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423A -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 - Google Patents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423A
KR20220019423A KR1020200099818A KR20200099818A KR20220019423A KR 20220019423 A KR20220019423 A KR 20220019423A KR 1020200099818 A KR1020200099818 A KR 1020200099818A KR 20200099818 A KR20200099818 A KR 20200099818A KR 20220019423 A KR20220019423 A KR 20220019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ner box
enclosure
fa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0915B1 (ko
Inventor
임옥희
조현철
Original Assignee
금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915B1/ko
Publication of KR20220019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rences of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Power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내함에 공급되어 제어 보드의 부식이 방지되고, 외함과 내함 사이를 이격한 후 외함과 내함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내함의 온도를 낮추어 제어 보드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하면서도 유해 가스의 차단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고, 흡입팬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도어로 유입된 후 도어를 통해 내함의 내측으로 분사되므로, 제어 보드의 전면(前面)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직접 접촉되어 제어 보드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기량 조절부와 집중 분사부가 구비되어 부식에 취약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신선한 공기를 접촉시킬 수 있어, 혹여 내함의 내부로 부식성 유해 가스가 상당량 침투하더라도 제어 보드의 부식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Control box for sewage treatment plant with corrosion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내함에 공급되어 제어 보드의 부식이 방지되고, 외함과 내함 사이를 이격한 후 외함과 내함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내함의 온도를 낮추어 제어 보드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하면서도 유해 가스의 차단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고, 흡입팬으로부터 흡입된 외부의 공기가 도어로 유입된 후 도어를 통해 내함의 내측으로 분사되므로, 제어 보드의 전면(前面)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직접 접촉되어 제어 보드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기량 조절부와 집중 분사부가 구비되어 부식에 취약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신선한 공기를 접촉시킬 수 있어, 혹여 내함의 내부로 부식성 유해 가스가 상당량 침투하더라도 제어 보드의 부식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에 관한 것이다.
하수 처리장에는 하수 처리장 내 각종 시설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반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어반은 종래에는 지상에 노출하여 설치하였으나, 제3자에 의한 의도치 않는 조작,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한 파손, 도시 미관 등을 이유로 지하에 매입하거나 건축물 내부에 설치한다.
그러나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은 하수 처리장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부식성 유해 가스에 노출되게 되어 제어반 내의 제어 보드가 부식되고, 이에 따라 짧게는 3개월에서 길어야 6개월 이내에 제어 보드를 교체해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을 하수 처리장의 내부에 매입하여 설치하더라도 제어반 내의 제어 보드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KR10-0604337(등록번호) 2006.07.18.
본 발명은, 외부의 깨끗한 공기가 내함에 공급되어 제어 보드의 부식이 방지되고, 내함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내함의 온도를 낮추어 제어 보드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시에만 팬을 구동시켜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하면서도 유해 가스의 차단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는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팬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내함과 외함 사이에서 도어로 유입된 후 도어를 통해 내함의 내측으로 분사되므로, 제어 보드의 전면(前面)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직접 접촉되어 제어 보드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량 조절부와 집중 분사부가 구비되어 부식에 취약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신선한 공기를 접촉시킬 수 있어, 혹여 내함의 내부로 부식성 유해 가스가 상당량 침투하더라도 제어 보드의 부식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함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미량의 유해 가스가 제어 보드에 접촉되고 있다 하더라도, 그 접촉되는 시간을 분산시킴으로써 제어 보드의 부식을 늦출 수 있고, 순환되는 공기 내의 유해 가스를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는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팬의 구동을 통신부를 통하여 감독자 또는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먼 곳에 설치되어 있어도 제어반 내부의 유해가스 제거 상태를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장기간 흡입팬이나 배출팬의 구동이 없을때에는 고장 등 문제가 발생된 것임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보드가 구비된 제어반이 이미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도 이를 내함으로 하고 그 외부에 외함을 설치하여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새로운 제어반의 설치와 더불어 기 설치된 제어반에도 적용할 수 있는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흡입팬이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팬이 구비되어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외함; 상기 외함의 내측에 상기 외함의 상하면 및 양측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흡입된 외부 공기가 공급되되, 내측 중공부에 제어 보드가 설치되는 내함; 상기 흡입팬 또는 상기 배출팬의 구동 여부 또는 구동력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함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내함의 내측에 존재하는 공기중의 유해 가스를 감지하여 측정값을 생성하는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의 측정값을 토대로 상기 흡입팬 또는 상기 배출팬의 구동 여부 또는 구동력을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함의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함과 상기 외함 