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935A -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 - Google Patents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935A
KR20220015935A KR1020210092722A KR20210092722A KR20220015935A KR 20220015935 A KR20220015935 A KR 20220015935A KR 1020210092722 A KR1020210092722 A KR 1020210092722A KR 20210092722 A KR20210092722 A KR 20210092722A KR 20220015935 A KR20220015935 A KR 20220015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angle
razor
coupling
angl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815B1 (ko
Inventor
김동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썸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썸랩
Publication of KR20220015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2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unchangeable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에 의하면, 특히 I 자 구조에 도입된 각도 조절부를 통해 ㄱ자 구조로 90도를 꺽어서 사용하는 등 구부릴 수 있는 구조를 가져, 일반 기존의 면도기와 똑같은 편리함과 사용성을 가질수 있으며, 기존 제품인 T자 구조로는 면도하기 어려운 각도에 있는 털, 눈썹 등을 면도할 수 있도록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성이 매우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시 면도를 관장하는 면도날이 있는 헤드 부분과 손잡이 바디부분을 분리 가능한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제작 및 생산 시 수월하며, 헤드 부분만 떼서 버릴 수 있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와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DISPOSABLE RAZOR CAPABLE OF HEAD ANGLE ADJUSTING}
본 발명은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면도날을 포함하는 헤드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일회용 면도기의 경우 T자형 구조를 가진 제품이 대부분이다. 일회용 면도기는 한번 사용하고 버린다는 의식이 강하기는 하지만, 실제로 사용자들이 사용시 한번 만 사용하여 버리기보다는 다시 챙겨 몇 번을 사용하는 경향이 많다. 하지만, 기존의 일회용 면도기는 전술한 바와 같은 T 자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여행이나 일반 생활시 보관이 보관하기 쉽지 않은 불편함이 많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헤드부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면도날을 포함하는 헤드부; 핸들을 포함하여 일자 타입의 본체 바디를 형성하는 바디부;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바디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 구조 및 각도 조절 구조를 갖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면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에 의하면, 기존 T자형 구조에서 일자형(I자형) 구조로 변경됨으로써, 슬림한 펜슬처럼 가방, 포켓, 여행시 자유롭게 어느 곳에나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에 의하면, 특히 I 자 구조에 도입된 각도 조절부를 통해 ㄱ자 구조로 90도를 꺽어서 사용하는 등 구부릴 수 있는 구조를 가져, 일반 기존의 면도기와 똑같은 편리함과 사용성을 가질수 있으며, 기존 제품인 T자 구조로는 면도하기 어려운 각도에 있는 털, 눈썹 등을 면도할 수 있도록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성이 매우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시 면도를 관장하는 면도날이 있는 헤드 부분과 손잡이 바디부분을 분리 가능한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제작 및 생산 시 수월하며, 헤드 부분만 떼서 버릴 수 있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와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 ~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결합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는, 면도날을 포함하는 헤드부(110); 핸들을 포함하여 일자 타입의 본체 바디를 형성하는 바디부(120);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바디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 구조 및 각도 조절 구조를 갖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는, 1) 헤드부(110)와 바디부(120)가 상호 간 분리가 가능한 탈부착 체결 구조를 가지며, 2) 헤드부(110) 자체의 각도만을 조절 가능한 타입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도 1 ~ 도 3의 제1 실시예 또는 제4 ~ 도 6의 제2 실시예 등과 같은 방식 참조), 바디부(120)의 일부(즉, 상기 헤드부(110)와 결합될 부위에 대응되는 특정 바디 영역) 또는 바디부(120) 전체를 자유롭게 말거나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을 가짐으로써 헤드부(100)의 각도가 조절 가능해지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도 7 및 도 8의 제3 실시예 등과 같은 방식 참조).
