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589A -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 - Google Patents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589A
KR20220021589A KR1020200102302A KR20200102302A KR20220021589A KR 20220021589 A KR20220021589 A KR 20220021589A KR 1020200102302 A KR1020200102302 A KR 1020200102302A KR 20200102302 A KR20200102302 A KR 20200102302A KR 20220021589 A KR20220021589 A KR 20220021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recycled
recycled yarn
spool
w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551B1 (ko
Inventor
하영욱
Original Assignee
하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영욱 filed Critical 하영욱
Priority to KR102020010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55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42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in which the package, core, or former is rotated by frictional contact of its periphery with a driv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2806Traversing devices driven by cam
    • B65H54/2809Traversing devices driven by cam rotating grooved c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46Package drive drums
    • B65H54/48Grooved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02Stationary rods 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06Annular guiding surfaces; Eyes, e.g. pig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3/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 B65H63/02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 B65H63/024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responsive to breakage of materials
    • B65H63/028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responsive to breakag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ng or sens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3/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 B65H63/08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delivery of a measured length of material, completion of winding of a package, or filling of a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2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electric elements
    • B65H2553/25Contac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Winding Of Web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사이클 원사를 실패에 권취함에 있어 수작업에 의존할 필요 없이 기존 와인딩장치의 구조를 그대로 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효성과 효용성을 보장하고, 특히, 리사이클용 실패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대폭 간소화될 수 있는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Winder for yarn recycling}
본 발명은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와인딩장치의 캠롤 주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캠롤의 회전력을 이용해 해리된 리사이클 원사를 실패에 권취시키는 리사이클링 원사 와인더에 관한 것이다.
지구환경 보존을 위한 온실가스 저감 노력이 구미 선진국을 필두로 하여 정책적으로 강구되고 있으며,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국제 환경규제문제가 경제문제로 확대, 진화되어 국가경쟁력 문제로 직결되고 있다.
이에 세계 기업들은 환경경영을 중시하여 국가의 이미지 및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올리기 위하여 에코-프로덕트(Eco-Product) 생산, 에코-마케팅(Eco-marketing)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는 리사이클 소재를 의무적으로 사용토록 권고하거나, 친환경적 공법을 이용한 직물소재를 우선적으로 검토하여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에너지 및 자원고갈 위기에 따른 우리 경제의 취약성에 대한 근본적 대책이 필요한 상황에서 섬유산업도 그린 텍스타일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아 선진국이 주도하고 있는 친환경 녹색섬유산업 시장에 뛰어 들어야할 시점이다.
국제기구의 환경규제에 따른 대응방안 마련과 소비자의 로하스(LOHAS)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섬유제품의 구매가 확대됨에 따라 글로벌 섬유기업은 물론 패션 브랜드들이 친환경 제품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으며, 국내외 일부 화섬 기업들은 리사이클 소재와 생분해 섬유를 잇달아 출시, 본격적인 친환경 섬유시장 선점 경쟁에 들어가고 있다.
한편, 섬유의 기본이 되는 원사는 다양한 방법으로 리사이클링 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니트 직물의 원단의 경우 직물을 편성하고 있는 원단을 해사하여 이를 다시 실패에 권취해 재생사를 구성한다.
그런데, 재생사를 구성하기 위하여 해사된 원사를 실패에 권취하기 위한 마땅한 수단이 없어, 종래에는 해사된 원사를 직접 손으로 실패에 감아 재생사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수작업은 효율성이 떨어짐은 물론이고, 높은 생산성을 보장할 수 없었다는 점에서 실효성이 떨어졌다.
