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361A -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 - Google Patents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361A
KR20220021361A KR1020200142872A KR20200142872A KR20220021361A KR 20220021361 A KR20220021361 A KR 20220021361A KR 1020200142872 A KR1020200142872 A KR 1020200142872A KR 20200142872 A KR20200142872 A KR 20200142872A KR 20220021361 A KR20220021361 A KR 20220021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ing material
separation
control member
curvature
separation phenomen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653B1 (ko
Inventor
지우석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22002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32B17/0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onded with or embedded in a plastic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foa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11/04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l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 G06T5/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2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local op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80Geometric cor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은 접합소재의 외면에 곡률 조절 부재가 부착되는 부착단계, 상기 곡률 조절 부재의 외면에 분리 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접합 소재가 분리되는 분리단계 및 상기 접합 소재 및 상기 접합 소재의 배경이 각각 구분되어 상기 접합 소재의 분리 정도가 측정되는 측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HOW TO OBSERVE THE SEPARATION PHENOMENON OF THE BONDING MATERIAL}
아래의 설명은 접합 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계적 물성과 같은 소재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층간 분리 실험이 활용된다. 예를 들어, DCB(Double Cantilever Beam) test를 통해 접합 소재의 분리현상을 관찰하여 분리 정도에 따라 접합소재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 장치를 접합 소재의 상면 및 하면과 연결하고, 접합 소재를 상측 및 하측으로 당김으로써 접합소재가 분리되는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
접합소재를 분리시키고 분리 정도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구조 및 성분이 단순한 접합소재는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며 굽혀져 분리 현상을 관측하기 용이하나, 스킨(skin)과 코어(core)로 구성된 샌드위치 구조의 접합소재의 경우 분리 현상이 균일하지 못하고 보통의 접합소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측 실험이 부정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 이유는, 샌드위치 구조에서 스킨에는 높은 강성의 얇은 재료가 사용되고 코어에는 강성은 낮으나 저밀도의 재료가 사용되어, 스킨과 코어 소재의 높은 강성 차이로 이종 소재의 접착 계면이 층간 분리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샌드위치 구조는 무게 대비 우수한 굽힘 강성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경량화 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구조로, 샌드위치 구조를 가진 복합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실정이다. 따라서, 샌드위치 구조의 접합 소재를 분리하는 실험에 있어서, 분리되는 각 부분의 균열 및 굽힘 정도 등과 같은 실험값을 정형화하여 실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관측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6702호는 균열 성장을 검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의 목적은, 샌드위치 구조 소재의 분리 현상을 관측하는 실험에서 분리되는 각 부분의 곡률을 동일하게 하는 곡률 조절 부재를 이용하는 관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의 목적은, 접합 소재 및 접합소재 배경의 색상 대비를 극대화하고 분리 현상에 따른 각 부분의 좌표의 변화를 파악하여 분리 현상의 관측 정확도를 높이는 관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소재의 분리 현상 관측 방법은, 접합소재의 외면에 곡률 조절 부재가 부착되는 부착단계, 상기 곡률 조절 부재의 외면에 분리 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접합 소재가 분리되는 분리단계 및 상기 접합 소재 및 상기 접합 소재의 배경이 각각 구분되어 상기 접합 소재의 분리 정도가 측정되는 측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단계는, 상기 접합소재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상기 곡률 조절 부재의 두께가 결정되는 결정단계 및 상기 접합소재의 상면 및 하면에 상기 곡률 조절 부재가 적층되는 적층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단계에서, 상기 접합소재의 분리면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분리되는 각 부분의 굽힘 곡률이 동일하도록, 상기 접합소재의 상면 및 하면에 부착되는 상기 곡률 조절 부재의 각각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접합 소재의 두께 및 강성 값과 상기 곡률 조절 부재의 강성 값을 이용하여 상기 곡률 조절 부재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곡률 조절 부재는 상기 접합소재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소재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측정 단계는, 상기 접합소재의 색상과 상기 접합소재의 배경 색상이 구분되는 구분단계, 상기 구분단계에서 구분된 색상의 경계부분에 좌표가 설정되어, 분리현상에 따른 좌표의 변화가 추적되는 추적단계 및 상기 추적단계에서 추적한 좌표 변화를 토대로 상기 접합소재의 분리정도가 계산되는 계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적단계에서 구분된 색상의 경계부분에 좌표의 초기값이 설정되어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변화되는 좌표값이 추적될 수 있다.
