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329A -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329A
KR20220024329A KR1020220017091A KR20220017091A KR20220024329A KR 20220024329 A KR20220024329 A KR 20220024329A KR 1020220017091 A KR1020220017091 A KR 1020220017091A KR 20220017091 A KR20220017091 A KR 20220017091A KR 20220024329 A KR20220024329 A KR 20220024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mage
changing
control sign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584B1 (ko
Inventor
안영춘
최명관
윤현돈
허혜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24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6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for quick navigation, e.g. through an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8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mapping a matrix of displayed objects on the screen to the numerical key-matrix of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characterized by types of remote control, e.g. universal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3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channel n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에 오브젝트가 포함되는지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에 대응되는 UI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채널 변경을 위한 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안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에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버튼이나 전자 장치와 별도의 장치인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하였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전자 장치와 별도의 장치인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조작을 위하여 리모컨에 구비된 버튼을 일일이 확인하여 누름 조작을 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채널 전환 방법은 리모컨의 숫자 버튼을 사용하여 원하는 채널 번호를 입력하거나, 채널 Up/Down 버튼을 사용하는 한 채널 전환 방식 또는 연속된 채널 전환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채널 수가 매우 많고 전환 빈도가 높은 경우 손가락을 옮겨가면서 숫자 버튼을 입력하는 것이 불편해지고, 또한 채널 번호를 많이 외우지 못하기 때문에 다양한 범위의 채널 사이에서 전환하거나 한 번호씩 증가시키면서 채널을 탐색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채널 Up /Down 버튼을 이용하는 경우, 채널 수가 많고 그 사이에서 빈번하게 변경하는 경우에 특히 원하는 채널 간의 간격이 큰 경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채널 탐색하고 전환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채널 변경을 위한 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에 오브젝트가 포함되는지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에 대응되는 UI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영상 제공 장치, 상기 영상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에 오브젝트가 포함되는지에 따라 상기 영상 제공 장치에 대응되는 UI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오브젝트가 상기 영상에 포함되지 않으면 채널 변경을 위한 UI와 함께 상기 영상을 처리하고, 오브젝트가 상기 영상에 포함되면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 없이 상기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의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9c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신호 전송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채널 변경을 위한 UI 제공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디스플레이 장치(100), 영상 제공 장치(200) 및 원격 제어 장치(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PC, 프로젝터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영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제공 장치(20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영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영상 제공 장치(200)는 유, 무선의 다양한 통신방식으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200)는 예컨대, 셋톱박스, PC, OTT(Over The Top) 기기 등 다양한 유형의 장치일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300)는 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300)는 리모컨, 스마트폰, PDA, 키보드, 마우스 등일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300)는 예컨대 물리 키, 소프트키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 제어 장치(300)는 모션 센서를 구비하여 원격 제어 장치(300)의 3차원 움직임을 사용자 조작으로서 입력받을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300)는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300)는 예컨대 적외선(IR), RF, 블루투스, 와이 파이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격 제어 장치(300)는 여러 장치를 제어하는 통합리모컨(MBR: Multi-Brand Remote)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원격 제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세트와,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세트를 이용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코드세트란 특정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신호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세트가 원격 제어 장치(300)에 없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3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영상 제공 장치(20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원격 제어 장치(300)로 하여금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특정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선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300)가 영상 제공 장치(200)를 직접 제어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세트를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전달한다(①). 이 경우, 예컨대, 블루투스, 와이 파이 등의 통신 방식이 이용되어 제어코드세트가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 사용자 조작이 있으면(②), 원격 제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제어코드 세트를 이용해서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③). 이 경우, 예컨대, 적외선, 블루투스, 와이 파이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이 이용되어 제어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영상 제공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선 원격 제어 장치(300)가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 세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공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원격 제어 장치(300)는 다른 외부 소스로부터 제어코드 세트를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또는, 원격 제어 장치(300)에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세트를 포함하여 다른 다양한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코드세트가 미리 저장되어 있고, 이후, 원격 제어 장치(300)가 영상 제공 장치(200)의 기기정보 또는 사업자 정보를 획득해서 상기 복수의 제어코드 세트 중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세트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코드 세트는 장치의 사업자별로 다르므로, 영상 제공 장치(200)의 제어코드 세트를 획득하기 위해선 먼저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영상 제공 장치(200)가 예컨대, 어떤 회사의 셋톱박스인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300)에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 관련 정보를 직접 입력하고 원격 제어 장치(300)는 상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 세트를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 관련 정보를 직접 입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원격 제어 장치(300)로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에 대응하는 제어코드 세트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원격 제어 장치(300)로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원격 제어 장치(300)가 인터넷 소스에서 영상 제공 장치(200)의 제어코드세트를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 이외에도,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영상신호에서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를 알아낼 수 있는 고유한 특성을 추출하여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제공 장치(200)가 제공한 영상신호에서 로고, 사업자명 등을 추출해서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한 것을 참고하면, 영상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영상(310)의 기설정된 영역에서 사업자 로고(311)를 추출할 수 있고, 영상(320)에 표시된 배너 내에서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 로고(321)를 추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출한 사업자 로고(311, 321)를 기초로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 정보 또는 기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기 설정된 영역에서 로고, 사업자명 등을 추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영상 전체 영역에 대해 인식 대상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예컨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이 적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공지능에 기초해서 영상 내의 어느 부분에 방송 로고, 사업자 명 등과 같은 인식 대상이 있는지를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해당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제공 장치(200)가 HDMI를 통해 연결되면 CEC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CEC 기능은 HDMI로 연결된 기기들이 서로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기능으로서, CEC 기능을 지원하는 기기라면, CEC 정보엔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2에선 원격 제어 장치(300)가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세트를 획득해서 영상 제공 장치(200)를 직접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서 영상 제공 장치(200)를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선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 사용자 조작이 있으면(①), 원격 제어 장치(300)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제1 제어신호)를 예컨대, 적외선, 블루투스, 와이 파이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전송한다(②). 이 경우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세트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이기 때문에 영상 제공 장치(200)는 이 제어 신호에는 반응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세트가 저장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세트에 기초해서 제1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제2 제어신호)를 전송한다(③).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외선, 블루투스, 와이 파이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제2 제어신호를 전송하거나, HDMI 등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으로 제2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제공 장치(200)는 제2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2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300)에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세트가 없더라도 원격 제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서 영상 제공 장치(200)를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2 및 도 4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는 또 다른 방식으로 원격 제어 장치(300)가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 사용자 조작이 있으면(①), 원격 제어 장치(300)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제1 제어신호)를 예컨대, 적외선, 블루투스, 와이 파이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전송한다(②). 