여기서, 상기 각도 조절부의 상기 각도 조절 구조는, 힌지 회동에 의한 각도 조절 구조, 톱니바퀴 방식의 마찰 및 홀딩 구조를 통한 각도 조절 구조, 볼 조인트 방식의 마찰을 통한 각도 조절 구조, 플렉서블 와이어를 통한 각도 조절 구조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에 의하면, 면도기 전체를 일자 타입으로 슬림하게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시 헤드부를 90도 내지는 원하는 각도(예를 들어, 15도, 45도 등 다양한 각도)로 꺽어 사용할 수 있고, 헤드부와 바디부 간의 체결 구조를 해제함으로써 헤드부만을 분리 교체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와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각도 조절부가 각각 어떠한 구체적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지에 관하여, 상술한 각도 조절 구조 및 이를 위한 체결 구조를 중심으로, 각 실시예 별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 도 1 ~ 도 3의 구조]
도 1 ~ 도 3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대칭형 톱니바퀴 방식의 마찰 및 홀딩 구조를 활용한 각도 조절 타입 면도기의 일 예가 도시되고 있다.
즉, 헤드부(110)와 바디부(120)가 상호간 결합되는 결합 부위(도 2의 도면번호 112의 헤드 결합부 및 도면번호 122의 바디 결합부 참조)에는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며, 그 관통홀을 통해서 체결이 이루어지는 소정의 체결 수단(도 2의 (A)의 경우 스크류 나사 방식(도면번호 114A 및 114B 참조), 도 2의 (B)의 경우 리벳 결합 방식(도면번호 115 참조), 이외에도 다양한 체결 수단 및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이 적용된다. 이때, 상기 헤드 결합부(112)와 상기 바디 결합부(122)가 면대면으로 결합되게 되는 각각의 결합면에는 대칭형의 톱니바퀴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그 대칭형의 톱니바퀴 구조를 통해서 헤드부(110)와 바디부(120) 간의 상대적인 각도 변경(조절)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이때, 상기 헤드 결합부(112)와 상기 바디 결합부(122)의 면대면 결합을 위해 각각 형성될 톱니바퀴의 돌출 방향이 상호 간 정면을 바라보도록 제작할 수도 있지만, 그 톱니바퀴의 돌출 방향이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형성(즉, 톱니바퀴의 산이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헤드부(110)를 어느 단 방향으로만 회전시키기에 편리한 구조가 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10)에 마련될 면도날은 사용을 위한 날 각도가 정해져 있는 것이어서, 헤드부(110)의 각도 조절이 의도치 않은 방향(본래의 면도 목적에 적합하도록 회전시켜야 할 정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꺽이게 되면, 날 각도가 맞지 않아 사용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 결합부(122)에서 상기 헤드 결합부(112)와 면대면 결합될 부위의 일 측단부에는 회전 방지 턱(도 3의 도면번호 122L 참조) 또는 가이드를 만들어 줌으로써, 정회전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 도 4 ~ 도 6의 구조]
도 4 ~ 도 6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볼 조인트 방식의 마찰을 이용한 각도 조절 타입 면도기의 일 예가 도시되고 있다.
즉, 헤드부(110)의 일측에는 볼 조인트(116)의 조인트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조인트 체결부가 형성되고(도 5의 케이스에서는 볼 조인트의 조인트부가 스크류 나사로 형성되고, 헤드부(110)의 일측의 조인트 체결부는 상기 스크류 나사가 결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있음, 다만 이외에도 다양한 결합 방식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볼 조인트의 조인트부가 헤드부(110)의 일측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형태도 가능함), 바디부(120)에서 상기 헤드부(110)와 결합될 결합 부위에 해당하는 바디 결합부(도 6의 도면번호 122B 참조)에는 볼 조인트(116)의 볼 헤드(116A 또는 116B)가 안착 결합될 안착홈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볼 헤드(116A 또는 116B)와 상기 안착홈 간에 뻑뻑한 마찰이 일어나면서도 상대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헤드부(110)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볼 조인트(116)의 볼 헤드는 기본적으로는 도 6의 (B)와 같이 구형의 헤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도 6의 (A)와 같이 회전 방향에 추종하는 원통형의 헤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도면을 통해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면체 형태의 볼 헤드로 제작됨으로써 마찰에 의한 홀딩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안착홈은 상기 볼 헤드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 형상을 갖도록 제작됨은 물론이다.
