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598A - 캔들 스틱 차트 및 가격 이동 평균선의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자 상품의 자동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캔들 스틱 차트 및 가격 이동 평균선의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자 상품의 자동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598A
KR20220017598A KR1020200097751A KR20200097751A KR20220017598A KR 20220017598 A KR20220017598 A KR 20220017598A KR 1020200097751 A KR1020200097751 A KR 1020200097751A KR 20200097751 A KR20200097751 A KR 20200097751A KR 20220017598 A KR20220017598 A KR 20220017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ce
decision
negative
candle
curre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1537B1 (ko
Inventor
심규민
Original Assignee
심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규민 filed Critical 심규민
Priority to KR1020200097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53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7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들 스틱 차트 및 가격 이동 평균선의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자 상품의 자동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획득한 캔들 스틱 차트 및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 또는 매도의 의사 결정을 수행하고,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 또는 매도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캔들 스틱 차트 및 가격 이동 평균선의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자 상품의 자동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TRADING OF INVESTMENT PRODUCTS BASED ON STATISTICAL DATA OF PRICE MOVING AVERAGE LINE AND CANDLE STICK CHART}
본 발명은 캔들 스틱 차트 및 가격 이동 평균선의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자 상품의 자동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획득한 캔들 스틱 차트 및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 또는 매도의 의사 결정을 수행하고,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 또는 매도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전자 장치를 이용해 서버에 접속하여 투자 정보를 획득하고 매매 주문을 할 수 있는 홈 트레이딩 시스템(home trading system, HTS)의 발달로 인하여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시장에 대한 참여도가 높아지고 있다. 개인 투자자들이 직접 투자를 수행할 수 있는 투자 상품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획득할 수 있는 정보 또한 많아지고 있다.
개인 투자자들은 통계에 기초하여 매수 또는 매도의 기준을 정하지 않고 감정을 개입하여 매수 또는 매도의 의사를 결정함으로써 투자 수익을 많이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개인 투자자들이 투자 상품에 대한 거래를 수행함에 있어서 자주 저지르는 실수로는, i) 통계에 기초하지 않고 무작위로 매수를 하는 행위, ii) 매매에 들어가는 시드 머니(seed money)를 무작위로 설정하는 행위, iii) 시장 변동에 대하여 대응이 어려운 프레임에 기초하여 매매 의사를 결정하는 행위 등이 있다. 이러한 실수는 단순히 투자 수익을 많이 얻지 못하는 정도를 넘어서 개인 투자자들에게 큰 손해를 안기는 결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투자 상품의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과거의 지표상 움직임에 기초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인간의 감정을 배제하고 이러한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매매의 의사를 결정할 수 있다면 잘못된 투자로 인한 손해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자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투자 상품 중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서버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종목에 대한 자동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69245호 (2019.06.14.) (이동평균선 분석을 기초로 하는 주식투자방법)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 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자 상품 중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서버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종목에 대한 자동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자 상품 중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서버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매수, 매도 또는 보류의 의사 결정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자 상품 중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서버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종목의 가격 상승 또는 하락에 대한 신뢰성 있는 예측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자 상품 중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서로 다른 기준 시점에 서버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거래의 의사를 결정함으로써, 거래 기회를 확대하고 슬리피지(slippage)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속적인 양봉의 발생, 또는 연속적인 음봉의 발생에 따라 매수 또는 매도의 금액을 설정된 비율만큼 증가 또는 감소함으로써 이익을 늘리고 손실을 줄이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투자 상품의 거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메모리,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투자 상품은 유가 증권(security), 채권(bonds), 뮤추얼 펀드(mutual fund), 파생 상품(derivative), 통화(currency) 또는 암호 화폐(cryptocurrenc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투자 상품은 적어도 하나의 종목으로 구성된다. 상기 투자 상품의 거래 방법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목 중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일별 24 시간 중 특정 시점을 기준 시점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캔들 스틱 차트(candle stick chart)의 정보, 설정된 기간 단위의 가격 이동 평균선(moving average trendline)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캔들 스틱 차트는 상기 기준 시점의 가격을 시가(opening price), 상기 기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이후 시점에 대한 직전 시점의 가격을 종가(closing price), 상기 기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내 가장 높은 가격을 최고가(highest price), 상기 기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내 가장 낮은 가격을 최저가(lowest price)로 설정하고, 상기 캔들 스틱 차트는 24시간 별로 상기 시가, 상기 종가, 상기 최고가, 상기 최저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캔들 스틱(candle stick)으로 구성되며, 상기 캔들 스틱은 상기 종가가 상기 시가보다 높은 경우 양봉(bullish candle stick)이고, 상기 캔들 스틱은 상기 종가가 상기 시가보다 낮은 경우 음봉(bearish candle stick)이며, 상기 캔들 스틱의 길이는 상기 시가와 상기 종가의 차이의 절대 값이고,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은 상기 설정된 기간 단위에 대하여 상기 시가의 이동 평균을 나타내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현재 시점부터 설정된 과거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상기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및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임계 요소(threshold factor)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하나 이상의 임계 요소는 임계 양봉 비율, 임계 음봉 비율, 임계 양봉 길이, 임계 음봉 길이, 임계 연속 양봉 개수, 임계 연속 음봉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임계 양봉 비율은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한 직전 소정의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비율의 평균이고, 상기 임계 음봉 비율은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음봉에 대한 직전 소정의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비율의 평균이며, 상기 임계 양봉 길이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한 직전 소정의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평균 길이의 평균이고, 상기 임계 음봉 길이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음봉에 대한 직전 소정의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평균 길이의 평균이며, 상기 임계 연속 양봉 개수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하여 직전에 존재한 연속 양봉의 개수의 평균이고, 상기 임계 연속 음봉 개수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하여 직전에 존재한 연속 음봉의 개수의 평균이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의사 결정 요소(decision making factor)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buy), 매도(sell) 또는 보류(hold) 중 하나의 의사 결정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하나 이상의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위에 있는지 또는 