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007A - 초음파 가공에 의한 상하의 일체형 방호복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 가공에 의한 상하의 일체형 방호복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007A
KR20220016007A KR1020210101646A KR20210101646A KR20220016007A KR 20220016007 A KR20220016007 A KR 20220016007A KR 1020210101646 A KR1020210101646 A KR 1020210101646A KR 20210101646 A KR20210101646 A KR 20210101646A KR 20220016007 A KR20220016007 A KR 20220016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rotective clothing
body part
ultrasonic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왕수
Original Assignee
신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왕수 filed Critical 신왕수
Publication of KR20220016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20Wov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30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가공에 의한 상 하의의 일체형 방호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형태성을 구비하는 방호복을 비말과 같은 입자매개 감염병 대응용으로 사용가능한 방호복을 제작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초음파 가공에 의한 상하의 일체형 방호복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upper and lower integrated protective clothing by ultrasonic processing}
본 발명은 초음파 가공에 의한 상하의 일체형 방호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형태성을 구비하는 방호복을 비말과 같은 입자매개 감염병 대응용으로 사용가능한 방호복을 제작토록 한 것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유행하는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한 의료진들이 착용하는 방호복은 1회용으로 사용되어지고, 비말과 같은 입자 매개 감염병 대응용이라고 하여 방수기능이 거의 없는 레벨 D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방수기능이 강화되어지는 레벨C의 사용이 권장되고 있지만 레벨C의 방호복은 공기정화 산소호흡기가 구비되어지는데 이러한 것들은 방호복 자체와는 관련성이 떨어져 실질적인 방호복만 적용할 경우에는 레벨D나 레벨C의 차이점은 방수가능의 강화여부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수기능은 원단은 동일하지만 원단을 일정한 형태로 제작할 경우에 봉재수단에 의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이러한 봉재작업시 발생되는 땀(바늘구멍)에 의하여 통기성이 발생되고 이러한 땀에 의하여 방수성이 저하된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봉재할 경우에 오버로크방식으로 봉재토록 하면서 오버로크로 봉재된 부분에 테이핑을 접착하게 되거나 랍바가공 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테이핑을 위한 또 다른 열가공등의 또 다른 접착수단이 요구되어지고, 또한 랍바가공 처리를 할 경우에도 결국 봉재수단이 적용됨으로 결과적으로 방수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땀(바늘 구멍)으로 방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점을 감안하여 봉재시 방수실을 사용하여 방수실이 습에 팽창토록 함으로서 바늘 구멍을 막아주는 효과로 인하여 방수성을 개선하게 되거나 강화하게 되는 데 이러한 방식은 고가의 방수실에 비하여 실질적인 방수에 도움이 되지 못하여 대부분 별도의 방수코팅을 하거나 방수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제조가 많은 인력이 소요됨은 물론 많은 작업자가 필요하게 되면서 실질적인 원가상승을 유발함은 물론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수요량에 공급량을 따라갈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호복의 원단이 소수성의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된다라는 점을 감안하여 초음파 가공에 의하여 제작의 용이성은 물론 원가를 절감가능하면서도 레벨C가 요구되는 방수성을 향상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본체부를 부분 접착한 후 본체부의 상의 부분에 팔부를 별도로 초음파 접착토록 하여 방호복을 완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를 전면과 후면을 절첩라인에 의하여 절첩토록 한 후 접착하거나 또는 전면과 후면을 각각 가공토록 한 후 중첩하여 접착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를 구성하는 전면과 후면이 다층을 형성할 경우에는 1차로 다층으로 중첩토록 한 후 전면과 후면을 접착토록 한 것이다.
또한 팔부를 본체부와 일체로 구비토록 한 상태에서 팔부가 좌우로 펼쳐진 상태에서 생기는 버려지는 부분에는 덧신부를 구비토록 하여 버려지는 부분을 최소로 한 것이다.