또한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볼 조인트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면도기 사용 중 상기 헤드부가 사람의 피부에 닿을 때에 발생하는 힘에 의해 앞서 설명한 정회전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 회전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안착홈 중 상기 헤드부(110)의 회전 과정에서 볼 조인트(116)의 목 부분이 안착될 목 안착 부위는 상기 목 부분이 안착될 때의 안착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할 때 볼 조인트(116)의 목 부분이 사각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안착홈의 목 안착 부위는 사각 형상을 갖고 있으며, 도 6의 (B)를 참조할 때 볼 조인트(116)의 목 부분이 원통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안착홈의 목 안착 부위는 U자 형상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목 안착 부위의 사각 형상과 U자 형상 모두 공통적으로 상측 양 측부는 살짝 내측으로 오므려진 형태의 턱을 가짐으로써, 볼 헤드의 목부분이 강제로 걸리며 안으로 들어간다는 느낌으로 안착되고, 안착이 되었을 때는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면을 통해 명확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볼 조인트의 목 부분이 소정의 다면 형상(ex. 육각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안착홈의 목 안착 부위도 이를 수용할 수 있는 다면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볼 조인트의 목 부분 및 목 안착 부위를 다면 형상을 갖도록 제작하는 경우에는 헤드부가 ㄱ 자로 회전된(꺽인) 상태를 유지한 채로 헤드부 자체를 상기 다면체의 면 형성 방향으로 다시 회전시킴으로써 면도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유사한 취지에서, 면도기 사용시의 힘에 의해 헤드부의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의 목 안착 부위에 결합돌기(123)을 마련하고, 볼 조인트의 목 부분 중 대응되는 위치에는 결합홈(미도시)을 마련함으로써, 상호 간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 도 7 및 도 8의 구조]
도 7 및 도 8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하면서도 꺽임 강도가 있는 와이어 바디로 제작되는 바디부(120)를 활용한 각도 조절 타입 면도기의 일 예가 도시되고 있다.
이때, 헤드부(110)는 일반 면도기의 면도기 헤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다만, 바디부(120)와 분리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의 체결 구조(이는 스크류 결합 방식(도 8의 (B)의 도면번호 112C 및 122C 참조)이던, 슬라이드 결합 방식이던, 억지끼움 방식이던, 볼팅 결합 방식이던, 암수 나사 결합 방식, 자석 결합 방식이던, 그 체결 방식에 특별한 제한이 없음)를 갖게 된다.
대신에, 바디부(120)는 플렉서블 하면서도 강도가 있어 소정 크기 이상의 힘으로 꺾거나 구부리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 및 각도만큼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부(120)는 예를 들어, 내부에는 일정한 힘까지는 버티며 원복되지 않는 와이어가 내장되고 겉면은 우레탄 계열이나 고무로 마감하여 부식에 강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는, 꺽거나 구부릴 때의 방향의 구분이 없고, 단순히 헤드 각도 조절뿐만 아니라, 면도기 전체를 동그랗게 말아서 보관하거나(도 8의 (A) 참조) 또는 바디부의 특정 부위를 꺽어서 걸어 놓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면도날을 포함하는 헤드부;
    핸들을 포함하여 일자 타입의 본체 바디를 형성하는 바디부; 및
    상기 헤드부와 상기 바디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 구조 및 각도 조절 구조를 갖는 각도 조절부;
    를 포함하는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바디부가 상호 간 분리가 가능한 탈부착 체결 구조를 가지며,
    상기 헤드부 자체의 각도만을 조절 가능한 타입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가 자유롭게 말거나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을 가짐으로써 상기 헤드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해지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의 상기 각도 조절 구조는, 힌지 회동에 의한 각도 조절 구조, 톱니바퀴 방식의 마찰 및 홀딩 구조를 통한 각도 조절 구조, 볼 조인트 방식의 마찰을 통한 각도 조절 구조, 플렉서블 와이어를 통한 각도 조절 구조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바디부가 상호간 결합될 결합 부위인 헤드 결합부 및 바디 결합부에서, 상기 헤드 결합부와 상기 바디 결합부가 면대면으로 결합되게 되는 각각의 결합면에는 대칭형의 톱니바퀴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대칭형의 톱니바퀴 구조를 통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바디부 간의 상대적인 각도 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각도 조절 구조를 갖되,
