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585A - 도어 조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 조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585A
KR20220018585A KR1020227000659A KR20227000659A KR20220018585A KR 20220018585 A KR20220018585 A KR 20220018585A KR 1020227000659 A KR1020227000659 A KR 1020227000659A KR 20227000659 A KR20227000659 A KR 20227000659A KR 20220018585 A KR20220018585 A KR 20220018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ansmission member
elongate
guide
operat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그누스 아브라함손
안톤 한손
다니엘 엘리아손
Original Assignee
아사 알보이 엔트란스 시스템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 알보이 엔트란스 시스템스 에이비 filed Critical 아사 알보이 엔트란스 시스템스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20018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5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0Control units therefor
    • E05Y2400/41Control units therefor for multiple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garage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통로(opening)(2)의 제1 측(5)에 있는 제1 프레임 섹션(4) 및 통로(2)의 제2 측(7)에 있는 제2 프레임 섹션(6)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3)을 구비하는, 통로(2)를 개폐하기 위한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조작 시스템은 개방 위치(O)와 폐쇄 위치(C) 사이에 이동되도록 배열되고, 도어 프레임(3)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도어(8) 및 도어(8)에 장착되고 개방 위치(O)로부터 폐쇄 위치(C)로 도어(8)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11)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10)을 더 포함한다. 세장형(elongated) 전달 부재(19)는 통로(2)의 제1 측(5) 및 제1 프레임 섹션(4)을 따라 연장된다. 구동 유닛(10)은 모터(11)와 구동 연결되는 피동 전달 부재(18)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조작 시스템
본 발명은 통로(opening)를 개폐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버헤드 도어용 도어 조작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도어 프레임에 연결된 도어 및 통로를 개폐하기 위하여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도어 프레임을 따라 도어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된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섹션(sectional) 도어일 수 있는 도어는 통상적으로 차고 도어 또는 산업용 도어로 사용된다. 구동 유닛은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스프링과 같은 기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오버 헤드 섹션 도어에서, 도어 위에 장착된 전기 모터가 도어에 부착된 와이어를 사용하여 도어를 끌어 올린다. 이러한 오버헤드 섹션 도어는 종종 도어를 개방하는 데 필요한 힘을 줄이기 위해 밸런싱 스프링을 구현한다. 밸런싱 스프링의 구현은 도어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도어가 제자리에 장착될 때 설치하기가 번거롭다.
작동, 유지 보수 및 설치 동안 도어 조작 시스템의 복잡성과 위험을 줄이는 더욱 효율적인 도어 조작 시스템을 성취하기 위해, 도어에 장착된 구동 유닛을 갖는 도어 조작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도어는 도어의 의도된 이동 궤적을 따라 연장되는 고정 랙과 인터페이싱하는 피동 피니언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도어는 드라이브 모듈성을 도입하여 기존 도어 조작 시스템의 여러 단점과 불이익을 해결하고 더 쉽고 빠른 설치와 감소된 복잡성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는 밸런싱 스프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러한 도어의 구동은 여러 가지 문제와 연관된다. 고정 랙은 제조하는 데 있어서의 높은 정확도와 도어가 설치될 때의 랙의 적절한 정렬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도어 자체 및 도어 설치 비용 모두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상기 식별된 결점 및 단점 중 하나 이상을 완화, 경감 또는 제거하고자 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의 복잡성을 줄이는 것이다.
일 양태에 따르면, 통로(opening)를 개폐하기 위한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이 제공된다.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은 통로의 제1 측에 있는 제1 프레임 섹션 및 통로의 제2 측에 있는 제2 프레임 섹션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한다.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배열된 도어를 더 포함하고, 도어는 도어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조작 시스템은 도어에 장착되고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도어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 및 통로의 제1 측 및 제1 프레임 섹션을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elongated)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구동 유닛은 모터와 구동 연결되는 피동 전달 부재를 더 포함하고, 피동 전달 부재는 세장형 전달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피동 전달 부재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wrap) 세장형 전달 부재에 의해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를 따라 피동 전달 부재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종속항에 의해 정의되며, 상세한 설명 부분과 도면에서 더 설명된다.
"포함한다/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 완전체(integer), 단계 또는 컴포넌트의 존재를 특정하도록 취해지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완전체, 단계,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청구범위에 사용된 모든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달리 정의되지 않는다면, 기술 분야에서의 이의 보통의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하나/일/그 [요소, 장치, 컴포넌트, 수단, 단계 등]"에 대한 언급은,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요소, 장치, 컴포넌트, 수단, 단계 등 중 적어도 한 경우를 지칭하는 것으로 개방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의 단계들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면, 개시된 정확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본 문서에서 어떤 것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엔티티에 대한 언급은, 바로 이 어떤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엔티티 또는 "의도적으로 구성된" 엔티티와 동일한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전술한 내용은 유사한 참조 부호가 상이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음의 더욱 특정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에 맞춰진 것은 아니며, 대신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둔다.
도 1은 폐쇄 위치에 있는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 조작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d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e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폐쇄 위치에 있는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 조작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조작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어 조작 시스템은 폐쇄 위치에 있는 도어를 포함한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조작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어 조작 시스템은 폐쇄 위치에 있는 도어를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어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 내용이 완벽하고 완전하도록 제공되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완전히 전달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예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고 의도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요소를 가리킨다.
