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301A -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based on listening learn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based on listening lear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301A
KR20220022301A KR1020200103306A KR20200103306A KR20220022301A KR 20220022301 A KR20220022301 A KR 20220022301A KR 1020200103306 A KR1020200103306 A KR 1020200103306A KR 20200103306 A KR20200103306 A KR 20200103306A KR 20220022301 A KR20220022301 A KR 20220022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user
contents
listening
prog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3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정호
Original Assignee
(주)듣는교과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듣는교과서 filed Critical (주)듣는교과서
Priority to KR1020200103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2301A/en
Publication of KR20220022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3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managing a learning schedule based on listening learning. The device includes: a logi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login of a user terminal; a learning parking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learning parking associated with the detection time point based on a learning schedule distributed for each week for the entire learning period when the login is detected; a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for visualizing and displaying the learning progress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distributed in the learning week; and a learning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learning progress.

Description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BASED ON LISTENING LEARNING}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based on listening learning

본 발명은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취학습을 위해 사전에 정의된 커리큘럼에 따라 사용자에게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고 학습 경과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technology based on listening learning, and more particularly, learning based on listening learning that can provide learning content to users and effectively manage the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a curriculum defined in advance for listening learning. It relates to a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최근 학습자가 어학이나 경제학과 같은 특정 카테고리의 학습을 멀티미디어 기기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는 학습을 위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 즉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PC, 핸드폰, 스마트폰 기타 휴대용 학습 단말 기기 등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장소에서 청취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Recently, it is frequently occurring that learners perform learning of a specific category such as language or economics using a multimedia device. For example, the learner may perform listening learning in different places using various multimedia devices, ie, personal computers, tablet PCs, cell phones, smart phones, and other portable learning terminal devices for learning.

학습자는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고 자신의 학습 계획 및 진도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어 자기주도 학습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기간의 학습 스케줄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은 개인에게 많은 어려움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학습 스케줄을 체계적인 관리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이를 적절히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Learners can take online lectures provided through the system and freely decide their own learning plan and progress, so that they can effectively conduct self-directed learning. Nevertheless, systematically managing and applying a long-term learning schedule can cause many difficulties for individuals. Therefore, the learner needs the wisdom to select a program that supports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learning schedule and utilize it appropriately.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9744호 (2009.05.1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49744 (2009.05.1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청취학습을 위해 사전에 정의된 커리큘럼에 따라 사용자에게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고 학습 경과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listening learning that can provide learning content to a user according to a pre-defined curriculum for listening learning and effectively manage the learning progr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학습 스케줄에 따른 학습 컨텐츠를 자동으로 제공하면서 학습이 필요한 것과 완료된 것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learning schedule based on listening learning, which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by automatically classifying learning required and completed while automatically providing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 learning schedule. .

실시예들 중에서,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을 검출하는 로그인 검출부; 상기 로그인이 검출되면 전체 학습 기간에 대해 주차 별로 분배된 학습 스케줄을 기초로 해당 검출 시점과 연관된 학습 주차를 결정하는 학습 주차 결정부; 상기 학습 주차에 분배된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에 관한 학습 경과를 시각화 하여 표시하는 학습 진도 표시부; 및 상기 학습 경과에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한다.In embodiments, the listening learning-based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includes a logi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login of the user terminal; a learning parking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learning parking associated with the detection time point based on a learning schedule distributed for each week for the entire learning period when the login is detected; a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that visualizes and displays the learning progress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distributed in the learning week; and a learning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ing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learning progress.

상기 학습 주차 결정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이스 명령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외부의 무선 스마트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고 해당 음성 명령을 기초로 상기 학습 주차를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voice command function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learning parking determining unit may interwork with an external wireless smart device to recognize the user's voice command and determine the learning parking based on the corresponding voice command.

상기 학습 진도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을 유형 별로 분류하고 해당 분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시각화를 수행하며, 상기 시각화는 고유 인터페이스로 구현된 시각화 영역을 통해 상기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의 전체 개수와 잔여 개수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classifies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by type and performs the visualizatio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result, wherein the visualization is the total number and the remaining number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through a visualization area implemented as a unique interface. It may include an operation of distinguishing and displaying the .

상기 시각화 영역은 원 형상의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면서 복수의 부분 영역들로 분할된 원형 링 형상의 제2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의 전체 개수가 표시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과목별 학습 컨텐츠들의 개수가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The visualization area includes a first area having a circular shape and a second area having a circular ring shap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ial areas while enclosing the first area, and the first area includes the total number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may be displayed, and the number of learning contents for each subject may be divided and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복수의 부분 영역들 각각이 각 과목에 대응되고 상기 과목별 학습 컨텐츠들의 개수에 비례하여 각 부분 영역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In the second reg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regions may correspond to each subject, and the size of each sub-region may be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learning contents for each subject.

