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434A - 인퓨젼 백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및 바이알로부터 인퓨젼 백으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인퓨젼 백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및 바이알로부터 인퓨젼 백으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434A
KR20220017434A KR1020217043166A KR20217043166A KR20220017434A KR 20220017434 A KR20220017434 A KR 20220017434A KR 1020217043166 A KR1020217043166 A KR 1020217043166A KR 20217043166 A KR20217043166 A KR 20217043166A KR 20220017434 A KR20220017434 A KR 20220017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pike
vial
medical packaging
infusion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3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르슈텐 브란덴부르거
야니네 베르크
크리슈티안 니체
알렉산더 데겐
쥔다 리우
이스마엘 라히미
베아트릭스 호이엘-회멘
Original Assignee
프레제니우스 카비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제니우스 카비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레제니우스 카비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17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61J1/2055Connecting means having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5Rigid ampoules, e.g. glass ampo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8Containers characterised by specific mater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8Arrangement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container contents, e.g. sterile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61J1/201Piercing means having one piercing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61J1/2051Connecting means having tap means, e.g. tap means activated by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89Containers or vials which are to be joined to each other in order to mix their cont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알을 위한 커넥터를 갖는 인퓨젼 백의 형태의 패키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커넥터는 인퓨젼 백의 내부 볼륨에 대해 유체 연결을 확립하도록 바이알의 격막을 천공하기 위한 스파이크를 갖는다. 스파이크는 회전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바이알이 회전될 때, 스파이크는 회전되고 바이알과 인퓨젼 백의 내부 볼륨 사이의 유체 연결이 개방된다.

Description

인퓨젼 백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및 바이알로부터 인퓨젼 백으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인퓨젼, 비경구 영양 또는 경장 영양을 위한 의료용 액체로 충전될 수 있고, 바이알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인퓨젼 백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바이알을 인퓨젼 백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및 바이알과 인퓨젼 백 사이에 유체 연결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물질, 특히 약물을 인퓨젼 백으로 전달하도록, 인퓨젼 백의 포트를 바이알을 위한 커넥터로서 알려진 것으로서 구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바이알은 중공 니들, 특히 스파이크로 알려진 것에 의해 천공될 수 있는 격막을 포함하는 스냅-온 또는 비드형 캡을 갖는 작은 보틀들로서 설계된다. 액체는 중공 니들 또는 스파이크를 통해 공급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바이알에 존재하는 물질들은 예를 들어, 정균제와 같은 독성 약물일 수 있다.
바이알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는, 예를 들어, 인퓨젼 백 상에 직접 체결될 수 있고, 스파이크를 포함하여, 액체는 바이알로부터 인퓨젼 백 내로 및/또는 인퓨젼 백으로부터 바이알 내로 직접 유동하여 커넥터를 통해 분말을 용해시킬 수 있다. 이는 의료용 물질의 전달을 단순화시킬 뿐만 아니라 그것이 폐쇄 시스템이기 때문에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인퓨젼 백을 위한 이러한 커넥터는 예를 들어 공개된 특허 출원 WO 2012/101178 A1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에 설명된다. 커넥터는 스파이크를 포함하고, 스파이크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바이알과 인퓨젼 백 사이의 유체 연결을 개방 및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파이크는 바이알이 아래에 놓인 후에 격막에서 클램핑되고, 바이알을 축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유체 연결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은 유체 연결이 인퓨젼 백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과 바이알 사이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게 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퓨젼 백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커넥터 및 독립항들 중 하나에 따른 유체 연결을 제공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주제물, 설명 및 도면들로부터 추론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바이알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인퓨젼 백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인퓨젼 백의 내부 볼륨에 초기에 폐쇄된 유체 연결을 제공하도록 바이알의 격막을 천공하기 위한 스파이크를 포함한다. 스파이크가 회전될 때, 유체 연결부는 개방되고 필요에 따라 다시 폐쇄될 수 있다.
스파이크는 바람직하게는 바이알의 천공된 격막에 비틀림 방지 방식으로 배열되거나 또는 비틀림 방지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스파이크는 예를 들어 비틀림 방지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스파이크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특히 하우징의 센터 축 상에 배열된다.
바이알의 격막은, 바이알이 회전될 때 유체 연결을 개방하는 밸브를 위한 구동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스파이크는 천공된 격막에서 비틀림 방지 연결부로서 작용하는 포지티브 로킹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포지티브-로킹 요소들은 특히 스파이크의 외부 벽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진행하는 바아들로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스파이크는 바람직하게는 스파이크의 단지 하나의 섹션만을 점유하는 나사산을 하나의 구성에서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은 바람직하게는 2개 미만의 나사산 플라이트들을 갖는다.
스파이크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초기에 격막 내로 천공된다. 스파이크가 격막에 대해 회전될 때 나사산은 격막 내에서 회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격막 상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들이 감소될 수 있다.
특히, 격막은 나사산에 의해 스파이크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는, 나사산이 격막과 맞물릴 때까지 사용자가 단지 격막만을 천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격막의 천공을 용이하게 한다.
격막은 스파이크에서 나사결합에 의해 더 넓어진다.
축방향으로의 작은 힘은, 스파이크에 의해 내향으로 천공됨으로써 격막이 외부로 푸시될 위험이 없이, 격막이 나사산을 갖지 않는 스파이크에 비해, 바이알에 보다 덜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허용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나사산은 바이알이 의도치않게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나사산의 근위 단부는 특히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격막 내로의 나사산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의 경우, 스파이크의 팁은 보강부 상에 배열된다.
보강부는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껍게 된 벽 섹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파이크는 천공 동안 큰 힘을 흡수할 수 있다.
보강부는 바람직하게 근위 방향으로 진행한다.
특히, 스파이크의 외부 윤곽은 비틀림 방지 연결부를 갖는 섹션과 보강부 사이에 배열된 원형 섹션 내에서 병합된다.
따라서 천공 후에 우수한 시일 효과가 달성된다. 동시에, 스파이크는 격막 내로 용이하게 슬라이딩된다.
비틀림 방지 연결부를 갖는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포지티브 로킹 요소들 없이, 전체적으로 가장 큰 외부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포지티브 로킹 요소(들) 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시일링이 보장된다.
스파이크는 커넥터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스파이크 상에 푸시된 바이알을 회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이알이 커넥터로 삽입되고 유체연결이 핸드그립으로 간단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개방되는 것을 허용한다.
특히, 격막 내로 천공된 스파이크는 비틀림 방지 방식으로 격막에 고정된다. 따라서, 스파이크 자체는 격막에서 비틀림 방지 연결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비틀림 방지 연결부는 원형이 아닌 스파이크의 단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스파이크는 적어도 섹션별로 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스파이크는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리브와 같은 포지티브-로킹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포지티브-로킹 요소는 나사산과 스파이크 캐리어 사이에 배열된다. 격막은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 제 1 나사산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격막은 격막 내에서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에 의해 스파이크를 회전시킴으로써 더 팽창된다. 그후, 격막은 나사산으로부터 포지티브-로킹 요소를 갖는 영역 내로 슬라이딩한다. 이러한 영역에서, 스파이크는 바람직하게는 나사산의 전방 근위에서보다 큰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유체 연결을 개방하도록 추가의 회전 동안 토크들을 전달할 수 있는 비틀림 방지 연결부가 제공된다.
스파이크는 특히 원뿔형이다.
바이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 후에 커넥터의 바이알 홀더에서 로킹되고, 바람직하게는 비파괴적인 방식으로 다시 제거될 수 없다.
인퓨젼 백은 의료용 액체로 충전가능하거나 충전된다. 의료용 액체는 의료용 목적으로 사용되는 액체이고,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정맥내 투여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의료용 액체는 인퓨젼 용액이다. 이러한 인퓨젼 용액들의 가능한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 살균한 물
- 염류 용액들, 특히 NaCl-, KCl-, CaCl 및/또는 Mg 를 갖는 용액들;
- 탄화수소를 갖는 용액들, 특히 포도당 용액들;
- 비경구 영양을 위한 영양소들, 특히 지질들, 아미노산들 및/또는 글루코스를 갖는 용액들, 에멀젼들 및/또는 현탁액들;
- 특히 혈액 대체 요법을 위한 콜로이드 용액들 (예를 들어 Voluven®) ; 및/또는
- 활성 성분이 이미 의료용 액체에 첨가된 사전 혼합 시스템들로서 알려진 것.
본질적으로, 본 발명은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로 분할될 수 있다.
2개의 실시예들의 공통적인 특징들은 또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일반적인 설명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스파이크는 바람직하게는 스파이크 캐리어 상에 배열되고, 유체 연결은 전방에서 확립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또한 바이알을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인퓨젼 백의 형태의 패키징으로서 상세하게 설명되고,
상기 커넥터는 인퓨젼 백의 내부 볼륨에 대해 유체 연결을 제공하도록 바이알의 격막을 천공하기 위한 스파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바이알로부터 상기 인퓨젼 백의 내부 볼륨으로의 유체 연결을 개방하도록 상기 커넥터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유체 연결은 회전 이동에 의하여 시일의 채널과 오버랩되게 되는 상기 스파이크에 연결된 채널의 개구에 의해 확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연결은 회전 이동에 의해 시일의 채널과 오버랩되게 되는 스파이크에 연결된 채널의 개구에 의해 확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시일이 커넥터의 폐쇄 상태에서 전방에서 시일링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축방향 채널을 갖고서 사용되는 것을 제공한다. 스파이크가 회전될 때, 이는 스파이크에 연결된 바이알이 회전하게 하고, 스파이크로 유도되는 시일의 전방에서의 채널은 시일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축방향 채널과 오버랩되게 되어 유체 연결이 확립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전방 시일링에 기초된다. 이는 예를 들어, 시일의 개구와 오버랩되게 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플레이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회전가능한 플레이트는 특히 스파이크 캐리어의 일부일 수 있다.
특히, 스파이크에 연결된 채널의 개구는 스파이크의 회전축과 관련하여 방사상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스파이크는 커넥터의 하우징에 대해 그 센터 축 주위로 회전된다. 스파이크는 바람직하게는 비스듬히 그리고 방사상 외향으로 진행하는 채널을 통해 시일의 채널과 유체 연결될 수 있다. 시일의 채널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스파이크의 센터 축과 관련하여 방사상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스파이크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스파이크 캐리어 상에 배열된다. 디스크는 시일의 전방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열되며, 시일은 시일을 통해 연장되는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채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시일의 축 방향 채널은 디스크를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크 상의 또는 디스크에서의 개구와 오버랩될 수 있다.
디스크 상의 또는 디스크에서의 개구는 스파이크의 반대쪽 측에 위치되고, 특히 비스듬히 진행하는 채널에 의해 스파이크에 연결된다.
디스크는 커넥터의 상부 부품과 중간 부품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부 부품과 중간 부품은 특히 함께 로킹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제조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개선예에서, 상부 부품은 또한 바이알 홀더로서 설계되고 바이알의 칼라를 삽입된 상태로 홀딩한다.
시일은 커넥터의 하부 부품과 중간 부품 사이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부품 및 중간 부품은 특히 함께 로킹될 수 있다.
하부 부품은 커넥터의 연결 섹션, 특히 상기 용접 섹션 또는 용접 섹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3개의 본질적인 하우징 구성요소들, 즉 하부 부품, 중간 부품 및 상부 부품을 갖는다.
하우징 구성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또는 용접 연결이 생략될 수 있도록 함께 로킹된다.
시일은 바람직하게 하부 부품과 중간 부품 사이에 포지티브 로킹 방식으로 고정되는 한편, 스파이크는 중간 부품과 상부 부품 사이에 회전가능한 스파이크 캐리어를 갖고서 배열된다.
스파이크 및 디스크는 특히 일체형 플라스틱 부품으로 설계된다. 특히 스파이크는 디스크와 함께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설계된다.
따라서, 커넥터의 하우징에 배열될 수 있고, 시일과 함께, 시일의 채널과 오버랩되는, 채널을 통해 스파이크에 연결되는, 개구를 디스크에 의해 밸브에 제공하는 부품이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스파이크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를 개방하도록 그 센터 축 주위로만 회전된다. 스파이크 캐리어 상의 개구는 센터 축과 관련하여 그리고 따라서 회전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오프셋되어 위치된다.
스파이크가 회전될 때, 스파이크 캐리어 상의 개구는 그 결과로서 회전 축 주위로 이동하고, 따라서 회전축과 관련하여 마찬가지로 방사상으로 오프셋되는 시일의 채널과 오버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파이크는 커넥터가 개방될 때만 회전되고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변위되지 않는다. 이는 바이알의 격막과 스파이크 사이의 포지티브-로킹 연결의 설계를 단순화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개선예의 경우에, 커넥터는 스파이크를 커버하는 제거가능한 캡을 포함하는 개봉 확인 클로져를 포함한다.
개봉 확인 클로져는 바람직하게는 캡이 분리 인서트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캡은 분리 부품으로 설계되고 인서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인서트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의 상부 부품에 고정된다.
특히 상부 부품과 중간 부품을 연결하기 전에 커넥터의 상부 부품에 인서트를 로킹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파이크는 그것이 바이알의 천공된 격막에 비틀림 방지 방식으로 배열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특히, 스파이크는 적어도 섹션별로 라운드형이 아닌 단면을 가지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에지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스파이크는 격막 내에서 가압되거나 절단될 수 있는 측방향 포지티브-로킹 요소들, 예를 들어 리브들을 포함한다.
스파이크는 특히 그 단면이 다각형, 예를 들어, 단면이 사다리꼴이 되도록 섹션별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스파이크는 적어도 섹션별로 스파이크를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리브는 특히 그것이 격막 내에서 절단되고 따라서 비틀림 방지 연결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특히 스파이크의 측 벽으로부터 진행하는 후방을 향해 확장되는 핀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리브, 특히 핀은 바이알의 격막 내에서 가압되거나 절단될 수 있고, 따라서 포지티브-로킹 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바람직하게 상기 스파이크가 1/8 턴 초과 및/또는 전체 턴 미만, 특히 대략 1/4 턴 만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커넥터는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필요하다면 또한 다시 용이하게 폐쇄될 수 있다. 유체 연결은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개방 방향에 반대쪽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에 의해 다시 폐쇄될 수 있다.
액체는, 예를 들어 분말로서 존재하는 활성 성분을 용해하고/하거나 액체 활성 성분을 먼저 희석하도록, 바이알로부터 인퓨젼 백 내로 그리고 인퓨젼 백으로부터 바이알 내로 유체 연결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인퓨젼 백 내로의 바람직하게는 완전한 액체 전달 후에, 유체 연결은 남아있는 인퓨젼 액체가 바이알 내로 역류하거나 인퓨젼 동안 그곳에 남아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폐쇄될 수 있다.
