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800A - 선박 접안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접안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800A
KR20220015800A KR1020200096309A KR20200096309A KR20220015800A KR 20220015800 A KR20220015800 A KR 20220015800A KR 1020200096309 A KR1020200096309 A KR 1020200096309A KR 20200096309 A KR20200096309 A KR 20200096309A KR 20220015800 A KR20220015800 A KR 20220015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unit
closing
guid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호
이호엽
유무성
정민욱
한관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96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5800A/ko
Publication of KR20220015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의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져 해상구조물에 결합되고, 일 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파도방지부; 상기 파도방지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도방지부의 내측에서 상기 파도방지부와 상대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개폐부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부에 선박이 접촉하면서 상기 회전지지부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파도방지부를 따라 슬라이드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접안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선박 접안을 위한 장치{DEVICE FOR BERTH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을 접안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 해안가에 위치한 부두 등에 접안할 수 있기 위해서는 파도나 너울을 막아주는 시설이 필요하다. 선박이 파도나 너울에 의해 흔들리게 되는 경우, 선박이 부두 등에 접안하는 과정에서 선박이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사람이 선박에서 승하선하는 과정에서 파도나 너울로 인해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먼 바다에 존재하는 천연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해상에 많은 구조물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이 설치되는 먼 바다의 경우, 해상 날씨가 시시각각 변화하며, 파도나 너울도 해안가에서의 파도와 너울에 비해 크게 작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해안가가 아닌 먼 바다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경우, 너울이나 파도를 방지하는 시설이 더욱 필요하다.
또한, 먼 바다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경우, 구조물의 수리 및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이로 인해, 선박을 통해 이동하는 작업자가 선박에서 구조물로 승하선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먼 바다에 정박하는 선박의 파손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해상구조물로부터 승하선하기 위해서는 선박이 외부의 파도나 너울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해상 구조물과 연결되고, 선박으로부터 해상 구조물로 안내하는 브릿지, 브릿지에 연결되며 선박을 구정시키는 접안부 및 브릿지 및 접안부가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해상 구조물 접안시설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80649호).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접안부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선박에 부딪히는 파도나 너울을 방지하는 시설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종래의 기술은, 해수면 아래에서 작용하는 조류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 없어, 선박을 장시간 안정적으로 정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개시된 접안부는 별도로 파도나 너울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파도나 너울에 의해 움직이는 선박에서 접안부로 이동하는 작업자가 쉽게 이동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선박이 파도나 너울에 의해 움직이게 되면 선박과 접안부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공간에 작업자의 발목 등이 협착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먼 해상에서의 파도나 너울로부터 선박을 보호하고, 파도나 너울에 의한 선박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선박에서 승선 및 하선할 수 있는 접안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80649호(2014.03.27. 등록)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선박을 해상구조물에 안정적으로 접근시킬 수 있는 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선박에 부딪히는 파도와 너울을 방지하여 선박이 해상 구조물에 안정적으로 정박할 수 있는 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전력의 사용 없이 선박의 이동에 대응하여 구조가 변경되도록 움직임이 구현될 수 있는 장치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접안장치는 원형의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져 해상구조물에 결합되고, 일 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파도방지부; 상기 파도방지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도방지부의 내측에서 상기 파도방지부와 상대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개폐부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부에 선박이 접촉하면서 상기 회전지지부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파도방지부를 따라 슬라이드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또한, 상기 파도방지부에는, 내측에 상기 개폐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롯 형태의 회전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회전안내부의 슬롯에 위치된 상태로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안내부는, 개폐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 슬롯과 하부 가이드 슬롯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각 가이드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에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 복수 개의 휠이 형성되고, 상기 각 휠은,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 슬롯을 따라 구름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 슬롯과 하부 가이드 슬롯에는 상기 각 휠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각 휠을 내측에 가이드 레일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휠은,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 슬롯에 내측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개폐부가 상기 회전안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상구조물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 형태의 승하강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도방지부에는, 일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승하강안내부에 결합되는 해상구조물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해상구조물 결합부는 상기 승하강안내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도방지부의 외측에는, 해수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부력을 형성하는 부력체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부의 일 측에는, 상기 선박의 충돌에 의한 충격이 완화되도록 충격완화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장치.
