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393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393A
KR20220024393A KR1020220020849A KR20220020849A KR20220024393A KR 20220024393 A KR20220024393 A KR 20220024393A KR 1020220020849 A KR1020220020849 A KR 1020220020849A KR 20220020849 A KR20220020849 A KR 20220020849A KR 20220024393 A KR20220024393 A KR 20220024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sub
weight
data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798B1 (ko
Inventor
정석희
송장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0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79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4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열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적색 및 녹색 서브 픽셀들, 제 2열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청색 서브 픽셀들이 배치된 표시패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컬러별로 구분된 가중치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표시패널의 현재 휘도를 바탕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가중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중치를 바탕으로 상기 표시패널의 일부 영역의 휘도를 조정하는 휘도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및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표시장치는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을 이용하여 픽셀을 구성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컬러영상을 구현한다.
적색 서브 픽셀들, 녹색 서브 픽셀들 및 청색 서브 픽셀들은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스트라이프 형태(Stripe type)로 배열된다. 하지만, 서브 픽셀들이 단순한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열되면 개구율과 고해상도 구현이 제한되어 화질을 개선하기가 어렵다.
표시장치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펜타일을 비롯한 다양한 픽셀 렌더링(pixel rendering)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픽셀의 컬러 배치에 따라 화면의 일부에서 컬러가 왜곡되거나 특정 컬러가 두드러지게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픽셀들의 컬러 배치를 최적화하여 개구율과 해상도를 높이고 화면 전체에서 균일한 컬러 표현력을 구현하도록 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제 1열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적색 및 녹색 서브 픽셀들, 제 2열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청색 서브 픽셀들이 배치된 표시패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컬러별로 구분된 가중치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표시패널의 현재 휘도를 바탕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가중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중치를 바탕으로 상기 표시패널의 일부 영역의 휘도를 조정하는 휘도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청색 서브 픽셀의 폭이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픽셀들 각각의 폭 보다 작고, 상기 청색 서브 픽셀의 높이가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픽셀들 각각의 높이 보다 크고, 상기 표시패널의 열 방향과 행 방향에서 이웃한 서브 픽셀들 간의 거리가 동일하다.
본 발명은 픽셀 영역 내에서 비대칭 구조의 컬러를 적용하여 픽셀의 개구율을 향상시키고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패널의 현재 휘도 설정값과 데이터의 계조를 고려하여 우세 컬러로 인지될 수 있는 서브 픽셀의 데이터를 변조함으로써 비대칭 구조의 컬러 배치로 인하여 화면의 국부 영역에서 인지될 수 있는 우세 컬러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개구율과 해상도를 개선할 수 있고 또한, 화면 전체에서 컬러 왜곡과 우세 컬러 없이 균일한 컬러 표현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 배열 구조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들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들의 단면 구조를 보여 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과 같은 비대칭 픽셀 배치 구조로 인하여 초래되는 우세 컬러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처리부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표시 패널의 휘도 설정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 가중치 및 계조 가중치의 적용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 가중치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조 가중치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Display),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등 컬러 구현이 가능한 평판 표시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 설명에서 우세 컬러(dominant color)는 다른 컬러에 비하여 더 두드러지게 보이는 컬러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셀 구조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픽셀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픽셀(P1 내지 P4)을 포함한다. 픽셀(P1 내지 P4) 각각은 컬러 구현을 위하여 적색(Red, R) 서브 픽셀(SPr), 녹색(Green, G) 서브 픽셀(SPg) 및 청색(Blue, B) 서브 픽셀(SPb)를 포함한다. 하나의 픽셀 영역 내에서 RGB 서브 픽셀들(SPr, SPg, SPb)은 좌우 비대칭 구조로 배치된다.
픽셀(P1 내지 P4) 각각은 가로 길이(H) 및 세로 길이(V)를 갖는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적색 및 녹색 서브 픽셀(SPr, SPg)은 y축 방향의 제 1열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제 1열은 제 1행 및 제 2행으로 분할되어 행 단위로 컬러가 구분된다. 제 1열의 제 1행에는 적색 서브 픽셀(SPr)이 배치되며, 제 1열의 제 2행에는 녹색 서브 픽셀(SPg)이 배치된다. 청색 서브 픽셀(SPb)은 제 2열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픽셀의 단면 구조는 도 3과 같다. 도 3에서,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132, 134, 136)(또는 발광영역)으로 인하여 서브 픽셀의 컬러가 결정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1 전극(130), 발광층(132, 134, 136), 및 제 2전극(138)을 포함한다. 인접한 서브 픽셀들 간의 혼색(Shadow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접한 발광층들(132, 134, 136) 간의 거리는 소정의 제 1거리(d1) 이상으로 설정된다. 제 1거리(d1)는 약 22μm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색 및 녹색 발광층(132, 134)은 높이(h1) 보다 폭(w1)이 큰 직사각형 형상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청색 발광층(136)은 폭(w2) 보다 높이 (h2)가 큰 직사각형 형상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도 1과 같은 비대칭 컬러 배치는 단순한 스트라이프 형상의 컬러 배치와 비교하면 폭과 높이에서 마진(margin)을 더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고해상도에서 픽셀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작아진 픽셀 영역 내에서 RGB 컬러 배치 설계를 용이하게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들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들의 단면 구조를 보여 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다수의 스캔라인(SL1, SL2), 다수의 데이터라인(DL1 내지 DL3) 및 다수의 파워 라인(PL1 내지 PL3)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 픽셀(SPr, SPg, SPb)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s), 구동 트랜지스터(Td),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발광 다이오드(Del)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s), 구동 트랜지스터(Td)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위치는 해당 서브 픽셀(SPr, SPg, SPb)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인접한 다른 서브 픽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발광 다이오드(Del)에서제 1전극(130)은 구동 트랜지스터(Td)의 소스에 연결되는 애노드(anode)일 수 있다. 제 2전극(138)은 픽셀들에 공통으로 연결된 캐소드(cathode)일 수 있다. 애노드는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 ITO)와 같은 물질로 형성되고, 음극으로 동작하는 전극은 알루미늄(aluminum)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132, 134, 136)은 제 1전극(130)과 제2 전극(138) 사이에 형성된다.