도 1 내지 4는 모두 섹션(sectional)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을 도시한다. 그러나,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독창적인 양태는 또한 단일 블레이드 도어 조작 시스템인 도어 조작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독창적인 양태가 적용될 수 있는 도어 조작 시스템(1)의 개략도이다. 도어 조작 시스템은 도어 프레임(3), 구동 유닛(10)(도 2a 내지 2c에 도시됨) 및 도어(8)를 포함한다. 도어 조작 시스템(1)은 벽과 바닥에 의해 형성된 통로(2)에 설치되도록 배열된다. 도어(8)는 도어 프레임(3)에 연결된다. 도어 조작 시스템(1)은 개방 위치(O)와 폐쇄 위치(C) 사이에서 도어(8)를 이동시킴으로써 통로(2)를 개폐하도록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어(8)는 도어 프레임(3)에 연결된 복수의 수평의 상호 연결된 섹션(9a 내지 9e)을 포함하는 섹션 도어(8)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는 차고 도어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어는 산업용 도어이다. 도어(8)는 폐쇄 위치(C)와 개방 위치(O) 사이에서 도어 프레임(3)을 따라 이동되도록 배열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조작 시스템(1)은 제1 단말(13) 및 제2 단말(14)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단말(13, 14)은, 구동 유닛의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예를 들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에너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 조작 시스템은 업 앤 오버(up and over) 도어 조작 시스템이다. 업 앤 오버 도어 조작 시스템은 폐쇄 위치(C)에 있는 도어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고 개방 위치(O)에 있는 도어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통로의 내부에 배열되는 시스템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어 조작 시스템은 업 앤 업(up and up) 도어 조작 시스템이다. 업 앤 업 도어 조작 시스템은 폐쇄 위치(C)에 있는 도어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고 개방 위치(O)에 있는 도어가 통로 위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는 시스템이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어 조작 시스템은 폐쇄 위치(C)에 있는 도어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고 개방 위치(O)에 있는 도어가 실질적으로 수직인 위치와 실질적으로 수평인 위치 사이에 배치된 경사진 위치에 배열되는 도어 조작 시스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는 개방 위치(O)에서 수평 위치로부터 45도 각도로 배열될 수 있지만, 통상의 기술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도어는 개방 위치(O)에 있는 도어의 수평 배향과 수직 방향 사이에 배치된 임의의 각도로 배열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3)은 통로(2)의 제1 측(5)에 있는 제1 프레임 섹션(4)과 통로(2)의 제2 측(7)에 있는 제2 프레임 섹션(6)을 포함한다. 도어 프레임(3)은 벽(50)과 바닥(23)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 섹션(4)은 실질적인 수직 부분(4a) 및 실질적인 수평 부분(4b)을 포함한다. 제2 프레임 섹션(6)은 실질적인 수직 부분(6a) 및 실질적인 수평 부분(6b)을 포함한다. 수직 부분(4a, 6a)과 수평 부분(4b, 6b)은 연결되어 도어(8)가 활주하는 경로와 구동 유닛(10)이 상호 작용하는 트랙을 생성한다. 도어 조작 시스템이 업 앤 업 도어 조작 시스템인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 섹션은 수직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8)는 도어 프레임(3)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도어(8)는 제1 측에서 제1 프레임 섹션(4)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측에서 제2 프레임 섹션(6)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섹션(9a 내지 9e)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제1 측(5)에서 제1 프레임 섹션(4)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측(7)에서 제2 프레임 섹션(6)에 연결된다.
도 2a 내지 2e를 참조하면, 구동 유닛(10)은 도어(8)에 장착된다. 구동 유닛(10)은 적어도 하나의 모터(11)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모터(11)는 폐쇄 위치(C)로부터 개방 위치(O)로 도어(8)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
도어(8)의 구동을 허용하기 위해,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은 통로(2)의 제1 측(5) 및 제1 프레임 섹션(4)을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전달 부재(19)를 더 포함한다. 구동 유닛(10)은 모터(11)와 구동 연결되는 피동 전달 부재(18)를 더 포함한다. 피동 전달 부재(18)는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피동 전달 부재(18)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wrap)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의해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를 따라 피동 전달 부재(18)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세장형 전달 부재(19)는 상기 피동 전달 부재(1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세장형 전달 부재는 고정 랙과 비교하여 제조 및 설치 모두의 측면에서 더욱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세장형 전달 부재는 도어(8)와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하고 고정 랙 솔루션과 같은 방식으로 높은 정확도와 적절한 정렬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세장형 전달 부재는 제1 프레임 섹션(4)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어느 정도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세장형 전달 부재는 도어가 레일로부터 밀어 젖혀지는 경우에도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가 적어도 어느 정도 피동 전달 부재를 따라 가고 이와의 결합을 유지하기 때문에 더욱 안전한 도어 조작 시스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세장형 전달 부재는 고정 랙에 비해 소음이 적고 마모에 강하며 외부 물체의 끼임으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이 적다.
세장형 전달 부재(19)는 현수된 벤딩 가능한(suspended bendable) 전달 부재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와 연계하여 벤딩 가능하다는 것은 상기 전달 부재가 반드시 가요성인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단지 피동 전달 부재 주위를 감는 것을 허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달 부재(19)는 피동 전달 부재(18)와 결합하고 프레임(3)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피동 전달 부재(18)와 도어(8)의 이동 방향 사이의 상대 이동을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전달 부재는 고정되지 않은 전달 부재 또는 현수된 전달 부재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세장형 전달 부재는 프레임과 독립적으로 피동 전달 부재와 결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구동 유닛(10)은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 유닛(10)은 도어와 프레임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연결되고, 구동 유닛은 도어에 고정된다. 구동 유닛(10)은 적어도 하나의 모터(11)를 포함한다. 구동 유닛(10)은 도어(8)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 모터(11)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모터(11)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11)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배열된, 배터리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 유닛(10)은 도어(8)를 폐쇄 위치(C)로부터 개방 위치(O)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10)은 도어를 개방 위치(O)로부터 폐쇄 위치(C)로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8)는 도어(8)의 중량을 이용하여 개방 위치(O)로부터 폐쇄 위치(C)로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10)은 개방 위치(O)로부터 폐쇄 위치(C)로 이동할 때 도어(8)를 제동하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세장형 전달 부재는 상부 단부 및 하부 단부에 의해서만 현수될 수 있다.
세장형 전달 부재(19)는 바이어스될 수 있다. 세장형 전달 부재(19)의 바이어싱은 탄성 세장형 부재(19)의 장력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마모 및 잠재적인 허용 오차 문제를 추가로 보상한다.
