 표적 조직을 천공함에 따라 전극이 동력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전극이 장치의 핸들로부터 동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수술용-강화 천자를 구비한 EUS 접근 장치
본 개시는 2019년 12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일련번호 62/953,30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는 원용에 의해 본 개시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해부학적 구조, 예를 들어 췌장 담도계(pancreatico-biliary tree)에 접근하기 위한 내시경 초음파(EUS) 접근 장치(device)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초음파 안내 하에서 내시경 초음파(EUS) 접근 절차는 췌장 담도계 및 췌장 가낭포(pancreatic pseudocysts)와 같은 해부학적 구조에 접근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스텐트(stent)를 삽입하고 막힘을 우회하는 절차와 같은 췌장 담도 접근 절차는 표적 해부학적 구조가 매우 좁다는 점에서 다른 유형의 접근 절차와 상이할 수 있다. 많은 EUS 접근 장치는 담즙 시술을 위한 기동성이 부족하고 충분한 기동성을 갖더라도 다른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고 가는 예리한 부분을 구비한 장치는 초기 천자 구멍을 쉽게 뚫을 수 있지만, 예리한 부분이 너무 멀리, 예를 들어 담관의 다른 쪽이나 표적이 아닌 다른 조직이 침투될 때까지 연장될 위험이 있다.
추가로, 접근 캐뉼라(cannula)가 초기 천공 동안 예리한 부분의 외경을 따라 진행하는 경우, 긴 예리한 부분은 예리한 부분이 제거된 후 담관에 대한 접근을 유지하기 위해서 천자 구멍 내로 원위 방향으로 충분히 멀리 접근 캐뉼라를 가져오지 못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더 짧고 더 두꺼운 예리한 부분을 가진 장치는 의도하지 않은 천공의 위험을 덜 제기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표적 조직을 천공하는데 필요한 힘을 증가시킴으로써 초기 천공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무딘 접근 캐뉼라는 천자 구멍으로 예리한 팁(tip)을 따라가는데 실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관통 연장하는 루멘(lumen)을 포함하고, 내시경 샤프트를 통해 생체 내의 표적 조직까지 연장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카테터(catheter); 카테터의 루멘을 통해 연장하고 카테터의 원위 단부 밖으로 원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천공 장치; 및 그 위에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카테터 및 천공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서, 천공 장치가 카테터의 원위 단부 밖으로 원위 방향으로 연장될 때, 장치가 표적 조직을 천공함에 따라 전극이 동력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전극이 장치의 핸들로부터 동력을 공급 받을 수 있는, 카테터 및 천공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카테터의 원위 단부는 구속되지 않을 때 J-형상 곡선을 취하도록 편향된다.
실시예에서, 원위 단부는 표적 조직 내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원위 단부의 원위 개구를 지향시키도록 카테터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실시예에서, 천공 장치가 표적 조직을 천공할 때, 카테터의 원위 단부는 표적 조직 내로 천공 장치를 따라간다.
실시예에서, 카테터의 외부를 따라 종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slidable) 전기수술용 시스(sheath)를 더 포함하며, 전기수술용 시스는 표적 조직 내의 천공 장치에 의해 생성된 접근 구멍(access hole)을 확장하기 위한 전기수술용 팁을 가진다.
실시예에서, 천공 장치가 카테터의 원위 단부로 연장될 때, 카테터의 원위 단부는 곧게 펴진다.
