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8184A - 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8184A
KR20180118184A KR1020187028112A KR20187028112A KR20180118184A KR 20180118184 A KR20180118184 A KR 20180118184A KR 1020187028112 A KR1020187028112 A KR 1020187028112A KR 20187028112 A KR20187028112 A KR 20187028112A KR 20180118184 A KR20180118184 A KR 20180118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lement
displaceable
mounting
cab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라이언 케이. 로빈슨
Original Assignee
9614206 캐나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9614206 캐나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9614206 캐나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18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9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for anchoring on or against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18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on a door or a door frame
    • A63B21/1645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on a door or a door frame for anchoring on a do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5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by increasing or reducing the number of resistanc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28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the ends moving relatively by linear recipro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5Details of the rope or band, e.g. shape or colour co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운동 장치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기다란 지지 요소를 포함한다. 지지 요소는, 제 1 및 2 단부 각각에 위치하여 문 또는 벽 면과 결합하고 지지 요소를 그 문 또는 벽 면에 장착하는 장착 부재를 갖는다. 저항 발생 어셈블리는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정지 부재를 포함한다. 변위 가능한 부재가 지지 요소에 장착 가능하고 그 지지 요소를 따라 정지 부재에 대해 변위할 수 있다. 탄성 부재가 정지 부재와 변위 가능한 부재 사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변위 가능한 부재가 정지 부재에 대해 변위 하면 탄성 부재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저항을 발생시키게 된다. 풀리가 변위 가능한 부재에 장착되고 이 부재와 함께 변위 가능하며, 다른 풀리가 지지 요소에 장착된다. 손 조작 가능한 케이블이 풀리와 결합해 있어, 정지 부재에 대한 변위 가능한 부재의 변위를 일으킨다. 방법도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운동 장치
본 출원은 2016년 3월 7일에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62/304,528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래서 그 미국 가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고로 관련되어 있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운동 기계에 관한 것이다.
저항 또는 하중 지탱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존재한다. 이들 장치 중의 일부는 예컨대 집이나 호텔 방과 같은 비체육 시설에서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인 중량체 지탱 장치 또는 홈짐(home gyms)은 종종 무겁고 다루기 힘들다. 많은 작은 아파트나 집, 캠핑용 자동차, 호텔 방 등은 이들 구조체를 지지할 수 없다. 크기, 공간 및 중량의 제약 조건으로 인해 이들 "가정용" 장치의 사용 및 이용 가능성이 제한된다.
포장되어 방 사이 또는 다른 장소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통상적인 장치 중의 일부는 설치 또는 조립이 어렵고, 배향 변경이 가능하지 않으며, 또한 쉽게 운반하기에 너무 무겁거나 너무 커서,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효과적인 웨이트 트레이닝에서는 저항 또는 하중을 연속적으로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많은 가정용 장치는 추가될 수 있는 저항의 양에 있어 제약을 받으며, 그래서 그 장치의 유용성이 제한된다.
일 양태에서, 운동 장치가 제공되며, 이 운동 장치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기다란 지지 요소(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제 1 및 2 단부 각각에 위치하는 장착 부재를 가지며, 각 장착 부재는 문 또는 벽 면과 결합하고 그에 장착될 수 있어 상기 지지 요소를 상기 문 또는 벽 면에 장착함); 및 저항 발생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 발생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 요소에 고정 부착되는 정지 부재; 상기 지지 요소에 장착 가능하고 그 지지 요소를 따라 상기 정지 부재에 대해 변위할 수 있는 변위 가능한 부재; 상기 정지 부재 및 변위 가능한 부재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그 두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변위 가능한 부재가 상기 정지 부재에 대해 변위하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저항을 발생시키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및 복수의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풀리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변위 가능한 부재에 장착되고 이 부재와 함께 변위 가능하며, 상기 풀리 중의 적어도 다른 하나는 지지 요소에 장착되고, 손 조작 가능한 케이블이 상기 풀리와 결합해 있고 상기 정지 부재에 대한 상기 변위 가능한 부재의 변위를 일으키기 위해 조작 가능하다.
다른 양태에서, 운동 장치를 문 또는 벽 면에 장착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기다란 지지 요소를 상기 문 또는 벽 면에 장착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로, 상기 지지 요소를 따라 변위 가능한 부재를 지지 요소의 고정 부품에 연결하는 단계(상기 부재가 상기 고정 부품에 대해 변위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저항을 발생시키게 됨); 및 상기 부재 및 지지 요소를 손 조작 가능한 케이블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을 조작하여, 상기 고정 부품에 대한 상기 부재의 변위를 일으킬 수 있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운동 장치의 변위 가능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벽 면에 장착되는 도 1a의 운동 장치의 사시도로, 변위 가능한 부재와 고정 부재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탄성 부재를 보여준다.
도 2b는 도 2a의 운동 장치의 사시도로, 변위 가능한 부재는 고정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고, 탄성 부재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운동 장치의 풀리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3의 운동 장치의 다른 풀리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도 3의 운동 장치의 벽 마운트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3의 운동 장치의 피봇 브라켓 및 벽 마운트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잠금 위치에 있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운동 장치의 잠금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잠금해제 위치에 있는 도 6a의 잠금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운동 장치의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분해되어 있는 도 3의 운동 장치의 기다란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분해된 기다란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8c는 서로 나란히 적층되어 있는 도 8a의 분해된 기다란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운동 장치(10)를 도시한다. 이 운동 장치(10)는 심장 혈관 또는 웨이트 트레이닝 요법의 일부분으로서 저항 운동을 하기 위해 한명 이상의 개인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운동 장치(10)의 실시 형태는 쉬운 운반을 위해 분해되어 보관될 수 있다. 운동 장치(10)는 또한 문이나 벽과 같은 지지면에 장착되고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래서 운동 장치(10)(간단히 "장치(10)"라고 함)는, 어떤 적절한 공간에서도 신속하게 조립되고 설치될 수 있는 자체 완비 운동 기계로서 사용될 수 있고, 그러한 공간을 일반적으로 "홈짐(home gyms)"이라고 한다.
장치(10)는 적절한 지지면에 장착될 수 있는 지지 요소(20), 및 저항 발생 어셈블리(30)를 포함하고, 이 저항 발생 어셈블리는 지지 요소(20)와 협력하여 훈련 운동을 위한 원하는 저항을 제공하게 된다.
