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458A -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458A
KR20220024458A KR1020227000724A KR20227000724A KR20220024458A KR 20220024458 A KR20220024458 A KR 20220024458A KR 1020227000724 A KR1020227000724 A KR 1020227000724A KR 20227000724 A KR20227000724 A KR 20227000724A KR 20220024458 A KR20220024458 A KR 20220024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treatment system
assembly
water
reverse osm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엄 엔. 탈리
제프 드퓌
제프리 드룰리아
미카엘 코발치크
트로이 바에르트손
로렌 사브라
알렉스 루폴로
토마스 리스베크
프랭크 에버하르트
로이 버마이스터
미첼 오브라이언
데렉 코왈스키
잭 에드워드 주니
크리스티안 파브코비치
루크 하우릴로
Original Assignee
리뉴 헬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뉴 헬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뉴 헬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4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8Apparatus therefor
    • B01D61/081Apparatus therefor used at home, e.g. kitche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4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feed stream; Feed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6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permeate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5Recirculation, recycling or bypass, e.g. recirculation of concentrate into th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5Recirculation, recycling or bypass, e.g. recirculation of concentrate into the feed
    • B01D2311/252Recirculation of concentrate
    • B01D2311/2523Recirculation of concentrate to feed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49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8Specif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7/00Membrane module arrangements within a plant or an apparatus
    • B01D2317/04Elements in parall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3Arse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2Halogens or 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2Halogens or 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02F2101/14Fluorine or fluorine-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6Nitrogen compounds, e.g. ammonia
    • C02F2101/163Ni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6Nitrogen compounds, e.g. ammonia
    • C02F2101/166Nitr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02F2101/203Iron or iron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02F2101/22Chromium or chromium compounds, e.g. chrom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0Solids, e.g. total solids [TS], total suspended solids [TSS] or volatile solids [V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6Recirculation with an external lo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적어도 하나의 역삼투 카트리지, 적어도 하나의 여과 카트리지, 적어도 하나의 펌프 및 인클로저를 포함할 수도 있는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공공 기관 또는 정부 기관이 소비를 위한 적절한 수질을 제공하는 데 어려움을 가질 정도로 공공 상수도(public water supply)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은 공공 상수도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고, 대신에 예를 들어 우물물과 같은, 불확실한 품질의 수원을 사용할 수도 있고, 게다가, 물을 재활용하고 예를 들어, 해수(seawater) 또는 기수(brackish water)와 같은 비통상적인 수원을 사용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물을 정화하고, 수질을 개선 또는 보장하거나, 또는 기존의 수처리 방법을 보완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는 수처리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시장에는 수질을 개선한다고 주장하는 수많은 수처리 시스템이 존재한다. 이들 시스템은 공급수를 정화하기 위해 여과, 흡착, 증류 역삼투 또는 다른 방법의 몇몇 조합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시스템은 건물에 진입하는 물을 더 정화하기 위해 건물의 상수도와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건물 내로의 물의 진입 지점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이에 의해 건물의 전체 상수도가 정화를 위해 시스템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건물의 물 분배의 특정 지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처리 시스템은 이 원천으로부터 물을 더 정화하기 위해 식수의 공급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들 및 유사한 상황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그 공간이 건물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지에 무관하게, 기존 공간에 설치 및 유지될 수도 있도록 비교적 콤팩트하다. 또한, 수처리 시스템은 원수가 특정 불순물의 증가된 농도와 같은, 고유 특성을 갖는 경우를 포함하여, 특정 상황에 적응 가능해야 한다.
국한된 공간 내에 쉽게 설치 또는 유지될 수도 있도록 비교적 콤팩트하지만, 수처리를 위한 높은 용량을 갖거나 비교적 에너지 효율적인 수처리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남아 있다. 특정 물 정화 상황에 맞춤화 가능할 수도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또한 존재한다. 추가 정화를 위해 물을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또한 존재한다.
본 개시내용의 수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여과 카트리지, 적어도 하나의 역삼투 카트리지, 적어도 하나의 펌프 및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수처리 시스템은 예를 들어, 펌프 조립체, 탱크 조립체, 전자 기기 조립체, 여과 조립체,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 또는 투과 후(post-permeate) 조립체를 포함하여, 설치 또는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립체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수처리 시스템의 일 예에 대한 물의 유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예의 후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b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예의 우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c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예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d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예의 좌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e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 인클로저의 예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본 개시내용의 펌프 조립체의 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b는 본 개시내용의 펌프 조립체의 예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다른 측면으로부터 펌프 조립체를 본, 도 3b의 펌프 조립체의 제2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펌프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터빈 스테이지의 예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재순환 또는 재활용 또는 폐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예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b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재순환 및 폐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1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c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재순환 및 폐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2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는 매니폴드 조립체의 위치설정을 도시하고 있는 교차 지지부의 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b는 다른 측면으로부터 볼 때 매니폴드 조립체의 위치설정을 도시하고 있는 도 8a의 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 및 도 9b는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의 예의 도면을 각각 조립도 및 분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의 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부분 단면도에서 볼 때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의 예의 2개의 상이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단편도이다.
도 13은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의 예의 다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정상 동작 및 플러싱 동작을 위한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를 통한 물의 유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투과 후 조립체의 예의 사시도를 조립도 및 분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고 외부도를 도시하고 있는 투과 후 조립체의 상부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a, 도 17b 및 도 17c는 조립도(도 17a), 분해도(도 17b) 및 단면도(도 17c)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여과 카트리지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여과 조립체의 예의 사시도를 분해도 및 조립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여과 조립체의 상부 부분의 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여과 조립체의 상부 부분의 사시도를 부분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21은 수처리 조립체의 여과 조립체의 상부 부분을 단면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유량계의 예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a 및 도 23b는 조립체의 상부를 보는 입구/출구 조립체의 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a 내지 도 24e는 투과물 밸브의 예의 상이한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5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압력 릴리프 밸브의 예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6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용 탱크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7a 및 도 27b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전자 기기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8a 내지 도 29f는 덮개가 들어올려지거나 폐쇄된, 또는 특정 구성요소가 제거되어 시스템 내부를 나타내고 있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9는 대부분의 조립체가 제거되어 있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0a 내지 도 30e는 시스템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배치를 나타내기 위해 인클로저가 부분적으로 분해되어 있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1a 및 도 31b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a 및 도 32b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은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의 구성 및 배열의 상세에 그 용례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은 다른 개시가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되거나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어법 및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구비하는", "포함하는", "갖는", "함유하는", "수반하는" 및 이들의 변형의 사용은 그 다음에 열거된 항목, 이들의 등가물 및 부가의 항목, 뿐만 아니라 그 다음에 열거된 항목들로만 이루어진 대안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들 예시적인 양태 및 실시예의 다른 양태, 실시예 및 장점이 이하에 상세히 설명된다. 이 설명은 청구된 양태 및 예의 성질과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개요 또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첨부 도면은 다양한 양태, 예 및 실시예의 예시 및 추가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고, 본 명세서에 합체되어 그 부분을 구성한다. 도면은, 명세서와 함께, 설명되고 청구된 양태 및 실시예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본 개시내용은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수처리 시스템은 시스템 내로 입력되거나 유입되는 급수원의 불순물을 감소시킨다. 즉, 처리 후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거나 유출되는 물은 시스템 내로 입력되거나 유입되는 공급수에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불순물의 양이 감소된다. 처리에 의해 제거되는 불순물은, 비한정적으로, 미립자, 콜로이드, 불용성 재료 또는 가용성 재료, 박테리아, 바이러스 또는 이들 재료의 몇몇 조합일 수도 있다. 