일 실시예에서, 세장형 전달 부재(19)는 스프링 장치에 의해 바이어스될 수 있다. 세장형 전달 부재(19)의 상부 단부는 고정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의 하부 단부는 스프링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이것은 스프링과 관련된 서비스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를 위한 더 쉬운 액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세장형 전달 부재(19)의 상부 및 하부 단부는 프레임,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섹션(4)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를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는 도어(8)에 장착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의해 세장형 전달 부재(19)를 따라 도어(8)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92)는 세장형 전달 부재(19)를 이동시키고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관련하여 피동 전달 부재(18)를 가이드하여 이들을 적절하게 정렬시킨다. 따라서, 더욱 신뢰할 수 있는 도어 조작 시스템이 성취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92)는 바람직하게는 저널형(journaled) 연결부에 의해 도어(8)에 장착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가이드 부재일 수 있다. 따라서, 세장형 전달 부재(19)는 상기 가이드 부재(9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도 2a 내지 2e를 참조하면, 세장형 전달 부재(19)는 피동 전달 부재(18)의 일부 및 가이드 부재(92)의 일부의 주위를 둘러싸고 이들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는 피동 전달 부재(18)의 부분은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는 가이드 부재(92)의 부분의 반대편에 있다. 이것은 피동 전달 부재, 안내 부재 및 세장형 전달 부재 사이의 더 큰 계면을 성취하여, 작동하기 위해 더 적은 토크를 필요로 하는 더욱 안정적인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이 성취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전달 부재(19)는 바람직하게는 통로의 제1 측을 따라 현수된다.
세장형 전달 부재(19)는 구동 유닛 및/또는 도어의 수평 또는 대각선 이동을 보상하기 위해 필요한 느슨한 부분(slack)을 제공하는 임의의 통상적인 세장형 전달 부재(19)일 수 있다. 세장형 전달 부재는 벨트 또는 체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장형 전달 부재(19)는 벨트일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92) 및 피동 전달 부재(18)는 상기 벨트와 인터페이스하도록 배열된 풀리(pulley) 요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벨트는 톱니가 있는 벨트 또는 리브(rib)가 있는 벨트일 수 있으며, 안내 부재(92) 및 피동 전달 부재(18)는 상기 톱니 또는 리브가 있는 벨트의 리브와 인터페이스하는 톱니 바퀴일 수 있다.
또한, 세장형 전달 부재(19)는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체인일 수 있다. 체인에는 톱니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피동 전달 부재(18)는 체인, 예를 들어 체인의 슬롯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 톱니 바퀴일 수 있다. 피동 전달 부재(18)는 스프로킷(sprocket)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92)는 체인, 예를 들어 체인의 슬롯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 톱니 바퀴일 수 있다. 가이드 부재(92)는 스프로킷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92)는 체인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리브가 있는 바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인은 가이드 부재(들) 및 피동 전달 부재(들)를 둘러싸는 무한 체인이다. 일 실시예에서, 체인은 유한 체인,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들) 및 피동 전달 부재(들)를 부분적으로만 둘러싸는 단일 체인이다.
일 실시예에서,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은 제1 세트의 가이드 롤러(17) 및 제2 세트의 가이드 롤러(1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세트의 가이드 롤러는 도어(8)에 장착된다. 제1 세트의 가이드 롤러(17)는 제1 프레임 섹션(4)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되고, 제2 세트의 가이드 롤러(17)는 제2 프레임 섹션(6)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가이드 롤러는 프레임,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섹션(4) 및 제2 프레임 섹션(6)에 의해 형성된 궤적을 따라 가이드되는 방식으로 도어(8)와 함께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8)는 섹션 도어이다. 따라서, 도어는 복수의 수평으로 상호 연결된 섹션(9a 내지 9e)을 포함한다(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면, 구동 유닛(10)은 도어(8)의 섹션(9e)에 장착된다. 섹션의 움직임을 더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구동 유닛(10)이 장착되는 섹션에는 2쌍의 가이드 롤러가 제공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상부 가이드 롤러는 섹션(9e)으로부터 제1 프레임 섹션(4) 및 제2 프레임 섹션(6)을 향해 각각 연장된다. 유사하게,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롤러는 섹션(9e)으로부터 제1 프레임 섹션 및 제2 프레임 섹션(6)을 향해 각각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10)은 도어(8)의 최하부 섹션(9e)에 장착되고,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롤러는 최하부 섹션(9e)의 하부 수평 단부 페이즈(phase)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대응하여, 상부 가이드 롤러는 최하부 섹션(9e)의 상부 수평 단부 페이즈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롤러는 각각의 섹션(9a 내지 9e)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가이드 롤러는 상부 수평 단부 페이즈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하부 가이드 롤러는 각각의 섹션의 하부 수평 단부 페이즈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는, 도 2d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17) 중 하나와 동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동축 배열은 도어의 이동 동안 프레임 및 가이드 롤러가 하중의 일부를 감당하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에 대한 힘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구동 유닛 및/또는 가이드 부재의 도어 섹션 및 베어링에 대한 결과적인 힘이 감소된다. 더욱이, 동축 배열은 세장형 전달 부재의 더 많은 부분이 가이드 롤러 뒤에 배치될 수 있게 하고, 이는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의 노출을 감소시킨다. 가이드 롤러(17)는 샤프트(88)에 의해 도어(8)에 장착된다. 가이드 롤러(17)와 가이드 부재(92)는 모두 샤프트에 장착된다. 가이드 부재(92)는 샤프트(88)에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가이드 롤러(17) 및 가이드 부재(92)는 도어(8)의 바닥 수평 에지에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는 가이드 롤러에 통합된다.