상기 추적단계에서, 분리가 시작되는 균열선단과 상기 곡률 조절 부재의 측면이 각각 좌표의 초기값으로 설정되어 좌표의 변화가 추적될 수 있다.
상기 추적단계에서, 접합 소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균열 선단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곡률 조절 부재의 측면 모서리의 좌표가 초기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계산단계에서, 상기 분리가 시작되는 균열선단으로부터 상기 접합소재를 따라 분리되는 분리 길이가 계산될 수 있다.
상기 계산단계는, 초기값으로 설정된 좌표값 사이의 거리와 분리 현상에 따른 변화된 좌표값 사이의 거리의 차이를 통해 분리 길이가 계산될 수 있다.
상기 곡률 조절 부재는 상기 접합소재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곡률 조절 부재의 상면 및 하면과 연결되어 상기 접합 소재를 상측 및 하측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에 따르면, 분리되는 각 부분의 곡률을 동일하게 하는 곡률 조절 부재를 부착하여 샌드위치 구조 소재의 분리 현상을 관측함으로써, 분리 정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의 따르면, 접합 소재 및 접합소재 배경의 색상 대비를 극대화하고 분리 현상에 따른 각 부분의 좌표의 변화를 파악하여 분리 현상의 관측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분리 정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단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단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Figure pat00001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소재의 분리 현상 관측 방법(1)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단계(10)의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단계(12)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접합소재의 분리 현상 관측 방법(1)은 접합소재(l)의 기계적 물성과 같은 고유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접합소재(l)를 분리시키고 관측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접합소재(l)란 복수의 소재가 서로 이어 붙은 소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소재(l)는 코어(c) 및 스킨(s)으로 구성되는 샌드위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샌드위치 구조는 코어(c)를 중심으로 코어(c)의 양 측을 스킨(s)이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접합소재의 분리 현상 관측 방법(1)은 이와 같은 샌드위치의 박리 현상을 관측하는 방법일 수 있다.
접합소재의 분리 현상 관측 방법(1)은 접합소재(l)가 정형화되고 균일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접합소재(l)의 외면에 별도의 부재를 부착하여 접합소재(l)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접합소재의 분리 현상 관측 방법(1)은 접합소재(l)와 배경의 색상 대비를 통해 접합소재(l)의 분리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접합소재의 분리 현상 관측 방법(1)은 측정한 접합소재(l)의 분리 정도를 토대로 접합소재(l)의 저항 특성을 산출할 수 있다.
접합소재의 분리 현상 관측 방법(1)은 부착단계(10), 분리단계(11) 및 측정단계(12), 산출단계(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소재의 분리 현상 관측 방법(1)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소재의 분리 현상 관측 방법(1)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소재의 분리 현상 관측 방법(1)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부착단계(10)에서 접합소재(l)의 외면에 곡률 조절 부재(e)가 부착될 수 있다. 곡률 조절 부재(e)는 접합소재(l)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포함하고 접합소재(l)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곡률 조절 부재(e)는 샌드위치 구조의 스킨(s)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곡률 조절 부재(e)는 스킨(s)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곡률 조절 부재(e)는 접합소재(l)가 분리될 때 접합소재(l)의 분리되는 각 부분이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률 조절 부재(e)의 두께를 조절하여 곡률 조절 부재(e) 및 접합소재(l)를 양 측으로 당김으로써, 분리되는 접합소재(l)의 곡률이 조절될 수 있다.