지지 요소(20)는 장치(10)의 본체이고, 그 장치에 구조를 제공한다. 지지 요소(20)는 문, 문 설주, 문 아치, 벽 또는 그의 일부분과 같은 지지면에 장착되고 그로부터 제거되며, 그래서 장치(10)가 지지면에 또한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지지 요소(20)는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일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지지 요소(20), 및 그래서 장치(10)는 수평 방향으로 배향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지지 요소(20), 및 그래서 장치(10)는 수평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어 배향된다.
지지 요소(20)는 필요한 하중 지탱 능력을 장치(10)에 제공하고, 장치(10)가 사용 중일 때 발생되는 하중과 힘을 그 장치(10)가 견딜 수 있게 해준다. 지지 요소의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시된 실시 형태의 지지 요소(20)는 그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인데, 물론 다른 구성의 지지 요소(20)도 가능하다. 지지 요소(20)는, 여기서 원통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또한 중공 내부를 갖는 에워싸인 구조인 것으로 나타나 있고 설명되지만, 다른 단면 형상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여기서 "지지 관(20)"이라고 하는 언급은, 지지 요소(20)를 벽이 있는 관형 구조체인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일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지지요소(20)는 레일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른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지지 요소(20)는 비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계속 도 1a를 참조하면, 지지 관(20)은 제 1 단부(21) 및 반대편의 제 2 단부(22) 사에서 연장되어 있는 길이 방향 축선을 갖는 기다란 물체이다. 지지 관(20)이 지지면에 대해 설치되면 제 1 및 2 단부(21, 22)는 지지 관(20)의 상호 반대편 말단부가 된다. 도 1a의 실시 형태에서, 지지 관(20)은 지지 관(20)을 길게 하거나 짧게 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는 부분들을 가지고 있어 신축자재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지지 관(20)은 하나 이상의 내부 관(20A) 및 외부 관(20B)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내부 관(20A)은 지지 관(20)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하기 위해 외부 관(20B) 안에서 슬라이딩 변위할 수 있다. 금속 부싱(bushing)이 외부 관(20B)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고 내부 관(20A)과 겹합하여 내외부 관의 상대 변위를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 외부 관(20B)에 대한 내부 관(20A)의 위치는 원하는 길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내부 관(20A)은 편향 가능한 프롱(prong)(20C)을 가지고 있는데, 이 프롱은 지지 관(20)의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슬롯(20D)에 삽입될 수 있다. 외부 관(20B) 안에서 내부 관(20A)을 슬라이딩 변위시키기 위한 다른 기구도 본 개시의 범위에 있다. 이는 사용자가 지지 관(20)의 길이를 선택할 수 있게 해주고 또한 지지 관(20)을 예컨대 문의 길이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내외부 관(20A, 20B)은, 예컨대 내외부 관(20A, 20B)이 동일한 길이를 취할 때 지지 관(20)이 접힐 수 있게 해준다. 그러한 접힌 상태에서, 제 1 및 2 단부(21, 22)는 서로에 가까워지고, 지지 관(20)은 쉬운 운반을 위해 보관될 수 있다.
제 1 및 2 단부(21, 22) 각각은 장착 부재(23)를 가지고 있다. 각 장착 부재(23)는 지지면과 결합하고 또한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각 장착 부재(23)는 지지면과 결합할 때 그 지지면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어, 지지 관(20)이 지지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착 부재(23)는 그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어떤 적절한 물체라도 될 수 있다. 예컨대, 장착 부재(23)는, 지지면과 결합하여 그에 부착되는 훅크, 스트랩, 클램프, 브라켓, 또는 다른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각 장착 부재(23)는 지지면과 결합될 때 그 지지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고정된다. 각 장착 부재(23)가 지지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실시 형태에서, 장착 부재(23)는 지지 관(20)(및 그래서 장치(10))가 다른 종류의 지지면에 사용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구성에서, 각 제거 가능한 장착 부재(23)로 인해 장치(10)는 휴대 가능할 수있다.
도 1a의 실시 형태에서, 각 장착 부재(23)는, 지지 관(20)을 문 틀에 장착하고 또한 그 지지 관을 문 틀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조절 가능한 클램프(24)를 포함한다. 클램프(24)는 지지 관(20)의 제 1 또는 제 2 단부(21, 22)에 장착되는 C-브라켓(24A)을 갖는다. C-브라켓(24A)의 원위 단부는 구멍을 가지며, 이 구멍을 이를 통과하는 회전 가능한 나사형 로드(24B)를 수용한다. 로드(24B)의 일 단부는 노브(24C)를 가지며, 로드(24B)의 다른 단부는 접촉 패드(24D)를 갖는다. 이 접촉 패드(24D)는 문 틀에 긁힘이나 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와 같은 비교적 연한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그러한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각 클램프(24)를 문 틀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노브(24C)를 돌린다. 이러면, 접촉 패드(24D)가 문 틀에 접촉할 때까지, 나사형 로드(24B)가 C-브라켓(24A)의 구멍을 통해 그 C-브라켓(24A)의 근위 단부 쪽으로 전진하게 된다. 접촉 패드(24D)와 문 틀의 표면 사이에 강한 마찰 끼워맞춤이 형성될 때까지, 사용자는 노브(24C)를 계속 조이게 된다. 일단 이렇게 각 클램프(24)가 문 틀에 부착되면, 장치(10)가 사용될 수 있다. 클램프(24)는 유사한 방식으로 문 틀로부터 제거되고, 그래서 장치(10)가 문 틀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장착 부재(23)에 대한 다른 구성도 가능하고 본 개시의 범위에 있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각 장착 부재(23)는 지지 관(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리하여, 장치(10)가 훈련 운동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 중일 때 사용자는 지지 관(20)의 원하는 배향을 선택할 수 있다. 이리하여 또한 지지 관(20)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훈련 운동 및 지지 관(20)에 가해지는 힘에 응하여, 회전 또는 선회하여 그 지지 관의 배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회전 기능에 의해 사용자는 장치(10)의 특정 위치와 관련된 공간 및 장착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이 회전 기능은 많은 다른 방식으로 얻어질 수 있다.
