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210A -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210A
KR20220021210A KR1020200101766A KR20200101766A KR20220021210A KR 20220021210 A KR20220021210 A KR 20220021210A KR 1020200101766 A KR1020200101766 A KR 1020200101766A KR 20200101766 A KR20200101766 A KR 20200101766A KR 20220021210 A KR20220021210 A KR 20220021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audio
talk button
talk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083B1 (ko
Inventor
신재섭
류성걸
손세훈
김연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스트리
Priority to KR1020200101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0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04N5/2329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출력 화면의 일측에 비디오 톡 버튼을 추가하고, 출력 화면의 타측에 오디오 톡 버튼을 추가하여 문자 기반 메시지를 주고받는 도중에 빠르고 간편하게 비디오 톡 서비스와 오디오 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dia Mess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네트워크가 연결된 컴퓨터, 모바일 기기 등에 마련된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실시간 메시지 및 파일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메신저의 활용도가 크게 높아지고 있다.
메신저의 다양한 기능과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과 문자로 대화를 나누거나 다른 친구를 초대하여 여러 이용자와 문자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하는 일대일 대화 및 그룹 대화 기능을 제공한다.
메신저 기능 중 메시지를 주고 받는 기능을 볼 때, 메신저를 통해 메시지를 입력하는 방식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패널(TSP:touch screen panel)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상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였다.
하지만, 의사소통을 하는 과정에서 문자 메시지로만 대화를 주고받는 데에는 표현의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출력 화면의 일측에 비디오 톡 버튼을 추가하고, 출력 화면의 타측에 오디오 톡 버튼을 추가하여 문자 기반 메시지를 주고받는 도중에 빠르고 간편하게 비디오 톡 서비스와 오디오 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 상에 미디어 톡 버튼을 출력시키는 버튼 출력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미디어 톡 버튼이 눌려지고 눌림이 해제되는 동작을 기반으로 미디어를 레코딩하는 레코딩부; 레코딩된 미디어를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미디어 톡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미디어 톡이 재생되도록 하는 메시지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의 일측에 오디오 톡 버튼을 출력시키는 과정;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마이크를 구동시켜서 오디오 녹음을 시작하는 과정;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오디오 녹음을 중지하는 과정;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까지 녹음된 오디오를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오디오 톡으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오디오 톡이 재생되도록 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의 타측에 비디오 톡 버튼을 출력시키는 과정;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카메라를 구동시켜서 비디오 녹화를 시작하는 과정;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비디오 녹화를 중지하는 과정;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까지 녹화된 비디오를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비디오 톡으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비디오 톡이 재생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출력 화면의 일측에 비디오 톡 버튼을 추가하고, 출력 화면의 타측에 오디오 톡 버튼을 추가하여 문자 기반 메시지를 주고받는 도중에 빠르고 간편하게 비디오 톡 서비스와 오디오 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톡 버튼을 이용하여 비디오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톡 버튼을 이용하여 오디오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톡 버튼 및 오디오 톡 버튼을 이용하여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톡 버튼 및 오디오 톡 버튼의 조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비디오 톡 버튼 및 오디오 톡 버튼 조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동일한 버튼의 조작으로 제어모드 진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버튼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 톡 메시지를 송수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톡 버튼을 이용하여 비디오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단말기(100)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대방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한다.
단말기(1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미디어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단말기(100)는 (ⅰ)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ⅱ)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ⅲ)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이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플래시 메모리,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저장매체일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동작과 기능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특정한 구성의 주문형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의 하드웨어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을 탑재하여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동작하는 중에 비디오 톡 서비스와 오디오 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단말기(100)의 메모리 내에 탑재되어 구동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단말기(100)에 임베디드(Embedded) 형태로 탑재되거나, OS(Operating System)에 인스톨(Install)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단말기(100)에 탑재되어, 단말기(11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카메라, 마이크 등)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단말기(100) 내에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카카오톡(KakaoTalk), 텔레그램(Telegram), 바이버(Viber), 위쳇(WeChat), 왓츠앱(WhatsApp) 라인(Line) 등)의 출력 화면의 일측에 비디오 톡 버튼(110)을 추가하고, 출력 화면의 타측에 오디오 톡 버튼(210)을 추가하여 비디오 톡 서비스와 오디오 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과 별도로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 가능하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비디오 톡 또는 오디오 톡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을 개시하거나 완료한 후 자동으로 톡을 전송하면 상대방이 비디오 녹화 톡 또는 오디오 녹음 톡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 진행 중 편리하게 카메라 또는 마이크를 제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단순히 비디오, 사진, 오디오를 공유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녹화된 비디오 정보를 비디오 녹화 톡 정보로서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녹음된 오디오 정보를 오디오 녹음 톡 정보로서 실시간으로 송수신하고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출력 화면(톡 화면) 상의 일측에 비디오 톡 버튼(110)을 출력시킨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비디오 톡 버튼(110)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단말기(100)의 카메라를 구동시켜서 동영상 촬영을 실행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비디오 톡 버튼(110)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자동으로(별도의 공유를 위한 작업 없이) 그때까지 촬영된 동영상이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상대방의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비디오 톡(동영상)을 전송한다. 상대방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은 비디오 톡(동영상)을 수신하고, 비디오 톡을 출력 화면 상에서 동영상이 자동 재생되도록 한다.
