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125A - 디지털 응원봉 - Google Patents

디지털 응원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125A
KR20220018125A KR1020200098028A KR20200098028A KR20220018125A KR 20220018125 A KR20220018125 A KR 20220018125A KR 1020200098028 A KR1020200098028 A KR 1020200098028A KR 20200098028 A KR20200098028 A KR 20200098028A KR 20220018125 A KR20220018125 A KR 20220018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lor led
digital
housing
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5109B1 (ko
Inventor
최성규
이기복
Original Assignee
영광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광정공(주) filed Critical 영광정공(주)
Priority to KR1020200098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109B1/ko
Publication of KR2022001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7/00Jokes; Confetti, streamers, or other dance favours ; Cracker bonbo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is supporting also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Operational modes, e.g. switching from manual to automatic mode or prohibiting specific oper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이 다양하고 응원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개선된 디지털 응원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게 구비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발광이 이루어지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된 응원봉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삼색으로 발광하는 3색 LED와; 상기 3색 LED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3색 LED에서 발생하는 광원을 균일하게 분포시켜 면광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3색 LED에서 조사되는 빛을 직진광으로 하여 외부로 방사하는 직진형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3색 LED의 색상 및 점멸 주기를 작동되게 하는 기능 스위치와; 일정 거리를 두고 적어도 2개가 설치된 스피커와; 다수의 음원이 저장되고, 상기 음원이 상기 스피커에 의해 출력되는 음원 플레이어와; 상기 3색 LED의 발광과 상기 음원 플레이어의 출력을 선택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조작하는 모드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음원 플레이어를 사용자 또는 외부의 무선 응원 제어장치가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무선 응원 제어장치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무선통신부;가 설치된 디지털 응원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응원봉{DIGITAL LIGHT STICK FOR CHEER}
본 발명은 디지털 응원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이 다양하고 응원 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개선된 디지털 응원봉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공연 또는 콘서트에서는 응원 문화가 다양화됨에 따라 여러 가지 응원도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 진행되는 콘서트의 특성상, 빛을 발할 수 있는, 야광봉, 야광팔찌, LED조명이 구비된 응원봉과 머리띠 등 다양한 응원도구가 콘서트를 즐기는 이용자에 의해 사용된다.
이러한 다양한 응원도구들은 콘서트를 즐기는 이용자에 의해 자율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관중석 또는 응원석 전체를 미리 설정된 연출 모습으로 표현하기는 사실상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다양한 응원도구들 중 응원봉은 주로 엔터테이먼트 기획사 주관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이 응원봉은 LED 조명에 의한 이미지 응원 중심의 기능을 가지고 있고, 관객이 손에 소지한 채로 직접 조명을 제어하고, 공연장 내에서만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활용도가 매우 낮고, 기능이 매우 단순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해 응원이 매우 단순하고, 공연의 재미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후술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특허문헌으로, 등록특허 제10-1942809호(2019년 01월 22일, 등록)에는 사용자 단말 및 그것을 이용한 응원봉과의 페어링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기능이 다양하게 구현되어 활용도가 높고 응원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한 디지털 응원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응원봉은,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게 구비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발광이 이루어지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된 응원봉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삼색으로 발광하는 3색 LED와;
상기 3색 LED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3색 LED에서 발생하는 광원을 균일하게 분포시켜 면광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3색 LED에서 조사되는 빛을 직진광으로 하여 외부로 방사하는 직진형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3색 LED의 색상 및 점멸 주기를 작동되게 하는 기능 스위치와;
일정 거리를 두고 적어도 2개가 설치된 스피커와;
다수의 음원이 저장되고, 상기 음원이 상기 스피커에 의해 출력되는 음원 플레이어와;
상기 3색 LED의 발광과 상기 음원 플레이어의 출력을 선택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조작하는 모드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음원 플레이어를 사용자 또는 외부의 무선 응원 제어장치가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무선 응원 제어장치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무선통신부;가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프레임에 의해 회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응원봉이 상기 무선 응원 제어장치와의 무선통신 가능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응원봉은 사용자 조작보다 우선하여 상기 무선 응원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무선 응원 제어장치는, 상기 디지털 응원봉을 사용자보다 우선하여 조작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응원봉에 상기 디지털 응원봉의 모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디지털 응원봉의 모드값이 세팅되도록 하여, 상기 스피커를 온/오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3색 LED와 LED 바 