수처리 시스템은 예를 들어, 비한정적으로,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 개별 하전 원자, 비하전 분자 또는 원자를 포함하는 이온, 또는 이들 물질의 몇몇 조합을 제거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은 예를 들어 납, 비소, 철, 질산염, 아질산염, 불화크롬, 염소, 클로라민, 퍼플루오로옥탄산(PFOA),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PFOS) 또는 이들 물질의 몇몇 조합을 갖는 화합물, 분자 또는 원자만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공급수는 비한정적으로, 도시 또는 공공 상수도, 우물 급수원으로부터 올 수도 있고, 폐수일 수도 있고 또는 해수 또는 기수와 같은 염수일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수처리 시스템은 특정 수원의 특성에 맞춤화 가능하거나 적응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급수가 특히 높은 레벨의 미립자 물질을 가지면 부가의 여과 성분이 첨가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은 수처리 시스템에 대해 업계-확립된 또는 정부-확립된 표준을 충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은 비한정적으로, NSF-61 표준, PFOA, PFOS 및 다른 과불소화합물(PFC)에 대한 NSF-P473 표준,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에 대한 NSF 표준, 또는 물 오염물에 대한 LEG 2006 표준을 충족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은 최대 용량에서 분당 약 6(육) 내지 약 24 갤런의 출력수를 생산할 수도 있다. 주거 환경과 같은 몇몇 바람직한 예에서, 시스템은 분당 약 6(육) 내지 약 12 갤런(일당 약 8000 내지 17,000 갤런)을 생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으로부터 정화수의 출력은 500 TDS 물 및 40 psi(평방인치당 파운드) 출구 압력으로 77℉에서 분당 9(구) 갤런 초과일 수도 있다. 상업용 환경과 같은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시스템은 일당 약 14 갤런 내지 일당 약 24 갤런의 출력수를 생산할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예에서, 시스템은 분당 약 16 내지 약 20 갤런(일당 약 23,000 내지 28,000 갤런)을 생산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수처리 시스템은 약 32℉ 내지 약 120℉에서 동작한다. 즉, 시스템은 이 온도 범위에서 출력수 또는 투과 후 물을 생산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은 최대 5000 ppm의 총 용존 고체 또는 최대 15000 ppm의 총 용존 고체를 제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업용 환경에서 사용을 위해 설계된 시스템은 더 많은 양의 총 용존 고체를 갖는 공급수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수처리 시스템은 물 정화를 필요로 하는 수많은 상황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주거용 또는 상업용 건물에 정화수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주거용 또는 상업용 건물의 내부에(예를 들어, 건물 내) 또는 외부에(예를 들어, 건물 외부) 배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수처리 시스템은 건물의 원천에 인접하여 외부 또는 내부에서, 건물 내로의 상수도의 입구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몇몇 예에서, 2개 이상의 수처리 시스템은, 유동적 연결, 기계적 연결, 전기적 연결 또는 이들 배열의 몇몇 조합과 같이, 링크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다. 링크되거나 연결된 수처리 시스템은 병렬, 직렬 또는 직렬 또는 병렬의 몇몇 조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콤팩트한 봉입형 시스템은 다른 수처리 시스템에 대해 어려울 것인 상황에서 물의 정화를 허용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실내 또는 실외의 비교적 작은 공간에 설치되고, 동작되거나 또는 유지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은 세탁기와 같은 가전 제품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이, 조립이 거의 또는 전혀 요구되지 않는 즉시 사용 가능한 독립형 유닛으로서 배송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은 또한 보유 또는 저장 탱크와 같은 외부 구성요소에 연결되거나 링크될 수도 있거나 다른 유형의 수처리 시스템에 링크될 수도 있다. 몇몇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수처리 시스템은 수원에 인접한 시스템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과 같이, 쉽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인클로저 상에 배치된 휠 또는 캐스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역삼투 카트리지, 적어도 하나의 여과 카트리지, 적어도 하나의 펌프 및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은 시스템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도 있거나 또는 시스템 내에 쉽게 삽입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조립체를 포함한다. 수처리 시스템의 조립, 분해 또는 유지 보수는 개시된 조립체의 사용에 의해 용이해질 수도 있다. 개시된 조립체의 디자인은 콤팩트한 소형 푸트프린트의 효율적인 수처리 시스템 내로의 모든 구성요소의 통합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은 다른 시스템에 비해 에너지 효율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수처리 시스템은 다른 시스템보다 에너지 단위당 더 많은 출력수를 생산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은 약 2.0 시간당 갤런당 와트시 내지 5.0 시간당 갤런당 와트시, 또는 약 2.5 시간당 갤런당 와트시 내지 4.0 시간당 갤런당 와트시를 소비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시스템은 하나의 역삼투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 2개의 역삼투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 3개의 역삼투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 또는 4개의 역삼투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역삼투 카트리지는 적어도 하나의 역삼투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적어도 2개의 역삼투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적어도 3개의 역삼투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여과 카트리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 적어도 2개의 여과 카트리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 적어도 3개의 여과 카트리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 또는 적어도 4개의 여과 카트리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여과 카트리지는 적어도 하나의 여과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적어도 2개의 여과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적어도 3개의 여과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조립체를 갖는다. 몇몇 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2개의 펌프 조립체를 가질 수도 있고, 3개의 펌프 조립체를 가질 수도 있거나 3개 초과의 펌프 조립체를 가질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2개 이상의 펌프 조립체는 병렬로, 또는 직렬로, 또는 직렬 및 병렬의 몇몇 조합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의 구성요소 또는 조립체는 인클로저 내에 위치되거나, 인클로저에 의해 봉입되거나, 인클로저 내에 통합된다. 인클로저는 물 또는 미립자 물질과 같은 환경 스트레스로부터 시스템 구성요소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인클로저는 적어도 국제 전기화학 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chemical Commission)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IP54 표준에 대해 전자 기기에 대한 보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인클로저는 다양한 환경 조건 및 물리적 응력에 저항성이 있는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바람직한 예에서, 인클로저는 주로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예에서, 인클로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부터 형성된다. 플라스틱은 자외선 방사선으로부터 재료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처리되었을 수도 있다. 몇몇 예에서, 다른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하여, 다른 재료가 특정 상황을 위해 인클로저 내에 통합될 수도 있다.
몇몇 예에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또는 조립체가 본 개시내용의 외부에 있지만 인클로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조립체 또는 구성요소는 인클로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인클로저에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인클로저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거나 또는 이들 배열의 몇몇 조합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물은 인클로저로 유동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여과 카트리지를 통해 또는 하나 이상의 펌프를 통해 유동할 수도 있고, 인클로저는 수처리 시스템을 갖는다.
바람직한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수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탱크 조립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탱크의 용량은 약 6(육) 갤런 내지 약 24 갤런, 또는 약 6(육) 약 내지 약 15 갤런일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예에서, 탱크는 약 8(팔) 갤런을 수납한다.
본 개시내용의 수처리 시스템의 중량은, 수처리 시스템이 특정 상황에 맞춤화될 수도 있기 때문에, 특정 예에 따라 변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약 200 파운드 내지 약 1000 파운드, 또는 약 300 파운드 내지 900 파운드, 또는 300 파운드 내지 600 파운드이다.
본 개시내용의 수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조립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유량계 조립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은 농축물과 같은 물의 재순환 또는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농축수가 시스템, 또는 역삼투 카트리지와 같은 시스템의 부분을 통과하도록, 농축물의 재순환 또는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는 조립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예에서, 농축물은 역삼투 카트리지를 통해 유동할 수도 있어 재순환된 농축물이 더 정화되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은 투과물에 방해석을 첨가하는 것과 같이, 정화수에 재료를 첨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과 후 조립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은 시스템 내로 물을 유동하게 하기 위한 입구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물이 수처리 시스템에서 유출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입구 및 출구는 동일한 조립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수처리 시스템은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적어도 하나의 게이지, 적어도 하나의 밸브 또는 다른 유사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비한정적으로, 총 용존 고체(TDS)를 검출하거나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미립자 물질을 측정하거나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비소, 철, 납 또는 이들 원자를 갖는 화합물과 같은 특정 화합물 또는 원자를 검출하거나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압력 게이지와 같은 수압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시스템 내의 다양한 지점에서 유량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TDS 입력, TDS 출력, 물 출력량(예를 들어, 분당 갤런)과 같은 시스템 특성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입구 수압, 출구 수압 또는 펌프 수압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입구 유동, 출구 유동 또는 배출(농축물) 유동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이들 데이터는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한정적으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압력 릴리프 밸브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밸브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이들 밸브 유형의 조합을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수처리 시스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 게이지, 밸브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모니터링, 수집 또는 통합하는 구성요소를 갖는다. 바람직한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은 시스템에 대한 데이터가 수신되고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조립체를 포함한다. 시스템으로부터의 데이터가 입력될 수도 있고 특정 알고리즘이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조정하기 위해 제자리에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수처리 시스템은 동작 중에 상이한 급수원의 변화 또는 물 특성의 변화에 적응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입구 수압을 모니터링하고 입력 압력이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관련 밸브를 조정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관련 값을 계산하기 위해 시스템의 모니터링으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예상 잔여 필터 수명; 총 청정수 투입량, 예상 잔여 역삼투막 수명, 농축물 회수율, 계산된 일일 사용량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몇몇 예에서, 전자 기기 조립체는 추가 정화를 위해 농축물을 재순환하거나 재활용하기 위해 정립된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된 데이터 또는 하나 이상의 계산된 값이 미리 설정된 값에 근접하면 경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들 값은 인클로저의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경고 또는 다른 정보는 컴퓨터와 같은 원격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도 있다.
