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903A - 기화기 카트리지 및 이러한 기화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흡입기 - Google Patents

기화기 카트리지 및 이러한 기화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903A
KR20220022903A KR1020217039936A KR20217039936A KR20220022903A KR 20220022903 A KR20220022903 A KR 20220022903A KR 1020217039936 A KR1020217039936 A KR 1020217039936A KR 20217039936 A KR20217039936 A KR 20217039936A KR 20220022903 A KR20220022903 A KR 20220022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vaporizer
wick member
flow channel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맥스 베르그만
라쎄 코르닐스
마티아스 지에세
크리스티안 한네켄
잔 자크린
마르크 케슬러
마이클 크레이네 와에크테르
토마스 뮬러
니크라스 로밍
레네 슈미트
크리스토프 슈스테르
토비아스 우트케
Original Assignee
하우니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우니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우니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22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4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for solid matter, e.g. microaggre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기의 구성요소인 기화기 카트리지(10)에 관한 것으로,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탱크(17) 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유동 채널(16)을 갖는 중공 본체(15)를 포함하고, 저장 탱크(17)는 유동 채널(16)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접근 개구(18)를 갖고 전체 접근 개구(18)에 걸쳐 연장되는 기화기 유닛(19)은 각각의 접근 개구(18)의 구역에 배열되고, 기화기 유닛(19)은 심지 부재(20) 및 가열 부재(21)를 갖고, 기화기 유닛(19)은 액체가 저장 탱크(17)로부터 기화기 유닛(19)을 통해 유동 채널(16)의 방향으로 적어도 초기에 모세관 방식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액체-투과성으로 형성되는, 기화기 카트리지(10)에 있어서, 심지 부재(20)는 충전 및/또는 형성의 결과로 심지 부재(20)의 입구측(ED)으로부터 심지 부재(20)의 출구측(AD)까지 연속적으로 저장 탱크(17)와 유동 채널(16) 사이의 유체 연결의 형성을 위해 연장되는 마이크로채널(23)을 형성하는 복수의 입상 알갱이(24)로 형성되고, 유체 연결을 유지하도록 접근 개구(18)의 구역에서 입상의 심지 부재(20)를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형성된 추가의 고정 수단(2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응하는 흡입기(14)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화기 카트리지 및 이러한 기화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흡입기
본 발명은 흡입기의 구성요소인 기화기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탱크 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유동 채널을 갖는 중공 본체를 포함하고, 저장 탱크는 유동 채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접근 개구를 갖고 전체 접근 개구에 걸쳐 연장되는 기화기 유닛은 각각의 접근 개구의 구역에 배열되고, 기화기 유닛은 심지 부재 및 가열 부재를 갖고, 기화기 유닛은 액체가 저장 탱크로부터 기화기 유닛을 통해 유동 채널의 방향으로 적어도 초기에 모세관 방식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액체-투과성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활성 성분이 풍부한 증기의 흡입을 위해 구성되고 형성된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 기화기 카트리지 뿐만 아니라 전자 제어 유닛 및 에너지원을 적어도 포함하는 카트리지 캐리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화기 카트리지 및 흡입기는 특히 E-담배로 알려진 전자 담배의 맥락에서 사치품/자극제 산업에서 그리고 액체 음료 및 증기 형태 및/또는 에어로졸 형태의 담배 및/또는 액체 의료 제품을 흡입할 수 있기 위해 의료 부문에서 사용된다. 소비하는 동안, 사람은 일반적으로 흡입기의 마우스피스를 빨며, 그 결과 공기 유동 채널에서 흡입 압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흡입 압력은 공기 유동 채널을 통해 공기 흐름을 생성한다. 그러나, 공기 유동은 예를 들어 펌프와 같은 기계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유동 채널에서, 기화기 유닛에 의해 생성되고 기화된 형태로 제공되는 액체는 기류에 기체상으로 추가되고 이어서 에어로졸 또는 에어로졸-증기 혼합물을 소비하는 사람에게 투여하기 위해 기류와 혼합되는 동안 표적 방식(targeted manner)으로 재응축된다(recondensed). 액체는 기화기 카트리지에서 또는 기화기 카트리지 내에 저장된다. 증기 밀도가 같거나 다른 다양한 성분을 가진 다양한 혼합물이 액체로 사용된다. E-담배에 사용하기 위한 전형적인 혼합물은 예를 들어 적용 가능한 경우 니코틴 및/또는 거의 모든 원하는 향미제가 풍부한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성분들을 가지고 있다. 혼합물은 상응하게 의료 또는 치료 분야에서의 사용을 위한, 즉 천식 제제의 흡입을 위한 의료 요소 및 활성 성분을 가질 수 있다.
기화기 카트리지의 개별 구성요소들, 즉 중공 본체, 저장 탱크 및 기화기 유닛은 공동 구성요소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소비하는 사람이 유한한 횟수로 흡입하도록 설계된 일회용 제품이고 적어도 전자 제어 유닛 및 에너지원을 포함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다회용 물품으로서의 카트리지 캐리어와 함께 흡입기를 형성한다. 그러나, 기화기 카트리지는 또한 여러 구성요소를 함께 연결하는 것에 의해서만 형성될 수 있고, 개별 구성요소들 즉 특히 중공 본체 및 기화기 유닛은 다회용 물품으로서 카트리지 캐리어에 배열되며, 저장 탱크는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일회용 물품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흡입기는 일반적으로 액체가 들어있는 일회용 물품을 교체하여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회용 물품과 다회용 물품은 대응하여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다회용 물품으로서의 카트리지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전자 제어 유닛 및 에너지원을 포함한다. 에너지원은 예를 들어 전기화학 일회용 배터리 또는 재충전 가능한 전기화학 배터리, 예를 들어 가열 부재에 기화기 유닛의 전기 접촉을 통해 에너지가 공급되게 하는 리튬-이온 배터리일 수 있다. 전자 및/또는 전기 제어 유닛은 기화기 카트리지 내의 기화기 유닛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카트리지 캐리어는 기화기 카트리지의 구성요소도 포함할 수 있다. 일회용 물품은 다회용 물품에 플러그-온(plug-on) 부품으로서 플러깅되거나 또는 다회용 물품에 삽입 부품으로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타입 연결 대신에, 나사 연결 또는 기타 빠른 연결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기능적으로 준비된 흡입기의 형성을 위한 기계적 및 전기적 커플링은 일회용 물품과 다회용 물품의 연결로 생산된다.
