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184B1 -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 - Google Patents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184B1
KR102660184B1 KR1020230072604A KR20230072604A KR102660184B1 KR 102660184 B1 KR102660184 B1 KR 102660184B1 KR 1020230072604 A KR1020230072604 A KR 1020230072604A KR 20230072604 A KR20230072604 A KR 20230072604A KR 102660184 B1 KR102660184 B1 KR 102660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uide
guide rail
connecting memb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선호
권미영
Original Assignee
구선호
권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선호, 권미영 filed Critical 구선호
Priority to KR1020230072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이드프레임의 전진과 후진시 볼부시에 의해 마찰저항이 균등함은 물론, 연결부재의 고정부가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운동능력 테스트중에 연결부재의 고정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신뢰성이 우수하도록 된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1000)는, 바닥프레임(1110)과 본체프레임(1120) 및 이동프레임(1130)을 갖춘 프레임부(1100)와; 이동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무게추(1200)와;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부(1300)와; 이 가이드레일부에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1410)을 갖춘 손잡이부(1400)와; 가이드레일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연결부재안내수단(1500)과; 연결부재안내수단을 안내할 수 있도록 된 연결수단(1600);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레일부(1300)는,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프레임(1310)와, 가이드레일프레임의 일단에 수직설치된 봉고정브라켓(1320)과, 봉고정브라켓에 고정됨과 더불어 가이드레일프레임과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봉(1330)과, 가이드레일프레임의 타단에 설치되면서 가이드프레임을 상하부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프레임안내수단(1340)을 구비하고, 가이드봉(1330)의 중심축방향으로 끼워지도록 가이드프레임의 일단부에 중심축방향으로 볼부시(1430)가 설치된다.

Description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Push and pull exercise tester}
본 발명은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프레임의 전진과 후진시 마찰저항이 균등함은 물론, 연결부재의 고정부가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운동능력 테스트중에 연결부재가 연결부재고정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신뢰성이 우수하도록 된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고 당기면서 운동능력을 테스터하는 것은 파워 트레이닝 머신(Power Training Machine) 또는 푸시-풀(pull-push)머신이라고도 불리우며, 캐나다와 미국의 경찰관을 포함한 법 집행관들이 용의자나 수감자를 체포하거나 통제하는 상황에서 밀고 당기는 신체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해 고안된 장치이다.
상기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를 활용한 신체 능력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피험자는 손잡이를 잡고 도르레에 연결된 일정 중량(통상 32kg)의 무게추를 환봉 레일을 따라 밀거나 당긴 상태를 유지하면서 손잡이를 반원(180도) 상에서 각 3회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지의 신체 능력을 측정한다.
이러한 종래 트레이닝 머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515559호 발명의 명칭 "물리적 저지 시뮬레이터"가 공지되어 있는바, 바닥프레임과, 이 바닥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사각 창틀 형태의 본체프레임과, 이 본체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로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과, 이 이동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는 무게추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이 가이드레일에 수평방향에서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이 가이드프레임의 일단에 구비된 손잡이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타단에 구비되는 한쌍의 도르레와, 이 도르레를 경유하여 가이드프레임의 타단과 이동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타단과 이동프레임의 상부의 사이에는 합성수지가 코팅된 복수의 와이어가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을 따라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는, 표면에 합성수지가 코팅된 복수의 와이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봉상의 축 부재; 및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블록 형상으로 되어 상기 축 부재의 일측에 일체로 편심결합되고, 축 부재와 결합된 쪽의 반대쪽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와이어 삽입공에 복수의 와이어의 일단이 각각 삽입된 후 와이어 삽입공에 직교되게 형성된 와이어 렌치볼트공을 통해 와이어 렌치볼트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와이어 