사이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의 측정값을 토대로 상기 흡입팬 또는 상기 배출팬의 구동 여부 또는 구동력을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내함과 외함을 동시에 외부로부터 밀폐 가능하게 구비되되,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측면 일측에 공기 유입홀이 형성되며, 내측면 다른 일측에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도어; 상기 외함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팬과 상기 공기 유입홀에 연통되는 공기 유입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도어는, 내측 중공부에 설치되며, 내측 중공부에 유입되어 흐르는 공기의 방향을 상기 공기 배출홀 방향으로 유도하는 공기량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도어는, 내측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내측면에 설치되어 내측 중공부의 공기가 상기 내함의 내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전후 방향이 개방되고 측면부가 외측으로 만곡된 형상의 외측볼과, 상기 외측볼의 내주연에 회동 가능하게 접하되 전후 방향이 개방되고 측면부가 외측으로 만곡된 형상의 내측볼과, 상기 내측볼로부터 상기 내측볼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여서, 상기 내측볼이 상기 외측볼에 대하여 회동하는 각도에 따라 공기의 토출 방향이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집중 분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함의 내측에 구비되되, 순환팬과, 상기 순환팬의 토출 방향 또는 유입 방향에 구비되는 순환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내함에 공급되어 제어 보드의 부식이 방지되고, 내함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내함의 온도를 낮추어 제어 보드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시에만 흡입팬을 구동시켜 유해 가스 감지 센서 또는 압력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흡입팬 또는 배출팬을 구동시키므로,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하면서도 유해 가스의 차단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팬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유입되어 내함의 전방에서 내함 내부로 토출되도록 도어가 구비되므로, 제어 보드의 전면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직접 접촉되어 제어 보드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량 조절부와 집중 분사부가 구비되어 부식에 취약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신선한 공기를 접촉시킬 수 있어, 혹여 내함의 내부로 부식성 유해 가스가 상당량 침투하더라도 제어 보드의 부식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순환부가 구비되어서, 내함 내부의 공기가 순환팬에 의해 순환되면서 혹여 미량의 유해 가스가 제어 보드에 접촉되고 있다 하더라도, 그 접촉되는 시간을 분산시킴으로써 제어 보드의 부식을 늦추게 되고, 또한, 순환팬과 더불어 순환 필터가 구비되어서 순환팬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 내의 유해 가스를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팬의 구동을 통신부를 통하여 감독자 또는 관리자에게 전달하여 먼 곳에 설치되어 있어도 제어반 내부의 유해가스 제거 상태를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장기간 흡입팬이나 배출팬의 구동이 없을때에는 고장 등 문제가 발생된 것임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보드가 구비된 제어반이 이미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도 이를 내함으로 하고 그 외부에 외함을 설치하여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새로운 제어반의 설치와 더불어 기 설치된 제어반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의 정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다른 실시예의 정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의 측단면도.
도 6 은 도 2 의 도어의 내측면을 개방한 사시도.
도 7 은 도 6 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 은 도 7 의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의 분리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면에 흡입팬(110)이 구비되어 덕트(미도시)를 경유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측면에 배출팬(120)이 구비되어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외함(100)과, 외함(100)의 내측에 외함(100)의 상하면 및 양측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며 흡입팬(110)으로부터 흡입된 외부 공기가 공급되되, 내측 중공부에 제어 보드(10)가 설치되는 내함(200)과, 흡입팬(110) 또는 배출팬(120)의 구동 여부 또는 구동력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함(100)은, 내함(200)의 외부에 구비되어서 내함(200)의 내부가 외부의 유해 가스로부터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외함(100)은 상하면과 양측면이 내함(200)과 이격되도록 내함(200)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며, 외함(100)의 상면에는 깨끗하고 신선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내함(200)에 공급하기 위한 흡입팬(110)이 구비되고, 외함(100)의 측면에는 외함(100)과 내함(200) 사이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팬(120)이 구비된다.
외함(100)의 후면은 내함(200)의 후면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접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외함(100)의 후면도 상하면 및 양측면과 마찬가지로 내함(200)의 후면과 이격되도록 구성될수도 있다.
외함(100)의 전면은 도어(300)를 닫았을 때에 내함(200)의 전면과 함께 도어(30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도록 내함(200)의 전면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어(300)의 형상에 따라 내함(200)보다 더 튀어나오거나 내함(200)보다 더 들어가도록 형성될수도 있다.
한편, 외함(100)의 일면, 바람직하게는 외함(100)의 하면에는 하수 처리장의 각 장비와 제어 보드(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11)이 통과되며, 케이블(11) 통과를 위하여 외측 케이블 통과홀(101)이 관통 형성된다. 제어 보드(10)는 각종 케이블의 끝단의 금속이 노출되어 결합되며, 케이블의 끝단과 연결되는 지점에서 특히 부식이 강하게 발생한다.
그리고, 외함(100)의 외측 케이블 통과홀(101) 지근거리 내측에는 외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102)가 구비되어서, 외부로부터 외측 케이블 통과홀(101)을 통해 유입되는 유해 가스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어부에 전송한다.
또한, 외함(100)의 외측에는 무선 통신부의 안테나(130)가 노출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외함(100)의 외측 주변 공기는 부식성 유해 가스의 농도가 높은 환경이므로, 무선 통신부의 구동 회로는 내함(200)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는 흡기팬, 배기팬, 순환팬, 센서, 디스플레이 항목 등을 관리자 또는 감독관의 관리단말(미도시) 또는 관리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원격지에서 제어반 내부의 기기 구동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기기 구동이 기 설정된 기간내에 동작하지 않으면 고장일 수 있으므로, 고장시에 신속한 대응으로 제어반 내부의 전기설비를 보호할 수 있다.