이 경우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세트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이기 때문에 영상 제공 장치(200)는 이 제어 신호에는 반응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세트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저장된 제어코드세트에 기초해서 제1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제2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원격 제어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전송한다(③).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블루투스, 와이 파이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제2 제어신호를 전송한다(④). 영상 제공 장치(200)는 제2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2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통신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디스플레이(110)는 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CRT(cathode-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LED(transparent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영상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UI 요소들을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각종 외부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1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영상 제공 장치(200)로부터 영상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제1 통신부(121) 및 원격 제어 장치(300)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통신부(1220)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121)와 제2 통신부(122)가 이용하는 통신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제1 통신부(121)는 예컨대,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Universal Serial Bus), WiFi(Wireless Fidelity), UWB(ultra wideband), WiDi(WirelessDisplay), WiHD(WirelessHD), WHDI(Wireless Home Digital Interface), Miracast, Wigig(Wireless Gigabit Alliance), Wi-Fi Direct, Bluetooth 등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영상 제공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22)는 예컨대, 적외선(IR) 통신, WiFi, Wi-Fi Direct, Bluetooth, USB, HDMI,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DP(Display Port), 썬더볼트(Thunderbolt) 등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원격 제어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통신부(121)와 제2 통신부(12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제공 장치(200) 또는 원격 제어 장치(3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HDMI 방식의 제1 통신부(121)를 통해 영상 제공 장치(200)로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으며, Bluetooth, Wi-Fi 또는 적외선 통신 방식의 제2 통신부(122)를 통해 영상 제공 장치(200)로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예컨대,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제3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통신부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부에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프로세서(13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통신부(121)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 전송되는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채널 스크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300)에 마련된 특정 버튼을 선택하고 그 선택을 유지하는 조작, 즉 롱 프레스 조작이 입력되는 경우에 전송되는 제어신호일 수 있다. 채널 스크롤 기능은 채널 변경을 위한 UI의 표시 기능이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채널 스크롤 기능이 수행되면 채널 변경을 위한 UI가 표시되고, 채널 변경을 위한 UI 내의 인디케이터가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채널을 탐색한다. 채널 변경을 위한 UI는 채널 스크롤 UI라고 명명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에서만 채널 스크롤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현재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는 영상이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인지 여부를 영상 내 포함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영상 내 포함된 오브젝트가 예컨대, 복수의 선택 가능한 UI 요소를 포함하는 메뉴 UI,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과 같이 채널 변경이 가능한 상태가 아닌 UI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채널 스크롤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채널 변경을 알리는 UI가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면 현재 영상이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채널 변경을 알리는 UI는 예컨대 채널 변경 시 표시되는 배너와 같은 OSD일 수 있다. 배너는 채널명, 방송 프로그램명, 채널 번호 등과 같은 현재 채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채널 변경을 알리는 UI가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면 채널 변경을 위한 UI의 표시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채널 변경을 위한 UI의 표시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채널 변경을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채널 변경을 위한 UI가 표시된 이후,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가 미수신되면 채널 변경을 위한 UI의 표시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채널 변경을 알리는 UI가 표시된 상태에서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가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미수신되고 채널 변경을 알리는 UI가 사라지면, 채널 변경을 위한 UI의 표시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채널 변경을 위한 UI의 표시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선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채널 변경을 위한 UI는 표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30)는 채널 변경을 위한 UI에 표시된 인디케이터가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되다가 멈추면, 인디케이터가 멈춘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로 변경하도록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기설정된 형상의 트랙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트랙은 예컨대 화면의 가장자리에 위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가 이동하면서 채널을 탐색하며, 탐색 된 채널에 대한 정보, 예컨대 채널 번호, 채널명, 해당 채널에서 방영되는 프로그램명 등이 인디케이터와 함께 이동되며 표시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의 최초 위치는, 채널 변경을 위한 UI가 표시될 당시의 채널 번호에 대응된다. 프로세서(130)는 인디케이터의 최초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 영상 내의 채널 번호를 OCR 등을 통해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인식된 채널 번호에 대응하는 지점부터 인디케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채널 변경을 위한 UI에서 인디케이터가 이동하다가 멈춘 위치에 대응되는 채널로 변경하도록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30)는 인디케이터가 멈춘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통신부(120)를 통해 영상 제공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제공 장치(200)로부터 영상 신호를 제공받은 제1 통신부(121)를 이용할 수 있고, 제2 통신부(122)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제1 통신부(121)와 제2 통신부(122)와는 다른 통신 방식으로 영상 제공 장치(20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인디케이터가 멈춘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통신부(12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전송하며, 여기서 제어명령은, 인디케이터가 멈춘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로 변경하도록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300)가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일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어명령을 제2 통신부(122)를 통해 전송할 수 있으며, 제1 통신부(121)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제1 통신부(121)와 제2 통신부(122)와는 다른 통신 방식으로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선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300)는 채널버튼(310), 방향 버튼(320), 선택 버튼(330), 취소 버튼(340) 등을 포함한 다양한 버튼을 포함한다. 채널버튼(310)은 레버 타입으로서,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채널 버튼(310)을 위로 움직이거나 아래로 움직여서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채널 버튼(310)을 프레스하면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EPG(Electronic program guide)가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채널 버튼(310)을 위로 움직여서 일정시간 유지하거나, 아래로 움직여서 일정시간 유지함으로써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도 7b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를 참고하면 원격 제어 장치(300)는 방향 버튼(710)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방향 버튼(710)에서 좌, 우 방향키를 프레스하고 일정시간 유지하거나, 또는, 상, 하 방향키를 프레스하고 일정시간 유지함으로써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도 7c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를 참고하면, 본 개시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폰일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원격 제어 장치(300)의 동작들은 스마트폰에서 설치되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에 미리 설치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별도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도 7c는 이와 같이 스마트 폰으로 구현된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켰을 때의 UI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UI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영상 제공 장치(200) 등 다양한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채널 업 소프트 버튼(720) 또는 채널 다운 소프트 버튼(730)을 터치한 후 일정시간 유지함으로써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300)에는 모션 센서가 포함되어 있고, 원격 제어 장치(300)를 일 방향으로 움직이면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300)는 터치패드를 구비하고, 터치 패드 상에서 터치 후 일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조작을 입력하면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원격 제어 장치에서의 특정 사용자 조작으로도 채널 스크롤 기능을 이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하에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a에서 설명한 원격 제어 장치를 기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8 내지 도 9c는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 사용자가 채널 버튼(310)을 위 또는 아래로 움직여서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의 제어신호 전송 방식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 사용자가 채널 버튼(310)을 위로 또는 아래로 누른 순간 원격 제어 장치(300)는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81)를 전송한다. 그리고 일정시간(tP1)동안 사용자가 채널 버튼(310)을 위로 또는 아래로 누른 채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원격 제어 장치(300)는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들(82 내지 85)을 연속적으로 채널 버튼(310)이 릴리즈될 때까지 전송한다.