또한, 상기 충격완화부의 일 측에는 선박의 고정을 위한 고리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각 고리부는 상기 충격완화부에서 일정한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파도방지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부는, 해수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개폐부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도방지부의 해수면에 잠기는 깊이는 선박의 흘수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효과는, 파도방지부와 개폐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박의 진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개폐부가 회전하면서 선박이 해상 구조물에 안정적으로 접안할 수 있는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효과는, 파도방지부를 해수에 잠기도록 하여 해수면 아래에서 작용하는 조류에 의해 선박이 요동치를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효과는, 별도의 기계적ㅇ전기적 장치에 의하지 않고, 선박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개폐부가 구동됨으로써, 장치의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해상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결합되는 접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접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접안장치의 일 구성인 파도방지부의 개방된 부분으로 선박이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b는 선박에 의해 발생된 힘이 회전지지부에 작용하여, 개폐부가 파도방지부를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c는, 선박이 해상에 설치된 해상구조물에 정박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a는 선박(20)이 접안장치(100)를 진출하기 위해 개폐부(120)를 회전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b는 선박(20)에 의해 발생된 힘이 회전지지부(130)에 작용하여, 개폐부(120)가 파도방지부(110)를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c는, 접안장치(100)의 일 구성인 파도방지부(110)의 개방된 부분으로 선박(20)이 진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파도방지부의 내측에서 회전하는 개폐부의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와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복수 개의 휠(wheel)이 형성된 개폐부가 회전안내부가 형성된 파도방지부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a는,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승하는 접안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b는,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하강하는 접안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구조물에 형성되는 승하강안내부와 그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선박의 일부와 파도방지부의 일부가 해수면에 잠긴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파도방지부의 외측에 부력체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와 그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은, 회전지지부에 충격완화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와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회전지지부가 해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충격완화부 상단에 선박과 충격완화부를 고정할 수 있는 고리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14는, 복수개의 회전지지부가 개폐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선박의 접안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ㅇ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ㅇ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지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 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해상에 설치되는 해상구조물(10)에 결합되는 접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파도와 너울로부터 선박(20)을 보호할 수 있는 접안장치(100)는 파도방지부(110), 개폐부(120) 및 회전지지부(130)를 포함한다.
파도방지부(110)는 일 측이 개방된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 측에는 해상에 설치되는 해상구조물(10)에 결합되는 해상구조물 결합부(110')가 형성된다.
파도방지부(110)는 제1 파도방지부(110a)와 제2 파도방지부(110b)의 각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도방지부(110a)에서 연장되는 부분에 해상구조물 제1 결합부(11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도방지부(110b)에서 연장되는 부분에 해상구조물 제2 결합부(110b')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20)는 파도방지부(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파도방지부(110)의 내측에서 파도방지부(110)와 상대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개폐부(120)는 일 측이 개방된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개폐부(120)에는 선박(20)에 의해 발생하는 힘이 작용할 수 있는 회전지지부(130)가 형성된다.
회전지지부(130)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개폐부(120)가 파도방지부(110)를 따라 이동하면서 파도방지부(110)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한다.
여기서 외력은, 선박(20)에 의해 작용하는 힘을 말한다.
파도방지부(110)의 일 측은 선박(20)이 진입할 수 있도록, 적어도 선박(20)의 크기보다 크게 개방되어야 한다. 해상구조물(10)의 크기나 주로 이용되는 선박(20)의 크기에 따라 접안장치(100)의 크기는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된 부분의 크기도 선박(20)의 크기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파도방지부(110)의 타측이 해상에 설치되는 해상구조물(10)에 결합된다. 여기서 파도방지부(110)의 타측은, 제1 개방부(S1)의 맞은편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파도방지부(110)의 타측에는 파도방지부(110)가 물에 뜰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부력체(112a, 112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력체(112a)는 제1 파도방지부(110a)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제2 부력체(112b)는 제2 파도방지부(110b)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해상구조물(10)에는 접안장치(10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승하강안내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파도방지부(110)의 타단이 해상구조물(10)에 결합되어 승하강할 수 있다.
