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316A -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316A
KR20220019316A KR1020200099594A KR20200099594A KR20220019316A KR 20220019316 A KR20220019316 A KR 20220019316A KR 1020200099594 A KR1020200099594 A KR 1020200099594A KR 20200099594 A KR20200099594 A KR 20200099594A KR 20220019316 A KR20220019316 A KR 20220019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all
boarding
kickboard
gu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976B1 (ko
Inventor
이두열
이태홍
Original Assignee
이두열
이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열, 이태홍 filed Critical 이두열
Priority to KR1020200099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976B1/ko
Publication of KR20220019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61J1/12Rollers or devices for shifting or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는 레일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레일 상에 위치하는 킥보드와 결합되는 한 쌍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기 레일과 인접한 면에서 형성되어, 상기 레일과 접하여 상기 몸체부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딩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탑승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Support Unit For Railroad Tracking}
본 발명은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과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킥보드나 자전거, 인라인스케이트, 롤러 보드 등 다양한 레포츠 수단이 개발 및 이용되는 실정이다.
이 중, 킥보드는 사용자가 발을 포함한 신체의 일부를 발판 위에 올린 뒤 발판 위에 올라가지 않은 다리로 지면을 밀어 이동력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킥보드는 조향바퀴와 후륜바퀴를 포함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바퀴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바퀴들로 지면과 발판을 이격시키고, 지면에서 킥보드가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후륜바퀴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에 코일 및 자석을 포함하는 모터 구성을 추가한 전동 킥보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동 킥보드는 인력으로 주행하는 것보다 속도가 빨라 출퇴근이나 여행 등의 이동용으로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
한편, 폐선된 철도의 레일을 레일바이크를 포함한 관광 상품으로 사용하는 것은 2004년 문경의 레일바이크를 시작으로 전국에 30곳 이상의 폐선이 레일바이크 관광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레일바이크는 레일에 기설치된 형태로 구성되어, 레일에 일단 설치되면 분리가 어렵고, 레일이 단선일 경우 복귀할 수단이 레일에서 자전거를 분리하여 트럭 등으로 실어나르는 방법 말고는 전무하여 운송 작업에서 비효율이 발생하곤 하였다.
또한, 통상적으로 자전거는 킥보드보다 부피가 크고, 이로 인해 적재 및 주행에 있어서는 킥보드가 우세하지만, 기존 기술에서는 킥보드가 레일에서 주행하는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고,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레일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레일 상에 위치하는 킥보드와 결합되는 한 쌍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기 레일과 인접한 면에서 형성되어, 상기 레일과 접하여 상기 몸체부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딩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탑승부를 포함하는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레일을 향한 면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판재 형상의 제1 가이딩부재; 상기 몸체부의 상기 레일을 향한 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가이딩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딩부재 및 상기 제2 가이딩부재의 상기 레일을 접한 면에 형성되는 가이딩바퀴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가이딩부재의 돌출 방향은 상기 제1 가이딩부재의 돌출 방향과 소정의 각을 가지고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레일의 상면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판재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기 레일을 향한 면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1 벽체; 상기 몸체의 상기 제1 벽체가 형성된 면의 반대편 면에서 상기 제1 벽체의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2 벽체; 및 상기 제2 벽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킥보드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3 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및 제1 벽체는 상기 레일이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 상기 제2 벽체 및 제3 벽체는 상기 킥보드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제2 삽입홈을 향한 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서 상기 킥보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몸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벽체의 외측면에서 상기 킥보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몸체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는 제1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양 단부가 상기 제1 몸체홈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바 형상의 제1 지지바; 및 양 단부가 상기 제1 몸체홈의 내측면과 결합되고, 길이 방향이 상기 제1 지지바의 길이 방향과 소정의 각을 두고 기울어지는 방향을 가지는 바 형상의 제2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과 결합되는 판재 형상의 탑승판; 상기 탑승판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탑승벽체; 및 상기 탑승판 및 상기 탑승벽체가 형성하는 탑승홈에 끼워지는 탑승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는 용이하게 레일에서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가 레일 및 킥보드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가이딩부가 레일과 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1)가 레일(30) 및 킥보드(2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몸체부(100)에서 탑승부(500) 방향을 상방으로 규정하고, 탑승부(500)에서 몸체부(100) 방향을 하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1)는 몸체부(100), 가이딩부(300) 및 탑승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1)는 용이하게 레일에서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100)는 복수개, 예를 들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몸체부(100)는 레일헤드(31)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킥보드(20)의 구성 중 일부를 감싸며 킥보드(2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100)는 몸체(110), 제1 벽체(130), 제2 벽체(170) 및 제3 벽체(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몸체(110)는 레일(30)의 레일헤드(31)의 상방면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사각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0)의 길이 방향은 레일(30)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110)의 상방면에는 복수개의 요철(111)이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요철(111)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각 요철(111)의 사이에 홈인 요철홈(113)을 형성할 수 있다.
