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466A - Screening Metho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Pediatric Patients Using Masimorelin - Google Patents

Screening Metho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Pediatric Patients Using Masimorel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466A
KR20220015466A KR1020217043189A KR20217043189A KR20220015466A KR 20220015466 A KR20220015466 A KR 20220015466A KR 1020217043189 A KR1020217043189 A KR 1020217043189A KR 20217043189 A KR20217043189 A KR 20217043189A KR 20220015466 A KR20220015466 A KR 20220015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imorelin
minutes
growth hormone
subject
admin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3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5025B1 (en
Inventor
니콜라 엠머
미하엘 타이펠
베아테 아우에
Original Assignee
아에테르나 젠타리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에테르나 젠타리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에테르나 젠타리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15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4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0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91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the pathological state of an organis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ormones or other non-cytokine intercellular protein regulatory factors such as growth factors, including receptors to hormones and growth fa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575Hormones
    • G01N2333/61Growth hormones [GH] (Somatotropin)

Abstract

본 발명은 마시모렐린을 사용하여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진단하는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 진단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을 추가로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에 대상으로부터 얻은 1개 이상의 혈액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 각 혈액 샘플의 성장 호르몬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성장 호르몬 수준을 단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1개 이상의 혈액 샘플의 성장 호르몬 수준을 상기 단일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이 성장 호르몬 결핍증에 걸렸는지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독자적인 검사이고, 반복될 필요가 없으며, 소아 환자를 신뢰할 수 있게 진단하기 위한 대안적 성장 호르몬 자극 검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ing metho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a pediatric patient using masimoreli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masimorelin substance for use in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a pediatric patient.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providing one or more blood samples obtained from a subject within a range of about 1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ering an amount of masimorelin effective to induce growth hormone secretion, the growth hormone levels in each blood sample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has growth hormone deficiency diagnosing whether or not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nd-alone test, does not need to be repeated, and does not require an alternative growth hormone stimulation test to reliably diagnose a pediatric patient.

Description

마시모렐린을 사용하여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진단하는 스크리닝 방법Screening Metho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Pediatric Patients Using Masimorelin

성장 호르몬(GH)은 단백질, 지질, 및 탄수화물 항상성을 조절하는 주요 체내 대사 호르몬이고, 몸 및 정신의 성장, 발달 및 유지에 필요하다. GH는 시상하부에서의 성장 호르몬 분비 호르몬(GHRH)에 의한 자극에 의해, 뇌하수체 전엽에서 생성된다. GH는 24시간 주기 동안, 약 6 내지 10회 무작위 폭발의 박동 방식으로, 뇌하수체에서 분비된다.Growth hormone (GH) is a major body metabolic hormone that regulates protein, lipid, and carbohydrate homeostasis, and is necessary for the growth,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body and mind. GH is produced in the anterior pituitary by stimulation by growth hormone-releasing hormone (GHRH) in the hypothalamus. GH is secreted by the pituitary gland in a pulsating manner of about 6 to 10 random bursts over a 24-hour cycle.

성장 호르몬 결핍증(GHD)은 GH 결핍의 원인을 기준으로 크게 4가지 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1) 뇌하수체 또는 "전통적" GHD, 2) 시상하부성 GHD, 3) 기능성 GHD, 및 4) 특발성 GHD. GHD는 소아 또는 성인에 임상적으로 명백해질 수 있다. 미국에서, 아동의 GHD 발생이 4,000분의 1 내지 10,000분의 1인 것으로 추산된다. 미국 내 50,000명 이상의 성인이 GHD이고, 성인 GHD로 전환되는 GHD 아동을 포함해, 매년 6,000건이 새로 보고된다(Human Growth Foundation www.hgfound.org).Growth hormone deficiency (GHD) can be divided into four broad categories based on the cause of GH deficiency: 1) pituitary or "traditional" GHD, 2) hypothalamic GHD, 3) functional GHD, and 4) idiopathic GHD. . GHD may become clinically apparent in children or adults. In the United States, it is estimated that the incidence of GHD in children is between 1 in 4,000 and 1 in 10,000. More than 50,000 adults in the United States have GHD, and 6,000 new cases are reported each year, including children with GHD who convert to adult GHD (Human Growth Foundation www.hgfound.org).

GHD는 아동에 대해, 성장 부전 및 단신과 같은, 발육 파라미터의 감소가 특징인 질병이다. 아동의 GHD는 선천적 또는 후천적일 수 있고, 단독 증상이거나 다른 뇌하수체 호르몬 결함과의 복합 증상일 수 있다. 아동의 GHD에는 많은 명확한 원인들이 있지만, 그 원인이 종종 알려져 있지 않기도 하다(특발성 GHD). GHD의 다양한 유형의 정의 및 단신의 다른 원인들은, 소아 내분비 진단의 국제 분류(ICPED)에 나와 있다. 치료받지 않으면, 소아 발병 GHD는 영구적인 단신으로 이어진다. 아동에 대해, GHD 진단은 상세 병력, 임상적 특징, 성장(발육) 분석, GH-IGF axis(GH=성장 호르몬; IGF=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의 성분의 생화학 검사, 및 MRI를 사용한 골격 성숙도 및 뇌하수체 구조의 방사선의학 평가에 기반한다(GHRS, 2000).GHD is a disease in children characterized by decreased developmental parameters, such as stunted growth and short stature. GHD in children can be congenital or acquired, and can be a solitary symptom or a complex symptom with other pituitary hormonal defects. There are many distinct causes of GHD in children, but the causes are often unknown (idiopathic GHD). Definitions of the various types of GHD and other causes of short stature are given i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Endocrine Diagnostics in Children (ICPED). If left untreated, childhood-onset GHD leads to permanent short stature. For children, the diagnosis of GHD includes detailed medical history, clinical features, growth (development) analysis, biochemical examination of components of the GH-IGF axis (GH=growth hormone; IGF=insulin-like growth factor), and skeletal maturity using MRI and Based on radiological evaluation of pituitary structures (GHRS, 2000).

성인의 경우와 유사하게, 아동의 GHD 진단은, GH의 분비를 자극한다고 알려진 제제로 유도될 수 있는 GH 수준을 결정하는 성장 호르몬 자극 검사(GHST)에 기반하는, 생화학 검사에 의존한다. 인슐린 내성 검사(ITT) 또는 글루카곤 자극 검사(GST)와 같은, 현재 사용되는 GHST는, 명확히 이 목적을 위해 개발되었거나 승인되어 있던 것은 아니며, 다른 지표로부터 조정되었으므로, 성능 특성, 예를 들면 특이도의 민감도, 안전성, 또는 타당성에 대한 한계가 있다(Molitch et al., 2011; Cook et al., 2009). Similar to the case in adults, the diagnosis of GHD in children relies on biochemical tests, which are based on the growth hormone stimulation test (GHST), which determines GH levels that can be induced with agents known to stimulate the secretion of GH. Currently used GHSTs, such as insulin resistance testing (ITT) or glucagon stimulation testing (GST),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veloped or approved for this purpose, and have been adjusted from other indicators, and therefore may not have a performance characteristic, e.g. specificity, There are limitations on sensitivity, safety, or validity (Molitch et al., 2011; Cook et al., 2009).

ITT는 GHD의 평가를 위한 최적 기준으로 여겨져 왔다. 인슐린의 정맥 내 투여는 저혈당증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는 결국 GH 분비로 이어진다. 그러나, 떨림, 졸림, 및 빈맥과 같은 증상과 관계가 있는 저혈당증과 관련된 잠재적 위험 때문에, 환자에 대한 집중적 의료 모니터링이 필요하므로, 이 검사는 노동 집약적이다. 부작용이 위험하다고 종종 보고된다. 더욱이, ITT는 발작 장애 및 허혈성 심장 질환을 갖는 환자에 대해서는 금지된다(Yuen 2011; Yuen 2013). 그러므로, 그의 불편함 및 안전상 우려 때문에, ITT는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ITT has been considered as the optimal criterion for the evaluation of GHD.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insulin is used to induce hypoglycemia, which in turn leads to GH secretion. However, because of the potential risks associated with hypoglycemia associated with symptoms such as tremors, somnolence, and tachycardia, intensive medical monitoring of the patient is required, so this test is labor intensive. Dangerous side effects are often reported. Moreover, ITT is contraindicated for patients with seizure disorders and ischemic heart disease (Yuen 2011; Yuen 2013). Therefore, because of its inconvenience and safety concerns, ITT is not widely used.

GST는 사용이 증가해온 대안이다(Molitch 2011; Yuen 2011; Yuen 2013). GST의 일반적인 부작용은 메스꺼움, 구토, 및 두통을 포함한다. 검사 시간의 제한(3 내지 4시간) 및 근육 내 주사의 필요가 있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대안적 검사에 대한 현실적인 미충족 의료 수요가 남아있다.GST is an alternative that has grown in use (Molitch 2011; Yuen 2011; Yuen 2013). Common side effects of GST include nausea, vomiting, and headache. Limited examination time (3 to 4 hours) and the need for intramuscular injection. There remains a realistic unmet medical need for safe and reliable alternative testing.

성장 호르몬 분비 촉진(GHS) 활성을 갖는 경구 복용가능한 펩티도미메틱 그렐린 수용체 작용제인 마시모렐린에 기반한 GHD를 진단하는 검사가 Larsen에 의한 WO 2007/093820 A1에 개시되어 있다.A test for diagnosing GHD based on masimorelin, an orally ingestible peptidomimetic ghrelin receptor agonist with growth hormone secretion promoting (GHS) activity, is disclosed in WO 2007/093820 A1 by Larsen.

그렐린은 GH 분비를 강력하게 자극한다(Kojima 1999). 그렐린의 GH 분비 효과는, 뇌하수체 및 시상하부 레벨에 주로 있는 특정 수용체들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여겨진다(Nogueiras 2006). 인간 시상하부 및 뇌하수체로부터 유래한 GHS 수용체를 포함하는 막 표본에서, 마시모렐린은 인간 GHS 수용체에 대해, 자연 리간드인 그렐린과 비슷한 결합력을 보이는 것이 입증되었다(Broglio 2002). 마시모렐린은 위장관에서 쉽게 흡수되고, 그렐린과 같은 방법으로 그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Ghrelin potently stimulates GH secretion (Kojima 1999). The GH-secreting effect of ghrelin is believed to be mediated by specific receptors primarily at the pituitary and hypothalamic levels (Nogueiras 2006). In membrane specimens containing GHS receptors derived from the human hypothalamus and pituitary,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masimorelin exhibits similar binding affinity to the natural ligand ghrelin to the human GHS receptor (Broglio 2002). Masimorelin is readily absorbed from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is believed to act in the same way as ghrelin.

건강한 대상에 경구 투여 직후, GH 펄스를 분비하는 마시모렐린의 능력에 기반하여, 마시모렐린은 성인의 GH 결핍증에 대한 경구 진단제로 개발되어왔다.Based on the ability of masimorelin to secrete GH pulses immediately after oral administration to healthy subjects, masimorelin has been developed as an oral diagnostic agent for GH deficiency in adults.

화합물로서 마시모렐린 및 그의 GHD의 치료 용도는, Martinez 등에 의한 WO 01/96300 A1에 개시되어 있다.Masimorelin as a compound and its therapeutic use of GHD are disclosed in WO 01/96300 A1 by Martinez et al.

성인 GHD(AGHD)에 대한 마시모렐린 GHST는 Garcia 등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J Clin Endocrinol Metab. 2013-1157, J Clin Endocrinol Metab. 2018-00665, 및 2017년 내분비 학회 99번째 연례 미팅에서 공개된 제목 "Validation of Macimorelin As a Diagnostic Test for Adult Growth Hormone Deficiency (AGHD): A Phase 3 Study in Comparison with the Insulin Tolerance test (ITT)"의 포스터).Masimorelin GHST for adult GHD (AGHD) is disclosed by Garcia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2013-1157, J Clin Endocrinol Metab. 2018-00665, and titles published at the 99th Annual Meeting of the 2017 Endocrinology Society) Poster of "Validation of Macimorelin As a Diagnostic Test for Adult Growth Hormone Deficiency (AGHD): A Phase 3 Study in Comparison with the Insulin Tolerance test (ITT)").

WO 2019/121762 A1에는, 인간 또는 동물 대상의 성장 호르몬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마시모렐린 함유 조성물을 대상에 경구 투여하는 단계, 상기 대상으로부터 투여 후 25 내지 95분의 범위 내에 1, 2, 또는 3개의 투여후 샘플을 수집하는 단계, 및 1, 2, 또는 3개의 샘플의 성장 호르몬 수준을 단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 임계값은 2.8ng/mL이며, “단일 임계값”은 마시모렐린 자극에 대해 충분한 반응을 나타내는 임계 성장 호르몬 수준을 의미한다.WO 2019/121762 A1 discloses a method for measuring the level of growth hormone in a human or animal subject.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orally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composition containing masimorelin, collecting one, two, or three post-dose samples from the subject within the range of 25 to 95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and 1, 2, or comparing the growth hormone levels of the three samples to a single threshold, wherein the single threshold is 2.8 ng/mL, and the “single threshold” is a threshold growth hormone level indicating a sufficient response to masimorelin stimulation. means

소아 환자에 대한 GH 자극 검사의 역할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는데, 이는 유발 검사에서 낮은 GH 수준이 빈번히 발생하고, GHST의 유효성 및 재현성에 대한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The role of GH stimulation tests in pediatric patients is controversial because of the frequent occurrence of low GH levels in provocation tests and concerns about the efficacy and reproducibility of GHST.

따라서, 아동의 GHD를 진단하기 위한 지침은, 1회의 GHST만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일반적인 뇌 결함이 있지 않는 한, GHD의 진단을 결론짓기 위해, 2회의 GHST의 결과를 보통 필요로 한다(GHRS, 2000, GHRS 2019).Thus, guidelines for diagnosing GHD in children usually require the results of two GHSTs to conclude a diagnosis of GHD, unless there is a general brain defect that necessitates the use of only one GHST (GHRS, 2000, GHRS 2019).

2000년에 공개된 GH 연구 학회의 합의된 지침(GHRS, 2000), 또한 2003년에 공개된 미국 임상 내분비학자 학회의 지침(Gharib, 2003), 및 국가 지침(Binder, 2014)에서는 표준화된 GHST 프로토콜에 따라, 야간 절식 후에 한정된 수의 GHST 제제가 사용되어야 함을 권고한다. 이들은 아르기닌(ARG), 클로니딘, 글루카곤, 인슐린, 및 L-도파를 포함한다.The consensus guidelines of the Society for GH Research published in 2000 (GHRS, 2000), also the guidelines of the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Endocrinologists published in 2003 (Gharib, 2003), and national guidelines (Binder, 2014) provide standardized GHST protocol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a limited number of GHST preparations be used after an overnight fast. These include arginine (ARG), clonidine, glucagon, insulin, and L-dopa.

GH 연구 학회의 합의된 지침에는, 적절한 종지점이 적용된다면, GHST로서 GHRH 및 ARG의 조합이 소아 및 성인의 GHD 진단에 유용한 것으로 여겨진다고 서술되어 있다(GHRS, 2000). 이 조합은 아동 및 청소년에 대해(Maghnie, 2002), 후기 청소년 및 젊은 성인에 대해(Corneli, 2007), 높은 민감도 및 높은 특이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후자의 실험에서는, 종지점이 야윈 환자에 대해서만 확립되어 있다. GH 분비는 체중 및 비만과 함수 관계에 있는 것을 고려하면(Colao, 2009), 과체중 및 비만인 소아 환자에 적절한(나이, BMI, 및 허리 둘레를 고려한) 종지점은 분명히 밝혀져야 하는 것으로 남아있다.The consensus guidelines of the GH Research Society states that the combination of GHRH and ARG as GHST is considered useful for diagnosing GHD in children and adults, if appropriate endpoints are applied (GHRS, 2000). This combination has been shown to have high sensitivity and high specificit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Maghnie, 2002) and for late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Corneli, 2007). In the latter experiment, endpoints are established only for lean patients. Given that GH secretion is a function of body weight and obesity (Colao, 2009), the appropriate endpoint (taking into account age, BMI, and waist circumference) for overweight and obese pediatric patients remains to be elucidated.

GHD 임상 기준상의 아동에 대해, 10ng/mL 미만의 피크 GH 농도는 진단을 뒷받침하는 종지점으로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다른 연구들 상에서, 다른 GHST에 사용되는 민감도, 특이도, 및 GH 종지점이 최근 검토되어 왔다(van Vught, 2009).For children on the GHD clinical criteria, a peak GH concentration of less than 10 ng/mL has traditionally been used as an endpoint to support the diagnosis. In other studie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GH endpoints used for different GHSTs have recently been reviewed (van Vught, 2009).

이 배경에서, 다양한 GHST가 임상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고, 표준 진단 절차의 일부로서 2회의 GHST의 요건이, 동일한 GHST의 반복 또는 2회의 다른 GHST의 연속적 수행에 의해 가변적으로 충족되고 있다.Against this background, various GHSTs are being used in clinical practice, and the requirement of two GHSTs as part of standard diagnostic procedures is variably met by repetition of the same GHST or successive performance of two different GHSTs.

이 2회의 GHST는 같은 날 또는 이틀연속 수행되고, 그들은 검사당 4 내지 6개의 혈액 샘플을 필요로 한다. 특히 소아에 대해, 얻어진 혈액의 양은 안전상 우려로 여겨지고, 안전 용량 제한은 예를 들면, WHO에서 권고하는 대로 준수되어야 한다(Howie 2011). 이 안전 문제 외에도, 2회의 검사의 수행은 시간 및 자원이 많이 소모되고, 소아 내분비학자뿐만 아니라, 아동 및 그들의 부모에게 관련되는 부담이 크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These two GHSTs are performed on the same day or two consecutive days, and they require 4 to 6 blood samples per test. Especially for children, the amount of blood obtained is considered a safety concern, and safe dose limits should be observed, eg as recommended by WHO (Howie 2011). In addition to this safety issue, it should be noted that performing two tests is time- and resource-consuming, and the burden associated with the child and their parents, as well as the pediatric endocrinologist, is great.

