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822A - Method of teaching korean using voice recognition and tts function of terminal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of teaching korean using voice recognition and tts function of termin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822A
KR20220022822A KR1020200104269A KR20200104269A KR20220022822A KR 20220022822 A KR20220022822 A KR 20220022822A KR 1020200104269 A KR1020200104269 A KR 1020200104269A KR 20200104269 A KR20200104269 A KR 20200104269A KR 20220022822 A KR20220022822 A KR 20220022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orean
text
learner
vo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2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진주
Original Assignee
(주)헤이스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헤이스타즈 filed Critical (주)헤이스타즈
Priority to KR102020010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2822A/en
Priority to PCT/KR2020/019115 priority patent/WO2022039333A1/en
Publication of KR20220022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82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A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Korean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system may include the steps of: notifying a learner that a terminal is in a speech input standby state; converting the speech into corresponding text, when the learner inputs speech; checking whether the converted text is included in a database stored in a server; identifying matching text matching the converted text, when the converted text is found to be included in the database as a result of the checking; and outputting the matching text on the basis of a TTS scheme. Therefore, Korean language learners can easily learn Korean language.

Description

단말기의 음성인식 기능과 TTS 기능을 이용한 한국어 학습방법{METHOD OF TEACHING KOREAN USING VOICE RECOGNITION AND TTS FUNCTION OF TERMINAL DEVICE}How to learn Korean using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TTS function of the terminal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말하는 장난감, AI 스피커 등의 음성인식 기능과 TTS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그것에 내장된 음성인식 기능과 TTS(Text to Speech) 기능을 이용하고 영화, 드라마, 뉴스 등 한국어 음성 표현이 들어 있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활용하여 상기 단말기와 학습자가 서로 음성전달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형식으로 한국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TTS (Text to Speech) function built into a terminal hav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TTS function, such as a smartphone, tablet PC, laptop computer, talking toy, AI speaker, etc. To a learning method that enables the terminal and the learner to natural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voice transmission by using video or audio content containing Korean voice expressions such as news.

일반적으로 PC,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콘텐츠가 재생되는 장치와 한국어 콘텐츠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는 방법들이 많이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그러한 장치들에 음성인식 기술과 TTS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게 되면서 이러한 기술들을 부가하여 한국어를 학습하는 방법들도 많이 제안되었다.In general, many methods have been used to learn Korean using devices that play content such as PCs, laptops, tablet PCs, and smartphones and Korean content, and recently,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and TTS technology have been applied to such devices. As it became possible, many methods of learning Korean by adding these skills were proposed.

그리고 구글이나 삼성 등과 같은 회사들이 구글 어시스턴트나 삼성 빅스비와 같은 음성인식 기술과 TTS 기술을 접목시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단말기에 말을 하여 어떤 질문을 하거나 단말기가 가지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companies such as Google and Samsung have developed programs that combine TTS technology with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such as Google Assistant and Samsung Bixby, so that you can ask a question or execute a function of the terminal by speaking to the terminal.

그러나 위 한국어 콘텐츠를 이용한 한국어 학습방법은 단말기가 실행하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학습자가 감상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학습자가 단말기와 서로 음성전달에 의하여 대화를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어서 학습자가 스스로 말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부여되지 아니하고,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말로 단말기에 어떠한 기능을 실행하게 하거나 검색을 하게 하는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정확한 한국어를 학습하게 하는 목적의 프로그램이 아니어서 이미 한국어를 어느 정도 공부하여 한국어로 대화를 이어나갈 정도의 실력을 가진 경우가 아니면 위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대화를 하는 것이 쉽지 않고 또 어느 정도 대화를 할 실력이 있더라도 대화 주제의 제한과 학습자가 사용하는 표현의 정확성도 담보할 수 없으므로 한국어 학습방법으로는 적절치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 method of learning Korean using Korean content is for the learner to enjoy the video or audio content executed by the terminal, and it is not conducted in a way that the learner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by voice transmission. Programs that do not give many opportunities to speak and use voice recognition to make learners execute certain functions on the terminal or make a search are basically not programs for the purpose of learning accurate Korean. It is not easy to have a conversation using the above programs unless you have studied Korean to some extent and have the skills to continue conversations in Korean. Since the accuracy of the Korean language cannot be guarantee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not appropriate as a Korean learning method.

