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542A -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542A
KR20220018542A KR1020227000081A KR20227000081A KR20220018542A KR 20220018542 A KR20220018542 A KR 20220018542A KR 1020227000081 A KR1020227000081 A KR 1020227000081A KR 20227000081 A KR20227000081 A KR 20227000081A KR 20220018542 A KR20220018542 A KR 20220018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guide plate
flexible display
rolla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7426B1 (ko
Inventor
표종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18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연성 표시 패널; 전면에 상기 연성 표시 패널이 부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단차부를 포함하는 메쉬 시트;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단차부를 포함하는 상기 메쉬 시트의 상부를 수용하며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커버하며 상기 고정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가압홀을 포함하는 탑커버; 상기 가압홀에 삽입되어 고정부를 상기 메쉬 시트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쉬 시트의 장력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다.

Description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연성 표시 패널이 부착되는 메쉬 시트의 장력을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는 슬림한 구조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표시 장치는 노트북, 휴대용 전자 기기,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 등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연성이 없는 유리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응용과 용도에 한계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유연성이 없는 유리 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하여 휘어질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새로운 디스플레이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연성 표시 패널이 승강하는 종래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연성 표시 패널이 부착되는 메쉬 시트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장력을 제공하는 결합부에 변형이 쉽게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연성 표시 패널의 장력 제공을 위한 구조의 두께가 두꺼워, 갈수록 얇아지는 연성 표시 패널에 대응하는 슬림한 외관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 연성 표시 패널의 장력 유지를 위한 구조 및 이를 커버하는 구조가 복잡하여 가공 및 조립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메쉬 시트의 장력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슬림한 외관을 구현 가능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향상된 조립성을 가지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성 표시 패널; 전면에 상기 연성 표시 패널이 부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단차부를 포함하는 메쉬 시트;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단차부를 포함하는 상기 메쉬 시트의 상부를 수용하며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커버하며 상기 고정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가압홀을 포함하는 탑커버; 상기 가압홀에 삽입되어 고정부를 상기 메쉬 시트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일측에서 상기 단차부를 안착하는 제1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일측이 개방된 U형 프레임이고,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U형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부의 타측을 안착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따라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둘레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배면에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배면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따라 벤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에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는 가압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연성 표시 패널이 위치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을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메인 롤러; 상기 커버의 일측에 결합되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를 구동하여 상기 커버를 승강하는 링크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일측에 상기 링크부가 결합하는 링크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쉬 시트의 장력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슬림한 외관을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향상된 조립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및 제 1 링크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성 표시 패널의 상단부와 상부 링크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쉬 시트 및 가이드 플레이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쉬 시트, 가이드 플레이트, 커버 및 가압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C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100), 연성 표시 패널(200) 및 링크 조립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 및 상기 링크 조립체(30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이 감기는 메인 롤러(110) 및 상기 링크 조립체(300)를 구동하기 위한 링크 구동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신호를 공급하는 세트 파워 보드 박스(set power board box, 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트 파워 보드 박스(130)는 상기 본체(10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롤러(110)는 원통형일 수 있다.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은 상기 메인 롤러(110)의 외면을 따라 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의 하단부는 상기 메인 롤러(11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롤러(11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이 펼쳐지는 동작 및/또는 감기는 동작 중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이 완전히 감겨진 상태로 상기 메인 롤러(110)를 회전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의 이동을 돕기 위한 보조 롤러(140, 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롤러(110)로 감기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의 전면은 전면 보조 롤러(140)와 접촉하고,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의 후면은 후면 보조 롤러(150)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전면 보조 롤러(140)와 상기 후면 보조 롤러(150)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링크 구동부(120)는 상기 링크 조립체(300)를 회전/이동하여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의 상단부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롤러(110)에 감긴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은 상기 링크 구동부(120)에 의해 완전히 펼쳐질 수 있다. 완전히 펼쳐졌던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은 상기 링크 구동부(120)에 의해 상기 메인 롤러(11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링크 구동부(120)에 의해 상기 메인 롤러(110)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은 상기 메인 롤러(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 롤러(110)의 외면을 따라 감겨질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링크 구동부(12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160)은 상기 본체(10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은 영상을 구현하되, 유연성을 갖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은 제 1 플렉서블 기판 및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과 접착된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 사이에는 발광 소자 또는 투광율 조절 수단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OLED 패널일 수 있다.