등록실용 20-0364081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리사이클 원사를 실패에 권취함에 있어 수작업에 의존할 필요 없이 기존 와인딩장치의 구조를 그대로 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효성과 효용성을 보장하고, 특히, 리사이클용 실패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대폭 간소화될 수 있는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와인딩장치의 캠롤 주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캠롤의 회전력을 이용해 해리된 리사이클 원사를 실패에 권취시키는 리사이클링 원사 와인더에 있어서, 상기 캠롤을 중앙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좌, 우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앙에 실패가 고정되고, 고정된 실패를 캠롤의 외주면에 구름시켜, 캠롤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무동력 회전되는 와인딩부; 해리 상태의 리사이클 원사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저장부에서 와인딩부로 공급되는 리사이클 원사를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가이드바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각각의 후방 상단을 연결하는 제1 가이드바; 상기 제1 가이드바의 하부로 이격 배치되는 제2 가이드바;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각각의 전방을 연결하며, 중앙에는 상기 와인딩부를 향하는 리사이클 원사가 통과되되, 리사이클 원사의 꼬임부의 통과는 제한하는 부싱부재가 형성되는 제3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부싱부재에는 리사이클 원사의 꼬임부가 통과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싱부재에는 내부로 리사이클 원사가 통과되는 제1 통과공이 전, 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제1 통과공에서 전, 후 방향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에 리사이클 원사가 통과되는 제2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는 작동링; 상기 제1 통과공에서 상기 작동링을 전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제1 통과공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마주보는 작동링의 후면에 설치되며 작동링이 리사이클 원사의 꼬임부의 이동에 의해 후방으로 견인되면 제1 전극과 접점을 형성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접점이 발생되면 상기 감지신호가 생성되며, 상기 감지신호를 근거로, 캠롤의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 가이드바에는 리사이클 원사의 끊김을 감지하는 단선감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리사이클 원사를 실패에 권취함에 있어 수작업에 의존할 필요 없이 기존 와인딩장치의 구조를 그대로 이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효성과 효용성을 보장하고, 특히, 리사이클용 실패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대폭 간소화될 수 있다.
둘째, 축거치공이 상부를 향해 절취 형성됨으로써 와인딩부를 플레이트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고, 또한, 리사이클 원사가 실패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권선량이 증가할수록 실패 주변에 리사이클 원사가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발생하는 와인딩부의 상방이동을 탄력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셋째, 리사이클 원사가 실패로 공급되는 와중에 리사이클 원사의 외면에 왁스를 도포함으로써 원사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할 수 있다.
넷째, 리사이클 원사에 포함된 꼬임부를 선별해내고 꼬임부가 실패에 감기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재생사의 높은 상품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 와인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와인더가 와인딩장치에 착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와인더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재생와인더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재생와인더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리사이클 원사의 권선량에 따라 상승하는 와인딩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1 가이드바와 제2 가이드바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 제1 가이드바에 왁싱부가 설치되고, 제2 가이드바에 단선감지부가 설치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꼬임부가 형성된 리사이클 원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부싱부재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감지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꼬임부에 의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접점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플레이트와 저장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사이클 원사 와인더(2)는 기존 와인딩장치(1)의 캠롤(8) 주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캠롤(8)의 회전력을 이용해 해리된 리사이클 원사를 실패에 권취시켜 재생사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사이클 원단 와인더(2)는 기존 와인딩장치(1)에 연동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인 바 와인딩장치(1)와 불가분에 있으므로, 이하, 기존 와인딩장치(1)의 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기술한다.
도 1은 기존 와인딩장치(1)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을 참고하여 기존 와인딩장치(1)의 구조를 설명한다.
통상 와인딩장치(1)는 제조된 원사를 실패에 일정량씩 감아 소분하는 장치로서, 제조된 원사가 원사롤(6)에 감겨 오면 이 원사롤(6)에서 원사를 권출해 각각의 실패에 권취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와인딩장치(1)는 구동모터(3)가 내장되는 본체(2), 상기 본체(2)에서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선반(4), 상기 선반(4)에서 수직으로 직립되어 상기 원사롤(6)을 지지하는 지지대(5), 상기 구동모터(3)의 구동력을 받아 상기 선반(4)의 상부에서 회전되는 구동축(7), 상기 구동축(7)의 경로상에 설치되는 캠롤(8) 및 실패가 상기 캠롤(8)에 구름접촉되도록 실패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캠롤(8)을 향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패지지부(9)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실패가 상기 캠롤(8)에 구름접촉되면 캠롤(8)의 회전에 따라 이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원사롤(6)로부터 권출된 원사는 실패로 공급되며 실패의 회전에 따라 실패 주변으로 권취되는 구성을 갖춘다.