궁극적으로 용도(예를 들어, E-담배 또는 의료용 흡입기)를 결정하는 중심 구성요소는 기화기 카트리지의 구성요소인 저장 탱크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사람이 선택하고, 원하고 그리고/또는 요구하는 액체 또는 액체 혼합물(이하 일반적으로 유체라고도 함) 뿐만 아니라 유동 채널 및 기화기 유닛을 형성하는 중공 본체를 포함한다. 유체는 기화기 카트리지의 저장 탱크에 저장된다. 유체는 심지 부재 및 가열 부재를 통한 적어도 초기의 모세관 운반의 결과로서 액체-투과성 기화기 유닛에 의해 저장 탱크의 외부로 운반된다. 가열 부재에 인가되는 에너지원에 의해 생성된 전압은 가열 부재에서 전류의 흐름을 유도한다. 가열 저항, 바람직하게는 가열 부재의 옴 저항(ohmic resistance)의 결과로서, 전류의 흐름은 가열 부재의 가열 및 궁극적으로 기화기 유닛에 위치한 유체의 기화로 이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가스 증기 또는 증기 및/또는 에어로졸은 기화기 유닛으로부터 유동 채널의 방향으로 빠져나가 기류와 혼합되어 표적 방식으로 에어로졸로 재응축된다. 따라서, 유체는 흐름의 정의된 방향을 갖는 정의된 경로를 갖는 것으로, 즉 심지 부재를 통해 가열 부재로 그리고 이를 통하는 유체 그리고 가열 부재로부터 유동 채널로의 가스/증기/미스트 및/또는 에어로졸이다. 유동 채널에서, 기화된 유체는 압력/진공이 유동 채널에 작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소비하는 사람이 유동 채널을 빨거나 펌프가 유동 채널을 통해 공기 흐름을 전달한다는 사실에 의해 공기 흐름을 따라 운반된다.
유체가 저장 탱크로부터 유동 채널로 직접 흐르지 않도록, 기화기 유닛은 저장 탱크로부터 유동 채널로의 접근을 완전히 커버한다. 이와 관련하여 완전히 커버한다는 것은 액체가 반드시 기화기 유닛을 통해 안내되어 유체가 저장 탱크로부터 유동 채널로 직접 이동할 수 없고, 오히려 심지 부재 및 가열 부재를 통해 "우회(detour)"해야 함을 의미한다. 심지 부재는 한편으로는 특히 거의 비어 있는 저장 탱크의 경우에 흡입기에서 몇 번 흡입하기에 충분한 유체를 여전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체의 중간 저장의 목적으로 기능한다. 다른 한편으로 심지 부재는 특히 유체를 저장 탱크로부터 유동 채널의 방향으로 운반하는 목적으로 기능하고 동시에 저장 탱크의 방향으로의 유체 및/또는 증기의 복귀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역류 방지(non-return) 보호 장치로서 작용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기화기 카트리지는 예를 들어 면모 또는 유리 섬유로 구성된 서로 짜여진/꼬인 여러 실/섬유로 형성되는 심지 부재가 있는 기화기 유닛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섬유 심지는 유체와 초기 접촉시 섬유 심지가 저장 탱크로 침지되게(dipping) 하고 저장 탱크의 유체가 가열 부재의 방향으로 흡수되고 운반되게 하는 모세관 특성을 가지고 있다. 가열 부재는 일반적으로 나선형으로 감긴 필라멘트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권선된 금속 와이어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구리, 구리 화합물 또는 니켈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화기 유닛은 일반적으로 수동으로만 생산될 수 있으며 유체의 중간 저장을 위한 저장 용량이 제한되어 있다. 다른 단점은 제한된 수의 마이크로채널과 심지-나선형 코일 시스템의 길이에 걸쳐 시스템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균일한 온도 분포의 결과로 유체의 낮은 운송 속도에 있다. 다시 말해, 가열 부재에 유체가 균일하고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은 제한된 정도로만 보장된다. 또한, 이 해결책에는 역류 방지 보호 장치가 없다.
따라서, 다른 공지된 해결책의 경우, 기화기 유닛은 심지 부재로서 일체형 심지 블록(block)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세라믹 재료로 구성된 이러한 심지 블록은 기화기 유닛과 기화기 카트리지의 자동화된 생산을 단순화하고 섬유 심지에 비해 증가된 운송 속도(transport rate)를 위해 여러 개의 마이크로채널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해결책에는 몇 가지 단점도 있다. 여전히 제한된 운송 속도와 중간 저장 용량 외에도, 이러한 블록형 심지 블록의 사용은 매우 유연하지 않으며(inflexible) 무엇보다도 심지 블록이 좁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정확히 조립식으로 만들어진 리시버/홀더(receivers/holders) 등에서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장착하기 어렵다.
일체형 심지 본체의 경우, 예를 들어 마이크로채널을 갖는 심지 본체의 세라믹 재료가 전기 전도성으로 형성된다면 이것 자체가 가열 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심지 본체는 이중 기능을 가지며 기화기 유닛을 형성한다. 다른 경우에는, 심지 본체 외에, 별도의 구성요소가 가열 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심지 본체와 별도의 가열 부재가 기화기 유닛을 형성한다. 가열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재료 및/또는 도핑된(doped) 반도체 재료, 바람직하게는 p- 또는 n-도핑된 반도체 재료, 예를 들어 단결정 또는 다결정(mono- or polycrystalline) 실리콘 및/또는 단결정 또는 다결정 p- 또는 n-도핑된 실리콘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가열 부재는 또한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열 부재는 일반적으로 액체-투과성으로 형성되는 층상의 또는 평평한 MEMS 구성요소(Micro-electro-mechanical-system component)이다. 두 경우 모두에서, 심지 본체는 특히 중공 본체 상에서 또는 중공 본체와 기화기 카트리지의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서 클램핑함으로써 클램핑된다. 특히, 억지끼워맞춤에 의한 심지 본체의 재현가능한 고정은 제조 공차로 인해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섬유 심지나 일체형 심지 블록 대신에, 심지 부재는 심지 부재가 복수의 입상 알갱이로 형성되는 심지 본체로서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입상의 심지 부재는 특히 통상적인 수단으로 제 위치에 클램핑되어 쉽게 고정될 수 없다.
본 발명의 기반이 되는 목적은 간단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제 위치에 유지되는 입상의 심지 부재로 언급된 단점들을 극복하는 기화기 카트리지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목적은 대응하는 흡입기를 제안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심지 부재가 충전(fill) 및/또는 형성의 결과로 심지 부재의 입구측(ED)으로부터 심지 부재의 출구측(AD)까지 연속적으로 저장 탱크와 유동 채널 사이의 유체 연결의 형성을 위해 연장되는 마이크로채널을 형성하는 복수의 입상 알갱이로 형성되고, 유체 연결을 유지하도록 접근 개구의 구역에서 입상의 심지 부재를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형성된 추가의 고정 수단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위에서 언급한 타입의 기화기 카트리지에 의해 달성된다. 충전이라는 용어는 느슨하게(loosely) 그리고 연결된 방식으로 서로 옆에 있는 알갱이들을 설명하며, 알갱이들의 흔들리고 그리고/또는 압축된 배열들도 이 용어에 포함된다. 알갱이들의 형성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알갱이들 자체가 마이크로-공동 및/또는 마이크로채널을 가질 수 있음을 설명한다. 마이크로채널은 서로에 대항해 놓여 있는 알갱이들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기화기 유닛의 출구측에서 일정하고 균일한 기화를 보장하는 저장 탱크와 유동 채널 사이의 복수의 랜덤한 마이크로채널이 개별 알갱이들 사이 그리고/또는 개별 알갱이들에 의해 기화기 유닛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기화기 유닛으로의 입구측과 기화기 유닛 밖으로의 나가는 출구측 사이의 최적의 유체 커플링은 입상의 심지 부재에 의해 설정된다. 추가의 "고정 수단"은 처음에 알갱이들을 심지 부재로 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일반적인 방식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따라서 무엇보다도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자기적 또는 정전기적 고정 옵션들 또는 이들의 조합이 있다.