상기 도 2a 내지 도 2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동축(coaxial)은 가이드 롤러와 가이드 부재가 연장하는 수평축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의미한다. 수평 축은 제1 프레임 섹션과 제2 프레임 섹션 사이에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는 도어의 최하부 섹션(9e)의 하단 수평 단부 페이즈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롤러와 동축이다. 이것은 도어의 우수한 피봇팅 위치를 제공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가이드 롤러와 가이드 요소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이 업 앤 오버 도어 조작 시스템일 때 도어가 이의 개방 위치(O)에 접근하고 있을 때 도어에 대한 공통의 낮은 피봇 지점을 생성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고정 랙을 사용하는 피동 섹션이 있는 도어와 비교하여 도어 통로 위에 필요한 공간을 크게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상부 가이드 부재(92)는 제1 상부 가이드 롤러(17)와 동축으로 배열된다. 대응하여, 제1 하부 가이드 부재(92)는 제1 하부 가이드 롤러(17)와 동축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구동되는 섹션(9e)은 모두 동일한 축에서 세장형 전달 부재(17) 및 프레임을 따라 가이드된다. 이는 안정성을 더욱 증가시키고 구동 유닛(10)이 장착되는 부분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섹션은 최하부 섹션이고, 하부 가이드 부재 및 하부 가이드 휠은 상기 최하부 섹션의 하부 페이즈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따라서, 가이드 롤러(17) 중 하나와 가이드 부재(92) 중 하나는 도어(8)의 하부 수평 에지에 인접하여 서로 동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는 단일 섹션 도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은 도어(8)의 더욱 안정적인 이동 패턴을 허용하기 위해 한 쌍의 세장형 전달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세장형 전달 부재(19)는 통로(2)의 제1 측(5) 및 제1 프레임 섹션(4)을 따라 연장된다.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는 통로(2)의 제2 측(7) 및 제2 프레임 섹션(6)을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도어의 제1 측과 관련하여 논의된 가이드 및 구동 장치는 도어의 제2 측에 반영될 수 있다.
따라서,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은 제1 및 제2 피동 전달 부재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 제1 및 제2 세장형 전달 부재에 의해 제1 및 제2 연장 부재(19)와 각각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 제1 및 제2 피동 전달 부재(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피동 전달 부재(18)는 단일 또는 다수의 모터(11)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일 모터(11)는 제1 및 제2 전달 부재(18)와 구동 연결된다. 단일 모터(11)는 모터(11)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및 제2 샤프트에 의해 제1 및 제2 피동 전달 부재(18)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동 유닛(10)은 제1 및 제2 피동 전달 부재(18)와 각각 구동 연결되는 제1 및 제2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의 제1 수직 측과 유사하게, 도어의 제2 측은 그 위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은 도어(8)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는 상기 가이드 부재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 제2 세장형 전달 부재에 의해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7)를 따라 도어(8)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제2 세장형 전달 부재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다. 달리 말하면, 상기 도어 조작 시스템은 도어(8)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 부재(92)와, 도어(8)에 장착되고 제1 및 제2 가이드 부재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 제1 및 제2 세장형 전달 부재에 의해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 부재(92)를 포함한다.
세장형 전달 부재(19) 모두는 스프링 장치에 의해 바이어스될 수 있다. 세장형 전달 부재(19)의 상부 단부는 고정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의 하부 단부는 스프링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이것은 스프링과 관련된 서비스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를 위한 더 쉬운 액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세장형 전달 부재(19)의 상부 및 하부 단부는 프레임,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프레임에 각각 장착된다.
도 2b에 예시된 일 실시예에서, 제1 피동 전달 부재(18)는 제1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부재(92)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부재(92)는 제1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부재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 제1 세장형 전달 부재에 의해 제1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다. 유사하게, 제2 피동 전달 부재(18)는 제2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부재(92)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부재(92)는 제2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부재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 제2 세장형 전달 부재에 의해 제2 세장형 전달 부재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다. 이것은 잉여 컴포넌트를 요구하지 않고 구동 방향으로 피동 전달 부재(들) 전과 후 모두로 세장형 전달 부재(들)를 추가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덜 복잡한 조작 어셈블리가 성취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피동 전달 부재 위의 가이드 부재와 세장형 전달 부재 사이의 더 큰 계면을 성취하여, 작동에 더 적은 토크를 필요로 하는 더욱 안정적인 도어 조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피동 전달 부재(18)는 각각 제1 및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를 향하여 반대 방향으로 도어(8)로부터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피동 전달 부재(18)는 도어의 제1 수직 페이즈에 근접하게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1 페이즈는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제1 세장형 전달 부재에 인접한다. 유사하게, 제2 피동 전달 부재(18)는 도어의 제2 수직 페이즈에 근접하게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2 페이즈는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제2 세장형 전달 부재에 인접한다.
세장형 전달 부재(19)는 피동 전달 부재(18)의 일부와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부재(92)의 일부를 둘러싸고 이들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는 피동 전달 부재(18)의 부분은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는 상부 및 하부 안내 부재(92)의 부분의 반대편에 있다. 이것은 피동 전달 부재, 안내 부재 및 세장형 전달 부재 사이의 더 큰 계면을 성취하여, 작동에 더 적은 토크를 필요로 하는 더욱 안정적인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 이 성취될 수 있다.