도 2는, 접안장치(100)의 분해사시도이다.
해상에 설치되는 해상구조물(10)에는 선박이 접안할 수는 부분 외에 접안장치(10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승하강안내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지지부(130)가 형성된 개폐부(120)가 파도방지부(11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파도방지부(110)의 내측에 형성된 회전안내부(111)에 개폐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회전안내부(111)의 내측으로 개폐부(120)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제1 파도방지부(110a)와 제2 파도방지부(110b)로 이루어지는 파도방지부(110)가 각각 개폐부(120)의 외측면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파도방지부(110a)와 제2 파도방지부(110b)는 서로 분리된 부재로 각각 개폐부(120)의 외측면으로 결합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파도방지부(110)와 개폐부(120)가 결합이 이루어진 후 해상구조물 결합부(110')가 해상구조물(10)에 형성된 승하강안내부(11)에 결합될 수 있다.
파도방지부(110)가 물에 뜰 수 있게 하는 복수 개의 부력체(112a, 112b)나, 회전지지부(130)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완화부(131)는, 파도방지부(110)와 개폐부(120)의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 설치될 수 있다. 각 부재에 설치된 후 결합되는 것도 무방하다.
도 3a는 접안장치(100)의 일 구성인 파도방지부(110)의 개방된 부분으로 선박(20)이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b는 선박(20)에 의해 발생된 힘이 회전지지부(130)에 작용하여, 개폐부(120)가 파도방지부(110)를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c는, 선박(20)이 해상에 설치된 해상구조물(10)에 정박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개폐부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설치방향에 따라 개폐부(1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개폐부의 회전방향은 일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a를 참고하면, 선박(20)이 파도방지부(110)의 개방된 부분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개방된 부분이 선박(2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파도방지부(110)의 개방된 부분은 제1 개방부(S1)를 의미한다.
해상에서 운항 중인 선박(20)은 파도나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선박(20)이 진입하는 과정에서 제1 개방부(S1)의 좌우에 형성되는 파도방지부(110)와 접촉하여 선박(20)이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1 개방부(S1)는 선박(20)에서 일정한 거리만큼 확보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도방지부(110)가 형성된 부분의 내부에서는 선박(20)이 파도나 너울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선수(船首)가 접안장치(10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 보다 안정적으로 운항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선수(船首)란, 선박의 머리를 말한다.
접안장치(100)의 내부는 파도방지부(110)의 내부를 말할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선박(20)이 접안장치(100)의 내부로 진입한 후, 선박(20)의 진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회전지지부(130)에 인가될 수 있다. 회전지지부(130)에 힘이 인가되면, 회전지지부(130)와 결합된 개폐부(120)에 힘이 작용할 수 있다.
개폐부(120)에 힘이 작용하게 되면, 개폐부(120)는 회전지지부(1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회전지지부(130)의 내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개폐부(120)가 슬라이딩하면서 파도방지부(110)의 개방된 일 측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개방된 곳을 폐쇄함으로써, 파도나 너울이 선박(20)에 작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박(20)이 안정적으로 오랜 시간 정박할 수 있다.
도 3c를 참고하면, 선박(20)에 의해 개폐부(120)가 파도방지부(110)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제1 개방부(S1)를 폐쇄할 수 있다. 개폐부(120)가 파도방지부(110)의 제1 개방부(S1)를 폐쇄하게 되면, 개폐부(120)의 제2 개방부(S2)가 해상구조물(10)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개방부(S2)가 해상구조물(10)과 파도방지부(110)가 결합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개폐부(120)가 제1 개방부(S1)를 폐쇄하게 되면, 접안장치(100)는 해수면에서 발생하는 파도나 너울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도 4a는 선박(20)이 접안장치(100)를 진출하기 위해 개폐부(120)를 회전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b는 선박(20)에 의해 발생된 힘이 회전지지부(130)에 작용하여, 개폐부(120)가 파도방지부(110)를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c는, 접안장치(100)의 일 구성인 파도방지부(110)의 개방된 부분으로 선박(20)이 진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해상구조물(10)에서 작업을 마친 선박(20)이 접안장치(100)에서 빠져나가기 위해서는 회전지지부(130)에 설치된 충격완화부(131)를 향해 운항되어야 한다.
