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247A - 목재 결합형 목교 - Google Patents

목재 결합형 목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247A
KR20220015247A KR1020200095529A KR20200095529A KR20220015247A KR 20220015247 A KR20220015247 A KR 20220015247A KR 1020200095529 A KR1020200095529 A KR 1020200095529A KR 20200095529 A KR20200095529 A KR 20200095529A KR 20220015247 A KR20220015247 A KR 20220015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en
wood
bridge
pos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9210B1 (ko
Inventor
김경중
김영진
이갑수
김남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티
Priority to KR1020200095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2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10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를 서로 맞추는 방식으로 조립하여 목교 자체의 심미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면서 부식에 따른 유지 보수가 현저히 감소되도록 하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 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목재 결합형 목교에 관한 것으로, 본 목교는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목재지주(10)와, 상기 목재지주(10)의 상면을 따라 구비되는 판상의 목재데크(20)와, 상기 목재지주(10)의 상면에 끼워지고 상기 목재데크(20)의 하면 중앙을 지지하는 중앙지지각목(30)과, 상기 목재데크(20)의 양측 하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양측지지각목(40)과, 상기 양측지지각목(40)과 목재지주(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목재데크(20)를 지지하는 연결지지부(50)와, 상기 목재지주(10)와 지면 사이에 배치되는 기초석(6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목재 결합형 목교{WOOD MEMBER ASSEMBLING TYPE WOOD BRIDGE}
본 발명은 목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를 서로 맞추는 방식으로 조립하여 목교 자체의 심미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면서 부식에 따른 유지 보수가 현저히 감소되도록 하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 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목재 결합형 목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교는 목재 부재를 사용하여 가설한 교량을 말하며 공원이나 하천 등에 위치하는 좁은 폭의 수로에 소형으로 설치되어 보행자나 자전거 등의 통행을 편리하게 한다
최근에는 자연경관과 어울리는 목재 부재를 사용한 목교의 구조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대중들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산책 또는 하이킹 등의 활동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목교 또한 다양한 장소에 설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하천 또는 호수 주변 등의 수면 위에 설치되어 주변 경관을 바라볼 수 있도록 목교 또는 데크로드 등의 목구조물 설치가 요구되고 있고, 근래에 이러한 목재 부재를 사용한 다양한 목교 구조물이 수변에 설치 활용되고 있다.
다만, 목재 부재만을 활용하여 제작된 목교의 경우 구조적으로 취약하고, 목재 수축으로 인해 유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에이치빔 등의 철골조를 목재부재와 결합하여 목교를 제작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목교의 철골구조물은 목교 자체의 심미성을 저하시키고 부식이 잘되어 유지 보수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 목교의 철골구조물은 현장에서 용접으로 바로 조립됨에 따라 철골구조물 공사 기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고, 시공되는 목교마다 개별적으로 구조 설계를 해야 하는 등 시간과 인력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634503호 "목교"(2016.06.2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를 서로 맞추는 방식으로 조립하여 목교 자체의 심미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면서 부식에 따른 유지 보수가 현저히 감소되도록 하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 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목재 결합형 목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형 목교"는, 지면에 다수개가 연속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목재로 이루어진 목재지주와; 상기 목재지주의 상단에 하면 중앙이 부착되고, 상기 목재지주를 따라 길게 형성되며, 평평한 판형의 목재로 구비되는 목재데크와; 상기 목재데크의 하면 중앙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목재지주의 상단에 끼워져 고정되며, 사각의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중앙지지각목과; 상기 목재데크의 양측 하면을 따라 부착되고, 사각의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양측지지각목과; 상기 목재지주와 목재지주의 사이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수평연결대와, 상기 목재지주와 수평연결대의 양측면을 따라 연속하여 하단이 각각 장착되고 경사지면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단이 상기 양측지지각목의 하면에 구비되며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다수의 경사지지대와, 상기 경사지지대의 상단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양측지지각목의 하면이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형 목교"의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양측지지각목과 중앙지지각목에 직교되게 부착되고 사각의 목재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양단이 결합되는 하면지지각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형 목교"의 상기 목재지주는, 그 상단에 끼워져 장착되고 상면에 상기 중앙지지각목과 하면지지각목이 끼워져 고정되는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형 목교"의 상기 목재지주는, 상기 중앙지지각목과 지면의 사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금속재의 