아래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양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음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양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음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양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양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음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음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매수 또는 매도의 의사 결정이 수행된 경우,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매수 또는 매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투자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투자 상품은 유가 증권(security), 파생 상품(derivative), 통화(currency) 또는 암호 화폐(cryptocurrenc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투자 상품은 적어도 하나의 종목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자 장치는, 메모리, 송수신기,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송수신기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투자 상품의 거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투자 상품의 거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투자 상품 중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서버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종목에 대한 자동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자 상품 중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서버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매수, 매도 또는 보류의 의사 결정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자 상품 중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서버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된 종목의 가격 상승 또는 하락에 대한 신뢰성 있는 예측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자 상품 중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서로 다른 기준 시점에 서버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거래의 의사를 결정함으로써, 거래 기회를 확대하고 슬리피지(slippage)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속적인 양봉의 발생, 또는 연속적인 음봉의 발생에 따라 매수 또는 매도의 금액을 설정된 비율만큼 증가 또는 감소함으로써 이익을 늘리고 손실을 줄이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투자 상품의 거래 방법에 대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캔들 스틱 차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캔들 스틱 차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캔들 스틱 차트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전자 장치(110),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120), 서버(13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10)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서버(130)로부터 투자 상품 중 설정된 종목의 가격 변동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설정된 기간 단위의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 등을 획득하고, 서버(130)에게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 또는 매도의 지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단말 장치이다. 전자 장치(110)는 컴퓨터, 셀룰러 폰, 스마트 폰 및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송수신부, 정보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120)는, 전자 장치(110) 및 서버(130)가 서로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120)는 특정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현 예에 따라 적절한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 기초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경우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120)는 유무선 인터넷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10) 및 서버(130)가 이동 통신 단말로서 구현되는 경우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120)는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130)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하여 전자 장치(110)에게 투자 상품 중 설정된 종목의 가격 변동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설정된 기간 단위의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 등을 전송하고, 전자 장치(110)로부터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 또는 매도의 지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이다. 서버(130)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송수신부, 정보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메모리(111), 송수신부(112) 및 프로세서(113)를 포함한다.
메모리(111)는, 송수신부(112)와 연결되고 통신을 통해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투자 상품 중 설정된 종목의 가격 변동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1)는, 프로세서(113)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13)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프로세서(113)의 연산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1)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11)는 프로세서(113)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송수신부(112)는, 프로세서(113)와 연결되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송수신부(113)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 또는 송수신기(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송수신기(112)는 유선 접속 시스템 및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xx 시스템, IEEE Wi-Fi 시스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시스템,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3GPP 5G NR(new radio) 시스템, 3GPP2 시스템, 블루투스(bluetooth) 등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프로세서(113)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3)는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캔들 스틱 차트 및 가격 이동 평균선의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자 상품의 자동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6)는 송수신부(115)를 통해 정보 등을 전송 또는 수신한다. 또한, 프로세서(116)는 메모리(112)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프로세서(116)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130)는 메모리(131), 송수신부(132) 및 프로세서(133)를 포함한다.
서버(130)는 투자 상품에 대한 거래를 수행 또는 중개하는 업체에 운영되는 서버를 의미한다. 서버(130)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 또는 매도의 지시 메시지에 기초하여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 또는 매도를 수행 또는 중개한다.
메모리(131)는, 송수신부(132)와 연결되고 통신을 통해 수신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1)는, 프로세서(133)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33)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프로세서(133)의 연산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1)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31)는 프로세서(133)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송수신부(132)는, 프로세서(133)와 연결되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송수신부(132)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 또는 송수신기(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송수신기(132)는 유선 접속 시스템 및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xx 시스템, IEEE Wi-Fi 시스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시스템,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3GPP 5G NR(new radio) 시스템, 3GPP2 시스템, 블루투스(bluetooth) 등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프로세서(133)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33)는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10)에게 투자 상품 중 설정된 종목의 가격 변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전자 장치(110)의 지시에 따라서 설정된 종목에 대한 거래를 수행하는 서버(13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3)는 송수신부(132)를 통해 정보 등을 전송 또는 수신한다. 또한, 프로세서(133)는 메모리(131)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프로세서(135)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투자 상품의 거래 방법에 대한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110)와 서버(130)의 통신을 통해 투자 상품의 설정된 종목에 대한 거래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투자 상품은 유가 증권(security), 채권(bonds), 뮤추얼 펀드(mutual fund), 파생 상품(derivative), 통화(currency) 또는 암호 화폐(cryptocurrenc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투자 상품은 적어도 하나의 종목으로 구성된다.