몇몇 예에서, 최종 사용자는 시스템의 동작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시스템이 요구되지 않을 때 시스템을 종료하거나 유량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몇몇 예에서, 사용자는 시스템 동작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실행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일 예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는 수처리 시스템의 주거용 및 상업용 버전과 같은 상이한 버전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 도면은 수처리 시스템을 통한 공급수, 투과물 및 농축물의 유로에 대한 일 예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다른 예에서, 공급수, 투과물 및 농축물은 특정 최종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상이한 유로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사용자는 탱크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고, 단지 단일 여과 카트리지, 단일 역삼투 카트리지만을 필요로 할 수도 있거나, 농축물을 재순환 또는 재활용하기를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에서, 화살표가 포함된 라인은 시스템을 통한 상이한 물 분획의 유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 예에서, 공급수는 시스템 내에 도입되고 적어도 하나의 역삼투 카트리지를 통해 유동한 후 투과물 및 농축수가 생성된다. 공급수는 먼저 하나 이상의 역삼투 카트리지를 통해 유동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정화 단계를 통해 유동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공급수는 역삼투 카트리지를 통해 유동하기 전에 2개의 여과 카트리지를 통해 유동한다.
투과물은 사용되거나 저장될 수도 있다. 몇몇 예에서, 투과물은 방해석 필터와 같은, 투과물에 재료를 첨가하는 필터로 유동될 수도 있다.
투과물은 또한 시스템을 플러싱하여, 이에 의해 그렇지 않으면 역삼투 카트리지의 막을 포함하는 시스템 표면 상에 퇴적된 파편, 스케일 또는 재료를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투과물은 하나 이상의 탱크 내에 저장되고, 이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재료를 제거하기 위한 플러싱을 위해 하나 이상의 역삼투 카트리지로 유동할 수도 있다. 예에서, 투과물이 시스템을 플러싱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투과물은 공급수가 정화를 위해 시스템을 통해 유동할 때보다 더 높은 유량으로 시스템을 통해 유동한다.
농축수는 폐기를 위해 시스템으로부터 배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농축물의 일부는 또한 추가 정화를 위해 재순환되거나 재활용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급수는 입구(202)에서 시스템(200)으로 진입한다. 공급수는 필터 카트리지(204, 206)로 유동한다. 이 예에서,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는 미립자 및 탄소 필터 유닛의 모두를 각각 갖는다. 이 예에서, 여과 카트리지는 병렬로 배열된다. 다른 예에서, 카트리지는 직렬 또는 직렬 및 병렬의 모두일 수도 있다.
총 용존 고체(TDS)를 모니터링하는 센서(208)와 같은, 수질 또는 물 특성을 모니터링하는 센서가 존재할 수도 있다. 압력 게이지(207)가 존재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이 지점에서 유량(210)을 측정하기 위한 계량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공급수는 하나 이상의 여과 카트리지로부터 펌프(214)로 통과된다. 체크 밸브(212)가 필터 카트리지(204, 206)와 펌프(214) 사이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체크 밸브(212)는 체크 밸브가 하나 이상의 펌프로부터 필터 카트리지(204, 206)를 향해 역으로 물의 유동을 방지하는 일방향 체크 밸브이다. 다른 예에서, 물은 2개 이상의 펌프로 유동할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펌프가 존재하는 예에서, 펌프는 병렬 또는 직렬 또는 병렬 및 직렬의 몇몇 조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압력 센서 및 유량계(218, 220)는 펌프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그에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이에 의해 펌프 내의 압력 및 유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펌프(214)는 병렬로 배치된 2개의 역삼투 카트리지(222, 224)로 물을 유동한다. 다른 예에서, 시스템은 하나의 역삼투 카트리지를 갖거나, 또는 2개 초과의 역삼투 카트리지를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역삼투 카트리지는 직렬일 수도 있고, 또는 카트리지는 직렬 및 병렬의 조합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역삼투를 위해 사용되는 평탄 막 시트는 카트리지 하우징에서 나선형 패턴을 형성하도록 롤링된다. 롤링된 막의 직경은 약 2(이) 인치 내지 약 10 인치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롤링된 막은 직경이 약 6(육) 인치이다. 바람직한 예에서, 역삼투막 유닛은 10 내지 25개의 리프(leaves) 또는 층을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역삼투 카트리지는 약 100 내지 350 평방피트의 막을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역삼투 유닛은 약 280 평방피트의 막을 가질 수도 있다.
역삼투막을 통한 공급수의 유동은 투과물 및 농축수 분획을 생성한다. 이 예에서, 투과물은 역삼투 카트리지의 상부로부터 물이 저장될 수도 있는 탱크(226)로 유동한다. 몇몇 예에서, 탱크는 수요가 낮을 때 탱크가 물로 채워지고 수요가 요구될 때 비워지도록 하는 서지 탱크로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탱크는 유공압(hydro-pneumatic) 탱크일 수도 있다. 탱크는 블래더를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탱크는 블래더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탱크는 섬유 보강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탱크는 과도한 수압의 경우에 물을 배수하기 위해 압력 릴리프 밸브(22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압력 릴리프 밸브는 예를 들어 투과 후 필터 조립체 위와 같은, 다른 장소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탱크 없이 동작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탱크 내의 수압은 약 20 평방인치당 파운드(psi) 내지 약 100 psi, 또는 약 40 psi 내지 약 80 psi로 유지될 수도 있다.