상기 학습 진도 표시부는 전체 및 잔여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선택 옵션에 따라 상기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에 관한 학습 경과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면서 상기 각 부분 영역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may variably apply the size of each partial region while selectively displaying the learning progress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a selection op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whole and the remaining.

상기 학습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시각화 영역에서 구분되어 표시된 유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사용자의 선택이 발생하면 해당 선택과 연관된 학습 컨텐츠를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learning content providing unit may selectively provide learning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ion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types that are divided and displayed in the visualization area.

실시예들 중에서,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로그인이 검출되면 전체 학습 기간에 대해 주차 별로 분배된 학습 스케줄을 기초로 해당 검출 시점과 연관된 학습 주차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학습 주차에 분배된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에 관한 학습 경과를 시각화 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경과에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embodiments, the method for managing a learning schedule based on listening learning includes: detecting a login of a user terminal; when the login is detected, determining a learning week associated with the detection time based on a learning schedule distributed for each week for the entire learning period; Visualizing and displaying the learning progress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distributed to the learning parking; and providing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learning progress.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 및 방법은 청취학습을 위해 사전에 정의된 커리큘럼에 따라 사용자에게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고 학습 경과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learning schedule based on listening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learning content to a user according to a curriculum defined in advance for listening learning and effectively manage the learning progr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 및 방법은 학습 스케줄에 따른 학습 컨텐츠를 자동으로 제공하면서 학습이 필요한 것과 완료된 것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learning schedule based on listening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by automatically classifying learning required and completed while automatically providing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schedu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configuration of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of FIG. 1 .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of FIG. 1 .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 learning schedule based on listening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method based on listening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identification numbers (eg, a, b, c,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dentification numbers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system 100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10 , a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 and a database 150 .

사용자 단말(110)은 청취학습을 위한 학습 컨텐츠를 재생하고 학습 스케줄을 확인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음성 녹음 및 재생을 위한 마이크 및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that can reproduce learning content for listening learning and check a learning schedule,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phone, a laptop computer, or a compute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 tablet PC, etc. It can also be implemented in various devices.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microphone and speaker module for voice recording and reproduction.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Also,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through a network,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연동하여 사용자들에게 청취학습을 위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고 학습 경과에 따른 학습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블루투스, WiFi, 통신망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computer or program that can provide learning content for listening learning to users in conjunction with the user terminal 110 and manage a learning schedule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 there is.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Bluetooth, WiFi, a communication network, etc., and may exchange data with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network.

일 실시예에서,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청취학습 제공과 학습 스케줄 관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외부 시스템(도 1에 미도시함)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외부 시스템은 온라인 학습을 위한 서버에 해당할 수 있고, 학습 비용의 결제에 관한 결제 서버 또는 학습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서버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현 환경에 따라 다양한 외부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store data necessary for providing listening learning and managing the learning schedule in conjunction with the database 150 . Meanwhile, unlike FIG. 1 ,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the database 150 inside, and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ystem (not shown in FIG. 1 ) through a network. In this case, the external system may correspond to a server for online learning, may correspond to a payment server for payment of learning costs, or a community server for sharing learning-related informa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depend on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It may include various external devices.

일 실시예에서,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청취학습 과정에서 사용자가 음성으로 핵심 내용을 직접 요약하여 보이스 노트를 생성하고 이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청취학습의 과정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생성된 보이스 노트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하는 보이스 노트 수신부 및, 보이스 노트를 과목 별로 학습 컨텐츠와 연관지어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이스 노트에 관한 선택듣기와 공유를 제공하는 보이스 노트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provide a platform through which the user can directly summarize key contents by voice in the listening and learning process to create a voice note and share it with other users. To this end,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associates the voice note receiver for receiving the voice note generated by recording the user's voice from the user terminal 110 in the course of listening and learning, and the voice note for each subject with learning content. It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voice note management unit that stores and provides selective listening and sharing of at least one voice note.

여기에서, 보이스 노트는 사용자에 의해 녹음된 음성 파일에 해당할 수 있으며, 특정 학습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메모를 음성으로 기록한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이스 노트는 학습 컨텐츠 별로 등록 가능한 개수가 제한되고 소정의 재생시간 이내에서 제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이스 노트는 학습 컨텐츠 별로 1개씩 등록 가능하도록 개수가 제한될 수 있다. 즉, 보이스 노트는 학습 컨텐츠에 고유하게 생성되어 관리되도록 제한조건이 부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무분별한 보이스 노트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학습 컨텐츠의 핵심 내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보이스 노트의 사용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Here, the voice note may correspond to a voice file recorded by the user, and may correspond to a voice recording of the user's memo for specific learning content. In an embodiment, the number of registerable voice notes for each learning content is limited and may be generated within a predetermined playing time. For example, the number of voice notes may be limited so that one can be registered for each learning content. In other words, the voice note can be uniquely created and managed in the learning content, and restrictions can be given, and through this, the purpose of using the voice note to effectively manage the core content of the learning content is achieved by preventing the user's indiscreet voice note creation. can be