인퓨젼 백은 바람직하게는 함께 용접된 포일들, 특히 폴리프로필렌 포일들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바이알 또는 바이알의 헤드가 로킹가능한 바이알 홀더를 포함한다. 따라서, 바이알은 연결된 상태에서 스파이크에 의해서 홀딩될 뿐만 아니라, 칼라를 형성하는 그 헤드와 함께 커넥터와 기계적으로 로킹된다. 바이알 홀더는 바이알과 커넥터 사이의 연결이 의도된 사용 중에 다시 해제될 수 없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의 하부 부품은, 예를 들어, 그것이 인퓨젼 백의 용접 시임 내에 용접되는 용접 셔틀을 포함함으로써 인퓨젼 백의 포일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어댑터로서 설계되며, 어댑터에서 커넥터의 하우징 부품은 예를 들어 Luer 또는 Luer 로크 연결을 통해 인퓨젼 백의 포트에 커플링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커넥터, 바람직하게는 커넥터의 하부 부품은 용접을 위한 연결 섹션 대신에 포트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피스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하부 부품 및 중간 부품을 포함하고, 시일 요소는 적어도 중간 부품에 배열되고, 하부 부품 및 중간 부품은 함께 로킹된다. 커넥터가 조립될 때 중간 부품 및 하부 부품은 용이하게 함께 로킹되고, 시일 요소는 그것들 사이에 삽입되고 클램핑된 방식으로 그곳에서 홀딩된다. 시일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로킹될 때 압축된다. 하부 부품 및 중간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비틀림 방지 방식으로, 특히 서로 맞물리는 포지티브-로킹 요소들에 의해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시일 요소의 고정 시트를 보장하도록, 시일 요소에는 커넥터의 하우징에 의해 제공된 홈에 포지티브-로킹 방식으로 고정되는 원주방향 링-형상의 섹션이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의 홈은 특히 하부 부품에서의 하부 섹션 및 중간 부품에서의 상부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시일 요소는 적어도 탄성 재료, 특히 폴리이소프렌, 브로모부틸 또는 클로로부틸로 이루어진다.
스파이크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스파이크는 커넥터의 하우징 구성요소들과 같은, 특히 커넥터의 하부 부품과 같은 경질 재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파이크는 격막 내로 용이하게 천공될 수 있다.
특히, 스파이크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이는 특히 경질이고 또한 오토클레이브형 (autoclaved) 일 수도 있다. 커넥터의 하우징 구성요소들, 특히 하부 부품, 중간 부품 및/또는 그 바이알 홀더를 갖는 상부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개선예의 경우, 커넥터는 커넥터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지의 여부를 디스플레이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디케이터가 커넥터의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서 보여질 수 있다.
커넥터가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는 일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의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윈도우들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인디케이터가 어느 윈도우를 통해 보여지는 지에 따라 커넥터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스파이크가 더 이상 턴백될 수 없는 방식으로 스파이크 또는 스파이크에 연결된 구조 요소가 개방 상태에서 로킹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는 또한 커넥터가 그 개방 위치에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단지 하나의 윈도우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커넥터의 개방 및/또는 폐쇄 상태에서 상기 인디케이터를 윈도우 내에 스냅결합할 수 있는 스프링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디케이터의 시각적 판독성은 인디케이터를 통해 개구에 의해 하우징 벽에 개구에 형성되거나 개구 밖을 보는 윈도우를 살펴보기 때문에, 개선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를 윈도우에 스냅결합함으로써, 음향 신호는, 또한 예를 들어, 클릭의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어서, 커넥터가 예를 들어 개방 위치에 위치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음향적으로 신호전달한다.
더욱이, 현저한 저항이 또한 스프링 상에 배열된 인디케이터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바이알이 스파이크를 개방 및/또는 폐쇄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도록 회전될 때 극복되어야 한다.
커넥터가 개방 위치에서 로킹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일 실시예의 경우, 로킹은 또한, 그것이 예를 들어, 윈도우와 로킹되고 따라서 스파이크 또는 스파이크에 연결된 구조적 요소가 터닝 백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로서 설계됨으로써, 인디케이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일반적인 설명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스파이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바이알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인퓨젼 백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에 의해 상세히 설명되고,
커넥터는 인퓨젼 백의 내부 볼륨에 유체 연결을 확립하도록 바이알의 격막을 천공하기 위한 스파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커넥터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계되고, 유체 연결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시일 요소, 바람직하게 커넥터에 인접하는 측방향 개구를 갖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측방향 개구가 상기 시일 요소로부터 이동되고 상기 바이알으로부터 인퓨젼 백의 내부 볼륨으로의 유체 연결이 개방되는 방식으로 바이알이 회전될 때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다.
유체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에 의해 다시 폐쇄될 수 있다. 액체는, 예를 들어 분말로서 존재하는 활성 성분을 용해하고/하거나 액체 활성 성분을 먼저 희석하도록, 바이알로부터 인퓨젼 백 내로 그리고 인퓨젼 백으로부터 바이알 내로 유체 연결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인퓨젼 백 내로의 바람직하게는 완전한 액체 전달 후에, 유체 연결은 남아있는 인퓨젼 액체가 인퓨젼, 전달 및/또는 추가의 취급 동안 바이알 내로 역류하거나, 바이알에 남아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폐쇄될 수 있다.
인퓨젼 백은 바람직하게는 함께 용접된 포일들, 특히 폴리프로필렌 포일들로 형성된다.
중공 니들로도 지칭될 수 있는 스파이크는 액체가 측방향 개구까지 유동할 수 있는 축방향 채널을 포함한다.
유체 연결의 폐쇄 상태에서 측방향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링-형상의 시일 요소에 의해 시일링된다. 그 결과로서, 양호하고 안전한 시일링이 달성된다. 측방향 개구에는, 특히 2 mm2 초과의 큰 개구 단면이 제공될 수 있다.
커넥터에 의해 형성된 밸브의 작동은 편리하고 안전하다. 또한, 스파이크가 회전되는 바이얼의 격막에 대해 비틀림 방지되도록 스파이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데, 왜냐하면 회전이 천공 방향에 수직하게 지향되기 때문이다. 스파이크와 격막 사이의 비틀림 방지 연결부는 따라서 격막을 천공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지 않는다.
바이알의 회전은 커넥터에서 스파이크의 회전을 야기한다. 바이알의 회전은 바람직하게는 인퓨젼 백의 형태의, 커넥터의 하우징 및/또는 의료용 패키징에 대한 바이알의 상대적인 회전이다. 따라서, 스파이크의 회전은 또한 바이알에 대해 의료용 패키징 및/또는 커넥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바이알 또는 바이알의 헤드가 로킹가능한 바이알 홀더를 포함한다. 따라서, 바이알은 연결된 상태에서 스파이크에 의해서 홀딩될 뿐만 아니라, 칼라를 형성하는 바이알의 헤드와 함께 커넥터와 기계적으로 로킹된다. 바이알 홀더는 바이알과 커넥터 사이의 연결이 의도된 사용 중에 다시 해제될 수 없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파이크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터의 하우징 부품, 특히 하부 부품의 나사산, 특히 내부 나사산에서 안내되는 나사산, 특히 외부 나사산을 포함한다.
축방향 변위가 회전 이동을 통해 발생되는 나사산은 바이알로부터 볼 때 측방향 개구 뒤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파이크는 나사산 및 팁을 갖는 천공 섹션을 포함하며, 측방향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천공 섹션과 나사산 사이에 위치된다.
커넥터의 하부 부품은, 예를 들어, 그것이 인퓨젼 백의 용접 시임 내에 용접되는 용접 셔틀을 포함함으로써 인퓨젼 백의 포일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어댑터로서 설계되며, 그곳에서 커넥터의 하우징 부품은 예를 들어 Luer 또는 Luer 로크 연결을 통해 인퓨젼 백의 포트에 결합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커넥터, 바람직하게는 커넥터의 하부 부품은 용접을 위한 연결 섹션 대신에 포트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피스를 갖는다.
나사산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플라이트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2개의 플라이트들로 설계된다. 따라서, 회전 이동의 경우, 상대적으로 큰 축방향 변위, 특히 하프 턴의 경우 2 mm 초과의 축방향 변위가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스파이크의 나사산 및/또는 커넥터의 하우징 부품의 나사산은 액체의 통과를 위한 리세스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액체는 큰 자유 단면을 통해 나사산을 지나 유동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 부품의 나사산은 세그먼트화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나사산 또는 나사산의 피치들에 홈들이 제공된다. 그것들은 축방향 채널이 하우징 부품의 내부 측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커넥터의 하부 부품의 채널을 따라 연장되는 나사산에 형성되는 방식이다.
스파이크의 나사산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세스들을 포함한다. 리세스들은 특히 나사산 치형부의 플랫화된 부분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커넥터의 개방 상태에서, 스파이크 상의 나사산의 리세스들은 커넥터의 하우징 부품에서 나사산의 리세스들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랩된다. 따라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이 나사산에 형성된다. 따라서, 측방향 개구로부터 인퓨젼 백으로의 축방향 유체 연결이 가능하다.
스파이크는 바람직하게는 그것이 비틀림 방지 방식으로 바이알의 격막에 안착되도록 설계된다. 이는 특히 라운드형 형상으로부터 벗어나는 단면에 의해 가능하다. 특히, 스파이크는 적어도 바이알의 격막이 삽입된 상태로 안착되는 영역에서, 적어도 섹션별로 다각형, 특히 사다리꼴인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커넥터의 하부 부품을 통해 그리고 상기 커넥터의 또 다른 인접한 하우징 부품을 통해, 특히 하부 부품에 연결된 중간 부품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하부 부품은 시일 요소를 통해 인접하는 하우징 부품에 대해 시일링된다.
따라서, 시일 요소는 유체 연결의 폐쇄 상태에서 스파이크의 측방향 개구를 시일링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또한 외측에 대해 인퓨젼 백의 내부 볼륨의 시일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시일 요소는 특히 커넥터의 하우징 하부 부품과 하우징 중간 부품 사이에 안착된다.
커넥터는 바람직하게 상기 스파이크가 1/4 턴 이상 및/또는 전체 턴 미만, 특히 대략 1/2 턴 만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스파이크를 위한 나사산을 갖는 하부 부품 및 중간 부품을 포함하고, 시일 요소는 적어도 중간 부품에 배열되고, 하부 부품 및 중간 부품은 함께 로킹된다. 커넥터가 조립될 때 중간 부품과 하부 부품은 용이하게 함께 로킹되고, 시일 요소는 그것들 사이에 삽입되고 클램핑된 방식으로 그곳에서 홀딩된다. 시일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로킹될 때 압축된다. 하부 부품 및 중간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비틀림 방지 방식으로, 특히 서로 맞물리는 치형부에 의해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시일 요소의 고정 시트를 보장하도록, 시일 요소에는 커넥터의 하우징에 의해 제공된 홈에 포지티브-로킹 방식으로 고정되는 원주방향 링-형상의 섹션이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의 홈은 특히 하부 부품에서의 하부 섹션 및 중간 부품에서의 상부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시일 요소는 적어도 탄성 재료, 특히 TPE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이소프렌, EPDM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 브로모부틸 또는 클로로부틸로 이루어진다.
스파이크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스파이크는 커넥터의 하우징 구성요소들과 같은, 특히 커넥터의 하부 부품과 같은 경질 재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파이크는 격막 내로 용이하게 천공될 수 있다.
특히, 스파이크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이는 특히 경질이고 또한 오토클레이브형일 수도 있다. 커넥터의 하우징 구성요소들, 특히 하부 부품, 중간 부품 및/또는 바이알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인퓨젼 백의 형태의, 특히 전술한 하나 또는 복수의 특징들을 갖는 의료용 패키징에 관한 것이다. 인퓨젼 백은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인퓨젼 백의 내부 볼륨에 대해 유체 연결을 제공하도록 바이알의 격막을 천공하기 위한 스파이크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는 바이알의 삽입 방향으로 내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클램핑 핑거들을 갖는 바이알 홀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르면, 커넥터의 원주에 걸쳐 분포된 복수의 클램핑 핑거들을 통해, 커넥터에서의 바이알의 안전한 로킹이 가능하게 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비파괴 방식으로 해제될 수 없다.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원주에 걸쳐 분포된 4 내지 10개, 특히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개의 클램핑 핑거를 포함한다. 클램핑 핑거는 바람직하게는 10°초과, 바람직하게는 30°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40°초과 및/또는 80°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미만의 각도로 커넥터의 센터 축에 수직으로 위치된 평면에 대해 바이알의 삽입 방향으로 경사진다.
각각의 클램핑 핑거들은 테이퍼링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클램핑 핑거들이 평면도 (폭에서) 에서 테이퍼링되고, 클램핑 핑거들의 두께가 팁을 향해 감소되는 것이 제공된다. 클램핑 핑거들의 두께는 특히 그것들이 팁을 향해 상부 측 및 하측 상에서 플랫화됨으로써 팁을 향해 감소된다.
이러한 구성은 바이알을 삽입한 후, 바이알을 다시 당길 때 그 캡 및/또는 그 헤드를 파지하고 따라서 바이알이 다시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약간 편향된 클램핑 핑거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이알 홀더는 바이알을 도입하거나 바이알의 헤드를 도입하기 위한 깔때기 형상의, 특히 컵 형상의 섹션을 포함한다. 따라서, 바이알의 헤드는 도입될 때 센터링되는 방식으로 스파이크에 공급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의료용 패키징, 특히 상기 설명된 의료용 패키징을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커넥터와 관련하여 모든 상기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의료용 패키징과 바이알 사이에 유체 연결을 제공하도록 의료용 패키징을 위한 커넥터에 의해 일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되며, 커넥터는 상기 바이알의 격막을 천공하기 위한 스파이크 및 상기 스파이크를 둘러싸는 시일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커넥터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계되고, 폐쇄 유체 연결로 상기 시일 요소에 인접하거나 시일 요소 상에 기밀하게 놓이는 측방향 개구를 갖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채널의 상기 측방향 개구가 상기 시일 요소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바이알과 상기 의료용 패키징 사이의 유체 연결이 개방되는 방식으로 바이알을 회전시킴으로써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의료용 패키징과 바이알 사이에 유체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의료용 패키징을 위한 커넥터에 의해 일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되며, 커넥터는 상기 바이알의 격막을 천공하기 위한 스파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크는 디스크를 포함하는 스파이크 캐리어 상에 배열되고, 상기 디스크는 시일의 전방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시일은 축방향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시일의 상기 축방향 채널은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 상의 개구와 오버랩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바이알과 상기 의료용 패키징 사이의 유체 연결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의료용 패키징과 바이알 사이에 유체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의료용 패키징을 위한 커넥터에 의한 하나의 구성에 따라 상세히 설명될 수 있고, 커넥터는 상기 바이알의 격막을 천공하기 위한 스파이크를 포함하고, 스파이크는 바람직하게는 스파이크의 단지 하나의 섹션만을 점유하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은 바람직하게는 2개 미만의 나사산 플라이트들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의료용 패키징과 바이알 사이에 유체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의료용 패키징을 위한 커넥터에 의한 하나의 구성에 따라 상세히 설명될 수 있고, 커넥터는 상기 바이알의 격막을 천공하기 위한 스파이크를 포함하고, 스파이크의 팁은 보강부 상에 배열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의료용 패키징의 포트의 구성요소이다. 커넥터는 의료용 패키징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의료용 패키징은 예를 들어 인퓨젼 백 또는 인퓨젼 보틀로서 설계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의료용 패키징의 포트에 연결가능한 초기에 별개의 어댑터로서 설계된다. 이를 위해 커넥터는, 예를 들어 의료용 패키징의 포트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 피스를 포함한다. 포트는 예를 들어 인퓨젼 백 상에 또는 인퓨젼 보틀의 캡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커넥터의 연결 피스는, 예를 들어, 의료용 패키징의 암형 Luer 로크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는 수형 Luer 로크 커넥터로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바이알의 형태의 제 1 의료용 패키징과, 바람직하게는 인퓨젼 백의 형태의 제 2 의료용 패키징의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커넥터 사이에, 유체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2 의료용 패키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명된 의료용 패키징에 상응한다. 커넥터, 제 1 의료용 패키징 및/또는 제 2 의료용 패키징은 위에서 언급된 모든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바이알의 형태의 제 1 의료용 패키징과, 바람직하게는 인퓨젼 백의 형태의 제 2 의료용 패키징의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커넥터 사이에, 유체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되고,
상기 제 1 의료용 패키징은 상기 스파이크가 상기 제 1 의료용 패키징의 격막을 천공하여 상기 제 2 의료용 패키징의 내부 볼륨에 바람직하게 초기 폐쇄된 유체 연결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2 의료용 패키징의 상기 커넥터 상으로 푸시되고,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제 1 의료용 패키징 및/또는 상기 커넥터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되고, 이렇게 행함으로 상기 제 1 의료용 패키징으로부터 상기 제 2 의료용 패키징으로의 유체 연결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파이크는 유체 연결이 다시 폐쇄되도록 제 1 의료용 패키징 및/또는 커넥터를 회전시킴으로써 다시 터닝 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파이크는 바이알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되고, 그렇게 함으로써 인퓨젼 백에 대한 유체 연결이 개방된다. 유체 연결의 편리한 개방은 바이알의 격막을 통한 스파이크의 회전 작동을 통해 가능해진다. 동시에, 격막을 천공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지 않고, 스파이크와 격막 사이에, 비틀림 방지 연결부가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스파이크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디스크를 포함하는 스파이크 캐리어 상에 배열된다. 디스크는 시일의 전방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열된다. 시일은 축방향 채널을 포함한다. 스파이크의 반대쪽 측에서, 디스크는 채널이 스파이크로 이어지는 개구를 포함한다. 디스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파이크가 바이알의 격막을 통해 디스크를 구동하면서, 축방향 채널은 따라서 바이알과 의료용 패키징 사이의 유체 연결을 개방하도록 디스크 상의 개구와 오버랩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스파이크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개방 동안 축방향으로 변위되고, 측방향 개구는 시일 요소로부터 이동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24 는 바이알이 회전가능한 디스크 상에 배열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 은 인퓨젼 백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의 도면이다.