몸체(110)에 형성된 요철(111)은 킥보드(20)의 킥보드몸체(25)의 하방면과 접할 수 있다. 요철(111)은 요철구조를 통해 킥보드몸체(25)와 몸체(110) 사이의 마찰력을 강화하여 킥보드(20)와 몸체부(100)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요철홈(113)을 통해 몸체(110)에 사용되는 재료를 감소시켜, 경량화 및 생산에서의 비용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한편,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몸체(110)의 좌우 방향 외측면에는 홈인 제1 몸체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홈(117)은 몸체(110)의 일부를 절곡하여, 몸체(110)에 소모되는 재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몸체(110)의 경량화 및 생산에서의 비용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한편, 제1 몸체홈(117)의 단부 방향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제1 지지바(121) 및 제2 지지바(123)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재(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20)는 제1 몸체홈(117)의 내측면을 상하방으로 지지하여, 제1 몸체홈(117)으로 인해 몸체부(100)가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지지바(121) 및 제2 지지바(123)는 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바(121)의 길이 방향은 상하 방향과 소정의 각을 두고 기울어진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바(123)는 제1 지지바(121)와 동일한 길이를 갖되, 길이 방향이 제1 지지바(121)와 소정의 각을 두고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제1 지지바(121)의 길이 방향과 대칭되는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바(121) 및 제2 지지바(123)는 서로간의 중심부끼리 결합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러스(Truss)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지지바(121) 및 제2 지지바(123)를 가지는 제1 지지부재(120)는, 사용자의 체중 등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부터 몸체(1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재(120)는 복수개의 제1 지지바(121) 및 제2 지지바(123) 중 일부를 대체하는 지지연결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연결부재(125)는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갖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연결부재(125)의 중심부에는 지지연결홀(126)이 위치하여, 이 지지연결홀(126)로 결합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몸체에도 결합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연결홀(126)에 대응되는 위치에 몸체홀(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재()는 지지연결홀(126) 및 몸체(110)의 몸체홀을 관통하여, 반대편의 몸체(110)의 지지연결홀(126)까지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몸체부(100)가 상호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연결홀(126)의 내측면에는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되고, 결합부재()의 외측면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상호간 나사결합을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벽체(130)는 몸체(110)의 레일(30)을 향한 면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벽체일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벽체(130)와 몸체(110)가 형성하는 홈인 제1 삽입홈(101)의 내부에는 레일(30)의 레일헤드(31)가 위치할 수 있다. 레일헤드(31)는 제1 삽입홈(101)의 내부에 위치하되, 몸체부(100)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몸체부(100)와 레일(30)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제2 벽체(170)는 몸체(110)의 제1 벽체(130)가 형성된 면의 반대편 면, 즉 상방을 향한 면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벽체일 수 있다. 또한, 제2 벽체(170)의 상방 단부에서는 킥보드(20) 방향으로 제3 벽체(190)가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와 제2 벽체(170) 및 제3 벽체(190)는 제2 삽입홈(103)을 형성하여, 킥보드(20)의 발판(26)과 킥보드몸체(25)가 제2 삽입홈(10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몸체(110)와 제2 벽체(170) 및 제3 벽체(190)는 킥보드몸체(25)와 발판(26)의 외측면을 감싸게 되는데, 이때 몸체(110)의 요철(111)은 킥보드몸체(25)와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몸체부(100)와 킥보드(20)는 상호간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벽체(170)의 좌우 외측면에 탑승부(500)와 접하도록 돌출되는 바 형상의 탑승부지지부재(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탑승부지지부재(171)는 탑승부(500)의 하방을 지지하여, 탑승부(500)가 사용자의 체중 등으로 인해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벽체(170)의 