한편, 보이스 노트는 총 재생시간이 3분 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하나의 학습 컨텐츠에 대해 3분 이내의 보이스 노트를 1개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보이스 노트는 소정의 재생시간 이내에서만 생성되도록 제한조건이 부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제한된 시간 내에서 핵심 내용 만을 보이스 노트에 저장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이스 노트의 사용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total playback time of voice notes may be limited to 3 minutes or less. That is, the user can create and store one voice note within 3 minutes for one learning content. That is, a constraint may be imposed so that the voice note is created only within a predetermined playback time, and through this, the purpose of using the voice note can be achieved by allowing the user to store only the core contents in the voice note within a limited time.

즉, 사용자는 청취학습을 통해 학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기억하고 싶은 내용이나 중요한 내용을 음성으로 녹음하여 보이스 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보이스 노트를 선택하여 청취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보이스 노트에 녹음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텍스트 노트를 생성하는 텍스트 노트 변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rocess of learning through listening learning, the user can create a voice note by recording the content he or she wants to remember or important content by voice. In addition, users can select and listen to voice notes and share them with other users. In an embodiment,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further include a text note converter configured to convert a voice recorded in a voice note into text to generate a text note.

또한,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텍스트 노트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텍스트 노트의 내용을 해당 학습 컨텐츠의 청취학습 과정에서 자막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특정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해당 학습 컨텐츠와 연관되어 등록된 보이스 노트가 없는 경우, 해당 학습 컨텐츠와 연관되어 공유된 보이스 노트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텍스트 노트로 변환한 후 해당 텍스트 노트를 자막 형태로 변환하여 학습 컨텐츠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provide the content of the text note converted by the text note converting unit in the form of subtitles during the listening and learning process of the corresponding learning content. In addition, when there is no voice note registered in association with the learning content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specific learning content,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converts any one of the shared voice notes associated with the learning content as a text note. After conversion, the corresponding text note can be converted into a subtitle form and provided along with the learning content.

한편,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Meanwhile,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processor, a memory, a user input/output unit,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데이터베이스(150)는 학습 컨텐츠의 제공과 학습 스케줄의 관리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청취학습을 위한 학습 커리큘럼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청취학습을 위한 학습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가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150 may correspond to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quired in the process of providing learning content and managing a learning schedule. The database 15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 learning curriculum for listening learning, and may store information about learning content for listening learn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device 130 is based on listening learning. Information collected or processed in various forms can be stored in the process of managing the learning schedule.

도 2는 도 1의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of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processor 210 , a memory 230 , a user input/output unit 250 ,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

프로세서(210)는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의 각 동작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cedure for processing each operation of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device 130 , and manage the memory 230 that is read or written throughout the process, and the volatile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can be scheduled. The processor 2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30 ,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to control the flow of data therebetween. can do.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23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rive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storage device used to store overall data required for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device 130 and , and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 on-screen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and an out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monitor or a touch screen. In an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accessed through remote access, and in such a case,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performed as a server.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connecting with an external device or system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VAN (Wide Area Network) (VAN). It may include an adapter for communication such as Value Added Network).

도 3은 도 1의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of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로그인 검출부(310), 학습 주차 결정부(330), 학습 진도 표시부(350), 학습 컨텐츠 제공부(37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include a login detection unit 310 , a learning parking determination unit 330 , a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350 , a learning content providing unit 370 , and a control unit 390 . can

로그인 검출부(310)는 사용자 단말(110)의 로그인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으며, 로그인 검출부(310)는 사용자 인증 과정을 통해 특정 사용자의 로그인이 검출된 경우 해당 특정 사용자와 연관된 사용자 계정을 결정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로그인 검출부(310)는 로그인을 검출한 경우 로그인과 연관된 정보들, 예를 들어, 검출 시점, 로그인 시점, 로그인 위치, 사용자 단말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검출 신호를 생성하여 전파할 수 있다.The login detection unit 310 may detect a login of the user terminal 110 . The user can log in to his or her account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login detection unit 310 determines a user account associated with the specific user when a login of a specific user is detected through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is. can be obtained. When the login detection unit 310 detects login, it may generate and propagate a detection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login, for example, detection time, login time, login location, user terminal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the like.

