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720A - 도서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도서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720A
KR20220021720A KR1020200102620A KR20200102620A KR20220021720A KR 20220021720 A KR20220021720 A KR 20220021720A KR 1020200102620 A KR1020200102620 A KR 1020200102620A KR 20200102620 A KR20200102620 A KR 20200102620A KR 20220021720 A KR20220021720 A KR 20220021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shelf
book loading
spring member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819B1 (ko
Inventor
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이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이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이콤
Priority to KR1020200102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819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20Book-ends

Abstract

도서 적재 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도서 적재 공간이 형성되는 도서 적재함, 반납되는 도서를 상기 도서 적재함으로 이송하여 상기 도서 적재 공간을 향해 자유 낙하시키는 도서 이송부, 상기 도서 적재 공간에 설치되고 낙하되는 상기 도서가 안착되는 도서 적재 선반, 및 상기 도서 적재 선반의 일측에 결합되고 도서의 낙하 시작 위치에 인접하게 상기 도서 적재 선반을 초기 위치시키고 도서가 낙하되어 안착되는 위치가 상기 초기 위치를 유지하도록 도서가 안착된 상기 도서 적재 선반을 이동시키는 선반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서 적재 장치 {BOOK LO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서 반납기의 도서 적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납되는 도서가 적재함에 낙하되어 적재시 낙하 구간을 최소화하여 도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적재 가능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도서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공공기관 등에서 운영하는 각 도서관에는 학생 및 일반인들을 위해 대량의 학술 및 일반 도서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도서관을 이용하기 위한 학생 및 일반인들은 도서관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도서들을 열람한 후 특정 도서의 대출을 도서관측에 신청하여 대출받고, 정해진 대출 기간이 종료되기 이전에 대출받은 해당 도서를 반납하게 된다.
최근에는, 컴퓨터가 일반화되고 각종 무인자동화장비가 급속히 발전됨에 따라, 도서관에서도 자동 대출반납기를 포함한 여러 무인자동화 장비를 갖추게 되었다. 이에, 도서대출 관리자를 거치지 않고도 무인 도서 대출반납기를 이용하여 이용자 혼자서 직접 도서를 대출 및 반납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도서 반납기는 내부에 반납되는 도서들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이 마련되어 도서 반납시 반납되는 도서가 적재함에 자동으로 자유낙하되어 적재 및 일괄 수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서는 자유낙하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파손이 생길 수 있고, 특히 낙하구간이 길수록 충격이 강해 도서의 파손우려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도서가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낙하구간을 짧게 할 경우 상대적으로 도서의 적재 공간이 작아지게 되어 반납하는 도서의 수량에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자동 도서 반납기의 정상적인 운영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78238호는 도서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투입구를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서 투입구로 투입되는 도서를 이송시키는 피더부와, 케이스의 내부에서 피더부에 의해 이송되는 도서의 바코드의 정보를 읽는 바코드리더와, 피더부에 의해 이송된 도서가 담겨지는 다수의 도서적재함과,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피더부 및 바코드리더를 제어하는 퍼스널 컴퓨터로 이루어진 도서 회수장치로서, 퍼스널 컴퓨터를 관리자가 있는 메인 컴퓨터에 연결함으로써 도서반납자가 도서를 반납하는 정보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처리가 가능하고, 도서 회수장치를 도서 반납자에 가까운 장소에 비치하여 둠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8556호는 대출이력정리기를 구비한 도서 스스로 반납기에 관한 것으로, 도서반납함을 포함하는 수납장, 상기 수납장에 설치되고 책의 반납시 책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인식코드를 추출하며 상기 인식코드를 송신하는 광스캐너, 상기 광스캐너에서 송신된 인식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인식코드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개폐구를 개방한 후 폐쇄하는 개폐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송신된 개폐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도서반납함의 상측 전면에 형성된 개폐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어린이들이 이용하기 편리하고 분실위험을 최소화하는 대출이력정리기를 구비한 도서 스스로 반납기를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78238호(2005.03.11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158556호(2012.06.14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납되는 도서가 적재함에 낙하되어 적재시 낙하 구간을 최소화하여 도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적재 가능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도서 