제1 에이치빔과, 상기 제1 에이치빔의 둘레에 상호 대칭되게 부착되어 사각형의 띠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에이치빔의 둘레에 상하로 다수개가 부착되는 한 쌍의 제1 띠부재와, 상기 제1 에이치빔의 외면을 가리도록 상기 제1 띠부재의 외면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판형의 목재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목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형 목교"의 상기 목재지주는, 상기 중앙지지각목과 지면의 사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금속재의 제2 에이치빔과, 상기 제2 에이치빔의 둘레에 상호 대칭되게 부착되어 육각형의 띠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에이치빔의 둘레에 상하로 다수개가 부착되는 한 쌍의 제2 띠부재와, 상기 제2 에이치빔의 외면을 가리도록 상기 제2 띠부재의 외면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판형의 목재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2 목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결합형 목교"는, 지면과 상기 목재지주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면이 평평한 입방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기초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목재를 서로 맞추는 방식으로 조립하여 목교 자체의 심미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부식에 따른 유지 보수가 현저히 감소되며,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 시공될 수 있어 조립 시공시에 시간과 인력이 현저히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교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교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교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교의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교의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목교의 목재지주를 보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목교의 목재지주를 보인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목교의 목재지주를 보인 개략적인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교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 결합형 목교는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목재지주(10)와, 상기 목재지주(10)의 상면을 따라 구비되는 판상의 목재데크(20)와, 상기 목재지주(10)의 상면에 끼워지고 상기 목재데크(20)의 하면 중앙을 지지하는 중앙지지각목(30)과, 상기 목재데크(20)의 양측 하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양측지지각목(40)과, 상기 양측지지각목(40)과 목재지주(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목재데크(20)를 지지하는 연결지지부(50)와, 상기 목재지주(10)와 지면 사이에 배치되는 기초석(60)을 포함한다.
상기 목재지주(10)는 지면에 다수개가 연속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지면에서 상기 목재데크(20)를 상부로 이격시키면서 상기 목재데크(20)의 중앙 부위를 받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연결지지부(50)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이 장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목재지주(10)는 사각기둥 형태로 목재가 가공되면서 건조 및 열처리되어 제작된다.
상기 목재데크(20)는 상기 목재지주(10)의 상단에 하면 중앙이 부착되고 상기 목재지주(10)를 따라 길게 형성되며 평평한 판형의 목재로 구비되는 것으로, 그 상면으로 보행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목재데크(20)는 목재를 건조 및 열처리한 후에 판상으로 가공되어 제작된다.
상기 중앙지지각목(30)은 상기 목재데크(20)의 하면 중앙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목재지주(10)의 상단에 끼워져 고정되며 사각의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목재지주(10)의 상면에 끼워져 받쳐지는 상태에서 상기 목재데크(20)의 하면 중앙을 전체적으로 받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중앙지지각목(30)은 목재를 건조 및 열처리한 후에 각목 형태로 가공되어 제작된다.
상기 양측지지각목(40)은 상기 목재데크(20)의 양측 하면을 따라 부착되고 사각의 목재 재질로 형성되며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지지부(50)에 의해 받쳐진 상태로 상기 목재데크(20)의 하면 양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양측지지각목(40)은 목재를 건조 및 열처리한 후에 각목 형태로 가공되어 제작된다.
상기 연결지지부(50)는 상기 목재지주(10)와 상기 양측지지각목(40) 사이에 설치되고 목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목재지주(10)를 통해 상기 목재데크(20)의 양측 하면이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지지부(50)는 상기 목재지주(10)와 목재지주(10)의 사이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수평연결대(51)와, 상기 목재지주(10)와 수평연결대(51)의 양측면을 따라 연속하여 하단이 각각 장착되고 경사지면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단이 상기 양측지지각목(40)의 하면에 구비되며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다수의 경사지지대(52)와, 상기 경사지지대(52)의 상단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양측지지각목(40)의 하면이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부재(53)와, 상기 양측지지각목(40)과 중앙지지각목(30)에 직교되게 부착되고 사각의 목재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53)에 양단이 결합되는 하면지지각목(54)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연결대(51)는 상기 목재지주(10)와 목재지주(10)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목재지주(10)와 목재지주(10)를 상호 연결시켜 지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경사지지대(52)의 하단이 장착되어 지지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사지지대(52)는 상기 목재지주(10)의 양측과 상기 수평연결대(51)의 양측에 하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양측지지각목(40)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목재데크(20)의 