학습 주차 결정부(330)는 로그인이 검출되면 전체 학습 기간에 대해 주차 별로 분배된 학습 스케줄을 기초로 해당 검출 시점과 연관된 학습 주차를 결정할 수 있다. 학습 주차 결정부(330)는 데이터베이스(150)에 기 설정되어 저장된 학습 커리큘럼을 참조하여, 로그인 검출 시점에서의 학습 주차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학습 주차는 전체 학습 기간에 대해 소정의 간격으로 설정된 단위 학습 기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주차는 1주일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학습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학습 커리큘럼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학습 스케줄 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When a login is detected, the learning parking determining unit 330 may determine a learning parking associated with the detection time based on a learning schedule distributed for each week for the entire learning period. The learning parking determining unit 330 may determine the learning parking at the login detection time with reference to the learning curriculum preset and stored in the database 150 . Here, the learning week may correspond to a unit learning period se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the entire learning period. For example, the learning week may be set at intervals of one week, and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device 130 may convert the learning curriculum input by the learning manager into a database and utilize it for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한편, 학습 커리큘럼은 전체 학습 기간(예를 들어, 52주) 동안의 단위 학습 기간 마다 학습 컨텐츠들을 분배하여 정의된 학습 스케줄에 해당할 수 있다.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학습 커리큘럼에 따라 각 주차별 학습 컨텐츠들에 관한 청취학습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학습 완료에 따라 학습 스케줄에 대한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의 학습 경과를 추적하여 학습량이 미달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이에 관한 주의 또는 알림을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고, 학습량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해당 학습 내용에 대한 복습 또는 평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learning curriculum may correspond to a learning schedule defined by distributing learning contents for each unit learning period for the entire learning period (eg, 52 weeks).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provide listening learning about the learning contents for each week according to the learning curriculum, and may provide a management function for the learning schedule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user's learning. For example,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track the user's learning progress and periodically transmit a notice or notification to the corresponding user when the learning amount is insufficient, and when the learning amount is met, periodically the corresponding learning cont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of the user by providing a review or evaluation of the.

일 실시예에서, 학습 주차 결정부(3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이스 명령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외부의 무선 스마트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고 해당 음성 명령을 기초로 학습 주차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스마트 장치는 인공지능 스피커(AI speaker)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음성 인식을 통해 음악 감상, 정보 검색 등의 기능을 원격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학습 주차 결정부(330)는 무선 스마트 장치와 연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해당 음성 명령이 청취학습에 관한 것인 경우 해당 청취학습을 위한 학습 주차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voice command function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learning parking determining unit 330 recognizes the user's voice command in conjunction with an external wireless smart device and determines the learning parking based on the voice command. can Here, the wireless smart device may correspond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I speaker), and may operate to remotely perform functions such as music listening and information search through voice recognition. That is, the learning parking determining unit 330 may interwork with the wireless smart device, recognize the user's voice command, and when the corresponding voice command relates to listening learning, may determine the learning parking for the corresponding listening learning.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공지능 스피커를 통해 'O월 O주차 강의를 들려줘' 또는 '잔여 강의를 들려줘'라는 음성 명령을 입력한 경우 학습 주차 결정부(330)는 해당 음성 명령에 대응되는 명령 신호를 인공지능 스피커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가 특정한 학습 주차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학습 주차 결정부(330)는 자체적인 음성 명령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동작하는 전용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음성 인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a voice command such as 'Listen to the lecture of O month O parking' or 'Listen to the remaining lecture'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the learning parking determining unit 330 provides a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oice command. by receiving from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the user can determine a specific learning parking. Meanwhile, the learning parking determining unit 330 may recognize the user's voice command through its own voice command function, and for this purpose, an interface for voice recognition is provided through a dedicated program or application operating on the user terminal 110 . can do.

학습 진도 표시부(350)는 학습 주차에 분배된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에 관한 학습 경과를 시각화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학습 진도 표시부(350)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동작하는 전용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학습 경과를 다양한 인터페이스로 구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경과는 그래프 또는 테이블 등의 형태로 시각화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학습량이나 학습 진행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350 may visualize and display the learning progress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distributed in the learning week. That is, 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350 may provide a learning progress in various interfaces in conjunction with a dedicated program or application operating on the user terminal 110 . For example, the learning progress may be visualized and displayed in the form of a graph or table,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user's learning amount or learning progress state can be intuitively confirmed.