제1 세장형 전달 부재만이 전달 부재와 구동 연결되는 일 실시예에서, 도어 조작 시스템은 상기에 따른 제1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부재만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유닛(10)이 도어(8)의 섹션(9e)에 장착되는 일 실시예에서, 제1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 제1 상부 가이드 부재(92)는 섹션(9e)의 상부 페이즈에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1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 제1 하부 가이드 부재(92)는 섹션(9e)의 하부 페이즈에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 제2 상부 가이드 부재(92)는 섹션(9e)의 상부 페이즈에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 제2 하부 가이드 부재(92)는 섹션(9e)의 하부 페이즈에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상부 가이드 부재(92)는 제1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 제1 세장형 전달 부재에 의해 제1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제1 상부 가이드 롤러(17)와 동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하부 가이드 부재(92)는 제1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제1 하부 가이드 롤러(17)와 동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상부 가이드 부재(92)는 제2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부재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 제2 세장형 전달 부재에 의해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제2 상부 가이드 롤러(17)와 동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하부 가이드 부재(92)는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제2 하부 가이드 롤러(17)와 동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유닛(10)은 모터와 피동 전달 부재(18) 사이에 추가 토크를 제공하기 위해 감속 기어 장치(76)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속 기어 장치(76)는 피동 전달 부재(18)와 모터(11)를 연결한다. 감속 기어 장치는 기어박스(76)의 형태일 수 있다. 기어박스(76)는 예를 들어 도어 조작 시스템의 고속 모드와 고 토크 모드 사이에서 선택적인 토크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구동 유닛(10)이 단일 모터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서, 모터는 기어박스의 형태일 수 있는 감속 기어 장치(76)에 연결되고, 기어박스의 출력 샤프트는 제1 및 제2 피동 전달 부재(18)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피동 전달 부재(18)에 토크를 전달하거나, 조작 시스템이 하나의 세장형 전달 부재만을 갖는 경우, 단일 피동 전달 부재로 토크를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10)은 제1 및 제2 모터를 포함한다. 제1 모터는 차례로 제1 피동 전달 부재에 연결되는 기어박스와 같은 제1 감속 기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모터는 차례로 제2 피동 전달 부재에 연결되는 기어박스와 같은 제2 감속 기어에 연결될 수 있다.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전달 부재 보호기(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달 부재 보호기(61)는 피동 전달 부재(18) 및 상기 피동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는 세장형 전달 부재(19)의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전달 부재 보호기(61)는 세장형 전달 부재(19)가 피동 전달 부재(18)와의 결합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더욱 안전한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이 성취될 수 있다. 또한, 전달 부재 보호기(61)는 사람이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전달 부재 보호기(61)는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를 덮도록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걸쳐 도어(8)로부터 외측으로, 즉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전달 부재 보호기(61)는 도어(8) 또는 구동 유닛(10)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의 피동 전달 부재(18)가 사용되는 일 실시예에서,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은 복수의 전달 부재 보호기(61)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전달 부재 보호기(61)는 대응하는 피동 전달 부재(18) 및 상기 피동 전달 부재(18)와 상호 작용하는 세장형 전달 부재(19)의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은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스프링 하중을 주기 위한 전달 부재 텐셔너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세장형 전달 부재(19)의 상부 및 하부 단부는 고정 장착되고 전달 부재 텐셔너는 도어(8)에 부착된다. 전달 부재 텐셔너는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 롤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헤드 도어 작동 시스템은 스프링 장치(7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장치(74)는 프레임(3)(예를 들어 제1 프레임 섹션(4)) 및 세장형 전달 부재(19)의 하부 단부(68)에 연결된다. 세장형 전달 부재(19)는 통로의 바닥에 인접하게 배치된 콘솔 요소(79) 주위로 아래쪽으로 그리고 스프링 장치(74)를 향해 위쪽으로 라우팅될 수 있다.
도 2d 및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은 탄성 패널(9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패널(91)은 도어(8)에 부착된다. 탄성 패널(91)은 도어의 하부 수평 에지(8)로부터 연장되고, 도어(8)가 폐쇄 위치(C)에 있을 때 통로(2)의 바닥과 접촉하도록 더 배열된다. 상기 탄성 패널(91)은 도어(8)가 폐쇄됨에 따라 바닥과 접촉할 때 변형되고, 바닥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도어(8)는 충격 및 마모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탄성 패널(91)은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바닥과 도어 사이에 밀봉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 패널(91)은 고무 재료일 수 있다.
구동 유닛이 2개의 모터(11a, 11b)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을 더욱 면밀히 도시하는 도 3으로 돌아간다. 제1 모터(11a)와 제2 모터(11b)는 도어(8)의 동일한 수평 섹션(9e)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모터는 도어(8)의 최하부 수평 섹션(9e)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모터(11a)와 제2 모터(11b)는 도어(8)의 서로 다른 수직 측에 장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모터(11a)는 통로의 제1 측(5)에 근접한 도어(8)의 수직 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모터(11b)는 통로의 제2 측(7)에 근접한 도어(8)의 수직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10)은 적어도 제1 모터(11a) 및 제2 모터(11b)를 포함하고, 제1 모터(11a) 및 제2 모터(11b)는 도어(8)의 동일한 수직 측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모터는 도어(8)의 동일한 수평 섹션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모터는 도어(8)의 최하부 수평 섹션(9e)에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터(11a)는 제1 피동 전달 부재(18)에 의해 제1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모터(11b)는 제2 피동 전달 부재(18)에 의해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모터(11) 및 구동 유닛(10)은 바람직하게는 도어(8)의 동일한 주요 페이즈, 예를 들어 도어(8)의 외부 또는 내부 페이즈에 배열된다. 모터(11) 및 구동 유닛(10)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모터 및 구동 유닛은 도어(8)의 내부 대향 도어 페이즈의 형태로 도어의 내부 페이즈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10)의 모터(들)(11)는 직류(DC) 모터(11)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모터(들)(11)는 브러시리스 직류(BLDC) 모터(들)이다.
제어 유닛은 구동 유닛(10)과 작동 가능하게 통신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2개의 모터(11a, 11b)와 유선 통신하거나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구동 유닛(10)의 이동, 즉 구동 유닛(10) 및 이의 연관된 모터(11a, 11b)가 언제 그리고 어떻게 도어(8)를 이동시켜야 하는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은 도어(8)가 개방되어야 하는지 폐쇄되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계식 버튼 또는 리모콘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도어의 자동 작동을 위하여 센서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도록 배열된다.