그러므로, 2회의 검사 대신에, 안전성, 내약성, 용이한 적용, 민감도 및 특이도에 관한 강한 검사 특성, 및 신뢰할 수 있는 재현성이 검증된 단일 검사에 대한 확인된 요구가 있다. 마시모렐린의 투여량을 조사하는 소아과 연구상의 긍정적인 결과를 발표하는, 본 발명에 관한 간략한 보도가 2020년에 공개되었다.Therefore, instead of two tests, there is a confirmed need for a single test that has proven safety, tolerability, easy application, strong test properties with respect to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nd reliable reproducibility. A brief report on the present invention was published in 2020, announcing positive results in a pediatric study investigating the dosing of marshmorelin.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마시모렐린을 사용하여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진단하는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reening metho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a pediatric patient using masimorelin, comprising:

(a)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에 대상으로부터 얻은 1 내지 5개의 혈액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a) providing 1 to 5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within the range of about 1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an amount of masimorelin effective to induce growth hormone secretion;

(b) 단계 (a)에서 제공된 각 혈액 샘플의 성장 호르몬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b) measuring the growth hormone level in each blood sample provided in step (a);

(c) 단계 (b)에서 얻은 측정된 성장 호르몬 수준을 단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단일 임계값은 10.0ng/mL 이상인 단계;(c) comparing the measured growth hormone level obtained in step (b) with a single threshold, wherein the single threshol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0.0 ng/mL;

(d) 단계 (b)에서 얻은 혈액 샘플에서 가장 높은 성장 호르몬 수준이 상기 단일 임계값보다 낮은 대상을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b)에서 얻은 혈액 샘플에서 가장 높은 성장 호르몬 수준이 상기 단일 임계값보다 낮지 않은 대상을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d) determining as hav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the subject having the highest growth hormone level in the blood sample obtained in step (b) below said single threshold, wherein the highest growth hormone level in the blood sample obtained in step (b) is determining a subject not lower than the single threshold as not hav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 진단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에 관한 것이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imorelin substance for use in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a pediatric patient, comprising:

(a)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에 대상으로부터 얻은 1 내지 5개의 혈액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a) providing 1 to 5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within the range of about 1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an amount of masimorelin effective to induce growth hormone secretion;

(b) 단계 (a)에서 제공된 각 혈액 샘플의 성장 호르몬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b) measuring the growth hormone level in each blood sample provided in step (a);

(c) 단계 (b)에서 얻은 측정된 성장 호르몬 수준을 단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단일 임계값은 10.0ng/mL 이상인 단계;(c) comparing the measured growth hormone level obtained in step (b) with a single threshold, wherein the single threshol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0.0 ng/mL;

(d) 단계 (b)에서 얻은 혈액 샘플에서 가장 높은 성장 호르몬 수준이 상기 단일 임계값보다 낮은 대상을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b)에서 얻은 혈액 샘플에서 가장 높은 성장 호르몬 수준이 상기 단일 임계값보다 낮지 않은 대상을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d) determining as hav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the subject having the highest growth hormone level in the blood sample obtained in step (b) below said single threshold, wherein the highest growth hormone level in the blood sample obtained in step (b) is determining a subject not lower than the single threshold as not hav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마시모렐린을 사용하여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진단하는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ing metho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a pediatric patient using masimorelin, comprising:

(a)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에 대상으로부터 얻은 1개 이상의 혈액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a) providing one or more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within the range of about 1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ering an amount of masimorelin effective to induce growth hormone secretion;

(b) 각 혈액 샘플의 성장 호르몬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b) measuring the growth hormone level in each blood sample;

(c) 각각의 측정된 성장 호르몬 수준을 단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c) comparing each measured growth hormone level to a single threshold;

(d) 상기 1개 이상의 혈액 샘플의 단계 (b)에서 측정된 성장 호르몬 수준을 상기 단일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이 성장 호르몬 결핍증에 걸렸는지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로서, 상기 대상이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오직 단일 마시모렐린 투여에 의한 성장 호르몬 수준 유도에 기반하는 단계.(d) diagnosing whether the subject has growth hormone deficiency based on comparing the growth hormone levels measured in step (b) of the one or more blood samples to the single threshold value, wherein the subject Determining whether you have this growth hormone deficiency is a step based solely on induction of growth hormone levels by a single masimorelin administration.

정의Justice

본 발명의 방법의 설명을 위해 명시된 용어는,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 다르게 명시되지 않는 한, 항상 다음의 의미를 갖는다.Terms specified for the description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lways have the following meaning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or claims.

본원에서 사용되는, “대상” 또는 “소아 환자”는 약 2세 내지 18세 미만인 어느 성별(남성 또는 여성)의 인간 아동이다. 예를 들면, 대상은 약 3세 내지 18세 미만, 약 4세 내지 18세 미만, 약 5세 내지 18세 미만, 약 6세 내지 18세 미만, 약 7세 내지 18세 미만, 약 8세 내지 18세 미만, 약 9세 내지 18세 미만, 약 10세 내지 18세 미만, 약 11세 내지 18세 미만, 약 12세 내지 18세 미만, 약 2세 내지 17세 미만, 약 2세 내지 16세 미만, 약 2세 내지 15세 미만, 약 2세 내지 14세 미만, 약 2세 내지 13세 미만, 약 2세 내지 12세 미만, 약 2세 내지 10세 미만, 약 2세 내지 9세 미만, 또는 약 2세 내지 8세 미만이다.As used herein, a “subject” or “pediatric patient” is a human child of any gender (male or female) between about 2 years of age and less than 18 years of age. For example, the subject can be about 3 to less than 18 years old, about 4 to less than 18 years old, about 5 to less than 18 years old, about 6 to less than 18 years old, about 7 to less than 18 years old, about 8 to less than 18 years old. less than 18 years old, about 9 to less than 18 years old, about 10 to less than 18 years old, about 11 to less than 18 years old, about 12 to less than 18 years old, about 2 to less than 17 years old, about 2 to less than 16 years old less than, about 2 to less than 15, about 2 to less than 14, about 2 to less than 13, about 2 to less than 12, about 2 to less than 10, about 2 to less than 9, or about 2 to less than 8 years of age.

본원에서 사용되는, "마시모렐린"은, 성장 호르몬 분비 촉진(GHS) 활성을 갖는 그렐린 수용체 작용제로서 작용하는, 펩티도미메틱 화합물을 의미한다. 그의 화학 구조 및 GHD의 치료 용도는 미국 특허 제6,861,409호, WO 01/96300, 및 WO 2007/093820에 개시되어 있다.As used herein, "masimorelin" refers to a peptidomimetic compound that acts as a ghrelin receptor agonist with growth hormone secretion promoting (GHS) activity. Its chemical structure and therapeutic use of GHD are disclosed in US Pat. No. 6,861,409, WO 01/96300, and WO 2007/093820.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효량"은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양적으로 충분한 정해진 물질의 양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수여자에 대해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마시모렐린의 유효량은, 대상에게 투여시, 탐지가능한 성장 호르몬 분비 증가를 달성할 수 있는 화합물의 양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of a given substance that is quantitatively sufficient to achieve the desired effect. For example, an effective amount of masimorelin for inducing growth hormone secretion in a recipient is that amount of the compound that, when administered to a subject, is capable of achieving a detectable increase in growth hormone secretion.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검사”는 대상의 증상에 기반하여 특정 질환이 존재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사람을 명확히 밝히는 것과, 질환 존부의 식별로 이어지는 행위를 나타낸다. 환언하면, 질환의 “검사”는 질환의 확인 또는 배제를 포괄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testing” refers to the act of clarifying a person suspected of having a particular disease based on a subject's symptoms and leading to identific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isease. In other words, “testing” for a disease encompasses the identification or exclusion of the disease.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관련 질환의 어떤 증상의 발병 또는 재발의 제거, 감소, 완화, 회복, 또는 예방 또는 지연으로 이어지는 행위를 나타낸다.As used herein, the term “treatment” refers to an act that leads to the elimination, reduction, alleviation, recovery, or prevention or delay of the onset or recurrence of any symptoms of a related disease.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혈액 샘플"은 전체 혈액의 일부, 예를 들면 혈청 또는 혈장 샘플뿐만 아니라, 전체 혈액 샘플을 포괄한다. 2개 이상의 혈액 샘플이 동일한 방법의 검사에서 사용되는 경우, 이 혈액 샘플들은 항상 동일 유형이다. 예를 들면, 첫번째 샘플이 혈청이면, 두번째 및 모든 다음 샘플도 또한 혈청이다. 또한, 1개 초과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면, 용어 “혈액 샘플”은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다른 시점에 얻은 혈액 샘플을 의미한다. 2개의 혈액 샘플은 예를 들면,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30±10분 및 약 45±10분에 또는 약 30±10분 및 약 60±10분에 얻은 혈액 샘플을 의미할 수 있다. 3개의 혈액 샘플은 예를 들면,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30±10분, 약 45±10분, 및 약 60±10분에 또는 바람직하게는, 약 30±10분, 약 45±10분, 및 약 90±10분에, 또는 대안적으로, 약 30±10분, 약 60±10분, 및 약 90±10분에 얻은 혈액 샘플을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blood sample” encompasses a portion of whole blood, such as a serum or plasma sample, as well as a whole blood sample. When two or more blood samples are used in the same method of testing, these blood samples are always of the same type. For example, if the first sample is serum, the second and all subsequent samples are also serum. Also, if more than one blood sample is provided, the term “blood sample” means a blood sample obtained at different time points following administration of an effective amount of masimorelin to induce hormone secretion. The two blood samples may be sampled at, for example, about 30±10 minutes and about 45±10 minutes or about 30±10 minutes and about 60±1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an effective amount of masimorelin to induce hormone secretion. may mean a blood sample obtained. The three blood samples may be administered, for example, at about 30±10 minutes, about 45±10 minutes, and about 60±10 minutes or preferably, about may mean a blood sample obtained at 30±10 minutes, at about 45±10 minutes, and at about 90±10 minutes, or alternatively at about 30±10 minutes, at about 60±10 minutes, and at about 90±10 minutes. have.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은 기준값의 ±10%의 범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약 10"은 9 내지 11의 범위를 정의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about” means a range of ±10% of a reference value. For example, “about 10” defines a range from 9 to 11.

용어 “단일 임계값”은 마시모렐린 자극에 대해 충분한 반응을 나타내는 임계 성장 호르몬 수준에 관한 것이다: 성인 검사에 보통 사용되는 2.8ng/mL의 임계값 대신,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임계값은 약 10.0ng/mL 이상, 예를 들면, 약 10.0 내지 25.0ng/mL, 약 10.0 내지 20.0ng/mL, 약 10.1 내지 19.5ng/mL, 약 10.2 내지 19.0ng/mL, 약 10.3 내지 18.5ng/mL, 약 10.4 내지 18.0ng/mL, 약 10.5 내지 17.5ng/mL, 약 10.6 내지 17.0ng/mL, 약 11.0 내지 16.5ng/mL, 약 12.0 내지 16.0ng/mL, 약 13.0 내지 15.5ng/mL, 약 14.0 내지 15.0ng/mL, 약 15.0 내지 16.0ng/mL, 약 15.5 내지 18.0ng/mL, 약 16.0 내지 18.0ng/mL, 약 16.5 내지 18.0ng/mL, 약 17.0 내지 18.0ng/mL, 약 17.5 내지 18.5ng/mL, 약 18.0 내지 19.0ng/mL, 약 18.5 내지 19.5ng/mL, 약 19.0 내지 20.0ng/mL, 약 20.0 내지 21.0ng/mL, 또는 약 25.0 내지 30.0ng/mL의 더 높은 범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단일 임계값은 또한 단일값, 예를 들면, 10.5ng/mL, 11.0ng/mL, 11.5ng/mL, 12.0ng/mL, 12.5ng/mL, 13.0ng/mL, 13.5ng/mL, 14.0ng/mL, 14.5ng/mL, 15.0ng/mL, 15.5ng/mL, 16.0ng/mL, 16.5ng/mL, 17.0ng/mL, 17.5ng/mL, 18.0ng/mL, 18.5ng/mL, 19.0ng/mL, 20.0ng/mL, 또는 25.0ng/mL일 수 있다. 또한, 단일 임계값은 전혈 또는 혈청/혈장의 mL당 ng을 의미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단일 임계값은 혈청의 mL당 ng을 의미한다. 용어 “단일 임계값” 및 “종지점”은 교체 가능하게 사용된다.The term “single threshold” relates to a threshold level of growth hormone that exhibits a sufficient response to masimorelin stimulation: instead of the threshold of 2.8 ng/mL normally used for adult testing, the threshold used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bout 10.0 ng/mL or greater, such as about 10.0 to 25.0 ng/mL, about 10.0 to 20.0 ng/mL, about 10.1 to 19.5 ng/mL, about 10.2 to 19.0 ng/mL, about 10.3 to 18.5 ng/mL , about 10.4 to 18.0 ng/mL, about 10.5 to 17.5 ng/mL, about 10.6 to 17.0 ng/mL, about 11.0 to 16.5 ng/mL, about 12.0 to 16.0 ng/mL, about 13.0 to 15.5 ng/mL, about 14.0 to 15.0 ng/mL, about 15.0 to 16.0 ng/mL, about 15.5 to 18.0 ng/mL, about 16.0 to 18.0 ng/mL, about 16.5 to 18.0 ng/mL, about 17.0 to 18.0 ng/mL, about 17.5 to 18.5 ng/mL, about 18.0 to 19.0 ng/mL, about 18.5 to 19.5 ng/mL, about 19.0 to 20.0 ng/mL, about 20.0 to 21.0 ng/mL, or a higher range of about 25.0 to 30.0 ng/mL . A single threshold used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 single value, e.g., 10.5 ng/mL, 11.0 ng/mL, 11.5 ng/mL, 12.0 ng/mL, 12.5 ng/mL, 13.0 ng/mL, 13.5 ng/mL, 14.0ng/mL, 14.5ng/mL, 15.0ng/mL, 15.5ng/mL, 16.0ng/mL, 16.5ng/mL, 17.0ng/mL, 17.5ng/mL, 18.0ng/mL, 18.5 ng/mL, 19.0 ng/mL, 20.0 ng/mL, or 25.0 ng/mL. Also, single threshold means ng per mL of whole blood or serum/plasma. Most preferably, a single threshold means ng per mL of serum. The terms “single threshold” and “endpoint” are used interchangeably.

중량 퍼센트, 중량%, % w/w 등은, 물질의 중량을 조성물의 중량으로 나누고 100을 곱한, 물질의 농도를 의미하는 동의어이다.Weight percent, weight %, % w/w, etc. are synonyms meaning the concentration of a substance divided by the weight of the composition and multiplied by 100.

이 출원에서 인용된, 모든 특허, 특허 출원, 및 다른 간행물은,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가 참조로서 포함된다.All patents, patent applications, and other publications cited in this application are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for all purposes.

도 1은 코호트 1의 개인별 마시모렐린 농도 대 시간, 즉, 0.25mg/kg 체중, 선형 배율(약동학적 분석 세트(PKS), 환자수(N)=24)을 나타낸다.
도 2는 코호트 2의 개인별 마시모렐린 농도 대 시간, 즉, 0.5mg/kg 체중, 선형 배율(PKS, N=24)을 나타낸다.
도 3은 코호트 3의 개인별 마시모렐린 농도 대 시간, 즉, 1.0mg/kg 체중, 선형 배율(PKS, N=24)을 나타낸다.
도 4는 코호트 1의 마시모렐린 GHST 후 개인별 GH 농도 대 시간, 즉, 0.25mg/kg 체중, 선형 배율(약력학적 분석 세트(PDS), N=24)을 나타낸다.
도 5는 코호트 2의 마시모렐린 GHST 후 개인별 GH 농도 대 시간, 즉, 0.5mg/kg 체중, 선형 배율(PDS, N=24)을 나타낸다.
도 6은 코호트 3의 마시모렐린 GHST 후 개인별 GH 농도 대 시간, 즉, 1.0mg/kg 체중, 선형 배율(PDS, N=24)을 나타낸다.
도 7은 코호트 1의 마시모렐린 GHST의 수용자 반응 특성(ROC) 분석, 즉, 0.25mg/kg 체중(PDS, N=24)을 나타낸다.
도 8은 코호트 2의 마시모렐린 GHST의 수용자 반응 특성(ROC) 분석, 즉, 0.5mg/kg 체중(PDS, N=24)을 나타낸다.
도 9는 코호트 3의 마시모렐린 GHST의 수용자 반응 특성(ROC) 분석, 즉, 1.0mg/kg 체중(PDS, N=24)을 나타낸다.
1 shows individual masimorelin concentrations versus time, ie 0.25 mg/kg body weight, linear scale (Pharmacokinetic Analysis Set (PKS), Number of Patients (N)=24) in Cohort 1 for each individual.
2 shows individual masimorelin concentrations versus time, ie, 0.5 mg/kg body weight, linear scale (PKS, N=24) in Cohort 2;
3 shows individual masimorelin concentrations versus time, ie, 1.0 mg/kg body weight, linear scale (PKS, N=24) in Cohort 3;
4 shows individual GH concentrations versus time, ie, 0.25 mg/kg body weight, linear scale (Pharmacodynamic Analysis Set (PDS), N=24) after masimorelin GHST in Cohort 1.
5 shows individual GH concentrations versus time, ie, 0.5 mg/kg body weight, linear scale (PDS, N=24) after masimorelin GHST in Cohort 2.
6 shows individual GH concentrations versus time, ie, 1.0 mg/kg body weight, linear scale (PDS, N=24) after masimorelin GHST in Cohort 3.
7 shows a recipient response characteristic (ROC) analysis of masimorelin GHST in Cohort 1, ie, 0.25 mg/kg body weight (PDS, N=24).
8 shows a recipient response characteristic (ROC) analysis of masimorelin GHST in Cohort 2, ie, 0.5 mg/kg body weight (PDS, N=24).
9 shows a recipient response characteristic (ROC) analysis of masimorelin GHST in Cohort 3, ie, 1.0 mg/kg body weight (PDS, N=24).

이 발명의 목적은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수준을 측정하고, 소아 환자의 GHD를 감지하는 독자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검사 시간 및 채혈 혈액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검사 관리자 및 검사 대상의 부담을 줄이고, 또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우수한 진단 성능을 제공해야 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nique method for measuring the level of growth hormone in a pediatric patient and detecting GHD in a pediatric patient. The above object is to develop a new method that should reduce the test time and the number of blood samples,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test manager and the test subject, and providing safe, reliable, and excellent diagnostic performance.

본 발명의 목적은 일 측면에서 하기를 포함하는, 마시모렐린을 사용하여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진단하는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놀랍게도 해결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rprisingly solved in one aspect by providing a screening metho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a pediatric patient using masimorelin, comprising:

(a)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에 대상으로부터 얻은 1 내지 5개의 혈액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a) providing 1 to 5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within the range of about 1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an amount of masimorelin effective to induce growth hormone secretion;

(b) 단계 (a)에서 제공된 각 혈액 샘플의 성장 호르몬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b) measuring the growth hormone level in each blood sample provided in step (a);

(c) 단계 (b)에서 얻은 측정된 성장 호르몬 수준을 단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단일 임계값은 10.0ng/mL 이상인 단계;(c) comparing the measured growth hormone level obtained in step (b) with a single threshold, wherein the single threshol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0.0 ng/mL;

(d) 단계 (b)에서 얻은 혈액 샘플에서 가장 높은 성장 호르몬 수준이 상기 단일 임계값보다 낮은 대상을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b)에서 얻은 혈액 샘플에서 가장 높은 성장 호르몬 수준이 상기 단일 임계값보다 낮지 않은 대상을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d) determining as hav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the subject having the highest growth hormone level in the blood sample obtained in step (b) below said single threshold, wherein the highest growth hormone level in the blood sample obtained in step (b) is determining a subject not lower than the single threshold as not hav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그러므로, 상기 1 내지 5개의 혈액 샘플은,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분보다 이르지 않고,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00분보다 늦지 않게, 대상으로부터 얻어진다.Therefore, the 1 to 5 blood samples were obtained by administering an effective amount of masimorelin for inducing growth hormone secretion, not earlier than about 15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an effective amount of masimorelin for inducing growth hormone secretion. Then, no later than about 100 minutes, it is obtained from the subject.

예를 들면, 상기 혈액 샘플의 단일 성장 호르몬 수준이 상기 단일 임계값보다 낮지 않은 경우, 상기 대상이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다. 대신, 모든 혈액 샘플의 성장 호르몬 수준이 상기 단일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대상이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는 것으로 결정된다.For example, if the level of a single growth hormone in the blood sample is not lower than the single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does not have growth hormone deficiency. Instead, if the growth hormone levels of all blood samples are below the single threshold, the subject is determined to have growth hormone deficiency.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마시모렐린을 사용하여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진단하는 스크리닝 방법은, 마시모렐린을 사용하여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진단하는 체외 스크리닝 방법이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creening metho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a pediatric patient using masimorelin is an in vitro screening metho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a pediatric patient using masimorelin.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성장 호르몬의 단일 임계값은 약 10.0 내지 약 25.0ng/mL, 바람직하게는 약 10.2 내지 약 20.0n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0 내지 약 19.0n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4.0 내지 약 18.0ng/mL,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6.0 내지 약 18.0ng/mL,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7.0 내지 약 18.0ng/mL의 범위 내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ingle threshold of growth hormone is from about 10.0 to about 25.0 ng/mL, preferably from about 10.2 to about 20.0 ng/mL, more preferably from about 12.0 to about 19.0 ng/mL, more preferably is in the range of from about 14.0 to about 18.0 ng/mL, more preferably from about 16.0 to about 18.0 ng/mL, and most preferably from about 17.0 to about 18.0 ng/mL.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1 내지 4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1 내지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2 또는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개 초과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면, 이 혈액 샘플들은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다른 시점에 얻어진다.In a preferred embodiment, 1 to 4 blood samples are provided in step (a), preferably 1 to 3 blood samples are provided in step (a), more preferably 2 or 3 blood samples are provided in step (a) A blood sample is provided from a dog. As noted above, if more than one blood sample is provided, these blood samples are obtained at different time points after administration of an effective amount of masimorelin to induce hormone secretion.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상기 혈액 샘플은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20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95분의 범위 내,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90분의 범위 내에 대상으로부터 얻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혈액 샘플은 예를 들면,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20분보다 이르지 않지만 약 100분보다 늦지 않게, 바람직하게는 약 25분보다 이르지 않지만 약 100분보다 늦지 않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분보다 이르지 않지만 약 95분보다 늦지 않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분보다 이르지 않지만 약 90분보다 늦지 않게 얻어진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blood sample in step (a) is in the range of about 20 to about 100 minutes, preferably about 2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an effective amount of masimorelin for inducing growth hormone secretion. minute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25 to about 95 minutes, and most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30 to about 90 minutes. Thus, the blood sample is administered, for example, no later than about 20 minutes but no later than about 100 minutes, preferably no earlier than about 25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an effective amount of masimorelin to induce growth hormone secretion. no later than 100 minutes, more preferably no later than about 25 minutes but no later than about 95 minutes, and most preferably no earlier than about 30 minutes but no later than about 90 minutes.

