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012A - 3d 프린터 노즐과 베드 사이 거리 측정센서 - Google Patents

3d 프린터 노즐과 베드 사이 거리 측정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012A
KR20220015012A KR1020200094986A KR20200094986A KR20220015012A KR 20220015012 A KR20220015012 A KR 20220015012A KR 1020200094986 A KR1020200094986 A KR 1020200094986A KR 20200094986 A KR20200094986 A KR 20200094986A KR 20220015012 A KR20220015012 A KR 20220015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present
nozzle
sensor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주
Original Assignee
백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주 filed Critical 백승주
Priority to KR1020200094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5012A/ko
Publication of KR2022001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9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프린터 노즐과 베드 사이 거리 측정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저 거리센서에 의하여 노즐과 베드사이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게 하고, 고정봉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정확한 위치게 장착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대게의 저렴한 3D Printer는 Auto Leveling이라는 기능이 있지 않아 사용자로 하여금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감으로 잡아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대게의 저렴한 3D Printer는 Auto Leveling이라는 기능이 있지 않아 사용자로 하여금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감으로 잡아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3D Printer에 있어서 센서에서 받은 측정 값을 사용자가 보기 쉽게 돌출되게 구성한 화면, 5Pin 충전선으로 충전을 할 수 있게 외부의 구멍을 형성한 충전 모듈,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게 본채 내장형으로 구성한 레이저 거리센서, 본 발명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게 본채 돌출형으로 구성한 스위치, 본 발명이 정확한 위치게 장착 할 수 있게 돌출 된 두개의 봉으로 형성한 고정봉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이저 거리센서에 의하여 노즐과 베드사이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게 하고, 고정봉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정확한 위치게 장착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대게의 저렴한 3D Printer는 Auto Leveling이라는 기능이 있지 않아 사용자로 하여금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감으로 잡아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대게의 저렴한 3D Printer는 Auto Leveling이라는 기능이 있지 않아 사용자로 하여금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감으로 잡아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3D 프린터 노즐과 베드 사이 거리 측정센서{3D Printer Nozzle to Bed Distance Measuring Sensor}
본 발명은 3D 프린터 노즐과 베드 사이 거리 측정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D Printer에 있어서,
센서에서 받은 측정 값을 사용자가 보기 쉽게 돌출되게 구성한 화면, 5Pin 충전선으로 충전을 할 수 있게 외부의 구멍을 형성한 충전 모듈,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게 본채 내장형으로 구성한 레이저 거리센서, 본 발명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게 본채 돌출형으로 구성한 스위치, 본 발명이 정확한 위치게 장착 할 수 있게 돌출 된 두개의 봉으로 형성한 고정봉으로 구성 하여서,
레이저 거리센서에 의하여 노즐과 베드사이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게 하고, 고정봉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정확한 위치게 장착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대게의 저렴한 3D Printer는 Auto Leveling이라는 기능이 있지 않아 사용자로 하여금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감으로 잡아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D Printer은 2D 프린터가 활자나 그림을 인쇄하듯이 입력한 도면을 바탕으로 3차원의 입체 물품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3D Printer은 Nozzle, Extruder, Heating bed, screw, stepping motor, Display, Heating Line, Temperature Line, LED , Arduino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3D Printer은 도면을 수많은 단층으로 자른 뒤 X,Y축으로 그리고 Z축으로 쌓아 올려 입체적인 물체를 제작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3D Printer은 대게의 저렴한 3D Printer는 Auto Leveling이라는 기능이 있지 않아 사용자로 하여금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감으로 잡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102014002283 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3D Printer이 대게의 저렴한 3D Printer는 Auto Leveling이라는 기능이 있지 않아 사용자로 하여금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감으로 잡아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센서에서 받은 측정 값을 사용자가 보기 쉽게 돌출되게 구성한 화면, 5Pin 충전선으로 충전을 할 수 있게 외부의 구멍을 형성한 충전 모듈,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게 본채 내장형으로 구성한 레이저 거리센서, 본 발명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게 본채 돌출형으로 구성한 스위치, 본 발명이 정확한 위치게 장착 할 수 있게 돌출 된 두개의 봉으로 형성한 고정봉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센서에서 받은 측정 값을 사용자가 보기 쉽게 돌출되게 구성한 화면, 5Pin 충전선으로 충전을 할 수 있게 외부의 구멍을 형성한 충전 모듈,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게 본채 내장형으로 구성한 레이저 거리센서, 본 발명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게 본채 돌출형으로 구성한 스위치, 본 발명이 정확한 위치게 장착 할 수 있게 돌출 된 두개의 봉으로 형성한 고정봉으로 구성 함으로써, 레이저 거리센서에 의하여 노즐과 베드사이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게 하고, 고정봉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정확한 위치게 장착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대게의 저렴한 3D Printer는 Auto Leveling이라는 기능이 있지 않아 사용자로 하여금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감으로 잡아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본 발명의 반투명한 4분할도
도 2: 본 발명의 4분할도
도 3: 본 발명의 우측에서 본 그림
도 4: 본 발명의 하단에서 본 그림
도 5: 본 발명의 좌측에서 본 그림
즉, 본 발명은 센서에서 받은 측정 값을 사용자가 보기 쉽게 돌출되게 구성한 (1)화면, 5Pin 충전선으로 충전을 할 수 있게 외부의 구멍을 형성한 (2)충전 모듈,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게 본채 내장형으로 구성한 (3)레이저 거리센서, 본 발명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게 본채 돌출형으로 구성한 (4)스위치, 본 발명이 정확한 위치게 장착 할 수 있게 돌출 된 두개의 봉으로 형성한 (5)고정봉으로 구성 된 것이다.
여기서, (3)레이저 거리센서는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게 본채 내장형으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5)고정봉은 본 발명이 정확한 위치게 장착 할 수 있게 돌출 된 두개의 봉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D Printer에 있어서 센서에서 받은 측정 값을 사용자가 보기 쉽게 돌출되게 구성한 (1)화면, 5Pin 충전선으로 충전을 할 수 있게 외부의 구멍을 형성한 (2)충전 모듈,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게 본채 내장형으로 구성한 (3)레이저 거리센서, 본 발명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게 본채 돌출형으로 구성한 (4)스위치, 본 발명이 정확한 위치게 장착 할 수 있게 돌출 된 두개의 봉으로 형성한 (5)고정봉으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대게의 저렴한 3D Printer는 Auto Leveling이라는 기능이 있지 않아 사용자로 하여금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감으로 잡아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본채 내장형으로 구성한 (3)레이저 거리센서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돌출 된 두개의 봉으로 형성한 (5)고정봉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본 발명이 정확한 위치게 장착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1: 화면, 2: 충전 모듈, 3: 레이저 거리센서, 4: 스위치, 5: 고정봉

