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178A - 사용자의 체격에 관계 없이 편한 자세의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력 운동 장치 및 그것에 장착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체격에 관계 없이 편한 자세의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력 운동 장치 및 그것에 장착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178A
KR20220020178A KR1020200100822A KR20200100822A KR20220020178A KR 20220020178 A KR20220020178 A KR 20220020178A KR 1020200100822 A KR1020200100822 A KR 1020200100822A KR 20200100822 A KR20200100822 A KR 20200100822A KR 20220020178 A KR20220020178 A KR 20220020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extension
guide
mounting
cab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수
Original Assignee
이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수 filed Critical 이봉수
Priority to KR1020200100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0178A/ko
Publication of KR20220020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4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by moving the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근력 운동 장치는 랙 프레임, 중량 판, 도르래들, 케이블, 및 케이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한다. 랙 프레임은 바닥 위에 놓이는 하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위의 영역에 있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중량 판은 지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두 기둥 사이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도르래들은 랙 프레임 및 중량 판에 장착된다. 케이블의 일단이 당겨지거나 놓이는 경우, 케이블은 도르래들을 따라 형성되는 경로 상에서 이동하며 중량 판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중량 판을 당기거나 놓는 힘을 제공한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는 지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한 기둥에 장착되고, 케이블의 일단이 당겨지거나 놓이는 경우에 케이블이 도르래 경로 상에서 이동하도록 케이블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는 장착부, 연장부, 및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장착부는 지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둥에의 장착을 제공한다. 연장부는 장착부에 형성되는 제 1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하고, 제 1 회전 축 상에서 장착부와 연결된다. 가이드부는 연장부로 연결되고, 제 2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체격에 관계 없이 편한 자세의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력 운동 장치 및 그것에 장착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MUSCLE BUILDING EXERCISE APPARATUS FACILITATING MUSCLE BUILDING EXERCISE IN EASY POSTURE REGARDLESS OF PHYSIQUE OF USER AND CABLE GUIDE APPARATUS EQUIPPED THERETO}
본 개시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근력 운동에 이용되는 근력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은 우리의 삶에 편리함과 편안함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편리함과 편안함은 사람들이 신체 활동들을 덜 하게 만들었다. 적은 신체 활동들은 운동 부족을 야기할 수 있고, 이는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근래 운동과 건강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운동들이 사람들의 일상들에서 수행되고 있다. 체육관들은 다양한 종류의 운동 기구들로 채워지고 있고, 몇몇 사람은 그들의 집에 운동 기구들을 마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운동하고 있다.
운동은 건강을 개선하고 유지하는 데에 중요하고, 운동 기구는 운동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할 수 있다. 예로서, 트레드밀, 실내 자전거 등과 같은 운동 기구들은 유산소 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체력을 향상시키고 체중을 조절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중량(weight)을 갖는 금속 판(metal plate)에 기반하는 벤치(bench) 유형 장치, 바(bar) 유형 장치, 랙(rack) 유형 장치 등과 같은 운동 기구들은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근력을 향상시키고 체형을 교정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력 운동 장치는 무거운 중량을 견뎌야 한다. 따라서, 근력 운동 장치는 보통 단단하고 견고한 금속의 재질로 제작된다. 그러나, 금속은 유연하지 않아서, 한 번 제작된 근력 운동 장치의 외형(예컨대, 모양, 크기 등)을 바꾸기는 어렵다.
반면, 근력 운동 장치로 운동하는 사람들의 체격들은 다양할 수 있다. 예로서, 동일한 근력 운동 장치가 키 큰 사람과 키 작은 사람 모두에 의해 이용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근력 운동 장치가 마른 사람과 뚱뚱한 사람 모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근력 운동 장치의 고정된 외형은 몇몇 사람의 체격들에 잘 맞지 않을 수 있고, 고정된 외형의 근력 운동 장치를 이용하는 것은 몇몇 사용자에게 불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사용자의 체격에 관계 없이 편한 자세의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력 운동 장치 및 케이블 가이드(cable guide)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에서, 근력 운동 장치는 랙 프레임(rack frame), 중량 판(weight plate), 도르래들, 케이블(cable), 및 케이블 가이드(guide)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랙 프레임은 바닥 위에 놓이도록 구성되는 하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하부 프레임 위의 영역에 있는 상부 프레임, 및 높이 방향을 따라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중량 판은 지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둥들 중 두 기둥 사이에서 높이 방향의 레일(rail)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르래들은 랙 프레임 및 중량 판에 장착될 수 있다. 케이블의 일단(one end)이 당겨지거나 놓이는 경우, 케이블은 도르래들을 따라 형성되는 경로 상에서 이동하며 중량 판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중량 판을 당기거나 놓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는 지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둥들 중 한 기둥에 장착될 수 있고, 케이블의 일단이 당겨지거나 놓이는 경우에 케이블이 도르래 경로 상에서 이동하도록 케이블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는 장착부, 연장부, 및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는 지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둥들 중 한 기둥에의 장착을 제공할 수 있다. 연장부는 장착부에 형성되는 높이 방향의 제 1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제 1 회전 축 상에서 장착부와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연장부로 연결될 수 있고, 연장부로의 연결이 제공되는 방향의 제 2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케이블이 도르래들 중 한 도르래로부터 연장부를 통해 가이드부로 연결됨에 따라, 케이블의 일단은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연장부와 가이드부가 연결되는 영역의 반대 편 영역에서 당겨지거나 놓일 수 있다.
몇몇 실시 예에서, 근력 운동 장치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장치는 가이드부, 장착부, 및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제 1 방향의 제 1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근력 운동 장치에서 중량 판을 당기거나 놓는 힘을 제공하기 위한 케이블의 일단이 당겨지거나 놓이도록 케이블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장착부는 근력 운동 장치의 랙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고, 제 1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돌출부 및 제 1 돌출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제 1 돌출부와 마주보며 제 1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연장부는 제 1 방향을 따라 가이드부를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 홀(hole)을 가질 수 있고, 제 1 돌출부의 제 1 관통 홀과 제 2 돌출부의 제 2 관통 홀 사이에 삽입되어 장착부와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제 2 연결 홀을 가질 수 있고, 제 1 관통 홀 및 제 2 관통 홀을 통해 형성되는 제 2 방향의 제 2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 1 연결 홀의 위치가 연장부의 제 1 영역에 대응하고 제 2 연결 홀의 위치가 연장부의 제 2 영역에 대응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연장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편에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 예에서, 근력 운동 장치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장치는 장착부, 연장부, 및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는 근력 운동 장치의 랙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연장부는 제 1 방향의 제 1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제 1 회전 축 상에서 장착부와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제 1 방향과 상이한 제 2 방향의 제 2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부로 연결될 수 있다.근력 운동 장치에서 중량 판을 당기거나 놓는 힘을 제공하기 위한 케이블이 근력 운동 장치로부터 연장부를 통해 가이드부로 연결됨에 따라, 가이드부는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연장부와 가이드부가 연결되는 영역의 반대 편 영역에서 케이블의 일단이 당겨지거나 놓이도록 케이블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하나의 근력 운동 장치로 다양한 체형의 사람들이 편한 자세로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몇몇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근력 운동 장치에 장착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 및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근력 운동 장치를 이용하여 근력 운동을 수행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 및 도 3의 케이블 가이드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8은 몇몇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근력 운동 장치에 케이블 가이드 장치를 장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몇몇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 장치들의 예시적인 구성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위에서 언급된 특성들 및 아래의 상세한 설명들은 본 개시의 설명 및 더 나은 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시적인 실시 예들을 보여준다. 본 개시는 이러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관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의 실시 예들은 단지 본 개시를 완전하게 만들기 위한 예시들일 뿐이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명확한 설명들을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본 개시가 여러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는 경우, 이 실시 예들 중 특정한 것 또는 이것들과 동등한 것 중 어떠한 것이든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아래의 설명들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특정 요소(들)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또는 어떤 과정이 특정 동작(들)을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다른 요소(들) 또는 다른 동작(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아래의 설명들에서 이용되는 용어들은 특정 실시 예를 보여주기 위해 제공될 뿐이고, 본 개시를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더 나은 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설명되는 예시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의 설명들에서 이용되는 용어들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널리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용어들은 설명들의 맥락에 따라 일관되게 해석되어야 한다. 나아가, 아래의 설명들에서 이용되는 용어들은, 그것들의 의미들이 명확히 정의되지 않은 한, 지나치게 이상적이거나 형식적인 의미들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몇몇 실시 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몇몇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 장치(1000)의 예시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근력 운동 장치(1000)는 랙 프레임(rack frame)(1100), 중량 판(weight plate)(1200), 도르래들(1300), 케이블(cable)들(1400, 1402),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 및 손잡이들(1600, 160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은 근력 운동 장치의 가능한 구성들 중 하나를 보여줄 뿐이고, 본 개시를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근력 운동 장치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고, 이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될 것이다.