상대방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은 사전 설정으로 수신한 비디오 톡을 자동 플레이되도록 하거나 터치 입력으로 인한 플레이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대방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은 사전 설정으로 비디오 톡 재생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톡 버튼을 이용하여 오디오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출력 화면(톡 화면) 상의 타측에 오디오 톡 버튼(210)을 출력시킨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오디오 톡 버튼(210)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단말기(100)의 마이크를 구동시켜서 오디오 녹음을 실행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오디오 톡 버튼(210)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자동으로(별도의 공유를 위한 작업 없이) 그때까지 녹음된 오디오가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상대방의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오디오 톡(음성, 오디오)을 전송한다. 상대방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은 오디오 톡(동영상)을 수신하고, 오디오 톡을 출력 화면 상에서 오디오가 자동 재생되도록 한다.
상대방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은 사전 설정으로 수신한 오디오 톡을 자동 플레이되도록 하거나 터치 입력으로 인한 플레이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대방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은 사전 설정으로 오디오 톡 재생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톡 버튼 및 오디오 톡 버튼을 이용하여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출력 화면(톡 화면) 상의 일측에 비디오 톡 버튼(110)을 출력시키고, 타측에 오디오 톡 버튼(210)을 출력시킨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비디오 톡 버튼(110) 또는 오디오 톡 버튼(210)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단말기(100)의 카메라를 구동시켜서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마이크를 구동시켜서 오디오 녹음을 실행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비디오 톡 버튼(110) 또는 오디오 톡 버튼(210)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자동으로(별도의 공유를 위한 작업 없이) 그때까지 촬영된 동영상 또는 녹음된 오디오가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상대방의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비디오 톡(동영상) 또는 오디오 톡(음성, 오디오)을 전송한다. 상대방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은 비디오 톡(동영상) 또는 오디오 톡(동영상)을 수신하고, 비디오 톡(동영상) 또는 오디오 톡을 출력 화면 상에서 자동 재생되도록 한다.
상대방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은 사전 설정으로 수신한 비디오 톡 또는 오디오 톡을 자동 플레이되도록 하거나 터치 입력으로 인한 플레이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대방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은 사전 설정으로 비디오 톡 또는 오디오 톡 재생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단말기(100) 내에 탑재되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별도의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로 구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버튼 출력부(410), 사용자 명령 감지부(420), 레코딩부(430), 메시지 전송부(440), 메시지 재생부(450)를 포함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4에 도시된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버튼 출력부(410)는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 상에 미디어 톡 버튼을 출력시킨다. 여기서, 미디어 톡 버튼은 비디오 톡 버튼(110), 오디오 톡 버튼(210), 라이브 톡 버튼(900)을 포함한다.
버튼 출력부(410)는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의 타측에 오디오 톡 버튼(210)을 출력시킨다. 버튼 출력부(410)는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의 일측에 비디오 톡 버튼(110)을 출력시킨다. 버튼 출력부(410)는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 상에 라이브 톡 버튼(900)을 출력시킨다.
사용자 명령 감지부(420)는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중에 음성을 인식하거나 사용자 제스처를 인식하여 마이크를 구동시켜서 오디오 녹음을 시작하거나 카메라를 구동시켜서 비디오 녹화를 시작하도록 동작한다.
사용자 명령 감지부(420)는 제스처를 감지하다가 사용자가 기 설정한 제1 동작(손바닥을 펼쳐서 보이면)이 인지되면 레코딩부(430)에서 오디오 녹음을 시작하거나 비디오 녹화를 시작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 명령 감지부(420)는 제1동작이 제2 동작(사용자가 손바닥을 오므려서 주먹을 쥐면)으로 변경되면, 레코딩부(430)에서 마이크의 볼륨이 커지거나 카메라가 줌인 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 명령 감지부(420)는 제2 동작이 다시 제1동작(주먹을 다시 펴서 손바닥이 보이면)으로 변경되면 레코딩부(430)에서 마이크의 볼륨이 최초 상태로 복귀하거나 카메라가 최초 줌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 명령 감지부(420)는 제1 동작이 인식되지 않으면(손바닥이 없어지면) 오디오 녹음을 중지하거나 비디오 녹화를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레코딩부(43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미디어 톡 버튼(비디오 톡 버튼(110), 오디오 톡 버튼(210), 라이브 톡 버튼(900))이 눌려지고 눌림이 해제되는 동작을 기반으로 미디어(예컨대, 비디오, 오디오 등)를 레코딩한다.
