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093A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093A
KR20220022093A KR1020210086291A KR20210086291A KR20220022093A KR 20220022093 A KR20220022093 A KR 20220022093A KR 1020210086291 A KR1020210086291 A KR 1020210086291A KR 20210086291 A KR20210086291 A KR 20210086291A KR 20220022093 A KR20220022093 A KR 20220022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eating surface
chair
positioning hole
surfac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이치 아사노
슈시 호소야
Original Assignee
동구안 콤비 스트롤러 앤드 토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구안 콤비 스트롤러 앤드 토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동구안 콤비 스트롤러 앤드 토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2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좌면부, 제1 좌면부와 상대 설치되는 제2 좌면부, 및 제1 좌면부와 제2 좌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1 좌면부의 배부에는 제1 위치결정홀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좌면부의 배부에는 제2 위치결정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좌면부의 높이는 제2 좌면부의 높이보다 높은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계속 적용이 가능하며 아동의 안전을 해치지 않으면서 수납이 편리하고 가정환경에 자연스럽게 융합될수 있다.

Description

의자{Chair}
본 발명은 가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흔히 볼 수 있는 가구로, 다리가 달린 가구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좌석, 의자 등받이를 포함하며, 때로는 팔걸이를 포함하기도 하며 통상적으로 의자 다리가 있어서 좌석의 높이를 지면보다 높게 한다.
의자는 일반적으로 작업의자와 휴식의자로 나누어져 있으며, 흔히 볼 수 있는 작업의자는 사무의자, 학교의자, 식탁의자, 회의의자, 바의자, 게임의자, 네일의자 등이 있으며, 흔히 볼 수 있는 의자로 접대/회의의자, 커피숍의자, 소파, 안락의자, 가조식 리클라이너, 하이백 체어, 안마의자 등이 있다. 이들 중 한 종류의 휴식의자는 저연령 아동용 의자이다.
저연령 아동용 의자는 일반 의자와 구조가 다르다. 기존 의자 중에는 이미 저연령 아동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의자가 적지 않지만, 이러한 의자에는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의자는 한 연령대 아동에게만 적용되거나 아동이 성장하면 새 의자로 교체할 수밖에 없는 데다 또한 디자인이 합리적이지 않아 노출된 부품이나 위험한 틈새가 있어 아동의 안전을 해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 기술에서의 부족한 점을 바탕으로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계속 적용할 수 있고, 아동의 안전을 해치지 않도록 개선된 의자를 제공할 수 있느냐가 당업자가 시급하게 해결해야 되는 기술적 난제로 되어 있다.
기존 기술의 부족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 뒤집기 및 등받이 고정을 통하여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계속 적용이 가능한 아동의 안전을 해치지 않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자는 다음과 같다.
제1 좌면부,
제1 좌면부와 상대 설치되는 제2 좌면부, 및
제1 좌면부와 제2 좌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1 좌면부의 배부에는 제1 위치결정홀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좌면부의 배부에는 제2 위치결정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좌면부의 높이는 제2 좌면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본 발명이 제공하는 의자에 따르면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계속 적용이 가능하며 아동의 안전을 해치지 않으면서 수납이 편리하고 가정환경에 자연스럽게 융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의자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자가 상하로 뒤집히지 않았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의자가 상하로 뒤집혔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의자에 등받이가 고정되어 있을 때 및 등받이가 떼어져 있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의자에 등받이가 고정되어 있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의자에 등받이가 고정되어 있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등받이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의자를 겹쳐 놓았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등받이가 고정되어 있는 의자를 겹쳐 놓았을 때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방안 및 장점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적 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기술한다. 다만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부분 실시예일뿐 모든 실시예는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창조적인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전제하에 취득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3과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의자는 제1 좌면부(1), 제2 좌면부(2) 및 연결부(3)를 포함한다. 제1 좌면부(1)와 제2 좌면부(2)는 상대 설치되고 연결부(3)는 제1 좌면부(1)와 제2 좌면부(2)를 연결한다. 도 2의 높이 h2는 제2 좌면부(2)의 높이이고 도 3의 높이 h1은 제1 좌면부(1)의 높이이며 h1는 h2 보다 높다. 제1 좌면부(1)의 배부에는 제1 위치결정홀(10)(도 2를 참조)이 설치되어 있고, 제1 위치결정홀(10)의 상부에 제1 거치부(1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1 좌면부(1)와 비슷하게 제2 좌면부(2)의 배부에는 제2 위치결정홀(20)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위치결정홀(20)의 하부에 제2 거치부(2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거치부(11)와 제2 거치부(21)는 모두 돌출구조이다.