등록특허공보 제10-0954498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54498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인식 기술과 TTS 기술을 활용하여 단말기와 학습자가 서로 음성전달에 의하여 계속하여 대화를 나누는 방식으로 학습을 하도록 하여 학습자에게 자신의 음성으로 한국어를 말하는 기회를 최대한으로 부여하고, 학습자가 말하여야 하는 내용도 정확한 한국어 표현의 집합체라고 볼 수 있는 한국어 콘텐츠를 사용함으로써 학습자와 단말기가 정확한 한국어 표현을 이용한 음성전달에 의하여 1 대 1 식의 대화를 계속하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ive learners the opportunity to speak Korean with their own voice as much as possible by using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and TTS technology to learn in a way that the terminal and the learner continuous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voice transmission, In addition, by using Korean content, which can be seen as a collection of accurate Korean expressions, the content that the learner has to say is to continue a one-to-one conversation between the learner and the terminal by voice transmission using the correct Korean expression.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한국어 학습 시스템은 단말기가 음성입력 대기상태에 있음을 학습자에게 알려주는 단계, 상기 학습자가 음성 입력을 하면, 음성을 대응되는 텍스트로 변환시키는 단계, 변환된 텍스트가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하는 단계 결과 데이터 베이스 상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 상에서 상기 변환된 텍스트에 매칭되는 매칭 텍스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 텍스트를 TTS 방식에 기초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Korean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the steps of notifying the learner that the terminal is in a voice input standby state, converting the voice into the corresponding text when the learner inputs the voice, and sending the converted text to the server Checking whether or not it is included in the stored database, when included in the result database of the checking, checking the matching text matching the converted text on the database and the matching text in a TTS method It may include the step of outputting based on th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한국어 학습자가 용이하게 한국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Korean language learner can easily learn Korean.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학습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Korean language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following embodiments complet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form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a referenc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The presence or addition is not excluded.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 속한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A component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a component having a common function may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 in another embodiment. Unless otherwise stated, the description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specific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within the overlapping range or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말하는 장난감, AI 스피커 등의 단말기에서 그것에 내장된 음성인식기능과 TTS(Text to Speech) 기능을 이용하고 영화, 드라마, 팝송, 뉴스 등 한국어 콘텐츠를 활용하여 상기 단말기와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형식으로 한국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대화형 한국어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built-in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TTS (Text to Speech) function in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tablet PCs, laptops, talking toys, and AI speakers, and utilizes Korean content such as movies, dramas, pop songs, and news. It relates to an interactive Korean learning method that enables the terminal and the learner to learn Korean in a natural conversational format.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음성인식 기능과 TTS 기능을 이용한 대화형 한국어 학습방법은 음성인식 기능과 TTS(Text to Speech)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습방법을 포함하는 앱(app, application의 약자)을 설치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앱의 개발도구로서 자바(JAVA) 언어를 사용하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Android Studio)를 통하여 구현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아닌 다른 개발도구나 다른 컴퓨터 언어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스마트폰을 구동시키는 운영체제(오퍼레이팅 시스템)도 구글 안드로이드에 국한되지 않고 애플 아이폰의 운영체제 등 다른 것들도 사용될 수 있다.The interactive Korean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the TTS func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and a notebook having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a TTS (Text to Speech) function. It can be implemented by installing an app (abbreviation for app, application) that includes a learning method. The above embodiment is implemented through Android Studio using a Java language as an app development too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a development tool other than Android Studio or other computer language, and the operating system (operating system) for driving the smartphone is not limited to Google Android, and other things such as the operating system of Apple iPhone may be used.