레코딩부(43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오디오 톡 버튼(210)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단말기(100) 내의 마이크를 구동시켜서 오디오 녹음을 시작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오디오 톡 버튼(210)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오디오 녹음을 중지한다.
레코딩부(43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오디오 톡 버튼(210)이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면 단말기 내의 마이크를 구동시켜서 오디오 녹음을 시작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오디오 톡 버튼(210)이 다시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오디오 녹음을 중지한다.
레코딩부(43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오디오 톡 버튼(210)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단말기(100) 내의 마이크를 구동시켜서 오디오 녹음을 시작하며, 오디오 톡 버튼(210)을 누르는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범위를 초과하면 마이크의 볼륨이 커지도록 제어한다. 레코딩부(430)는 오디오 톡 버튼(210)을 누르는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로 변경되면 마이크의 볼륨이 최초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레코딩부(43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오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오디오 녹음을 중지한다.
레코딩부(430)는 오디오 톡 버튼(210)이 눌려진 기준 위치에서 상하좌우로 눌려진 위치가 움직임이면, 계속 오디오 녹음을 진행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마이크의 지향성이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레코딩부(430)는 눌려진 위치가 다시 기준위치로 이동하거나 오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면 마이크의 지향성이 원상 복귀되거나 마지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레코딩부(43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오디오 톡 버튼(210)이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면 마이크를 구동시켜서 오디오 녹음을 시작하다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오디오 톡 버튼이 다시 한번 일정시간동안 눌려지는 경우 제어모드로 진입한다. 레코딩부(430)는 제어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오디오 톡 버튼(210)이 눌려진 기준 위치에서 상하좌우로 눌려진 위치가 움직임이면, 계속 오디오 녹음을 진행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마이크의 지향성이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레코딩부(430)는 제어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눌려진 위치가 다시 기준위치로 이동하거나 오디오 톡 버튼이 다시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면 마이크의 지향성이 원상 복귀되거나 마지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레코딩부(43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비디오 톡 버튼(110)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단말기(100) 내의 카메라를 구동시켜서 비디오 녹화를 시작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비디오 톡 버튼(110)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비디오 녹화를 중지한다.
레코딩부(43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비디오 톡 버튼이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면 단말기(100) 내의 카메라를 구동시켜서 비디오 녹화를 시작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비디오 톡 버튼이 다시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비디오 녹화를 중지한다.
레코딩부(43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비디오 톡 버튼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카메라를 구동시켜서 비디오 녹화를 시작하며, 비디오 톡 버튼을 누르는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범위 초과하면 카메라가 줌인하도록 제어한다. 레코딩부(430)는 비디오 톡 버튼(110)을 누르는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로 변경되면 카메라가 최초 줌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레코딩부(43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비디오 톡 버튼(110)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비디오 녹음을 중지한다.
레코딩부(430)는 비디오 톡 버튼(110)이 눌려진 기준 위치에서 상하좌우로 눌려진 위치가 움직임이면, 계속 비디오 녹화를 진행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카메라의 앵글이 돌아가도록 제어한다. 레코딩부(430)는 눌려진 위치가 다시 기준위치로 이동하거나 비디오 톡 버튼(110)의 눌림이 해제되면 카메라의 앵글이 최초 상태로 원상 복귀되거나 마지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레코딩부(430)는 비디오 톡 버튼(110)이 눌려진 기준 위치에서 상하좌우로 눌려진 위치가 움직임이면, 계속 비디오 녹화를 진행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카메라의 앵글이 돌아가도록 제어하고, 동시에 해당 방향으로 마이크의 지향성을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레코딩부(430)는 눌려진 위치가 다시 기준위치로 이동하거나 비디오 톡 버튼(110)의 눌림이 해제되면 카메라의 앵글과 마이크 지향성이 최초 상태로 원상 복귀되거나 마지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레코딩부(43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비디오 톡 버튼(110)이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면 카메라를 구동시켜서 비디오 녹화를 시작하다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비디오 톡 버튼(110)이 다시 한번 일정시간동안 눌려지는 경우 제어모드로 진입한다.
레코딩부(430)는 제어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비디오 톡 버튼(110)이 눌려진 기준 위치에서 상하좌우로 눌려진 위치가 움직임이면, 계속 비디오 녹화를 진행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카메라의 앵글이 돌아가도록 제어한다. 레코딩부(430)는 눌려진 위치가 다시 기준위치로 이동하거나 비디오 톡 버튼(110)이 다시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면 카메라의 앵글이 최초 상태로 원상 복귀되거나 마지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레코딩부(430)는 제어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비디오 톡 버튼(110)이 눌려진 기준 위치에서 상하좌우로 눌려진 위치가 움직임이면, 계속 비디오 녹화를 진행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카메라의 앵글이 돌아가도록 제어하고, 동시에 해당 방향으로 마이크 지향성이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레코딩부(430)는 눌려진 위치가 다시 기준위치로 이동하거나 비디오 톡 버튼(110)이 다시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면 카메라의 앵글과 마이크 지향성이 최초 상태로 원상 복귀되거나 마지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메시지 전송부(440)는 레코딩부(430)에 의해 레코딩된 미디어를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미디어 톡으로 전송한다.