부착단계(10)는 결정단계(100) 및 적층단계(101)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정단계(100)에서 접합소재(l)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곡률 조절 부재(e)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단계(100)에서 접합소재(l)의 분리면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분리되는 각 부분의 굽힘 곡률이 동일하도록 접합소재(l)의 상면 및 하면에 부착되는 곡률 조절 부재(e)의 각각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접합소재(1)의 상면에 부착된 곡률 조절 부재(e)의 두께는 t1, 접합소재(1)의 하면에 부착된 곡률 조절 부재(e)의 두께는 t2일 수 있다. 또한, 결정단계(100)에서 접합소재(l)의 두께 및 강성 값과 곡률 조절 부재(e)의 강성 값을 이용하여 곡률 조절 부재(e)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기의 수식(1) 내지 (7)을 통해 곡률 조절 부재(e)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접합소재(l) 및 곡률 조절 부재(e)에 가해지는 축력(N) 및 굽힙력(M)에 따른 변형률(
Figure pat00002
) 및 굽힘 곡률(
Figure pat00003
)의 관계는 ABD matrix로 정의된다는 이론을 통해 수식(1)이 도출될 수 있다. 이때, 초기 분리영역 평면은 z=0의 평면과 일치할 수 있다. 수식(1)에서 ABD행렬의 역행렬을 양 변에 곱하여 수식(2) 및 (3)이 도출될 수 있다. 분리 단면에서 접합소재(l)의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분리현상만이 발생하므로 굽힘력 (
Figure pat00004
)만이 존재하여 수식(4)가 도출될 수 있다. 수식(4)에 의해 굽힘 곡률에 대한 수식은 수식(5) 정의되고, 접합소재(l) 및 곡률 조절 부재(e)의 상측 및 하측방향으로 굽힘 정도가 동일, 즉, 굽힘 곡률(
Figure pat00005
)이 동일해야 하므로 수식(6)이 도출될 수 있다. 수식(6)을 통해 곡률 조절 부재(e)의 두께에 관한 최적화를 위한 수식(7)이 도출될 수 있다.
수식(6)에서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은 스킨(s), 코어(c) 및 곡률 조절 부재(e)의 두께 및 강성에 대한 함수이므로, 스킨(s) 및 코어(c) 층의 두께와, 스킨(s) 및 코어(c) 소재의 강성 및 곡률 조절 부재(e)의 강성 값을 수식(6) 및 (7)에 입력하면, 곡률 조절 부재(e)의 두께에 대한 값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t1과 t2의 값이 구해질 수 있다.
Figure pat00008
(1)
Figure pat00009
(2)
Figure pat00010
(3)
Figure pat00011
(4)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5)
Figure pat00014
(6)
Figure pat00015
(7)
적층단계(101)에서 접합소재(l)의 상면 및 하면에 곡률 조절 부재(e)가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률 조절 부재(e)는 접합소재(l)의 길이방향을 따라 접합소재(l)의 외면에 겹쳐져 맞붙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곡률 조절 부재(e)는 스킨(s)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적층될 수 있다.
분리단계(11)에서 곡률 조절 부재(e)의 외면에 분리장치(d)가 연결되어 접합소재(l)가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곡률 조절 부재(e)는 접합소재(l)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되고, 분리장치(d)는 곡률 조절 부재(e)의 상면 및 하면과 연결되어 접합소재(l)를 상측 및 하측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장치(d)는 double cantilever beam(DCB) test에서 사용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단계(12)에서, 접합소재(l) 및 접합소재(l)의 배경이 각각 구분되어 접합소재(l)의 분리 정도가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단계(12)에서 접합소재(l) 및 접합소재(l)의 배경 색상이 구별되고, 구별이 따른 좌표가 설정되어, 일정 간격 반복 촬영을 통해 분리 길이가 측정될 수 있다.
측정단계(12)는 구분단계(120), 추적단계(121) 및 계산단계(1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분단계(120)에서 접합소재(l)의 색상과 접합소재(l)의 배경 색상이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소재(l)의 색상과 접합소재(l)의 배경 색상은 명도가 상이한 색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소재(l)의 색상은 흰색, 배경의 색상은 검정색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합소재(l) 및 곡률 조절 부재(e)는 흰색 페인트로 채색되고 배경은 검정 패널로 구성됨으로써, 접합소재(l) 및 배경은 명도대비가 분명한 상태에서 관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명도 대비를 통한 색상 구분에 따르면, 접합소재(l)가 분리되는 현상이 보다 뚜렷하게 관측될 수 있다.
