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975A -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975A
KR20190043975A KR1020170136146A KR20170136146A KR20190043975A KR 20190043975 A KR20190043975 A KR 20190043975A KR 1020170136146 A KR1020170136146 A KR 1020170136146A KR 20170136146 A KR20170136146 A KR 20170136146A KR 20190043975 A KR20190043975 A KR 20190043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pace
hull
unit
floa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형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6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3975A/ko
Publication of KR20190043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1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act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 B66B7/042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act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with rollers, s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73Details of sea bottom engaging footing
    • E02B2017/0082Spudcans, skirts or extended f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 상기 선체를 해상에서 지지하며, 상기 선체에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레그 유닛; 상기 레그 유닛의 하부에 제공되며, 해저에 고정되는 스퍼드 캔; 및 상기 레그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레그 유닛을 따라 상기 선체에서 상기 스퍼드 캔까지 승강되는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퍼드 캔에는 사용자가 상기 엘리베이터를 통해 출입하고 상기 스퍼드 캔의 외부로 출입할 때 머무르거나 통과할 수 있는 특수 공간이 제공되는,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FLOATING STRUCTURE FOR SALVAGE}
본 발명은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에서 제작된 해상 풍력 발전기의 유닛을 해상으로 옮기고, 해상에서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선박을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WTIV,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이라고 한다.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은 작업 특성상, 항해 모드(Transit Mode)와 잭업 모드(Jack-up Mode)로 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은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항해 모드로 이동한다. 항해 모드에서 레그는 해수에 의한 저항을 줄이고자 선체의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은 잭업 모드로 전환하여 레그를 내려 해저 지반에 박은 후, 선체가 해수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선체를 레그를 따라 들어올린다.
선체가 일정 위치에 다다르게 되면,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은 선체의 이동을 중지하고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설치가 완료되면 위의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하여 다음 설치 위치까지 이동한다.
한편, 위와 같이 항해 모드와 잭업 모드로 운용되는 부유식 구조물의 다른 예로서, 시추 기능을 갖는 잭업 플랫폼(Jack-up Platform)이 있다. 잭업 플랫폼은 시추를 위한 데릭을 포함하며, 항해 모드로 시추 위치까지 이동한 후, 잭업 모드로 전환하여 레그를 내려 해저 지반에 박은 후, 선체를 레그를 따라 들어올린다. 잭업 플랫폼은 선체가 해수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시추 작업을 수행하며, 시추 작업이 완료되면 위의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하여 다음 시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항해 모드와 잭업 모드로 운용되는 부유식 구조물은 잭업 모드에서 레그를 해저 지반에 침투(penetration)시킨다. 레그의 하단부에는 해저 지반으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고 파지력을 높이기 위한 스퍼드캔(Spud-can)이 제공되며, 레그는 해저 지반으로 일정 깊이 침투함으로써 스퍼드캔이 해저 지반에 고정된다.
한편, 해상에서 대형 여객선의 침몰과 같은 해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지만 침몰 선박에 대한 수색이나 인명 구조 등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해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침몰 선박의 수색이나 인명 구조를 위해 특별히 개발된 장비가 없을 뿐만 아니라 기상과 조류 등과 같은 유동적인 해양 환경 조건으로 인하여 잠수사의 접근이 쉽지 않고 심해에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잠수사의 안전 또한 확보되지 못하는 등의 여러 원인이 해난 사고에 대한 대응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종래에는, 해난 사고가 발생하면 '다이빙 벨'이라는 장비를 이용하여 잠수사가 침몰 선박이 있는 해저까지 내려갈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다이빙 벨은 자항력이 없기 때문에 육상에서 바지선에 싣고 별도의 예인 작업을 해야 하는바, 기동력과 효율성이 저하된다.