도 2 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커넥터의 사시 분해도이다.
도 4 내지 도 6 은 스파이크를 갖는 스파이크 캐리어의 상세도이다. 이러한 경우에, 도 4 는 사시도이고, 도 5 는 후방 측의 평면도이며, 도 6 은 단면도이다.
도 7 은 커넥터의 중간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 8 은 단면도이다.
도 9 는 시일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하부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 은 상부 부품을 상세도로 도시한다. 도 11 은 사시도이고, 도 12 는 평면도이고, 도 13 은 단면도이다.
도 14 는 캡 형태의 개봉 확인 클로져의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 은 스파이크가 비틀림 방지 방식으로 고정되고 개방 최종 위치에 로킹되는 방식으로 스파이크 캐리어 및 커넥터의 하우징의 중간 부품이 협력하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 는 이를 위해 사용되는 중간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6 은 아래로부터 중간 부품의 평면도이다.
도 17 은 스파이크를 갖는 스파이크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18 은 폐쇄 상태의 도 1 내지 도 14 에 도시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9 는 개방 상태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0 은 특히 도 1 내지 도 14 와 비교하여 변경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스파이크의 인디케이터는 최종 위치들에서 로킹되지 않고, 스파이크는 상이한 구성을 갖는다.
도 21 은 이러한 실시예의 중간 부품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22 및 도 23 은 스파이크 캐리어와 함께 스파이크의 상세도이다.
도 24 는 커넥터의 캡의 사시 상세도이다.
도 25 는 개방 및 폐쇄 상태를 표시하도록 추가된 마킹들을 갖는 커넥터를 도시하고 커넥터는 회전 이동을 통해 하나의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6 은 도 25 로부터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7 및 도 28 은 폐쇄 상태의 커넥터의 종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스파이크가 나사산을 갖지 않지만, 대신 보강된 팁을 제공하는 도 29 내지 도 36 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9 및 도 30 은 측면도들이다.
도 31 은 도 29 의 라인 A-A 를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32 는 도 30 의 라인 B-B 를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33 은 스파이크를 갖는 스파이크 캐리어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34 은 스파이크를 갖는 스파이크 캐리어의 측면도이다.
도 35 는 도 34 의 라인 C-C 를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36 은 원위 위치로부터의 스파이크를 갖는 스파이크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도 37 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a 내지 도 19a 는 스파이크가 측방향 개구를 갖고 회전 이동에 의해 축방향으로 푸시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a 는 인퓨젼 백에 연결될 바이알과 함께 커넥터를 갖는 인퓨젼 백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의 도면이다.
도 2a 는 커넥터에 연결된 바이알의 사시도이다.
도 3a 는 (연결된 바이알을 갖지 않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a 는 커넥터의 사시 분해도이다.
도 5a 내지 도 7a 는 커넥터의 하부 부품의 상이한 도면들이며,
도 5a 는 사시도이고, 도 6a 는 종단면도이고, 도 7a 는 하부 부품의 용접 섹션의 평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10a 는 커넥터의 스파이크를 도시하며, 도 8a 는 2개의 측면도들 및 사시도를 포함하고, 도 9a 는 축방향 단면도이며, 도 10a 는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2a 는 커넥터의 시일 요소를 도시하고, 도 11a 는 시일 요소의 사시도이고, 도 12a 는 시일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4a 는 커넥터의 중간 부품을 도시하며, 도 13a 는 커넥터의 중간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 14a 는 커넥터의 중간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7a 는 커넥터의 바이알 홀더를 도시하며, 도 15a 는 사시도이고, 도 16a 는 평면도이고, 도 17a 는 단면도이다.
도 18aa 및 도 18ab 는 연결된 바이알을 갖지 않는 (도 18aa) 그리고 연결된 바이알을 갖는 (도 18ab) 폐쇄 상태에서의 커넥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9a 는 연결된 바이알을 갖는 개방 상태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4 는 바이알 (90) 이 회전가능한 디스크 (404) 상에 배열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 은 바이알 (90) 이 연결될 인퓨젼 백 (70)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의 도면이다.
인퓨젼 백 (70) 은 횡방향 용접 시임들 (71) 및 종방향 용접 시임들 (72) 을 통해 함께 용접된 포일로 이루어진다. 인퓨젼 백 (70) 은 인퓨젼 백 (70) 을 스탠드에 부착하기 위한 행거 (73) 를 갖는다.
인퓨젼 백 (70) 은 적어도 하나의 인출 포트 (80) 를 더 포함한다.
인출 포트 (80) 는 인퓨젼 백 (70) 의 횡방향 용접 시임 (71) 내에 용접된 하부 부품 (81) 및 분리 부품 (83) 를 갖는 상부 부품 (82) 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회수 포트 (80) 는 하부 부품 (81) 과 상부 부품 (82)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클램핑된 방식으로 고정되는 격막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음) 을 포함한다.
분리 부품 (83) 을 분리한 후에, 인출 포트 (80) 의 격막은 예를 들어, 따라서 인퓨젼 액체를 인출하고 환자에게 그것을 공급하기 위해, 전달 세트의 스파이크로 천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인퓨젼 백 (70) 은 유체 연결이 바이알 (90) 에 대해 확립될 수 있는 커넥터 (60) 로서 설계된 추가의 포트를 포함한다. 커넥터 (60) 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용접 시임 (71) 의 영역 (74) 에 용접되는 하부 부품 (100) 을 포함한다. 커넥터 (60) 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의 도면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추가의 액세스 또는 포트가 커넥터 (60) 에 의해 제공되며, 이를 통해 액체가 바이알 (90) 로부터 인퓨젼 백 (70) 으로 전달될 수 있다. 더욱이, 예를 들어, 그곳에 존재하는 고체, 예를 들어, 분말, 활성 성분을 용해시키도록, 인퓨젼 백 (70) 으로부터 바이알 (90) 로 액체를 처음 전달하고, 그후 생성된 용액을 인퓨젼 백 (70) 으로 다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이알 (90) 은 캡 (91) 을 포함하고, 이는 특히 비드형 금속 캡 또는 스냅-온 클로져로서 설계되고 커넥터 (60) 의 스파이크에 의해 천공될 수 있는 격막을 포함한다.
바이알 (90) 을 인퓨젼 백 (70) 에 연결하도록, 캡 (500) 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 (60) 로부터 먼저 제거된다.
전방에 캡 (91) 을 갖는 바이알 (90) 은 그후 커넥터 (60) 내로 푸시되고, 커넥터 (60) 의 깔때기 형상의 또는 특히 컵 형상의 구성은 센터링된 도입을 간단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바이알 (90) 의 격막은 커넥터 (60) 의 스파이크 (401) 에 의해 천공되고, 칼라 형상으로 설계된 바이알 (90) 의 캡 (91) 또는 바이알 (90) 의 헤드는 커넥터 (60) 에 로킹된다.
그후, 유체 연결은 바이알 (90) 을 회전시킴으로써 바이알 (90) 과 인퓨젼 백 (70) 사이에서 개방되고, 이에 의해 스파이크 (401) 도 회전된다.
또한, 커넥터 (60) 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이동을 통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는 밸브를 포함한다.
도 2 는 인퓨젼 백 (70) 을 갖지 않는 커넥터 (60) 의 사시도이다.
커넥터 (60) 의 하부 부품 (100) 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특히 용접 (weld-in) 섹션 (101) 으로서 설계된 인퓨젼 백 (70) 을 위한 연결 섹션을 포함한다. 용접 섹션 (101) 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셔틀의 형상으로 설계된다. 채널 (102) 은 커넥터 (60) 의 하부 부품 (100) 을 통해 인퓨젼 백 (70) 내로 유도된다.
하부 부품 (100) 은 중간 부품 (200) 에 연결되고, 중간 부품 (200) 은 그 일부에 대해 상부 부품 (300) 의 바이알 홀더 (301) 에 연결된다.
또한, 커넥터 (60) 의 하부 부품 (100) 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퓨젼 백 (70) 내로의 용접부에 대한 연결 섹션 대신에, 포트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피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60) 가 포트용의 별도의 어댑터로서 설계된다. 커넥터 (60) 의 연결 피스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수형 Luer 커넥터 또는 Luer 로크 커넥터로서 설계될 수 있다.
도 3 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60) 의 사시 분해도이다.
커넥터 (60) 의 하우징은 하부 부품 (100), 중간 부품 (200) 및 상부 부품 (300) 을 포함한다.
하부 부품 (100) 과 중간 부품 (200) 및 중간 부품 (200) 과 상부 부품 (300) 은 각각 함께 로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 (60) 는 용접 또는 접착제 연결 없이 장착될 수 있다.
시일 (600) 은 하부 부품 (100) 과 중간 부품 (200) 사이에 삽입된다.
스파이크 (401) 를 갖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는 조립된 상태에서 중간 부품 (200) 과 상부 부품 (300) 사이에 삽입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캡 (500) 은 상부 부품 (300) 내로 아래로부터 삽입되며, 이는 분리 부품으로서 설계되고 따라서 개봉 확인 클로져로서 역할을 한다.
상부 부품 (300) 은 바이알 (90) 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깔때기 형상의 바이알 홀더 (301) 를 포함한다. 바이알 (90) 은, 일단 삽입되면, 바이알 홀더 (301) 에 로킹되고, 다시 제거될 수 없다.
중간 부품은 윈도우 (201, 202) 를 포함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커넥터 (60) 가 개방 또는 폐쇄된 지의 여부를 식별한다.
커넥터 (60) 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스파이크 캐리어 (400) 는 바이알 (90) 에 연결된 스파이크 (401) 에 의해,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대략 1/4 턴 만큼 회전된다.
이러한 사시도에서, 스파이크 캐리어 (400) 을 위한 스톱 (207) 은 중간 부품 (200) 의 내부 벽 상에서 식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파이크 캐리어 (400) 의 회전 이동이 제한된다.
도 4 는 스파이크 (401) 를 갖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의 사시도이다.
스파이크 캐리어 (400) 는 디스크 (404) 를 포함하고, 적어도 커넥터 (60) 를 개방하도록 시일 (600) 과 협력하여 밸브를 형성한다.
여기에 도시된 스파이크 캐리어 (400) 는 커넥터 (60) 가 다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는 커넥터 (60) 의 실시예를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의료용 액체가 투여되는 동안 의료용 액체가 바이알 (90)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을 갖는다.
디스크 (404) 및 스파이크 (401) 는 바람직하게는 일체형 플라스틱 부품, 특히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설계된다.
스파이크 (401) 는 팁 (402) 에서 원추형으로 진행된다. 팁 (402) 은 바람직하게는 바이알 (90) 에서 격막의 용이한 천공을 가능하도록 테이퍼링된다.
스파이크 (401) 는 바람직하게는 스파이크 (401) 의 중간 영역으로 진행하는 팁 (402) 에 대해 인덴트 (403) 를 포함한다. 측방향 인덴트 (403) 는 액체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바이알 (90) 이 사실상 완전히 비워질 수 있게 한다.
스파이크 (401) 의 푸트 (foot) 에는 디스크 (404) 의 상부 측과 스파이크 (401) 사이의 경계부에서 스파이크 (401) 를 보강하는 보강 바아들 (405) 이 있다. 보강 바아들 (405) 은 또한 삽입된 상태에서 바이알 (90) 의 캡 (91) 에 대한 스톱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보강 바아들은 디스크 (404) 의 상부 측을 따라 별 형상으로 연장되는 바아들로서 스파이크 (401) 의 베이스로부터 나아가게 진행된다.
또한, 스파이크 (401) 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리브들 (414) 을 포함한다.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리브들 (414) 은 특히, 디스크 (404) 의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확장되고 전방을 향해 테이퍼링되는 스파이크 (401) 의 전방 또는 중간 영역으로부터 진행하는 핀들로서 설계된다.
따라서, 리브들 (414) 은 바이알 (90) 의 격막 내에서 절단될 수 있고, 따라서 비틀림 방지 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비틀림 방지 연결부는 스파이크 (401) 가 스파이크 캐리어 (400) 와 회전될 때 그것이 축방향으로 변위되지 않는다는 사실로부터 이익을 얻는다. 따라서, 리브 (414) 는 커넥터 (60) 가 개방될 때 하나의 높이에서 유지된다. 바이알 (90) 의 격막은 커넥터 (60) 내로 삽입될 때 스파이크 (401) 까지 푸시될 수 있다. 스파이크 (401) 가 회전될 때, 이러한 최대 푸시-온 위치는 일반적으로 변경되지 않는다.