구동 유닛은 이제 추가로 설명될 추가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10)은 수평 섹션의 제2 수평 섹션(9)에 장착되고 섹션 도어(8)를 폐쇄 위치(C)로부터 개방 위치(O)로 이동시킬 때 제1 및 제2 모터(11a, 11b)를 보조하도록 배열된 제3 및 제4 모터(11c, 11d)를 포함한다. 제3 및 제4 모터(11)는 제어 유닛(20)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모터(11)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1)은 4개의 모터(11a 내지 11d)와 하나의 제어 유닛(2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모터(11a, 11b)는 하나의 섹션(9e)에 배열되고 제3 및 제4 모터(11c, 11d)는 다른 섹션(9c)에 배열된다. 따라서, 구동 유닛(10)은 도어(8)에 장착된 제3 피동 전달 부재(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피동 전달 부재(18)는 상기 제1 세장형 전달 부재(19)를 따라 상기 제3 피동 전달 부재(18)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구동 유닛은 도어(8)에 장착된 제4 피동 전달 부재(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피동 전달 부재(18)는 상기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를 따라 상기 제4 피동 전달 부재(18)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를 따라 상기 제4 피동 전달 부재(18)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유닛은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에 따라 제3 및 제4 피동 전달 부재와 연관된 가이드 휠 및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모터(11a, 11b)는 폐쇄 위치(C)에서 바닥에 가장 가까운 도어의 섹션(9)에 위치된 섹션(9e)에 배열된다. 그러나, 섹션(9e)이 예를 들어 폐쇄 위치(C)에서 바닥에 가장 가까운 섹션 다음에 배열되는 섹션인 섹션(9d)일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4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10)은 수평 섹션의 제3 수평 섹션(9)에 장착되고 섹션 도어(8)를 폐쇄 위치(C)로부터 개방 위치(O)로 이동시킬 때 다른 모터(11)를 보조하도록 배열된 제5 및 제6 모터(11e, 11f)를 포함한다. 제5 및 제6 모터(11e, 11f)는 제어 유닛(20)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모터(11a, 11b)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1)은 6개의 모터(11a 내지 11f)와 하나의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모터(11a, 11b)는 하나의 섹션(9e)에 배열되고. 제3 및 제4 모터(11c, 11d)는 다른 섹션(9c)에 배열되며, 제5 및 제6 모터(11e, 11f)는 다른 섹션(9d)에 배열된다. 따라서, 구동 유닛(10)은 도어(8)에 장착된 제5 피동 전달 부재(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피동 전달 부재(18)는 상기 제1 세장형 전달 부재(19)를 따라 상기 제5 피동 전달 부재(18)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구동 유닛은 도어(8)에 장착된 제6 피동 전달 부재(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피동 전달 부재(18)는 상기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를 따라 상기 제6 피동 전달 부재(18)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를 따라 상기 제6 피동 전달 부재(18)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유닛은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에 따라 제5 및 제6 피동 전달 부재와 연관된 가이드 휠 및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섹션(9a 내지 9e)이 모터와 함께 배열되는 실시예에서, 이들은 섹션(9e) 위에 배열된 2개의 섹션에 하나씩 배열되거나, 모든 섹션에 배열되거나, 하나의 섹션에 배열될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2, 제3 또는 제1, 제2, 제3 및 제4 모터는 섹션(9)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들은 최하부 섹션(9e)에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10)의 적어도 하나의 모터(11)는 도어(8)가 개방 위치(O)로부터 폐쇄 위치(C)로 이동될 때 도어(8)의 이동을 제동하도록 구성된다. 조작 시스템이 2개의 모터를 갖는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모터(11a, 11b)는 모두 도어(8)가 개방 위치(O)로부터 폐쇄 위치(C)로 이동될 때 도어(8)의 이동을 제동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10)의 적어도 하나의 모터(11)는 도어(8)가 개방 위치(O)로부터 폐쇄 위치(C)로 이동될 때 발전기 역할을 하고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장치(12)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8)가 개방 위치(O)로부터 폐쇄 위치(C)로 이동될 때 구동 유닛(10)의 제1 및 제2 모터(11a, 11b) 모두가 발전기 역할을 하고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장치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도어(8)의 중량이 도어가 폐쇄 위치를 향하도록 하기 때문에, 구동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모터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의해 모터는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12)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구동 유닛(10)의 적어도 하나의 모터(11)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터(11a) 및 제2 모터(11b)는 모두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브레이크는 전자기 브레이크이다. 브레이크는 도어(8)가 개방 위치(O)로부터 폐쇄 위치(C)로 이동될 때 도어(8)의 속도를 제어/감소시키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브레이크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도어의 궤적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 도어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10)은 도어(8)의 섹션(9e), 즉 상기 복수의 수평의 상호 연결된 섹션 중 하나에 장착된다. 제1 모터(11a) 및 제2 모터(11b)는 동일한 섹션(9e)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모터(11a) 및 제2 모터(11b)는 섹션(9e)의 서로 다른 수직 측에 배열된다. 따라서, 각각의 모터(11a, 11b)는 각각 제1 프레임 섹션(4) 및 제2 프레임 섹션(6)과 함께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8)는 수평일 수 있거나, 폐쇄 위치(C)의 관점에서 볼 때 적어도 비스듬히 있을 수 있고, 도어(8)는 통로(2)의 내부 및 통로(2) 위에 위치 설정된다. 폐쇄 위치(C)로부터 개방 위치(O)로 이동될 때, 상호 연결된 도어의 섹션들(9)은 전체 도어(8)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서로를 밀어낼 것이다. 섹션들(9)은 수직 위치로부터 수평 위치로 이동할 때 서로에 대해 회전하고 이동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모터(11) 중 적어도 하나는 도어(8)를 개방 위치(O)로부터 폐쇄 위치(C)로 이동할 때 발전기(11)로서 작동된다. 스프로킷(들)(18)이 회전됨에 따라 발전기(11)가 회전된다. 발전기(11)는 도어(8)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에너지 저장 장치에 연결된 발전기(11)는 이동될 때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를 충전한다. 이동 도어(8)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저장 장치가 충전된다.