적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재함 내에 도서 낙하 시작 위치에 인접하게 도서 적재 선반을 설치하고 도서 적재에 따라 도서 적재 선반이 상하로 이동하여 도서의 낙하 구간이 도서 낙하 시작 위치에 인접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도서 적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 쌍의 스프링을 사용하여 도서 적재 선반에 제공하는 스프링 력을 높여 도서 적재 선반의 이동 가능 길이를 확장시켜 도서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도서 적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도서 적재 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도서 적재 공간이 형성되는 도서 적재함, 반납되는 도서를 상기 도서 적재함으로 이송하여 상기 도서 적재 공간을 향해 자유 낙하시키는 도서 이송부, 상기 도서 적재 공간에 설치되고 낙하되는 상기 도서가 안착되는 도서 적재 선반, 및 상기 도서 적재 선반의 일측에 결합되고 도서의 낙하 시작 위치에 인접하게 상기 도서 적재 선반을 초기 위치시키고 도서가 낙하되어 안착되는 위치가 상기 초기 위치를 유지하도록 도서가 안착된 상기 도서 적재 선반을 이동시키는 선반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서 적재함은 상기 선반 이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독립된 상기 도서 적재 공간을 형성하고 일면에 상기 도서 적재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되고 바닥 저면에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반 이동부는 상기 도서 적재함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고정 프레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스프링으로 된 제1 스프링부재,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스프링으로 된 제2 스프링부재,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상단이 연결되는 상부 수평바와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하단이 관통되고 양측 단부에 상기 제2 스프링부재의 하단이 연결되는 하부 수평바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 상기 도서 적재 선반과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을 관통한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하단이 연결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상부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스프링부재의 상단이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도서 적재함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상부 고정 프레임과 상기 도서 적재함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 이동부는 동일 길이를 갖는 한쌍의 인장 스프링으로 상기 제1 스프링부재와 상기 제2 스프링부재를 각각 구성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를 안쪽에 배치하고 상기 제2 스프링부재를 바깥쪽에 배치하여 상기 도서 적재 선반에 도서가 안착되면 상기 제2 프레임에 하중이 작용하여 상기 제1 스프링부재가 늘어나면서 상기 제1 프레임을 하부방향으로 당겨 이동시켜 상기 제2 스프링부재가 늘어나면서 상기 도서 적재 선반을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선반 이동부는 상기 제2 스프링부재의 늘어나는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을 이동시켜 도서 적재 가능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늘어나는 길이에 따라 상기 도서 적재 가능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적재 장치는 반납되는 도서가 적재함에 낙하되어 적재시 낙하 구간을 최소화하여 도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적재 가능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적재 장치는 적재함 내에 도서 낙하 시작 위치에 인접하게 도서 적재 선반을 설치하고 도서 적재에 따라 도서 적재 선반이 상하로 이동하여 도서의 낙하 구간이 도서 낙하 시작 위치에 인접하게 유지될 수 있어 자유 낙하된 도서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적재 장치는 복수 쌍의 스프링을 사용하여 도서 적재 선반에 제공하는 스프링 력을 높여 도서 적재 선반의 이동 가능 길이를 확장시켜 도서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보다 많은 권수의 도서를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적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도서 적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도서 적재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있는 도서 적재 선반과 선반 이동부 사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에 있는 선반 이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a-8b는 도 6에 있는 선반 이동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적재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적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도서 적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있는 도서 적재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적재 장치(100)는 도서 적재함(110), 도서 이송부(120), 도서 적재 선반(130) 및 선반 이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서 적재함(11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도서 적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적재함(110)은 선반 이동부(140)를 중심으로 양측에 독립된 도서 적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서 적재함(110)은 일면에 도서 적재 공간에 적재 보관된 도서들을 수거할 수 있도록 도어(111)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서 적재함(110)은 위치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바닥 저면에 바퀴(113)가 설치될 수 있다.