실시예에서, 전극은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카테터의 원위 단부와 핸들의 원위 단부 사이의 카테터의 근위 부분(proximal portion)은 비-전도성 재료로 형성되고, 전극을 핸들에 연결하는 도선(conducting wire)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천공 장치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 전극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전극은 천공 장치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전극의 근위 단부로부터 천공 장치의 근위 단부까지 천공 장치를 따라 연장하는 절연 층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핸들은 길이 조정기(length adjust); 예리한 허브(hub); 천공 장치 및 카테터를 장치의 시스 밖으로 원위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천자 작동기(puncture actuator); 천자 작동기 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시스에 형성된 전극을 사용하여 에너지를 표적 조직에 가하기 위해 시스를 카테터 위로 원위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전기수술용 슬레드(sled); 천자 작동기 로크(lock); 카테터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서 시스의 위치를 잠그기 위한 전기수술용 슬레드 로크; 및 전기 에너지 소스(source)에 커플링(coupling)하도록 구성된 전기수술용 슬레드 상의 제 1 발전기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는 관통 연장하는 루멘을 포함하고, 내시경 샤프트를 통해 생체 내의 표적 조직까지 연장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카테터; 카테터의 루멘을 통해 연장하고 카테터의 원위 단부 밖으로 원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천공 장치; 및 그 위에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카테터 및 천공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서, 천공 장치가 카테터의 원위 단부 밖으로 원위 방향으로 연장될 때, 장치가 표적 조직을 천공함에 따라 전극이 동력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전극이 장치의 핸들로부터 동력을 공급 받을 수 있는, 카테터 및 천공 장치 중 적어도 하나; 및 카테터의 외부를 따라 종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전기수술용 시스로서, 전기수술용 시스가 표적 조직 내의 천공 장치에 의해 생성된 접근 구멍을 확장하기 위한 전기수술용 팁을 가지는, 전기수술용 시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원위 단부는 표적 조직 내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원위 단부의 원위 개구를 지향시키도록 카테터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는 카테터의 루멘을 통해 천공 장치를 연장시키는 단계로서, 카테터가 내시경 샤프트를 통해 생체 내의 표적 부위로 연장하는 크기 및 형상이고, 카테터와 천공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그 위에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단계; 전극에 동력을 공급하는 단계; 천공 장치로 표적 조직을 천공하는 단계; 표적 조직에서 천공 장치에 의해 생성된 접근 구멍을 통해 카테터를 원위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단계; 및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지나 루멘을 통해 근위 방향으로 천공 장치를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카테터의 외부를 따라 전기수술용 시스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로서, 전기수술용 시스가 전기수술용 팁을 가지는, 단계; 접근 구멍을 둘러싸는 조직과 접촉하게 전기수술용 팁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접근 구멍을 확장시키도록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카테터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전기수술용 시스를 잠그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카테터의 원위 단부의 원위 개구를 표적 조직 내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지향시키기 위해서 카테터의 종축을 중심으로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전극은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방법은 천공 장치로 표적 조직을 천공하기 전에, 천공 장치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 전극에 동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는 내시경 접근 장치의 원위 단부를 도시한다.
도 2a는 긴 예리한 부분을 갖는 내시경 접근 장치를 도시한다.
도 2b는 짧은 예리한 부분을 갖는 내시경 접근 장치를 도시한다.
도 2c는 예리한 부분과 J-팁 사이에 과도한 변위가 형성된 내시경 접근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EUS 접근 절차에서 고온 천공을 위해 동력을 공급 받을 수 있는 노출된 금속 단부를 갖는 마이크로카테터(microcatheter)의 원위 팁을 도시한다.
도 4는 EUS 접근 절차에서 고온 천공을 위해 동력을 공급 받을 수 있는 노출된 금속 단부를 갖는 예리한 부분을 도시한다.
도 5는 EUS 접속 절차를 제어하기 위한 핸들을 도시한다.
도 6은 EUS 접근 절차에서 고온 천공을 위해 동력을 공급 받을 수 있는 무딘 단부를 갖는 미세 바늘 흡인(FNA) 바늘을 도시한다.
본 개시는 다음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지칭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천공력이 낮고 표적 조직에 대한 접근 상실 위험이 낮게 효과적으로 천공하고 J-팁을 배치하기 위한 고온의 예리한 부분 및/또는 J-팁이 있는 EUS 접근 장치를 설명한다. 본 개시에서 "고온"이라는 용어는 전기 수술적으로 활성화되는 소자를 지칭한다. 고온 소자는 활성화될 때, 조직을 통해 전류를 통과시키는 동시에 표적 조직을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할 때 상대적으로 가열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여 표적 조직의 전기 저항이 표적 조직을 가열하고 끓게 하여 표적 조직을 절단하고 팽창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본 개시에서 "저온"이라는 용어는 전기 수술적으로 활성화되지 않은 소자를 지칭한다.