좌우측 외측면에는 홈인 제2 몸체홈(17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홈(173)은 제2 벽체(170)에 사용되는 재료의 양을 줄여 경량화 및 비용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홈(173)의 단부 방향 내측면에는 제2 지지부재(18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재(180)는 제3 지지바(181) 및 제4 지지바(1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바(181) 및 제4 지지바(183)는 양 단부가 제2 몸체홈(173)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š 제3 지지바(181)의 길이 방향은 상하 방향 축과 소정의 각을 두고 기울어진 방향을 가질 수 있고, 제4 지지바(183)의 길이 방향은 상하 방향 축을 기준으로 제3 지지바(181)의 길이 방향과 대칭되는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 지지바(181)의 일단부에 제4 지지바(183)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구조가 반복되어, 제3 지지바(181) 및 제4 지지바(183)는 트러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지지부재(180)는 사용자의 체중 등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응하여, 제2 벽체(170)가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3 벽체(190)의 탑승부(500)와 접하는 위치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191)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91)는 길이 방향이 레일(3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91)의 중심부에는 연결홀(193)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193)은 결합부재()가 레일(3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부재(191)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는 다른 몸체부(100)에 형성된 연결부재(191)의 연결홀(193)까지 삽입되도록 하여, 한 쌍의 몸체부(100)가 상호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1)를 레일(30)에 설치하는 작업자는 레일(30)이 몸체부(100)에 형성된 제1 삽입홈(101)에 위치하도록 하고, 킥보드(20)의 킥보드몸체(25)가 제2 삽입홈(103)에 위치하도록 한 뒤, 한 쌍의 몸체부(100)를 상호간 결속시키는 방식으로 레일(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부(100)가 기동되도록 할 수 있다.
킥보드(20)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1)가 레일(30)의 종착부에 도착할 경우, 작업자는 결합부재()를 몸체부(100)의 지지연결홀(126) 및 연결홀(193)에서 제거하여 한 쌍의 몸체부(100)가 서로 분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결합부재()를 제거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1)가 레일(30)의 상방부와 킥보드(20)의 킥보드몸체(2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1)는 용이하게 레일(30)에서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딩부(300)는 몸체부(100)에서 제2 벽체(170)의 레일(30)을 향하는 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딩부(300)는 제1 가이딩부재(310), 제2 가이딩부재(330) 및 가이딩바퀴(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딩부재(310)는 제2 벽체(170)의 하방 단부와 인접한 면에서 레일(30)을 향해 수직하게 돌출된 판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딩부재(310)의 단부는 레일웹(33)의 좌우 측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딩부재(310)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레일(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벽체(170)의 하방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딩부재(330)는 제2 벽체(170)의 레일 방향의 면에서 돌출 형성된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딩부재(330)의 길이 방향은 제1 가이딩부재(310)의 돌출된 방향과 소정의 각을 가지고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가이딩바퀴(35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딩바퀴(350) 중 일부는 제1 가이딩부재(310)의 상면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가이딩바퀴(350)의 남은 일부는 제2 가이딩부재(330)의 단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가이딩부(300)가 레일과 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제1 가이딩부재(310)의 상면과 연결된 가이딩바퀴(350)는 레일(30)의 중단부인 레일웹(33)의 외측면과 접할 수 있다. 즉, 제1 가이딩부재(310)와 연결된 가이딩바퀴(350)는 레일웹(33)의 좌우 외측면을 따라 회전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1)가 레일의 좌우 측면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딩부재(330)의 단부와 연결된 가이딩바퀴(350)는 레일(30)의 상부인 레일헤드(31)의 하측면과 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가이딩부재(330)의 길이 방향이 기울어진 정도는 레일헤드(31)의 하측면이 기울어진 정도에 대응될 수 있다.