형태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지그비,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3색 LED는 상기 마이컴에 의해 광량과 칼라 및 점멸 주기가 제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드 스위치는 토글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디지털 응원봉을 음원 플레이어를 통해 스테레오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용 MP3 플레이어로 이용할 수 있고, 휴대용 플래시(flash)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3색 LED의 상부에 도광판과 직진형 렌즈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3색 LED의 광을 골고루 출사되게 하고, 출사된 광이 한 방향으로만 외부로 방사되게 함으로써, 광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고, 광 방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프레임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어, 3색 LED도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조명부를 통해 다양한 불기둥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어 응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응원봉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응원봉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무선 응원 제어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응원봉의 조명부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응원봉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는 도 1의 디지털 응원봉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의 무선 응원 제어장치의 상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는 도 1의 디지털 응원봉의 조명부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후술하는 구성의 설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을 비례척(Non-Scale)으로 도시하지 않았음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응원봉(100)은,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게 구비된 손잡이부(120)와, 이 손잡이부(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발광이 이루어지는 조명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조명부(110)는, 회로기판(105)에 실장되어 삼색으로 발광하는 3색 LED(107)와, 이 3색 LED(107)의 상부에 설치되어 3색 LED(107)에서 발생하는 광원을 균일하게 분포시켜 면광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광판(109)과, 이 도광판(109)의 외부에 설치되어 3색 LED(107)에서 조사되는 빛을 직진광으로 하여 외부로 방사하는 직진형 렌즈(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직진형 렌즈(103)는 일반적인 전구의 유리구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진형 렌즈(103)는 조립성, 생산성 및 원가절감을 위해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직진형 렌즈(103)와 그 하부에서 조립되는 지지커버(101)도 반구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명 또는 렌즈 기능이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지지커버(101)도 직진형 렌즈(103)와 동일한 소재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105)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프레임(111)에 의해 회전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20)는, 하우징(121)과, 손잡이부(120)의 내부를 확인할 수도 있고, 배터리(160) 등의 부품을 체크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커버부재(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1)에는, 3색 LED(107)의 광량, 칼라 및 점멸 주기를 작동되게 하는 기능 스위치(133)와, 일정 거리를 두고 적어도 2개가 설치된 스피커(170a,170b)와, 외부 기기와 무선통신을 하여 예컨대, MP3 파일 등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음원(MIDI)을 제공받아 저장하고, 상기 음원이 스피커(170a,170b)에 의해 출력되는 음원 플레이어(180)와, 3색 LED(107)의 발광과 음원 플레이어(180)를 선택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조작하는 모드 스위치(135)가 설치된다.
즉, 상기 3색 LED(107)는, 3색으로 발광 가능하게 구비되며, 디지털 응원봉(100)의 마이컴(140)에 의해 광량과 칼라 및 발광 주기가 제어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1) 내에는 음원 플레이어(180)를 사용자 또는 외부의 무선 응원 제어장치(200)가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마이컴(140)과, 무선 응원 제어장치(200)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우징(121) 내에 설치된 무선통신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무선 응원 제어장치(200)는 예컨대, 콘서트장의 엔터테인먼트 기획사에 구비된 장치이다.
이렇게 기능 스위치(133)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3색 LED(107)의 광량, 칼라 및 점멸 주기를 제어하고, 상기 모드 스위치(135)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3색 LED(107)와 음원 플레이어(180)를 선택적으로 조작되게 마이컴(140)이 제어한다.
또한, 상기 무선 응원 제어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음원이나 응원구호 등의 응원 관련 콘텐츠가 저장되어 디지털 응원봉(100)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210)와, 이 콘텐츠 제공부(210)의 음원 등을 상기 디지털 응원봉(100)으로 무선통신을 통해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고 디지털 응원봉(100)을 원격 제어하는 제어부(220)와, 이 제어부(220) 등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230)와, 디지털 응원봉(100)과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통신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응원봉(100)과 무선 응원 제어장치(200)의 무선통신부(190,240)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및 와이파이(wifi)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손잡이부(120)의 하우징(121)에 설치된 회로 구성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별도로 설치된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디지털 응원봉(100)이 무선 응원 제어장치(200)와의 무선통신 가능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디지털 응원봉(100)은 사용자 조작보다 우선하여 상기 무선 응원 제어장치(200)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 응원 제어장치(200)는 디지털 응원봉(100)을 사용자보다 우선하여 조작되도록 하기 위해, 디지털 응원봉(100)에 디지털 응원봉(100)의 모드 정보를 전송하여 디지털 응원봉(100)의 모드값이 세팅되도록 하여, 상기 스피커(170a,170b)를 온(ON)/오프(OFF) 제어한다.