추적단계(121)에서, 구분단계(120)에서 구분된 색상의 경계부분에 좌표가 설정되어 분리현상에 따른 좌표의 변화가 추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적단계(121)에서 구분된 색상의 경계부분에 좌표의 초기값이 설정되어 일정시간 간격으로 변화되는 좌표값이 추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경과 접합소재(l) 및 곡률 조절 부재(e)가 흑과 백으로 이진화되고, 흑과 백의 경계부분에 초기값인 복수의 좌표가 설정되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좌표의 변화가 추적될 수 있다. 이 경우, 알고리즘이 사용되고, 알고리즘은 이전 화상에서 측정한 각각의 좌표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 크기의 탐색 영역을 일정 시간별로 이후의 화상에 지정하여 새로운 좌표를 찾는 과정을 자동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추적단계(121)에서 분리가 시작되는 균열선단과 곡률 조절 부재(e)의 측면이 각각 좌표의 초기값으로 설정되어 좌표의 변화가 추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소재(l)의 중심을 기준으로 균열 선단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곡률 조절 부재(e)의 측면 모서리의 좌표가 초기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균열선단의 초기 좌표는 x1, 곡률 조절 부재의 측면 모서리의 좌표는 y1으로 설정될 수 있다. 곡률 조절 부재(e)의 측면 모서리는 흑과 백의 경계가 명확하여 좌표로 잡기 용이하다는 점 및 균열선단에서 시작된 균열이 균열선단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접합부재 측면의 어느 위치에서 균열을 마칠지 모른다는 점에서, 곡률 조절 부재(e)의 측면 모서리가 좌표의 초기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계산단계(122)에서, 추적단계(121)에서 추적한 좌표 변화를 토대로 접합소재(l)의 분리정도가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가 시작되는 균열선단으로부터 접합소재(l)를 따라 분리되는 분리 길이(a)가 계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접합소재(l)는 접합소재(l)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리되므로, 분리되는 부분은 균열선단으로부터 시작되어 접합소재(l)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계산단계(122)에서 초기값으로 설정된 각각의 좌표값 사이의 거리와 분리 현상에 따른 변화된 좌표값 사이의 거리의 차이를 통해 분리 길이가 계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균열선단이 시작되는 좌표(x1)와 곡률 조절 부재(e)의 측면 모서리 좌표(y1) 사이의 거리에서 변화된 균열선단의 좌표(x2)와 곡률 조절 부재(e)의 측면 모서리 좌표(y2) 사이의 거리를 뺌으로써, 분리 길이가 계산될 수 있다. 접합소재(l) 및 곡률 조절 부재(e)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우, 균열 종단과 곡률 조절 부재(e)의 측면 모서리 사이의 거리(h)를 이용하여, 피타고라스 삼각 정리를 통해 분리 길이가 계산될 수 있다.
산출단계(13)에서, 측정단계(12)에서 측정한 분리 길이값을 이용하여 접합소재(l)의 저항 특성이 산출될 수 있다. 저항 특성(R)은 '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의 수식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이 경우,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는 균열면의 표면 에너지,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는 균열 선단의 plastic zone 생성에 필요한 에너지일 수 있다. 또한, 아래의 수식(8)을 이용하여 변형에너지 방출율 방출율 (
Figure pat00022
)이 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P는 가해지는 하중,
Figure pat00023
는 가력 지점 변위, b는 접합소재(l) 및 곡률 조절 부재(e)의 너비 및 a는 분리 길이일 수 있다.
Figure pat00024
(8)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
10: 부착단계
11: 분리단계
12: 측정단계
13: 산출단계
100: 결정단계
101: 적층단계
120: 구분단계
121: 추적단계
122: 계산단계

Claims (12)

  1. 접합소재의 외면에 곡률 조절 부재가 부착되는 부착단계;
    상기 곡률 조절 부재의 외면에 분리 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접합 소재가 분리되는 분리단계; 및
    상기 접합 소재 및 상기 접합 소재의 배경이 각각 구분되어 상기 접합 소재의 분리 정도가 측정되는 측정단계를 포함하는,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단계는,
    상기 접합소재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상기 곡률 조절 부재의 두께가 결정되는 결정단계; 및
    상기 접합소재의 상면 및 하면에 상기 곡률 조절 부재가 적층되는 적층단계를 포함하는,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에서, 상기 접합소재의 분리면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분리되는 각 부분의 굽힘 곡률이 동일하도록, 상기 접합소재의 상면 및 하면에 부착되는 상기 곡률 조절 부재의 각각의 두께가 결정되는,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접합 소재의 두께 및 강성 값과 상기 곡률 조절 부재의 강성 값을 이용하여 상기 곡률 조절 부재의 두께가 결정되는,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조절 부재는 상기 접합소재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소재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상기 접합소재의 색상과 상기 접합소재의 배경 색상이 구분되는 구분단계;
    상기 구분단계에서 구분된 색상의 경계부분에 좌표가 설정되어, 분리현상에 따른 좌표의 변화가 추적되는 추적단계; 및