도 4-6과 같이 의자는 등받이를 포함하고, 등받이는 등받이 본체(41), 등받이 본체(41)와 연결되는 등받이 잠금걸이(42), 등받이 본체(41)와 연결되고 등받이 잠금걸이(42) 하부에 위치하는 등받이 고정부(43), 및 등받이 고정부(43)에 설치되고 외부로 돌출되는 등받이 회전잠금레버(44)를 포함한다.
도 4-6은 등받이와 제1 좌면부(1)가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등받이 잠금걸이(42)는 제1 거치부(11)와 맞물리며, 등받이 회전잠금레버(44)는 제1 위치결정홀(10)에 끼워진 후 회전함으로써 등받이를 제1 좌면부(1)에 잠금 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거치부(11)는 돌출구조이고, 등받이 잠금걸이(42)는 당해 돌출구조에 맞물린다. 구체적으로 도 4의 좌측과 같이 고정할 때 등받이 잠금걸이(42)는 화살표 방향에 따라 아래로 향해 끼워지고 등받이 회전잠금레버(44)는 제1 위치결정홀(10)에 끼워지며 고정을 해제할 때 도 4의 우측과 같이 좌측과 반대되는 작업을 진행하여 화살표 방향에 따라 등받이 잠금걸이(42)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도 6과 같이 등받이 회전잠금레버(44)는 제1 위치결정홀(10)에 끼워진 후 회전하고 도면에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역시침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표시하고 있지만 회전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등받이를 제1 좌면부(1)에 고정시킬 수만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등받이 회전잠금레버(44)를 회전하지 않고 등받이 회전잠금레버(44)를 제1 위치결정홀(10)에 끼우는 것만으로 등받이 본체(41)를 제1 좌면부(1)에 잠금 시켜도 된다.
제1 실시형태의 의자는 상하로 뒤집어서 다양한 연령대 아동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등받이는 상응하게 제1 좌면부(1) 혹은 제2 좌면부(2)와 잠금 될 수도 있다. 등받이와 제2 좌면부(2)의 잠금 방식은 제1 좌면부(1)와의 잠금 방식과 유사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7개월 내지 6세(72개월)의 아동에 대해 제1 실시형태의 의자는 아래와 같이 이 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나이 7개월 내지 12개월 12개월 내지 36개월 36개월 내지 72개월
등받이 사용 사용 사용 혹은
사용하지 않음
의자의 상하 뒤집힘 여부 뒤집지 않음 뒤집음 뒤집음
즉, 7개월 내지 1세의 아동에 관하여, 의자를 뒤집지 않아 낮은 좌면(h1이 h2보다 높음)을 유지하며 아동의 나이가 어려 등받이를 사용해야 한다. 1세 내지 3세의 아동에 관하여, 1세 미만 보다 발육이 되었기에 의자를 뒤집어 높은 좌면(h1이 h2보다 높음)을 유지하며 아동의 나이가 어려 여전히 등받이를 사용해야 한다. 3세 내지 6세의 아동에 관하여, 의자를 뒤집어 높은 좌면(h1이 h2보다 높음)을 유지하며 아동의 나이는 이미 쾌적 정도에 따라 등받이를 적당히 사용하는 연령대에 속한다. 여기서 h1은 170-20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h2는 140-16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로써 아이가 앉을 때 자연스럽게 편안하고 저항하지 않으며 어릴 때부터 좋은 앉은 자세를 키울 수 있다. 의자 본체는 충분한 공간을 차지하고 안정적이며 안전하다. 등받이는 아기의 등을 더 잘 지탱할 수 있고 분리 가능하고 높은 위치 및 낮은 위치에 모두 설치 사용이 가능하다. 아기가 앉을 때 의자의 높이가 적당하고 무릎이 자연스럽게 구부러지며 발은 지면에 닿는다.