본 발명은 이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전술되었다. 그러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동등하게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임의의 특정 유형에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이동 가능한 도어 부재를 갖는 출입 시스템 내에 또는 그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아 상기된다. 이 도어 부재 또는 각각의 이러한 도어 부재는 예를 들어 스윙 도어 부재, 회전 도어 부재, 슬라이딩 도어 부재, 오버헤드 섹션 도어 부재, 수평 접이식 도어 부재 또는 풀업(수직 리프팅) 도어 부재일 수 있다.

Claims (28)

  1. 통로(opening)(2)를 개폐하기 위한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에 있어서,
    상기 통로(2)의 제1 측(5)에 있는 제1 프레임 섹션(4) 및 상기 통로(2)의 제2 측(7)에 있는 제2 프레임 섹션(6)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3);
    개방 위치(O)와 폐쇄 위치(C) 사이에 이동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3)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8);
    상기 도어(8)에 장착되고, 상기 개방 위치(O)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C)로 상기 도어(8)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11)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10); 및
    상기 통로(2)의 상기 제1 측(5) 및 상기 제1 프레임 섹션(4)을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elongated) 전달 부재(19)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10)은 상기 모터(11)와 구동 연결되는 피동 전달 부재(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동 전달 부재(18)는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피동 전달 부재(18)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wrap)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의해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를 따라 상기 피동 전달 부재(18)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는 현수된 벤딩 가능한(suspended bendable) 전달 부재의 형태인,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는 바이어스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의 상부 단부는 고정 장착되고,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의 하부 단부는 스프링 하중을 받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 및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의 상기 하부 단부(68)에 연결된 스프링 장치(74)를 더 포함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스프링 하중을 주기 위한 전달 부재 텐셔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의 상부 및 하부 단부는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전달 부재 텐셔너는 상기 도어(8)에 부착되고, 상기 전달 부재 텐셔너는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 롤러 요소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도어 작동 시스템(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10)은 감속 기어 장치(76)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속 기어 장치(76)는 상기 피동 전달 부재(18)와 상기 모터(11)를 연결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8)에 부착되고 상기 도어(8)의 하부 수평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패널(91)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패널(91)은 상기 도어(8)가 상기 폐쇄 위치(C)에 있을 때 상기 통로(2)의 바닥과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8)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의해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를 따라 상기 도어(8)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는 벨트인,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톱니가 있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전달 부재(19)는 체인인,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92)는 톱니 바퀴인,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8)는 복수의 수평의 상호 연결된 섹션(9a 내지 9e)을 포함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섹션(4)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 상기 도어(8)에 장착된 제1 세트의 가이드 롤러(17)와, 상기 제2 프레임 섹션(6)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 제2 세트의 가이드 롤러(17)를 더 포함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10)은 상기 도어(8)의 섹션(9a 내지 9e)에 장착되고, 제1 및 제2 상부 가이드 롤러가 상기 섹션(9a 내지 9e)으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 섹션(4) 및 상기 제2 프레임 섹션(6)을 향해 각각 연장되고,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롤러가 상기 섹션(9a 내지 9e)으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 섹션(4) 및 상기 제2 프레임 섹션(6)을 향해 각각 연장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10)은 상기 도어(8)의 최하부 섹션(9e)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롤러는 상기 최하부 섹션(9e)의 하부 수평 단부 페이즈(phase)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롤러는 상기 최하부 섹션(9e)의 상부 수평 단부 페이즈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 각각은 상기 가이드 롤러(17) 중 하나와 동축으로 배열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0).
  20. 제19항에 있어서,
    제1 상부 가이드 부재(92)가 상기 제1 상부 가이드 롤러(17)와 동축으로 배열되고, 제1 하부 가이드 부재(92)가 상기 제1 하부 가이드 롤러(17)와 동축으로 배열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0).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17) 중 하나와 상기 가이드 부재(92) 중 하나는 상기 도어(8)의 하부 수평 에지에 인접하여 서로 동축으로 배열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0).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2)의 상기 제1 측(5) 및 상기 제1 프레임 섹션(4)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기 통로(2)의 상기 제2 측(7) 및 상기 제2 프레임 섹션(6)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은 제1 및 제2 피동 전달 부재(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피동 전달 부재(18)는 상기 제1 및 제2 피동 전달 부재(18)를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 상기 제1 및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8)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7)를 따라 상기 도어(8)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세장형 전달 부재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92)를 더 포함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24. 제23항에 있어서,
    제1 상부 가이드 부재(92)가 상기 제1 상부 가이드 롤러(17)와 동축으로 배열되고 제1 하부 가이드 부재(92)가 상기 제1 하부 가이드 롤러(17)와 동축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1 및 제2 상부 가이드 부재(9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 상기 제1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의해 상기 제1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고, 제2 상부 가이드 부재(92)가 상기 제2 상부 가이드 롤러(17)와 동축으로 배열되고 제2 하부 가이드 부재(92)가 상기 제2 하부 가이드 롤러(17)와 동축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부재(9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는 상기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에 의해 상기 제2 세장형 전달 부재(19)와 상호 작용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동 전달 부재(18)는 상기 제1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부재(92)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제2 피동 전달 부재(18)는 상기 제2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부재(92) 사이에 배열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10)은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 피동 전달 부재(18)와 각각 구동 연결되는 제1 모터(11a) 및 제2 모터(11b)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10)은 상기 제1 피동 전달 부재(18) 및 상기 제1 모터(11a)를 구동 연결하는 제1 감속 기어 장치(76)와, 상기 제2 피동 전달 부재(18) 및 상기 제2 모터(11b)를 구동 연결하는 제2 감속 기어 장치(76)를 더 포함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28.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1)는 상기 제1 및 제2 피동 전달 부재(18)와 구동 연결되는, 오버헤드 도어 조작 시스템(1).