*충격완화부(131)에 외력이 인가되면 개폐부(120)는 선박(20)의 진입시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다. 즉, 도 4a를 기준으로 개폐부(120)가 회전하는 방향은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도 3b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개폐부(120)가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개방부(S2)가 제1 개방부(S1) 위치에 놓일 수 있게 개폐부(120)가 회전할 수 있다.
도 4c를 참고하면, 선박(20)이 개폐부(120)를 향해 외력을 인가하게 되면, 개폐부(120)가 회전할 수 있다. 회전하는 개폐부(120)의 제2 개방부(S2)가 회전지지부(130)의 제1 개방부(S1)의 위치에 놓이게 되면, 선박(20)은 접안장치(100)에서 해상으로 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개방부(S1)의 위치는 해상구조물(10)의 위치의 맞은편일 수 있다. 또한, 제1 개방부(S1)의 위치와 해상구조물(10)의 위치는 일직선상에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5는, 파도방지부(110)의 내측에서 회전하는 개폐부(120)의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와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복수 개의 휠(wheel, 121)이 형성된 개폐부(120)가 회전안내부(111)가 형성된 파도방지부(110)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도 5와 도 6을 참고하여, 파도방지부(110)의 내측에서 개폐부(120)가 회전하는 모습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파도방지부(110)의 내측에는 회전안내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안내부(111)는 상부 가이드부(111a)와 하부 가이드부(1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가이드부(111a)의 내측면에는 슬롯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 가이드 슬롯(11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가이드부(111b)의 내측면에는 슬롯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가이드 슬롯(1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슬롯(1111)과 하부 가이드 슬롯(1112)은 개폐부(120)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개폐부(120)는 상부 가이드 슬롯(1111)과 하부 가이드 슬롯(1112)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120)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면은 상부 가이드 슬롯(1111)과 하부 가이드 슬롯(1112)에 지지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개폐부(120)와 상부 및 하부 가이드 슬롯(1111, 1112)이 맞닿는 면의 면적이 최소화되어야, 면과의 마찰력이 최소가 될 수 있다. 상기 면의 면적이 최소화되면, 선박에서 발생하는 최소한의 힘으로 개폐부(120)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면적이 최소화되기 위해서는, 개폐부(120)의 직경은 회전안내부(1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고하면, 개폐부(12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복수 개의 휠(121)이 형성될 수 있다.
파도방지부(110)와 개폐부(120)는 철골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그 무게로 인해 맞닿는 면의 마찰력이 상당히 크다.
파도방지부(110)와 개폐부(120)의 일부분이 해수면에 잠겨 부력으로 인해 마찰력이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부(120)에 복수 개의 휠(121)이 형성되면 개폐부(120)가 파도방지부(110)에 형성된 회전안내부(111)를 따라 원활히 회전할 수 있다.
즉, 상부 가이드 슬롯(1111)과 하부 가이드 슬롯(1112)에 휠(12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레일(1111a, 1112a)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휠(121)이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레일(1111a, 1112a)에서 회전하면서 움직임을 구현함으로써, 개폐부(120)가 더욱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상부 및 하부 가이드 슬롯(1111, 1112)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도 7a는,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승하는 접안장치(10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b는,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하강하는 접안장치(10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해상구조물(10)에 형성되는 승하강안내부(11)와 그 부분 확대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고하여, 접안장치(100)가 승하강안내부(11)를 따라 승하강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즉, 접안장치(100)가 조수 간만의 차이 따라 변화하는 해수면의 높이에 맞춰 승하강하는 매커니즘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해상에 설치되는 해상구조물(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승하강안내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승하강안내부(11)는 해상구조물(10)의 양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측에는 해상구조물 제1 결합부(110a')가 설치되고, 타 측에는 해상구조물 제2 결합부(110b')가 설치될 수 있다.