디스크 (404) 는 적어도 하나의 스톱 (406), 특히 2개의 스톱들 (406) 을 더 포함하며, 이는 중간 부품 (200) 의 스톱 (207) 과 협력하여 스파이크 (401) 와 스파이크 캐리어 (400) 의 회전 이동을 제한한다. 디스크 (404) 의 적어도 하나의 스톱 (406) 은 디스크 (404) 의 외부 원주에서 방사상 단차부로서 설계된다.
또한, 디스크 (404) 는 윈도우 (201) 를 통해 폐쇄 상태 및 커넥터 (60) 의 중간 부품 (200) 의 또 다른 윈도우 (202) 를 통해 개방 상태로 보여질 수 있는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되는 인디케이터 (407) 를 포함한다.
인디케이터 (407) 는, 그 식별성을 개선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윈도우(들) (201, 202) 에 인접하는 중간 부품과 상이한 컬러를 갖는다.
인디케이터 (407) 는 스파이크 (401) 를 갖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가 회전될 때 그것이 하우징 벽의 개구로서 설계된 윈도우 (201, 202) 내로 돌출하고 스프링 백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또한, 따라서, 현저한 저항이 스파이크 캐리어 (400) 를 최종 위치들 (개방 또는 폐쇄) 중 하나로부터 이동시키도록 인디케이터 (407) 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 (407) 는 또한 그것이 윈도우들 (201, 202) 중 하나 내에 스냅겹합될 때, 특히 클릭의 형태의 가청 노이즈가 존재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60) 가 예를 들어 개방 최종 위치에 위치된다는 것이 사용자에게 광학적으로 그리고 음향적으로 신호전달된다. 또한, 만입부 (407a) 는 디스크 (404) 의 외부 원주에 배열된다. 만입부 (407a) 는 인디케이터 포인트 (202) 에 대해 (개방된다). 폐쇄 상태에서, 만입부 (407a) 는 위치에서의 차이를 보다 양호하게 차별화하도록 지점 (202) 에서 후방을 향해 오프셋된다.
도 5 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의 하부측, 즉 스파이크 (401) 의 반대측 상에서 평면도이다.
2개의 스톱들 (406) 은 양쪽 회전 방향들, 예를 들어 대략 1/4 턴으로 스파이크 (401) 를 갖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의 회전성을 제한한다.
액체가 개방 상태에서 스파이크 (401) 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개구 (408) 는 스파이크 (401) 의 회전축 (415) 과 관련하여 방사상으로 오프셋되어 위치된다. 따라서, 스파이크 (401) 가 회전될 때, 개구 (408) 는 회전축 (415) 주위로 시프트되고 커넥터 (60) 의 개방 상태에서 시일의 채널 (601) 과 오버랩된다.
인디케이터 (407) 는 평면도에서 아치형 섹션들 (410) 을 통해 양쪽 측들 상에서 스프링 (409) 에 연결되고, 스프링 (409) 은 디스크 (404) 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방사상 내향으로 스프링작용되는 인디케이터 (407) 는 스프링 (409), 인디케이터 (407) 및 아치형 섹션 (410) 뒤에서, 디스크 (404) 에 의해 형성되는 플레이트가 리세스형성되는 리세스 영역 (416) 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인디케이터 (407) 및 스프링들 (409) 은 디스크 (404) 의 남아있는 측 벽에 의해 형성된다. 스프링 (409) 은 특히 리세스형 영역 (416) 으로 인해 디스크 (404) 의 남아있는 측 벽에 의해 형성되는 판 스프링들로서 설계된다.
인디케이터 (407) 는 디스크 (404) 에 의해 형성된 링으로부터 옆으로 보이고, 최종 위치들에서 중간 부품 (200) 의 윈도우들 (201, 202) 내로 편향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 (407) 는 여기서 스파이크 캐리어 (400) 의 나머지와 일체형으로 설계된다.
편향 동안 재료에서의 인장들은, 변형들이 보다 긴 재료 섹션에 걸쳐 분할될 수 있기 때문에, 아치형 섹션들 (410) 에 의해 감소된다.
도 6 에 따른 종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 (408) 는 스파이크 (401) 의 채널 (412) 에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채널 (411) 을 통해 스파이크 (401) 내에서 병합된다. 채널 (411) 은 특히 30° 내지 60°의 각도로 스파이크 (401) 의 채널 (412) 내로 개방될 수 있다.
개구 (408) 는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채널 (411) 을 통해 회전축 (415) 과 관련하여 방사상으로 오프셋된 디스크 (404) 상에 배열된다.
스파이크 (401) 의 채널 (412) 은 바람직하게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의 회전축에 동축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스파이크 (201) 에 연결된 바이알 (90) 은 커넥터 (90) 가 개방될 때 그 자체의 센터 축 주위로 실질적으로 회전 이동만을 받는다.
디스크 (404) 는 또한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로터리 디스크 (413) 를 포함한다. 개구 (408) 가 안에 위치되는 로터리 디스크 (413) 는 원형 플레이트로서 돌출되고 조립된 상태에서 중간 부품 (200) 의 홀더 (211) 에 안착된다 (도 8 참조). 커넥터 (60) 의 폐쇄 상태에서, 로터리 디스크 (413) 의 상단 표면은 시일 (600) 상에 기밀하게 놓이고, 따라서 시일 (600) 에서 채널 (601) 을 폐쇄한다. 스파이크 (401) 를 회전시킴으로써, 개구 (408) 는 시일의 채널 (601) 과 오버랩하게 된다. 그 결과로서, 액체는 스파이크 (401) 의 채널 (412) 을 거쳐 개구 (408) 를 통해 인퓨젼 백 (70) 내로 (또는 그 반대로) 유동할 수 있다.
도 7 은 중간 부품 (200) 의 사시도이다. 중간 부품 (200) 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부 부품 (300) 을 위한 커플링 섹션 (203) 및 하부 부품 (100) 를 위한 커플링 섹션 (204) 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부품 (100) 에 대한 커플링 섹션 (204) 은 상부 부품 (300) 에 대한 커플링 섹션 (203)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커플링 섹션 (204) 은 시일 (600) 을 위한 시일 홀더 (205) 를 포함한다.
시일 홀더 (205) 에는, 구조화된 벽, 특히 하부 부품 (100) 및/또는 시일 (600) 과의 포지티브-로킹 연결을 야기하고 따라서 비틀림 방지 연결을 제공하는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루팅 (fluting) 또는 치형부가 제공된다.
시일 홀더 (205) 는 스파이크 (401) 또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의 회전축 (415) 과 관련하여 방사상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여기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특히 낫형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리세스 (206) 는 커플링 섹션 (204) 에서 시일 홀더 (205) 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리세스 (206) 는 주로 재료를 절약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리세스 (206) 는 또한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8 에 따른 중간 부품 (200) 의 축방향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홈으로서 형성된 홈 (209) 은 시일 홀더 (205) 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링 홈의 내에는 하부 부품 (100) 이 상응하는 바아 (105) (도 10 참조) 에 로킹된다.
전방 측에서, 시일 홀더 (205) 는 시일 (600) 을 위한 포지티브-로킹 요소로서 역할을 하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링 홈 (210) 을 포함한다.
바이알 홀더 (301) 를 갖는 상부 부품 (300) 을 위한 커플링 섹션 (203) 은 또한,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칼라 (304) 를 통해 상부 부품 (300) 의 커플링 피스 (303) 와 로킹하도록 서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홈 (208), 특히 2개의 홈들 (208) 을 포함한다.
스파이크 캐리어 (400) 의 디스크 (404) 는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 부품 (300) 과 중간 부품 (200) 사이에 위치된다. 로터리 디스크 (413) 는 조립된 상태에서 중간 부품 (200) 의 홀더 (211) 에 안착된다.
스톱 (207) 은 스파이크 캐리어 (404) 의 스톱들 (406) 과 협력하여 양쪽 회전 방향들에서 스파이크 (401) 의 회전을 한정한다. 커넥터 (60) 의 개방 및 폐쇄 위치는 중간 부품의 스톱 (207) 상에 놓인 스파이크 캐리어 (400) 의 스톱들 (406) 중 하나에 의해 규정된다.
도 9 는 시일 (600) 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시일 (600) 은 액체의 통과를 위한 축방향 채널 (601) 을 포함한다.
전방 측에서, 시일 (600) 은 디스크 (404) 를 위한, 더 구체적으로는 폐쇄 상태에서 시일 (600) 상에 기밀하게 안착되는 로터리 디스크 (413) 를 위한 접촉 표면 (602) 을 포함한다. 반대로, 로터리 디스크 (413) 의 개구 (408) 는 개방 상태에서 시일 (600) 의 채널 (601) 과 오버랩된다.
접촉 표면 (602) 에 인접하여, 시일 (600) 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링 홈 (603) 을 포함하여, 이러한 링 홈에 인접하여 축방향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링 형상의 에지-측 바아 (604) 가 형성된다.
에지-측 바아 (604) 는 포지티브-로킹 요소로서 역할을 하고, 조립된 상태에서 중간 부품 (200) 의 링 홈 (210) 에 안착된다.
바아 (604) 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또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의 로터리 디스크 (413) 를 위한 접촉 표면 (602) 에 대해 다시 세팅된다.
링-형상의 에지-측 바아 (605) 는 또한 접촉 표면 (602) 의 반대쪽 측 상에 위치되고, 상기 바아는 하부 부품 (100) 을 위한 홀더 영역 (606) 에 인접한다.
하부 링-형상의 에지-측 바아 (604) 및 상부 링-형상의 에지-측 바 (604) 는 커넥터 (60) 에서 시일을 견고하게 체결하도록 실질적으로 T-형상의 플랜지를 함께 형성한다.
채널 (601) 과 하부 부품 (100) 을 위한 홀더 영역 (606) 사이에는, 홀더 영역 (606) 의 수평으로 진행하는 베이스가 채널 (601) 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측 벽 내로 단차형 방식으로 병합되는 전이 영역 (607) 이 위치된다.
도 10 은 중간 부품 (100) 의 사시도이다.
하부 부품 (100) 은 조립된 상태에서 중간 부품 (200) 의 링 홈 (209) 에 링 형상의 바아 (105) 와 로킹된다.
시일 (600) 을 클램핑하도록, 바아 (105) 에 인접한 하부 부품 (100) 은 시일 (600) 의 홀더 영역 (606) 내에 맞물리도록 링 (106) 및 바아 (104) 를 포함한다. 바아 (104) 의 전방 측은 시일 (600) 의 링 형상의 에지 측 바아 (605) 의 상부 측 상에 놓이게 된다. 부가적으로, 바 (104) 에는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시일 홀더 (205) 에서 플루팅 또는 치형부과 함께 하부 부품 (100) 및 중간 부품 (200) 및/또는 시일 (600) 을 위한 비틀림 방지 연결부를 생성하도록 구조화, 특히 플루팅 또는 치형부가 제공된다.
방사상 전방으로 연장되는 링 (106) 은 시일 (600) 의 홀더 영역 (606) 에서 바아 (104) 에 인접하여 조립된 상태로 배열되고, 따라서 시일 홀더 (205) 에서 시일 (600) 을 가압한다.
용접 섹션 (101) 과 바아 (106) 사이에 존재하는 플레이트 (103) 는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 중간 부품 (200) 을 폐쇄한다.
용접 섹션 (101) 은 바람직하게는 스파이크 (401) 의 회전축 (415) 과 오버Žd되는 센터 축을 갖는다.
시일 (600) 및 따라서 로킹을 위한 바아 (105) 에 의해 형성된 커플링 섹션은 대조적으로 회전축 (415) 과 관련하여 방사상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하부 부품 (100) 을 통해 연장되는 채널 (107) 의 일 단부는 여기서 스파이크 (401) 또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의 회전축 (415) 과 관련하여 방사상으로 오프셋되어 위치된다.
도 11 은 바이알 홀더 (301) 를 갖는 상부 부품 (300) 의 사시도이다. 바이알 홀더 (301) 는 커플링 피스 (303) 가 중간 부품 (200) 내에서의 로킹을 위한 적어도 하나, 특히 2개의 칼라 (304) 에 인접하는 컵 형상의 또는 깔대기 형상의 섹션 (302) 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칼라 (304) 는 중간 부품 (200) 의 커플링 섹션 (203) 의 도 8 에 도시된 홈 (208) 에 로킹된다.
바이알 홀더 (301) 는 또한 바이알 (90) 의 삽입 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클램핑 핑거들 (305) 을 포함한다.
상부 부품 (300) 은 중간 부품 (200) 에 대해 비틀림 방지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부 부품 (300) 은 예를 들어 중간 부품 (200) 의 상응하는 축방향 홈 (208) 내에서 맞물리는 커플링 피스 (303) 를 따라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아 (306)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 에 따른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핑거들 (305) 은 외부 베이스로부터 그들의 폭에서 내향으로 테이퍼링된다. 내측에서, 그것들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팁 (307) 에서 종료된다. 클램핑 핑거들 (305) 의 외부 베이스들은 각각 실질적으로 라운드형 섹션을 통해 서로 병합된다. 클램핑 핑거들 (305) 은 팁들 (307) 사이에서 라운드형, 특히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구성된다.
도 13 에 따른 도 12 로부터의 라인 A-A 를 따라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핑거 (305) 는 각도 α 만큼 삽입 방향으로 경사진다. 본 설명의 대부분에서 언급되는 각도 정보는 클램핑 핑거들 (305) 의 하부측을 참조한다. 클램핑 핑거들 (305) 이 바이알 (90) 의 삽입 방향으로 경사지는 각도 (α) 는 특히 40° 내지 60° 이다.
특히 도 13 에 따른 사시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핑 핑거들 (305) 의 두께는 그것들이 팁 (307) 을 향해 그 상부 측 및 그 하부 측 양쪽에서 플랫화됨으로써 더 테이퍼링된다.
클램핑 핑거들 (305) 은 바이알 (90) 의 헤드 또는 캡 (91) 의 하부측 상을 그리핑한다. 일단 커넥터 (60) 에 연결되면, 비파괴 방식으로 커넥터 (60) 로부터 바이알 (90) 을 제거하는 것은 더 이상 불가능하다.
도 14 는 커넥터 (60) 를 위한 개봉 확인 시일로서 역할을 하는 캡 (500) 의 사시도이다.
캡 (500) 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파이크 커버 (501) 를 포함한다.
스파이크 커버 (501) 는 바아들 (502) 을 통해 링 형상의 인서트 (503) 에 연결된다.
링 형상의 인서트 (503) 는 상부 부품 (300) 의 단차부 (308) (도 18 참조) 뒤에 조립된 상태로 로킹된다.
따라서, 스파이크 커버 (501) 는 그것이 바아들 (502) 에서 분리됨으로써 인서트 (503) 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 을 참조하여, 커넥터 (60) 가 사용자에 의해 개방될 수 있지만 다시 폐쇄될 수 없도록 스파이크 (401) 가 비틀림 방지 방식으로 고정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차이점을 제외하고, 이러한 실시예의 변형예는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14 를 참조하여 도시된 실시예에 상응한다.
도 15 은 중간 부품 (200) 의 사시도이다.