그리고 학습자가 입력한 음성의 내용을 미리 저장된 명령어의 내용 및 학습대상 콘텐츠의 내용과 대비하는 과정에서는 학습자의 음성을 녹음한 파일을 콘텐츠의 음성 파일과 대비하는 방법, 음성인식시스템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파일과 대비하는 방법, 미리 저장된 학습자의 다른 음성 파일과 대비하는 방법, 음성인식시스템이 만들어내는 텍스트를 학습대상 콘텐츠의 텍스트와 대비하는 방법 등의 여러 가지 방법들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And in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content of the voice input by the learner with the content of the commands stored in advance and the content of the learning target content, the method of comparing the learner's voice recording file with the voice file of the content, the data possessed by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One or a plurality of methods may be used, such as a method for comparing with a file, a method for comparing with other voice files of the learner stored in advance, a method for comparing the text generated by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with the text of the content to be learned, etc. there is.

상기 한국어 콘텐츠는 한국어 표현이 있는 영화, 드라마, 팝송, 뉴스 등이 포함되고, 한국어 표현의 자막과 이를 번역한 자국어 자막이 포함되게 된다. 이러한 기본자료들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가능한 모든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방법의 예로는 한국어 콘텐츠를 단말기 내의 특정 폴더에 저장하여 두고 단말기가 이를 읽어 들여 실행시키는 방법, 클라우드와 같은 단말기 외부의 저장장치에 저장된 콘텐츠를 사용하는 방법, 인터넷의 서버에서 이를 스트리밍의 방법으로 내려받아 사용하는 방법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콘텐츠의 저장 형태도 저장장치를 만들어 여기에 자료들을 분류하여 저장하는 방법과 저장장치를 만들지 않고 한국어 텍스트, 자국어 텍스트, 명령어, 자막의 시간정보, 학습성적 등과 같이 각각의 자료들을 텍스트 스위처(text switcher), 해시맵(Hashmap), 쉐어드프레퍼런스 (sharedpreference) 등과 같이 프로그램 내에서 파일의 형태로 자료를 저장하였다가 현출시켜 사용하는 방법 등을 적절하게 채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한국어 콘텐츠의 전체 또는 일부분, 나아가 각 학습대상 문장들을 저장장치로부터 불러들여 실행시키는 방법도 본 발명의 목적인 자연스러운 대화형식의 학습 진행을 위하여 사용되는 미디어플레이어 등 비디오 또는 오디오 플레이어의 성능이나 특성에 맞추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한 문장에 대한 화면이나 음성을 재생시키기 위하여 해당 콘텐츠의 특정 재생 시점(학습대상 문장이 있는 부분)으로 이동시켜 재생(플레이)을 할 수도 있고, 해당 미디어 플레이어나 단말기의 성능 차이로 정확한 시작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재생이 어려운 경우에는 콘텐츠를 각 학습대상 문장 단위로 분할하여 저장한 후 이를 실행시키는 방법을 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들은 각기 장점과 단점들을 가지고 있으므로 학습대상이 되는 콘텐츠의 크기나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단말기의 저장 용량과 성능 등의 조건들에 맞추어 적절하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Korean content includes movies, dramas, pop songs, news, etc. with Korean expressions, and includes subtitles of Korean expressions and native language subtitles translated from them. Since there is no limitation on a method of extracting and storing these basic data, all available methods can be used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such a storage method include a method in which Korean content is stored in a specific folder i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reads and executes it, a method of using content stored in a storage device external to the terminal such as a cloud, and a method of streaming it from a server on the Internet All methods of downloading and using it can be used. As for the storage format of specific contents, there is a method of classifying and storing data in a storage device, and each material such as Korean text, native language text, commands, time information of subtitles, learning grades, etc. switcher), hashmap, shared preference, etc., can be used by appropriately adopting a method of storing data in the form of a file within the program and then displaying it and using it. In addition, the method of retrieving all or part of Korean content, and furthermore, each learning target sentences from the storage device, is also tailored to the performance or characteristics of a video or audio player such as a media player used for natural conversational learning, which i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everal methods are available. For example, in order to reproduce a screen or voice for a specific sentence, the content may be played (played) by moving it to a specific playback point (part with a sentence to be learned)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f it is difficult to reproduce from the start time to the end time, a method may be chosen to divide the content into each learning target sentence unit, store it, and then execute it. Since each of these methods ha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such as the size of the content to be learned or the storage capacity and performance of the learner's terminal.

