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565A -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railway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railwa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565A
KR20220017565A KR1020200097501A KR20200097501A KR20220017565A KR 20220017565 A KR20220017565 A KR 20220017565A KR 1020200097501 A KR1020200097501 A KR 1020200097501A KR 20200097501 A KR20200097501 A KR 20200097501A KR 20220017565 A KR20220017565 A KR 20220017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ehicle
rail section
railway
railw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5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9167B1 (en
Inventor
박철민
김형철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97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167B1/en
Publication of KR20220017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5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1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06Electric propulsion adapted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2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supply power control apparatus of an electric railway, comprising: a railway vehicle which is linked with a substation and a platform for transcontinental crossing and is operated by electricity; a substation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type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ailway vehicle; a vehicle detection unit which detects location of the railway vehicle on a rail; a substation control unit which controls a power switching unit to supply power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railway vehicle on a rail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entering railway vehicle for each rail section; and the power switching unit which switches a type of power supplied to a power system for each rail section according to control of the substation control unit. The system supply power control apparatus supplies power matched to the railway vehicle.

Description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RAILWAY SYSTEM}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RAILWAY SYSTEM

본 발명은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륙 횡단을 위한 전기 철도 계통에 공급되는 전원을 철도 차량에 맞춰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supply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lectric railw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supply power control apparatus for an electric railway that enables supplying power supplied to an electric railway system for crossing a continent to a railway vehicle and methods.

일반적으로 철도는 자동차, 비행기, 선박 등과 더불어 사람들의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중요한 교통수단의 일 분야로서, 이러한 철도는 복잡한 산업사회에 있어 지역과 지역 간을 연결하는 대규모 운송수단으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railroads are one of the important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make people's lives convenient along with automobiles, airplanes, ships, etc., and these railroads are very usefully used as large-scale transportation means connecting regions and regions in a complex industrial society. have.

또한, 철도는 산업사회의 발전과 함께 그 기술력 또한 점진적으로 고속화, 첨단화, 세계화되고 있는 실정인 바, 근래에는 한정된 국가(영토) 내에서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는 단거리 노선의 범위를 벗어나, 나라와 나라 또는 대륙과 대륙을 횡단 연결하는 국제화된 장거리 철도차량 노선이 구축되고 있는 현실이다.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an industrial society, the technology of railways is also gradually speeding up, modernizing, and globalizing. The reality is that an internationalized long-distance railroad car route that connects countries or continents across continents is being built.

국내의 경우, 최근에 대륙철도사업 및 남북철도 연결 사업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 때 상기 대륙철도사업에 문제가 되는 것은, 각 나라마다 철도 사이의 궤간에 차이가 있다는 점, 및 각 나라마다 전기 철도 계통에 공급되는 전원(예 : 전원 주파수)에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이 중 궤간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궤간 가변 윤축 시스템으로 해소할 수 있으나, 더 중요한 것은 전기 철도 계통에 공급되는 전원(예 : 전원 주파수)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In the case of Korea, recently, the continental railroad project and the north-south rail connection project are becoming visible. At this time, the problem with the continental railroad project 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gauges between railroads in each country, a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ower (eg, power frequency) supplied to the electric rail system in each country. Among them, the problem cau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gauges can be solved with the gauge variable wheelshaft system, but more importantly, a technology is needed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power (eg, power frequency) supplied to the electric railway system. to be.

또한 상기 대륙철도사업에 문제가 되는 것은 철도 차량의 종류에 따른 바닥 높이와 철도역 승강장의 높이(예 : 저상홈, 중상홈, 고상홈)에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철도 차량의 바닥 높이와 철도역 승강장의 높이 차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In addition, a problem in the continental railroad project is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floor height and the height of the railway station platform (eg, low-floor groove, medium-high groove, and high-rise groove) depending on the type of railway vehicl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floor of the railroad car and the height of the platform of the railway station.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078765호(2020.07.02. 공개, 철도차량용 궤간가변윤축의 가이드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20-0078765 (published on July 2, 2020, a guide system for a variable gauge wheelbase for a railway vehicl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대륙 횡단을 위한 전기 철도 계통에 공급되는 전원을 철도 차량에 맞춰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railway system for crossing the continent can be supplied according to the railway vehicle, the system supply power of the electric railwa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장치는, 대륙 횡단을 위해 변전소 및 승강장과 연계되어 전기로 운행되는 철도 차량; 상기 철도 차량의 종류와 제원 정보를 전달받는 변전소 통신부; 상기 철도 차량이 이동하는 레일 상의 위치를 검출하는 차량 감지부; 레일 구간별로 진입하는 철도 차량의 종류에 대응하여 해당 레일 구간에서 해당 철도 차량의 종류에 대응하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전원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변전소 제어부; 및 상기 변전소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레일 구간별 전원 계통에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를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system supply power of an electric railway, including: a railway vehicle operated by electricity in connection with a substation and a platform for crossing a continent; a substation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the type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ailway vehicle; a vehicle detection unit detecting a position on a rail to which the railway vehicle moves; a subst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witching unit so that power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railway vehicle is supplied in the corresponding rail section in response to the type of the railway vehicle entering for each rail section; and a power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type of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ystem for each rail s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substation control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칭부는, 입력측에는 복수의 철도 차량에 대응하는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변전소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인가되는 전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원을 출력하여 해당 레일 구간의 전원 케이블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witching unit, pow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ailway vehicles is applied to the input side, an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ubstation control unit, outputs a selected one of the applied power to the power of the rail s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lied to the cab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레일을 이동하는 철도 차량의 이동 시간, 주행 속도, 차량의 길이, 및 현재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detec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enses at least one of a movement time, a traveling speed, a length of the vehicle, and a current position of a rail vehicle moving on a rai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전소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철도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지시를 레일에 설치된 신호등을 통해 출력하는 신호등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ubstation control unit, a traffic light switching unit for outputting an instruction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railway vehicle through a traffic light installed on the rai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에 있어서, 후행 철도 차량이 진입할 레일 구간이 복선 레일 구간이고, 각 레일 구간별로 공급되는 전원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변전소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하나의 레일 구간에 사용 전원이 다른 복수의 철도 차량이 진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복선 레일 구간 중 각 레일 구간에 진입하는 철도 차량을 해당하는 전원이 인가되는 구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레일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레일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ail section to which the following railway vehicle will enter is a double-track rail section and the power supplied to each rail section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ubstation controller, the power used in one rail section is different In order to prevent a plurality of railroad vehicles from entering, a rail changing unit that automatically changes rails so that a railroad vehicle entering each rail section of the double-track rail section can enter a section to which a corresponding power is appli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방법은, 변전소 제어부가 미리 설정된 레일 구간별로 철도 차량의 진입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변전소 제어부가 상기 레일 구간별로 진입한 철도 차량의 종류에 따른 사용 전원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변전소 제어부가 상기 철도 차량이 진입하고자 하는 레일 구간에 선행 철도 차량이 이미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일 구간에 선행 철도 차량이 없는 경우, 상기 변전소 제어부가 해당 레일 구간에 진입할 예정인 철도 차량에 대응하는 전원으로 변환하여 이 변환된 전원을 해당 레일 구간의 전원 계통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system supply power of an electric railway,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by a substation control unit, an entry of a railway vehicle for each preset rail section; checking, by the substation control unit, the power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ailway vehicle entered for each rail section; checking, by the substation control unit, whether a preceding railway vehicle already exists in a rail section to which the railway vehicle intends to enter; and when there is no preceding railroad vehicle in the rail section, the substation control unit converts the power into power corresponding to the railroad vehicle that is scheduled to enter the rail section, and supplies the converted power to the power system of the rail 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당 레일 구간에 진입할 예정인 철도 차량에서 사용하는 전원과는 다른 전원을 사용하는 철도 차량이 상기 레일 구간에서 이미 주행하고 있을 경우, 상기 변전소 제어부가, 상기 레일 구간에 진입할 예정인 후행 철도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등을 제어하여 후행 철도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지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후행 철도 차량이 상기 철도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지시에 따라 운행될 경우, 확보된 시간 동안에 선행 철도 차량이 해당 레일 구간에서 벗어나면, 상기 변전소 제어부가, 후행 철도 차량에 맞는 전원으로 변경하여 해당 레일 구간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ailway vehicle using a power source different from the power used by the railway vehicle scheduled to enter the corresponding rail section is already running in the rail section, the substation control unit enters the rail section outputting an instruction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following railway vehicle by controlling a traffic light installed in front of the scheduled following railway vehicle; and when the following railway vehicl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railway vehicle, if the preceding railway vehicle deviates from the corresponding rail section during the secured time, the substation control unit changes to a power suitable for the following railway vehic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supplying power to the corresponding rail se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행 철도 차량이 상기 철도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지시에 따라 운행되지 않을 경우, 해당 레일 구간이 복선 레일 구간인 경우, 상기 변전소 제어부가, 후행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레일을 선행 철도 차량이 없는 다른 레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llowing railway vehicle does not operat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railway vehicle, when the corresponding rail section is a double-track rail section, the substation control unit precedes the rail into which the following railroad vehicle enter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changing to another rail that does not have a railroad ca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간별로 진입한 철도 차량의 종류에 따른 사용 전원을 체크하기 위하여, 상기 변전소 제어부는, 철도 차량과의 통신이나 미리 저장되어 있는 철도 차량의 종류에 대응하는 사용 전원 정보를 참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heck the power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railway vehicle entered for each rail section, the substation control unit may communicate with the railway vehicle or use pow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railway vehicle stored in advance. It is characterized by referen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철도 차량이 진입하고자 하는 레일 구간에 선행 철도 차량이 이미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는, 해당 레일 구간에 진입할 예정인 후행 철도 차량에 대하여 사용 전원이 다른 선행 철도 차량이 이미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a preceding railway vehicle already exists in the rail section to which the railroad vehicle intends to enter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preceding railroad vehicle having a different power source for the following railroad vehicle scheduled to enter the corresponding rail section already exis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heck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륙 횡단을 위한 전기 철도 계통에 공급되는 전원을 철도 차량에 맞춰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railway system for transcontinental to be supplied according to the railway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 차량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 차량 승강장의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 차량 승강장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상기 도 7에 있어서, 승강장 계단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10은 상기 도 7에 있어서, 승강장 펜스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상부에서 바라본 승강장 펜스를 보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supply power control apparatus of an electric rail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ystem supply power control method of an electric rail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railway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lectric railway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ic railway vehicl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railway vehicl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platform stairs in FIG. 7 .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latform fence viewed from the top in order to explain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platform fence in FIG. 7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ystem supply power of an electric rail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supply power control apparatus of an electric rail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장치는, 변전소 통신부(110), 차량 감지부(120), 신호등 스위칭부(130), 레일 변경부(140), 변전소 제어부(150), 전원 변환부(160), 전원 스위칭부(170), 및 레일 구간 정보 저장부(18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system supply power control device of the electric railwa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bstation communication unit 110, the vehicle detection unit 120, the traffic light switching unit 130, the rail change unit 140, It includes a substation control unit 150 , a power conversion unit 160 , a power switching unit 170 , and a rail se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80 .