S401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종목 중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일별 24 시간 중 특정 시점을 기준 시점으로 결정한다.
S402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서버(130)에게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캔들 스틱 차트(candle stick chart)의 정보, 설정된 기간 단위의 가격 이동 평균선(moving average trendline)의 정보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캔들 스틱 차트는 상기 기준 시점의 가격을 시가(opening price), 상기 기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이후 시점에 대한 직전 시점의 가격을 종가(closing price), 상기 기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내 가장 높은 가격을 최고가(highest price), 상기 기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내 가장 낮은 가격을 최저가(lowest price)로 설정한다. 캔들 스틱 차트는 24시간 별로 상기 시가, 상기 종가, 상기 최고가, 상기 최저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캔들 스틱(candle stick)으로 구성된다. 상기 캔들 스틱은 상기 종가가 상기 시가보다 높은 경우 양봉(bullish candle stick)이고, 상기 캔들 스틱은 상기 종가가 상기 시가보다 낮은 경우 음봉(bearish candle stick)이다. 상기 캔들 스틱의 길이는 상기 시가와 상기 종가의 차이의 절대 값이다. 가격 이동 평균선은 설정된 기간 단위에 대하여 시가의 이동 평균을 나타낸다.
S403 단계에서, 서버(130)는 전자 장치(110)에게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캔들 스틱 차트(candle stick chart)의 정보, 설정된 기간 단위의 가격 이동 평균선(moving average trendline)의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S404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현재 시점부터 설정된 과거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상기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및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임계 요소(threshold factor)를 결정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임계 요소는 임계 양봉 비율, 임계 음봉 비율, 임계 양봉 길이, 임계 음봉 길이, 임계 연속 양봉 개수, 임계 연속 음봉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임계 양봉 비율은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한 직전 소정의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비율의 평균이다. 상기 임계 음봉 비율은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음봉에 대한 직전 소정의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비율의 평균이다. 상기 임계 양봉 길이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한 직전 소정의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평균 길이의 평균이다. 상기 임계 음봉 길이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음봉에 대한 직전 소정의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평균 길이의 평균이다. 상기 임계 연속 양봉 개수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하여 직전에 존재한 연속 양봉의 개수의 평균이다. 상기 임계 연속 음봉 개수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하여 직전에 존재한 연속 음봉의 개수의 평균이다.
S405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하나 이상의 의사 결정 요소(decision making factor)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buy), 매도(sell) 또는 보류(hold) 중 하나의 의사 결정을 수행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위에 있는지 또는 아래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양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음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양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음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양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양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음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음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만족된 매수 의사 결정 요소(buying decision factor)의 개수가 임계 매수 의사 결정 요소 개수(threshold buying decision factor number)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매수를 결정한다. 상기 매수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위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양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양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양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양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현재 시점부터 설정된 과거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상기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및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 매수 의사 결정 요소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임계 매수 의사 결정 요소 개수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하여 만족된 매매 의사 결정 요소의 개수의 평균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만족된 매도 의사 결정 요소(selling decision factor)의 개수가 임계 매도 의사 결정 요소 개수(threshold selling decision factor number)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매도를 결정한다. 상기 매도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아래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음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음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음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음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현재 시점부터 설정된 과거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상기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및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 매도 의사 결정 요소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임계 매도 의사 결정 요소 개수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음봉에 대하여 만족된 매매 의사 결정 요소의 개수의 평균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는 만족된 매수 의사 결정 요소(buying decision factor)의 개수가 임계 매수 의사 결정 요소 개수(threshold buying decision factor number)보다 작고, 만족된 매도 의사 결정 요소(selling decision factor)의 개수가 임계 매도 의사 결정 요소 개수(threshold selling decision factor number)보다 작은 경우, 보류를 결정한다. 상기 매수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위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양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양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양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양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매도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아래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음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음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음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음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S406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매수 또는 매도의 의사 결정이 수행된 경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매수 또는 매도를 지시하는 지시 메시지를 서버(130)에게 전송한다.
S407 단계에서, 서버(130)는 수신한 지시 메시지에 따라서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 또는 매도를 중개 또는 수행한다.
S408 단계에서, 서버(130)는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 또는 매도가 체결된 경우, 전자 장치(110)에게 지시 메시지에 기초한 매수 또는 매도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투자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과정이 도시된다. 상기 전자 장치는 메모리,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투자 상품은 유가 증권(security), 채권(bonds), 뮤추얼 펀드(mutual fund), 파생 상품(derivative), 통화(currency) 또는 암호 화폐(cryptocurrenc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투자 상품은 적어도 하나의 종목으로 구성된다.
S501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목 중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일별 24 시간 중 특정 시점을 기준 시점으로 결정한다.
S502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캔들 스틱 차트(candle stick chart)의 정보, 설정된 기간 단위의 가격 이동 평균선(moving average trendline)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획득한다. 상기 캔들 스틱 차트는 상기 기준 시점의 가격을 시가(opening price), 상기 기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이후 시점에 대한 직전 시점의 가격을 종가(closing price), 상기 기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내 가장 높은 가격을 최고가(highest price), 상기 기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내 가장 낮은 가격을 최저가(lowest price)로 설정한다. 상기 캔들 스틱 차트는 24시간 별로 상기 시가, 상기 종가, 상기 최고가, 상기 최저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캔들 스틱(candle stick)으로 구성된다. 상기 캔들 스틱은 상기 종가가 상기 시가보다 높은 경우 양봉(bullish candle stick)이고, 상기 캔들 스틱은 상기 종가가 상기 시가보다 낮은 경우 음봉(bearish candle stick)이다. 상기 캔들 스틱의 길이는 상기 시가와 상기 종가의 차이의 절대 값이다.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은 상기 설정된 기간 단위에 대하여 상기 시가의 이동 평균을 나타낸다.
