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423A - 마개 부위, 몸체 부위, 힌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2 피스 원터치 캡의 마개 부위에 스커트 및 브리지를 장착하는 새로운 구조들 - Google Patents

마개 부위, 몸체 부위, 힌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2 피스 원터치 캡의 마개 부위에 스커트 및 브리지를 장착하는 새로운 구조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423A
KR20220022423A KR1020200104642A KR20200104642A KR20220022423A KR 20220022423 A KR20220022423 A KR 20220022423A KR 1020200104642 A KR1020200104642 A KR 1020200104642A KR 20200104642 A KR20200104642 A KR 20200104642A KR 20220022423 A KR20220022423 A KR 20220022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late
circumference
skirt
along
integ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희
Original Assignee
안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희 filed Critical 안진희
Priority to KR1020200104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2423A/ko
Priority to PCT/KR2020/013891 priority patent/WO2021071348A1/ko
Priority to US17/766,191 priority patent/US20240051714A1/en
Priority to JP2022521765A priority patent/JP2022551934A/ja
Priority to CN202080070989.7A priority patent/CN114555484A/zh
Priority to EP20873873.2A priority patent/EP4043360A4/en
Publication of KR2022002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3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Abstract

기존의 2 피스 원터치 캡(마개 부위, 몸체 부위, 힌지)의 마개 부위의 측면 몸체1의 하단 부위에 스커트를 브리지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설치하고, 이와 결합하는 몸체 부위의 측면 몸체2의 상부면에 결합턱 등을 설치하여 사전에 마개 부위를 개봉한 여부를 확인하는 새로운 구조의 병마개이다. 또한 이 새로운 병마개에 차단 구조들을 추가하여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존하는 구조를 추가한 병마개(2 피스 원터치 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개 부위, 몸체 부위, 힌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2 피스 원터치 캡의 마개 부위에 스커트 및 브리지를 장착하는 새로운 구조들{New structures that attach the skirt to the cover of the two-piece one-touch cap that integrally comprises the cap, body and hinge}
힌지(07)에 의하여 마개 부위(01), 몸체 부위(02)가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2 피스 원터치 캡의 마개 부위(01)에 있어서, 측면 몸체1(04)의 하단 부위(25)에 스커트(06) 및 브리지(05)를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장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2 피스 원터치 캡의 마개 부위(01)를 개봉하려고 할 때에 사전에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인 마개 부위(01)에 스커트(06) 및 브리지(05)를 설치하고 몸체 부위(02)에 결합 벽(10)을 새롭게 추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기존의 2 피스 원터치 캡을 장착한 완제품에 있어서는 개봉 여부를 소비자가 확인할 수가 없다. 따라서 완제품의 병마개의 외부표면에 수축 필름(40)을 씌우거나, 몸체 부위(02)의 차단판2(08)에 개봉 고리(41)를 일체형으로 갖는 유출구 판(42)을 설치하여 개봉 고리(41)를 이용하여 유출구판(42)을 제거하여 그 개봉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방법은 개봉을 위하여 수축 필름(40)과 유출구 판(42)을 병마개로부터 분리하므로 폐기물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고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 즉 마개 부위(01)에 스커트(06) 및 브리지(05)를 설치하고 몸체 부위(02)에 결합 벽(10)을 설치하려고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해결하려는 과제] 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 수단을 간단히 설명한다. 마개 부위(01)의 측면 몸체1(04)의 하단 부위(25)에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스커트(06)와 브리지(05)를 설치한다. 몸체 부위(02)의 측면 몸체2(09)의 상부면(24)에는 결합 벽(10)을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한다. 결합벽(10)의 내부면(26)에는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스커트(06)와 결합하는 걸림턱1(11)을 설치한다. 걸림턱1(11)은 브리지(05)와 결합하는 구조이다. 스커트(06)의 수평 길이는 측면 몸체1(04)의 원주의 길이에서 힌지(07)의 수평 폭의 길이를 제외한 길이이다. 스커트(06)는 힌지(07)의 좌측 변에서 원주를 따라 돌아서 우측 변에 이른다. 단, 개봉용 손잡이(12)를 기준으로 분리하여 두 개 이상의 스커트(06)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설명은 도면과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에서 설명토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열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개선점 포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친환경 제품으로서, 수축 필름(40)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2. 분리시켜서 폐기물을 발생시키는 유출구 판(42)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3. 개봉의 편의성
한 번의 동작으로 개봉이 가능하다.