메시지 전송부(440)는 오디오 톡 버튼(210)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까지 녹음된 오디오를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오디오 톡으로 전송한다. 메시지 전송부(440)는 오디오 톡 버튼(210)이 다시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까지 녹음된 오디오를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오디오 톡으로 전송한다.
메시지 전송부(440)는 비디오 톡 버튼(110)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까지 녹화된 비디오를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비디오 톡으로 전송한다. 메시지 전송부(440)는 비디오 톡 버튼(110)이 다시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까지 녹화된 비디오를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비디오 톡으로 전송한다.
메시지 전송부(44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라이브 톡 버튼(900)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마이크 또는 카메라를 구동시켜서 오디오 및 비디오가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라이브 톡으로 전송하다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라이브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라이브 톡 전송을 중지한다.
메시지 전송부(44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라이브 톡 버튼(900)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의 마이크 또는 카메라를 구동시켜서 오디오 및 비디오가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사용자에게 라이브 톡으로 전송되다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라이브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라이브 톡 송수신을 중지한다.
메시지 재생부(450)는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미디어 톡이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메시지 재생부(450)는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오디오 톡, 비디오 톡, 라이브 톡이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톡 버튼 및 오디오 톡 버튼의 조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출력 화면 상에 비디오 톡 버튼(110) 또는 오디오 톡 버튼(210)을 누르고 있는 방법 이외에 다른 방법을 적용하여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출력 화면 상에 비디오 톡 버튼(110) 또는 오디오 톡 버튼(210)이 한번 눌러지면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을 시작한다.
이후,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출력 화면 상에 비디오 톡 버튼(110) 또는 오디오 톡 버튼(210)이 다시 한번 눌러지면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을 완료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포착되는 움직임 검출 기능을 이용하여 사전 설정된 특정 동작으로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을 시작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후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을 시작과 동일하게 사전 설정된 특정 동작으로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을 완료할 수 있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을 시작과 다르게 사전 설정된 특정 동작으로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을 완료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을 이용한 비디오 톡 버튼 및 오디오 톡 버튼 조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녹화 중에 화면을 터치하여 카메라 줌/앵글을 변경하거나 오디오 녹음 중에 화면을 터치하여 마이크 볼륨/지향성을 변경할 수 있다. 비디오 녹화 중에 별도의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카메라 줌/앵글을 변경하거나 오디오 녹음 중에 별도의 마이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마이크 볼륨/지향성을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방식 모두 별도 조작을 수행하거나 화면을 별도로 터치해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 스위치를 제어하는 방식의 경우 스위치의 부가 기능을 이용하여 원터치로 녹화시작/종료, 디바이스 제어가 가능하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비디오 톡 버튼(110)이 눌릴 때, 스위치를 누르는 압력의 크기에 대응하여 카메라의 줌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비디오 톡 버튼(110)을 평소 수준으로 누르기 세기(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에서 비디오 녹화를 진행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오디오 톡 버튼(210)이 눌릴 때, 스위치를 누르는 압력의 크기에 대응하여 마이크의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오디오 톡 버튼(210)을 평소 수준으로 누르기 세기(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에서 오디오 녹음을 진행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지속적인 비디오 녹화 중에 비디오 톡 버튼(110)을 누르는 압력이 증가(기 설정된 임계범위 초과)되면 카메라가 줌인되도록 제어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지속적인 오디오 녹음 중에 오디오 톡 버튼(210)을 누르는 압력이 증가(기 설정된 임계범위 초과)되면 마이크의 볼륨이 커지도록 제어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비디오 톡 버튼(110)을 누르는 압력이 다시 평소 수준으로 누르는 압력을 복귀(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하면 카메라가 최초 줌 상태 또는 해당 렌즈의 1배 줌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오디오 톡 버튼(210)을 누르는 압력이 다시 평소 수준으로 누르는 압력을 복귀(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하면 마이크의 볼륨이 최초 상태 또는 기준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비디오 톡 버튼(110)을 기준 위치(예컨대, 중앙)를 누른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임이면, 계속 녹화를 진행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카메라의 앵글이 돌아가도록 제어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비디오 톡 