한편, 도 8에선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81)가 상기 일정시간(tP)이 경과할 때까지 한 번만 전송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복수 번 전송될 수도 있다.
도 9a 내지 도 9b는 도 8과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8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는 달리, 사용자가 채널 버튼(310)을 위로 또는 아래로 누른 순간 원격 제어 장치(300)가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시간(tP2)이 경과하기 전에 버튼이 릴리즈되면 릴리즈될 때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91)를 전송한다. 일정시간(tP2)이 경과한 후에 버튼이 릴리즈되면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300)는 일정시간(tP2)이 경과한 후 버튼이 릴리즈될 때까지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들(92 내지 95)을 연속적으로 전송한다.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81, 91)는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이고,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들(82 내지 85, 또는 92 내지 9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이다.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81, 91)를 수신한 영상 제공 장치(200)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하고 있는 영상신호가 어떤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신호인지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제공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하고 있는 영상이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ex. 특정 채널의 영상)인 상황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81, 91)가 수신되면, 영상 제공 장치(200)는 다음 채널로 전환해서 전환된 채널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한다. 또 다른 예로, 영상 제공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하고 있는 영상이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ex. 채널 가이드, 게임 애플리케이션 영상 등)인 상황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81, 91)가 수신되면, 영상 제공 장치(200)는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81, 91)를 무시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다른 동작(ex. EPG의 리스트를 스크롤함)을 수행할 수 있다.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시간(tP2)이 경과하기 전에 버튼이 릴리즈되면 릴리즈될 때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91)를 전송한다. 일정시간(tP2)이 경과한 후에 버튼이 릴리즈되면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300)는 일정시간(tP2)이 경과한 후 버튼이 릴리즈될 때까지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들(92 내지 95)을 연속적으로 전송한다.
도 9c는 도 8 내지 도 9b와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채널 버튼(310)을 위로 또는 아래로 누른 순간부터 채널 버튼(310)을 릴리즈할 때까지 원격 제어 장치(300)가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들(71 내지 77)을 전송한다.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들(71 내지 77)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이다. 영상 제공 장치(200)는 제어신호들(71 내지 77)에 반응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첫 번째 제어신호(71)가 수신되면 변경된 채널의 영상 신호를 제공하도록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후속 제어신호(72)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신되면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 채널 버튼을 롱 프레스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채널 변경을 하는 대신 채널 스크롤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표시 중인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기초해서 현재 표시 중인 영상이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인지 판단하여,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이면 채널 변경을 위한 UI를 표시하고,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이 아니면 채널 변경을 위한 UI를 표시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 대해선 이하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첫 번째 제어신호(71)가 수신되면 바로 채널 변경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후속 제어신호(72)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신되는지 기다렸다가, 후속 제어신호(72)가 수신되면 채널 스크롤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본 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와는 달리 첫 번째 제어신호에 의해 채널이 변경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와 관련해선 도 12를 참고하여 좀 더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원격 제어 장치(300)가 제어신호들을 전송하거나, 도 9c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원격 제어 장치(300)가 제어신호들을 전송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영상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영상 제공 장치(200)에서 제공된 채널 100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고 있는 상태(1010)에서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81)를 전송하면, 제어신호(81)가 채널 업을 위한 제어신호인 경우 영상 제공 장치(200)는 다음번 채널인 채널 101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공된 채널 101의 영상을 표시한다(1020).
한편,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71)를 전송한 경우, 이 제어신호(71)는 영상 제공 장치(200)가 아닌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이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어신호(71)를 수신하고, 영상 제공 장치(200)로 다음번 채널의 영상을 제공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제어신호를 수신한 영상 제공 장치(200)는 다음번 채널인 채널 101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한다(102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분석을 통해 채널이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 변경을 알리는 UI가 표시되면 채널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채널 변경을 알리는 UI는 예컨대, 배너, 변경된 채널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채널이 변경되면 변경된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너(1021)가 표시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에서 배너(1021)가 검출되면 채널이 변경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를 기반으로 한 학습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학습 데이터는 영상 제공 장치의 사업자별로 배너의 유형을 학습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배너의 유형은 배너의 형태, 배너의 표시 위치, 배너의 타입 등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학습 데이터는 검출 목표로 하는 배너의 형태, 타입, 표시 위치 등에 맞춰서 재학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재학습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기존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캡쳐하고,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저장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캡쳐된 영상에서 배너(1021)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템플릿 매칭을 이용하여 배너(1021)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캡쳐하고, 기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을 이용해서 캡쳐된 영상 내의 기 정의된 영역 및 픽셀 정보를 기초로 배너(1021)를 검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내 기 정의된 영역뿐만 아니라 영상 전체 영역에 대해서 채널 변경을 알리는 UI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공지능에 기초해서 캡쳐된 영상 전체 영역 내에서 채널 변경을 알리는 UI(예컨대, 배너, 채널 번호, 방송사 로고 등)가 어느 부분에 있는지를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해당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81)가 적외선 신호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81)를 IR 스니핑(IR sniffing)할 수 있고, 신호를 스니핑하기 이전에 표시되던 영상(1010)과 신호를 스니핑한 이후에 표시되는 영상(1020)에서 OCR 등을 이용해서 채널 번호(1011, 1022)를 인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스니핑한 제어신호(81)가 채널 업을 위한 제어신호인 것으로 판단되고, 신호를 스니핑하기 이전의 영상에서 인식된 채널 번호(1011)와 신호를 스니핑한 이후의 영상에서 인식된 채널 번호(1022)가 서로 다른 것으로 판단되면, 채널이 변경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영상 분석을 통해 채널이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이유는, 현재 영상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되어 표시 중인 영상이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이다.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ex. EPG 등과 같은 메뉴를 포함하는 영상 또는 게임 애플리케이션 실행 영상 등)임에도 채널 스크롤 기능이 수행되어서 채널 스크롤 UI가 표시된다면, 사용자에게 혼돈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 변경이 가능한 경우에만 채널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고,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인 경우엔 채널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300)가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81, 71)를 전송함으로써 채널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 스크롤 기능을 활성화(enable)한다. 채널 스크롤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300)가 전송하는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들(82 내지 85 또는 72 내지 77)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 101의 영상과 함께 채널 변경을 위한 UI(1023)를 표시한다. 채널 변경을 위한 UI(1023)는 채널 스크롤 UI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채널 변경을 위한 UI(1023)는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아래 또는 위로 이동하며 채널을 탐색하는 인디케이터(10)를 포함한다. 도 10에선 채널 변경을 위한 UI(1023)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인디케이터(10)가 좌, 우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채널 변경을 위한 UI(1023)가 반드시 화면 가장자리에만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화면의 어느 위치에라도 있을 수 있다.