4. 사전에 개봉 여부 확인 가능.
도면 1은, 기존 제품에 있어서 수축 필름으로 포장한 완제품에 대한 전면 입체도이다.
도면 2는, 기존 제품에 있어서 유출구 판을 설치한 몸체 부위의 차단 판에 대한 상부도이다.
도면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스커트를 마개 부위에 장착한 완제품의 전면 입체도이다(대표도).
도면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스커트를 장착한 마개부위의 하부도이다.
도면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스커트를 장착한 마개부위의 측면도이다.
도면 6은, 본 발명에 의하여 결합 벽을 설치한 몸체 부위의 상부도(차단판2 포함)이다.
도면 7은, 본 발명에 의하여 걸림 턱과 스커트(브리지 포함)가 결합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1은, 결합벽의 내부면에 걸림턱1을 설치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2는, 결합벽의 외부면에 걸림턱2를 설치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 8은, 본 발명에 의하여 신 2 피스 원터치 캡의 마개 부위, 몸체부위, 용기 입구에 차단 구조를 설치한 전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1 : 마개 부위 02 : 몸체 부위
03 : 차단 판1(마개 부위) 04 : 측면 몸체1(마개 부위)
05 : 브리지(측면 몸체 1) 06 : 스커트(측면 몸체 1)
07 : 힌지 08 : 차단 판2(몸체 부위)
09 : 측면 몸체2(몸체 부위) 10 : 결합 벽(몸체 부위)
11 : 걸림 턱1(결합 벽) 12 : 개봉용 손잡이
13 : 용기 14 : 용기 입구
15 : 상부면(용기 입구) 17 : 결합벽 홈(결합 벽과 차단 판2 사이의 홈, ∪)
18 : 링-가스켓1(마개부위 차단 판 하부면) 19 : 링-가스켓2(용기 입구 상부면)
20 : 경사면(측면 몸체2 내부 면과 차단 판 하부 면 사이)
21 : 링-가스켓3(몸체 부위의 차단 판 하부면)
22 : 유출구 23 : 유출구 벽
24 : 상부면(측면 몸체2) 25 : 하단 부위(측면 몸체1)
26 : 내부면(결합 벽) 27 : 하부면(차단 판1)
28 : 하부면(차단 판2) 29 : 유출구 용 차단 판1
30 : 잔여 차단 판1 31 : 잔여 차단 판2
32 : 나사선(마개 및 용기) 33 : 외부면(측면 몸체1)
34 : 외부면(측면 몸체2) 35 : 상부면(잔여 차단판2)
36 : 걸림턱2(측면 몸체2의 외부면 설치) 37 : 차단 1(유출구 벽 + 링-가스켓1)
38 : 차단 2(측면 몸체2 하부면과 차단 판 하부면 사이의 경사면 + 링-가스켓2)
39 : 차단 3(용기 입구 내부면 + 링-가스켓3) 40 : 수축 필름(개봉 확인용 포장)
41 : 개봉 고리(유출구 판) 42 : 유출구 판
43 : 허리 부위(용기) 44 : 몸체(용기)
45 : 내용물 46 : 저장 공간
47 : 잔여 결합벽 홈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에서는, 우선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고, 실시 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 1은, 기존 제품에 있어서 수축 필름으로 포장한 완제품에 대한 전면 입체도이다. 2 피스 원터치 캡(01+02)과 용기(13)가 결합한 전면 입체도이다. 2 피스 원터치 캡의 마개 부위(01)의 전면에는 개봉용 손잡이(12)를 설치한다. 마개 부위(01)와 몸체 부위(02)가 결합한 2 피스 원터치 캡을 사용하기 전에는 개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투명한 수축 필름(40)으로 포장한다. 도면 2는, 기존 제품에 있어서 유출구 판을 설치한 몸체 부위의 차단 판에 대한 상부도이다. 차단판2(08)는 유출구 판(42), 개봉 고리(41), 잔여 차단판2(31)와 측면 몸체2(09)로 구성한다. 몸체 부위(02)의 차단판2(08)에 유출구 판(42)을 설치한다. 유출구 판(42)을 분리하기 위하여 개봉 고리(41)를 일체형으로 설치한다. 도면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스커트를 마개 부위에 장착한 완제품의 전면 입체도이다(대표도). 마개 부위(01)에 있어서 측면 몸체1(04)의 하단 부위(25)의 원주를 따라 스커트(06)를 설치한다. 스커트(06)는 브리지(05)에 의하여 하단 부위(25)와 일체형이다. 결합 시에, 스커트(06)는 측면 몸체2(09)의 상부면(24)에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한 결합벽(10)에 매입되어 진다(따라서, 본 도면에서는 드러나지 않는다). 외부로는 브리지(05)의 일부만 드러난다. 용기(13)는 용기 입구(14). 허리 부위(43), 몸체(44)로 구성한다. 도면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스커트를 장착한 마개 부위의 하부도이다. 마개부위(01)는 차단판1(03)과 측면 몸체1(04)로 구성한다. 