도서 이송부(120)는 도서 투입구(미도시)를 통해 도서 반납기 내부로 투입되는 도서(200)를 도서 적재함(110)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이송부(120)는 도서 투입구와 도서 적재함(110) 사이에 도서 이송을 할 수 있고 이송해온 도서를 도서 적재함(110)의 도서 적재 공간을 향해 자유 낙하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도서 이송부(120)는 도서 적재함(110)의 중심에 배치되는 선반 이동부(140)의 상부에 배치되고 모터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도서 투입구에 투입되는 도서를 도서 적재함(110)의 상부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도서 이송부(120)는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도서 적재 공간 중 적어도 한 공간을 향해 도서를 자유낙하시켜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이송부(120)는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도서 적재함(110)의 도서 적재 공간들 중 중 한쪽 도서 적재 공간에 도서를 먼저 가득 채운 후 다른 한쪽의 도서 적재 공간에 도서가 적재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양쪽의 도서 적재 공간에 교번적으로 도서가 적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서 적재 선반(130)은 도서 적재함(110) 내의 도서 적재 공간 각각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적재 선반(130)은 도서 적재 공간 내에 수평 설치되고 도서 이송부(120)로부터 자유 낙하되는 도서(20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서 적재 선반(130)은 선반 이동부(140)에 의해 도서 적재함(110)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도서 적재 선반(130)은 안착된 도서가 없는 경우에는 도서 이송부(120)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이동한다. 그리고 도서 적재 선반(130)은 안착된 도서의 중량이 늘어날수록 점차 도서 적재함(110)의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서가 채워진 공간을 넓혀가게 된다.
선반 이동부(140)는 양측 도서 적재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도서 적재 선반(130)들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도서 적재 선반(130)에 안착된 도서의 중량에 따라 도서 적재 선반(13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반 이동부(140)는 도서 적재 선반(130)에 안착된 도서가 없는 경우에 도서의 자유낙하 구간이 최소화되도록 도서 낙하 시작 위치 주변에 배치시킨다. 여기에서, 도서 낙하 시작 위치는 도서 적재함(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도서 이송부(120)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선반 이동부(140)는 도서 적재함(110) 내에서 도서 적재 공간이 최대화되도록 도서 적재 선반(130)을 도서 적재함(110)의 바닥면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있는 도서 적재 선반과 선반 이동부 사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4에 있는 선반 이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서 적재 선반(130)은 선반 이동부(140)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서 적재 선반(130)은 도서 적재함(110) 내에 수평 설치될 수 있고 도서 적재함(110) 내로 낙하되는 도서(20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선반 이동부(140)는 도서 적재 선반(13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고 도서 적재 선반(130)에 안착된 도서의 중량에 따라 도서 적재 선반(13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반 이동부(140)는 도서 적재함(110)의 중앙에 설치되어 도서 적재함(110) 내에 복수의 독립된 도서 적재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독립된 도서 적재 공간에 도서 적재 선반(13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선반 이동부(140)는 상부 고정 프레임(310), 제1 스프링부재(320)과 제2 스프링(330), 제1 프레임(340)과 제2 프레임(350), 제1 샤프트(360)와 제2 샤프트(3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 고정 프레임(310)은 도서 적재함(110)의 상부 중앙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부 고정 프레임(310)은 선반 이동부(140)를 도서 적재함(110) 내에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에 해당될 수 있다. 상부 고정 프레임(310)의 상부에는 도서 이송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 고정 프레임(310)는 양측 단부에 제2 샤프트(370)의 일단이 고정 체결될 수 있다. 상부 고정 프레임(310)는 상면이 개구된 형태로 상면 개구에 제2 스프링부재(330) 및 제1 샤프트(360)가 고정 체결될 수 있는 연결 브라켓(311)이 마련될 수 있다. 선반 이동부(140)는 상부 고정 프레임(310)을 중심으로 양측에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프링부재(320)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제2 스프링부재(330)는 제1 스프링부재(320)를 구성하는 한쌍의 스프링에 대해 각각 외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프링부재(320)는 제1 프레임(340)과 제2 프레임(350) 사이에 설치되고, 제2 스프링부재(330)는 상부의 연결브라켓(311)과 제1 프레임(34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스프링부재(320) 및 제2 스프링부재(330)는 각각 동일 길이를 갖는 한쌍의 인장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인장스프링은 인장력을 이용한 것으로 외부에서 당겨지는 힘에 의해 늘어난 상태에서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는 스프링이다.