예컨대, 그리고 도 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클램프(24)의 C-브라켓(24A)은 피봇 브라켓(24E)에 연결된다. 이 피봇 브라켓(24E)은 지지 관(20)의 제 1 및 2 단부(21, 22) 각각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각 브라켓(24E)에 대한 회전 축선(24F) 주위로 피봇 브라켓(24E)과 지지 관(20)의 사이의 상대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회전 축선(24F)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정렬되어 있고 지지 관(20)의 길이 방향 축선에 평행하다.
계속 도 1a를 참조하면, 저항 발생 어셈블리(30)(또는 간단히 "어셈블리(30)"라고 함)는 사용자가 저항을 필요에 따라 증가 및 감소시킬 수 있게 해준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저항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하는 것은 쉽게 행해질 수 있고 이를 행하기 위해 비교적 무거운 자유 중량체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어셈블리(30)는 지지 관(20)에 고정되는 정지 부재(31)를 포함한다. 이 정지 부재(31)는 고정 요소이고, 지지 관(20)에 대해 변위 가능하지 않다. 그러므로 정지 부재는 어떤 적절한 형태라도 취할 수 있다. 도 1a의 실시 형태에서, 정지 부재(31)는 중공 외부 관(31A)을 포함하고, 이 관은 제 1 및 2 단부(21, 22) 사이에서 지지 관(20)의 외면 주위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 관(20)의 외면을 따른 외부 관(31A)의 위치는 조절 가능하여, 사용자는 외부 관을 지지 관(20) 상의 어떤 곳에도 위치시킬 수 있고 지지 관에 대한 외부 관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외부 관(31A)은 저항 요소(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함)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훅크(31B)를 갖는다. 정지 부재(31)에 대한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예컨대, 일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정지 부재(31)는 지지 관(20)의 외면에 있는 돌출부 또는 연장부이고, 이는 저항 요소를 수용할 수 있고 지지 관(20)과 일체적이다.
어셈블리(30)는 또한 변위 가능한 부재(32)를 포함한다. 이 변위 가능한 부재(32)는 지지 관을 따라 슬라이딩 변위 가능하게 그 지지 관(20)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리고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변위 가능한 부재(32)는 지지 관(20)을 따라 방향(D)으로 슬라이딩 변위 가능하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훈련 운동을 수행하여 그 변위 가능한 부재(32)를 변위시킬 수 있다. 변위 가능한 부재(32)는 정지 부재(31)에 대해(즉, 정지 부재(31) 쪽으로 또한 그로부터 멀어지게) 변위 가능하고, 이리하여 저항 요소가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a 및 1b의 실시 형태에서, 변위 가능한 부재(32)는 중공인 변위 가능한 외부 본체(32A)를 포함하고, 이 외부 본체는 제 1 및 2 단부(21, 22) 사이에서 지지 관(20)의 외면 주위에 장착된다. 외부 본체(32A)는 외부 본체(32A)의 내면에 있는 하나 이상의 회전 가능한 부재(32C)를 포함하고, 이 부재는 지지 관을 따라 외부 본체(32A)를 변위시키기 위해 지지 관(20)의 외면과 결합한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회전 가능한 부재(32C)는 베어링인데, 하지만 그 회전 가능한 부재(32C)에 대한 다른 구성도 본 개시의 범위에 있다.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훈훈련 운동에 응하여 외부 본체가 지지 관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지지 관(20)의 외면을 따른 외부 본체(32A)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외부 본체(32A)는 저항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훅크(32B)를 갖는다. 변위 가능한 부재(32)에 대한 다른 구성이 가능하고 본 개시의 범위에 있다.
어셈블리(3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저항 발생 요소를 포함한다. 각 저항 발생 요소는, 탄성적으로 변형됨에 따라 저항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33)이다. 도 1a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탄성 부재(33)는 하나 이상의 탄성 밴드(33A)를 포함한다. 각 탄성 밴드(33A)는 탄성 변형을 받는 탄성 부재이다. 각 탄성 밴드(33A)의 변형 저항성은 훈련 운동에 필요한 저항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각 탄성 밴드(33A)는 탄성 변형을 받는 어떤 적절한 폴리머 재료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각 탄성 밴드(33A)는 동일한 저항 하중을 발생시킬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저항 하중을 발생키는 탄성 밴드(33A)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밴드(33A)는 시각적인 표시를 가지며, 다른 저항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코딩되거나 마킹된다. 예컨대, 탄성 밴드(33A)는 색깔로 코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주어진 색은 특정한 저항 정도를 나타낸다. 일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탄성 밴드(33A)중의 하나 이상은 스프링을 포함한다.
각 탄성 밴드(33A)는 정지 부재(31)와 변위 가능한 부재(32)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달리 말하면, 각 탄성 밴드(33A)는 정지 부재(31)와 변위 가능한 부재(32)를 서로 연결한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탄성 밴드(33A)는 그의 일 단부에서 상기 변위 가능한 부재(32)의 훅크(32B) 주위에 장착되고, 다른 단부에서는 정지 부재(31)의 훅크(31B) 주위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변위 가능한 부재(32)가 사용자에 의해 지지 관(20)을 따라 방향(D)으로 정지 부재(31)로부터 멀어지게 변위되면, 변위 가능한 부재(32)와 정지 부재(31) 사이의 거리가 증가된다. 이리하여, 정지 부재(31)와 변위 가능한 부재(32)를 서로 연결하는 각 탄성 밴드(33A)가 늘어나 저항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탄성 밴드(33A)는 사용자가 훈련에 필요한 저항을 쉽게 변경할 수 있게 해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예컨대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해 더 큰 저항을 경험하고자 한다면, 정지 부재(31)와 변위 가능한 부재(32)의 훅크(31B, 32B) 주위에 단순히 탄성 밴드(33A)를 더 추가하면 된다. 유사하게, 사용자가 예컨대 심장 질환 훈련을 위해 더 작은 저항을 경험하고자 한다면, 단순히 탄성 밴드(33A) 중의 하나 이상을 제거하거나 탄성 밴드(33A)를 더 작은 저항을 주는 것으로 교체하면 된다.