채널 변경을 위한 UI(1023)가 표시되었을 때 인디케이터(10)의 최초 위치는 현재 채널 번호에 대응된다. 인디케이터(10)의 최초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채널이 몇 번 채널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에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이용해서 영상 내 포함된 채널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채널 번호는 1020 화면에 도시한 것처럼 화면 특정 영역(1022)에 있을 수도 있고, 배너(1021) 내의 특정 영역(1021a)에 있을 수도 있다. 채널 번호의 위치는 영상 제공 장치의 사업자별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 정보를 획득해서,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 정보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영역에 대해 OCR을 적용할 수 있다. OCR을 통해 현재 채널 번호가 101인 것으로 인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디케이터(10)를 채널 변경을 위한 UI(1023) 상의 채널 번호 101에 해당하는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인디케이터(10)는 현재 채널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식된 현재 채널 번호와 영상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EPG 정보 등에 기초해서 현재 채널 번호에서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정보를 인디케이터(10)에 포함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인디케이터(10)는 프로그램명(AAA)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들(82 내지 85 또는 72 내지 77)의 수신 횟수에 비례하기 인디케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채널 버튼(310)을 위로 눌러서 유지하고 있으면 인디케이터는 채널 변경을 위한 UI(1023) 상에서 위쪽으로 이동하고, 채널 버튼(310)을 아래로 눌러서 유지하고 있으면 인디케이터는 채널 변경을 위한 UI(1023) 상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인디케이터(10)가 이동하면서 탐색된 채널의 프로그램 명(BBB, CCC)이 표시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가 더는 전송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디케이터(10)의 이동을 멈춘다(104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디케이터(10)가 멈춘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인 채널 404로 전환하도록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고, 채널 404의 영상을 영상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아서 표시하며, 채널 변경을 위한 UI(1023)는 제거한다(105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 스크롤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채널 변경을 위한 UI(1023)를 사라지도록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채널 스크롤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채널 변경을 위한 UI(1023)가 사라지도록 하는 이벤트는 예컨대,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동안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예컨대 도 7a와 같은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 선택 버튼(330)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취소 버튼(340)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 변경을 위한 UI(1023)가 표시되어 있지 않고 채널 스크롤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채널 변경을 알리는 UI가 사라지면 채널 스크롤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채널 변경을 위한 UI(1023)가 표시되어 있지 않고 채널 스크롤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채널 변경시에 표시되는 배너 사라지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 스크롤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CNN 기반의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템플릿 매칭 방식을 이용해서 배너의 사라짐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경우와는 달리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이 표시되는 상황에서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원격 제어 장치(300)가 제어신호들을 전송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인 EPG(1100)가 표시되고 있는 경우이다. 예컨대, 도 7a와 같은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 채널 버튼(310)이 프레스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EPG(1100)가 표시될 수 있다. 채널 스크롤 기능은 앞서 도 10을 통해 설명한 것처럼 예컨대 채널이 전환되는 이벤트가 있는 경우에 활성화되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비활성화되므로, EPG(1100)가 표시되고 있는 동안 채널 스크롤 기능은 비활성화된 상태이다.
EPG(1100)가 표시되고 있는 동안 원격 제어 장치(300)가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81)를 전송하면, 영상 제공 장치(200)는 제어신호(81)를 무시하거나, 또는 EPG(1100)내의 특정 아이템을 하이라이트하거나, 또는 EPG(1100)의 페이지를 넘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원격 제어 장치(300)가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82 내지 85)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이를 수신하더라도, 채널 스크롤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이므로, 채널 스크롤 기능은 수행되지 않는다. 대신 EPG(1100)내의 아이템을 순차적으로 하이라이트하거나 페이지를 순차적으로 넘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채널 변경을 위한 UI는 표시되지 않는다.