몇몇 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사용 전에 투과물이 그를 통해 유동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투과 후 필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들 하나 이상의 필터는 예를 들어, 투과물에 재료를 첨가함으로써 투과물의 특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 시스템은 방해석 필터(23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탱크로부터의 투과물은 사용 전에 방해석 필터를 통해 유동할 수도 있다. 이 예에 따르면, TDS(232)를 모니터링하는 센서와 같은, 시스템 내의 이 지점에 존재할 수도 있는 수질을 모니터링하는 센서가 존재할 수도 있다.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계량기(234)가 포함될 수도 있다. 시스템은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투과물은 또한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를 플러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탱크로부터 유출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투과물은 적어도 하나의 탱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역삼투 카트리지로 유동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투과물은 탱크로부터 역삼투 카트리지의 상부 요소를 통해 펌프로 유동한다. 탱크로부터의 투과 유동은 투과물 밸브에 의해 조절된다. 이 예에서, 솔레노이드 밸브(236)는 플러싱 절차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탱크로부터 투과물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해 존재한다. 플러싱을 위해 투과물은 역삼투 카트리지를 통해 높은 속도로 유동하여, 이에 의해 시스템 내의 막 또는 다른 장소 상의 퇴적물을 축출하고, 용해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제거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투과물은 플러싱 절차 중에 분당 약 1 갤런 내지 분당 8 갤런으로 적어도 하나의 탱크로부터 유동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물은 분당 약 4(사) 갤런 내지 분당 약 20 갤런, 또는 분당 약 5(오) 갤런 내지 분당 약 12 갤런으로 플러싱 중에 펌프 조립체로부터 유동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투과물에 의한 플러싱은 물 유동의 펄스의 사이클에서 행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투과물은 짧은 시간 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탱크로부터 하나 이상의 역삼투 카트리지로 압력 하에서 유동할 수도 있다. 펌프 조립체는 펌프 조립체로, 이어서 역삼투 카트리지를 통한 투과물의 유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 시간 기간 동안 동시에 동작할 수도 있다. 플러싱 프로세스 중에, 적어도 하나의 탱크로부터의 투과물 유동은 짧은 시간 기간 동안 정지되고 이어서 다음 미리 결정된 다른 시간 기간 동안 재시작될 수도 있다. 플러싱 절차는 미리 결정된 수의 이러한 사이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프로세스는 플러싱된 물의 특성에 따라 조정된다. 예를 들어, TDS 값은 성공적인 다수의 플러싱 사이클 후에 강하할 수도 있고, 플러싱 프로세스가 따라서 종료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플러싱 사이클은 수처리 시스템의 사용의 빈도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이 중단 없이 1시간 초과 동안 실행되면, 플러싱은 TDS 값에 따라 더 빈번할 수도 있다. 시스템 더 적은 시간 실행되면, 플러싱은 입력수의 TDS 레벨에 따라, 덜 빈번할 수도 있다. 시스템이 4시간 초과 동안 실행되지 않았으면, 투과물 플러시가 개방되고 펌프가 동작하여 시스템을 통해 투과수를 순환시키도록 실행된다.
이 예에 따르면, 농축물은 폐기를 위해 배수구(238)로 송출될 수도 있다. 몇몇 예에서, 농축물의 일부는 재순환되거나 재활용될 수도 있다. 농축물의 재순환 또는 재활용을 이용하는 예에서, 농축물의 분획은 펌프 조립체(214)로 유동되고 여기서 농축물이 공급수와 혼합된다. 몇몇 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시스템 내의 농축물 재순환 및 재활용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매니폴드 조립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수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스텝 밸브(step valve)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시스템은 2개의 스텝 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고, 여기서 하나의 밸브는 공급수와 혼합하기 위한 농축물의 양을 조절하고 제2 스텝 밸브는 폐기용 물의 양을 조절한다.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스텝 밸브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조립체로 유동하는 농축물의 체적을 조절하기 위해 배치된다.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공급수와 농축물의 혼합물은 펌프 조립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역삼투 카트리지로 유동한다.
도 1의 예에서,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240, 241)를 갖는 매니폴드가 존재한다. 재순환 또는 재활용 프로세스 동안, 농축물의 분획은 솔레노이드 밸브 매니폴드 조립체(240)를 통해 펌프 조립체로 유동하고, 여기서 농축물이 공급수와 혼합될 수도 있다. 혼합물은 정화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펌프 조립체로부터 역삼투 카트리지(222, 224)로 유동한다. 이 절차에 따르면, 시스템의 전체 효율은 폐기를 위해 제거된 농축물의 양을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시스템 내에 입력되도록 요구되는 공급수의 체적 또는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개선될 수도 있다. 따라서, 농축물의 재순환 또는 재활용으로 인한 공급수 유량 또는 체적의 감소는 공급수 비용을 감소시키고, 시스템의 요구된 유지 보수를 감소시키고, 시스템 구성요소의 수명을 증가시키거나, 이들 인자의 몇몇 조합을 야기할 수도 있다. 농축물의 분획은 매니폴드(241)를 통해 유동하여 이어서 폐기(238)를 위해 배수될 수도 있다.
농축물이 재순환 또는 재활용될 때, 농축물은 시스템의 공차 또는 사양이 초과하지 않도록 다양한 비율로 공급수와 혼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농축물과 공급수는 TDS에 관한 역삼투막의 사양이 초과되지 않도록 혼합될 수도 있다. 재활용을 위한 농축물의 분획은, 시스템 내에 유입되는 물의 압력, TDS 값을 포함하는 공급수 품질, 시스템 외부로의 물의 출력 유동 또는 이들 인자의 몇몇 조합을 비한정적으로 포함하는 다른 인자에 의해 또한 결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이들 또는 다른 인자 중 하나 이상은 시스템이 재활용된 농축물의 양을 조정할 수도 있도록 연속적으로 모니터링된다. 바람직한 예에서, 알고리즘은 물을 재순환 및 재활용하기 위한 최적의 동작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농축물이 재활용되는 예에서, 시스템에 의해 생산된 약 0.1% 내지 약 80%의 농축수, 또는 약 5% 내지 약 70% 농축물, 또는 약 10% 내지 약 60% 농축물이 재활용을 위해 유동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공급수 및 농축물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 조립체의 혼합 보울 내에서 혼합된다. 공급수 및 농축물은 혼합 보울 내의 혼합된 물의 최대 약 50%(즉, 약 50% 농축물, 약 50% 공급수), 또는 최대 약 40% 농축물, 최대 약 35% 농축물, 또는 최대 약 30% 농축물, 최대 약 25% 농축물, 최대 약 20% 농축물, 또는 최대 약 15% 농축물이 농축되도록 혼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공급수 및 농축물은 약 35% 농축물에 대해 최대 약 65% 공급수까지의 비로 혼합된다. 예를 들어, 농축물은 분당 약 6 내지 7 갤런으로 펌프 조립체 내로 유입되고 공급수는 분당 약 10 내지 11 갤런으로 펌프 조립체 내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은 물을 유동하거나 시스템의 구성요소 또는 조립체를 연결하기 위해 호스 또는 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호스 또는 파이프용 재료는 비용, 내식성, 내마모성, 조립 용이성, 박테리아 증식 내성, 곰팡이 증식 내성, 중량, 가단성, 가요성 또는 이들 특성의 몇몇 조합을 비한정적으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특성에 대해 선택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이들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열가소성 호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시스템은 구성요소의 요구 사항에 따라, 플라스틱 피팅, 구리 피팅 또는 스테인리스 강 피팅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재료로 제조된 피팅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밸브는 박테리아 증식의 감소된 발생률이 요구되는 구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물과 접촉할 수도 있는 역삼투 카트리지 구성요소와 같은 시스템 구성요소는 수처리에 대해 정립된 표준을 충족하는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몇몇 예에서 시스템 구성요소는 수처리를 위한 표준을 충족하도록 처리되어 있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으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예의 상이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a 내지 도 2f는 조립된 인클로저의 일 예의 상이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a는 조립된 디스클로저의 후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b는 인클로저의 우측을 도시하고 있고, 도 2c는 조립된 인클로저의 전방을 도시하고 있고, 도 2e는 조립된 인클로저의 좌측을 도시하고 있다. 도 2e는 인클로저 조립체(300)의 일 예를 분해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인클로저는 전방 프레임 패널(316), 후방 프레임 패널(308), 우측 패널(304), 좌측 패널(306), 유닛 베이스(302), 덮개 전방부(312) 및 덮개 후방부(310)를 포함하는 7개의 구성요소로부터 조립된다. 도 2e는 또한 교차 지지부(314)를 도시하고 있다. 교차 지지부(314)는 인클로저가 완전히 조립되고 덮개가 폐쇄될 때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인클로저는 7개 초과의 구성요소 또는 7개 미만의 구성요소로부터 조립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전자 스크린(324)이 인클로저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시스템 성능에 관련된 선택된 파라미터의 값과 같은 시스템 상태가 하나 이상의 스크린에 나타날 수도 있다. 인클로저는 특정 봉입된 조립체 또는 구성요소가 그를 통해 관찰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관찰 윈도우(32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클로저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외부면 및 내부면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인클로저의 내부면은 수처리 시스템의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요소의 삽입, 장착 또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수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부면은 조립체가 배치되거나 장착될 수도 있는 슬롯 또는 오목부(318, 319, 320, 321, 323)를 가질 수도 있다. 내부면은 조립체가 그 위에 장착될 수도 있거나 조립체를 지지할 수도 있는 지지부 또는 선반(예를 들어, 322, 330)을 가질 수도 있다. 인클로저는 하나 이상의 통기구(327)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입구/출구 조립체를 사용하는 물 연결부(331)가 도시되어 있다.