    상기 헤드 결합부와 상기 바디 결합부의 면대면 결합을 위해 각각 형성되는 대칭형 톱니바퀴의 돌출 방향이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바디 결합부(에서 상기 헤드 결합부와 면대면 결합될 부위의 일 측단부에는 회전 방지 턱 또는 가이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헤드부가 상기 면도날의 날 각도에 맞는 정회전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바디부 간이 볼 조인트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 구조를 갖되,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헤드부와 결합될 결합 부위에 해당하는 바디 결합부에는 볼 조인트의 볼 헤드가 안착 결합될 안착홈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볼 헤드와 상기 안착홈 간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상기 헤드부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각도 조절 구조를 갖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볼 헤드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고,
    상기 안착홈 중 상기 헤드부의 회전 과정에서 볼 조인트의 목 부분이 안착될 목 안착 부위는 상기 목 부분이 안착될 때의 안착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제작됨으로써, 상기 헤드부가 상기 면도날의 날 각도에 맞는 정회전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의 상기 목 부분 및 상기 안착홈의 상기 목 안착 부위는 각각 다면체 형상을 갖도록 제작됨으로써, 상기 헤드부가 상기 정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진 이후, 상기 바디부와의 관계에서 상대적 각도 변화가 발생되지 않은 채로 상기 헤드부 자체를 상기 다면체의 면 형성 방향으로 다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면도기 사용시의 면도날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목 안착 부위에는 결합돌기가 마련하고, 볼 조인트의 목 부분 중 대응되는 위치에는 결합홈이 마련됨으로써 상호 간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
KR1020210092722A 2020-07-31 2021-07-15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 KR102477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95706 2020-07-31
KR1020200095706 2020-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935A true KR20220015935A (ko) 2022-02-08
KR102477815B1 KR102477815B1 (ko) 2022-12-15

Family

ID=8025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722A KR102477815B1 (ko) 2020-07-31 2021-07-15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8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3068A (ja) * 1995-06-01 1996-12-10 Shiseido Co Ltd 携帯用かみそり
KR200389026Y1 (ko) * 2005-04-04 2005-07-07 이영길 면도기
US20120291295A1 (en) * 2011-05-19 2012-11-22 Richard Thomas Braun Razor with rotating and locking head
US20160136826A1 (en) * 2013-07-16 2016-05-19 Beiersdorf Ag Razor having free movability of the razor hea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3068A (ja) * 1995-06-01 1996-12-10 Shiseido Co Ltd 携帯用かみそり
KR200389026Y1 (ko) * 2005-04-04 2005-07-07 이영길 면도기
US20120291295A1 (en) * 2011-05-19 2012-11-22 Richard Thomas Braun Razor with rotating and locking head
US20160136826A1 (en) * 2013-07-16 2016-05-19 Beiersdorf Ag Razor having free movability of the razor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815B1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7689B2 (en) Personal styling razor
US20060123640A1 (en) Personal shaving razor
US9731426B2 (en) Rotating type razor
US6694626B2 (en) Razor
CN100457406C (zh) 旋转剃须刀
EP1843878B1 (en) Razor handle having an air cushion finger rest area
WO2006081838A1 (en) Razor handle having an arcuate profile
US5542178A (en) Razor for shaving curved areas of the body
EP1843879A1 (en) Razor handle having ergonomic gripping areas
EP3398476A1 (en) Eye cosmetic applicator and eye cosmetic tool
US11820032B2 (en) Razor handle, attachment adapter, and razor assembly
US5890499A (en) Ergonomic mascara shield
KR20220015935A (ko) 헤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면도기
AU2003220983A1 (en) Shaver
KR101212547B1 (ko) 네일아트용 니퍼
US11166537B2 (en) Coating material feeding container
US11241805B2 (en) Razor base, razor and corresponding use
KR101978257B1 (ko) 만곡형상 블레이드 구비형 헤어 커터
EP3894150A1 (en) Blade assembly attachment mechanism and modular razor assembly
JP3220989U (ja) 眉描き補助具
JP2020130824A (ja) ニッパー式爪切り
JP6630175B2 (ja) 眉描具
JP7020697B2 (ja) 美容用具
KR102483390B1 (ko) 눈썹 관리 보조 장치
KR102252906B1 (ko) 눈썹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