버튼(110)을 기준 위치(예컨대, 중앙)를 누른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임이면, 계속 녹화를 진행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카메라의 앵글이 돌아가도록 제어하고, 동시에 마이크의 지향성이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오디오 톡 버튼(210)을 기준 위치(예컨대, 중앙)를 누른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임이면, 계속 녹화를 진행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마이크의 지향성이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비디오 톡 버튼(110)에 대한 누르기가 완료되거나 상하좌우 상태에서 기준 위치로 이동하면, 카메라의 줌 및 앵글이 자동으로 원상 복귀되거나 마지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오디오 톡 버튼(210)에 대한 누르기가 완료되거나 상하좌우 상태에서 기준 위치로 이동하면, 마이크의 볼륨이나 지향성이 자동으로 원상 복귀되거나 마지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동일한 버튼의 조작으로 제어모드 진입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녹화 중에 화면을 터치하여 카메라 줌/앵글을 변경하거나 오디오 녹음 중에 화면을 터치하여 마이크 볼륨/지향성을 변경할 수 있다. 비디오 녹화 중에 별도의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카메라 줌/앵글을 변경하거나 오디오 녹음 중에 별도의 마이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마이크 볼륨/지향성을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방식 모두 별도 조작을 수행하거나 화면을 별도로 터치해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 스위치를 제어하는 방식의 경우 스위치의 부가 기능을 이용하여 동일한 버튼으로 녹화시작/종료, 디바이스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비디오 톡 버튼(110)이 눌렸다가 눌림이 해지되면, 비디오 녹화가 시작되고, 비디오 녹화 중 다시 버튼이 일정시간 눌리면, 카메라 줌, 앵글, 마이크 지향성, 불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드로 진입하고, 눌러지는 시간, 방향, 입력에 대응하여 카메라의 줌, 앵글, 마이크 지향성,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제어모드로 진입한 후 일정 시간 이상의 비디오 톡 버튼(110)을 누르고 있는 상태가 지속된 후 버튼의 중심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계속적인 비디오 녹화 중에, 카메라 줌이 시작되도록 제어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제어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비디오 톡 버튼(110)을 누르는 압력에 대응하여 카메라가 줌인 되고, 다시 평소 수준으로 누르는 압력을 복귀하면 카메라가 최초 줌 상태 또는 해당 렌즈의 1배 줌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오디오 톡 버튼(210)이 눌렸다가 눌림이 해지되면, 오디오 녹음이 시작되고, 오디오 녹음 중 다시 버튼이 일정시간 눌리면, 마이크 볼륨, 지향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드로 진입하고, 눌러지는 시간에 대응하여 마이크의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제어모드로 진입한 후 일정 시간 이상의 오디오 톡 버튼(210)을 누르고 있는 상태가 지속된 후 버튼의 중심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계속적인 오디오 녹음 중에, 마이크 볼륨이 증가가 시작되도록 제어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제어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오디오 톡 버튼(210)을 누르는 압력에 대응하여 마이크 볼륨이 커지고, 다시 평소 수준으로 누르는 압력을 복귀하면 마이크 볼륨이 기준 볼륨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제어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비디오 톡 버튼(110)을 기준 위치(예컨대, 중앙)를 누른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임이면, 계속 비디오 녹화를 진행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카메라의 앵글이 돌아가도록 제어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제어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비디오 톡 버튼(110)을 기준 위치(예컨대, 중앙)를 누른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임이면, 계속 비디오 녹화를 진행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카메라의 앵글이 돌아가도록 제어하고, 동시에 해당 방향으로 마이크 지향성을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제어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오디오 톡 버튼(210)을 기준 위치(예컨대, 중앙)를 누른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임이면, 계속 오디오 녹음을 진행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마이크의 지향성이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제어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비디오 톡 버튼(110)에 대한 누르기가 완료되거나 상하좌우 상태에서 기준 위치로 이동하면, 카메라의 줌 및 앵글이 자동으로 원상 복귀되거나 마지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제어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오디오 톡 버튼(210)에 대한 누르기가 완료되거나 상하좌우 상태에서 기준 위치로 이동하면, 마이크의 볼륨이나 지향성이 자동으로 원상 복귀되거나 마지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버튼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문자 기반 메시지를 주고받는 도중에 비디오 톡 버튼(110), 오디오 톡 버튼(210), 모션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특정 방법으로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을 완료하면 자동으로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 데이터가 톡 데이터로서 송수신되도록 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디바이스의 별도 버튼, 음성 명령, 사전 설정 시간, 특정 조건 등으로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문자 기반 메시지를 주고받는 도중에 제스처를 인식하여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예컨대,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다가 사용자가 손바닥을 펼쳐서 보이면 비디오 녹화 또는 오디오 녹음을 시작하고, 사용자가 손바닥을 오므려서 주먹을 주면 줌 인을 시작하고, 주먹을 다시 펴서 손바닥이 보이면 원상태로 줌 아웃이 되도록 하며, 손바닥이 없어지면 지금까지 녹화된 비디오 톡이 전송되도록 한다.