일 실시예에서, 학습 진도 표시부(350)는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을 유형 별로 분류하고 해당 분류 결과를 기초로 시각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시각화는 고유 인터페이스로 구현된 시각화 영역을 통해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의 전체 개수와 잔여 개수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학습 컨텐츠는 학습 주제, 학습 목표 및 사용자의 개인 설정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학습 진도 표시부(350)는 유형 별로 분류된 결과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시각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학습 진도 표시부(350)는 학습 스케줄에 따라 사용자의 청취학습이 필요한 학습 컨텐츠와 이미 완료한 학습 컨텐츠 등을 유형 별로 정리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학습 상황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350 may classify a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by type and perform visualizatio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result. In this case, the visualiz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displaying the total number and the remaining number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by dividing them through a visualization area implemented as a unique interface. Learning content may be defined in various types according to learning topics, learning goals, and user's personal settings, and 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350 may perform visualization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utilizing the results classified for each type. . 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350 may help the user to intuitively understand his/her learning situation by organizing and displaying the learning content that the user needs to listen to and the already completed learning content by type according to the learning schedule.

일 실시예에서, 시각화 영역은 원 형상의 제1 영역과 제1 영역을 둘러싸면서 복수의 부분 영역들로 분할된 원형 링 형상의 제2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에는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의 전체 개수가 표시되고 제2 영역에는 과목별 학습 컨텐츠들의 개수가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시각화 영역은 학습 진도 표시부(350)에 의해 학습 경과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시각화 영역은 시각화 되어 표시되는 정보와 위치, 형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사전에 정의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visualization area may include a first area having a circular shape and a second area having a circular ring shap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ial areas while enclosing the first area. In addition, the total number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and the number of learning contents for each subject may be divided and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That is, the visualization area may correspond to an area in which th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is displayed by 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350 . The visualization area may be defined in advanc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visualized and display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a location, a shape, and the like.

보다 구체적으로, 시각화 영역은 두 개의 동심원을 가진 시간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가운데 위치하는 첫 번째 동심원은 제1 영역에 해당하며 사용자의 학습이 필요한 전체 학습 컨텐츠의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두 번째 동심원의 내부 중에서 제1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제2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영역은 시간표 형태로 분할된 복수의 부분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의 각 부분 영역들은 하나의 유형, 즉 하나의 과목에 대응될 수 있고, 대응되는 과목의 학습 컨텐츠의 개수를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visualization area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imetable having two concentric circles, the first concentric circle located in the center may correspond to the first area, and the total number of learning contents that the user needs to learn may be displayed. Also, a region excluding the first region among the inside of the second concentric circle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region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region. Also, the corresponding area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rtial areas divided in a timetable format. Each partial area of the second area may correspond to one type, that is, one subject, and the number of learning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subject may be independently displayed.

일 실시예에서, 제2 영역은 복수의 부분 영역들 각각이 각 과목에 대응되고 과목별 학습 컨텐츠들의 개수에 비례하여 각 부분 영역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제2 영역에 포함되는 부분 영역들 각각은 각 과목에 대응될 수 있고, 해당 과목으로 분류되는 학습 컨텐츠의 개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각화 되어 표시되는 과정에서 각 부분 영역의 크기가 학습 진도 표시부(35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학습 진도 표시부(350)는 학습 컨텐츠의 전체 개수에 대한 과목 별로 분류된 학습 컨텐츠의 개수의 비율에 따라 부분 영역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in the second area,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al areas may correspond to each subject, and the size of each partial area may be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learning contents for each subject. Each of the partial areas included in the second area may correspond to each subject, and the number of learning contents classified into the subject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being visualized and displayed, the size of each partial region may be determined by 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350 . That is, 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350 may determine the size of the partial region according to a ratio of the number of learning contents classified for each subject to the total number of learning contents.

한편, 부분 영역의 크기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부분 영역의 양쪽 경계에서 각각 연장되는 직선들 간의 사이각에 비례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컨텐츠의 전체 개수가 20이고, 특정 유형(또는 과목)으로 분류된 학습 컨텐츠의 개수가 10인 경우, 해당 특정 유형에 대응되는 부분 영역의 크기는 제2 영역 전체의 50%에 해당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사이각이 180도를 형성하는 부분 영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size of the partial region may be defined in proportion to an angle between straight lines respectively extending from both boundaries of the partial reg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rcle. For example, if the total number of learning contents is 20 and the number of learning contents classified into a specific type (or subject) is 10, the size of the partial area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type is 50% of the total of the second area This may be the case, and as a result, it may be determined as a partial region in which the angle between them forms 180 degrees.

일 실시예에서, 학습 진도 표시부(350)는 전체 및 잔여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선택 옵션에 따라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에 관한 학습 경과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면서 각 부분 영역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선택 옵션에 관한 토글 버튼을 입력하여 청취학습을 위한 전체 학습 컨텐츠 또는 현재 남아있는 잔여 학습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학습 진도 표시부(350)는 사용자의 학습 상황을 반영하여 전체와 잔여에 관한 부분 영역들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적용하여 시각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학습 컨텐츠가 어느 과목에 얼마나 분포하는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350 may variably apply the size of each partial region while selectively displaying the learning progress for a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a selection op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whole and the remaining. there is. That is, the user can selectively check the entire learning content for listening learning or the remaining learning content by inputting a toggle button for the selection option. In particular, 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350 may perform a visualization operation by variably applying the size of the whole and residual partial regions by reflecting the user's learning situation. Through this,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how much of the learning content needed for him/herself is distributed in which subject.