측면 몸체1(04)의 외부면(33)에는 개봉용 손잡이(12)를 설치하고 원주를 따라 그 반대 위치에는 힌지(07)를 장착한다. 차단판1(03)의 하부 면은 유출구 용 차단판1(29), 링-가스켓1(18), 잔여 차단판1(30)로 구성한다. 잔여 차단판1(30)의 외주면은 측면 몸체1(04)과 연결한다. 마개 부위(01)의 측면 몸체1(04)의 하단 부위(25)에 원주를 따라 브리지(05)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스커트(06)를 설치한다. 본 도면에서는 스커트(06)의 폭에 가려서 드러나지 않는다. 도면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스커트를 장착한 마개 부위의 측면도이다. 마개 부위(01)에 있어서 측면 몸체1(04)의 하단 부위(25)에 원주를 따라 브리지(05)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스커트(06)를 설치한 측면도이다. 좌측 끝에는 개봉용 손잡이(12)를 설치한다. 원주를 기준으로 정 반대의 위치에는 마개 부위(01)와 몸체 부위(02)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힌지(07)를 설치한다. 도면 6은, 본 발명에 의하여 결합 벽을 설치한 몸체 부위의 상부도(차단판2 포함)이다. 차단판2(08)는 원주의 중심으로부터 유출구(22), 유출구 벽(23), 잔여 차단판2(31)로 구성한다. 잔여 차단판2(31)의 외주선과 맞닿는 측면몸체2(09)의 상부면(24)에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결합벽(10)을 설치한다. 결합벽 홈(17)은 결합벽(10)과 잔여 차단판2(31)의 외주선 사이에 일정한 폭과 깊이로 원주를 따라 설치한다. 걸림턱1(11)은 결합벽(10)의 내부면(26)에 원주를 따라 돌출형으로 설치한다. 차단판2(08)의 중앙 부위에는 상하가 관통하는 유출구(22)를 설치하고 그 외주선을 따라 유출구 벽(23)을 일정한 수직 높이로 원주를 따라 설치한다. 따라서 차단판2(08)의 상부면은 유출구(22), 유출구 벽(23), 잔여 차단판2(31)로 구성한다. 도면 7은, 본 발명에 의하여 걸림턱과 스커트(브리지 포함)가 결합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측면 몸체2(09)의 결합벽(10)의 내부면(26)에 원주를 따라 설치한 돌출형의 걸림 턱1(11)과 측면 몸체1(04)의 하단 부위(25)에 설치한 브리지(05)와 스커트(06)가 결합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마개 부위(01)와 몸체 부위(02)를 결합 시에 상기한 두 개의 구조(걸림턱1[11] 및 스커트[06])가 맞물려서 결합한다. 도 7-1은, 결합벽의 내부면에 걸림턱1을 설치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스커트(06)를 결합벽 홈(17)에 결합(매입)하여 걸림 턱1(11)을 통과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2는, 결합벽의 외부면에 걸림턱2를 설치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결합벽 홈(17)이 생략되고, 걸림턱2(36)를 측면 몸체2(09)의 외부면(34)에 원주를 따라 일정한 돌출 높이 및 일체형으로 설치한 구조이다. 스커트(06)가 측면 몸체2(09)의 외부면(34)에 일체형으로 원주를 따라 설치한 걸림 턱2(36)를 통과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 8은, 본 발명에 의하여 신 2피스 원터치 캡의 마개 부위, 몸체부위, 용기 입구에 차단 구조를 설치한 전면 단면도이다. 본 단면도에서는 차단 구조들 및 그 기능을 중점적으로 강조한다. 마개 부위(01), 몸체 부위(02), 용기 입구(14)가 서로 결합하여 차단 기능을 갖는 곳은 3군데이다. 1) 마개 부위(01)의 차단판1(03)의 하부면(27)에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한 링-가스켓1(18)과 유출구 벽(23)의 외부면이 결합하는 위치이다. 차단1(37)로 표기한다. 2) 용기 입구(14)의 상부면(15)에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한 링-가스켓 2(19)와 경사면(20)이 결합하는 위치이다. 차단2(38)로 표기한다. 3) 몸체 부위(02)의 차단판2(08)의 하부면(28)에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한 링-가스켓3(21)과 용기 입구(14)의 내부면이 결합하는 위치이다. 차단3(39)으로 표기한다. 용기(13)의 저장 공간(46)에는 내용물(45)을 저장한다.「상기한 여러 도면들의 다양한 구조들을 통하여 제작하는 본 발명품의 실시 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기존의 2피스 원터치 캡처럼 마개부위(01)에 있어서 측면 몸체1(04)의 외부면(33)에 설치한 개봉용 손잡이(12)를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위 방향으로 열어젖힌다. 젖히는 힘에 의하여 측면 몸체1(04)의 하단 부위(25)에 설치한 브리지(05)는 끊어지면서 스커트(06)는 결합벽 홈(17)에 남기 때문에 기존 음료수 및 쥬스류 제품들처럼 개봉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고안한 내용들은, 동종 제품 류(병마개 및 그 용기)는 물론이며, 다른 분야인 어떠한 포장 제품류, 기계 설비류, 각종 시설류 등에도 일부 또는 전부를 직/간접적으로 적용 또는 응용할 수 있다.」