실패에 어느 정도 원사가 권취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패지지부(9)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캠롤(8)에서 실패를 이격시킨 다음 실패지지부(9)에서 실패를 제거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기존 와인딩장치(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별도 저장된 리사이클 원사를 캠롤(8)의 회전력을 이용해 별도 리사이클용 실패(R)에 권취하여 리사이클된 원사(재생사)를 구성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2)를 이용하면 리사이클 원사를 실패(R)에 권취함에 있어 수작업에 의존할 필요 없이 기존 와인딩장치(1)의 구조를 그대로 이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효성과 효용성을 보장하고, 특히, 리사이클용 실패(R)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대폭 간소화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기술 개발 배경을 기초로 본 발명에 따른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2)를 설명한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적인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도 4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기준계를 특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와인더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재생와인더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재생와인더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리사이클 원사의 권선량에 따라 상승하는 와인딩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1 가이드바와 제2 가이드바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 제1 가이드바에 왁싱부가 설치되고, 제2 가이드바에 단선감지부가 설치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꼬임부가 형성된 리사이클 원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부싱부재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감지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꼬임부에 의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접점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플레이트와 저장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2)(이하, 와인더(2)라 함)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플레이트(10), 와인딩부(20), 저장부(30) 및 가이드바(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플레이트(10)는 와인더(2)가 와인딩장치(1)에 장착되었을 때, 와인딩장치(1)의 캠롤(8)을 중앙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플레이트(10) 각각은 와인딩장치(1)의 선반(4) 위에 안착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구동축(7)이 통과되는 축통과공(11)이 하단을 향해 절취 형성될 수 있고, 상부에는 와인딩부(20)의 좌, 우측 끝단이 거치되는 축거치공(12)이 상부를 향해 절취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축거치공(12)이 상부를 향해 절취 형성됨으로써 축거치공(12) 자체가 상부가 개방된 긴 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와인딩부(20)를 플레이트(10)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고, 또한, 리사이클 원사가 실패(R)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권선량이 증가할수록 실패(R) 주변에 리사이클 원사가 두껍게 형성되는데,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딩부(20) 자체의 상방이동이 불가피해지며, 축거치공(12)을 통해 이러한 와인딩부(20)의 상방이동을 탄력적으로 수용 가능한 구조가 된다.
와인딩부(20)는 좌, 우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앙에 실패(R)가 고정되고, 고정된 실패(R)를 캠롤(8)의 외주면에 구름시켜, 캠롤(8)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무동력 회전된다.
와인딩부(20)의 좌, 우 양단은 각각 한 쌍의 플레이트(10)에 형성된 축거치공(12)에 거치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중앙에 장착된 실패(R)가 캠롤(8)의 외주면에 구름 접촉하게 되면, 캠롤(8)의 회전력에 의해 실패(R)가 회전하면서 이와 연동해 와인딩부(20) 자체가 회전된다.
와인딩부(20)에 장착된 실패(R)를 향해 리사이클 원사가 공급되면, 리사이클 원사는 실패(R)의 회전에 의해 실패(R) 외주로 권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와인딩부(20)는 별도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기존 와인딩장치(1)의 캠롤(8)의 회전구동력으로 회전하여 실패(R)에 리사이클 원사를 권취시킬 수 있다. 이에, 와인더(2) 구조 자체가 대폭 간소화될 수 있다.
와인딩부(20)는 중앙에 실패(R)를 고정하고 좌, 우 양단이 한 쌍의 플레이트(10)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는 선에서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저장부(30)는 해리 상태의 리사이클 원사가 저장되는 함체 형태로 구성되며 한 쌍의 플레이트(10)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저장부에는 해리된 상태의 리사이클 원사가 저장될 수도 있으나, 원단 자체가 수용되어 이 원단에서부터 리사이클 원사가 풀려나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해리 상태의 리사이클 원사라 함은, 리사이클링을 위해 원단에서 풀려진 장섬유 형태의 원사를 의미한다.
저장부(30)의 상면에는 내부에 저장된 리사이클 원사가 빠져나올 수 있는 배출구(31)가 형성되거나, 저장부(30) 전체 면이 망사 형태로 이루어져 리사이클 원사를 망사 격자구조 내로 빠져나오게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부(30)에 저장된 리사이클 원사는 실패(R)로 바로 공급되거나, 가이드바(40)에 의해 안내된 뒤 실패(R)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저장부(30)로부터 배출된 리사이클 원사가 가이드바(40)에 안내된 뒤 실패(R) 측으로 공급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저장부(30)의 상면은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내부로 해리된 리사이클 원사 뭉치를 수납할 수 있다.
가이드바(4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10)를 연결하며 상기 저장부(30)에서 와인딩부(20)로 공급되는 리사이클 원사를 가이드한다.