양측 하면을 비스듬하게 지지하여 견고히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경사지지대(52)는 상기 목재지주(10)의 양측과 상기 수평연결대(51)의 양측에 한 쌍씩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53)는 상기 양측지지각목(40)의 하면과 상기 경사지지대(52)의 상단 및 상기 하면지지각목(54)의 양단이 끼워져 상호 결합되면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부재(53)는 내구성의 향상과 결합 강도를 위해 금속재 브래킷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부재(53)의 내측에 결합되는 상기 양측지지각목(40)과 경사지지대(52) 및 하면지지각목(54)은 보다 견고하고 정밀한 결합을 위해 한옥 시공에 사용하는 전통기술인 목재 맞춤 기법을 적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하면지지각목(54)은 상기 중앙지지각목(30)과 양측지지각목(40)의 하면을 상호 연결시켜 일체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경사지지대(52)에 연결되어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하면지지각목(54)은 보다 견고하고 정밀한 결합을 위해 상기 중앙지지각목(30)과 양측지지각목(40)에 한옥 시공에 사용하는 전통기술인 목재 짜맞춤 기법을 적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목재지주(10)는 그 상단에 끼워져 장착되고 상면에 상기 중앙지지각목(30)과 하면지지각목(54)이 교차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장착부재(10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재(10a)는 상기 목재지주(10)의 상단에 상기 중앙지지각목(30)과 하면지지각목(54)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장착부재(10a)는 내구성의 향상과 결합 강도를 위해 금속재 브래킷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목재지주(10)는 상기 중앙지지각목(30)과 하면지지각목(54)에 한옥 시공에 사용하는 전통기술인 목재 짜맞춤 기법을 적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초석(60)은 지면과 상기 목재지주(10)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면이 평평한 입방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석재나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지면의 상부로 상기 목재지주(10)의 하단이 이격된 상태로 받쳐지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목교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목재 결합형 목교의 상기 목재지주(10)는 상기 중앙지지각목(30)과 지면의 사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금속재의 제1 에이치빔(11)과, 상기 제1 에이치빔(11)의 둘레에 상호 대칭되게 부착되어 사각형의 띠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에이치빔(11)의 둘레에 상하로 다수개가 부착되는 한 쌍의 제1 띠부재(12)와, 상기 제1 에이치빔(11)의 외면을 가리도록 상기 제1 띠부재(12)의 외면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판형의 목재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목재판(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에이치빔(11)은 금속재로 구비되어 상기 목재지주(10)의 내구성과 강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띠부재(12)는 상기 제1 에이치빔(11)의 외면에 용접 등으로 부착되어 상기 제1 목재판(13)이 나사 등으로 장착되거나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디귿자형 형태를 가져 상기 목재지주(10)가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목재판(13)은 목재 재질의 판으로 구비되어 상기 목재지주(10)의 외면을 커버함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목교의 목재지주를 보인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목재 결합형 목교의 상기 목재지주(10)는 상기 중앙지지각목(30)과 지면의 사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금속재의 제2 에이치빔(11a)과, 상기 제2 에이치빔(11a)의 둘레에 상호 대칭되게 부착되어 육각형의 띠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에이치빔(11a)의 둘레에 상하로 다수개가 부착되는 한 쌍의 제2 띠부재(12a)와, 상기 제2 에이치빔(11a)의 외면을 가리도록 상기 제2 띠부재(12a)의 외면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판형의 목재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2 목재판(13a)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에이치빔(11a)은 금속재로 구비되어 상기 목재지주(10)의 내구성과 강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띠부재(12a)는 상기 제2 에이치빔(11a)의 외면에 용접 등으로 부착되어 상기 제2 목재판(13a)이 나사 등으로 장착되거나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꺽쇠 형태를 가져 상기 목재지주(10)가 육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목재판(13a)은 목재 재질의 판으로 구비되어 상기 목재지주(10)의 외면을 커버함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목재지주
10a : 장착부재
11 : 제1 에이치빔 12 : 제1 띠부재
13 : 제1 목재판
11a : 제2 에이치빔 12a : 제2 띠부재
13a : 제2 목재판
20 : 목재데크
30 : 중앙지지각목
40 : 양측지지각목
50 : 연결지지부
51 : 수평연결대 52 : 경사지지대
53 : 연결부재 54 : 하면지지각목
60 : 기초석

Claims (6)

  1. 지면에 다수개가 연속하여 수직으로 배치되고, 목재로 이루어진 목재지주(10)와;
    상기 목재지주(10)의 상단에 하면 중앙이 부착되고, 상기 목재지주(10)를 따라 길게 형성되며, 평평한 판형의 목재로 구비되는 목재데크(20)와;
    상기 목재데크(20)의 하면 중앙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목재지주(10)의 상단에 끼워져 고정되며, 사각의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중앙지지각목(30)과;
    상기 목재데크(20)의 양측 하면을 따라 부착되고, 사각의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양측지지각목(40)과;