삽입공에 삽입된 와이어의 각 일단이 와이어 렌치볼트에 의해 눌려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블록;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와이어 고정블록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공에 끼워진 상태로 와이어 렌치볼트를 체결하여 와이어 삽입공에 삽입된 와이어의 각 일단이 와이어 렌치볼트에 의해 눌려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환봉에 끼워져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프레임과 환봉에서 마찰저항이 발생하여 32kg이 아닌 더 많은 무게를 느끼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테스트중 상기 와이어 렌치볼트가 와이어를 가압하지 못하고 와이어 고정블록의 와이어 삽입공에서 와이어가 이탈하게 되어 물리적 저지 시뮬레이터의 사용중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고, 또 이동프레임에 고정되는 와이어가 이탈되어 물리적 저지 시뮬레이터의 사용중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가 코팅되어 벗벗하게 되므로 가이드프레임을 밀고 당길때 도르레등에서 마찰이 크게 발생하여 정확한 체력 측정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바닥프레임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바닥프레임이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스페어웨이트가 원형으로 설치되어 바닥프레임이 불필요하게 크게 되거나 또는 콤팩트하지 않아서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515559호 발명의 명칭 "물리적 저지 시뮬레이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사항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이드프레임의 단부에 볼부쉬를 설치하여 환봉인 가이드봉의 안내를 받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가이드프레임과 가이드봉에서 마찰저항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어 운동능력테스트 무게인 32kg이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된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프레임의 하부와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부재를 걸어서 연결부재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가이드프레임의 하부 및 이동프레임의 상부에서 연결부재가 빠지지 않아 테스트중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된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우레탄의 내부에 가는 와이어가 등간격으로 여러개 배열된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가이드프레임의 단부와 이동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게 되므로 가이드프레임을 밀고 당길때 베어링등에서 마찰이 크게 발생하지 않아 정확한 체력 측정이 가능하도록 된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바닥프레임의 사각틀에 맞추어 끼워져 안착되도록 한 4각판넬형 스페어웨이트인 제2무게추에 의해 바닥프레임이 불필요하게 크게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콤팩트하게 되어 상품성이 우수하도록 된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는, 바닥프레임과, 이 바닥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사각 창틀 형태의 본체프레임 및 본체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로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을 갖춘 프레임부와; 상기 이동프레임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제1무게추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부와; 이 가이드레일부에 수평방향에서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을 갖춘 손잡이부와;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구성하는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연결부재안내수단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타단쪽과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어 연결부재안내수단을 구름마찰로 안내할 수 있도록 경유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프레임와, 상기 가이드레일프레임의 일단에 수직하게 설치된 봉고정브라켓과, 상기 봉고정브라켓에 일단이 고정됨과 더불어 가이드레일프레임과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레일프레임의 타단에 수직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상하부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프레임안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봉의 중심축방향으로 끼워지도록 가이드프레임의 일단부에 중심축방향으로 볼부시가 설치되어, 이 볼부시가 가이드봉을 안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는,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안내수단에 의해 벨트가 구름마찰로 안내되면서 가이드레일프레임과 본체프레임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됨과 더불어 표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와이어가 우레탄에 의해 수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가이드봉에 끼워지는 가이드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됨과 더불어 가이드프레임에 고정된 행거브라켓과, 이 행거브라켓에 걸려서 계지된 연결부재의 홈에 끼워지는 돌기를 갖춘 제1블럭과, 이 제1블럭의 반대쪽에서 연결부재와 밀착되는 제2블럭과, 상기 제1블럭과 제2블럭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서 