또한 상의부분의 팔부가 구비되는 부분을 본체부와 구획하여 각각 부분접착토록 한 후 완전접착토록 하여 방호복을 완성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초음파 접착에 의하여 제조됨으로 땀(봉재바늘에 의한 바늘구멍)을 발생시키는 봉재라인이 없어 방수성이 우수하게 되고, 이러한 초음파 접착에 의한 방식이 롤 초음파 금형에 의한 연속 접착을 유도함으로 접착라인이 단선이나 복선일 경우 또는 실선과 점선으로 구현은 물론 실선과 점선의 복선일 경우에도 용이한 접착라인을 구현토록 할 수 잇는 것이다,
또한 롤 초음파 금형에 의한 회전방식이 연속으로 이루어져 가공의 연속성에 의한 생산성의 증대는 물론 제품의 균일성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방호복의 본체부를 절첩에 의한 상태로 접착라인을 최소로 한 상태의 일실시예.
도2는 본 발명의 방호복의 본체부를 등분된 상태로 중첩되게 구비한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
도3은 본 발명의 방호복의 본체부가 상의와 하의로 분리되어져 결합되는 상태의 일실시예.
도4는 도3의 상의와 하의가 분리된 것이 접착이 완료된 상태의 일실시예.
도5는 본 발명의 방호복에 팔부가 일체로 구비된 상태에서 버려지는 부분에덧신제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상태의 일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의 팔부를 다수개 구비하는 상태의 일실시 예.
도7은 본 발명의 팔부를절첩에 의하여 구비되는 상태의 일실시예.
도8은 본 발명의 본체부에 팔부가 결합되는 상태의 일실시예.
도9는 도8의 팔부가 접착라인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의 일실시예.
도10은 본 발명의 후드를 제작하는 과정의 일실시예.
도1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도.
도12는 본 발명의 전면이 2중으로 합디된 상태에서의 제조공정도.
도13 및 도13a는 본 발명의 전면이 중첩되면서 형성되는 합지라인의 다양한 일실시예.
도14는 본 발명의 후드부의 또 다른 일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호복의 구성은 후드(400)가 별도의 접착라인에 의하여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방호복의 제1실시예로는 도1 및 도2와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구비되어지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의와 하의 전방에는 개폐를 위한 지퍼(500)가 초음파 접착라인에 의하여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방호복을 구성하는 재질은 친수성보다는 소수성에 해당되는 PP섬유로 제작되어지는 것이 좋고, 직포이거나 부직포 모두에 적용되어질 수 있는 것이고, 내 인장성과 직포일 경우에는 절단라인에 풀림방지를 위하여 직포의 전후로 부직포가 합지되어진 합지원단도 사용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직포나 부직포에 방수성을 향상토록 필름을 합지토록 하거나 원가절감을 위하여 직포나 부직포에 T-Die방식으로 필름의 합지 대신에 합성수지를 코팅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의 직포와 부직포의 합지도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필름이나 코팅은 직포나 부직포의 재질과 동일한 것 즉 PP 계열을 사용하여야 본 발명에서의 초음파 접착시 접착이 가능하면서 접착력이 우수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호복의 제조를 위한 초음파 접착을 위한 일실시예는 도1,2 및 도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00)를 풀림롤에 권취되어진 원단은 본체부(100)를 구현가능한 폭으로 되고, 이 상태에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이 연속으로 풀림되면서 가이드부에서 접힘되면서 합지되거나 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홑겹으로 각각 풀림롤에서 풀림되면서 가이드부에서 중첩되어지도록 하여 접착부에서 초음파 롤 금형에 의하여 본체부를 구성하는 부분에 대하여 접착라인으로 접착토록 하면서 본체부를 형성하고, 이 상태에서 이송되면서 접착라인의 외측으로 또는 팔부와 후드부가 연결될 수 있는 개구부를 구현하기 위하여 절단라인에 의하여 재단부에서 절단하고자 하는 부분을 절단하면서 절단된 이후에는 접착라인을 구비하는 본체부(100)는 이동되면서 다음공정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본체부(100)를 형성하고 재단부에서 절단되어 버려지는 스크랩(1)은 각각 분리되지 않고 연결되어져 회수롤에 감겨지면서 완성품(본체부)과 분리되어져 버려지게 되는 것이다.