상기 변전소 통신부(110)는, 철도 차량의 차량 통신부(도 3의 270)와 통신하여 철도 차량의 종류와 제원 정보(예 : 주행 정보, 사용 전원, 바닥 높이 등이 포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substation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270 in FIG. 3) of the railway vehicle to receive type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ailway vehicle (eg, information including driving information, power used, floor height, etc.).

상기 변전소 통신부(110)는 철도 차량 뿐만 아니라, 승강장 관리 서버(또는 승강장 통신부(도 7의 320))와 통신하여 철도 차량의 종류와 제원 정보(예 : 주행 정보, 사용 전원, 바닥 높이 등이 포함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substation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tes with the platform management server (or the platform communication unit (320 in FIG. 7)) as well as the railway vehicle, an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type and specification of the railway vehicle (eg, driving information, power used, floor height, etc.).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상기 차량 감지부(120)는, 철도 차량이 이동하는 레일 상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 때 상기 차량 감지부(120)에서 검출하는 정보는, 레일을 이동하는 철도 차량의 이동 시간, 주행 속도, 차량의 길이, 및 현재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detection unit 120 detects a position on the rail on which the railway vehicle moves.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vehicle detection unit 120 may include a movement time, a traveling speed, a length of the vehicle, and a current location of the rail vehicle moving on the rail.

상기 신호등 스위칭부(130)는, 상기 변전소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철도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지시(예 : 후행 철도 차량에 대하여 현재 속도 유지, 감속, 정지 등을 지시)를 레일에 설치된 신호등(미도시)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선행 레일 구간에 후행 철도 차량에 대하여 사용 전원이 다른 선행 철도 차량이 이미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 전원 사고(예 :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레일 구간에서 사용 전원이 다른 복수의 철도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 레일 구간에 공급하는 전원과 다른 전원을 사용하는 철도 차량이 진입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The traffic light switch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ubstation control unit 150, provides an instruction to control the speed of the railway vehicle (eg, instructs the following railway vehicle to maintain the current speed, decelerate, stop, etc.) installed on the rail It can be output through a traffic light (not shown). This is a power accident when a preceding railway vehicle with a different power source is already running in the preceding rail section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railroad vehicles with different power source run in one preset rail section, The purpose is to prevent an accident that may occur when a railroad vehicle that uses a power source different from that supplied to the rail section enters the rail section.

상기 레일 변경부(140)는, 철도 차량(후행 철도 차량)이 진입할 레일 구간이 복선 구간(즉, 복선 레일 구간)(예 : 제1 구간, 제1' 구간)이며 각 레일 구간별로 공급되는 전원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할 경우, 이 레일 구간에 진입하는 철도 차량을 해당하는 전원이 인가되는 구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레일을 자동으로 변경한다. 이를 통해 어떤 알 수 없는 원인에 의해 후행 철도 차량이 지시(예 : 후행 철도 차량에 대하여 현재 속도 유지, 감속, 정지 등을 지시)에 따르지 않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전원 사고(예 :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레일 구간에서 사용 전원이 다른 복수의 철도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 레일 구간에 공급하는 전원과 다른 전원을 사용하는 철도 차량이 진입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 구간을 변경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The rail change unit 140 is a double-track section (ie, a double-track rail section) (eg, first section, first 'section) in which a rail section to which a railroad vehicle (following railroad car) will enter is supplied for each rail section Assuming that the power is set differently, the rail is automatically changed so that a railway vehicle entering this rail section can enter the section to which the corresponding power is applied. Through this, a power accident that may occur if the following railroad vehicle does not follow the instructions (eg, instruct the following railroad vehicle to maintain the current speed, decelerate, stop, etc.) due to some unknown cause (eg, any one preset Changing the rail section to prevent accidents that may occur when a plurality of railroad vehicles with different power sources run in a rail section of there is a purpose for

상기 변전소 제어부(150)는, 레일 구간별로 진입하는 철도 차량의 종류(예 : 중국 차량, 러시아 차량, 국내 차량 등)에 대응하여 해당 레일 구간에서 해당 철도 차량의 종류에 대응하는 전원(즉, 해당 철도 차량이 사용하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전원 스위칭부(17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전원 스위칭부(170)의 입력측에는 복수의 철도 차량에 대응하는 전원이 인가되고 이 중 선택된 전원이 출력되어 해당 레일 구간의 전원 케이블에 공급된다. 이 때 각 레일 구간 사이에는 중립 구간(즉,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bstation control unit 150 corresponds to the type of railway vehicle entering for each rail section (eg, a Chinese vehicle, a Russian vehicle, a domestic vehicle, etc.) The power switching unit 170 is controlled so that the power used by railroad vehicles) can be supplied. That is, pow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ailroad vehicles is applied to the input side of the power switching unit 170 , and selected power among them is outputted and supplied to the power cable of the corresponding rail section. In this case, a neutral section (ie, a section to which power is not applied) may be included between each rail section.