복수의 가이드바(40)는 와인딩부(20)를 향하는 리사이클 원사에 장력을 부여해 리사이클 원사가 실패(R)에 보다 강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복수의 가이드바(40)는 제1 가이드바(40a), 제2 가이드바(40b) 및 제3 가이드바(40c)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제1 가이드바(40a)는 한 쌍의 플레이트(10) 각각의 후방 상단을 연결한다. 이때, 제1 가이드바(40a)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왁싱부(60)가 설치될 수 있다.
왁싱부(60)는 리사이클 원사가 실패(R)로 공급되는 와중에 리사이클 원사의 외면에 왁스(68)를 도포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왁싱부(60)는 제1 가이드바(40a)의 외측에 장착되는 브라켓(61), 상기 브라켓(61)의 상부에 형성되며 원통형 왁스(68)가 거치되는 왁스거치대(62), 상기 브라켓(61)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으로 평행바(64)가 연장 형성되는 제1 원사파지편(63), 상기 제1 원사파지편(63)과 마주보도록 상기 평행바(64)에 장착되는 제2 원사파지편(65), 상기 평행바(64)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원사파지편(65)을 제1 원사파지편(63)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스프링(66) 및 상기 브라켓(61)의 전방에 장착되며 리사이클 원사에 과잉 도포된 왁스층을 삭제하는 왁스커터(67)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왁싱부(60)로 공급되는 리사이클 원사는 왁스거치대(62)에 거치된 왁스(68)를 둘러 선회한 뒤 제1 원사파지편(63)과 제2 원사파지편(65) 사이를 통과한다.
이때, 리사이클 원사의 표면에 왁스가 도포될 수 있으며, 왁스가 도포된 리사이클 원사는 제1 원사파지편(63)과 제2 원사파지편(65) 사이를 통과하는데, 이때, 리사이클 원사를 제1 원사파지편(63)과 제2 원사파지편(65)이 양측에서 잡아주어 리사이클 원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탄성스프링(66)에 의해 제2 원사파지편(65)이 제1 원사파지편(63)을 탄성 가압하는 상태가 되므로, 이 사이를 통과하는 리사이클 원사가 일정 압력으로 가압되어 왁싱부(60)에서의 이탈이 방지된다.
제1 원사파지편(63)과 제2 원사파지편(65) 사이를 통과한 리사이클 원사는 왁스커터(67)에 형성된 삭제홈(67a)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삭제홈(67a)을 통과하면서 과잉된 왁스가 삭제될 수 있다.
왁스커터(67)를 통과한 리사이클 원사는 제2 가이드바(40b)를 향해 이동한다.
제2 가이드바(40b)는 제1 가이드바(40a)의 하부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제2 가이드바(40b)에는 리사이클 원사의 끊김을 감지하는 단선감지부(4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선감지부(41)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지거나, 리사이클 원사에 접촉해 일방향 이동하는 롤이 리사이클 원사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되다가 롤의 회전이 멈추면 이를 원사의 끊김신호로 출력하는 센서모듈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선감지부(41)에 의해 끊김신호가 출력되면 경고음을 울린다거나, 캠롤(8)의 구동을 중지시키도록 세팅될 수 있다.
한편, 해리된 리사이클 원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에서 원사를 해리시키는 과정 또는 원단의 사용 과정에서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장력의 불균일로 인해 크림프성 해연부분(이하 꼬임부(t)라 함)이 간헐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꼬임부(t)를 적절히 선별해내지 못하게 되면 리사이클링 된 원사의 상품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리사이클 원사에 포함된 꼬임부(t)를 선별해낼 수 있으며, 이러한 꼬임부(t)가 실패(R)에 감기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제3 가이드바(40c)는 한 쌍의 플레이트(10) 각각의 전방을 연결하며, 중앙에는 상기 와인딩부(20)를 향하는 리사이클 원사가 통과되되, 리사이클 원사의 꼬임부(t)의 통과는 제한하는 부싱부재(42)가 형성된다.
그리고, 부싱부재(42)는 저장부(30)로부터 원단 자체가 끌려왔을 때 원단의 통과를 제한하는 역할도 담당할 수 있다.
저장부(30)에서 배출된 리사이클 원사는 먼저 제3 가이드바(40c)의 부싱부재(42)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꼬임부(t)는 통과되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상기 부싱부재(42)에는 내부로 리사이클 원사가 통과되는 제1 통과공(43)이 전, 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리사이클 원사가 제1 통과공(43)을 통과하는 와중에 꼬임부(t)가 부싱부재(42)를 만나게 되면 꼬임부(t)가 제1 통과공(43)을 완전히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 구조가 된다.