도 1a 및 도 1b는 구속되지 않을 때 자연적인 J-형상(J-팁)을 취하도록 편향된 가요성 원위 팁(104)을 갖는 마이크로카테터(102)(즉, 접근 캐뉼라)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EUS 접근 장치(100)를 도시한다. 뾰족한 팁(즉, 예리한 부분)을 구비한 천공 요소(106)는 마이크로카테터(102)의 루멘을 통해 전진되어, 예리한 부분(106)이 원하는 거리만큼 J-팁(104)의 원위 단부 밖으로 원위 방향으로 연장할 때까지 가요성 J-팁(104)이 예리한 부분(106)의 강성 부분을 통해 곧게 펴져서 예리한 부분(106)이 표적 조직을 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J-팁(104)이 표적 해부학적 구조로 함께 전진될 수 있다.
예리한 부분(106)이 내부에 삽입될 때 예리한 부분(106)의 원위 팁이 J-팁(104)의 원위 단부를 넘어 원위 방향으로 돌출하는 거리(108)는 "셋백(setback)"으로 지칭된다. J-팁(104) 및 예리한 부분(106)이 원하는 대로 표적 해부학적 구조로 전진된 후,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리한 부분(106)은 J-팁(104)에서 근위 방향으로 후퇴되어 J-팁(104)이 곡선의 J-형상으로 복귀하도록 자유로워진다. 다음에 가이드와이어가 마이크로카테터(102)의 루멘을 통해 그리고 J-팁(104)의 원위 단부로부터 표적 해부학적 구조로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와이어가 마이크로카테터(102) 내로 삽입되기 전, 동안 또는 후에, J-팁(104)은 표적 해부학적 구조 내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J-팁(104)의 원위 개구를 가리키도록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적 해부학적 구조가 담관인 경우, J-팁(104)은 회전되어 마이크로카테터(102)의 루멘의 원위 개구가 담관의 상류 또는 담관의 출구를 향하는 하류로 소장으로 향할 수 있다. J-팁(104)이 원하는 대로 지향될 때, 가이드와이어가 마이크로카테터(102)를 통과하여 J-팁(104)의 원위 단부에 있는 개구를 빠져나가고 담관을 따라 원하는 거리만큼 원하는 방향으로 J-팁(104) 밖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전기수술용 팁(112)을 갖는 가요성 전기수술용 시스(sheath)(110)는 마이크로카테터(102) 및 J-팁(104) 위로 전진하여 마이크로카테터(102)가 소장을 빠져나가는 구멍 및 마이크로카테터(102)가 표적 담관으로 들어가는 구멍을 확장할 수 있다. 전기수술용 팁은 예를 들어, 5 내지 11 Fr로 접근 구멍(들)(누공(fistula))을 확장시킬 수 있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수술용 팁의 전극은 이러한 팁이 구멍 입구 및 구멍 내부에 위치될 때 활성화되어 추가 절차(예를 들어, 막힘을 우회하기 위해 그 내부에 스텐트를 배치)를 위해 표적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멍을 절단하고 확장할 수 있다.
예리한 부분(106)은 전형적으로 더 넓은 직경의 J-팁(104)이 밀릴 수 있는 해부학적 구조 내에 시작 구멍을 만드는데 사용되므로, 예리한 부분(106)이 제거될 때 J-팁(104)이 표적 해부학적 구조 내에서 천자 구멍을 통해 단단히 삽입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때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고 가는 예리한 부분(201)을 갖는 접근 장치(200)는 조직(203)을 쉽게 천공, 즉 구멍을 만드는데 필요한 천공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예리한 부분(201)의 원위 단부와 J-팁(202)의 원위 단부 사이의 긴 셋백(setback)은 J-팁(202)이 천자 구멍에 단단히 삽입되기 전에 예리한 부분이 조직(203) 내로 더 밀릴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길고 가는 예리한 부분(201)을 사용하는 것은 예리한 부분(201)을 원위 방향으로 너무 멀리 밀고 초기 천공된 조직(203) 원위의 조직(204)을 부주의하게 천공할 위험이 있다. 반대로, 긴 예리한 부분(201)이 J-팁(202)을 단단히 고정할 만큼 충분히 멀리 밀리지 않으면, J-팁(202)은 예리한 부분(201)이 제거될 때 천자 구멍에서 후퇴하여 떨어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짧고 더 두꺼운 예리한 부분(211)을 갖는 접근 장치(210)는 초기에 천공된 조직(213) 원위의 조직(214)을 의도하지 않게 천공하거나 천자 구멍에서 떨어진 J-팁(212)을 가질 위험이 더 적을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두꺼운 예리한 부분(211)을 포함하는 장치로 표적 조직을 천공하는데 필요한 힘은 길고 가는 바늘에 요구되는 힘에 비해 증가한다.