또한, 해난 사고 지점에서 운용시에도 와이어에 다이빙 벨을 연결하여 크레인으로 승, 하강시키고 있는데, 이는 조류의 유속이 빠르거나 시계 확보가 안되는 등 주변 환경 여건이 나쁜 경우 운용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신뢰성이 낮고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3-74456호(2013. 07. 04.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난 사고 발생시에 자체 항해가 가능하여 사고 지점에 스스로 도달할 수 있으며, 수색이나 인명 구조 작업에 안전하게 투입할 수 있고, 각종 해저 탐사 및 해양 과학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는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상기 선체를 해상에서 지지하며, 상기 선체에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레그 유닛; 상기 레그 유닛의 하부에 제공되며, 해저에 고정되는 스퍼드 캔; 및 상기 레그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레그 유닛을 따라 상기 선체에서 상기 스퍼드 캔까지 승강되는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퍼드 캔에는 사용자가 상기 엘리베이터를 통해 출입하고 상기 스퍼드 캔의 외부로 출입할 때 머무르거나 통과할 수 있는 특수 공간이 제공되는,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수 공간은, 상기 특수 공간의 일측에 제공되며, 대기압을 유지하는 대기압 공간부; 상기 대기압 공간부와 연결되며, 감압과 대기압의 압력 환경이 조성되는 압력 가변 공간부; 상기 압력 가변 공간부와 연결되며, 해저 압력과 동일한 압력 환경이 조성되는 휴식 공간부; 상기 휴식 공간부와 연결되며, 상기 스퍼드 캔의 외부로 출입할 때 준비할 수 있는 준비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 및 상기 구동 유닛과 상기 엘리베이터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 유닛의 동력을 상기 엘리베이터에 전달하여 상기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는 승강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레그 유닛과 상기 엘리베이터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레그 유닛의 내측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엘리베이트의 승강 경로를 안내하는 레일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측면에서 상기 레일부에 대응되는 곳에 제공되며, 상기 레일부에 접촉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레일부와 접촉되는 곳에 제공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에는 엘리베이터의 외부로 출입하기 위한 제1 수밀해치가 제공되고, 상기 특별 공간에는 상기 제1 수밀해치와 대응되는 곳에 출입을 위한 제2 수밀해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해난 사고 발생시에 자체 항해가 가능하여 사고 지점에 스스로 도달할 수 있으며, 해저까지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잠수사가 수색이나 인명 구조 작업에 안전하게 투입될 수 있고, 각종 해저 탐사 및 해양 과학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나타낸 스퍼드 캔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을 나타낸 레그 유닛과 엘리베이터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C-C선을 나타낸 스퍼드 캔의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은 선체(100), 레그 유닛(200), 스퍼드 캔(300) 및 엘리베이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은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WTIV,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또는 잭업 플랫폼(Jack-up Platform)과 같이 항해 모드와 잭업 모드로 운용되는 선박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부유식 구조물이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항해 모드와 잭업 모드를 갖는 부유식 구조물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선체(100)는 부유 가능한 직사각형 형태의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반적인 상선(예: 컨테이너선)에 비해 폭이 넓고 높이가 낮으며 길이가 짧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선체(100)는 레그 유닛(200)이 설치될 수 있는 임의의 입체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선체(100)에는 부유식 구조물의 기능에 따른 피적재물이 적재될 수 있다. 선체(100)에는 해상 풍력 발전기의 부품인, 블레이드와 나셀, 타워 등이 피적재물로서 적재될 수 있으며, 피적재물을 선체(100)에 고정시키는 적재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선체(100)에는 이동 및 위치 제어를 위한 추진장치(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고, 선체(100)에는 블레이드와 나셀, 타워 등의 피적재물을 운반하여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는 크레인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레그 유닛(200)은 선체(100)를 해상에서 지지하며 선체(100)에 높이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레그 유닛(200)의 내부에는 엘리베이터(400)가 높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가 확보될 수 있다.