입상의 심지 부재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과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해결책과 비교하면 광범위한 이점들이 달성된다. 향상된 운송 속도 외에도, 더 많은 유체와 무엇보다 유체가 저장 탱크로부터 기화기 유닛을 통해 균일한 방식으로 안내되고, 입상의 심지 부재는 입상의 그리고 이에 따른 다공성 심지 구조의 결과로 유체에 대한 증가된 중간 저장 용량을 보장한다. 입상의 심지 부재는 형성된 마이크로채널이 비-선형 프로파일을 가지므로 역류 방지 보호 기능을 더욱 향상시킨다. 입상의 심지 부재의 장착은 이것이 각각의 장착 위치에서 심지 부재의 리시버의 임의의 원하는 윤곽/기하학적 형상에 맞게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특히 유리하다. 알갱이 구조의 결과로, 심지 부재는 입상의 재료의 장착/충전 동안 개개의 윤곽/기하학적 형상에 유연하게 맞추어지고 마이크로채널을 형성하지 않고 개개의 윤곽/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형성된 공동을 채우며 인접한 표면에 갭(gap)의 형성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입상의 심지 부재에 의해 일정하고 재현가능한 기화 조건이 보장된다. 기화기 유닛 - 기화기 카트리지의 구성 요소인 심지 부재 및/또는 가열 부재 포함 - 이 카트리지 캐리어 위 또는 안에, 즉 다회용 물품 위/안에 배열되는지 여부 또는 기화기 유닛이 일회용 물품 위/안에 배열되는지 여부는 여기서 어떤 역할도 하지 않는다. 추가의 고정 수단은 한편으로는 기화기 카트리지의 자동화된 장착/생산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특히 접근 개구의 구역에서 심지 부재의 자동 위치 설정 및 다른 한편으로는 접근 개구의 구역에서 입상의 심지 부재의 위치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고정 수단이 모든 측면에서 입상의 심지 부재의 도입을 위한 개구로 둘러싸인 수용 챔버가 기화기 카트리지의 구성요소들 또는 그의 부품들로 형성되고 개구가 커버 요소로 폐쇄되고, 수용 챔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투과성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기계적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상 알갱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채널을 형성하지 않는 바람직하지 않은 공동 및/또는 갭 없이 수용 챔버를 최대 정도로 채워, 심지 부재는 제조 공차에 독립적으로 거의 모든 형태의 주변 환경에 맞추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 챔버의 액체-투과성 섹션은 특히 저장 탱크의 방향 및 유동 채널의 방향으로 형성된다. 수용 챔버의 개구는 수용 챔버에의 심지 부재의 자동화된 도입/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입상의 심지 부재는 커버 요소와 함께 최종 위치에 유지된다. 커버 요소 자체는 또한 액체-투과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화기 카트리지는 유리하게는 중공 본체를 형성하고 한편으로는 유동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관통-개구를 갖고 다른 한편으로는 심지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갖는 갖는 캐리어 요소를 포함하고, 리세스는 수용 챔버의 측벽을 형성하고 저장 탱크를 향하고 유동 채널을 향하는 리세스는 액체-투과성 구조물에 의해 각각의 경우에 경계가 정해진다. 저장 탱크를 향한 구조물, 예를 들어 그리드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커버 요소이다. 임의의 구조물은 금속, 플라스틱, 플리스(fleece) 또는 기타 유연하고 유연하지 않은 재료 또는 재료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 요소 자체는 (그리드) 구조물, 가열 부재 또는 기타 액체-투과성 구성요소들에 의해 완성되는 고정 수단의 일부를 형성한다. 리세스에 유지하는 심지 부재의 실제 유지 요소는 캐리어 요소에 연결되는 커버 요소이다. 고정 수단의 구성요소인 수용 챔버는 심지 부재에 대한 별도의 가열 부재가 제공되는 경우, 제 위치에 그리고 실제로 저장 탱크와 유동 채널 사이의 접근 개구 앞에 심지 부재와 가열 부재를 함께 유지하여, 액체는 한편으로는 저장 탱크로부터 유동 채널로 직접 흐르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유동 채널의 방향으로 균일한 방식으로 그리고 일정하게 안내된다.
하나의 편리한 추가 실시예는 입상의 심지 부재의 알갱이들이 체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어, 체가 수용 챔버의 범위를 정하는 측벽들 및 심지 부재와 별도로 형성된 가열 부재와 함께, 심지 부재의 볼륨을 둘러싼다. 이러한 실시예는 수용 챔버 내로의 심지 부재의 간단하고 자동화된 도입 및 수용 챔버 내의 심지 부재의 제 위치에서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유지 요소로서의 체는 한편으로는 알갱이들의 적어도 일 부분에 맞물릴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저장 탱크와 심지 부재 사이의 유체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커버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고형의 또는 연성의 리드이다. 예를 들어, 금속으로 형성된 체는 고형의 리드로 사용될 수 있다. 연성의 리드는 예를 들어 액체-투과성 실리콘 스토퍼(stopper) 또는 간단한 플리스 스트립(strip)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에서, 리드는 적어도 개구를 덮지만, 바람직하게는 리드가 수용 챔버의 개구를 포함하는 전체 중공 본체를 덮고, 리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투과성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리드를 사용하면 심지 부재를 간단하고 안전하게 배치하고 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 보장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드는 중공 본체에 대해 길이방향의 축방향 또는 회전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투과성으로 형성되는 슬리브(sleeve)이다. 심지 부재의 간단하고 안전한 위치 설정 및 제 위치에서의 유지는 슬리브로 보장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리드는 감긴 플리스 스트립(wound fleece strip)을 갖거나 리드는 감긴 플리스 스트립으로 형성된다. 유지 요소(retaining element)로서의 플리스 스트립은 특히 가볍고 최적의 액체 투과성과 함께 심지 부재를 제 위치에 유지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은 알갱이들이 용융 및/또는 석출-경화 공정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타입이다. 이러한 타입의 고정 수단은 기계적 고정 수단 또는 그의 부품과 조합될 수 있다. 알갱이들을 서로 그리고/또는 인접한 구조물, 예를 들어 캐리어 요소와 융합함으로써, 심지 부재를 위한 안전한 보유 수단(retention means)이 형성될 수 있다.
입상의 심지 부재의 알갱이들은 유리하게는 중공 본체 또는 캐리어 요소와 직접 융합된다. 따라서, 입상의 심지 부재의 간단하고 안전한 고정이 보장된다.
하나의 편리한 추가 실시예는 입상의 심지 부재의 융합된 알갱이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투과성인 자신의 폐쇄된 수용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제공한다. 따라서, 입상의 심지 부재의 간단하고 안전한 고정도 마찬가지로 보장된다.