Claims (3)

  1. 힌지(07)가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마개 부위(01), 몸체 부위(02)를 주요 구조로 하며 이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측면 몸체1(04)과 차단판1(03)로 구성하는 마개 부위(01)와, 차단판2(08)와 측면 몸체2(09)로 구성하는 몸체 부위(02)를 갖는 기존의 2피스 원터치 캡(케찹, 식초, 마요네즈 제품 등에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병마개)과 이와 용기 입구(14)에 의하여 결합하는 용기(13)에 있어서,
    차단판1(03) 하부면(27)의 일정한 위치에 원통형의 링-가스켓1(18)을 일체형으로 갖는 마개 부위(01)와;
    측면 몸체1(04)의 하단 부위(25)에 있어서 브리지(05)에 의하여 스커트(06)를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갖는 마개 부위(01)와;
    측면 몸체2(09)의 상부면(24)에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결합 벽(10)과 잔여 차단판2(31)와 결합벽(10)의 내부면(26) 사이에 원주를 따라 일정한 수평폭과 수직 깊이를 갖는 결합벽 홈(17)을 구비하는 측면 몸체2(09)와;
    내부면(26)에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일정한 높이의 돌출턱 형인 걸림턱1(11)을 구비하는 결합벽(10)과
    차단판2(08)에 상하가 관통하는 일정한 직경의 유출구(22)를 갖는 몸체 부위(02)와;
    유출구(22)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수직 높이의 유출구 벽(23)을 갖는 차단판2(08)와;
    링-가스켓2(19)를 차단판2(08)의 하부면(28)에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갖는 차단판2(08)와;
    차단판2(08)의 하부면(28)과 측면 몸체2(09)의 내부면이 만나는 위치에 다양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20)을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갖는 몸체 부위(02)와;
    용기 입구(14)의 상부면(15)에 링-가스켓3(21)을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용기(13)와;
    마개부위(01)와 몸체부위(02) 및 몸체 부위(02)와 용기 입구(14)가 서로 결합하여 차단 기능을 갖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들과, 마개 부위(01)와 몸체부위(02)의 스커트, 브리지, 결합턱의 구조를 이용(응용)하여 개봉 확인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들에 관한 모든 것
  2. 청구항 1에 있어서,
    링-가스켓1(18)과 유출구 벽(23)이 서로 결합하여 차단 기능이 가능한 위치에 각각 설치하는 것과;
    마개 부위(01)의 차단판1(03)의 하부면(27)에 설치한 링-가스켓1(18)과, 몸체 부위(02)의 차단판2(08)의 상부면(24)에 설치한 유출구 벽(23)의 구조를 서로 맞바꾸어 설치하는 것과;
    측면 몸체1(04)에 설치하는 스커트(06), 브리지(05)와, 측면 몸체2(09)의 상부면(24)에 설치하는 결합벽(10), 걸림턱1(11), 결합벽 홈(17)을 서로 맞바꾸어 설치하는 것과;
    상기한 스커트(06), 브리지(05), 결합벽(10), 걸림턱1(11), 결합벽 홈(17)의 수평폭(길이) 및 높이를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다양하게 설치하는 모든 것
  3. 청구항 1, 2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결합 벽(10)과 결합벽 홈(17)을 설치하는 구조와 다른 구조로서,
    스커트(06)와 결합 하는 걸림턱2(36)가 측면 몸체2(09)의 외부면(34)의 일정한 위치(스커트와 결합이 가능한 위치)에 원주를 따라 일체형으로 설치(도7-2 참조)하는 것
KR1020200104642A 2019-10-10 2020-08-18 마개 부위, 몸체 부위, 힌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2 피스 원터치 캡의 마개 부위에 스커트 및 브리지를 장착하는 새로운 구조들 KR20220022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42A KR20220022423A (ko) 2020-08-18 2020-08-18 마개 부위, 몸체 부위, 힌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2 피스 원터치 캡의 마개 부위에 스커트 및 브리지를 장착하는 새로운 구조들