이전에 도시된 중간 부품 (200) 과 달리, 이러한 중간 부품 (200) 은, 커넥터 (60) 가 개방되어 있음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단일 윈도우 (202) 만을 갖는다.
도 16 은 중간 부품 (200) 의 하부측의 평면도이다.
이전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중간 부품 (200) 의 측 벽 상에는 복수의 로킹 후크 (212) 가 배열된다.
중간 부품 (200) 은 또한 스파이크 (401) 를 갖는 도 17 에 도시된 스파이크 캐리어 (400) 의 스톱 (406a) 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로 놓이는 스톱 (213) 을 포함한다.
제 1 로킹 후크 (212a) 는 제 2 스톱 (406b) 에 대한 중간 부품 (200) 의 스톱과 같이 작용한다.
스파이크 캐리어 (400) 는 또한 스파이크 (401) 가 회전될 때 슬라이딩 표면 (418) 을 통해 로킹 치형부 (212) 를 지나 슬라이딩하는 편향 후크 (417) 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로킹 치형부 (212) 뒤에서 편향되고, 따라서 스파이크 (401) 를 갖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가 후방으로 터닝하는 것을 방지하는 로킹 치형부 (212) 와 협력하여 비틀림 방지 연결부를 형성한다. 로킹 치형부들 (212) 중 하나 내에의 편향 후크 (417) 의 각각의 로킹에 의해, 스파이크 캐리어 (400) 는 그것이 다시 후방으로 터닝될 수 없는 방식으로 추가로 회전된다.
마지막으로, 편향 후크 (417) 는 완전 개방 상태에서 윈도우 (202) 에 로킹된다.
이 경우, 개방 최종 위치는 차례로 윈도우 (202) 내로 돌출하는 후크 (417) 에 의해 및/또는 후크 (417) 가 윈도우 (202) 에 로킹될 때 가청 클릭에 의해 신호전달될 수 있다.
편향 후크 (417) 는 개방 상태에서 윈도우 (202) 에 비틀림 방지 연결부를 형성한다. 스파이크 캐리어 (400) 는 제 1 로킹 후크 (212a) 상에 놓인 스파이크 캐리어 (400) 의 스톱 (406a) 으로 인해 그리고 윈도우 (202) 내에서 로킹되는 후크 (417) 에 의한 비틀림 방지 연결로 인해 커넥터 (60) 의 개방 위치에서 더 이상 임의의 방향으로 추가로 비틀릴 수 없다.
커넥터 (60) 는 이때 개방되고 더 이상 폐쇄될 수 없다.
도 18 은 폐쇄 상태에서 도 1 내지 도 14 에 도시된 커넥터 (60) 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커넥터 (60) 의 하우징은 하부 부품 (100), 중간 부품 (200) 및 상부 부품 (300) 을 포함한다.
시일 (600) 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부품 (100) 과 중간 부품 (200) 사이에 클램핑되며, 하부 부품 (100) 및 중간 부품 (200) 은 함께 로킹된다.
디스크 (404) 를 갖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는 바이알 홀더 (301) 를 포함하는 상부 부품 (300) 과 중간 부품 (200) 사이에 위치된다. 여기에 도시된 상태에서, 하부 부품 (100) 의 채널 (102) 로 유도되는 시일 (600) 의 채널 (601) 은 디스크 (404) 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 에 도시된 디스크 (404) 의 로터리 디스크 (413) 에 의해 시일링된다.
따라서, 어떠한 액체도 인퓨젼 백 (70) 의 방향으로 스파이크 (401) 의 채널 (412) 을 통해 또는 그 반대로 유동할 수 없다.
사용자는 이때 캡 (500), 더 구체적으로는 캡 (500) 의 스파이크 커버 (501) 를 분리할 수 있다.
캡 (500) 은 상부 부품 (300) 의 단차부 (308) 뒤에서 인서트 (503) 와 로킹된다.
도 19 는 캡 (500) 이 분리되고 스파이크 (401) 가 회전된 후의 축방향 단면도로 커넥터 (60) 를 도시한다. 스파이크 (401) 의 회전은 특히 연결된 바이알 (90) (여기에 도시되지 않음) 의 회전에 의해 야기된다. 스파이크 (401) 는 스파이크 (401) 가 비틀림 방지 방식으로 바이알 (90) 의 격막에서 천공되기 때문에 회전된다.
스파이크 캐리어 (400) 의 디스크 (404) 는 개구 (408) (도 6 참조) 를 갖는 채널 (411) 이 시일 (600) 의 채널 (601) 과 오버랩되는 방식으로 스파이크 (401) 를 회전시킴으로써 비틀린다.
액체는 이때 스파이크 (401) 의 채널 (412) 을 거쳐 시일 (601) 의 채널 및 하부 부품 (100) 의 채널 (102) 을 통해 인퓨젼 백 (70) 내로 또는 그 반대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커넥터 (60) 를 통해 연장되는 유체 연결은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다.
또한, 이러한 도면에서, 시일 (600) 의 채널 (601) 이 스파이크 (401) 의 회전축 (415) 과 관련하여 방사상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되는 것이 식별될 수 있다.
용접 섹션 (101) 은 바람직하게는 스파이크의 회전축 (415) 상에서 센터에 놓인다. 그러나, 용접 섹션 (101) 을 통해 진행하는 채널 (102) 은 회전축 (415) 과 관련하여 측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센터 축, 바람직하게 하부 부품 (100), 중간 부품 (200) 및 상부 부품 (300) 모두에 상응하는 회전축 (415) 을 정렬함으로써, 외측에서 볼 때 전체적인 대칭 구조는 스파이크 (401) 가 회전될 때 발생하는 토크들이 용접 섹션 (101) 의 양쪽 절반들에 의해 고르게 흡수되도록 제공된다.
그러나, 회전하는 디스크 (403) 로 인해, 액체는 회전축 (415) 과 관련하여 측방향으로 오프셋된 시일 (600) 을 통해 안내된다.
도 20 내지 도 29 를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14 에 대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14 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차이점이 아래에 설명된다.
설명된 차이점들을 제외하면, 이러한 실시예는 결국에 도 1 내지 도 14 를 참조하여 도시된 실시예로서 정확하게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0 은 커넥터 (60) 의 도면이며, 이는 기본 구조에 기초하여 도 1 내지 도 14 에 따른 실시예에 상응하고, 특히 중간 부품 (200) 및 캡 (500) 을 갖는다.
도 21 에 따른 중간 부품 (200) 의 사시 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품 (200) 은 단일 윈도우 (201) 만을 포함한다. 윈도우 (201) 는 특히, 여기서 섹션별로, 원주방향 슬롯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인디케이터 (407) 는 바람직하게는 그 최종 위치들에서 로킹되지 않는다. 인디케이터 (407) 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그 최종 위치들에서 윈도우 (201) 의 2개의 단부들 상에 놓이게 된다.
도 1 내지 도 14 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이러한 구성은 인디케이터 (407) 가 스프링 백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저항이 극복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갖는다.
다른 측 상에, 최종 위치에 도달하는 것은 이때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시각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22 는 스파이크 (401) 를 갖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14 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스파이크 캐리어 (400) 는 인디케이터 (407) 를 갖는 디스크 (404) 를 포함한다.
디스크 (404) 는 또한 스파이크 (401) 의 측 상에, 하우징에서의 로터리 디스크로서 작용는 링 (420) 을 포함한다.
따라서, 스파이크 캐리어 (400) 는 설치된 상태에서 양쪽 측 상에 장착되는 디스크 (404) 를 포함한다.
보강 바들 (405) 은 링 (420) 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이는 스파이크 (401) 가 따라서 디스크 (404) 로부터 덜 돌출해야 하기 때문에 컴팩트한 구성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하나의 차이점은 스파이크 (401) 가 나사산 (419) 을 갖는 부분적인 섹션을 갖는다는 것이다. 나사산 (419) 은 하나의 플라이트로 설계되고, 바람직하게는 2개 미만의 나사산 플라이트를 포함한다.
나사산 (419) 의 전방 단부는 팁 (421) 을 포함한다. 팁 (421) 은 나사산 (419) 의 피치가 증가되는 팁 (421) 을 향한 단부 섹션을 갖는 나사산 (419) 의 치형부에 의해 또는 굽힘을 수행함으로써 나사산 (419) 의 나사산형 치형부의 치형부의 팁이 방향을 변경한 결과로서 제공된다. 팁 (421) 은 특히 스파이크 (401) 의 센터 축 (m) 과 관련하여 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의 각도 (α) 로 정렬된다.
스파이크 (401) 가 격막 내로 천공될 때, 이것은 나사산 (419) 의 팁 (421) 이 격막 내로 천공되게 하고, 따라서 격막이 나사산 (419) 상으로 당겨진다. 바이알이 커넥터를 개방하도록 회전되면, 나사산 (419) 은 초기에 격막 내에서 나사결합된다.
바아들 (414) 은 비틀림 방지 연결부로서 나사산 (419) 에 인접하여 원위에 위치된다. 이러한 영역에서, 스파이크 (401) 의 직경은 또한 그 원뿔 형상으로 인해 더 증가한다.
바아 (414) 에 도달하면, 스파이크 (401) 는 그후 격막 에 비틀림 방지 방식으로 안착되어 디스크 (404) 가 또한 추가의 회전 동안 회전되고 도 1 내지 도 14 를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60) 가 개방된다.
비틀림 방지 연결부로서, 스파이크 (401) 는,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나사 (419) 와 스파이크 (401) 의 원위 단부 사이에 배열되는 복수의, 특히 3개의 리브들 (414) 을 포함한다. 커넥터의 개방 상태에서, 바이알 (90) 의 격막은 이러한 영역에 안착되고, 즉, 따라서 나사산 (414) 에 의해 비틀림 방지 연결부를 갖는 영역 내로 슬라이딩된다.
리브들 (414) 은 방사상 방향으로 테이퍼링될 수 있다. 따라서 형성된 웨지 형상은 비틀림 방지 연결부를 갖는 섹션 상에서 격막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한다.
도 23 에 따른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404) 는 회전가능하도록 양쪽 측 상에 장착되고, 일 측에는 로터리 디스크 (413) 를 포함하고, 다른 측에는 링 (420) 으로서 형성된 다른 로터리 디스크를 포함한다.
스파이크 (401) 의 인덴트 (403) 는 바람직하게는,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나사산 (419) 의 팁 (421) 의 높이에서, 또는 그 전방에서 종료된다. 이는, 격막이 그후 이미 스파이크 (401) 와 기밀하게 맞물릴 때만 스파이크 (401) 가 회전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즉, 토크는 소정 환경 하에서 회전하게 스파이크 (401) 를 세팅할 수 있는 나사산 (414) 에 의해 전달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4 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와 비교하여 추가의 차이점은 캡 (500) 의 구성이다.
도 24 에 따른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크 커버 (501) 는 보다 양호하게 파지되고 제거될 수 있도록 그립 프로파일링 (504) 을 포함한다.
그립 프로파일링 (504) 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너브들에 의해 제공된다.
너브들은 스파이크 커버 (501) 를 따라 축방향으로 정렬된 열들로 진행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열들은 서로에 대해 각각 배열된 오프셋이다. 이는 사용자가 스파이크 커버 (501) 를 어디에서 파지하든지 항상 슬립 방지 프로파일링 (504) 과 맞물리는 것을 보장한다.
도 25 및 도 26 은 도 20 으로부터의 커넥터 (60) 를 추가된 마킹과 함께 다시 한번 도시한다. 이들 마킹들은 커넥터 (60) 가 개방 상태 ("개방") 에 있는지 폐쇄 상태 ("폐쇄") 에 있는지를 나타낸다. 이들 2개의 마킹들은 각각 윈도우 (201) 상에 측방향으로 위치설정된다. 또한, 바이알 (5) 을 회전시킴으로써 커넥터 (60) 가 하나의 상태로부터 또 다른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또 다른 마킹 ("바이알 턴") 이 추가된다.
도 27 및 도 28 은 그 폐쇄 상태에서 도 20 에 도시된 커넥터 (60) 의 종단면도들이다.
상기 설명된 차이점들을 제외하고, 구성은 도 18 의 도면에 상응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60) 의 하우징도 하부 부품 (100), 중간 부품 (200) 및 상부 부품 (300) 에 의해 형성되며, 시일 (600) 은 하부 부품 (100) 과 중간 부품 (200) 사이에 체결된다. 하부 부품 (100) 및 중간 부품 (200) 은 함께 로킹될 수 있다.
디스크 (404) 를 갖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는 바이알 홀더 (301) 를 포함하는 상부 부품 (300) 과 중간 부품 (200) 사이에 위치된다.
하부 부품 (100) 의 채널 (102) 로 유도되는 시일 (600) 의 채널 (601) 은 디스크 (404) 에 의해 시일링된다.
도 2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412) 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 (411) 은 시일 (600) 의 채널 (601) 과 오버랩되지 않는다.
커넥터 (60) 는 도 19 에 따른 도면에 따른 나사산 (419) 에서의 나사결합을 제외하고 개방 상태로 이동된다.
도 29 는 커넥터 (60) 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이러한 커넥터 (60) 는, 하기 설명되는 차이점들을 제외하고, 본질적으로 선행하는 실시예들에 상응하고, 따라서 특히 차이점들을 제외하고 상기 설명된 모든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상부 부품 (300), 중간 부품 (200) 및 하부 부품 (100) 을 포함한다. 윈도우 (201) 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상응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이미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407) 는 윈도우 (201) 의 2개의 최종 위치들까지 회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그 최종 위치에서 개별적인 윈도우에 로킹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변형예는 커넥터 (60) 의 간단한 개방 및 폐쇄를 용이하게 한다.
개방 위치는 도면들에 도시된다. 인디케이터 (407) 는 '개방' 으로 마킹된 위치에 위치된다.
도 30 은 또 다른 방향으로부터의 커넥터 (60) 의 측면도이다.
도 31 은 도 29 의 라인 A-A 를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선행하는 실시예들의 경우에서와 같이, 시일 (600) 은 중간 부품 (200) 과 상부 부품 (300) 사이에 클램핑된다.
중간 부품 (200), 상부 부품 (300) 및 시일 (600) 의 구성은 선행하는 실시예들과 동일할 수 있다.
도 32 은 도 30 의 라인 B-B 를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공정에서 형성된 유체 채널 및 커넥터의 개구는 도 19 의 도면에 상응한다. 따라서, 도 19 가 참조될 수 있다.
특히, 스파이크 (401) 의 채널 (412) 내로 비스듬히 병합되는 채널 (411) 의 개구 (408) 는 유체 연결이 제공되도록 시일 (600) 의 채널 (601) 과 오버랩된다.
이는 스파이크 (401) 를 갖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를 회전시킴으로써 선행하는 실시예들에 따라 실행된다. 유체 연결은 점선으로 표시된다.
도 33 은 스파이크 (401) 를 갖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4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스파이크 (401) 는 바이알 (90) 의 격막 내로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전에 도시된 실시예들과는 달리, 스파이크 (401) 의 팁 (402) 에는 보강부 (422) 가 제공된다.
스파이크 (401) 의 벽은 팁 (402) 의 영역에서 방사상 외향으로 넓어져서, 팁 (402) 은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된 두껍게 된 벽 상에 배열된다.