적어도 커버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입상의 심지 부재의 적어도 일 부분으로부터의 융합된 알갱이들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심지 부재 자체 또는 그의 일부는 심지 부재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형성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은 알갱이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심지 부재의 구역에 배열된 자석들이 알갱이들을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하는 자성 타입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은 알갱이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적으로 대전되고 심지 부재의 구역에 존재하는 전기장이 알갱이들을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하는 정전기 타입이다.
고정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영구적 또는 일시적인 고정을 위해 선택적으로 구성되고 형성된다. 영구적인 고정 수단의 일 예는 플러그-온 상태에서 수용 챔버에 채워진 느슨한 알갱이들이 수용 챔버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플러깅될(plugged) 수 있는 리드이다. 즉, 리드는 알갱이들을 제 위치에 유지한다. 임시적인 고정 수단의 일 예는 적어도 동결된 또는 충격-동결된 액체/입상 페이스트(shock-frozen liquid/granulate paste)로 형성된 기화기 카트리지의 장착 목적을 위한 블록으로서의 심지 부재이다. 이러한 동결된 또는 충격-동결된 블록은 장착 기간 동안 알갱이들을 함께 유지한다. 이러한 블록은 수용 챔버에 자동화된 방식으로 도입될 수 있다. 수용 챔버는 리드로 폐쇄될 수 있어 심지 부재의 느슨한 알갱이들이 해동(thawing out) 후 제 위치에 유지된다.
본 목적은 또한 기화기 카트리지가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되고 형성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타입의 흡입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것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점들은 기화기 카트리지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위의 설명을 참조한다.
기화기 카트리지 및 흡입기의 추가 편리한 그리고/또는 유리한 특징들 및 추가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 및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기화기 카트리지 및 흡입기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부분 단면도에서 카트리지 캐리어 및 기화기 카트리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부분 단면도에서 도 1에 따른 기화기 카트리지의 확대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단면도에서 기화기 카트리지의 일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4는 기화기 카트리지의 일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5는 기화기 카트리지의 일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6은 기화기 카트리지의 일부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를 도시하며,
도 7은 섹션 A-A를 따라 도 6에 따른 기화기 카트리지를 도시하고,
도 8은 부분 단면도에서 기화기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를 도시하며,
도 9는 도 8에 따른 기화기 카트리지를 도시하고,
도 10은 부분 단면도에서 기화기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기화기 카트리지를 도시한다.
도면에 나타내진 기화기 카트리지(vaporizer cartridge)와 흡입기(inhaler)는 활성 성분(active ingredient), 예를 들어 니코틴 및/또는 액체로부의 에어로졸이 풍부한(enrich) 증기를 흡입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이에 따라 전자 담배(E-cigarette)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기화기 카트리지 및 흡입기는 의약품 및/또는 식품 보조제로부터 의학 활성 성분이 풍부한 증기를 흡입하기 위해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기화기 카트리지(10)는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탱크(17) 뿐만 아니라 연속 유동 채널(16)을 갖는 중공 본체(15)를 포함하며, 저장 탱크(17)는 유동 채널(16)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접근 개구(18)를 갖고 전체 접근 개구(18)에 걸쳐 연장되는 기화기 유닛(19)은 각각의 접근 개구(18)의 구역에 배열되고, 기화기 유닛(19)은 심지 부재(20) 및 가열 부재(21)를 갖고, 기화기 유닛(19)은 액체가 저장 탱크(17)로부터 기화기 유닛(19)을 통해 유동 채널(16)의 방향으로 적어도 초기에 모세관 방식(capillary manner)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액체-투과성으로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유동 채널(16)을 가진 중공 본체(15)는 흡입 채널/벤트(suction channel/vent)를 형성한다. 각각의 유동 채널(16)의 프로파일(profile)과 같은 중공 본체(15)의 형태는 거의 원하는 대로일 수 있다. 각각의 유동 채널(16)의 입구측(ES)이 예를 들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주위로 개방되어 있는 것 및 출구측(AS)이 특히 소비하는 사람의 흡입에 의해 예를 들어 진공을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개방은 입구측(ES) 및 출구측(AS)이 공기-투과성임을 의미한다. 대응하는 입구측(ES)들 및 출구측(AS)들을 갖는 2개 이상의 유동 채널(16)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저장 탱크(17)와 유동 채널(16) 사이의 접근 개구(18)의 구역에서, 기화기 유닛(19)은 액체가 저장 탱크(17)의 밖으로 바로 그리고 액체로서 유동 채널(16) 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 정지 수단의 타입을 형성한다. 저장 탱크(17)의 형태 및 형성에 관계없이, 2개 이상의 저장 탱크(17)가 또한 제공될 수 있고, 중공 본체(15) 및 중공 본체(15)에 대한 저장 탱크(17)의 배열/위치에 관계없이, 기화기 유닛(19)은 액체가 유동 채널(16)의 방향으로 저장 탱크(17)의 밖으로 필연적으로 안내되고, 늦어도 기화기 유닛(19)으로부터 나올 때 유동 채널(16) 또는 각각의 유동 채널(16) 내로 증기로서 출력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기화기 카트리지(10)는 심지 부재(20)가 충전 및/또는 형성의 결과로 심지 부재(20)의 입구측(ED)으로부터 심지 부재(20)의 출구측(AD)까지 연속적으로 저장 탱크(17)와 유동 채널(16) 사이의 유체 연결의 형성을 위해 연장되는 마이크로채널(microchannel)(23)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입상 알갱이(granular grain)(24)로 형성되고, 유체 연결을 유지하도록 접근 개구(18)의 구역에서 입상의 심지 부재(20)를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형성된 추가 고정 수단(2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알갱이(24)들은 한편으로는 인접한 알갱이(24)들과 함께 (마이크로-)공동들을 형성한다. 다른 한편으로, 알갱이(24)들 자체는 기공(pore)으로 알려진 (마이크로-)공동을 가질 수 있다. 알갱이(24)들에서의 그리고/또는 알갱이(24)들 사이의 모든 마이크로-공동들의 연결 및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적어도 초기에 모세관 이송을 보장하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비-선형 프로파일을 갖는 마이크로채널(23)들이 형성된다. 심지 부재(20) 및 가열 부재(21)를 포함하는 기화기 유닛(19)을 통과할 때, 기화기 카트리지(10)의 작동 중에, 증기 및/또는 에어로졸이 저장 탱크(17)의 액체로부터 유동 채널(16)을 향하여 형성되고, 심지 부재(20)의 다공성 구조는 한편으로 액체를 위한 저장 매체를 형성하고 다른 한편으로 유동 저항을 나타낸다. 액체의 유동 방향은 저장 탱크(17)로부터 기화기 유닛(19)을 통해 유동 채널(16)의 방향으로 발생한다.