레그 유닛(200)은 해저 지반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저 지반의 지형에 맞추어 레그 유닛(200)의 높이 및 지지 구조를 가변시킬 수 있다. 레그 유닛(200)은 선체(10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작업 상태에서 선체(100)의 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보유하며, 원기둥, 사각 트러스 구조, 삼각 트러스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퍼드 캔(300)은 레그 유닛(200)의 하부에 제공되어 해저에 고정될 수 있다. 스퍼드 캔(300)은 부유식 구조물을 해저 지반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면은 해저 지반으로의 침투가 용이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400)는 레그 유닛(200)에 설치되어 레그 유닛(200)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이때 엘리베이터(400)는 적어도 선체(100)에서 스퍼드 캔(300)까지 승강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400)는 선체(100)와 스퍼드 캔(300) 사이의 구간을 레그 유닛(200)을 따라 이동하며 잠수사나 선원 등과 같은 사용자를 수송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400)가 레그 유닛(200)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유닛(410)과 승강 와이어(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유닛(410)은 엘리베이터(400)를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레그 유닛(20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400)에 충분한 승강력을 제공할 수 있는 모터 또는 엔진이 사용될 수 있다.
승강 와이어(420)는 구동 유닛(410)과 엘리베이터(400)를 서로 연결하며, 구동 유닛(410)의 동력을 엘리베이터(400)에 전달하여 엘리베이터(400)가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400)가 선체(100)와 스퍼드 캔(300) 사이의 구간을 이동하면서 사용자를 수송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 침몰과 같은 해양 사고시 잠수사와 같은 사용자는 선체(100)에서 엘리베이터(400)에 탑승하여 해저에 있는 스퍼드 캔(300)까지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고 스퍼드 캔(300)에 도착하면 스퍼드 캔(300)을 통해 외부로 나가 해저 수색 및 인명 구조 등의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조자를 스퍼드 캔(300)으로 데리고 와 엘리베이터(400)를 통해 선체(100)로 수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스퍼드 캔(300)에는 사용자가 엘리베이터(400)를 통해 출입하고 스퍼드 캔(300)의 외부로 출입할 때 머무르거나 통과할 수 있는 특수 공간(500)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수 공간(500)은 대기압 공간부(510)와 압력 가변 공간부(520)와 휴식 공간부(530) 및 준비 공간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특수 공간(500)은 사용자가 스퍼드 캔(300)을 통해 스퍼드 캔(300)의 외부인 해저로 나가거나 해저에서 스퍼드 캔(300)의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으로서, 스퍼드 캔(300)에는 특수 공간(500) 이외에도 스퍼드 캔(300)에 부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발라스트 탱크(31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대기압 공간부(510)는 특수 공간(500)의 일측에 제공되는 공간으로서, 엘리베이터(400)를 통해 해저에 있는 스퍼드 캔(300)의 내부로 들어온 사용자가 갑작스런 감압 상태를 느끼지 않도록 선체(100)나 엘리베이터(400)와 동일한 대기압 상태를 유지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압력 가변 공간부(520)는 대기압 공간부(510)와 출입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대기압 공간부(510)에 있는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다. 압력 가변 공간부(520)에서는 스퍼드 캔(300)의 외부로 나갈 사용자가 감압 상태에 적응할 수 있도록 감압과 대기압 상태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압력 환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압력 가변 공간부(520)는 대기압보다 낮은 감압 상태의 압력 환경을 유지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적응시킬 수 있는데, 해저의 압력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압력 환경을 통해 사용자가 해저에 나갔을 때 갑작스런 압력 하강에 의해 신체가 충격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휴식 공간부(530)는 압력 가변 공간부(520)와 연결되어 압력 가변 공간부(520)로의 출입이 가능하다. 휴식 공간부(530)는 해저의 압력과 동일한 압력이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감압에 따른 피로를 느낄 때 휴식 공간부(530)에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거나 심해 작업 후 잠깐 동안 휴식 공간부(530)에서 쉴 수 있도록 제공된다.