상기 전원 스위칭부(170)는, 상기 변전소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레일 구간별 전원 계통에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예 : 중국 차량, 러시아 차량, 및 국내 차량에서 사용하는 전원)를 스위칭 한다.The power switching unit 170 switches the type of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ystem for each rail section (eg, power used in Chinese vehicles, Russian vehicles, and domestic vehicle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ubstation control unit 150 . do.

상기 전원 변환부(160)는, 상용 전원(예 : 한전에서 공급되는 60Hz 전원)을 종류별 철도 차량이 사용하는 전원(예 : 중국 차량, 러시아 차량, 및 국내 차량에서 사용하는 전원)으로 변경하여 상기 전원 스위칭부(170)의 입력측에 공급한다.The power conversion unit 160 converts commercial power (eg, 60Hz power supplied by KEPCO) to power used by each type of railroad vehicle (eg, power used by Chinese vehicles, Russian vehicles, and domestic vehicles), and It is supplied to the input side of the power switching unit 170 .

상기 전원 스위칭부(170)는, 상기 전원 변환부(160)에서 공급되는 복수의 전원(예 : 중국 차량, 러시아 차량, 및 국내 차량에서 사용하는 전원)을 입력받은 후, 상기 변전소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되어 레일 구간별로 해당하는 전원(즉, 레일 구간별로 진입하는 철도 차량에서 사용하는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witching unit 170 receives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eg, power used in Chinese vehicles, Russian vehicles, and domestic vehicles) supplied from the power conversion unit 160 , and then the substation control unit 150 ) It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rail to supply power corresponding to each rail section (that is, power used by railway vehicles entering each rail section).

이 때 레일 구간 정보는 상기 레일 구간 정보 저장부(180)에 저장된다.At this time, the rail sec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rail se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80 .

즉, 상기 레일 구간 단위로 변전소에서 공급하는 전원(예 : 60Hz 전원 또는 50Hz 전원)을 스위칭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레일 구간(즉, 어느 한 종류의 전원이 공급되는 레일 구간)에 다른 전원을 사용하는 복수의 철도 차량이 진입되지 않도록 관리한다.That is, it is implemented to switch and supply power (eg, 60Hz power or 50Hz power) supplied from the substation in units of the rail section. Accordingly, it is managed so that a plurality of railway vehicles using different power sources do not enter one rail section (ie, a rail section to which one type of power is su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system supply power of an electric rail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변전소 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레일 구간별로 철도 차량의 진입을 검출하고(S101), 상기 레일 구간별로 진입한 철도 차량의 종류에 따른 사용 전원을 체크한다(S102).Referring to FIG. 2 , the substation control unit 150 detects the entry of a railroad vehicle for each preset rail section (S101), and checks the power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ailroad vehicle entered for each rail section (S102).

이 때 상기 철도 차량의 종류에 따른 사용 전원의 체크는 철도 차량과 통신하여 체크하거나, 철도 차량의 종류에 대응하여 미리 알려져 있는 사용 전원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heck of the power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ailway vehicle may be checked by communicating with the railway vehicle or may refer to information on used power known in advanc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railway vehicle.

또한 상기 변전소 제어부(150)는, 상기 철도 차량이 진입하고자 하는 레일 구간(즉, 상기 철도 차량이 진입할 예정인 레일 구간)에 선행 철도 차량(즉, 해당 레일 구간에 진입할 예정인 후행 철도 차량에 대하여 사용 전원이 다른 선행 철도 차량)이 이미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103). In addition, the substation control unit 150 is, in the rail section to which the railroad vehicle is to enter (that is, the rail section in which the railroad vehicle is scheduled to enter) preceding railroad vehicles (ie, the following railroad vehicles scheduled to enter the corresponding rail section)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lready a preceding railway vehicle with a different power source (S103).

상기 체크 결과, 해당 레일 구간에 사용 전원이 다른 선행 철도 차량이 없는 경우(S103의 아니오), 상기 변전소 제어부(150)는 해당 레일 구간에 진입할 예정인 철도 차량(예 : 국내용 철도 차량)에 대응하는 전원(예 : 국내 철도 차량용 60Hz 전원)으로 변환하여(예 : 만약 해당 레일 구간에 진입할 철도 차량이 중국용 철도 차량인 경우에는 중국 철도 차량용 50Hz 전원으로 변환하여)(S104) 상기 변환된 전원을 해당 레일 구간의 전원 계통에 공급한다(S105).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re is no preceding railroad vehicle with a different power source in the corresponding rail section (No in S103), the substation control unit 150 corresponds to the railroad vehicle (eg, domestic railroad car) scheduled to enter the rail section Convert the power supply (eg, 60Hz power for domestic railway vehicles) (eg, if the railway vehicle to enter the relevant rail section is a Chinese railway vehicle, convert it to 50Hz power supply for Chinese railway vehicles) (S104) It is supplied to the power system of the rail section (S105).

그러나 상기 체크(S103) 결과, 해당 레일 구간에 진입할 예정인 철도 차량(즉, 후행 철도 차량)에서 사용하는 전원과는 다른 전원을 사용하는 철도 차량(즉, 선행 철도 차량)이 이미 주행하고 있을 경우(S103의 예), 상기 변전소 제어부(150)는 상기 진입할 예정인 후행 철도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등을 제어하여 후행 철도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지시(예 : 현재 속도 유지, 감속, 정지 등)를 출력한다(또는 통신에 의해 후행 철도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지시를 출력할 수도 있다)(S106). However, as a result of the check (S103), if a railroad vehicle (ie, a preceding railroad vehicle) using a power different from that used by the railroad vehicle (ie, the following railroad car) scheduled to enter the rail section is already running (Yes of S103), the substation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traffic light installed in front of the following railway vehicle to be entered to control the speed of the following railway vehicle (eg, maintaining the current speed, decelerating, stopping, etc.) ) (or an instruction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following railroad vehicle may be output by communication) (S106).

그런데 후행 철도 차량이 지시(신호등에 의한 지시, 통신에 의한 지시)에 따라 운행될 경우(S107의 예), 확보된 시간 동안에 선행 철도 차량이 해당 레일 구간에서 벗어나면, 후행 철도 차량에 맞는 전원으로 변경하여 해당 레일 구간에 전원을 공급한다(S103 ~ S105). 그러나 상기 후행 철도 차량이 지시에 따라 운행되지 않을 경우(S107의 아니오), 전원 사고 방지를 위하여 해당 레일 구간이 복선구간이라면 후행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레일을 선행 철도 차량이 없는 다른 레일로 변경한다(S108).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해당 레일 구간이 복선구간이 아니라면, 상기 변전소 제어부(150)가 상기 선행 철도 차량이 더 빨리 주행하게 지시하거나 해당 레일 구간에 공급되는 전원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대응 조치를 수행할 수도 있다. However, if the following railroad car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instruction by traffic light, instruction by communication) (Yes of S107), if the preceding railroad car deviates from the rail section during the secured time, the power supply suitable for the following railroad car is used. Change and supply power to the rail section (S103 ~ S105). However, if the following railway vehicle does not operat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No in S107), if the corresponding rail section is a double track section, the rail into which the following railway vehicle enters is changed to another rail without a preceding railroad vehicle (No in S107) ( S108).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f the rail section is not a double-track section, the substation control unit 150 instructs the preceding railway vehicle to run faster or takes a countermeasure to temporarily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rail section can also be done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대륙 횡단을 위한 전기 철도 계통에 공급되는 전원을 변전소 측면에서 철도 차량에 맞춰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륙 횡단 철도의 종류에 대응하는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통해 대륙 횡단 철도의 운용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enables the power supplied to the transcontinental electric railway system to be supplied according to the railroad vehicle from the side of the substation, so that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transcontinental railway through stable power supply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transcontinental railway and to improve safet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 차량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륙 횡단을 위한 철도 차량은 상부의 전원 케이블과 팬터그래프(미도시)를 통해 전원을 입력 받으면, 이 입력 받은 전원을 감지한다(예 : 전원의 전압, 주파수 등). 상기 전원(예 : 전원의 전압, 주파수 등)을 감지한 결과를 바탕으로 철도 차량 자신이 사용하는 전원이 아닐 경우, 상기 입력 받은 전원을 자신이 사용 가능한 전원으로 변환하여(예 : 중국 차량인 경우에 50Hz 전원으로 변환, 한국 차량인 경우에 60Hz 전원으로 변환) 차량 내 구동 전원으로 사용한다.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railway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railway vehicle for crossing the continent has an upper power cable and a pantograph (not shown). ), the received power is sensed (eg power supply voltage, frequency, etc.).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ower source (e.g., voltage, frequency, etc. of the power source), if it is not the power source used by the railway vehicle itself, it converts the received power into power that can be used by itself (e.g., in the case of a Chinese vehicle) Converted to 50Hz power supply, and converted to 60Hz power supply in case of a Korean vehicle) is used as the driving power source in the vehicle.