추가적인 "고정 수단(securing means)"(25)은 적어도 장착 목적을 위해, 즉 접근 개구(18)의 구역으로 심지 부재(20)를 도입하는 동안,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또한 기화기 카트리지(10)의 장착 상태에서, 심지 부재(20)가 제 위치에 있어, 무엇보다도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자기적 또는 정전기적 고정 옵션들 또는 이들의 조합인, 알갱이(24)를 유지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초기에 일반적인 방식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화기 카트리지(10)는 일회용(single-use) 물품으로서 중공 본체(15), 저장 탱크(17) 및 기화기 유닛(19)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구조 유닛일 수 있다. 그러나, 기화기 카트리지(10)는 또한 복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기화기 카트리지(10)의 구성요소들은 일회용 물품 및 다회용(multi-use) 물품에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분배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저장 탱크(17)는 일회용 물품이고, 다회용 물품일 수 있고 또한 전자 제어 유닛(11) 및 에너지원(12)에 추가하여 기화기 카트리지(10)의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중공 본체(15) 및 기화기 유닛(19)을 포함할 수 있는 카트리지 캐리어(cartridge carrier)(13)와 조합될 때 기화기 카트리지(10)의 구조적 유닛을 발생시킨다. 기화기 카트리지(10)는 그의 구성요소, 즉 유동 채널(16), 저장 탱크(17) 및 기화기 유닛(19)을 갖는 중공 본체(15)를 통해 상응하게 형성되며, 다회용 물품 또는 일회용 물품에 대한 구성요소들의 구성적/구조적 배치(assignment)를 통해서는 아니다.
아래에 설명된 특징들 및 추가 실시예들은 그 자체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볼 때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특허청구범위 및/또는 상세한 설명 및/또는 도면에 요약되거나 공동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들은 또한 위에서 추가로 설명된 기화기 카트리지(10)를 기능적으로 독립적으로 추가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명백히 주의해야 한다.
기화기 카트리지(10)는 바람직하게는 흡입기(14)의 형성을 위해 적어도 전자 제어 유닛(11) 및 에너지원(12)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캐리어(13)에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해 구성되고 형성되며, 기화기 유닛(19)은 에너지원(12)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전기 접점(electrical contact)(22)을 포함한다. 흡입기(14)는 예를 들어 흡입하는 사람에 의해, 예를 들어 전자 담배로, 또는 예를 들어 펌프에 의해, 예를 들어 사람 자신이 더 이상 빨 수 없거나 적절한 정도로 빨 수 없는 경우 의료 기기로 작동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25)은 입상의 심지 부재(20)의 도입(introduction)을 위한 개구(27)로 모든 면에서 둘러싸인 수용 챔버(receiving chamber)(26)가 기화기 카트리지(10)의 구성요소 또는 그 일부로 형성되고 개구(27)가 커버 요소(28)로 폐쇄되되, 수용 챔버(2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투과성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기계적 타입이다. 수용 챔버(26)와 함께, 심지 부재(20)가 도입될 수 있고 커버 요소(28)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는 볼륨 또는 타입의 케이지(cage)가 형성된다. 심지 부재(20)는 개방형 수용 챔버(26) 내로의 알갱이(24)의 느슨한 충전물로서 충전되거나 개방형 수용 챔버(26)에서 복합 알갱이(composite grain)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기화기 카트리지(10)의 장착된 상태의 심지 부재(20)는 커버 요소(28)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고, 실제로 저장 탱크(17)와 유동 채널(16) 사이의 접근 개구(18)에서 유지된다. 기계적 타입의 고정 수단(25)은 심지 부재(20)를 완전히 둘러싸고 동시에 한편으로는 저장 탱크(17)에의 유체 연결을 보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유동 채널(16)의 방향으로의 유체 연결을 보장한다. 기계적 고정 수단(25)은 심지 부재(20)의 알갱이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릴 수 있는 유지 요소(retaining element)이다.
기화기 카트리지(10)는 바람직하게는 중공 본체(15)를 형성하고 한편으로는 유동 채널(16)을 형성하기 위한 관통-개구(through-opening)(30)를 갖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화기 유닛(19)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recess)(31)를 갖는 캐리어 요소(29)를 포함하고, 리세스(31)는 수용 챔버(26)의 측벽(32)을 형성하고 저장 탱크(17)를 향한 그리고 유동 채널(16)을 향한 리세스(31)는 각각의 경우에 액체-투과성 구조물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기화기 유닛(19)은 알갱이(2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전도성으로 형성되는 경우 가열 부재(21)를 동시에 나타내는 심지 부재(20)에 의해서 단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심지 부재(20)를 제 위치에, 즉 리세스(31)에 유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구조물, 예를 들어 그리드(grid) 구조물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화기 유닛(19)은 심지 부재(20)와 가열 부재(21)가 별개의 요소가 되도록 2개의 피스(piece)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 예를 들어 가열 부재(21)는 유동 채널(16)을 향해 액체-투과성 구조물을 형성한다.
캐리어 요소(29)는 바람직하게는 관형 본체이다. 그러나, 캐리어 요소(29)는 또한 상이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기화기 유닛(19)이 배열되는 리세스(31)가 본체의 둘레 벽에 형성된다. 캐리어 요소(29) 및 기화기 유닛(19)으로 형성된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저장 탱크(17)를 형성하는 하우징(33) 내에 배열되고, 저장 탱크(17)의 내부 볼륨은 하우징(33)의 하우징 벽(34)과 캐리어 요소(29) 사이에 형성된다. 캐리어 요소(29)는 하우징(33)을 통해 부분적으로만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캐리어 요소(29)는 또한 하우징(33)을 통해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2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 입상의 심지 부재(20)의 알갱이(24)들은 체(sieve)가 수용 챔버(26)를 한정하는 측벽(32)들 및 심지 부재(20)와 별도로 형성된 가열 부재(21)와 함께 심지 부재(20)의 볼륨을 둘러싸도록 체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 간단히 말해서, 수용 챔버(26)는 측벽(32)들과 가열 부재(21)에 의해 측면들 및 바닥의 범위가 정해져 심지 부재(20)를 - 바람직하게는 자동화된 방식으로 - 위에서부터 개구(27)를 통해 수용 챔버(26) 내로 가져오거나, 채우거나, 그렇지 않으면 삽입한다. 심지 부재(20)에 의해 채워진 수용 챔버(26)는 체에 의해 폐쇄된다. 액체-투과성 통로를 통한 가열 부재(21) 및 그리드형 및/또는 다공성 구조물을 통한 체는 저장 탱크(17)와 유동 채널(16) 사이의 유체 연결을 나타낸다.