제 1파워 라인(PL1), 제 2데이터라인(DL2), 제 2파워 라인(PL2), 및 제 3데이터라인(DL3)이 제 1데이터라인(DL1)과 제 3파워 라인(PL3) 사이에 차례대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2파워 라인(PL2)을 생략하고 제 2데이터라인(DL2)을 제 2파워 라인(PL2) 위치에 형성한 상태에서, 녹색 서브 픽셀(SPg)의 구동 트랜지스터(Td)를 제 1파워 라인(PL1)에 연결함으로써, 적색 서브 픽셀(SPr) 및 녹색 서브 픽셀(SPg)이 제 1파워 라인(PL1)을 공용할 수 있다.
적색 서브 픽셀(SPr)은 제 1스캔라인(SL1) 및 제 1데이터라인(DL1)으로 공급되는 신호에 의하여 구동된다. 녹색 서브 픽셀(SPg)은 제 1스캔라인(SL1) 및 제 2데이터라인(DL2)으로 공급되는 신호에 의하여 구동된다. 청색 서브 픽셀(SPb)은 제 1스캔라인(SL1) 및 제 3데이터라인(DL3)으로 공급되는 신호에 의하여 구동된다.
다수의 스캔라인(SL), 다수의 데이터라인(DL), 다수의 파워 라인(PL), 구동 트랜지스터(Td), 스위칭 트랜지스터(Ts), 발광 다이오드(Del),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등 픽셀들의 구성 요소들은 기판(111) 상에 형성된다.
기판(111)에는 게이트 절연막(114), 액티브영역(112a), 소스영역(112b) 및 드레인영역(112c)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12)이 형성된다.
반도체층(112)은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는데, 액티브영역(112a)은 순수 실리콘(intrinsic silicon)으로 이루어지고, 소스영역(112b) 및 드레인영역(112c)은 불순물 실리콘(impuritydoped silicon)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게이트 절연막(114)은 실리콘 질화막(SiNx), 실리콘 산화막(SiO2)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층(112)에 대응되는 게이트 절연막(114) 상부에는 게이트전극(116)이 형성되고, 게이트전극(116) 상부의 기판(111) 전면에는 층간 절연막(118)이 형성된다.
게이트전극(116)은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도전성 금속 물질로 이루어지고, 층간 절연막(118)은 질화막(SiNx), 실리콘 산화막(SiO2)과 같은 무기절연물질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와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층간 절연막(118)은 소스 및 드레인 영역(112b, 112c)을 각각 노출하는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 콘택홀(120a, 122a)을 포함한다.
층간 절연막(118) 상부에는 소스전극(120), 드레인전극(122), 데이터라인(124)이 형성되는데, 소스전극(120)은 소스영역 콘택홀(120a)을 통하여 소스영역(112b)에 연결되고, 드레인전극(122)은 드레인영역 콘택홀(122a)을 통하여 드레인영역(112c)에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반도체층(112), 게이트전극(116), 소스전극(120) 및 드레인전극(122)은 구동 트랜지스터(Td)의 구성 요소이다. 스위칭 트랜지스터도 구동 트랜지스터(Td)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캔라인은 게이트전극(116)과 동일층 및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11)에는 트랜지스터들과 배선들을 덮는 보호막(126)이 형성된다. 보호막(126)은 질화막(SiNx), 실리콘 산화막(SiO2)과 같은 무기절연물질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와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은 드레인전극(122)을 노출하는 콘택홀(126a)을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Td)의 드레인전극(122)에 연결된다.
뱅크층(bank layer : 128)의 패턴은 보호막(126) 상에서 제 1 전극(130)의 패턴들 사이에 형성된다. 뱅크층(128)은 각각의 제 1전극(130)을 노출하는 다수의 개구부(128a)를 포함한다. 뱅크층(128)은 질화막(SiNx), 실리콘 산화막(SiO2)과 같은 무기절연물질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과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발광층(132, 134, 136)은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 EIL), 발광 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 : EML), 홀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 HIL)의 다중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을 위한 별도의 기판(미도시)이 도 3과 같은 구조의 기판 상에 합착될 수 있다.