그후 상기 분리되어진 본체부(100)의 상의 부분(110)에 팔부(200)의 연결을 위하여 개구되어진 개구부(130)에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가공되어진 팔부(200)를 도10에 도시되는 후드부(400)를 또 다른 개구부(130a)에 추가공정으로 초음파 접착토록 하여 방호복을 완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1은 상기 본체부(100)를 상의(110)나 하의(120) 부분을 형성하는 전면(101)과 후면(102)을 절첩라인(20)에 의하여 절첩토록 하여 일측의 접착라인(10)만을 형성하여 초음파 접착을 위한 접착라인(10)을 최소로 구현토록 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고, 도2는 상기 본체부(100)를 상의(110)나 하의 부분(120)을 형성하는 전면(101)과 후면(102)을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양측의 접착라인(10)을 형성하면서 접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초음파 접착기의 크기에 따라 선택가능한 사항이다.
그러나 본체부(100)를 형성하는 전면(101)과 후면(102)의 두께를 달리할 경우 예를 들면 진료과정에서 비말등이 묻어날 수 있는 전면의 원단을 복수의 층으로 합지토록 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101)과 후면(102)을 분리하여 접착하는 것이 방호복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소형의 초음파 접착기에서의 가공도 가능하게 되는 장점도 존재하는 것이다.
이때에는 도12에 도시된 비와 같이 각각의 풀림롤에 원하는 원단의 폭으로 권취된 원단롤를 3개를 구비하고, 전면을 형성하는 2개의 원단롤이 각각 풀림되면서 가이드롤에 의하여 중첩되어지면서 중첩된 원단을 합지라인에 의하여 합지토록 하면서 합지라인으로 합지된 원단에 후면의 원단이 중첩되어지는 것이다.
그후 합지된 원단과 후면의 원단이 중첩되어진 상태에서 접착부에서 방호복의 본체부의 형태에 따라 롤 초음파에 의하여 연속으로 접착라인을 형성하고, 그후 접착라인이 형성된 본체부의 접착라인의 외측과 팔부와 후드부를 접착할 수 있는 개구부를 따라서 재단부에서 절단하면서 접착라인과 절단라인에 의하여 제조된 방호복의 본체부와 스크랩을 원단에서 연속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스크랩은 권취되어 수거되어지고, 초음파 접착된 방호복의 본체부는 후가공을 위하여 이동되어 팔부와 후드부를 초음파 접착하여 방호복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복을 구성하는 본체부의 전면(101)과 후면(102)이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접착라인(10)에 의하여 접착되어 중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방호복의 내공간부에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접착라인(10)을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으로는 점선(10a)으로 형성하여 유연성을 제공토록 하고, 점선 접착라인의 외측으로는 실선(10b)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착용한 이후에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유연성을 제공하면서도 외부로부터의 비말은 물론 수분등의 방수가 우수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체부(100)를 초음파 롤 금형에 의하여 접착라인(10)을 형성하여 제작한 상태에서 착용시에는 뒤집어서 착용하게 됨으로 이럴 경우에 접착라인(10)을 복수의 접착라인(10a,10b)으로 형성하여 착용자의 피부와 밀착되는 부분을 점선접착라인(10a)으로 형성할 경우에 부드러움에 의하여 피부자극을 최소로 하게 되는 것이고, 그 외측으로 실선의 접착라인(10b)을 형성함으로서 외부에서 발생되는 비말등의 수분에 의한 방수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전면(101)또는 후면(102)이 홑겹이 아닌 다층을 형성할 경우에는 전면 또는 후면을 1차로 다층으로 중첩토록 한 후 중첩된 각각의 전면 또는 후면을 중첩되게 합지하여 접착라인에 의하여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면을 1차로 다층으로 합지토록 한 후 후면을 홑겹으로 중첩토록 한 후 접착라인을 형성함으로서 초음파 접착의 용이성도 제공토록 하면서도 사용의 효과를 최대로 발생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13 및 도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전면(101)을 합지토록 할 경우에 합지된 상태에서의 유격방지를 위하여 점선으로 합지라인(30)을 형성하고, 이러한 합지라인(30)을 다양한 도형화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본체부(100)의 전면(101)에 제품의 구별성을 위한 다양한 로고화도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에도 초음파 롤 금형의 다양한 가공으로 이러한 구별성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초음파 롤 금형의 교환에 의하여 다양한 로고화의 구현이 손택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도5는 팔부(200)를 본체부(100)와 일체로 구비토록 한 상태에서 팔부(200)가 좌우로 펼쳐진 상태에서 전면(101)과 후면(102)이 중첩되어 접착라인(10)을 형성하여 제조할 경우에 중첩된 원단에서 생기는 스크랩(1)중에서 버려지는 부분(a)에는 덧신부(300)를 구비토록 하여 원단이 낭비되는 부분을 최소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복을 구성하는 본체부(100)의 상의 일부분(110a)과 팔부(200)가 구비되는 부분을 하의의 본체부(100a)와 구획하여 각각 횡 접착라인(10c)에 의하여 접착토록 한 후 본체부(100a)의 절단라인(2a)과 상의 일부분(110a)의 절단라인(2b)을 서로 중첩토록 한 후 후가공에 의하여 초음파 접착에 의한 횡 접착라인(10c)을 형성토록 하여 방호복을 완성토록 한 것이다.