승하강안내부(11)는 슬롯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승하강 가이드 슬롯(11a) 및 제2 승하강 가이드 슬롯(11b)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승하강 가이드 슬롯(11a) 및 제2 승하강 가이드 슬롯(11b)의 내측으로 접안장치(10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상구조물 제1 결합부(110a')와 해상구조물 제2 결합부(110b')의 일 단이 승하강안내부(11)에 결합되어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승하강할 수 있다. 승하강안내부(11)와 결합되는 부분은 파도방지부(110)의 타측을 의미할 수 있다.
파도방지부(110)의 타측은 제1 개방부(S1)의 맞은편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접안장치(100)는 상하방향의 이동만 가능하며, 좌우방향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해상구조물(10)에 설치되는 승하강안내부(11)의 연장 길이는 해수면이 변화하는 높이보다는 길어야 한다.
즉, 승하강안내부(11)의 상측은 최고 해수면의 높이보다 적어도 같거나 높아야 한다. 또, 승하강안내부(11)의 하측은 최저 해수면의 높이보다 낮아야 한다.
상술한 내용으로 승하강안내부(11)가 형성됨으로써 접안창지가 승하강안내부(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승하강안내부(11)에 삽입 설치되는 파도방지부(110)의 타 측이 승하강안내부(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9는, 선박(20)의 일부와 파도방지부(110)의 일부가 해수면에 잠긴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선박(20)은 그 무게로 인해 해수면에 떠 있는 경우 일 부분이 잠기게 된다. 즉, 선박이 물 위에 떠 있을 때, 물이 잠겨 있는 부분의 깊이를 흘수(L2)라고 한다.
도 9를 참고하면, 파도방지부(110)가 해수면에 잠긴 깊이(L1)가 흘수(L2)보다 깊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해상에는 해수면의 표면에서 발생되는 너울이나 파도 외에도 해수면 아래에서 바닷물의 흐름이 나타날 수 있다.
즉, 바닷물은 밀물과 썰물 때문에 바닷물의 흐름이 만들어 진다. 여기서 밀물이란, 조수의 간만으로 해수면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여기서 썰물이란, 조수의 간만으로 해수면이 하강하는 현상을 말한다.
조수의 간만으로 해수면 아래에서도 바닷물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류로 인해 해상에 떠 있는 선박(20)은 계속해서 움직일 수 있다.
특히, 해상에 설치된 해상구조물(10)에 접안할 때, 조류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도방지부(110)가 해수면에 잠긴 깊이(L1)가 흘수(L2)보다 깊게 형성됨으로써 해수면 아래에서 선박에 작용하는 조류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선박(20)에 작용하는 조류의 영향을 막기 위해, 파도방지부(110)가 해수면에 잠긴 깊이는 적어도 흘수(L2)보다 같거나 길어야 한다.
해수면에서 발생하는 파도나 너울뿐만 아니라 선박(20)에 작용하는 조류도 방지함으로써, 선박(20)이 해상에 설치되는 해상구조물(10)에 보다 안정적으로 접안할 수 있다.
도 10은, 파도방지부(110)의 외측에 부력체(112)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와 그 부분확대도이다.
파도방지부(110)가 해수면에 떠 있기 위해서는 외측에 부력을 형성하는 부력체(112)가 설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도방지부(110)는 해수면 아래의 조류를 방지하기 위해 반잠수의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부력체(112)의 부피는 파도방지부(110), 개폐부(120) 및 부력체(112)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력체(112)의 최소 부피는 파도방지부(110)의 무게, 개폐부(120)의 무게 및 부력체(112) 자체의 무게를 더한 것을 바닷물의 밀도로 나눈 것보다 커야 한다.