전술한 비대칭 구조의 서브 픽셀 배치 방법은 표시 패널(170)의 가장자리(edge)에서 우세 컬러가 보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표시 패널(170)의 제 1가장자리에서 적색 서브 픽셀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다른 컬러에 비하여 적색이 우세 컬러로 보일 수 있다. 표시 패널(170)의 제 2가장자리에서 녹색 버프 픽셀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다른 컬러에 비하여 녹색이 우세 컬러로 보일 수 있다. 표시 패널(170)의 제 3가장자리에서 청색 서브 픽셀 만이 존재하므로 다른 컬러에 비하여 청색이 우세 컬러로 보일 수 있다. 도 4에서, 제 1가장자리는 표시 패널(170)의 최상단 수평 라인이고, 제 2가장자리는 표시 패널(170)의 최하단 수평 라인이다. 제 3가장자리는 표시 패널(170)의 최우측 수직 라인이다. 픽셀의 컬러 배치에 따라 우세 컬러가 나타나는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 변조 방법을 이용하여 우세 컬러의 서브 픽셀에 기입될 데이터의 계조를 낮춘다. 본 발명은 우세 컬러로 보일 수 있는 데이터의 계조를 낮추고 그 이외의 다른 데이터의 계조를 변경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타이밍 제어부(190, T-CON), 데이터 처리부(140, DP), 데이터 구동부(150, SD-IC), 스캔 구동부(160, GD-IC), 표시 패널(170, PANEL) 및 메모리(180)를 구비한다.
타이밍 제어부(190)는 외부의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입력 영상의 데이터(Data)와, 그 데이터와 동기되는 타이밍 신호를 수신한다. 타이밍 신호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등을 포함한다. 타이밍 제어부(19)에 수신된 데이터(Data1)는 데이터 처리부(140)에 의해 변조되어 제2 데이터(Data2)로 출력된다. 제2 데이터(Data2)는 도 4의 예에서 표시 패널(170)의 제 1 내지 제 3가장자리에 위치된 서브 픽셀들에 기입될 데이터이다. 호스트 시스템은 TV(Television) 시스템, 셋톱박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 시어터 시스템, 폰 시스템(Phone syste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90)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타이밍 신호를 바탕으로 스캔 구동부(160)와 데이터 구동부(15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GDC, DDC)를 발생한다. 타이밍 제어부(190)는 입력 영상의 데이터(Data)를 재정렬하여 데이터 구동부(150)로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150)는 타이밍 제어부(190)로부터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 및 데이터(Data)를 수신한다. 데이터 구동부(150)는 감마전압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의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데이터신호로 변환한다. 데이터 구동부(150)의 ADC (Analog-to-Digital Conversion)는 데이터(Data)의 계조을 감마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신호를 발생한다. 데이터 구동부(150)는 스캔신호에 동기되도록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한다.
스캔 구동부(160)는 타이밍 제어부(19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스캔 신호를 발생하고, 그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시프트(shift)하여 데이터가 기입될 라인을 선택한다.
표시 패널(17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RGB 서브 픽셀들(SPr, SPg, SPb)이 픽셀 영역 내에서 비대칭 구조로 서브 픽셀의 컬러가 배치될 수 있다. 서브 픽셀들(SPr, SPg, SPb) 각각은 데이터 신호에 따라 광 투과율을 조정하거나 발광양을 조정하여 데이터의 계조를 표현한다. 비대칭 구조의 컬러 배치로 인하여, 표시패널(17)의 화면 일부인 국부 영역에서 우세 컬러가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화면에서 국부 영역의 서브 픽셀에 기입될 데이터를 변조하여 그 서브 픽셀의 휘도를 낮춤으로써 우세 컬러가 인지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데이터 처리부(140)는 외부 호스트로부터 데이터(Data)를 공급받는다 데이터에는 제1 데이터(Data1)가 포함되는데, 제1 데이터(Data1)란,제1 내지 제3가장자리의 픽셀들에 공급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데이터 처리부(140)는 제 1데이터(Data1)의 계조를 변조한다. 데이터 처리부(140)는 표시 패널(170)의 현재 휘도 및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평균 휘도를 바탕으로 제 1데이터(Data1)의 계조를 낮추어 제 2데이터(Data2)를 생성한다. 현재 휘도는 픽셀 데이터의 최고 계조(maximum gray level)의 휘도로서 사용자 설정이나 외부 환경의 조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현재 휘도 설정값이 변하지 않으면 데이터의 계조별 휘도도 변하지 않는다. 반면에, 현재 휘도 설정값이 변하면 최고 계조의 휘도가 변하므로 다른 계조의 휘도도 변한다.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평균 휘도는 표시 패널(17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평균 휘도이다.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평균 휘도는 현재 휘도 설정값이 변하지 않더라도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달라진다.
데이터 처리부(140)는 표시 패널(170)에서 우세 컬러가 인지되지 않도록 제 1가장자리에 위치된 서브 픽셀들(즉, 적색 서브 픽셀(SPr)), 제 2가장자리에 위치된 서브 픽셀들(즉, 녹색 서브 픽셀(SPg)) 및 제 3가장자리에 위치된 서브 픽셀들(즉, 청색 서브 픽셀(SPb))로 공급될 제 1데이터(Data1)의 계조를 낮춘다. 픽셀들의 휘도는 데이터의 계조에 비례하기 때문에 제 1가장자리, 제 2가장자리 및 제 3가장자리에 위치된 서브 픽셀들에 기입될 데이터의 계조를 낮추면, 그 서브 픽셀들의 휘도가 낮아진다. 데이터 처리부(140)는 우세 컬러가 인지되는 픽셀 영역에 표시될 데이터의 계조만을 낮추고 그 이외의 다른 픽셀들에 표시될 데이터의 계조를 변경하지 않는다. 그 결과, 표시 패널(170)의 비대칭 서브 픽셀 배치 구조에서 우세 컬러가 인지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화면 전체에서 균일하게 컬러를 재현할 수 있다.