이는 유리하게 어떤 종래 기술의 운동 기계와 비교되는데, 그 운동 기계에서는 자유 중량체가 슬라이딩 마운트에 추가될 필요가 있다. 저항을 변화시키기 위한 그러한 기술은 비교적 무거운 자유 중량체를 조작하는 것을 필요로 하므로 다루기 힘들다. 또한, 비교적 무거운 중량체를 조작하는 경우, 중량체가 이동 중에 떨어져 어떤 사람에게 부상 또는 충격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증가한다. 또한, 기계가 구조적 응력 및/또는 파손을 받기 전에 얼마나 많은 추가 중량체를 지지할 수 있는가에 대해 제한이 있다. 또한, 저항을 변경하기 위한 이러한 기술이 경우에, 사용자는 훈련 중에 이용가능한 다른 자유 중량체를 가지고 잇을 필요가 있다. 훈련을 위해 항상 적절한 양의 자유 중량체를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은, 다루기 힘들고 비용이 많이 들며 일어날 가능성이 적고 또한 기계의 휴대성을 감소시킨다.
이와는 달리, 여기서 개시된 탄성 밴드(33A)는 자유 중량체와 비교하여 덜 무겁고, 보관하기가 쉽고 또한 다량으로 운반하기가 쉽다. 그러므로, 탄성 밴드(33A)는. 정지 부재(31) 및 변위 가능한 부재(32)와 함께 사용될 때, 자유 중량체와 관련된 전술한 불편 및 잠재적인 위험이 없이, 장치(10)의 저항이 신속하게 크게 되거나 작게 되게 해줄 수 있다.
계속 도 1a를 참조하면, 어셈블리(30)는, 원하는 저항을 발생시키고 힘이 어셈블리(30)에 가해지도록 상기 변위 가능한 부재(32)를 변위시켜 장치(10)를 작동시키는 케이블-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셈블리(30)는 복수의 풀리(34) 및 손 조작 가능한 케이블(35)을 포함한다. 풀리(34A) 중의 하나 이상은 변위 가능한 부재(32)에 위치하고 변위 가능한 부재(32)와 함께 변위 된다. 풀리(34A)가 케이블(35)에 의해 움직일 때, 변위 가능한 부재(32)는 그 풀리(34A)에 의해 변위될 수 있다. 나머지 풀리(34) 중의 하나 이상은 지지 관(20)에 장착되고, 여기서는 참조 번호 "34B"로 나타나 있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지지 관 풀리(34B)는 지지 관(20)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유지되고, 변위되지 않는다.
손 조작 가능한 케이블(35)은 운동 부속물(40)을 통해 풀리(34)를 지지 관(20)에, 서로에, 또한 사용자에게 연결한다. "손 조작 가능한" 이라는 말은, 케이블이 사용자의 작용에 의해 끌어 당겨지고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도 1a의 실시 형태에서, 케이블(35)의 제 1 단부(35A)는 지지 관(20)에 부착되고, 케이블(35)의 제 1 단부(35B)는 운동 부속물(40)에 부착된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케이블(35)은 단일 케이블(35)이다. 일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케이블(35)은 2개 이상의 케이블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제,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장치(10)의 작동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정지 부재(31)와 변위 부재(32)의 훅크(31B, 32B) 주위에 장착되어 있는 2개의 탄성 밴드(33A)를 나타낸다. 케이블(35)의 제 1 단부(35A)는 지지 관(20)에 부착되고, 제 2 단부(35B)는 운동 부속물(40)에 부착된다. 케이블(35)은 그의 제 2 단부(35B)와 운동 부속물(40)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제 1 지지 관 풀리(34B)주위에 감기고, 그런 다음에 제 2 지지 관 풀리(34B)(도 2b 참조) 쪽으로 가서 제2 지지 관 풀리(34B) 주위에 감기고, 그리고 나서 변위 가능한 부재 풀리(34A)로 가서 그 변위 가능한 부재 풀리(34A) 주위에 감기며, 최종적으로 지지 관(20)에서 제 1 단부(35A)에서 끝난다. 케이블-풀리 시스템의 다른 구성도 본 개시의 범위에 있다. 도 2a 및 2b에 나타나 있는 단일 케이블(35)은 쉽게 보관되고 지지 관(20) 및 운동 부속물(40) 모두에 부착되며, 장치(10)의 구성품 주위에 쉽게 감긴다.
도 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훈련 운동이 수행되고 있지 않을 때, 탄성 밴드(33A)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지 않고, 저항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훈련 운동이 수행되고 있을 때는, 탄성 밴드(33A)가 변형되고 저항이 발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 형태에서, 사용자가 운동 부속물(40)을 장치(10)로부터 멀어지게 끌어 당기면, 케이블(35)이 당겨지게 된다. 케이블-풀리 시스템에 의해, 변위 가능한 부재(32)는 방향(D)을 따라 정지 부재(31)에 대해 변위된다(도 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리하여, 탄성 밴드(33A)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그래서 운동 부속물(40)의 끌어 당김에 대해 원하는 저항이 발생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장치(110)가 나타나 있는데, 여기서, 도 1a - 2b의 실시 형태와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나 있고 더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장치(110)의 저항 발생 어셈블리(130)는 풀리(34)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풀리 하우징(136)을 포함한다. 각 장착 부재(123)는 벽 마운트(123A), 피봇 브라켓(124E) 및 잠금 장치(150)를 포함한다. 지지 요소(120)는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기다란 부분(125)을 포함한다. 이제 장치(110)의 이들 부분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4b는 풀리(34)를 수용하기 위한 풀리 하우징(136)을 나타낸다. 도 4a에 나타나 있는 풀리 하우징(136)은 지지 요소(120)의 제 1 및/또는 2 단부(21, 22)에 배치되고 위치 고정된다. 도 4b에 나타나 있는 풀리 하우징(136)은 변위 가능한 부재(132)의 일부분이고, 그 부재와 함께 변위 가능하다. 각 풀리 하우징(136)은 풀리 하우징(136) 안에 배치되는 케이블 안내부(137)를 가지고 있다. 케이블 안내부(137)는 풀리(34)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그들 사이에 틈(138)이 형성된다. 손 조작 가능한 케이블(35)이 케이블 안내부(137)와 풀리(34) 사이의 틈(138) 내에 위치된다. 케이블 안내부(137)는, 풀리 하우징(136)에 고정되어 케이블(35)이 풀리(34)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변위 가능한 부재(132)의 변위 가능한 본체(132A)는 풀리 하우징(136)이다. 변위 가능한 본체(132A)는 트럭(132D)을 포함하고, 이 트럭은 풀리 하우징(136)과 고정된 관계로 그 풀리 하우징에 장착된다. 트럭(132D)은 바퀴(132E)를 가지며, 이들 바퀴는 지지 요소(120)와 결합하여, 변위 가능한 본체(132)를 지지 요소(120)를 따라 변위시킨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장착 부재(123) 중의 적어도 하나는 관통공(126)을 갖는 피봇 브라켓(124A)을 포함한다. 이 피봇 브라켓(124A)은 지지 요소의 제 1 또는 제 2 단부(21, 22)에서 그 지지 요소(120)에 부착된다. 장착 부재(123)는 문 또는 벽 면에 장착될 수 있는 벽 마운트(123A)를 포함한다. 