제1블럭과 제2블럭이 겹쳐진 연결부재를 행거브라켓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볼트와 너트 및 와셔로 이루어진 체결부재를 갖춘 제1벨트연결부와,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세워져서 구비됨과 더불어 일측면으로는 복수개의 돌기가 갖추어진 제3블럭과, 상기 연결부재의 일면이 제3블럭에 밀착된 상태로 홈에 끼워지는 돌기를 갖춘 제4블럭과, 상기 제3블럭과 제4블럭가 밀착되어 사이에 위치한 연결부재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볼트와 너트 및 와셔로 된 체결부재를 갖춘 제2벨트연결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는, 상기 연결부재안내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아치형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부재의 앞,뒤면에서 구름마찰하면서 연결부재를 상하로 안내하는 베어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안내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프레임의 타단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를 파지하면서 구름마찰로 안내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프레임안내롤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안내롤러부는, 상기 브라켓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브라켓의 양측면에서 끼워지면서 체결되는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에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레일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를 파지하면서 구름마찰로 안내할 수 있도록 된 롤러와, 상기 롤러의 양측면 축중심에 설치된 베어링과, 상기 롤러축과 체결되어 롤러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된 체결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폭과 동일한 길이와 소정의 폭으로 제1무게추와 평행하게 복수열로 배치되어 여러개 적층할 수 있도록 된 제2무게추가 더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에 의하면, 가이드프레임의 단부에 볼부쉬를 설치하여 가이드봉의 안내를 받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가이드프레임과 가이드봉에서 마찰저항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어 운동능력테스트 무게인 32kg을 테스트 시험자가 정확하게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에 의하면, 가이드프레임의 하부와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부재를 걸어서 연결부재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가이드프레임의 하부 및 이동프레임의 상부에서 연결부재가 빠지지 않아 테스트중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에 의하면, 우레탄의 내부에 가는 와이어가 등간격으로 여러개 배열된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가이드프레임의 단부와 이동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게 되므로 가이드프레임을 밀고 당길때 베어링등에서 마찰이 크게 발생하지 않아 정확한 체력 측정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에 의하면, 바닥프레임의 사각틀에 맞추어 끼워져 안착되도록 한 4각판넬형 스페어웨이트인 제2무게추에 의해 바닥프레임이 불필요하게 크게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콤팩트하게 되어 상품성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서 상부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설명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좌측면도,
도 6은 도 1의 내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도 6의 B부 상세도,
도 8은 도 6의 A - A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동프레임에 연결부재가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상부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1000)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닥프레임(1110)과, 이 바닥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사각 창틀 형태의 본체프레임(1120) 및 본체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로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1130)을 갖춘 프레임부(1100)와;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측 내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제1무게추(1200)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부(1300)와; 이 가이드레일부에 수평방향에서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1410)과 손잡이(1420)를 갖춘 손잡이부(1400)와;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구성하는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연결부재안내수단(150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타단쪽과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어 연결부재안내수단을 구름마찰로 안내할 수 있도록 경유하는 연결수단(16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420)를 잡고 일정길이 이상 밀거나 당긴 상태가 되면 가이드프레임(1410)이 밀리거나 당겨지면서 연결수단(1600)이 연결부재안내수단(1500)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프레임(1130)에 있는 제1무게추(1200)와 함께 당기면서 소정의 운동능력을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부호 