메모리(180)에는 제 2데이터(Data2)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휘도 가중치 및 복수의 계조 가중치가 저장된다. 도 5에서는 메모리(180)가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었지만 본원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 메모리(180)는 데이터 처리부(140), 타이밍 제어부(190) 또는 데이터 구동부(150)에 내장되거나 기존의 내장 레지스터(register)로 대신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90)와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 데이터 처리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9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40)의 기능은 타이밍 제어부(190)에서 알고리즘 형태로 처리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처리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140)는 휘도 판단부(142), 계조 판단부(144), 및 데이터 변조부(146)를 구비한다.
표시 패널(170)의 현재 휘도는 사용자의 설정, 외부 환경 등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70)에서 표시될 수 있는 최고 휘도가 450nit인 경우, 표시 패널(170)의 현재 휘도는 사용자 또는 외부 환경의 조도에 따라 450nit, 300nit, 250nit, 150nit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현재 휘도는 픽셀 데이터의 최고 계조(maximum gray level) 예를 들어, 8 bit 픽셀 데이터의 경우에 계조 255의 휘도를 의미한다. 휘도 판단부(142)는 표시 패널(170)의 현재 휘도를 판단하고, 현재 휘도에 대응하는 휘도 가중치를 메모리(180)로부터 독출(read out)한다.
현재 휘도가 동일하더라도 계조별로 인지 휘도가 다르다. 계조 판단부(144)는 표시 패널(170)에 표시되는 영상의 평균 계조를 추정하기 위하여 한 프레임 데이터(Data)의 평균 휘도를 계산하고, 평균 휘도에 대응하는 계조 가중치를 메모리(180)로부터 독출한다. 평균 휘도는 평균 화상 레벨(APL : Average Picture Level)로 계산될 수 있다. 평균 화상 레벨(APL)은 픽셀 데이터 각각의 휘도(Y = 0.2R + 0.7G + 0.1B)를 계산하고, 한 프레임 데이터의 휘도 총합을 픽셀 개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데이터 변조부(146)는 휘도 가중치 및 계조 가중치를 이용하여 제 1데이터(Data1)의 계조를 낮추어 제 2데이터(Data2)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40)는 제 1데이터(Data1)에 휘도 가중치 및 계조 가중치를 곱하여 제 2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휘도 가중치 및 계조 가중치의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표시 패널에서 표현될 수 있는 휘도 범위가 제 1 내지 제 5구간, 계조가 제 1 내지 제 5구간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70)의 휘도 구간은 사용자 설정이나 외부 환경의 조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각각의 휘도 구간 마다 휘도 가중치가 독립적으로 설정된다. 휘도 구간 각각에서 적색 휘도 가중치(LWR), 녹색 휘도 가중치(LWG) 및 청색 휘도 가중치(LWB)이 설정된다.
제1 구간은 표시 패널(170)에서 표현될 수 있는 휘도 범위 중, 가장 높은 휘도 범위에 해당한다. 제5 구간은 표시 패널(170)에서 표현될 수 있는 휘도 범위 중, 가장 낮은 휘도 범위에 해당한다. 제 1구간의 휘도 가중치는 제 1적색 휘도 가중치(LWR1), 제 1녹색 휘도 가중치(LWG1) 및 제 1청색 휘도 가중치(LWB1)로 나뉘어진다. 제 2구간의 휘도 가중치는 제 2적색 휘도 가중치(LWR2), 제 2녹색 휘도 가중치(LWG2) 및 제 2청색 휘도 가중치(LWB2)으로 나뉘어진다. 제 3구간의 휘도 가중치는 제 3적색 휘도 가중치(LWR3), 제 3녹색 휘도 가중치(LWG3) 및 제 3청색 휘도 가중치(LWB3)로 나뉘어진다. 제 4구간의 휘도 가중치는 에 대응하여 제 4적색 휘도 가중치(LWR4), 제 4녹색 휘도 가중치(LWG4) 및 제 4청색 휘도 가중치(LWB4)로 나뉘어진다. 제 5구간의 휘도 가중치는 제 5적색 휘도 가중치(LWR5), 제 5녹색 휘도 가중치(LWG5) 및 제 5청색 휘도 가중치(LWB5)로 나뉘어진다. 메모리(180)에 휘도 구간 별로 나뉘어 휘도 가중치들이 저장된다.
휘도 가중치(LWR, LWG, LWB)는 우세 컬러가 고휘도나 저휘도 보다 중간 휘도에서 더 잘 인지되므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휘도 구간과 저휘도 구간에 비하여 중간 휘도에서 더 낮은 값으로 설정된다. 예컨대, 휘도 가중치는 제 1 구간 보다 제2 구간에서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되고, 제2 구간 값보다 제3 구간에서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휘도 가중치는 제5 구간 보다 제4 구간에서 더 낮은 값으로 설정되고, 제4 구간 보다 제3 구간에서 더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표시 패널에서 표현될 수 있는 휘도 범위를 구간화 한 경우에, 고휘도의 구간 및 저휘도의 구간에서의 휘도 가중치 값보다, 중간휘도의 구간에서의 휘도 가중치 값이 더 작다.
휘도 가중치(LWR, LWG, LWB)는 0~1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휘도 가중치(LWR, LWG, LWB)는 고휘도 및 저휘도에서 중간휘도로 갈수록 "1"에서 “”으로 가까워지도록 그 값이 설정될 수 있다. 휘도 가중치(LWR, LWG, LWB)는 입력 영상에서 우세 컬러로 보일 수 있는 제 1데이터(Data1)에 곱해진다. 따라서, 휘도 가중치(LWR, LWG, LWB)가 낮으면 제 2데이터(Data2)의 계조가 낮아진다.