방사상 측방향 외향으로 지향되는 이러한 보강부 (422) 의 두께는 스파이크 (401) 의 채널 (412) 의 개구 아래에서 감소된다.
비틀림 방지 연결부로서 작용하는 리브 (414) 와 보강부 (422) 사이에 배열되는 섹션 (423) 에서, 스파이크 (401) 는 바람직하게는 라운드형 외부 윤곽 내에서 병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적의 시일 효과는 스파이크 (401) 를 갖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가 유체 연결을 개방하도록 바이알 (90) 에 의해 회전될 수 있기 전에 이미 보장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 충분히 안정적인 스파이크 (401) 가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고, 이는 용이하게 천공될 수 있고, 우수한 시일 효과를 가지며, 또한 바이알 (90) 을 스파이크 캐리어 (400) 와 함께 스파이크 (401) 를 위한 구동부로서 사용하도록 시일 (600) 과 협력하여 비틀림 방지 연결을 제공한다.
상기 인디케이터 (407) 의 구성은 도 22 에 따른 도면에 상응하며, 그 설명에 대해 참조가 전체적으로 행해진다. 인디케이터 (407) 는 특히 방사상으로 탄성이 되도록 배열된다.
도 34 는 스파이크 (401) 를 갖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의 측면도이다.
도 35 는 도 34 의 라인 C-C 를 따른 단면도, 즉 센터 종단면도이다.
스파이크 (401) 의 벽 두께는 보강부 (422) 의 영역에서 증가한다.
특히, 보강부 (423) 의 영역에서 벽 두께 (dmax) 는 그 두께 지점에서, 그 가장 얇은 지점 (dmin) 의 스파이크 (401) 의 벽의 벽 두께의 적어도 1.5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8배 크다.
보강부 (423) 는 근위 방향으로 진행한다.
스파이크 (401) 는 리브 (414) 가 스파이크 (401) 의 원뿔형 섹션에 인접하기 전에 대략 센터에서 원형 외부 윤곽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디스크 (404) 는 양쪽 측들 상에, 그리고 즉 링 (420) 을 통해 원위 측 상에, 그리고 로터리 디스크 (413) 를 통해 근위 측 상에 장착된다.
도 36 에 따른 스파이크 캐리어 (400) 와 함께 스파이크 (401) 의 팁 (402) 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420) 은 보강 바아들 (405) 을 통해 스파이크 (401) 에 연결된다.
보강부 (422) 는 90°미만, 바람직하게는 60°미만 및/또는 20°초과, 바람직하게는 30°초과의 각도 (ß) 만큼 스파이크 (401) 의 원주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7 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흐름도이며, 이는 의료용 패키징의 모든 실시예들, 특히 또한 도 1 내지 도 36 에 도시된 인퓨젼 백 (70) 및/또는 도 1a 내지 도 19a 에 도시된 인퓨젼 백 (1) 으로 실행될 수 있다.
먼저, 바이알은 커넥터의 바이알 홀더 내에 삽입된다. 바이알 홀더의 클램핑 핑거들로 인해, 바이알은 이때 커넥터에 분리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파이크는 삽입시 바이알의 격막을 천공한다. 분리불가능한 연결은 바이알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를 방지한다. 특히, 이는 내용물이 해제된 바이알으로 인해 외측을 향해 바이알 및/또는 인퓨젼 백으로부터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그후, 사용자는 바이알을 최종 위치로 회전시킨다. 바이알의 격막은 스파이크를 그와 함께 회전시키고, 따라서 의료용 패키징들, 특히 바이알과 인퓨젼 백 사이의 유체 연결을 개방한다. 개방 최종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가청 및/또는 현저한 스냅 인에 의해 사용자에게 신호전달된다.
바이알로부터의 액체는 이때 의료용 패키징, 예를 들어 인퓨젼 백 내로 유동할 수 있거나, 바이알이 고체를 함유하는 경우, 액체는 우선 의료용 패키징으로부터 바이알 내로 유동하여, 고체가 액체에 용해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그후 바이알을 반대 방향으로 다시 회전시켜 커넥터는 다시 시일링된다. 이는 액체가 빈 바이알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커넥터는 그것이 더 이상 폐쇄될 수 없는 방식으로 개방 최종 위치에 로킹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회수 포트의 캡을 제거하고, 의료용 액체를 투여하도록 의료용 패키징, 예를 들어 인퓨젼 백을 전달 시스템에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사용은, 바이알에 함유된 물질들을 간단하고 안전한 도징을 가능하게 한다.
도 1a 내지 도 19a 는 스파이크 (10) 가 측방향 개구 (33) 를 갖고 회전 이동에 의해 축방향으로 푸시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a 는 바이알이 연결될 인퓨젼 백 (1)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의 도면이다.
인퓨젼 백 (1) 은 용접 시임들 (7 및 8) 을 통해 함께 용접된 포일로 이루어진다. 인퓨젼 백 (1) 은 인퓨젼 백 (1) 을 스탠드에 부착하기 위한 행거 (9) 를 갖는다.
인퓨젼 백 (1) 은 적어도 하나의 인출 포트 (4) 를 더 포함한다.
인출 포트 (4) 는 백 (1) 의 용접 시임 (7) 에 용접된 하부 부품 (4a), 및 분리 부품 (4c) 을 갖는 상부 부품 (4b) 으로 이루어진다.
부가적으로, 회수 포트 (4) 는 또한 하부 부품 (4a) 과 상부 부품 (4b)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클램핑된 방식으로 고정되는 격막을 포함한다.
분리 부품 (4c) 을 분리한 후에, 인출 포트 (4) 의 격막은 예를 들어, 따라서 인퓨젼 액체를 인출하고 환자에게 그것을 공급하기 위해, 전달 세트의 스파이크로 천공될 수 있다.
인퓨젼 백 (1) 은 또한 유체 연결이 바이알 (5) 에 대해 확립될 수 있는 커넥터 (3) 로서 설계된 포트 (2) 를 포함한다. 커넥터 (3) 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용접 시임 (7) 의 영역 (6) 에 용접되는 하부 부품 (3a) 을 포함한다. 커넥터 (3) 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의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될 것이다.
추가의 액세스 또는 포트 (2) 가 커넥터 (3) 에 의해 제공되며, 이를 통해 액체가 바이알 (5) 로부터 인퓨젼 백 (1) 으로 전달될 수 있다. 더욱이, 예를 들어, 그곳에 존재하는 고체, 예를 들어, 분말, 활성 성분을 용해시키도록, 인퓨젼 백 (1) 으로부터 바이알 (5) 로 액체를 전달하고, 그후 생성된 용액을 인퓨젼 백 (1) 으로 다시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이알 (5) 은 캡 (12) 을 포함하고, 이는 특히 비드형 금속 캡 또는 스냅-온 클로져로서 설계되고 커넥터 (3) 의 스파이크 (10) 에 의해 천공될 수 있는 격막 (52 : 도 19a 를 참조) 을 포함한다.
바이알 (5) 을 인퓨젼 백 (1) 에 연결하도록, 시일링 포일 (11) 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 (3) 로부터 먼저 제거된다. 시일링 포일 (11) 대신에, 캡 또는 시일링 포일과 캡의 조합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음).
전방에 캡 (12) 을 갖는 바이알 (5) 은 그후 커넥터 (3) 내로 푸시되고, 커넥터 (3) 의 깔때기 형상의 또는 특히 컵 형상의 구성은 센터링된 도입을 간단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바이알 (5) 의 격막 (52) 은 스파이크 (10) 에 의해 천공되고, 칼라 형상으로 설계된 바이알 (5) 의 캡 (12) 또는 바이알 (5) 의 헤드는 커넥터 (3) 에 로킹된다 (도 18aa 및 18ab 참조).
그후, 유체 연결은 바이알 (5) 을 회전시킴으로써 바이알 (5) 과 인퓨젼 백 (1) 사이에서 개방되고, 이에 의해 스파이크 (10) 도 회전된다. 또한, 커넥터 (3) 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이동을 통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는 밸브를 포함한다.
도 2a 는 커넥터 (3) 에 연결된 바이알 (5) 을 갖는 (인퓨젼 백 (1) 을 갖지 않는) 단지 커넥터 (3) 의 사시도이다. 바이알 (5) 은 컵 형상의 또는 깔대기 형상의 바이알 홀더 (14) 에 로킹된다.
커넥터 (3) 의 하부 부품 (3a) 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특히 용접 섹션 (18) 으로서 설계된 인퓨젼 백 (1) 을 위한 연결 섹션을 포함한다. 용접 섹션 (18) 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셔틀의 형상으로 설계된다. 채널 (17) 은 커넥터 (3) 의 하부 부품 (3a) 을 통해 인퓨젼 백 (1) 내로 유도된다.
하부 부품 (3a) 은 중간 부품 (13) 에 연결되고, 중간 부품 (13) 은 그 일부에 대해 바이알 홀더 (14) 에 연결된다. 중간 부품 (13) 및 바이알 홀더 (14) 는 또한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일체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3) 의 하부 부품 (3a) 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퓨젼 백 (1) 내로의 용접부에 대해 연결 섹션 대신에, 포트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피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3) 가 포트용의 별도의 어댑터로서 설계된다. 커넥터 (3) 의 연결 피스는 예를 들어 Luer 커넥터 또는 Luer 로크 커넥터로서 설계될 수 있다.
도 3a 는 커넥터 (3) 의 측면도이고, 그 하우징은 하부 부품 (3), 중간 부품 (13) 및 바이알 홀더 (14) 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커넥터 (3) 의 하우징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3개의 부품들로 설계된다.
커플링 섹션 (19) 은 커넥터 (3) 의 하부 부품 (3a) 과 중간 부품 (13) 사이에 위치한다. 커플링 섹션 (15) 은 중간 부품 (13) 과 바이알 홀더 (14) 사이에 위치된다.
3개의 하우징 구성요소들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특히 함께 로킹될 수 있다.
중간 부품 (13) 과 바이알 홀더 (14) 사이의 커플링 섹션 (15) 은, 커플링 섹션 (15) 이 더 큰 바이알 홀더 (14) 에 맞춤되기 때문에, 하부 부품 (3a) 과 중간 부품 (13) 사이의 커플링 섹션 (19) 보다 여기서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스파이크 (10) 는 하우징 내측에 배열된다. 그것은 중공 니들로서 설계되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깔때기 형상 또는 컵 형상으로 섹션별로 설계된 바이알 홀더 (14) 내로 돌출된다.
바이알 홀더 (14) 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에지-측 리세스 (16) 를 포함한다. 리세스 (16) 는 사용자가 (투명한) 바이알 (5) 의 전체 내부 볼륨을 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것들은 예를 들어 바이알 (5) 이 완전히 비어 있는지 또는 활성 성분이 완전히 용해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도 4a 는 커넥터 (3) 의 구성 요소들의 사시 분해도이다. 커넥터 (3) 의 구성요소들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부 부품 (3a), 스파이크 (10), 시일 요소 (21), 중간 부품 (13) 및 바이알 홀더 (14) 를 포함한다.
채널 (17) 을 갖는 커넥터 (3) 의 하부 부품 (3a) 은 용접 섹션 (18) 및, 반대쪽 측에서 중간 부품 (13) 에의 하부 부품 (3a) 의 커플링 섹션 (19) 을 포함한다.
하부 부품 (3a) 의 커플링 섹션 (19) 은 조립된 상태에서 중간 부품 (13) 의 헤드 피스 (20) 와 로킹된다.
스파이크 (10) 를 위한 통로 (25) 를 갖는 시일 (21) 은 하부 부품 (3a) 과 중간 부품 (13) 사이에 삽입된다. 시일 요소 (21) 는 인퓨젼 백 (1) 을 시일링하고, 스파이크 (10) 와 협력하여 밸브 구성요소로서 양쪽으로 역할을 한다.
스파이크 (10) 는 조립된 상태에서 하부 부품 (3a) 의 나사산 (28) 에 안착되는 나사 (23) 를 포함한다 (또한 도 6a 참조). 스파이크 (10) 의 나사산 (23) 은 외부 나사산으로서 설계되고 하부 부품 (3a) 의 나사산 (28) 은 내부 나사산으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부품 (13) 의 커플링 섹션 (15) 은 그 일부에 대해, 바이알 홀더 (14) 의 연결 섹션 (24) 상에 차례로 로킹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피스 (13) 및 바이알 홀더 (14) 는 또한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일체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 5a 는 중간 부품 (13) 및 용접 섹션 (18) 에 대한 커플링 섹션 (19) 을 갖는 하부 부품 (3a) 의 사시도이다. 도 6a 는 하부 부품 (3a) 의 축방향 단면도이며, 도 7a 는 (인퓨젼 백 (1) 으로부터 본) 하부 부품 (3a) 의 평면도이다.
도 6a 에 따른 종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섹션 (19) 은 중간 부품 (13) 의 상응하는 홈 (39) (도 14a 참조) 에 로킹되는 칼라 (26) 를 포함한다.
커플링 섹션 (19) 은 또한 조립된 상태에서 중간 부품 (13) 의 치형부 (36) (또한 도 14a 참조) 내에서 맞물리고 비틀림 방지 연결부를 형성하는 치형부 (27) 를 포함한다.
하부 부품 (3a) 의 전방 단부 (40) 는 그 조립된 상태에서 시일 요소 (21) 내에서 맞물린다. 하부 부품 (3c) 의 전방 단부 (40) 는 시일 요소 (21) 의 링 (34) 옆에 시일 요소 (21) 의 상부 측 상에 놓이게 된다.
하부 부품 (3a) 의 나사산 (28) 은, 특히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화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나사산 (28) 은 5개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한다.
나사산 (28) 의 세그먼트들 사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세스 (50) 가 각각의 경우에 제공되며, 이러한 리세스는 스파이크 (10) 와 협력하여 커넥터 (3) 의 개방 상태에서 액체의 통과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을 형성한다.
도 8a 는 제 1 측면도를 좌측에, 90°만큼 회전된 제 2 측면도를 센터에 그리고 추가적으로 스파이크 (10) 의 사시도를 우측에 도시한다. 스파이크 (10) 는 일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된다. 스파이크 (10) 는 천공 섹션 (29) 을 포함한다. 이러한 천공 섹션은 팁 (30) 을 갖는다.
팁 (30) 으로부터 계속하여, 측방향 인덴트 (22) 가 천공 섹션 (29) 내측에서 종료되는 스파이크 (10) 의 측 벽 내로 돌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이알 (5) 의 격막의 천공은 한편으로는 용이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큰 단면은 따라서, 액체의 통과를 위해 제공된다.
스파이크 (10) 는 액체의 통과를 위해 나사산 (23) 과 천공 섹션 (29) 사이에 측방향 개구 (33) 를 포함한다. 측방향 개구 (33) 는 커넥터 (3) 의 조립된 그리고 시일링된 상태에서 시일 (21) 에 의해 시일링된다 (도 18aa 및 도 18ab 참조).
스파이크 (10) 는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나사산형 치형부의 플랫화된 부분으로서 설계된 리세스들 (49) 을 갖는 2개의-플라이트 나사산 (23) 을 포함한다. 이들 리세스들 (49) 은 서로 축방향으로 뒤에 배열된다.