위와 같은 식으로 부력체(112)의 부피가 정해지면, 접안장치(100)는 바닷물에 일부가 잠기게 되는 반잠수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부력체(112)는 부력을 형성할 수 있는 부재일 수 있고, 어느 특정 부재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부력체(112) 또한 바닷물에 장시간 노출될 수 있어, 염분에 내성이 높은 부재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회전지지부(130)에 충격완화부(131)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와 부분 확대도이다.
회전지지부(130)와 선박(20)이 맞닿는 부분에 충격 완화를 위한 충격완화부(131)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지지부(130)는 선박(20)의 운행방향으로 발생하는 힘이 작용되는 지점이다.
회전지지부(130)는 철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철골과 같은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 선박(20)과 회전지지부(130) 간의 충돌로 인해 선박(20)이나 접안장치(100)의 파손을 가져올 수 있다.
선박(20)과 회전지지부(130)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완화부(131)가 형섬됨으로써, 선박(20)이나 접안장치(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충격완화부(131)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정 부재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부재는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또한, 염분이 높은 바다에 오래 노출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은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회전지지부(130)가 해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회전지지부(130)는 선박(20)으로부터 발생되는 힘을 받아 개폐부(12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전지지부(130)가 해수면에 잠기게 되면, 선박(20)이 회전지지부(130)를 미는 경우에 바닷물에 의한 마찰이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이 작용하게 되면, 개폐부(120)가 원활하게 파도방지부(110)를 따라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선박(20)이 개폐부(120)를 회전시키기 위해 더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지지부(130)가 해수면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형성되면 해수면에 의한 마찰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회전지지부(130)의 형성 높이는 적어서 해수면의 높이와 같거나 높아야 한다.
도 13은, 충격완화부(131) 상단에 선박(20)과 충격완화부(131)를 고정할 수 있는 고리부(132)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충격완화부(131)에는 선박(20)과 충격완화부(131)를 고정할 수 있는 고리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접안장치(100) 내부에도 파도와 너울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20)이 회전지지부(130)에 설치된 충격완화부(131)에 힘을 작용하는 경우, 파도나 너울에 의해서 선박(20)이 흔들릴 수 있다.
선박(20)에 흔들리게 되면 충격완화부(131) 외에 개폐부(120)나 파도방지부(110)와 선박(20)이 충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선박(20)이나 접안장치(100)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고리부(132)와 선박(20)을 밧줄과 같은 부재로 결박하여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선박(20)이 밧줄에 의해 고리부(132)에 고정되면, 파도나 너울에 의한 선박(20)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충격완화부(131)에는 복수 개의 고리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접안장치(100)는 그 크기에 따라 여러 대의 선박(20)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완화부(131)에 설치된 복수 개의 고리부(132)재를 통해 복수 개의 선박(20)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리부(132)는 충격완화부(131)에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리부(132)에 고정되는 선박(20) 간의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복수 개의 고리부(132)는 서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부(132)가 이격되어 충격완화부(131)에 설치됨으로써, 고리부(132)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선박(20)이 서로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복수개의 회전지지부(130)가 개폐부(120)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 회전지지부(13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는 4개의 회전지지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회전지지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회전지지부(130)와 달리, 회전지지부(130)가 개폐부(120)가 형성되는 반경에 못 미쳐 형성될 수 있다. 회전지지부(130)가 직경방향으로 형성되는 것과 달리, 도 14에 도시된 형상으로 형성되면, 접안장치(100) 내부에서 선박(20)의 움직임이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회전지지부(1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복수 개의 선박(20)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선박(20)이 서로 다른 공간으로 배치되면, 선박(20)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선박(20)을 동시에 수용하면서, 선박(20)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회전지지부(130) 사이에서 선박(20)의 이동이 가능한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박(20)의 이동공간이 확보됨으로써, 접안장치(100) 내부에서도 선박(20)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접안장치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해상구조물
11: 승하강안내부
11a: 제1 승하강 가이드 슬롯
11b: 제2 승하강 가이드 슬롯
20: 선박
100: 접안장치
110: 파도방지부
110a: 제1 파도방지부
110b: 제2 파도방지부
110': 해상구조물 결합부
110a': 해상구조물 제1 결합부
110b': 해상구조물 제2 결합부
111: 회전안내부
111a: 상부 가이드부
111b: 하부 가이드부
1111: 상부 가이드 슬롯
1111a: 상부 가이드 레일
1112: 하부 가이드 슬롯
1112a: 하부 가이드 레일
112a: 제1 부력체
112b: 제2 부력체
120: 개폐부
121: 휠
130: 회전지지부
131: 충격완화부
132: 고리부
S1: 제1 개방부
S2: 제2 개방부
L1: 파도방지부가 해수면에 잠긴 깊이
L2: 흘수

Claims (14)