또한 차량 제어부(250)는 변전소나 플랫폼(또는 승강장)의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자신의 차량 정보(예 : 주행 정보, 사용 전원, 바닥 높이 등이 포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레일 구간에 차량에 적합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승강장에서는 철도 차량의 바닥 높이에 대응하는 계단이 준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자동 계단이 없는 승강장에 진입하거나 진출할 경우에는 철도 차량에 포함된 차량 계단을 자동으로 인출하거나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unit 250 communicates with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substation or platform (or platform) and provides its own vehicle information (eg, information including driving information, power used, floor height, etc.) Make sure that the appropriate power supply is supplied, and the stairs corresponding to the floor height of the railroad car can be prepared at the platform. However, when entering or exiting a platform without automatic stairs, the vehicle stairs included in the railroad car can be automatically drawn out or stored.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기 철도 차량 제어 장치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lectric railway vehicle control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 차량 제어 장치는, 전원 입력부(210), 전원 감지부(220), 차량 전원 변환부(230), 차량 전원 공급부(240), 차량 제어부(250), 차량 정보 저장부(260), 차량 통신부(270), 차량 계단 구동부(280), 지면 감지부(290), 차량 스팀 분사부(295), 및 차량 계단 살균부(29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 the electric railway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ower input unit 210 , a power detection unit 220 , a vehicle power conversion unit 230 , a vehicle power supply unit 240 , and a vehicle control unit. 250 , a vehicle information storage unit 260 , a vehicle communication unit 270 , a vehicle stairs driving unit 280 , a ground sensing unit 290 , a vehicle steam injection unit 295 , and a vehicle stairs sterilization unit 296 . do.

상기 전원 입력부(210)는, 레일 구간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과 철도 차량 상부에 설치된 팬터그래프(미도시)를 통해 전원을 입력 받는다.The power input unit 210 receives power through a power cable for supplying power for each rail section and a pantograph (not shown)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ailway vehicle.

상기 전원 감지부(220)는, 상기 전원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전원의 상태(예 : 전압, 주파수 등)을 감지(검출)한다.The power detection unit 220 senses (detects) the state (eg, voltage, frequency, etc.) of the power input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210 .

상기 차량 전원 변환부(230)는, 상기 전원 감지부(220)에서 감지된 전원의 상태(예 : 전압, 주파수 등)를 바탕으로 철도 차량 자신이 사용 가능한 전원인지 체크하고, 사용 가능하지 않은 전원인 경우에는 철도 차량 자신이 사용 가능한 전원으로 변환한다(예 : 중국 차량인 경우에 50Hz 전원으로 자체 변환한다).The vehicle power conversion unit 230 checks whether the railway vehicle itself is usable power based on the state (eg, voltage, frequency, etc.) of the power sensed by the power detection unit 220 , and checks the power that is not available. In the case of , the railway vehicle itself converts it to a usable power source (eg, in the case of a Chinese vehicle, it converts itself to a 50Hz power source).

상기 차량 전원 공급부(240)는, 상기 차량 전원 변환부(230)에서 철도 차량 자신이 사용 가능하도록 변환한 전원을 철도 차량에 공급하여 구동 전원으로 사용한다.The vehicle power supply unit 240 supplies the railway vehicle with the power converted by the vehicle power conversion unit 230 so that the railway vehicle itself can be used, and uses it as driving power.

상기 차량 정보 저장부(260)는, 철도 차량 자신의 제원 정보(예 : 사용 전원, 바닥 높이, 자동 계단 포함 여부 등)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차량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차량 통신부(270)는 상기 제원 정보를 필요로 하는 대상(예 : 승강장 관리 서버)에 전송한다.The vehicle information storage unit 260 stores the railway vehicle's own specification information (eg, power used, floor height, whether automatic stairs are included, etc.), an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vehicle control unit 250 ,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270 transmits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to a target (eg, a platform management server) that needs it.

상기 차량 통신부(270)는, 변전소 통신부(도 1의 110)나 승강장 통신부(도 7의 320)와 통신을 연결하여 미리 지정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거나 요청받아 전송한다.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270 communicates with the substation communication unit ( 110 in FIG. 1 ) or the platform communication unit ( 320 in FIG. 7 ) to periodically transmit or receive requested information to transmit predetermined information.

상기 차량 제어부(250)는, 지정된 대상(예 : 승강장 관리 서버, 변전소 관리 서버)(미도시)와 통신하여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거나, 철도 차량에 포함된 자동 차량 계단을 제어하거나, 철도 차량의 제원 정보를 전송한다.The vehicle control unit 250 communicates with a designated target (eg, a platform management server, a substation management server) (not shown)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vehicle, control the automatic vehicle stairs included in the railroad car, or Send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차량 계단 구동부(280)는, 상기 차량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철도 차량에 포함된 자동 차량 계단을 인출하거나 수납한다. The vehicle step driving unit 28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vehicle control unit 250, withdraws or accommodates the automatic vehicle steps included in the railroad car.

이 때 상기 차량 계단의 끝에는 지면 감지부(290)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지면 감지부(290)를 통해 상기 차량 계단의 끝이 지면에 접촉되거나 지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되는지를 감지한다. 상기 지면 감지부(290)를 통해 차량 계단의 끝이 지면에 접촉(또는 지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될 경우, 차량 계단의 인출을 중지한다. At this time, a ground sensing unit 290 is included at the end of the vehicle stairs, and it is detected whether the end of the vehicle stairs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or approaches within a specified distance through the ground sensing unit 290 . When the end of the vehicle stairs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or approaches within a specified distance) through the ground detection unit 290, the withdrawal of the vehicle stairs is stopped.

상기 차량 스팀 분사부(295)는 추운 지역을 이동할 경우 상기 차량 계단이 인출이 용이하도록 스팀을 분사한다. 예컨대 상기 차량 계단이 인출되기 전에 관절 부위나 계단 발판에 붙은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미리 스팀을 분사할 수 있으며, 계단을 수납할 때 계단 발판에 뭍은 오물이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팀의 온도나 분사량은 용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가령 눈이나 얼음을 제거할 경우에는 높은 온도나 최대 분사량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단순히 오물이나 먼지를 제거할 경우에는 낮은 온도나 최소 분사량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 vehicle steam spraying unit 295 sprays steam to facilitate withdrawal of the vehicle stairs when moving to a cold area. For example, before the vehicle stairs are taken out, steam may be sprayed in advance to remove snow or ice adhering to joints or stair treads, and steam is sprayed to remove dirt or dust on the stair treads when storing the stairs. can do.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r the injection amount of the steam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For example, when removing snow or ice, a high temperature or maximum injection amount can be adjusted, and when simply removing dirt or dust, a low temperature or a minimum injection amount can be adjusted.

상기 차량 계단 살균부(296)는 상기 차량 계단이 사용되기 전이나 후(즉, 인출되거나 수납되기 전이나 후)에 계단을 살균한다. 예컨대 상기 차량 계단 살균부(296)는 살균 용액을 분사하거나 광학 살균 수단(예 : 자외선)을 조명하는 방식으로 계단 바닥을 살균할 수 있다.The vehicle stair sterilization unit 296 sterilizes the stairs before or after the vehicle stairs are used (ie, before or after being withdrawn or received). For example, the vehicle stair sterilization unit 296 may sterilize the stair floor by spraying a sterilizing solution or illuminating an optical sterilization means (eg, ultraviolet rays).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차량 제어부(250)는 전원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감지하고(S201), 이 때 입력된 전원이 해당 철도 차량에 대응하는(즉, 해당 철도 차량에서 사용 가능한) 전원인지 체크한다(예 : 중국 차량인 경우에 50Hz 전원인지 체크한다)(S202).Referring to FIG. 4 , the vehicle control unit 250 detects power input through the power cable ( S201 ), and whether the input power is power corresponding to the railway vehicle (ie, available in the railway vehicle). Check (eg, in the case of a Chinese vehicle, check whether the power supply is 50Hz) (S202).