또 다른 예에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근 장치(220)는 예리한 부분(221)이 조직(223)을 통해 전진함에 따라 해부학적 구조의 벽에 걸리는 J-팁(222)을 가질 수 있어서, 예리한 팁(221)과 J-팁(222)사이에 변위를 초래하고 J-팁(222)이 조직 벽에 대해 힘을 받음(즉, 텐팅(tenting))에 따라서 조직(223)을 원위 방향으로 잠재적으로 밀어낸다. 무디거나 테이퍼형 J-팁이 사용될 때 텐팅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에지가 더 예리한 J-팁을 사용하면 J-팁이 가이드와이어를 지향시키도록 담관 내에서 회전될 때 주변 조직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고온 천공을 위한 하나 이상의 동력을 공급 받는 특징부를 갖는 EUS 접근 장치를 설명한다. 에르베 발생기(Erbe generator)와 같은 전기수술 발생기는 천공 팁(들)이 낮은 천공력으로 조직으로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RF 절단 전류를 장치에 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장치는 아래에 설명될 수정 사항과 함께, 도 1a 및 도 1b에 설명된 장치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도 3은 EUS 접근 절차에서 고온 천공을 위해 동력을 공급 받을 수 있는 노출된 금속 단부(302)를 갖는 마이크로카테터의 (그 곧게 펴진 구성의)원위 팁(300)(J-팁)을 도시한다. 금속 단부(302)는 (곡선 구성의)J-팁(300)이 담관 내에서 회전되어 원하는 대로 가이드와이어를 지향시킬 때 주변 조직에 대한 외상을 최소화하도록 뭉툭하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예리한 부분이 원위 팁(30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한 천공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더 짧은 예리한 부분이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짧은 예리한 부분을 갖는 저온의 무딘 J-팁의 사용에는 증가된 천공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고온의 무딘 J-팁은 상대적으로 낮은 천공력으로 천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고온의 무딘 J-팁은 약 0.5 mm의 최소 셋백을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카테터가 전체적으로 금속일 때, 노출된 금속 단부(302)를 제외한 마이크로카테터의 전체는 비-표적 조직(즉, 표적 부위 이외의 조직)의 가열 또는 절단을 방지하도록 절연된다. 노출된 금속 단부(302)는 절단 동안 표적 부위에 대한 열적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길이가 ~1 mm 미만일 수 있다. 고온 J-팁(300)의 노출된 금속 단부(302)는 또한 핸들에 배선될 수 있고, 마이크로카테터의 나머지는 별도의 전기 절연 코팅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는 상이한 비-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EUS 접근 절차에서 고온 천공을 위해 동력을 공급 받을 수 있는 노출된 금속 단부(402)를 갖는 예리한 부분(400)을 도시한다. 노출된 금속 단부(402)는 짧고 예리한 팁일 수 있거나 상대적으로 뭉툭할 수 있다. 금속 단부(402)가 뾰족할 때 예리한 부분(400)은 저온 천공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시도된 저온 천공이 성공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는 고온 천공을 위해 노출된 금속 단부(402)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옵션을 가질 수 있다.