상기 링크 조립체(300)는 상기 링크 구동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조립체(300)는 상기 링크 구동부(120)에 의해 회전/이동하여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의 상단부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링크 조립체(300)는 상기 링크 구동부(120)와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조립체(30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링크 조립체(300)의 동작을 숨기기 위한 백 커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조립체(30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과 상기 백 커버(600) 사이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및 제 1 링크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b)는 연성 표시 패널이 완전히 펼쳐졌을 때,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 링크 조립체(300R)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의 (a) 및 도 2의 (b)를 참조하면,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링크 조립체(300)는 제 1 링크 조립체(300R) 및 제 2 링크 조립체(300L)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 조립체(300R) 및 상기 제 2 링크 조립체(300L)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a)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링크 조립체(300R)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의 배면 좌측 측면에 가까이 위치하고, 상기 제 2 링크 조립체(300L)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의 배면 우측 측면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이 완전히 펼쳐지면, 상기 링크 조립체(300)는 I 자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이 완전히 펼쳐지면, 상기 링크 조립체(30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과 상기 백 커버(600)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채울 수 있다.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이 완전히 펼쳐지면,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 상기 링크 조립체(300) 및 상기 백 커버(600) 사이에는 빈 공간이 생성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성 표시 패널(200)이 완전히 펼쳐질 때, I자 형상이 되는 링크 조립체(3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측면에 대한 별도의 마감 조치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측면부가 슬림화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 조립체(300R)는 상부 링크 프레임(310), 하부 링크 프레임(320), 중앙 링크 연결부(330) 및 탄성 플레이트(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 조립체(300L)는 상기 제 1 링크 조립체(300R)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링크 조립체(300L)는 상기 제 1 링크 조립체(300R)와 대칭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 링크 조립체(300R) 및 상기 제 2 링크 조립체(300L)가 대칭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2 링크 조립체(300L)가 상기 제 1 링크 조립체(300R)와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링크 구동부(230)에 의해 상기 제 1 링크 조립체(300R) 및 상기 제 2 링크 조립체(300L)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링크 프레임(320)은 상기 링크 구동부(120)와 상기 중앙 링크 연결부(3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링크 프레임(320)은 상기 링크 구동부(120)와 연결되기 위한 하단 링크 브라켓(3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링크 프레임(320)은 상기 링크 구동부(12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링크 구동부(120)는 상기 하단 링크 브라켓(325)을 통해 상기 하부 링크 프레임(320)을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의 배면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전히 펼쳐진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을 감을 때, 상기 링크 구동부(120)에 의해 상기 하부 링크 프레임(320)의 상단부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의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링크 프레임(310)은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의 상단부와 상기 중앙 링크 연결부(3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링크 프레임(310)은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의 상단부와 연결되기 위한 상단 링크 브라켓(3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성 표시 패널(200)의 상단부와 상부 링크 프레임(310)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의 (a)는 연성 표시 패널의 상단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b)는 연성 표시 패널의 상단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a), 도 1의 (b), 도 3의 (a) 및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성 표시 패널(200)의 배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상부 거치대(510) 및 상기 상부 거치대(510)와 상기 상부 링크 프레임(310) 사이에 위치하는 거치 브라켓(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 브라켓(410)은 거치 고정 핀(410c)에 의해 상기 상부 거치대(5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600)는 상기 거치 브라켓(410)을 가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백 커버(600)의 상단부는 커버 고정 핀(600c)에 의해 상기 상부 거치대(5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60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600)는 상기 본체(100)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0)는 상기 백 커버(600)가 감기는 커버 롤러(170) 및 상기 커버 롤러(170)를 회전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 거치대(510)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은 표시 영역에 구동 신호 및 전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 기판(210)과 연결되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E) 또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등과 같은 연결 부재(220)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거치대(510)에 걸쳐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연결 부재(220) 및 상기 상부 거치대(510)를 가리기 위한 상부 캡(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 커버(600)가 거치 브라켓(410)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백 커버(600)가 상기 상부 거치대(510) 또는 상기 상부 캡(5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링크 프레임(310)의 상기 상단 링크 브라켓(315)은 상단 고정 핀(310c)에 의해 상기 거치 브라켓(410)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링크 프레임(310)의 하단은 상기 상단 고정 핀(310c)을 중심으로 상기 연성 표시 패널(200)의 중심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성 표시 패널(200)의 상단부와 상부 링크 프레임(310)의 연결 관계 또는 결합 관계는 상기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연성 표시 패널의 상단부는 일체로 형성된 커버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상부 링크 프레임과 같은 연성 표시 패널의 승강을 위한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4에서 도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하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후술할 예정이며, 이전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보충 해석 가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b)는 도 4의 (a)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연성 표시 패널(1100), 메쉬 시트(1200), 가이드 플레이트(1300), 탑커버(1400) 및 가압부재(1500)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메인 롤러(1600), 링크부(1700) 및 링크 구동부(1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 탑커버(1400) 및 가압부재(1500)는 커버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은 영상을 구현하되, 유연성을 갖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서블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플렉서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은 상기 메인 롤러(1600)의 외면을 따라 감길 수 있다.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은 승강 방향(화살표)에 따라 상기 메인 롤러(1600)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될 수 있다.