준비 공간부(540)는 휴식 공간부(530)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스퍼드 캔(300)의 외부로 출입시 준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휴식 공간부(530)에서 휴식을 마친 잠수사는 준비 공간부(540)로 이동하여 준비 공간부(540)의 물을 채운 후 외부 도어(541)를 이용하여 스퍼드 캔(300) 외부로 나갈 수도 있고, 스퍼드 캔(300)의 외부에서 준비 공간부(540)로 입장한 잠수사가 준비 공간부(540)에 있는 물을 출수한 후 휴식 공간부(530)로 이동할 수도 있다.
준비 공간부(540)에서 스퍼드 캔(300)의 외부로 나갈 때 외부 도어(541)를 개방하면 해저의 물이 갑자기 큰 압력으로 유입되어 사용자에게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외부로 나가기 전에 준비 공간부(540)에 물을 채우는 준비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준비 공간부(540)로 사용자가 들어올 때 해저의 물이 함께 준비 공간부(540)로 유입될 수 있는바, 사용자는 입장하고 난 후 외부 도어(541)를 닫은 후 준비 공간부(540)에 채워진 물을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레그 유닛(200)과 엘리베이터(400) 사이에 제공되어 엘리베이터(400)의 원활한 승강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유닛(6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610)와 가이드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610)는 레그 유닛(200)의 내측면에서 엘리베이터(400) 쪽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400)의 승강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레일부(6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 유닛(200)의 내측면에 설치된 마운팅 브라켓(61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620)는 엘리베이터(400)의 외측면에서 레일부(610)에 대응하는 곳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가이드부(620)는 레일부(610)에 접촉되면서 레일부(610)에 의해 안내되어 엘리베이터(400)를 레일부(610)의 경로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유닛(600)은 가이드부(620)에서 레일부(610)와 접촉되는 곳에 제공되는 롤러부(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630)는 레일부(610)와 직접 접촉하는 가이드부(6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마찰력을 줄여줌으로써 엘리베이터(4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이동시의 소음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400)에는 엘리베이터(400)의 외부로 출입하기 위한 제1 수밀해치(710)가 제공되고, 특별 공간에는 제1 수밀해치(710)와 대응되는 곳에 출입을 위한 제2 수밀해치(720)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수밀해치(710)는 엘리베이터(400)가 스퍼드 캔(300)이 있는 해저에 도달했을 때 해저의 수압에 의해 외부의 물이 엘리베이터(4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제2 수밀해치(720)는 외부의 물이 특별 공간(500)(구체적으로, 대기압 공간부(51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밀해치(710) 및 제2 수밀해치(720)는 잠수함과 같은 수중 선박 등에 일반적으로 널리 적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엘리베이터(400)가 스퍼드 캔(300)에 도달하면 제1 수밀해치(710)와 제2 수밀해치(720)를 통해 엘리베이터(400)와 특별 공간을 왕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수밀해치(710)와 제2 수밀해치(720)는 서로 대응되는 곳에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0 : 선체 200 : 레그 유닛
300 : 스퍼드 캔 310 : 발라스트 탱크
400 : 엘리베이터 410 : 구동 유닛
420 : 승강 와이어 500 : 특수 공간
510 : 대기압 공간부 520 : 압력 가변 공간부
530 : 휴식 공간부 540 : 준비 공간부
600 : 가이드 유닛 610 : 레일부
620 : 가이드부 630 : 롤러부
710 : 제1 수밀해치 720 : 제2 수밀해치

Claims (7)

  1. 선체;
    상기 선체를 해상에서 지지하며, 상기 선체에 높이 방향으로 승강되는 레그 유닛;
    상기 레그 유닛의 하부에 제공되며, 해저에 고정되는 스퍼드 캔; 및
    상기 레그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레그 유닛을 따라 상기 선체에서 상기 스퍼드 캔까지 승하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퍼드 캔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엘리베이터를 통해 출입하고 상기 스퍼드 캔의 외부로 출입할 때 머무르거나 통과할 수 있는 특수 공간이 제공되는,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공간은,
    상기 특수 공간의 일측에 제공되며, 대기압을 유지하는 대기압 공간부;
    상기 대기압 공간부와 연결되며, 감압과 대기압의 압력 환경이 조성되는 압력 가변 공간부;
    상기 압력 가변 공간부와 연결되며, 해저 압력과 동일한 압력 환경이 조성되는 휴식 공간부; 및