상기 체크(S202) 결과, 철도 차량에 입력된 전원이 해당 철도 차량에 대응하는 전원이 아닌 경우(S202의 아니오), 차량 제어부(250)는 차량 전원 변환부(230)를 통해 해당 철도 차량에 대응하는 전원(해당 철도 차량에서 사용 가능한 전원)으로 변환하여(S203), 해당 철도 차량의 내부 구동 전원으로 공급한다(S204).As a result of the check (S202), if the power input to the railroad vehicle is not the power corresponding to the railroad vehicle (NO in S202), the vehicle control unit 250 corresponds to the railroad vehicle through the vehicle power conversion unit 230 converted into power (power usable in the corresponding railroad vehicle) (S203), and supplied as internal driving power of the corresponding railroad vehicle (S204).

그러나 상기 체크(S202) 결과, 입력된 전원이 해당 철도 차량에 대응하는 전원인 경우(예 : 국내 차량인 경우에 60Hz 전원인 경우)(S202의 예), 상기 차량 제어부(250)는 상기 입력된 전원을 그대로 해당 철도 차량의 내부 구동 전원으로 곧바로 공급한다(S204).However, as a result of the check (S202), if the input power is a power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railway vehicle (eg, 60Hz power in case of a domestic vehicle) (Yes in S202), the vehicle control unit 250 is Powe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internal driving power of the railway vehicle as it is (S204).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본 실시예는 철도 차량(즉, 후행 철도 차량)이 진입할 예정인 레일 구간에 이미 다른 철도 차량(즉, 선행 철도 차량)이 주행하고 있으며, 변전소 측에서 해당 레일 구간을 주행하는 철도 차량에 대응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현된 상태에서, 만약 선행 철도 차량과 후행 철도 차량이 사용하는 전원이 다른 경우(예 : 60Hz 전원을 사용하는 선행 철도 차량, 50Hz 전원을 사용하는 후행 철도 차량), 두 철도 차량이 동시에 동일한 레일 구간에 진입할 경우의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실시예이다.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railroad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nother railroad vehicle (that is, a railroad vehicle) is already in the rail section to which the railroad vehicle (ie, the following railroad vehicle) is scheduled to enter. , preceding railway vehicle) is running,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substation side is implemented to supply power corresponding to the railway vehicle traveling in the corresponding rail section, if the power used by the preceding railway vehicle and the following railway vehicle is different (eg : This is an embodiment for preventing an accident when two railway vehicles simultaneously enter the same rail section (a preceding rail vehicle using a 60Hz power source, a trailing rail vehicle using a 50Hz power source).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제어부(250)는 철도 차량 제어 신호를 변전소로부터 수신하거나 레일의 전방에 있는 신호등을 인식하고(S301), 상기 제어 신호나 신호등을 통해 전달되는 지시에 대응하여 차량을 구동한다(예 : 속도 유지, 서행, 정지 등). Referring to FIG. 5 , the vehicle control unit 250 receives a railroad vehicle control signal from a substation or recognizes a traffic light in front of the rail (S301), and drives the vehicle in response to an instruc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signal or traffic light. (e.g., maintaining speed, slowing down, stopping, etc.).

그리고 상기 차량 제어부(250)는 상기 지시에 따라 차량이 정확히 구동되는지 체크하며(S302), 상기 체크 결과 무응답(예 : 지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이거나 상기 철도 차량이 지시에 대응하여 구동되지 않았을 경우(S302의 아니오), 상기 차량 제어부(250)는 미리 지정된 시간 내에 부정 응답 신호(이때 무응답이나 부정 응답 신호에는 그 이유나 원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를 회신한다(S303).And the vehicle control unit 250 checks whether the vehicle is driven correctly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S302), and if the check result is non-response (eg, when the instruction is not recognized) or the railway vehicle is not driven in response to the instruction (No in S302), the vehicle control unit 250 returns a negative response signal (in this case, the non-response or negative response signal may include the reason or cause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S303).

그리고 상기 차량 제어부(250)는 지정된 레일 구간에서 전원 입력을 차단하거나 자체에 내장된 전원(예 : 충전 전원)을 통해 가능한 구간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S304). 이로써 변전소 측으로부터 해당 레일 구간의 전원 케이블에 정상 전원(즉, 해당 철도 차량이 사용 가능한 전원)이 공급될 동안에 대응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unit 250 blocks the power input in a designated rail section or enables driving in a possible section through a power (eg, charging power) built into the vehicle (S304). Thereby, there is an effect of securing time to respond while normal power (ie, power available to the railway vehicle) is supplied to the power cable of the rail section from the substation side.

한편 상기 차량 제어부(250)는 상기 지시에 따라 철도 차량이 정확히 구동되는 경우(S302의 예), 상기 레일 구간에서 선행 철도 차량이 진출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함으로써, 이후 변전소에서 해당 레일 구간의 전원 케이블에 정상 전원(즉, 후행 철도 차량이 사용 가능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ailway vehicle is driven accurately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Yes in S302), the vehicle control unit 250 secures a time for the preceding railway vehicle to advance in the rail section, so that the power supply of the corresponding rail section in the substation is thereafter. Ensure that the cables are supplied with normal power (i.e. power available to the following railroad vehicles).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제어부(250)는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할 경우(S401의 예), 승강장에 진입하기 전 미리 승강장의 관리 서버(미도시)와 통신하여 해당 승강장(즉, 철도 차량이 진입할 예정인 승강장)이 가변 계단(자동 계단)이 설치된 승강장인지 체크한다(S402).Referring to FIG. 6 , when the railway vehicle enters the platform (Yes in S401), the vehicle control unit 250 communicates with the platform management server (not shown) in advance before entering the platform to the corresponding platform (ie, a railway vehicle). It is checked whether the platform to be entered) is a platform where variable stairs (automatic stairs) are installed (S402).

또는 상기 차량 제어부(250)는 룩업 테이블 형태로 미리 저정된 각 승강장의 가변 계단(자동 계단)이 설치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vehicle control unit 250 may use information on the installation of variable stairs (automatic stairs) of each platform, which is stored in advance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상기 체크(S402) 결과, 가변 계단(자동 계단)이 설치된 승강장이 아닌 경우(S402의 아니오), 해당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면 상기 차량 제어부(250)가 승강장 지면 높이에 대응하여 철도 차량 자체에서 계단을 인출한다(S403). As a result of the check (S402), if it is not a platform on which a variable staircase (automatic staircase) is installed (No in S402), when the railway vehicle enters the platform, the vehicle control unit 250 responds to the platform ground height and in the railway vehicle itself Take out the stairs (S403).

또한 상기 차량 제어부(250)는 상기 가변 계단(자동 계단)의 계단 끝에서 지면이 접촉(또는 지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될 때까지 계단을 인출하며(S404의 아니오, S403), 상기 가변 계단(자동 계단)의 계단 끝에서 지면이 접촉(또는 지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되면 계단 인출을 정지시킨다(S405).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unit 250 withdraws the stairs from the end of the stairs of the variable stairs (automatic stairs) until the ground touches (or approaches within a specified distance) (No in S404, S403), and the variable stairs (automatic stairs) ), when the ground is in contact (or close within a specified distance) at the end of the stairs, the stair withdrawal is stopped (S405).