커버 요소(28)는 리드(lid)(35)와 유사한 역할을 하며, 리드(35)는 선택적으로 고형의(solid) 또는 연성의(soft) 리드(35)이다. 리드(35)는 입상 재료, 즉 느슨한 알갱이(24)들 또는 서로 연결된 알갱이(24)들이 제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개구(27) 위에 분리가능하게 또는 분리불가능하게 부착된다. 리드(35)는 적어도 개구(27)를 덮는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리드(35)는 전체 중공 본체(15) 또는 수용 챔버(26)의 개구(27)를 포함하는 캐리어 요소(29)를 둘러싸고, 리드(3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투과성으로, 즉 천공에 의해 형성된다. 리드(35)는 전통적인 리드 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임의의 원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리드(35)는 또한 상이한 재료 및 재료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고형의 리드(35)는 도 6 및 7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캐리어 요소(29)는 관통-개구(30)와 함께 관형으로 형성된다. 서로 연결된 2개의 챔버(36, 37)는 관통-개구(30) 내에 형성된다. 1개의 챔버(36)는 마우스피스(38)의 역할을 한다. 가열 부재(21) 및 심지 부재(20)와 함께 기화기 유닛(19)을 지탱하는 인서트(insert)(39)가 제2 챔버(37)에 배열된다. 인서트(39)는 수용 챔버(26)를 형성하기 위해 측벽(32)들이 형성되는 리세스(31)를 갖는다. 기화기 유닛(19) 및 이에 따른 심지 부재(20)는 인서트(39) 및 캐리어 요소(29)의 벽(40) 내부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캐리어 요소(29)의 벽(40)은 단단한 리드(35)를 형성한다. 인서트(39)는 또한 유동 채널(16)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챔버(36)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관통-개구(42)를 갖는다. 캐리어 요소(29)는 심지 부재(20)가 관형의 캐리어 요소(29)의 벽(40)의 내부 상에 접하는 구역에서의 벽(40)에 저장 탱크(17)에의 액체 커플링을 보장하는 천공(perforation)(41)을 갖는다. 저장 탱크(17)는 하우징(33)의 하우징 벽(34)과 캐리어 요소(29)의 벽(40) 사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리드(35)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설명된 변형예들에 더하여, 예를 들어 석출-경화된 재료 플라이(precipitation-hardened material ply), 예를 들어 석출-경화된 그리드로, 또는 수용 챔버(26)의 개구(27)를 폐쇄하기 위해 캐리어 요소(29)에 용접되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PEEK 체로 리드(35)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성의 리드(35)는 도 3 내지 5에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리드(35)는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요소(29)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투과성으로 형성되는 중공 본체(15)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축방향 또는 회전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는 슬리브(sleeve)(43)이다. 다시 말해서, 심지 부재(20)를 덮고 그것을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슬리브(43)는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거나 축을 따라 변위될 수 있다. 그러나, 중공 본체(15)는 또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타원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질 재료로 구성될 수 있는 슬리브(43)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성으로 형성되고 천공(41)을 형성할 수 있는 액체-투과성 부분을 갖는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리세스(31)에서 2개-부품(two-part) 기화기 유닛(19)을 지탱하는 연속적인 관통-개구(30)를 갖는 관형의 캐리어 요소(29)를 나타낸다. 정확하게는, 1개의 탄성 슬리브(43)는 중공 본체(15)의 다양한 형태/윤곽에 맞추어 구성될 수 있다.
기화기 유닛(19)은 적어도 심지 부재(20)의 구역에서 액체-투과성으로 형성되는 탄성 슬리브(43)에 의해 리세스(31)에서 유지된다. 도 4 및 5는 각각의 경우에 관형의 캐리어 요소(29)를 나타내며, 이 경우 기화기 유닛(19)은 마찬가지로 탄성 슬리브(43)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 도 4에서, 슬리브(43)는 심지 부재(20)를 덮는다. 그러나, 슬리브(43)는 심지 부재(20)를 해제하기(release) 위해 슬리브(43)를 윈도우(45)로 당겨(화살표(Z) 참조) 개방되는 슬릿(slit)(44)을 갖는다(도 5 참조). 슬릿(44) 대신에, 원칙적으로 슬리브(43)가 심지 부재(20)를 덮는 위치로부터 윈도우(45)가 심지 부재(20) 위에 놓이는 위치로 슬리브(43)를 밀어내거나 회전시키는 것(화살표(D) 참조)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윈도우(45)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튜브일 수 있는 슬리브(43)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드(35)는 감긴 플리스 스트립(wound fleece strip)을 갖거나 감긴 플리스 스트립으로 형성된다. 리드(35)는 또한 석고(plaster), 그리드, 수축 호스(shrink hose) 등일 수 있다.
리드(35), 즉 예를 들어 모래 및/또는 흑연으로 형성된 입상의 심지 부재(20)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요소가 관통-보어(bore)가 있는 환형 폼 디스크(annular foam disc)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폼 도넛(foam donut)"은 관형의 캐리어 요소(29)를 통해 관통-보어로 위로부터 제 위치에 놓일 수 있으므로 수용 챔버(26)의 개구(27)가 기화기 유닛(19)을 둘러싸고 따라서 심지 부재(20)는 심지 부재(20)가 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폼 링에 의해 캐리어 요소(29) 내에서 덮인다. 폼 링의 개방된-기공이 형성된 특성(open-pored nature)은 저장 탱크(17)에의 유체 연결을 제공한다.
도 8 내지 11은 가능한 기화기 카트리지(10)의 추가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의 경우에, 연속적인 벤트가 유동 채널(16)로서 제공되는 내부 공간(46)을 형성하기 위해 또한 임의의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는 원통형 하우징(33)이 제공된다. 캐리어 요소(29)는 유동 채널(16)의 일부 위로 연장된다. 가열 부재(21)가 배열되는 리세스(31)는 캐리어 요소(29)에 형성된다. 도 8 및 9의 변형례에서, 구조물(47), 바람직하게는 그리드 구조물은 내부 공간(46)을 2개의 구역(48, 49)으로 분할하며, 1개의 구역(48)은 액체를 위한 저장 탱크(17)로서의 역할을 하고 구역(49)은 개선된 명료성을 위해 도 8 및 10에만 표시되고 도 9 및 11에는 명시적으로 표시되지 않은 입상의 심지 부재(2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구역(49)은 심지 부재(20)의 입상 알갱이(24)들로, 예를 들어 모래로 완전히 채워진다. 그러나, 구역(49)은 예를 들어 또한 위에서 설명한 폼 링으로 채워질 수도 있다. 구조물(47)은 심지 부재(20)가 캐리어 요소(29)를 완전히 둘러싸고 그에 따라 가열 부재(21)도 덮도록 캐리어 요소(29)의 아래에 배열된다. 기계적 타입의 고정 수단(25)은 심지 부재(20)를, 예를 들어 모래의 알갱이들을 가열 부재(21) 앞에서 제 위치에 공동으로 유지하는 하우징(33)의 하우징 벽(34), 캐리어 요소(29), 가열 부재(21) 및 구조물(47)에 의해 상응하게 형성된다. 구조물(47)은 저장 탱크(17)에의 유체 연결을 보장한다.