또한, 상기 3색 LED(107)는 하나의 회로기판(105)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LED 바(bar)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모드 스위치(135)는 토글 스위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음원 플레이어(180)는, 무선 응원 제어장치(200)에 의해 무선 및 원격으로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응원봉(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60)가 구비되며, 이 배터리(160)는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충,방전이 가능한 2차전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피커(170a,170b)는 사용의 편리성 및 휴대성을 위해 증폭기(173)가 일체로 된 액티브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응원봉(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LCD 등으로 이루어진 표시부(150)가 구비될 수 있고, 이 표시부(150)에는 디지털 응원봉(100)의 작동 상태, 배터리(160)의 잔량, 음원 플레이어(180)의 곡목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응원봉(100)은 무선통신부(190)가 구비되어 있어, 스마트폰(300)과 무선통신(예컨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300)으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다양한 음원을 전송받을 수 있으며, 스마트폰(300)의 음원을 디지털 응원봉(100)의 스피커(170a,170b)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번호 131은 디지털 응원봉(1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스위치(131)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4에서 미설명 도면번호 161은 회로기판(105)과 배터리를 연결하는 트위스트 케이블을 나타내 보인 것으로, 회전 프레임(111)이 회전할 때, 엉키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응원봉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우선, 하우징(121)에 구비된 전원 스위치(131)를 온(ON)시키면, 표시부(150)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가 되며, 배터리(160)의 잔량도 표시된다.
이어서, 하우징(121)에 구비된 모드 스위치(135)를 조작하여 3색 LED(107)를 작동시켜 조명부(110)에 조명이 들어오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드 스위치(135)를 조작하여 음원 플레이어(180)를 작동시켜 음원이 재생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모드 스위치(135)는 토글 스위치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일방향으로 밀면(스위칭 하면) 조명부(110)가 작동되고, 반대 방향으로 밀면 음원 플레이어(180)가 작동한다.
이러한 모드 스위치(135)를 이용하여, 음원 플레이어(180)가 작동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응원봉(100)의 하우징(121)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스피커(170a,170b)가 구비되어 있어 즉, L-R채널의 스피커(170a,170b)가 구비되어 있어, 음원 플레이어(180)의 스테레오 출력(또는 재생)이 가능하다.
그리고 모드 스위치(135)로 조명부(110)(110)를 작동시키는 경우, 하우징(121)에는 기능 스위치(133)가 구비되어 있어, 3색 LED(107)의 색상 및 점멸 주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3색 LED(107)의 상부에는 도광판(109)이 설치되어 있고, 이 도광판(109)의 외부에는 직진형 렌즈(103)로 커버되어 있어, 3색 LED(107)에서 발생하는 광원을 균일하게 분포시켜 면광원화가 이루어지고, 도광판(109)을 나온 3색 LED(107)의 빛은 직진형 렌즈(103)를 통해 직진광으로 외부로 방사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응원봉(100)은 3색 LED(107)의 광을 골고루 출사하게 하고, 출사된 광이 한 방향으로만 외부로 방사되게 함으로써, 광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응원봉(100)은, 광 방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105)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프레임(111)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3색 LED(107)도 함께 회전을 한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부(120)를 파지하고 회전을 시키면, 회전 프레임(111)이 회전을 하고, 이에 따라 회전 프레임(111)에 설치된 회로기판(105)도 회전을 하게 되어, 결국 3색 LED(107)도 회전하는 효과가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조명부(110)를 통해 다양한 불기둥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어, 응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응원봉(100)은, 응원시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휴대용 MP3 플레이어로 사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조명으로도 다양한 효과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모드 스위치(135)나 기능 스위치(133)를 이용하여 사용자 임의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디지털 응원봉
101. 지지커버
103. 직진형 렌즈
105. 회로기판
107. 3색 LED
109. 도광판
110. 조명부
111. 회전 프레임
120. 손잡이부
121. 하우징
133. 기능 스위치
135. 모드 스위치
140. 마이컴
150. 표시부
160. 배터리
170a,170b. 스피커
180. 음원 플레이어
190. 무선통신부
200. 무선 응원 제어장치
300. 스마트폰

Claims (8)

  1. 손으로 파지가 가능하게 구비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발광이 이루어지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된 응원봉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삼색으로 발광하는 3색 LED와;