한편 해당 철도 차량이 진입할 승강장이 가변 계단(자동 계단)이 설치된 승강장인 경우(S402의 예), 상기 차량 제어부(250)는 승강장 관리 서버(미도시)에 철도 차량 바닥 높이 정보를 전송하여(S406), 승강장에서 차량의 바닥 높이에 대응하여 계단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도 8 참조). On the other hand, when the platform to which the railway vehicle enters is a platform equipped with variable stairs (automatic stairs) (Yes of S402), the vehicle control unit 250 transmits the railway vehicle floor height information to the platform management server (not shown) ( S406), so that the stairs can be withdrawn corresponding to the floor height of the vehicle in the platform (see FIG. 8).

또한 상기 승강장에서 철도 차량이 진출할 경우(S401의 아니오), 상기 차량 제어부(250)는 철도 차량에서 인출된 계단을 철도 차량 내부로 수납하고(S407), 차량 스팀 분사부(295)나 차량 계단 살균부(296)를 통해 미리 지정된 살균 방식(예 : 살균 용액을 분사하거나 자외선을 조명)으로 차량 계단을 살균시키거나 청소한다(S408). In addition, when the railroad vehicle advances from the platform (No in S401), the vehicle control unit 250 accommodates the stairs withdrawn from the railroad vehicle into the railroad vehicle (S407), and the vehicle steam injection unit 295 or the vehicle stairs The sterilization unit 296 sterilizes or cleans the vehicle stairs by a predetermined sterilization method (eg, spraying a sterilization solution or lighting an ultraviolet ray) (S408).

이 때 도면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차량 계단에 뭍은 오물이나 먼지를 스팀을 분사하여 처리할 수 있다.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dirt or dust on the stairs of the vehicle may be treated by spraying steam.

아울러 승강장에서 철도 차량이 진출되면, 상기 승강장에서는 승강장 제어부(330)가 차량 바닥 높이에 대응하여 인출된 승강장 계단을 지면에 맞춰 수납(또는 하강)시킨다(도 8 참조).In addition, when a railroad vehicle advances from the platform, the platform controller 330 accommodates (or descends) the platform stairs drawn out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floor height to match the ground (refer to FIG. 8 ).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변전소에서 철도 차량에 대응하는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에 차량에서 자신의 구동 전원에 맞는 전원을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바닥 높이와 승강장의 높이가 다르더라도 차량 계단을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과 대륙 철도의 주행 용이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ubstation fails to supply power corresponding to the railroad vehicle, the vehicle converts the power suitable for its own driving power and uses it, and even if the floor height of the vehicle and the platform height are different, the vehicle By allowing the stairs to be automatically pulled out,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safety, driving ease of continental railroads, and user convenienc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 차량 승강장의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ic railway vehicl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는 승강장에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계단을 구비하고, 대륙 횡단 철도 차량과 통신하여 철도 차량의 바닥 높이 정보를 수신한 후,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하면 자동으로 철도 차량의 바닥 높이에 맞춰 계단의 높낮이 조절하고, 주변 승객을 검출하여 승강장 계단 주변으로 접근하면 경고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7 ,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stairs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latform, communicates with the transcontinental railway vehicle to receive floor height information of the railway vehicle, and then enters the platform when the railway vehicle enters the platform. It automatically adjusts the height of the stairs according to the floor height of the railroad car, detects nearby passengers and warns them when they approach the platform stairs to prevent accidents.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 차량 승강장의 제어 장치는, 센서부(310), 승강장 통신부(320), 승강장 제어부(330), 승강장 계단 구동부(340), 계단 펜스 구동부(350), 승강장 스팀 분사부(360), 및 승강장 계단 살균부(3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 the control device of the platform of the electric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ensor unit 310 , a platform communication unit 320 , a platform control unit 330 , a platform stair driving unit 340 , and a stair fence driving unit 350 . ), a platform steam injection unit 360 , and a platform staircase sterilization unit 370 .

상기 센서부(310)는, 승강장으로 진입하거나 진출하는 철도 차량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310)는, 승강장 통로를 지나가는 승객들 중 계단 펜스(또는 승강장 펜스)를 지나 승강장 계단에 진입하거나 통과하는 승객을 감지한다(도 10 참조).The sensor unit 310 detects a railroad vehicle entering or exiting the platform. Also, the sensor unit 310 detects a passenger who enters or passes through the platform stairs through the stair fence (or platform fence) among passengers passing through the platform passage (see FIG. 10 ).

예컨대 상기 센서부(310)는 적외선 센서, 카메라 센서, 레이다 센서, 중량 센서 및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310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a camera sensor, a radar sensor, a weight sensor, and an ultrasonic sensor.

상기 승강장 통신부(320)는, 상기 대륙 횡단을 위한 철도 차량과 통신한다. The platform communication unit 320 communicates with the railway vehicle for crossing the continent.

또한 상기 승강장 통신부(320)는, 차량 통신부(270)와 변전소 통신부(110)를 통해 승강장 관리 서버(미도시) 또는 변전소 관리 서버(미도시)와도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 통신부(320)를 통해 승강장에 진입하는 철도 차량의 제원 정보(예 : 사용 전원, 바닥 높이, 자동 계단 포함 여부 등)를 전달받을 수 있다.Also, the platform communication unit 320 may communicate with a platform management server (not shown) or a substation management server (not shown) through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270 and the substation communication unit 110 . In addition, specification information (eg, power used, floor height, whether automatic stairs are included, etc.) of a railroad vehicle entering the platform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platform communication unit 320 .

상기 승강장 계단 구동부(340)는, 철도 차량의 출입문 위치에 맞춰 설치되는 승강장 계단을 구동하며, 상기 승강장 제어부(330)에 의해 승강장 계단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즉, 상기 승강장 제어부(330)는 승강장에 진입하는 철도 차량의 출입문 바닥 높이에 맞춰 상기 승강장 계단의 높이를 조절한다. The platform stairs driving unit 340 drives the platform stair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entrance door of the railway vehicle, and adjusts the height of the platform stairs by the platform control unit 330 . That is, the platform control unit 330 adjusts the height of the platform stairs to match the floor height of the door of the rail vehicle entering the platform.

상기 승강장 계단 구동부(340)는, 상기 승강장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유압식이나 전동식 액추에이터를 이용해 승강장 계단의 각각의 계단 높낮이를 조절한다(도 9 참조). 따라서 대륙 횡단을 위한 철도 차량의 바닥 높이에 관계없이 사용자는 편안하게 철도 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다. The platform step driving unit 340 adjusts the height of each step of the platform stairs using a hydraulic or electric actuator under the control of the platform control unit 330 (see FIG. 9 ). Therefore, users can comfortably get on or off the railcar regardless of the floor height of the railcar for transcontinental use.

또한 상기 계단 펜스 구동부는, 상기 승강장 계단 주변에 설치된 계단 펜스(fence)의 위치나 방향을 구동하며, 승강장 계단이 움직이기 전에 승객의 승강장 계단 접근을 차단함과 아울러 경고함으로써, 움직이는 승강장 계단에 의해 승객에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도 10 참조). In addition, the stair fence driving unit drives the position or direction of a stair fence installed around the platform stairs, and blocks and warns passengers from accessing the platform stairs before the platform stairs move. By the moving platform stairs To prevent accidents from occurring to passengers (refer to FIG. 10).

상기 승강장 스팀 분사부(360)는 추운 지역에 있는 승강장 계단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스팀을 분사한다. 예컨대 상기 승강장 계단이 인출되기 전에 관절 부위나 계단 발판에 붙은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거나, 계단을 수납할 때 계단 발판에 뭍은 오물이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팀의 온도나 분사량은 용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가령 눈이나 얼음을 제거할 경우에는 높은 온도나 최대 분사량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단순히 오물이나 먼지를 제거할 경우에는 낮은 온도나 최소 분사량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 platform steam spraying unit 360 sprays steam to facilitate withdrawal of the platform stairs in a cold area. For example, steam may be sprayed to remove snow or ice adhering to joints or stair treads before the platform stairs are withdrawn, or to remove dirt or dust on the stair treads when storing the stairs.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r the injection amount of the steam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For example, when removing snow or ice, a high temperature or maximum injection amount can be adjusted, and when simply removing dirt or dust, a low temperature or a minimum injection amount can be adjusted.