학습 컨텐츠 제공부(370)는 학습 경과에 연동하여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을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로그인 하는 경우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해당 사용자의 학습 진행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로그인 시점에서 해당 사용자에게 필요한 학습 컨텐츠들을 검출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없이도 학습 스케줄에 따른 진도 상황과 자신에게 필요한 학습 컨텐츠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The learning content providing unit 370 may provide a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110 in association with the learning progress. More specifically, when a user logs in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detect learning contents required for the corresponding user at the corresponding login time with reference to the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and It may be automatically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progress status according to the learning schedule and learning contents necessary for him/herself without any additional manipulation.

일 실시예에서, 학습 컨텐츠 제공부(370)는 시각화 영역에서 구분되어 표시된 유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사용자의 선택이 발생하면 해당 선택과 연관된 학습 컨텐츠를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학습 진도 표시부(350)는 학습 주차에 따른 학습 컨텐츠를 시각화 하여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시각화 결과를 확인함과 동시에 해당 시각화 영역의 특정 부분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선택과 연관된 학습 컨텐츠들을 선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학습 컨텐츠 제공부(370)는 사용자 단말(110)상에서 동작하는 인터페이스와 연동하여 해당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해당 선택과 연관된 학습 컨텐츠들을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learning content providing unit 370 may selectively provide learning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ion when a user's selection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divided and displayed types in the visualization area occurs. That is, 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350 can visualize and display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week, and the user selects a specific part of the visualization area while checking the visualization result to select the learning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ion. can be objectively verified. The learning content providing unit 370 may receive a user's selection by interworking with an interface operating on the user terminal 110, and select and provide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lection as a response thereto.

제어부(390)는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로그인 검출부(310), 학습 주차 결정부(330), 학습 진도 표시부(350) 및 학습 컨텐츠 제공부(3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 and a control flow between the login detection unit 310 , the learning parking determining unit 330 , 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350 , and the learning content providing unit 370 . Or you can manage the data flow.

도 4는 본 발명에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 learning schedule based on listening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로그인 검출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의 로그인을 검출할 수 있다(단계 S410).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학습 주차 결정부(330)를 통해 로그인이 검출되면 전체 학습 기간에 대해 주차 별로 분배된 학습 스케줄을 기초로 해당 검출 시점과 연관된 학습 주차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30).Referring to FIG. 4 ,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detect the login of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login detection unit 310 (step S410 ).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determine the learning parking associated with the detection time based on the learning schedule distributed for each week for the entire learning period when login is detected through the learning parking determining unit 330 (step S430) .

또한,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학습 진도 표시부(350)를 통해 학습 주차에 분배된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에 관한 학습 경과를 시각화 하여 표시할 수 있다(단계 S450).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학습 컨텐츠 제공부(370)를 통해 학습 경과에 연동하여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을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70).In addition,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visualize and display the learning progress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distributed in the learning week through 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350 (step S450).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provide a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110 in association with the learning progress through the learning content providing unit 370 (step S470).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5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method based on listening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청취학습을 위한 학습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110)은 전용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으며,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검출하여 해당 사용자의 학습 진도 및 학습 스케줄에 따른 학습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고,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5 to 7 ,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provide learning content for listening learning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110 may install and execute a dedicated program or application. The user may log in to his/her own account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 and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detect the user's login to determine the learning progress of the user and th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schedule, It can be provided through an interface.

도 5에서, 사용자는 로그인 시점, 즉 6월 26일자에 해당하는 학습 스케줄에 따라 6월 3주차(6월 21일 ~ 6월 27일) 강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6월 3주차에 분배된 강의는 총 11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캘린더 기능(510)를 통해 총 52주로 분할된 강의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다. 즉,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가 캘린더 기능(510)을 선택하면 전체 강의 일정을 확인할 수 있는 팝업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해당 팝업은 전체 강의 일정이 스케줄에 따라 정렬된 리스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미 학습이 완료된 학습 주차와 미완료된 학습 주차 및 진행중인 학습 주차를 서로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In FIG. 5 , the user may check a list of lectures during the 3rd week of June (June 21 - June 27) according to the learning schedule corresponding to the login time, that is, June 26. The lectures distributed in the 3rd week of June can consist of a total of 11 lectures. The user may search for a list of lectures divided into a total of 52 weeks through the calendar function 510 .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calendar function 510 ,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generate and provide a pop-up for checking the entire lecture schedule. The pop-up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list in which the entire lecture schedule is sorted according to the schedule, and may display the already completed learning parking, incomplete learning parking, and ongoing learning parking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여기에서, 사용자는 특정 학습 주차를 선택하여 해당 학습 주차에 분배된 학습 컨텐츠들에 접근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3월 5주차를 선택한 경우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해당 학습 주차에 해당하는 학습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즉, 3월 5주차에 배정된 학습 컨텐츠의 개수는 총 14강일 수 있다.Here, the user may select a specific learning week to access the learning contents distributed in the corresponding learning week. If the user selects the 5th week of March,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provide learn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learning week. That is, the number of learning contents allocated to the 5th week of March may be a total of 14 lectures.