제1 프레임(340)은 제1 샤프트(36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40)은 상하 수평바(341,343)와 양측 수직바(345,347)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수평바(341)에는 제1 스프링부재(320)의 상단이 연결되고 하부 수평바(343)에는 제1 스프링부재(320)의 하단이 관통될 수 있다. 제1 스프링부재(320)의 하단은 제1 프레임(340)의 하부 수평바(343)를 관통한 후 제2 프레임(3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프레임(350)은 제2 샤프트(37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프레임(350)은 도서 적재 선반(130)의 일측 및 하부에 결합되어 도서 적재 선반(130)을 이동시키며 도서 적재 선반(130)에 안착되는 도서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프레임(350)은 측판(351)과 바닥판(3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측판(351)은 제1 프레임(340)의 전면에 배치되고 제1 프레임(340)의 하부 수평바(343)를 관통한 제1 스프링부재(320)의 하단이 고정되고 도서 적재 선반(130)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바닥판(353)은 측판(351)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도서 적재 선반(130)의 하부 양측에 결합되어 도서 적재 선반(130)이 도서가 가득 채워진 위치까지 하강한 경우 도서 적재함(110)의 바닥면으로부터 도서 적재 선반(130)을 받치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샤프트(360)는 도서 적재함(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스프링부재(320)의 양측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부의 연결 브라켓(311)에 고정 체결되고 타단이 제1 프레임(340)의 상하 수평바(341,343)를 관통하여 도서 적재함(110)의 바닥면에 고정 체결된다. 제1 샤프트(360)는 제1 프레임(340)의 상하 방향으로의 승하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샤트프(370)는 도서 적재함(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 스프링부재(330)의 양측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부 고정 프레임(310)에 고정 체결되고 타단이 제2 프레임(350)의 측판(351)을 관통하여 도서 적재함(110)의 바닥면에 고정 체결된다. 제2 샤프트(370)는 제2 프레임(350)의 상하 방향으로의 승하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샤프트(360) 및 제2 샤프트(370)와 제1 프레임(340) 및 제2 프레임(350)과의 사이에는 부시(380)가 개재되어 마찰없이 제1 프레임(340) 및 제2 프레임(35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도 6에 있는 선반 이동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선반 이동부(140)는 도서 적재 선반(130)에 도서가 안착되는 경우 도서 적재 선반(130)과 결합된 제2 프레임(350)에 하중이 작용하고 이때 제2 프레임(350)에 하단이 연결된 제1 스프링부재(320)가 늘어나면서 제1 스프링부재(320)의 상단과 연결된 제1 프레임(340)을 하부방향으로 당겨 이동시킨다. 제1 프레임(340)이 제1 샤프트(360)를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프레임(340)에 하단이 연결된 제2 스프링부재(330)가 늘어나게 된다. 도서 적재 선반(130)에 도서가 적재될수록 안쪽에 배치된 제1 스프링부재(320)와 바깥쪽에 배치된 제2 스프링부재(330)가 동시에 조금씩 늘어나게 된다. 바깥쪽 제2 스프링부재(330)가 완전히 늘어난 상태에서도 제1 프레임(340)에 고정 체결된 안쪽 제1 스프링부재(320)가 늘어나면서 도서 적재 선반(130)이 하강할 수 있어 도서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프레임(350)의 바닥판(353)이 도서 적재함(110)의 바닥면에 도달하면 도서 적재가 완료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적재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선반 이동부(140)는 도서가 적재되기 전에 도서 적재 선반(130)을 초기 위치에 위치시킨다. 여기에서, 도서 적재 선반(130)의 초기 위치는 도서 적재함(110) 상부의 도서 낙하 시작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해당한다. 도서 낙하 시작 위치는 도서 이송부(120)가 도서(200)를 자유 낙하시키는 위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도서 적재 선반(130)의 초기 위치는 도서 낙하 시작 위치로부터 “L1” 만큼 이격되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L1”은 최초 적재선반위치로, 스프링부재(320,330)의 기본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스프링부재(320,330)가 늘어나기 전의 기본 길이가 짧을수록 도서(200)의 낙하구간이 짧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도서(20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부재(320,330)의 기본 길이가 짧으면 도서 적재 선반(130)의 최대 이동 가능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도서 적재 공간이 작아질 수 있다. 