고온 J-팁(300)과 유사하게, 고온 예리한 부분(400)은 노출된 금속 단부(402)와 동일한 전도성 재료(예를 들어, 금속)의 가요성 예리한 부분을 가질 수 있지만 그 길이를 따라 (노출된 금속 단부(402)를 제외하면)절연될 수 있다. 예리한 부분(400)과 함께 사용되는 접근 캐뉼라가 고온 J-팁을 갖도록 의도되지 않은 경우, J-팁은 J-팁을 통해 샤프(400)로부터 전기 전도를 방지하도록 절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J-팁이 절연되지 않을 수 있고 접근 장치는 고온의 예리한 부분 및 고온 J-팁 모두를 가질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 J-팁 또는 예리한 부분 중 하나만이 전기수술 발생기에 (와이어 또는 기타 방법으로)연결되어 두 팁에 효과적으로 동력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무딘 저온 J-팁이 누공을 통과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고온의 예리한 부분이 양호하게 절단되지만, 두 팁 모두의 동력 공급은 천공력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J-팁과 예리한 부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동력을 공급할지 선택하는 것은 개입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온 J-팁은 저온 J-팁보다 더 큰 누공을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텐트를 이식하기 전에 누공이 전기수술 확장기로 더 크게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더 큰 누공은 스텐트 이식과 같은 절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더 작은 구멍이 요구되는 절차(예를 들어, 랑데뷰 절차)의 경우, 예리한 부분 및 J-팁 모두에 동력을 공급하는 것보다 저온 J-팁으로 동력 공급된 예리한 부분이 선호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고온의 무딘 스타일렛(stylet)이 예리한 부분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스타일렛은 예리한 원위 단부를 가지는 예리한 부분과 반대로 무딘 원위 단부를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타일렛 및 J-팁은 매우 짧은, 예를 들어 2 mm 셋백을 가질 수 있어서, 스타일렛 팁이 담관 내로 통과할 때 접근 캐뉼라도 담관 내로 통과하게 보장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팁이 담관의 반대쪽으로 연장하여 우연히 반대쪽을 천공할 위험이 더 낮기 때문에 더 작은 조직의 표적화를 허용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내시경 절차를 제어하기 위한 핸들을 갖는 장치와 함께 내시경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EUS 접근 절차를 제어하기 위한 핸들(500)을 도시한다. 핸들(500)은 근위 방향으로 예리한 허브(502)로부터 내시경 샤프트의 근위 단부에서 커플링에 부착되는 원위 칼라(distal collar; 504)까지 연장한다. 예리한 허브(502)는 예리한 허브(502)가 장치로부터 예리한 부분을 후퇴시키기 위해 당겨질 수 있도록 예리한 부분에 연결된다. 예리한 허브(502)는 전기 에너지 소스가 장치에 커플링될 수 있는 발전기 연결부(520)를 포함한다. 핸들(500)은 사용자가 핸들(5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길이 조정기(506)를 포함하여, 내시경에 커플링될 때 전기수술용 시스의 길이가 내시경의 원위 단부를 넘어 원위 방향으로 원하는 거리까지 연장될 것이다(즉, 길이 조정기는 내시경 밖으로 장치의 연장을 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핸들(500)은 핸들(500)의 베이스(512) 위로 미끄러질 수 있는 천자 작동기(508)를 더 포함하여, 천자 작동기 로크(510)를 통해 잠금 해제될 때 J-팁 및 예리한 부분이 시스(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전기수술용 시스(110)) 밖으로 원위 방향으로 전진됨으로써 J-팁 및 예리한 부분이 원하는 깊이까지 표적 조직을 관통할 수 있다. 천자 작동기(508)는 전기 에너지 소스가 장치에 커플링될 수 있는 발전기 연결부(522)를 포함한다.
핸들(500)은 전기수술용 팁(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전기수술용 팁(112))을 표적 조직과 접촉하게 시스의 원위 단부에 가져오기 위해서 시스가 J-팁 위로 원위 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도록 천자 작동기(508) 위에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됨으로써 팁으로부터의 에너지 인가에 의해서 조직이 치료(예를 들어, 위장관 벽을 통해 형성된 개구 및 표적 췌장-담도 루멘으로의 진입 개구 주변의 조직을 절단 및 연장)될 수 있는 전기수술용 슬레드(sled)(514)를 더 포함한다. 전기수술용 슬레드(514)는 전기 에너지의 소스가 장치에 커플링될 수 있는 발전기 연결부(516)을 포함한다. 전기수술용 슬레드(514)는 전기 수술 슬레드 로크(518)를 통해 천자 작동기(508) 위의 원하는 위치에 유지된다. 천공 작동기 로크(510)와 유사하게, 전기수술용 슬레드 로크(518)는 대응 로크가 눌러져 베이스(512)와의 연결을 해제할 때까지 베이스(512)의 기어식 표면과 맞물려 천자 작동기(508) 또는 전기수술용 슬레드(514)가 베이스(512) 위로 미끄러질 수 있게 허용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발전기 연결부(516)는 전기수술용 슬레드(514)로 전송될 수 있는 전기 에너지에 대한 커플링을 제공한다. 발생기 연결부(520, 522)는 전술한 방식으로 J-팁 마이크로카테터의 금속 단부(302) 및 예리한 부분의 금속 단부(402) 각각에 에너지를 제공할 것이다. 베이스(512)는 그 위에 깊이 표시기를 가질 수 있어서, 예리한 부분/J-팁의 천자 깊이 및 전기수술용 시스 길이에 대한 더욱 확실한 제어를 제공한다. 이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상적인 천자 깊이는 상이한 절차 및 예리한 부분/J-팁 구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핸들(500)은 상이한 천자 깊이를 갖는 상이한 접근 장치와 호환 가능한 정밀 천자 깊이 제어 가능성을 가진다.