한편,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학습 주차 결정부(330)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이스 명령 기능(530)이 활성화된 경우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고 해당 음성 명령을 기초로 학습 주차를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device 130 recognizes the user's voice command when the voice command function 530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rough the learning parking determining unit 330 and performs learning parking based on the corresponding voice command. can decide

도 6에서, 사용자는 토글 버튼(610)을 통해 전체강의와 잔여강의를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전체강의를 통해 학습 스케줄에 따라 6월 3주차에 배정된 강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잔여강의를 통해 해당 주차에 배정된 강의 목록 중 현재 수강하지 않고 남아 있는 강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학습 진도 표시부(350)를 통해 학습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시각화 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전체와 잔여 간의 전환에 따라 시각화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FIG. 6 , the user can selectively check the entire lecture and the remaining lectures through the toggle button 610 . That is, you can check the list of lectures assigned to the 3rd week of June according to the learning schedule through all lectures, and through the remaining lectures, you can check the list of lectures that are not currently taken among the list of lectures assigned to that week. In this case,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visualize and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350 , and may update and display the visualiz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ransition between the whole and the remaining.

도 6의 경우 토글 버튼(610)의 선택에 따라 전체강의에서 잔여강의로 변경됨에 따라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130)는 총 11강 중에서 총 9강의 잔여강의가 남아 있음을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사용자의 경우 배정된 과목 중 국어, 영어 과목의 강의를 1개씩 수강한 결과 잔여강의의 개수가 국어와 영어에서 각각 1씩 감소하여 표시될 수 있다.In the case of FIG. 6 , as the total lectures are changed to the remaining lecture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toggle button 610, the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130 may update and display the remaining lectures of 9 lectures among the 11 lectures.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corresponding user, as a result of taking one Korean and one English course among the assigned subjects, the number of remaining lectures may decrease by 1 in Korean and English, respectively, and may be displayed.

도 7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시각화 되어 표시된 학습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6월 3주차에 배정된 전체강의 중에서 사회 과목이 표시된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사회 과목의 강의만을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6월 3주차의 사회 과목에 배정된 강의는 총 2강에 해당할 수 있으며, 13강 시장 가격의 변동과 13강 실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체듣기 명령(710) 또는 각 강의 제목 옆에 배치된 선택듣기 명령(730)을 통해 해당 강의에 대한 청취학습을 개시할 수 있다.In FIG. 7 , the user can check information about the learning content visualized and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10 , and only the lecture of the corresponding social studies subject is selected by selecting the area in which the social studies subject is displayed from among all lectures assigned in the 3rd week of June. can be checked with The lectures assigned to the social studies course in the 3rd week of June may correspond to a total of 2 lectures, and may consist of the 13th lecture market price fluctuations and the 13th lecture unemployment. The user may start listening learning for the corresponding lecture through the full listening command 710 or the selective listening command 730 disposed next to each lecture titl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학습 스케줄 관리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로그인 검출부 330: 학습 주차 결정부
350: 학습 진도 표시부 370: 학습 컨텐츠 제공부
390: 제어부
510: 캘린더 기능 530: 보이스 명령 기능
610: 토글 버튼
710: 전체듣기 명령 730: 선택듣기 명령
100: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system
110: user terminal 130: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device
150: database
210: processor 230: memory
250: user input/output unit 270: network input/output unit
310: login detection unit 330: learning parking determination unit
350: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370: learning content providing unit
390: control unit
510: calendar function 530: voice command function
610: toggle button
710: command to listen to all 730: command to listen to selection