본 발명을 구현한 실시예의 앱에서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지원하는 텍스트 스위처(Text Switcher) 기능을 이용하여 한국어 동영상의 한국어 자막에 있는 한국어 문장을 처음부터 끝까지 또는 학습대상으로 선택되는 일부의 문장들을 텍스트 스위처에서 보여주는 기본문장들의 배열(String array)로 입력시켜 프로그램 내에 저장하고, 이에 대응되는 자국어 자막의 내용은 해시맵{Hash map, 자료를 키(key)와 그에 대응되는 값(value)의 형태로 저장하여 두고 사용하는 기법}의 키와 텍스트 스위처 기본문장의 순번을 나타내는 아이디(id)에 대응시켜 저장하며, 기본문장이 실행되는 비디오나 오디오 파일(비디오 파일은 화상과 음성을 모두 실행시키는 파일이 고, 오디오 파일은 음성만을 실행시키는 파일로서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서 사용된다)의 모두 또는 그 중 어느 하나를 해당 문장별로 또는 내용상의 구분에 의하여 설정된 챕터별로 분할하여 적절한 이름(각 문장별로 분할하는 경우에는 그 문장의 번호에 대응되는 이름을 붙이는 것이 편리하다)을 붙여 저장한 후 해당 학습대상 문장 또는 챕터에 대응시켜 실행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는 앱의 내용이 간단하여 관리가 용이하면서도 학습자가 단말기와 상호 음성전달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단말기와 대화형식으로 한국어 학습을 진행한다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적절하게 구현한 경우에 해당하지만 이는 한 실시예에 해당할 뿐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 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와 다른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청구항 기재 내용을 실시하는 여러 변형의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In the app of the embodiment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text switcher function supported by Android Studio, the Korean sentences in the Korean subtitles of the Korean video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r some sentences selected as the learning object in the text switcher It is input as an array of basic sentences to be displayed and stored in the program, and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native language subtitles are stored in the form of a hash map, a key and a corresponding value. It is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D (id) indicating the sequence number of the key of the text switcher basic sentence and the key of the technique to be used. An audio file is a file that executes only voice and is used according to the learner's choice) by dividing all or any one of them by the relevant sentence or by chapter set according to the content classification, and giving an appropriate name (in case of dividing by each sentence, the It is convenient to attach a nam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sentence) and save it, and then use the method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learning target sentence or chapter. This is a case in which the content of the app is simple and easy to manage, but it is appropriately implemented to mee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learners naturally progress Korean language learning in a conversational format with the terminal by mutual voice transmission, but this is one embodiment Since it only correspond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ll of the various modifications of implementing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other methods are used.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한국어 학습 방법을 나타낸다. 1 shows a Korean language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한국어 표현이 들어 있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대화형으로 한국어를 학습시키는 방법은 단말기가 음성입력 대기상태에 있음을 학습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자가 음성 입력을 하면, 음성을 대응되는 텍스트로 변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변환된 텍스트가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하는 단계 결과 데이터 베이스 상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 상에서 상기 변환된 텍스트에 매칭되는 매칭 텍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매칭 텍스트를 TTS 방식에 기초하여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method of learning Korean interactively using video or audio content containing Korean expressions may inform the learner that the terminal is in a voice input standby state. In addition, when the learner inputs a voice, the voice can be converted into a corresponding text. Next, it is checked whether the converted text is included in the database stored in the server, and when included in the database as a result of the checking, matching text matching the converted text can be checked on the database there is. Finally, the matching text may be output based on the TTS method.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1)