또한 현대 가정환경에 자연스럽게 융합될 수 있도록 의자의 색상은 회색, 연회색, 주황색, 파란색, 노란색, 분홍색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의자는 다른 적합한 색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등받이를 포함하여 전체 의자의 재질은 경량화를 실현하도록 친환경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 및 도 8과 같이 의자의 본체 부분은 원호 모양의 오목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중에 견디며 안정적이고 안전하다. 때문에 등받이의 고정 여부에 관계없이 복수의 의자는 수평방향 혹은 수직방향으로 겹쳐서 수납될 수 있고 보관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유치원, 놀이공원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 응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의자는 종래 기술에 비해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계속 적용이 가능하며 7개월부터 6세까지의 아동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채택해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등받이는 맞물림 방식으로 고정되어 노출된 부품이 없고 위험한 틈새가 없으며 아동의 안전을 해치지 않으면서 수납이 편리하고 가정환경에 자연스럽게 녹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장치 실시형태에서 언급된 각 단위는 모두 논리 단위(Logical unit)이고, 한 논리 단위는 한 물리적 단위일 수 있고, 물리 단위의 일부일 수 있으며, 복수의 물리 단위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논리 단위 자체의 물리적 실현 방식은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니고 이러한 논리 단위가 실현하는 기능의 조합이야 말로 본 발명이 제기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관건이다. 또한 본 발명의 혁신적인 부분을 부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상기 각 장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제기한 기술적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없는 유닛은 도입하지 않았고 이는 상기 장치 실시형태에 다른 단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청구 범위 및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등과 같은 관계 용어는 하나의 실체 또는 작업을 다른 실체 또는 작업과 구별하는 데만 사용되며 반드시 이러한 실체 또는 작업 사이에 이러한 어떤 실제 관계 혹은 순서가 있음을 요구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용어 "포함", "포괄" 혹은 이의 기타 다른 변형은 비 배타적 포함을 포함하므로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확히 나열되지 않은 기타 요소도 포함하고 혹은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품목 또는 장비가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 더 이상의 제한이 없는 경우 "하나를 포함한다"라는 문장으로 한정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비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도시와 설명을 진행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에 대해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여러 가지 변화를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8)

  1. 제1 좌면부,
    상기 제1 좌면부와 상대 설치되는 제2 좌면부, 및
    상기 제1 좌면부와 상기 제2 좌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좌면부의 배부에는 제1 위치결정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좌면부의 배부에는 제2 위치결정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좌면부의 높이는 상기 제2 좌면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위치결정홀의 상부에 제1 거치부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위치결정홀의 하부에 제2 거치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등받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는 등받이 본체,
    상기 등받이 본체와 연결되는 등받이 잠금걸이,
    상기 등받이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 잠금걸이 하부에 위치하는 등받이 고정부,
    상기 등받이 고정부에 설치되고 외부로 돌출되는 등받이 회전잠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잠금걸이는 상기 제1 거치부와 맞물리며,