또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1개 초과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면, 상기 혈액 샘플은 약 10 내지 약 60분 간격,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30분 간격으로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다. 대안적으로, 상기 혈액 샘플은 담당 내과의에 의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어느 시간 간격으로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혈액 샘플은 약 5분, 약 10분, 약 15분, 약 20분, 약 25분, 약 30분, 약 35분, 약 40분, 약 45분, 약 50분, 약 45분, 또는 약 60분 간격으로 얻어질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if more than one blood sample is provided, the blood sample is obtained from the subject at about 10 to about 60 minute intervals, preferably about 15 to about 30 minute intervals. Alternatively, the blood sample may be obtained at any time interval deemed appropriate by the attending physician. For example, the blood sample may be about 5 minutes, about 10 minutes, about 15 minutes, about 20 minutes, about 25 minutes, about 30 minutes, about 35 minutes, about 40 minutes, about 45 minutes, about 50 minutes, about 45 minutes. minutes, or about 60 minutes apart.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상기 혈액 샘플은 전혈 샘플, 혈청 샘플, 또는 혈장 샘플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상기 혈액 샘플은 혈청 샘플 또는 혈장 샘플이다. 1개 초과의 혈액 샘플이 얻어지면, 2개 이상의 혈액 샘플은 동일 유형이고, 그러므로 이 혈액 샘플들은 전혈 샘플, 혈청 샘플, 또는 혈장 샘플 중 어느 하나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혈액 샘플은 혈청 샘플이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said blood sample in step (a) is a whole blood sample, a serum sample, or a plasma sample. Preferably, said blood sample in step (a) is a serum sample or a plasma sample. If more than one blood sample is obtained, the two or more blood samples are of the same type, and therefore the blood samples are either a whole blood sample, a serum sample, or a plasma sample. Most preferably, the blood sample is a serum sample.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대상 체중 kg당 약 0.8mg 내지 약 1.2mg의 마시모렐린이 투여되고,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대상 체중 kg당 약 1.0mg의 마시모렐린이 투여된다. 일반적으로, 마시모렐린의 유효량은 최저로는 대상 체중 kg당 약 0.8 내지 약 0.9mg, 최고로는 약 1.0, 약 1.1 내지 약 1.2mg/kg 대상 체중의 범위 내 또는 최저량의 어느 하나 및 최고량의 어느 하나에 의해 정의되는 범위 내, 예를 들면, 약 0.9 내지 약 1.1mg/kg 체중일 수 있다. 마시모렐린의 유효량은 또한 단일값, 예를 들면 약 0.8mg/kg, 약 0.9mg/kg, 약 1.0mg/kg, 약 1.1mg/kg, 또는 약 1.2mg/kg 체중일 수 있다. 체중(kg으로 기록됨)은 바람직하게는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대상 체중 kg당 약 1.0mg의 마시모렐린이 투여된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in step (a) about 0.8 mg to about 1.2 mg of masimorelin per kg of subject's body weight is administered, preferably in step (a) about 1.0 mg of masimorelin per kg of subject's body weight is administered . In general, an effective amount of masimorelin is any one of, or a minimum amount, in the range of, as a minimum, from about 0.8 to about 0.9 mg/kg of body weight, as high as about 1.0, from about 1.1 to about 1.2 mg/kg of body weight of a subject. Within the range defined by any one of, for example, may be about 0.9 to about 1.1 mg / kg body weight. The effective amount of marshmorelin may also be a single value, for example, about 0.8 mg/kg, about 0.9 mg/kg, about 1.0 mg/kg, about 1.1 mg/kg, or about 1.2 mg/kg body weight. Body weight (reported in kg) may preferably be rounded to the nearest whole number. Most preferably, in step (a), about 1.0 mg of masimorelin per kg body weight of the subject is administered.

예를 들면, 1회의 단위 투여량은 경구용 현탁액으로 제조하기 위한 1817.2mg 마시모렐린 함유 조성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제조된 현탁액은, 현탁액 mL당 0.5mg의 마시모렐린을 포함한다. 아동에 대해 1.0mg/kg 체중의 투여량이 되도록, 체중에 따라 조정된 소분의 재구성 현탁액을 소아 환자에 투여한다. 상기 단위 투여량은, 함량이 100%인 유리 염기로서, 산출된 마시모렐린으로 정의된다. 상기 단위 투여량 내, 마시모렐린 유리 염기 또는 그의 유리 염기 등가물의 질량은, 함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unit dose consists of a composition containing 1817.2 mg masimorelin for preparation as an oral suspension. Generally, the prepared suspension contains 0.5 mg of marshmorelin per mL of suspension. Pediatric patients are administered in aliquots of the reconstituted suspension adjusted for body weight so that the dose for the child is 1.0 mg/kg body weight. The unit dose is defined as masimorelin calculated as the free base with a content of 100%. The mass of masimorelin free base or its free base equivalent in the unit dos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tent.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적절한 약학적 염으로서 마시모렐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하고, 상기 적절한 약학적 염은 바람직하게는 마시모렐린의 아세테이트 염, 마시모렐린의 트리플루오로 아세테이트 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in step (a), masimorelin is administered as a suitable pharmaceutical salt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comprising masimorelin, wherein the appropriate pharmaceutical salt is preferably an acetate salt of masimorelin, masimorelin trifluoro acetate salt of, or a combination thereof.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상기 마시모렐린의 투여는 경구 투여이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is oral administration.

마시모렐린의 투여가 경구 투여이면, 마시모렐린은 경구용 현탁액으로 제조될 수 있다. 현탁액은 경구용 현탁액 제조 후, 약 90분 내, 바람직하게는 약 60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분 내에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구용 현탁액은 약 1분 이하의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30초 이하의 시간 동안 마신다.If the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s oral administration, the masimorelin may be prepared as an oral suspension. The suspension may be administered within about 90 minutes, preferably within about 60 minutes, more preferably within about 30 minutes after preparation of the oral suspension. Preferably, the oral suspension is drunk for a time of about 1 minute or less, preferably about 30 seconds or less.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대상은 마시모렐린 투여 전 약 10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9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시간 동안 금식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대상은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100분 동안 금식하고, 단계 (a)에서 대상은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100분, 약 95분, 또는 약 90분 내내 금식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subject fasts for about 10 hours, preferably about 9 hours, more preferably about 8 hours prior to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More preferably, in step (a) the subject fasts for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and in step (a) the subject fasts for about 100 minutes, about 95 minutes, or about 9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means you can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60±3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1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된다. 1개의 혈액 샘플은 대안적으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약 40±10분, 약 45±10분, 약 50±10분, 약 60±10분, 약 70±10분, 약 80±10분, 약 90±10분, 또는 약 10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1개의 혈액 샘플은, 담당 내과의에 의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의 어느 시점에 얻어질 수 있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ne blood sample obtained from said subject is provided about 60±3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One blood sample may alternatively be administered at about 30±10 minutes, about 40±10 minutes, about 45±10 minutes, about 50±10 minutes, about 60±10 minutes, about 70±10 minutes, can be obtained from the subject at about 80±10 minutes, about 90±10 minutes, or about 100±10 minutes. One blood sample may be obtained at any point within the range of about 1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as deemed appropriate by the attending physician.

다른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및 약 45±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2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된다. 2개의 혈액 샘플은 대안적으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20±10분, 약 30±10분, 약 40±10분, 약 45±10분, 약 50±10분, 약 60±10분, 약 70±10분, 약 80±10분, 약 90±10분, 또는 약 10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2개의 혈액 샘플은, 담당 내과의에 의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의 어느 시점에 얻어질 수 있다.In another more preferred embodiment, two blood samples obtained from said subject at about 30±10 minutes and about 45±1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are provided. The two blood samples may alternatively be administered at about 20±10 minutes, about 30±10 minutes, about 40±10 minutes, about 45±10 minutes, about 50±10 minutes, about 60±10 minutes, can be obtained from the subject at about 70±10 minutes, about 80±10 minutes, about 90±10 minutes, or about 100±10 minutes. Two blood samples may be obtained at any time in the range of about 1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as deemed appropriate by the attending physician.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및 약 6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2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wo blood samples obtained from said subject at about 30±10 minutes and about 60±1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are provided.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약 45±10분, 및 약 6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거나,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약 45±10분, 및 약 9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거나,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약 60±10분, 및 약 9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된다. 3개의 혈액 샘플은 대안적으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20±10분, 약 30±10분, 약 40±10분, 약 45±10분, 약 50±10분, 약 60±10분, 약 70±10분, 약 80±10분, 약 90±10분, 또는 약 10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3개의 혈액 샘플은, 담당 내과의에 의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의 어느 시점에 얻어질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ree blood samples obtained from said subject are provided at about 30±10 minutes, about 45±10 minutes, and about 60±1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or at step (a) ), at about 30±10 min, about 45±10 min, and about 90±10 min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three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are provided, or at about 30±10 min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Three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are provided at ±10 min, at about 60±10 min, and at about 90±10 min. The three blood samples may alternatively be administered at about 20±10 minutes, about 30±10 minutes, about 40±10 minutes, about 45±10 minutes, about 50±10 minutes, about 60±10 minutes, can be obtained from the subject at about 70±10 minutes, about 80±10 minutes, about 90±10 minutes, or about 100±10 minutes. Three blood samples may be obtained at any time in the range of about 1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as deemed appropriate by the attending physician.

단계 (a)에서 3개 초과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면, 이 혈액 샘플들은, 담당 내과의에 의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의 어느 시점에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절한 시점은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20±10분, 약 30±10분, 약 40±10분, 약 45±10분, 약 50±10분, 약 60±10분, 약 70±10분, 약 80±10분, 약 90±10분, 또는 약 100±10분이다.If more than three blood samples are provided in step (a), these blood samples may be obtained at any time within the range of about 1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as deemed appropriate by the attending physician. can get For example, suitable time points are about 20±10 minutes, about 30±10 minutes, about 40±10 minutes, about 45±10 minutes, about 50±10 minutes, about 60±10 minutes, about 7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simorelin. ±10 min, about 80±10 min, about 90±10 min, or about 100±10 min.

특히 바람직한 방법에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약 45±10분, 약 60±10분, 및 약 90±10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시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1 내지 4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된다.In a particularly preferred method, obtained from the subject at a tim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bout 30±10 minutes, about 45±10 minutes, about 60±10 minutes, and about 90±10 minute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 1 to 4, more preferably 1 to 3, more preferably 2 or 3 blood samples are provided.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및 선택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담체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다. 바람직하게는, 마시모렐린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다. 적절한 감미료는, 예를 들면, 사카린이다. 유리하게는, 사카린은 마시모렐린에 대한 적절한 맛 차폐제인 것을 알아냈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in step (a), masimorelin is administered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further comprising masimorelin and optionally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 such as a carrier material. Preferably, the masimorelin is administered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comprising masimorelin and a sweetener. A suitable sweetener is, for example, saccharin. Advantageously, saccharin has been found to be a suitable taste masking agent for masimorelin.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약 3.5%(w/w)의 마시모렐린(유리 염기로서 계산됨), 약 93.1%(w/w)의 분무 건조 락토오스 모노하이드레이트, 약 2.0%(w/w)의 A형 크로스포비돈, 약 0.1%(w/w)의 콜로이드성 실리콘 디옥사이드, 약 1.0%(w/w)의 소듐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및 약 0.3%(w/w)의 사카린 소듐 디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in step (a) about 3.5% (w/w) of masimorelin (calculated as free base), about 93.1% (w/w) of spray dried lactose monohydrate, about 2.0% ( w/w) crospovidone A, about 0.1% (w/w) colloidal silicon dioxide, about 1.0% (w/w) sodium stearyl fumarate, and about 0.3% (w/w) saccharin Massimorelin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comprising sodium dihydrate is administered.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대상은 2세 내지 18세 미만의 인간 아동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상은 2세 내지 17세 미만의 인간 아동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상은 2세 내지 16세 미만의 인간 아동이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subject is a human child from 2 to less than 18 years of age, preferably said subject is a human child from 2 to less than 17 years of age, more preferably said subject is from 2 to less than 16 years of age is a human child of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독자적인 검사이고, 반복될 필요가 없으며,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신뢰할 수 있게 진단하기 위한 대안적 성장 호르몬 자극 검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method is a standalone test, does not need to be repeated, and does not require an alternative growth hormone stimulation test to reliably diagnose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a pediatric patient.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d)에 따라 상기 대상이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오직 단일 마시모렐린 투여에 의한 성장 호르몬 수준 유도에 기반한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determining according to step (d) whether the subject has growth hormone deficiency is based solely on induction of growth hormone levels by a single masimorelin administration.

놀랍게도, 본 발명의 방법은 소아 환자의 GHD를 신뢰할 수 있게 진단하기 위해, 추가 GHST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독자적인 검사로서 적절한 것을 알아냈다.Surprisingly, it has been found that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as a stand-alone test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dditional GHST to reliably diagnose GHD in pediatric patients.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측면에서, 하기를 포함하는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 진단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을 제공함으로써, 놀랍게도 해결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rprisingly solved, in another aspect, by providing a masimorelin substance for use in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a pediatric patient, comprising:

(a)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에 대상으로부터 얻은 1 내지 5개의 혈액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a) providing 1 to 5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within the range of about 1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an amount of masimorelin effective to induce growth hormone secretion;

(b) 단계 (a)에서 제공된 각 혈액 샘플의 성장 호르몬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b) measuring the growth hormone level in each blood sample provided in step (a);

(c) 단계 (b)에서 얻은 측정된 성장 호르몬 수준을 단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단일 임계값은 10.0ng/mL 이상인 단계;(c) comparing the measured growth hormone level obtained in step (b) with a single threshold, wherein the single threshol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0.0 ng/mL;

(d) 단계 (b)에서 얻은 혈액 샘플에서 가장 높은 성장 호르몬 수준이 상기 단일 임계값보다 낮은 대상을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b)에서 얻은 혈액 샘플에서 가장 높은 성장 호르몬 수준이 상기 단일 임계값보다 낮지 않은 대상을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d) determining as hav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the subject having the highest growth hormone level in the blood sample obtained in step (b) below said single threshold, wherein the highest growth hormone level in the blood sample obtained in step (b) is determining a subject not lower than the single threshold as not hav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상기 1 내지 5개의 혈액 샘플은,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분보다 이르지 않고,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00분보다 늦지 않게, 대상으로부터 얻어진다.The 1 to 5 blood samples were administered in less than about 15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an effective amount of masimorelin for inducing growth hormone secretion, and after administration of an effective amount of masimorelin for inducing growth hormone secretion, No later than approximately 100 minutes, obtained from the subject.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 진단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은,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 체외 진단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asimorelin substance for use in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a pediatric patient is a masimorelin substance for use in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vitro in a pediatric patient.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성장 호르몬의 단일 임계값은 약 10.0 내지 약 25.0ng/mL, 바람직하게는 약 10.2 내지 약 20.0n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0 내지 약 19.0n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4.0 내지 약 18.0ng/mL,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6.0 내지 약 18.0ng/mL,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7.0 내지 약 18.0ng/mL의 범위 내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ingle threshold of growth hormone is from about 10.0 to about 25.0 ng/mL, preferably from about 10.2 to about 20.0 ng/mL, more preferably from about 12.0 to about 19.0 ng/mL, more preferably is in the range of from about 14.0 to about 18.0 ng/mL, more preferably from about 16.0 to about 18.0 ng/mL, and most preferably from about 17.0 to about 18.0 ng/mL.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1 내지 4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1 내지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2 또는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된다. 1개 초과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면, 이 혈액 샘플들은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다른 시점에 얻어진다.In a preferred embodiment, 1 to 4 blood samples are provided in step (a), preferably 1 to 3 blood samples are provided in step (a), more preferably 2 or 3 blood samples are provided in step (a) A blood sample is provided from a dog. If more than one blood sample is provided, the blood samples are obtained at different time points after administration of an effective amount of masimorelin to induce hormone secretion.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상기 혈액 샘플은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20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95분의 범위 내,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90분의 범위 내에 대상으로부터 얻어진다. 따라서, 상기 혈액 샘플은 예를 들면,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20분보다 이르지 않지만 약 100분보다 늦지 않게, 바람직하게는 약 25분보다 이르지 않지만 약 100분보다 늦지 않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분보다 이르지 않지만 약 95분보다 늦지 않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분보다 이르지 않지만 약 90분보다 늦지 않게 얻어진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blood sample in step (a) is in the range of about 20 to about 100 minutes, preferably about 2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an effective amount of masimorelin for inducing growth hormone secretion. minute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25 to about 95 minutes, and most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30 to about 90 minutes. Thus, the blood sample may be administered, for example, no later than about 20 minutes but no later than about 100 minutes, preferably no earlier than about 25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an effective amount of masimorelin to induce growth hormone secretion. no later than 100 minutes, more preferably no later than about 25 minutes but no later than about 95 minutes, and most preferably no earlier than about 30 minutes but no later than about 90 minutes.

또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1개 초과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면, 상기 혈액 샘플은 약 10 내지 약 60분 간격,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30분 간격으로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다. 대안적으로, 상기 혈액 샘플은 담당 내과의에 의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어느 시간 간격으로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혈액 샘플은 약 5분, 약 10분, 약 15분, 약 20분, 약 25분, 약 30분, 약 35분, 약 40분, 약 45분, 약 50분, 약 45분, 또는 약 60분 간격으로 얻어질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if more than one blood sample is provided, the blood sample is obtained from the subject at about 10 to about 60 minute intervals, preferably about 15 to about 30 minute intervals. Alternatively, the blood sample may be obtained at any time interval deemed appropriate by the attending physician. For example, the blood sample may be about 5 minutes, about 10 minutes, about 15 minutes, about 20 minutes, about 25 minutes, about 30 minutes, about 35 minutes, about 40 minutes, about 45 minutes, about 50 minutes, about 45 minutes. minutes, or about 60 minutes apart.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상기 혈액 샘플은 전혈 샘플, 혈청 샘플, 또는 혈장 샘플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상기 혈액 샘플은 혈청 샘플 또는 혈장 샘플이다. 1개 초과의 혈액 샘플이 얻어지면, 2개 이상의 혈액 샘플은 동일 유형이고, 그러므로 이 혈액 샘플들은 전혈 샘플, 혈청 샘플, 또는 혈장 샘플 중 어느 하나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혈액 샘플은 혈청 샘플이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said blood sample in step (a) is a whole blood sample, a serum sample, or a plasma sample. Preferably, said blood sample in step (a) is a serum sample or a plasma sample. If more than one blood sample is obtained, the two or more blood samples are of the same type, and therefore the blood samples are either a whole blood sample, a serum sample, or a plasma sample. Most preferably, the blood sample is a serum sample.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대상 체중 kg당 약 0.8mg 내지 약 1.2mg의 마시모렐린이 투여되고,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대상 체중 kg당 약 1.0mg의 마시모렐린이 투여된다. 일반적으로, 마시모렐린의 유효량은 최저로는 대상 체중 kg당 약 0.8 내지 약 0.9mg, 최고로는 약 1.0, 약 1.1 내지 약 1.2mg/kg 대상 체중의 범위 내 또는 최저량의 어느 하나 및 최고량의 어느 하나에 의해 정의되는 범위 내, 예를 들면, 약 0.9 내지 약 1.1mg/kg 체중일 수 있다. 마시모렐린의 유효량은 또한 단일값, 예를 들면 약 0.8mg/kg, 약 0.9mg/kg, 약 1.0mg/kg, 약 1.1mg/kg, 또는 약 1.2mg/kg 체중일 수 있다. 체중(kg으로 기록됨)은 바람직하게는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될 수 있다.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in step (a) about 0.8 mg to about 1.2 mg of masimorelin per kg of subject's body weight is administered, preferably in step (a) about 1.0 mg of masimorelin per kg of subject's body weight is administered . In general, an effective amount of masimorelin is any one of, or a minimum amount, in the range of, as a minimum, from about 0.8 to about 0.9 mg/kg of body weight, as high as about 1.0, from about 1.1 to about 1.2 mg/kg of body weight of a subject. Within the range defined by any one of, for example, may be about 0.9 to about 1.1 mg / kg body weight. The effective amount of marshmorelin may also be a single value, for example, about 0.8 mg/kg, about 0.9 mg/kg, about 1.0 mg/kg, about 1.1 mg/kg, or about 1.2 mg/kg body weight. Body weight (reported in kg) may preferably be rounded to the nearest whole number.