한국어 표현이 들어 있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대화형으로 한국어를 학습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음성입력 대기상태에 있음을 학습자에게 알려주는 단계;
상기 학습자가 음성 입력을 하면, 음성을 대응되는 텍스트로 변환시키는 단계;
변환된 텍스트가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하는 단계 결과 데이터 베이스 상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 상에서 상기 변환된 텍스트에 매칭되는 매칭 텍스트를 확인하는 단계;및
상기 매칭 텍스트를 TTS 방식에 기초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국어 학습 방법.
In the method of learning Korean interactively using content of video or audio containing Korean expressions,
informing the learner that the terminal is in a voice input standby state;
when the learner inputs a voice, converting the voice into a corresponding text;
checking whether the converted text is included on a database stored in a server;
If included in the database as a result of the checking, checking the matching text matching the converted text on the database; And
and outputting the matching text based on the TTS method.
KR1020200104269A 2020-08-19 2020-08-19 Method of teaching korean using voice recognition and tts function of terminal device KR2022002282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269A KR20220022822A (en) 2020-08-19 2020-08-19 Method of teaching korean using voice recognition and tts function of terminal device
PCT/KR2020/019115 WO2022039333A1 (en) 2020-08-19 2020-12-24 Korean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speech recognition function and tts function of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269A KR20220022822A (en) 2020-08-19 2020-08-19 Method of teaching korean using voice recognition and tts function of termina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822A true KR20220022822A (en) 2022-02-28

Family

ID=8032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269A KR20220022822A (en) 2020-08-19 2020-08-19 Method of teaching korean using voice recognition and tts function of terminal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22822A (en)
WO (1) WO202203933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58893A (en) * 2023-08-24 2023-09-15 枣庄智汇互联网小镇管理有限公司 Robot voice playing method, system, comput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98B1 (en) 2009-09-23 2010-04-22 이창근 A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a portab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7647A (en) * 2010-09-13 2012-03-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Learning contents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427528B1 (en) * 2013-06-10 2014-08-07 이장호 Method of interactive language learning using foreign Video contents and Apparatus for it
KR101920653B1 (en) * 2015-10-30 2018-11-22 김태정 Method and program for edcating language by making comparison sound
KR20190130791A (en) * 2018-05-15 2019-11-25 주식회사 스텝스마스터인터네셔널 Apparatus for interactive language learning using foreign Video contents
KR20200086611A (en) * 2019-01-09 2020-07-17 이장호 Method of interactive foreign language learning by voice talking each other us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TTS fun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98B1 (en) 2009-09-23 2010-04-22 이창근 A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a port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9333A1 (en)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16511B (en) Text-to-speech learning system for intent recognition and emotion
US10586536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TWI511125B (en) Voice control method,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voice controlsystem
US83967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catenation of words in text to speech synthesis
US87127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text to speech synthesis
WO2021083071A1 (en) Method, device, and medium for speech conversion, file generation, broadcasting, and voice processing
US20160019816A1 (en) Language Learning Tool
JP2014219614A (en) Audio device, video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71601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education using meaning unit and relational question
CN104115221A (en) Audio human interactive proof based on text-to-speech and semantics
KR20200027331A (en) Voice synthesis device
US201202265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rendering including synthetic narration
KR101877559B1 (en) Method for allowing user self-studying language by using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for executing the said method and record medium for storing application executing the said method
KR1023129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interactive messag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JP2019185737A (en) Search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1967248B2 (en) Conversation-based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reciprocal speech transmission through speech recognition function and TTS function of terminal
CN110647613A (en) Courseware construction method, courseware construction device, courseware construction server and storage medium
CN109492126B (en) Intelligent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KR101567449B1 (en) E-Book Apparatus Capable of Playing Animation on the Basis of Voice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KR102219943B1 (en) Server and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microphone
WO2022039333A1 (en) Korean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speech recognition function and tts function of terminal
US10990351B2 (en) Voice-based grading assistant
KR20220022823A (en) Method of teaching korean using database of voice contents
CN116343771A (en) Music on-demand voice instruction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knowledge graph
KR1026562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ssociative chinese learning contents using im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