흡입팬(110)은, 외함(100)의 상면 내측에 설치되어서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도록 덕트를 통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흡입팬(11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흡입팬(110)이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설명할 것이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흡입팬(11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바로 내함(200)으로 공급되는 것이 아닌, 도어(300)의 내측 중공부로 유입된 후 도어(300)로부터 내함(200)의 내측 중공부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흡입팬(11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도어(300)로 유입시키기 위해 흡입팬(110)과 도어(300)에 연통되는 관 형상의 공기 유입관(111)이 구비된다. 공기 유입관(111)은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흡입팬(110)에 동시에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즉, 흡입팬(110)이 도 3 및 도 4 와 같이 2개인 경우에는 'Y'자 형태와 같이 2갈래로 분기된 형태로 구성되고, 만일 흡입팬(110)이 3개인 경우에는 'Ψ'자 형태와 같이 3갈래로 분기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각 흡입팬(110)과 각 흡입팬(110)에 연통된 공기 유입관(111) 부분끼리의 합류점 사이에는 체크 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서 어느 하나의 흡입팬(110)이 구동되고 다른 흡입팬(110)이 미구동일 때 공기가 미구동중인 흡입팬(110)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는, 흡입팬(110)의 상단에 별도의 개폐 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서, 어느 하나의 흡입팬(110)이 구동되고 다른 흡입팬(110)이 미구동일때 구동중인 흡입팬(110)의 상단에 구비된 개폐 수단만을 개방하여서, 공기가 미구동중인 흡입팬(110)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유입관(111)은 흡입팬(110) 방향의 직경에 비해 도어(300) 방향의 직경이 더 작은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는 좁아지는 직경의 관체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는 점을 이용하여 도어(300)의 내측에 강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흡입팬(110)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 여부 및 구동력이 결정되는데, 예를 들어 두 흡입팬(110) 중 어느 흡입팬(110)을 구동하고 어느 흡입팬(110)을 구동하지 않을 것인지의 여부, 구동한다면 어느 정도의 구동력으로 구동할 것인지의 여부가 제어부에 의해 결정되고, 제어 신호로 생성되어 흡입팬(110)에 전송된다. 이때, 흡입팬(110)들은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유지 보수시에 어느 하나의 흡입팬(110)을 교체하는 동안 다른 흡입팬(110)이 구동될 수 있도록 교대로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다 많은 공기의 흡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배출팬(120)은, 외함(100)의 측면 내측에 설치되어서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출팬(120)은, 1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배출팬(120)이 외함(100)의 양측면 상부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설명할 것이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배출팬(120)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 여부 및 구동력이 결정되는데, 예를 들어 두 배출팬(120) 중 어느 배출팬(120)을 구동하고 어느 배출팬(120)을 구동하지 않을 것인지의 여부, 구동한다면 어느 정도의 구동력으로 구동할 것인지의 여부가 제어부에 의해 결정되고, 제어 신호로 생성되어 배출팬(120)에 전송된다. 이때, 배출팬(120)들은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유지 보수시에 어느 하나의 배출팬(120)을 교체하는 동안 다른 배출팬(120)이 구동될 수 있도록 교대로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다 많은 공기의 배출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또한, 배출팬(120)의 외측에는 별도의 개폐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개폐 수단은 어느 하나의 배출팬(120)이 구동되고 다른 배출팬(120)이 미구동일때 구동중인 배출팬(120)의 외측에 구비된 개폐 수단만을 개방하여서, 외부의 공기가 미구동중인 배출팬(120)을 통해 의도치 않게 외함(100)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팬(120)이 구동되게 되면 외함(100)과 내함(200) 사이의 공기가 내함 내부를 거친 후 배출팬(12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기 때문에, 내함(200)으로부터 발생되는 제어 보드(10)의 열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제어 보드(10)의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내함(200)은, 외함(100)의 내부에 구비되어서 제어 보드(10)가 외부의 유해 가스로부터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내함(200)은 상하면과 양측면이 외함(100)과 이격되도록 외함(100)에 감싸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내함(200)의 후면은 외함(100)의 후면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접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내함(200)의 후면도 상하면 및 양측면과 마찬가지로 외함(100)의 후면과 이격되도록 구성될수도 있다.
내함(200)의 전면은 도어(300)를 닫았을 때에 외함(100)의 전면과 함께 도어(30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도록 외함(100)의 전면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어(300)의 형상에 따라 외함(100)보다 더 튀어나오거나 외함(100)보다 더 들어가도록 형성될수도 있다.
내함(200)의 일면, 바람직하게는 내함(200)의 하면에는 하수 처리장의 각 장비와 제어 보드(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11)이 통과되며, 케이블(11) 통과를 위하여 내측 케이블 통과홀(201)이 외측 케이블 통과홀(101)의 형성 위치 상부에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도 3 과 같이, 내함(200)의 내측 케이블 통과홀(201) 지근거리 내측에는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가 구비되어서, 외부로부터 외측 케이블 통과홀(101)을 통과한 후 다시 내측 케이블 통과홀(201)을 통과하여 내함(200)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해 가스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어부에 전송한다. 부식의 주요 원인은 황화수소(H₂S)로 전기설비의 급속한 부식을 야기한다.
한편, 도 4 와 같이, 내함(200)의 측면 일측에는 외함(100)과 내함(200) 사이의 공기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203)가 구비될 수 있다. 압력 센서(203)는 외함(100)과 내함(200)의 공기의 압력차이를 정밀하게 측정하도록 구성될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요지는, 외함(100)과 내함(200) 사이의 공기 압력이 내함(200) 내측의 공기 압력보다 더 높은 경우, 내함(200)의 내측 케이블 통과홀(201)을 통해 외부의 유해 가스가 내함(200)의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므로, 외함(100)과 내함(200)의 공기의 압력이 어느 곳이 더 높은지의 여부만 측정 가능해도 무방하다. 도 4 와 같이, 내함(200) 내부의 공기 압력이 더 높은 경우에는 접점이 분리되고, 외함(100)과 내함(200) 사이의 공기 압력이 더 높은 경우에는 접점이 붙는 방식의 압력 센서(203)도 가능하고, 어느 한 쪽의 압력이 높은 경우 저항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방식의 압력 센서(203) 역시 가능하다.