즉, 손바닥을 펼쳐서 녹화를 시작하고 다시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여 손바닥을 다시 한번 펼치면 녹화를 끝내는 두 번의 액션을 수행하는 방식이 아니라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한 번의 액션만으로 녹화가 시작되고, 액션이 끝날 때 같이 녹화가 종료되거나 다른 액션으로 연결되면 다른 제어로 동작하도록 한다.
도 9a,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 톡 메시지를 송수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보안, 자녀, 노약자 등을 대상으로 빠르게 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출력 화면(톡 화면) 상의 일측에 구현된 라이브 톡 버튼(900)을 누르는 순간 사용자의 카메라로 보이는 영상 또는 마이크로 들리는 오디오를 그대로 보거나 들을 수 있도록 상대방에게 라이브로 전송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출력 화면(톡 화면) 상의 일측에 구현된 라이브 톡 버튼(900)을 누르는 순간 상대방의 카메라로 보이는 영상 또는 마이크로 들리는 오디오를 그대로 보거나 들을 수 있도록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다.
먼저,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문자 기반 메시지를 주고받는 도중에 상대방과 함께하는 대화창으로 들어오면, 서로의 카메라, 마이크 사용을 허용하도록 한다.
이후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라이브 톡 버튼(900)이 눌려지면, 상대방의 카메라를 통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취득하는 동시에 톡 환경을 통한 스트리밍을 실시하여, 라이브 톡 버튼(900)을 누르고 있는 사용자의 톡 환경에 실시간 송수신되어 취득 데이터가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라이브 톡 버튼(900)이 눌려지면, 사용자의 카메라를 통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취득하는 동시에 톡 환경을 통한 스트리밍을 실시하여, 상대방의 톡 환경에 실시간 송수신되어 취득 데이터가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한다.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라이브 톡 버튼(900)이 눌리면, 상대방의 마이크를 이용한 음성, 오디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취득하는 동시에 톡 환경을 통한 스트리밍을 실시하여, 라이브 톡 버튼(900)을 누르고 있는 사용자의 톡 환경에 실시간 송수신되어 취득 데이터가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라이브 톡 버튼(900)이 눌리면, 사용자의 마이크를 통한 음성/오디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취득하는 동시에 톡 환경을 통한 스트리밍을 실시하여, 상대방의 톡 환경에 실시간 송수신되어 취득 데이터가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화면 상에 라이브 톡 버튼(900)을 출력시킨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라이브 톡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메시지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라이브 톡 버튼(900)이 눌려지면, 라이브 톡 버튼(900)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상대방 단말기로 마이크 또는 카메라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명령을 전송한다. 여기서, 상대방 단말기 역시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다. 상대방 단말기에 탑재된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은 라이브 톡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메시지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상대방 단말기에 탑재된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은 메시지 송신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에 따라 마이크 또는 카메라를 구동시켜서 촬영한 영상 또는 녹음한 음성을 라이브 톡으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라이브 톡으로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기에 탑재된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400)은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를 자신에게 전송한 라이브 톡을 수신하다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라이브 톡 버튼(900)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던 라이브 톡의 수신을 중지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여 라이브 톡이 중지되도록 한다. 상대방 단말기에 탑재된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라이브 톡 중지 명령을 수신하면 제어 명령에 따라 마이크 또는 카메라를 구동을 중지 시킨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단말기
110: 비디오 톡 버튼
210: 오디오 톡 버튼
400: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애플리케이션
410: 버튼 출력부
420: 사용자 명령 감지부
430: 레코딩부
440: 메시지 전송부
450: 메시지 재생부
900: 라이브 톡 버튼

Claims (20)

  1.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 상에 미디어 톡 버튼을 출력시키는 버튼 출력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미디어 톡 버튼이 눌려지고 눌림이 해제되는 동작을 기반으로 미디어를 레코딩하는 레코딩부;
    레코딩된 미디어를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미디어 톡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미디어 톡이 재생되도록 하는 메시지 재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출력부는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의 일측에 오디오 톡 버튼을 출력시키며
    상기 레코딩부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마이크를 구동시켜서 오디오 녹음을 시작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오디오 녹음을 중지하며,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까지 녹음된 오디오를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오디오 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출력부는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의 일측에 오디오 톡 버튼을 출력시키며
    상기 레코딩부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이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면 마이크를 구동시켜서 오디오 녹음을 시작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이 다시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오디오 녹음을 중지하며,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이 다시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까지 녹음된 오디오를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오디오 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출력부는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의 일측에 오디오 톡 버튼을 출력시키며,
    상기 레코딩부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마이크를 구동시켜서 오디오 녹음을 시작하며,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을 누르는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범위 초과하면 상기 마이크의 볼륨이 커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을 누르는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로 변경되면 상기 마이크의 볼륨이 최초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오디오 녹음을 중지하며,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까지 녹음된 오디오를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오디오 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딩부는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이 눌려진 기준 위치에서 상하좌우로 눌려진 위치가 움직임이면, 계속 오디오 녹음을 진행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마이크의 지향성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며, 눌려진 위치가 다시 기준위치로 이동하거나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마이크의 지향성이 원상 복귀되거나 마지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출력부는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의 일측에 오디오 톡 버튼을 출력시키며
    상기 레코딩부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이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면 마이크를 구동시켜서 오디오 녹음을 시작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이 다시 한번 일정시간동안 눌려지는 경우 제어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딩부는