도 6은 EUS 접근 절차에서 고온 천공을 위해 동력을 공급 받을 수 있는 무딘 단부(602)를 갖는 미세 바늘 흡인(FNA) 바늘(600)을 도시한다. FNA 바늘(600)은 가이드와이어가 관통 연장하기 위한 루멘을 가진다. 예리함과는 반대로 무딘 바늘은 가이드와이어가 휘어질 위험이 적으면서 더 쉬운 가이드와이어의 지향성을 허용한다. 무딘 단부(602)는 뭉툭함에도 불구하고, 동력이 공급될 때 해부학적 구조를 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동력 공급된 천공 특징부 각각은 내시경 핸들로부터 연장하거나 내시경 핸들에 내장된 전기수술 플러그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 고온 팁 특징부는 내시경 개입 중 언제든지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임상의는 예를 들어, 저온의 예리한 팁을 사용하여 절차를 시작할 수 있고, 저온 천공이 성공하지 못한 경우 고온 팁을 작동시키고 고온 천공을 수행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남이 없이 전술한 실시예에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 중 하나와 관련된 구조적 특징 및 방법이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수정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5)

  1. 장치(device)로서,
    관통 연장하는 루멘(lumen)을 포함하고, 내시경 샤프트를 통해 생체 내의 표적 조직까지 연장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카테터(catheter);
    카테터의 루멘을 통해 연장하고 카테터의 원위 단부 밖으로 원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천공 장치; 및
    그 위에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카테터 및 천공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서, 천공 장치가 카테터의 원위 단부 밖으로 원위 방향으로 연장될 때, 장치가 표적 조직을 천공함에 따라 전극이 동력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전극이 장치의 핸들로부터 동력을 공급 받을 수 있는, 카테터 및 천공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카테터의 원위 단부는 구속되지 않을 때 J-형상 곡선을 취하도록(assume) 편향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원위 단부는, 표적 조직 내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원위 단부의 원위 개구를 지향시키도록 카테터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공 장치가 표적 조직을 천공할 때, 카테터의 원위 단부는 표적 조직 내로 천공 장치를 따라가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카테터의 외부를 따라 종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slidable) 전기수술용 시스(sheath)를 더 포함하며, 전기수술용 시스는 표적 조직 내의 천공 장치에 의해 생성된 접근 구멍(access hole)을 확장하기 위한 전기수술용 팁(tip)을 가지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공 장치가 카테터의 원위 단부로 연장될 때, 카테터의 원위 단부가 곧게 펴지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극은 카테터의 원위 단부에 형성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카테터의 원위 단부와 핸들의 원위 단부 사이의 카테터의 근위 부분(proximal portion)은 비-전도성 재료로 형성되고, 전극을 핸들에 연결하는 도선(conducting wire)을 더 포함하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천공 장치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 전극을 더 포함하는,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극은 천공 장치의 원위 단부에 형성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전극의 근위 단부로부터 천공 장치의 근위 단부까지 천공 장치를 따라 연장하는 절연 층을 더 포함하는,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은:
    길이 조정기(length adjust);
    예리한 허브(hub);
    천공 장치 및 카테터를 장치의 시스 밖으로 원위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천자 작동기(puncture actuator);
    천자 작동기 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시스에 형성된 전극을 사용하여 에너지를 표적 조직에 가하기 위해 시스를 원위 방향인 카테터 위로 전진시키는 전기수술용 슬레드(sled);
    천자 작동기 로크(lock);
    카테터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서 시스의 위치를 잠그기 위한 전기수술용 슬레드 로크; 및
    전기 에너지의 소스(source)에 커플링(coupling)하도록 구성된 전기수술용 슬레드 상의 제 1 발전기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핸들은, 전기 에너지 소스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천자 작동기 상의 제 2 발전기 연결부 및/또는 전기 에너지 소스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예리한 허브 상의 제 3 발전기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14. 시스템으로서,
    관통 연장하는 루멘을 포함하고, 내시경 샤프트를 통해 생체 내의 표적 조직까지 연장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카테터;
    카테터의 루멘을 통해 연장하고 카테터의 원위 단부 밖으로 원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천공 장치; 및
    그 위에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카테터 및 천공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서, 천공 장치가 카테터의 원위 단부 밖으로 원위 방향으로 연장될 때, 장치가 표적 조직을 천공함에 따라 전극이 동력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전극이 장치의 핸들로부터 동력을 공급 받을 수 있는, 카테터 및 천공 장치 중 적어도 하나; 및
    카테터의 외부를 따라 종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전기수술용 시스로서, 전기수술용 시스는 표적 조직 내의 천공 장치에 의해 생성된 접근 구멍을 확장하기 위한 전기수술용 팁을 가지는, 전기수술용 시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원위 단부는, 표적 조직 내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원위 단부의 원위 개구를 지향시키도록 카테터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시스템.