입구 AC(파워팩) 연결부가 또한 328로 도시되어 있다. 본 개시내용의 수처리 시스템은 110 V를 사용할 수도 있거나 특정 전기 그리드의 요구 사항으로 수정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수처리 시스템은 발전기와 같은 휴대용 전원을 사용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수처리 시스템은 더 작은 이용 가능한 공간과 같은 특정 상황에 적응될 수도 있고 인클로저의 치수는 시스템 구성요소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시스템은 약 50.5 인치의 높이, 28 인치의 폭, 및 36 인치의 깊이인 인클로저 내에 수납된다. 다른 예에서, 인클로저는 약 53 인치의 높이, 28 인치의 폭, 및 39 인치의 깊이이다.
도 3a, 도 3b 및 도 4는 펌프 조립체(400)의 일 예를 조립도 및 분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내부 구조의 양태를 도시하고 있는, 펌프 조립체의 일 예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펌프 조립체의 터빈의 스테이지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 펌프 조립체(400)는 공급수, 투과물, 농축물, 또는 이들 분획의 조합을 수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물의 유량은 펌프 조립체를 통과한 결과로서 선택된 레벨로 증가된다. 몇몇 예에서, 물은 출구를 통해 역삼투 카트리지로 통과한다. 다른 예에서, 물은 출구를 통해 시스템의 상이한 구성요소로 통과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펌프 조립체(400)는 모터(402)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모터는 DC 모터이다. 모터는 가변 속도 모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터는 3(삼) hp의 출력을 가질 수도 있다. 모터(402)는 샤프트(406)를 포함한다. 조립체는 모터(402) 상에 장착되거나 부착되는 하우징(404)을 포함한다. 하우징(404)은 3개의 입구 포트(408, 410, 412)를 포함한다. 하우징의 단면도(도 5)는 혼합 보울(421)을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 따르면, 포트(408)는 공급수를 위한 입구이고, 포트(410)는 투과물을 위한 입구이며, 포트(412)(도 4에 도시되어 있음)는 농축물을 위한 입구이다. 이들 및 다른 예에서, 상기에 식별된 포트는 상이한 물 분획에 할당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포트(408)는 몇몇 예에서 투과물을 위한 입구일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하우징 내에 부가의 포트가 존재할 수도 있다. 부가의 포트는 공급수, 투과물 또는 농축물을 수용할 수도 있다. 단부캡(420) 및 출구(422)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펌프 조립체(400)는 도 3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장착 플레이트(424)와 함께 인클로저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터빈 구동 샤프트(414)의 기단 단부는 맞물림 부분(415)으로 모터 샤프트(406)와 맞물린다. 터빈 구동 샤프트(414)는 하우징(404) 내의 개구(419)를 통과하고 터빈(416)의 길이를 따라 터빈(416)과 맞물린다. 터빈(416)은 터빈 하우징(418)에 의해 봉입된다. 이 예에서, 터빈(416)은 9개(아홉개)의 스테이지(417)를 포함한다. 스테이지의 수는 유량의 증가에 대한 요구 사항에 의해 또는 인클로저에서 이용 가능한 공간에 의해 또는 이들 인자의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터빈(416)은 1개(하나) 내지 30개만큼 많은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압력 센서 및 TDS 센서가 하우징(404) 상에 존재할 수도 있다. 도 6은 터빈의 하나의 스테이지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 터빈 스테이지(417)는 카세트 상부(426), 임펠러(428), 및 카세트 베인(430)을 포함하는 카세트 조립체로부터 형성된다. 이 예에 따르면, 터빈 샤프트(414)는 임펠러(428)의 개구(434)를 통과한다. 육각 너트(432)가 터빈 샤프트(414)와 맞물린다.
도 7 및 도 8은 농축물의 재순환 또는 재활용을 위해 사용되는 매니폴드 조립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매니폴드는 농축물의 나머지의 재순환 또는 재활용 또는 폐기를 위해 농축물의 분획을 전환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폐기(1600)를 위한, 또는 재순환 또는 재활용(1700)을 위한 매니폴드 조립체의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8a 및 도 8b는 인클로저 내의 교차 지지부 상의 이들 조립체(1600, 1700)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명확성을 위해, 몇몇 요소는 모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도 7a에 도시되어 있는 예에 따르면, 농축물의 재순환 또는 재활용을 위한 매니폴드(1700) 또는 농축물의 폐기를 위한 매니폴드(16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은 재순환 및 재활용 및 폐기 매니폴드의 분해도이지만, 어떻게 조립체가 수처리 시스템에 배치될 것인지에 대해 반전되어 도시되어 있다. 폐기 매니폴드(1600)는 재순환 또는 재활용 매니폴드(1700)와 공통 라인(1604)을 공유하고, 여기서 이 라인은 예를 들어, 입구(1603)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역삼투 카트리지로부터 농축물을 수용한다. 공통 매니폴드 섹션(1758) 뿐만 아니라 재순환 매니폴드 섹션(1760) 및 폐기 매니폴드 섹션(1660)이 도시되어 있다. 입구(1603)는 공통 매니폴드 섹션(1758)에 도시되어 있다. 재순환 매니폴드 섹션(1760)은 출구(1755)를 갖고 폐기 매니폴드 섹션은 출구(1661)를 갖는다. 교차 지지부(314) 상에 장착을 위한 장착 부분(1607)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매니폴드(1600)는 솔레노이드(1608, 1610)를 포함한다. 매니폴드(1700)는 솔레노이드(1708, 1710, 1712, 1714)를 포함한다. 밸브 시트는 폐기 매니폴드(1600)(1616, 1618) 및 재순환 매니폴드(1700)(1716, 1718, 1720, 1722)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밸브 다이아프램(1632, 1634, 1732, 1734, 1736, 1738)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제트 부분(1620, 1622, 1720, 1722, 1724, 1726)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제트(1620, 1622, 1720, 1722, 1724, 1726)는 상이한 직경의 채널을 포함하도록 선택된다. 밸브 커플러(1680, 1682, 1780, 1782, 1784, 1786) 뿐만 아니라 O-링(1777)이 도시되어 있다.
도 7b 및 도 7c는 도 7a의 매니폴드 조립체 예를 통한 2개의 상이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7b에서, 매니폴드를 통한 물의 유동의 일 예가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 7의 매니폴드 조립체는 인클로저의 크로스바아(314) 상에 장착된다.
도 7b, 도 7c 및 도 7d의 예에서, 재순환 매니폴드(1700)는 연관 제트(1720, 1722, 1724, 1726)를 각각 갖는 4개의 솔레노이드(1708, 1710, 1712, 1714)를 포함한다. 도 7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트는 제트 채널(1740,1742,1744,1746)의 직경이 제트 사이에서 상이한 채널을 포함한다.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트 채널의 직경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감소한다. 또한, 이 예에서, 폐기 매니폴드 조립체(1600)는 상이한 직경을 또한 갖는 제트(1620, 1622) 및 제트 채널(1640, 1642)을 갖는 2개의 솔레노이드(1608, 1610)를 포함한다.
도 7c 및 도 7d는 또한 본 개시내용에 따른 매니폴드 조립체의 일 예의 부가의 양태를 도시하고 있다. 밸브 커플러(1680, 1682, 1780, 1782, 1784, 1786)가 존재한다. 밸브 커플러 매니폴드(1670, 1672, 1770, 1772, 1774, 1776)는 밸브 커플러를 상부 재순환 부분(1758)에 링크한다. 밸브 채널(1641, 1643, 1741, 1743, 1745, 1747)은 또한 밸브 커플러 및 매니폴드 내에 존재한다. 공통 채널(1705)로부터의 물은 하나 이상의 제트 채널을 통과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밸브 채널(1641, 1643, 1741, 1743, 1745, 1747)을 통해 유동한다.