    상기 제어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이 눌려진 기준 위치에서 상하좌우로 눌려진 위치가 움직임이면, 계속 오디오 녹음을 진행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마이크의 지향성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며, 눌려진 위치가 다시 기준위치로 이동하거나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이 다시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마이크의 지향성이 원상 복귀되거나 마지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이 다시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까지 녹음된 오디오를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오디오 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출력부는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의 타측에 비디오 톡 버튼을 출력시키며
    상기 레코딩부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카메라를 구동시켜서 비디오 녹화를 시작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비디오 녹화를 중지하며,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까지 녹화된 비디오를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비디오 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출력부는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의 타측에 비디오 톡 버튼을 출력시키며
    상기 레코딩부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이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면 카메라를 구동시켜서 비디오 녹화를 시작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이 다시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비디오 녹화를 중지하며,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이 다시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까지 녹화된 비디오를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비디오 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출력부는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의 타측에 비디오 톡 버튼을 출력시키며
    상기 레코딩부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카메라를 구동시켜서 비디오 녹화를 시작하며,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을 누르는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카메라가 줌인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을 누르는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로 변경되면 상기 카메라가 최초 줌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비디오 녹음을 중지하며,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까지 녹음된 비디오를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비디오 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딩부는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이 눌려진 기준 위치에서 상하좌우로 눌려진 위치가 움직임이면, 계속 비디오 녹화를 진행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의 앵글이 돌아가도록 제어하며, 눌려진 위치가 다시 기준위치로 이동하거나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카메라의 앵글이 최초 상태로 원상 복귀되거나 마지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딩부는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이 눌려진 기준 위치에서 상하좌우로 눌려진 위치가 움직임이면, 계속 비디오 녹화를 진행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의 앵글이 돌아가도록 제어하며, 동시에 해당 방향으로 마이크의 지향성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며, 눌려진 위치가 다시 기준위치로 이동하거나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카메라의 앵글과 마이크의 지향성이 최초 상태로 원상 복귀되거나 마지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출력부는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의 타측에 비디오 톡 버튼을 출력시키며,
    상기 레코딩부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이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면 카메라를 구동시켜서 비디오 녹화를 시작하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이 다시 한번 일정시간동안 눌려지는 경우 제어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딩부는
    상기 제어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이 눌려진 기준 위치에서 상하좌우로 눌려진 위치가 움직임이면, 계속 비디오 녹화를 진행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의 앵글이 돌아가도록 제어하며, 눌려진 위치가 다시 기준위치로 이동하거나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이 다시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카메라의 앵글이 최초 상태로 원상 복귀되거나 마지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이 다시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까지 녹화된 비디오를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비디오 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딩부는
    상기 제어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이 눌려진 기준 위치에서 상하좌우로 눌려진 위치가 움직임이면, 계속 비디오 녹화를 진행하면서, 해당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의 앵글이 돌아가도록 제어하며, 동시에 해당 방향으로 마이크의 지향성이 변경되도록 제어하며, 눌려진 위치가 다시 기준위치로 이동하거나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이 다시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면 상기 카메라의 앵글과 마이크의 지향성이 최초 상태로 원상 복귀되거나 마지막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이 다시 한번 눌려졌다가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까지 녹화된 비디오를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비디오 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중에 음성을 인식하거나 사용자 제스처를 인식하여 마이크를 구동시켜서 오디오 녹음을 시작하거나 카메라를 구동시켜서 비디오 녹화를 시작하도록 동작하는 사용자 명령 감지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 감지부는,
    제스처를 감지하다가 사용자가 기 설정한 제1 동작이 인지되면 상기 레코딩부에서 오디오 녹음을 시작하거나 비디오 녹화를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동작이 제2 동작으로 변경되면 상기 레코딩부에서 상기 마이크의 볼륨이 커지거나 상기 카메라가 줌인 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동작이 다시 상기 제1동작으로 변경되면 상기 레코딩부에서 상기 마이크의 볼륨이 최초 상태로 복귀하거나 상기 카메라가 최초 줌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동작이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레코딩부에서 오디오 녹음을 중지하거나 비디오 녹화를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출력부는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 상에 라이브 톡 버튼을 출력시키며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라이브 톡 버튼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마이크 또는 카메라를 구동시켜서 오디오 및 비디오를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라이브 톡으로 전송하다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라이브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상기 라이브 톡 전송을 중지하거나
    메시지 수신부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라이브 톡 버튼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상대방 단말기가 마이크 또는 카메라를 구동시키도록 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를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자신에게 라이브 톡으로 수신하다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라이브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던 상기 라이브 톡의 수신을 중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장치.