도 12는 도 10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는 다른 실시 예에 대한 것으로, 도 9b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원격 제어 장치(300)가 제어신호들을 전송하거나, 또는 도 9c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원격 제어 장치(300)가 제어신호들을 전송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영상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영상 제공 장치(200)에서 제공된 채널 100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고 있는 상태(1210)에서 원격 제어 장치(300)가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들(92 내지 95) 또는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들(71 내지 77)을 전송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표시 중인 영상이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인지 판단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선 앞서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는 다르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71)가 수신되자마자 채널 변경을 위해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지 않고, 후속 제어신호(72)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는지 기다렸다가 후속 제어신호(72)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제어신호들(71 내지 77)이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현재 표시 중인 영상에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있는지, 또는,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있는지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표시 중인 영상이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는 예컨대, 채널 번호, 방송사 로고, 채널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UI(예컨대 배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는 예컨대, EPG, 특정 애플리케이션 영상(예컨대, 게임 애플리케이션, 화상통화 애플리케이션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 저장된 학습 데이터에 기초해서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또는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영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템플릿 매칭 방식을 이용해서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또는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영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동작될 수 있고, 인공지능에 기초하여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또는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영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해당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92) 또는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71)가 수신되면, 현재 표시 중인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된 영상 내의 기 설정된 영역에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는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제공 장치(200)의 사업자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캡쳐된 영상에서 오브젝트 검출 위치(1211)를 선택하고, 선택된 검출 위치에 예컨대, 채널 번호(1212) 등과 같이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있는지 분석한다. 이 경우, CNN 학습 데이터가 이용되거나, 템플릿 매칭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캡쳐된 영상에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예컨대 EPG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현재 표시되고 있는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이라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 변경을 위한 UI(1221)를 표시한다(122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인지 판단하는 동작은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조건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와는 관계 없이 현재 영상이 채널 변경한 영상인지를 미리 판단하고, 추후에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판단한 결과에 기초해서 채널 변경을 위한 UI의 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예컨대 지속적으로 기 설정된 주기마다 영상 제공 장치(200)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이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인지를 판단하고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제어신호가 수신되기 바로 이전에 판단한 결과에 기초해서 채널 변경을 위한 UI의 표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채널 변경을 위한 UI(1221)는 채널 스크롤 UI(1221)는 채널을 탐색하며 이동하는 인디케이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0)의 최초 위치는 현재 채널 번호에 대응된다. 인디케이터(20)의 최초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채널이 몇 번 채널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에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이용해서 영상 내 포함된 채널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현재 채널 번호가 100인 것으로 인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디케이터(20)를 채널 스크롤 UI(1221) 상의 채널 번호 100에 해당하는 곳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들(92 내지 95) 또는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들(71 내지 77)의 수신 횟수에 비례해서 인디케이터(20)를 채널 변경을 위한 UI(1221) 상에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1230, 1240). 채널 버튼(310)을 위로 눌러서 유지하고 있으면 인디케이터(20)는 채널 변경을 위한 UI(1221) 상에서 위쪽으로 이동하고, 채널 버튼(310)을 아래로 눌러서 유지하고 있으면 인디케이터(20)는 채널 변경을 위한 UI(1221) 상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 또는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가 더는 전송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디케이터(20)의 이동을 멈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디케이터(20)가 멈춘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인 채널 404로 전환하도록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고, 채널 404의 영상을 영상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아서 표시하며, 채널 스크롤 UI(1221)는 제거한다(1250).
도 13은 도 12의 경우와는 달리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이 표시되는 상황에서 도 9b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원격 제어 장치(300)가 제어신호들을 전송하거나, 또는 도 9c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원격 제어 장치(300)가 제어신호들을 전송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영상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EPG(13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고 있는 동안 원격 제어 장치(300)가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92) 또는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71)를 전송하면, 앞서 도 12를 통해 설명한 것처럼 현재 표시 중인 영상을 캡쳐하여, 캡쳐된 영상 내에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또는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2의 경우와 비교하여 도 13의 경우는 기 설정된 영역(1311)에 채널 변경 가능한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인 채널 번호가 없는 상황이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EPG(1300)가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오브젝트의 예로서 EPG의 레이아웃을 정의한 템플릿이 저장되어 있고, 저장된 템플릿과 EPG(1300)가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EPG(1300)가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들(92 내지 95) 또는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들(71 내지 77)이 수신되면, 채널 변경을 위한 UI를 표시하지 않는다. 대신에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PG(1300)의 페이지를 전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디케이터(10, 20)가 멈춘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로 변경하도록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인디케이터(10, 20)가 멈춘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로 전환하도록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직접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앞서 설명한 도 4의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앞서 설명한 도 5의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영상 제공 장치(200)를 직접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0 또는 도 12에서 인디케이터(10, 20)가 멈춘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인 404 전환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적외선 통신방식으로 영상 제공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세트를 저장하고 있고, 제어코드세트에 기초해서 숫자 4에 해당하는 적외선 신호를 전송하고, 그리고 숫자 0에 해당하는 적외선 신호를 전송하고, 그리고 숫자 4에 해당하는 적외선 신호를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순차적으로 전송된 "4", "0", "4"에 해당하는 적외선 신호들을 수신한 영상 제공 장치(200)는 404채널에 해당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원격 제어 장치(300)를 통해 영상 제공 장치(200)를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0 또는 도 12에서 인디케이터(10, 20)가 멈춘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인 404 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원격 제어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한 원격 제어 장치(300)에는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 세트가 저장되어 있고, 원격 제어 장치(300)는 제어코드세트에 기초해서 숫자 4에 해당하는 적외선 신호를 전송하고, 그리고 숫자 0에 해당하는 적외선 신호를 전송하고, 그리고 숫자 4에 해당하는 적외선 신호를 전송한다.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 순차적으로 전송된 "4", "0", "4"에 해당하는 적외선 신호들을 수신한 영상 제공 장치(200)는 404채널에 해당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흐름도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100')에서 처리되는 동작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0, 1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14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S1410). 여기서 외부장치는 상술한 영상 제공 장치(200)에 해당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채널 변경을 위한 UI를 표시한다(S142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가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채널 변경을 위한 UI를 표시한다. 다만, 항상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분석해서 채널 전환이 가능한 영상인 경우에만 채널변경을 위한 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채널 변경을 위한 UI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한다(S1430). 여기서 특정 오브젝트는 영상이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 저장된 템플릿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검출해낼 수 있는 학습 데이터(ex. CNN 기반 학습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특정 오브젝트는 예컨대, 도 3a에 도시한 것과 같은, 복수의 선택 가능한 UI 요소(Movies, Free movies, Premiums...)를 포함한 메뉴 UI(310)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오브젝트는 예컨대,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은 EPG(1100)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이라면 모두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검출함으로써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이 채널 변경 가능한 영상임을 판단할 수 있다.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는 예컨대, 채널 변경시 표시되는 배너일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 변경을 위한 UI(채널 스크롤 UI)가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여, 특정 상황에서만 채널 변경을 위한 UI가 동작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예를 들어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고정 곡률(curvature)인 화면을 가지는 커브드(curved) TV, 고정 곡률인 화면을 가지는 플렉시블(flexible) TV, 고정 곡률인 화면을 가지는 벤디드(bended) TV, 및/또는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현재 화면의 곡률을 변경 가능한 곡률 가변형 TV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튜너(150), 프로세서(130), 무선통신부(170), 입/출력부(180), 오디오 출력부(190), 저장부(185), 마이크(160), 카메라(165), 전원공급부(135), 광수신부(175), 광출력부(177)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상태, 또는 외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어, 조도 센서, 온도 센서 등,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5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 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비디오(video), 오디오(audio) 및 부가 데이터(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채널 번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15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또는, 위성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에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150)는 다양한 소스에서부터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튜너(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 유닛을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톱박스(set-top box), 입/출력부(180)에 연결되는 튜너)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17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무선통신부(170)는 와이파이칩(171), 블루투스 칩(172), NFC칩(173), 무선 통신 칩(174)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한다. 와이파이 칩(171), 블루투스 칩(172), NFC 칩(173)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칩(174)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마이크(160)는 음향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음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30)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160)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수신될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마이크(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165)는 비디오를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비디오는 사용자 모션 인식에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16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부(18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구성이다.