꼬임부(t)는 통상 리사이클 원사보다 부피가 팽창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제1 통과공(43)을 리사이클 원사만 통과할 수 있는 선에서 직경을 형성하게 되면 부싱부재(42)가 자연스럽게 꼬임부(t)의 통과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 꼬임부(t)가 부싱부재(42) 측으로 공급되면, 캠롤(8)의 구동을 자동으로 중단시키고 사용자로 하여금 꼬임부(t)를 제거한 뒤 리사이클링 작업을 재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부재(42)에는 리사이클 원사의 꼬임부(t)가 통과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수단(50)이 설치될 수 있다.
감지신호가 생성되면 별도의 제어부가 구동모터(3)의 구동을 제어하여 캠롤(8)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이에 따라, 와인딩부(20)의 회전 또한 중지될 수 있다.
감지수단(50)은 리사이클 원사에서 꼬임부(t)만을 감지해내기 위해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갖춘다.
일례로, 감지수단(5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통과공(43)에서 전, 후 방향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에 리사이클 원사가 통과되는 제2 통과공(55)이 관통 형성되는 작동링(51), 상기 제1 통과공(43)에서 상기 작동링(51)을 전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52), 상기 제1 통과공(43)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전극(53) 및 상기 제1 전극(53)과 마주보는 작동링(51)의 후면에 설치되며 작동링(51)이 리사이클 원사의 꼬임부(t)의 이동에 의해 후방으로 견인되면 제1 전극(53)과 접점을 형성하는 제2 전극(54)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과공(43)에서 탄성부재(52)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가압된 작동링(51)dl 제1 통과공(43)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꼬임부(t)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짐에 따라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53)과 제2 전극(54)이 접촉해 접점을 형성하게 된다.
제1 전극(53)과 제2 전극(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접점 발생에 따른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송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 감지신호를 근거로 구동모터(3)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제1 전극(53)과 제2 전극(54)은 서로 접촉되어 접점을 형성하였을 때 특정 신호를 제어부로 송출할 수 있는 선에서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제1 전극(53)과 제2 전극(54)에 접점이 발생되면 상기 감지신호가 생성되며, 상기 감지신호를 근거로, 캠롤(8)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저장부(3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 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레이트(10)의 전면에는 'ㄱ'자 형태의 걸이홈(14)이 상, 하 방향으로 연속 형성되는 걸이대(13)가 마련되고, 저장부(30)의 후면에는 상기 걸이홈(14)에 걸림 지지되는 걸이구(3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걸이대(13)를 필요로 하는 높이에 형성된 걸이홈(14)에 걸게 되면 저장부(30)의 상대 높낮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저장부(3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이유는, 저장부(30)에 저장된 리사이클 원사의 소모량에 비례하게 저장부(30)의 높낮이를 맞추기 위해서이다.
만일, 저장부(30)에 대부분의 리사이클 원사가 소모된 상태가 되면 저장부(30)의 바닥면에서부터 리사이클 원사가 풀려 나가기 때문에 저장부(30)에서부터 제3 가이드바(40c)까지 리사이클 원사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리사이클 원사가 꼬이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저장부(30)에서의 리사이클 원사가 소모되면 이에 맞게 저장부(30)를 상부로 위치이동시키는 것이 리사이클 원사의 길이를 불필요하게 길게 형성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재생와인더
10: 플레이트
20: 와인딩부
30: 저장부
40: 가이드바

Claims (5)

  1. 와인딩장치의 캠롤 주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캠롤의 회전력을 이용해 해리된 리사이클 원사를 실패에 권취시키는 리사이클링 원사 와인더에 있어서,
    상기 캠롤을 중앙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좌, 우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앙에 실패가 고정되고, 고정된 실패를 캠롤의 외주면에 구름시켜, 캠롤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무동력 회전되는 와인딩부;
    해리 상태의 리사이클 원사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저장부에서 와인딩부로 공급되는 리사이클 원사를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바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각각의 후방 상단을 연결하는 제1 가이드바;