도 10 및 11의 변형례에서, 내부 공간(46)을 3개의 구역(52, 53, 54)으로 분할하는 2개의 구조물(50 및 51), 바람직하게는 그리드 구조물들이 제공된다. 2개의 구조물(50, 51)은 가열 부재(21)를 가진 리세스(31)의 위와 아래에 배열되어, 심지 부재(20)(단지 표시되거나 명시적으로 표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중심 구역(53)이 적어도 가열 부재(21)의 구역에서 캐리어 요소(29)를 덮게 된다. 액체는 다른 구역(52, 54)에 저장될 수 있다. 기계적 타입의 고정 수단(25)은 입상의 심지 부재(20)를, 예를 들어 모래의 알갱이들을 가열 부재(21)의 앞에서 제 위치에 공동으로 유지하는 하우징(33)의 하우징 벽(34), 캐리어 요소(29), 가열 부재(21) 및 구조물(50, 51)에 의해 형성된다. 구조물(50, 51)은 저장 탱크(17)에의 유체 연결을 보장한다. 모래의 알갱이들 또는 기타 입상의 재료들 대신에, 개방된-기공이 형성된 폼은 또한 구조물들(50, 51)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누적적으로, 고정 수단(25)은 알갱이(24)들이 용융 및/또는 경화 공정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타입일 수 있다. 알갱이(24)들은 예를 들어 중공 본체(15) 또는 캐리어 요소(29) 또는 이들의 부분과 함께 융합될(fused) 수 있다. 심지 부재(20)의 느슨한 알갱이(24)들이 제 위치에 유지되는 케이지의 타입은 특히 가열 부재(21)와 조합하여 심지 부재(20)의 서로 융합된 알갱이(24)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알갱이(24)들은 선택적으로 서로 융합되어 리드(3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알갱이(24)들 대신에, 수용 챔버(26) 및/또는 유지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심지 부재(20)가 제 위치에 유지되는 리드(35)를 생성하도록 기화기 유닛(19)을 둘러싸거나 덮는 위치에서 경화되는 팽창성(expandable) 폼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입상의 심지 부재(20)를 위한 고정 수단(25)은 대안적으로 또는 누적적으로 알갱이(24)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성이 되도록 형성되고 심지 부재(20)의 구역에 배열되는 자석들이 알갱이(24)들을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하는 자성 타입이다. 선택적으로, 고정 수단(25)은 대안적으로 또는 누적적으로 알갱이(24)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적으로 대전되고(charged) 심지 부재(20)의 구역에 존재하는 전기장이 알갱이들을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하는 정전기 타입이다.
고정 수단(25)은 영구적이거나 일시적인 고정을 위해 선택적으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성되고 형성된다. 고정 수단(25)의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기화기 카트리지(10)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장착된 상태에서 심지 부재(20)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측벽(32), 가열 부재(21), 커버 요소(28)/리드(35) 등의 형태의 구조적 구성요소들에 의해 영구적인 고정을 위해 구성되고 형성된다. 특히 심지 부재(20)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 수단(25)의 다른 부분은 심지 부재(20) 자체에, 예를 들어 기화기 카트리지(10)에서의 최종 설치까지 심지 부재(20)를 제 위치에 유지하거나 함께 유지하는 충격-동결된 액체/입상 페이스트(shock-frozen liquid/granulate pastes)에 고유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14)의 작동 모드는 특히 도 1과 관련하여 흡입기(14)로서의 전자 담배에 기초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흡입기(14)는 활성 성분이 풍부한 증기의 흡입을 위해 구성되고 형성되며, 제1항 내지 제15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라 구성되고 형성되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 특징지어지는 기화기 카트리지(10) 뿐만 아니라 전자 제어 유닛(11) 및 에너지원(12)을 적어도 포함하는 카트리지 캐리어(13)를 포함한다.
소비하는 사람은 예를 들어 카트리지 캐리어(13) 및 기화기 카트리지(10)로 형성된 흡입기(14)의 마우스피스(38)를 빨고, 예를 들어 글리세린(glycerine),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및 가능하게는 추가 활성 성분 및/또는 향료를 함유하는 액체가 기화기 카트리지(10)의 저장 탱크(17)에 위치한다. 흡입의 결과로, 유동 채널(16)에 진공이 생성되고, 진공 자체가 예를 들어 표시되지 않은 센서를 통해 제어 유닛(11)을 활성화시킨다. 제어 유닛(11)은 에너지원(12)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는 가열 부재(21)를 제어한다. 저장 탱크(17)로부터의 액체는 가열 부재(21)의 방향으로 저장 탱크(17)의 밖으로 마이크로채널(23)을 통해 적어도 초기에 모세관 방식으로 심지 부재(20)에 의해 수송된다. 가열된 가열 부재(16)에서 또는 그 내에서, 액체는 증기로 변환되고, 가열 부재(16)는 액체- 및 증기- 투과성 구조물의 결과로 액체 또는 그로부터 형성된 증기를 유동 채널(16)의 방향으로 수송하고 그것으로 방출된다. 증기는 유동 채널(16)에서 공기 유동과 혼합되고 소비하는 사람에 빨아들여지고 소비하는 사람에 의해 흡입된다.
10 ... 기화기 카트리지 15 ... 중공 본체
16 ... 유동 채널 17 ... 저장 탱크
18 ... 접근 개구 19 ... 기화기 유닛
20 ... 심지 부재 21 ... 가열 부재
23 ... 마이크로채널 24 ... 알갱이
25 ... 고정 수단

Claims (16)

  1. 흡입기의 구성요소인 기화기 카트리지(10)로서,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탱크(17) 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유동 채널(16)을 갖는 중공 본체(15)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탱크(17)는 상기 유동 채널(16)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접근 개구(18)를 갖고 전체 접근 개구(18)에 걸쳐 연장되는 기화기 유닛(19)은 각각의 접근 개구(18)의 구역에 배열되고, 상기 기화기 유닛(19)은 심지 부재(20) 및 가열 부재(21)를 갖고, 상기 기화기 유닛(19)은 액체가 상기 저장 탱크(17)로부터 상기 기화기 유닛(19)을 통해 상기 유동 채널(16)의 방향으로 적어도 초기에 모세관 방식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액체-투과성으로 형성되는, 기화기 카트리지(10)에 있어서, 상기 심지 부재(20)는 충전 및/또는 형성의 결과로 심지 부재(20)의 입구측(ED)으로부터 심지 부재(20)의 출구측(AD)까지 연속적으로 저장 탱크(17)와 유동 채널(16) 사이의 유체 연결의 형성을 위해 연장되는 마이크로채널(23)을 형성하는 복수의 입상 알갱이(24)로 형성되고, 유체 연결을 유지하도록 상기 접근 개구(18)의 구역에서 입상의 심지 부재(20)를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형성된 추가의 고정 수단(2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 카트리지(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25)은 입상의 심지 부재(20)의 도입을 위한 개구(27)로 모든 면에서 둘러싸인 수용 챔버(26)가 기화기 카트리지(10)의 구성요소 또는 그 일부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27)가 커버 요소(28)로 폐쇄되며, 상기 수용 챔버(2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투과성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기계적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 카트리지(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 카트리지(10)는 중공 본체(15)를 형성하고 한편으로는 유동 채널(16)을 형성하기 위한 관통-개구(30)를 갖고 다른 한편으로는 심지 부재(20)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31)를 갖는 캐리어 요소(29)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31)는 수용 챔버(26)의 측벽(32)을 형성하고 저장 탱크(17)를 향한 그리고 유동 채널(16)을 향한 리세스(31)는 각각의 경우에 액체-투과성 구조물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 카트리지(10).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입상의 심지 부재(20)의 알갱이(24)는 체가 수용 챔버(26)를 한정하는 측벽(32) 및 심지 부재(20)와 별도로 형성된 가열 부재(21)와 함께 심지 부재(20)의 볼륨을 둘러싸도록 체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 카트리지(10).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요소(28)는 선택적으로 고형의 또는 연성의 리드(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 카트리지(1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35)는 적어도 수용 챔버(26)의 개구(27),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27)를 포함하는 전체 중공 본체(15)를 덮고, 상기 리드(3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투과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 카트리지(10).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35)는 중공 본체(15)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축방향 또는 회전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투과성으로 형성되는 슬리브(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 카트리지(10).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35)는 감긴 플리스 스트립(wound fleece strip)을 갖거나 감긴 플리스 스트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 카트리지(1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25)은 알갱이(24)가 용융 및/또는 석출-경화 공정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 카트리지(10).