중량 판(1200)은 중량을 갖는 하나 이상의 금속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근력 운동 장치(1000)는 중량 판(1200)의 중량에 기초하여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근력 운동 장치(1000)의 사용자는 중량 판(1200)을 들어올리고 내려놓기를 반복하여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근력 운동 장치(1000)의 랙 프레임(1100)은 무거운 중량을 견딜 수 있는 금속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랙 프레임(1100)은 근력 운동 장치(1000)의 전반적인 뼈대를 제공할 수 있다. 랙 프레임(1100)은 하부 프레임(1110), 상부 프레임(1120), 및 지지 프레임(1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10)은 바닥 위에 놓일 수 있고, 따라서 근력 운동 장치(1000)가 바닥 위에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20)은 하부 프레임(1110)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하부 프레임(1110) 위의 영역에 있을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30)은 높이 방향을 따라 하부 프레임(1110)과 상부 프레임(112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 프레임(1130)은 몇 개의 기둥들(예컨대, 4개의 기둥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10), 상부 프레임(1120), 및 지지 프레임(1130)은 랙 프레임(1100)을 구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하부 프레임(1110), 상부 프레임(1120), 및 지지 프레임(1130)은 너트, 볼트 등과 같은 결합 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부 프레임(1110), 상부 프레임(1120), 및 지지 프레임(1130)은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랙 프레임(1100)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중량 판(1200)은 하부 프레임(1110)의 한 모서리 상의 영역에만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은 가능한 예들 중 하나를 보여줄 뿐이고, 본 개시를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중량 판(1200)과 관련되는 다른 다양한 구성이 아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예로서, 하부 프레임(1110)과 상부 프레임(1120) 사이에 높이 방향의 레일(rail)(1205)이 제공될 수 있다. 레일(1205)은 지지 프레임(1130)을 구성하는 기둥들 중 두 기둥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중량 판(1200)은 레일(1205)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력 운동 장치(1000)의 사용자는 레일(1205)을 따라 중량 판(1200)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수 있다.
도르래들(1300)이 근력 운동 장치(100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로서, 도르래들(1300) 중 몇몇은 랙 프레임(1100) 상에 장착될 수 있고 또는 랙 프레임(1100)에 파인 홈에 장착될 수 있다. 예로서, 도르래들(1300) 중 몇몇은 중량 판(1200)에 연결되고 장착될 수 있다.
도르래들(1300)은 너트, 볼트 등과 같은 결합 부재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도르래들(1300)은 금속 연결부, 고무 패킹 등과 같은 연결 부재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케이블들(1400, 1402)은 도르래들(1300)을 따라 형성되는 경로 상에 연결될 수 있다. 도르래들(13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장착된 위치들에서 회전 또는 이동함에 따라, 케이블들(1400, 1402)이 도르래들(1300)을 따라 형성되는 경로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도르래들(1300)을 따라 형성되는 경로는 도르래들(1300) 각각의 회전 또는 이동에 기초하여 각 케이블(1400, 140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케이블들(1400, 1402)이 이동함에 따라, 케이블들(1400, 1402)은 중량 판(1200)이 레일(1205)을 따라 이동하도록 근력 운동 장치(1000)에서 중량 판(1200)을 당기거나 놓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각 케이블(1400, 1402)은 힘을 견디고 전달할 수 있는 합성 수지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 각각은 지지 프레임(1130)을 구성하는 기둥들 중 한 기둥에 장착될 수 있다. 예로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는 지지 프레임(1130)의 제 1 기둥에 장착될 수 있고,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2)는 지지 프레임(1130)의 제 2 기둥에 장착될 수 있다.
케이블(1400)은 랙 프레임(1100)으로부터(즉, 근력 운동 장치(1000)로부터)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를 통해 손잡이(1600)로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케이블(1400)은 랙 프레임(1100)의 도르래들(1300) 중 한 도르래로부터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를 통해 손잡이(1600)로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1600)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를 통해 케이블(1400)의 일단(one end)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근력 운동 장치(1000)의 사용자가 손잡이(1600)를 아래로 잡아 당기는 경우, 손잡이(1600)로 연결된 케이블(1400)의 일단이 당겨질 수 있다. 근력 운동 장치(1000)의 사용자가 당겨진 손잡이(1600)를 놓는 경우, 손잡이(1600)로 연결된 케이블(1400)의 일단이 놓일 수 있다.
케이블(1400)의 일단이 당겨지거나 놓이는 경우, 도르래들(1300)의 일부가 장착된 위치들에서 회전 또는 이동하면서 케이블(1400)이 도르래들(1300)을 따라 형성되는 경로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1400)은 도르래들(1300)을 따라 형성되는 경로 상에서 이동하며 중량 판(1200)이 레일(1205)을 따라 이동하도록 중량 판(1200)을 당기거나 놓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케이블(1402)은 근력 운동 장치(1000)의 랙 프레임(1100)으로부터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2)를 통해 손잡이(1602)로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케이블(1402)은 랙 프레임(1100)의 도르래들(1300) 중 한 도르래로부터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2)를 통해 손잡이(1602)로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1602)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2)를 통해 케이블(1402)의 일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근력 운동 장치(1000)의 사용자가 손잡이(1602)를 아래로 잡아 당기는 경우, 손잡이(1602)로 연결된 케이블(1402)의 일단이 당겨질 수 있다. 근력 운동 장치(1000)의 사용자가 당겨진 손잡이(1602)를 놓는 경우, 손잡이(1602)로 연결된 케이블(1402)의 일단이 놓일 수 있다.