이 벽 마운트(123A)는 L-형 브라켓이며, 제 2 벽(123C)에 직교하여 연결되어 있는 제 1 벽(123B)을 가지고 있다. 제 1 벽(123B)은 체결구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며, 그래서 제 1 벽(123B), 벽 마운트(123A) 및 피봇 브라켓(124A)은 벽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 2 벽(123C)은 제 2 벽(123C)의 면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장착 핀(123D)을 갖는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장착 핀(123D)은 제 2 벽(123C) 중의 단지 하나의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일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장착 핀(123D) 또는 별도의 장착 핀(123D)은 제 2 벽(123C)의 양 면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장착 핀(123D)은 피봇 브라켓(124A)의 관통공(126)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장착 핀(123D)을 관통공(126)을 통해 삽입하면, 지지 요소(120)가 벽 마운트(123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장착 부재(123)는, 지지 요소(120)가 뜻하지 않게 벽 마운트(123A)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 기구(150)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기능을 달성하는 많은 다른 구성의 잠금 기구(150)가 가능하고 본 개시의 범위에 있다. 도 6a 및 6b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잠금 기구(150)는 피봇 브라켓(124A)의 구멍(162)을 통해 삽입될 수 있는 누름 부재(161)를 포함한다. 장 착 핀(123D)은 얇은 부분(123E)을 가지며, 이 부분은 장착 핀(123D)의 나머지 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다. 누름 부재(161)는 그의 일부분을 따라 있는 홈 부분(163(을 갖는다. 도 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잠금 위치에서, 장착 핀(123D)은 피봇 브라켓(124A)의 관통공(126)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잠금 위치에 있기 위해, 사용자는 누름 부재(161)를 피봇 브라켓(124A)의 구멍(162) 안으로 밀어 넣는다. 그리하여, 누름 부재(161)의 홈 부분(163)이 변위되어 장착 핀(123D)의 얇은 부분(123E)과 정렬되지 않는다. 도 6b에 나타아 있는 바와 같은 잠금해제 위치에서, 장착 핀(123D)은 피봇 브라켓(124A)의 관통공(126)으로부터 빠질 수 있다. 잠금해제 위치에 있기 위해, 사용자는 누름 부재(161)를 피봇 브라켓(124A)의 관통공(162)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빼내게 된다. 그리하여, 누름 부재(161)의 홈 부분(163)이 변위되어 장착 핀(123D)의 얇은 부분(123E)과 정렬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클램프(124)의 다른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클램프(124)는 피봇 브라켓(124)에 장착된다. 일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클램프(124)는 벽 마운트(123A)에 장착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클램프(124)는 벽 마운트(123A)의 장착 핀(123D)과 결합하는 구멍을 가지고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지지 요소(120)의 서로 연결된 기다란 부분(125)는 서로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장치(110)를 신속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다. 그러한 기능을 달성하는 많은 다른 구성의 기다란 부분(125)이 가능하고 본 개시의 범위에 있다. 도 8a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기다란 부분(125) 중의 하나는 슬리브(127)를 가지며, 이 슬리브는 인접하는 기다란 부분(125)에 있는 대응하는 구멍 내에 마찰 끼워맞춤된다. 탄성 지지 케이블(128)이 모든 기다란 부분(125)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그들 부분을 서로 연결한다. 사용자가 지지 요소(120)를 보관 또는 운반을 위해 분해하고자 하면, 단순히 각 기다란 부분(125)를 인접하는 기다란 부분(125)으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기다란 부분(125)은 탄성 지지 케이블(12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지지 부분(125)은 서로에 대해 위치되고, 적층되고 접히거나 다른 식으로 배치될 수 있어 보관 및/또는 운반이 용이하게 된다. 예컨대, 그리고 도 8a 및 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케이블(128)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기다란 부분(125)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그들 부분이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된다. 지지 케이블(128)은 기다란 부분(125)이 분리되거나 잘못 배치되는 가능성을 줄여 준다.
도 1a를 참조하면, 운동 장치(10)를 문 또는 벽 면에 장착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기다란 지지 요소(20)를 문 또는 벽 면에 장착하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33)로 상기 변위 가능한 부재(32)를 고정된 정지 부재(31)에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변위 가능한 부재(32) 및 지지 요소(20)를 손 조작 가능한 케이블(35)과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케이블(35)을 조작하여, 정지 부재(31)에 대한 변위 가능한 부재(32)의 변위를 일으킬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비추어, 여기서 개시된 장치(10, 110)는, 적어도 일부 실시 형태에서, 쉽게 운반 가능하고 쉽게 보관되며 또한 사용을 위해 문 또는 벽에 쉽게 설치되는 저항 기반 운동 장치(10, 110)임을 알 수 있다. 장치(10, 110)는 수직 또는 수평 배향으로, 또는 이들 배향 사이의 임의의 배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장치(10, 110)는, 사용자가 비교적 가벼운 또한 보관이 용이한 탄성 밴드(33A)를 추가하여 장치의 저항을 쉽게 증가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심장질환 및/또는 웨이트 트레이닝 운동을 용이하게 해준다. 지지 관(20)이 회전할 수 있어, 신체의 다양한 부분을 위한 많은 다른 종류의 훈련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탄성 밴드(33A)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중량 효율적이다. 탄성 밴드는 운반이 쉽고 그래서 장치(10, 110)의 운반성을 좋헤 해준다.
지지 관(20) 및 정지 부재(31)와 변위 가능한 부재(32)를 이루는 재료는 비교적 경량일 수 있다. 이리하여, 장치(10, 110)의 전체 중량이 감소되고, 어떤 경우에는 그 장치의 중량이 10 파운드 미만일 수 있다.