상기 승강장 계단 살균부(370)는 상기 승강장 계단이 사용되기 전이나 후(즉, 인출되거나 수납되기 전이나 후)에 계단을 살균한다. 예컨대 상기 승강장 계단 살균부(370)는 살균 용액을 분사하거나 광학 살균 수단(예 : 자외선)을 조명하는 방식으로 계단 바닥을 살균할 수 있다.The platform stairs sterilization unit 370 sterilizes the stairs before or after the platform stairs are used (ie, before or after being withdrawn or stored). For example, the platform stair sterilization unit 370 may sterilize the stair floor by spraying a sterilizing solution or illuminating an optical sterilization means (eg, ultraviolet ray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철도 차량 승강장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railway vehicl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승강장 제어부(330)는,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할 경우(S501의 예), 승강장의 계단 펜스를 구동하여 승객이 계단 펜스 밖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승객이 계단 펜스 밖으로 이동되었는지 확인이 완료되면(S502), 승강장에 진입할 예정인 철도 차량으로부터 해당 철도 차량의 바닥 높이에 정보를 수신하고(S503), 상기 철도 차량의 바닥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승강장 계단을 구동하여 높낮이를 조절한다(S504).Referring to FIG. 8 , the platform controller 330 drives the stair fence of the platform to allow passengers to move out of the stair fence when the rail vehicle enters the platform (Yes in S501), and the passenger moves out of the stair fence. When the confirmation is completed (S502), information on the floor height of the railway vehicle is received from the railway vehicle scheduled to enter the platform (S503), and the platform stairs are driven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loor height of the railway vehicle to increase the height. Adjust (S504).

한편 승강장에 진입했던 철도 차량이 승강장 밖으로 진출할 경우(S501의 아니오), 승강장 제어부(330)는 승강장의 계단 펜스를 구동하여 승객이 계단 펜스 밖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승객이 계단 펜스 밖으로 이동되었는지 확인이 완료되면(S505), 승강장의 지면 높이에 대응하여 승강장의 계단을 낮춤(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승강장 통로를 지나가는 승객들이 걸림없이 보행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승강장 스팀 분사부(360)나 승강장 계단 살균부(370)를 통해 미리 지정된 살균 방식(예 : 살균 용액을 분사하거나 자외선을 조명)으로 승강장 계단을 살균시키거나 청소한다(S506). On the other hand, when the railway vehicle that has entered the platform advances out of the platform (No in S501), the platform control unit 330 drives the stair fence of the platform to allow passengers to move out of the stair fence, and confirms whether the passenger has moved out of the stair fence When this is completed (S505), by lowering (or lowering) the stairs of the platform in response to the ground height of the platform, passengers passing the platform passage can walk without jamming, and also the platform steam spraying unit 360 or the platform stairs The sterilization unit 370 sterilizes or cleans the platform stairs by a predetermined sterilization method (eg, spraying a sterilizing solution or lighting an ultraviolet ray) (S506).

도 9는 상기 도 7에 있어서, 승강장 계단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승강장 계단의 각 계단 바닥은 각기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각 계단이 유압이나 전동식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9 is an exemplary view to explain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platform stairs in FIG. 7 , and each of the stairs moves up and down by hydraulic or electric actuators so that the height of each stair floor of the platform stair can be adjusted. implemented to be

예컨대 철도 차량의 바닥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각 계단의 높이를 높게 조절하고(도 9의 (a) 참조), 철도 차량의 바닥 높이에 낮을 경우에는 각 계단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낮게 조절함으로써(도 9의 (b),(c) 참조), 동일한 개수로 구성된 계단의 각각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철도 차량의 바닥 높이에 맞춰 승강장 계단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floor height of the railroad car is high, the height of each step is adjusted to be high (refer to Fig. 9 (a)), and when the floor height of the railroad car is low, the height of each step is adjusted stepwisely lower (see Fig. 9) In (b), (c)),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latform stairs according to the floor height of the railroad car by adjusting the height of each of the stairs composed of the same number.

도 10은 상기 도 7에 있어서, 승강장 펜스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상부에서 바라본 승강장 펜스를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승강장 펜스는 승강장 계단의 양측에 설치되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할 경우에는 도 10의 (a)와 같이 승강장 계단의 좌우측에 승강장 펜스가 위치되게 하여 승강장 계단을 이동하는 승객이 계단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서 진출할 경우에는 도 10의 (b)와 같이 승강장 계단의 전후측에 승강장 펜스가 위치되게 하여 승강장 통로를 지나가는 승객이 승강장 아래의 레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latform fence viewed from the top in order to explain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platform fence in FIG. Accordingly, when a railway vehicle enters the platform, platform fences are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form stairs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as shown in (b) of FIG. 10, platform fences are position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latform stairs to prevent passengers passing through the platform passage from falling onto the rail under the platform.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대륙 횡단을 위한 전기 철도 차량이 승강장에 진입할 경우 승강장의 높이(예 : 저상홈, 중상홈, 고상홈)에 관계없이 철도 차량의 바닥 높이에 맞춰 승강장 계단이 인출되거나 승강장의 지면으로 수납되게 함으로써 어떠한 승강장에서도 대륙 횡단을 위한 철도 차량이 운행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when an electric railroad vehicle for crossing the continent enters the platform, the platform stairs are drawn out or By storing it on the ground of the platform, it is possible to operate a railway vehicle for crossing the continent at any platform,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point.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method or process, an apparatus, a software program, a data stream, or a signal. Although discussed only in the context of a single form of implementation (eg, discussed only as a method), implementations of the discussed features may also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eg, as an apparatus or program). The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in suitable hardware, software and firmware, and the like. A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n apparatus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which generally refers to a computer, a microprocessor, 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or programmable logic device, and the like. Processors also includ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cell phones, portable/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and other devices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end-users.

110 : 변전소 통신부 120 : 차량 감지부
130 : 신호등 스위칭부 140 : 레일 변경부
150 : 변전소 제어부 160 : 전원 변환부
170 : 전원 스위칭부 180 : 레일 구간 정보 저장부
210 : 전원 입력부 220 : 전원 감지부
230 : 차량 전원 변환부 240 : 차량 전원 공급부
250 : 차량 제어부 260 : 차량 정보 저장부
270 : 차량 통신부 280 : 차량 계단 구동부
290 : 지면 감지부 295 : 차량 스팀 분사부
296 : 차량 계단 살균부 310 : 센서부
320 : 승강장 통신부 330 : 승강장 제어부
340 : 승강장 계단 구동부 350 : 계단 펜스 구동부
360 : 승강장 스팀 분사부 370 : 승강장 계단 살균부
110: substation communication unit 120: vehicle detection unit
130: traffic light switching unit 140: rail change unit
150: substation control unit 160: power conversion unit
170: power switching unit 180: rail sec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0: power input unit 220: power sensing unit
230: vehicle power conversion unit 240: vehicle power supply unit
250: vehicle control unit 260: vehicle information storage unit
270: vehicle communication unit 280: vehicle stair driving unit
290: ground sensing unit 295: vehicle steam injection unit
296: vehicle stair sterilization unit 310: sensor unit
320: platform communication unit 330: platform control unit
340: platform stair driving unit 350: stair fence driving unit
360: platform steam spraying unit 370: platform stair sterilization unit

Claims (10)