케이블(1402)의 일단이 당겨지거나 놓이는 경우, 도르래들(1300)의 일부가 장착된 위치들에서 회전 또는 이동하면서 케이블(1402)이 도르래들(1300)을 따라 형성되는 경로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1402)은 도르래들(1300)을 따라 형성되는 경로 상에서 이동하며 중량 판(1200)이 레일(1205)을 따라 이동하도록 중량 판(1200)을 당기거나 놓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근력 운동 장치(1000)의 사용자가 손잡이들(1600, 1602)을 당기거나 놓는 경우, 케이블들(1400, 1402)이 중량 판(1200)을 당기거나 놓는 힘을 제공함에 따라, 중량 판(1200)이 레일(120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근력 운동 장치(1000)의 사용자가 중량 판(1200)을 들어올리고 내려놓기를 반복할 수 있고, 중량 판(1200)의 중량에 기초하여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는 케이블(1400)의 일단이 당겨지거나 놓이는 경우에 케이블(1400)이 도르래들(1300)을 따라 형성되는 경로 상에서 이동하도록 케이블(1400)의 이동을 가이드(guide)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2)는 케이블(1402)의 일단이 당겨지거나 놓이는 경우에 케이블(1402)이 도르래들(1300)을 따라 형성되는 경로 상에서 이동하도록 케이블(140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케이블(1400, 1402)의 이동을 가이드한다는 것은 각 케이블(1400, 1402)의 일단을 당기거나 놓는 힘이 각 케이블(1400, 1402)로 잘 전달되고 각 케이블(1400, 1402)이 의도된 경로를 따라 적절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각 케이블(1400, 1402)의 이동을 돕고 이동 방향을 잡아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로서,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이 없는 경우, 케이블들(1400, 1402)의 이동이 불규칙적이고 케이블들(1400, 1402)의 이동 방향들이 고정되지 않아서, 근력 운동 장치(1000)의 사용자가 사용자의 의도대로 케이블들(1400, 1402)의 이동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사용자가 근력 운동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은 근력 운동 장치(1000)의 사용자가 의도된 근력 운동을 부상 없이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근력 운동 장치(1000)를 위해 케이블들(1400, 1402)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근력 운동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예컨대, 랙 프레임(1100),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 손잡이들(1600, 1602), 및 결합 부재들)이 중량 판(1200)의 무거운 중량을 견디기 위해 금속의 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근력 운동 장치(1000)의 외형(예컨대, 모양, 크기 등)을 바꾸기 어려울 수 있다. 근력 운동 장치(1000)의 고정된 외형은 몇몇 사람의 체격들에 잘 맞지 않을 수 있고, 고정된 외형의 근력 운동 장치(1000)를 이용하는 것은 몇몇 사용자에게 불편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실시 예들에서, 근력 운동 장치(1000) 및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은 사용자의 체격에 관계 없이 편한 자세의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와 관련되는 실시 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2)의 구성 및 작동은 아래에서 설명될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구성 및 작동과 실질적으로 동일, 동등, 또는 유사할 수 있고, 따라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2)와 관련되는 설명은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근력 운동 장치(1000)에 장착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예시적인 구성 및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더 나은 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은 지지 프레임(1130)의 제 1 기둥의 일부분 및 제 1 기둥에 장착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를 보여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는 장착부(1510), 연장부(1520), 및 가이드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510)는 근력 운동 장치(1000)의 랙 프레임(110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로서, 장착부(1510)는 랙 프레임(1100)의 지지 프레임(1130)을 구성하는 기둥들 중 한 기둥(예컨대, 제 1 기둥)에의 장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장착부(1510)는 너트, 볼트 등과 같은 결합 부재에 의해 지지 프레임(1130)의 기둥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몇몇 실시 예에서, 장착부(1510)를 장착하기 위해 추가의 구성 요소가 더 제공될 수 있고,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연장부(1520)는 장착부(15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연장부(1520)가 장착부(1510)와 연결됨에 따라, 높이 방향(예컨대, 방향(D3))의 회전 축(AX1)이 장착부(1510)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520)는 회전 축(AX1) 상에서 장착부(1510)와 연결될 수 있다. 연장부(1520)와 장착부(1510)의 연결 및 회전 축(AX1)은 아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장부(1520)는 회전 축(AX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RT1). 따라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가 금속의 재질로 제작되더라도, 연장부(1520)의 회전은 근력 운동 장치(1000)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고 금속 재질의 고정된 외형을 보완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가이드부(1530)는 연장부(1520)로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가이드부(1530)는 방향(D1)을 따라 연장부(1520)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부(1530)가 연장부(1520)로 연결됨에 따라, 연장부(1520)로의 연결이 제공되는 방향(D1)의 회전 축(AX2)이 연장부(152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회전 축(AX2)의 방향(D1)은 회전 축(AX1)의 방향(D3)과 상이할 수 있다.
가이드부(1530)는 회전 축(AX2) 상에서 연장부(1520)와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부(1530)와 연장부(1520)의 연결 및 회전 축(AX2)은 아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부(1530)는 회전 축(AX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RT2). 따라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가 금속의 재질로 제작되더라도, 가이드부(1530)의 회전은 근력 운동 장치(1000)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고 금속 재질의 고정된 외형을 보완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블(1400)은 랙 프레임(1100)의 도르래들(1300) 중 한 도르래로부터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를 통해 손잡이(1600)로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케이블(1400)은 도르래들(1300) 중 한 도르래로부터 연장부(1520)를 통해 가이드부(1530)로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부(1530)로 연결되는 케이블(1400)의 일단은 가이드부(1530)를 통해 손잡이(1600)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1400)의 일단이 손잡이(1600)에 의해 당겨지거나 놓일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를 위해, 가이드부(1530)는 케이블(1400)의 일단이 당겨지거나 놓이도록 케이블(14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1400)의 일단이 당겨지거나 놓이는 영역 또는 위치는 가이드부(1530)를 기준으로 연장부(1520)와 가이드부(1530)가 연결되는 영역 또는 위치의 반대 편에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케이블(1400)이 도르래들(1300) 중 한 도르래로부터 연장부(1520)를 통해 가이드부(1530) 및 손잡이(1600)로 연결됨에 따라, 케이블(1400)의 일단은 가이드부(1530)를 기준으로 연장부(1520)와 가이드부(1530)가 연결되는 영역 또는 위치의 반대 편 영역 또는 위치(예컨대, 손잡이(1600)가 제공되는 영역 또는 위치)에서 당겨지거나 놓일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블(1400)의 타단(other end)은 장착부(1510)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1400)의 타단이 움직임 없이 고정됨에 따라, 케이블(1400)이 중량 판(1200)을 당기거나 놓는 힘을 제공하는 동안 케이블(1400)이 근력 운동 장치(1000)로부터 이탈 또는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근력 운동 장치(1000)를 이용하여 근력 운동을 수행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간결성 및 더 나은 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 4의 근력 운동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지시하는 참조 번호들은 도 4에서 생략되었다.
도 4의 근력 운동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 동등, 또는 유사할 수 있음이 잘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근력 운동 장치(1000)의 사용자(10)는 손잡이들(1600, 1602)을 잡아 당기거나 당겨진 손잡이들(1600, 1602)을 놓을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들(1600, 1602)로 연결된 케이블들(1400, 1402)의 일단들이 당겨지거나 놓일 수 있고, 중량 판(1200)이 레일(120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10)가 중량 판(1200)의 중량에 기초하여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처럼,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와 관련하여, 연장부(1520)는 회전 축(AX1)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RT1), 가이드부(1530)는 회전 축(AX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RT2).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2) 역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와 실질적으로 동일, 동등, 또는 유사하게 구성되고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들에서,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의 위치들 또는 외형들이 고정되는 대신, 사용자(10)의 체격에 적합하도록 움직이거나 변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10)의 어깨가 좁을수록, 연장부(1520)가 사용자(10)에 더 가까워지도록 회전할 수 있고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이 서로를 향해 더 가까워질 수 있다. 반면, 사용자(10)의 어깨가 넓을수록, 연장부(1520)가 사용자(10)로부터 더 멀어지도록 회전할 수 있고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이 서로로부터 더 멀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10)의 키가 작을수록, 가이드부(1530)가 지면에 대해 더 수직이 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10)의 키가 클수록, 가이드부(1530)가 지면에 대해 더 평행이 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10)는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의 위치들 또는 외형들을 사용자(10)의 체격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10)가 운동을 하는 동안,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의 위치들 또는 외형들이 사용자(10)의 자세에 따라 사용자(10)의 체격에 적합하도록 움직이거나 변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들에서, 연장부(1520)는 지지 프레임(1130)의 기둥으로부터 연장되는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연장부(1520) 없이 가이드부(1530)가 지지 프레임(1130)의 기둥 또는 장착부(1510)로 직접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10)는 근력 운동 장치(1000)에 근접한 영역에서 운동해야 한다. 반면, 연장부(1520)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10)와 근력 운동 장치(1000) 사이에 적절한 거리가 주어질 수 있고, 사용자(10)는 좀 더 넓은 공간에서 운동할 수 있다.