이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역삼투 카트리지로부터의 농축물은 도 7b에 화살표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구(1603)를 통해, 이어서 입구 채널(1705)을 통해 유동한다.
농축물의 재순환 또는 재활용이 요구되는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재순환 매니폴드 조립체(1700) 내에서 활성화되어, 이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트와 연관된 제트 채널을 통한 농축물의 유동을 허용한다. 특정 제트의 활성화는 예를 들어, 공급수, 농축물의 특성, 역삼투막의 사양 또는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의 사양을 고려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이 예에 대해 도 7b에서 화살표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농축물은 밸브 채널(1743)을 통해, 이어서 제트(1722)와 연관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트 채널(1742)을 통해 유동한다. 다른 예에서, 농축물은 하나 이상의 다른 제트 채널을 통해 유동할 수도 있다. 농축물은 이어서 재순환 채널(1753)을 통해 출구(1755)로 유동한다. 이 예에 따르면, 농축물은 이어서 공급수와 혼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펌프 조립체로 유동할 수도 있고, 이어서 농축물과 공급수의 혼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역삼투 카트리지로 재순환 또는 재활용을 위해 유동할 수도 있다.
이 예에 따르면, 농축물은 또한 폐기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트 및 연관 제트 채널을 통해 유동할 수도 있다.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농축물은 연관된 채널(1642)을 갖는 밸브 제트(1622)를 통해 유동한다. 농축물은 이어서 출구(1661)를 통해 폐기 채널(1659)을 통해 유동한다. 도 7d는 재순환 및 폐기 매니폴드(1600, 1700)의 다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또한 교차 지지부(314) 상의 투과물 밸브(650)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투과물 밸브(650)는 플러싱 절차를 위해 탱크로부터 투과물의 유동을 조절한다.
도 9 및 도 10은 역삼투 카트리지의 조립체(700)의 예를 조립도 및 분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역삼투 카트리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8 내지 도 32는 수처리 시스템에 배치된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 내지 도 13에서, 조립체(700)는 2개의 역삼투 카트리지(701, 703)를 갖는다. 인클로저 내에 배치될 때, 역삼투 카트리지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캡(73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역 조립체는 역삼투 요소(702, 704), 하우징(710, 712), 상부 통과 요소(714), 하부 통과 요소(716), 상부 단부캡(720, 721), 상부 코어 니플(722), 하부 코어 니플(724), 하부 단부캡(726), 하부 매니폴드 니플(728), 상부 매니폴드 니플(732)을 포함한다. 조립체는 보유 핀(730)을 포함한다. 조립체는 투과물 출구(734), 투과물 라인(736), 플러시 라인(744), 농축물 출구(740), 및 공급수 입구 라인(742)을 포함한다. 투과물 라인(736)에 연결된 호스(731)가 도시되어 있다. 투과물 출구(736)에 연결된 호스(743)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이 조립체의 동작의 일 예를 예시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역삼투 조립체의 하나의 카트리지를 통한 섹션 및 외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2개의 상이한 단면에서 양 카트리지를 통한 특징부를 도시하고 있는 단편화된 섹션이다. 상부 단편은 투과물 채널을 나타내는 섹션을 도시하고 있고 하부 단편은 농축물 채널(748)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의 예의 다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 조립체(700)는 2개의 역삼투 카트리지(701, 703)를 갖는다. 조립체는 역삼투 요소(702, 704), 하우징(710, 712), 상부 통과 요소(714), 하부 통과 요소(716), 상부 단부캡(720), 하부 단부캡(726), 상부 매니폴드 니플(732) 및 하부 매니폴드 니플(728)을 포함한다. 조립체는 조립체를 함께 보유하고 쉬운 분해를 허용하기 위한 핀(730)을 포함한다. 조립체는 플러시 출구(744), 농축물 출구(740), 공급수 입구 라인(742)을 포함한다. 이들 도면은 또한 조립체 내의 역삼투막(746)의 위치설정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은 또한 농축물 출구(740)로 이어지는 농축물 채널(748)을 도시하고 있다. 공급수의 유동을 위한 채널(743)이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758)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은 수평 플러시 채널(754)을 또한 도시하고 있는 조립체의 다른 단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정상 동작 중에 그리고 플러싱 동작 중에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를 통한 물 분획의 유로를 도시하고 있다. 정상 동작 중에, 도 1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급수는 공급 채널(743)을 통한 공급 라인(742)을 통해 역삼투 카트리지로 유동한다. 역삼투막을 통한 통과 후, 투과물 및 농축물 분획이 형성된다. 투과물은 채널(752)을 통해 코어 니플(722, 724)을 통한 투과물 라인(736)으로, 투과물 출구(734)로 수직으로 유동한다. 투과물은 이어서 탱크로 유동할 수도 있거나 사용을 위해 유동할 수도 있다. 농축물은 하부 매니폴드 니플(728)을 통한 채널(748)을 통해 농축물 출구(740)로 유동한다.
도 1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플러싱 절차 동안, 투과물은 탱크로부터 투과수 출구(734)를 통해 유동하여, 정상 동작 중에 투과물의 유동을 역전시킬 수도 있다. 이 투과물 유동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차 지지부(314) 상에 위치된 투과물 밸브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다. 탱크로부터의 이 투과물 분획은 채널(752, 754)을 통해 상승하는 투과물과 혼합된다. 이 예에서, 혼합된 투과물 분획은 플러시 라인(744)에서 하나 이상의 펌프 조립체로 유출된다.
도 15a 및 도 15b는 투과물의 생성 후에 수처리 시스템 내에 배치될 수도 있는 투과 후 필터 카세트 조립체(800)의 분해도 및 조립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 방해석 필터 조립체가 투과물이 저장되는 탱크 다음에 배치된다. 탱크 내에 저장된 투과물은 방해석 필터 조립체로 유동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투과 후 필터 조립체는 또한 수처리 시스템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필터 조립체(800)는 하우징(804) 내에 수납된 2개의 방해석 필터(802)를 포함한다. 하부 단부캡(806) 및 상부 단부캡(808)이 존재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하나의 투과 후 카트리지 내의 적어도 2개의 방해석 필터의 사용은 시스템 구성요소의 조립, 분해를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필터는 봉입된 공간에 더 쉽게 삽입되거나 교체될 수도 있다. 상부 단부캡은 방해석 필터를 통과한 후 투과물을 유동하게 하기 위한 출구(810)를 포함한다. 유량계(812)가 또한 이 지점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투과물이 탱크로부터 입구를 통해 유동하는 입구(814)가 존재한다. 보유 핀(816)이 존재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투과 후 필터 조립체의 상부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조립체(800)는 하우징(804) 내에 봉입된 방해석 필터(802)를 갖는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압력 게이지(818) 및 TDS 센서(820)를 갖는 상부 단부캡(808)이 존재한다. 스페이서(807)가 존재한다. 입구(814)가 도시되어 있고 입구 채널(822)이 존재하는 것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출구 튜브(826)는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출구 카세트 채널(828)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상부 단부캡은 채널(830)을 갖는다. 유량계(812) 및 출구(810)가 존재한다. 이 예에 따르면, 투과물은 탱크로부터, 입구(814)를 통해, 카세트 입구 채널을 통해 방해석 수지(824)로 유동할 수도 있다. 투과 후 물은 출구 채널(828)을 통해 단부캡 채널(830), 유량계(812) 및 출구(810)로 유동한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여과 카트리지의 일 예를 조립도 및 분해도로 도시하고 있다. 카트리지(10)는 하우징(12)을 포함한다. 2개의 여과 유닛(14, 15)이 하우징(12)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부 캡 및 하부 캡(20, 23) 뿐만 아니라 보유 핀(16)이 도시되어 있다. 단면에서, 여과 수지는 18, 19로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여과 카트리지는 예를 들어, 미립자 필터 및 탄소 필터와 같은, 2개의 유형의 여과 유닛 및 2개의 유형의 여과 수지를 갖는다. 채널(22)이 존재한다.