운동 부속물(40)은, 여기서는 특정 구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케이블(35)에 연결될 수 있고 장치(10, 110)에 사용될 수 있는 어떤 적절한 부속물(40)이라도 될 수 있다. 적절한 운동 부속물(40)의 어떤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핸들 바아, 트레드밀(treadmill), 조정(rowing) 요소, 및 다리 펴기 또는 레그 컬(arm-curl) 벤치가 있다. 추가로, 운동 부속물(40)은 어떤 원하는 훈련 운동이라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 관(20)에 대해 다양한 위치 및 다양한 배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 관(20)이 장착되는 지지면은, 문 또는 문 틀인 것으로 나타나 있고 설명되었지만, 장치(10, 110)의 사용 중에 그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어떤 적절한 면이라도 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벽, 문 설주, 및 문 틀이 있다.
위의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당업자는 개시된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전술한 실시 형태에 대해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또 다른 수정예가 본 개시의 검토에 비추어 당업자에 명백할 것이며, 그러한 수정예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2)

  1. 운동 장치로서,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기다란 지지 요소 -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제 1 및 2 단부 각각에 위치하는 장착 부재를 가지며, 각 장착 부재는 문 또는 벽 면과 결합하고 그에 장착될 수 있어 상기 지지 요소를 상기 문 또는 벽 면에 장착함 -; 및
    저항 발생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 발생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 요소에 고정 부착되는 정지 부재;
    상기 지지 요소에 장착 가능하고 그 지지 요소를 따라 상기 정지 부재에 대해 변위할 수 있는 변위 가능한 부재;
    상기 정지 부재 및 변위 가능한 부재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그 두 부재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변위 가능한 부재가 상기 정지 부재에 대해 변위하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저항을 발생시키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및
    복수의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풀리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변위 가능한 부재에 장착되고 이 부재와 함께 변위 가능하며, 상기 풀리 중의 적어도 다른 하나는 지지 요소에 장착되고, 손 조작 가능한 케이블이 상기 풀리와 결합해 있고 상기 정지 부재에 대한 상기 변위 가능한 부재의 변위를 일으키기 위해 조작 가능한, 운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장착 부재는 상기 제 1 및 2 단부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브라켓을 가지며, 각 브라켓은 회전 축선을 규정하며,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브라켓의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운동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 상에서의 상기 정지 부재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정지 부재는 각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고정 부착되는, 운동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밴드를 포함하는, 운동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운동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지지 요소에 부착되는 피봇 브라켓, 및 상기 문 또는 벽 면에 장착 가능한 벽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벽 마운트는 L-형 브라켓을 가지며, L-형 브라켓의 제 1 벽은 상기 문 또는 벽 면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L-형 브라켓의 제 2 벽은 이 벽의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장착 핀을 가지며, 장착 핀은 상기 피봇 브라켓의 관통공 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 요소를 상기 벽 마운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운동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가능한 부재는 변위 가능한 본체 및 이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회전 가능한 부재를 포함하고, 회전 가능한 부재는 상기 지지 요소와 결합할 수 있고 또한 그 지지 요소를 따라 변위 가능한, 운동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 조작 가능한 케이블은 단일의 손 조작 가능한 케이블을 포함하고, 단일의 손 조작 가능한 케이블은, 고정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장착 가능한 제 1 말단부, 및 운동 부속물에 장착 가능하고 그 운동 부속물과 함께 변위 가능한 제 2 말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운동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발생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 요소에 장착되고 상기 풀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풀리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풀리 하우징은, 풀리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풀리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케이블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손 조작 가능한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안내부와 풀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운동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저항 값을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를 가지고 있는, 운동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는 적어도 2개의 기다란 부분을 포함하고, 각 기다란 부분은 다른 기다란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기다란 부분들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그 기다란 부분들을 연결하는 지지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운동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관 및 외부 관을 포합하고, 적어도 하나의 내부 관은 상기 지지 요소의 길이를 길게 또한 짧게 하기 위해 상기 외부 관 안에서 슬라이딩 변위 가능한, 운동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관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관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운동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는 그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인, 운동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장치는 운동 부속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 조작 가능한 케이블의 원위 단부가 상기 운동 부속물에 장착될 수 있는, 운동 장치.
  16. 운동 장치를 문 또는 벽 면에 장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다란 지지 요소를 상기 문 또는 벽 면에 장착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로, 상기 지지 요소를 따라 변위 가능한 부재를 지지 요소의 고정 부품에 연결하는 단계 - 상기 부재가 상기 고정 부품에 대해 변위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저항을 발생시키게 됨 -; 및
    상기 부재 및 지지 요소를 상기 손 조작 가능한 케이블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을 조작하여, 상기 고정 부품에 대한 상기 부재의 변위를 일으킬 수 있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지지 요소를 장착하는 단계는 기다란 지지 요소를 문 또는 벽 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및 지지 요소를 손 조작 가능한 케이블에 연결하는 단계는, 고정 위치에서 상기 지지 요소에 부착되어 있는 제 1 말단부, 및 운동 부속물에 부착되어 있고 그 운동 부속물과 함께 변위 가능한 제 2 말단부로부터 단일의 손 조작 가능한 케이블을 연장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지지 요소를 장착하는 단계는 기다란 지지 요소를 상기 문 또는 벽 면에 제거 가능하게 클램핑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 상에서의 상기 고정 부품의 위치를 새로운 위치로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부품을 상기 지지 요소 상에서 상기 새로운 위치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 16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를 개별적인 부분으로 분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 16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부속물을 상기 운동 장치에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28112A 2016-03-07 2017-03-06 운동 장치 KR201801181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04528P 2016-03-07 2016-03-07