연장부(1520)가 회전 축(AX1)에 대해 회전함과 동시에 지지 프레임(1130)의 기둥으로부터 연장되는 거리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10)는 운동을 위한 충분한 넓이의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10)가 큰 체격을 갖더라도, 근력 운동 장치(1000)를 이용하는 것에 대한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처럼,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는 연장부(1520)와 가이드부(1530)의 회전 및 근력 운동 장치(1000)로부터의 연장된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10)의 체격에 관계 없이 편한 자세의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2)의 구성 및 작동은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구성 및 작동과 실질적으로 동일, 동등, 또는 유사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결성을 위해 이하 생략될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 및 도 3의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예시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5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가 완전히 분해된 상태를 보여준다. 한편, 더 나은 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 6은 연장부(1520)가 장착부(1510)와 연결되고 가이드부(1530)가 연장부(1520)로부터 연결 해제(disconnect)된 상태를 보여준다. 나아가, 도 7은 연장부(1520)가 장착부(1510)로부터 연결 해제되고 가이드부(1530)가 연장부(1530)로 연결된 상태를 보여준다. 간명한 설명을 위해, 도 5 내지 도 7이 함께 참조될 것이다.
장착부(1510)는 프레임 고정 홀(hole)(1511) 및 프레임 장착 홀들(1512)을 가질 수 있다. 장착부(1510)가 지지 프레임(1130)의 기둥에 접촉한 동안, 고정 핀(511)이 프레임 고정 홀(1511)에 삽입되고 볼트와 같은 결합 부재들(512)이 프레임 장착 홀들(1512)에 삽입되는 경우, 장착부(1510)가 지지 프레임(1130)의 기둥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 핀(511) 및 결합 부재들(512)이 장착부(1510)로부터 빠지는 경우, 장착부(1510)가 지지 프레임(1130)의 기둥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장착부(1510)는 케이블 고정 홀(1513)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처럼, 케이블(1400)의 타단이 장착부(15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블(1400)의 타단은 케이블 고정 홀(1513)에 삽입될 수 있고, 케이블 고정 홀(1513)로부터 이탈 또는 분리되지 않도록 케이블 고정 홀(1513)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예로서, 케이블(1400)의 타단을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너트와 같은 결합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장착부(1510)는 돌출부(1514) 및 돌출부(1515)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1514) 및 돌출부(1515) 각각은 장착부(1510)에서 방향들(D2, D3)을 따라 형성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514) 및 돌출부(1515)는 방향(D1)과 평행하게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514)와 돌출부(1515)는 서로로부터 거리를 두고 서로와 마주보며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514)는 관통 홀(1514a)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515)는 관통 홀(1515a)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515)는 복수의 위치 고정 홀(1515b)을 가질 수 있다. 관통 홀(1514a), 관통 홀(1515a), 및 위치 고정 홀들(1515b)은 연장부(1520)와 함께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연장부(1520)는 연결단(1524)을 가질 수 있다. 연결단(1524)에는 높이 방향(D3) 또는 회전 축(AX1)의 방향을 따라 연결 홀(1524a)이 뚫릴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1520)는 연결 홀(1524a)을 가질 수 있다.
연장부(1520)를 장착부(1510)와 연결하기 위해, 연결 홀(1524a)이 관통 홀(1514a)과 관통 홀(1515a) 사이에 삽입되도록 연결단(1524)이 돌출부(1514)와 돌출부(1515) 사이에 놓일 수 있다. 이후, 볼트와 같은 결합 부재(514a)가 관통 홀(1514a), 연결 홀(1524a), 및 관통 홀(1515a)을 통해 삽입될 수 있고, 너트와 같은 결합 부재(515a)가 관통 홀(1515a)을 통과한 결합 부재(514a)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1520)가 장착부(1510)와 연결될 수 있다. 결합 부재(514a)는 연결 홀(1524a)을 통과하여, 연결단(1524)이 돌출부(1514)와 돌출부(1515) 사이에서 장착부(1510)로부터 이탈 또는 분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단(1524) 및 연결 홀(1524a)은 연장부(1520)의 장착부(1510)와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결합 부재(514a)가 관통 홀(1514a), 연결 홀(1524a), 및 관통 홀(1515a)을 통해 삽입되도록, 관통 홀(1514a)과 연결 홀(1524a)은 방향(D3)을 따라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고, 연결 홀(1524a)은 그 대응하는 위치에 놓일 수 있다.
한편,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결합 부재(514a) 및 연결 홀(1524a)이 회전 축(AX1)을 제공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결합 부재(514a)가 연결 홀(1524a)을 통해 삽입됨에 따라, 연장부(1520)는 결합 부재(514a) 및 연결 홀(1524a)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 축(AX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연장부(1520)는 회전 축(AX1) 상에서 장착부(1510)와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회전 축(AX1)은 관통 홀(1514a), 연결 홀(1524a), 및 관통 홀(1515a)을 통해 방향(D3)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부재(514a)를 삽입하고 회전 축(AX1)을 형성하기 위해, 장착부(1510)는 돌출부(1514)에 관통 홀(1514a)이 제공되는 위치가 돌출부(1515)에 관통 홀(1515a)이 제공되는 위치와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 예에서, 연장부(1520)의 회전을 좀 더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베어링(1524b)이 연결 홀(1524a)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 부재(514a)는 연결 홀(1524a) 내의 베어링(1524b)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베어링(1524b)은 연결 홀(1524a) 내에서 회전 축(AX1)을 제공할 수 있다. 베어링(1524b)이 장착되는 경우, 장착부(1510)와 연결된 연장부(1520)가 회전 축(AX1)에 대해 좀 더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베어링이든 베어링(1524b)으로서 채용될 수 있다.
연장부(1520)는 부재 삽입 홀(1525)을 가질 수 있다. 연장부(1520)가 장착부(1510)와 연결되는 경우, 돌출부(1515)가 연장부(1520)의 몸체와 부재 삽입 홀(152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장착부(1510)와 연결된 연장부(1520)가 회전 축(AX1)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부재 삽입 홀(1525)은 돌출부(1515)의 아래에서 위치 고정 홀들(1515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부재 삽입 홀(1525)이 위치 고정 홀들(1515b) 중 한 위치 고정 홀에 대응하도록 위치한 동안, 고정 부재(515b)가 그 한 위치 고정 홀을 통해 부재 삽입 홀(1525)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부재(515b)는 위치 고정 홀들(1515b)을 통과하여 부재 삽입 홀(152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핀 형상, 막대 형상, 볼트 형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515b)가 한 위치 고정 홀을 통해 부재 삽입 홀(1525)에 삽입되는 경우, 연장부(152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반면, 고정 부재(515b)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 연장부(1520)는 회전 축(AX1)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연장부(1520)가 고정 부재(515b) 없이 회전 축(AX1)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부재 삽입 홀(1525)이 위치 고정 홀들(1515b) 중 한 위치 고정 홀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고 고정 부재(515b)가 삽입되는 경우, 연장부(1520)가 그 한 위치 고정 홀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위치 고정 홀들(1515b)에 일 대 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고정 위치가 있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고정 위치들 각각은 연장부(1520)가 부재 삽입 홀(1525)에 삽입된 고정 부재(515b)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다.