입/출력부(180)는 HDMI 입력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81), 컴포넌트 입력 잭(182), 및 USB 포트(18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것 이외에도 입/출력부(180)는 RGB, DVI, HDMI, DP, 썬드볼트 등의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90)는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컨대, 튜너(15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또는 무선통신부(170), 입/출력부(180) 등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또는 저장부(185)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90)는 스피커(191) 및 헤드폰 출력 단자(192)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85)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5)는 튜너(150), 무선통신부(170), 마이크(160), 카메라(165), 입/출력부(180), 디스플레이(110), 오디오 출력부(190) 및 전원 공급부(135)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5)는 디스플레이(11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UI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85)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5)는 오브젝트 검출에 사용되는 학습 데이터 및 템플릿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저장부(185)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8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저장 매체뿐만 아니라,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35)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에게 외부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30)는 전원 공급부(170)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30)는 전원 공급부(135)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RAM(131), ROM(132), CPU(133) 및 버스(134)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CPU(133) 등은 버스(134)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CPU(133)는 저장부(185)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85)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85)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85)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33)는 저장부(185)에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52)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30)는 영상 제공 장치(200)가 제공하는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캡처한다. 이때, 검출하고자 하는 오브젝트 인식에 적합한 사이즈로 캡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캡처된 영상에 대해 크기 조절, 감마 커브 등과 같은 이미지 전처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저장부(185)에 저장된 CNN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OSD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OSD는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임을 나타내는 OSD 또는 채널 변경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임을 나타내는 OSD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영상 제공 장치(200)의 OSD 유형을 분석한 것을 기반으로하여, 상부 OSD 또는 하부 OSD로 구분 검출한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영상 내 기 정의된 영역 및 픽셀 정보를 활용해서 OSD와 일반 화면을 구분하는 템플릿 매칭 기반 방식으로 OSD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검출된 OSD 내 채널 번호 위치를 검출하고, OCR을 통해 채널 번호 위치에서 숫자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채널 변경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OSD(예컨대 배너)가 표시된 것으로 판단되고, OSD 내에서 채널 번호가 인식되면, 채널 스크롤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인식된 채널 번호는 채널 변경을 위한 UI 내에서 인디케이터의 시작 지점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상기 OSD가 표시된 상태에서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의 수신이 없이 상기 OSD가 사라지면 채널 스크롤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는, 채널 변경을 위한 UI를 표시하였다가 채널 선택이 완료되어 UI가 사라지면 채널 스크롤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채널 선택이 완료되는 경우는, 예컨대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 채널 버튼의 롱 프레스가 릴리즈 되거나,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 선택 버튼 또는 취소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이다.
프로세서(130)는 채널 스크롤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채널 변경을 위한 UI를 표시하지 않는다.
광 수신부(175)는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적외선 제어신호(예를 들어 IR 펄스)를 수신할 수 있다.
광 출력부(177)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적외선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②)하는 경우, 광 수신부(175)를 통해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③)하는 경우, 광 출력부(177)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 '')는 전자 장치(100-1)와, 이와는 별도로 존재하며 전자 장치(100-1)와 광 케이블로 연결되는 제어박스(100-2)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1)는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로, 예컨대 TV, 프로젝터,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박스(100-2)는 전자 장치(100-1)를 제어하여 다양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며, 앞서 도 1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0, 100')의 동작 전반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박스(100-2)는 영상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분석하여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인지 판단하고, 채널 변경이 가능한 영상이면 원격 제어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채널 변경을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전자 장치(100-1)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박스(100-2)는 전자 장치(100-1)에서 표시된 채널 변경을 위한 UI를 통해 선택된 채널로 변경하도록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박스(100-2)는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전자 장치(100-1), 영상 제공 장치(200) 및 원격 제어 장치(300)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한다. 제어박스(100-2)의 프로세서는 앞서 도 6 또는 도 15에서 설명한 프로세서(130)에 대응될 수 있고, 제어박스(100-2)의 통신부는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통신부(120) 에 대응되거나 앞서 도 15에서 설명한 무선 통신부(170) 및 입/출력부(180)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1)는 앞서 도 6 또는 도 15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110)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제어박스(100-2)가 존재함에 따라, 전자 장치(100-2)에 모든 주변기기를 복잡하게 연결할 필요 없이, 제어박스(100-2)에 주변기기들을 연결하고 제어박스(100-2)를 단일 선으로 전자 장치(100-1)에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원격 제어 장치(300)는 입력부(350), 통신부(360), 프로세서(370)를 포함한다.