    상기 휴식 공간부와 연결되며, 상기 스퍼드 캔의 외부로 출입할 때 준비할 수 있는 준비 공간부를 포함하는,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 및
    상기 구동 유닛과 상기 엘리베이터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 유닛의 동력을 상기 엘리베이터에 전달하여 상기 엘리베이터를 승강시키는 승강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유닛과 상기 엘리베이터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레그 유닛의 내측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엘리베이트의 승강 경로를 안내하는 레일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의 외측면에서 상기 레일부에 대응되는 곳에 제공되며, 상기 레일부에 접촉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레일부와 접촉되는 곳에 제공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에는 엘리베이터의 외부로 출입하기 위한 제1 수밀해치가 제공되고,
    상기 특수 공간에는 상기 제1 수밀해치와 대응되는 곳에 출입을 위한 제2 수밀해치가 제공되는,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
KR1020170136146A 2017-10-19 2017-10-19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 KR20190043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146A KR20190043975A (ko) 2017-10-19 2017-10-19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146A KR20190043975A (ko) 2017-10-19 2017-10-19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975A true KR20190043975A (ko) 2019-04-29

Family

ID=6628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146A KR20190043975A (ko) 2017-10-19 2017-10-19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39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4667A (zh) * 2019-10-31 2021-05-04 中石化石油工程技术服务有限公司 海洋平台应急救生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4456A (ko) 2011-12-26 2013-07-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천후 해난 구조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4456A (ko) 2011-12-26 2013-07-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천후 해난 구조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4667A (zh) * 2019-10-31 2021-05-04 中石化石油工程技术服务有限公司 海洋平台应急救生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965B1 (ko) 단일 선체 선박 및 장비를 잠수시키거나 잠수된 장비를 회수하는 방법
KR20060119878A (ko) 잠수정 비상 대피 시스템
CN104203746B (zh) 具有用于干式停靠船只的可动潜式平台的半潜式平台
US7225750B2 (en) Rescue ship for disabled vessels, vessels rescue method, and use of a rescue ship
KR101763691B1 (ko)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KR101578456B1 (ko) 해상교량이 장착된 잭업바지선
EP3810500B1 (en) Method and vessel for deploying heavy objects
KR20190043975A (ko)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
KR101186257B1 (ko) 부력용 부유체를 구비하는 크레인선 및 그의 안정화 방법
EP2961649B1 (en) An integrated heavy lift and logistics vessel
EP3243734B1 (en)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EP1492699B1 (en) Submersible watercraft
JP4628818B2 (ja) 浮沈式オイルフェンスの端部係留装置
EP2844541B1 (en) Ship with vertical draught system
KR102191046B1 (ko) 레저용 선박
EP2014836A1 (en) Offshore foundation
KR101801924B1 (ko) 바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설치선
GB1571112A (en) Ssacv straddle cargo transporter
RU2459739C1 (ru) Плавучее средство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ых операций
TWI639535B (zh) 包含具有可潛的船尾平台的可動船尾艙門之船
KR101579881B1 (ko) 앵글형 접근교량이 장착된 바지선
RU2274581C2 (ru) Док для захоронения затонувших объектов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9469384B2 (en) Variable stable drilling barge for shallow water service (inland and offshore)
KR20120003137A (ko) 집 크레인을 이용한 드릴쉽의 스러스터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