이에,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이동부(140)는 복수의 스프링부재(320,330)를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배치하여 총 적재 가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쌍의 스프링을 사용할 경우 도서 적재 선반(130)은 한쌍의 스프링이 늘어나는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고 이동 거리만큼 적재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예컨대, 한쌍의 스프링을 사용할 경우 “A” 만큼의 적재 공간이 확보된다면, 복수 쌍의 스프링을 사용할 경우 복수 쌍의 스프링의 총 늘어나는 길이에 따라 “B” 만큼 추가 확보할 수 있어 총 적재 가능 공간은 “A+B”가 될 수 있다. 한편, 도서 적재 선반(130)에 도서(200)가 적재되면 스프링부재(320,330)는 적재된 도서들의 무게에 따라 조금씩 늘어나서 도서 적재 선반(130)의 위치가 달라지지만 실제 도서의 낙하구간은 최초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스프링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적재 장치는 도서 적재 선반을 도서 낙하 시작 위치에 인접하게 초기 위치시키고 두쌍의 스프링을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배치하여 자유 낙하에 의해 적재되는 도서의 무게에 따라 도서 적재 선반을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시키면서 낙하 구간이 항상 초기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도서 적재 과정에서의 도서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고 도서를 원활하게 적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도서 적재 장치
110: 도서 적재함
111: 도어 113: 바퀴
120: 도서 이송부 130: 도서 적재 선반
140: 선반 이동부 200: 도서
310: 상부 고정 프레임 311: 연결 브라켓
320: 제1 스프링부재 330: 제2 스프링부재
340: 제1 프레임
341: 상부 수평바 343: 하부 수평바
345,347: 수직바
350: 제1 프레임
351: 측판 353: 바닥판
360: 제1 샤프트 370: 제2 샤프트
380: 부시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도서 적재 공간이 형성되는 도서 적재함;
    반납되는 도서를 상기 도서 적재함으로 이송하여 상기 도서 적재 공간을 향해 자유 낙하시키는 도서 이송부;
    상기 도서 적재 공간에 설치되고 낙하되는 상기 도서가 안착되는 도서 적재 선반; 및
    상기 도서 적재 선반의 일측에 결합되고 도서의 낙하 시작 위치에 인접하게 상기 도서 적재 선반을 초기 위치시키고 도서가 낙하되어 안착되는 위치가 상기 초기 위치를 유지하도록 도서가 안착된 상기 도서 적재 선반을 이동시키는 선반 이동부를 포함하는 도서 적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 적재함은
    상기 선반 이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독립된 상기 도서 적재 공간을 형성하고 일면에 상기 도서 적재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되고 바닥 저면에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적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이동부는
    상기 도서 적재함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고정 프레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스프링으로 된 제1 스프링부재;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스프링으로 된 제2 스프링부재;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상단이 연결되는 상부 수평바와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하단이 관통되고 양측 단부에 상기 제2 스프링부재의 하단이 연결되는 하부 수평바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
    상기 도서 적재 선반과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을 관통한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하단이 연결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상부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스프링부재의 상단이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
    상기 연결 브라켓과 상기 도서 적재함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상부 고정 프레임과 상기 도서 적재함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적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이동부는
    동일 길이를 갖는 한쌍의 인장 스프링으로 상기 제1 스프링부재와 상기 제2 스프링부재를 각각 구성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를 안쪽에 배치하고 상기 제2 스프링부재를 바깥쪽에 배치하여 상기 도서 적재 선반에 도서가 안착되면 상기 제2 프레임에 하중이 작용하여 상기 제1 스프링부재가 늘어나면서 상기 제1 프레임을 하부방향으로 당겨 이동시켜 상기 제2 스프링부재가 늘어나면서 상기 도서 적재 선반을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적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이동부는
    상기 제2 스프링부재의 늘어나는 길이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을 이동시켜 도서 적재 가능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늘어나는 길이에 따라 상기 도서 적재 가능 공간을 더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 적재 장치.