커넥터 (3) 의 개방 상태에서, 리세스들 (49) 은 하부 부품 (3a) 의 나사산 (28) 의 리세스들 (50) 과 적어도 섹션별로 오버랩되어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이 액체의 통과를 위해 형성된다.
도 9a 는 스파이크 (10) 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스파이크 (10) 는 중공 니들로서 적어도 섹션별로 설계된다.
스파이크 (10) 의 천공 섹션 (29) 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 (31) 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스파이크 (10) 의 중간 영역에서 측을 향해, 바람직하게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채널 (32) 로 병합되고, 이로써 측방향 개구 (33) 가 형성된다.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 (31) 및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채널 (32) 은 함께 바이알 (5) 으로부터 인퓨젼 백 (1) 내로 또는 인퓨젼 백 (1) 으로부터 바이알 (5) 내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채널 또는 통로를 형성한다.
도 10a 에 따른 스파이크 (10) 의 팁 (30) 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크 (10) 의 천공 섹션 (29) 은 적어도 섹션별로 라운드형이 아니다. 스파이크 (10) 의 천공 섹션 (29) 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섹션별로 다각형, 특히 사다리꼴이다. 그 결과로서, 스파이크 (10) 가 바이알 (5) 의 격막에서 천공될 때, 비틀림 방지 연결부가 제공된다.
도 11a 는 탄성 재료로 제조된 시일 요소 (21) 의 사시도이다. 시일 요소 (21) 는 센터 통로 (25) 를 포함하고, 그 측 벽 (48) 은 조립된 상태에서 스파이크 (10) 를 기밀하게 둘러싼다. 측 벽 (48) 은 또한 시일링된 상태에서 스파이크 (10) 의 측방향 개구 (33) 를 시일링한다.
시일 요소 (21) 는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그 상부 측 및/또는 그 하부 측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상에, 특히 비틀림 방지 연결부로서 또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사상 바아들 (47) 을 포함한다. 그러나, 시일 요소 (21) 가 하부 부품 (3a) 과 중간 부품 (13) 사이에 고정식으로 클램핑되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바아들 (47) 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2a 에 따른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요소 (21) 는 90°만큼 회전된 시일 요소 (21) 의 원주방향의 T 형상의 섹션을 형성하는 에지 측 링 (34) 을 포함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이러한 링 (34) 은 중간 부품 (13) 의 전방의 링 형상의 홈 (37) (도 14a 참조) 에서 포지티브-로킹 방식으로 일 측 상에 고정된다. 반대측에서, 링 (34) 은 시일 요소 (21) 내에서 맞물리는 하부 부품 (3a) 의 전방 단부 (40) 와 중간 부품 (13) 의 헤드 피스 (20) 사이에 고정되어, 포지티브-로킹 연결이 시일 요소의 양쪽 측 상에 존재한다. 중간 부품 (13) 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일 요소 (21) 의 내부 플랜지 (35) 는 중간 부품 (13) 의 링 형상의 섹션 (38) 내에서 맞물린다 (또한 도 14a 및 도 18 및 도 19 참조).
이러한 방식으로, 시일 요소 (21) 는 하부 부품 (3a) 과 중간 부품 (13) 사이에서 그것이 외부로 푸시될 위험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3a 는 하부 부품 (3a) 의 삽입을 위한 헤드 피스 (20) 및 바이알 홀더 (14) 를 위한 커플링 섹션 (15) 을 포함하는 중간 부품 (13) 의 사시도이다. 도 14a 는 중간 부품 (13) 의 상응하는 단면도이다.
헤드 피스 (20) 는 하부 부품 (3a) 의 커플링 섹션 (19) 을 삽입하기 위한 커플링 섹션 (41) 으로서 설계된다. 이를 위해, 헤드 피스 (20) 는, 조립된 상태에서, 하부 부품 (3a) 의 칼라 (26) 가 로킹되는 홈 (39) 을 포함한다 (또한 도 6a 및 도 18aa/도 18ab 및 도 19a 참조). 헤드 피스 (20) 에는 하부 부품 (3a) 의 칼라 (26) 가 로킹되는 방사상 홈 (39) 아래에서 내측 상에 치형부 (36) 가 제공된다. 시일 요소 (21) 는 조립된 상태에서 치형부의 영역에 안착된다.
한편으로, 치형부 (36) 는, 압축되고 따라서 치형부 (36) 내로 가압되는 시일 요소 (21) 를 위한 비틀림 방지 연결부로서 작용한다.
다른 한편으로, 하부 부품 (3a) 의 칼라 (26) 가 로킹되는 방사상 홈 (39) 에 인접하게, 하부 부품 (3a) 의 치형부 (27) 가 중간 부품 (13) 의 치형부 (36) 내에서 맞물려서, 하부 부품 (3a) 은 중간 부품 (13) 의 치형부 (36) 에 의해 중간 부품 (13) 에 대해 비틀림 방지 방식으로 고정된다.
전방 링 형상의 홈 (37) 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시일 요소 (21) 의 원주방향 링 (34) 을 위한 포지티브-로킹 요소로서 역할을 한다.
시일 요소 (21) 의 플랜지 (35) 는 중간 부품 (13) 의 내부 링 형상의 섹션 (38) 내에 맞물린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커플링 섹션 (15) 은 바이알 홀더 (14) 의 각각의 칼라 (43) 가 로킹되는 2개의 원주방향 홈들 (42) 을 포함한다 (도 15a 참조).
도 15a 는 바이알 홀더 (14) 의 사시도이다. 바이알 홀더 (14) 는 커플링 피스 (51) 가 중간 부품 (13) 을 위한 2개의 칼라 (43) 에 인접하는 컵 형상의 또는 깔대기 형상의 섹션 (44) 을 포함한다.
바이알 홀더 (14) 는 또한 바이알 (5) 의 삽입 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클램핑 핑거들 (45) 을 포함한다.
도 16a 에 따른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핑거들 (45) 은 외부 베이스로부터 그들의 폭에서 내향으로 테이퍼링된다. 내측에서, 그것들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팁 (46) 에서 종료된다. 클램핑 핑거들 (45) 의 외부 베이스들은 각각 실질적으로 라운드형 섹션을 통해 서로 병합된다. 클램핑 핑거들 (45) 은 팁들 (46) 사이에서 라운드형, 특히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구성된다.
도 17a 에 따른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핑거 (45) 는 각도 (α) 만큼 삽입 방향으로 경사진다. 본 설명의 대부분에서 언급되는 각도 정보는 클램핑 핑거들 (45) 의 하부측을 참조한다. 클램핑 핑거들 (45) 이 바이알 (5) 의 삽입 방향으로 경사지는 각도 (α) 는 특히 40° 내지 60° 이다.
특히 도 15a 에 따른 사시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핑 핑거들 (45) 의 두께는 그것들이 팁 (46) 을 향해 그 상부 측 및 하부 측 양쪽에서 플랫화됨으로써 더 테이퍼링된다.
클램핑 핑거들 (45) 은 바이알의 헤드 또는 캡 (12) 의 하부측 상을 그리핑한다. 일단 커넥터 (3) 에 연결되면, 비파괴 방식으로 커넥터 (3) 로부터 바이알 (5) 을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 18aa 및 도 18ab 는 유체 연결부의 시일링된 상태에서 전체 커넥터 (3) 의 종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aa 는 바이알 (5) 을 갖지 않는 그와 같은 커넥터 (3) 를 도시한다. 대조적으로, 도 18ab 는 연결된 바이알 (5) 을 갖는 커넥터 (3) 를 도시한다. 바이알 (5) 은 커넥터 (3) 에 스냅 인 방식으로 연결된다. 연결된 상태에서, 커넥터 (3) 의 스파이크 (10) 는 바이알 (5) 에서 격막 (52) 을 관통한다.
스파이크 (10) 는 바이알 (5) 을 회전시킴으로써 개방 및 폐쇄 최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바이알 (5) 과 인퓨젼 백 (1) 사이의 유체 연결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밸브가 제공된다.
바이알 (5) 은 유체 연결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커넥터 (3) 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유체 연결부는 또한 바이알 (5) 에 대해 커넥터 (3) 를 회전시킴으로써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8aa 및 도 18ab 는 스파이크 (10) 의 폐쇄 최종 위치를 도시한다. 이러한 폐쇄 위치에서, 스파이크 (10) 의 축방향 채널 (31) 로부터 진행하는 방사상 채널 (32) 에 의해 형성되는 측방향 개구 (33) 는 시일 요소 (21) 에 의해 시일링된다. 동시에, 하부 부품 (3a) 과 중간 부품 (13) 사이에 삽입된 시일 요소 (21) 는 인퓨젼 백 (1) 을 외측에서 시일링한다.
도 19a 는 커넥터 (3) 내에 삽입된 바이알 (5) 을 단면도로 도시하며, 커넥터 (3) 는 이때 그 개방 상태에 위치된다. 스파이크 (10) 는 바이알 (5) 의 격막 (52) 을 관통한다. 바이알 (5) 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파이크 (10) 는 커넥터 (3) 의 개방 최종 위치에 존재할 것이다.
바이알 (5) 을 회전시킴으로써, 바이알 (5) 의 격막 (52) 에 비틀림 방지 방식으로 로킹되는 스파이크 (10) 는 또한 회전될 것이다. 스파이크 (10) 는 그 결과로서, 개방 최종 위치 내에서 회전되는 데, 왜냐하면 스파이크 (10) 와 회전함으로써, 스파이크 (10, 23) 의 나사산 (23) 이 하부 부품 (4a) 의 나사산 (28) 에서 회전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로서, 스파이크 (10) 는 방사상 채널 (32) 및 따라서 측 개구 (33) 가 시일 요소 (21) 로부터 이동되는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측방향 개구 (33) 를 통해, 유체는 이때 하부 부품 (3a) 에서 채널 (17) 을 통해 스파이크 (10) 의 나사산 (23) 을 지나 인퓨젼 백 (1) 내로 또는 또한 역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스파이크 (10) 의 나사산 (23) 에서 리세스들 (49) 과 협동하는 하부 부품 (3a) 의 세그먼트화된 나사산 (28) 은 측방향 개구 (33) 로부터 채널 (17) 로 연장되는 축방향 채널을 따른 유동을 허용한다. 따라서, 액체는 하부 부품 (3c) 에서 측방향 개구 (33) 를 빠져나간 후에 스파이크 (10) 의 나사산 (23) 을 따라 축방향으로 유동한다.
개방 상태에서, 스파이크 (10) 는 최종 위치에 놓이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 연결부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스파이크 (10) 가 도 18ab 에 도시된 최종 위치에 놓이도록 바이알 (5) 이 다시 회전됨으로써 재시일링가능하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작동가능한 바이알 (5) 을 위한 커넥터 (3) 가, 예를 들어, 바이알 (5) 을 인퓨젼 백 (1) 에 연결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하도록 본 발명에 의해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1 인퓨젼 백
2 포트
3 커넥터
3a 커넥터 (3) 의 하부 부품
4 회수 포트
4a 회수 포트 (4) 의 하부 부품
4b 회수 포트 (4) 의 상부 부품
4c 회수 포트 (4) 의 분리 부품
5 바이알
6 횡방향 용접 시임 (7) 의 영역
7 횡방향 용접 시임
8 종방향 용접 시임
9 행어
10 스파이크
11 커넥터 (3) 의 시일링 포일
12 바이알 (5) 의 캡
13 커넥터 (3) 의 중간 부품
14 커넥터 (3) 의 바이알 홀더
15 바이알 홀더 (14) 에의 중간 부품 (13) 의 커플링 섹션
16 바이알 홀더 (14) 의 리세스
17 커넥터 (3) 의 하부 부품 (3a) 에서의 채널
18 커넥터 (3) 하부 부품 (3a) 의 용접 섹션
19 중간 부품 (13) 에의 하부 부품 (3a) 의 커플링 섹션
20 커넥터 (3) 의 중간 부품 (13) 의 헤드 피스
21 커넥터 (3) 의 시일링 요소
22 스파이크 (10) 이 인덴트
23 스파이크 (10) 의 나사산
24 바이알 홀더 (14) 의 연결 섹션
25 커넥터 (3) 의 시일 요소 (21) 에서의 통로
26 커넥터 (3) 의 하부 부품 (3a) 에서의 칼라
27 하부 부품 (3a) 의 치형부
28 하부 부품 (3a) 의 내측에서의 나사산
29 스파이크 (10) 상의 천공 섹션
30 스파이크 (10) 의 팁
31 스파이크 (10) 에서의 축방향 채널
32 스파이크 (10) 에서의 방사상 채널
33 스파이크 (10) 에서의 측방향 개구
34 시일 요소 (21) 의 링
35 시일 요소 (21) 의 플랜지
36 중간 부품 (13) 의 치형부
37 중간 부품 (13) 의 전방 홈
38 중간 부품 (13) 의 내부 링 형상의 섹션
39 중간 부품 (13) 의 방사상 홈
40 하부 부품 (3a) 의 전방 단부
41 하부 부품 (3a) 에의 중간 부품 (13) 의 커플링 섹션
42 중간 부품 (13) 의 홈
43 바이알 홀더 (14) 의 칼라
44 바이알 홀더의 깔때기 형상의 또는 컵 형상의 섹션
45 바이알 홀더 (14) 의 클램핑 핑거
46 클램핑 핑거 (45) 의 팁
47 시일 요소 (21) 의 링 (34) 상의 바아
48 시일 요소 (21) 에서의 통로 (25) 의 측 벽
49 스파이크 (10) 의 나사산 (23) 의 리세스 (또는 플랫화된 부분)
50 하부 부품 (3a) 에서의 나사산 (28) 의 리세스
51 중간 부품 (13) 에의 바이알 홀더 (14) 의 커플링 피스
52 바이알 (5) 의 격막
60 커넥터
70 인퓨젼 백
71 횡방향 용접 시임
72 종방향 용접 시임
73 행어
74 횡방향 용접 시임의 영역
80 회수 포트
81 하부 부품
82 상부 부품
83 분리 부품
90 바이알
91 바이알 (90) 의 캡
100 하부 부품
101 용접 섹션
102 채널
103 플레이트
104 시일 (600) 내에 맞물리기 위한 바아
105 하부 부품의 링 홈에 로킹하기 위한 바아
106 시일의 전이 영역 (607) 내에 맞물리기 위한 링
107 채널
200 중간 부품
201 윈도우
202 윈도우
203 상부 부품 (300) 의 커플링 섹션
204 하부 부품 (100) 의 커플링 섹션
205 시일 홀더
206 리세스
207 스톱
208 상부 부품 (200) 을 로킹하기 위한 홈
209 하부 부품 (100) 을 로킹하기 위한 홈
210 (시일 (600) 용의) 링 홈
211 로터리 디스크 (413) 용의 홀더
212 로킹 치형부
212a 제 1 로킹 후크
213 스톱
300 상부 부품
301 바이알 홀더
302 컵 형상의 또는 깔대기 형상의 홀더
303 커플링 피스
304 칼라
305 클램핑 핑거들
306 바아
307 팁
308 단차부
400 스파이크를 갖는 스파이크 캐리어
401 스파이크
402 팁
403 인덴트
404 디스크
405 보강 바아
406 스톱
406a 스톱
406b 스톱
407 인디케이터
407a 만입부
408 개구
409 스프링
410 아치형 섹션
411 채널
412 스파이크 (401) 의 채널
413 로터리 디스크
414 리브 (비틀림 방지 연결부)
415 회전축
416 리세스형 영역
417 편향 후크
418 슬라이딩 표면
419 나사산
420 링
421 나사산 (419) 의 팁
422 팁 (402) 의 보강부
423 보강부와 비틀림 방지 연결부 사이의 섹션
500 캡
501 스파이크 커버
502 바아
503 인서트
504 그립 프로파일링
600 시일
601 채널
602 디스크 (404) 용의 접촉 표면
603 링 홈
604 바아 또는 플랜지
605 바아 또는 플랜지
606 하부 부품 (100) 의 홀더 영역
607 전이 영역

Claims (30)

  1. 바이알 (5, 90) 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3, 60) 를 포함하는 인퓨젼 백 (1, 70)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으로서,
    상기 커넥터 (3, 60) 는 상기 인퓨젼 백 (1, 70) 의 내부 볼륨에 유체 연결을 제공하도록 상기 바이알 (5, 90) 의 격막 (52) 을 천공하기 위한 스파이크 (10, 401) 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크 (10, 401) 는 상기 바이알 (5, 90) 로부터 상기 인퓨젼 백 (1, 70) 의 내부 볼륨으로의 유체 연결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 (3, 60) 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1, 70)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연결은 회전 이동에 의해 상기 커넥터 (60) 의 시일에서의 채널 (601) 과 오버랩되게 되는 상기 스파이크 (401) 에 연결된 채널 (411) 의 개구 (408) 에 의해 확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70)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401) 에 연결되는 상기 채널 (411) 의 상기 개구 (408) 는 스파이크 (401) 의 회전축과 관련하여 방사상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70)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401) 는 디스크 (404) 를 포함하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상에 배열되고,
    상기 디스크 (404) 는 상기 시일 (600) 의 전방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시일은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채널 (601) 을 포함하고,
    상기 시일 (600) 의 채널 (601) 은 상기 디스크 (404) 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 (404) 에서의 개구 (408) 와 오버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70)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404) 는 상기 커넥터 (60) 의 상부 부품 (300) 과 중간 부품 (200)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열되고,
    특히 상기 상부 부품 (300) 및 상기 중간 부품 (200) 은 함께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70)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600) 은 상기 커넥터 (60) 의 하부 부품 (100) 과 중간 부품 (200) 사이에 배열되고, 특히 상기 하부 부품 (100) 및 상기 중간 부품 (200) 은 함께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70)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401) 및 상기 디스크 (404) 는 일체형 플라스틱 부품으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60)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스파이크 (401) 를 커버하는 제거가능한 캡 (500) 을 포함하는, 개봉 확인 (tamperevident) 클로져 (60) 를 갖고,