    상기 목재지주(10)와 목재지주(10)의 사이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수평연결대(51)와, 상기 목재지주(10)와 수평연결대(51)의 양측면을 따라 연속하여 하단이 각각 장착되고 경사지면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단이 상기 양측지지각목(40)의 하면에 구비되며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다수의 경사지지대(52)와, 상기 경사지지대(52)의 상단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양측지지각목(40)의 하면이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부재(53)를, 포함하는 연결지지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형 목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50)는,
    상기 양측지지각목(40)과 중앙지지각목(30)에 직교되게 부착되고 사각의 목재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53)에 양단이 결합되는 하면지지각목(5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형 목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지주(10)는,
    그 상단에 끼워져 장착되고 상면에 상기 중앙지지각목(30)과 하면지지각목(54)이 교차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장착부재(10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형 목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지주(10)는,
    상기 중앙지지각목(30)과 지면의 사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금속재의 제1 에이치빔(11)과,
    상기 제1 에이치빔(11)의 둘레에 상호 대칭되게 부착되어 사각형의 띠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에이치빔(11)의 둘레에 상하로 다수개가 부착되는 한 쌍의 제1 띠부재(12)와,
    상기 제1 에이치빔(11)의 외면을 가리도록 상기 제1 띠부재(12)의 외면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판형의 목재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 목재판(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형 목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지주(10)는,
    상기 중앙지지각목(30)과 지면의 사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금속재의 제2 에이치빔(11a)과,
    상기 제2 에이치빔(11a)의 둘레에 상호 대칭되게 부착되어 육각형의 띠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에이치빔(11a)의 둘레에 상하로 다수개가 부착되는 한 쌍의 제2 띠부재(12a)와,
    상기 제2 에이치빔(11a)의 외면을 가리도록 상기 제2 띠부재(12a)의 외면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판형의 목재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2 목재판(13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형 목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교는,
    지면과 상기 목재지주(10)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면이 평평한 입방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기초석(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형 목교.
KR1020200095529A 2020-07-30 2020-07-30 목재 결합형 목교 KR102409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529A KR102409210B1 (ko) 2020-07-30 2020-07-30 목재 결합형 목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529A KR102409210B1 (ko) 2020-07-30 2020-07-30 목재 결합형 목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247A true KR20220015247A (ko) 2022-02-08
KR102409210B1 KR102409210B1 (ko) 2022-06-15

Family

ID=8025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529A KR102409210B1 (ko) 2020-07-30 2020-07-30 목재 결합형 목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2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860A (ko) * 2007-09-13 2009-03-18 배석동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
KR20150085371A (ko) * 2014-01-15 2015-07-23 문찬수 조립식 데크 장치
KR20150101742A (ko) * 2014-02-27 2015-09-04 주식회사휴플러스 자주식 파일을 이용한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1634503B1 (ko) 2015-10-02 2016-06-28 수풍산업 주식회사 목교
KR101900219B1 (ko) * 2018-02-20 2018-09-18 이관궁 경관재용 기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860A (ko) * 2007-09-13 2009-03-18 배석동 포스트 수직인장에 의한 보의 처짐방지구조
KR20150085371A (ko) * 2014-01-15 2015-07-23 문찬수 조립식 데크 장치
KR20150101742A (ko) * 2014-02-27 2015-09-04 주식회사휴플러스 자주식 파일을 이용한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1634503B1 (ko) 2015-10-02 2016-06-28 수풍산업 주식회사 목교
KR101900219B1 (ko) * 2018-02-20 2018-09-18 이관궁 경관재용 기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210B1 (ko)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210B1 (ko) 목재 결합형 목교
KR101634503B1 (ko) 목교
US4199189A (en) Assembly of prefabricated parts for manufacture of benches, tables and the like
CN201924284U (zh) 一种螺杆座管双拼贝雷架
CN110748001A (zh) 一种钢结构网架
JP4022158B2 (ja) X型交差張弦梁構造体
CN209833933U (zh) 一种滑板冲浪设备
KR20090131570A (ko) 꼬임메쉬휀스용 지주
CN213013743U (zh) 一种生态园林路面铺设结构
CN215561976U (zh) 一种工字钢板组合梁拼装装置
CN218932876U (zh) 一种装配式桥梁用桁架
CN215329580U (zh) 一种方便固定更换的花箱护栏
CN214302793U (zh) 一种用于框架柱施工的吊装脚手架
CN213572990U (zh) 一种用于模板工程的夹爪式支撑
CN215519618U (zh) 一种立柱外层安装结构
KR101579693B1 (ko) 목재 수중 조립식 지주로 구성된 데크 및 목교
CN212591223U (zh) 一种可调节沙发支撑架
KR100671883B1 (ko) 조립식 건축물
KR200270174Y1 (ko) 조립식 상패틀
CN214695213U (zh) 多孔拱桥的拱圈支模体系
CN216239903U (zh) 一种破损房屋结构加固装置
CN214885346U (zh) 一种底座稳定性好的建筑脚手架
CN212641990U (zh) 一种栏杆
CN108708585B (zh) 一种天然气处理厂立体化施工方法和施工系统
KR200368930Y1 (ko) 조합놀이대의 지붕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