통상적인 레일(30)의 경우, 레일의 상방부에 해당하는 레일헤드(31), 레일의 중심부인 레일웹(33) 및 레일의 하방부인 레일풋(35)으로 구성된다. 이때, 열차의 바퀴와 직접 접하고 자연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레일헤드(31)의 상방면은 레일(30)의 다른 부위보다 우선적으로 마모되게 된다. 이에 반해, 레일헤드(31)의 하방면은 상대적으로 노출되지 않아 상방면보다 마모의 정도가 덜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1)는 열차가 더 이상 주행하지 않는 폐선에 주로 설치되기 때문에,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1)가 설치되는 레일헤드(31)의 상방면은 통상적인 레일헤드(31)의 상방면보다 더욱 심하게 마모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가이딩부재(330)에 형성된 가이딩바퀴(350)가 상대적으로 마모가 덜한 레일헤드(31)의 하측면과 접함으로써, 마모에 의해 가이딩바퀴(350)가 미끄러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킥보드(20)의 조향축(21)과 연결된 조향바퀴(23)와 킥보드(20)의 킥보드몸체(25)와 연결된 후륜바퀴(27)는 킥보드몸체(25) 및 킥보드몸체(25)와 연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1)가 레일(30)과 직접 접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1) 레일(3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 가능하도록 몸체부(100)와 결합된 복수개의 가이딩바퀴(350)가 레일(30)과 직접 접함으로써, 몸체부(100)가 레일(30)에 의해 마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가이딩바퀴(350)는 제1 가이딩부재(310) 또는 제2 가이딩부재(330)와 결합될 때, 어디에 결합되든 상관없이, 형상 및 규격을 동일하게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딩바퀴(350)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단가를 낮추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승부(500)는 탑승판(510), 탑승벽체(530) 및 탑승발판(7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승판(510)은 몸체부(100)의 제3 벽체(190)의 상방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의 개수에 대응되어 탑승판(510) 또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몸체부(100)가 서로 결합할 때, 한 쌍의 탑승판(510) 또한 서로 접하며 후술할 탑승발판(700)이 배치될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승벽체(530)는 탑승판(510)의 상면의 모서리에서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벽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탑승벽체(530)는 한 쌍의 탑승판(510)을 구성하는 모서리 중 탑승판(510)끼리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세 모서리에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탑승발판(700)은 한 쌍의 탑승판(510)과 돌출된 탑승벽체(530)가 형성하는 홈인 탑승홈(501)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탑승발판(700) 위에 자신의 발을 두는 방식으로 킥보드(20)와 결합된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1)에 탑승할 수 있다.