    상기 캡 (500) 은 바람직하게는 스파이크 커버가 분리될 (broken off) 수 있는 인서트 (503) 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서트 (503) 에 의해 상기 커넥터 (60) 의 상부 부품 (300) 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70)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401) 는 상기 스파이크 (401) 의 부분적인 섹션에 걸쳐 연장되는 나사산 (41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70)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401) 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리브 (414) 로서 설계된 스파이크 캐리어 (400) 와 상기 나사산 (419) 사이의 또 다른 부분적인 섹션에서 비틀림 방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70)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11. 인퓨젼 백 (1, 70)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으로서,
    스파이크 (401) 의 팁 (402) 이 보강부 (422) 상에, 특히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껍게 된 벽 섹션에 의해 형성되는 보강부 (422)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1, 70)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60) 는 상기 스파이크 (401) 가 1/8 턴 초과 및/또는 전체 턴 미만, 특히 대략 1/4 턴 만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70)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60) 는 상기 커넥터 (6) 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407) 를 포함하고,
    특히 상기 커넥터 (60) 는 상기 인디케이터 (407) 가 상기 커넥터 (60) 의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서 보여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윈도우 (201, 2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70)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407) 는 상기 커넥터 (60) 의 개방 및/또는 폐쇄 상태에서 상기 인디케이터 (407) 를 윈도우 (201, 202) 내에 스냅결합할 수 있는 스프링 (407)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70)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10) 는 유체 연결의 폐쇄 상태에서 시일 요소 (21) 에 인접하는 측방향 개구 (33) 를 갖는 채널 (32) 을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크 (10) 는 측방향 개구 (33) 가 상기 시일 요소 (21) 로부터 이동하고 상기 바이알 (5) 으로부터 상기 인퓨젼 백 (1) 의 내부 볼륨으로의 유체 연결이 개방되는 방식으로 상기 바이알 (5) 을 회전시킴으로써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1)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3) 는 상기 바이알 (5) 이 로킹가능한 바이알 홀더 (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1)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17.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10) 는 상기 커넥터 (3) 의 하우징 부품, 특히 상기 커넥터 (3) 의 하부 부품 (3a) 의 나사산 (28) 에서 안내되는 나사산 (2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1)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3) 의 하우징 부품의 나사산 (28) 에서 안내되는 상기 스파이크 (10) 의 나사산 (23) 은 적어도 2개의 플라이트들,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2개의 플라이트들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1)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19.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10) 의 상기 나사산 (23) 및/또는 상기 커넥터 (3) 의 하우징 부품의 나사산 (28) 은 액체의 통과를 위한 리세스들 (49, 50)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1)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10) 는 비틀림 방지 방식으로 상기 바이알 (5) 의 천공된 격막 (52) 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1)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21.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10) 는 상기 커넥터 (3) 의 하부 부품 (3a) 을 통해 그리고 상기 커넥터 (1) 의 또 다른 인접한 하우징 부품을 통해, 특히 상기 하부 부품 (3a) 에 연결된 중간 부품 (13) 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하부 부품 (3a) 은 상기 시일 요소 (21) 를 통해 상기 인접한 하우징 부품에 대해 시일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1)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22.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3) 는 상기 스파이크 (10) 가 1/4 턴 초과 및/또는 전체 턴 미만, 특히 대략 1/2 턴 만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1)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23. 제 13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3) 는 상기 스파이크 (10) 를 위한 나사산 (28) 을 갖는 하부 부품 (3a) 및 중간 부품 (13) 을 포함하고,
    상기 시일 요소 (21) 는 적어도 상기 중간 부품 (13) 에 배열되고,
    상기 하부 부품 (3a) 및 상기 중간 부품 (13) 은 함께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1)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24. 제 20 항에 있어서,
    하부 부품 (3a) 및 중간 부품 (13) 은, 특히 서로 맞물리는 치형부 (27, 36) 에 의해, 비틀림 방지 방식으로 함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1)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25. 바이알 (5) 을 위한 커넥터 (3) 를 포함하는, 특히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퓨젼 백 (1)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으로서,
    상기 커넥터 (3) 는, 상기 인퓨젼 백 (1) 의 내부 볼륨에 유체 연결을 제공하도록 상기 바이알 (5) 의 격막 (52) 을 천공하기 위한 스파이크 (10)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3) 는, 상기 바이알 (5) 의 삽입 방향으로 내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클램핑 핑거들 (45) 을 갖는 바이알 홀더 (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1)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26. 제 22 항에 있어서,
    바이알 홀더 (14) 가 상기 바이알 (5) 을 도입하기 위한 깔때기 형상의 섹션 (44)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퓨젼 백 (1) 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27. 의료용 패키징 (1) 과 바이알 (5) 사이에 유체 연결을 제공하도록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의료용 패키징 (1) 을 위한 커넥터 (3) 로서,
    상기 커넥터 (3) 는 상기 바이알 (5) 의 격막 (52) 을 천공하기 위한 스파이크 (10) 및 상기 스파이크 (10) 를 둘러싸는 시일 요소 (21) 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크 (10) 는 상기 커넥터 (3) 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계되고, 폐쇄 유체 연결로 상기 시일 요소 (21) 에 인접하는 측방향 개구 (33) 를 갖는 채널 (32) 을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크 (10) 는 상기 채널 (32) 의 상기 측방향 개구 (33) 가 상기 시일 요소 (21) 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바이알 (5) 과 상기 의료용 패키징 (1) 사이의 유체 연결이 개방되는 방식으로 상기 바이알 (5) 을 회전시킴으로써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패키징 (1) 을 위한 커넥터 (3).
  28. 의료용 패키징 (70) 과 바이알 (90) 사이에 유체 연결을 제공하도록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의료용 패키징 (70) 을 위한 커넥터 (60) 로서,
    상기 커넥터 (60) 는 상기 바이알 (90) 의 격막을 천공하기 위한 스파이크 (401) 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크 (401) 는 디스크 (404) 를 포함하는 스파이크 캐리어 (400) 상에 배열되고,
    상기 디스크 (404) 는 시일 (600) 의 전방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시일 (600) 은 축방향 채널 (601) 을 포함하고,
    상기 시일 (600) 의 상기 축방향 채널 (601) 은 상기 디스크 (404) 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 (404) 상의 개구 (408) 와 오버랩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바이알 (90) 과 상기 의료용 패키징 (70) 사이의 유체 연결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패키징 (70) 을 위한 커넥터 (60).
  29.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3, 60) 는 특히 Luer 연결 또는 Luer 로크 연결로 의료용 패키징 (1, 70) 의 포트에 연결가능한 어댑터로서 설계되거나,
    상기 커넥터 (3, 60) 는 상기 의료용 패키징 (1) 의 포트의 구성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패키징을 위한 커넥터 (3, 60).
  30. 바람직하게는 바이알 (5, 90) 의 형태의 제 1 의료용 패키징, 및 바람직하게는 특히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퓨젼 백 (1, 70) 의 형태의 제 2 의료용 패키징의 스파이크 (10, 401) 를 포함하는 커넥터 (3, 60) 사이에, 유체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의료용 패키징 (5, 90) 은 상기 스파이크 (1, 401) 가 상기 제 1 의료용 패키징 (5, 90) 의 격막 (52) 을 천공하여 상기 제 2 의료용 패키징 (1, 70) 의 내부 볼륨에 유체 연결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2 의료용 패키징의 상기 커넥터 (3, 60) 상으로 푸시되고, 상기 스파이크 (10, 401) 는 상기 제 1 의료용 패키징 (5, 90) 및/또는 상기 커넥터 (3, 60) 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되고, 이렇게 행함으로 상기 제 1 의료용 패키징 (5, 70) 으로부터 상기 제 2 의료용 패키징으로의 유체 연결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0217043166A 2019-06-06 2020-06-08 인퓨젼 백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및 바이알로부터 인퓨젼 백으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KR202200174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78711.8A EP3747421A1 (de) 2019-06-06 2019-06-06 Als infusionsbeutel ausgebildete medizinische verpackung sowie verfahren zum überführen der flüssigkeit aus einem vial in einen infusionsbeutel
EP19178711.8 2019-06-06
PCT/EP2020/065816 WO2020245455A1 (de) 2019-06-06 2020-06-08 Als infusionsbeutel ausgebildete medizinische verpackung sowie verfahren zum überführen der flüssigkeit aus einem vial in einen infusionsbeut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434A true KR20220017434A (ko) 2022-02-11

Family

ID=6677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3166A KR20220017434A (ko) 2019-06-06 2020-06-08 인퓨젼 백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및 바이알로부터 인퓨젼 백으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370290A1 (ko)
EP (2) EP3747421A1 (ko)
KR (1) KR20220017434A (ko)
CN (1) CN113966211A (ko)
AU (1) AU2020286973A1 (ko)
BR (1) BR112021022052A2 (ko)
CA (1) CA3141515A1 (ko)
CL (1) CL2021003181A1 (ko)
MX (1) MX2021014800A (ko)
WO (1) WO20202454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0646B2 (ja) * 2018-05-17 2023-05-10 ベクトン ディキンソン フランス 医療用注入装置を容器に接続するための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7612T1 (de) * 1983-05-20 1990-11-15 Bengt Gustavsson Anordnung zur uebertragung einer substanz.
IT1173370B (it) * 1984-02-24 1987-06-24 Erba Farmitalia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collegare una siringa alla imboccatura di un flacone contenente un farmaco o di un tubicino per l'erogazione del farmaco della siringa
US4759756A (en) * 1984-09-14 1988-07-26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Reconstitution device
US4735608A (en) * 1986-05-14 1988-04-05 Del F. Kahan Apparatus for storing and reconstituting antibiotics with intravenous fluids
US6090092A (en) * 1997-12-04 2000-07-18 Baxter International Inc. Sliding reconstitution device with seal
FR2878737B1 (fr) * 2004-12-07 2007-03-16 Maptech Soc Par Actions Simpli Dispositif de securite pour flacon a usage medical
US7473246B2 (en) * 2006-06-22 2009-01-06 Baxter International Inc. Medicant reconstitution container and system
US8857470B2 (en) 2011-01-25 2014-10-14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first reservoir with a second reservoir
IL221635A0 (en) * 2012-08-26 2012-12-31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Drug vial mixing and transfer device for use with iv bag and drug vial
JP6595620B2 (ja) * 2015-05-06 2019-10-23 コッヒャー−プラスティック マシーネンバウ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容器移動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70290A1 (en) 2022-11-24
MX2021014800A (es) 2022-01-18
WO2020245455A1 (de) 2020-12-10
CA3141515A1 (en) 2020-12-10
EP3747421A1 (de) 2020-12-09
AU2020286973A1 (en) 2021-11-25
CN113966211A (zh) 2022-01-21
CL2021003181A1 (es) 2022-07-15
EP3979973A1 (de) 2022-04-13
BR112021022052A2 (pt)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6628B2 (en) Communicating needle for connecting two or more containers to communicate
EP3242696B1 (en) Infusion adapter
US7473246B2 (en) Medicant reconstitution container and system
US9108031B2 (en) Connector having a membrane, for connecting a syringe to a container or tubing
AU2003226002B2 (en) Sliding reconstitution device for a diluent container
US20140352845A1 (en) Valve assembly for use with liquid container and drug vial
EP0533171A1 (en) Transfusion device
JP2004313808A (ja) 希釈剤容器用のスライド式再構成装置
CN104703574A (zh) 利用用于双流体连通步骤致动的手动旋转的液体药物转移装置
US20120310177A1 (en) Connector system for nutrient containers for enteral nutrition
JP6898277B2 (ja) 医療用流体投与のためのコネクタシステム
JP5920340B2 (ja) 医療用ポ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栄養剤用容器並びに栄養剤供給セット
KR20220017434A (ko) 인퓨젼 백의 형태의 의료용 패키징 및 바이알로부터 인퓨젼 백으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WO2012109310A2 (en) Coupling devices and kits thereof
WO2011046210A1 (ja) 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栄養剤用容器並びに栄養剤供給セット
KR102479664B1 (ko) 회전에 의해 조작되는 컨테이너 마개
TWI587883B (zh) Medical connector, container for nutrient container and nutrient supply container using the same
JP6345391B2 (ja) 雄コネクタ
JP6031114B2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用外筒、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用穿刺具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