US62/304,528 2016-03-07
PCT/CA2017/050300 WO2017152275A1 (en) 2016-03-07 2017-03-06 Exercis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184A true KR20180118184A (ko) 2018-10-30

Family

ID=5978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112A KR20180118184A (ko) 2016-03-07 2017-03-06 운동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123596B2 (ko)
EP (2) EP3881908B1 (ko)
JP (1) JP2019508209A (ko)
KR (1) KR20180118184A (ko)
CN (1) CN109069898B (ko)
CA (1) CA3016804A1 (ko)
ES (1) ES2886262T3 (ko)
SG (1) SG11201807424VA (ko)
WO (1) WO20171522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093772A1 (it) * 2016-09-19 2018-03-19 Silvano Zanetti Apparecchio ginnico per l'esecuzione di esercizi a corpo libero
AU2018259152B2 (en) * 2017-04-28 2023-10-12 Fitpac Pty Ltd Resistance device
US10413770B2 (en) * 2017-07-03 2019-09-17 Norman Paul Gustafson Power arc exercise device
US11052280B1 (en) * 2018-05-10 2021-07-06 NV Athletics, LLC Weight bearing exercise system
US11247092B2 (en) * 2019-02-24 2022-02-15 Kevin Albert Garcia Portable full body workout system
GB202013410D0 (en) * 2020-08-27 2020-10-14 Obsidian Int Ltd Exercise apparatus
USD953449S1 (en) * 2021-06-29 2022-05-31 Yiwu Chacchen Sporting Goods Co., Ltd. Wall mounted arm strength exerciser
USD953450S1 (en) * 2021-06-29 2022-05-31 Yiwu Chaochen Sporting Goods Co., Ltd. Wall mounted arm and pull up exerciser
US20230009261A1 (en) * 2021-07-12 2023-01-12 Francis Noble Kelly Adjustable exercise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108A (en) 1882-02-28 Apparatus
FR541324A (fr) 1921-09-20 1922-07-26 Perfectionnements aux appareils de gymnastique de chambre
US1620910A (en) 1923-02-15 1927-03-15 Harry E Minnich Exercising device
US1538844A (en) 1923-03-13 1925-05-19 Mary Weimar Progressive exerciser
US1633124A (en) 1925-10-28 1927-06-21 Roy H Noe Exercising apparatus
US1749544A (en) 1928-02-13 1930-03-04 Pagano Joseph Exercising apparatus
US2930614A (en) 1954-08-06 1960-03-29 Judson C Mcintosh Body exercising device
US2977120A (en) * 1959-06-30 1961-03-28 Wesley B Morris Exercising device
US3427023A (en) 1966-04-19 1969-02-11 Diversified Prod Handle for stretchable exercising device
US3863521A (en) 1971-10-26 1975-02-04 Carlisle Corp Adjustable handlebars
US3861675A (en) * 1973-10-26 1975-01-21 Robert Thorenz Hopper Swimmer training device
GB1475447A (en) 1974-07-03 1977-06-01 Geisselbrecht W Gymnastic exercise appliance
US4072309A (en) 1976-06-21 1978-02-07 Wilson Jerry Lee Multi-purpose exercise device
US4402504A (en) * 1981-05-19 1983-09-06 Christian Robert J Wall mounted adjustable exercise device
US4492375A (en) 1982-08-16 1985-01-08 Contractor Equipment Manufacturers, Inc. Resilient type exercising device with removable weights
CH665777A5 (fr) * 1984-09-17 1988-06-15 Maurice Chillier Appareil de mecanotherapie.
US4582320A (en) 1984-09-21 1986-04-15 Shaw James H Exercise equipment
US4685670A (en) * 1984-10-01 1987-08-11 Harold Zinkin Elastic tension exercising apparatus with multiple pass cable and pulley
US4621805A (en) 1985-07-29 1986-11-11 Chen Yi S Handle structure for an exercycle
US5135216A (en) 1991-01-29 1992-08-04 Proform Fitness Products, Inc. Modular resistance assembly for exercise machines
CA1284666C (en) 1986-08-01 1991-06-04 Robert S. Hinds Exercise apparatus
US4830365A (en) * 1987-08-12 1989-05-16 March Craig J Home fitness gym
FR2629071B1 (fr) 1988-03-22 1991-03-15 Produits Refractaires Oxyde de zirconium reactif et sa preparation
US5144859A (en) 1989-02-22 1992-09-08 Malone Robert D Multiple position swivel for handlebars
US5029850A (en) 1989-08-21 1991-07-09 Verimark (Proprietary) Limited Exercising apparatus
US5050869A (en) 1990-06-07 1991-09-24 Frate Richard A Portable exercise machine
US5722922A (en) 1991-01-23 1998-03-03 Icon Health & Fitness, Inc.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machine
US5242353A (en) 1991-11-13 1993-09-07 Dayco Products, Inc. Biasing means, components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5616111A (en) 1993-04-30 1997-04-01 Randolph; Lucian Exoskeletal exercise system
US5387171A (en) 1994-01-14 1995-02-07 National Barbell Supply, Inc. Variable resistance band exercise machine
US5468205A (en) 1994-11-02 1995-11-21 Mcfall; Michael Portable door mounted exercise apparatus
US5603681A (en) 1995-10-23 1997-02-18 Olschansky; Brad Portable multi-exercise system
US5885196A (en) 1996-11-25 1999-03-23 Kordun, Ltd. Multiple elastic cable exercise device
US5820529A (en) * 1997-04-25 1998-10-13 Mitchell Weintraub Dual operational exercise resistance device
US5842939A (en) * 1997-05-27 1998-12-01 Act Labs Ltd. Portable sporting goal framework and net
US6042523A (en) 1997-06-06 2000-03-28 Graham; Gary A. Therapeutic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6015371A (en) * 1998-12-24 2000-01-18 Davitt; Christopher Exercise mechanism
US6319179B1 (en) 1998-12-28 2001-11-20 Robert Sylvester Hinds Single spine elastic cord exercise assembly
US7163500B2 (en) 2003-11-25 2007-01-16 Balanced Body, Inc. Reformer exercise apparatus anchor bar assembly
US6926650B2 (en) 1999-03-11 2005-08-09 Balanced Body, Inc. Collapsible reformer exercise apparatus
US6142919A (en) * 1999-04-12 2000-11-07 Jorgensen; Adam A. Multi-purpose low profile physical exercising device
US20010046928A1 (en) * 2000-03-06 2001-11-29 Nette Terry Van Variable resistance exercise device