    상기 3색 LED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3색 LED에서 발생하는 광원을 균일하게 분포시켜 면광원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3색 LED에서 조사되는 빛을 직진광으로 하여 외부로 방사하는 직진형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3색 LED의 색상 및 점멸 주기를 작동되게 하는 기능 스위치와;
    일정 거리를 두고 적어도 2개가 설치된 스피커와;
    다수의 음원이 저장되고, 상기 음원이 상기 스피커에 의해 출력되는 음원 플레이어와;
    상기 3색 LED의 발광과 상기 음원 플레이어의 출력을 선택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조작하는 모드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음원 플레이어를 사용자 또는 외부의 무선 응원 제어장치가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무선 응원 제어장치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무선통신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응원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프레임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응원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응원봉이 상기 무선 응원 제어장치와의 무선통신 가능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디지털 응원봉은 사용자 조작보다 우선하여 상기 무선 응원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응원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응원 제어장치는, 상기 디지털 응원봉을 사용자보다 우선하여 조작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응원봉에 상기 디지털 응원봉의 모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디지털 응원봉의 모드값이 세팅되도록 하여, 상기 스피커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응원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색 LED와 LED 바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응원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지그비,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이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응원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색 LED는 상기 마이컴에 의해 광량과 칼라 및 점멸 주기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응원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스위치는 토글 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응원봉.
KR1020200098028A 2020-08-05 2020-08-05 디지털 응원봉 KR102405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028A KR102405109B1 (ko) 2020-08-05 2020-08-05 디지털 응원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028A KR102405109B1 (ko) 2020-08-05 2020-08-05 디지털 응원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125A true KR20220018125A (ko) 2022-02-15
KR102405109B1 KR102405109B1 (ko) 2022-06-08

Family

ID=8032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028A KR102405109B1 (ko) 2020-08-05 2020-08-05 디지털 응원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1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686A (ko) * 2001-09-25 2003-04-10 배영호 발광막대
JP2009192915A (ja) * 2008-02-15 2009-08-27 Sony Corp レンズ、光源ユニット、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CN104436706A (zh) * 2013-09-24 2015-03-25 周付丽 一种多彩舞曲音乐发光棒结构
KR20190111485A (ko) * 2018-03-23 2019-10-02 최귀현 응원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686A (ko) * 2001-09-25 2003-04-10 배영호 발광막대
JP2009192915A (ja) * 2008-02-15 2009-08-27 Sony Corp レンズ、光源ユニット、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CN104436706A (zh) * 2013-09-24 2015-03-25 周付丽 一种多彩舞曲音乐发光棒结构
KR20190111485A (ko) * 2018-03-23 2019-10-02 최귀현 응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109B1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09970C (en) Starry projection lamp
CN204240313U (zh) 一种无线音箱灯
JP6643650B2 (ja) ライト調整システムおよびライト
CN203788513U (zh) 一种演唱会红外线灯光控制系统
CN205545795U (zh) 带闪灯的蓝牙运动耳机
US20170013337A1 (en) Plant speaker
KR102405109B1 (ko) 디지털 응원봉
CN105509018A (zh) 智能蓝牙音响灯
KR102447873B1 (ko) 디지털 응원봉을 이용한 응원 운영시스템
JP3211345U (ja) 照明装置
CN208124076U (zh) 一种智能无线音乐筒灯
JP3224843U (ja) 多機能ステレオライト及び多機能ステレオガーデンスパイクライト
KR101659428B1 (ko)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복합 조명 시스템
JP2017091840A (ja) 灯具システム及び灯具
CN210958665U (zh) 一种蓝牙音响灯串
TWM508752U (zh) 閃光棒
JP3213469U (ja) 照明装置
CN205332154U (zh) 智能蓝牙音响灯
CN206207284U (zh) 一种多功能桌面摆饰灯
CN210609825U (zh) 一种带组网功能的太阳能音乐火焰灯
KR102345027B1 (ko)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액자
JP7462284B2 (ja) 発光具
CN214707948U (zh) 一种音频播放器
CN216345559U (zh) 一种氛围手提灯
CN217063976U (zh) 充电结构及无线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