Claims (8)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을 검출하는 로그인 검출부;
상기 로그인이 검출되면 전체 학습 기간에 대해 주차 별로 분배된 학습 스케줄을 기초로 해당 검출 시점과 연관된 학습 주차를 결정하는 학습 주차 결정부;
상기 학습 주차에 분배된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에 관한 학습 경과를 시각화 하여 표시하는 학습 진도 표시부; 및
상기 학습 경과에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
a logi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login of the user terminal;
a learning parking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learning parking associated with the detection time point based on a learning schedule distributed for each week for the entire learning period when the login is detected;
a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that visualizes and displays the learning progress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distributed in the learning week; and
and a learning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ing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learning progr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주차 결정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이스 명령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외부의 무선 스마트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고 해당 음성 명령을 기초로 상기 학습 주차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arning parking determining unit
When the voice command function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listening-learning-based learning schedule, characterized in that in conjunction with an external wireless smart device, the user's voice command is recognized and the learning parking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rresponding voice command manage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진도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을 유형 별로 분류하고 해당 분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시각화를 수행하며,
상기 시각화는 고유 인터페이스로 구현된 시각화 영역을 통해 상기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의 전체 개수와 잔여 개수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Classifying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by type and performing the visualizatio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result,
The visualization is a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listening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operation of displaying the total number and the remaining number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by dividing them through a visualization area implemented as a unique inte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 영역은
원 형상의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면서 복수의 부분 영역들로 분할된 원형 링 형상의 제2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의 전체 개수가 표시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과목별 학습 컨텐츠들의 개수가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isualization area is
Consists of a circular-shaped first region and a circular ring-shaped second region enclosing the first region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ial regions,
The apparatus for managing a learning schedule based on listening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number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and the number of learning contents for each subject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복수의 부분 영역들 각각이 각 과목에 대응되고 상기 과목별 학습 컨텐츠들의 개수에 비례하여 각 부분 영역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region is
Each of the plurality of sub-regions corresponds to each subject, and the size of each sub-region i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learning contents for each subjec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진도 표시부는
전체 및 잔여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선택 옵션에 따라 상기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에 관한 학습 경과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면서 상기 각 부분 영역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earning progress display unit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based on listening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each partial region is variably applied while selectively displaying the learning progress for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a selection option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whole and the remain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시각화 영역에서 구분되어 표시된 유형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사용자의 선택이 발생하면 해당 선택과 연관된 학습 컨텐츠를 선별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earning content providing unit
A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listening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user's selection of any one of the types displayed separately in the visualization area occurs, learning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ion is selectively provided.
사용자 단말의 로그인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로그인이 검출되면 전체 학습 기간에 대해 주차 별로 분배된 학습 스케줄을 기초로 해당 검출 시점과 연관된 학습 주차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학습 주차에 분배된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에 관한 학습 경과를 시각화 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경과에 연동하여 상기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 스케줄 관리 방법.
detecting the login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login is detected, determining a learning week associated with the detection time based on a learning schedule distributed for each week for the entire learning period;
Visualizing and displaying the learning progress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distributed to the learning parking; and
Listening-learning-based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plurality of learning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learning progress.
KR1020200103306A 2020-08-18 2020-08-18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based on listening learning KR202200223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306A KR20220022301A (en) 2020-08-18 2020-08-18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based on listening lear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306A KR20220022301A (en) 2020-08-18 2020-08-18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based on listening lear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301A true KR20220022301A (en) 2022-02-25

Family

ID=8049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306A KR20220022301A (en) 2020-08-18 2020-08-18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based on listening lear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230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9744A (en) 2007-11-14 2009-05-19 (주)아윌패스 Method for managing the studying sche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9744A (en) 2007-11-14 2009-05-19 (주)아윌패스 Method for managing the studying sche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63106A1 (en) Reader mode for presentation slides in a cloud collaboration platform
US9761149B2 (en) Presenter selection support apparatus, presenter selection support system, and presenter selection support method
JP2018517971A (en) Technology to manage bookmarks for media files
JP7456741B2 (en) Reader mode for presentation slides in cloud collaboration platform
JPWO201406911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layback stat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0331304B2 (en) Techniques to automatically generate bookmarks for media files
CN105518604A (en) Feedback for lasso selection
JP6927537B2 (en) Chat room-based message object processor
JP2018109941A (en) Comment method for interactive content and comment scenario replay method
KR1022475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notes based on listening learning
KR202200223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based on listening learning
JP6733452B2 (en) Speech analysis program, speech analysis device, and speech analysis method
KR20230085333A (en) Apparatus for ai based children education solution
CN103838723A (en) Data associ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120027647A (en) Learning contents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314697B1 (en) Automatic learning frequency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based on listening learning
US10170088B2 (en) Computing device with touchscreen interface for note entry
KR20210127674A (en) Two-track continuous playback based listening learning provision device and method
KR102408965B1 (en) Playback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listening learning
KR102507466B1 (en) Method for providing smart study material
CN112785993B (en) Music generation method, device, medium and computing equipment
US20240015201A1 (en) Connected cloud applications
KR20230155814A (en) Class and student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capable of blocking class disturbances
KR20230046657A (en)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contents using the class progress database based on the progress table for each subject
KR202201391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korean history self-directed learning con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