KR1020227002394A 2019-12-24 2020-11-24 전기수술용-강화 천자를 구비한 eus 접근 장치 KR202200249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53307P 2019-12-24 2019-12-24
US62/953,307 2019-12-24
PCT/US2020/062029 WO2021133505A1 (en) 2019-12-24 2020-11-24 Eus access device with electrosurgery-enhanced pun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902A true KR20220024902A (ko) 2022-03-03

Family

ID=7394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394A KR20220024902A (ko) 2019-12-24 2020-11-24 전기수술용-강화 천자를 구비한 eus 접근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186607A1 (ko)
EP (1) EP3986308A1 (ko)
JP (2) JP7375169B2 (ko)
KR (1) KR20220024902A (ko)
CN (1) CN114554990A (ko)
AU (1) AU2020410838B2 (ko)
CA (1) CA3146920A1 (ko)
WO (1) WO2021133505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3311A (en) * 1993-03-29 1995-04-04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Electro-coagulation and ablation and other electrotherapeutic treatments of body tissue
JPH07265329A (ja) * 1994-03-31 1995-10-17 Fuji Photo Optical Co Ltd 穿刺高周波処置具
US7077842B1 (en) * 2001-08-03 2006-07-18 Cosman Jr Eric R Over-the-wire high frequency electrode
JP4496223B2 (ja) * 2003-11-06 2010-07-07 エヌエムティー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中隔貫通穿刺装置
US11666377B2 (en) 2006-09-29 2023-06-06 Boston Scientific Medical Device Limited Electrosurgical device
US20130211176A1 (en) * 2010-06-24 2013-08-15 Emcision Limited Enhanced ablation apparatus
JP6865285B2 (ja) * 2017-03-07 2021-04-28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超音波内視鏡ガイド下アクセ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6308A1 (en) 2022-04-27
CA3146920A1 (en) 2021-07-01
US20210186607A1 (en) 2021-06-24
JP7375169B2 (ja) 2023-11-07
JP2022546983A (ja) 2022-11-10
AU2020410838A1 (en) 2022-02-24
JP2023175034A (ja) 2023-12-08
WO2021133505A1 (en) 2021-07-01
AU2020410838B2 (en) 2023-11-02
CN114554990A (zh)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8088B2 (en) Radio frequency ablation device for the destruction of tissue masses
EP1641406B1 (en) Apparatus for delivering energy to a target site within bone
EP0729321B1 (en) Medical probe with biopsy stylet
US762537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agulating and/or constricting hollow anatomical structures
US8251991B2 (en) Anchored RF ablation device for the destruction of tissue masses
CA2614328C (en) Anchored rf ablation device for the destruction of tissue masses
JP5046931B2 (ja) 中空の解剖学的構造を凝固させかつ/または狭窄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US76150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lesion using transjugular approach
WO2008009972A2 (en) Tissue ablator
EP3785654B1 (en) Multifunctional high-frequency electric knife
CA2647691C (en) Electrosurgical cutting device
US110651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manent female contraception
KR20220024902A (ko) 전기수술용-강화 천자를 구비한 eus 접근 장치
WO19940200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stitial treatment
JPH11332880A (ja) 穿刺治療装置
CN114302756A (zh) 用于执行介入内窥镜超声波手术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