  1. 원형의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져 해상구조물에 결합되고, 일 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파도방지부;
    상기 파도방지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도방지부의 내측에서 상기 파도방지부와 상대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개폐부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부에 선박이 접촉하면서 상기 회전지지부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는 상기 파도방지부를 따라 슬라이드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도방지부에는, 내측에 상기 개폐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롯 형태의 회전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회전안내부의 슬롯에 위치된 상태로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부는, 개폐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 슬롯과 하부 가이드 슬롯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각 가이드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에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 복수 개의 휠이 형성되고,
    상기 각 휠은,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 슬롯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슬롯과 하부 가이드 슬롯에는
    상기 각 휠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각 휠을 내측에 가이드 레일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휠은,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 슬롯에 내측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개폐부가 상기 회전안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구조물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 형태의 승하강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도방지부에는, 일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승하강안내부에 결합되는 해상구조물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해상구조물 결합부는 상기 승하강안내부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도방지부의 외측에는, 해수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부력을 형성하는 부력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의 일 측에는, 상기 선박의 충돌에 의한 충격이 완화되도록 충격완화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부의 일 측에는 선박의 고정을 위한 고리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각 고리부는 상기 충격완화부에서 일정한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파도방지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는, 해수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개폐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도방지부의 해수면에 잠기는 깊이는 선박의 흘수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장치.
KR1020200096309A 2020-07-31 2020-07-31 선박 접안을 위한 장치 KR20220015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309A KR20220015800A (ko) 2020-07-31 2020-07-31 선박 접안을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309A KR20220015800A (ko) 2020-07-31 2020-07-31 선박 접안을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800A true KR20220015800A (ko) 2022-02-08

Family

ID=8025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309A KR20220015800A (ko) 2020-07-31 2020-07-31 선박 접안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58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649B1 (ko) 2012-06-21 2014-04-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타워 접안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타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649B1 (ko) 2012-06-21 2014-04-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타워 접안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타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84546A1 (ja) 浮体式風力発電装置
KR101380649B1 (ko) 해상 타워 접안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타워
AU2012341140B2 (en) Marine docking stations
KR20070109824A (ko) 문풀 유동 억제 장치
KR101205344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2359551B1 (ko) 부유 구조물
AU2016223269B2 (en) Method using a floatable offshore depot
RU2145289C1 (ru) Способ швартовки плавучего наливного судна и система для швартовки плавучего наливного судна
CN2697148Y (zh) 自动定位导向浮式桥墩防撞装置
KR101384115B1 (ko) 수상 계류 및 다목적 보호 장치
ES2793967T3 (es) Planta para el almacenamiento y la descarga de hidrocarburos y también un método de la misma
KR20150046054A (ko) 반잠수식 통합 항구
US8869727B1 (en) Buoyant structure
KR101785080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KR20220015800A (ko) 선박 접안을 위한 장치
KR100758478B1 (ko)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
KR101735329B1 (ko) 선박 접안 시스템 및 선박 접안 방법
KR101644571B1 (ko) 부유식 구조물의 구명보트 진수 장치
GB2231844A (en) Maritime emergency escape system
KR940002945B1 (ko) 원통형 링 부표를 지니는 반잠수선 및 그 안정화 방법
WO2015088745A1 (en) Buoyant structure
KR102448003B1 (ko) 소파 및 수평 기능을 가지는 부잔교
KR102181192B1 (ko)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
KR102086155B1 (ko) 해상 풍력발전장치
KR20190043975A (ko)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