입력부(350)는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구성이다. 입력부(350)는 예컨대, 물리 버튼, 터치 패드,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60)는 다양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Z-wave, 4LoWPAN, RFID, LTE D2D, BLE, GPRS, Weightless, Edge Zigbee, ANT+, NFC, IrDA, DECT, WLAN, 블루투스, 와이파이, Wi-Fi Direct,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유선 통신(예를 들어, USB, HDMI, MHL 등) 방식에 의해서 외부 기기에 접속될 수 있다. 통신부(360)는 와이파이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등 다양한 통신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60)는 적외선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광 출력부 및 적외선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광 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원격 제어 장치(3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프로세서(37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입력부(35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통신부(3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제어코드세트에 기초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370)는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채널 버튼이 선택되면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채널 버튼을 롱프레스하는 것이 감지되면 채널 스크롤을 위한 제어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370)는 도 9a 내지 9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채널 버튼의 선택되고 기 설정된 시간 이상동안 선택이 유지되면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채널 버튼이 릴리즈되면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370)는 도 9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채널 버튼이 선택되고 기 설정된 시간 이상동안 선택이 유지되면, 채널 버튼이 선택된 순간부터 채널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를 연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7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 100')로부터 영상 제공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을 위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영상 제공 장치(200)의 제어코드세트에 기초해서 제어신호를 생성해서 통신부(3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13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100') 또는 제어박스(100-2)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100') 또는 제어박스(100-2)에서의 처리 동작을 상기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또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300)에서의 처리 동작을 상기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구체적인 예로, 원격 제어 장치(300)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스마트폰이 상술한 원격 제어 장치(300)로서 동작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200: 영상 제공 장치
300: 원격 제어 장치

Claims (20)

  1.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에 오브젝트가 포함되는지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에 대응되는 UI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채널 변경에 대응되는 UI가 출력되면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의 표시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의 표시 기능이 활성화된 동안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가 출력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어 신호가 미수신되면,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의 표시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제어 신호가 미수신되고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가 사라지면,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의 표시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채널을 검색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채널이 변경될 때 출력되는 UI 요소에 포함된 채널 번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채널 번호에 대응하는 지점부터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채널 번호를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에 포함시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채널을 검색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이동이 정지되면, 상기 인디케이터가 정지한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로 변경하도록 상기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정지한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정지한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인디케이터가 정지한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로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복수의 선택 가능한 UI 요소를 포함하는 메뉴 UI 또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영상 제공 장치;
    상기 영상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에 오브젝트가 포함되는지에 따라 상기 영상 제공 장치에 대응되는 UI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특정 버튼이 선택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영상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채널 변경을 위한 UI 상에서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채널을 검색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인디케이터가 정지한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상기 영상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채널 변경을 위한 UI 상에서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채널을 검색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인디케이터가 정지한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인디케이터가 정지한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로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영상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오브젝트가 상기 영상에 포함되지 않으면 채널 변경을 위한 UI와 함께 상기 영상을 처리하고, 오브젝트가 상기 영상에 포함되면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 없이 상기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와 함께 상기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는,
    채널 변경에 대응되는 UI가 출력되면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의 표시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의 표시 기능이 활성화된 동안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가 출력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어 신호가 미수신되면,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의 표시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제어 신호가 미수신되고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가 사라지면,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의 표시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채널을 검색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와 함께 상기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이 변경될 때 출력되는 UI 요소에 포함된 채널 번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채널 번호에 대응하는 지점부터 상기 인디케이터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와 함께 상기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채널 번호를 상기 채널 변경을 위한 UI에 포함시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20017091A 2017-04-14 2022-02-09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429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85494P 2017-04-14 2017-04-14
US62/485,494 2017-04-14
KR1020170072434A KR102362850B1 (ko) 2017-04-14 2017-06-09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434A Division KR102362850B1 (ko) 2017-04-14 2017-06-09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329A true KR20220024329A (ko) 2022-03-03
KR102429584B1 KR102429584B1 (ko) 2022-08-05

Family

ID=615571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434A KR102362850B1 (ko) 2017-04-14 2017-06-09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20017091A KR102429584B1 (ko) 2017-04-14 2022-02-09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434A KR102362850B1 (ko) 2017-04-14 2017-06-09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432999B2 (ko)
EP (1) EP3389279A1 (ko)
KR (2) KR102362850B1 (ko)
CN (2) CN108737888B (ko)
WO (1) WO20181905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875A1 (ko) * 2022-10-07 2024-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동작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400A (ko) * 2015-08-28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120339A1 (en) * 2016-01-05 2017-07-13 Gracenote, Inc. Computing system with content-characteristic-based trigger feature
KR102598082B1 (ko) * 2016-10-28 2023-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362850B1 (ko) * 2017-04-14 202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CN109788329A (zh) * 2018-12-10 2019-05-21 广东长虹电子有限公司 一种可拓展功能的电视遥控器
US11343564B2 (en) * 2019-08-14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ed learning platform of a content provider and method thereof
DE112019007859T5 (de) * 2019-11-19 2022-08-04 LG Electronics Inc. Anzeigevorrichtung, infrarot-übertragungsvorrichtung und steuerverfahren hierfü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5061A (ko) * 2012-12-27 201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57740A (ko) * 2014-11-14 2016-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202872A1 (en) * 2013-09-27 2016-07-14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2719A (en) * 1992-12-03 1997-03-18 Apple Computer, Inc. Gesture sensitive buttons for graphical user interfaces
US5583946A (en) * 1993-09-30 1996-12-10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gestures on a computer system
US6868551B1 (en) * 1995-05-05 2005-03-15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program summary panel
US7412715B2 (en) 1998-10-28 2008-08-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nnel information and selecting channel on digital television
TW499816B (en) * 1998-11-30 2002-08-2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program guide system and method
US6766526B1 (en) * 1998-12-03 2004-07-2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mart channel entry system
US7403888B1 (en) * 1999-11-05 2008-07-22 Microsoft Corporation Language input user interface
US6421067B1 (en) * 2000-01-16 2002-07-16 Isurftv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US7373650B1 (en) * 2000-02-01 2008-05-13 Scientific-Atlanta, Inc. Apparatuses and methods to enable the simultaneous viewing of multiple television channels and electronic program guide content
US8302127B2 (en) * 2000-09-25 2012-10-30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TV
US7197759B2 (en) * 2001-05-14 2007-03-27 Webtv Networks,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ed simultaneously with television programming
US20050134578A1 (en) * 2001-07-13 2005-06-23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environment
US20030117427A1 (en) * 2001-07-13 2003-06-2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program guide displayed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176432B2 (en) * 2001-11-20 2012-05-08 UEI Electronics Inc. Hand held remote control device hav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WO2004008739A1 (en) * 2002-07-17 2004-01-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ceiver with concurrent multi-user electronic program guide
US8127248B2 (en) * 2003-06-20 2012-02-28 Apple Inc. Computer interface having a virtual single-layer mode for viewing overlapping objects
US20050108751A1 (en) * 2003-11-17 2005-05-19 Sony Corporation TV remote control with display
JP4478863B2 (ja) * 2003-11-19 2010-06-0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双方向通信システムおよび表示情報利用方法
US8276176B2 (en) * 2004-04-15 2012-09-25 Comcast Cable Hold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KR101147736B1 (ko) * 2004-12-29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데이터 방송 방법 및 장치
TW200704183A (en) * 2005-01-27 2007-01-16 Matrix Tv Dynamic mosaic extended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for television program selection and display
US20070165964A1 (en) * 2005-10-31 2007-07-19 Carol Wolf De-emphasis of user-selected portions in a video display
US20070124792A1 (en) * 2005-11-30 2007-05-31 Bennett James D Phone based television remote control
US20070139386A1 (en) * 2005-12-16 2007-06-21 Xerox Corporation Touch screen user interface for digital reprographic device with pop-up menu display
KR20080062845A (ko) 2006-12-29 200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배너 표시방법
US7956847B2 (en) * 2007-01-05 2011-06-07 Apple Inc.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US8896764B2 (en) 2007-03-13 2014-11-25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vely performing a remote control configuration procedure
US20080271078A1 (en) * 2007-04-30 2008-10-30 Google Inc. Momentary Electronic Program Guide
KR101554120B1 (ko) * 2007-09-18 2015-09-17 톰슨 라이센싱 셋톱 박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8973036B2 (en) * 2007-12-04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Mapping mobile device electronic program guide to content
JP2009205353A (ja) 2008-02-27 2009-09-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提供方法、その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0026717A1 (ja) * 2008-09-08 2010-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映像表示装置、及び遠隔制御装置
EP2329643B1 (en) * 2008-09-22 2020-01-01 DISH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cal control of user interface features provided by a television receiver
US8874748B2 (en) * 2010-06-04 2014-10-2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mbining and/or blending multiple content from different sources in a broadband gateway
WO2011019155A2 (en) * 2009-08-14 2011-02-17 Lg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1589179B1 (ko) * 2009-08-31 2016-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US8634390B2 (en) * 2009-10-14 2014-01-2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based control of a set-top box device
MX2012004915A (es) * 2009-10-27 2012-06-25 Sharp Kk Dispositivo de visualizacion, metodo de control para dispositivo de visualizacion, programa y medio de grabacion susceptible de ser leido en computadora que tiene programa almacenado en el mismo.