S503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현재 시점부터 설정된 과거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상기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및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임계 요소(threshold factor)를 결정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임계 요소는 임계 양봉 비율, 임계 음봉 비율, 임계 양봉 길이, 임계 음봉 길이, 임계 연속 양봉 개수, 임계 연속 음봉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임계 양봉 비율은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한 직전 소정의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비율의 평균이다. 상기 임계 음봉 비율은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음봉에 대한 직전 소정의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비율의 평균이다. 상기 임계 양봉 길이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한 직전 소정의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평균 길이의 평균이다. 상기 임계 음봉 길이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음봉에 대한 직전 소정의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평균 길이의 평균이다. 상기 임계 연속 양봉 개수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하여 직전에 존재한 연속 양봉의 개수의 평균이다. 상기 임계 연속 음봉 개수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하여 직전에 존재한 연속 음봉의 개수의 평균이다.
S504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의사 결정 요소(decision making factor)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buy), 매도(sell) 또는 보류(hold) 중 하나의 의사 결정을 수행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위에 있는지 또는 아래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양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음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양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음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양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양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음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음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만족된 매수 의사 결정 요소(buying decision factor)의 개수가 임계 매수 의사 결정 요소 개수(threshold buying decision factor number)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매수를 결정한다. 상기 매수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위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양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양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양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양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현재 시점부터 설정된 과거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상기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및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 매수 의사 결정 요소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임계 매수 의사 결정 요소 개수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하여 만족된 매매 의사 결정 요소의 개수의 평균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만족된 매도 의사 결정 요소(selling decision factor)의 개수가 임계 매도 의사 결정 요소 개수(threshold selling decision factor number)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매도를 결정한다. 상기 매도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아래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음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음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음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음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현재 시점부터 설정된 과거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상기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및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 매도 의사 결정 요소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임계 매도 의사 결정 요소 개수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음봉에 대하여 만족된 매매 의사 결정 요소의 개수의 평균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만족된 매수 의사 결정 요소(buying decision factor)의 개수가 임계 매수 의사 결정 요소 개수(threshold buying decision factor number)보다 작고, 만족된 매도 의사 결정 요소(selling decision factor)의 개수가 임계 매도 의사 결정 요소 개수(threshold selling decision factor number)보다 작은 경우, 보류를 결정한다. 상기 매수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위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양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양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양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양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매도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아래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음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음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음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음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S50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매수 또는 매도의 의사 결정이 수행된 경우,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매수 또는 매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특정 시점으로부터 정수 배의 시간(hour) 후에,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일별 24 시간 중 상기 특정 시점으로부터 상기 정수 배의 시간 후의 시점을 새로운 기준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수 배의 시간은 1시간 이상 23 시간 이하의 시간이다.
또한, 전자 장치는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새로운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상기 설정된 기간 단위의 새로운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새로운 캔들 스틱 차트는 상기 새로운 기준 시점의 가격을 새로운 시가, 상기 새로운 기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이후 시점에 대한 직전 시점의 가격을 새로운 종가, 상기 새로운 기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내 가장 높은 가격을 새로운 최고가, 상기 새로운 기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내 가장 낮은 가역을 새로운 최저가로 설정하고, 상기 새로운 가격 이동 평균선은 상기 설정된 기간 단위에 대하여 상기 새로운 시가의 이동 평균을 나타낸다.
또한, 전자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현재 시점부터 설정된 과거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상기 새로운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및 상기 새로운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새로운 임계 요소(threshold factor)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새로운 의사 결정 요소(decision making factor)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buy), 매도(sell) 또는 보류(hold) 중 하나의 새로운 의사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새로운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하나 이상의 새로운 임계 요소에 기초한다.
또한, 전자 장치는 매수 또는 매도의 새로운 의사 결정이 수행된 경우,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매수 또는 매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는 상술한 동작들을 반복하여 수행하고,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매수의 의사 결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매수를 수행하는 금액을 이전보다 설정된 비율만큼 증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는 상술한 동작들을 반복하여 수행하고,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매도의 의사 결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매도를 수행하는 금액을 이전보다 설정된 비율만큼 증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캔들 스틱 차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예시적인 투자 상품의 예시적인 종목에 대한 일 단위의 예시적인 캔들 스틱 차트와 25일 단위의 예시적인 가격 이동 평균선을 도시한다.
도 6과 같이, 캔들 스틱 차트에서 가격 이동 평균선을 25일과 같은 특정 기간으로 설정하고, 일별 24 시간 중 특정 시점, 예를 들어, 오전 9시와 같은 특정 시점을 기준 시점으로 결정하고, 가격 이동 평균선의 기준을 종가(closing price)가 아닌 시가(opening price)로 설정할 경우, 캔들 스틱 차트 상 일 단위의 현재 가격, 즉, 오늘의 가격이 오늘 기준 시점에서의 시가로 고정되기 때문에, 캔들 스틱 차트 상 현재 가격이 움직이지 않으며, 고정된 가격 이동 평균선을 얻을 수 있다.