    상기 추적단계에서 추적한 좌표 변화를 토대로 상기 접합소재의 분리정도가 계산되는 계산단계를 포함하는,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단계에서 구분된 색상의 경계부분에 좌표의 초기값이 설정되어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변화되는 좌표값이 추적되는,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단계에서, 분리가 시작되는 균열선단과 상기 곡률 조절 부재의 측면이 각각 좌표의 초기값으로 설정되어 좌표의 변화가 추적되는,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단계에서, 접합 소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균열 선단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곡률 조절 부재의 측면 모서리의 좌표가 초기값으로 설정되는,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단계에서, 상기 분리가 시작되는 균열선단으로부터 상기 접합소재를 따라 분리되는 분리 길이가 계산되는,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단계는, 초기값으로 설정된 좌표값 사이의 거리와 분리 현상에 따른 변화된 좌표값 사이의 거리의 차이를 통해 분리 길이가 계산되는,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조절 부재는 상기 접합소재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곡률 조절 부재의 상면 및 하면과 연결되어 상기 접합 소재를 상측 및 하측으로 분리시키는,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

KR1020200142872A 2020-08-13 2020-10-30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 KR102418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1784 2020-08-13
KR1020200101784 2020-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361A true KR20220021361A (ko) 2022-02-22
KR102418653B1 KR102418653B1 (ko) 2022-07-11

Family

ID=8049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872A KR102418653B1 (ko) 2020-08-13 2020-10-30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6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3355B2 (ja) * 2000-10-25 2010-09-15 大宏電機株式会社 成形部品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並びに端子高さ検査装置
JP4687920B2 (ja) * 2005-02-10 2011-05-25 日本電気株式会社 バイオ分析用の蓋シール付きマイクロチップの自動サンプル処理方法、及び自動サンプル処理装置
JP5082416B2 (ja) * 2006-12-07 2012-11-28 横浜ゴム株式会社 構造体の破壊予測方法及び構造体の破壊予測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3355B2 (ja) * 2000-10-25 2010-09-15 大宏電機株式会社 成形部品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並びに端子高さ検査装置
JP4687920B2 (ja) * 2005-02-10 2011-05-25 日本電気株式会社 バイオ分析用の蓋シール付きマイクロチップの自動サンプル処理方法、及び自動サンプル処理装置
JP5082416B2 (ja) * 2006-12-07 2012-11-28 横浜ゴム株式会社 構造体の破壊予測方法及び構造体の破壊予測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653B1 (ko) 202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8868B2 (ja) 亀裂成長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olanu et al.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on the buckling and post-buckling behavior of single blade-stiffened CFRP panels
Sundaram et al. Dynamics of crack penetration vs. branching at a weak interface: an experimental study
WO2016152076A1 (ja) 構造物の状態判定装置と状態判定システムおよび状態判定方法
US7823456B2 (en) Pressure sensor
WO2016152075A1 (ja) 構造物の状態判定装置と状態判定システムおよび状態判定方法
Schmitz et al. A finite element unit-cell method for homogenised mechanical properties of heterogeneous plates
WO2017179535A1 (ja) 構造物の状態判定装置と状態判定システムおよび状態判定方法
Strungar et al. Experimental study of shear properties of 3D woven composite using digital image correlation and acoustic emission
CN103592114A (zh) 一种自冲铆接头的力学性能检测方法
Xu et al. Surface tension measurement from the indentation of clamped thin films
KR102418653B1 (ko) 접합소재의 분리현상 관측 방법
KR101328475B1 (ko) 디지털 이미지 해석을 이용한 층상 복합재료의 계면 접합 특성 평가방법
KR101964880B1 (ko)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구조물의 응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El-Hajjar et al. Adhesive polyvinyl chloride coatings for quantitative strain measurement in composite materials
US10809051B2 (en) Debonding detecting method and debonding detecting device
US7392708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measuring shear strain of thick adhesive bondlines
CN111125615B (zh) 一种含脱层复合材料层合结构剩余承载强度的计算方法
Yokoyama et al. Development of stereo image analysis for measuring small deformation
CN111380476B (zh) 一种基于应变测量数据的梁式结构变形测量方法和装置
JP2017101952A (ja) 建物の応答推定方法
US20190017810A1 (en) Non-destructive optical method for determining minimum bond strength and proving bond efficacy
Mendoza et al. Evaluation of Low-Cycle Impact Fatigue Damage in CFRPs using the Virtual Fields Method
Casapu et al. Off-axis response and shear characterization of unidirectional ply-level hybrid carbon-fiber-reinforced polymer materials
Toyoshi et al. Camera calibration method for accurate full-field strain measurement by dot centroi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