    상기 등받이는 상기 등받이 회전잠금레버가 제1 위치결정홀로부터 끼워진 후 회전함으로써 제1 좌면부에 잠금 되고, 혹은 등받이 회전잠금레버가 회전하지 않고 등받이 회전잠금레버가 제1 위치결정홀에 끼워지는 것만으로 제1 좌면부에 잠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좌면부와 상기 제2 좌면부가 상하로 뒤집어졌을 때 상기 등받이 잠금걸이와 상기 제2 거치부가 맞물리며,
    상기 등받이는 상기 등받이 회전잠금레버가 제2 위치결정홀로부터 끼워진 후 회전함으로써 제1 좌면부에 잠금 되고, 혹은 등받이 회전잠금레버가 회전하지 않고 등받이 회전잠금레버가 제2 위치결정홀에 끼워지는 것만으로 제1 좌면부에 잠금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좌면부의 높이는 170-200mm이고,
    상기 제2 좌면부의 높이는 140-16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의자의 재질은 친환경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원호 모양의 오목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210086291A 2020-08-17 2021-07-01 의자 KR202200220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825403.5 2020-08-17
CN202010825403.5A CN114073384A (zh) 2020-08-17 2020-08-17 座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093A true KR20220022093A (ko) 2022-02-24

Family

ID=8028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291A KR20220022093A (ko) 2020-08-17 2021-07-01 의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84432B2 (ko)
KR (1) KR20220022093A (ko)
CN (1) CN114073384A (ko)
TW (1) TWI774423B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5660A (en) * 1965-04-12 1966-11-15 Beckman Ronald Seating
JPS4817139Y1 (ko) * 1969-12-05 1973-05-16
TWM344816U (en) * 2008-03-24 2008-11-21 bao-xian Cheng Structure of kid’s high chair in which the back and main body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WO2009158134A1 (en) 2008-05-30 2009-12-30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 seat with adjustable back
CN201480757U (zh) * 2009-09-10 2010-05-26 浙江大学 一种多功能儿童椅
US8870277B2 (en) * 2012-06-06 2014-10-28 Frederick J. Yestadt Adjustable height furniture and method
JP2014023822A (ja) 2012-07-30 2014-02-06 Richell Corp 幼児用椅子
JP3191949U (ja) 2014-03-10 2014-07-24 株式会社シーエー産商 幼児用ゲート
TWM492107U (zh) * 2014-09-01 2014-12-21 Jean Yeen Ind Co Ltd 具有椅背之可攜式摺疊椅
DE102018204778B4 (de) 2017-04-04 2019-06-27 Wonderland Switzerland Ag Multifunktioneller Hochstuhl
JP7081798B2 (ja) 2018-04-13 2022-06-07 丸紅木材株式会社 幼児用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74423B (zh) 2022-08-11
CN114073384A (zh) 2022-02-22
TW202208218A (zh) 2022-03-01
JP2022033704A (ja) 2022-03-02
JP7384432B2 (ja)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7493B2 (en) Composite assembly of interconnectable furniture
US6796614B1 (en) Modular furniture unit
US5707108A (en) Cushioning device
KR20220022093A (ko) 의자
US5104179A (en) Combination table and toy device
US7134727B2 (en) Sofa lovers' sofa
US20070007789A1 (en) Tailgate recliner
US2962086A (en) Tv stool and rest
CA2545560A1 (en) Chair for healthy sitting
US7565869B2 (en) Utility table
US2593623A (en) Body rest for viewing television
US2170382A (en) Party lounge and furniture construction
CA2108445A1 (en) Foldable chair
US6820932B2 (en) Computer bench
KR20210080878A (ko) 다용도 의자
CN219613410U (zh) 一种多功能藤椅
KR20200072248A (ko) 분할형 다용도의자
CN219500702U (zh) 一种座椅用高度可调节的支撑组件
CN219515750U (zh) 一种高支撑的稳定结构餐椅
CN209950748U (zh) 一种圆形沙发
JP3237217U (ja) 椅子
CN212233799U (zh) 一种舒适的等候椅
CN211833624U (zh) 一种便于调节的椅子
KR200307441Y1 (ko) 공간확장이 가능한 소파
KR200355172Y1 (ko) 좌식 겸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