각각의 필터 카트리지 내의 여과 매체는 특정 수원의 상황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 매체는 침전물 또는 미립자 필터일 수도 있고 제2 필터는 과립 활성탄(GAC) 필터일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필터는 침전물과 탄소 재료의 조합일 수도 있고 제2 필터는 탄소 필터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배열은 예를 들어, 입력수의 염소 함량이 상당한 경우에 적합하다. 몇몇 예에서, 제1 또는 제2 필터 매체는 촉매 탄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촉매 탄소는 클로라민 제거에 효과적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침전물 및 탄소 매체는 약 3(삼) 인치 내지 약 7(칠) 인치의 직경을 갖는 여과 유닛 하우징을 채운다. 몇몇 바람직한 예에서, 필터 매체는 약 4(사) 인치의 직경을 채운다.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필터 매체는 약 5.25인치의 직경을 채운다.
바람직한 예에서, 여과 카트리지 하우징은 약 35 내지 약 50 인치의 높이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 하우징은 약 40 인치 높이이다. 이 경우 여과 카트리지의 전체 높이는 약 44 인치일 수도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조립도 및 분해도의 모두를 도시하고 있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여과 조립체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여과 조립체의 상부 요소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1 및 도 22는 각각 부분 또는 전체 단면이다. 조립체(900)는 2개의 하우징(918)을 갖는 2개의 카트리지(922)를 포함하고, 각각의 하우징(918)은 2개의 미립자 필터 유닛(902) 또는 2개의 탄소 필터 유닛(904)을 포함한다. 하나의 여과 카트리지 내의 2개의 필터 유닛의 존재는 여과 유닛의 더 쉬운 설치, 유지 보수 또는 교체를 허용한다.
도 18a 및 도 18b의 이 예에서, 카트리지는 직렬이고 공급수는 먼저 미립자 필터, 이어서 탄소 필터 유닛을 통해 유동한다. 하부 단부캡(920) 및 상부 단부캡(906)이 존재한다. 입구(908) 및 출구(910)는 유량계(910)를 갖는 상부 단부캡 상에 배치된다. 스페이서(914)가 존재한다. 도 19 내지 도 21은 조립체의 확대도를 사시도 및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서, 조립체(900)는 요소 채널(926)과 연결된 압력 센서(919)를 포함한다. 보유 핀(925)이 존재한다. 다른 예에서, 각각의 카트리지는 상이한 유형의 여과 유닛을 가질 수도 있고 카트리지는 병렬이다.
도 2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유량계의 일 예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다. 유량계(1000)는 유량계 본체(1002), 터빈(1004), 스핀들(1006) 및 밀봉부(1008)를 포함한다. 물은 유량계 본체(1002) 상에 도시되어 있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유동한다. 유량계는 예를 들어, 펌프 조립체를 포함하여, 시스템 내의 선택된 지점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3a 및 도 23b는 평면도 및 저면도에서 각각 볼 때, 입구/출구 조립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조립체(1200)는 개구(1206)를 갖는 출구(1202)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214)가 존재한다. 바람직한 예에서, 투과수는 투과 후 필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통해 유동하여, 사용을 위해 출구(1202) 외부로 시스템으로부터 유동한다. 공급수는 입구(1204)를 통해 개구(1212)에서 시스템에 진입할 수도 있다. 이 예에 따르면, 농축물은 개구(1210)를 갖는 배수구(1208)를 통해 시스템 외부로 유출될 수도 있다.
도 24a 내지 도 24d는 투과물 밸브가 시스템을 플러싱하기 위해 사용되는 투과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투과물 밸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투과물 밸브는 도 16a 또는 도 1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차 지지부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24e는 투과물 밸브를 통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4d는 단면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살표를 갖는다. 솔레노이드 투과물 밸브 조립체(1500)는 솔레노이드(1502), 투과물 입구(1504), 투과물 출구(1506), 상부 밸브 본체 부분(1508) 및 하부 밸브 본체 부분(1510)을 갖는다. 도 24e는 밸브 핀틀 헤드(1512) 및 밸브 밀봉부(1514)를 또한 도시하고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예를 들어, 탱크로부터의 투과물은 투과물 밸브 입구(1504)로 유동한다. 플러싱이 수행되어야 하는 예에서, 솔레노이드(1502)는 비활성화되어, 밸브 밀봉부(1514)를 해제하고 밸브를 통한 투과물 출구(1506)로의 투과물 유동을 허용할 수도 있다. 투과물은 이어서 플러싱을 위해 역삼투 카트리지로 유동할 수도 있다.
도 25는 도 31의 분해도에서 압력 릴리프 밸브(1112)를 도시하고 있다. 압력 릴리프 밸브(1112)는 하우징(1120), 캡(1114), 스프링(1116), 및 플러그(1118)를 포함한다. 입구(1122) 및 출구(1124)가 도시되어 있다. 압력 릴리프 밸브(1112)는 예를 들어, 탱크 또는 투과 후 여과 조립체와 같은 시스템 내의 하나 이상의 부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26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탱크 조립체(1100)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탱크(1102), 탱크 단부캡(1104), 투과물 입구(1100), 투과물 출구(1108) 및 툴링 플러그(1112)가 있다. 이 예에서, 탱크는 섬유 보강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7a 및 도 27b는 스크린(1402) 및 전기적 연결부(1401, 1404, 1405, 1406)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조립체(1400)의 전방 및 후방의 외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8 내지 도 30은 상이한 조립체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다른 예의 상이한 내부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은 인클로저 상의 조립체의 장착 및 시스템 구성요소의 상대 위치설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8a는 조립된 수처리 시스템의 외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8b 내지 도 28f는 인클로저 또는 다른 조립체의 구성요소가 구성요소의 상대 배치를 도시하기 위해 제거되어 있는, 수처리 시스템의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서, 조립체 및 다른 구성요소는 이전에 사용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참조된다. 수처리 시스템(1300)은 인클로저(300), 펌프 조립체(400), 재순환 및 폐기 매니폴드(1700, 1600),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700), 투과 후 여과 조립체(800), 여과 조립체(900), 탱크 조립체(1100), 출구/입구 조립체(1200) 및 전자 기기 조립체(1400)를 포함한다. 유닛 베이스(302), 우측 패널(304), 좌측 패널(306), 후방 패널(308), 전방 패널(316)을 포함하여, 인클로저의 구성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크로스브리지(314) 및 입구 AC 파워팩(328)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조립체에는 인클로저 내에 배치될 때 캡(1303, 1305, 1307, 1309)을 가질 수도 있다. 이들 캡은 시스템이 실행되는 동안 환경으로부터 조립체를 위한 부가의 보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들 캡은 서비스를 위해 쉽게 제거될 수도 있다. 도 28 내지 도 30은 또한 어떻게 조립체 및 다른 구성요소가 인클로저 내에 견고하게 끼워질 수도 있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인클로저는 예를 들어, 도 2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요소가 그 내에 삽입될 수도 있는 오목부(1331, 1333, 1335, 1337)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30a 및 도 30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차 지지부(314)는 구성요소가 지지를 위해 그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웨지(1311, 1312)가 구성요소를 고정하기 위해 삽입될 수도 있는 수용 부분(예를 들어, 1315, 1314)을 갖는다. 웨지가 또한 도 30e에 1321, 1322로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 29는 대부분의 조립부가 인클로저의 내부를 나타내기 위해 제거되어 있는 수처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30a 내지 도 30e는 본 개시내용의 수처리 시스템의 예에서 상이한 조립체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31 및 도 32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은 수처리 시스템 내의 조립체의 배열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1a 및 도 31b는 역삼투 카트리지(1802), 탱크(1804), 여과 카트리지(1806), 탱크(1808) 및 인클로저(1810)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는, 수처리 시스템(1800)을 도시하고 있다. 도 31a는 우측 패널이 내부를 나타내기 위해 제거되어 있고 덮개가 들어올려져 있는 조립된 수처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31b는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1812)가 인클로저로부터 가역적으로 탈착되어 있는 동일한 수처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1812)의 가역적 탈착은 조립체가 더 쉽게 교체되거나 수리될 수 있게 한다. 조립체(1812)는 이어서 사용을 위해 재부착될 수도 있다.