표시 패널(170)의 현재 휘도가 고휘도 및 저휘도로 설정되는 경우 표시 패널(170)의 현재 휘도가 전체적으로 밝거나 어둡기 때문에, 표시 패널(170)의 가장자리에서 세로 라인 및 가로 라인 형태로 우세 컬러가 쉽게 인지되지 않는다. 이 때, 표시 패널(170)의 현재 휘도가 고휘도 또는 저휘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휘도 가중치(LWR1, LWG1, LWB1 또는 LWR5, LWG5, LWB5)를 "1"에 가깝거나 "1"로 설정되고, 이에 따라 제 1데이터(Data1)의 계조와 동일하거나 조금 낮은 계조를 갖도록 제 2데이터(Data2)가 생성된다.
표시 패널(170)의 현재 휘도가 중간 휘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표시 패널(170)의 가장자리에서 세로 라인 및 가로 라인 형태로 우세 컬러가 쉽게 인지된다. 따라서, 현재 휘도가 중간 휘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휘도 가중치(LWR3, LWG3, LWB3)는 고휘도 및 저휘도 구간의 휘도 가중치(LWR1, LWG1, LWB1 및 LWR5, LWG5, LWB5) 보다 작은 값 예를 들어, 0.2로 설정될 수 있다. 중간 휘도 구간에서 휘도 가중치(LWR3, LWG3, LWB3)가 낮기 때문에 고휘도와 저휘도 구간에 비하여 중간 휘도 구간에서 제 2데이터(Data2)의 계조가 더 낮아진다. 제 2데이터(Data2)는 우세 컬러의 서브 픽셀 데이터이기 때문에 제 2데이터(Data2)의 계조가 낮아지면 우세 컬러가 인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 i(i는 1 내지 5)구간에 설정된 제 i적색 휘도 가중치(LWRi), 제 i녹색 휘도 가중치(LWGi) 및 제 i청색 휘도 가중치(LWBi)는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적색 서브 픽셀(Spr), 녹색 서브 픽셀(SPg) 및 청색 서브 픽셀(SPb) 각각은 휘도에 기여하는 바가 상이하고, 이에 따라 제 i적색 휘도 가중치(LWRi), 제 i녹색 휘도 가중치(LWGi) 및 제 i청색 휘도 가중치(LWBi)는 서로 상이하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다른 컬러에 비하여 청색에서 우세 컬러가 더 잘 인지된다면, 청색 휘도 가중치(LWBi)가 다른 컬러의 휘도 가중치(LWRi, LWGi)에 비하여 더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청색 휘도 가중치(LWBi)가 설정되면, 청색 데이터의 계조 감소폭을 다른 컬러에 비하여 더 크게 할 수 있다. RGB별 휘도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i적색 휘도 가중치(LWRi)는 표시 패널(170)의 제 1가장자리에서 적색 가로 라인이 인지되지 않도록, 제 i녹색 휘도 가중치(LWGi)은 표시 패널(170)의 제 2가장자리에서 녹색 가로 라인이 인지되지 않도록, 제 i청색 휘도 가중치(LWBi)은 표시 패널(170)의 제 3가장자리에서 청색 가로 라인이 인지되지 않도록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표시 패널(170)에서 표현될 수 있는 계조 범위(예를 들면, 0 내지 255gray)는 복수의 계조 구간으로 분할된다. 계조 구간 각각에서 계조 가중치가 독립적으로 설정된다. 계조 구간 각각에서 적색 계조 가중치(GWR), 녹색 계조 가중치(GWG) 및 청색 계조 가중치(GWB)가 설정된다.
제1 구간은 계조 범위 중에서 최상위 계조 구간에 해당한다. 제5 구간은 계조 범위 중에서 최하위 계조 구간에 해당한다. 제 1구간의 계조 가중치는 제 1적색 계조 가중치(GWR1), 제 1녹색 계조 가중치(GWG1) 및 제 1청색 계조 가중치(GWB1)으로 나뉘어진다., 제 2구간의 계조 가중치는 제 2적색 계조 가중치(GWR2), 제 2녹색 계조 가중치(GWG2) 및 제 2청색 계조 가중치(GWB2)으로 나뉘어진다. 제 3구간의 계조 가중치는 제 3적색 계조 가중치(GWR3), 제 3녹색 계조 가중치(GWG3) 및 제 3청색 계조 가중치(GWB3)로 나뉘어진다. 제 4구간의 계조 가중치는 제 4적색 계조 가중치(GWR4), 제 4녹색 계조 가중치(GWG4) 및 제 4청색 계조 가중치(GWB4)으로 나뉘어진다. 제 5구간의 계조 가중치는 제 5적색 계조 가중치(GWR5), 제 5녹색 계조 가중치(GWG5) 및 제 5청색 계조 가중치(GWB5)로 나뉘어진다. 메모리(180)에 이러한 계조 가중치가 저장된다.
여기서, 계조 가중치(GWR, GWG, GWB)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프레임의 평균 계조가 고계조에서 중간계조, 저계조에서 중간계조로 갈수록 값이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계조 가중치는 제 1구간 보다 제2 구간에서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되고, 제2 구간 보다 제3 구간에서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계조 가중치는 제5 구간 보다 제4 구간에서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되고, 제4 구간 보다 제3 구간에서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표시 패널에서 표현될 수 있는 계조 범위를 구간화 한 경우에, 고계조의 구간 및 저계조의 구간에서의 계조 가중치 값보다, 중간계조의 구간에서의 계조 가중치 값이 더 작다.