상기 메쉬 시트(120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의 일면을 커버하되, 다수의 홀이 형성된 메쉬 구조를 포함하는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쉬 시트(1200)는 전면에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이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쉬 시트(120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과 함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는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쉬 시트(1200)는 반복되는 패턴이 형성된 메탈 시트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메쉬 시트(1200)는 각각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의 후면을 벤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바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메쉬 시트(1200)는 일부가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쉬 시트(120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의 구동을 위한 부품을 실장할 수 있다. 이하 도 5 에서 상기 메쉬 시트(1200)를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는 내부에 상기 메쉬 시트(1200)의 일측을 수용하여 상기 메쉬 시트(1200)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메쉬 시트(1200)의 일측은 메쉬 시트(1200)의 상부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는 상기 메쉬 시트(1200)의 일측을 감싸 상기 메쉬 시트(1200)의 일측 단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일부는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메쉬 시트(120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는 일부가 절곡되어 상기 메쉬 시트(120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는 일측이 개방된 U형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를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탑커버(1400)는 상기 메쉬 시트(1200) 또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의 단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 상기 메쉬 시트(1200) 또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탑커버(140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과 상기 메쉬 시트(1200)의 단부를 감싸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외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탑커버(140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과 함께 승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탑커버(1400)는 연성 표시 패널(1100)이 부착된 메쉬 시트(1200)에 고정되어 함께 승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커버(1400)는 일측에 승강을 위한 구조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을 위한 구조는 링크부(1700) 및 링크 구동부(1800)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1700) 및 링크 구동부(1800)은 도 1 내지 도 3의 링크 조립체 및 링크 구동부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140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에 가해지는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력은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의 자중 또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의 와인딩을 위한 메인 롤러(1600)의 탄성 구조로 인하여 발생하는 장력일 수 있다. 상기 탑커버(1400)는 일측에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를 가압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에서 탑커버(1400)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가압부재(1500)는 상기 탑커버(1400)를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 및 상기 메쉬 시트(1200)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재(150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일부를 변형하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일부가 상기 메쉬 시트(1200)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에서 상기 가압부재(1500)를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메인 롤러(160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 및 상기 메쉬 시트(1200)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한다.