한편, 내함(200)의 내측에는 내함(20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내함(200) 내부에 미세하게 존재하는 유해 가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기 순환부(210)가 구비된다. 공기 순환부(210)는 내함(2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순환팬(211)과, 순환팬(211)의 토출 방향 또는 유입 방향에 구비되는 순환 필터(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순환 필터(212)는 황화수소(H₂S)을 처리할 수 있는 필터라면 어떤 필터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전기설비인 제어보드를 부식시키는 유해가스는 외측 케이블 통과홀(101)을 거쳐 내측케이블 통과홀(201)로 유입되는 공기뿐이다. 센서가 감지하지 못할 만큼의 적은 양이 장기간 유입되거나 순식간에 많은 양의 유해가스가 유입되며 흡기팬의 구동이 늦어지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내함 내부로 유해가스가 유입될 수 있다.
내함(200) 내부의 공기가 순환팬(211)에 의해 순환되면서 혹여 미량의 유해 가스가 제어 보드(10)에 접촉되고 있다 하더라도, 그 접촉되는 시간을 분산시킴으로써 제어 보드(10)의 부식을 늦추게 된다. 또한, 순환팬(211)과 더불어 순환 필터(212)가 구비되어서 순환팬(211)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 내의 유해 가스를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더불어 갖게 된다.
상술한 외함(100)과 내함(200)을 외부로부터 밀폐하고, 외함(100)과 내함(200) 사이를 밀폐하며, 내함(200)의 내부로 흡입팬(11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도어(300)가 구비된다.
도어(300)는 외함(100)에 힌지 결합되고, 내함(200)과 외함(100)을 동시에 외부로부터 밀폐가능하게 구비되되,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측면(320) 일측에 공기 유입홀(323)이 형성되며, 내측면(320) 다른 일측에 공기 배출홀(32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도어(300)에는 외함(100) 및 내함(200)을 완전히 밀폐하기 위하여 외측면(310)과 외함(100)이 맞닿는 부위에 외측씰(311)이 구비되고, 내측면(320)과 내함(200)이 맞닿는 부위에 내측씰(321)이 구비된다. 또한, 내측면(320)과 외측면(310)은 실링을 마련하고, 양자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미도시)를 두어 내측면(320)과 외측면(310)을 분리할 수 있다. 외측면(310)은 내부 상태, 공기 방향결정, 내측면(320)의 외부에 형성된 푸쉬버튼(324)을 통한 제어보드 동작 여부 확인을 할때에 내측면(320)에서 개방할 수 있다. 이때 내측면(320)은 개방을 2개로 분리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도어(300)의 내측면(320) 상부에는 공기 유입홀(323)이 관통 형성된다. 이 공기 유입홀(323)에 상술한 공기 유입관(111)이 연통된다. 도어(300)는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공기 유입관(111)이 공기 유입홀(323)에 결합되는 것은 아니고, 도어(300)를 닫았을 때에 공기 유입관(111)이 공기 유입홀(323)과 완전 밀착되거나 또는 공기 유입홀(323) 내측으로 일부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어(300)의 내측면(320)에는 공기 유입홀(323)의 하방으로 복수의 공기 배출홀(322)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흡입팬(110)으로부터 흡입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공기 유입관(111)을 통해 도어(300)의 내측 중공부로 유입되고, 다시 공기 배출홀(322)을 통해 내함(200)의 내측으로 공급되면서 내함(200)에 설치된 제어 보드(10)에 선선한 외부 공기가 지속적으로 접촉되면서 제어 보드(1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공기 배출홀(322)은 도어(300)를 닫았을 때 내함(200)의 내측 공간에 접하는 도어(300)의 내측면(320)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어(300)의 내측 중공부는 텅 비어있으므로, 공기 유입관(111)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도어(300)의 내측 하방으로 모두 쏠려 도어(300)의 내측면(320) 하방에 형성된 공기 배출홀(322)에서 과도하게 많은 공기가 배출되고, 도어(300)의 내측면(320) 상방 또는 중앙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홀(322)에서는 비교적 소량의 공기만이 배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신선한 공기가 제어 보드(10)의 전체에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도어(300)의 내측 중공부에 유입되어 흐르는 공기의 방향을 공기 배출홀(322) 방향으로 유도하는 공기량 조절부(330)가 더 구비된다.
공기량 조절부(330)는, 도어(300)의 내측 중공부에 설치되며, 도어(300)의 외측면(310) 내측에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대(334)와, 지지대(33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형의 조절판(3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조절판(331)을 적절히 회동시킴으로써 도어(300)의 내측 중공부를 따라 하강하는 공기가 도 5 와 같이 조절판(331)의 경사를 따라 유도되어 공기 배출홀(32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량 조절부(330)는 도어(300)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조절판(331)을 지지대(334)로부터 회동시킨 후 이를 적절히 고정하지 않으면 공기의 압력에 의해 조절판(331)이 의도치 않게 회동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도 고정부(333)가 더 구비되며, 각도 고정부(333)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면에 원호 방향을 따라 톱니 형상의 산이 형성되고 조절판(331)의 회전축(332)에 일측면이 결합되되 막대형의 고정 볼트가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지지대(334)의 타측으로 관통되는 제 1 톱니형 블록과, 일측면이 제 1 톱니형 블록과 치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타측면이 지지대(334)의 일측면에 고정되되 제 1 톱니형 블록의 고정 볼트가 관통되는 제 2 톱니형 블록과, 지지대(334)의 타측 방향에서 제 1 톱니형 블록의 고정 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고정 너트를 느슨하게 풀면 제 1 톱니형 블록과 제 2 톱니형 블록이 서로 이격되어 조절판(331)의 회동이 가능해지고, 조절판(331)의 회동이 완료되면 고정 너트를 조여 제 1 톱니형 블록과 제 2 톱니형 블록이 서로 밀착되게 하는 것으로 조절판(331)의 각도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도 고정부(333) 대신 각도 조절 모터를 지지대(334)의 타측면에 고정시키고, 각도 조절 모터의 축을 조절판(331)의 회전축(332)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원격으로 조절판(331)의 각도를 조절 및 고정하는 구성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조절판(331)은 일측에 구동모터(미도시)를 연결하여 구동모터의 회동으로 조절판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각도를 변경할수도 있다.