예를 들어, 계조 가중치(GWR, GWG, GWB)는 "0" 내지 "1" 사이의 범위로 설정되며, 고계조 및 저계조에서 중간계조로 갈수록 그 값이 “”에서 “”으로 가까워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계조 가중치(GWR, GWG, GWB)는 우세 컬러로 보일 수 있는 제 1데이터(Data1)에 곱해지므로 그 값이 낮을수록 제 2데이터(Data1)의 계조가 낮아진다.
표시 패널(170)의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평균 휘도가 고계조 및 저계조 구간의 휘도이면 중간 계조 구간에 비하여 우세 컬러가 잘 인지되지 않는다.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평균 휘도가 고계조 또는 저계조 구간의 휘도이면, 계조 가중치(GWR1, GWG1, GWB1 또는 GWR5, GWG5, GWB5)는 "1"에 가깝거나 "1"로 설정되고, 이에 따라 제 1데이터(Data1)의 계조와 동일하거나 조금 낮은 계조를 갖도록 제 2데이터(Data2)가 생성된다.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평균 휘도가 중간 계조 구간의 휘도이면 표시 패널(170)의 가장자리에서 세로 라인 및 가로 라인 형태로 우세 컬러가 인지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계조 구간의 계조 가중치(GWR3, GWG3, GWB3)는 고계조 및 저계조의 계조 가중치(GWR1, GWG1, GWB1 및 GWR5, GWG5, GWB5) 보다 작게 예를 들면, "0.2"로 설정된다. 그러면, 제 1데이터(Data1)와 비교하여 제 2데이터(Data2)의 계조가 현저히 낮아져 표시 패널(170)의 가장자리에서 우세 컬러가 인지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제 i구간에 설정된 제 i적색 계조 가중치(GWRi), 제 i녹색 계조 가중치(GWGi) 및 제 i청색 계조 가중치(GWBi)는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색 계조 가중치(GWBi)가 다른 컬러의 계조 가중치(GWRi, GWGi)에 비하여 더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i적색 계조 가중치(GWRi)는 표시 패널(170)의 제 1가장자리에서 적색 가로 라인이 인지되지 않도록, 제 i녹색 계조 가중치(GWGi)는 표시 패널(170)의 제 2가장자리에서 녹색 가로 라인이 인지되지 않도록, 제 i청색 계조 가중치(GWBi)는 표시 패널(170)의 제 3가장자리에서 청색 가로 라인이 인지되지 않도록 실험적으로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170)의 현재 휘도 설정값과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평균 휘도를 고려하여 우세 컬러가 인지될 수 있는 서브 픽셀들에 기입될 데이터(Data)를 변조한다. 현재 휘도의 설정값만을 고려하여 제 2데이터(Data2)를 변조하면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우세 컬러가 인지될 수 있다. 또한, 현재 프레임의 평균 휘도만을 고려하여 제 2데이터(Data2)를 생성하면 표시 패널(170)의 현재 휘도 설정값이 변하면 우세 컬러가 인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170)의 현재 휘도 설정값과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평균 휘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제 2데이터(Data2)를 생성하여 표시 패널(170)의 현재 휘도 설정값이나 데이터의 계조가 변하더라도 우세 컬러가 보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화면 전체에서 컬러 왜곡이 없고 국부적인 우세 컬러가 없는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데이터(Data2) 생성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현재 휘도 설정값에 대응한 휘도 가중치 선택 : S200, S202>
휘도 판단부(142)는 표시 패널(170)에 설정된 현재 휘도 설정값을 판단한다. 데이터 처리부(140)는 현재 휘도 설정값이 어느 휘도 구간에 속하는지 체크하여 해당 구간, 예를 들면 제 i구간의 휘도 가중치(LWRi, LWGi, LWBi)를 메모리(180)로부터 독출한다.
<평균 휘도에 대응한 계조 가중치 선택 : S204, S206>
계조 판단부(144)는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평균 휘도를 구한다. 계조 판단부(144)는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평균 휘도에 대응하는 계조 구간을 체크하여 메모리(180)로부터 해당 구간의 계조 가중치, 예를 들면 제 i구간의 계조 가중치(GWRi, GWGi, GWBi)을 메모리(180)로부터 독출한다.
<제 2데이터 생성 : S208>
데이터 변조부(146)는 선택된 제 i구간의 휘도 가중치(LWRi, LWGi, LWBi) 및 제 i구간의 계조 가중치(GWRi, GWGi, GWBi)를 우세 컬러가 인지될 수 있는 서브 픽셀 데이터에 곱하여 그 데이터를 변조함으로써 제 2데이터(Data2)를 생성한다. 데이터 변조부(146)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제 1가장자리에 위치된 적색 서브 픽셀(SPr)로 공급될 제 2데이터(Data2(R))를 생성한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Data1(R)은 제 1가장자리에 위치된 적색 서브 픽셀(SPr)로 공급될 제 1데이터(Data1)를 의미한다. 수학식 1에서 Data1(R)의 계조가 233, 제 i적색 휘도 가중치(LWRi)가 0.5, 제 i적색 계조 가중치(GWRi)가 0.6로 설정된다면 Data2(R)는 대략 70의 계조를 갖도록 생성된다.