가격 이동 평균선에 대하여 설정한 기간에 대하여 25일의 설정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구현에 따라서 6일, 또는 10일, 또는 75일, 또는 100일, 또는 150일, 또는 200일 중 어느 하나와 같이 다양한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25일 이하의 기간으로 설정된 가격 이동 평균선을 단기선이라 하고, 25일 초과 100일 이하의 기간으로 설정된 가격 이동 평균선을 중기선이라 하며, 100일 초과의 기간으로 설정된 가격 이동 평균선을 장기선이라 부른다.
가격 이동 평균선이 고정된 상태에서 캔들 스틱 차트를 보면, 가격 이동 평균선 위에서 양봉의 수가 많고 가격 이동 평균선 아래에서 음봉의 수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격 이동 평균선이 고정된 상태에서 캔들 스틱 차트를 보면, 가격 이동 평균선 위에서 양봉의 길이가 더 길고 가격 이동 평균선 아래에서 음봉의 수가 더 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움직이지 않은 고정된 가격 이동 평균선을 통해서 양봉의 수와 길이, 음봉의 수와 길이에 대하여 24 시간 동안 유효하게 고정적인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만약, 가격 이동 평균선의 기준을 시가(opening price)가 아닌 종가(closing price)로 설정할 경우,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 거래에 대한 의사 결정의 판단을 하는 시점의 가격 이동 평균선과 의사 결정에 기초하여 실제 거래를 수행하는 시점의 가격 이동 평균선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종가 기준 가격 이동 평균선에 기초하여 현재 시점이 양봉일 확률이 높다고 판단하고 매수를 결정하였는데, 매수를 실제 수행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종가 기준으로 가격 이동 평균선이 변경되어 매수를 실제 수행하는 시점에서 음봉일 확률이 높은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고정된 가격 이동 평균선을 기준으로 현재 시점의 양봉 또는 음봉 여부를 판단하고, 거래 의사 결정 및 거래의 수행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봉이 더 길고 많다는 것은 가격 이동 평균선 위에서 양봉의 시가에서 사서 종가에 팔면 통계적으로 높은 확률에 기초하여 수익을 올릴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음봉이 더 길고 많다는 것은 가격 이동 평균선 아래에서 음봉의 시가에서 팔면 통계적으로 높은 확률에 기초하여 손실을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격 이동 평균선 아래에서 숏 커버링(short covering)을 하여 수익을 올릴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A 구간은 과거의 데이터 상 음봉이 많았고 또한 음봉이 길었던 구간이며, B 구간은 과거의 데이터 상 양봉이 많았고 또한 양봉이 길었던 구간이다. 과거의 데이터에 기초하면 현재 시점이 음봉의 구간인지 또는 양봉의 구간인지 높은 확률로 결정할 수 있다.
현재 시점의 캔들이 양봉일지 또는 음봉일지 여부를 과거의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예측할 수 있으며, 양봉일 확률이 높은 경우 매수의 의사 결정을 할 수 있고, 음봉일 확률이 높은 경우 매도의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양봉일 확률이 높지 않고 음봉일 확률도 높지 않은 경우 보류의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의사 결정 요소(decision making factor)에 기초하여 설정된 종목에 대한 양봉 또는 음봉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매수(buy), 매도(sell) 또는 보류(hold) 중 하나의 의사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위에 있는지 또는 아래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양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음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양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음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양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양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음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음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만족된 매수 의사 결정 요소(buying decision factor)의 개수가 임계 매수 의사 결정 요소 개수(threshold buying decision factor number)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현재 시점의 캔들 스틱이 양봉일 확률이 높다고 판단하고, 매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매수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위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양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양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양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양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때, 현재 시점부터 설정된 과거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상기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및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 매수 의사 결정 요소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임계 매수 의사 결정 요소 개수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하여 만족된 매매 의사 결정 요소의 개수의 평균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만족된 매도 의사 결정 요소(selling decision factor)의 개수가 임계 매도 의사 결정 요소 개수(threshold selling decision factor number)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현재 시점의 캔들 스틱이 음봉일 확률이 높다고 판단하고, 매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매도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아래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음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음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음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음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때, 현재 시점부터 설정된 과거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상기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및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 매도 의사 결정 요소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임계 매도 의사 결정 요소 개수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음봉에 대하여 만족된 매매 의사 결정 요소의 개수의 평균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만족된 매수 의사 결정 요소(buying decision factor)의 개수가 임계 매수 의사 결정 요소 개수(threshold buying decision factor number)보다 작고, 만족된 매도 의사 결정 요소(selling decision factor)의 개수가 임계 매도 의사 결정 요소 개수(threshold selling decision factor number)보다 작은 경우, 현재 시점의 캔들 스틱이 양봉일 확률과 현재 시점이 음봉일 확률 모두 낮다고 판단하고, 거래의 보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인 투자자는 투자 상품에 대한 매매를 수행할 경우, 예를 들어, 300 만원에 대응하는 가치의 상품을 시가에 산 뒤 가치가 330 만원이 될 경우 팔고, 상품의 가치가 다시 300 만원이 되면 산 뒤 가치가 290 만원이 될 경우 파는 등의 과정을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거래 방법은 불필요하게 시드 머니(seed money)의 전액을 사용하여 매수 또는 매도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품의 가치가 설정된 특정 가치, 예를 들어, 300 만원이 되면 시가에 사고, 설정된 가치, 예를 들어 330 만원이 되면 상승한 가치인 30 만원에 대응하는 상품만을 팔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품의 가치가 설정된 특정 가치, 예를 들어, 300 만원이 되면 시가에 사고, 설정된 가치, 예를 들어 290 만원이 되면 차액인 10 만원에 대응하는 상품을 추가로 살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할 경우, 시드 머니의 전액을 사용하여 매수 또는 매도를 수행하지 않고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거래 수수료 측면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한 자동 거래는, 통계적으로, 가격 이동 평균선 위에서 양봉이 더 많고 양봉의 길이가 더 길며, 가격 이동 평균선 아래에서 음봉이 더 많고 음봉의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양봉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을 때 매수하고, 음봉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을 