연장부(1520)가 회전 축(AX1)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연장부(1520)가 위치 고정 홀들(1515b) 중 한 위치 고정 홀에 대응하는 한 고정 위치에 도달하고 고정 부재(515b)가 그 한 위치 고정 홀을 통해 부재 삽입 홀(1525)에 삽입되는 경우, 연장부(1520)는 회전하지 않고 그 한 고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반면, 고정 부재(515b)가 위치 고정 홀들(1515b)을 통해 부재 삽입 홀(1525)에 삽입되지 않고 장착부(1510) 및 연장부(152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연장부(1520)는 고정 위치들에 고정되지 않고 회전 축(AX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10)가 안정적인 운동을 위해 연장부(1520)가 움직임 없이 고정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10)는 연장부(1520)를 의도된 고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 부재(515b)를 의도된 고정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고정 홀 및 부재 삽입 홀(1525)에 삽입할 수 있다.
연장부(1520)의 고정된 위치가 사용자(10)의 체격에 적합하지 않고 사용자(10)가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 사용자(10)는 고정 부재(515b)를 장착부(1510) 및 연장부(1520)로부터 분리한 다음, 연장부(1520)가 다른 고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연장부(1520)를 회전시키고 그 이동된 고정 위치에서 고정 부재(515b)를 위치 고정 홀 및 부재 삽입 홀(1525)에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10)는 사용자(10)의 체격에 적합하도록 연장부(15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10)가 유연한 움직임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10)는 고정 부재(515b)를 장착부(1510) 및 연장부(1520)로부터 분리해둘 수 있다. 이 경우, 연장부(1520)가 고정됨이 없이 허용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사용자(10)는 각 순간에 적합하게 편한 자세로 운동할 수 있다.
연장부(1520)는 연결단(1526)을 가질 수 있다. 연결단(1526)에는 방향(D1) 또는 회전 축(AX2)의 방향을 따라 연결 홀(1526a)이 뚫릴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1520)는 연결 홀(1526a)을 가질 수 있다.
연장부(1520)에는 도르래(529)가 장착될 수 있다. 도르래(529)는 결합 부재들(529a, 529b)에 의해 연장부(1520)에 장착될 수 있다. 연결 홀(1526a) 및 도르래(529)는 가이드부(1530)와 함께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가이드부(1530)는 돌출부(1536)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1536)는 연결 홀(1526a)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530)를 연장부(1520)로 연결하기 위해, 돌출부(1536)가 연결 홀(1526a)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 홀(1526a) 및 돌출부(1536)는 방향(D1)을 따라 가이드부(1530)를 연장부(1520)로 연결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1536)의 내부는 비어 있을 수 있다. 돌출부(1536) 내부의 빈 공간에는 결합 홀(1536a)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536)가 연결 홀(1526a)에 삽입된 후, 볼트와 같은 결합 부재(526)가 돌출부(1536)의 내부에(즉, 결합 홀(1536a)에) 삽입될 수 있다. 예로서, 나사선이 결합 부재(526) 상에 형성되고 대응하는 나사선이 결합 홀(1536a)의 내벽 상에 형성되는 경우, 결합 부재(526)는 결합 홀(1536a)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1530)가 연장부(1520)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결합 부재(526)는 연결 홀(1526a)에 삽입된 돌출부(1536)의 결합 홀(1536a)에 삽입되어, 돌출부(1536)가 연결 홀(1526a)로부터 이탈 또는 분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단(1526)의 연결 홀(1526a) 및 돌출부(1536)의 결합 홀(1536a)은 가이드부(1530)의 연장부(1520)로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에서, 연장부(1520)의 일면에 개방된 영역(1527)이 제공될 수 있다. 개방된 영역(1527)은 연장부(1520)의 외부 또는 연장부(152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부(1520)의 내부가 들여다보이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로서, 개방된 영역(1527)은 연속된 판으로 형성되었던 연장부(1520)의 일면의 일부분을 절단해냄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특성에 기인하여,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부품들 사이의 공간들은 사람 손 또는 공구가 진입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만큼 좁을 수 있다. 예로서, 개방된 영역(1527)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부품들 사이의 좁은 공간들 때문에, 돌출부(1536)가 연결 홀(1526a)에 삽입된 동안 결합 부재(526)를 돌출부(1536)의 결합 홀(1536a)에 삽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반면, 개방된 영역(1527)이 연장부(1520)의 일면에 제공되는 경우, 가이드부(1530)가 연장부(1520)로 연결된 후에(다시 말해, 돌출부(1536)가 연결 홀(1526a)에 삽입된 후에) 연결 홀(1526a) 및 연결 홀(1526a)에 삽입된 돌출부(1536)가 개방된 영역(1527)을 통해 연장부(1520)의 외부 또는 연장부(1520)의 측면으로부터 보일(visible) 수 있다. 따라서, 연결 홀(1526a)에 삽입된 돌출부(1536)의 결합 홀(1536a)에 결합 부재(526)를 삽입 장착하는 것이 쉬워질 수 있다.
한편,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연결 홀(1526a), 돌출부(1536), 및 결합 부재(526)가 회전 축(AX2)을 제공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결합 부재(526)가 연결 홀(1526a)에 삽입된 돌출부(1536)의 결합 홀(1536a)에 삽입됨에 따라, 가이드부(1530)는 연결 홀(1526a) 및 돌출부(1536)의 방향 또는 가이드부(1530)가 연장부(1520)로 연결되는 방향(D1)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 축(AX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이드부(1530)는 회전 축(AX2) 상에서 연장부(1520)와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1530)의 회전을 좀 더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베어링(1526b)이 연결 홀(1526a)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1536)는 연결 홀(1526a) 내의 베어링(1526b)으로 삽입될 수 있다.
베어링(1526b)은 연결 홀(1526a) 내에서 회전 축(AX2)을 제공할 수 있다. 베어링(1526b)이 장착되는 경우, 연장부(1520)의 연결 홀(1526a)로 연결된 가이드부(1530)가 회전 축(AX2)에 대해 좀 더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베어링이든 베어링(1526b)으로서 채용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연장부(1520)와 관련하여, 연결 홀(1524a)의 위치는 연장부(1520)를 기준으로 연결 홀(1526a)의 위치의 반대편일 수 있다. 연결 홀(1524a)의 위치가 연장부(1520)의 제 1 영역에 대응하고 연결 홀(1526a)의 위치가 연장부(1520)의 제 2 영역에 대응한다고 보는 경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연장부(152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편에 있을 수 있다.
가이드부(1530)에는 도르래들(538, 539)이 장착될 수 있다. 도르래(538)는 결합 부재들(538a, 538b)에 의해 가이드부(1530)에 장착될 수 있고, 도르래(539)는 결합 부재들(539a, 539b)에 의해 가이드부(1530)에 장착될 수 있다.
도르래(529)는 결합 부재들(529a, 529b)이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르래(538)는 결합 부재들(538a, 538b)이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도르래(539)는 결합 부재들(539a, 539b)이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케이블(1400)은 근력 운동 장치(1000)의 도르래들(1300) 중 한 도르래로부터 연장부(1520)를 통해 가이드부(1530)로 연결될 수 있고, 케이블(1400)의 일단은 손잡이(1600)로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케이블(1400)은 도르래들(1300) 중 한 도르래로부터 연장부(1520)의 도르래(529)로 이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케이블(1400)은 연결단(1524)의 위쪽 공간으로부터 도르래(529)의 아래쪽 부분으로 지나갈 수 있다. 그 다음, 케이블(1400)은 가이드부(1530)의 도르래들(538, 539)의 사이로 지나갈 수 있고, 따라서 케이블(1400)의 일단이 손잡이(1600)로 이어질 수 있다.
케이블(1400)의 일단이 손잡이(1600)에 의해 당겨지거나 놓이는 경우, 도르래들(529, 538, 539)이 회전하면서 케이블(1400)이 이동할 수 있다. 도르래들(529, 538, 539)은 케이블(1400)이 사용자(10)의 의도에 적합하게 이동하도록 케이블(14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2)의 구성 및 작동은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구성 및 작동과 실질적으로 동일, 동등,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간결성을 위해 이하 생략될 것이다.