데이터 변조부(146)는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제 2가장자리에 위치된 녹색 서브 픽셀(SPg)로 공급될 제 2데이터(Data2(G))를 생성한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에서 Data1(G)는 제 2가장자리에 위치된 녹색 서브 픽셀(SPg)로 공급될 제 1데이터(Data1)를 의미한다. 수학식 2에서 Data1(G)의 계조가 160, 제 i적색 휘도 가중치(LWRi)가 0.93, 제 i적색 계조 가중치(GWRi)가 0.85로 설정된다면 Data2(R)는 대략 126의 계조를 갖도록 생성된다.
데이터 변조부(146)는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제 3가장자리에 위치된 청색서브 픽셀(SPb)로 공급될 제 2데이터(Data2(B))를 생성한다.
Figure pat00003
수학식 3에서 Data1(B)는 제 3가장자리에 위치된 청색 서브 픽셀(SPb)로 공급될 제 1데이터(Data1)를 의미한다. 수학식 3에서 Data1(B)의 계조가 180, 제 i청색 휘도 가중치(LWRi)가 0.9, 제 i청색 계조 가중치(GWRi)가 0.8로 설정된다면 Data2(R)는 대략 130의 계조를 갖도록 생성된다.
데이터 변조부(1460)에 의해 변조된 제 2데이터(Data2)와 그 이외의 다른 데이터(Data) 는 타이밍 제어부(190)를 통해 데이터 구동부(150)로 전송된다. 데이터 구동부(150)는 데이터(Data, Data2)를 감마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신호를 생성하고 그 데이터신호를 데이터라인(DL1 내지 DLm)들로 공급한다.
제 2데이터(Data)의 데이터 신호는 우세 컬러가 보일 수 있는 국부 픽셀 영역 예를 들어 표시 패널(17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서브 픽셀들로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70)의 휘도 설정값과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평균 휘도에 따라 제 2데이터(Data)의 계조가 낮아지기 때문에 그 데이터가 기입될 서브 픽셀의 휘도가 낮아져 우세 컬러가 인지되지 않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Pr : 적색 서브 픽셀 SPg : 녹색 서브 픽셀
SPb : 청색 서브 픽셀 132 : 적색 발광층
134 : 녹색 발광층 136 : 청색 발광층
140 : 데이터 처리부 142 : 휘도 판단부
144 : 계조 판단부 146 : 데이터 변조부
150 : 데이터 구동부 160 : 스캔 구동부
170 : 표시 패널 180 : 메모리
190 : 타이밍 제어부

Claims (9)

  1. 제 1열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적색 및 녹색 서브 픽셀들, 제 2열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청색 서브 픽셀들이 배치된 표시패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컬러별로 구분된 가중치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표시패널의 현재 휘도를 바탕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가중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중치를 바탕으로 상기 표시패널의 일부 영역의 휘도를 조정하는 휘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청색 서브 픽셀의 폭이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픽셀들 각각의 폭 보다 작고, 상기 청색 서브 픽셀의 높이가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픽셀들 각각의 높이 보다 크고, 상기 표시패널의 열 방향과 행 방향에서 이웃한 서브 픽셀들 간의 거리가 동일한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서브 픽셀은 제 1파워 라인, 제 1스캔 라인, 및 제 1데이터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녹색 서브 픽셀은 제 2파워 라인, 상기 제 1스캔 라인, 및 제 2데이터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청색 서브 픽셀은 제 3파워 라인, 상기 제 1스캔 라인, 및 제 3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서브 픽셀은 제 1파워 라인, 제 1스캔 라인, 및 제 1데이터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녹색 서브 픽셀은 상기 제 1파워 라인, 상기 제 1스캔 라인, 및 제 2데이터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청색 서브 픽셀은 제 2파워 라인, 상기 제 1스캔 라인, 및 제 3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는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제1 가장 자리, 상기 제1 가장 자리의 반대측의 제2 가장 자리, 상기 제1 가장 자리와 상기 제2 가장 자리를 잇는 제3 가장 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제1 가장자리의 행 방향에 배치된 상기 적색 및 청색 서브 픽셀들 중에서 상기 적색 서브 픽셀들의 면적이 상기 청색 서브 픽셀들의 면적 보다 크고,
    상기 표시패널의 제2 가장자리의 행 방향에 배치된 상기 녹색 및 청색 서브 픽셀들 중에서 상기 녹색 서브 픽셀들의 면적이 상기 청색 서브 픽셀들의 면적 보다 크고,
    상기 표시패널의 제3 가장자리의 열 방향에 상기 적색 및 녹색 서브 픽셀들 없이 상기 청색 서브 픽셀들만 배치되는 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제어부는,
    휘도 판단부, 계조 판단부, 및 데이터 변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가중치는,
    제 i(i는 자연수)휘도 구간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제 1가장자리에 위치된 적색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 i적색 휘도 가중치, 상기 표시 패널의 제 2가장자리에 위치된 녹색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 i녹색 휘도 가중치, 상기 표시 패널의 제 3가장자리에 위치된 청색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 i청색 휘도 가중치, 및 복수의 계조 가중치를 포함하고,
    상기 휘도 판단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현재 휘도 설정값에 따라 상기 휘도 가중치를 선택하고,
    상기 계조 판단부는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평균 휘도에 따라 상기상기 계조 가중치를 선택하고,
    상기 데이터 변조부는 선택된 상기 휘도 가중치와 상기 계조 가중치를 바탕으로 상기 표시 패널의 화면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될 데이터의 휘도를 낮추고,
    상기 제 i적색 휘도 가중치, 상기 제 i녹색 휘도 가중치 및 상기 제 i청색 휘도 가중치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는 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조부는 상기 선택된 휘도 가중치와 상기 계조 가중치를 상기 데이터에 곱하여 상기 데이터의 계조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서브 픽셀은,
    제 1열의 제 1행에 배치되며 적색 발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녹색 서브 픽셀은,
    상기 제 1열의 제 2행에 배치되며 녹색 발광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청색 서브 픽셀은,
    상기 제 1열의 제 1행 및 제 2행에 대응되는 제 2열에 배치되며 청색 발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적색 발광영역 및 녹색 발광영역은 각각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큰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청색 발광영역은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가 상기 가로 방향의 길이보다 큰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가중치는 고휘도 구간과 저휘도 구간에 비하여 중간 휘도 구간에서 더 낮은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계조 가중치는 고계조 구간과 저계조 구간에 비하여 중간 계조 구간에서 더 낮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가중치는,