때 매도함으로써, 수익의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현재 시점이 양봉일 확률이 높다고 판단하여 매수를 결정할 때, 양봉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점진적으로 매수를 수행하는 금액을 이전보다 설정된 비율만큼 증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MDD(maximum draw down)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현재 시점이 음봉일 확률이 높다고 판단하여 매도를 결정할 때, 음봉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점진적으로 매도를 수행하는 금액을 이전보다 설정된 비율만큼 증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종목에 총 시드 머니의 1%만 매매에 진입하도록 한다면, 좋지 않은 장에서는 총 시드 머니의 8%만 진입하고, 좋은 장에서는 매수 타점이 많이 발생하여 100%의 시드 머니를 모두 매수에 투입 시킴으로써 큰 수익을 올리고 MDD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좋지 않은 장에서 최대한 손실을 줄이고 MDD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캔들 스틱 차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캔들 스틱 차트의 일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7과 도 8은 예시적인 동일 투자 상품의 예시적인 동일 종목에 대한 캔들 스틱 차트이다. 다만, 도 7의 캔들 스틱 차트와 도 8의 캔들 스틱 차트는 캔들 스틱의 시가를 결정하는 기준 시점이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도 7의 캔들 스틱 차트에 대하여 설정된 기준 시점은 오전 9시이고, 도 8의 캔들 스틱 차트에 대하여 설정된 기준 시점은 오전 10시이다.
따라서, 도 7의 캔들 스틱 차트와 도 8의 캔들 스틱 차트는 각 캔들 스틱에서 최고가와 최저가는 동일하지만, 캔들 스틱의 시가 및 종가를 결정하는 시간이 다르므로 일봉 캔들, 즉, 일별 가격에 대한 캔들 상의 시가와 종가가 다르다.
이처럼 의도적으로 기준 시점을 다르게 결정할 경우, 동일한 추세이지만 시가와 종가가 다른 복수의 캔들 스틱 차트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복수의 캔들 스틱 차트들을 획득할 경우, 현재 시점에 대하여 판단하는 통계상 관점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캔들 스틱 차트에 대하여 시가의 기준 시점, 또는 시가의 기준 시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지지 않은 시점에서 통계적 판단, 매수 또는 매도의 거래 의사 결정, 매수 또는 매도의 거래를 수행할 경우, 기준 시점 오전 9시에는 매수 기회로 판단하지 않고 보류하였지만, 기준 시점 오전 10시에는 매수 기회로 판단하여 매수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시점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매 기준 시점마다 통계적으로 판단할 경우, 더 많은 거래 기회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시드 머니 또한 서로 다르게 설정할 기준 시점의 개수에 따라 분산하여 운영할 수 있어서 투자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슬리피지(slippage), 즉, 매매 주문시 발생하는 체결 오차로 인하여 원하는 가격과 다른 가격으로 거래가 체결된 경우의 가격 차이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캔들 스틱의 시가 판단에 대한 기준 시점을 일별 24 시간 중 설정된 간격의 설정된 복수의 개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루 24 시간 중 1 시간 간격으로 매 시 정각마다 새로운 캔들 스틱 차트 및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매 기준 시점마다 매수 또는 매도의 확률을 판단하여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매수 또는 매도를 시도하는 거래 타점이 하루에 대하여 24개로 늘어날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본 발명의 프로세서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 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 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본질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모든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 및 본 발명의 균등한 범위 내 가능한 모든 변화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110: 전자 장치 111: 메모리
112: 송수신부 113: 프로세서
120: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130: 서버
131: 메모리 131: 메모리
132: 송수신부 133: 프로세서

Claims (10)

  1.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투자 상품의 거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메모리,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투자 상품은 유가 증권(security), 채권(bonds), 뮤추얼 펀드(mutual fund), 파생 상품(derivative), 통화(currency) 또는 암호 화폐(cryptocurrenc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투자 상품은 적어도 하나의 종목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목 중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일별 24 시간 중 특정 시점을 기준 시점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캔들 스틱 차트(candle stick chart)의 정보, 설정된 기간 단위의 가격 이동 평균선(moving average trendline)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캔들 스틱 차트는 상기 기준 시점의 가격을 시가(opening price), 상기 기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이후 시점에 대한 직전 시점의 가격을 종가(closing price), 상기 기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내 가장 높은 가격을 최고가(highest price), 상기 기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내 가장 낮은 가격을 최저가(lowest price)로 설정하고, 상기 캔들 스틱 차트는 24시간 별로 상기 시가, 상기 종가, 상기 최고가, 상기 최저가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캔들 스틱(candle stick)으로 구성되며, 상기 캔들 스틱은 상기 종가가 상기 시가보다 높은 경우 양봉(bullish candle stick)이고, 상기 캔들 스틱은 상기 종가가 상기 시가보다 낮은 경우 음봉(bearish candle stick)이며, 상기 캔들 스틱의 길이는 상기 시가와 상기 종가의 차이의 절대 값이고,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은 상기 설정된 기간 단위에 대하여 상기 시가의 이동 평균을 나타내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현재 시점부터 설정된 과거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상기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및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임계 요소(threshold factor)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하나 이상의 임계 요소는 임계 양봉 비율, 임계 음봉 비율, 임계 양봉 길이, 임계 음봉 길이, 임계 연속 양봉 개수, 임계 연속 음봉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임계 양봉 비율은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한 직전 소정의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비율의 평균이고, 상기 임계 음봉 비율은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음봉에 대한 직전 소정의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비율의 평균이며, 상기 임계 양봉 길이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한 직전 소정의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평균 길이의 평균이고, 상기 임계 음봉 길이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음봉에 대한 직전 소정의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평균 길이의 평균이며, 상기 임계 연속 양봉 개수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하여 직전에 존재한 연속 양봉의 개수의 평균이고, 상기 임계 연속 음봉 개수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하여 직전에 존재한 연속 음봉의 개수의 평균이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의사 결정 요소(decision making factor)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buy), 매도(sell) 또는 보류(hold) 중 하나의 의사 결정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하나 이상의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위에 있는지 또는 아래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양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음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양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음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양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양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음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음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매수 또는 매도의 의사 결정이 수행된 경우,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매수 또는 매도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투자 상품의 거래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의사 결정 요소(decision making factor)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buy), 매도(sell) 또는 보류(hold) 중 하나의 의사 결정을 수행하는 과정은,