한편, 조절판(331)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여서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적절히 분배했다 하더라도, 제어 보드(10)의 보다 중요한 칩셋이 내장되는 부분 또는 부식에 보다 취약한 재질로 형성된 부분 등에는 신선한 공기를 보다 많이 공급해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어(300)로부터 내함(200)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일부 가변하여 토출할 수 있도록 노즐 형태의 집중 분사부(340)가 구비된다.
집중 분사부(340)는, 도어(300)의 내측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도어(300) 내측면(320)에 설치되어서 도어(300) 내측 중공부의 공기가 내함(200)의 내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집중 분사부(340)는, 전후 방향이 개방되고 측면부가 외측으로 만곡된 형상의 외측볼(341)과, 외측볼(341)의 내주연에 회동 가능하게 접하되 전후 방향이 개방되고 측면부가 외측으로 만곡된 형상의 내측볼(342)과, 내측볼(342)로부터 내측볼(342)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분사 노즐(3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내측볼(342)이 외측볼(341)에 대하여 회동하는 각도에 따라 분사 노즐(343)의 방향이 가변되어서, 도어(300)의 내측으로부터 내함(200)의 내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이 가변되게 된다.
이때, 외측볼(341)을 바로 도어(300)의 내측면(320)에 결합하기는 제조상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어(300)의 내측면(320)에 원통 형상의 볼 고정부(325)를 먼저 결합하고, 외측볼(341)의 전방에 외측볼(34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345)를 형성하며, 연장부(345)를 볼 고정부(325)에 나사 결합하는 식으로 도어(300)의 내측면(320)과 외측볼(341), 즉, 집중 분사부(3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볼 고정부(325)의 전방 단부는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가 형성되도록 하여 도어(300)의 내측면(320) 전방으로부터 내함(200)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도 8 과 같이 연장부(345)가 볼 고정부(325)의 외측으로 결합되도록 하면, 연장부(345)의 전방 단부가 내측면(320)의 후면에 밀착된 후 볼 고정부(325)를 후방으로 끌어 당겨 볼 고정부(325)의 플랜지가 내측면(320)의 전면에 밀착되는 형태로서, 별도의 용접 작업 없이 집중 분사부(340)를 도어(300)의 내측면(32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집중 분사부(340)는 풍량 조절부(34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풍량 조절부(344)는 축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풍량 조절 날개의 개도량이 가변되는 통상의 고속 버스 송풍구와 같은 구조로서, 집중 분사되는 공기의 양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절판(331)과 집중 분사부(340)가 구비됨으로써, 제어 보드(10)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직접 접촉시킬 수 있고, 또한, 부식에 취약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신선한 공기를 접촉시킬 수 있어, 혹여 내함(200)의 내부로 부식성 유해 가스가 상당량 침투하더라도 제어 보드(10)의 부식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도어(300)의 외측면(310)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301)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1)는 현재 제어 보드(10)의 작동 상태, 제어부의 설정값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들을 수동으로 제어하거나 설정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301) 역시 하수 처리장의 유해 가스에 노출되는 구성이니만큼 투명창으로 외부로부터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300)의 내측면(320)은 도 6 내지 도 7 과 같이 도어(300)의 외측면(310)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통해 조절판(331)의 각도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 별도의 도어(300)의 분리를 하지 않고 내측면(320)만 열어 조절판(331)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집중 분사부(340)의 분사 노즐(343)의 길이를 가변하고자 할 때 집중 분사부(340)를 내측면(32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하여 새로운 집중 분사부(340)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320)의 외부에는 푸쉬버튼(324)이 구비되어서, 외측면(310)만을 개방하고, 내측면(320)이 폐쇄된 상태에서 내함의 제어보드가 구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제어반(200')의 외측에 외함(100) 및 도어(300)를 설치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기 설치된 제어반(200')이 본 발명의 내함(200)이 된다. 이를 위하여 기 설치된 제어반(200')의 후면으로부터 외함(100)의 후면을 연장 설치하고, 설치된 외함(100)의 후면에 맞추여 제어반(200')의 전방으로부터 외함(100)의 상하면 및 측면을 결합 고정하고, 외함(100)에 도어(300)를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반(200')에 기 설치되었던 개폐문(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실링이 요구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케이블(11)의 탈착 및 무선 송수신부의 안테나(130) 연결선 체결 등의 작업이 추가되나, 이외의 별다른 추가 작업 없이 기 설치된 제어반(200')을 활용할 수 있는 점에서 설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제어부는, 흡입팬(110) 또는 배출팬(120)의 구동 여부 또는 구동력을 결정하고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흡입팬(110) 또는 배출팬(12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는 제어 보드(10) 내에 설치되거나, 또는 내함(200)의 내측에 제어 보드(10)와는 별개로 설치되거나, 또는, 원격지에서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제어 신호만을 전송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흡입팬(110) 또는 배출팬(1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해당된다.