    제 i(i는 자연수)계조 구간에서 상기 적색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 i적색 계조 가중치, 상기 녹색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 i녹색 계조 가중치, 상기 청색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 i청색 계조 가중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i적색 계조 가중치, 상기 제 i녹색 계조 가중치 및 상기 제 i청색 계조 가중치는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220020849A 2014-12-08 2022-02-17 표시장치 KR102452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849A KR102452798B1 (ko) 2014-12-08 2022-02-17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914A KR102366198B1 (ko) 2014-12-08 2014-12-08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0220020849A KR102452798B1 (ko) 2014-12-08 2022-02-17 표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914A Division KR102366198B1 (ko) 2014-12-08 2014-12-08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393A true KR20220024393A (ko) 2022-03-03
KR102452798B1 KR102452798B1 (ko) 2022-10-11

Family

ID=563436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914A KR102366198B1 (ko) 2014-12-08 2014-12-08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0220020849A KR102452798B1 (ko) 2014-12-08 2022-02-17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914A KR102366198B1 (ko) 2014-12-08 2014-12-08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661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7656B (zh) 2016-08-31 2018-06-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屏幕亮度控制方法和装置
KR102493488B1 (ko) * 2018-06-15 2023-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837174B2 (en) 2018-06-15 2023-12-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grayscale correction unit utilizing weighting
KR102656408B1 (ko) * 2019-05-13 2024-04-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2783460B (zh) * 2021-01-26 2024-05-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4283731B (zh) * 2021-12-30 2023-09-22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压降补偿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1720A (ko) * 2005-12-30 2007-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KR20080062185A (ko) * 2006-12-29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20090092875A (ko) * 2008-02-28 2009-09-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변조 장치, 데이터 변조 방법 및 유기발광표시장치및 그 구동 방법
KR20110086287A (ko) * 2010-01-22 2011-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20140032809A (ko) * 2012-09-07 2014-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582B1 (ko) * 2001-02-19 2003-06-25 (주)플렛디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질 조정 방법
KR100738237B1 (ko) * 2005-04-08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의 화상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832052B1 (ko) * 2006-06-15 2008-05-2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장치, 표시 제어 장치, 표시 방법, 표시 제어프로그램 및 동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KR101605157B1 (ko) * 2009-03-24 2016-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구동 방법
JP5560076B2 (ja) * 2010-03-25 2014-07-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41638B1 (ko) * 2010-08-12 2017-05-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영상보정방법
KR101972982B1 (ko) * 2012-08-10 2019-08-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47125B1 (ko) * 2012-11-27 2019-0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및 그 구동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1720A (ko) * 2005-12-30 2007-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KR20080062185A (ko) * 2006-12-29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20090092875A (ko) * 2008-02-28 2009-09-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변조 장치, 데이터 변조 방법 및 유기발광표시장치및 그 구동 방법
KR20110086287A (ko) * 2010-01-22 2011-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의 휘도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20140032809A (ko) * 2012-09-07 2014-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576A (ko) 2016-06-17
KR102452798B1 (ko) 2022-10-11
KR102366198B1 (ko)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2798B1 (ko) 표시장치
KR102194571B1 (ko) 데이터 변환부와 데이터 변환부의 데이터 변환 방법
KR102146107B1 (ko) 표시장치와 그 휘도 제어 방법
US8970642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207190B1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회로와,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2083299B1 (ko) 표시장치와 그 휘도 제어 방법
US20190221171A1 (en) Partitioned backlight display method of red, green, blue, and white (rgbw) display device
KR20100095093A (ko)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13182149A (ja) 表示装置
KR20190009022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083297B1 (ko) 표시장치와 그 휘도 제어 방법
US11514867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102154698B1 (ko) 표시장치와 그 휘도 향상 방법
KR20150015281A (ko) 데이터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25399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239895B1 (ko) 입력 영상의 업 스케일링을 위한 데이터 변환부와 데이터 변환 방법
KR102587620B1 (ko) 표시장치와 그 휘도 제어 방법
KR102364081B1 (ko) 데이터 변환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50057010A (ko) 표시장치의 영상 랜더링 장치 및 방법
KR2015003086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화질 제어 방법
KR102237138B1 (ko) 표시장치와 그 휘도 제어 방법
KR102185118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231156B1 (ko) 표시장치와 그 데이터 보상 방법
KR2023001882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3008104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