상기 링크부(1700)는 상기 탑커버(1400) 및 링크 구동부(18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1700)는 상기 링크 구동부(1800)에 의해 회전/이동하여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의 상단부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링크 구동부(1800)는 상기 링크 조립체를 회전/이동하여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의 상단부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롤러(1600), 링크부(1700) 및 링크 구동부(1800)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메인 롤러, 링크 조립체 및 링크 구동부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을 승강하기 위한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롤러(1600), 상기 링크부(1700) 및 상기 링크 구동부(1800)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쉬 시트(1200) 및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메쉬 시트(1200) 및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b)는 도 5의 (a)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메쉬 시트(1200)는 제1 영역(1210), 제2 영역(1220) 및 단차부(1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1210), 제2 영역(1220) 및 단차부(1230)은 상기 메쉬 시트(1200)의 전면(124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1210)은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이 부착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영역(1210)은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이 부착되는 연성 표시 패널(1100)의 전면(1240)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1220)은 상기 제1 영역(1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영역(1220)은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이 부착되지 않는 상기 메쉬 시트(1200)의 상단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영역(1220)은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의 전개 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이 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1230)는 상기 제1 영역(1210)과 상기 제2 영역(1220) 사이에 형성되어, 제1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이 위치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단차부(1230)는 상기 메쉬 시트(1200)의 일측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일부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쉬 시트(1200)는 일부가 Z형 벤딩되어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에 인가되는 장력을 유지하고 상기 메쉬 시트(1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123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단차면(123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123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이 끝나는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는 상기 메쉬 시트(1200)의 상부를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메쉬 시트(1200)의 상부는 상기 제2 영역(1220) 및 상기 단차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는 상기 제1 영역(1210)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는 상기 제1 영역(1210)의 일부, 상기 제2 영역(1220) 및 상기 단차부(1230)를 수용하여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는 상기 탑커버(1400) 및 상기 메쉬 시트(12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는 제1 안착부(1330) 및 고정부(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1330)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을 따라 계단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는 일측(1340)이 개방된 U형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안착부(1330)는 상기 일측(1340)의 단부(1341)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일측(1340)은 하측일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1330)의 일측(1331)은 상기 단차부(1230)를 안착한다. 상기 제1 안착부(1330)의 타측(1333)은 상기 탑커버(1400)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일측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133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의 단부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상기 단차면(1230a)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는 상기 메쉬 시트(1200)의 배면을 커버하며 상기 단차부(1230)의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쉬 시트(1200)의 제1 영역(1210)의 배면에 접촉하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일부는 상기 단차부(1230)의 변형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쉬 시트(1200)의 배면을 따라 상기 제1 영역(1210)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2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메쉬 시트(1200)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에 대하여 고정한다. 이하 도 6 및 도 7에서 상기 고정부(132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쉬 시트(1200), 가이드 플레이트(1300), 탑커버(1400) 및 가압부재(1500)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가압부재(1500)가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b)는 가압부재(1500)가 결합된 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 내지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탑커버(140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를 커버한다. 상기 탑커버(1400)는 제2 안착부(1410), 가압홀(1430) 및 체결부(1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안착부(1410)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제1 안착부(1330) 타측(1333)을 안착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안착부(1410)는 상기 제1 안착부(1330)의 타측(1333)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부(1330)의 타측(1333)을 지지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안착부(1330, 141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의 장력을 유지하고 상기 메쉬 시트(1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2중의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안착부(1330, 141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의 전면이 위치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홀(1430)은 상기 탑커버(14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1500)를 수용한다. 여기서, 상기 일측은 상기 탑커버(1400)의 배면일 수 있다. 상기 가압홀(1430)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고정부(1320)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고정부(132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배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홀(1430)은 상기 탑커버(1400)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홀(1430)은 상기 가압부재(150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측 개구부가 타측 개구부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홀(1430)은 스크류 결합을 위한 나사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450)는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의 배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의 승강을 위한 장치와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부(1450)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링크 조립체와 연결될 수 있다.
도 6의 (a) 및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부재(1500)는 상기 탑커버(1400)를 관통하여 상기 메쉬 시트(120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를 밀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재(1500)는 상기 탑커버(140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가압홀(1430)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고정부(1320)를 가압하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와 상기 메쉬 시트(1200)를 밀착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1500)는 상기 메쉬 시트(1200)의 단차부(123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제1 안착부(1330) 사이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해 상기 단차부(1230)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제1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1500)는 나사홈(미도시)과 가압면(1511)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면(1511)은 상기 가압부재(1500)의 단부(1510)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320)와 상기 메쉬 시트(1200)의 접촉을 최대화할 수 있다.