    만족된 매수 의사 결정 요소(buying decision factor)의 개수가 임계 매수 의사 결정 요소 개수(threshold buying decision factor number)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매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매수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위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양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양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양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양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자 상품의 거래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현재 시점부터 설정된 과거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상기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및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 매수 의사 결정 요소 개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임계 매수 의사 결정 요소 개수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양봉에 대하여 만족된 매매 의사 결정 요소의 개수의 평균인,
    투자 상품의 거래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의사 결정 요소(decision making factor)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buy), 매도(sell) 또는 보류(hold) 중 하나의 의사 결정을 수행하는 과정은,
    만족된 매도 의사 결정 요소(selling decision factor)의 개수가 임계 매도 의사 결정 요소 개수(threshold selling decision factor number)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매도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매도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아래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음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음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음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음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자 상품의 거래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현재 시점부터 설정된 과거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상기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및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 매도 의사 결정 요소 개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임계 매도 의사 결정 요소 개수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 상 과거 시점에 존재한 각각의 음봉에 대하여 만족된 매매 의사 결정 요소의 개수의 평균인,
    투자 상품의 거래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의사 결정 요소(decision making factor)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buy), 매도(sell) 또는 보류(hold) 중 하나의 의사 결정을 수행하는 과정은,
    만족된 매수 의사 결정 요소(buying decision factor)의 개수가 임계 매수 의사 결정 요소 개수(threshold buying decision factor number)보다 작고, 만족된 매도 의사 결정 요소(selling decision factor)의 개수가 임계 매도 의사 결정 요소 개수(threshold selling decision factor number)보다 작은 경우, 보류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매수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위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양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양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양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양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양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매도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캔들 스틱 차트에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캔들 스틱이 상기 가격 이동 평균선보다 아래에 있는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비율이 상기 임계 음봉 비율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의 소정 개수의 캔들 스틱 중 음봉의 평균 길이가 상기 임계 음봉 길이보다 높은지 여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직전에 음봉이 연속하여 상기 임계 연속 음봉 개수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투자 상품의 거래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기 특정 시점으로부터 정수 배의 시간(hour) 후에,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일별 24 시간 중 상기 특정 시점으로부터 상기 정수 배의 시간 후의 시점을 새로운 기준 시점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정수 배의 시간은 1시간 이상 23 시간 이하의 시간이고,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새로운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상기 설정된 기간 단위의 새로운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캔들 스틱 차트는 상기 새로운 기준 시점의 가격을 새로운 시가, 상기 새로운 기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이후 시점에 대한 직전 시점의 가격을 새로운 종가, 상기 새로운 기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내 가장 높은 가격을 새로운 최고가, 상기 새로운 기준 시점으로부터 24시간 내 가장 낮은 가역을 새로운 최저가로 설정하고, 상기 새로운 가격 이동 평균선은 상기 설정된 기간 단위에 대하여 상기 새로운 시가의 이동 평균을 나타내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현재 시점부터 설정된 과거 시점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상기 새로운 캔들 스틱 차트의 정보 및 상기 새로운 가격 이동 평균선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새로운 임계 요소(threshold factor)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새로운 의사 결정 요소(decision making factor)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한 매수(buy), 매도(sell) 또는 보류(hold) 중 하나의 새로운 의사 결정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하나 이상의 새로운 의사 결정 요소는 상기 하나 이상의 새로운 임계 요소에 기초하며,
    매수 또는 매도의 새로운 의사 결정이 수행된 경우,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매수 또는 매도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투자 상품의 거래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항의 방법을 반복하여 수행하고,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매수의 의사 결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매수를 수행하는 금액을 이전보다 설정된 비율만큼 증가하여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항의 방법을 반복하여 수행하고,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매도의 의사 결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종목에 대하여 매도를 수행하는 금액을 이전보다 설정된 비율만큼 증가하여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투자 상품의 거래 방법.