예를 들면, 1회의 단위 투여량은 경구용 현탁액으로 제조하기 위한 1817.2mg 마시모렐린 함유 조성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제조된 현탁액은, 현탁액 mL당 0.5mg의 마시모렐린을 포함한다. 아동에 대해 1.0mg/kg 체중의 투여량이 되도록, 체중에 따라 조정된 소분의 재구성 현탁액을 소아 환자에 투여한다. 상기 단위 투여량은, 함량이 100%인 유리 염기로서 산출된 마시모렐린으로 정의된다. 상기 단위 투여량 내, 마시모렐린 유리 염기 또는 그의 유리 염기 등가물의 질량은, 함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unit dose consists of a composition containing 1817.2 mg masimorelin for preparation as an oral suspension. Generally, the prepared suspension contains 0.5 mg of marshmorelin per mL of suspension. Pediatric patients are administered in aliquots of the reconstituted suspension adjusted for body weight so that the dose for the child is 1.0 mg/kg body weight. The unit dose is defined as masimorelin calculated as free base in a content of 100%. The mass of masimorelin free base or its free base equivalent in the unit dos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tent.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적절한 약학적 염으로서 마시모렐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하고, 상기 적절한 약학적 염은 바람직하게는 마시모렐린의 아세테이트 염, 마시모렐린의 트리플루오로 아세테이트 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in step (a), masimorelin is administered as a suitable pharmaceutical salt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comprising masimorelin, wherein the appropriate pharmaceutical salt is preferably an acetate salt of masimorelin, masimorelin trifluoro acetate salt of, or a combination thereof.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상기 마시모렐린의 투여는 경구 투여이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is oral administration.

마시모렐린의 투여가 경구 투여이면, 마시모렐린은 경구용 현탁액으로 제조될 수 있다. 현탁액은 경구용 현탁액 제조 후, 약 90분 내, 바람직하게는 약 60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분 내에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구용 현탁액은 약 1분 이하의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30초 이하의 시간 동안 마신다.If the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s oral administration, the masimorelin may be prepared as an oral suspension. The suspension may be administered within about 90 minutes, preferably within about 60 minutes, more preferably within about 30 minutes after preparation of the oral suspension. Preferably, the oral suspension is drunk for a time of about 1 minute or less, preferably about 30 seconds or less.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대상은 마시모렐린 투여 전 약 10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9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시간 동안 금식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대상은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100분 동안 금식하고, 단계 (a)에서 대상은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100분, 약 95분, 또는 약 90분 내내 금식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subject fasts for about 10 hours, preferably about 9 hours, more preferably about 8 hours prior to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More preferably, in step (a) the subject fasts for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and in step (a) the subject fasts for about 100 minutes, about 95 minutes, or about 9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means you can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60±3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1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된다. 1개의 혈액 샘플은 대안적으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약 40±10분, 약 45±10분, 약 50±10분, 약 60±10분, 약 70±10분, 약 80±10분, 약 90±10분, 약 10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1개의 혈액 샘플은, 담당 내과의에 의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의 어느 시점에 얻어질 수 있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ne blood sample obtained from said subject is provided about 60±3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One blood sample may alternatively be administered at about 30±10 minutes, about 40±10 minutes, about 45±10 minutes, about 50±10 minutes, about 60±10 minutes, about 70±10 minutes, can be obtained from the subject at about 80±10 minutes, about 90±10 minutes, about 100±10 minutes. One blood sample may be obtained at any point within the range of about 1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as deemed appropriate by the attending physician.

다른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및 약 45±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2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된다. 2개의 혈액 샘플은 대안적으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20±10분, 약 30±10분, 약 40±10분, 약 45±10분, 약 50±10분, 약 60±10분, 약 70±10분, 약 80±10분, 약 90±10분, 또는 약 10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2개의 혈액 샘플은, 담당 내과의에 의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의 어느 시점에 얻어질 수 있다.In another more preferred embodiment, two blood samples obtained from said subject at about 30±10 minutes and about 45±1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are provided. The two blood samples may alternatively be administered at about 20±10 minutes, about 30±10 minutes, about 40±10 minutes, about 45±10 minutes, about 50±10 minutes, about 60±10 minutes, can be obtained from the subject at about 70±10 minutes, about 80±10 minutes, about 90±10 minutes, or about 100±10 minutes. Two blood samples may be obtained at any time in the range of about 1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as deemed appropriate by the attending physician.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및 약 6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2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wo blood samples obtained from said subject at about 30±10 minutes and about 60±1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are provided.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약 45±10분, 및 약 6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거나,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약 45±10분, 및 약 9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거나,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약 60±10분, 및 약 9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된다. 3개의 혈액 샘플은 대안적으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20±10분, 약 30±10분, 약 40±10분, 약 45±10분, 약 50±10분, 약 60±10분, 약 70±10분, 약 80±10분, 약 90±10분, 또는 약 10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3개의 혈액 샘플은, 담당 내과의에 의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의 어느 시점에 얻어질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ree blood samples obtained from said subject are provided at about 30±10 minutes, about 45±10 minutes, and about 60±1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or at step (a) ), at about 30±10 min, about 45±10 min, and about 90±10 min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three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are provided, or at about 30±10 min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Three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are provided at ±10 min, at about 60±10 min, and at about 90±10 min. The three blood samples may alternatively be administered at about 20±10 minutes, about 30±10 minutes, about 40±10 minutes, about 45±10 minutes, about 50±10 minutes, about 60±10 minutes, can be obtained from the subject at about 70±10 minutes, about 80±10 minutes, about 90±10 minutes, or about 100±10 minutes. Three blood samples may be obtained at any time in the range of about 1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as deemed appropriate by the attending physician.

3개 초과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면, 이 혈액 샘플들은, 담당 내과의에 의해 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의 어느 시점에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절한 시점은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20±10분, 약 30±10분, 약 40±10분, 약 45±10분, 약 50±10분, 약 60±10분, 약 70±10분, 약 80±10분, 약 90±10분, 또는 약 100±10분이다.If more than three blood samples are provided, these blood samples may be obtained at any time within the range of about 1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as deemed appropriate by the attending physician. For example, suitable time points are about 20±10 minutes, about 30±10 minutes, about 40±10 minutes, about 45±10 minutes, about 50±10 minutes, about 60±10 minutes, about 7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simorelin. ±10 min, about 80±10 min, about 90±10 min, or about 100±10 min.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약 45±10분, 약 60±10분, 및 약 90±10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시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1 내지 4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된다.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from the subject at a tim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bout 30±10 minutes, about 45±10 minutes, about 60±10 minutes, and about 90±10 minute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The obtained, 1 to 4, more preferably 1 to 3, more preferably 2 or 3 blood samples are provided.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및 선택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면 담체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다. 바람직하게는, 마시모렐린 및 감미료를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다. 적절한 감미료는, 예를 들면, 사카린이다. 사카린은 마시모렐린에 대한 적절한 맛 차폐제인 것을 알아냈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in step (a), masimorelin is administered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further comprising masimorelin and optionally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 such as a carrier material. Preferably, the masimorelin is administered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comprising masimorelin and a sweetener. A suitable sweetener is, for example, saccharin. It has been found that saccharin is a suitable taste masking agent for marshmorelin.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a)에서 약 3.5%(w/w)의 마시모렐린(유리 염기로서 계산됨), 약 93.1%(w/w)의 분무 건조 락토오스 모노하이드레이트, 약 2.0%(w/w)의 A형 크로스포비돈, 약 0.1%(w/w)의 콜로이드성 실리콘 디옥사이드, 약 1.0%(w/w)의 소듐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및 약 0.3%(w/w)의 사카린 소듐 디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in step (a) about 3.5% (w/w) of masimorelin (calculated as free base), about 93.1% (w/w) of spray dried lactose monohydrate, about 2.0% ( w/w) crospovidone A, about 0.1% (w/w) colloidal silicon dioxide, about 1.0% (w/w) sodium stearyl fumarate, and about 0.3% (w/w) saccharin Massimorelin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comprising sodium dihydrate is administered.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대상은 2세 내지 18세 미만의 인간 아동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상은 2세 내지 17세 미만의 인간 아동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상은 2세 내지 16세 미만의 인간 아동이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subject is a human child from 2 to less than 18 years of age, preferably said subject is a human child from 2 to less than 17 years of age, more preferably said subject is from 2 to less than 16 years of age is a human child of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물질은 독자적인 검사에 사용되고, 반복될 필요가 없으며,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신뢰할 수 있게 진단하기 위한 대안적 성장 호르몬 자극 검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substance is used in a stand-alone test, does not need to be repeated, and does not require an alternative growth hormone stimulation test to reliably diagnose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pediatric patients.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d)에 따라 상기 대상이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오직 단일 마시모렐린 투여에 의한 성장 호르몬 수준 유도에 기반한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determining according to step (d) whether the subject has growth hormone deficiency is based solely on induction of growth hormone levels by a single masimorelin administration.

놀랍게도, 본 발명의 방법은 소아 환자의 GHD를 신뢰할 수 있게 진단하기 위해, 추가 GHST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독자적인 검사로서 적절한 것을 알아냈다.Surprisingly, it has been found that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as a stand-alone test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dditional GHST to reliably diagnose GHD in pediatric patients.

본 발명의 목적은 또다른 측면에서 하기를 포함하는, 마시모렐린을 사용하여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진단하는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놀랍게도 해결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rprisingly solved in another aspect by providing a screening metho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a pediatric patient using masimorelin, comprising:

(a)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에 대상으로부터 얻은 1개 이상의 혈액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a) providing one or more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within the range of about 1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ering an amount of masimorelin effective to induce growth hormone secretion;

(b) 각 혈액 샘플의 성장 호르몬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b) measuring the growth hormone level in each blood sample;

(c) 각각의 측정된 성장 호르몬 수준을 단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c) comparing each measured growth hormone level to a single threshold;

(d) 상기 1개 이상의 혈액 샘플의 단계 (b)에서 측정된 성장 호르몬 수준을 상기 단일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이 성장 호르몬 결핍증에 걸렸는지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로서, 상기 대상이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오직 단일 마시모렐린 투여에 의한 성장 호르몬 수준 유도에 기반하는 단계.(d) diagnosing whether the subject has growth hormone deficiency based on comparing the growth hormone levels measured in step (b) of the one or more blood samples to the single threshold value, wherein the subject Determining whether you have this growth hormone deficiency is a step based solely on induction of growth hormone levels by a single masimorelin administration.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마시모렐린을 사용하여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진단하는 스크리닝 방법은, 마시모렐린을 사용하여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진단하는 체외 스크리닝 방법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creening metho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a pediatric patient using masimorelin is an in vitro screening metho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a pediatric patient using masimorelin.

바람직한 방법에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약 45±10분, 약 60±10분, 및 약 90±10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시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1 내지 4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된다.In a preferred method, obtained from the subject at a tim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bout 30±10 minutes, about 45±10 minutes, about 60±10 minutes, and about 90±1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1 to 4, more preferably 1 to 3, more preferably 2 or 3 blood samples are provided.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계 (d)에서, 단계 (b)에서 측정된 가장 높은 성장 호르몬 수준이 상기 단일 임계값보다 낮은 대상을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b)에서 측정된 가장 높은 성장 호르몬 수준이 상기 단일 임계값보다 낮지 않은 대상을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in step (d),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having the highest growth hormone level measured in step (b) is lower than said single threshold has growth hormone deficiency, and wherein the highest growth hormone level measured in step (b) is determined A subject whose growth hormone level is not lower than this single threshold is determined not to have growth hormone deficiency.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단일 임계값은 약 10.0 내지 약 25.0ng/mL, 바람직하게는 약 10.2 내지 약 20.0n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0 내지 약 19.0n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4.0 내지 약 18.0ng/mL,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6.0 내지 약 18.0ng/mL,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7.0 내지 약 18.0ng/mL의 범위 내이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single threshold is from about 10.0 to about 25.0 ng/mL, preferably from about 10.2 to about 20.0 ng/mL, more preferably from about 12.0 to about 19.0 ng/mL, more preferably about 14.0 to about 18.0 ng/mL, more preferably about 16.0 to about 18.0 ng/mL, and most preferably about 17.0 to about 18.0 ng/mL.

또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대상 체중 kg당 약 0.8mg 내지 약 1.2mg의 마시모렐린이 투여되고, 바람직하게는 대상 체중 kg당 약 1.0mg의 마시모렐린이 투여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about 0.8 mg to about 1.2 mg of masimorelin is administered per kg of subject's body weight, preferably about 1.0 mg of masimorelin is administered per kg of subject's body weight.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대상은 2세 내지 18세 미만의 인간 아동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상은 2세 내지 17세 미만의 인간 아동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상은 2세 내지 16세 미만의 인간 아동이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subject is a human child from 2 to less than 18 years of age, preferably said subject is a human child from 2 to less than 17 years of age, more preferably said subject is from 2 to less than 16 years of age is a human child of

이 발명의 방법의 주요 일 특징은, 의료 전문가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표준의 2회 검사 포맷과는 달리, 단일 자극 검사 포맷이라는 것이다. 하루 이상 간격으로 수행되고, 무려 8 내지 12개의 채혈 혈액이 수반되는 2개의 별개의 검사를 하는 대신, 이 발명의 새로운 방법은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탐지하기 위한 정확도, 특이도, 및 민감도가 신뢰할 만한 진단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단지 1개의 검사 및 겨우 단지 1 내지 5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채혈 혈액을 필요로 하므로, 검사 부담 및 검사 받는 아동에 대한 잠재적 피해가 크게 줄어든다. 유리하게는, 이 혈액 샘플들은 단시간 내에, 예를 들면 마시모렐린 투여 후, 총 약 90분의 시간에 약 15분, 최대 약 30분의 간격으로 수집될 수 있다.One key feature of the method of this invention is that it is a single stimulation test format, as opposed to the standard two-test format currently used by medical professionals. Instead of having two separate tests performed more than a day apart and involving as many as 8 to 12 blood draws, this new method provides a reliable diagnosis with accuracy, specificity, and sensitivity for detect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To achieve performance, only 1 test and only 1 to 5, preferably 2 to 4 blood draws are required, thus greatly reducing the burden of testing and potential harm to the child being tested. Advantageously, these blood samples can be collect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eg,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at intervals of about 15 minutes, up to about 30 minutes, in a total time of about 90 minutes.

놀랍게도, 본 발명의 방법은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진단하기 위한 더 높은 임계값을 사용함으로써, 유의미한 개선을 달성하였다. 일반적으로, 성인 환자에 대해 GHD를 검사할 때, 약 2 내지 3ng/mL의 단일 임계값이 사용되고, 소아 환자에 대해 GHD를 검사할 때, 10ng/mL 미만의 단일 임계값이 사용된다. 본 발명자들은 10.0ng/mL 이상의 더 높은 단일 임계값이 사용될 때, 소아 환자에 대해 더 나은 진단 성능이 달성될 수 있는 것을 예기치 않게 알아냈다. 예를 들면, 약 16.0 내지 19.0ng/mL, 바람직하게는 약 17.0 내지 18.0ng/mL의 단일 임계값이, 이 발명의 독자적인 방법에서 GHD를 매우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알아냈다.Surprisingl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d significant improvement by using a higher threshol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Generally, when testing GHD in adult patients, a single threshold of about 2-3 ng/mL is used, and when testing GHD in pediatric patients, a single threshold of less than 10 ng/mL is used. We unexpectedly found that better diagnostic performance can be achieved for pediatric patients when a higher single threshold of 10.0 ng/mL or greater is used. For example, a single threshold of about 16.0 to 19.0 ng/mL, preferably about 17.0 to 18.0 ng/mL, has been found to be very effective in representing GHD in the proprietary method of this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진단하기 위한 더 높은 마시모렐린 투여량을 사용함으로써, 유의미한 개선을 달성하였다. 현재 실무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마시모렐린 투여량은, 특히 성인 환자에 대해 GHD를 검사할 때, 0.5mg/kg 환자 체중이지만, 본 발명자들은 소아 환자에 대한 성장 호르몬 자극 검사에서 더 높은 마시모렐린 투여량이 사용될 때, 더 나은 진단 성능이 달성될 수 있는 것을 예기치 않게 알아냈다. 예를 들면, 약 0.8 내지 약 1.2mg/kg, 바람직하게는 약 1.0mg/kg 체중의 마시모렐린 투여량은, 이 발명의 1회 검사 방법에서 GHD를 매우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알아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a significant improvement by using a higher masimorelin dose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A typical masimorelin dose used in current practice is 0.5 mg/kg patient body weight, especially when testing GHD for adult patients, but we found that higher masimorelin doses in a growth hormone stimulation test for pediatric patients It has been unexpectedly found that better diagnostic performance can be achieved when a dose is used. For example, it has been found that a masimorelin dose of about 0.8 to about 1.2 mg/kg, preferably about 1.0 mg/kg of body weight, exhibits very effectively GHD in the single tes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is

- 독자적인 검사로서(1회 검사 방법 및 단일 GH 자극만을 필요로 함),- As a standalone test (requires one test method and single GH stimulation only),

- 예를 들면, 마시모렐린 투여 후, 총 약 90분의 시간에 약 15분, 최대 약 30분의 간격으로, 2 내지 4개의 혈액 샘플이 수집되고,- for example,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2 to 4 blood samples are collected, at intervals of about 15 minutes, up to about 30 minutes, for a total time of about 90 minutes,

- 약 10.0ng/mL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0.0ng/mL 내지 약 25.0ng/mL,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2ng/mL 내지 약 20ng/mL,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7.0 내지 약 18.0ng/mL의 범위의 GH 종지점을 갖는,- at least about 10.0 ng/mL, preferably from about 10.0 ng/mL to about 25.0 ng/mL, more preferably from about 10.2 ng/mL to about 20 ng/mL, most preferably from about 17.0 to about 18.0 ng/mL having a GH endpoint in the range of

아동에 대해 마시모렐린을 단일 경구 투여한 후에, 인간 아동의 뇌하수체 관련 GH 결핍증을 평가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인간 아동의 성장 호르몬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Provided is a method of measuring growth hormone levels in a human child, comprising a method of assessing pituitary-associated GH deficiency in the human child following a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to the child.

하기 실시예들은 설명을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를 얻기 위해, 변경되거나 조정될 수 있는 여러 비중요 파라미터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do not limit the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recognize several non-critical parameters that can be changed or adjusted to obtain essentially the same or similar results.