이때, 탑승발판(700)은 스폰지나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을 가진 탑승발판(700)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1)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발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 20 : 킥보드
21 : 조향축 23 : 조향바퀴
25 : 킥보드몸체 26 : 발판
27 : 후륜바퀴 30 : 레일
31 : 레일헤드 33 : 레일웹
35 : 레일풋 100 : 몸체부
101 : 제1 삽입홈 103 : 제2 삽입홈
110 : 몸체 111 : 요철
113 : 요철홈 117 : 제1 몸체홈
120 : 제1 지지부재 121 : 제1 지지바
123 : 제2 지지바 125 : 지지연결부재
126 : 지지연결홀 130 : 제1 벽체
170 : 제2 벽체 171 : 탑승부지지부재
173 : 제2 몸체홈 180 : 제2 지지부재
181 : 제3 지지바 183 : 제4 지지바
190 : 제3 벽체 191 : 연결부재
193 : 연결홀 300 : 가이딩부
310 : 제1 가이딩부재 330 : 제2 가이딩부재
350 : 가이딩바퀴 500 : 탑승부
501 : 탑승홈 510 : 탑승판
530 : 탑승벽체 700 : 탑승발판
900 : 결합부재

Claims (4)

  1. 레일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레일 상에 위치하는 킥보드와 결합되는 한 쌍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기 레일과 인접한 면에서 형성되어, 상기 레일과 접하여 상기 몸체부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딩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탑승부를 포함하는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레일을 향한 면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판재 형상의 제1 가이딩부재;
    상기 몸체부의 상기 레일을 향한 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가이딩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딩부재 및 상기 제2 가이딩부재의 상기 레일을 접한 면에 형성되는 가이딩바퀴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가이딩부재의 돌출 방향은 상기 제1 가이딩부재의 돌출 방향과 소정의 각을 가지고 기울어지는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레일의 상면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판재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기 레일을 향한 면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1 벽체;
    상기 몸체의 상기 제1 벽체가 형성된 면의 반대편 면에서 상기 제1 벽체의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2 벽체; 및
    상기 제2 벽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킥보드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제3 벽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및 제1 벽체는 상기 레일이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 상기 제2 벽체 및 제3 벽체는 상기 킥보드가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제2 삽입홈을 향한 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요철을 포함하는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과 결합되는 판재 형상의 탑승판;
    상기 탑승판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탑승벽체; 및
    상기 탑승판 및 상기 탑승벽체가 형성하는 탑승홈에 끼워지는 탑승발판을 포함하는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

KR1020200099594A 2020-08-10 2020-08-10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 KR102365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594A KR102365976B1 (ko) 2020-08-10 2020-08-10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594A KR102365976B1 (ko) 2020-08-10 2020-08-10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316A true KR20220019316A (ko) 2022-02-17
KR102365976B1 KR102365976B1 (ko) 2022-02-21

Family

ID=8047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594A KR102365976B1 (ko) 2020-08-10 2020-08-10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97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098012A1 (it) * 2016-09-29 2018-03-29 Scuola Superiore Santanna Apparato semovente per la manutenzione su condizione del sottocassa di convogli ferroviari
KR102011769B1 (ko) * 2018-09-03 2019-08-19 김희준 레일 주행이 가능한 전동킥보드 보조장치
CN209600501U (zh) * 2019-03-11 2019-11-08 北京铁道工程机电技术研究所股份有限公司 一种机车车辆用救援悬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976B1 (ko) 202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03561A1 (en) Dual-purpose foldable treadmill
CN211943615U (zh) 脚控的个人运输器具
KR100799386B1 (ko) 레일바이크 장치
JP5839375B1 (ja) 自転車トレーナー
ATE514827T1 (de) Radanordnung für einen schwimmbeckenreinigungsmaschine
JPH0225417Y2 (ko)
KR102365976B1 (ko)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
KR200462622Y1 (ko) 스프링 탄력 주행 보드
KR20070084934A (ko) 삼륜 캐스터 스케이트
KR100591876B1 (ko) 스케이트 보드
CN207791791U (zh) 密集架轨道清理装置
CA1299919C (en) Golf cart system
KR101582635B1 (ko) 가이드 레일을 갖는 이족 운동 장치
KR102466897B1 (ko) 양방향 주행이 가능한 사각바퀴 자전거
KR20150124568A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200265010Y1 (ko) 충격완충부재를 구비한 인-라인 스케이트
KR920008135Y1 (ko) 런닝운동머신
US20120061932A1 (en) Scooter decks
KR20120017168A (ko) 자가구동식 스케이트보드
CN212828860U (zh) 一种新型的滑步车
CN202054123U (zh) 一种踏板偏转装置及带有踏板偏转装置的滑板车、滑板
KR101123472B1 (ko) 수동식 스쿠터 안전발판장치
CN210331514U (zh) 一种履带跑步机的包胶滚筒及履带跑步机
WO2004108231A1 (en) Motorized skateboard
KR101336367B1 (ko) 자체구동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