1800은 상부커버로서 상기 가이드레일부(1300)와 연결부재안내수단(1500) 및 연결수단(160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운동능력을 테스트하는 사람이나 그 옆에 있는 사람이 다치는 것을 예방함은 물론, 상기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10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1100)의 바닥프레임(111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닥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와 고정을 위한 스톱퍼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동프레임(1130)은 본체프레임(1120)에 설치된 가이드포스트(1121)에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수단(1600)이 당겨지게 되면 상기 이동프레임(1130)이 가이드포스트(1121)의 안내를 받아 상부로 올라가게 되고, 또 연결수단(1600)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이동프레임(1130)이 가이드포스트(1121)의 안내를 받아 하부로 내려와 본체프레임(1120)의 바닥에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무게추(1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상의 블록 모양으로 되어 이동프레임(1130)의 바닥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된 도시되지 않은 무게추가이드봉에 끼워져 있으며, 운동능력테스트에 필요한 무게만큼 끼워서 사용하는 한편,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게추가이드봉의 상부에 보울트를 체결하여 제1무게추(1200)가 떨어지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테스터기의 주변이 깨끗하게 정리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제1무게추(1200)는, 상기 이동프레임(1130)에 설치된 직사각형상의 무게추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이동프레임(113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도시되지 않은 무게추가이드봉을 설치하고 기존의 원반형 바벨을 착탈가능하게 끼워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부(1300)는, 상기 본체프레임(11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프레임(1310)와, 상기 가이드레일프레임의 일단에 수직하게 설치된 봉고정브라켓(1320)과, 상기 봉고정브라켓에 일단이 고정됨과 더불어 가이드레일프레임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외팔보의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봉(1330)과, 상기 가이드레일프레임의 타단에 수직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프레임(1410)을 상하부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프레임안내수단(134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420)를 잡고 좌측으로 돌거나 우측으로 돌게 되면 가이드레일프레임(1310)이 본체프레임(1120)의 상부에서 좌측으로 돌거나 우측으로 돌게 되고, 상기 손잡이(1420)를 잡고 가이드프레임(1410)을 밀거나 당기게 되면 가이드프레임안내수단(1340)에 의해 상하로 지지되면서 가이드봉(1330)으로 끼워지거나 빠지게 되고,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1410)의 단부에 설치된 후술하는 볼부시(1430)에 의해 가이드봉(1330)이 저항이 거의 없이 안내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안내수단(1340)은, 상기 가이드레일프레임(1310)의 타단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된 브라켓(1341)과, 상기 브라켓(1341)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를 파지하면서 구름마찰로 안내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프레임안내롤러부(134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1341)에 상하부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프레임안내롤러부(1342)에 의해 가이드프레임(1410)의 상하부가 밀착되어 안내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안내롤러부(1342)는, 상기 브라켓(1341)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브라켓의 양측면에서 끼워지면서 체결되는 롤러축(1342a)과, 상기 롤러축에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레일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를 파지하면서 구름마찰로 안내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롤러(1342b)와, 상기 롤러의 양측면 축중심에 수용되도록 설치된 베어링(1342c)과, 상기 롤러축과 체결되어 롤러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된 체결부재(1342d)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1342d)로 브라켓(1341)의 내측에 체결된 롤러축(1342a)으로 베어링(1342c)을 갖춘 롤러(1342b)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프레임(1410)을 하부와 상부에서 파지하여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400)는, 4각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봉(1330)으로 끼워지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타단은 가이드프레임안내수단(1340)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프레임(1410)과, 이 가이드프레임의 타단에 고정됨과 더불어 4각 핸들모양의 손잡이(1420)와, 상기 가이드봉(1330)의 중심축방향으로 끼워지도록 가이드프레임(1410)의 일단부에 중심축방향으로 설치되어 가이드봉(1330)을 안내할 수 있도록 된 볼부시(14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420)를 잡고 밀거나 당기게 되면 상기 