도 32a 내지 도 32e는 역삼투 카트리지(1902), 탱크(1904), 여과 카트리지(1906), 탱크(1908) 및 인클로저(1910)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는, 수처리 시스템(1900)을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 4개의 역삼투 카트리지(1902)가 존재한다. 도 32a는 우측 패널이 내부를 나타내기 위해 제거되어 있고 덮개가 들어올려져 있는 조립된 수처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32b는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1912)가 인클로저로부터 가역적으로 탈착되어 있는 동일한 수처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1912)의 가역적 탈착은 조립체가 더 쉽게 교체되거나 수리될 수 있게 한다. 조립체(1912)는 이어서 사용을 위해 재부착될 수도 있다. 도 32c는 덮개가 내부를 보기 위해 제거되어 있는 상부로부터 이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d는 우측 패널(1914)이 제자리에 있지만 덮개가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제거되어 있는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32e는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 또는 조립체의 다른 구성요소의 설치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우측 패널(1914) 및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1912)의 가역적 탈착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대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고, 본 개시내용의 다수의 수정 및 변형이 상기 교시에 비추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범주 내에서, 시스템 및 방법은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수처리 시스템이며,
    적어도 하나의 역삼투 카트리지;
    적어도 하나의 여과 카트리지;
    적어도 하나의 펌프; 및
    인클로저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역삼투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역삼투 카트리지는 병렬로 연결되는, 수처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역삼투 카트리지는 역삼투 카트리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투과 후 필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후 필터 조립체는 적어도 2개의 투과 후 여과 유닛을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여과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여과 카트리지의 각각은 적어도 2개의 여과 유닛을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여과 유닛은 여과 조립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시스템은 농축물을 재순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밸브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조립체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 조립체는 스텝 밸브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시스템은 탱크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약 6 갤런 내지 약 24 갤런을 보유하는, 수처리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섬유 보강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블래더리스(bladderless)인, 수처리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시스템은 투과물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과물 밸브는 상기 수처리 시스템을 플러싱하기 위해 투과물의 유동을 조절하는, 수처리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펌프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 조립체는 혼합 보울을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펌프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터빈을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조립체는 적어도 3개의 포트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KR1020227000724A 2019-06-09 2020-06-09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KR202200244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59186P 2019-06-09 2019-06-09
US62/859,186 2019-06-09
US202062960259P 2020-01-13 2020-01-13
US62/960,259 2020-01-13
US202062979691P 2020-02-21 2020-02-21
US62/979,691 2020-02-21
PCT/US2020/036855 WO2020251959A1 (en) 2019-06-09 2020-06-09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458A true KR20220024458A (ko) 2022-03-03

Family

ID=73780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724A KR20220024458A (ko) 2019-06-09 2020-06-09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220250959A1 (ko)
EP (1) EP3980382A4 (ko)
JP (1) JP2022534800A (ko)
KR (1) KR20220024458A (ko)
CN (1) CN114127017A (ko)
AU (1) AU2020290421A1 (ko)
BR (1) BR112021024873A2 (ko)
CA (1) CA3141916A1 (ko)
CL (1) CL2021003274A1 (ko)
CO (1) CO2022000082A2 (ko)
CR (1) CR20220009A (ko)
IL (1) IL288603A (ko)
MA (1) MA56127A (ko)
MX (1) MX2021015158A (ko)
PE (1) PE20220957A1 (ko)
SG (1) SG11202112948YA (ko)
WO (1) WO20202519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63567A1 (en) * 2021-05-14 2022-11-17 Bonn Justin Method to Remove and Concentrate PFAS from Water
EP4367067A1 (en) * 2021-07-08 2024-05-15 Renew Health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cycling water
USD987029S1 (en) * 2023-02-03 2023-05-23 Spot Zero Reverse Osmosis Inc. Portable reverse osmosi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0688A (en) * 1997-02-25 2000-09-19 Zenon Environmental, Inc. Portable reverse osmosis unit for producing drinking water
US6436282B1 (en) * 2000-08-08 2002-08-20 Plymouth Products, Inc. Flow control module for RO water treatment system
DE102006015674A1 (de) * 2006-04-04 2007-10-11 Wapura Trinkwasserreinigungs Gmbh Kleinmengen-Umkehrosmose-Anlage mit Doppelventil-Permeatpumpe
JP2008002453A (ja) * 2006-05-22 2008-01-10 Nidec Sankyo Corp ミキシングポンプ装置および燃料電池
EP2641873A1 (en) * 2008-01-28 2013-09-25 Everpure LLC Reverse osmosis system
GB0818920D0 (en) * 2008-10-16 2008-11-19 Otv S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40021115A1 (en) * 2011-04-04 2014-01-23 Pure H20 A/S Mobile Water Purification System
US20150034537A1 (en) * 2013-07-30 2015-02-05 David Warren Parish, SR. Automatic Drinking Water Enhancement Apparatus
KR101870679B1 (ko) * 2016-06-14 2018-06-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분리막 막오염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막증류 시스템
CN108218002B (zh) * 2016-12-01 2022-12-02 滨特尔民用水处理有限责任公司 水过滤系统和方法
RU2641923C1 (ru) * 2017-01-09 2018-01-2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ВОДОРОБОТ" Водоочист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CN108455705A (zh) * 2017-02-20 2018-08-28 黄新生 智能节电净水器系统
CN108623038B (zh) * 2017-03-22 2023-11-28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反渗透膜净水装置和净水机
CN107500448A (zh) * 2017-09-19 2017-12-22 南京益能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移动式高含盐量水源淡化设备
WO2019178235A1 (en) * 2018-03-13 2019-09-19 Renew Health Limited Water treat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0382A4 (en) 2023-05-31
US20220250959A1 (en) 2022-08-11
MA56127A (fr) 2022-04-13
EP3980382A1 (en) 2022-04-13
JP2022534800A (ja) 2022-08-03
CR20220009A (es) 2022-10-17
CL2021003274A1 (es) 2022-07-22
PE20220957A1 (es) 2022-06-07
CN114127017A (zh) 2022-03-01
MX2021015158A (es) 2022-01-18
AU2020290421A1 (en) 2022-01-27
SG11202112948YA (en) 2021-12-30
BR112021024873A2 (pt) 2022-02-15
IL288603A (en) 2022-02-01
WO2020251959A1 (en) 2020-12-17
CO2022000082A2 (es) 2022-05-31
CA3141916A1 (en)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4458A (ko)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US6464884B1 (en) Portable water treatment unit
US20030034292A1 (en) Water purifier
Pickering et al. Cost model for low-pressure membrane filtration
KR101335730B1 (ko) 수처리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US201202613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US20100224558A1 (en) Water Filtration System
CN202430070U (zh) 双膜法工艺处理重金属废水及回收利用设备
CN105060585A (zh) 一种便携式多用途应急饮用水处理设备及处理工艺
CN114133057A (zh) 一种矿井水井下模块化反渗透处理及回用设备
CN206970356U (zh) 含微污染水的净化系统
CN106007040B (zh) 重金属废水处理系统及方法
CN111925019A (zh) 一种用于应急或野外的制水设备
CN211734053U (zh) 一种用于铁红废水处理用装置
US11608277B1 (en) Portable, hand-carri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ible electrical power and for producing a source of consumable water either through filtration or desalination
CN205974027U (zh) 重金属废水处理系统
CN207918649U (zh) 一种排污口的预处理装置
JPH07116659A (ja) 浄水装置
CN201002989Y (zh) 反渗透制水装置
CN215756741U (zh) 一种净水设备
CN220684900U (zh) 一种气液混合净水器
CN114405147B (zh) 一种浮筒过滤装置及其滤桶总成
CN112094002B (zh) 多级废水处理装置及其处理工艺
CN215249952U (zh) 一种小型供水一体化净水设备
CN210079273U (zh) 一种浸没式超滤膜试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