PCT/KR2020/013891 WO2021071348A1 (ko) 2019-10-10 2020-10-12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US17/766,191 US20240051714A1 (en) 2019-10-10 2020-10-12 Container cap and container having same coupled thereto
JP2022521765A JP2022551934A (ja) 2019-10-10 2020-10-12 容器キャップ及びそれが結合された容器
CN202080070989.7A CN114555484A (zh) 2019-10-10 2020-10-12 容器盖及结合该容器盖的容器
EP20873873.2A EP4043360A4 (en) 2019-10-10 2020-10-12 CONTAINER CAP AND CONTAINER PROVIDED WITH SAID CAP AND COUPLED TO THE LA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42A KR20220022423A (ko) 2020-08-18 2020-08-18 마개 부위, 몸체 부위, 힌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2 피스 원터치 캡의 마개 부위에 스커트 및 브리지를 장착하는 새로운 구조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423A true KR20220022423A (ko) 2022-02-25

Family

ID=8049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642A KR20220022423A (ko) 2019-10-10 2020-08-18 마개 부위, 몸체 부위, 힌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2 피스 원터치 캡의 마개 부위에 스커트 및 브리지를 장착하는 새로운 구조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24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56462C (en) Liquid containing and dispensing package
US4747498A (en) Safety dispensing closure-container package
US4434904A (en) Bottle closure
US20110108509A1 (en) Container closure
CA2534786A1 (en) Tamper evident fitment assembly
KR101630314B1 (ko) 안전 캡을 구비한 용기
ITMO980237A1 (it) "flacone con tappo di sicurezza, particolarmente per prodotti farmaceutici"
KR20220022423A (ko) 마개 부위, 몸체 부위, 힌지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2 피스 원터치 캡의 마개 부위에 스커트 및 브리지를 장착하는 새로운 구조들
GB2080775A (en) Plastics container and closure device
ITPR20130076A1 (it) Capsula di sicurezza di un contenitore.
JP4415675B2 (ja) 不正開封防止鍔付ヒンジキャップ
KR20170126366A (ko) 용기 입구 내부면과 결합하는 내캡의 걸림 및 차단 구조
EP1572550B1 (en) Threaded packaging with a "click" function
US4742927A (en) Tamper proof seal for a container closure
JP6880745B2 (ja) 詰め替え用容器
ITTO20111062A1 (it) Chiusura per bottiglie di vino o liquore, del tipo atto a rendere evidente una effrazione
JP2001146250A (ja) 打栓取付け式の合成樹脂製キャップ
KR20200099938A (ko) 차단성 강화(링 가스켓)를 위한 용기 입구 및 병마개의 새로운 구조
RU159788U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ейнера
EP0635435B1 (en) Dispensing closure with spout
EP3738900B1 (en) Container, especially for medicines
KR20220128915A (ko) 외캡과 결합하는 내캡의 걸림 및 차단 구조
JP4479367B2 (ja) 不正開封防止機能付き注出具
KR20230134864A (ko) 외캡과 결합하는 내캡의 걸림 및 차단 구조
KR20230149441A (ko) Pet 용기 입구 몸체 내부면의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