대륙 횡단을 위해 변전소 및 승강장과 연계되어 전기로 운행되는 철도 차량;
상기 철도 차량의 종류와 제원 정보를 전달받는 변전소 통신부;
상기 철도 차량이 이동하는 레일 상의 위치를 검출하는 차량 감지부;
레일 구간별로 진입하는 철도 차량의 종류에 대응하여 해당 레일 구간에서 해당 철도 차량의 종류에 대응하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전원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변전소 제어부; 및
상기 변전소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레일 구간별 전원 계통에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를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장치.
railway vehicles operated by electricity in connection with substations and platforms for transcontinental crossings;
a substation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the type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ailway vehicle;
a vehicle detection unit detecting a position on a rail to which the railway vehicle moves;
a subst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witching unit so that power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railway vehicle is supplied in the corresponding rail section in response to the type of the railway vehicle entering for each rail section; and
and a power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type of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ystem for each rail se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ubstation control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칭부는,
입력측에는 복수의 철도 차량에 대응하는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변전소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인가되는 전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원을 출력하여 해당 레일 구간의 전원 케이블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switching unit,
Pow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ailway vehicles is applied to the input side,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substation control unit, any one selected from the applied power is outputted and supplied to the power cable of the corresponding rail section. of the grid supply power control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레일을 이동하는 철도 차량의 이동 시간, 주행 속도, 차량의 길이, 및 현재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detection unit,
A system supply power control device for an electric railway,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at least one of a moving time, a traveling speed, a length of a vehicle, and a current position of a railway vehicle moving on a rai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전소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철도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지시를 레일에 설치된 신호등을 통해 출력하는 신호등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traffic light switching unit for outputting an instruction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railway vehicle through a traffic light installed on the rai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ubstation control unit.
제 1항에 있어서,
후행 철도 차량이 진입할 레일 구간이 복선 레일 구간이고, 각 레일 구간별로 공급되는 전원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변전소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하나의 레일 구간에 사용 전원이 다른 복수의 철도 차량이 진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복선 레일 구간 중 각 레일 구간에 진입하는 철도 차량을 해당하는 전원이 인가되는 구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레일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레일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f the rail section to which the following railroad vehicle will enter is a double-track rail section, and the power supplied to each rail section is set differently,
Under the control of the substation control unit,
In order to prevent a plurality of railroad vehicles having different power sources from entering one rail section, the rails are used to allow railroad vehicles entering each rail section of the double-track rail section to enter the section to which the corresponding power is applied. The system supply power control device of the electric railwa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ail change unit that automatically changes.
변전소 제어부가 미리 설정된 레일 구간별로 철도 차량의 진입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변전소 제어부가 상기 레일 구간별로 진입한 철도 차량의 종류에 따른 사용 전원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변전소 제어부가 상기 철도 차량이 진입하고자 하는 레일 구간에 선행 철도 차량이 이미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일 구간에 선행 철도 차량이 없는 경우, 상기 변전소 제어부가 해당 레일 구간에 진입할 예정인 철도 차량에 대응하는 전원으로 변환하여 이 변환된 전원을 해당 레일 구간의 전원 계통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방법.
detecting, by the substation control unit, the entry of a railroad vehicle for each preset rail section;
checking, by the substation control unit, the power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ailway vehicle entered for each rail section;
checking, by the substation control unit, whether a preceding railway vehicle already exists in a rail section to which the railway vehicle intends to enter; and
When there is no preceding railroad vehicle in the rail section, the substation control unit converts the power into power corresponding to the railroad vehicle that is scheduled to enter the rail section and supplies the converted power to the power system of the rail section; System supply power control method of electric railway, characterized in tha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레일 구간에 진입할 예정인 철도 차량에서 사용하는 전원과는 다른 전원을 사용하는 철도 차량이 상기 레일 구간에서 이미 주행하고 있을 경우,
상기 변전소 제어부가, 상기 레일 구간에 진입할 예정인 후행 철도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등을 제어하여 후행 철도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지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후행 철도 차량이 상기 철도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지시에 따라 운행될 경우, 확보된 시간 동안에 선행 철도 차량이 해당 레일 구간에서 벗어나면, 상기 변전소 제어부가, 후행 철도 차량에 맞는 전원으로 변경하여 해당 레일 구간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when a railway vehicle using a power different from that used by a railway vehicle scheduled to enter the corresponding rail section is already running in the rail section,
outputting, by the substation control unit, an instruction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following railroad vehicle by controlling a traffic light installed in front of the following railroad vehicle scheduled to enter the rail section; and
When the following railroad car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railroad car, if the preceding railroad car deviates from the rail section during the secured time, the substation control unit changes the power supply suitable for the following railroad car to the corresponding Supplying power to the rail section; grid supply power control method of the electric railwa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후행 철도 차량이 상기 철도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지시에 따라 운행되지 않을 경우,
해당 레일 구간이 복선 레일 구간인 경우, 상기 변전소 제어부가, 후행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레일을 선행 철도 차량이 없는 다른 레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when the following railway vehicle does not operate according to an instruction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railway vehicle,
When the corresponding rail section is a double-track rail section, changing, by the substation control unit, the rail into which a following railroad vehicle enters to another rail without a preceding railroad vehicle; Way.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간별로 진입한 철도 차량의 종류에 따른 사용 전원을 체크하기 위하여,
상기 변전소 제어부는,
철도 차량과의 통신이나 미리 저장되어 있는 철도 차량의 종류에 대응하는 사용 전원 정보를 참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6, In order to check the power us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ailway vehicle entered for each rail section,
The substation control unit,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o a grid of an electric railway, characterized in that communication with a railroad vehicle or reference to information about power used corresponding to a type of railroad vehicle stored in advan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 차량이 진입하고자 하는 레일 구간에 선행 철도 차량이 이미 있는지 체크하는 단계는,
해당 레일 구간에 진입할 예정인 후행 철도 차량에 대하여 사용 전원이 다른 선행 철도 차량이 이미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철도의 계통 공급 전원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a preceding railroad vehicle already exists in the rail section to which the railroad vehicle intends to enter comprises:
Grid supply power control method of an electric railwa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lready a preceding railway vehicle with a different power used for the following railway vehicle that is scheduled to enter the corresponding rail section.
KR1020200097501A 2020-08-04 2020-08-04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railway system KR1025091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501A KR102509167B1 (en) 2020-08-04 2020-08-04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railw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501A KR102509167B1 (en) 2020-08-04 2020-08-04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railwa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565A true KR20220017565A (en) 2022-02-14
KR102509167B1 KR102509167B1 (en) 2023-03-15

Family

ID=80254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501A KR102509167B1 (en) 2020-08-04 2020-08-04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railwa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16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088A (en) * 2011-03-15 2012-09-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mart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energy storage system
KR101654354B1 (en) * 2016-03-31 2016-09-09 주식회사 이엔지한터 Railway signaling system using the Railway sensing unit
KR20200017609A (en) * 2018-08-08 2020-02-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Device for controlling vehicle collection voltage of dc electric railw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088A (en) * 2011-03-15 2012-09-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mart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energy storage system
KR101654354B1 (en) * 2016-03-31 2016-09-09 주식회사 이엔지한터 Railway signaling system using the Railway sensing unit
KR20200017609A (en) * 2018-08-08 2020-02-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Device for controlling vehicle collection voltage of dc electric railw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167B1 (en)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4079B1 (en) Personal hanging type double-rail and double-power automatic control light rail traffic system
US8146506B2 (en) Active rail transport system
RU2482981C2 (en) System of electric power variable supply current pickup for municipal vehicles
US5590604A (en) Transportation system with high speed vehicles and automatic control
CN101941451B (en) Intermittent train control system
CN107600077B (en) Suspension type intelligent three-dimensional rail transit system and method
KR101237552B1 (en) Railway system installing power supply facility on railroads between stations
Yasuda et al. The first HSST maglev commercial train in Japan
CN102951160A (en) Overhead rail transit system
CN206086721U (en) Suspension type aerial train station interfacing apparatus
KR20180111887A (en) Automatic transportation system
CN101279604A (en) Mini suspension type magneto-dynamic unpiloted vehicle and track therefor
KR20120118653A (en) Train running controll system
KR1024455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railway vehicle
KR1024455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rail vehicle and platform
KR102509167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railway system
CN107298290B (en) A kind of unmanned intelligent express delivery device and method
KR100943782B1 (en) Automatic and guided system for transporting peop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port modules running in such a system
CN115285173B (en) Method, equipment and medium for realizing automatic passing neutral section of train based on CBTC
CN114394128B (en) Train control method and system, vehicle-mounted subsystem and trackside resource management subsystem
JP5681350B2 (en) Railway system with power supply equipment on the railway line between stations
CN104786853A (en) Three-dimensional electric express bus
JPH01296319A (en) Load carrying facility
KR20190069718A (en) How To Operate With Speed Control Algorithm To Meet Charged Amount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 Wireless Tram System
KR200435597Y1 (en) Guide system for train stopping at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