    상기 제1 가이드바의 하부로 이격 배치되는 제2 가이드바; 및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각각의 전방을 연결하며, 중앙에는 상기 와인딩부를 향하는 리사이클 원사가 통과되되, 리사이클 원사의 꼬임부의 통과는 제한하는 부싱부재가 형성되는 제3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싱부재에는 리사이클 원사의 꼬임부가 통과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부싱부재에는 내부로 리사이클 원사가 통과되는 제1 통과공이 전, 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제1 통과공에서 전, 후 방향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에 리사이클 원사가 통과되는 제2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는 작동링;
    상기 제1 통과공에서 상기 작동링을 전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제1 통과공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마주보는 작동링의 후면에 설치되며 작동링이 리사이클 원사의 꼬임부의 이동에 의해 후방으로 견인되면 제1 전극과 접점을 형성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접점이 발생되면 상기 감지신호가 생성되며, 상기 감지신호를 근거로, 캠롤의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바에는 리사이클 원사의 끊김을 감지하는 단선감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
KR1020200102302A 2020-08-14 2020-08-14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 KR102373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302A KR102373551B1 (ko) 2020-08-14 2020-08-14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302A KR102373551B1 (ko) 2020-08-14 2020-08-14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589A true KR20220021589A (ko) 2022-02-22
KR102373551B1 KR102373551B1 (ko) 2022-03-10

Family

ID=8049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302A KR102373551B1 (ko) 2020-08-14 2020-08-14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5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753A1 (ko) 2021-10-14 2023-04-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레이저 용접이 적용된 원통형 이차전지와 그 제조방법, 이러한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5249A (ja) * 1995-02-16 1996-09-03 Murata Mach Ltd 糸の巻取方法および糸の巻取装置
KR200364081Y1 (ko) 2004-05-03 2004-10-08 권영호 와인더의 개량 권취장치
KR101169573B1 (ko) * 2012-05-14 2012-07-31 김정수 더블 보빈 구동장치를 갖는 실 와인더
KR20190116873A (ko) * 2018-04-05 2019-10-15 김일열 실의 스마트 결점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5249A (ja) * 1995-02-16 1996-09-03 Murata Mach Ltd 糸の巻取方法および糸の巻取装置
KR200364081Y1 (ko) 2004-05-03 2004-10-08 권영호 와인더의 개량 권취장치
KR101169573B1 (ko) * 2012-05-14 2012-07-31 김정수 더블 보빈 구동장치를 갖는 실 와인더
KR20190116873A (ko) * 2018-04-05 2019-10-15 김일열 실의 스마트 결점 검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753A1 (ko) 2021-10-14 2023-04-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레이저 용접이 적용된 원통형 이차전지와 그 제조방법, 이러한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551B1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551B1 (ko) 리사이클 원사 재생와인더
JP4204274B2 (ja) 本縫いミシンにおけるボビン糸監視装置
KR100690214B1 (ko) 실의 연속 처리 방법, 실의 연속 풀림 장치, 합성 다섬유 실의 직조 방법 및, 실의 직조 및 권취용 직조 기계
CN102701001B (zh) 一种自动松式络筒机
JP2012026877A (ja) 繊維条体測定装置及び糸巻取機
KR102373550B1 (ko) 원사 와인딩장치
ES2187227A1 (es) Maquina de hilar retorcedera-reunidora de anillos, de modulos unitarios de produccion autonomos e independientes.
CN214168369U (zh) 梭芯底线抽线装置
CN201428023Y (zh) 被动式切丝器
CN101135081A (zh) 送纱器的侦测装置
CN205115721U (zh) 主动退绕输纱装置和纺织设备
CN106553938B (zh) 纱线钩挂部件、纱线蓄留装置及纱线卷绕机
CN108823703B (zh) 一种粗纱机的可翻转式龙筋架
KR101797394B1 (ko) 휴대용 실타래 보관 케이스
JP2009155781A (ja) 紡績機
CN211420425U (zh) 一种自动警报整经机架
CN218024716U (zh) 一种自动缠线机
CN213834041U (zh) 一种服装用自动倒毛机
CN208183149U (zh) 一种用于锦纶帘子布生产的直捻机
CN213866566U (zh) 一种化纤纱生产用捻合装置
CN211769445U (zh) 一种高效节能络丝装置
CN215047578U (zh) 一种轴向退绕络筒机
CN209890868U (zh) 一种绗缝机的空卷识别机构
CN216836540U (zh) 一种可断线警报的纺织加工用络丝机
CN214059515U (zh) 一种纺织机械导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