  9. 통신 시스템에서 투자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자 상품은 유가 증권(security), 파생 상품(derivative), 통화(currency) 또는 암호 화폐(cryptocurrenc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투자 상품은 적어도 하나의 종목으로 구성되고,
    메모리;
    송수신기;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송수신기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투자 상품의 거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0.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투자 상품의 거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97751A 2020-08-05 2020-08-05 캔들 스틱 차트 및 가격 이동 평균선의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자 상품의 자동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61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751A KR102461537B1 (ko) 2020-08-05 2020-08-05 캔들 스틱 차트 및 가격 이동 평균선의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자 상품의 자동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751A KR102461537B1 (ko) 2020-08-05 2020-08-05 캔들 스틱 차트 및 가격 이동 평균선의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자 상품의 자동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598A true KR20220017598A (ko) 2022-02-14
KR102461537B1 KR102461537B1 (ko) 2022-11-01

Family

ID=8025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751A KR102461537B1 (ko) 2020-08-05 2020-08-05 캔들 스틱 차트 및 가격 이동 평균선의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자 상품의 자동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5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752B1 (ko) * 2022-10-24 2023-08-22 주식회사 준다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특정 데이터에 대해 리밸런싱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84487B1 (ko) * 2022-11-17 2023-10-05 주식회사 준다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특정 데이터에 대한 복수의 리밸런싱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3048A (ko) * 2012-04-05 2013-10-15 이원진 패턴 기반 자동 거래방법 및 기록매체
KR20150040014A (ko) * 2013-10-04 2015-04-14 조상광 변동 추이 차트(w-차트) 매매기법을 이용하는 주식 거래 장치 및 그 방법
KR101869245B1 (ko) 2016-12-09 2018-07-20 김걸용 이동평균선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주식투자방법
KR20190119836A (ko) * 2018-04-13 2019-10-23 강차식 연속적 캔들 형상과 변수 조건 데이터를 융합한 주식, 선물, 옵션 자동 매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3048A (ko) * 2012-04-05 2013-10-15 이원진 패턴 기반 자동 거래방법 및 기록매체
KR20150040014A (ko) * 2013-10-04 2015-04-14 조상광 변동 추이 차트(w-차트) 매매기법을 이용하는 주식 거래 장치 및 그 방법
KR101869245B1 (ko) 2016-12-09 2018-07-20 김걸용 이동평균선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주식투자방법
KR20190119836A (ko) * 2018-04-13 2019-10-23 강차식 연속적 캔들 형상과 변수 조건 데이터를 융합한 주식, 선물, 옵션 자동 매매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752B1 (ko) * 2022-10-24 2023-08-22 주식회사 준다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특정 데이터에 대해 리밸런싱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84487B1 (ko) * 2022-11-17 2023-10-05 주식회사 준다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특정 데이터에 대한 복수의 리밸런싱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537B1 (ko)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1537B1 (ko) 캔들 스틱 차트 및 가격 이동 평균선의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투자 상품의 자동 거래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3110819B (zh) 语音播报方法及装置
US20170124649A1 (en) Techniques for real-time order prioritization and matching
CN112346936A (zh) 应用故障根因定位方法及系统
CA2958845A1 (en) Dynamic peg orders in an electronic trading system
CN110601965B (zh) 消息分发方法、装置、系统以及消息网关
US1065990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xtual recommendations
US20170316502A1 (en) Techniques for automated order matching
WO2016061658A1 (en) Database updating with latency tolerance
CN110298243A (zh) 人证核实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533914A (zh) 消息通知方法及装置
Nugroho Agricultural market inform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 literature review.
CN111507763A (zh) 一种调整产品价格的方法及装置
CN108521366A (zh) 表情推送方法和电子设备
CN110909932A (zh) 报价数据推送方法及装置
CN114266673A (zh) 用于汇总及分析住所保险单的属性的系统及方法
CN112541824B (zh) 一种k线蜡烛图的绘制方法及系统、存储介质
CN115023922B (zh) 信息推送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114315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hierarchical relationship matrix opportunity scoring
WO2017148386A1 (zh) 邮件数据处理方法和装置
CN105447758A (zh) 预警值设置方法和装置
CN109218062A (zh) 基于置信区间的互联网业务报警方法和装置
CN110533110A (zh) 基于电信客服的自动外呼方法及装置
CN108073632B (zh) 用于终端的信息处理的方法、装置和系统
CN111179084A (zh) 一种预测期货市场交易指标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