(실시예)(Example)

아동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GHD)은 희귀하고, 성장 부전 및 단신을 야기하는 병인적으로 다양한 질환이다. 2회의 다른 성장 호르몬 자극 검사(GHST)에 대한 불충분한 반응은 GHD 진단에 필요하다. 강한 경구 투여 성장 호르몬(GH) 분비 촉진제인 마시모렐린 아세테이트는 성인의 GHD(AGHD) 진단에 대해 FDA 및 EMA에서 허가되어 있다. 이 연구(AEZS-130-P01)는 GHD로 의심되는 아동의 진단 검사로서 마시모렐린 아세테이트를 연구하기 위해 설계되었다.Growth hormone deficiency (GHD) in children is a rare, etiologically diverse disease that causes growth failure and short stature. An insufficient response to two different growth hormone stimulation tests (GHST) is required for the diagnosis of GHD. Masimorelin acetate, a potent orally administered growth hormone (GH) secretagogue, is approved by the FDA and EMA for the diagnosis of GHD (AGHD) in adults. This study (AEZS-130-P01) was designed to study masimorelin acetate as a diagnostic test in children suspected of having GHD.

이는, 개방 표지, 그룹 비교, 투여량 증가 시험이고, GHD로 의심되는 소아 대상에 대한 경구 마시모렐린 아세테이트 단일 투여량 0.25mg/kg, 0.5mg/kg, 및 1.0mg/kg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약력학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었다. 마시모렐린 GHST는 2회의 표준 GHST 사이에 투여되었고, 지역 임상 실무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검사 간 7 내지 28일의 회복기를 가졌다. 혈액 샘플은 투여전(±15분) 및 마시모렐린 아세테이트 주입 후 15분, 30분, 45분, 60분, 90분, 120분, 및 360분에 수집되었다.This is an open-label, group comparison, dose escalation trial, and the safety, tolerability, and safety, tolerability, to study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Masimorelin GHST was administered between two standard GHST doses, performed according to local clinical practice, with a 7-28 day recovery period between test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predose (±15 min) and at 15 min, 30 min, 45 min, 60 min, 90 min, 120 min, and 360 min post-masimorelin acetate infusion.

전체적으로, 24명의 소아 환자(코호트[C1, C2, C3]당 8명)가 약동학적/약력학적(PK/PD) 분석에 포함되었다. 5명의 남성 및 3명의 여성이 C1 및 C2에서 관찰되었고, 7명의 남성 및 1명의 여성이 C3에서 관찰되었다. 3개의 모든 코호트에서, 3명 이상의 대상이 태너 단계 I 또는 II에 해당하였다. 24명의 모든 대상(100%)이 백인이었고, 중위 연령이 9.8세, 9.0세, 및 10.5세(4 내지 15세 범위)이며, 스크리닝시에 중위 체질량지수가 16.1kg/m2(12.4 내지 21.4kg/m2)이었다. 전체적으로, 88건의 유해 사상이 보고되었고, 표준 GHST와 관련된 것이 많았으며; 마시모렐린 검사와 관련된 것은 없었다. 마시모렐린의 최고 혈장 농도는 주로 30 내지 45분에 관찰되었다. 평균 Cmax 값은 C1, C2, 및 C3에 있어서, 각각 3.46ng/mL, 8.13ng/mL, 및 12.87ng/mL이었다. AUC는 투여량에 따라 증가했고; 평균 AUC0-6 값은 6.69h*ng/mL, 18.02h*ng/mL, 및 30.92h*ng/mL이었다. 평균 배설 반감기는 각각 1.22h, 1.61h, 및 1.71h이었다. 3개의 모든 코호트의 PK 및 PD 프로파일은 비슷했으며, 피크 GH 수준은 마시모렐린 주입 후 30 내지 60분 내에 주로 관찰되었다.Overall, 24 pediatric patients (8 per cohort [C1, C2, C3]) were included in the pharmacokinetic/pharmacodynamic (PK/PD) analysis. 5 males and 3 females were observed in C1 and C2, and 7 males and 1 female were observed in C3. In all three cohorts, at least three subjects were in Tanner stage I or II. All 24 subjects (100%) were Caucasian, had a median age of 9.8, 9.0, and 10.5 years (range 4-15 years), and had a median body mass index of 16.1 kg/m 2 (12.4-21.4 kg) at screening. /m 2 ). Overall, 88 adverse events were reported, many of which were related to standard GHST; There was nothing related to the marshmorelin test. The highest plasma concentrations of marshmorelin were observed mainly between 30 and 45 minutes. The mean C max values were 3.46 ng/mL, 8.13 ng/mL, and 12.87 ng/mL for C1, C2, and C3, respectively. AUC increased with dose; The mean AUC0-6 values were 6.69 h*ng/mL, 18.02 h*ng/mL, and 30.92 h*ng/mL. The mean excretion half-lives were 1.22 h, 1.61 h, and 1.71 h, respectively. The PK and PD profiles of all three cohorts were similar, with peak GH levels observed predominantly within 30-60 minutes after masimorelin infusion.

마시모렐린 아세테이트는 안전했고, 모든 투여 코호트에서 잘 용인되었다. 아동 및 청소년의 마시모렐린 Cmax 및 AUC의 투여량 의존적 증가는, 성인 대상으로부터의 자료와 잘 연관되었다. 강한 투여량 비례 GH 반응도 또한 달성되었다. PD 결과는, GH 반응이 모든 투여 그룹에서 비슷했고, 마시모렐린 투여량이 많을수록 tmax가 더 이른 약간의 변화가 있었던 것을 나타냈다. Masimorelin acetate was safe and well tolerated in all dosing cohorts. Dose-dependent increases in masimorelin C max and AUC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orrelated well with data from adult subjects. A strong dose proportional GH response was also achieved. The PD results indicated that the GH response was similar in all administration groups, and that there was a slight change in t max earlier as the massimorelin dose increased.

게다가, 마시모렐린 GHST의 결과는, 책임 연구원에 의해 평가되는 최종 진단뿐만 아니라, 2회의 표준 GHST의 결과와 놀랍게 높은 일치를 나타냈다. C3에서, GH 분비가 8명의 모든 환자에 대해, 분명히 자극되었다. 최종적으로, 단일 검사로서 적용된 마시모렐린 GHST의 결과는, 8명 중 7명의 대상에 대해, PI 평가뿐만 아니라, 2회의 sGHST의 조합의 결과와의 일치를 나타냈다.Moreover, the results of the masimorelin GHST showed a surprisingly high agreement with the results of the two standard GHSTs, as well as the final diagnosis evaluated by the principal investigator. At C3, GH secretion was clearly stimulated, for all 8 patients. Finally, the results of masimorelin GHST applied as a single test showed agreement with the results of the combination of two sGHSTs as well as the PI assessment for 7 out of 8 subjects.

실시예 1:Example 1: CGHD 진단용 마시모렐린 함유 조성물 Massimorelin-containing composition for CGHD diagnosis

마시모렐린 함유 조성물은, 표 1에 열거된 하기 성분들을 포함한다.The massimorelin-containing composition includes the following ingredients listed in Table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1개의 단위 투여량은, 경구용 현탁액으로 제조하기 위한 1817.2mg 마시모렐린 함유 조성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제조된 현탁액은, 현탁액 mL당 0.5mg의 마시모렐린을 포함한다.One unit dose consists of a composition containing 1817.2 mg masimorelin for preparation as an oral suspension. Generally, the prepared suspension contains 0.5 mg of marshmorelin per mL of suspension.

아동에 대해 1.0mg/kg 체중의 투여량이 되도록, 체중에 따라 조정된 소분의 재구성 현탁액을 소아 대상에 투여한다. 성인 대상에 대해 0.5mg/kg 체중의 투여량이 되도록, 체중에 따라 조정된 소분의 재구성 현탁액을 성인에 투여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Small portions of the reconstituted suspension adjusted for body weight are administered to pediatric subjects to a dose of 1.0 mg/kg body weight for the child. It should be noted that aliquots of the reconstituted suspension adjusted for body weight are administered to adults so that the dose for adult subjects is 0.5 mg/kg body weight.

상기 단위 투여량은, 함량이 100%인 유리 염기로서 산출된 마시모렐린으로 정의된다. 상기 단위 투여량 내, 마시모렐린 유리 염기 또는 그의 유리 염기 등가물의 질량은, 함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The unit dose is defined as masimorelin calculated as free base in a content of 100%. The mass of masimorelin free base or its free base equivalent in the unit dos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tent.

마시모렐린은, 적절한 약학적 염으로서, 상기 단위 투여량에 포함될 수 있다. 적절한 약학적 염의 예는, 아세테이트 염 및 트리플루오로 아세테이트 염이다.Masimorelin, as a suitable pharmaceutical salt, may be included in the unit dosage. Examples of suitable pharmaceutical salts are acetate salts and trifluoro acetate salts.

상기 단위 투여량은, GHD 검사의 용이한 이용을 위해 적절한 용기에 담길 수 있다. 적절한 용기의 예는, 봉지나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적절한 크기의 용기이다.The unit dose may be contained in an appropriate container for easy use of the GHD test. Examples of suitable containers are bags or containers of suitable size made of glass or plastic.

60kg의 대상에 대해, 용기는, 63.6mg의 마시모렐린, 1691.8mg의 분무 건조 락토오스 모노하이드레이트, 36.3mg의 A형 크로스포비돈, 1.8mg의 콜로이드성 실리콘 디옥사이드, 18.2mg의 소듐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및 5.5mg의 사카린 소듐 디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마시모렐린 함유 조성물이 담긴, 폴리에틸렌으로 라미네이트된 알루미늄 호일로 만들어진 봉지이다. 물 120mL에 재구성되면, 2mL는 1.0mg의 마시모렐린을 제공한다.For a 60 kg subject, the container contains 63.6 mg of masimorelin, 1691.8 mg of spray dried lactose monohydrate, 36.3 mg of crospovidone type A, 1.8 mg of colloidal silicon dioxide, 18.2 mg of sodium stearyl fumarate, and 5.5 mg of saccharin sodium dihydrate. When reconstituted in 120 mL of water, 2 mL provides 1.0 mg of marshmorelin.

실시예 2Example 2 : 불쾌한 맛을 차폐하기 위한 마시모렐린 함유 조성물에서의 사카린의 사용: Use of saccharin in a composition containing massimorelin to mask unpleasant taste

AGHD에 대한 마시모렐린의 진단 효능을 결정하기 위해, 멀티센터, 무작위, 쌍방, 교차연구 하에서, 성인 성장 호르몬 결핍증(AGHD)이 확인된 100명의 대상에 GHST로서 GHRH+L-아르기닌 및 마시모렐린을 제공하였다.To determine the diagnostic efficacy of masimorelin for AGHD, in a multicenter, randomized, interactive, crossover study, 100 subjects with confirmed adult growth hormone deficiency (AGHD) were given GHRH+L-arginine and masimorelin as GHSTs. did

이 연구는 두 부분으로 수행되었다. 첫번째 부분에서, 사카린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 0.5mg/kg의 투여량으로, 실시예 1에 기재된 마시모렐린 함유 조성물을 사용하였고, 52명의 대상 중 12명(21%)으로부터 가벼운 정도 내지 중간 정도의 불쾌한 맛이 보고되었다.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parts. In the first part, the masimorelin-containing composition described in Example 1 was used at a dose of 0.5 mg/kg, except without saccharin, mild to moderate in 12 of 52 subjects (21%). An unpleasant taste of

연구를 중단한 동안, 여전히 쓴 맛이 완전히 차폐되지는 않음에도 불구하고, 사카린이 적절한 맛 차폐제인 것을 알아냈다. 연구의 두번째 부분에서, 실시예 1에 기재된 마시모렐린 함유 조성물(사카린 있음)을 사용하였고, 48명의 검사 대상 중 1명만(2%)이 가벼운 강도의 불쾌한 맛을 보고하였다.While the study was discontinued, it was found that saccharin was a suitable taste masking agent, although it still did not completely mask the bitter taste. In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the masimorelin-containing composition (with saccharin) described in Example 1 was used, and only one (2%) of 48 test subjects reported an unpleasant taste of mild intensity.

실시예 3:Example 3: 진단 검사로서 마시모렐린의 약동학적, 약력학적, 또한 탐색적 검사 특성 Pharmacokinetic, pharmacodynamic, and exploratory test properties of Masimorelin as a diagnostic test

연구 AEZS-130-P01은 개방 표지, 그룹 비교, 투여량 증가 시험이고, GHD로 의심되는 소아 환자에 대해, 0.25mg/kg, 0.5mg/kg, 및 1mg/kg으로 단일 경구 투여 후, 마시모렐린 아세테이트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PK) 및 약력학(PD)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었다.Study AEZS-130-P01 is an open-label, group comparison, dose escalation trial, for pediatric patients with suspected GHD, after a single oral dose at 0.25 mg/kg, 0.5 mg/kg, and 1 mg/kg, Masimorel To study the safety, tolerability, pharmacokinetics (PK) and pharmacodynamics (PD) of lean acetate.

목적은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Objectives are defined as follows:

1차:Primary:

ㆍGHD로 의심되는 소아 환자에 대해, 마시모렐린의 단일 경구 투여량을 증가시킨 후의 마시모렐린 아세테이트의 안전성 및 내약성을 연구하는 것.To study the safety and tolerability of Masimorelin Acetate following escalation of a single oral dose of Masimorelin in pediatric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GHD.

2차:Secondary:

ㆍGHD로 의심되는 소아 환자에 대해, 마시모렐린 아세테이트의 PK을 연구하는 것.ㆍTo study the PK of masimorelin acetate in pediatric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GHD.

ㆍGHD로 의심되는 소아 환자에 대해, 성장 호르몬(GH) 분비로 측정되는 마시모렐린 아세테이트의 PD를 연구하는 것.ㆍTo study the PD of masimorelin acetate as measured by growth hormone (GH) secretion in pediatric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GHD.

ㆍGHD로 의심되는 소아 환자에 대해, 마시모렐린 아세테이트의 단일 경구 투여량 투여 후의 PK/PD 관계를 분석하는 것.To analyze the PK/PD relationship following administration of a single oral dose of masimorelin acetate in pediatric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GHD.

방법론:methodology:

마시모렐린의 혈장 농도 및 GH의 혈청 농도는 중앙 실험실에서 분석되었다.Plasma concentrations of masimorelin and serum concentrations of GH were analyzed in a central laboratory.

마시모렐린 혈장 농도: 마시모렐린 농도에 대한 혈장 샘플의 분석은 중앙 실험실, Prolytic GmbH, 독일에서 수행되었고, 검출한계가 0.2ng/mL인 유효 액체 크로마토크래피-질량 분석법(LCMS/MS)을 사용하였다(Franz, 2005).Massimorelin Plasma Concentrations: Analysis of plasma samples for massimorelin concentrations was performed at a central laboratory, Prolytic GmbH, Germany, using effective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MS) with a detection limit of 0.2 ng/mL. used (Franz, 2005).

예비 약동학(PK)은 샘플링 주기 내 마시모렐린 혈장 농도의 최고 농도(Cmax) 및 최고 농도의 측정 시간(tmax) 에 의해 결정되었다.Preliminary pharmacokinetics (PK) were determined by the peak concentration (C max ) of the masimorelin plasma concentration and the time to measure the peak concentration (t max ) within the sampling cycle.

GH 혈청 농도: GH 농도에 대한 혈청 샘플의 분석은, 유효 면역 화학 발광 측정 분석에 의해 중앙 실험실에서 수행되었다(IDS-iSYS 인간 성장 호르몬(hGH), Immunodiagnostic Systems Ltd[UK])(Manolopoulou et al., 2012). 이 분석은 재조합 성장 호르몬 교정 표준 WHO 98/574에 표준화되어 있고, Clemmons에 의해 서술된 분석 표준화상의 권고사항을 따른다(Clemmons et al., 2011). GH Serum Concentration: Analysis of serum samples for GH concentration was performed in a central laboratory by effective immunochemiluminescence assay (IDS-iSYS Human Growth Hormone (hGH), Immunodiagnostic Systems Ltd [UK]) (Manolopoulou et al. , 2012). This assay is standardized in the recombinant growth hormone calibration standard WHO 98/574 and follows the recommendations for assay standardization described by Clemmons (Clemmons et al., 2011).

GH를 받은 분석 실험실은 Central Laboratory Synevo Lodz, Krakusa Str. 28, 93-515 Lodz. Poland 였다. 정량화의 하한은 <0.05ng/mL이었다.Analytical laboratories that received GH were Central Laboratory Synevo Lodz, Krakusa Str. 28, 93-515 Lodz. It was Poland. The lower limit of quantification was <0.05 ng/mL.

환자수number of patients

전체적으로, 마시모렐린은 GHD로 의심되는 24명의 소아 환자에 대해 단일 경구 투여량으로 투여되었고, 투여 그룹당 8명의 환자였다. 이 8명의 환자 중, 투여 그룹당 3명 이상의 환자는 각각 사춘기 이전(태너 단계 I) 및 사춘기(태너 단계 II-IV)였다.Overall, masimorelin was administered as a single oral dose to 24 pediatric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GHD, 8 patients per dosing group. Of these 8 patients, at least 3 patients per dosing group were prepubertal (Tanner stage I) and pubertal (Tanner stage II-IV), respectively.

환자로 포함된 사람의 주요 기준:Key criteria for persons included as patients:

대상은 하기의 모든 기준을 만족해야, 시험에 참여할 자격이 있었다.Subjects must meet all of the following criteria to be eligible to participate in the trial.

1. 나이가 2세 내지 18세 미만인 남성 또는 여성 소아 환자;1. Male or female pediatric patients aged 2 to less than 18 years;

2. 발육 및 임상 기준에 기반하여 GHD가 의심됨;2. Suspected GHD based on developmental and clinical criteria;

3. 유발 성장 호르몬 자극 검사(GHST)의 수행을 위한 지표.3. Indicators for the performance of the induced growth hormone stimulation test (GHST).

표준 진단 방법의 일부인 GHST 전 성 호르몬 주입을 한 대상은, 마시모렐린 GHST에 대한 성 호르몬 주입도 또한 해야 한다.Subjects who have had sex hormone injections prior to GHST as part of standard diagnostic procedures should also receive sex hormone injections for masimorelin GHST.

시험용 의약품(IMP) 마시모렐린Investigational drug (IMP) Masimorelin

1회용 알루미늄 파우치(동의어: 봉지)는 63.6mg의 마시모렐린을 포함하였고, 물 120mL에 용해되면, 0.5mg/mL의 마시모렐린을 제공한다.A disposable aluminum pouch (syn.: bag) contained 63.6 mg of marshmorelin, and when dissolved in 120 mL of water, provides 0.5 mg/mL of marshmorelin.

시험 참가자의 순차적 코호트에 단일 경구 투여량을 증가시켜 마시모렐린을 제공하였다: 즉, 코호트 1(C1)에 0.25mg/kg 체중, 코호트 2(C2)에 0.5mg/kg 체중, 및 코호트 3(C3)에 1mg/kg 체중.A sequential cohort of trial participants received masimorelin in increments of a single oral dose: 0.25 mg/kg body weight in Cohort 1 (C1), 0.5 mg/kg body weight in Cohort 2 (C2), and Cohort 3 ( C3) at 1 mg/kg body weight.

마시모렐린 PK/PD을 결정하기 위해, 혈액 샘플을 투여전, 그리고 마시모렐린 투여 후 15분, 30분, 45분, 60분, 90분, 120분, 및 360분에 얻었다.To determine masimorelin PK/PD, blood samples were obtained pre-dose and at 15 min, 30 min, 45 min, 60 min, 90 min, 120 min, and 360 min post-massmorelin administration.

검사로서, 마시모렐린 아세테이트의 단일 경구 투여량은, 마시모렐린 GHST를 수행하는 날에 환자에 대해 투여하였다.As a test, a single oral dose of Masimorelin Acetate was administered to the patient on the day the Masimorelin GHST was performed.

마시모렐린 GHST 준비Masimorelin GHST Preparation

마시모렐린 경구용 현탁액은 시험 인력에 의해 제조되었고, 하기의 설명에 따라 투여되었으며(단계 #1 내지 단계 #5), 예시로서 코호트 C3의 투여량(즉, 1.0mg/kg)을 고려하였다.Masimorelin oral suspensions were prepared by test personnel and administer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below (steps #1 to #5), taking the dose of cohort C3 (ie, 1.0 mg/kg) as an example.