가이드프레임(1410)의 일단부에 설치된 볼부시(1430)의 안내를 받아 가이드봉(1330)이 끼워지거나 뽑히는 방향으로 저항이 거의 없이 안내되게 되므로 테스트 받는 사람이 마찰저항에 의해 배가된 중량으로 테스트를 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안내수단(1500)은, 상기 가이드레일프레임(1310)의 상부에 고정된 아치형의 브라켓(1510)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부재(1610)의 앞,뒤면에서 구름마찰하면서 연결부재를 상하로 안내하는 베어링(1520)을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1520)은 도시되지 않은 회전축부재로 회전이 용이하게 설치되어 베어링의 회전이 용이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1520)과 베어링(1520)의 사이로 연결수단(1600)을 구성하는 연결부재가 이동할 때 베어링(1520)에 의해 구름마찰을 하면서 연결부재의 미구름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상기 연결수단(1600)은, 상기 연결부재안내수단(1500)에 의해 벨트가 구름마찰로 안내되면서 가이드레일프레임(1310)과 본체프레임(1120)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됨과 더불어 표면에는 홈(161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와이어가 우레탄에 의해 수용되는 부드러운 연결부재(1610)와; 상기 가이드봉(1330)에 끼워지는 가이드프레임(1410)의 하단부에 구비됨과 더불어 가이드프레임에 고정된 행거브라켓(1621)과, 이 행거브라켓에 걸려서 계지된 연결부재(고강성평벨트;1610)의 홈(1611)에 끼워지는 돌기(1622a)를 갖춘 제1블럭(1622)과, 이 제1블럭의 반대쪽에서 연결부재와 밀착되어 고정되는 제2블럭(1623)과, 상기 제1블럭과 제2블럭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서 제1블럭과 제2블럭이 겹쳐진 연결부재를 행거브라켓(1621)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볼트와 너트 및 와셔로 이루어진 체결부재(1624)를 갖춘 제1벨트연결부(1620)와; 상기 이동프레임(113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세워져서 구비됨과 더불어 일측면으로는 복수개의 돌기(1631a)가 갖추어진 제3블럭(1631)과, 상기 연결부재(1610)의 일면이 제3블럭(1631)에 밀착된 상태로 홈(1611)에 끼워지는 돌기(1632a)를 갖춘 제4블럭(1632)과, 상기 제3블럭(1631)과 제4블럭(1632)이 밀착되어 사이에 위치한 연결부재(1610)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볼트와 너트 및 와셔로 된 체결부재(1633)로 갖춘 제2벨트연결부(163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벨트연결부(1620)와 제2벨트연결부(1630)는 연결부재(1610)를 가이드프레임(1410)의 하부에 고정된 행거브라켓(1621)에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프레임(1130)의 상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연결부재고정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1610)이 우레탄의 내부에 가는 와이어가 등간격으로 여러개 배열된 상태로 연결부재고정수단을 사용하여 가이드프레임의 단부와 이동프레임의 상부를 빠지지 않게 연결하게 되므로 가이드프레임(1410)을 밀고 당길때 베어링등에서 마찰이 크게 발생하지 않아 정확한 체력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1610)가 제1벨트연결부(1620)와 제2벨트연결부(1630)에 의해 빠지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1벨트연결부(1620)의 돌기(1622a)를 갖춘 제1블럭(1622)과 제2블럭(1623)이 체결부재(1624)에 의해 밀착되면서 연결부재(1610)가 빠지지 않게 되는 한편, 상기 제2벨트연결부(1630)의 돌기(1631a)가 갖추어진 제3블럭(1631)과 돌기(1632a)를 갖춘 제4블럭(1632)이 체결부재(1633)로 체결되면서 연결부재(1610)가 빠지지 않게 고정되므로 운동능력의 테스트중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바닥프레임(1110)의 상부면 양단부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120)의 내측폭과 동일한 길이와 일정한 폭으로 상기 이동프레임(1130) 또는 제1무게추(1200)와 평행하게 복수열로 배치되어 여러개 적층할 수 있도록 된 스페어웨이트인 제2무게추(170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프레임(1110)의 사각틀에 맞추어 끼워져 안착되도록 한 4각판넬형 스페어웨이트인 제2무게추(1700)에 의해 바닥프레임(1110)이 불필요하게 크게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콤팩트하게 되어 상품성이 우수하게 되는 한편, 상시 끼워져 있는 상기 제2무게추(1700)에 의해 상기 제1무게추(1200)의 중량이 더 필요한 경우에는 즉석에서 바로 제2무게추(1700)을 제1무게추(1200)쪽으로 이동하여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 제2무게추(1700)에 의해 바닥프레임(1110)이 흔들리지 않게 고정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일실시예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바닥프레임(1110)과, 이 바닥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사각 창틀 형태의 본체프레임(1120) 및 본체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로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1130)을 갖춘 프레임부(1100)와; 상기 이동프레임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제1무게추(1200)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부(1300')와; 이 가이드레일부에 수평방향에서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1410')에 볼부시(1430)을 갖춘 손잡이부(1400')와;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구성하는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연결부재안내수단(150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타단쪽과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어 