US20110283189A1 (en) * 2010-05-12 2011-11-17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media guide interaction modes
US9426532B2 (en) * 2010-06-29 2016-08-23 Sony Corporation IPTV EPG linking broadcast channels to internet sources of scheduled programming
EP2638465A2 (en) * 2010-11-09 2013-09-18 Openpeak Inc. Communication devices, networks, services and accompanying methods
US9069577B2 (en) * 2010-11-23 2015-06-30 Apple Inc. Grouping and browsing open windows
US8875180B2 (en) * 2010-12-10 2014-10-28 Rogers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video receiver
EP2487922B1 (en) * 2011-02-10 2015-06-24 LG Electronics Inc. Multi-functional display device having an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20224834A1 (en) * 2011-03-01 2012-09-06 Echostar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Optimizing Recording Schedules
US20120246679A1 (en) * 2011-03-24 2012-09-27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nd Executing a Joint Viewing Session of a Programming Event
US20120278209A1 (en) * 2011-04-30 2012-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app dynamic revenue sharing
US8782704B2 (en) * 2011-05-03 2014-07-1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ogram guide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KR101804916B1 (ko) * 2011-05-04 2017-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핸스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634001A1 (en) * 2011-05-26 2020-04-0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584167B2 (en) * 2011-05-31 2013-11-12 Echostar Technologies L.L.C. Electronic programming guides combining stored content information and content provider schedule information
KR101271539B1 (ko) * 2011-06-03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20120311444A1 (en) * 2011-06-05 2012-12-06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media playback using gestures
EP2555536A1 (en) * 2011-08-05 2013-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motion recogni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WO2013022221A2 (en) * 2011-08-05 201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motion recogni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WO2013022218A2 (en) * 2011-08-05 201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EP2626771B1 (en) * 2012-02-09 2018-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mounted on a display apparatus
KR101931938B1 (ko) * 2012-03-29 2018-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US9432608B2 (en) 2012-03-29 2016-08-30 Lg Electronics Inc. Multimedia device connected to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DE112013001407B4 (de) 2012-04-05 2017-09-14 Lg Electronics Inc. Digitaler Rundfunkempfänger für Zauberstab-Fernbedien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 Empfängers
KR101365614B1 (ko) * 2012-08-23 2014-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 디바이스와 커넥티트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451942B1 (ko) 2012-10-16 2014-10-22 크루셜텍 (주) 카테고리를 변경하는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KR20140057038A (ko) * 2012-11-02 201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리스트 표시 방법
US9497509B2 (en) * 2012-11-29 2016-11-15 Echostar Uk Holdings Limited Navigation techniques for electronic programming guides and video
PT2987333T (pt) 2013-04-16 2019-07-26 Home Control Singapore Pte Ltd Controlo remoto para o primeiro e segundo aparelhos
KR20150054631A (ko) * 2013-11-11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1356A (ko) * 2013-11-27 2015-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66132A (ko) * 2013-12-06 201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리모컨,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9888202B2 (en) * 2014-08-06 2018-02-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earching for broadcast channels based on channel names
CN105187919A (zh) * 2015-07-24 2015-12-23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电视节目的处理方法和设备
KR102428272B1 (ko) * 2015-08-24 2022-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170025400A (ko) 2015-08-28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900632B1 (en) * 2016-12-30 2018-02-20 Echostar Technologies L.L.C. Viewing suggestions based on closed-captioned content from multiple tuners
KR102362850B1 (ko) 2017-04-14 202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5061A (ko) * 2012-12-27 201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60202872A1 (en) * 2013-09-27 2016-07-14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60057740A (ko) * 2014-11-14 2016-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875A1 (ko) * 2022-10-07 2024-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동작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085A (ko) 2018-10-24
CN108737888A (zh) 2018-11-02
CN114697739A (zh) 2022-07-01
CN114697739B (zh) 2024-03-15
KR102429584B1 (ko) 2022-08-05
KR102362850B1 (ko) 2022-02-15
EP3389279A1 (en) 2018-10-17
US11082737B2 (en) 2021-08-03
US20180302661A1 (en) 2018-10-18
US20190387270A1 (en) 2019-12-19
US10432999B2 (en) 2019-10-01
WO2018190513A1 (en) 2018-10-18
CN108737888B (zh) 202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9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407127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06380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5573628B (zh) 用户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和用于提供内容的系统
US11442611B2 (en)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function of user selected menu item on a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10208265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1022046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접속 제어방법
CN108899019B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965472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246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3005803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90076374A (ko) 전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코드 매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