Claims (3)

  1. 3D Printer에 있어서,
    센서에서 받은 측정 값을 사용자가 보기 쉽게 돌출되게 구성한 (1)화면, 5Pin 충전선으로 충전을 할 수 있게 외부의 구멍을 형성한 (2)충전 모듈,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게 본채 내장형으로 구성한 (3)레이저 거리센서, 본 발명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게 본채 돌출형으로 구성한 (4)스위치, 본 발명이 정확한 위치게 장착 할 수 있게 돌출 된 두개의 봉으로 형성한 (5)고정봉으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노즐과 베드 사이 거리 측정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3)레이저 거리센서를 통하여 Nozzle과 Heating bed 사이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게 본채 내장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노즐과 베드 사이 거리 측정센서.
  3. 제 1항에 있어서,
    (5)고정봉을 통하여 본 발명이 정확한 위치게 장착 할 수 있게 돌출 된 두개의 봉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노즐과 베드 사이 거리 측정센서.
KR1020200094986A 2020-07-30 2020-07-30 3d 프린터 노즐과 베드 사이 거리 측정센서 KR20220015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986A KR20220015012A (ko) 2020-07-30 2020-07-30 3d 프린터 노즐과 베드 사이 거리 측정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986A KR20220015012A (ko) 2020-07-30 2020-07-30 3d 프린터 노즐과 베드 사이 거리 측정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012A true KR20220015012A (ko) 2022-02-08

Family

ID=8025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986A KR20220015012A (ko) 2020-07-30 2020-07-30 3d 프린터 노즐과 베드 사이 거리 측정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50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283A (ko) 2012-06-28 2014-01-08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전자칠판의 바탕화면 클릭 실행 시스템 및 실행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283A (ko) 2012-06-28 2014-01-08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전자칠판의 바탕화면 클릭 실행 시스템 및 실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4153B2 (en) Micrometer
JP2014149290A (ja) 圧力計
CN108362206B (zh) 一种基于容栅的非接触式位移传感器
JP6465589B2 (ja) 測定具用校正制御装置
US20080072446A1 (en) Tape measure having digital output
JP2011034830A (ja) 圧力スイッチ
CN104044273A (zh) 三维打印机的校准方法及其装置
US10823564B2 (en) Automatic leveling laser marking indication device
KR20220015012A (ko) 3d 프린터 노즐과 베드 사이 거리 측정센서
US20150053022A1 (en) Electronic socket
US7395610B2 (en) Digital measuring instrument
AU2017419296B2 (en) Distance measurement device
CN209857872U (zh) 一种倾角仪
DE69932850D1 (de) Druckregler mit anzeige
TW201741645A (zh) 用於測量絲網上的紙漿材料的水分含量的方法和設備
ITVE20060079A1 (it) Metodo ed apparecchiatura per leggere il profilo di una chiave.
JP6825869B2 (ja) 画像表示装置
CN201819667U (zh) 一种高精度测量仪器
US20140207391A1 (en) Torque socket structure
US4542473A (en) Stacked dimension and deviation calculator apparatus for use with gage blocks
CN205374173U (zh) 拉力测试机
JP4759473B2 (ja) 小型pH計
CN210664348U (zh) 一种24v视觉触发器
US20070030160A1 (en) Structure of meter
JPH0743602Y2 (ja) 寸法検出器