TW518243B (en) * 2000-03-30 2003-01-21 Tessema D Shifferaw Improved apparatus and methods for abdominal muscle and gluteal muscle exercise
TW453207U (en) 2001-01-18 2001-09-01 Superweigh Entpr Co Ltd Multifunctional exercise machine
US6494817B2 (en) * 2001-02-20 2002-12-17 Victoria Jo Whited Lake Portable exercising device
DE10136402C2 (de) 2001-07-26 2003-07-31 Fraunhofer Ges Forschung Physikalisch aktives Pflast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S20030069112A1 (en) * 2001-10-09 2003-04-10 Patrick Williams Exercise machine
ATE493180T1 (de) * 2001-11-13 2011-01-15 Keiser Corp Übungseinrichtung
US7250022B2 (en) 2002-06-14 2007-07-31 Dalebout William T Exercise device with centrally mounted resistance rod
US7806805B2 (en) 2003-10-27 2010-10-05 Stamina Products, Inc. Exercise apparatus with resilient foot support
US6676576B1 (en) 2003-01-21 2004-01-13 Ying-Ching Wu Adjustable pull exerciser
US7291100B2 (en) 2003-02-20 2007-11-06 Alliance Design & Design Development Group, Inc. Exercise equipment resistance unit
US20050113223A1 (en) 2003-11-24 2005-05-26 Dovner Edward R. Exercise device with elastic resistance
DE102004013737A1 (de) 2004-03-18 2005-10-06 Peter Kindermann Trainingseinheit
CN2805828Y (zh) 2005-08-01 2006-08-16 吴盈庆 拉绳健身器
US20070105696A1 (en) 2005-11-09 2007-05-10 Castel J C Method and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exercise
WO2007089324A2 (en) 2006-01-30 2007-08-09 Balanced Body, Inc. An exercise device
US7572212B2 (en) * 2007-01-05 2009-08-11 Daniel T. Cassidy Portable weightlifting apparatus
SE0702656L (sv) 2007-11-29 2009-05-30 Tomas Svenberg Hantel
SE532229C2 (sv) 2007-11-29 2009-11-17 Tomas Svenberg Hantel
US7857736B2 (en) 2008-03-25 2010-12-28 Merrithew Corporation Adjustable reformer
US20140031182A1 (en) * 2008-08-19 2014-01-30 Darren Donofrio Wall-Mounted Home Fitness Training Equipment
CN201768299U (zh) 2009-11-13 2011-03-23 曾俊明 一种运动器材的阻尼装置
US20120142503A1 (en) * 2010-12-02 2012-06-07 Mardig Sevadjian Pulley Apparatus for Resistance Exercises
WO2012104424A1 (de) 2011-02-04 2012-08-09 Lekisport Ag Faltstock, insbesondere für nordic walking
US8485951B1 (en) * 2011-08-02 2013-07-16 Frederick R. Adams Vehicle mounted multi-position resistance tube exercise apparatus
US8485950B2 (en) 2011-08-02 2013-07-16 Frederick R. Adams Multi-position resistance tube exercise apparatus
US8562494B2 (en) 2012-01-19 2013-10-22 Karl Thomas Portable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9345922B2 (en) 2012-01-23 2016-05-24 Kasper Allison Strength training system and method having elastic resistance and suspension devices
US20160074691A1 (en) 2012-05-08 2016-03-17 Frog Fitness, Inc. Resistanc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use with an exercise apparatus
US20170144009A1 (en) 2012-05-08 2017-05-25 Frog Fitness, Inc. Resistance Memb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for use with an Exercise Apparatus
US20140141948A1 (en) 2012-09-18 2014-05-22 Rockit Body Pilates, Llc Pilates reformer
US9028381B2 (en) 2012-10-16 2015-05-12 Michael J. Mestemaker Door-mounted fitness device with removable pulley members
ES2656245T3 (es) 2012-10-26 2018-02-26 Vintage Gold Holdings Limited Conjunto de peso libre seleccionable independiente
CN203075534U (zh) 2013-02-28 2013-07-24 山东体育学院 可调节腰部阻力训练器
US9555278B2 (en) 2013-03-15 2017-01-31 Arqfx Outdoor Fitness Systems, Llc Strength training and stretching system and resistance band assembly for use therewith
US9005086B1 (en) 2013-08-28 2015-04-14 Douglas L. Hermann Portable rowing machine
US9339682B2 (en) * 2013-11-08 2016-05-17 Kiio Inc. Mountable exercise apparatus
CN203763761U (zh) 2014-04-10 2014-08-13 张仲甫 拉绳运动器结构
US9675832B2 (en) 2015-01-06 2017-06-13 Prism Fitness, Inc. Interchangeable resistance tube assembly
US10661112B2 (en) 2016-07-25 2020-05-26 Tonal Systems, Inc. Digital strength training
CN106218788B (zh) 2016-08-31 2019-02-01 杭州速控软件有限公司 电动平衡车的转角可调操控把手
US20200289866A1 (en) * 2019-03-14 2020-09-17 Gvoich Fitness Systems Dual Balance Spring Tower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83455A1 (en) 2021-09-16
EP3426359A4 (en) 2019-11-20
EP3881908A1 (en) 2021-09-22
US11123596B2 (en) 2021-09-21
CN109069898A (zh) 2018-12-21
EP3426359A1 (en) 2019-01-16
SG11201807424VA (en) 2018-09-27
ES2886262T3 (es) 2021-12-16
WO2017152275A1 (en) 2017-09-14
JP2019508209A (ja) 2019-03-28
CN109069898B (zh) 2021-09-21
EP3426359B1 (en) 2021-05-05
CA3016804A1 (en) 2017-09-14
EP3881908B1 (en) 2024-06-05
US11819727B2 (en) 2023-11-21
US20190111305A1 (en)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8184A (ko) 운동 장치
US9868007B2 (en) Foldable trampoline
US7794378B2 (en) Exercise chair with side supporters
US7608030B2 (en) Exercise chair
US20060030464A1 (en) Demountable exercise device
US8602953B2 (en) Reformer apparatus having integral ergonomic purchase translatable into deployed and stowed positions
US20130178338A1 (en) Extending Pull-Up Bar
US20150038300A1 (en) Universal fitness apparatus
CN111225720B (zh) 带有可调阻力带系统的锻炼箱体
US9884220B2 (en) Potable cable resistance pulley exercise equipment and related methods
EP3126016B1 (en) Exercise device
US20040167000A1 (en) Leg exercise method and apparatus
US7465258B1 (en) Exercise device and stopping device therefor
US11931615B2 (en) Exercise machine resistance selection system
US11052280B1 (en) Weight bearing exercise system
WO2016084785A1 (ja) 運動器具
US20210394007A1 (en) Exercise rod for supporting exercise elastic rope
US8083656B2 (en)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with adjustable resistance
CN111686402B (zh) 锻炼方法和器械
US20040152570A1 (en) Demountable multi-purpose exercise device
US20220280830A1 (en) Outdoor exercise equipment
CN116617622A (zh) 一种划船器及综合训练器械
WO2007092045A2 (en) Exercise ch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