KR1020200102620A 2020-08-14 2020-08-14 도서 적재 장치 KR102394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620A KR102394819B1 (ko) 2020-08-14 2020-08-14 도서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620A KR102394819B1 (ko) 2020-08-14 2020-08-14 도서 적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720A true KR20220021720A (ko) 2022-02-22
KR102394819B1 KR102394819B1 (ko) 2022-05-09

Family

ID=8049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620A KR102394819B1 (ko) 2020-08-14 2020-08-14 도서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8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29A (ja) * 1992-06-22 1994-01-11 Suzuki Seisakusho:Yugen 板状物の搬送装置
KR970006601U (ko) * 1995-07-06 1997-02-21 레인지후드의 공기흡입판
JPH1175959A (ja) * 1997-09-11 1999-03-23 Daifuku Co Ltd 物品受入装置
KR100478238B1 (ko) 2001-10-29 2005-03-23 주식회사 나이콤 도서 회수장치
KR20070121166A (ko) * 2006-06-21 2007-12-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바코드가 부착된 도서 반납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158556B1 (ko) 2012-01-02 2012-08-07 (주)오엠알뱅크 대출이력정리기를 구비한 도서 스스로 반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29A (ja) * 1992-06-22 1994-01-11 Suzuki Seisakusho:Yugen 板状物の搬送装置
KR970006601U (ko) * 1995-07-06 1997-02-21 레인지후드의 공기흡입판
JPH1175959A (ja) * 1997-09-11 1999-03-23 Daifuku Co Ltd 物品受入装置
KR100478238B1 (ko) 2001-10-29 2005-03-23 주식회사 나이콤 도서 회수장치
KR20070121166A (ko) * 2006-06-21 2007-12-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바코드가 부착된 도서 반납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158556B1 (ko) 2012-01-02 2012-08-07 (주)오엠알뱅크 대출이력정리기를 구비한 도서 스스로 반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819B1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14877B (zh) 辅助电池及其租赁设备
US20170174449A1 (en) Apparatus for loading bound products
US8360224B2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2394819B1 (ko) 도서 적재 장치
DK3114964T3 (en) Insertion and biasing mechanism
KR101731993B1 (ko) 반납된 도서의 수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도서 반납기
JP5183298B2 (ja) 籠収納ラックシステム及び籠収納ラック装置制御方法
CN110520370B (zh) 用于储存工业产品的模块化自动仓库
US10239741B2 (en) Suspension-type stacker crane
US20110294628A1 (en) Electromechanical mechanism for controlling fractional weight lifting plates in workout stations
CN216249277U (zh) 一种手环存取装置
KR20200000871A (ko) 모니터 승하강 장치
KR20100038675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US20090121011A1 (en) Cash transaction machine
JPS6319952Y2 (ko)
KR102394820B1 (ko) 도서 반납 시스템
US3291547A (en) Filing cabinet with movable drawer
US20200378139A1 (en) Systems for Releasably Securing a Platform
KR20220020703A (ko) 절첩식 가설 구조물
KR102253061B1 (ko) 드럼 전도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창고시스템
KR101638128B1 (ko) 매체보관함
KR102181751B1 (ko) 도서 반납 장치
TWM580802U (zh) 提籃
JP6982896B2 (ja) 組立式折り畳みオーバーヘッドドアユニット
KR20160045416A (ko) 매체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