제어부는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의 측정값을 토대로 흡입팬(110) 또는 배출팬(120)의 구동 여부 또는 구동력을 결정한다. 제어부는 우선 흡입팬(110)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킨다. 이렇게 하면 흡입팬(110)으로부터 흡입된 신선한 공기가 내함(200)의 내측에 공급되고, 내함(200)의 공기 압력을 상승시키며, 내함(200) 내부의 공기가 내측 케이블 통과홀(201)을 통해 외함(100)의 외측 케이블 통과홀(101) 방향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하수 처리장 내부의 유해 가스의 압력이 높은 경우, 즉, 내함(200)에 형성된 공기 압력보다 외함(100) 외부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외함(100) 외부의 유해 가스가 외함(100)의 외측 케이블 통과홀(101)을 지나 내함(200)의 내측 케이블 통과홀(201)까지 뚫고 내함(20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에서는 유해 가스가 존재한다는 측정값이 생성되고, 이 측정값이 제어부에 전송된다. 제어부는,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여러 제어 방식 중 하나를 수행한다.
첫째, 구동중인 흡입팬(110)의 구동력을 증가시킨다. 제어부는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구동중인 흡입팬(110)의 구동력을 증가시킨다. 이때, 만일 구동중인 흡입팬(110)의 구동력을 최대치까지 증가시켰는데도 불구하고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흡입팬(110) 중 구동되고 있지 않던 흡입팬(110)을 추가로 구동시켜 내함(200) 내부의 공기 압력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배출팬(120)을 구동시켜 내함(200)과 외함(100) 사이의 공기 압력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 경우 복수의 배출팬(120) 중 어느 것을 구동시킬지, 구동력은 어느 정도일지의 여부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둘째, 구동될 흡입팬(110)의 수를 증가시킨다. 제어부는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구동될 흡입팬(110)의 수를 증가시킨다. 즉, 1개의 흡입팬(110)이 구동중이었다면 2개의 흡입팬(110)이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만일 흡입팬(110)을 모두 구동시켰는데도 불구하고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흡입팬(110)들의 구동력을 증가시켜 내함(200) 내부의 공기 압력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배출팬(120)을 구동시켜 내함(200)과 외함(100) 사이의 공기 압력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 경우 복수의 배출팬(120) 중 어느 것을 구동시킬지, 구동력은 어느 정도일지의 여부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셋째, 배출팬(120)을 구동시킨다. 제어부는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배출팬(120)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복수의 배출팬(120) 중 어느 것을 구동시킬지, 구동력은 어느 정도일지의 여부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배출팬(120)을 최대치로 구동시켰는데도 불구하고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흡입팬(110)의 구동 수를 증가시키거나 흡입팬(110)의 구동력을 상승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 단독으로는 흡입팬(110) 또는 배출팬(120)의 제어가 바람직한 결과값으로 도출되기 까지 수많은 시행착오를 반복하여야 하고,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의 측정값은 내함(200) 내측에 공급되는 공기에 따라 가변되는 수치이니만큼 흡입팬(110) 또는 배출팬(120)의 구동을 가변시킨 후 일정 시간이 지나야만 결과를 알 수 있게 되어 여러 번의 시행착오 시간이 얼마나 오래 걸릴지 가늠할 수 없고, 또한, 이 시행착오 시간 동안 하수 처리장 내부의 조건이 변화하는 경우 다시 시행 착오를 반복하여야만 바람직한 공기의 제어가 가능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시행착오 횟수 및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함(200)과 외함(100) 사이, 즉, 외함(100)의 내면 일측에 외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102)가 더 구비된다. 외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102)는 외함(100)과 내함(200) 사이의 공기 통로에 존재하는 유해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생성하며, 생성된 측정값은 제어부에 전송된다.
제어부는 외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102)와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을 토대로 내함(200)의 내부와 내함(200)과 외함(100) 사이 공간의 압력차이를 가늠할 수 있다. 내함(200)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내함(200)에 유입되는 유해 가스의 양이 적을 것이고, 내함(200)의 압력이 내함(200)과 외함(100) 사이 공간의 압력과 비슷하거나 또는 내함(200)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더 낮을 경우에는 내함(200)에 유입되는 유해 가스의 양이 많아서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와 외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102)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에 별다른 차이가 없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의 측정값 구간마다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의 측정값과 외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102)의 측정값의 차이를 구간별로 매칭시킨다. 예를 들어,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의 측정값 구간이 "0~10", "11~20", "21~30".... 등인 경우에, 각각의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의 측정값 구간에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의 측정값과 외측 유해 가스 감시 센서의 측정값의 차이를 "0~10", "11~20", "21~30".... 등으로 매칭하는 것이다. 즉,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의 측정값 구간이 10개이고,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와 외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102)의 측정값의 차이가 10개 구간으로 구분된다면, 총 100개의 경우의 수가 발생되는 것이다.
제어부는, 이러한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의 측정값 구간별 외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102)와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의 측정값 차이 구간마다 제어 식을 테이블화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의 측정값이 '11~20' 구간이고,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202)와 외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102)의 측정값의 차이가 '51~60' 구간에 존재하면, 외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높은 반면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가 비교적 적으나, 내함(200) 내부의 유해 가스 농도를 더 낮추고 싶은 구간인 것인데, 이때, 내외부의 측정값의 차이가 비교적 높다는 것은 외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상당히 강하게 작용되는 와중에 내부에서도 강한 압력으로 버티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 경우에는 배출팬(120)의 구동력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식이 짜여져 저장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는 압력 센서(203)의 측정값을 토대로 흡입팬(110) 또는 배출팬(120)의 구동 여부 또는 구동력을 결정할 수 있다. 압력 센서(203)의 측정 결과 내함(200)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내함(200)에 유입되는 유해 가스의 양이 적을 것이고, 내함(200)의 압력이 내함(200)과 외함(100) 사이 공간의 압력과 비슷하거나 또는 내함(200)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더 낮을 경우에는 내함(200)에 유입되는 유해 가스의 양이 많을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압력 센서(203)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여러 제어 방식 중 하나를 수행한다.