도 8은 몇몇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 장치(2000)의 예시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근력 운동 장치(2000)는 도 1의 근력 운동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간결성 및 더 나은 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 8의 근력 운동 장치(2000)의 구성 요소들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지시하는 참조 번호들은 도 8에서 생략되었다.
도 8의 근력 운동 장치(2000)의 구성 요소들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 동등, 또는 유사할 수 있음이 잘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될 것이다.
몇몇 실시 예에서, 근력 운동 장치(2000)는 샌드백(2110), 샌드백 걸이(2120), 손잡이들(2200), 바(2310), 바 슬라이드(2320), 바 기둥들(2330), 및 판 걸이들(2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샌드백(2110)은 타격 운동에 이용될 수 있고, 샌드백 걸이(2120)에 걸릴 수 있다. 손잡이들(2200)은 턱걸이, 매달리기 등의 운동에 이용될 수 있다. 샌드백 걸이(2120) 및 손잡이들(2200)는 결합 부재, 용접 등에 의해 랙 프레임(1100)에 연결될 수 있다.
바(2310)는 바(2310)의 양 끝에 장착되는 원형 중량 판(미도시)들에 기초하는 근력 운동에 이용될 수 있다. 바 슬라이드(2320)는 바(2310)의 위치가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바 기둥들(2330)은 바(2310)의 위치가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형 중량 판들은 판 걸이들(2400)에 걸릴 수 있다.
이처럼, 근력 운동 장치(2000)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근력 운동 장치(2000)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근력 운동 장치(2000)는 사용자(10)의 체격에 관계 없이 편한 자세의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8을 도 1과 비교하면, 근력 운동 장치(2000)가 근력 운동 장치(1000)에 비해 더 많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근력 운동 장치(1000)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력 운동 장치(2000) 역시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을 채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은 근력 운동 장치의 기능 및 구조에 관계 없이 다양한 장치 구조에서 채용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을 채용할 수 있는 근력 운동 장치의 기능 및 구조가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음이 잘 이해될 것이다.
몇몇 실시 예에서, 근력 운동 장치(2000)는 장치 걸이들(2500, 25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들에서,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은 지지 프레임(1130)을 구성하는 기둥들에 직접 장착되는 대신, 장치 걸이들(2500, 2502)에 장착됨으로써 기둥들에 간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장치 걸이(2500)는 지지 프레임(1130)의 기둥들 중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가 장착되는 제 1 기둥 상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는 제 1 기둥에의 장착을 위해 장치 걸이(25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는 장치 걸이(2500)로부터 장착 해제될 수 있다. 장치 걸이(2500)는 지지 프레임(1130)의 제 1 기둥과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장치 걸이(2502)는 지지 프레임(1130)의 기둥들 중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2)가 장착되는 제 2 기둥 상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2)는 제 2 기둥에의 장착을 위해 장치 걸이(2502)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2)는 장치 걸이(2502)로부터 장착 해제될 수 있다. 장치 걸이(2502)는 지지 프레임(1130)의 제 2 기둥과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아래에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 및 장치 걸이(2500)와 관련되는 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장치 걸이(2502)의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될 장치 걸이(25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 동등,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걸이(2502)와 관련되는 설명은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근력 운동 장치(2000)에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를 장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더 나은 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 9 및 도 10은 지지 프레임(1130)의 제 1 기둥의 일부분, 장치 걸이(2500)의 일부분, 및 제 1 기둥에 장착될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를 보여준다. 간명한 설명을 위해, 도 9 및 도 10이 함께 참조될 것이다.
장치 걸이(2500)는 지지 프레임(1130)의 기둥들 중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가 장착될 제 1 기둥의 일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예로서, 장치 걸이(2500)는 금속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로서, 장치 걸이(2500)는 볼트, 너트 등과 같은 결합 부재 또는 용접에 의해 제 1 기둥에 연결될 수 있다.
장치 걸이(2500)는 복수의 장착 홈의 쌍(2511 내지 2519)을 가질 수 있다. 각 장착 홈의 쌍(2511 내지 2519)은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를 장치 걸이(2500)에 장착하는 데에 적합하도록 장치 걸이(2500)에 파인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홈의 쌍들(2511 내지 2519)에 포함되는 홈들은 연속된 판으로 형성되었던 장치 걸이(2500)의 표면의 일부분들을 절단해냄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를 장치 걸이(2500)에 장착하기 위해, 장착부(1510)의 프레임 장착 홀들(1512)에 삽입된 결합 부재들(512)이 장착 홈의 쌍들(2511 내지 2519)에 걸릴 수 있다. 예로서, 프레임 장착 홀들(1512)에 삽입된 결합 부재들(512) 각각의 꼬리의 끝 부분이 각 프레임 장착 홀(1512)을 관통하여 장착부(15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된 끝 부분들이 장착 홈의 쌍들(2511 내지 2519)의 홈들에 걸림에 따라,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가 장치 걸이(250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로서, 장착 홈의 쌍들(2511 내지 2519)의 각 홈은 걸림 영역(251a) 및 진입 영역(251b)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영역(251a)은 장치 걸이(2500)의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걸림 영역(251a)은 각 결합 부재(512)의 꼬리의 끝 부분이 걸릴 수 있도록 오목하게 파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진입 영역(251b)은 장치 걸이(2500)의 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진입 영역(251b)은 각 결합 부재(512)의 꼬리의 끝 부분이 걸림 영역(251a)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에서, 충분한 너비의 진입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진입 영역(251b)은 진입 영역(251b)의 높이가 각 결합 부재(512)의 꼬리의 끝 부분의 너비보다 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각 결합 부재(512)의 꼬리의 끝 부분이 진입 영역(251b)을 통해 걸림 영역(251a)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후,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가 내려 놓이면,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무게에 기인하여 각 결합 부재(512)의 꼬리의 끝 부분이 걸림 영역(251a)의 오목한 부분에 걸릴 수 있다.
한편, 장치 걸이(2500)의 동일한 높이에서 양 측의 위치들에 홈들이 제공될 수 있고, 양 측의 두 홈이 하나의 장착 홈의 쌍을 구성할 수 있다. 예로서, 장착 홈의 쌍(2519)은 장치 걸이(2500)의 동일한 높이에서 장치 걸이(2500)의 양 측에 제공되는 두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장착 홈의 쌍들(2511 내지 2518) 각각 역시 장치 걸이(2500)의 동일한 높이에서 장치 걸이(2500)의 양 측에 제공되는 두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네 개의 결합 부재들(512)이 장착부(1510)에 삽입되는 경우, 결합 부재들(512)은 장착 홈의 쌍들(2511 내지 2519) 중에서 선택되는 두 개의 장착 홈의 쌍들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네 개의 결합 부재들(512)이 그 두 개의 장착 홈의 쌍들을 구성하는 네 개의 홈들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결합 부재들(512)이 장치 걸이(2500)의 양 측에서 걸릴 수 있고, 장치 걸이(2500)의 상이한 여러 높이의 위치들에서 걸릴 수 있다.
예로서, 도 9 및 도 10의 예에서, 결합 부재들(512) 중 두 결합 부재는 장치 걸이(2500)의 양 측에서 제 1 높이의 장착 홈의 쌍(2514)에 걸릴 수 있고, 결합 부재들(512) 중 다른 두 결합 부재는 장치 걸이(2500)의 양 측에서 제 1 높이보다 낮은 제 2 높이의 장착 홈의 쌍(2516)에 걸릴 수 있다.