KR1020227000659A 2019-06-10 2020-05-27 도어 조작 시스템 KR202200185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930182-9 2019-06-10
SE1930182 2019-06-10
PCT/EP2020/064661 WO2020249395A1 (en) 2019-06-10 2020-05-27 Door operato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585A true KR20220018585A (ko) 2022-02-15

Family

ID=7092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659A KR20220018585A (ko) 2019-06-10 2020-05-27 도어 조작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243518A1 (ko)
EP (1) EP3980620A1 (ko)
JP (1) JP2022535596A (ko)
KR (1) KR20220018585A (ko)
CN (1) CN114207239A (ko)
AU (1) AU2020290725A1 (ko)
CA (1) CA3141089A1 (ko)
MX (1) MX2021015086A (ko)
WO (1) WO2020249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5989A1 (en) * 2022-03-01 2023-09-07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Connection device for a door opera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5081A (en) * 1951-10-08 1956-07-17 Johnson Clarence Garage door operators
US3336968A (en) * 1965-03-29 1967-08-22 Guy A Curtis Garage door with anti-jamming rollers
US3775906A (en) * 1971-12-28 1973-12-04 E Dougherty Sliding portal and operating device therefore
DE3538947A1 (de) * 1985-11-02 1987-05-21 Alten K Tor, insb. sektionaltor, fuer gebaeude od.dgl.
DE3539657A1 (de) * 1985-11-08 1987-05-21 Alten K Sektionaltor fuer gebaeude
DE4123575A1 (de) * 1991-07-16 1993-01-21 Kurz Rudolf Gmbh & Co Antrieb fuer sektionaltore
US6059005A (en) * 1998-01-05 2000-05-09 Sun Hill Industries, Inc Garage door assembly
US7686061B2 (en) * 2002-04-24 2010-03-30 Overhead Door Corporation Winding assembly for door counterbalance system
DE10261083B3 (de) * 2002-12-20 2004-03-25 Novoferm Gmbh Sektionaltor
EP1462601B1 (de) * 2003-03-22 2018-01-10 Novoferm GmbH Sektionaltor
DE10349904C5 (de) * 2003-03-22 2016-10-20 Novoferm Gmbh Sektionaltor
US20040256064A1 (en) * 2003-06-19 2004-12-23 Bennett Thomas B. Sectional door cable tensioner
DE10330693B4 (de) * 2003-07-08 2009-05-28 Novoferm Gmbh Sektionaltor
WO2007051237A1 (en) * 2005-10-31 2007-05-10 Adaptable Garage Doors Pty Ltd Garage door
US7372225B2 (en) * 2006-02-27 2008-05-13 Overhead Door Corporation Barrier operator with flexible drive member
FR2934633B1 (fr) * 2008-08-04 2012-08-31 Paul Esnault Porte sectionnelle avec mecanisme d'entrainement universel
US8707627B2 (en) * 2010-09-20 2014-04-29 The Chamberlain Group, Inc. Method of removing slack from a flexible driven member
US20120198773A1 (en) * 2011-02-04 2012-08-09 Hy-Security Gate, Inc. Positive drive for sliding gate operation
CN203729851U (zh) * 2013-12-27 2014-07-23 广州市德固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垂直移动门
TWM541502U (zh) * 2016-12-08 2017-05-11 Ome Technology Co Ltd 自動升降的活動窗
CN111094684B (zh) * 2017-09-06 2022-07-12 亚萨合莱自动门系统有限公司 门操作器系统
US11761250B2 (en) * 2017-09-06 2023-09-19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Sectional door operator system
CN208010220U (zh) * 2018-03-26 2018-10-26 苏州宝川环保设备有限公司 镀锌行业酸洗房中房密闭升降门
EP3899182A1 (en) * 2018-12-19 2021-10-27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Sectional door operator system
EP3973129A1 (en) * 2019-05-22 2022-03-30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Door operator system
MX2022008446A (es) * 2020-01-15 2022-08-02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Sistema de operador de puerta.
CN115066534A (zh) * 2020-02-06 2022-09-16 亚萨合莱自动门系统有限公司 分段门操作器系统
CN115768962A (zh) * 2020-06-17 2023-03-07 亚萨合莱自动门系统有限公司 升降门操作系统
US20230265705A1 (en) * 2020-06-25 2023-08-24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A door opera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43518A1 (en) 2022-08-04
AU2020290725A1 (en) 2022-02-03
WO2020249395A1 (en) 2020-12-17
CA3141089A1 (en) 2020-12-17
MX2021015086A (es) 2022-01-18
JP2022535596A (ja) 2022-08-09
EP3980620A1 (en) 2022-04-13
CN114207239A (zh)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12351A1 (en) Door operator system
US20230220715A1 (en) Overhead door operator system
ES2968288T3 (es) Sistema operador de puerta seccional
US20230265705A1 (en) A door operator system
KR20220018585A (ko) 도어 조작 시스템
RU2814672C2 (ru) Система дверного привода
JP6351266B2 (ja) 扉式ホーム柵、ホーム柵扉駆動システム、および扉式ホーム柵の設置方法
US20230044431A1 (en) Door operator system
SE2150876A1 (en) Arrangement for access member, and access member system
JP2014189040A (ja) 可動扉装置
CA2303269C (en) A drive device for moving an object
WO2023165989A1 (en) Connection device for a door operator system
CN107580667B (zh) 用于试验设备、测量设备或生产设备的保护外壳
WO2023165982A1 (en) A door operator system
KR102438370B1 (ko) 교체가 용이한 리니어모터를 구비하는 에너지 절감형 자동문장치
JP7021987B2 (ja) 可動式ホーム柵
KR19990055388A (ko) 엘리베이터 도어용 커플링장치
KR101124207B1 (ko) 자전거 수납부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TR201702820U (tr) Otomati̇k kayar kapilar i̇çi̇n hareket si̇stemi̇
JPH1018740A (ja) バランス式開閉ドアの異常検知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