이때에도 점선접착라인(10a)과 실선접착라인(10b)으로 형성함으로서 견고성 및 착용의 편의성을 재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방호복의 후드(400)부분도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 접착되는 절단라인(2c)과 안면부가 노출되는 개구라인(2d)을 제외하고 접착라인(10)에 의하여 접착토록 한 후 절단라인(2c)을 본체부(100)의 헤드 개구부(130a)에 중첩되게 형성한 후 초음파 접착하여 접착라인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후드의 개구된 전방으로는 개구라인(2d)을 따라서 신축밴드(410)가 장착되어 착용한 상태에서 안면부의 기밀유지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14에 도시된 비와 같이 신축밴드를 장착할 경우에 개구라인(2d)의 내측으로 절개선(401)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토록 한 후 절개선(401)으로 신축밴드(410)를 지그재그로 삽입하고 밴드화 함으로서 안면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개구라인(2)이 오무라듬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때 신축밴드는 PP사로 감싸여진 신축밴드를 사용함으로서 후가공에 의한 초음파 접착이 가능토록 될 수 있는 것이고 신축가능한 PP사로 제작되어진 신축밴드를 사용할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발생토록 할 수 잇는 것이다.
a:버려지는 부분
2a:절단라인 2b:절단라인
2c:절단라인 2d:개구라인
10:접착라인 10a:점선
10b:실선 10c:횡접착라인
20:절첩라인
30:합지라인
100:본체부 101:전면
102:후면
110:상의부분 110a:상의 일부분
120:하의
130:개구부 130a:또 다른 개구부
200:팔부
300:덧신부
400:후드부 401:절개선
410:신축밴드
500:지퍼

Claims (6)

  1.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구비되어지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의와 하의 전방에는 개폐를 위한 지퍼(500)가 초음파 접착라인에 의하여 일체로 접착되어지고,
    상기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00)를 풀림롤에 권취되어진, 본체부(100)를 구현가능한 폭으로 되는, 원단이 연속으로 풀림되면서 가이드부에서 접힘되면서 합지되거나 또는 홑겹으로 각각 풀림롤에서 풀림되면서 중첩되어지도록 하여 재단부에서 초음파 롤 금형에 의하여 본체부를 구성하는 부분만 남겨두고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이후에는 본체부(100)는 이동되면서 접착이 요구되는 부분에만 초음파 롤 금형에 의하여 접착라인(10)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100)를 형성하고 절단되어 버려지는 스크랩(1)은 각각 분리되지 않고 연결되어져 회수롤에 감겨지면서 완성품(본체부)과 분리되어져 버려지게 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상의 부분(110)에 팔부(200)의 연결을 위하여 개구되어진 개구부(130)에 별도로 가공되어진 팔부(200)와 후드부(400)를 또 다른 개구부(130a)에 추가공정으로 초음파 접착되어지는 초음파 가공에 의한 상하의 일체형 방호복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를 상의(110)나 하의(120) 부분을 형성하는 전면(101)과 후면(102)을 절첩라인(20)에 의하여 절첩토록 하여 일측에만 접착라인(10)으로 접착하거나,
    상기 본체부(100)를 상의(110)나 하의 부분(120)을 형성하는 전면(101)과 후면(102)을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중첩하여 양측으로 접착라인(10)을 형성하면서 초음파 접착되는 초음파 가공에 의한 상하의 일체형 방호복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101)과 후면(102)의 두께를 달리할 경우 전면의 원단을 복수로 합지토록 하여 합지라인으로 합지토록 하고,
    그 상태에서 양측의 접착라인에 의하여 전면과 후면이 접착되어지는 초음파 가공에 의한 상하의 일체형 방호복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101)과 후면(102)이 접착라인(10)에 의하여 접착되어 중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방호복의 내공간부에는 상기 접착라인(10)을 착용한 상태에서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으로는 점선(10a)으로 형성하고 그 외측으로는 실선(10b)으로 형성한 접착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초음파 가공에 의한 상하의 일체형 방호복의 제조방법.