상기 나사홈(미도시)은 상기 가압부재(150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1500)의 가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32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 및 상기 메쉬 시트(1200)를 밀착한다. 여기서, 상기 배면은 상기 연성 표시 패널(1100)이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132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내부 공간(1310)에 위치하는 메쉬 시트(1200)를 일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메쉬 시트(1200)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내부 공간(1310)을 형성하는 일면과 상기 고정부(1320) 사이에 고정한다. 상기 고정부(1320)는 조립 시 편차를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가압부재(1500)의 가압에 따라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도 7에서 상기 고정부(1320)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C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32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132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의 배면 일부를 U자 형으로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20)는 상기 가압부재(1500)의 가압에 의해 상기 메쉬 시트(1200)에 밀착된다. 즉, 상기 고정부(1320)는 상기 가압부재(1500)가 삽입됨에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메쉬 시트(1200)와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320)는 상기 메쉬 시트(1200)의 배면 또는 상기 가압면(15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되어 상기 메쉬 시트(1200)와 접촉을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은 면 접촉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20)는 둘레에 연결부(1323) 및 절개부(132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323)는 상기 고정부(1320)의 둘레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32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1323)는 상기 가압부재(1500)의 가압에 따라 내측으로 벤딩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323)는 상기 고정부(13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323)는 상기 고정부(132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부(1320)의 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메쉬 시트의 장력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슬림한 외관을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향상된 조립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2)

  1. 연성 표시 패널;
    전면에 상기 연성 표시 패널이 부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단차부를 포함하는 메쉬 시트;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단차부를 포함하는 상기 메쉬 시트의 상부를 수용하며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커버하며 상기 고정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가압홀을 포함하는 탑커버; 및
    상기 가압홀에 삽입되어 고정부를 상기 메쉬 시트에 밀착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일측에서 상기 단차부를 안착하는 제1 안착부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일측이 개방된 U형 프레임이고,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U형 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탑커버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부의 타측을 안착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고정부의 둘레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배면에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배면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따라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에 상기 고정부를 가압하는 가압면을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연성 표시 패널이 위치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연성 표시 패널을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메인 롤러;
    상기 탑커버의 일측에 결합하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를 구동하여 상기 탑커버를 승강하는 링크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탑커버는
    상기 탑커버의 일측에 상기 링크부가 결합하는 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7000081A 2019-08-07 2019-08-07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7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9886 WO2021025205A1 (ko) 2019-08-07 2019-08-07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542A true KR20220018542A (ko) 2022-02-15
KR102637426B1 KR102637426B1 (ko) 2024-02-16

Family

ID=7450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081A KR102637426B1 (ko) 2019-08-07 2019-08-07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79668A1 (ko)
EP (1) EP4012690A4 (ko)
KR (1) KR102637426B1 (ko)
WO (1) WO2021025205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651A (ko) * 2014-10-22 2016-05-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70123854A (ko) * 2016-04-29 2017-1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26061A (ko) * 2016-05-04 2017-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US20180359869A1 (en) * 2017-06-13 2018-12-13 L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panel
KR101945985B1 (ko) * 2018-06-28 2019-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054427A (ko) * 2017-11-13 2019-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509B1 (ko) * 2016-09-0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651A (ko) * 2014-10-22 2016-05-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70123854A (ko) * 2016-04-29 2017-1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26061A (ko) * 2016-05-04 2017-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US20180359869A1 (en) * 2017-06-13 2018-12-13 L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panel
KR20190054427A (ko) * 2017-11-13 2019-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945985B1 (ko) * 2018-06-28 2019-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2690A4 (en) 2023-05-03
WO2021025205A1 (ko) 2021-02-11
US20220279668A1 (en) 2022-09-01
EP4012690A1 (en) 2022-06-15
KR102637426B1 (ko) 202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5116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107342019B (zh) 可卷曲显示装置
KR20220031066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5609001B (zh) 柔性显示器
KR1026506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5247B1 (ko) 표시 장치
CN112185249B (zh) 显示装置
US7719627B2 (en) Display, mobi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EP3660936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hinge
KR201800269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4276579A2 (en) Display device
US9389449B2 (en) Flat panel type image display devic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CN112419883B (zh) 显示装置
US794857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7007439B2 (ja) 表示装置
KR2019006585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53100A (ko) 표시 장치
US20070139872A1 (en) Display device assembly
KR20220018542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433445B2 (en) Display device
KR102236168B1 (ko) 표시 장치
US20220198966A1 (en) Display device
KR20220026947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217467637U (zh) 触控显示屏和智能交互平板
CN212969730U (zh) 导光装置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