첫째, 구동중인 흡입팬(110)의 구동력을 증가시킨다. 제어부는 압력 센서(203)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구동중인 흡입팬(110)의 구동력을 증가시킨다. 이때, 만일 구동중인 흡입팬(110)의 구동력을 최대치까지 증가시켰는데도 불구하고 압력 센서(203)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흡입팬(110) 중 구동되고 있지 않던 흡입팬(110)을 추가로 구동시켜 내함(200) 내부의 공기 압력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배출팬(120)을 구동시켜 내함(200)과 외함(100) 사이의 공기 압력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 경우 복수의 배출팬(120) 중 어느 것을 구동시킬지, 구동력은 어느 정도일지의 여부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둘째, 구동될 흡입팬(110)의 수를 증가시킨다. 제어부는 압력 센서(203)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구동될 흡입팬(110)의 수를 증가시킨다. 즉, 1개의 흡입팬(110)이 구동중이었다면 2개의 흡입팬(110)이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만일 흡입팬(110)을 모두 구동시켰는데도 불구하고 압력 센서(203)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흡입팬(110)들의 구동력을 증가시켜 내함(200) 내부의 공기 압력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배출팬(120)을 구동시켜 내함(200)과 외함(100) 사이의 공기 압력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 경우 복수의 배출팬(120) 중 어느 것을 구동시킬지, 구동력은 어느 정도일지의 여부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셋째, 배출팬(120)을 구동시킨다. 제어부는 압력 센서(203)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배출팬(120)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복수의 배출팬(120) 중 어느 것을 구동시킬지, 구동력은 어느 정도일지의 여부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배출팬(120)을 최대치로 구동시켰는데도 불구하고 압력 센서(203)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흡입팬(110)의 구동 수를 증가시키거나 흡입팬(110)의 구동력을 상승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내함(200)에 공급되어 제어 보드(10)의 부식이 방지되고, 외함(100)과 내함(200) 사이를 이격한 후 외함(100)과 내함(200)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내함(200)의 온도를 낮추어 제어 보드(10)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 가스 감지 센서 또는 압력 센서(203)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흡입팬(110) 또는 배출패을 구동시키므로,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하면서도 유해 가스의 차단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팬(11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유입되어 내함(200)의 전방에서 내함(200) 내부로 토출되도록 도어(300)가 구비되므로, 제어 보드(10)의 전면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직접 접촉되어 제어 보드(1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량 조절부(330)와 집중 분사부(340)가 구비되어 부식에 취약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신선한 공기를 접촉시킬 수 있어, 혹여 내함(200)의 내부로 부식성 유해 가스가 상당량 침투하더라도 제어 보드(10)의 부식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순환부(210)가 구비되어서, 내함(200) 내부의 공기가 순환팬(211)에 의해 순환되면서 혹여 미량의 유해 가스가 제어 보드(10)에 접촉되고 있다 하더라도, 그 접촉되는 시간을 분산시킴으로써 제어 보드(10)의 부식을 늦추게 되고, 또한, 순환팬(211)과 더불어 순환 필터(212)가 구비되어서 순환팬(211)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 내의 유해 가스를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제어 보드 11 : 케이블
100 : 외함 101 : 외측 케이블 통과홀
102 : 외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
110 : 흡입팬 111 : 공기 유입관
120 : 배출팬 130 : 안테나
200 : 내함 201 : 내측 케이블 통과홀
202 :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 203 : 압력 센서
210 : 공기 순환부 211 : 순환팬
212 : 순환 필터
300 : 도어 301 : 디스플레이 장치
310 : 외측면 311 : 외측 씰
320 : 내측면 321 : 내측 씰
322 : 공기 배출홀 323 : 공기 유입홀
324 : 푸쉬버튼 325 : 볼 고정부
330 : 공기량 조절부 331 : 조절판
332 : 회전축 333 : 각도 고정부
334 : 지지대
340 : 집중 분사부 341 : 외측 볼
342 : 내측 볼 343 : 분사 노즐
344 : 풍량 조절부 345 : 연장부

Claims (7)

  1. 흡입팬이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팬이 구비되어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외함;
    상기 외함의 내측에 상기 외함의 상하면 및 양측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흡입된 외부 공기가 공급되되, 내측 중공부에 제어 보드가 설치되는 내함;
    상기 흡입팬 또는 상기 배출팬의 구동 여부 또는 구동력을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함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내함의 내측에 존재하는 공기중의 유해 가스를 감지하여 측정값을 생성하는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측 유해 가스 감지 센서의 측정값을 토대로 상기 흡입팬 또는 상기 배출팬의 구동 여부 또는 구동력을 결정하는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함의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함과 상기 외함 사이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의 측정값을 토대로 상기 흡입팬 또는 상기 배출팬의 구동 여부 또는 구동력을 결정하는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내함과 외함을 동시에 외부로부터 밀폐 가능하게 구비되되,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측면 일측에 공기 유입홀이 형성되며, 내측면 다른 일측에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도어;
    상기 외함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흡입팬과 상기 공기 유입홀에 연통되는 공기 유입관;
    을 포함하는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내측 중공부에 설치되며, 내측 중공부에 유입되어 흐르는 공기의 방향을 상기 공기 배출홀 방향으로 유도하는 공기량 조절부;