  5. 상의와 하의가 구비되어지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의와 하의 전방에는 개폐를 위한 지퍼(500)가 초음파 접착라인에 의하여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팔부(200)를 일체로 구비토록 한 상태에서 상기 팔부(200)가 좌우로 펼쳐진 상태에서 전면(101)과 후면(102)이 중첩되어 접착라인(10)을 형성하여 제조할 경우에 중첩된 원단에서 생기는 스크랩(1)중에서 버려지는 부분(a)에는 덧신부(300)를 구비토록 하여 원단이 낭비되는 부분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초음파 가공에 의한 상하의 일체형 방호복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상의 일부분(110a)과 팔부(200)가 구비되는 부분을 하의의 본체부(100a)와 구획하여 각각 횡 접착라인(10c)에 의하여 접착토록 한 후 본체부(100a)의 절단라인(2a)과 상의 일부분(110a)의 절단라인(2b)을 서로 중첩토록 한 후 후가공에 의하여 초음파 접착에 의한 횡 접착라인(10c)을 형성토록 한 초음파 가공에 의한 상하의 일체형 방호복의 제조방법.
KR1020210101646A 2020-07-31 2021-08-02 초음파 가공에 의한 상하의 일체형 방호복의 제조방법 KR202200160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96422 2020-07-31
KR1020200096422 2020-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007A true KR20220016007A (ko) 2022-02-08

Family

ID=8025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646A KR20220016007A (ko) 2020-07-31 2021-08-02 초음파 가공에 의한 상하의 일체형 방호복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60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235B2 (en) Waterproof breathable fishing wader
RU2437601C1 (ru) Шовн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структура, предмет одежды с шовной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структуро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шовной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структуры
PL184221B1 (pl) Opaska na głowę mocowana do wykroju maski twarzowej
KR20170029587A (ko) 의복 및 그 밖의 패브릭 제품을 위한 접착제 제작 방법
CN86100100A (zh) 一次性衣着用弹性的贴身松紧带构件
PL183726B1 (pl) Kompozytowa opaska na głowę i sposób wytwarzania kompozytowej opaski na głowę
US20170303611A1 (en) Sealing Sleeve For Waterproof Garments
JP2016137119A (ja) 衛生マスク
JP2001204833A (ja) マスク
JP2004024620A (ja) 布地製立体形状マスク
TW202220570A (zh) 口罩
JP3215160U (ja) 衣類のエッジを保護するための帯状材料及び方法
KR20220016007A (ko) 초음파 가공에 의한 상하의 일체형 방호복의 제조방법
US3997920A (en) Dress shield
CN103167895A (zh) 化学防护服用布片的接合方法
KR200440915Y1 (ko) 브래지어
GB2433413A (en) Glove liner made from laminated material
JP6265416B2 (ja) 無縫の衣類
JP6375617B2 (ja) 通気構造を有する布帛及び衣服
JP2006043227A (ja) 立体マスク
CN201142941Y (zh) 一种模制胸罩
JP2019173265A (ja) 手袋及び該手袋の製造方法
EP2609965B1 (en) Clothing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s
CN213720056U (zh) 无缝口罩
JP7420316B1 (ja) 衣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