이처럼, 결합 부재들(512)이 장치 걸이(2500)의 양 측에서 여러 홈에 동시에 걸릴 수 있다. 결합 부재들(512)이 장치 걸이(2500)의 홈들에 걸림에 따라,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가 장치 걸이(250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장치 걸이(250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는 장치 걸이(2500)가 연결된 지지 프레임(1130)의 기둥에 장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장치 걸이(2500)에 장착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는 장치 걸이(2500)로부터 장착 해제될 수도 있다. 장착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가 들어올려지는 경우, 각 결합 부재(512)의 꼬리의 끝 부분이 걸림 영역(251a)의 오목한 부분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가 앞쪽으로 잡아당겨지는 경우, 각 결합 부재(512)의 꼬리의 끝 부분이 진입 영역(251b)을 통해 장치 걸이(2500)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가 장치 걸이(2500)로부터 장착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몇몇 경우, 사용자(10)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의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실시 예들에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 1 위치에서 장치 걸이(2500)에 장착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가 장치 걸이(2500)로부터 장착 해제된 다음 장치 걸이(2500)의 제 2 위치에 장착되는 경우,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예로서, 장착 홈의 쌍들(2514, 2516)에 장착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가 장치 걸이(2500)로부터 장착 해제된 다음 장착 홈의 쌍들(2516, 2518)에 장착되는 경우,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반면, 장착 홈의 쌍들(2514, 2516)에 장착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가 장치 걸이(2500)로부터 장착 해제된 다음 장착 홈의 쌍들(2512, 2514)에 장착되는 경우,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이처럼,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장착부(1510)가 장착 홈의 쌍들(2511 내지 2519) 중에서 선택되는 장착 홈의 쌍에 장착됨에 따라, 지지 프레임(1130)의 기둥 상의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10)는 사용자(10)의 체격에 따라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로서, 작은 키의 사용자(10)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큰 키의 사용자(10)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장착 및 장착 해제는 번거로운 과정 없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결합 부재들(512)을 장착부(1510)에 결합하는 것 및 결합된 결합 부재들(512)을 장착부(1510)로부터 분리하는 것 없이, 단순히 장착부(1510)의 결합 부재들(512)을 장착 홈의 쌍들(2511 내지 2519)에 걸고 장착부(1510)의 결합 부재들(512)을 장착 홈의 쌍들(2511 내지 2519)로부터 뺌으로써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가 쉽게 장착 또는 장착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 역시 번거로운 과정 없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장치 걸이(2502)의 구성은 장치 걸이(25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 동등, 또는 유사할 수 있고,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2)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0)가 장치 걸이(2500)에 장착되고 장치 걸이(2500)로부터 장착 해제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 동등,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장치 걸이(2502)에 장착되고 장치 걸이(2502)로부터 장착 해제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케이블 가이드 장치(1502) 및 장치 걸이(2502)에 관련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될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몇몇 실시 예에 따른 근력 운동 장치들(3000, 4000)의 예시적인 구성들을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근력 운동 장치들(3000, 4000) 각각은 도 1의 근력 운동 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간결성 및 더 나은 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 11 및 도 12의 근력 운동 장치들(3000, 4000)의 구성 요소들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지시하는 참조 번호들은 도 11 및 도 12에서 생략되었다.
도 11 및 도 12의 근력 운동 장치들(3000, 4000)의 구성 요소들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 동등, 또는 유사할 수 있음이 잘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될 것이다.
도 11을 도 1과 비교하면, 도 1의 근력 운동 장치(1000)의 중량 판(1200)은 하부 프레임(1110)의 한 모서리 상에 모여 있는 반면, 도 11의 근력 운동 장치(3000)의 중량 판은 하부 프레임(1110)의 양 측 모서리들 상에 분산되어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중량 판의 위치의 차이에 기인하여, 도르래들 및 케이블들의 배치에도 차이들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12를 도 1과 비교하면, 도 1의 근력 운동 장치(1000)의 중량 판(1200)은 두 묶음으로 나뉘는 반면, 도 12의 근력 운동 장치(4000)의 중량 판은 한 묶음으로 구성됨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중량 판의 구성의 차이에 기인하여, 도르래들 및 케이블들의 배치에도 차이들이 있을 수 있다.
위 차이들을 제외하면, 도 11 및 도 12의 근력 운동 장치들(3000, 4000) 각각의 구성 및 작동은 도 1의 근력 운동 장치(1000)의 구성 및 작동과 대체로 유사할 수 있다. 특히, 실시 예들에서, 근력 운동 장치들(3000, 4000) 역시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을 채용할 수 있다. 근력 운동 장치들(3000, 4000)에서 채용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 예들에 기초하여 구성되고 작동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에서, 도 8의 장치 걸이들(2500, 2502) 역시 근력 운동 장치들(3000, 4000)에서 채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 및 장치 걸이들(2500, 2502)은 근력 운동 장치의 구성 및 구조에 관계 없이 다양한 장치 형태에서 채용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들 외에도, 케이블 가이드 장치들(1500, 1502) 및 장치 걸이들(2500, 2502)을 채용할 수 있는 근력 운동 장치의 구성 및 구조가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음이 잘 이해될 것이다.
각 개념도에 나타낸 구성은 단지 개념적인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몇몇 실시 예의 더 나은 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개념도에 나타낸 요소들 각각의 형태, 구조, 크기 등이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실제로 구현되는 구성은 각 개념도에 나타낸 것과 상이한 물리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 개념도는 구성 및 그것의 요소들의 물리적 형상들을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개시가 몇몇 실시 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다. 다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특성에 기인하여, 본 개시에 의해 의도되는 목적 및 효과는 본 개시의 요지를 포함하면서도 위 실시 예들과 상이한 구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설명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개시의 요지를 포함하면서 위 실시 예들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구현은 본 개시에 의해 청구되는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되는 구현은 본 개시에 의해 청구되는 보호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위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않고, 아래의 청구범위로부터 읽히는 기술 사상을 커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사용자
251a : 걸림 영역 251b : 진입 영역
511 : 고정 핀
512, 514a, 515a, 526, 529a, 529b, 538a, 538b, 539a, 539b : 결합 부재
515b : 고정 부재 529, 538, 539 : 도르래
1000 : 근력 운동 장치
1100 : 랙 프레임 1110 : 하부 프레임
1120 : 상부 프레임 1130 : 지지 프레임
1200 : 중량 판 1300 : 도르래들
1400, 1402 : 케이블 1500, 1502 : 케이블 가이드 장치
1510 : 장착부 1511 : 프레임 고정 홀
1512 : 프레임 장착 홀 1513 : 케이블 고정 홀
1514, 1515 : 돌출부 1514a, 1515a : 관통 홀
1515b : 위치 고정 홀
1520 : 연장부
1524, 1526 : 연결단 1524a, 1526a : 연결 홀
1524b, 1526b : 베어링
1525 : 부재 삽입 홀 1527 : 개방된 영역
1530 : 가이드부
1536 : 돌출부 1536a : 결합 홀
1600, 1602 : 손잡이
2000 : 근력 운동 장치
2110 : 샌드백 2120 : 샌드백 걸이
2200 : 손잡이들
2310 : 바
2320 : 바 슬라이드 2330 : 바 기둥들
2400 : 판 걸이들
2500, 2502 : 장치 걸이
2511, 2512, 2513, 2514, 2515, 2516, 2517, 2518, 2519 : 장착 홈의 쌍
3000, 4000 : 근력 운동 장치

Claims (10)

  1. 바닥 위에 놓이도록 구성되는 하부 프레임(frame),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하부 프레임 위의 영역에 있는 상부 프레임, 및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랙(rack)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둥들 중 두 기둥 사이에서 상기 높이 방향의 레일(rail)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중량 판(weight plate);
    상기 랙 프레임 및 상기 중량 판에 장착되는 도르래들;
    일단(one end)이 당겨지거나 놓이는 경우에 상기 도르래들을 따라 형성되는 경로 상에서 이동하며 상기 중량 판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중량 판을 당기거나 놓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cable);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기둥들 중 한 기둥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의 상기 일단이 당겨지거나 놓이는 경우에 상기 케이블이 상기 경로 상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가이드(guide)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가이드 장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기둥들 중 상기 한 기둥에의 장착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형성되는 상기 높이 방향의 제 1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회전 축 상에서 상기 장착부와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 연결되고, 상기 연장부로의 연결이 제공되는 방향의 제 2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도르래들 중 한 도르래로부터 상기 연장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상기 일단은 상기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연장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연결되는 영역의 반대 편 영역에서 당겨지거나 놓이는 근력 운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케이블의 타단(other end)이 고정되도록, 상기 케이블의 상기 타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고정 홀(hole)을 갖는 근력 운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고정 부재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부재 삽입 홀을 갖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고정 부재가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위치 고정 홀을 갖고,
    상기 복수의 위치 고정 홀에 일 대 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고정 위치가 있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 1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연장부가 상기 복수의 위치 고정 홀 중 한 위치 고정 홀에 대응하는 한 고정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한 위치 고정 홀을 통해 상기 부재 삽입 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가 회전하지 않고 상기 한 고정 위치에 고정되는 근력 운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위치 고정 홀을 통해 상기 부재 삽입 홀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제 1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하는 근력 운동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기둥들 중 상기 케이블 가이드 장치가 장착되는 상기 한 기둥 상에 장치 걸이가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가이드 장치는 상기 한 기둥에의 장착을 위해 상기 장치 걸이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장치 걸이로부터 장착 해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 걸이는 복수의 장착 홈의 쌍을 갖고,
    상기 장착부가 상기 복수의 장착 홈의 쌍 중에서 선택되는 장착 홈의 쌍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기둥들 중 상기 한 기둥 상의 상기 케이블 가이드 장치의 위치가 선택되는 근력 운동 장치.