1. 환자의 무게를 재고, 필요한 파우치/봉지의 수를 결정한다(1개의 파우치가 환자에 대해 필요할 수 있다). 체중(kg으로 기록됨)은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될 수 있다;1. Weigh the patient and determine the number of pouches/bags required (one pouch may be needed for the patient). Weight (reported in kg) may be rounded to the nearest whole number;

2. 적절한 투명 유리 또는 폴리프로필렌 용기 내에, 파우치의 내용물 전체를 물 120mL에 용해시키고(즉, 적용하면, 1개의 파우치는 120mL, 2개의 파우치는 240mL), 3분 이상 약하게 젓는다(소량의 용해되지 않은 입자가 남을 수 있다);2. In a suitable clear glass or polypropylene container, dissolve the entire contents of the pouch in 120 mL of water (i.e., once applied, one pouch is 120 mL, two pouches are 240 mL), and gently agitate for at least 3 minutes (a small amount of dissolved particles may remain);

3. 1.0mg/kg의 마시모렐린 투여량에 기반하여, 환자 체중에 상응하는 필요한 현탁액의 부피를 결정하고, 즉, 필요한 현탁액의 부피는 2mL/kg이다(예를 들면, 1.0mg/kg의 마시모렐린 투여량을 필요로 하는 30kg 환자는, 60mL의 제조된 현탁액을 필요로 할 수 있다);3. Based on the masimorelin dose of 1.0 mg/kg, determine the required volume of suspension corresponding to the patient's body weight, i.e. the volume of suspension required is 2 mL/kg (e.g., 1.0 mg/kg of A 30 kg patient requiring a marshmorelin dose may require 60 mL of the prepared suspension);

4. 눈금 주사기를 사용하여 환자에 필요한 부피를 측정하고, 그를 유리컵에 옮긴다(불완전한 배출로 인한 손실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20mL 미만의 부피는 경구용 주사기로 투여되어야 한다; 하기 설명 참조);4. Using a graduated syringe, measure the patient's required volume and transfer it to a glass cup (to minimize the risk of loss due to incomplete drainage, volumes less than 20 mL should be administered by oral syringe; see instructions below);

5. 현탁액은 제조 후 30분 내에 사용되어야 한다.5. The suspension should be used within 30 minutes of preparation.

GHST 전 금식Fasting before GHST

환자는 시작 전 8시간 동안 및 마시모렐린 자극 검사의 샘플링 기간 내내 금식해야 했다.Patients were required to fast for 8 hours prior to initiation and throughout the sampling period of the marshmorelin stimulation test.

투여administration

마시모렐린 경구용 현탁액의 투여는 시험 인력의 감독하에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코호트 투여 설명의 단계 #4에 따라, 준비된 유리용기의 전체 내용물을 - 30초 이하의 시간 동안 - 환자가 마시도록 하였다.Administration of the marshmorelin oral suspension was under the supervision of test personnel. Following step #4 of the specific cohort dosing instru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pared vials were allowed to drink by the patient - for a period of not more than 30 seconds.

혈액 샘플링blood sampling

혈액 샘플은 하기 시점에 수집되었다: 투여전(샘플링 시간대: +/- 15분), 그리고 마시모렐린 투여 후 15분, 30분, 45분, 60분, 90분, 120분(+/- 5분 시간대), 및 360분(+/- 10분 시간대). GH의 혈청 농도 및 마시모렐린의 혈장 농도는 중앙 실험실에서 분석되었다.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following time points: pre-dose (sampling time frame: +/- 15 min), and 15 min, 30 min, 45 min, 60 min, 90 min, 120 min (+/- 5 min) after masimorelin administration. minute time zone), and 360 minutes (+/- 10 minute time zone). Serum concentrations of GH and plasma concentrations of masimorelin were analyzed in a central laboratory.

시험용 마시모렐린 GHST는 첫번째 sGHST가 완료된 후에 수행되었다. 차후 GHST 사이의 이월 효과 또는 간섭을 회피하고, 이전에 사용된 유발제에 의해 가능한 약물 연관 유해 사상의 관찰을 위한 적절한 추적기간을 제공하기 위해, 1주 이상 및 최대 4주의 회복기가 GHST 사이에 도입된다.The test masimorelin GHST was performed after the first sGHST was completed. In order to avoid carryover effects or interference between subsequent GHSTs and to provide an adequate follow-up period for the observation of possible drug-related adverse events by previously used inducers, a recovery period of at least 1 week and up to 4 weeks is introduced between GHSTs. .

P01 연구에 사용된 표준 GHST Standard GHST used in P01 study

2회의 표준 성장 호르몬 검사(sGHST)는 지역 실무에 따라, 환자에 대해 수행되어야 했다. sGHST 제제는 IMP로서가 아니라, ‘배경’으로서 여겨졌다.Two standard growth hormone tests (sGHST) were to be performed on patients, according to local practice. The sGHST formulation was considered as a 'background' and not as an IMP.

하기 약리학적 제제는 sGHST로서 받아들여졌다: 인슐린(인슐린 내성 검사(ITT)), 아르기닌, 아르기닌/성장 호르몬 분비 호르몬(GHRH), 클로니딘, 글루카곤, L-도파.The following pharmacological agents were accepted as sGHST: insulin (insulin tolerance test (ITT)), arginine, arginine/growth hormone releasing hormone (GHRH), clonidine, glucagon, L-dopa.

sGHST 제제의 단일 투여량은 sGHST를 수행하는 날에, 근육내 주사(i.m.), 정맥내 주사(i.v.), 피하주사(s.c.), 또는 경구(제형에 의존함)로 투여된다. 배치 번호는 현장에서 환자 기록 및 ‘표준 GHST 환자 책임 기록’에 기록되었다.A single dose of the sGHST formulation is administered by intramuscular injection (i.m.), intravenous injection (i.v.), subcutaneous injection (s.c.), or orally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on the day sGHST is performed. Batch numbers were recorded on-site in the patient record and in the ‘Standard GHST Patient Responsibility Record’.

평가 기준Evaluation standard

시험 종점test endpoint

안전성 및 내약성Safety and Tolerability

ㆍ환자의 내약성(맛의 수용성과 수면, 식욕, 및 위장 증상에 대한 영향을 포함함), 유해 사상(AE);• Patient tolerability (including taste receptivity and effects on sleep, appetite,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adverse events (AEs);

ㆍ안전성과 관련 있는 실험실 파라미터의 변화의 결정;• Determination of changes in laboratory parameters relevant to safety;

ㆍ생체 파라미터상의 영향(맥박수, 혈압, ECG).ㆍEffects on biological parameters (pulse rate, blood pressure, ECG).

약동학Pharmacokinetics

ㆍ마시모렐린의 농도-시간 프로파일;• Concentration-time profile of masimorelin;

ㆍ타겟 파라미터: AUC, Cmax, Tmax, T1/2.ㆍTarget parameters: AUC, C max , T max , T 1/2 .

약력학pharmacodynamics

ㆍGH의 농도-시간 프로파일;• Concentration-time profile of GH;

ㆍ타겟 파라미터: Cmax, Tmax;ㆍTarget parameters: C max , T max ;

ㆍ예비 PK/PD: 마시모렐린의 Tmax 대 GH의 Tmax; 마시모렐린의 Cmax 대 GH의 Cmax. • Preliminary PK/PD: T max of Masimorelin vs. T max of GH; C max of marshmorelin vs. C max of GH .

기타Etc

ㆍGHD로 의심되는 소아 환자의 진단 목적용 권고 투여량의 확립;• Establishment of recommended doses for diagnostic purposes in pediatric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GHD;

ㆍ소아 환자의 GHD 진단을 확립하기 위한, 차후 검사용 적절한 GH 종지점의 분석.• Analysis of appropriate GH endpoints for follow-up examination, to establish a diagnosis of GHD in pediatric patients.

통계적 방법:Statistical method:

모든 통계적 분석은 사실상 탐색적으로 여겨진다. 데이터 세트는 SAS 버전 9.3 이상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All statistical analyzes are considered exploratory in nature. Data sets were analyzed using SAS version 9.3 or later.

일반적으로, 양적 변수의 요약 통계(n, 산술 평균, 표준 편차, 중간값, 최소값, 및 최대값) 및 질적 자료의 빈도표는 투여 그룹에 의해 나타났다.In general, summary statistics of quantitative variables (n, arithmetic mean, standard deviation, median, minimum, and maximum) and frequency tables of qualitative data were presented by administration group.

마시모렐린 PK: PK 파라미터는 PK 분석 세트(PKS)를 위해 분석되었고, n(측정수), 산술 평균, 표준 편차 및 변동 계수(CV), 중간값, 최소값, 최대값에 의해, 또한 (Tmax 제외됨) 기하 평균, 기하 표준 편차, 및 기하 CV에 의해 요약된다. Tmax에 대해, 추가적으로 중간값, 최소값, 및 최대값뿐만 아니라, 빈도수가 나타났다. Masimorelin PK: PK parameters were analyzed for the PK analysis set (PKS), by n (number of measurements), arithmetic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CV), median, minimum, maximum, and also (T max excluded) by geometric mean,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and geometric CV. For T max , additional median, minimum, and maximum values, as well as frequencies, were shown.

마시모렐린 PD: PK 자료의 유효성과는 무관하게, GH 농도 자료가 PD 분석 세트(PDS)를 위해 분석되었다. GH 피크 농도는 임상 진단 방법의 결과와 연관되었다(GHD 확인 여부의 진단). Masimorelin PD: Regardless of the validity of the PK data, GH concentration data were analyzed for the PD Analysis Set (PDS). The GH peak concentration was correlated with the outcome of the clinical diagnostic method (diagnosing whether or not GHD was confirmed).

PK/PD 분석: 개별 환자의 마시모렐린의 혈장 농도는 임상 진단 방법의 결과뿐만 아니라(GHD 확인 여부의 진단), 동일 시점에서의 각각의 GH 농도와 연관되었다. PK/PD analysis: Plasma concentrations of masimorelin in individual patients were correlated with each GH concentration at the same time, as well as outcomes of clinical diagnostic methods (diagnosing whether GHD was confirmed).

결과 및 결론:Results and Conclusions:

총 27명의 스크린된 환자 중, 24명의 환자가 마시모렐린 검사를 투여받았고, 3개의 투여 코호트 각각에는 8명의 환자가 있었다(C1, C2, 및 C3).Of a total of 27 screened patients, 24 patients received the masimorelin test, and there were 8 patients in each of the 3 dosing cohorts (C1, C2, and C3).

그러므로, PK 분석 세트(PKS), PD 분석 세트(PDS), 및 PK/PD 세트뿐만 아니라, 안전성 개체군(SAF)은 24명의 환자로 구성되었다.Therefore, the PK analysis set (PKS), PD analysis set (PDS), and PK/PD set, as well as the safety population (SAF) consisted of 24 patients.

베이스라인 특성:Baseline characteristics:

전체적으로, 환자 17명(70.8%)은 남성이었고, 7명(29.2%)은 여성이었으며, 100%가 백인종이었다. 스크리닝에서, 3개의 모든 투여 코호트의 중위 파라미터는, 나이 10.5세(범위: 4 내지 15세), 신장 123.35cm(범위: 46.0 내지 152.5cm), 체중 25.5kg(범위: 12 내지 43kg), 및 체질량지수(BMI) 16.1kg/m2(범위: 12.4 내지 21.4kg/m2)이었다.Overall, 17 patients (70.8%) were male, 7 patients (29.2%) were female, and 100% were Caucasian. At screening, the median parameters for all three dosing cohorts were: age 10.5 years (range: 4-15 years), height 123.35 cm (range: 46.0-152.5 cm), body weight 25.5 kg (range: 12-43 kg), and body mass The index (BMI) was 16.1 kg/m 2 (range: 12.4 to 21.4 kg/m 2 ).

태너 상태는 다음과 같이 분포되었다: C3뿐만 아니라 C1 내, 4명의 환자가 태너 I를 나타냈고, 4명의 환자가 태너 II를 나타냈으며, C2 내 5명의 환자가 태너 I를 나타내고, 3명의 환자가 태너 II를 나타냈다. 성 호르몬 주입이 C3 내 2명의 남성 환자에 대해, 테스토스테론 데포제의 근육내 주사 투여로 적용되었다.Tanner status was distributed as follows: in C3 as well as in C1, 4 patients exhibited Tanner I, 4 patients exhibited Tanner II, 5 patients in C2 exhibited Tanner I, and 3 patients exhibited Tanner I. Shown Tanner II. Sex hormone injection was applied by intramuscular injection administration of testosterone depot to 2 male patients in C3.

베이스라인 병력에 관하여는, C2 내 2명의 환자에 대해서만 다른 뇌하수체 축의 결핍증(즉, 갑상선 결핍증)이 보고되었다. 표준 '정밀 검사'의 일부로서, IGF-1 및 IGF-BP3 값이 지역 진단 기준에 따라 수집된 전자 증례 기록지(eCRF)에서 발견되었다.As for the baseline history, another pituitary axis deficiency (ie, thyroid deficiency) was reported for only 2 patients in C2. As part of a standard 'workup', IGF-1 and IGF-BP3 values were found on electronic case records (eCRFs) collected according to local diagnostic criteria.

IGF-1 값은 C1 내 7명의 환자, C2 및 C3 내 각각 8명의 환자에 나타났고, 중간값은 C1에서 88.00μg/L(SD 68.72), C2에서 100.00μg/L(SD 97.90), 및 C3에서 119.50μg/L(SD 68.88)이었다. IGF-BP3 값은 C3 내 1명의 환자에 대해 입수되었다.IGF-1 values were present in 7 patients in C1 and 8 patients each in C2 and C3, with median values of 88.00 μg/L in C1 (SD 68.72), 100.00 μg/L in C2 (SD 97.90), and C3. at 119.50 μg/L (SD 68.88). IGF-BP3 values were obtained for one patient in C3.

골연령은 102.2개월의 중간값을 나타냈다(범위: 24 내지 156개월). 발육 파라미터의 일부로서, 신장 SDS는 중간값이 -2.35이었고(범위: -3.2 내지 1.7), BMI SDS의 중간값은 -0.60(범위: -2.1 내지 2.0), 및 연간 신장 속도 SDS의 중간값은 -1.50(범위: -3.3 내지 0.5)이었다.Bone age showed a median value of 102.2 months (range: 24-156 months). As part of the developmental parameters, the median renal SDS was -2.35 (range: -3.2 to 1.7), the median BMI SDS was -0.60 (range: -2.1 to 2.0), and the median annual renal rate SDS was -1.50 (range: -3.3 to 0.5).

SGHST: 전체적으로, ITT는 22명의 환자에 투여되었고(즉, 내원 1(V1)에 5명의 환자(20.8%) 및 내원 3(V3)에 17명의 환자(70.8%)), 아르기닌은 V1에 8명의 환자(33.3%)에 투여되었으며, 클로니딘은 16명의 환자에 투여되었다(즉, V1에 11명의 환자(45.8%) 및 V3에 5명의 환자(20.8%)). 글루카곤은 1명의 환자에만 투여되었고, L-도파는 전혀 투여되지 않았다. SGHST: Overall, ITT was administered to 22 patients (ie, 5 patients (20.8%) at visit 1 (V1) and 17 patients (70.8%) at visit 3 (V3)) and arginine in 8 patients at V1 Patients (33.3%) were administered and clonidine was administered to 16 patients (ie, 11 patients (45.8%) in V1 and 5 patients (20.8%) in V3). Glucagon was administered to only one patient and no L-dopa was administered.

마시모렐린에 대한 치료 순응도는 3개의 모든 코호트에서 100%였다.Treatment compliance to marshmorelin was 100% in all three cohorts.

약동학 및 약력학 결과: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Results:

혈장 농도 자료Plasma Concentration Data

일반적으로, 마시모렐린 혈장 농도는 높은 개인 간 변동성과 함께, 투여량 의존적 증가(도 1)를 나타냈다. 마시모렐린 투여 후의 혈장 농도는, 0.25 내지 2시간에 관찰되는 최고 수준의 급격한 증가를 나타냈다. 투여 후 6시간에 마지막 샘플링을 한 시점에는, 혈장 농도는 강하게 감소해 있었다.In general, masimorelin plasma concentrations displayed a dose-dependent increase ( FIG. 1 ), with high inter-individual variability. Plasma concentration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showed a sharp increase with the highest level observed between 0.25 and 2 hours. At the time of the last sampling, 6 hours post-dose, plasma concentrations were strongly reduced.

약동학:Pharmacokinetics:

일반적으로, 마시모렐린 혈장 농도는 높은 개인 간 변동성과 함께, 투여량 의존적 증가(도 1)를 나타냈다. 마시모렐린 투여 후의 혈장 농도는, 0.25 내지 2시간에 관찰되는 최고 수준의 급격한 증가를 나타냈다. 투여 후 6시간에 마지막 샘플링을 한 시점에는, 혈장 농도는 강하게 감소해 있었다.In general, masimorelin plasma concentrations displayed a dose-dependent increase ( FIG. 1 ), with high inter-individual variability. Plasma concentration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showed a sharp increase with the highest level observed between 0.25 and 2 hours. At the time of the last sampling, 6 hours post-dose, plasma concentrations were strongly reduced.

마시모렐린의 AUC 및 Cmax는 투여량 의존적 증가를 나타내고, 산술 평균 AUC0-6은 C1에서 6.69h*ng/mL, C2에서 18.02h*ng/mL, C3에서 30.92h*ng/mL이며, 산술 평균 Cmax은 C1에서 3.46ng/mL, C2에서 8.13ng/mL, 및 C3에서 12.87ng/mL이다(표 2).AUC and C max of masimorelin show a dose-dependent increase, with an arithmetic mean AUC0-6 of 6.69 h*ng/mL at C1, 18.02 h*ng/mL at C2, and 30.92 h*ng/mL at C3, The arithmetic mean C max is 3.46 ng/mL for C1, 8.13 ng/mL for C2, and 12.87 ng/mL for C3 (Table 2).

평균 Tmax는 3개의 모든 그룹 간에 비슷하고, 산술 평균은 C1에서 45.5분, C2에서 40.6분, 및 C3에서 31.9분이다. 평균 T1/2는 투여량이 많을수록 약간의 증가를 나타내고, 즉, C1에서 73.18분, C2에서 96.31분, 및 C3에서 102.85분이다.The mean T max was similar among all three groups, and the arithmetic mean was 45.5 min at C1, 40.6 min at C2, and 31.9 min at C3. The mean T 1/2 shows a slight increase with higher doses, ie, 73.18 min at C1, 96.31 min at C2, and 102.85 min at C3.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약력학:Pharmacodynamics: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GH 농도는 마시모렐린 투여 후에 증가하고 있으며,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값이 더 높아지는 경향을 갖는다. 큰 개인 간 변동성은, GHD를 갖는 것으로 의심되는 사람이 있는 관찰된 개체군에서 예상된다.As shown in FIG. 2 , the GH concentration is increasing after masimorelin administration, and the value tends to become higher as the dose increases. Large inter-individual variability is expected in the observed population with persons suspected of having GHD.

마시모렐린 투여 후, 피크 GH 수준은 C1에서 0.5 내지 1시간 내에(평균 Tmax는 52.5분(SD 11.3)), C2에서 0.25 내지 1시간 내에(평균 Tmax는 37.5분(SD 13.9)), 및 C3에서 0.5 내지 0.75시간 내에(평균 Tmax는 37.5분(SD 8.0)) 관찰된다(표 3 참조).After masimorelin administration, peak GH levels are within 0.5 to 1 hour at C1 (mean T max is 52.5 minutes (SD 11.3)) and 0.25 to 1 hour at C2 (mean T max is 37.5 minutes (SD 13.9)), and within 0.5 to 0.75 h at C3 (mean T max is 37.5 min (SD 8.0)) (see Table 3).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GH 종지점에 대한 탐색적 분석:Exploratory analysis for GH endpoints:

GHD 진단에 의한 피크 GH 값은 GHST 결과 및 연구원의 평가에 기반하여 비교하였다. 종지점으로서 검사된 GH 값의 진단 특성(즉, 민감도, 특이도, 및 유덴 지수(비가중, 가중))은 진단 특성의 가장 확실한 표현으로 열거되었고, C1에서 피크 GH는 10.03ng/mL이었으며, C2에서 피크 GH는 10.43ng/mL이었고, C3에서 피크 GH는 17.13ng/mL이었다.Peak GH values by GHD diagnosis were compared based on GHST results and the investigator's evaluation. The diagnostic properties of the tested GH values as endpoints (i.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Yuden index (unweighted, weighted)) were listed as the most definitive representations of the diagnostic properties, with a peak GH in C1 of 10.03 ng/mL, Peak GH at C2 was 10.43 ng/mL and peak GH at C3 was 17.13 ng/mL.