    를 포함하는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내측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내측면에 설치되어 내측 중공부의 공기가 상기 내함의 내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전후 방향이 개방되고 측면부가 외측으로 만곡된 형상의 외측볼과, 상기 외측볼의 내주연에 회동 가능하게 접하되 전후 방향이 개방되고 측면부가 외측으로 만곡된 형상의 내측볼과, 상기 내측볼로부터 상기 내측볼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여서, 상기 내측볼이 상기 외측볼에 대하여 회동하는 각도에 따라 공기의 토출 방향이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집중 분사부;
    를 포함하는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함의 내측에 구비되되, 순환팬과, 상기 순환팬의 토출 방향 또는 유입 방향에 구비되는 순환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부;
    를 포함하는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
KR1020200099818A 2020-08-10 2020-08-10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 KR102400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818A KR102400915B1 (ko) 2020-08-10 2020-08-10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818A KR102400915B1 (ko) 2020-08-10 2020-08-10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423A true KR20220019423A (ko) 2022-02-17
KR102400915B1 KR102400915B1 (ko) 2022-05-24

Family

ID=80493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818A KR102400915B1 (ko) 2020-08-10 2020-08-10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9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98181A (zh) * 2024-01-03 2024-02-02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 一种svg动态无功补偿装置
KR102659727B1 (ko) * 2023-07-14 2024-04-19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전기컨트롤패널에 유해 미세먼지 유입과 결로를 방지하여 수명을 증대시킨 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에너지저장장치, 통신기기함, 또는 태양광접속함의 양압 전기함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337B1 (ko) 2005-01-21 2006-11-23 비콤시스템주식회사 마을 하수 처리장용 현장 제어 감시반 및 그의 제어회로
KR20100127410A (ko) * 2009-05-26 2010-12-06 알티전자 주식회사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KR20140102593A (ko) * 2013-02-14 2014-08-22 송성석 자동제어반 및 수배전반 부식방지 시스템
KR20180102723A (ko) * 2017-03-07 2018-09-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동 제어를 통한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의 방열을 위한 장치 및 이의 방열 방법
KR101978430B1 (ko) * 2018-08-22 2019-05-14 주식회사 아이티스퀘어 탈부착 가능한 내함을 갖는 2중 구조의 함체
KR20200018068A (ko) * 2018-08-10 2020-02-19 김종길 하수처리시설의 배전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337B1 (ko) 2005-01-21 2006-11-23 비콤시스템주식회사 마을 하수 처리장용 현장 제어 감시반 및 그의 제어회로
KR20100127410A (ko) * 2009-05-26 2010-12-06 알티전자 주식회사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KR20140102593A (ko) * 2013-02-14 2014-08-22 송성석 자동제어반 및 수배전반 부식방지 시스템
KR20180102723A (ko) * 2017-03-07 2018-09-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동 제어를 통한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의 방열을 위한 장치 및 이의 방열 방법
KR20200018068A (ko) * 2018-08-10 2020-02-19 김종길 하수처리시설의 배전함
KR101978430B1 (ko) * 2018-08-22 2019-05-14 주식회사 아이티스퀘어 탈부착 가능한 내함을 갖는 2중 구조의 함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727B1 (ko) * 2023-07-14 2024-04-19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전기컨트롤패널에 유해 미세먼지 유입과 결로를 방지하여 수명을 증대시킨 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에너지저장장치, 통신기기함, 또는 태양광접속함의 양압 전기함체
CN117498181A (zh) * 2024-01-03 2024-02-02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 一种svg动态无功补偿装置
CN117498181B (zh) * 2024-01-03 2024-03-15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 一种svg动态无功补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915B1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0915B1 (ko)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
KR101144821B1 (ko) 이중감지식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JP5777313B2 (ja) 消火栓装置
KR20200045860A (ko) 맨홀 내 유해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
US20110006133A1 (en) Pressure differential mo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965268B1 (ko) 건축물에 부가 설치할 수 있는 간이 소방 설비
CN205477723U (zh) 一种粉尘浓度超限自动喷雾降尘装置
WO2017140088A1 (zh) 擦窗机器人、擦窗机器人系统和擦窗机器人的控制方法
US6590769B2 (en) Purge and cooling system for enclosure for hazardous environment
WO2012127187A2 (en) Pipe icing inhibition (2)
JP7177665B2 (ja) 除塵装置
KR20220103283A (ko) Ict 기반 맨홀뚜껑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리 시스템
CN112736677A (zh) 一种配电柜及其配电柜用温控监测系统
KR20110019633A (ko) 수중펌프의 방수구조 및 모니터링 장치
JP2009144620A (ja) 自動給水配管ユニット
KR102414581B1 (ko) 유해가스 측정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배풍기 제어시스템
KR101585341B1 (ko) 유량자동조절밸브
KR101638785B1 (ko) 동파 방지 밸브 시스템
KR101666175B1 (ko) 지중배전선로의 배전선 이탈 방지용 연결대
CN210427521U (zh) 废气浓度检测结构及废气监测装置
CN219179433U (zh) 一种用于水阀的检测装置
CN220421131U (zh) 一种便于固定导线的电气开关柜
CN217134951U (zh) 一种高安全性的配电柜
CN219978956U (zh) 矿山粉尘浓度预警装置
CN219737426U (zh) 一种具有积水提醒结构的voc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