  6. 근력 운동 장치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제 1 방향의 제 1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근력 운동 장치에서 중량 판(weight plate)을 당기거나 놓는 힘을 제공하기 위한 케이블(cable)의 일단(one end)이 당겨지거나 놓이도록,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가이드(guide)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근력 운동 장치의 랙 프레임(rack frame)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마주보며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되는 제 2 돌출부를 갖는 장착부; 및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부를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 홀(hole)을 갖고, 상기 제 1 돌출부의 제 1 관통 홀과 상기 제 2 돌출부의 제 2 관통 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부와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제 2 연결 홀을 갖고, 상기 제 1 관통 홀 및 상기 제 2 관통 홀을 통해 형성되는 제 2 방향의 제 2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연결 홀의 위치는 상기 연장부의 제 1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연결 홀의 위치는 상기 연장부의 제 2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연장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편에 있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홀에 연결된 상기 가이드부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 1 회전 축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베어링이 상기 제 1 연결 홀 내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부와 연결된 상기 연장부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 2 회전 축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베어링이 상기 제 2 연결 홀 내에 장착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연결 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 3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 3 돌출부의 내부는 비어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3 돌출부가 상기 제 1 연결 홀에 삽입된 후에 결합 부재가 상기 제 3 돌출부의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연장부에 고정 연결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연장부로 연결된 후에 상기 제 1 연결 홀 및 상기 제 1 연결 홀에 삽입된 상기 제 3 돌출부가 상기 연장부의 외부로부터 보이도록(visible), 상기 연장부의 일면에 개방된 영역이 제공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10. 근력 운동 장치를 위한 케이블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근력 운동 장치의 랙 프레임(rack frame)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장착부;
    제 1 방향의 제 1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회전 축 상에서 상기 장착부와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제 1 방향과 상이한 제 2 방향의 제 2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상기 연장부로 연결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근력 운동 장치에서 중량 판(weight plate)을 당기거나 놓는 힘을 제공하기 위한 케이블(cable)이 상기 근력 운동 장치로부터 상기 연장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연장부와 상기 가이드부가 연결되는 영역의 반대 편 영역에서 상기 케이블의 일단(one end)이 당겨지거나 놓이도록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가이드(guide)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1020200100822A 2020-08-11 2020-08-11 사용자의 체격에 관계 없이 편한 자세의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력 운동 장치 및 그것에 장착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20220020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822A KR20220020178A (ko) 2020-08-11 2020-08-11 사용자의 체격에 관계 없이 편한 자세의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력 운동 장치 및 그것에 장착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822A KR20220020178A (ko) 2020-08-11 2020-08-11 사용자의 체격에 관계 없이 편한 자세의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력 운동 장치 및 그것에 장착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178A true KR20220020178A (ko) 2022-02-18

Family

ID=8049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822A KR20220020178A (ko) 2020-08-11 2020-08-11 사용자의 체격에 관계 없이 편한 자세의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력 운동 장치 및 그것에 장착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017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559B1 (ko) * 2022-07-01 2023-03-29 대우스포츠산업(주) 물리적 저지 시뮬레이터
US20230173329A1 (en) * 2021-12-08 2023-06-08 Prx Performance, Llc Exercise Rack Pulley System
KR102598570B1 (ko) 2023-02-09 2023-11-06 임상진 다기능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
KR20240013439A (ko) 2022-07-22 2024-01-30 주식회사 블랙킹스포츠 근력 운동 시스템
KR102660184B1 (ko) * 2023-06-07 2024-04-23 구선호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73329A1 (en) * 2021-12-08 2023-06-08 Prx Performance, Llc Exercise Rack Pulley System
US11872436B2 (en) * 2021-12-08 2024-01-16 Prx Performance, Llc Exercise rack pulley system
KR102515559B1 (ko) * 2022-07-01 2023-03-29 대우스포츠산업(주) 물리적 저지 시뮬레이터
KR20240013439A (ko) 2022-07-22 2024-01-30 주식회사 블랙킹스포츠 근력 운동 시스템
KR102598570B1 (ko) 2023-02-09 2023-11-06 임상진 다기능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
KR102660184B1 (ko) * 2023-06-07 2024-04-23 구선호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0178A (ko) 사용자의 체격에 관계 없이 편한 자세의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력 운동 장치 및 그것에 장착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US11369833B2 (en) Removable lat pull-down seat for an exercise system
CA1250608A (en) Physical exercisers
EP2686077B1 (en) Improved exercise table
US20200155889A1 (en) Weight Ratio Arrangement for a Weight Machine
US4199139A (en) Exercising apparatus
US6238323B1 (en) Cable crossover exercise apparatus
US9358421B2 (en) Integral vertical stepper
US20120021876A1 (en) Adjustable cable machine
US9132316B2 (en) Weight-adjustable surface glid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purpose fitness
US4861020A (en) Exercise device for installation in a doorway
US7303506B1 (en) Combined vertical and horizontal rope climbing apparatus
BR122015015917B1 (pt) Conjunto de retração de cabo do braço em um aparelho de exercício reformador, aparelho de exercício reformador e kit de retração de cabo de braço para recuperar um carro de um aparelho de exercício reformador
WO2004094003A2 (en) Exercise device for exercising upper body simultaneously with lower body exercise
US20080070759A1 (en) Dumbbell Supporting Device
CN112642106B (zh) 一种用于田径运动员腿部训练装置
AU2022224852B2 (en) Adjustable Exercise Bar Device for Spa and Methods of Use
EP4209253A1 (en) Weightlifting system
DE202010003344U1 (de) Seiltrainingsgerät
US7060003B1 (en) Horizontal rope pulling apparatus
US9364702B2 (en) Exercise device
KR102115695B1 (ko) 복합헬스기구
CN217773140U (zh) 健身设备的摆臂连接结构和具有其的健身设备
CN217773141U (zh) 摆臂连接结构和具有其的健身设备
CN109925654B (zh) 一种可智能加码的锻炼手臂肌肉的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