연결부재안내수단을 구름마찰로 안내할 수 있도록 경유하는 연결수단(1600);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레일부(1300')는, 상기 본체프레임(11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프레임(1310')와, 상기 가이드레일프레임의 일단에 수직하게 설치된 봉고정브라켓(1320')과, 상기 가이드레일프레임의 타단에 수직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프레임(1410')을 상하부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프레임안내수단(1340')와, 상기 봉고정브라켓(1320')에 일단이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가이드프레임안내수단(1340')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프레임(131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1350)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1400')의 가이드프레임(1410')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봉(1350)의 각각에 양단이 끼워져 가이드봉(1350)을 축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봉안내부재(1440)와, 이 가이드봉안내부재에 조립되어 가이드봉을 안내하도록 된 볼부시(14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봉안내부재(1440)에 의해 두개의 가이드봉(1350)을 따라 가이드프레임(1410')이 이동하게 되므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또 상기 가이드봉안내부재(1440)에 조립된 볼부시(1430)에 의해 마찰저항을 줄여서 운동능력을 테스트하는 사람이 불필요한 하중에 받아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 1100: 프레임부
1110: 바닥프레임 1120: 본체프레임
1130: 이동프레임 1200: 제1무게추
1300: 가이드레일부 1310: 가이드레일프레임
1320: 봉고정브라켓 1330: 가이드봉
1340: 가이드프레임안내수단 1400: 손잡이부
1410: 가이드프레임 1420: 손잡이
1430: 볼부시 1500: 연결부재안내수단
1600: 연결수단 1700: 제2무게추
1800: 상부커버

Claims (5)

  1. 바닥프레임(1110)과, 이 바닥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사각 창틀 형태의 본체프레임(1120) 및 본체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로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1130)을 갖춘 프레임부(1100)와; 상기 이동프레임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제1무게추(1200)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부(1300)와; 이 가이드레일부에 수평방향에서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1410)을 갖춘 손잡이부(1400)와;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구성하는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연결부재안내수단(150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타단쪽과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어 연결부재안내수단을 구름마찰로 안내할 수 있도록 경유하는 연결수단(1600);을 포함하는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부(1300)는, 상기 본체프레임(11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프레임(1310)와, 상기 가이드레일프레임의 일단에 수직하게 설치된 봉고정브라켓(1320)과, 상기 봉고정브라켓에 일단이 고정됨과 더불어 가이드레일프레임과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봉(1330)과, 상기 가이드레일프레임의 타단에 수직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프레임(1410)을 상하부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프레임안내수단(1340)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봉(1330)의 중심축방향으로 끼워지도록 가이드프레임(1410)의 일단부에 중심축방향으로 볼부시(1430)가 설치되어, 이 볼부시(1430)가 가이드봉(1330)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결수단(1600)은,
    상기 연결부재안내수단(1500)에 의해 벨트가 구름마찰로 안내되면서 가이드레일프레임(1310)과 본체프레임(1120)의 상부를 관통하여 설치됨과 더불어 표면에는 홈(1611)이 형성된 연결부재(1610)와,
    상기 가이드봉(1330)에 끼워지는 가이드프레임(1410)의 하단부에 구비됨과 더불어 가이드프레임에 고정된 행거브라켓(1621)과, 이 행거브라켓에 걸려서 계지된 연결부재(1610)의 홈(1611)에 끼워지는 돌기(1622a)를 갖춘 제1블럭(1622)과, 이 제1블럭의 반대쪽에서 연결부재와 밀착되는 제2블럭(1623)과, 상기 제1블럭과 제2블럭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서 제1블럭과 제2블럭이 겹쳐진 연결부재를 행거브라켓(1621)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볼트와 너트 및 와셔로 이루어진 체결부재(1624)를 갖춘 제1벨트연결부(1620)와,
    상기 이동프레임(113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세워져서 구비됨과 더불어 일측면으로는 복수개의 돌기(1631a)가 갖추어진 제3블럭(1631)과, 상기 연결부재(1610)의 일면이 제3블럭(1631)에 밀착된 상태로 홈(1611)에 끼워지는 돌기(1632a)를 갖춘 제4블럭(1632)과, 상기 제3블럭(1631)과 제4블럭(1632)가 밀착되어 사이에 위치한 연결부재(1610)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볼트와 너트 및 와셔로 된 체결부재(1633)로 갖춘 제2벨트연결부(16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안내수단(1500)은,
    상기 가이드레일프레임(1310)의 상부에 고정된 아치형의 브라켓(1510)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부재(1610)의 앞,뒤면에서 구름마찰하면서 연결부재를 상하로 안내하는 베어링(15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안내수단(1340)은,