  19.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의 일측에 오디오 톡 버튼을 출력시키는 과정;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마이크를 구동시켜서 오디오 녹음을 시작하는 과정;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오디오 녹음을 중지하는 과정;
    상기 오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까지 녹음된 오디오를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오디오 톡으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오디오 톡이 재생되도록 하는 과정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20.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출력 화면의 타측에 비디오 톡 버튼을 출력시키는 과정;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 카메라를 구동시켜서 비디오 녹화를 시작하는 과정;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 비디오 녹화를 중지하는 과정;
    상기 비디오 톡 버튼의 눌림이 해제되는 순간까지 녹화된 비디오를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의 상대방에게 비디오 톡으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문자 기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비디오 톡이 재생되도록 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20200101766A 2020-08-13 2020-08-13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17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66A KR102417083B1 (ko) 2020-08-13 2020-08-13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66A KR102417083B1 (ko) 2020-08-13 2020-08-13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210A true KR20220021210A (ko) 2022-02-22
KR102417083B1 KR102417083B1 (ko) 2022-07-06

Family

ID=80494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766A KR102417083B1 (ko) 2020-08-13 2020-08-13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08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3800A (ko) * 1997-11-29 1999-06-15 전주범 방송 프로그램 녹화시 콘트라스 상태의 기록 방법 및 그에 따른표출 방법
KR20050081470A (ko) * 2004-02-13 2005-08-19 주식회사 엑스텔테크놀러지 음성인식 가능한 메시지 녹음/재생방법
KR20130119579A (ko) * 2012-04-24 201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30135567A (ko) * 2012-06-01 201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을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40016701A (ko) * 2012-07-31 2014-02-10 하승준 음성 지원 채팅 방법
KR20150003518A (ko) * 2013-07-01 2015-01-09 주식회사 다벨 녹음 및 재생장치 일체형 멜로디언
KR20180029690A (ko) * 2016-09-13 2018-03-21 주식회사 유브이알 매물에 관한 가상현실영상 제공방법 및 제공서버, 매물에 관한 가상현실영상 제작방법 및 제작서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3800A (ko) * 1997-11-29 1999-06-15 전주범 방송 프로그램 녹화시 콘트라스 상태의 기록 방법 및 그에 따른표출 방법
KR20050081470A (ko) * 2004-02-13 2005-08-19 주식회사 엑스텔테크놀러지 음성인식 가능한 메시지 녹음/재생방법
KR20130119579A (ko) * 2012-04-24 201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30135567A (ko) * 2012-06-01 201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을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40016701A (ko) * 2012-07-31 2014-02-10 하승준 음성 지원 채팅 방법
KR20150003518A (ko) * 2013-07-01 2015-01-09 주식회사 다벨 녹음 및 재생장치 일체형 멜로디언
KR20180029690A (ko) * 2016-09-13 2018-03-21 주식회사 유브이알 매물에 관한 가상현실영상 제공방법 및 제공서버, 매물에 관한 가상현실영상 제작방법 및 제작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083B1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36536A1 (zh) 视频拍摄方法及电子设备
US20180160075A1 (en) Automatic Camera Selection
CN105516754B (zh) 画面显示控制方法、装置及终端
KR101571993B1 (ko) 음성 통화 방법, 음성 재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9661264B2 (en) Multi-display video communication medium,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05120122A (zh) 报警方法及装置
TW201537943A (zh) 使用單一動作停止記錄及發送
WO2015066949A1 (zh) 人机交互系统、方法及其装置
EP3103250B1 (en) Highlighting univiewed video messages
CN111147444B (zh) 一种交互方法及电子设备
CN105357734A (zh) 控制接入wifi热点的方法及装置
US20190246064A1 (en) Automatic camera selection
CN104958898A (zh) 游戏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4539871B (zh) 多媒体通话方法及装置
US20230138804A1 (en) Enhanced video call method an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CN107769881A (zh) 信息同步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
US20150264307A1 (en) Stop Recording and Send Using a Single Action
CN102045441A (zh) 使用移动终端的数据通信方法和系统
CN105530165A (zh) 用于即时聊天的方法及装置
JP2020188461A (ja) 端末機、サーバ及びその動作方法(mobile、serv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5117100A (zh) 目标对象的显示方法和装置
WO201615799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17083B1 (ko)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TWI740208B (zh) 影像傳輸裝置、具有遠端畫面擷取功能的影像顯示系統及遠端畫面影像擷取方法
CN107295167A (zh) 信息显示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