  10. 제9항에 있어서, 입상의 심지 부재(20)의 알갱이(24)는 중공 본체(15)와 직접적으로 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 카트리지(10).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입상의 심지 부재(20)의 융합된 알갱이(2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투과성인 자신의 폐쇄된 수용 챔버(2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 카트리지(10).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커버 요소(28)는 입상의 심지 부재(20)의 적어도 일 부분으로부터의 융합된 알갱이(24)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 카트리지(1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25)은 알갱이(2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성이도록 형성되고 심지 부재(20)의 구역에 배열되는 자석이 알갱이(24)를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하는 자성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 카트리지(1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25)은 알갱이(2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적으로 대전되고 심지 부재(20)의 구역에 존재하는 전기장이 알갱이(24)를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하는 정전기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 카트리지(10).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25)은 영구적이거나 일시적인 고정을 위해 선택적으로 구성되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기 카트리지(10).
  16. 활성 성분이 풍부한 증기의 흡입을 위해 구성되고 형성된 흡입기(14)로서, 기화기 카트리지(10) 뿐만 아니라 전자 제어 유닛(11) 및 에너지원(12)을 적어도 포함하는 카트리지 캐리어(13)를 포함하는, 흡입기(14)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 카트리지(10)는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되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14).
KR1020217039936A 2019-06-20 2020-06-17 기화기 카트리지 및 이러한 기화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흡입기 KR202200229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16725.6 2019-06-20
DE102019116725.6A DE102019116725A1 (de) 2019-06-20 2019-06-20 Verdampferkartusche sowie Inhalator mit einer solchen Verdampferkartusche
PCT/EP2020/066735 WO2020254388A1 (de) 2019-06-20 2020-06-17 Verdampferkartusche sowie inhalator mit einer solchen verdampferkartusch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903A true KR20220022903A (ko) 2022-02-28

Family

ID=7110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936A KR20220022903A (ko) 2019-06-20 2020-06-17 기화기 카트리지 및 이러한 기화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흡입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354172A1 (ko)
EP (1) EP3986173A1 (ko)
JP (1) JP2022537494A (ko)
KR (1) KR20220022903A (ko)
CN (1) CN113873905A (ko)
DE (1) DE102019116725A1 (ko)
WO (1) WO20202543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3990B4 (de) 2019-02-18 2021-09-02 Hauni Maschinenbau Gmbh Verdampfereinsatz für einen Inhalator, insbesondere ein elektronisches Zigarettenprodukt, Verdampfer-Tank-Einheit und ein elektronisches Zigarettenprodukt
DE102019124411A1 (de) * 2019-09-11 2021-03-11 Hauni Maschinenbau Gmbh Verdampferkartusche sowie Inhalator mit einer solchen Verdampferkartusch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88362T3 (es) * 2011-12-08 2018-11-02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generador de aerosol con tobera de flujo de aire
WO2016172959A1 (zh) * 2015-04-30 2016-11-03 深圳麦克韦尔股份有限公司 多孔陶瓷材料的制备方法和多孔陶瓷材料及其应用
DE102015115527B3 (de) * 2015-09-15 2017-01-26 Dicodes Gmbh Dampfinhalationsgerät und auswechselbare Wechselbaugruppe für ein solches
US10986868B2 (en) * 2016-02-19 2021-04-27 Shenzhen Smoore Technology Limited Electronic atomizing device with a liquid guiding effect and atomizer
CN105747278A (zh) * 2016-04-21 2016-07-13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烟油加热装置以及雾化单元、雾化器和电子烟
RU2738994C2 (ru) * 2016-06-20 2020-12-21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Испар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генерирующей аэрозоль системы
GB2561867B (en) * 2017-04-25 2021-04-07 Nerudia Ltd Aerosol delivery system
JP2020520240A (ja) * 2017-05-18 2020-07-09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個人用気化器装置用の気化器ユニット
DE102017123870B4 (de) * 2017-10-13 2019-05-09 Hauni Maschinenbau Gmbh Verdampfereinheit für einen Inhalator, insbesondere für ein elektronisches Zigarettenproduk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73905A (zh) 2021-12-31
US20220354172A1 (en) 2022-11-10
EP3986173A1 (de) 2022-04-27
WO2020254388A1 (de) 2020-12-24
DE102019116725A1 (de) 2020-12-24
JP2022537494A (ja)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8435B2 (ja) 電子たばこデバイスおよびその部品
US20230086893A1 (en)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multiple heating elements
CN109069776B (zh) 具有刺穿组合件的气溶胶生成装置
JP6711752B2 (ja)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のためのカートリッジ
RU2707450C2 (ru)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потоком воздуха
RU2701846C2 (ru) Образ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истема, использующая эффект вентури для доставки субстрата к нагревательному элементу
RU2747612C2 (ru)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одержащая несколько субстратов, образующих аэрозоль
JP2024056988A (ja) 漏れが低減されたエアロゾル発生装置
CN110769706B (zh) 用于增强气溶胶特性的水烟装置
JP2018046847A (ja) 電子喫煙品及び改良したヒータ素子
KR20190089869A (ko) 측면 애퍼쳐를 갖는 카트리지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RU2731533C2 (ru) Узел нагревателя и фитиля для системы, генерирующей аэрозоль
KR20170035962A (ko) 전자 흡연 장치 및 그 부품들
CN107995846A (zh) 电子蒸发装置
TW201534231A (zh) 具有流體可滲透之加熱器總成的氣溶膠產生系統及用於具有流體可滲透之加熱器總成的氣溶膠產生系統之匣體
KR20220022903A (ko) 기화기 카트리지 및 이러한 기화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흡입기
US20220378098A1 (en) Vaporizer cartridge and inhaler comprising such a vaporizer cartridge
KR20210098481A (ko)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및 누출 보호를 갖는 카트리지
JP2020124229A (ja)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のためのカートリッジ
KR20220024040A (ko) 기화기 카트리지 및 이러한 기화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흡입기
CN114173585A (zh) 个人用汽化装置的液体烟弹
US20220400748A1 (en) Vaporizer cartridge and inhaler comprising such a vaporizer cartridge
KR20220092570A (ko) 홈통을 갖는 시샤 장치
KR20230131887A (ko) 슬라이딩 가능한 밀봉 요소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교체식 카트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