    상기 가이드레일프레임(1310)의 타단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된 브라켓(1341)과,
    상기 브라켓(1341)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를 파지하면서 구름마찰로 안내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프레임안내롤러부(1342)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안내롤러부(1342)는,
    상기 브라켓(1341)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브라켓의 양측면에서 끼워지면서 체결되는 롤러축(1342a)과,
    상기 롤러축에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레일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를 파지하면서 구름마찰로 안내할 수 있도록 된 롤러(1342b)와,
    상기 롤러의 양측면 축중심에 설치된 베어링(1342c)과,
    상기 롤러축과 체결되어 롤러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된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1110)의 상부면 양단부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120)의 내측폭과 동일한 길이와 일정한 폭으로 상기 이동프레임(1130)과 평행하게 복수열로 배치되어 여러개 적층할 수 있도록 된 스페어웨이트인 제2무게추(17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
KR1020230072604A 2023-06-07 2023-06-07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 KR102660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604A KR102660184B1 (ko) 2023-06-07 2023-06-07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604A KR102660184B1 (ko) 2023-06-07 2023-06-07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184B1 true KR102660184B1 (ko) 2024-04-23

Family

ID=9088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604A KR102660184B1 (ko) 2023-06-07 2023-06-07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1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0682B2 (en) * 2000-12-22 2006-12-19 David Varner Exercise and golf, baseball and other sport training apparatus
KR20220020178A (ko) * 2020-08-11 2022-02-18 이봉수 사용자의 체격에 관계 없이 편한 자세의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력 운동 장치 및 그것에 장착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20220074148A (ko) * 2020-11-27 2022-06-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지 근력 재활 장치
KR102515559B1 (ko) * 2022-07-01 2023-03-29 대우스포츠산업(주) 물리적 저지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0682B2 (en) * 2000-12-22 2006-12-19 David Varner Exercise and golf, baseball and other sport training apparatus
KR20220020178A (ko) * 2020-08-11 2022-02-18 이봉수 사용자의 체격에 관계 없이 편한 자세의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근력 운동 장치 및 그것에 장착되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20220074148A (ko) * 2020-11-27 2022-06-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지 근력 재활 장치
KR102515559B1 (ko) * 2022-07-01 2023-03-29 대우스포츠산업(주) 물리적 저지 시뮬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873B1 (ko) 다목적 운동기구 및 그의 저항조립체
CA1165787A (en) Folding exercising apparatus
US7641603B2 (en) Stretching device
USRE43167E1 (en) Exercise device
US4531730A (en) Body stretching and exercising device
US6110083A (en) Transportable stretching system
US5924966A (en) Apparatus for exercising triceps muscles
US6569064B1 (en) Ski exercising apparatus
EP2949364A1 (en) Reformer exercise apparatus
US20230030924A1 (en) Pilates reformer
US5913752A (en) Total body exercise machine
JPH048067B2 (ko)
KR20180118184A (ko) 운동 장치
US10398928B2 (en) Bodyweight exercise apparatus
US4747594A (en) Portable exercise device for use in a doorway
KR102660184B1 (ko) 밀고당기고 운동능력테스터
US11931615B2 (en) Exercise machine resistance selection system
CN107708813B (zh) 模块化活动板
EP1745825A1 (de) Multifunktionales Übungsgerät
DE102016014510A1 (de) Sport- oder Therapiegerät
US20210394007A1 (en) Exercise rod for supporting exercise elastic rope
US10420997B1 (en) Hockey training apparatus with novel puck rebounders and fold-up storage function
WO2008078857A1 (en) A whole body exercise device
DE102016014509B3 (de) Sport- oder Therapiegerät
US7147594B1 (en) System for positioning user support of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