GHST의 진단 결과는 표 4에 나타냈다. 이 표에서, sGHST의 진단 결과는, 두 sGHST가 제공되고, 두 sGHST가 피크 GH≤7ng/mL이면 ‘확인됨’으로, 1개 이상의 피크가 7ng/mL 초과이면 ‘미확인됨’으로 여겨진다. 결과 ‘미확인됨’은, 두 sGHST 결과가 제공되고, GH 피크가 7ng/mL 초과이면 ‘제외됨’으로, 상술한 어느 것에도 맞지 않는 경우이면 ‘불분명함’으로 분류된다. 연구원의 평가는 지역 진단 표준 실무에 기반하였다. 마시모렐린 GHST는 개별 피크 GH 값으로부터 계산된 종지점과 대비하여 검사되었다.The diagnostic results of GHST are shown in Table 4. In this table, the diagnostic result of sGHST is considered ‘confirmed’ if two sGHSTs are provided, and both sGHSTs have a peak GH≤7ng/mL, and ‘unconfirmed’ if one or more peaks are greater than 7ng/mL. Results 'unconfirmed' are classified as 'excluded' if two sGHST results are provided and a GH peak > 7 ng/mL, and 'unclear' if none of the above are met. The Investigator's evaluation was based on local diagnostic standard practice. Masimorelin GHST was tested against endpoints calculated from individual peak GH values.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상술한 고려 사항에 기반하여, 표 4는 책임 연구원(PI)의 평가 및 두 sGHST의 결과 간의 일치를 나타낸다: 21명(87.5%)의 환자(즉, 8개의 확인됨 및 13개의 미확인됨)에 대해, 연구원의 평가 및 sGHST 결과 간의 일치가 있었다. 3명(12.5%)의 환자에 대해, 연구원은 GHD로 결론지었지만, sGHST는 진단이 제외되거나(1명의 환자) 불분명했다(2명의 환자).Based on the above considerations, Table 4 shows the agreement between the PI's assessment and the results of both sGHSTs: in 21 (87.5%) patients (i.e., 8 confirmed and 13 unconfirmed). , there was agreement between the investigator's assessment and the sGHST results. For 3 (12.5%) patients, the investigator concluded with GHD, but sGHST excluded the diagnosis (1 patient) or was unclear (2 patients).

게다가, 진단 결과는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표 5): 마시모렐린 GHST는, 3개의 모든 코호트에서 연구원이 ‘GHD’로 평가한 11명의 전체 환자 중, C2 내 1명(9.09%)의 환자에 대해서만, ‘GHD 미확인됨’을 나타낸다.Furthermore, the diagnostic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able 5): Masimorelin GHST was 1 in C2 (9.09%) of 11 total patients assessed as 'GHD' by the investigator in all 3 cohorts. 'GHD unconfirmed', only for patients of .

GHD를 갖는 것이 ‘미확인됨’으로 연구원이 평가한 총 13명의 환자 중, 마시모렐린 GHST는 각각, C1 내 3명(23.08%)의 환자에 대해, C3 내 1명(7.69%)의 환자에 대해 GHD를 확인했다.Of a total of 13 patients assessed by the investigator as 'unconfirmed' to have GHD, masimorelin GHST was administered in 3 (23.08%) patients in C1 and 1 (7.69%) in C3 patients, respectively. GHD was checked.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상기에서 나타난 자료를 고려하면, 마시모렐린 검사의 가장 강한 검사 특성은 C3에서 관찰된다: GH 분비는 8명의 모든 환자에 대해 분명히 자극되었다. 최종적으로, 단일 검사로서 적용된 마시모렐린 GHST의 결과는, 8명 중 7명의 대상에 대해, PI 평가뿐만 아니라, 2회의 sGHST의 조합의 결과와의 일치를 나타냈다.Considering the data presented above, the strongest test characteristic of the masimorelin test is observed at C3: GH secretion was clearly stimulated in all eight patients. Finally, the results of masimorelin GHST applied as a single test showed agreement with the results of the combination of two sGHSTs as well as the PI assessment for 7 out of 8 subjects.

수용자 반응 특성(ROC) 분석Receptor Response Characteristics (ROC) Analysis

검사된 모든 GH 종지점에 있어서, C1의 ROC 곡선은 C2 및 C3과 비교하면, 가장 낮은 민감도 및 특이도를 나타낸다(도 3). 곡선 아래 관련 면적(AUC)은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고 있다.For all GH endpoints tested, the ROC curve of C1 showed the lowes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compared to C2 and C3 ( FIG. 3 ). The relevant area under the curve (AUC) increases with increasing dose.

3개의 코호트 간의 GH 종지점의 특성을 비교하면, C3의 17.130ng/mL의 GH 종지점과 1.0의 민감도, 0.8의 특이도, 유덴 지수≥0.80, 및 0.93의 ROC AUC가 가장 강한 검사 특성을 나타낸다(표 6 참조).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H endpoints between the three cohorts, the GH endpoint of 17.130 ng/mL of C3 and the sensitivity of 1.0, specificity of 0.8, Yuden index ≥ 0.80, and ROC AUC of 0.93 show the strongest test characteristics. (See Table 6).

민감도 분석은, ‘확인됨’ 대 ‘미확인됨’으로 분류된 sGHST의 검사 결과에 기반한 ROC AUC 개발을 관찰하여 수행되었다. 다시, C2(민감도 0.75, 특이도 0.75, ROC AUC 0.563) 및 C1(민감도 1.0, 특이도 0.71, ROC AUC 0.714)과 비교하여, 가장 강한 검사 특성, 예를 들면, 1.00의 민감도, 0.80의 특이도, 및 0.933의 ROC AUC가 C3에서 나타났다.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by observing the development of ROC AUC based on test results of sGHST classified as ‘confirmed’ versus ‘unconfirmed’. Again, compared to C2 (sensitivity 0.75, specificity 0.75, ROC AUC 0.563) and C1 (sensitivity 1.0, specificity 0.71, ROC AUC 0.714), the strongest test characteristic, e.g., a sensitivity of 1.00, a specificity of 0.80 , and ROC AUC of 0.933 were shown in C3.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6

PK 및 PD 요약PK and PD Summary

전체적으로, C1, C2, 및 C3의 마시모렐린 PK 및 PD는 비슷한 프로파일을 나타낸다:Overall, masimorelin PK and PD of C1, C2, and C3 show similar profiles:

ㆍ마시모렐린 Tmax는 3개의 모든 그룹에서 비슷했고, 평균 Tmax 값은 약 0.5 내지 0.75시간이다;• Marsimorelin T max was similar in all three groups, with mean T max values of about 0.5 to 0.75 hours;

ㆍ평균 마시모렐린 Cmax는 투여량 비례 증가를 나타낸다;• mean masimorelin C max shows a dose proportional increase;

ㆍAUC는 마시모렐린 투여량에 따라 증가한다;• AUC increases with masimorelin dose;

ㆍ최대 GH 분비는 마시모렐린 투여 후 0.25 내지 2시간에 관찰되고, 평균 Tmax 값은 약 0.5 내지 1시간이다.ㆍMaximum GH secretion is observed 0.25 to 2 hours after masimorelin administration, and the mean T max value is about 0.5 to 1 hour.

1.0mg/kg 체중의 마시모렐린 투여 시의 C3에서, AUC 및 Cmax의 최대값이 관찰된다. 게다가, 민감도 분석은, 대략 17ng/mL GH 종지점과 0.80의 특이도, 1.00의 민감도, 0.80의 유덴 지수, 및 0.933의 ROC AUC로 나타나는 가장 강한 검사 특성을 갖는 C3에서의 투여를 뒷받침한다.At C3 upon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at 1.0 mg/kg body weight, the maximum values of AUC and C max are observed. Moreover, the sensitivity analysis supports dosing at C3, which has the strongest assay characteristics exhibited by an approximate 17 ng/mL GH endpoint and a specificity of 0.80, a sensitivity of 1.00, a Yuden index of 0.80, and a ROC AUC of 0.933.

안전성 결과:Safety Results:

전체적으로, 88건의 AE가 SAF의 23명의 환자에게서 관찰되었고, 즉, C1 내 8명의 환자에게서 27건의 사상, C2 내 8명의 환자에게서 28건의 사상, 및 C3 내 7명의 환자에게서 33건의 사상이 관찰되었다. Overall, 88 AEs were observed in 23 patients with SAF, i.e., 27 events in 8 patients in C1, 28 events in 8 patients in C2, and 33 events in 7 patients in C3. .

총 70건의 치료 유발 유해 사상(TEAE)가 SAF의 21명의 환자에게서 관찰되었고, 즉, C1 내 8명의 환자에게서 22건의 사상, C2 내 6명의 환자에게서 24건의 사상, 및 C3 내 7명의 환자에게서 24건의 사상이 관찰되었다. A total of 70 treatment-induced adverse events (TEAEs) were observed in 21 patients with SAF, i.e., 22 events in 8 patients in C1, 24 events in 6 patients in C2, and 24 events in 7 patients in C3. Suggestions were observed.

마시모렐린 검사와 관련된 것으로 보고된 reported to be related to the marshmorelin test TEAE는 없었다There was no TEAE ..

이 시험의 과정에서, 보고된 SAE 또는 중증 TEAE는 없었다. 환자의 중단으로 이어지는 AE 또는 TEAE는 보고되지 않았다.During the course of this trial, there were no reported SAEs or severe TEAEs . No AEs or TEAEs leading to patient discontinuation were reported.

대부분의 AE는 ITT와 관련되었고, 즉, 21명(91.3%)의 환자에게서 62건(70.5%)의 사상이 관련되었다. 클로니딘 관련 AE(13건(14.8%))는 7명(30.4%)의 환자에게서 관찰되었고, 아르기닌 관련 AE는 1명(4.3%)의 환자에게서 보고되었다. ITT는 22명의 환자에 투여되었고, 아르기닌은 8명(33.3%)의 환자에 투여되었으며, 클로니딘은 16명의 환자에 투여되었고, 글루카곤은 1명의 환자에만 투여되었음에 유의해야 한다.Most AEs were related to ITT, ie, 62 events (70.5%) were related in 21 (91.3%) patients. Clonidine-related AEs (13 (14.8%)) were observed in 7 (30.4%) patients, and arginine-related AEs were reported in 1 (4.3%) patient. It should be noted that ITT was administered to 22 patients, arginine was administered to 8 (33.3%) patients, clonidine was administered to 16 patients, and glucagon was administered to only 1 patient.

AE로서, 감염성 질병, 단일 사례의 항문 열창, 및 sGHST에 사용되는 검사 제제의 부작용이 보고되었다.As AEs, infectious disease, a single case of anal fissure, and adverse events of the test formulation used for sGHST have been reported.

AE는 주로 가벼운 정도 내지 중간 정도의 강도였다. ITT 관련 AE는 이 sGHST의 임상 종점인 저혈당증의 증상(예를 들면, 떨림, 발한)을 포함했다. 클로니딘과 관련하여, 이 sGHST 제제의 부작용으로 알려진 저혈압 관련 증상이 보고되었다.AEs were mainly of mild to moderate intensity. ITT-related AEs included symptoms of hypoglycemia (eg, tremor, sweating) that were the clinical endpoints of this sGHST. With regard to clonidine, hypotension-related symptoms known as side effects of this sGHST agent have been reported.

코호트 1 내 1명의 환자의 TEAE로서, 심한 정도의 강도가 보고되었다: 예상되는 저혈당증의 일부로서 5건의 AE(즉, 심계 항진, 빈맥, 배고픔, 다한증, 및 떨림)가, ITT 동안 HU01-01 환자에게서 발생했다.As a TEAE of one patient in Cohort 1, a severe severity was reported: 5 AEs (ie, palpitations, tachycardia, hunger, hyperhidrosis, and tremor) as part of expected hypoglycemia, HU01-01 patient during ITT occurred from

임상 실험실, 생명 징후, 신체 검사, ECG:Clinical laboratory, vital signs, physical examination, ECG:

안전성 임상 실험실 파라미터, 생명 징후, 및 신체 검사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는다. ECG 파라미터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이상 및 유의미한 변화는 기재되지 않는다.No clin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safety clinical laboratory parameters, vital signs, and physical examination. Clinically significant abnormalities and significant changes in ECG parameters are not described.

내약성 설문지:Tolerability questionnaire:

GHST 내약성 설문지가 환자 또는 부모/법정후견인에 의해 작성되었다.The GHST tolerability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the patient or parent/legal guardian.

전체적으로, 3개의 모든 투여 그룹에서 마시모렐린에 대해, 미리 정해진 문구에 대한 다수의 동의 또는 강한 동의가 있었다.Overall, there was a majority or strong agreement for the pre-determined phrase for masimorelin in all three dosing groups.

C1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맛'과 관련하여 1건, '다음 날에 위장 상태가 좋음'과 관련하여 1건의 미동의가 기재되었다. '다음 날에 배변'에 대한 강한 미동의가 1건 체크 표시되었다.In C1, 1 case of 'acceptable taste' and 1 case of disagreement regarding 'good stomach condition the next day' were recorded. 1 case of strong disagreement with 'a bowel movement the next day' was checked.

C2의 어느 마시모렐린 검사 관련 설문지상에도, 강한 미동의 또는 미동의가 기재되지 않았다. No strong disagreement or disagreement was recorded on any of the C2 massimorelin test-related questionnaires.

C3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맛'에 대한 1건의 미동의가 기재되었다. In C3, there was one non-consent to 'acceptable taste'.

수기 평가에서, 마시모렐린 GHST 후에 2명의 환자가 '쓴 맛'을 보고했다. 이 평가들은 연구원에 의해 AE로서 평가되지 않았다.In the handwritten evaluation, two patients reported a 'bitter taste' after masimorelin GHST. These assessments were not evaluated as AEs by the investigator.

전체적으로, 마시모렐린 검사 후에 환자 또는 부모/법정후견인에 의해 제공된 피드백은, 검사의 양호한 내약성 및 안전성을 입증한다.Overall, the feedback provided by the patient or parent/guardian after the masimorelin test demonstrates good tolerability and safety of the test.

결론:conclusion:

이 시험은, GHD로 의심되는 소아 환자에 대해, 0.25mg/kg, 0.5mg/kg, 및 1.0mg/kg의 단일 경구 투여 후, 마시모렐린 아세테이트의 안전성, 내약성, PK 및 PD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게다가, 이 시험은, 검사 유효 시험 내 추가 검사를 위해 적절한 마시모렐린 투여량의 확인과, 또한 검사용 GH 종지점의 분석을 제공한다.This trial was conducted to study the safety, tolerability, PK and PD of masimorelin acetate following single oral doses of 0.25 mg/kg, 0.5 mg/kg, and 1.0 mg/kg in pediatric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GHD. carried out In addition, this trial provides for the identification of appropriate masimorelin doses for further testing within the test efficacy trial, and also the analysis of test GH endpoints.

3개의 모든 투여 코호트에서, 마시모렐린의 혈장 수준에 대한 Cmax 및 Tmax는 성인 개발 프로그램으로부터 예상되는 범위 내인 것을 알아냈다.In all three dosing cohorts, the C max and T max for plasma levels of masimorelin were found to be within the expected ranges from the adult development program.

관찰된 소아 개체군에서, 평균 AUC0-6(6.69 대 18.02 대 30.92h*ng/mL)뿐만 아니라, 마시모렐린 Cmax의 투여량 의존적 증가(3.46 대 8.13 대 12.87ng/mL)가 관찰되었다. 제거 반감기 t1/2는 1.25 내지 1.75h의 범위 내였다.In the observed pediatric population, a dose-dependent increase in masimorelin C max (3.46 vs. 8.13 vs. 12.87 ng/mL) was observed as well as mean AUC0-6 (6.69 vs. 18.02 vs. 30.92 h*ng/mL). The elimination half-life t 1/2 was in the range of 1.25 to 1.75 h.

일반적으로, 소아 개체군의 PK 파라미터는 성인의 PK 파라미터와 비슷한 범위 내였다.In general, PK parameters in the pediatric population were within a range similar to those of adults.

0.25mg/kg의 마시모렐린 투여량(C1)은 아동의 GH 분비의 최대 자극을 야기하지 않았고, 이는 PI 평가 및 sGHST의 결과에 대한 분석된 GH 종지점의 일치 여부의 비교뿐만 아니라, PK/PD 자료의 검토를 통해 명백해졌다.Masimorelin dose (C1) of 0.25 mg/kg did not result in maximal stimulation of GH secretion in children, which resulted in a comparison of the consistency of the analyzed GH endpoints to the results of the PI assessment and sGHST, as well as the PK/PD It became clear through a review of the data.

0.5mg/kg의 투여량(C2)은 강한 GH 분비, 0.80의 ROC AUC뿐만 아니라, 마시모렐린 GHST 대 sGHST에 기반한 책임 연구원(PI) 평가 간의 강한 수준의 일치를 나타냈다. 하지만, 1.0mg/kg의 투여량(C3)은, 아마 모든 대상에 대한 충분히 강한 마시모렐린 노출로 인해, 보다 지속적이고 강한 GH 자극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A dose of 0.5 mg/kg (C2) showed strong GH secretion, a ROC AUC of 0.80, as well as a strong level of agreement between the principal investigator (PI) assessment based on masimorelin GHST versus sGHST. However, a dose of 1.0 mg/kg (C3) appears to lead to more sustained and stronger GH stimulation, probably due to sufficiently strong masimorelin exposure for all subjects.

최종적으로, 민감도 분석은, 대략 17ng/mL GH의 종지점과 0.80의 특이도, 1.00의 민감도, 0.80의 유덴 지수, 및 0.93의 ROC AUC로 나타나는 가장 강한 검사 특성을 갖는 C3에서의 투여를 뒷받침한다.Finally, the sensitivity analysis supports dosing at C3, which has the strongest assay characteristics, with an endpoint of approximately 17 ng/mL GH and specificity of 0.80, sensitivity of 1.00, Yuden index of 0.80, and ROC AUC of 0.93. .

게다가, 마시모렐린 GHST의 결과는, 책임 연구원에 의해 평가되는 최종 진단뿐만 아니라, 2회의 표준 GHST의 결과와 놀랍게 높은 일치를 나타냈다. C3에서, GH 분비가 8명의 모든 환자에 대해, 분명히 자극되었다. 최종적으로, 단일 검사로서 적용된 마시모렐린 GHST의 결과는, 8명 중 7명의 대상에 대해, PI 평가뿐만 아니라, 2회의 sGHST의 조합의 결과와의 일치를 나타냈다.Moreover, the results of the masimorelin GHST showed a surprisingly high agreement with the results of the two standard GHSTs, as well as the final diagnosis evaluated by the principal investigator. At C3, GH secretion was clearly stimulated, for all 8 patients. Finally, the results of masimorelin GHST applied as a single test showed agreement with the results of the combination of two sGHSTs as well as the PI assessment for 7 out of 8 subjects.

결론적으로, 3개의 모든 투여 코호트에서, 마시모렐린은 관찰된 개체군에서 어떠한 보고된 AE도 없이, 양호한 안전성 및 내약성을 나타냈다. PK 및 PD 프로파일은 성인 개발 프로그램으로부터 예상되는 범위 내이다. 첫번째 소아 시험에서 마시모렐린의 전체적인 특성은, 시험 유효성에 대한 3상 시험의 연구에서 1.0mg/kg의 마시모렐린 투여량을 선택하는 것을 뒷받침한다.In conclusion, in all three dosing cohorts, masimorelin showed good safety and tolerability, with no reported AEs in the observed population. PK and PD profiles are within the expected range from an adult development program. The overall properties of masimorelin in the first pediatric trial supported the selection of a masimorelin dose of 1.0 mg/kg in the study of a phase 3 trial of trial efficacy.

참조 목록reference list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09

Claims (39)

하기를 포함하는, 마시모렐린을 사용하여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진단하는 스크리닝 방법:
(a)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에 대상으로부터 얻은 1 내지 5개의 혈액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제공된 각 혈액 샘플의 성장 호르몬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c) 단계 (b)에서 얻은 측정된 성장 호르몬 수준을 단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단일 임계값은 10.0ng/mL 이상인 단계;
(d) 단계 (b)에서 얻은 혈액 샘플에서 가장 높은 성장 호르몬 수준이 상기 단일 임계값보다 낮은 대상을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b)에서 얻은 혈액 샘플에서 가장 높은 성장 호르몬 수준이 상기 단일 임계값보다 낮지 않은 대상을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A screening metho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a pediatric patient using masimorelin, comprising:
(a) providing 1 to 5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within the range of about 1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an amount of masimorelin effective to induce growth hormone secretion;
(b) measuring the growth hormone level in each blood sample provided in step (a);
(c) comparing the measured growth hormone level obtained in step (b) with a single threshold, wherein the single threshol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0.0 ng/mL;
(d) determining as hav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the subject having the highest growth hormone level in the blood sample obtained in step (b) below said single threshold, wherein the highest growth hormone level in the blood sample obtained in step (b) is determining a subject not lower than the single threshold as not hav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임계값은 약 10.0 내지 약 25.0ng/mL, 바람직하게는 약 10.2 내지 약 20.0n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0 내지 약 19.0n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4.0 내지 약 18.0ng/mL,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6.0 내지 약 18.0ng/mL,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7.0 내지 약 18.0ng/mL의 범위 내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ingle threshold is from about 10.0 to about 25.0 ng/mL, preferably from about 10.2 to about 20.0 ng/mL, more preferably from about 12.0 to about 19.0 ng/mL, more preferably from about 14.0 to about 18.0 ng/mL. mL, more preferably from about 16.0 to about 18.0 ng/mL, and most preferably from about 17.0 to about 18.0 ng/m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1 내지 4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1 내지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2 또는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는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1 to 4 blood samples are provided in step (a), preferably 1 to 3 blood samples are provided in step (a), more preferably 2 or 3 blood samples are provided in step (a) how to b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상기 혈액 샘플은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20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95분의 범위 내,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90분의 범위 내에 대상으로부터 얻어지는 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n step (a), the blood sample is administered within a range of about 20 to about 100 minute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about 25 to about 100 minutes, more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about 25 to about 95 minutes, and most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about 30 to about 90 minutes.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개 초과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면, 상기 혈액 샘플은 약 10 내지 약 60분 간격,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30분 간격으로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지는 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 more than one blood sample is provided, said blood sample is obtained from said subject at about 10 to about 60 minute intervals, preferably about 15 to about 30 minute intervals.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상기 혈액 샘플은 혈청 샘플 또는 혈장 샘플인 방법.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method in step (a) wherein the blood sample is a serum sample or a plasma sample.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대상 체중 kg당 약 0.8mg 내지 약 1.2mg의 마시모렐린이 투여되고,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대상 체중 kg당 약 1.0mg의 마시모렐린이 투여되는 방법.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method wherein in step (a) about 0.8 mg to about 1.2 mg of masimorelin per kg of subject's body weight is administered, and preferably, in step (a), about 1.0 mg of masimorelin per kg of subject's body weight is administered.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상기 마시모렐린의 투여는 경구 투여인 방법.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In step (a), the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s oral administration.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60±3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1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는 방법.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method wherein one blood sample obtained from said subject is provided about 60±3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및 약 45±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2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는 방법.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wo blood samples obtained from said subject are provided at about 30±10 minutes and about 45±1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및 약 6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2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는 방법.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wo blood samples obtained from said subject are provided at about 30±10 minutes and about 60±1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약 45±10분, 및 약 6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거나,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약 45±10분, 및 약 9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거나,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약 60±10분, 및 약 9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는 방법.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ree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are provided at about 30±10 minutes, about 45±10 minutes, and about 60±10 minute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o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Three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are provided at about 30±10 minutes, about 45±10 minutes, and about 90±10 minutes after, or about 30±10 minutes, about 60 minutes after masimorelin administration in step (a) A method in which three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are provided at ±10 minutes, and at about 90 ±10 minutes.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및 선택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하고,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및 선택적으로 사카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하는 방법.
1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Administering masimorelin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further comprising masimorelin and optionally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 in step (a), preferably comprising masimorelin and optionally saccharin in step (a) A method of administering marshmorelin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약 3.5%(w/w)의 유리 염기로서 계산되는 마시모렐린, 약 93.1%(w/w)의 분무 건조 락토오스 모노하이드레이트, 약 2.0%(w/w)의 A형 크로스포비돈, 약 0.1%(w/w)의 콜로이드성 실리콘 디옥사이드, 약 1.0%(w/w)의 소듐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및 약 0.3%(w/w)의 사카린 소듐 디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하는 방법.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Masimorelin calculated as about 3.5% (w/w) free base in step (a), about 93.1% (w/w) spray dried lactose monohydrate, about 2.0% (w/w) type A cross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comprising povidone, about 0.1% (w/w) colloidal silicon dioxide, about 1.0% (w/w) sodium stearyl fumarate, and about 0.3% (w/w) saccharin sodium dihydrate How to administer Masimorelin.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2세 내지 18세 미만의 인간 아동인 방법.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wherein said subject is a human child between the ages of 2 and less than 18 years of age.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독자적인 검사이고, 반복될 필요가 없으며,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신뢰할 수 있게 진단하기 위한 대안적 성장 호르몬 자극 검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방법.
1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The method is a stand-alone test, does not need to be repeated, and does not require an alternative growth hormone stimulation test for reliably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pediatric patients.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d)에 따라 상기 대상이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오직 단일 마시모렐린 투여에 의한 성장 호르몬 수준 유도에 기반하는 방법.
1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A method wherein the determining according to step (d) whether the subject has growth hormone deficiency is based solely on induction of growth hormone levels by a single masimorelin administration.
하기를 포함하는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 진단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
(a)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에 대상으로부터 얻은 1 내지 5개의 혈액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제공된 각 혈액 샘플의 성장 호르몬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c) 단계 (b)에서 얻은 측정된 성장 호르몬 수준을 단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단일 임계값은 10.0ng/mL 이상인 단계;
(d) 단계 (b)에서 얻은 혈액 샘플에서 가장 높은 성장 호르몬 수준이 상기 단일 임계값보다 낮은 대상을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b)에서 얻은 혈액 샘플에서 가장 높은 성장 호르몬 수준이 상기 단일 임계값보다 낮지 않은 대상을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Masimorelin substances for use in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pediatric patients, comprising:
(a) providing 1 to 5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within the range of about 1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an amount of masimorelin effective to induce growth hormone secretion;
(b) measuring the growth hormone level in each blood sample provided in step (a);
(c) comparing the measured growth hormone level obtained in step (b) with a single threshold, wherein the single threshol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0.0 ng/mL;
(d) determining as hav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the subject having the highest growth hormone level in the blood sample obtained in step (b) below said single threshold, wherein the highest growth hormone level in the blood sample obtained in step (b) is determining a subject not lower than the single threshold as not hav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임계값은 약 10.0 내지 약 25.0ng/mL, 바람직하게는 약 10.2 내지 약 20.0n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0 내지 약 19.0n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4.0 내지 약 18.0ng/mL,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6.0 내지 약 18.0ng/mL,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7.0 내지 약 18.0ng/mL의 범위 내인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ingle threshold is from about 10.0 to about 25.0 ng/mL, preferably from about 10.2 to about 20.0 ng/mL, more preferably from about 12.0 to about 19.0 ng/mL, more preferably from about 14.0 to about 18.0 ng/mL. mL, more preferably from about 16.0 to about 18.0 ng/mL, and most preferably from about 17.0 to about 18.0 ng/mL.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1 내지 4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1 내지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2 또는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는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
2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or 19,
1 to 4 blood samples are provided in step (a), preferably 1 to 3 blood samples are provided in step (a), more preferably 2 or 3 blood samples are provided in step (a) Masimorelin Substances for Uses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상기 혈액 샘플은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20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95분의 범위 내,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90분의 범위 내에 대상으로부터 얻어지는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
2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 to 20,
In step (a), the blood sample is administered within a range of about 20 to about 100 minute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about 25 to about 100 minutes, more Masimorelin material for use obtained from a subject,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about 25 to about 95 minutes, and most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about 30 to about 90 minutes.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개 초과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면, 상기 혈액 샘플은 약 10 내지 약 60분 간격,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30분 간격으로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지는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
2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 to 21,
Masimorelin material for use, if more than one blood sample is provided, the blood sample is obtained from the subject at about 10 to about 60 minute intervals, preferably about 15 to about 30 minute intervals.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상기 혈액 샘플은 혈청 샘플 또는 혈장 샘플인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
2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 to 22,
Massimorelin material for use in step (a), wherein said blood sample is a serum sample or a plasma sample.
제 18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대상 체중 kg당 약 0.8mg 내지 약 1.2mg의 마시모렐린이 투여되고,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대상 체중 kg당 약 1.0mg의 마시모렐린이 투여되는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
2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 to 23,
Masimorelin for use in which about 0.8 mg to about 1.2 mg of masimorelin per kg of subject's body weight is administered in step (a), preferably about 1.0 mg of masimorelin per kg of subject's body weight is administered in step (a) matter.
제 18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상기 마시모렐린의 투여는 경구 투여인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
2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 to 24,
Massimorelin substance for use wherein the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is oral administration.
제 18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60±3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1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는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
2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 to 25,
A masimorelin substance for use, wherein one blood sample obtained from said subject is provided about 60±3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제 18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및 약 45±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2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는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
2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 to 25,
A masimorelin material for use, wherein two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are provided at about 30±10 minutes and about 45±10 minute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제 18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및 약 6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2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는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
2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 to 25,
A masimorelin material for use, wherein two blood samples obtained from said subject are provided at about 30±10 minutes and about 60±1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제 18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약 45±10분, 및 약 6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거나,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약 45±10분, 및 약 9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거나,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투여 후 약 30±10분, 약 60±10분, 및 약 90±10분에 상기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3개의 혈액 샘플이 제공되는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
2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 to 25,
Three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are provided at about 30±10 minutes, about 45±10 minutes, and about 60±10 minute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or administration of masimorelin in step (a) Three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are provided at about 30±10 minutes, about 45±10 minutes, and about 90±10 minutes after, or about 30±10 minutes, about 60 minutes after masimorelin administration in step (a) A masimorelin material for use in which three blood samples obtained from said subject are provided at ±10 minutes, and at about 90 ±10 minutes.
제 18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및 선택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하고,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마시모렐린 및 선택적으로 사카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하는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
3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 to 29,
Administering masimorelin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further comprising masimorelin and optionally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 in step (a), preferably comprising masimorelin and optionally saccharin in step (a) A masimorelin substance for use in administering masimorelin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제 18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약 3.5%(w/w)의 유리 염기로서 계산되는 마시모렐린, 약 93.1%(w/w)의 분무 건조 락토오스 모노하이드레이트, 약 2.0%(w/w)의 A형 크로스포비돈, 약 0.1%(w/w)의 콜로이드성 실리콘 디옥사이드, 약 1.0%(w/w)의 소듐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및 약 0.3%(w/w)의 사카린 소듐 디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형태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하는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
3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 to 29,
Massimorelin calculated as about 3.5% (w/w) free base in step (a), about 93.1% (w/w) spray dried lactose monohydrate, about 2.0% (w/w) type A cross in the form of a composition comprising povidone, about 0.1% (w/w) colloidal silicon dioxide, about 1.0% (w/w) sodium stearyl fumarate, and about 0.3% (w/w) saccharin sodium dihydrate A masimorelin substance for use in administering masimorelin.
제 18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2세 내지 18세 미만의 인간 아동인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
3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 to 31,
A masimorelin substance for use, wherein said subject is a human child between the ages of 2 and less than 18 years of age.
제 18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독자적인 검사에 사용되고, 반복될 필요가 없으며,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신뢰할 수 있게 진단하기 위한 대안적 성장 호르몬 자극 검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
3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 to 32,
A masimorelin substance for use in which the substance is used in a stand-alone test, does not need to be repeated, and does not require an alternative growth hormone stimulation test for reliably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pediatric patients.
제 18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d)에 따라 상기 대상이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오직 단일 마시모렐린 투여에 의한 성장 호르몬 수준 유도에 기반하는 용도를 위한 마시모렐린 물질.
3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 to 33,
A masimorelin substance for use, wherein the determining according to step (d) whether the subject has growth hormone deficiency is based solely on induction of growth hormone levels by a single masimorelin administration.
하기를 포함하는, 마시모렐린을 사용하여 소아 환자의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진단하는 스크리닝 방법:
(a) 성장 호르몬 분비를 유도하기 위한 유효량의 마시모렐린을 투여한 후, 약 15 내지 약 100분의 범위 내에 대상으로부터 얻은 1개 이상의 혈액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
(b) 각 혈액 샘플의 성장 호르몬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c) 각각의 측정된 성장 호르몬 수준을 단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d) 상기 1개 이상의 혈액 샘플의 단계 (b)에서 측정된 성장 호르몬 수준을 상기 단일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이 성장 호르몬 결핍증에 걸렸는지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로서, 상기 대상이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오직 단일 마시모렐린 투여에 의한 성장 호르몬 수준 유도에 기반하는 단계.
A screening metho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a pediatric patient using masimorelin, comprising:
(a) providing one or more blood samples obtained from the subject within the range of about 15 to about 100 minutes after administering an amount of masimorelin effective to induce growth hormone secretion;
(b) measuring the growth hormone level in each blood sample;
(c) comparing each measured growth hormone level to a single threshold;
(d) diagnosing whether the subject has growth hormone deficiency based on comparing the growth hormone level measured in step (b) of the one or more blood samples to the single threshold value, wherein the subject has a growth hormone deficiency. Determining whether you have this growth hormone deficiency is a step based solely on induction of growth hormone levels by a single masimorelin administration.
제 35 항에 있어서,
단계 (d)에서, 단계 (b)에서 측정된 가장 높은 성장 호르몬 수준이 상기 단일 임계값보다 낮은 대상을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는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b)에서 측정된 가장 높은 성장 호르몬 수준이 상기 단일 임계값보다 낮지 않은 대상을 성장 호르몬 결핍증을 갖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방법.
36. The method of claim 35,
In step (d),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having the highest growth hormone level measured in step (b) is lower than said single threshold has growth hormone deficiency, wherein the highest growth hormone level measured in step (b) is said A method of determining a subject not lower than a single threshold as not hav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임계값은 약 10.0 내지 약 25.0ng/mL, 바람직하게는 약 10.2 내지 약 20.0n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0 내지 약 19.0n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4.0 내지 약 18.0ng/mL,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6.0 내지 약 18.0ng/mL,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7.0 내지 약 18.0ng/mL의 범위 내인 방법.
37. The method of claim 35 or 36,
The single threshold is from about 10.0 to about 25.0 ng/mL, preferably from about 10.2 to about 20.0 ng/mL, more preferably from about 12.0 to about 19.0 ng/mL, more preferably from about 14.0 to about 18.0 ng/mL. mL, more preferably from about 16.0 to about 18.0 ng/mL, and most preferably from about 17.0 to about 18.0 ng/mL.
제 35 항 내지 제 37 항에 있어서,
대상 체중 kg당 약 0.8mg 내지 약 1.2mg의 마시모렐린이 투여되고, 바람직하게는 대상 체중 kg당 약 1.0mg의 마시모렐린이 투여되는 방법.
3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5 to 37,
A method in which about 0.8 mg to about 1.2 mg of masimorelin per kg of subject's body weight is administered, preferably about 1.0 mg of masimorelin per kg of subject's body weight is administered.
제 35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2세 내지 18세 미만의 인간 아동인 방법.
3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5 to 38,
wherein said subject is a human child between the ages of 2 and less than 18 years of age.
KR1020217043189A 2020-07-22 2020-07-22 Screening metho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pediatric patients using macimorelin KR10263502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20/070691 WO2022017599A1 (en) 2020-07-22 2020-07-22 A screening metho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pediatric patients by using macimorel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466A true KR20220015466A (en) 2022-02-08
KR102635025B1 KR102635025B1 (en) 2024-02-07

Family

ID=7178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3189A KR102635025B1 (en) 2020-07-22 2020-07-22 Screening metho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pediatric patients using macimorelin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4185866A1 (en)
JP (1) JP2023535000A (en)
KR (1) KR102635025B1 (en)
CN (1) CN114258492A (en)
AR (1) AR124626A1 (en)
AU (1) AU2020460118A1 (en)
CA (1) CA3185680A1 (en)
IL (1) IL299918A (en)
MX (1) MX2023000935A (en)
TW (1) TW202219511A (en)
WO (1) WO2022017599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1762A1 (en) * 2017-12-19 2019-06-27 Aeterna Zentaris Gmbh Method of asses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humans by a macimorelin containing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K287169B6 (en) 2000-06-13 2010-02-08 Zentaris Ag Compounds increased growth hormone secre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reof and their use
GB0603295D0 (en) 2006-02-18 2006-03-29 Ardana Bioscience Ltd Methods and kits
CN105209055A (en) * 2013-03-11 2015-12-30 阿穆尼克斯运营公司 Treatment of pediatric growth hormone deficiency with human growth hormone analogues
CN106310229A (en) * 2015-06-30 2017-01-11 深圳翰宇药业股份有限公司 Macimorelin film coated table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1762A1 (en) * 2017-12-19 2019-06-27 Aeterna Zentaris Gmbh Method of asses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humans by a macimorelin containing composi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M. Garcia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2013, Vol. 98, pp 2422-2429.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258492A (en) 2022-03-29
AU2020460118A1 (en) 2023-02-02
WO2022017599A1 (en) 2022-01-27
KR102635025B1 (en) 2024-02-07
TW202219511A (en) 2022-05-16
JP2023535000A (en) 2023-08-15
EP4185866A1 (en) 2023-05-31
CA3185680A1 (en) 2022-01-27
MX2023000935A (en) 2023-02-22
AR124626A1 (en) 2023-04-19
IL299918A (en) 2023-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2728B2 (en) Methods and kits
JP7389862B2 (en) Detection and treatment of growth hormone deficiency
Santoveña et al. Design of a pediatric oral formulation with a low proportion of hydrochlorothiazide
JP7361816B2 (en) Method for evaluat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humans with macimorelin-containing compositions
Csákváry et al. Safety, tolerability,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macimorelin in children with suspected growth hormone deficiency: an open-label, group comparison, dose-escalation trial
Sadek et al. A randomized, two-way crossover study to evaluate the pharmacokinetics of caffeine delivered using caffeinated chewing gum versus a marketed caffeinated beverage in healthy adult volunteers
KR102635025B1 (en) Screening method for diagno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pediatric patients using macimorelin
De Leeuw et al. Pentagastrin has panic-inducing properties in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Mubaslat et al. Pharmacokinetics and effects on saliva flow of sublingual and oral atropine in clozapine-treated and healthy adults: an interventional cross-over study
US11644474B2 (en) Use of macimorelin in asses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children
D’Errico et al. β-Tryptase and quantitative mast-cell increase in a sudden infant death following hexavalent immunization
Rawal et al. Lemborexant levels in breast milk after single doses in healthy, lactating women
Sidharta et al. Relative bioavailability of a pediatric dispersible tablet and adult film‐coated tablet of macitentan in healthy volunteers
Ahmad et al. Phase 1 study of EDP‐305, a novel once‐daily oral farsenoid× receptor agonist, in healthy subjects and those with presumptiv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Spindeldreier et al. PP-033 Physico-chemical stability of cabazitaxel-containing premix solution and ready-to-administer solutions
MARELLA et al. A Novel and Robust Analytical Technique for Determining Covid-19 Medications Used in Emergencies
EA041109B1 (en) METHOD FOR ASSESSING GROWTH HORMONE DEFICIENCY IN HUMANS USING A COMPOSITION CONTAINING MACIMORELIN
TW201318636A (en) GLP-1 agonist for use in the treatment of stenosis or/and obstruction in the biliary tr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